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9640B1 - 혈당 측정 시스템 - Google Patents

혈당 측정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9640B1
KR102559640B1 KR1020210013967A KR20210013967A KR102559640B1 KR 102559640 B1 KR102559640 B1 KR 102559640B1 KR 1020210013967 A KR1020210013967 A KR 1020210013967A KR 20210013967 A KR20210013967 A KR 20210013967A KR 102559640 B1 KR102559640 B1 KR 1025596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terminal
blood glucose
glucose measurement
module
optical recogn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39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11752A (ko
Inventor
김승탁
김정식
박영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필로시스
주식회사 피에이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필로시스, 주식회사 피에이치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필로시스
Priority to KR10202100139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9640B1/ko
Publication of KR202201117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17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96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96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 A61B5/14532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for measuring glucose, e.g. by tissue impedance measure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 A61B5/145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using optical sensors, e.g. spectral photometrical oxime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87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mounted on external non-worn devices, e.g. non-medical devices
    • A61B5/6898Portable consumer electronic devices, e.g. music players, telephones, tablet compu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6Alarms related to a physiological condition, e.g. details of setting alarm thresholds or avoiding false alar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65Arrangements for interactive communication between patient and care services, e.g. by using a telephone network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1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drugs or medications, e.g. for ensuring correct administration to pat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0/00Constructional details of operational features of apparatus; Accessories for medical measuring apparatus
    • A61B2560/02Operational features
    • A61B2560/0204Operational features of power management
    • A61B2560/0214Operational features of power management of power generation or supp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0/00Constructional details of operational features of apparatus; Accessories for medical measuring apparatus
    • A61B2560/02Operational features
    • A61B2560/0266Operational features for monitoring or limiting apparatus fun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02Details of sensors specially adapted for in-vivo measurements
    • A61B2562/0271Thermal or temperature senso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at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Multimedia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Nursing (AREA)
  • Physi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일 실시예에 따른 혈당 측정 시스템은 모바일 단말에 장착 가능한 모바일 단말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모바일 단말 케이스는, 기판; 상기 기판에 배치되고, 삽입 방향을 따라 스트립 삽입구에 삽입된 테스트 스트립에 함유(contain)된 대상 환자의 혈당을 측정하는 혈당 측정 모듈; 상기 기판에 배치되고, 상기 삽입 방향에 대응하는 스캔 방향을 향해 상기 대상 환자의 환자 정보를 지시하는 코드 정보의 광학 인식을 수행하는 광학 인식 모듈; 상기 기판에 배치되고, 상기 혈당 측정 모듈에 의해 측정된 정보 및 상기 광학 인식 모듈에 의해 인식된 정보를 처리함으로써 혈당 센싱 데이터 및 환자 데이터를 생성하는 프로세서; 모바일 단말이 상기 모바일 단말 케이스에 장착되는 경우에 응답하여 상기 기판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소자와 상기 모바일 단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처리된 데이터를 상기 모바일 단말로 전송하는 연장 케이블(extension cable); 및 상기 기판, 상기 혈당 측정 모듈, 상기 광학 인식 모듈, 상기 프로세서, 및 상기 연장 케이블을 수용(accommodate)하고, 상기 모바일 단말에 장착 가능한 구조 및 상기 연장 케이블이 관통 삽입되고 상기 연장 케이블을 고정하도록 내면(inner side)에 형성된 구멍을 갖는 하우징(housing)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혈당 측정 시스템{BLOOD GLUCOSE MEASUREMENT SYSTEM}
이하, 혈당 측정 시스템에 관한 기술이 제공된다.
종래의 인슐린 의존 환자는, 자가 혈당 측정 기기(Self measurement blood glucose)로 공복, 점심 식후, 저녁 식전, 저녁 식후, 및 취침 전 등의 각 시점마다 혈당을 측정해야 했다. 인슐린 의존 환자는, 상술한 혈당 측정 결과에서 혈당조절이 필요한 경우, 인슐린 주사기를 이용하여 스스로 적절한 양의 인슐린을 결정하여 주입함으로써, 혈당을 관리했다.
상술한 혈당 관리를 위해서는 자가 혈당 측정 기기, 인슐린 카트리지, 인슐린 주입장치 등이 요구된다. 또한, 인슐린 의존 환자는 측정된 혈당수치와 주입한 인슐린의 양을 정확히 기록하고, 해당 기록을 전문의에게 보여주어 피드백을 받아야 했다.
예를 들어, 인슐린 의존 환자는, 현재 자신의 혈당수치를 확인하기 위해 란셋을 통해 피부를 뚫어서 채취된 혈액을 테스트 스트립에 떨어트려서 자가 혈당 측정 기기를 통해 현재 혈당수치를 확인할 수 있다. 그 후, 자가 혈당 측정 기기를 통해 혈당조절이 필요하다고 확인이 된 경우, 인슐린 의존 환자는 인슐린주입기를 준비할 수 있다. 인슐린 의존 환자는 의사가 권고한 만큼의 주입량을 인슐린주입기에 수동으로 설정해야 한다. 또한, 인슐린 의존 환자는 인슐린 주입기를 주사할 피부 부위에 올려놓은 후, 수동으로 주입해야 한다. 더 나아가, 인슐린 의존 환자는 혈당조절기록지 등에 측정된 혈당수치와 인슐린주입량을 직접 기록해야 한다.
이러한 혈당 수치 및 약물 주입량 등을 의사 및 다른 사람에게 공유하는 기술이 요구된다.
