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9854B1 - 비상상황 통합관리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 - Google Patents

비상상황 통합관리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9854B1
KR102559854B1 KR1020210037019A KR20210037019A KR102559854B1 KR 102559854 B1 KR102559854 B1 KR 102559854B1 KR 1020210037019 A KR1020210037019 A KR 1020210037019A KR 20210037019 A KR20210037019 A KR 20210037019A KR 102559854 B1 KR102559854 B1 KR 1025598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ergency
icons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ic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70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32131A (ko
Inventor
정영제
이기헌
신승화
Original Assignee
인천국제공항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천국제공항공사 filed Critical 인천국제공항공사
Priority to KR10202100370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9854B1/ko
Publication of KR202201321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21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98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9854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13Receivers
    • G01S19/14Receiv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1S19/17Emergency appl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Remote Sens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상상황 통합관리 시스템의 구동 방법은,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해 복수의 메뉴 탭 아이콘들을 포함한 제1 영상을 출력하는 동작;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메뉴 탭 아이콘들 중 어느 하나의 메뉴 탭 아이콘을 선택하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동작; 및 상기 선택된 어느 하나의 메뉴 탭 아이콘과 연동되는 제2 영상으로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을 전환하는 동작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영상은, 데이터 베이스에 미리 저장된 주요 시설 정보, 비상상황 표시 정보, 비상상황 조치 절차 정보 및 비상상황 보고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비상상황 표시 정보는 복수의 비상상황 아이콘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영상이 상기 비상상황 표시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복수의 비상상황 아이콘들 중 어느 하나의 비상상황 아이콘들 중 어느 하나의 비상상황 아이콘에 대한 드래그를 감지하는 동작; 및 상기 드래그에 기초하여 상기 어느 하나의 비상상황 아이콘에 대응하는 비상상황 발생 위치를 표시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비상상황 통합관리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SYSTEM AND DRIVING METHOD FOR INTERGRATING MANAGEMENT OF EMERGENCY SITUATIONS}
본 발명은 비상상황 통합관리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대규모 산업시설에서 발생하는 각종 비상상황에 대한 정보를 각 구성원들 간에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비상상황 통합관리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여러 개의 동으로 이루어진 대규모 산업시설(예를 들어, 공항, 항만, 등)에서 화재, 테러 등이 발생하거나 또는 산업시설 기기에 결함이 발생하는 경우, 산업시설 내의 각 구성원들이 사고 현장에 투입되어 상황을 해결하였다.
이 경우, 종래 대규모 산업시설에는 비상상황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기술이 제공되지 않아 사고 현장에 투입되는 구성원들이 사고 발생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하기가 어려웠다.
또한, 사고 현장에 투입되는 구성원들은 비상상황이 발생할 때마다, 다양한 형태의 비상상황별 대응 매뉴얼을 확인하고, 각 비상상황에 따른 대응 절차를 외우고 있어야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대규모 산업시설에서 발생하는 각종 비상상황에 대한 정보를 산업시설의 구성원들 간에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비상상황 통합관리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상상황 통합관리 시스템의 구동 방법은,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해 복수의 메뉴 탭 아이콘들을 포함한 제1 영상을 출력하는 동작;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메뉴 탭 아이콘들 중 어느 하나의 메뉴 탭 아이콘을 선택하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동작; 및 상기 선택된 어느 하나의 메뉴 탭 아이콘과 연동되는 제2 영상으로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을 전환하는 동작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영상은, 데이터 베이스에 미리 저장된 주요 시설 정보, 비상상황 표시 정보, 비상상황 조치 절차 정보 및 비상상황 보고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비상상황 표시 정보는 복수의 비상상황 아이콘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영상이 상기 비상상황 표시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복수의 비상상황 아이콘들 중 어느 하나의 비상상황 아이콘들 중 어느 하나의 비상상황 아이콘에 대한 드래그를 감지하는 동작; 및 상기 드래그에 기초하여 상기 어느 하나의 비상상황 아이콘에 대응하는 비상상황 발생 위치를 표시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비상상황 표시 정보는 비상상황 메모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영상이 상기 비상상황 표시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비상상황 메모에 대한 드래그를 감지하는 동작; 및 상기 드래그에 기초하여 상기 비상상황 메모의 위치를 표시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비상상황 표시 정보는 복수의 비상상황 아이콘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영상이 상기 비상상황 표시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복수의 비상상황 아이콘들 중 어느 하나의 비상상황 아이콘에 대한 드래그를 감지하는 동작; 및 상기 드래그에 기초하여 상기 어느 하나의 비상상황 아이콘의 표시 위치를 변경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요 시설 정보는 복수의 주요 시설 지도들 및 복수의 주요 시설 탭 아이콘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영상이 상기 주요 시설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복수의 주요 시설 탭 아이콘들 중 어느 하나의 주요 시설 탭 아이콘을 선택하는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동작; 및 상기 복수의 주요 시설 지도들 중 상기 어느 하나의 주요 시설 탭 아이콘과 연동된 주요 시설 지도를 출력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주요 시설 지도들은, GPS 모듈을 통해 수신된 주요 시설의 2차원 지도 또는 3차원 지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비상상황 조치 절차 정보는 복수의 비상상황 처리지침 매뉴얼 및 복수의 비상상황 탭 아이콘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영상이 상기 비상상황 조치 절차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복수의 비상상황 탭 아이콘들 중 어느 하나의 비상상황 탭 아이콘을 선택하는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동작; 및 상기 복수의 비상상황 처리지침 매뉴얼 중 상기 어느 하나의 비상상황 탭 아이콘과 연동된 비상상황 처리지침 매뉴얼을 출력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비상상황 보고 정보는 복수의 보고서 양식들 및 복수의 상황 보고 탭 아이콘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영상이 상기 비상상황 보고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복수의 상황 보고 탭 아이콘들 중 어느 하나의 상황 보고 탭 아이콘을 선택하는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동작; 및 상기 복수의 보고서 양식들 중 상기 어느 하나의 상황 보고 탭 아이콘과 연동된 보고서 양식을 출력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보고서 양식들은 상기 사용자에 의해 이전에 작성된 복수의 보고서 양식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영상은 홈 아이콘을 더 포함하고, 상기 홈 아이콘의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경우, 상기 제1 영상으로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을 전환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추가로,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상기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될 수 있다.
