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9832B1 - 탈착 및 부착 가능한 조명모듈을 구비하는 다기능 셀카봉 - Google Patents

탈착 및 부착 가능한 조명모듈을 구비하는 다기능 셀카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9832B1
KR102559832B1 KR1020210091771A KR20210091771A KR102559832B1 KR 102559832 B1 KR102559832 B1 KR 102559832B1 KR 1020210091771 A KR1020210091771 A KR 1020210091771A KR 20210091771 A KR20210091771 A KR 20210091771A KR 102559832 B1 KR102559832 B1 KR 1025598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source
turned
button
source uni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17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11124A (ko
Inventor
손지혜
Original Assignee
손지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지혜 filed Critical 손지혜
Priority to KR10202100917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9832B1/ko
Publication of KR202300111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11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98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9832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40Hand grips
    • F21V21/406Hand grips for portable light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 F21V23/046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the sensor sensing the level of ambient illumination, e.g. dawn or dusk senso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0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 H05B47/11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by determining the brightness or colour temperature of ambient light

Abstract

다기능 셀카봉은 몸체부, 지지부, 거치대, 조명모듈, 제1 모터부, 제2 모터부, 제1 버튼 및 제2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몸체부는 길이 조절이 가능하다. 상기 지지부는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서 연장되며, 복수의 다리부들을 포함한다. 상기 거치대는 상기 몸체부의 타측에서 연장되며, 휴대용 단말기를 거치할 수 있다. 상기 조명모듈은 상기 몸체부에서 탈착 및 부착이 가능하고, 상기 거치대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광원부를 포함한다. 제1 모터부는 상기 몸체부 내에 실장되며, 상기 거치대를 움직인다. 제2 모터부는 상기 몸체부 내에 실장되며, 상기 조명모듈을 움직인다. 제1 버튼은 상기 몸체부의 길이, 상기 광원부의 턴-온 및 턴-오프, 및 상기 복수의 다리부들의 움직임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어한다. 제2 버튼은 상기 제1 모터부 및 상기 제2 모터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어하며, 상기 제1 버튼과 인접하게 배치된다.

Description

탈착 및 부착 가능한 조명모듈을 구비하는 다기능 셀카봉 {MULTIFUNCTIONAL SELFIE STICK HAVING A DETACHABLE LIGHTING MOUDLE}
본 발명은 스마트폰 등과 같은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적당한 거리에서 셀프 카메라를 찍을 수 있는 셀카봉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조명모듈을 탈착 및 부착할 수 있으며, 조도감지 센서를 구비하는 다기능 셀카봉에 관한 것이다.
개인방송이 보편화됨에 따라, 개인이 스스로 영상을 촬영하고 편집하는 일이 늘어나고 있다. 이에 따라, 삼각대, 조명, 셀카봉 등 영상 촬영에 필요한 장비에 대한 수요도 늘어나고 있다. 또한 개개인의 선호 및 촬영목적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조명을 필요로 한다.
그런데, 기존의 제품들은 조명과 장치가 일체형으로 제작되어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다른 종류의 조명으로 교환하는 것이 어려웠다. 또한 기존 제품들의 조명은 외부 환경에 상관없이 일정한 조도의 빛을 조사하므로, 촬영에 필요한 일정한 수준의 조도를 유지 위해서는 사용자가 수동으로 조작하여야 하므로 사용하기가 불편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탈착 및 부착 가능한 조명모듈을 구비하므로, 사용자가 자신의 선호와 촬영목적에 맞게 스스로 조명을 교환할 수 있는 다기능 셀카봉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조도감지 센서를 구비하고, 조도감지 센서에서 감지되는 값에 따라 광원부에서 조사하는 빛의 밝기를 조절할 수 있는 다기능 셀카봉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셀카봉은 몸체부, 지지부, 거치대, 조명모듈, 제1 모터부, 제2 모터부, 제1 버튼, 및 제2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몸체부는 길이 조절이 가능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는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서 연장되며, 복수의 다리부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거치대는 상기 몸체부의 타측에서 연장되며, 휴대용 단말기를 거치할 수 있다. 상기 조명모듈은 상기 몸체부에서 탈착 및 부착이 가능하고, 상기 거치대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광원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모터부는 상기 몸체부 내에 실장되며, 상기 거치대를 움직일 수 있다. 제2 모터부는 상기 몸체부 내에 실장되며, 상기 조명모듈을 움직일 수 있다. 