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0045B1 - 컨슈머와 프로슈머간 전력거래가 가능한 블록체인을 이용한 전력거래시스템 - Google Patents

컨슈머와 프로슈머간 전력거래가 가능한 블록체인을 이용한 전력거래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0045B1
KR102560045B1 KR1020210142069A KR20210142069A KR102560045B1 KR 102560045 B1 KR102560045 B1 KR 102560045B1 KR 1020210142069 A KR1020210142069 A KR 1020210142069A KR 20210142069 A KR20210142069 A KR 20210142069A KR 102560045 B1 KR102560045 B1 KR 1025600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unit
prosumer
amount
uni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20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57839A (ko
Inventor
성백섭
Original Assignee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1420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0045B1/ko
Publication of KR202300578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578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00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00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nergy or water suppl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4Forecasting or optimisation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or management purposes, e.g. linear programming or "cutting stock proble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3Resource planning in a project environ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22Payment schemes or models
    • G06Q20/28Pre-payment schemes, e.g. "pay befor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13Third-party assisted
    • G06Q30/0619Neutral ag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8Au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97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for distributed storage of data in networks, e.g. transport arrangements for network file system [NFS], storage area networks [SAN] or network attached storage [NA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50/00Market activiti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or related to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 Y04S50/12Billing, invoicing, buying or selling transactions or other related activities, e.g. cost or usage evalua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rketing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컨슈머와 프로슈머간 전력거래가 가능한 블록체인을 이용한 전력거래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블록체인을 이용하여 컨슈머와 프로슈머간 분산된 형태의 전력거래가 가능한 블록체인을 이용한 전력거래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컨슈머와 프로슈머간 전력거래가 가능한 블록체인을 이용한 전력거래시스템은 블록체인을 통해 전력을 필요로 하는 다수의 프로슈머부 또는 컨슈머부들과,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프로슈머부 간 연결이루어지므로, 투명하고 안전한 전력거래가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컨슈머와 프로슈머간 전력거래가 가능한 블록체인을 이용한 전력거래시스템은 전력을 필요로 하는 다수의 프로슈머부 또는 컨슈머부들의 선불결제한 전력량 중 잔여전력량 정보와 각 전력소비패턴을 통해 선불결제한 전력량 소진 예상일을 각각 예측하고 선불 재결제 정보를 전달하여 발전부의 발전량을 조절함으로써, 전력을 안정적으로 공급하면서도 발전부의 불필요한 발전을 줄일 수 있어 발전 효율 및 전력공급효율이 향상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컨슈머와 프로슈머간 전력거래가 가능한 블록체인을 이용한 전력거래시스템{Power transaction system using blockchain}
본 발명은 컨슈머와 프로슈머간 전력거래가 가능한 블록체인을 이용한 전력거래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블록체인을 이용하여 컨슈머와 프로슈머간 분산된 형태의 전력거래가 가능한 블록체인을 이용한 전력거래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전력 시스템은 전력생산자와 소비자의 정보교환 시스템의 부재로 수요와 공급에 대한 효율적인 관리가 불가능하다. 기존의 전력관리 방식은 전력생산자와 소비자가 구분되어 있고 전력에너지를 저장하기 위한 기술에 한계가 있기 때문에 생산과 동시에 소비가 이루어져야 하는 특징이 있다. 전력생산자와 소비자가 구분되어있는 단 방향(One way) 구조에서는 전력 수요에 대해 민감하게 반응할 수 없으므로 현재 수요량보다 많은 양을 생산해야 한다.
또한 전력 수요가 집중되는 최대(Peak)부하를 감당하기 위해 여분의 발전시설을 구축해야 하며, 최대부하가 아닌 경우 낭비로 이어지게 된다.
이러한 낭비를 해결하기 위해 스마트 그리드가 도입되고 있는 추세이다. 스마트 그리드는 전기 생산, 유통, 소비 과정에 정보통신기술(ICT)를 융합하여 전력공급자와 소비자가 양방향으로 실시간 전력 정보를 교환을 통해 효율적 전력 운용이 가능한 차세대 지능형 전력망이다. 스마트그리드가 등장하면서 고전적인 전력관리 방식보다 에너지의 낭비를 줄일 수 있었지만 중앙관리가 필수적이다.
최근 효율적인 전력관리를 위해 공급자와 소비자가 나뉜 단 방향 구성에서 소비자가 공급자가 될 수 있는 프로슈머(Prosumer)의 개념이 포함된 마이크로그리드(Microgrid) 환경이 등장한다. 마이크로그리드 환경에서 사용자는 전력을 생산하고 필요에 의해 전력을 판매할 수 있으며, 또한 다른 사용자가 생산한 전력을 구매할 수 있다.