추가로,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비상상황 통합관리 시스템은, 출력 장치; 입력 장치; 메모리;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출력 장치를 통해 복수의 메뉴 탭 아이콘들을 포함한 제1 영상을 출력하고, 상기 입력 장치를 통해 상기 복수의 메뉴 탭 아이콘들 중 어느 하나의 메뉴 탭 아이콘을 선택하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제1 영상에서 상기 어느 하나의 메뉴 아이콘과 연동되는 제2 영상을 출력하도록 상기 출력 장치를 제어하며, 상기 제2 영상은, 상기 메모리에 미리 저장된 주요 시설 정보, 비상상황 표시 정보, 비상상황 조치 절차 정보 및 비상상황 보고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비상상황 표시 정보는 복수의 비상상황 아이콘들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제2 영상이 상기 비상상황 표시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입력 장치를 통해 상기 복수의 비상상황 아이콘들 중 어느 하나의 비상상황 아이콘에 대한 드래그를 감지하고, 상기 드래그에 기초하여 상기 어느 하나의 비상상황 아이콘에 대응하는 비상상황 발생 위치를 표시하도록 상기 출력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비상상황 표시 정보는 비상상황 메모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제2 영상이 상기 비상상황 표시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입력 장치를 통해 상기 비상상황 메모에 대한 드래그를 감지하고, 상기 드래그에 기초하여 상기 비상상황 메모의 위치를 표시하도록 상기 출력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요 시설 정보는 복수의 주요 시설 지도들 및 복수의 주요 시설 탭 아이콘들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제2 영상이 상기 주요 시설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입력 장치를 통해 상기 복수의 주요 시설 탭 아이콘들 중 어느 하나의 주요 시설 탭 아이콘을 선택하는 터치 입력을 감지하고, 상기 복수의 주요 시설 지도들 중 상기 어느 하나의 주요 시설 탭 아이콘과 연동된 주요 시설 지도를 출력하도록 상기 출력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주요 시설 지도들은, GPS 모듈을 통해 수신된 주요 시설의 2차원 지도 또는 3차원 지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비상상황 조치 절차 정보는 복수의 비상상황 처리지침 매뉴얼 및 복수의 비상상황 탭 아이콘들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제2 영상이 상기 비상상황 조치 절차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입력 장치를 통해 상기 복수의 비상상황 탭 아이콘들 중 어느 하나의 비상상황 탭 아이콘을 선택하는 터치 입력을 감지하고, 상기 복수의 비상상황 처리지침 매뉴얼 중 상기 어느 하나의 비상상황 탭 아이콘과 연동된 비상상황 처리지침 매뉴얼을 출력하도록 상기 출력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비상상황 보고 정보는 복수의 보고서 양식들 및 복수의 상황 보고 탭 아이콘들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제2 영상이 상기 비상상황 보고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입력 장치를 통해 상기 복수의 상황 보고 탭 아이콘들 중 어느 하나의 상황 보고 탭 아이콘을 선택하는 터치 입력을 감지하고, 상기 복수의 보고서 양식들 중 상기 어느 하나의 상황 보고 탭 아이콘과 연동된 보고서 양식을 출력하도록 상기 출력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보고서 양식들은 상기 사용자에 의해 이전에 작성된 복수의 보고서 양식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영상은 홈 아이콘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입력 장치를 통해 상기 홈 아이콘의 터치를 감지하면, 상기 제1 영상을 출력하도록 상기 출력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상상황 통합관리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에 의하면, 대규모 산업시설에서 발생하는 각종 비상상황에 대한 정보를 공유할 수 있도록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비상상황에 대해 보다 신속한 대응이 가능하도록 각 비상상황별로 매뉴얼을 제공함으로써, 그에 따른 2차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상상황 통합관리 시스템(100)의 기능적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상상황 통합관리 시스템의 구동 방법(S200)의 개략적인 순서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상상황 통합관리 시스템에서 제1 영상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I)의 예시도를 도시한다.
도 4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상상황 통합관리 시스템에서 제2 영상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I)의 예시도를 도시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상상황 통합관리 시스템(100)의 기능적 블록도를 도시하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상상황 통합관리 시스템의 구동 방법(S200)의 개략적인 순서도를 도시한다.
구체적 설명에 앞서, 이하 본 발명의 비상상황 통합관리 시스템(100)은 대규모 산업시설(예를 들어, 공항, 항만, 등)에서 발생하는 비상상황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장치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비상상황 통합관리 시스템(100)은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smart watch), 글래스형 단말기(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을 포함하는 정보통신기기와 멀티미디어기기 및 그에 대한 응용 기기에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비상상황 통합관리 시스템(100)은 비상상황에 대한 정보, 각 비상상황별 대응 정보, 각 기관별 비상 연락처 정보, 또는 비상상황 보고를 위한 정보, 등을 실시간으로 제공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또는 위젯(widget)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위젯은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지 않고, 컨텐츠나 기능을 바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미니 어플리케이션을 지칭하며, 예컨대 날씨, 달력, 계산기, 뉴스 등의 어플리케이션이 위젯에 해당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용어 '어플리케이션'은 위젯을 포함하는 포괄적인 개념으로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비상상황 통합관리 시스템(100)은 이러한 비상상황 통합관리 어플리케이션을 온라인 마켓에서 다운로드하여 설치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비상상황 통합관리 시스템(10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상상황 통합관리 시스템의 구동 방법을 구성하는 각 단계들을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도 2에 예시적으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비상상황 통합관리 시스템의 구동 방법(S200)의 각 단계들을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상상황 통합관리 시스템(100)은 입력 장치(110), 통신 모듈(120), 출력 장치(130), 메모리(140) 및 프로세서(150)로 구성될 수 있다.