제1 버튼은 상기 몸체부의 길이, 상기 광원부의 턴-온 및 턴-오프, 및 상기 복수의 다리부들의 움직임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 제2 버튼은 상기 제1 모터부 및 상기 제2 모터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어하며, 상기 제1 버튼과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셀카봉에서 상기 몸체부는 제1 결합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명모듈은 제2 결합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결합부재와 상기 제2 결합부재 사이에 자기력이 작용하고, 상기 몸체부와 상기 조명모듈은 상기 자기력에 의해 서로 결합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셀카봉은 조도감지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도감지 센서는 주변 조도를 감지하고, 감지된 주변 조도가 제1 조도값 이상인 경우 상기 광원부가 턴-오프되고, 상기 감지된 주변 조도가 상기 제1 조도값 미만인 경우 상기 광원부가 턴-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셀카봉은 셀카봉은 조도감지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도감지 센서는 주변 조도를 감지하고, 감지된 주변 조도가 제1 조도값 이상인 경우 상기 조명모듈이 턴-오프되고, 상기 감지된 주변 조도가 상기 제1 조도값 미만 제2 조도값 이상인 경우 상기 광원부가 제1 밝기를 가지도록 턴-온되고, 상기 감지된 주변 조도가 상기 제2 조도값 미만인 경우 상기 광원부가 상기 제1 밝기보다 더 밝은 제2 밝기를 가지도록 턴-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가 상기 제1 버튼을 누르는 시간이 제1 시간 이상인 경우, 상기 몸체부가 제1 길이에서 제2 길이로 변하고, 사용자가 상기 제1 버튼을 누르는 시간이 상기 제1 시간 미만인 경우, 상기 광원부가 턴-오프상태인 경우에는 상기 광원부가 턴-온되고, 상기 광원부가 턴-온상태인 경우에는 상기 광원부가 턴-오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가 상기 제1 버튼을 누르는 시간이 제1 시간 이상인 경우, 상기 광원부가 턴-오프상태인 경우에는 상기 광원부가 턴-온되고, 상기 광원부가 턴-온상태인 경우에는 상기 광원부가 턴-오프되고, 사용자가 상기 제1 버튼을 누르는 시간이 상기 제1 시간 미만인 경우, 상기 몸체부가 제1 길이에서 제2 길이로 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가 상기 제1 버튼을 누르는 압력이 제1 압력 이상인 경우, 상기 몸체부가 제1 길이에서 제2 길이로 변하고, 사용자가 상기 제1 버튼을 누르는 압력이 0을 초과하고 상기 제1 압력 미만인 경우, 상기 광원부가 턴-오프상태인 경우에는 상기 광원부가 턴-온되고, 상기 광원부가 턴-온상태인 경우에는 상기 광원부가 턴-오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가 상기 제1 버튼을 누르는 압력이 제1 압력 이상인 경우, 상기 광원부가 턴-오프상태인 경우에는 상기 광원부가 턴-온되고, 상기 광원부가 턴-온상태인 경우에는 상기 광원부가 턴-오프되고, 사용자가 상기 제1 버튼을 누르는 압력이 0을 초과하고 상기 제1 압력 미만인 경우, 상기 몸체부가 제1 길이에서 제2 길이로 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가 상기 제1 버튼을 소정의 시간 이내에 2회 이상 누르는 경우, 상기 몸체부가 제1 길이에서 제2 길이로 변하고, 사용자가 상기 제1 버튼을 상기 제1 시간 이내에 1회 누르는 경우, 상기 광원부가 턴-오프상태일 때는 상기 광원부가 턴-온되고, 상기 광원부가 턴-온상태일 때는 상기 광원부가 턴-오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가 상기 제1 버튼을 소정의 시간 이내에 2회 이상 누르는 경우, 상기 광원부가 턴-오프상태일 때는 상기 광원부가 턴-온되고, 상기 광원부가 턴-온상태일 때는 상기 광원부가 턴-오프되고, 사용자가 상기 제1 버튼을 상기 제1 시간 이내에 1회 누르는 경우, 상기 몸체부가 제1 길이에서 제2 길이로 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조명모듈 및 상기 거치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몸체부와 나란하게 정의되는 제1 기준축을 기준으로 회전하거나,
상기 제1 기준축과 직교하는 제2 기준축을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셀카봉은 몸체부, 지지부, 거치대, 제1 모터부, 조명모듈, 및 스위치부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부는 길이 조절이 가능할 수 있다. 지지부는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서 연장되며, 복수의 다리부들을 포함할 수 있다. 거치대는 상기 몸체부의 타측에서 연장되며, 휴대용 단말기를 거치할 수 있다. 제1 모터부는 상기 몸체부 내에 실장되며, 상기 거치대를 움직일 수 있다. 조명모듈은 상기 몸체부에서 탈착 및 부착이 가능하고, 상기 거치대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광원부 및 상기 광원부를 움직이는 제2 모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스위치부는 상기 몸체부의 일면에 배치되며, 제1 버튼 및 제2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버튼은 상기 몸체부의 길이, 상기 광원부의 턴-온 및 턴-오프, 및 상기 복수의 다리부들의 움직임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2 버튼은 상기 제1 모터부 및 상기 제2 모터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어하며, 상기 제2 버튼은 상기 제1 버튼과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몸체부는 상기 스위치부에서 전기적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리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몸체부에서 탈착 및 부착이 가능할 수 있다. 상기 스위치부가 상기 몸체부에서 탈착되는 경우,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몸체부의 상기 리시버에 무선으로 상기 전기적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조명모듈을 사용자 스스로 탈착 및 부착할 수 있으므로 사용하기 편리하며, 제품의 상품성이 향상된 다기능 셀카봉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조도감지 센서를 구비하고 조도감지 센서에서 감지된 조도값을 기준으로 광원부에서 조사하는 빛의 밝기를 조절하므로, 사용자가 자신이 원하는 촬영환경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스위치부를 조작하여 원격으로 거치대 및 조명모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회전시킬 수 있으므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셀카봉의 모습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셀카봉의 모습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셀카봉의 모습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셀카봉의 블록도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탈착 및 부착이 가능한 조명모듈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셀카봉에서 조도감지 센서에서 감지된 조도값을 기준으로 광원부에서 조사되는 빛의 밝기가 조절되는 조명설정단계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셀카봉을 사용자가 스위치부를 이용하여 제어하는 모습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셀카봉의 블록도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셀카봉의 모습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비율 및 치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일 수 있다.