한편, 블록체인은 분산 네트워크 환경에서 신뢰할 수 있는 데이터 공유 기술로 각광받고 있다. 최초의 블록체인은 2009년 사토시 나카모토(Satoshi Nakamoto)의 논문에서 Bitcoin 암호화폐 거래를 실현시킬 수 있는 기술로 제안되었다. 1 세대 블록체인 기술은 암호화폐(Cryptocurrency) 거래를 실현하기 위한 분산원장기술(DLT, Distribution Ledger Technology)로 발전하였다. 2세대에서 들어서면서 분산 네트워크 환경에서도 신뢰할 수 있는 코드실행 기술인 스마트 컨트랙트가 도입 되었다. 이를 통해 다양한 조건을 갖는 계약이 중앙 시스템이나 인간의 개입이 없이 실행되어 신뢰할 수 없는 개체가 스마트 컨트랙트를 신뢰하여 계약이 진행될 수 있도록 보장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48896호 : 블록체인을 이용한 선불형 전력 판매 및 전력 사용 방법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SG(SmartGrid), MG(Micro Grid) 등의 다양한 소규모 전력 환경과 전력 계통 상황에서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해 안정적으로 참여자간 전력거래를 수행할 수 있는 컨슈머와 프로슈머간 전력거래가 가능한 블록체인을 이용한 전력거래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컨슈머와 프로슈머간 전력거래가 가능한 블록체인을 이용한 전력거래시스템은 전력을 생산할 수 있는 발전부와, 상기 발전부에서 생산되거나 구매한 전력이 저장되는 에너지저장부와, 전력을 거래하는 제1스마트미터를 포함하며, 전력을 판매하거나 구매할 수 있도록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노드로 참여하는 다수의 프로슈머부와;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노드로 참여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프로슈머부로부터 전력을 구매할 수 있으며 상기 프로슈머부로부터 구매한 전력량이 모두 소진되면 상기 프로슈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할 수 있는 제2스마트미터를 포함하는 다수의 컨슈머부와;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노드로 참여하여 다수의 상기 프로슈머부와 상기 컨슈머부와 연결되며 상기 제1 및 제2스마트 미터에서 전력구매를 위한 선불결제정보나 전력판매 정보, 상기 발전부의 발전량 및 상기 에너지저장부의 전력저장량 정보가 저장되어,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다수의 상기 프로슈머부와 상기 컨슈머부에게 공급되어야 될 총필요전력량을 산출하여 산출된 정보를 다수의 상기 프로슈머부들에 전달하는 관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프로슈머부는 상기 관리부로부터 생산되어야 될 상기 총필요전력량이 산출된 상기 정보가 전달되면, 상기 제1스마트미터를 통해 발전하고자 하는 예상발전량을 상기 관리부로 전달하고, 상기 관리부는 각 상기 프로슈머부들로부터 전달된 총 예상발전량을 산출하고 상기 총필요전력량과 비교하여, 부족 발전량 또는 과잉 발전량 정보를 상기 프로슈머부들에게 전달하며, 상기 제1스마트미터는 상기 관리부로부터 상기 부족 발전량 또는 과잉발전량정보와, 다른 상기 프로슈머부의 예상발전량 정보를 전달 받아 상기 발전부의 발전량을 제어하며, 다른 상기 프로슈머부 또는 상기 컨슈머부로 전력공급 후 남은 잉여전력은 상기 에너지저장부로 저장되게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스마트미터는 상기 컨슈머부의 일정기간 또는 시간단위별 전력소비량을 저장 및 분석하여 선불결제한 전력량 예산소진일을 산출하여 상기 관리부와 상기 프로슈머부에 전달하며, 상기 관리부는 상기 제2스마트미터로부터 선불결제정보와, 선불결제한 전력량 중 잔여전력량과 예상소진일, 선불로 재결제한 정보를 전달받아 일정기간동안 상기 컨슈머부에 필요한 전력량에 대응되는 전력을 저장하고 있거나 발전할 수 있는 상기 프로슈머부를 매칭시켜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스마트미터는 공급될 잔여전력량을 판단하여 상기 컨슈머부의 전력을 소모하는 부하들 중 전력소비가 큰 부하부터 전력을 차단하거나, 사용빈도수가 낮은 부하부터 전력을 차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관리부는 일정기간 동안 어느 하나의 상기 컨슈머부에서 필요로하는 전력량보다 어느 하나의 상기 컨슈머부와 거래된 어느 하나의 상기 프로슈머부에서 일정기간동안 공급할 수 있는 전력량이 부족한 것으로 판단되면, 부족한 전력량을 공급할 수 있는 다른 상기 컨슈머부와 어느 하나의 상기 컨슈머부를 매칭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및 제2스마트 미터는 전력단가, 일정기간 내 공급해야될 전력량을 포함하는 거래조건과 거래 실행코드가 정의된 스마트 컨트랙트를 실행하여 거래를 개시하거나 상기 거래조건을 확인하고 실행하여 입찰을 시도하며, 상기 관리부는 스마트 컨트랙트를 포함하는 트랜잭션을 블록체인에 추가하는 합의 알고리즘을 수행하고 상기 블록체인 네크워크를 동작시키고, 일정 기간동안 각 상기 프로슈머부 및 상기 컨슈머부들의 일일 또는 주간 평균소비전력값을 각각 산출하며, 전력을 판매하는 상기 프로슈머부의 상기 제1스마트 미터는 전력을 구매하는 복수의 상기 프로슈머부 또는 상기 컨슈머부들이 동시에 입찰 시, 상기 관리부로부터 입찰한 복수의 상기 프로슈머부 또는 상기 컨슈머부들의 일정기간 일일 또는 주간 평균소비전력값 정보를 전달 받아, 일일 또는 주간 소비전력값이 항상 상기 일일 또는 주간 평균소비전력값의 오차범위 10% 아래인 상기 컨슈머부 또는 상기 프로슈머부와 거래하도록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컨슈머와 프로슈머간 전력거래가 가능한 블록체인을 이용한 전력거래시스템은 블록체인을 통해 전력을 필요로 하는 다수의 프로슈머부 또는 컨슈머부들과,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프로슈머부 간 연결이루어지므로, 투명하고 안전한 전력거래가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컨슈머와 프로슈머간 전력거래가 가능한 블록체인을 이용한 전력거래시스템은 전력을 필요로 하는 다수의 프로슈머부 또는 컨슈머부들의 선불결제한 전력량 중 잔여전력량 정보와 각 전력소비패턴을 통해 선불결제한 전력량 소진 예상일을 각각 예측하고 선불 재결제 정보를 전달하여 발전부의 발전량을 조절함으로써, 전력을 안정적으로 공급하면서도 발전부의 불필요한 발전을 줄일 수 있어 발전 효율 및 전력공급효율이 향상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컨슈머와 프로슈머간 전력거래가 가능한 블록체인을 이용한 전력거래시스템의 네트워크 환경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블록체인을 이용한 전력거래시스템에 대한 일부 블록도이고,
도 3은 도 1의 블록체인을 이용한 전력거래시스템의 제1 및 제2스마트미터에 대한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컨슈머와 프로슈머간 전력거래가 가능한 블록체인을 이용한 전력거래시스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컨슈머와 프로슈머간 전력거래가 가능한 블록체인을 이용한 전력거래시스템(1)이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컨슈머와 프로슈머간 전력거래가 가능한 블록체인을 이용한 전력거래시스템(1)은 전력을 생산할 수 있는 발전부(21)와, 발전부(21)에서 생산되거나 구매한 전력이 저장되는 에너지저장부(26)와, 전력을 거래하는 제1스마트미터(11)를 포함하며, 블록체인 네트워크(N)를 구성하는 노드로 참여하는 다수의 프로슈머부(10)와; 프로슈머 부(10)와 함께 블록체인 네트워크(N)를 구성하는 노드로 참여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슈머부(10)로부터 전력을 구매할 수 있으며 구매한 프로슈머부(10)로부터 구매한 전력량이 모두 소진되면 프로슈머부(10)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할 수 있는 제2스마트미터(51)를 포함하는 다수의 컨슈머부(50)와; 다수의 프로슈머부(10)와 컨슈머부(50)와 연결되어 제1 및 제2스마트 미터(11,51)에서 전력구매를 위한 선불결제정보나 전력판매 정보, 발전부(21)의 발전량 및 에너지저장부(26)의 전력저장량 정보가 저장되어, 블록체인 네트워크(N)를 통해 연결된 다수의 프로슈머부(10)와 컨슈머부(50)에게 공급되어야 될 총필요전력량을 산출하여 산출된 정보를 다수의 프로슈머부(10)들에 전달하는 관리부(100);를 구비한다.
발전부(21)는 구체적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태양전지모듈(미도시)을 이용한 태양광발전장치가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풍력발전 및 소수력발전 등이 적용될 수 있다.
에너지저장부(26)는 일반적인 에너지저장시스템으로서, 발전부(21)에서 생산된 전력이 저장될 수 있다.
