KR102560105B1 - 펄프 몰드 성형장치 - Google Patents

펄프 몰드 성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0105B1
KR102560105B1 KR1020220123877A KR20220123877A KR102560105B1 KR 102560105 B1 KR102560105 B1 KR 102560105B1 KR 1020220123877 A KR1020220123877 A KR 1020220123877A KR 20220123877 A KR20220123877 A KR 20220123877A KR 102560105 B1 KR102560105 B1 KR 1025601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lp
mold
molding
slurry
lower m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238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복동
Original Assignee
(주)풍년그린텍
주식회사 풍년그린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풍년그린텍, 주식회사 풍년그린텍 filed Critical (주)풍년그린텍
Priority to KR10202201238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010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01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01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JFIBREBOARD;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CELLULOSIC FIBROUS SUSPENSIONS OR FROM PAPIER-MACHE
    • D21J3/00Manufacture of articles by pressing wet fibre pulp, or papier-mâché, between moulds
    • D21J3/12Manufacture of articles by pressing wet fibre pulp, or papier-mâché, between moulds of sheets; of diaphrag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FMECHANICAL WORKING OR DEFORMATION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F1/00Mechanical deformation without removing material, e.g. in combination with laminating
    • B31F1/0077Shaping by methods analogous to moulding, e.g. deep drawing techniqu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3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 B65D85/3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for eggs
    • B65D85/322Trays made of pressed material, e.g. paper pulp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5/00After-treatment of paper not provided for in groups D21H17/00 - D21H23/00
    • D21H25/005Mechanical treatment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5/00After-treatment of paper not provided for in groups D21H17/00 - D21H23/00
    • D21H25/04Physical treatment, e.g. heating, irradi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ap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품의 유통이나 보관을 위해 제품을 담아 보관하는 펄프 재질의 몰드를 성형하는 펄프 몰드 성형장치에 관한 것으로, 물이 배출되도록 표면에는 미세 탈수공이 형성되고 펄프 슬러리가 흡착되어 펄프 몰드가 형성되는 하부금형과, 상기 하부금형의 둘레를 따라 구비되고 상기 펄프 몰드가 형성되는 구역을 한정하는 가이드 프레임, 그리고 상기 하부금형과 형합되되 상기 가이드 프레임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펄프 몰드를 압착하는 상부금형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하부금형에 추가 배출홀을 구비하여 전체적으로 물이 배출되는 시간을 동일하게 최소 시간으로 배출할 수 있어 전체 제조공정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펄프 몰드 성형장치{MOLDING DEVICE FOR PULP MOLD}
본 발명은 펄프 몰드 성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제품의 유통이나 보관을 위해 제품을 담아 보관하는 펄프 재질의 몰드를 성형하는 펄프 몰드 성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펄프 몰드는 종이 및 펄프를 원료로 하여 해리, 성형, 건조 등의 과정으로 제조된 일정한 형태를 가지는 제품으로서, 통상 계란이나 청과물 용기 등의 완충 포장재나 과채류용 트레이, 육류 및 어류용 트레이, 육모용 포트 등으로 사용되어 왔다.
이와 같이 포장재로 사용되는 펄프 몰드는 합성수지제 포장용기와는 달리 사용후 처리가 쉽고, 재활용이 가능하며, 환경오염이 없는 장점과, 우수한 완충효과를 가지고 있다. 특히, 공해성 석유화학 계통의 포장재에 관한 규제가 점점 강화되고 있는 현실에서 수출 상대국의 환경 규제에 저촉되지 않아 앞으로는 공업용 등의 완충재 및 공산품 등의 포장재로 석유화학 제품을 대체하는 효과가 클 것으로 기대된다.
한편, 원료로서 골판지, 신문지, 잡지, 광고지, 우유팩, 백상지 등의 폐지를 이용함으로써 환경 친화성 제품이며, 통기성, 고착성, 안전성 및 흡습성이 우수하여 청과물 등의 신선도 유지에 적합하고, 재생, 소각, 폐기, 재활용 등의 후처리가 용이하며, 완충성이 우수하여 중량물 포장에 유리하고, 포장의 절선편, 효율화 및 자동화에 유리하다.