입력 장치(110)는 비상상황 통합관리 시스템(100)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예를 들어, 프로세서(150), 등)의 동작에 이용될 명령 또는 데이터를 비상상황 통합관리 시스템(100)의 외부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입력 장치(110)는 예를 들어,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 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는 터치 키(touch key), 푸시 키(mechanical key), 소프트 키(soft key)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를 이용해 비상상황 통합관리 시스템(100)과 관련된 제어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통신 모듈(120)은 비상상황 통합관리 시스템(100)과 외부 장치(예를 들어, 서버, 및/또는 다른 전자 장치) 간의 통신을 지원하기 위해 부가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통신 모듈(120)은 이동통신 모듈, 유, 무선 인터넷 모듈, 근거리 통신 모듈, 위치 정보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은, 이동통신을 위한 기술표준들 또는 통신방식(예를 들어,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 Access), CDMA2000(Code Division Multi Access 2000), EV-DO(Enhanced Voice-Data Optimized or Enhanced Voice-Data Only), WCDMA(Wideband CDMA),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5G 통신 등)에 따라 구축된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 전자 장치,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나열된 통신 방식들은 예시적인 것일 뿐, 발 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무선 인터넷 모듈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로, 비상상황 통합관리 시스템(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은 무선 인터넷 기술들에 따른 통신망에서 데이터 통신을 위하여 무선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예를 들어 WLAN(Wireless LAN), Wi-Fi(Wireless-Fidelity), Wi-Fi Direct,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이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비상상황 통합관리 시스템(100)은 무선 인터넷 모듈을 이용해 지도 정보 등을 획득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은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을 위한 것으로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Fidelity), Wi-Fi Direct, Wireless USB(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비상상황 통합관리 시스템(100)은 어플리케이션이 활성화된 상태에서 근거리 통신 모듈을 통해 각 구성원들과 실시간으로 비상상황에 관한 정보를 공유할 수 있다.
위치정보 모듈은 비상상황 통합관리 시스템(100)의 위치(또는 현재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예를 들어,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 및/또는 Wi-Fi(Wireless Fidelity)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위치 정보 모듈이 GPS 모듈을 포함하는 경우, 위치정보 모듈은 GPS 위성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비상상황 통합관리 시스템(100)을 포함한 주변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참고로, 통신 모듈(120)은 입력 장치(110), 출력 장치(130), 메모리(140), 프로세서(150) 등의 데이터를 외부 전자 기기로 전송하거나, 또는 외부 전자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여 프로세서(150)에 전달하거나, 메모리(140)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에는 텍스트, 이미지, 동화상 등의 컨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출력 장치(13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 음향 출력 장치, 햅틱 모듈, 또는 광 출력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는 비상상황 통합관리 시스템(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나 영상을 표시(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는 비상상황 통합관리 시스템(100)에서 구동되는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화면 정보, 또는 이러한 실행화면 정보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UI, user interface), GUI(graphic user interface)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는 터치 센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은, 비상상황 통합관리 시스템(100)과 사용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입력 장치(110)로써 기능함과 동시에, 비상상황 통합관리 시스템(100)과 사용자 사이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음향 출력 장치는 녹음 모드, 음성 인식 모드, 방송 수신 모드, 등에서 통신 모듈(12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또는 메모리(14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이를 구현하기 위해, 음향 출력 장치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또는 버저(buzzer)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은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예를 들어, 진동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은 예를 들어, 진동 모터, 또는 압전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광 출력 장치는 광원의 빛을 이용해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벤트는, 예를 들어, 메시지 수신, 부재중 전화, 알람, 일정 알림, 이메일 수신,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정보 수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광 출력 장치는 비상상황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메모리(140)는 비상상황 통합관리 시스템(100)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기 위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40)는 비상상황 통합관리 시스템(10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또는 애플리케이션), 비상상황 통합관리 시스템(10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프로세서(15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40)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알려진 바와 같이, HDD(Hard Disk Drive),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CF(Compact Flash) 카드, SD(Secure Digital) 카드, SM(Smart Media) 카드, MMC(Multimedia) 카드 또는 메모리 스틱(Memory Stick) 등 정보의 입출력이 가능한 다양한 형태의 저장 장치로 구현될 수 있으며, 비상상황 통합관리 시스템(100)의 내부에 구비되거나, 또는 별도의 외부 장치에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메모리(140)는 대규모 산업시설(예를 들어, 공항, 항만, 등)에 포함된 주요 시설 정보, 비상상황 조치 절차 정보(예를 들어, 비상상황별 처리지침 매뉴얼 등), 비상상황 보고 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주요 시설 정보는 카메라 등의 촬영 수단을 통해 주요 시설의 전경을 미리 촬영한 지도를 포함할 수 있다. 대규모 산업시설이 공항인 경우, 주요 시설의 지도는 예를 들어 제1 터미널, 제2 터미널, 화물 터미널, 관제탑, 탑승동, 관제 송수신소, 급유시설, 배전 변전소, 공항 청사 등의 전경을 촬영한 지도일 수 있다. 이 경우, 주요 시설의 지도는 2차원 지도 영상이거나 또는 3차원 지도 영상일 수 있고, 방향을 함께 표시하거나, 위도 및 경도를 함께 표시할 수도 있다. 비상상황 조치 절차 정보는 화재, 테러, 기기 결함 등이 발생한 경우에 각 비상상황별 임무 내용을 포함한 비상상황 처리지침 매뉴얼에 관한 정보일 수 있다. 비상상황 보고 정보는 비상상황 일지에 관한 양식, 전문 대장에 관한 양식, 비상상황 조치 보고에 관한 양식, 일일 상황보고에 관한 양식, 인명 피해 또는 시설 피해 현황을 기재한 양식, 각 기관별 비상 연락처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사용자에 의해 이전에 작성되어 저장된 보고서 양식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르면, 메모리(140)에는 또는 메모리(140)와는 별개로 데이터 백업(data backup)을 위한 추가 메모리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프로세서(150)는 메모리(140)에 저장된 다양한 데이터를 백업하여 상기 추가 메모리에 저장함으로써, 데이터의 유실 또는 분실에 대한 능동적인 대처를 가능하게 한다.