제1스마트미터(11)는 에너지저장부(26)와 연동하여 발전부(21)의 생산 전력량과, 후술되는 컨슈머부(50)에서 선불 결제한 전력량 중 공급한 전력량, 잉여전력량 및 필요한 전력량 등을 측정하여 저장하며, 전력을 거래할 수 있다.
제1스마트미터(11)는 블록체인 네크워크를 통해 다른 프로슈머부의 제1스마트미터(11)와 컨슈머부(50)의 제2스마트미터(51)와 연결될 수 있다.
제1스마트미터(11)와 후술되는 제2스마트미터(51)는 CPU와 메모리를 포함하는 다양한 종류의 마이크로 콘트롤러, 마이크로 콘트롤러가 포함된 모듈이나 회로, 아두이노, 라즈베리파이, 윈도우/리눅스/아이오에스/안드로이드 기반 모듈이나 제어 장치, 각종 RTOS(Real Time Operating System)가 포함된 모듈이나 제어 장치, 미니 PC, 노트북, 타블렛, 서버, 클라우드 장치를 포함하는 다양한 종류의 하드웨어 장치와 그에 구현된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들 중 하나 혹은 복수가 연동하는 방식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제1스마트미터(11)와 제2스마트미터(51)는 블록체인 기반 P2P 전력거래용 프로그램(혹은 하드웨어)이 설치되어 동착할 수 있으며, 블록체인에 따른 공유원장을 저장할 저장부가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블록체인 기반 P2P 전력 거래용 프로그램(혹은 하드웨어)은 거래에 따른 에너지 토큰(해당 블록 체인에서 거래에 사용하는 다양한 종류의 화페를 통칭)을 전자 지갑을 기반으로 관리할 수 있다
제1스마트미터(11)와 제2스마트미터(51)는 다양한 근거리나 광대역 통신을 통해서 각 사용자 단말(미도시)과 연동될 수 있으므로, 이러한 사용자 단말에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노드가 구성될 수도 있으나, 제1스마트미터(11) 또는 제2스마트미터(51)와 연동하는 사용자 단말은 노드로 포괄될 수 있으며, 논리적으로는 제1스마트미터(11) 또는 제2스마트미터(51)의 일부로 간주될 수도 있다.
한편, 블록체인 네트워크(N)의 노드로 참여하는 프로슈머부(10), 컨슈머부(50)는 발생되는 거래 처리 요청에 응답하여 해당 거래의 유효성을 검증하고,검증된 거래를 신규 블록에 기록하며, 블록체인 네트워크(N) 상에 전파한다. 여기서, 거래는 블록체인 네트워크(N) 상에서 발생되는 다양한 형태의 정보를 처리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프로슈머부(10)와 컨슈머부(50)는 동일한 블록체인 데이터를 유지한다. 이러한 블록체인 네트워크(N)는 퍼미션 기반 블록체인 네트워크로 구현될 수도 있다. 즉, 블록체인 네트워크(N)는 퍼미션이 검증된 참여자(예, 사용자, 노드)만이 참여할 수 있는 제한된 네트워크일 수 있으며, 이 경우 불특정 노드의 참여 및 허가되지 않은 사용자의 거래 요청은 제한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프로슈머부(10), 컨슈머부(50) 그리고 관리부(100)는 물리적 서버 장치가 적용될 수 있으며, 또는 서비스 제공자들이 제공하는 물리적 서버 장치에서 운영되는 논리적 노드로서, 네트워크를 통해 운영될 수도 있다.
프로슈머부(10)의 제1스마트미터(11), 컨슈머부(50)의 제2스마트미터(51) 그리고 후술되는 관리부(100)의 토큰관리서버 및 전력관리서버는 각각, 블록체인 네트워크(N) 상에서 이루어지는 거래 요청에 대한 유효성을 검증하는 합의 주체로서 동작할 수 있으며,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해분산 합의된, 전부 또는 일부의 블록을 저장하는 분산원장인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Blockchain Database)를 포함한다. 즉,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해 전파된 다른 노드의 데이터 블록을 저장한다.
한편, 프로슈머 노드(10)의 제1스마트미터(11)와 컨슈머 노드(50)의 제2스마트미터(51)는 통신부(12)(52), 인터페이스(14)(54), 프로세서(13)(53), 메모리(15)(55)를 각각 포함한다.
통신부(12)(52)는 제1스마트미터(11) 또는 제2스마트미터(51)가 생성한 블록을 블록체인 네트워크(N)를 통해 다른 노드들에 제공한다. 통신부(12)(52)는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다른 노드들로부터 블록 또는 정보를 수신하며, 또한, 다른 노드들에 제공한 블록에 대한 인증 정보를 수신한다.
또한, 제1스마트미터(11)의 통신부(12)는 다른 프로슈머부(10)의 제1스마트미터(11)에 속하는 통신부(12)로부터 다른 프로슈머부(10)의 발전부(21)에서 생산되는 전력 발전량 정보와 에너지저장부(26)에 저장된 잉여전력량 정보를 포함하는 전력량 정보를 수신하거나, 제2스마트미터(51)의 통신부(52)로부터 컨슈머부(50)의 선불결제정보, 선불결제한 전력량 중 소비 전력량이나 상기 소비 전력량을 뺀 잔여전력량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를 위에, 통신부(12)(52)는 구체적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블록체인 네트워크(N)와 통신하는 통신 모듈을 포함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14)(54)는 전력 거래를 하고자 하는 참여자(프로슈머부 또는 컨슈머부) 또는 참여자의 단말(도면 미도시)로부터 전송되는 거래 조건 정보를 수신한다.
거래 조건 정보는 전력 거래를 위한 조건에 관련된 정보이다. 전력거래를 위한 조건은, 전력을 구매하고자 하는 참여자가 단말을 통해 입력한 전력단가와 구매하고자 하는 전력량과, 전력을 판매하고자 하는 참여자가 단말을 통해 입력한 전력단가와 공급가능 전력량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전력 거래를 위한 조건은, 프로슈머부에 잉여 에너지가 발생한 경우에 발생된 잉여 에너지를 판매하는 것으로 설정된 조건 정보, 프로슈머부나 컨슈머부에 전력 부족 공급 상태가 발생한 경우에는 부족한 전력만큼을 구매하는 것으로 설정된 조건 정보, 또는, 프로슈머부에서 전력 소비량이 전력 생산량의 80%~100% 이내에 해당하는 경우, 전력 소비량의 30%의 전력을 구매하는 것으로 설정된 조건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거래 조건 정보는 통신부(13)(53)를 통해 블록체인 네트워크(N) 상의 다른 노드로부터 수신될 수도있으며,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될 수도 있다. 여기서는 전력 거래를 하고자 하는 참여자가 인터페이스(13)(53)를 통해 제공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및 제2스마트 미터(11)(51)는 전력단가, 일정기간 내 공급해야될 전력량을 포함하는 거래조건과 거래 실행코드가 정의된 스마트 컨트랙트를 실행하여 거래를 개시하거나 거래조건을 확인하고 실행하여 거래조건을 충족하는 프로슈머부(10)의 제1스마트미터(11)와 입찰을 시도한다.