"포함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셀카봉(MS)의 모습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셀카봉(MS)의 몸체부(BD) 및 지지부(SP)의 다리부(LG)들이 펼쳐지지 않은 모습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셀카봉(MS)의 모습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셀카봉(MS)의 몸체부(BD)가 펼쳐진 모습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셀카봉(MS)의 모습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셀카봉(MS)의 몸체부(BD) 및 지지부(SP)의 다리부(LG)들이 펼쳐진 모습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셀카봉(MS)의 블록도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셀카봉(MS)은 몸체부(BD), 조명모듈(LM), 지지부(SP), 거치대(HD), 제1 모터부(MT1), 및 제2 모터부(MT2)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부(BD)는 제1 결합부재(MG1), 배터리부(BT), 제1 버튼(PB1) 및 제2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결합부재(MG1)는 제2 결합부재(MG2)와 근접할 때, 서로 자기 인력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5에서 자세히 설명한다.
배터리부(BT)는 제1 모터부(MT1), 제2 모터부(MT2), 광원부(LS) 및 조도감지 센서(SS) 각각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제1 모터부(MT1) 및 제2 모터부(MT2)는 몸체부(BD)에 실장되어 각각 거치대(HD) 및 조명모듈(LM)을 움직일 수 있다. 몸체부(BD)와 나란하게 정의되는 축은 제1 기준축(DR1)으로, 상기 제1 기준축(DR1)과 직교하는 축은 제2 기준축(DR2)으로 정의된다. 거치대(HD) 및 조명모듈(LM)은 각각 제1 모터부(MT1) 및 제2 모터부(MT2) 구동에 의해, 제1 기준축(DR1) 및 제2 기준축(DR2)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다.
제1 버튼(PB1) 및 제2 버튼(PB2)은 몸체부(BD)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버튼(PB1)은 몸체부(BD)의 길이, 광원부(LS)의 턴-온 및 턴-오프, 및 복수의 다리부(LG)들의 움직임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
다기능 셀카봉(MS)의 몸체부(BD)가 펼쳐지지 않은 상태는 제1 상태(도 1 참조), 다기능 셀카봉(MS)의 몸체부(BD)가 펼쳐진 상태는 제2 상태(도 2 참조), 다기능 셀카봉(MS)의 몸체부(BD) 및 다리부(LG)가 펼쳐진 상태는 제3 상태(도 3 참조)로 정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다기능 셀카봉(MS)이 상기 제1 상태일 때 사용자가 제1 버튼(PB1)을 누르는 시간이 소정의 제1 기간 이상인 경우, 몸체부(BD)가 펼쳐져 상기 제2 상태로 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기간은 약 1초일 수 있다.
다기능 셀카봉(MS)이 상기 제2 상태일 때 사용자가 제1 버튼(PB1)을 누르는 시간이 소정의 제1 기간 이상인 경우, 다리부(LG)가 펼쳐져 상기 제3 상태로 변할 수 있다.
사용자가 제1 버튼(PB1)을 누르는 시간이 소정의 제1 기간 미만인 경우, 광원부(LS)가 턴-오프상태인 경우에는 광원부(LS)가 턴-온되고, 상기 광원부(LS)가 턴-온상태인 경우에는 상기 광원부(LS)가 턴-오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다기능 셀카봉(MS)이 상기 제1 상태일 때, 사용자가 제1 버튼(PB1)을 누르는 시간이 소정의 제1 기간 미만인 경우, 몸체부(BD)가 펼쳐져 상기 제2 상태로 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기간은 약 1초일 수 있다.