프로세서(150)는 비상상황 통합관리 시스템(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위한 데이터 처리 및/또는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150)는 소프트웨어(예를 들어, 응용 프로그램)를 구동하여 비상상황 통합관리 시스템(100)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 요소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50)는 비상상황 통합관리 시스템(100)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를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하거나, 메모리(14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절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50)는 메모리(14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디스플레이 화면 상에 제1 영상을 표시하도록 출력 장치(130)를 제어할 수 있다(S210). 제1 영상은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 화면으로서, 복수의 메뉴 탭 아이콘들(이하, 도 3의 310 내지 33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영상은 비상상황 메모를 작성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메뉴 탭 아이콘(340)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50)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비상상황 통합관리 시스템(100)의 적어도 하나의 실행 가능한 동작을 결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프로세서(150)는 메모리(140)에 저장된 데이터를 요청, 검색, 수신 또는 활용할 수 있고, 비상상황 통합관리 시스템(100)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 요소를 제어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50)는 입력 장치(110)를 통해 사용자의 터치 및 드래그 동작을 감지하고(S220), 메모리(140)에 저장된 데이터를 요청, 검색, 수신 또는 활용하여 제2 영상을 표시하도록 출력 장치(130)를 제어할 수 있다(S230). 제2 영상은 주요 시설 정보, 비상상황 표시 정보, 비상상황 조치 절차 정보, 또는 비상상황 보고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보다 상술하기로 한다.
참고로, 프로세서(150)는 컨트롤러(controller),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 마이크로-컨트롤러(micro-controller),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을 위해 비상상황 통합관리 시스템(100)에 포함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서로 조합하여 동작 시킬 수도 있다.
참고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비상상황 통합관리 시스템(100)의 각 엘리먼트(110, 120, 130, 140, 150)는 비상상황 통합관리 시스템(100)의 동작 및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엘리먼트에 해당할 뿐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추가의 엘리먼트(예를 들어, 비상상황 통합관리 시스템 내의 정보, 비상상황 통합관리 시스템을 둘러싼 주변 환경의 정보를 센싱하기 위한 센서, 등)가 더 구현될 수 있음은 명백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상상황 통합관리 시스템(100) 및 그 구동 방법(S200)을 통해 제1 및 제2 영상을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I)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상상황 통합관리 시스템(100)에서 제1 영상을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I)의 예시도를 도시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비상상황 통합관리 시스템(100)의 프로세서(150)는 메모리(140)에 미리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제1 영상이 표시(출력)되도록 출력 장치(130)를 제어할 수 있다. 제1 영상은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 화면으로서, 복수의 메뉴 탭 아이콘들(310 내지 340)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메뉴 탭 아이콘들(310 내지 340)은 예를 들어, 사용자 선택에 의해 제1 영상에서 제2 영상으로 디스플레이 화면을 전환하기 위한 상위 개념의 메뉴 탭 아이콘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복수의 메뉴 탭 아이콘들(310 내지 340)은 대규모 산업시설(예를 들어, 공항, 항만, 등)에 포함된 주요 시설 정보, 각 비상상황별 대응 정보(예를 들어, 비상상황별 처리지침 매뉴얼, 등), GPS 모듈을 통해 수집된 지도 정보 또는 비상상황 메모와 각각 연동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50)는 상기 지도 정보와 연동된 어느 하나의 메뉴 탭 아이콘(320)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면, 디스플레이 화면 상에 메모리(140)에 미리 저장된 지도를 표시하도록 출력 장치(13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출력 장치(130)를 통해 출력된 지도는 메모리(140)에 미리 저장된 2차원 지도 또는 3차원 지도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프로세서(150)는 입력 장치(110)를 통해 제1 영상에 포함된 복수의 메뉴 탭 아이콘들(310 내지 340) 중에서 어느 하나의 메뉴 탭 아이콘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고, 제1 영상에서 제2 영상으로 디스플레이 화면을 전환하도록 출력 장치(13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상상황 통합관리 시스템(100)에서 제2 영상을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I)의 예시도를 도시한다.