프로세서(13)(53)는 통신부(11)를 통해 수신된 전력량 정보를 토대로 전력 프로파일 정보를 생성하고, 또한, 인터페이스(14)(54)를 통해 입력받은 전력 거래를 위한 조건을 토대로 거래 프로파일 정보를 생성하고, 전력 프로파일 정보 및/또는 거래 프로파일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 블록을 생성한다.
프로세서(13)(53)의 전력 프로파일 정보는 발전부의 생산전력량, 프로슈머부나 컨슈머부의 소비전력량, 그리고 에너지저장장치의 잉여전력량을 포함하며, 식별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식별 정보는 전력 측정 장치의 식별 정보일 수 있으며, 또는 참여자의 식별 정보일 수도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전력 프로파일 정보를 토대로 현재 프로슈머부(10)의 전력 공급 상태의 과부족 상태 즉, 전력부족 상태인지 또는 잉여 에너지 발생 상태인지를 알 수 있다.
거래 프로파일 정보는 전력 거래를 위한 조건을 포함하며, 식별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식별 정보는 제1 또는 제2스마트미터의 식별 정보일 수 있으며, 또는 참여자의 식별 정보일 수도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프로세서(13)(53)는 전력 프로파일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 블록을 생성하며, 또한, 거래 프로파일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 블록을 생성한다. 여기서는 전력 프로파일 정보와 거래 프로파일 정보를 각각 포함하는 데이터 블록을 개별적으로 생성하는 것을 예로 들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여기서 데이터 블록의 형태나 포함된 정보의 유형을 어느 하나의 형태로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프로세서(13)(53)가 데이터 블록을 생성하는 방법도 다양하게 수행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한정하지 않는다.
전력 프로파일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 블록을 설명의 편의상 "전력 데이터 블록"이라고 명명하고, 거래 프로파일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 블록을 설명의 편의상 "거래 데이터 블록"이라고 명명한다.
거래 프로파일 정보는 조건에 부합하면 계약이 이행되는 스마트 컨트랙트(Smart contract)를 위한 코드 즉, 스마트 컨트랙트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스마트컨트랙트 코드는 이벤트가 발생하면 해당 거래를 실행하라는 코드이다. 거래 프로파일 정보를 데이터 블록에 저장하고 실행하게 되면, 해당 스마트 계약에 대한 계약 계정(contract account)의 일종인 계약 계정의 주소가 생성되어 데이터 블록에 저장될 수 있다. 이 주소를 통해 스마트 컨트랙트에 접근할 수 있다.
이러한 스마트 컨트랙트 코드를 가지는 데이터 블록이 분산원장에 기재되면, 블록체인 네트워크(N) 상의 모든 노드는 해당 스마트 컨트랙트를 실행시킬 수 있다. 하나의 노드가 스마트 컨트랙트의 내용을 변경시키는 경우(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한 분산 합의 후 변경될 수 있음) 다른 노드가 해당 주소의 스마트 컨트랙트로 접근하면 변경된 내용을 얻게 된다.
또한, 프로세서(13)(53)는 통신부(12)(52)를 통해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다른 노드들로부터 데이터 블록이 수신되면, 해당 데이터 블록에 포함된 검증 코드와 직접 생성한 검증 코드의 일치 여부에 따라 인증 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통신부(11)를 통해 블록체인 네트워크 상의 다른 노드들로 전파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3)(53)는 통신부(12)(52)를 통해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설정값(예를 들어, 전체 노드의 과반수) 이상의 노드들로부터 일치한다는 인증 정보를 수신한 경우, 해당 데이터 블록을 메모리(15)(55)에 저장한다.
이와 같이, 참여자간 상호 검증에 기반하여 데이터 블록이 분산 원장에 저장되도록 함으로서, 중앙 집중화된 운영 장치 없이, 참여자간의 거래를 통해 공정한 시장 경제가 가능해질 수 있다.
메모리(15)(55)는 분산 원장인 데이터 블록을 저장 및 관리한다. 메모리(15)(55)는 전체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해 분산 합의된, 전부 또는 일부의 블록을 저장하는 블록 체인 데이터베이스로 기능할 수 있다. 즉,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해 전파된 다른 노드의 데이터 블록을 저장한다. 데이터 블록은 발생 순서에 따라 앞선 데이터 블록과의 연결 관계를 가지는 링크드 리스트(Linked list)의 데이터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그 내부 구조는 계층적 구조를 트리(tree)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전력 거래 데이터 블록은 헤더와 바디로 구성될 수 있으며, 헤더는 앞 블록 헤더의 해시(hash) 값, 논스(nonce), 타임스탬프 등을 포함하며, 바디는 전력 프로파일 정보 또는 거래 프로파일 정보를 포함한다.
전력량 프로파일 정보나 거래 프로파일 정보에 변동사항이 발생하는 경우, 변경된 내용에 대한 새로운 데이터 블록을 생성하여 기존 데이터 블록과 연결시킬 수 있다. 이러한 데이터블록들을 블록체인 데이터라고 명명한다.
메모리(15)는 전력 데이터 블록들을 포함하는 제1 블록체인 데이터와, 거래 데이터 블록들을 포함하는 제2블록체인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1스마트미터(11)의 프로세서(13)는 메모리(15)에 저장되는 전력 데이터 블록을 토대로, 잉여 에너지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잉여 에너지가 발생한 경우 전력 공급이 부족한 다른 프로슈머부(10)나 컨슈머부(50), 즉 참여자를 확인하고, 전력 거래를 수행한다. 또는 제1스마트미터(11)의 프로세서(13)는 전력 공급 부족이 발생한 경우, 잉여 에너지를 보유한 다른 프로슈머부(10)를 확인하고 전력 거래를 수행한다.