삭제
대한민국 특허등록공보 제10-1466690호(등록일: 2014년 11월 24일)
일 실시예에 따른 혈당 측정 시스템은 모바일 단말에 장착 가능한 모바일 단말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모바일 단말 케이스는, 기판; 상기 기판에 배치되고, 삽입 방향을 따라 스트립 삽입구에 삽입된 테스트 스트립에 함유(contain)된 대상 환자의 혈당을 측정하는 혈당 측정 모듈; 상기 기판에 배치되고, 상기 삽입 방향에 대응하는 스캔 방향을 향해 상기 대상 환자의 환자 정보를 지시하는 코드 정보의 광학 인식을 수행하는 광학 인식 모듈; 상기 기판에 배치되고, 상기 혈당 측정 모듈에 의해 측정된 정보 및 상기 광학 인식 모듈에 의해 인식된 정보를 처리 함으로써 혈당 센싱 데이터 및 환자 데이터를 생성하는 프로세서; 모바일 단말이 상기 모바일 단말 케이스에 장착되는 경우에 응답하여 상기 기판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소자와 상기 모바일 단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처리된 데이터를 상기 모바일 단말로 전송하는 연장 케이블(extension cable); 및 상기 기판, 상기 혈당 측정 모듈, 상기 광학 인식 모듈, 상기 프로세서, 및 상기 연장 케이블을 수용(accommodate)하고, 상기 모바일 단말에 장착 가능한 구조 및 상기 연장 케이블이 관통 삽입되고 상기 연장 케이블을 고정하도록 내면(inner side)에 형성된 구멍을 갖는 하우징(housing)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바일 단말 케이스는, 상기 기판을 기준으로 상기 혈당 측정 모듈, 상기 광학 인식 모듈, 및 상기 프로세서와 다른 측에 위치되고, 상기 모바일 단말의 충전을 위한 전력을 무선으로 수신하는 무선 충전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기판은, 상기 모바일 단말 및 상기 무선 충전 모듈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무선 충전 모듈에 의한 전자기파의 상기 모바일 단말을 향한 전파를 차단하며, 상기 연장 케이블은, 상기 무선 충전 모듈을 통해 수신된 전력을 상기 모바일 단말로 공급할 수 있다.
상기 기판에서 상기 무선 충전 모듈에 의해 커버되는 영역은 금속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무선 충전 모듈을 통해 무선 전력을 수신하는 동안 상기 혈당 측정 모듈을 비활성화하고, 상기 무선 충전 모듈을 통한 무선 전력의 수신이 중단된 동안 상기 혈당 측정 모듈을 활성화할 수 있다.
상기 기판은, 상기 모바일 단말의 안테나에 대응하는 영역이 배제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모바일 단말 케이스는, 상기 기판에서 상기 혈당 측정 모듈에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모바일 단말 케이스의 내부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센싱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측정된 내부 온도가 임계 온도를 초과하는 경우에 응답하여, 온도 경고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모바일 단말 케이스는, 상기 혈당 측정 모듈의 상기 스트립 삽입구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조명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혈당 측정 시스템은, 상기 모바일 단말 케이스에 장착되고, 상기 모바일 단말 케이스로부터 상기 혈당 센싱 데이터 및 상기 환자 데이터를 수신하는 모바일 단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바일 단말은, 상기 환자 데이터의 조회를 서버에 요청하고, 상기 대상 환자가 조회되지 않는 경우에 응답하여 오류 알림을 제공하고 상기 광학 인식을 위한 광량을 조절 하면서 광학 인식을 재시도할 수 있다.
상기 모바일 단말은, 상기 환자 데이터의 조회를 서버에 요청하고, 상기 대상 환자가 조회되는 경우에 응답하여 상기 대상 환자에 대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 케이스의 상기 혈당 측정 모듈을 통한 혈당 측정을 개시할 수 있다.
상기 모바일 단말은, 측정된 혈당을 이전에 측정된 기준 혈당에 기초한 오차 범위와 비교하고, 상기 측정된 혈당이 상기 오차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 응답하여 오류 알림을 제공하고 사용자 입력 에 기초하여 혈당 측정을 재시도할 수 있다.
상기 모바일 단말은, 측정된 혈당이 이전에 측정된 기준 혈당에 기초한 오차 범위 내인 경우에 응답하여, 상기 혈당 센싱 데이터를 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모바일 단말은, 상기 환자 데이터의 조회를 서버에 요청하고, 상기 대상 환자가 조회되는 경우에 응답하여 처방 정보에 대한 광학 인식을 시도할 수 있다.
상기 모바일 단말은, 광학 인식에 기초하여 획득된 처방 정보 및 상기 조회된 대상 환자 간의 매칭 여부의 조회를 서버에 요청할 수 있다.
상기 모바일 단말은, 상기 획득된 처방 정보 및 상기 조회된 대상 환자가 매칭하는 경우에 응답하여, 상기 대상 환자에 대한 처방 수행을 허용하는 지시(indication)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모바일 단말은, 상기 획득된 처방 정보 및 상기 조회된 대상 환자가 매칭하지 않는 경우에 응답하여, 상기 대상 환자에 대한 처방 수행을 제한하는 지시를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에 장착 가능한 모바일 단말 케이스 에 의해 수행되는 혈당 측정 방법은 기판에 배치된 혈당 측정 모듈이 삽입 방향을 따라 스트립 삽입구에 삽입된 테스트 스트립에 함유된 대상 환자의 혈당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기판에 배치된 광학 인식 모듈이 상기 삽입 방향에 대응하는 스캔 방향을 향해 상기 대상 환자의 환자 정보를 지시하는 코드 정보의 광학 인식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기판에 배치된 프로세서가 상기 혈당 측정 모듈에 의해 측정된 정보 및 상기 광학 인식 모듈에 의해 인식된 정보를 처리 함으로써 혈당 센싱 데이터 및 환자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연장 케이블이, 모바일 단말이 상기 모바일 단말 케이스에 장착되는 경우에 응답하여, 상기 기판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소자와 상기 모바일 단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처리된 데이터를 상기 모바일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모바일 단말 케이스는, 상기 기판, 상기 혈당 측정 모듈, 상기 광학 인식 모듈, 상기 프로세서, 및 상기 연장 케이블을 수용하고, 상기 모바일 단말에 장착 가능한 구조 및 상기 연장 케이블이 관통 삽입되고 상기 연장 케이블을 고정하도록 내면(inner side)에 형성된 구멍을 갖는 하우징(housing)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혈당 측정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 케이스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 내지 도 3h는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 케이스의 다양한 측면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 및 도 4b는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 케이스의 전면 및 후면에서 광학 정보 인식 방향 및 스트립 삽입 방향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혈당 측정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6 및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환자 및 처방의 매칭을 판단하는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실시예들에 대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예시를 위한 목적으로 개시된 것으로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되어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실제 구현되는 형태는 개시된 특정 실시예로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명세서의 범위는 실시예들로 설명한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명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으로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혈당 측정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혈당 측정 시스템(100)은 모바일 단말 케이스(101), 모바일 단말(102), 및 서버(103)를 포함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 케이스(101)는 모바일 단말(102)에 장착 가능한 케이스 장치를 나타낼 수 있다. 모바일 단말 케이스(101)는 조명 모듈(110), 혈당 측정 모듈(120), 광학 인식 모듈(130), 온도 센싱 모듈(140), 프로세서(150), 연장 케이블(160), 기판(170), 무선 충전 모듈(180), 및 하우징(190)을 포함할 수 있다.