출력 장치(130)를 통해 제2 영상을 표시(출력)하는 것에 앞서, 비상상황 통합관리 시스템(100)의 프로세서(150)는 입력 장치(110)로부터 제1 영상에 포함된 복수의 메뉴 탭 아이콘들(310 내지 340) 중 어느 하나의 메뉴 탭 아이콘(310)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예를 들어, 터치(touch) 등)을 수신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150)는 상기 어느 하나의 메뉴 탭 아이콘(310)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면, 디스플레이 화면 상에 제2 영상이 표시되도록 출력 장치(13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2 영상은 주요 시설 정보, 비상상황 조치 절차 정보, 또는 비상상황 보고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를 참조하면, 프로세서(150)는 주요 시설 정보를 포함한 제2 영상을 표시하도록 출력 장치(130)를 제어할 수 있다. 주요 시설 정보는 복수의 주요 시설 탭 아이콘들(311)과 복수의 주요 시설 지도들을 포함하며, 복수의 시설 탭 아이콘들(311)은 각각 복수의 주요 시설 지도와 연동되어 메모리(140)에 미리 저장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비상상황 통합관리 시스템(100)의 프로세서(150)는 복수의 주요 시설 탭 아이콘들(311) 중 어느 하나의 주요 시설 탭 아이콘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면, 상기 어느 하나의 주요 시설 탭 아이콘과 연동된 주요 시설 지도(312)를 표시하도록 출력 장치(130)를 제어할 수 있다. 주요 시설 지도(312)는 메모리(140)에 미리 저장된 2차원 지도 또는 3차원 지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도 5 및 도 6을 함께 참조하면, 프로세서(150)는 비상상황 조치 절차 정보를 포함한 제2 영상을 표시하도록 출력 장치(130)를 제어할 수 있다. 비상상황 조치 절차 정보는 복수의 비상상황 처리지침 매뉴얼에 관한 정보, 비상상황별 수행 절차에 관한 정보 또는 복수의 비상상황 탭 아이콘들(313, 315)을 포함할 있다. 복수의 비상상황 탭아이콘들(313, 315)은 각각 비상상황 처리지침 매뉴얼에 관한 정보와 연동되거나, 또는 비상상황별 수행 절차에 관한 정보와 연동되어 메모리(14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비상상황 통합관리 시스템(100)의 프로세서(150)는 복수의 비상상황 탭 아이콘들(313, 315) 중 어느 하나의 비상상황 탭 아이콘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면, 상기 어느 하나의 비상상황 탭 아이콘과 연동된 비상상황 처리지침 매뉴얼에 관한 정보 또는 비상상황 수행 절차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도록 출력 장치(13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복수의 비상상황 탭 아이콘들(313)이 복수의 비상상황 처리지침 매뉴얼과 각각 연동되는 경우, 프로세서(150)는 복수의 비상상황 탭 아이콘들(313) 중 어느 하나의 비상상황 탭 아이콘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여 복수의 비상상황 처리지침 매뉴얼 중 어느 하나의 비상상황 처리지침 매뉴얼(314)을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참고로, 도 5의 (b)는 복수의 비상상황 처리지침 매뉴얼 중 화재가 발생한 경우에 각 구성원들의 임무 내용을 포함하는 비상상황 처리지침 매뉴얼을 출력하는 것을 도시한 것이며, 비상상황 처리지침 매뉴얼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복수의 비상상황 탭 아이콘들(315)이 비상상황별 수행 절차에 관한 정보와 각각 연동되는 경우, 프로세서(150)는 복수의 비상상황 탭 아이콘들(313) 중 어느 하나의 비상상황 탭 아이콘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여 비상상황별 수행 절차에 관한 정보(316)을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참고로, 도 6의 (b)는 비상상황별 수행 절차 정보 중에서 정부의 조치에 관한 정보와 대규모 산업시설의 운영 개념에 대한 정보를 출력하는 것을 도시한 것이며, 비상상황별 수행 절차에 관한 정보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예를 들어, 도 7을 참조하면, 프로세서(150)는 비상상황 보고 정보를 포함한 제2 영상을 표시하도록 출력 장치(130)를 제어할 수 있다. 비상상황 보고 정보는 복수의 상황 보고 탭 아이콘들(317)과 비상상황 보고를 위한 정보(318)를 포함하며, 복수의 상황보고 탭 아이콘들(317)은 각각 비상상황 보고를 위한 정보(318)와 연동되어 메모리(140)에 미리 저장될 수 있다. 비상상황 보고를 위한 정보(318)는 각 기관별 비상 연락처, 각 기관별 비상 연락처를 불러오기 위한 소정의 탭 아이콘들, 복수의 보고서 양식, 또는 복수의 보고서 양식 각각을 불러오기 위한 소정의 탭 아이콘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보고서 양식은 예를 들어, 비상상황 일지에 관한 양식, 전문 대장에 관한 양식, 비상상황 조치 보고에 관한 양식, 일일 상황보고에 관한 양식, 인명 피해 또는 시설 피해 현황을 기재한 양식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비상상황 통합관리 시스템(100)의 프로세서(150)는 복수의 상황 보고 탭 아이콘들(317) 중 어느 하나의 상황 보고 탭 아이콘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면, 상기 어느 하나의 상황 보고 탭 아이콘과 연동된 비상상황 보고를 위한 정보(318)를 표시하도록 출력 장치(130)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보고서 양식을 불러오기 위한 소정의 탭 아이콘들은 복수의 보고서 양식과 각각 연동되어 메모리(140)에 저장될 수 있다. 이 경우, 비상상황 통합관리 시스템(100)의 프로세서(150)는 보고서 양식을 불러오기 위한 소정의 탭 아이콘들 중 어느 하나의 탭 아이콘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면, 복수의 보고서 양식들 중에서 상기 어느 하나의 탭 아이콘과 연동된 어느 하나의 보고서 양식을 표시하도록 출력 장치(130)를 제어할 수도 있다. 상기 보고서 양식은 사용자에 의해 이전에 작성되고, 저장된 보고서 양식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7에서는 각 기관별 비상 연락처를 불러오기 위한 소정의 탭 아이콘들 또는 복수의 보고서 양식 각각을 불러오기 위한 소정의 탭 아이콘들을 제2 영상 상에 표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탭 아이콘들을 제1 영상 상에 표시할 수도 있다. 즉, 비상상황 통합관리 시스템(100)의 프로세서(150)는 제1 영상 상에 표시된 탭 아이콘들 중 어느 하나의 탭 아이콘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면, 상기 어느 하나의 탭 아이콘과 연동된 비상 연락처 또는 보고서 양식을 표시하도록 출력 장치(130)를 제어할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상상황 통합관리 시스템(100)에서 제2 영상을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I)의 예시도를 도시한다.
출력 장치(130)를 통해 제2 영상을 표시(출력)하는 것에 앞서, 비상상황 통합관리 시스템(100)의 프로세서(150)는 입력 장치(110)로부터 제1 영상에 포함된 복수의 메뉴 탭 아이콘들(310 내지 340) 중 어느 하나의 메뉴 탭 아이콘(330)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예를 들어, 터치(touch) 등)을 수신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150)는 상기 어느 하나의 메뉴 탭 아이콘(320)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면, 디스플레이 화면 상에 제2 영상이 표시되도록 출력 장치(13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2 영상은 비상상황 표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을 참조하면, 프로세서(150)는 비상상황 표시 정보를 포함한 제2 영상을 표시하도록 출력 장치(130)를 제어할 수 있다. 비상상황 표시 정보는 화재 발생, 기기 결함의 발생, 테러 발생, 환자 발생, 등을 나타내는 복수의 비상상황 아이콘들(331)을 포함할 수 있다(예를 들어, 도 8의 (a) 참조).