제2스마트미터(51)의 프로세서(53)는 메모리(55)에 저장되는 전력 데이터 블록을 토대로, 선불결제한 전력량 중 잔여전력량 정보와 일정기간 동안 또는 시간단위별 전력소비량 정보를 분석하여 선불결제한 전력량 예산소진일을 산출하고, 선불 재결제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잉여 에너지를 보유한 다른 프로슈머부(10)를 확인하고 전력 거래를 수행할 수 있다. 제2스마트미터(51)의 프로세서(53)는 선불결제한 전력량 중 잔여전력량이 20%이하일 때, 선불재결제가 필요하다고 판단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또는 제1스마트미터(11)의 프로세서(13)는 전력 공급 부족이 발생한 경우, 잉여 에너지를 보유한 다른 프로슈머부(10)를 확인하고 전력 거래를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참여자들의 거래 데이터 블록의 거래 프로파일 정보의 비교를 통해 매칭되는 참여자들을 찾아서 전력 거래를 체결한다. 프로세서(13)(53)는 전력 거래가 체결되면, 거래 체결에 따른 거래 처리 요청 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개인키로 서명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해 전파한다. 즉, 프로세서(13)는 거래 처리 요청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 블록을 생성하고 이를 통신부(11)를 통해 블록체인 네트워크 상에 전파한다. 거래 처리요청 정보는 전력 거래를 체결한 참여자들에 대한 식별 정보(또는 참여자들의 전자 지갑 주소), 거래 체결된 전력량을 포함하며, 거래 금액을 포함한다. 거래 처리 요청 정보는 거래 데이터 블록에 추가되거나 새로운 데이터블록에 포함되어 전파될 수 있다. 한편, 전력 거래 체결에 따른 정보가 인터페이스(14)(54)를 통해 참여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스마트미터(11)(51)는 전자 지갑(16)(56)을 포함한다. 전자 지갑(16)(56)에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관리부의 토큰 관리 서버(미도시)에 의해 발행되어 제공받은 에너지 토큰이 저장되어 관리될 수 있으며, 별도의 식별 정보(예를 들어, 주소)가 부여될 수 있으며, 공개키와 이에 대응하는 비밀키를 이용하여 전자 지갑의 에너지 토큰이 입금되거나 출금될 수 있다. 에너지 토큰은 발전부에 의해 생산된 전력량을 기반으로 토큰 관리서버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참여자의 발전부가 생산한 전력량을 기준으로 소정의 에너지 토큰이 발행될 수 있다. 또는 참여자는 토큰관리서버를 통해 에너지 토큰을 구매하는 방식을 통해 에너지 토큰을 획득할 수도 있다. 에너지 토큰은 전력 거래뿐만 아니라, 전기 요금 납부, 전기차 충전소에서의 지급 결제를 위한 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또한 현금으로 환급될 수도 있다.
이러한 에너지 토큰을 보유하는 전자 지갑(16)(56)은 금융권을 통해 계좌를 설치하는 단계에서 본인 확인 과정을 연계하는 것에 의해 설치되고, 설치와 동시에 가상 계좌가 전자 지갑(16)(56)에 내장되어 운영될 수도 있다
제1 또는 제2스마트미터(11)(51)에 의해 측정되는 전력량 정보를 토대로 전력 프로파일 정보를 생성하고, 또한, 거래 체결을 위한 거래 프로파일 정보를 생성하여 메모리에 저장한다. 제1 또는 제2스마트미터(11)(51)는 메모리에 저장된 전력 프로파일 정보와 거래 프로파일 정보를 토대로, 프로슈머와 소비자 사이의 전력 거래를 수행한다.
관리부(100)는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블록체인 네트워크(N)의 노드로 참여하는데, 블록체인 네트워크(200)와 연동하여 에너지 토큰의 발행 및 관리 그리고 에너지 토큰을 위한 거래 결제를 수행하는 컴퓨팅 장치인 토큰관리서버와, 전기 생산 및 수요 관리를 수행하는 컴퓨팅 장치인 전력 관리 서버와, 블록체인 네트워크로 프로슈머부와 컨슈머부의 데이터블록 정보, 데이터블록에 대한 인증정보 및 전력량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전력관리서버는 기존 한국 전력 공사에서 보유한 서버일 수 있으며, 또는 별도로 구축한 서버일 수 있다. 컴퓨팅 장치는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탑(laptop) 등이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프로세서 및 통신 수단을 구비한 모든 종류의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전력관리서버는 통상적인 컴퓨터로 구축될 수 있는데, 제1 및 제2스마트미터(11)(51)의 고유식별정보와, 고유식별정보와 매칭되는 인증코드정보와, 참여자의 사용자 단말기 정보, 컨슈머부 또는 프로슈머부의 선불결제 정보, 선불결제한 컨슈머부 또는 프로슈머부의 실시간 전력사용량 및 잔여 전력량 정보와, 선불 결제 전력량 예상 소진일 정보가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미도시)와, 다수의 프로슈머부와 컨슈머부와 연결되며 제1 및 제2스마트 미터(11)(51)에서 전력구매를 위한 선불결제정보나 전력판매 정보, 발전부(21)의 발전량 및 에너지저장부(26)의 전력저장량 정보가 저장되어, 블록체인 네트워크(N)를 통해 연결된 다수의 프로슈머부(10)와 컨슈머부(50)에게 공급되어야 될 총필요전력량을 산출하여 산출된 정보를 다수의 프로슈머부(50)들에 전달하는 전력관리제어부(미도시)를 구비한다.
한편, 토큰 관리 서버는 제1 및 제2스마트미터(11)(51), 및 전력 관리 서버와 함께 블록체인 네트워크(N)와 연동하도록 구성되고, 즉, 블록체인 네트워크(N)를 구성하는 하나의 노드로 동작하도록 각각 구현된다. 그리고 토큰관리서버는 참여자들에게 에너지 토큰을 발행하고 이를 참여자별 계좌를 통해 관리한다. 또한, 토큰 관리 서버는 프로슈머와 소비자 사이의 전력 거래에 따른 결제를 수행한다. 예를 들어, 거래되는 전력량에 대응하는 에너지 토큰을 소비자의 계좌에서 프로슈머의 계좌로 이체할 수 있다.
토큰 관리 서버는 전력 거래를 위한 에너지 토큰을 발행하고 관리한다. 토큰 관리 서버는 블록 체인 네트워크(N)를 통해 전력 프로파일 정보 및 거래 프로파일 정보를 공유할 수 있다. 이러한 토큰 관리 서버도 통신부, 프로세서, 메모리 및/또는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토큰 관리 서버는 제 1 또는 제2스마트미터(11,51)로부터 전달되는 에너지 토큰 충전 요청 또는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되는 에너지 토큰 충전 요청에 따라 에너지 토큰을 발행하여 해당 제 1 또는 제2스마트미터(11,51)의 전자 지갑(16,56)에 저장하거나(예를 들어, 계좌의 원화를 토대로 에너지 토큰 발행하여 충전), 참여자가 생산한 전력량에 따라 에너지 토큰을 발행하여 해당 참여자의 제 1 또는 제2스마트미터(11,51)의 전자 지갑(16,56)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토큰 관리 서버는 제 1 또는 제2스마트미터(11,51)부터 전달되는 거래 처리 요청에 포함된 전력 거래를 체결한 참여자들에 대한 식별 정보, 거래 체결된 전력량, 거래 금액을 기반으로, 거래 금액에 해당하는 에너지 토큰을 잉여 에너지를 보유한 참여자의 전자 지갑에서 전력 공급 부족 상태인 참여자의 전자 지갑으로 이체 처리할 수 있다.
여기서 이체 처리는 잉여 에너지를 보유한 참여자의 전자 지갑의 에너지 토큰의 값을 이체되는 금액만큼 차감하고, 전력 공급 부족 상태인 참여자의 전자 지갑의 에너지 토큰의 값을 이체받은 금액만큼 증가하는 처리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프로슈머부(10)는 관리부로부터 생산되어야 될 상기 총필요전력량(A)이 산출된 정보가 전달되면, 제1스마트미터(11)를 통해 일일 또는 일정기간동안 발전하고자 하는 예상발전량을 관리부(100)의 전력관리서버로 전달한다.
