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9603B1 - Total security and parking guidance system including parking guidance display unit - Google Patents

Total security and parking guidance system including parking guidance display uni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9603B1
KR102559603B1 KR1020200176236A KR20200176236A KR102559603B1 KR 102559603 B1 KR102559603 B1 KR 102559603B1 KR 1020200176236 A KR1020200176236 A KR 1020200176236A KR 20200176236 A KR20200176236 A KR 20200176236A KR 102559603 B1 KR102559603 B1 KR 1025596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king
guidance device
predetermined
information
parking guid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623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086102A (en
Inventor
배성수
김태호
이지용
정태민
한정태
Original Assignee
(주)참슬테크
디엘이앤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참슬테크, 디엘이앤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주)참슬테크
Priority to KR10202001762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9603B1/en
Publication of KR202200861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610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96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9603B1/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4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 G08G1/145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where the indication depends on the parking areas
    • G08G1/148Management of a network of parking areas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10Segmentation; Edge detection
    • G06T7/11Region-based segmenta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4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using optical or ultrasonic detector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4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 G08G1/145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where the indication depends on the parking areas
    • G08G1/146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where the indication depends on the parking areas where the parking area is a limited parking space, e.g. parking garage, restricted spac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4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 G08G1/149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coupled to means for restricting the access to the parking space, e.g. authorization, access barriers, indicative ligh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1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plurality of remote sour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30Subject of image; Context of image processing
    • G06T2207/30248Vehicle exterior or interior
    • G06T2207/30252Vehicle exterior; Vicinity of vehicle
    • G06T2207/30264Parking

Landscapes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Multimedia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부에 의해 주차구역을 촬영하고, 소정의 주차구역 그룹에서 순방향의 주차상태를 표시하는 주차유도장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부로부터 수신한 촬영 이미지에 기초하여 상기 주차구역의 주차상황을 인식하고, 상기 주차유도장치의 주차정보를 생성하는 AI서버; 및 상기 AI서버로부터 수신한 상기 주차유도장치의 주차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소정의 주차구역 그룹에서 상기 주차유도장치의 순방향 주차정보를 생성하는 관리서버를 포함하는 인공지능 주차유도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a parking guidance device for photographing a parking area by at least one camera unit and displaying a parking state in a forward direction in a predetermined parking area group; an AI server recognizing a parking situation of the parking area based on the photographed image received from the at least one camera unit and generating parking information of the parking guidance device; And an artificial intelligence parking guidance system including a management server for generating forward parking information of the parking guidance device in the predetermined parking area group based on the parking information of the parking guidance device received from the AI server is disclosed.

Description

주차유도 표시장치를 내장한 토탈 보안 및 주차유도 시스템{TOTAL SECURITY AND PARKING GUIDANCE SYSTEM INCLUDING PARKING GUIDANCE DISPLAY UNIT}Total security and parking guidance system with built-in parking guidance display device {TOTAL SECURITY AND PARKING GUIDANCE SYSTEM INCLUDING PARKING GUIDANCE DISPLAY UNIT}

본 발명은 주차유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주차구역 촬영, 주차구역 만공표시 및 소정의 주차구역 그룹에서 순방향의 주차상태 표시를 일체형으로 제공하는 주차유도장치, 상기 주차구역 촬영 이미지에 기초하여 주차구역의 주차상황을 인공지능으로 인식하고 주차유도장치 각각에 대한 주차정보를 생성하는 AI서버, AI서버로부터 수신한 주차유도장치 각각에 대한 주차정보에 기초하여 소정의 주차구역 그룹에서 주차유도장치의 순방향 주차정보를 생성하는 관리서버를 포함하는 주차유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rking guidance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parking guidance device that integrally provides parking area shooting, parking area full display, and forward parking status display in a predetermined parking area group, based on the parking area photographed image. Parking guidance in a predetermined parking area group based on the parking information for each parking guidance device received from the AI server, which recognizes the parking situation of the parking area with artificial intelligence and generates parking information for each parking guidance device. It relates to a parking guidance system including a management server for generating forward parking information of a device.