또한, 프로세서(150)는 입력 장치(110)를 통해 복수의 비상상황 아이콘들(331) 중 어느 하나의 비상상황 아이콘(332)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touch) 및 드래그(drag) 동작을 감지하여 상기 어느 하나의 비상상황 아이콘(332)에 대응하는 비상상황 발생 위치를 표시할 수 있다(예를 들어, 도 8의 (b) 참조). 즉, 비상상황 통합관리 시스템(100)의 프로세서(150)는 사용자 입력에 의해 제2 영상 상의 어느 한 지점에 상기 어느 하나의 비상상황 아이콘(332)을 표시하여 상기 어느 한 지점에서 비상상황이 발생하였음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50)는 표시 위치가 변경된 어느 하나의 비상상황 아이콘(332)에 대해 사용자의 터치(touch)가 감지되면, 다른 비상상황 아이콘들과 비교하여 상기 어느 하나의 비상상황 아이콘(332)의 크기를 크게 하거나, 또는 상기 어느 하나의 비상상황 아이콘(332)의 색상을 진하게 표시하도록 출력 장치(130)를 제어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영상은 복수의 주요 시설 지도들 중 어느 하나의 주요 시설 지도를 포함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150)는 상기 어느 하나의 주요 시설 지도 상에 복수의 비상상황 아이콘들(331)을 표시하도록 출력 장치(130)를 제어하고, 입력 장치(110)를 통해 복수의 비상상황 아이콘들(331) 중 어느 하나의 비상상황 아이콘(332)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touch) 및 드래그(drag) 동작을 감지하여 상기 어느 하나의 비상상황 아이콘(332)에 대응하는 비상상황 발생 위치를 표시할 수 있다.
즉, 비상상황 통합관리 시스템(100)의 프로세서(150)는 사용자 입력에 의해 주요 시설 지도 상의 어느 한 지점에 상기 어느 하나의 비상상황 아이콘(332)을 표시하여 상기 어느 한 지점에서 비상상황이 발생하였음을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도 8에서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비상상황 통합관리 시스템(100)의 프로세서(150)는 입력 장치(110)로부터 제1 영상에 포함된 복수의 메뉴 탭 아이콘들(310 내지 340) 중 어느 하나의 메뉴 탭 아이콘(340)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예를 들어, 터치(touch 등)을 수신하면, 디스플레이 화면 상에 제2 영상이 표시되도록 출력 장치(13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2 영상은 비상상황 메모를 포함한 비상상황 표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150)는 입력 장치(110)를 통해 비상상황 메모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touch) 및 드래그(drag) 동작을 감지하여 비상상황 메모의 표시 위치를 변경할 수도 있다. 즉, 비상상황 통합관리 시스템(100)의 프로세서(150)는 사용자 입력에 의해 제2 영상 상의 어느 한 지점에 상기 비상상황 메모를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 영상 상에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어느 하나의 비상상황 아이콘(332)과 비상상황 메모가 함께 표시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비상상황 메모는 제2 영상 상에 고정된 어느 하나의 비상상황 아이콘(332)과 연동될 수도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150)는 제2 영상 상에 고정된 어느 하나의 비상상황 아이콘(332)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여 상기 어느 하나의 비상상황 아이콘(332)과 연동된 비상상황 메모를 출력하도록 출력 장치(13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상상황 통합관리 시스템(100)에서 디스플레이 화면이 전환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I)의 예시도를 도시한다.
도 9의 (a)를 참조하면, 제2 영상은 제1 영상으로의 전환을 위한 홈 아이콘(341)을 더 포함할 수 있고, 비상상황 통합관리 시스템(100)의 프로세서(150)는 사용자로부터 홈 아이콘(341)에 대한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제2 영상에서 이전의 제1 영상으로 디스플레이 화면을 전환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150)는 제2 영상에서 사용자가 작업 중인 내용(예를 들어, 비상상황 메모, 등)을 메모리(140)에 저장한 이후 제1 영상으로 디스플레이 화면을 전환하거나, 또는 사용자의 작업을 모두 초기화하여 삭제한 이후에 제2 영상에서 제1 영상으로 디스플레이 화면을 전환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상상황 통합관리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에 의하면, 대규모 산업시설에서 발생하는 각종 비상상황에 대한 정보를 공유할 수 있도록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비상상황에 대해 보다 신속한 대응이 가능하도록 각 비상상황별로 매뉴얼을 제공함으로써, 그에 따른 2차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 기재된 다양한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미들웨어, 마이크로코드, 소프트웨어 및/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양한 실시예들은 하나 이상의 주문형 반도체(ASIC)들,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들, 디지털 신호 프로세싱 디바이스(DSPD)들, 프로그램어블 논리 디바이스(PLD)들, 필드 프로그램어블 게이트 어레이(FPGA)들, 프로세서들, 컨트롤러들, 마이크로컨트롤러들, 마이크로프로세서들, 여기서 제시되는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설계되는 다른 전자 유닛들 또는 이들의 조합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다양한 실시예들은 명령들을 포함하는 컴퓨터-판독가능한 매체에 수록되거나 인코딩될 수 있다. 컴퓨터-판독가능한 매체에 수록 또는 인코딩된 명령들은 프로그램 가능한 프로세서 또는 다른 프로세서로 하여금 예컨대, 명령들이 실행될 때 방법을 수행하게끔 할 수 있다. 컴퓨터-판독가능한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포함하며,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컴퓨터-판독가능한 매체는 RAM, ROM, EEPROM, CD-ROM 또는 기타 광학 디스크 저장 매체, 자기 디스크 저장 매체 또는 기타 자기 저장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등은 본 명세서에 기술된 다양한 동작들 및 기능들을 지원하도록 동일한 디바이스 내에서 또는 개별 디바이스들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에서 "~부"로 기재된 구성요소들, 유닛들, 모듈들, 컴포넌트들 등은 함께 또는 개별적이지만 상호 운용가능한 로직 디바이스들로서 개별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모듈들, 유닛들 등에 대한 서로 다른 특징들의 묘사는 서로 다른 기능적 실시예들을 강조하기 위해 의도된 것이며, 이들이 개별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들에 의해 실현되어야만 함을 필수적으로 의미하지 않는다. 오히려, 하나 이상의 모듈들 또는 유닛들과 관련된 기능은 개별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들에 의해 수행되거나 또는 공통의 또는 개별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들 내에 통합될 수 있다.