이러한 펄프 몰드의 제조방법은 원료를 물에 첨가하여 해리 분산시킨 후, 금형의 표면에 펄프 슬러리를 공급한 후 물을 배출시켜 펄프를 금형에 부착시키고, 부착된 일정 형상의 펄프를 압착 및 건조하여 펄프 몰드 제품으로 제조한다.
하지만, 종래에는 펄프 슬러리가 공급되는 금형의 성형면이 제품의 형상에 대응하여 위치별로 펄프 슬러리가 수용되는 공간에서 차이가 있고, 상대적으로 펄프 슬러리가 많이 수용되는 공간에서는 물 배출이 늦게 되어 제조 속도를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다.
일 예로, 도 1을 참조하면, 펄프 몰드인 계란포장용기(10)를 제조하는 경우에, 금형(20)에서 덮개부(11)를 형성하는 제1 성형부(21)에는 본체부(12)를 형성하는 제2 성형부(22)보다 상대적으로 넓은 면적을 가지도록 형성되므로, 상기 제1 성형부(21)에 상대적으로 많은 양의 펄프 슬러리가 공급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1 성형부(21)에 많은 양의 펄프 슬러리가 공급되면 물이 모두 배출되는데 상기 제2 성형부(22)보다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상기 제1 성형부(21)에서 물이 모두 배출된 후 다음 공정을 진행할 수 있으므로 전체 공정 시간이 늘어나는 문제가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463781호(2014.11.14)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하부금형에서 전체적으로 물이 배출되는 시간을 동일하게 최소 시간으로 배출할 수 있는 펄프 몰드 성형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펄프 몰드 성형장치는, 물이 배출되도록 표면에는 미세 탈수공이 형성되고, 펄프 슬러리가 흡착되어 펄프 몰드가 형성되는 하부금형; 상기 하부금형의 둘레를 따라 구비되고, 상기 펄프 몰드가 형성되는 구역을 한정하는 가이드 프레임; 및 상기 하부금형과 형합되되 상기 가이드 프레임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펄프 몰드를 압착하는 상부금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하부금형은, 하부금형 몸체; 상기 하부금형 몸체의 일측에 형성된 제1 성형부; 상기 하부금형 몸체의 타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성형부보다 적은 양의 펄프 슬러리가 수용되게 형성된 제2 성형부; 및 상기 하부금형 몸체에서 관통 형성되고, 상기 제1 성형부와 연통되어 상기 제1 성형부에 수용된 펄프 슬러리를 배출하는 슬러리 배출홀;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슬러리 배출홀은, 상기 제2 성형부에서 물이 모두 배출되는 때에 상기 제1 성형부에서도 물이 모두 배출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러리 배출홀은, 상기 제1 성형부에서 상기 제2 성형부와 연결되는 제1 측면과 마주보는 제2 측면에서 바닥면에 근접하여 형성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금형은, 상기 슬러리 배출홀의 둘레에 구비되고, 펄프 슬러리가 부착되지 않도록 구비되어 펄프 몰드의 일 영역에 관통홀을 형성하는 홀 프레임;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나아가, 상기 하부금형은, 상기 제1 성형부의 상측 둘레에서 내측으로 함몰 형성되어 상기 제1 성형부에 수용된 펄프 슬러리를 배출하는 슬러리 배출홈;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제1 성형부는 계란 포장 용기의 덮개부를 형성하도록 상측이 개방된 박스 형태로 구비되고, 상기 제2 성형부는 계란 포장 용기의 본체부와 체결부를 형성하도록 복수의 요철이 구비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성형부는, 중심 영역에서 돌출되고, 상기 가이드 프레임보다 높게 형성된 이동방지부 요철; 상기 제1 성형부와 연결되는 부분에서 돌출되고, 상기 가이드 프레임보다 낮게 형성된 덮개부 지지부 요철; 상기 본체부와 상기 체결부를 형성하는 경계에서 돌출되고, 상기 가이드 프레임보다 낮게 형성된 체결부 지지부 요철; 및 양측 둘레에서 돌출되고, 상기 가이드 프레임보다 낮게 형성된 함몰 지지부 요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펄프 몰드 성형장치.