조명 모듈(110)은 광학 인식의 대상이 되는 영역을 조명(illuminate)하고, 프로세서(150)의 제어에 따라 광량을 조절할 수 있다. 광학 인식의 대상이 되는 영역은 광학 인식 모듈(130)(예를 들어, 스캐너)이 향하는 방향(이하, '스캔 방향') 및 시야각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명 모듈(110)은 혈당 측정 모듈(120)의 스트립 삽입구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조명 모듈(110)의 조명 방향은 광학 인식 모듈(130)의 스캔 방향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정렬될 수 있다. 또한, 조명 모듈(110)은 스트립 삽입구 및/또는 스트립 삽입구의 주변을 조명 가능하게 배치되어, 테스트 스트립 삽입시 비교적 어두운 환경에서도 사용자에게 스트립 삽입구의 위치를 안내할 수 있다.
혈당 측정 모듈(120)은 기판(170)에 배치되고 스트립 삽입구를 포함할 수 있다. 혈당 측정 모듈(120)은 삽입 방향을 따라 스트립 삽입구에 삽입된 테스트 스트립에 함유(contain)된 대상 환자의 혈당을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혈당 측정 모듈(120)은 테스트 스트립에 흡수된 체액 샘플(예를 들어, 혈액 또는 간질액)이 함유하는 생체 물질(예를 들어, 혈당)의 양(예를 들어, 농도)에 대응하는 신호(예를 들어, 전기적 신호로서 혈당 측정 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프로세서(150)는 혈당 측정 모듈(120)에 의해 감지된 신호에 기초하여 혈당의 양을 지시하는 혈당 센싱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프로세서(150)는 전기적 신호의 세기 값을 판독하여 세기 값에 대응하는 대상 환자의 혈당 측정 값을 결정할 수 있다. 다만, 이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프로세서(150)는 혈당 측정 신호의 처리를 스킵하고, 모바일 단말(102)로 전달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모바일 단말(102)이 혈당 측정 신호로부터 대응하는 혈당 측정 값을 결정할 수도 있다.
테스트 스트립은 체액 샘플(예를 들어, 혈액)을 흡입 또는 흡수할 수 있는 재질 및 구성으로 구현되고, 생체 물질을 임의의 신호로 변환하는 스트립을 나타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생체 물질은 생체(living body)와 연관된 물질(material)을 나타낼 수 있다. 생체 물질은 피분석물(analyte)라고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생체 물질은 혈당일 수 있으나, 이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테스트 스트립은, 생체물질과의 반응(reaction)에 응답하여 생체물질의 양에 대응하는 전기신호로 변환시키는 일종의 트랜스듀서(transducer)일 수 있다. 테스트 스트립은, 예를 들어, 혈당 스트립일 수 있다. 혈당 스트립은 혈액이 묻혀지거나, 흡입되도록 화학적으로 제조된 검사지를 포함할 수 있고, 혈액 내 혈당과 반응하여 전기화학적 반응을 일으키는 효소를 포함할 수 있다. 효소는 임의의 전극에 도포될 수 있으며, 효소가 도포된 전극은 생체 전극이라고 나타낼 수 있다. 테스트 스트립은 일측에 전극을 가지고, 생체물질과의 반응에 의해 유발되는 전기적 신호를 해당 전극을 통해 혈당 측정 모듈(120)로 전달할 수 있다. 참고로, 본 명세서에서는 테스트 스트립이 혈당 스트립이고 생체 물질 측정 모듈이 혈당 측정 모듈(120)인 경우를 예로 들어 주로 설명하였으나, 설명된 바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광학 인식 모듈(130)은 기판(170)에 배치되고, 삽입 방향에 대응하는 스캔 방향을 향해 코드 정보의 광학 인식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학 인식 모듈(130)은 대상 환자의 환자 정보 및/또는 처방 정보를 지시하는 코드 정보를 광학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 코드 정보는 환자 정보 및/또는 처방 정보를 지시하는 코드에 관한 정보로서, 예를 들어, 바코드, QR(Quick Response) 코드의 형태로 시각적으로 2차원 도형으로 구현될 수 있다. 코드 정보는 환자의 팔찌에 바코드 형태로 인쇄될 수 있다. 다만, 코드 정보가 시각적으로 인쇄되는 것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환자의 팔찌 내에 코드 정보를 지시하는 NFC 태그가 삽입될 수도 있다. 모바일 단말 케이스(101)는 NFC 통신 모듈(미도시됨)을 더 포함하고, NFC 태그와의 통신을 통해 NFC 태그로부터 환자 정보를 판독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광학 인식 모듈(130)은 2차원 코드를 향해 빛을 조명하고, 해당 광학 코드로부터 반사되는 빛의 세기에 대응하는 전기적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된 전기적 신호는 이진수로 변환될 수 있다. 광학 인식 모듈(130)은 상술한 바와 같이 광학 코드를 광학적으로 인식함으로써 광학 인식 정보(예를 들어, 바코드에 대응하는 이진수)를 생성할 수 있다. 광학 인식 모듈(130)은 광학 인식 정보를 프로세서(150)로 전달할 수 있다. 프로세서(150)가 광학 인식 정보로부터 문자 및/또는 숫자를 해석할 수 있다. 다만, 이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광학 인식 모듈(130)이 광학 인식 정보를 해석한 결과를 프로세서(150)로 전달하거나, 프로세서(150)가 광학 인식 모듈(130)로부터 빛의 세기에 대응하는 아날로그 전기적 신호를 직접 수신하여 이진수로의 변환과 이진수로부터 문자 및/또는 숫자로의 해석을 수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광학 인식 모듈(130)은 광학 인식을 위한 레이저 방출부 및 광학 센서(예를 들어, 스캐너)를 포함할 수 있다. 광학 인식 모듈(130)의 레이저 방출부는 사용자의 조작(manipulation)에 의해 코드 정보를 향해 레이저 빔을 방출하고, 광학 센서는 코드 정보로부터 반사되는 레이저 빔을 수신하여 센싱할 수 있다. 광학 인식 모듈(130)의 스캔 방향 및 혈당 측정 모듈(120)의 스트립 삽입 방향은 서로 평행하거나 평행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스캔 방향은 레이저 방출부의 레이저 빔이 진행하는 방향 및/또는 광학 센서의 광축 방향에 대응할 수 있다. 스캔 방향은 레이저 진행 방향 및 광축 방향의 평균 방향일 수도 있다. 스캔 방향 및 스트립 삽입 방향이 동일 또는 유사할 경우, 광학 인식 행위 및 혈당 측정 행위는 둘 다 모바일 단말 케이스(101)의 같은 측에서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모바일 단말 케이스(101)는, 사용자가 대상 환자에 대한 환자 정보 판독 및 혈당 측정시 일관된 방향으로 파지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 편의성을 제고할 수 있다.