특정한 순서로 동작들이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만, 이러한 동작들이 원하는 결과를 달성하기 위해 도시된 특정한 순서, 또는 순차적인 순서로 수행되거나, 또는 모든 도시된 동작이 수행되어야 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이해되지 말아야 한다. 임의의 환경에서는, 멀티태스킹 및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더욱이, 상술한 실시예에서 다양한 구성요소들의 구분은 모든 실시예에서 이러한 구분을 필요로 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기술된 구성요소들이 일반적으로 단일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함께 통합되거나 다수의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패키징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비상상황 통합관리 시스템
110: 입력 장치 120: 통신 모듈
130: 출력 장치 140: 메모리
150: 프로세서

Claims (17)

  1. 비상상황 통합관리 시스템의 구동 방법으로서,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해 복수의 메뉴 탭 아이콘들을 포함한 제1 영상을 출력하는 동작;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메뉴 탭 아이콘들 중 어느 하나의 메뉴 탭 아이콘을 선택하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동작; 및
    상기 선택된 어느 하나의 메뉴 탭 아이콘과 연동되는 제2 영상으로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을 전환하는 동작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영상은, 데이터 베이스에 미리 저장된 주요 시설 정보, 비상상황 표시 정보, 비상상황 조치 절차 정보 및 비상상황 보고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비상상황 표시 정보는 복수의 비상상황 아이콘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영상이 상기 비상상황 표시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복수의 비상상황 아이콘들 중 어느 하나의 비상상황 아이콘에 대한 드래그를 감지하는 동작;
    상기 드래그에 기초하여 상기 어느 하나의 비상상황 아이콘에 대응하는 비상상황 발생 위치를 표시하는 동작;
    상기 비상상황 발생 위치에 표시된 어느 하나의 비상상황 아이콘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동작; 및
    상기 어느 하나의 비상상황 아이콘을 다른 비상상황 아이콘들과 비교하여 크기를 크게 하거나 또는 색상을 진하게 표시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비상상황 통합관리 시스템의 구동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상황 표시 정보는 비상상황 메모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영상이 상기 비상상황 표시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비상상황 메모에 대한 드래그를 감지하는 동작; 및
    상기 드래그에 기초하여 상기 비상상황 메모의 위치를 표시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비상상황 통합관리 시스템의 구동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요 시설 정보는 복수의 주요 시설 지도들 및 복수의 주요 시설 탭 아이콘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영상이 상기 주요 시설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복수의 주요 시설 탭 아이콘들 중 어느 하나의 주요 시설 탭 아이콘을 선택하는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동작; 및
    상기 복수의 주요 시설 지도들 중 상기 어느 하나의 주요 시설 탭 아이콘과 연동된 주요 시설 지도를 출력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비상상황 통합관리 시스템의 구동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주요 시설 지도들은,
    GPS 모듈을 통해 수신된 주요 시설의 2차원 지도 또는 3차원 지도를 포함하는, 비상상황 통합관리 시스템의 구동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상황 조치 절차 정보는 복수의 비상상황 처리지침 매뉴얼 및 복수의 비상상황 탭 아이콘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영상이 상기 비상상황 조치 절차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복수의 비상상황 탭 아이콘들 중 어느 하나의 비상상황 탭 아이콘을 선택하는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동작; 및
    상기 복수의 비상상황 처리지침 매뉴얼 중 상기 어느 하나의 비상상황 탭 아이콘과 연동된 비상상황 처리지침 매뉴얼을 출력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비상상황 통합관리 시스템의 구동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상황 보고 정보는 복수의 보고서 양식들 및 복수의 상황 보고 탭 아이콘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영상이 상기 비상상황 보고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복수의 상황 보고 탭 아이콘들 중 어느 하나의 상황 보고 탭 아이콘을 선택하는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동작; 및
    상기 복수의 보고서 양식들 중 상기 어느 하나의 상황 보고 탭 아이콘과 연동된 보고서 양식을 출력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비상상황 통합관리 시스템의 구동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보고서 양식들은 상기 사용자에 의해 이전에 작성된 복수의 보고서 양식들을 포함하는, 비상상황 통합관리 시스템의 구동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상은 홈 아이콘을 더 포함하고,
    상기 홈 아이콘의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경우, 상기 제1 영상으로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을 전환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비상상황 통합관리 시스템의 구동 방법.