여기서, 상기 함몰 지지부 요철은, 측면에서 내측으로 함몰되게 단턱이 형성되고, 동일한 일측에서 한쌍이 나란히 형성되며, 상기 단턱이 서로 마주보지 않는 방향으로 형성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펄프 몰드 성형장치에 따르면, 하부금형에 추가 배출홀을 구비하여 전체적으로 물이 배출되는 시간을 동일하게 최소 시간으로 배출할 수 있어 전체 제조공정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펄프 몰드를 성형하는 금형을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펄프 몰드 성형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펄프 몰드 성형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펄프 몰드 성형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분리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펄프 몰드 성형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펄프 몰드 성형장치에서 하부금형을 발췌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펄프 몰드 성형장치에서 하부금형을 발췌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펄프 몰드 성형장치에서 하부금형을 발췌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펄프 몰드 성형장치에서 하부금형의 요부를 발췌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부분 확대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펄프 몰드 성형장치에 의해 제조된 펄프 몰드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사시도,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펄프 몰드 성형장치에 의해 제조된 펄프 몰드의 요부를 발췌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부분 확대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펄프 몰드 성형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사시도, 분리 사시도, 분리 측면도,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6 내지 도 9는 상기 펄프 몰드 성형장치에서 하부금형을 발췌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사시도, 평면도, 단면도, 부분 확대도이다. 그리고, 도 10 내지 도 12는 상기 펄프 몰드 성형장치에 의해 제조된 펄프 몰드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펄프 몰드 성형장치(100)는, 물이 배출되도록 표면에는 미세 탈수공(H)이 형성되고 펄프 슬러리가 흡착되어 펄프 몰드(500)가 형성되는 하부금형(300)과, 상기 하부금형(300)의 둘레를 따라 구비되고 상기 펄프 몰드(500)가 형성되는 구역을 한정하는 가이드 프레임(400), 그리고 상기 하부금형(300)과 형합되되 상기 가이드 프레임(400)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펄프 몰드(500)를 압착하는 상부금형(200)을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 프레임(400)은 상기 하부금형(300)에서 성형이 이루어지기 위한 영역의 둘레를 따라 높이 방향으로 돌출되게 체결되고, 상기 가이드 프레임(400)의 내측으로 펄프 슬러리가 수용되어 상기 하부금형(300)에 형성되어 있는 형상에 대응하는 상기 펄프 몰드(500)의 형상을 이루게 된다. 즉, 상기 가이드 프레임(400)은 상기 펄프 몰드(500)를 형성하기 위한 둘레 부분의 한계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상부금형(200)은 상기 하부금형(300)에 형성된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금형(300)과 소정 간격의 갭(G)을 형성하도록 구비된다. 즉, 상기 하부금형(300)에 펄프 슬러리가 채워진 후 물이 배출되고, 상기 하부금형(300)에 상기 상부금형(200)이 형합되면 상기 갭(G)만큼의 두께를 가지는 펄프 몰드(500)가 압착 성형된다.
상기 하부금형(300)은 하부금형 몸체(310)와, 상기 하부금형 몸체(310)의 일측에 형성된 제1 성형부(320)와, 상기 하부금형 몸체(310)의 타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성형부(320)보다 적은 양의 펄프 슬러리가 수용되게 형성된 제2 성형부(330), 그리고 상기 하부금형 몸체(310)에서 관통 형성되고 상기 제1 성형부(320)와 연통되어 상기 제1 성형부(320)에 수용된 펄프 슬러리를 배출하는 슬러리 배출홀(3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하부금형 몸체(310)의 전면에는 상기 하부금형(300)의 상기 제1 성형부(320)와 상기 제2 성형부(330)에 공급된 펄프 슬러리의 물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미세 탈수공(H)이 형성된다. 즉, 펄프 슬러리에서 물이 외부로 배출되면서 펄프가 상기 제1 성형부(320)와 상기 제2 성형부(330)의 표면에 부착된다.
상기 제1 성형부(320)는 상기 제2 성형부(330)보다 큰 수용 면적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제1 성형부(320)와 상기 제2 성형부(330)에 함께 펄프 슬러리가 공급되면, 상대적으로 수용 면적이 작은 상기 제2 성형부(330)에서 먼저 물이 모두 배출되고, 상대적으로 수용 면적이 큰 상기 제1 성형부(320)에서는 상기 제2 성형부(330)보다 늦게 물이 모두 배출된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2 성형부(330)에서 물이 모두 배출되는 때 상기 제1 성형부(320)에서도 함께 물이 모두 배출되도록 상기 제1 성형부(320)에 상기 슬러리 배출홀(340)을 더 구비하였다.