관리부(100)의 전력관리서버는 각 프로슈머부(10)들로부터 전달된 총 예상발전량(B)을 산출하고 총필요전력량(A)과 비교하여, 부족 발전량(C) 또는 과잉 발전량(D) 정보를 프로슈머부(10)들에게 전달한다. 그리고, 제1스마트미터(11)는 관리부(100)의 전력관리서버로부터 부족 발전량(C) 또는 과잉 발전량(D) 정보와, 다른 프로슈머부(10)의 예상발전량(B') 정보를 전달 받아 발전부(21)의 발전량을 늘리거나 감소되게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1스마트미터(11)는 다른 프로슈머부(10) 또는 컨슈머부(50)로 전력공급 후 남은 잉여전력은 에너지저장부(26)로 저장되게 제어한다.
그리고,제2스마트미터(51)는 메모리(55)에 컨슈머부(50)의 일정기간 또는 시간단위별 전력소비량을 저장 및 분석하여 선불결제한 전력량 예산소진일을 산출하여 관리부(100)의 전력관리서버와 프로슈머부(10)의 제1스마트미터(11)에 전달한다.
제1 및 제2스마트미터(11)(51)는 참여자의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참여자가 결제한 소정의 전기요금에 대응되는 전력량 정보가 전달되어 메모리(15)(55)에 저장되며, 선불결제한 전력량 만큼의 전력을 공급하고 선불결제한 전력량이 모두 사용되면 전력공급을 중단시킬 수 있다.
제1 및 제2스마트미터(11)(51)의 프로세서(13)(53)는 연결된 부하(31)(61)들의 실시간 각 전력사용량 정보와 잔여전력량정보를 메모리(15)(55)에 저장하며, 통신부(12)(52)를 통해 관리부(100)의 전력관리서버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스마트미터(11)(51)의 프로세서(13)(53)는 단위시간과 1일의 부하(31)(61)들이 총 전력사용량 정보를 메모리(15)(55)에 저장하고, 전력사용량 패턴을 분석하여 선불결제 전력량 예상 소진일을 산출할 수 있다. 예로, 일주일간 일일 메모리(15)(55)들의 총 전력사용량 정보를 분석하여, 일일 부하(31)(61)들의 평균전력사용량을 산출하여 선불결제 전력량 중 잔여 전력량과 비교하여 선불결제 전력량 예상 소진일을 산출할 수 있다. 프로세서(13)(53)는 선불결제 전력량 예상 소진일 정보를 통신부(12)(52)를 통해 관리부(100)의 전력관리서버로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3)(53)는 선불결제 전력량 예상 소진일에 대한 1일 전 또는 6시간 전 등 설정된 시간 전에, 프로슈머부(10) 또는 컨슈머부(50)에 마련된 알림부(미도시)가 구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3)(53)는 잔여전력량을 판단하여, 선불결제한 전력량 모두 소진 전, 다수의 부하(31)(61)들에 개별 연결된 스위치(32)(62)들을 이용하여 프로슈머부(10) 또는 컨슈머부(50)의 전력을 소모하는 부하(31)(61)들 중 전력소비가 큰 부하부터 전력을 차단하거나, 사용빈도수가 낮은 부하부터 전력을 차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3)(53)는 선불결제 전력량 예상 소진일 1일 전 또는 6시간 전 등 설정된 시간 전에, 가장 전력소모가 큰 부하에 연결된 스위치(32)(62)를 열거나, 사용빈도수가 가장 낮은 부하에 연결된 스위치(32)(62)를 열어 선불결제 전력량 예상 소진일이 연장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그리고, 전력을 판매할 수 있는 프로슈머부(10)의 제1스마트미터(11)와 전력관리서버는 블록체인 데이터를 통해, 전력을 필요로 하는 프로슈머부(10) 또는 컨슈머부(50)의 선불결제 전력향의 예상소진일 정보를 수신하거나 산출할 수있다.
한편, 프로슈머부(10)의 제1스마트미터(11)는 관리부(100)의 전력관리서버 또는 컨슈머부(50)로부터 메모리(15)에 총필요전력량 정보가 수신되면 발전부(21)와 에너지저장부(26)에서 충당할 수 있는지 판단하고, 총필요전력량 충당이 부족할 경우, 부족한 발전량 정보를 관리부(100)의 전력관리서버 또는 컨슈머부(50)로 전달한다.
프로슈머부(10)와 컨슈머부(50)는 참여자들간 거래프로 파일정보를 비교를 통해 매칭여부를 판단하고, 매칭이 되는 경우에 전력 거래를 수행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프로슈머부(10)와 컨슈머부(50) 간 매칭이 이루어지기 전, 관리부(100)는 블록체인 데이터를 통해 제1 또는 제2스마트미터(51)로부터 선불결제정보와, 선불결제한 전력량 중 잔여전력량과 예상소진일, 선불로 재결제한 정보를 전달받아, 일정기간동안( 일 예로, 전력을 구매하고자 하는 프로슈머부(10) 또는 컨슈머부(50)가 전력을 공급받고자 하는 기간동안) 전력을 구매하고자 하는 프로슈머부(10) 또는 컨슈머부(50)가 필요한 전력량에 대응되는 전력을 저장하고 있거나 발전할 수 있는 프로슈머부의 정보를 전달하거나 매칭시켜 줄 수 있다.
그리고, 관리부(100)는 블록체인 데이터를 통해, 일정기간 동안 전력을 필요로 하는 프로슈머부(10) 및 컨슈머부(50)에서 필요한 전력량보다 전력을 필요로 하는 프로슈머부(10) 및 컨슈머부(50)와 거래된 프로슈머부(10)에서 일정기간동안 공급할 수 있는 전력량이 부족한 것으로 판단되면, 부족한 전력량을 공급할 수 있는 다른 프로슈머부(10)와 컨슈머부(50)를 매칭시킬 수 있도록 적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관리부(100)는 컨슈머부(50)와 거래된 프로슈머부(10)에서 컨슈머부(50)로 실시간 전력을 공급 정보가 전달될 수 있다. 관리부(100)의 전력관리서버는 전력을 공급하는 프로슈머부(10)의 발전부(21)의 발전량과 에너지저장부(26)의 잉여에너지(전력) 정보를 전달받아, 컨슈머부(50)로 공급해야될 잔여전력량을 비교하여 전력공급부족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전력관리부는 전력을 공급하는 프로슈머부(10)의 전력이 부족하다고 판단되며, 컨슈머부(50)로 공급해야될 잔여전력량보다 많은 잉여전력을 보유하고 있는 다른 프롯슈머부(10)를 찾아 컨슈머부(50)로 연결되도록 정보는 제공하거나 매칭시켜 줄수 있다.