다기능 셀카봉(MS)이 상기 제2 상태일 때, 사용자가 제1 버튼(PB1)을 누르는 시간이 소정의 제1 기간 미만인 경우, 다리부(LG)가 펼쳐져 상기 제3 상태로 변할 수 있다.
사용자가 제1 버튼(PB1)을 누르는 시간이 소정의 제1 기간 이상인 경우, 광원부(LS)가 턴-오프상태인 경우에는 광원부(LS)가 턴-온되고, 상기 광원부(LS)가 턴-온상태인 경우에는 상기 광원부(LS)가 턴-오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다기능 셀카봉(MS)이 상기 제1 상태일 때 사용자가 제1 버튼(PB1)을 누르는 압력이 소정의 제1 압력 이상인 경우, 몸체부(BD)가 펼쳐져 상기 제2 상태로 변할 수 있다.
다기능 셀카봉(MS)이 상기 제2 상태일 때 사용자가 제1 버튼(PB1)을 누르는 압력이 소정의 제1 압력 이상인 경우, 다리부(LG)가 펼쳐져 상기 제3 상태로 변할 수 있다.
사용자가 제1 버튼(PB1)을 누르는 압력이 0을 초과하고 소정의 제1 압력 미만인 경우, 광원부(LS)가 턴-오프상태인 경우에는 광원부(LS)가 턴-온되고, 상기 광원부(LS)가 턴-온상태인 경우에는 상기 광원부(LS)가 턴-오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다기능 셀카봉(MS)이 상기 제1 상태일 때 사용자가 제1 버튼(PB1)을 누르는 압력이 0을 초과하고 소정의 제1 압력 미만인 경우, 몸체부(BD)가 펼쳐져 상기 제2 상태로 변할 수 있다.
다기능 셀카봉(MS)이 상기 제2 상태일 때 사용자가 제1 버튼(PB1)을 누르는 압력이 0을 초과하고 소정의 제1 압력 미만인 경우, 다리부(LG)가 펼쳐져 상기 제3 상태로 변할 수 있다.
사용자가 제1 버튼(PB1)을 누르는 압력이 소정의 제1 압력 이상인 경우, 광원부(LS)가 턴-오프상태인 경우에는 광원부(LS)가 턴-온되고, 상기 광원부(LS)가 턴-온상태인 경우에는 상기 광원부(LS)가 턴-오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다기능 셀카봉(MS)이 상기 제1 상태일 때 사용자가 제1 버튼(PB1)을 제1 시간 이내에 2회 이상 누르는 경우, 몸체부(BD)가 펼쳐져 상기 제2 상태로 변할 수 있다.
다기능 셀카봉(MS)이 상기 제2 상태일 때 사용자가 제1 버튼(PB1)을 제1 시간 이내에 2회 이상 누르는 경우, 다리부(LG)가 펼쳐져 상기 제3 상태로 변할 수 있다.
사용자가 제1 버튼(PB1)을 제1 시간 이내에 1회 누르는 경우, 광원부(LS)가 턴-오프상태인 경우에는 광원부(LS)가 턴-온되고, 상기 광원부(LS)가 턴-온상태인 경우에는 상기 광원부(LS)가 턴-오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다기능 셀카봉(MS)이 상기 제1 상태일 때 사용자가 제1 버튼(PB1)을 제1 시간 이내에 1회 누르는 경우, 몸체부(BD)가 펼쳐져 상기 제2 상태로 변할 수 있다.
다기능 셀카봉(MS)이 상기 제2 상태일 때 사용자가 제1 버튼(PB1)을 제1 시간 이내에 1회 누르는 경우, 다리부(LG)가 펼쳐져 상기 제3 상태로 변할 수 있다.
사용자가 제1 버튼(PB1)을 제1 시간 이내에 2회 이상 누르는 경우, 광원부(LS)가 턴-오프상태인 경우에는 광원부(LS)가 턴-온되고, 상기 광원부(LS)가 턴-온상태인 경우에는 상기 광원부(LS)가 턴-오프될 수 있다.
제2 버튼(PB2)은 제1 버튼(PB1)에 인접하여 배치되며, 제1 모터부(MT1) 및 제2 모터부(MT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움직임을 제어할 수 있다.
조명모듈(LM)은 제2 결합부재(MG2), 광원부(LS) 및 조도감지 센서(SS)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결합부재(MG1) 및 제2 결합부재(MG2)에 의해 탈착 및 부착 가능한 조명모듈(LM)의 구성에 대해서는, 도 5에서 자세히 설명한다.