따라서, 상기 슬러리 배출홀(340)은 상기 제2 성형부(330)에서 물이 모두 배출되는 때에 상기 제1 성형부(320)에서도 물이 모두 배출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슬러리 배출홀(340)은 공급된 펄프 슬러리가 보다 잘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성형부(320)에서 상기 제2 성형부(330)와 연결되는 제1 측면(322)과 마주보는 제2 측면(323)에서 바닥면(321)에 근접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상기 제2 성형부(330)에서 물이 모두 배출되는 때 상기 제1 성형부(320)에서도 함께 물이 모두 배출되므로 공정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금형(300)은 상기 슬러리 배출홀(340)의 둘레에 구비되고, 펄프 슬러리가 부착되지 않도록 구비되어 펄프 몰드(500)의 일 영역에 관통홀(511)을 형성하는 홀 프레임(350)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펄프 몰드(500)에 홀을 형성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 펄프 슬러리가 배출되는 상기 슬러리 배출홀(340)에 상기 홀 프레임(350)을 구비하여 상기 펄프 몰드(500)에 관통홀(511)을 형성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하부금형(300)은 상기 제1 성형부(320)의 상측 둘레에서 내측으로 함몰 형성되어 상기 제1 성형부(320)에 수용된 펄프 슬러리를 배출하는 슬러리 배출홈(360)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슬러리 배출홈(36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성형부(320)의 상측 둘레 중 양측에서 서로 마주보게 홈 형태로 형성된다. 이러한 형태를 통하여, 상기 제1 성형부(320)에 펄프 슬러리가 수용되면 상기 제1 성형부(320)의 하측에서는 상기 슬러리 배출홀(340)을 통하여 슬러리가 배출되고, 상기 제1 성형부(320)의 상측에서는 상기 슬러리 배출홈(360)을 통하여 슬러리가 배출되어 보다 신속하게 슬러리를 배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프레임(4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슬러리 배출홈(360)이 형성된 부분에서 상기 슬러리 배출홈(360)에 형상에 대응하여 내측으로 절곡 형성될 수도 있다.
물론,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가이드 프레임(400)은 상기 슬러리 배출홈(360)이 형성된 부분에서 절곡 형성되지 않고 직선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 프레임(400)과 상기 제1 성형부(320)의 사이에서 상기 슬러리 배출홈(360)이 홀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펄프 몰드 성형장치(10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란 포장 용기인 펄프 몰드(500)를 제조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성형부(320)는 계란 포장 용기의 덮개부(510)를 형성하도록 상측이 개방된 박스 형태로 구비되고, 상기 제2 성형부(330)는 계란 포장 용기의 본체부(520)와 체결부(530)를 형성하도록 복수의 요철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성형부(320)와 상기 제2 성형부(330)는 서로 연결되어 있어서 상기 덮개부(510)와 상기 본체부(520)는 서로 연결되게 제조된다.
그리고, 상기 제2 성형부(330)는 중심 영역에서 돌출되고 상기 가이드 프레임(400)보다 높게 형성된 이동방지부 요철(331)과, 상기 제1 성형부(320)와 연결되는 부분에서 돌출되고 상기 가이드 프레임(400)보다 낮게 형성된 덮개부 지지부 요철(332)과, 상기 본체부(520)와 상기 체결부(530)를 형성하는 경계에서 돌출되고 상기 가이드 프레임(400)보다 낮게 형성된 체결부 지지부 요철(333), 그리고 양측 둘레에서 돌출되고 상기 가이드 프레임(400)보다 낮게 형성된 함몰 지지부 요철(334)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이동방지부 요철(331)은 상기 펄프 몰드(500)인 계란 포장 용기에서 이동방지부(522)를 형성하는 요철이다. 이렇게 형성된 상기 이동방지부(522)는 상기 본체부(520)의 중심 영역에서 돌출 형성되고, 계란수용부(521)에 수납된 계란이 전후 좌우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구성이다.
상기 덮개부 지지부 요철(332)은 상기 펄프 몰드(500)인 계란 포장 용기에서 덮개부 지지부(523)를 형성하는 요철이다. 이렇게 형성된 상기 덮개부 지지부(523)는 상기 덮개부(510)가 상기 본체부(520)를 덮은 상태에서 상기 덮개부(510)의 일측 영역이 내측으로 함몰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구성이다.