  9. 컴퓨터에 의해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10. 비상상황 통합관리 시스템으로서,
    출력 장치;
    입력 장치;
    메모리;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출력 장치를 통해 복수의 메뉴 탭 아이콘들을 포함한 제1 영상을 출력하고,
    상기 입력 장치를 통해 상기 복수의 메뉴 탭 아이콘들 중 어느 하나의 메뉴 탭 아이콘을 선택하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제1 영상에서 상기 어느 하나의 메뉴 아이콘과 연동되는 제2 영상을 출력하도록 상기 출력 장치를 제어하며,
    상기 제2 영상은, 상기 메모리에 미리 저장된 주요 시설 정보, 비상상황 표시 정보, 비상상황 조치 절차 정보 및 비상상황 보고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비상상황 표시 정보는 복수의 비상상황 아이콘들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제2 영상이 상기 비상상황 표시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입력 장치를 통해 상기 복수의 비상상황 아이콘들 중 어느 하나의 비상상황 아이콘에 대한 드래그를 감지하고,
    상기 드래그에 기초하여 상기 어느 하나의 비상상황 아이콘에 대응하는 비상상황 발생 위치를 표시하도록 상기 출력 장치를 제어하고,
    상기 입력 장치를 통해 상기 비상상황 발생 위치에 표시된 어느 하나의 비상상황 아이콘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하고,
    상기 터치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어느 하나의 비상상황 아이콘을 다른 비상상황 아이콘들과 비교하여 크기를 크게 하거나 또는 색상을 진하게 표시하도록 상기 출력 장치를 제어하는, 비상상황 통합관리 시스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상황 표시 정보는 비상상황 메모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제2 영상이 상기 비상상황 표시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입력 장치를 통해 상기 비상상황 메모에 대한 드래그를 감지하고, 상기 드래그에 기초하여 상기 비상상황 메모의 위치를 표시하도록 상기 출력 장치를 제어하는, 비상상황 통합관리 시스템.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주요 시설 정보는 복수의 주요 시설 지도들 및 복수의 주요 시설 탭 아이콘들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제2 영상이 상기 주요 시설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입력 장치를 통해 상기 복수의 주요 시설 탭 아이콘들 중 어느 하나의 주요 시설 탭 아이콘을 선택하는 터치 입력을 감지하고,
    상기 복수의 주요 시설 지도들 중 상기 어느 하나의 주요 시설 탭 아이콘과 연동된 주요 시설 지도를 출력하도록 상기 출력 장치를 제어하는, 비상상황 통합관리 시스템.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주요 시설 지도들은,
    GPS 모듈을 통해 수신된 주요 시설의 2차원 지도 또는 3차원 지도를 포함하는, 비상상황 통합관리 시스템.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상황 조치 절차 정보는 복수의 비상상황 처리지침 매뉴얼 및 복수의 비상상황 탭 아이콘들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제2 영상이 상기 비상상황 조치 절차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입력 장치를 통해 상기 복수의 비상상황 탭 아이콘들 중 어느 하나의 비상상황 탭 아이콘을 선택하는 터치 입력을 감지하고,
    상기 복수의 비상상황 처리지침 매뉴얼 중 상기 어느 하나의 비상상황 탭 아이콘과 연동된 비상상황 처리지침 매뉴얼을 출력하도록 상기 출력 장치를 제어하는, 비상상황 통합관리 시스템.
  15.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상황 보고 정보는 복수의 보고서 양식들 및 복수의 상황 보고 탭 아이콘들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제2 영상이 상기 비상상황 보고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입력 장치를 통해 상기 복수의 상황 보고 탭 아이콘들 중 어느 하나의 상황 보고 탭 아이콘을 선택하는 터치 입력을 감지하고,
    상기 복수의 보고서 양식들 중 상기 어느 하나의 상황 보고 탭 아이콘과 연동된 보고서 양식을 출력하도록 상기 출력 장치를 제어하는, 비상상황 통합관리 시스템.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보고서 양식들은 상기 사용자에 의해 이전에 작성된 복수의 보고서 양식들을 포함하는, 비상상황 통합관리 시스템.
  17.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상은 홈 아이콘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입력 장치를 통해 상기 홈 아이콘의 터치를 감지하면, 상기 제1 영상을 출력하도록 상기 출력 장치를 제어하는, 비상상황 통합관리 시스템.
KR1020210037019A 2021-03-23 2021-03-23 비상상황 통합관리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 KR1025598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7019A KR102559854B1 (ko) 2021-03-23 2021-03-23 비상상황 통합관리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7019A KR102559854B1 (ko) 2021-03-23 2021-03-23 비상상황 통합관리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2131A KR20220132131A (ko) 2022-09-30
KR102559854B1 true KR102559854B1 (ko) 2023-07-26

Family

ID=834516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7019A KR102559854B1 (ko) 2021-03-23 2021-03-23 비상상황 통합관리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985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84576B1 (ko) * 1997-11-20 2001-03-15 정선종 통신망 재난관리시스템의 처리방법
KR101345270B1 (ko) * 2012-07-20 2013-12-26 (주)경봉 현장 통제 기능이 향상된 통합 관제 시스템 및 방법
KR101589363B1 (ko) 2013-02-19 2016-02-12 (주)파슨텍 앱을 이용한 무인 원격 관제 시스템
KR101888502B1 (ko) 2016-10-27 2018-08-20 대한민국 통신망을 이용한 재난정보 통합 서비스 제공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04284A (ko) * 2013-02-20 2014-08-28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빌딩 에너지 관제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84576B1 (ko) * 1997-11-20 2001-03-15 정선종 통신망 재난관리시스템의 처리방법
KR101345270B1 (ko) * 2012-07-20 2013-12-26 (주)경봉 현장 통제 기능이 향상된 통합 관제 시스템 및 방법
KR101589363B1 (ko) 2013-02-19 2016-02-12 (주)파슨텍 앱을 이용한 무인 원격 관제 시스템
KR101888502B1 (ko) 2016-10-27 2018-08-20 대한민국 통신망을 이용한 재난정보 통합 서비스 제공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2131A (ko) 2022-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75484B2 (en) Method of controlling device having plurality of operating systems installed therein, and the device
RU2677595C2 (ru) Способ и аппаратура для отображения интерфейса приложения и электро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EP3023871B1 (en) Device for resizing window,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device to resize window
US9609108B2 (en) Electronic device, control method, and control program
US9874994B2 (en) Device, method and program for icon and/or folder management
US20150074606A1 (en) Methods and software for facilitating the selection of multiple items at an electronic device
US20130082959A1 (en) Device, method, and storage medium storing program
KR102062309B1 (ko) 화면 제어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20180055231A (ko) 아이콘을 이용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US9785324B2 (en) Device, method, and storage medium storing program
KR102547115B1 (ko) 어플리케이션을 전환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102543955B1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의 정보 제공 방법
US20170132742A1 (en) Context-based provision of screenshot modifications
US10778617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transferring data in an application to another application
EP2687972A2 (en) Techniques for programmable button on bezel of mobile terminal
KR102545665B1 (ko) 알림 정보 표시 방법 및 장치
US11537451B2 (en) Method and device for displaying notification
KR20180010071A (ko) 이메일 관리 방법 및 이를 위한 전자 장치
KR102057196B1 (ko) 정보 전송 방법 및 시스템과 그 기기
US20190012045A1 (en) Seamless workflow between mobile applications on portable device
KR102559854B1 (ko) 비상상황 통합관리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
EP3149981B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executing application
US9998584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20130024580A (ko) 이동 단말기 및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KR20180108182A (ko) 어플리케이션의 표시 비율 변경 방법 및 이를 구현한 전자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