광원부(LS)는 배터리부(BT)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사용자가 촬영하기 위해 필요한 빛을 조사할 수 있다.
조도감지 센서(SS)는 촬영장소인 주변의 조도를 감지할 수 있다.
광원부(LS)에서 조사하는 빛의 밝기는 조도감지 센서(SS)로부터 감지된 주변 조도를 기준으로 조절될 수 있다. 구체적인 조절방법은 도 6에서 자세히 설명한다.
거치대(HD)는 몸체부(BD)의 일측에서 연장되며, 복수의 다리부(LG)들을 포함할 수 있다. 거치대(HD)에는 휴대용 단말기(PD)가 고정될 수 있다.
지지부(SP)에는 복수의 다리부(LG)가 포함될 수 있다. 각 다리부(LG)는 지면에 맞닿아 다기능 셀카봉(MS)을 지지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탈부착 가능한 조명모듈(LM)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몸체부(BD)에 포함된 제1 결합부재(MG1)와 조명모듈(LM)에 포함된 제2 결합부재(MG2)간에는 자기 인력이 작용하여, 몸체부(BD)와 조명모듈(LM)이 서로 결합할 수 있다.
몸체부(BD)와 조명모듈(LM)이 맞닿아 결합하는 면에 배치되어, 전력 공급 및 전기적 신호 전달을 수행할 수 있는 전극(미도시)이 몸체부(BD) 및 조명모듈(LM) 각각에 포함될 수 있다.
몸체부(BD)와 조명모듈(LM)이 맞닿아 결합하는 면에는, 제2 모터부(MT2)에서 발생한 동력을 전달하고, 조명모듈(LM)과 맞물려 회전할 수 있는 구조물(미도시)이 포함될 수 있다.
제1 결합부재(MG1) 및 제2 결합부재(MG2) 중 하나가 자석이면, 다른 하나는 반대극성의 자석이거나 자석에 끌리는 물질 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 결합부재(MG1)가 N극 영구자석인 경우, 제2 결합부재(MG2)는 S극 영구자석이거나, 자석에 끌리는 물질일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러한 예시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셀카봉(MS)에서 조도감지 센서(SS)에서 감지된 주변 조도값을 기준으로 광원부(LS)에서 조사되는 빛의 밝기가 조절되는 조명설정단계(S10)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조명설정단계(S10)는 조도값 측정단계(S100), 제1 조도값 비교 단계(S110), 광원부 턴-오프단계(S111), 제2 조도값 비교 단계(S120), 제1 광원부 설정 단계(S121), 제3 조도값 비교 단계(S130), 제2 광원부 설정 단계(S131), 및 제3 광원부 설정 단계(S132)를 포함할 수 있다.
조도값 측정단계(S100)에서는 조도감지 센서(SS)에 의해, 주변 조도값이 측정될 수 있다. 조도값 측정단계(S100)가 수행되고나면, 제1 조도값 비교 단계(S110)가 수행될 수 있다.
제1 조도값 비교 단계(S110)에서는 조도값 측정단계(S100)에서 측정된 주변 조도값이 제1 조도값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1 조도값 비교 단계(S110)에서 조도값 측정단계(S100)에서 측정된 주변 조도값이 제1 조도값 이상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광원부 턴-오프단계(S111)가 수행될 수 있다.
제1 조도값 비교 단계(S110)에서 조도값 측정단계(S100)에서 측정된 주변 조도값이 제1 조도값 미만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제2 조도값 비교 단계(S120)가 수행될 수 있다.
제2 조도값 비교 단계(S120)에서는 조도값 측정단계(S100)에서 측정된 주변 조도값이 제2 조도값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2 조도값 비교 단계(S120)에서 조도값 측정단계(S100)에서 측정된 주변 조도값이 제2 조도값 이상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제1 광원부 설정 단계(S121)가 수행될 수 있다.
제1 광원부 설정 단계(S121)에서 광원부(LS)가 조사하는 빛의 밝기는 제1 값으로 조절될 수 있다.
제2 조도값 비교 단계(S120)에서 조도값 측정단계(S100)에서 측정된 주변 조도값이 제2 조도값 미만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제3 조도값 비교 단계(S130)가 수행될 수 있다.
제3 조도값 비교 단계(S130)에서는 조도값 측정단계(S100)에서 측정된 주변 조도값이 제3 조도값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3 조도값 비교 단계(S130)에서 조도값 측정단계(S100)에서 측정된 주변 조도값이 제3 조도값 이상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제2 광원부 설정 단계(S131)가 수행될 수 있다.
제2 광원부 설정 단계(S131)에서 광원부(LS)가 조사하는 빛의 밝기는 제2 값으로 조절될 수 있다.
제3 조도값 비교 단계(S130) 조도값 측정단계(S100)에서 측정된 주변 조도값이 제3 조도값 미만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제3 광원부 설정 단계(S132)가 수행될 수 있다.