온도 센싱 모듈(140)은 기판(170)에서 혈당 측정 모듈(120)에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어 모바일 단말 케이스(101)의 내부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테스트 스트립을 통한 혈당 측정은 온도에 민감하게 반응하므로, 프로세서(150)는 온도 센서를 통해 검출된 이상 온도에 대한 경고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이상 온도에서의 혈당 측정을 방지하거나, 이상 온도에서 측정된 것임을 안내함으로써, 혈당 측정의 정확성이 개선될 수 있다.
프로세서(150)는 기판(170)에 배치되고, 다양한 센싱 값들을 전처리 및/또는 모바일 단말(102)로 전송할 수 있다. 프로세서(150)는 혈당 측정 모듈(120)에 의해 측정된 정보 및 광학 인식 모듈(130)에 의해 인식된 정보를 처리함으로써 혈당 센싱 데이터 및 환자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50)는 혈당 측정 모듈(120)에 의해 감지되는 신호를 해석하여 혈당 센싱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프로세서(150)는 광학 인식 모듈(130)에 의해 감지되는 신호를 해석하여 환자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연장 케이블(160)(extension cable)은 모바일 단말(102)이 모바일 단말 케이스(101)에 장착되는 경우에 응답하여 기판(170)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소자와 모바일 단말(102)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연장 케이블(160)은 하우징(190)의 내면(inner side)에 형성되는 구멍을 관통하고, 해당 구멍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연장 케이블(160)은, 모바일 단말(102) 및 모바일 단말 케이스(101)가 연결된 동안, 프로세서(150)에 의해 처리된 데이터를 모바일 단말(102)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연장 케이블(160)은 무선 충전 모듈(180)을 통해 수신된 전력을 모바일 단말(102)로 공급(supply)할 수 있다.
기판(170)에는 하나 이상의 소자가 배치될 수 있다. 기판(170)을 기준으로 일측에 일부 소자(예를 들어, 무선 충전 모듈(180))가 배치되고, 타측에 다른 소자(예를 들어, 혈당 측정 모듈(120), 광학 인식 모듈(130), 온도 센싱 모듈(140), 및 프로세서(150) 등)가 배치될 수 있다. 기판(170)은, 모바일 단말(102)이 모바일 단말 케이스(101)에 장착될 시, 모바일 단말(102) 및 무선 충전 모듈(180)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기판(170)은 무선 충전 모듈(180)에 의한 전자기파의 모바일 단말(102)을 향한 전파를 차단할 수 있다. 기판(170)은 적어도 기판(170) 상에서 무선 충전 모듈(180)이 덮거나 차지하는 영역에서 금속 재질로 구현되는 파트를 포함함으로써 전자기파를 방해 및/또는 차단할 수 있다.
무선 충전 모듈(180)은 기판(170)을 기준으로 혈당 측정 모듈(120), 광학 인식 모듈(130), 및 프로세서(150)와 다른 측에 위치되고, 모바일 단말(102)의 충전을 위한 전력을 무선으로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충전 모듈(180)은 Qi 프로토콜에 따라 외부 충전기로부터 무선 전력을 수신할 수 있다.
하우징(190)(housing)은 기판(170), 기판(170)에 배치되는 소자, 및 기판(170)에 연결되는 소자를 수용하고, 모바일 단말(102)에 장착 가능하게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우징(190)은 기판(170), 혈당 측정 모듈(120), 광학 인식 모듈(130), 프로세서(150), 및 연장 케이블(160)을 수용(accommodate)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90)은 모바일 단말(102)에 장착 가능한 구조 및 연장 케이블(160)이 관통 삽입되고 연장 케이블(160)을 고정하도록 내면(inner side)에 형성된 구멍을 가질 수 있다. 하우징(190)의 내면에 형성된 구멍은 포트 및/또는 포트 주변으로부터의 연장 케이블(160)의 이탈을 제한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102)은 모바일 단말 케이스(101)에 장착될 경우, 모바일 단말 케이스(101)와 데이터 및/또는 전력을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102)은 모바일 단말 케이스(101)와 연결된 동안, 모바일 단말 케이스(101)로부터 생체 센싱 데이터(예를 들어, 혈당 센싱 데이터 등) 및 광학 인식 데이터(예를 들어, 환자 데이터 및 처방 데이터 등)를 수신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102)은 모바일 단말 케이스(101)의 무선 충전 모듈(180)을 통해 외부 충전기로부터 수신되는 무선 전력을 수신할 수도 있다. 또한, 모바일 단말(102)은 모바일 단말 케이스(101)의 일부 동작을 제어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102)은 필요(하기 도 5 참조)에 따라 모바일 단말 케이스(101)의 조명 모듈(110)의 광량을 제어할 수도 있다. 모바일 단말(102)은 예시적으로 스마트폰과 같은 스마트 기기로 구현될 수 있다.
서버(103)는 모바일 단말(102)과 통신을 수립하고, 모바일 단말(102)로부터 수신되는 요청을 처리하고, 처리 결과를 모바일 단말(102)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03)는 병원 정보 시스템(hospital information system, HIS) 서버(103)(이하, 'HIS 서버(103)')일 수 있다. 서버(103)는 환자 데이터를 포함하는 환자 데이터베이스 및 각 환자에 대해 처방된 처방전에 관한 처방 데이터를 포함하는 처방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아울러, 서버(103)는 모바일 단말(102)로부터 수신되는 혈당 센싱 데이터를 기록할 수도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 케이스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모바일 단말 케이스의 내부 구성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치될 수 있다. 참고로, 모바일 단말 케이스의 하우징은 내면 파트(inner side part) 및 외면 파트(outer side part)의 조립체(assembly)일 수 있고, 모바일 단말 케이스의 소자들은 내면 파트 및 외면 파트 사이에 정의되는 내부 공간에 수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하우징의 내면 파트는, 모바일 단말과 모바일 단말 케이스의 결합시, 모바일 단말에 마주하는 면을 갖는 파트를 나타낼 수 있다. 하우징의 외면 파트는 모바일 단말과 마주하는 면의 반대면을 갖는 파트를 나타낼 수 있다. 도 2는 하우징에서 내면 파트를 생략하고, 하우징의 내부 공간(inner space)에서 외면 파트에 배치된 기판 및 소자들을 도시한다.