상기 체결부 지지부 요철(333)은 상기 펄프 몰드(500)인 계란 포장 용기에서 체결부 지지부(524)를 형성하는 요철이다. 이렇게 형성된 상기 체결부 지지부(524)는 상기 체결부(530)가 상기 본체부(520)의 내측으로 회전되는 경우에 상기 체결부(530)가 상기 덮개부(510)의 내측에 위치하는 위치까지만 회전될 수 있도록 회전을 구속하는 구성이다.
상기 함몰 지지부 요철(334)은 상기 펄프 몰드(500)인 계란 포장 용기에서 함몰 지지부(525)를 형성하는 요철이다. 이렇게 형성된 상기 함몰 지지부(525)는 상기 본체부(520)의 양측에 형성되고, 상기 덮개부(510)의 양측에서 내측으로 형성된 수용홈(512)에 일부가 삽입되어 상기 수용홈(512)을 지지하여 상기 덮개부(510)가 함몰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성이다. 여기서, 상기 제1 성형부(320)에는 상기 덮개부(510)에 수용홈(512)을 형성하기 위하여 양측에서 내측으로 함몰된 수용홈 형성부(324)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함몰 지지부 요철(334)은 측면(334a)에서 내측으로 함몰되게 단턱(334b)이 형성되고, 동일한 일측에서 한쌍이 나란히 형성되며, 상기 단턱(334b)이 서로 마주보지 않는 방향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함몰 지지부 요철(334)에 의해 형성된 상기 함몰 지지부(525)는 한쌍이 상기 수용홈(512)의 양측에 배치되며, 측면(525a)에서 내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된 단턱(525b)에 상기 수용홈(512)의 측면(513)이 지지되고, 상측 단부(525c)에 상기 수용홈(512)의 내주면(514)이 지지되게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성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펄프 몰드 성형장치(100)는 상대적으로 펄프 슬러리의 수용 면적이 넓은 제1 성형부(320)에 펄프 슬러리를 배출할 수 있는 슬러리 배출홀(340)을 형성하여 상대적으로 펄프 슬러리의 수용 면적이 작은 상기 제2 성형부(330)와 물이 배출되는 시간을 동일하게 최소 시간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전체 제조공정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00 : 펄프 몰드 성형장치
200 : 상부금형
300 : 하부금형
310 : 하부금형 몸체
320 : 제1 성형부
330 : 제2 성형부
340 : 슬러리 배출홀
350 : 홀 프레임
360 : 슬러리 배출홈
400 : 가이드 프레임

Claims (9)

  1. 물이 배출되도록 표면에는 미세 탈수공이 형성되고, 펄프 슬러리가 흡착되어 펄프 몰드가 형성되는 하부금형;
    상기 하부금형의 둘레를 따라 구비되고, 상기 펄프 몰드가 형성되는 구역을 한정하는 가이드 프레임; 및
    상기 하부금형과 형합되되 상기 가이드 프레임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펄프 몰드를 압착하는 상부금형;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금형은,
    하부금형 몸체;
    상기 하부금형 몸체의 일측에 형성된 제1 성형부;
    상기 하부금형 몸체의 타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성형부보다 적은 양의 펄프 슬러리가 수용되게 형성된 제2 성형부;
    상기 하부금형 몸체에서 관통 형성되고, 상기 제1 성형부와 연통되어 상기 제1 성형부에 수용된 펄프 슬러리를 배출하는 슬러리 배출홀; 및
    상기 슬러리 배출홀의 둘레에 구비되고, 펄프 슬러리가 부착되지 않도록 구비되어 펄프 몰드의 일 영역에 관통홀을 형성하는 홀 프레임;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펄프 몰드 성형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러리 배출홀은,
    상기 제2 성형부에서 물이 모두 배출되는 때에 상기 제1 성형부에서도 물이 모두 배출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펄프 몰드 성형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러리 배출홀은,
    상기 제1 성형부에서 상기 제2 성형부와 연결되는 제1 측면과 마주보는 제2 측면에서 바닥면에 근접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펄프 몰드 성형장치.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금형은,
    상기 제1 성형부의 상측 둘레에서 내측으로 함몰 형성되어 상기 제1 성형부에 수용된 펄프 슬러리를 배출하는 슬러리 배출홈;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펄프 몰드 성형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성형부는, 계란 포장 용기의 덮개부를 형성하도록 상측이 개방된 박스 형태로 구비되고,
    상기 제2 성형부는, 계란 포장 용기의 본체부와 체결부를 형성하도록 복수의 요철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펄프 몰드 성형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성형부는,
    중심 영역에서 돌출되고, 상기 가이드 프레임보다 높게 형성된 이동방지부 요철;
    상기 제1 성형부와 연결되는 부분에서 돌출되고, 상기 가이드 프레임보다 낮게 형성된 덮개부 지지부 요철;
    상기 본체부와 상기 체결부를 형성하는 경계에서 돌출되고, 상기 가이드 프레임보다 낮게 형성된 체결부 지지부 요철; 및
    양측 둘레에서 돌출되고, 상기 가이드 프레임보다 낮게 형성된 함몰 지지부 요철;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펄프 몰드 성형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함몰 지지부 요철은,
    측면에서 내측으로 함몰되게 단턱이 형성되고, 동일한 일측에서 한쌍이 나란히 형성되며, 상기 단턱이 서로 마주보지 않는 방향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펄프 몰드 성형장치.