관리부(100)의 전력거래서버는 블록체인데이터를 통해 일정 기간동안 각 프로슈머부(10) 및 컨슈머부(50)들의 일일 또는 주간 평균소비전력값을 각각 산출한다.
그리고, 전력을 판매하는 프로슈머부(10)의 제1스마트 미터(11)는 전력을 구매하는 복수의 다른 프로슈머부(10) 또는 컨슈머부(50)들이 동시에 입찰 시, 관리부(100)로부터 입찰한 복수의 프로슈머부(10) 또는 컨슈머부(50)들의 일정기간 일일 또는 주간 평균소비전력값 정보를 전달 받아, 일일 또는 주간 소비전력값이 항상 일일 또는 주간 평균소비전력값의 오차범위 10% 아래인 컨슈머부(50) 또는 프로슈머부(10)와 거래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일 예로, 전력을 판매하는 프로슈머부(10)의 제1스마트 미터(11)로 입찰한 복수의 다른 프로슈머부(10) 또는 컨슈머부(50)들의 일정기간 중 일일 또는 주간평균소비전력값이 20KW인 경우, 평균소비전력값을 산출한 기간 중에 하루 또는 한 주평균소비전력값이 23KW인 컨슈머부(50) 또는 프로슈머부(10)는 배제하고, 22KW 이하인 컨슈머부(50) 또는 프로슈머부(10)와 거래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는 전력을 판매 즉 공급하는 프로슈머부(10)에서 전력을 구배한 수요처로 안정한 전력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컨슈머와 프로슈머간 전력거래가 가능한 블록체인을 이용한 전력거래시스템은 블록체인을 통해 전력을 필요로 하는 다수의 프로슈머부 또는 컨슈머부들과,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프로슈머부 간 연결이루어지므로, 투명하고 안전한 전력거래가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컨슈머와 프로슈머간 전력거래가 가능한 블록체인을 이용한 전력거래시스템은 전력을 필요로 하는 다수의 프로슈머부 또는 컨슈머부들의 선불결제한 전력량 중 잔여전력량 정보와 각 전력소비패턴을 통해 선불결제한 전력량 소진 예상일을 각각 예측하고 선불 재결제 정보를 전달하여 발전부의 발전량을 조절함으로써, 전력을 안정적으로 공급하면서도 발전부의 불필요한 발전을 줄일 수 있어 발전 효율 및 전력공급효율이 향상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N : 블록체인 네트워크 10 : 프로슈머부
11 : 제1스마트미터 21 : 발전부
26 : 에너지저장부 50 : 컨슈머부
51 : 제2스마트미터 100 : 관리부

Claims (6)

  1. 전력을 생산할 수 있는 발전부와, 상기 발전부에서 생산되거나 구매한 전력이 저장되는 에너지저장부와, 전력을 거래하는 제1스마트미터를 포함하며, 전력을 판매하거나 구매할 수 있도록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노드로 참여하는 다수의 프로슈머부와;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노드로 참여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프로슈머부로부터 전력을 구매할 수 있으며 상기 프로슈머부로부터 구매한 전력량이 모두 소진되면 상기 프로슈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할 수 있는 제2스마트미터를 포함하는 다수의 컨슈머부와;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노드로 참여하여 다수의 상기 프로슈머부와 상기 컨슈머부와 연결되며 상기 제1 및 제2스마트 미터에서 전력구매를 위한 선불결제정보나 전력판매 정보, 상기 발전부의 발전량 및 상기 에너지저장부의 전력저장량 정보가 저장되어,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다수의 상기 프로슈머부와 상기 컨슈머부에게 공급되어야 될 총필요전력량을 산출하여 산출된 정보를 다수의 상기 프로슈머부들에 전달하는 관리부;를 구비하고,
    상기 프로슈머부는
    상기 관리부로부터 생산되어야 될 상기 총필요전력량이 산출된 상기 정보가 전달되면, 상기 제1스마트미터를 통해 발전하고자 하는 예상발전량을 상기 관리부로 전달하고,
    상기 관리부는 각 상기 프로슈머부들로부터 전달된 총 예상발전량을 산출하고 상기 총필요전력량과 비교하여, 부족 발전량 또는 과잉 발전량 정보를 상기 프로슈머부들에게 전달하며,
    상기 제1스마트미터는 상기 관리부로부터 상기 부족 발전량 또는 과잉발전량정보와, 다른 상기 프로슈머부의 예상발전량 정보를 전달 받아 상기 발전부의 발전량을 제어하며, 다른 상기 프로슈머부 또는 상기 컨슈머부로 전력공급 후 남은 잉여전력은 상기 에너지저장부로 저장되게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슈머와 프로슈머간 전력거래가 가능한 블록체인을 이용한 전력거래시스템.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스마트미터는
    상기 컨슈머부의 일정기간 또는 시간단위별 전력소비량을 저장 및 분석하여 선불결제한 전력량 예산소진일을 산출하여 상기 관리부와 상기 프로슈머부에 전달하며,
    상기 관리부는
    상기 제2스마트미터로부터 선불결제정보와, 선불결제한 전력량 중 잔여전력량과 예상소진일, 선불로 재결제한 정보를 전달받아 일정기간동안 상기 컨슈머부에 필요한 전력량에 대응되는 전력을 저장하고 있거나 발전할 수 있는 상기 프로슈머부를 매칭시켜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슈머와 프로슈머간 전력거래가 가능한 블록체인을 이용한 전력거래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스마트미터는
    공급될 잔여전력량을 판단하여 상기 컨슈머부의 전력을 소모하는 부하들 중 전력소비가 큰 부하부터 전력을 차단하거나, 사용빈도수가 낮은 부하부터 전력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슈머와 프로슈머간 전력거래가 가능한 블록체인을 이용한 전력거래시스템.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부는
    일정기간 동안 어느 하나의 상기 컨슈머부에서 필요로하는 전력량보다 어느 하나의 상기 컨슈머부와 거래된 어느 하나의 상기 프로슈머부에서 일정기간동안 공급할 수 있는 전력량이 부족한 것으로 판단되면, 부족한 전력량을 공급할 수 있는 다른 상기 컨슈머부와 어느 하나의 상기 컨슈머부를 매칭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슈머와 프로슈머간 전력거래가 가능한 블록체인을 이용한 전력거래시스템.