예를 들어, 혈당 측정 모듈(220) 및 광학 인식 모듈(230)은 하우징(290)의 일측(예를 들어, 도 2에서 상단)에 배치될 수 있다. 혈당 측정 모듈(220)의 스트립 삽입구(221)는 하우징(290)의 일측(예를 들어, 도 2에서 상단부)에서 외부로 노출되어, 테스트 스트립의 삽입을 허용하게 배치될 수 있다. 광학 인식 모듈(230)의 일부(예를 들어, 레이저 방출부 및 스캐너)는 하우징(290)의 일측(예를 들어, 도 2에서 상단부)에서 외부로 노출되어, 시각적으로 구현되는 코드 정보에 대한 레이저 빔 방출 및 수신을 가능케 배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예시적으로, 하우징(290)의 중심으로부터 광학 인식 모듈(230)을 향하는 방향을 상단 방향, 하우징(290)의 중심으로부터 포트 부분(261)을 향하는 방향을 하단 방향이라고 설명한다. 연장 케이블(260)의 일부는 포트 부분(261)에서 고정되어, 모바일 단말의 포트와 결합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온도 센싱 모듈(240)은 혈당 측정 모듈(220)에 인접하여, 혈당 측정 모듈(220)의 하단에 배치될 수 있다. 온도 센싱 모듈(240)은 모바일 단말 케이스 내부에서도 혈당 측정 모듈(220) 및/또는 혈당 측정 모듈(220)에 인접한 공간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온도 센싱 모듈(240)은 측정된 온도를 프로세서(250)에게 전달할 수 있다.
프로세서(250)는 측정된 내부 온도가 임계 온도를 초과하는 경우에 응답하여, 온도 경고를 제공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은 모바일 단말 케이스로부터 온도 경고를 수신하는 경우에 응답하여, 정상 온도 범위를 벗어난 이상 온도를 지시하는 온도 경고를 시각적으로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하거나, 청각적으로 스피커를 통해 경고 소리(예를 들어, 경고음 및/또는 경고 음성)를 출력하거나, 촉각적으로 진동을 통해 경고 피드백을 제공할 수도 있다.
기판(270)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일면에 광학 인식 모듈(230), 혈당 측정 모듈(220), 온도 센싱 모듈(240), 및 프로세서(250) 등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기판(270)의 타면에는 무선 충전 모듈(280)이 위치될 수 있다. 기판(270)에서 무선 충전 모듈(280)에 의해 커버되는 영역(271)은 금속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기판(270)은 무선 충전시 무선 충전 모듈(280)에서 발생되는 전자기파에 의한 정전식 터치 방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프로세서(250)는 무선 충전 모듈(280)을 통해 무선 전력을 수신하는 동안 혈당 측정 모듈(220)을 비활성화하고, 무선 충전 모듈(280)을 통한 무선 전력의 수신이 중단된 동안 혈당 측정 모듈(220)을 활성화할 수 있다.
기판(270)은, 모바일 단말의 안테나에 대응하는 영역(279)이 배제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기판(270)은 모바일 단말의 통신 방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아울러, 무선 충전 모듈(280)은 모바일 단말의 통신을 위한 대역폭을 제외한 다른 대역폭을 통해 전력을 송수신함으로써, 모바일 단말의 통신을 방해하지 않을 수 있다. 모바일 단말은 예시적으로 미리 정한 대역(예를 들어, Wi-Fi 대역 및 NFC(Near-Field Communication) 대역 등)을 통해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3h는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 케이스의 다양한 측면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는 모바일 단말 케이스의 하면도(예를 들어, 하우징의 외면 파트), 도 3b는 상면도(예를 들어, 하우징의 내면 파트), 도 3c 내지 도 3f는 측면도, 도 3g는 하우징의 외면 파트를 바라보는 사시도, 도 3h는 하우징의 내면 파트를 바라보는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3a 및 도 3g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학 인식 모듈(330)은 모바일 단말 케이스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혈당 측정 모듈은 광학 인식 모듈(330)의 옆에 배치되고, 스트립 삽입구(321)는 모바일 단말 케이스의 상부에 노출될 수 있다. 이젝션 버튼(329)은 사용자의 조작에 응답하여, 스트립 삽입구(321)에 삽입된 테스트 스트립을 배출할 수 있다. 도 3e에 도시된 조작 버튼들(399)은, 모바일 단말 케이스 및 모바일 단말의 결합시, 모바일 단말의 버튼들(예를 들어, 음량 조절 버튼 및 전원 버튼 등)에 대응하여 배치될 수 있다. 모바일 단말은 조작 버튼들(399)에 대한 사용자 조작에 응답하여 모바일 단말 케이스의 동작(예를 들어, 광학 인식 수행 동작)을 개시할 수 있다.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명 모듈(310)은 스트립 삽입구(321)의 주변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조명 모듈(310)의 위치를 이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조명 모듈(310)의 조명 방향은 스캔 방향 및 스트립 삽입 방향과 나란한 방향일 수 있다.