KR1020220123877A 2022-09-29 2022-09-29 펄프 몰드 성형장치 KR1025601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3877A KR102560105B1 (ko) 2022-09-29 2022-09-29 펄프 몰드 성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3877A KR102560105B1 (ko) 2022-09-29 2022-09-29 펄프 몰드 성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60105B1 true KR102560105B1 (ko) 2023-07-26

Family

ID=874274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3877A KR102560105B1 (ko) 2022-09-29 2022-09-29 펄프 몰드 성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010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26099A (ja) * 1995-02-21 1996-09-03 Nippon Haipatsuku Kk パルプモールド用成形型
KR101463781B1 (ko) 2013-08-23 2014-11-21 주식회사 리싸이텍 계란포장용기의 제조방법
CN112853819A (zh) * 2021-01-07 2021-05-28 郭珍珍 一种纸浆模塑制品的无转移模具
KR20210131796A (ko) * 2020-04-24 2021-11-03 손지환 계란 포장 및 운반용 상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26099A (ja) * 1995-02-21 1996-09-03 Nippon Haipatsuku Kk パルプモールド用成形型
KR101463781B1 (ko) 2013-08-23 2014-11-21 주식회사 리싸이텍 계란포장용기의 제조방법
KR20210131796A (ko) * 2020-04-24 2021-11-03 손지환 계란 포장 및 운반용 상자
CN112853819A (zh) * 2021-01-07 2021-05-28 郭珍珍 一种纸浆模塑制品的无转移模具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356277A (en) Deep-drawn plastic film packaging
US4235338A (en) Unitary molded container lid and tray for article packaging
US3675808A (en) Knockdown foamed plastic shipping container
US20090057381A1 (en) Molded paper pulp pizza box
US20110132791A1 (en) Packaging unit
WO2010064899A1 (en) Moulded fiber lid
US20130313145A1 (en) Bottle shipping system
KR20090048482A (ko) 다량의 미리 적신 와이프를 담는 용기
US3297191A (en) Molded shipping container
GB2032886A (en) Packing Trays
KR102560105B1 (ko) 펄프 몰드 성형장치
US3153505A (en) Package construction
KR102401634B1 (ko) 펄프 몰드 성형장치
EP1773691B1 (en) Container for packaging foods
Wever et al. The history of molded fiber packaging; a 20th century pulp story
CN215514967U (zh) 蛋挞包装盒
CN208746680U (zh) 一种新型户外用防潮稳固减震纸箱
GB2595543A (en) Container or packaging for food and method of manufacture thereof
KR970002138Y1 (ko) 일회용 다용도 식품포장용기
KR102317915B1 (ko) 음식물 유출이 방지되는 도시락 용기
WO2024087505A1 (zh) 可替换粉盘
JP2001355199A (ja) 抄造容器
CN209097306U (zh) 用于运输玻璃盘的模塑装运箱
CA1095440A (en) Unitary molded container lid and tray for article packaging
CN212100149U (zh) 一种用于蛋白质粉的包装内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