제3 광원부 설정 단계(S132)에서 광원부(LS)가 조사하는 빛의 밝기는 제3 값으로 조절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셀카봉(MS-1)을 사용자가 스위치부(SW)를 이용하여 제어하는 모습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셀카봉(MS-1)의 블록도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도 1, 2, 및 3에서 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와 달리, 제1 버튼(PB1) 및 제2 버튼(PB2)을 포함하는 스위치부(SW)는 몸체부(BD)에 대해 탈착 및 부착될 수 있다. 스위치부(SW)는 몸체부(BD)와 분리되어, 사용자가 원격으로 스위치부(SW)상에 배치된 제1 버튼(PB1) 및 제2 버튼(PB2)을 조작할 수 있다. 스위치부(SW)가 몸체부(BD)에서 탈착되는 경우, 스위치부(SW)는 사용자가 제1 버튼(PB1) 및 제2 버튼(PB2)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조작하여 발생한 전기적 신호를 몸체부(BD)의 리시버(RC)에 무선으로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셀카봉(MS-1)은 몸체부(BD-1), 조명모듈(LM-1), 제1 모터부(MT1), 제2 모터부(MT2), 스위치부(SW), 지지부(SP) 및 거치대(HD)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부(BD-1)는 제1 결합부재(MG1), 제1 배터리부(BT1), 및 리시버(RC)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배터리부(BT1)는 제1 모터부(MT1) 및 리시버(RC) 각각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제1 모터부(MT1)는 몸체부(BD-1)에 실장되어 거치대(HD)를 움직일 수 있다. 몸체부(BD)와 나란하게 정의되는 축은 제1 기준축(DR1), 상기 제1 기준축(DR1)과 직교하는 축은 제2 기준축(DR2)으로 정의된다. 거치대(HD)는 제1 모터부(MT1) 구동에 의해, 제1 기준축(DR1) 및 제2 기준축(DR2)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다.
제2 모터부(MT2)는 조명모듈(LM-1)에 실장되어, 조명모듈(LM)을 움직일 수 있다. 조명모듈(LM)은 제2 모터부(MT2) 구동에 의해, 상기 제1 기준축(DR1) 및 상기 제2 기준축(DR2)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다.
스위치부(SW)는 제1 버튼(PB1) 및 제2 버튼(PB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버튼(PB1)은 몸체부(BD-1)의 길이, 광원부(LS)의 턴-온 및 턴-오프, 및 복수의 다리부(LG)들의 움직임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
조명모듈(LM-1)은 제2 결합부재(MG2), 제2 배터리부(BT2), 광원부(LS), 조도감지 센서(SS), 및 제어부(CT)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배터리부(BT2)는 광원부(LS), 조도감지 센서(SS), 제어부(CT), 및 제2 모터부(MT2) 각각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광원부(LS)는 제2 배터리부(BT2)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사용자가 촬영하기 위해 필요한 빛을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CT)는 조도감지 센서(SS)에서 감지된 주변 조도값을 수신하고, 수신한 주변 조도값을 기준으로 광원부(LS)에서 조사하는 빛의 밝기를 조절할 수 있다.
그 외 다른 구성요소들에 대한 설명은 도 4에서 설명한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셀카봉(MS-2)의 모습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셀카봉(MS-2)에서, 조명모듈(LM-2)은 몸체부(BD)와 거치대(HD)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조명모듈(LM-2)은 고리모양으로 구성될 수 있다. 조명모듈(LM-2)은 탈착 및 부착이 가능하므로,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교체할 수 있다. 그 외 구성요소들에 대한 설명은 도 4에서 설명한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고,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 및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MS: 다기능 셀카봉 PD: 휴대용 단말기
BD: 몸체부 SP: 지지부
LG: 다리부 LM: 조명모듈
SW: 스위치부 HD: 거치대
LS: 광원부

Claims (12)

  1. 길이 조절이 가능한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서 연장되며, 복수의 다리부들을 포함하는 지지부;
    상기 몸체부의 타측에서 연장되며, 휴대용 단말기를 거치할 수 있는 거치대;
    상기 몸체부에서 탈착 및 부착이 가능하고, 상기 거치대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광원부를 포함하는 조명모듈;
    상기 몸체부 내에 실장되며, 상기 거치대를 움직이는 제1 모터부;
    상기 몸체부 내에 실장되며, 상기 조명모듈을 움직이는 제2 모터부;
    상기 몸체부의 길이, 상기 광원부의 턴-온 및 턴-오프, 및 상기 복수의 다리부들의 움직임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어하는 제1 버튼;
    상기 제1 모터부 및 상기 제2 모터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어하며, 상기
    제1 버튼과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2 버튼을 포함하고,
    조도감지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조도감지 센서는 주변 조도를 감지하고, 감지된 주변 조도가 제1 조도값 이상인 경우 상기 조명모듈이 턴-오프되고, 상기 감지된 주변 조도가 상기 제1 조도값 미만 제2 조도값 이상인 경우 상기 광원부가 제1 밝기를 가지도록 턴-온되고, 상기 감지된 주변 조도가 상기 제2 조도값 미만인 경우 상기 광원부가 상기 제1 밝기보다 더 밝은 제2 밝기를 가지도록 턴-온되는 다기능 셀카봉.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제1 결합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조명모듈은 제2 결합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결합부재와 상기 제2 결합부재 사이에 자기력이 작용하고, 상기 몸체부와 상기 조명모듈은 상기 자기력에 의해 서로 결합가능한 다기능 셀카봉.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다기능 셀카봉은 조도감지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조도감지 센서는 주변 조도를 감지하고, 감지된 주변 조도가 제1 조도값 이상인 경우 상기 광원부가 턴-오프되고, 상기 감지된 주변 조도가 상기 제1 조도값 미만인 경우 상기 광원부가 턴-온되는 다기능 셀카봉.