도 3b및 도 3h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 케이블(360)은 모바일 단말 케이스의 내면에 형성된 구멍(391)을 관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장 케이블(360)의 일단은 모바일 단말 케이스의 내부 공간(예를 들어, 하우징의 내면 파트 및 외면 파트 사이의 공간)내 배치된 기판과 연결되고, 연장 케이블(360)의 타단은 모바일 단말 케이스의 포트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연장 케이블(360)의 타단은 모바일 단말의 포트와 연결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연장 케이블(360)은 모바일 단말 케이스의 내부 공간으로부터 외부를 향해 구멍(391)을 관통할 수 있다. 구멍(391)을 관통한 연장 케이블(360)은 구멍(391)에 의해 고정되고, 포트 부분에서 모바일 단말과 연결될 수 있다. 구멍(391)은 하우징의 내면 파트(inner side part)를 관통하는 직각 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이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4a 및 도 4b는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 케이스의 전면 및 후면에서 광학 정보 인식 방향 및 스트립 삽입 방향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a 및 도 4b는 모바일 단말 케이스 및 모바일 단말의 결합 모습을 도시하는데, 도 4a는 모바일 단말 케이스의 상면을 바라보는 사시도(400a)이고, 도 4b는 모바일 단말 케이스의 하면을 바라보는 사시도(400b)이다.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혈당 측정 모듈의 스트립 삽입 방향(420) 및 스캔 방향(430)이 나란하게 정렬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스트립 삽입 방향(420) 및 스캔 방향(430)은 서로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다. 스트립 삽입 방향(420) 및 스캔 방향(430)의 차이는 임계 각도 이하로 설계될 수 있다. 스캔 방향(430)은 광학 인식 모듈의 빔 조사 방향(431)(예를 들어, 레이저 빔이 향하는 방향) 및 광축 방향(432)(예를 들어, 광학 센서의 시야각의 중심축)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모바일 단말 케이스의 하면에는 조작 버튼(490)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작 버튼(490)은 누름식 또는 터치식 버튼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조작 버튼(490)에 대한 사용자 조작이 감지되는 경우 모바일 단말 케이스는 광학 인식 동작(예를 들어, 환자 정보 및 처방 정보 인식) 및 혈당 측정 동작을 개시할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혈당 측정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우선, 단계(510)에서 모바일 단말이 모바일 단말 케이스에 장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모바일 단말을 모바일 단말 케이스에 장착할 수 있고, 모바일 단말의 포트 및 모바일 단말 케이스의 연장 케이블이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단계(520)에서 모바일 단말 및/또는 모바일 단말 케이스는 광학 인식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은 사용자 조작에 응답하여 모바일 단말 케이스의 광학 인식 모듈을 구동하고, 광학 인식 모듈을 통해 코드 정보에 대한 광학 인식 결과를 획득할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해 파지된 모바일 단말 케이스의 스캔 방향이 코드 정보를 향하는 동안, 광학 인식이 수행될 수 있다. 모바일 단말 및/또는 모바일 단말 케이스는 광학 인식에 기초하여 환자 데이터를 센싱 및/또는 생성할 수 있다. 환자 데이터는 대상 환자의 식별을 위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예시적으로 환자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이어서 단계(530)에서 모바일 단말은 서버에 환자 데이터 베이스 조회를 요청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바일 단말은 환자 데이터의 조회를 서버에 요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은 광학 인식에 기초하여 생성된 환자 데이터에 매칭하는 등록 환자 정보의 조회를 서버에 요청할 수 있다.
그리고 단계(523)에서 모바일 단말 및/또는 서버는 대상 환자의 환자 데이터가 서버에 등록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는 대상 환자에 대응하는 환자 데이터가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되지 않는 경우 조회 실패를 회신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서버는 대상 환자에 대응하는 환자 데이터가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경우 조회 성공을 회신할 수 있다.
이어서 단계(524)에서 모바일 단말 및/또는 모바일 단말 케이스는 대상 환자의 조회가 실패한 경우에 응답하여, 오류 알림 및 광량 변경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 및/또는 모바일 단말 케이스는 대상 환자가 조회되지 않는 경우에 응답하여 오류 알림을 제공하고 광학 인식을 위한 광량을 조절하면서 광학 인식을 재시도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은 오류 알림은 시각 정보, 청각 정보, 및 촉각 정보를 이용하여 제공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은 이전 광학 인식 시도에서의 광량보다 높은 광량으로 조명 모듈을 구동함으로써 코드 정보에 빛을 조명하고, 조명 모듈에 의한 빛이 코드 정보에 조명되는 동안 광학 인식 모듈을 이용하여 코드 정보에 대한 광학 인식을 재시도할 수 있다.
그리고 단계(531)에서 대상 환자 조회가 성공한 경우, 사용자는 테스트 스트립을 삽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 및/또는 모바일 단말 케이스는 대상 환자가 데이터베이스에 조회되는 경우에 응답하여, 테스트 스트립 삽입을 허용할 수 있다.
이어서 단계(532)에서 모바일 단말 및/또는 모바일 단말 케이스는 삽입된 테스트 스트립에 대한 혈당 측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은 대상 환자가 조회되는 경우에 응답하여 대상 환자에 대하여 모바일 단말 케이스의 혈당 측정 모듈을 통한 혈당 측정을 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 케이스의 혈당 측정 모듈이 테스트 스트립에서 대상 환자의 혈당 농도에 반응하여 유발되는 전기 신호를 센싱하고, 모바일 단말은 센싱된 전기 신호를 해석하여 생성된 혈당 센싱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단계(533)에서 모바일 단말은 측정된 혈당을 이전에 측정된 기준 혈당에 기초한 오차 범위와 비교할 수 있다. 오차 범위는 이전에 측정된 기준 혈당에 기초하여 설정된 혈당 범위를 나타낼 수 있다.
이어서 단계(534)에서 모바일 단말은 측정된 혈당이 오차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 응답하여 오류 알림을 제공하고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혈당 측정을 재시도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은 측정된 혈당이 이상하다는 오류 알림을 시각 정보, 청각 정보, 및 촉각 정보로 제공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은 혈당 측정을 재시도하려는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혈당 측정을 재시도할 수 있다. 다만, 이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모바일 단말은 새로운 테스트 스트립이 삽입된 후에 대상 환자에 대한 혈당 측정의 재시도를 허용하거나,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새로운 혈당 수치를 입력 받거나, 오류 가능성이 있더라도 기 측정된 혈당 값을 사용자 입력에 따라 강제로 기록할 수도 있다. 참고로, 사용자(예를 들어, 의료인)는 모바일 단말 및 모바일 단말 케이스를 사용하는 자를 나타내고, 대상 환자는 혈당 측정 및 처방의 대상이 되는 환자를 나타낼 수 있다. 사용자 및 대상 환자를 서로 다를 수 있는데, 이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단계(535)에서 모바일 단말은 측정된 혈당이 오차 범위 이내인 경우, 해당 혈당 센싱 데이터를 대상 환자에 대하여 유효한 혈당 센싱 데이터로 결정할 수 있다.