  6. 전력을 생산할 수 있는 발전부와, 상기 발전부에서 생산되거나 구매한 전력이 저장되는 에너지저장부와, 전력을 거래하는 제1스마트미터를 포함하며, 전력을 판매하거나 구매할 수 있도록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노드로 참여하는 다수의 프로슈머부와;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노드로 참여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프로슈머부로부터 전력을 구매할 수 있으며 상기 프로슈머부로부터 구매한 전력량이 모두 소진되면 상기 프로슈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할 수 있는 제2스마트미터를 포함하는 다수의 컨슈머부와;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노드로 참여하여 다수의 상기 프로슈머부와 상기 컨슈머부와 연결되며 상기 제1 및 제2스마트 미터에서 전력구매를 위한 선불결제정보나 전력판매 정보, 상기 발전부의 발전량 및 상기 에너지저장부의 전력저장량 정보가 저장되어,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다수의 상기 프로슈머부와 상기 컨슈머부에게 공급되어야 될 총필요전력량을 산출하여 산출된 정보를 다수의 상기 프로슈머부들에 전달하는 관리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및 제2스마트 미터는
    전력단가, 일정기간 내 공급해야될 전력량을 포함하는 거래조건과 거래 실행코드가 정의된 스마트 컨트랙트를 실행하여 거래를 개시하거나 상기 거래조건을 확인하고 실행하여 입찰을 시도하며,
    상기 관리부는
    스마트 컨트랙트를 포함하는 트랜잭션을 블록체인에 추가하는 합의 알고리즘을 수행하고 상기 블록체인 네크워크를 동작시키고, 일정 기간동안 각 상기 프로슈머부 및 상기 컨슈머부들의 일일 또는 주간 평균소비전력값을 각각 산출하며,
    전력을 판매하는 상기 프로슈머부의 상기 제1스마트 미터는
    전력을 구매하는 복수의 상기 프로슈머부 또는 상기 컨슈머부들이 동시에 입찰 시, 상기 관리부로부터 입찰한 복수의 상기 프로슈머부 또는 상기 컨슈머부들의 일정기간 일일 또는 주간 평균소비전력값 정보를 전달 받아,
    일일 또는 주간 소비전력값이 항상 상기 일일 또는 주간 평균소비전력값의 오차범위 10% 아래인 상기 컨슈머부 또는 상기 프로슈머부와 거래하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슈머와 프로슈머간 전력거래가 가능한 블록체인을 이용한 전력거래시스템.
KR1020210142069A 2021-10-22 2021-10-22 컨슈머와 프로슈머간 전력거래가 가능한 블록체인을 이용한 전력거래시스템 KR1025600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2069A KR102560045B1 (ko) 2021-10-22 2021-10-22 컨슈머와 프로슈머간 전력거래가 가능한 블록체인을 이용한 전력거래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2069A KR102560045B1 (ko) 2021-10-22 2021-10-22 컨슈머와 프로슈머간 전력거래가 가능한 블록체인을 이용한 전력거래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7839A KR20230057839A (ko) 2023-05-02
KR102560045B1 true KR102560045B1 (ko) 2023-07-25

Family

ID=863876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2069A KR102560045B1 (ko) 2021-10-22 2021-10-22 컨슈머와 프로슈머간 전력거래가 가능한 블록체인을 이용한 전력거래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004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478306B (zh) * 2023-12-28 2024-03-22 湖南天河国云科技有限公司 基于区块链的能源控制方法及存储介质和终端设备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8038A (ko) * 2001-09-27 2003-04-08 주식회사 젤라인 수용가 전원 원격 제어시스템 및 방법
KR102511006B1 (ko) * 2015-05-29 2023-03-17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력 공급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848896B1 (ko) 2016-10-19 2018-04-13 한전케이디엔 주식회사 블록체인을 이용한 선불형 전력 판매 및 전력 사용 방법
KR20180138040A (ko) * 2017-06-20 2018-12-2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가상화폐를 이용한 전력 거래 방법 및 그 장치
KR101976401B1 (ko) * 2017-08-17 2019-05-09 한국전력공사 블록체인 기반 전력 거래 운영 시스템, 이의 방법, 그리고 이 방법을 저장한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KR20190121527A (ko) * 2018-04-18 2019-10-28 정유철 선불형 전력 공급 시스템
KR102085141B1 (ko) * 2018-06-19 2020-03-05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블록체인 기반 전력거래용 hems 시스템
KR20210012579A (ko) * 2019-07-25 2021-02-03 황성철 소규모 분산자원 거래 방법 및 이를 실행시키기 위하여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저장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20210015110A (ko) * 2019-07-31 2021-02-10 주식회사 그리드위즈 전력 자원 거래 중개 관리 방법
KR102396712B1 (ko) * 2019-11-20 2022-05-11 한국전력공사 에너지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전력 구매 비용 결정 방법
KR20210080741A (ko) * 2019-12-23 2021-07-01 주식회사 네오텍 전력 거래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KR20210107478A (ko) * 2020-02-24 2021-09-01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블록체인 기반 dc 전력 거래 시스템
KR20210001896A (ko) * 2020-03-23 2021-01-06 송병륜 블록체인 기술을 기반으로 하여 피투피 방식의 전력거래를 중개하는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7839A (ko) 2023-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23293B2 (en) Energy resource network
Andoni et al. Blockchain technology in the energy sector: A systematic review of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US10430898B2 (en) Method and system for facilitating electricity services
JP6483929B2 (ja) 供給システム及び供給システムを動作させる方法
Oprea et al. Two novel blockchain-based market settlement mechanisms embedded into smart contracts for securely trading renewable energy
WO2019070357A1 (en) METHOD AND SYSTEM FOR PLATFORM OF SECURE AND PRIVATE TERM OPERATIONS IN TRANSACTIVE MICROARRAYS
US20200051186A1 (en) Real-time renewable energy credits
KR20200094441A (ko) 전력 거래 시스템 및 그 방법
He et al. A consensus and incentive program for charging piles based on consortium blockchain
EP3736760A1 (en) Automated transaction protocol linking renewable energy generation assets to energy power consumers applying distributed digital ledger technology and iot energy meters
Lu et al. Smart contract for distributed energy trading in virtual power plants based on blockchain
KR102560045B1 (ko) 컨슈머와 프로슈머간 전력거래가 가능한 블록체인을 이용한 전력거래시스템
WO2020231288A1 (ru) Информационная система купли-продажи электроэнергии
Lai et al. Blockchain applications in microgrid clusters
Zahid et al. Blockchain based balancing of electricity demand and supply
KR101990462B1 (ko) 분산자원 전력 거래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487863B1 (ko) 에너지 비용 최적화를 위한 블록체인 기반 에너지 거래 시스템에서 단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Hukkinen Reducing blockchain transaction costs in a distributed energy market application
KR20210073183A (ko) 마이크로 그리드를 활용한 탄소배출권 거래 시스템
KR20210041457A (ko) 퍼블릭 블록체인 네트워크 기반의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신재생에너지 공급인증서(rec) 거래 시스템 및 방법
Hao et al. Research on Intelligent Settlement of Power Marketing Transactions Based on Blockchain Technology
Singh Credit Blockchain for Faster Transactions in P2P Energy Trading
US20230124657A1 (en) EGR Powered System and Energy Provider Billing Entity, Billing Management Using Blockchain
GB2572339A (en) System and method for data processing using tokens
Ranjbar et al. Transactive energy trading in distribution systems via privacy-preserving distributed coordin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