  4. 삭제
  5. 제1 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상기 제1 버튼을 누르는 시간이 제1 시간 이상인 경우, 상기 몸체부가 제1 길이에서 제2 길이로 변하고, 사용자가 상기 제1 버튼을 누르는 시간이 상기 제1 시간 미만인 경우, 상기 광원부가 턴-오프상태인 경우에는 상기 광원부가 턴-온되고, 상기 광원부가 턴-온상태인 경우에는 상기 광원부가 턴-오프되는 다기능 셀카봉.
  6. 제1 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상기 제1 버튼을 누르는 시간이 제1 시간 이상인 경우, 상기 광원부가 턴-오프상태인 경우에는 상기 광원부가 턴-온되고, 상기 광원부가 턴-온상태인 경우에는 상기 광원부가 턴-오프되고, 사용자가 상기 제1 버튼을 누르는 시간이 상기 제1 시간 미만인 경우, 상기 몸체부가 제1 길이에서 제2 길이로 변하는 다기능 셀카봉.
  7. 제1 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상기 제1 버튼을 누르는 압력이 제1 압력 이상인 경우, 상기 몸체부가 제1 길이에서 제2 길이로 변하고, 사용자가 상기 제1 버튼을 누르는 압력이 0을 초과하고 상기 제1 압력 미만인 경우, 상기 광원부가 턴-오프상태인 경우에는 상기 광원부가 턴-온되고, 상기 광원부가 턴-온상태인 경우에는 상기 광원부가 턴-오프되는 다기능 셀카봉.
  8. 제1 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상기 제1 버튼을 누르는 압력이 제1 압력 이상인 경우, 상기 광원부가 턴-오프상태인 경우에는 상기 광원부가 턴-온되고, 상기 광원부가 턴-온상태인 경우에는 상기 광원부가 턴-오프되고, 사용자가 상기 제1 버튼을 누르는 압력이 0을 초과하고 상기 제1 압력 미만인 경우, 상기 몸체부가 제1 길이에서 제2 길이로 변하는 다기능 셀카봉.
  9. 제1 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상기 제1 버튼을 소정의 시간 이내에 2회 이상 누르는 경우, 상기 몸체부가 제1 길이에서 제2 길이로 변하고, 사용자가 상기 제1 버튼을 상기 소정의 시간 이내에 1회 누르는 경우, 상기 광원부가 턴-오프상태일 때는 상기 광원부가 턴-온되고, 상기 광원부가 턴-온상태일 때는 상기 광원부가 턴-오프되는 다기능 셀카봉.
  10. 제1 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상기 제1 버튼을 소정의 시간 이내에 2회 이상 누르는 경우, 상기 광원부가 턴-오프상태일 때는 상기 광원부가 턴-온되고, 상기 광원부가 턴-온상태일 때는 상기 광원부가 턴-오프되고, 사용자가 상기 제1 버튼을 상기 소정의 시간 이내에 1회 누르는 경우, 상기 몸체부가 제1 길이에서 제2 길이로 변하는 다기능 셀카봉.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모듈 및 상기 거치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몸체부와 나란하게 정의되는 제1 기준축을 기준으로 회전하거나,
    상기 제1 기준축과 직교하는 제2 기준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다기능 셀카봉.