이어서 단계(536)에서 모바일 단말은 측정된 혈당이 이전에 측정된 기준 혈당에 기초한 오차 범위 내인 경우에 응답하여, 혈당 센싱 데이터를 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 서버는 혈당 센싱 데이터를 대상 환자에 대해 기록하여 관리할 수 있다. 따라서 혈당 측정 시스템은 환자 별 혈당 값을 자동으로 구별하여 관리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환자 및 처방의 매칭을 판단하는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우선, 단계(610)에서 모바일 단말(761)이 모바일 단말 케이스에 장착될 수 있다. 모바일 단말 케이스에 장착된 모바일 단말(761)은 처방하고자 하는 대상 환자에 관한 정보를 제시하는 인터페이스(710)를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단계(621)에서 모바일 단말(761) 및/또는 모바일 단말 케이스는 환자 정보를 광학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유사하게, 모바일 단말 케이스의 광학 인식 모듈이 환자의 팔찌(720)에 인쇄된 코드 정보(예를 들어, 바코드)를 광학적으로 판독할 수 있다. 다만, 이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환자의 팔찌(720) 내에 NFC 태그가 삽입된 경우, 모바일 단말 케이스는 NFC 태그를 태깅을 통해 판독할 수도 있다.
이어서 단계(622)에서 모바일 단말(761)은 서버(762)에 환자 데이터베이스 조회를 요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761)은 광학적으로 인식된 환자 데이터가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대상 환자에 일치하는지 여부의 조회를 요청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761)은 서버(762)로부터 환자 조회 결과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단계(623)에서 모바일 단말(761)은 대상 환자의 조회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761)은 광학 인식에 기초하여 센싱된 환자 데이터와 처방의 대상이 되는 대상 환자의 일치 여부를 조회 결과에 기초하여 판별할 수 있다. 대상 환자가 조회되지 않는 경우, 모바일 단말(761)은 처방 정보의 인식을 중단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모바일 단말(761)은 혈당 측정 동작도 중단할 수 있다.
이어서 단계(631)에서 모바일 단말(761) 및/또는 모바일 단말 케이스는 처방 정보를 광학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761)은 대상 환자가 조회되는 경우에 응답하여 처방 정보에 대한 광학 인식을 시도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 케이스는 출력된 처방 정보(예를 들어, 바코드 형태의 정보)(730)를 광학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
그리고 단계(632)에서 모바일 단말(761)은 광학 인식에 기초하여 획득된 처방 정보 및 조회된 대상 환자 간의 매칭 여부의 조회를 서버(762)에 요청할 수 있다. 서버(762)는 처방 정보 및 대상 환자 간의 매칭 여부를 지시하는 조회 결과를 모바일 단말(761)에게 회신할 수 있다.
이어서 단계(633)에서 모바일 단말(761)은 처방 매칭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761)은 획득된 처방 정보 및 조회된 대상 환자가 매칭하지 않는 경우에 응답하여, 대상 환자에 대한 처방 수행을 제한하는 지시를 출력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761)은 처방 정보 및 대상 환자가 매칭하지 않는 경우 사용자에 의한 처방 수행 결과의 기록을 거부할 수 있다.
그리고 단계(634)에서 모바일 단말(761)은, 획득된 처방 정보 및 조회된 대상 환자가 매칭하는 경우에 응답하여, 대상 환자에 대한 처방 수행을 허용하는 지시(indication)(740)를 출력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761)은 처방 정보 및 대상 환자가 매칭하는 경우 사용자에 의한 처방 수행 결과의 기록을 허용할 수 있다. 처방 수행이 완료된 경우, 모바일 단말(761)은 처방 완료 인터페이스(750)를 출력할 수 있다.
이어서 단계(635)에서 모바일 단말(761)은 서버(762)로 처방 결과를 전송할 수 있다. 서버(762)는 처방 결과를 자동으로 환자 별로 기록하여 관리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방법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으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위에서 설명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또는 복수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를 기초로 다양한 기술적 수정 및 변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18)

  1. 혈당 측정 시스템에 있어서,
    모바일 단말, 및
    상기 모바일 단말에 장착 가능한 모바일 단말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모바일 단말 케이스는,
    기판;
    상기 기판에 배치되고, 삽입 방향을 따라 스트립 삽입구에 삽입된 테스트 스트립에 함유(contain)된 대상 환자의 혈당을 측정하는 혈당 측정 모듈;
    상기 기판에 배치되고, 상기 삽입 방향에 대응하는 스캔 방향을 향해 상기 대상 환자의 환자 정보를 지시하는 코드 정보의 광학 인식을 수행하는 광학 인식 모듈;
    상기 혈당 측정 모듈의 하단에 배치되어 상기 혈당 측정 모듈에 인접한 공간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센싱 모듈;
    상기 기판에 배치되고, 상기 혈당 측정 모듈에 의해 측정된 정보 및 상기 광학 인식 모듈에 의해 인식된 정보를 처리함으로써 혈당 센싱 데이터 및 환자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온도 센싱 모듈에서 측정한 온도가 임계 온도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혈당 센싱 데이터가 이상 온도에서 측정된 것임을 판단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모바일 단말이 상기 모바일 단말 케이스에 장착되는 경우에 응답하여 상기 기판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소자와 상기 모바일 단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처리된 데이터를 상기 모바일 단말로 전송하는 연장 케이블(extension cable)
    을 포함하고,
    상기 모바일 단말은,
    상기 프로세서로부터 수신된 상기 환자 데이터의 조회를 서버에 요청하고,
    상기 대상 환자가 데이터베이스에 조회되지 않는 경우에 응답하여, 사용자에게 오류 알림을 제공하고 이전 광학 인식 시도에서의 광량보다 높은 광량으로 광학 인식을 재시도하고,
    상기 대상 환자가 데이터베이스에 조회되는 경우에 응답하여, 상기 혈당 측정 모듈의 테스트 스트립 삽입을 허용하여 상기 혈당 측정 모듈을 통한 혈당 측정을 개시하는
    혈당 측정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 케이스는,
    상기 기판을 기준으로 상기 혈당 측정 모듈, 상기 광학 인식 모듈, 및 상기 프로세서와 다른 측에 위치되고, 상기 모바일 단말의 충전을 위한 전력을 무선으로 수신하는 무선 충전 모듈
    을 더 포함하고,
    상기 기판은,
    상기 모바일 단말 및 상기 무선 충전 모듈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무선 충전 모듈에 의한 전자기파의 상기 모바일 단말을 향한 전파를 차단하며,
    상기 연장 케이블은,
    상기 무선 충전 모듈을 통해 수신된 전력을 상기 모바일 단말로 공급하는(supply),
    혈당 측정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에서 상기 무선 충전 모듈에 의해 커버되는 영역은 금속 재질을 포함하는,
    혈당 측정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무선 충전 모듈을 통해 무선 전력을 수신하는 동안 상기 혈당 측정 모듈을 비활성화하고, 상기 무선 충전 모듈을 통한 무선 전력의 수신이 중단된 동안 상기 혈당 측정 모듈을 활성화하는,
    혈당 측정 시스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상기 모바일 단말의 안테나에 대응하는 영역이 배제된 형상을 갖는,
    혈당 측정 시스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 케이스는,
    상기 혈당 측정 모듈의 상기 스트립 삽입구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조명 모듈
    을 더 포함하는 혈당 측정 시스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은,
    측정된 혈당을 이전에 측정된 기준 혈당에 기초한 오차 범위와 비교하고, 상기 측정된 혈당이 상기 오차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 응답하여 오류 알림을 제공하고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혈당 측정을 재시도하는,
    혈당 측정 시스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은,
    측정된 혈당이 이전에 측정된 기준 혈당에 기초한 오차 범위 내인 경우에 응답하여, 상기 혈당 센싱 데이터를 서버에 전송하는,
    혈당 측정 시스템.