  12. 길이 조절이 가능한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서 연장되며, 복수의 다리부들을 포함하는 지지부;
    상기 몸체부의 타측에서 연장되며, 휴대용 단말기를 거치할 수 있는 거치대;
    상기 몸체부 내에 실장되며, 상기 거치대를 움직이는 제1 모터부;
    상기 몸체부에서 탈착 및 부착이 가능하고, 상기 거치대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광원부 및 상기 광원부를 움직이는 제2 모터부를 포함하는 조명모듈; 및
    상기 몸체부의 일면에 배치되며, 제1 버튼 및 제2 버튼을 포함하는 스위치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버튼은 상기 몸체부의 길이, 상기 광원부의 턴-온 및 턴-오프, 및
    상기 복수의 다리부들의 움직임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어하고,
    상기 제2 버튼은 상기 제1 모터부 및 상기 제2 모터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어하며, 상기 제2 버튼은 상기 제1 버튼과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몸체부는 상기 스위치부에서 전기적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리시버를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몸체부에서 탈착 및 부착이 가능하며,
    상기 스위치부가 상기 몸체부에서 탈착되는 경우,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몸체부의 상기 리시버에 무선으로 상기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고,
    조도감지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조도감지 센서는 주변 조도를 감지하고, 감지된 주변 조도가 제1 조도값 이상인 경우 상기 조명모듈이 턴-오프되고, 상기 감지된 주변 조도가 상기 제1 조도값 미만 제2 조도값 이상인 경우 상기 광원부가 제1 밝기를 가지도록 턴-온되고, 상기 감지된 주변 조도가 상기 제2 조도값 미만인 경우 상기 광원부가 상기 제1 밝기보다 더 밝은 제2 밝기를 가지도록 턴-온되는 다기능 셀카봉.
KR1020210091771A 2021-07-13 2021-07-13 탈착 및 부착 가능한 조명모듈을 구비하는 다기능 셀카봉 KR1025598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1771A KR102559832B1 (ko) 2021-07-13 2021-07-13 탈착 및 부착 가능한 조명모듈을 구비하는 다기능 셀카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1771A KR102559832B1 (ko) 2021-07-13 2021-07-13 탈착 및 부착 가능한 조명모듈을 구비하는 다기능 셀카봉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1124A KR20230011124A (ko) 2023-01-20
KR102559832B1 true KR102559832B1 (ko) 2023-07-26

Family

ID=851085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1771A KR102559832B1 (ko) 2021-07-13 2021-07-13 탈착 및 부착 가능한 조명모듈을 구비하는 다기능 셀카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983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045805A (ja) * 2017-09-07 2019-03-22 パナソニック フォト・ライティング 株式会社 照明装置および撮像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28277A (ko) * 2015-02-12 2015-03-13 주식회사 삐삐클리닉 전동셀카봉
KR20170098413A (ko) * 2016-02-20 2017-08-30 김영기 조명장치가 구비된 셀카스틱을 부착한 휴대폰케이스
KR20180072619A (ko) * 2018-06-11 2018-06-29 정승현 조명장치가 구비된 셀카스틱을 부착한 휴대폰케이스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045805A (ja) * 2017-09-07 2019-03-22 パナソニック フォト・ライティング 株式会社 照明装置および撮像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1124A (ko) 2023-0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8516378A (ja) 自撮り用装置
TW200519521A (en) Digital camera with a detachable display as a remote control
KR20120082110A (ko) 핸드폰 카메라 자가촬영 원격 제어 장치
US20090235006A1 (en) Baby Monitoring System with a Receiver Docking Station
KR101454761B1 (ko) 비접촉방식의 작동이 가능한 랜턴
TWI587050B (zh) 螢幕輔助照明裝置
KR102559832B1 (ko) 탈착 및 부착 가능한 조명모듈을 구비하는 다기능 셀카봉
JP2000147615A (ja) 撮像装置
JP5341234B2 (ja) 可変色発光モジュールおよびランプ器具
US6999248B2 (en) Magnifying optical system with a variable color LED
JP2018025582A (ja) Led照明の点灯制御
JP2014153669A (ja) 撮像装置、撮像方法および発光装置
WO2017078604A1 (en) A control device for a lighting system
WO2017139169A1 (en) Automatic follow focus system
JP6362490B2 (ja) 撮像装置、外部機器、撮像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
US9515730B2 (en) Visible light communication terminal
KR20160011437A (ko) 블루투스를 이용한 스마트폰의 네이티브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을 원격 구동 및 제어하는 장치와 그 장치가 속한 막대형 스마트폰 거치대
WO2022041574A1 (zh) 一种散热框、相机、摄像组件及云台结构
US20220187684A1 (en) External light source for mobile devices
CN114269055A (zh) 一种灯具
US20210258462A1 (en) Device for supporting a smartphone or camera
CN110118315B (zh) 一种照明灯具
CN110740248A (zh) 具有自动定位稳定控制的摄影配件承载装置
CN209819310U (zh) 一种照明灯具
CN114110541B (zh) 可插拔无线模块的可拆卸式调光电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