  13. 삭제
  14. 삭제
  15. 혈당 측정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혈당 측정 방법에 있어서,
    모바일 단말이, 사용자 조작에 응답하여 모바일 단말 케이스의 광학 인식 모듈을 구동함으로써, 상기 광학 인식 모듈을 통한 광학 인식에 기초하여 환자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모바일 단말이, 상기 환자 데이터가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대상 환자에 일치하는지 여부의 조회를 서버에 요청하는 단계;
    상기 모바일 단말이, 상기 대상 환자가 데이터베이스에 조회되지 않는 경우에 응답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오류 알림을 제공하고 이전 광학 인식 시도에서의 광량보다 높은 광량으로 광학 인식을 재시도하는 단계;
    상기 모바일 단말이, 상기 대상 환자가 데이터베이스에 조회되는 경우에 응답하여, 처방 정보에 대한 광학 인식을 시도하는 단계;
    상기 모바일 단말이, 광학 인식에 기초하여 획득된 처방 정보 및 상기 조회된 대상 환자 간의 매칭 여부의 조회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모바일 단말이, 상기 획득된 처방 정보 및 상기 조회된 대상 환자가 매칭하는 경우에 응답하여, 사용자에 의한 처방 수행 결과의 기록을 허용하는 단계; 및
    상기 모바일 단말이, 상기 처방 수행 결과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혈당 측정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된 처방 정보 및 상기 조회된 대상 환자가 매칭하는 경우에 응답하여, 상기 대상 환자에 대한 처방 수행을 허용하는 지시(indication)를 출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혈당 측정 방법.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된 처방 정보 및 상기 조회된 대상 환자가 매칭하지 않는 경우에 응답하여, 상기 대상 환자에 대한 처방 수행을 제한하는 지시를 출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혈당 측정 방법.
  18.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제15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210013967A 2021-02-01 2021-02-01 혈당 측정 시스템 KR1025596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3967A KR102559640B1 (ko) 2021-02-01 2021-02-01 혈당 측정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3967A KR102559640B1 (ko) 2021-02-01 2021-02-01 혈당 측정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1752A KR20220111752A (ko) 2022-08-10
KR102559640B1 true KR102559640B1 (ko) 2023-07-27

Family

ID=828468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3967A KR102559640B1 (ko) 2021-02-01 2021-02-01 혈당 측정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964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8048B1 (ko) * 2010-06-17 2011-11-29 (주)블루버드 소프트 정보인식모듈을 구비하는 모바일 단말기
KR101173477B1 (ko) * 2011-11-30 2012-08-13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산학협력단 모바일단말기 온도감지 케이스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6726B1 (ko) * 2011-06-30 2013-03-25 주식회사 솔미테크 모바일 폰 보호 케이스 및 그것과 연동되는 모바일 폰
KR101466690B1 (ko) * 2013-02-19 2014-11-28 전자부품연구원 모바일 기기에 착탈 가능한 요당 데이터 수집 모듈 및 그의 요당 센서 수집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8048B1 (ko) * 2010-06-17 2011-11-29 (주)블루버드 소프트 정보인식모듈을 구비하는 모바일 단말기
KR101173477B1 (ko) * 2011-11-30 2012-08-13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산학협력단 모바일단말기 온도감지 케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1752A (ko) 2022-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958783T3 (es) Procedimiento de calibración individualizada de sensores de analitos
US8517938B2 (en) Medical system having consumables monitoring
US10512723B1 (en) Control of a peripheral device with a bandage-type analyte sensor
US20160262670A1 (en) User interactions for a bandage type monitoring device
CN109717844B (zh) 生物信息测量设备和其外壳以及生物信息测量方法
EP2428113A2 (en) RTLS tag, RTLS reader and livestock management system using the same
CN105796070A (zh) 用于检测活体的生物计量信息的设备
CN106061386A (zh) 用于介入式设备的插入期间增强可视化的可佩戴电子设备
KR102381681B1 (ko) 주사 모니터링 장치 및 시스템
JP5973624B2 (ja) 液体試料測定と、それを含む液体試料測定システム
WO2013066362A1 (en) Analyte meter communication module
EP3128922B1 (en) Automatic configuration detection for sensor equipped needle
JPWO2013099236A1 (ja) 医療用測定装置及び医療用測定システム
US10463280B2 (en) Examination system, mobile apparatus and examination method
CN102018517A (zh) 非侵入式血糖仪
CN104854591A (zh) 用于使用具有短程通信的生物样本卡存储和传送患者信息的设备和方法
US20230252254A1 (en) Identity verifying device and methods
KR102559640B1 (ko) 혈당 측정 시스템
JP2003070771A (ja) 生体情報測定器、生体情報測定システムおよび生体情報測定管理方法
KR20220030089A (ko) 생체정보 추정 장치 및 방법
US20080167900A1 (en) Biometric characterization of agents and patient safety in biological injection or administration
KR20140003954A (ko) 생체 삽입형 바이오 센서와 생체 신호 수신 모듈의 미정합 검출 장치 및 방법
US9933410B2 (en) Biological sample measurement device
CN220275624U (zh) 超声系统及其智能附件
US20220369929A1 (en) System and method for measuring bio inform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