통상, 주차시설에서 주차공간의 점유율이 낮은 경우, 즉 주차공간이 충분한 경우에는 빈 주차공간의 식별이 쉬워 주차장으로 진입한 차량이 주차를 용이하게 할 수 있으나, 주차공간의 점유율이 높을수록 빈 주차공간의 식별이 어려워 운전자는 주차장 내에서 배회하거나 주차공간이 빌 때까지 대기할 수밖에 없다.In general, when the parking space occupancy rate in a parking facility is low, that is, when the parking space is sufficient, it is easy to identify an empty parking space so that a vehicle entering the parking lot can park easily. It is difficult to identify the space, so the driver has no choice but to wander around the parking lot or wait until the parking space is vacant.

종래 주차 관리 시스템에서는 차량이 주차장 내로 진입한 상태에서 운전자가 빈 주차공간을 찾아서 차량을 주차해야 하므로 과다한 시간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주차장 내를 서행하기 때문에 배기가스에 의한 공기가 오염되고, 협소한 공간에서 접촉사고 등이 발생하게 된다.In the conventional parking management system, since the driver has to find an empty parking space and park the vehicle while the vehicle has entered the parking lot, it not only takes excessive time, but also pollutes the air by exhaust gas because it travels slowly in the parking lot, and in a narrow space. Contact accidents, etc.

또한, 주차안내원이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도 넓은 주자창의 공간을 안내하는데 한계가 있고, 다수 안내원이 배치될 경우 과다한 인건비 등 주차관리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here is a limit in guiding the space of a wide parking lot even when a parking attendant is disposed, and when a plurality of guides are disposed, there is a problem in that parking management costs such as excessive labor costs increase.

최근의 주차관리 시스템은 주차표시 또는 안내를 자동으로 하는 수단들을 정용한다. 예를 들면, 소정의 블록 또는 층에 진출입하는 차량의 수를 확인하여 통합적으로 주차 가능 대수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이 방법은 진출입 차량 수 모니터링에 기초하므로 정확도가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각각의 주차공간에 주차유무를 인식하는 감지기를 설치하고 감지기의 신호에 따라 주차공간의 후방에 설치된 유도등을 점멸시켜 주차 차량을 유도하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이 방법은 유도등이 주차공간의 후방에 스탠드형으로 설치되어 차량의 차고가 높은 경우 인식이 불가능하거나 시인성이 저하되며, 스탠드형이므로 차량과 충돌하여 파손될 위험이 있고, 주차공간 사이의 보행을 방해하는 장애물이 되는 문제점이 있다.Recent parking management systems use means for automatically displaying or guiding parking. For example, there is a method of checking the number of vehicles entering and exiting a predetermined block or floor and integrally displaying the number of available parking spaces. However, since this method is based on monitoring the number of entering and exiting vehicles, there is a problem in that accuracy is low. In addition, there is a method of guiding a parked vehicle by installing a sensor for recogniz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parking in each parking space and blinking a guide light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parking space according to a signal from the sensor. However, in this method, the guide light is installed in a stand type at the rear of the parking space, so when the vehicle height is high, recognition is impossible or visibility is reduced. There is a problem that becomes an obstacle to doing.

본 발명은 상술한 기술적 문제에 대응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기술에서의 한계와 단점에 의해 발생하는 다양한 문제점을 실질적으로 보완할 수 있는 것으로, 주차구역 촬영, 주차구역 만공표시 및 소정의 주차구역 그룹에서 순방향의 주차상태 표시를 일체형으로 제공하는 주차유도장치, 상기 주차구역 촬영 이미지에 기초하여 주차구역의 주차상황을 인공지능으로 인식하고 상기 주차유도장치 각각에 대한 주차정보를 생성하는 AI서버, AI서버로부터 수신한 주차유도장치 각각에 대한 주차정보에 기초하여 소정의 주차구역 그룹에서 주차유도장치의 순방향 주차정보를 생성하는 관리서버를 포함하는 주차유도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cope with the above-described technical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ubstantially supplement various problems caused by limitations and disadvantages in the prior art, parking area shooting, parking area full display And a parking guidance device that integrally provides a parking status display in a forward direction in a predetermined parking area group. Based on the photographed image of the parking area, the parking situation of the parking area is recognized by artificial intelligence and parking information for each parking guidance device is generated. It is to provide a parking guidance system including a generating AI server and a management server for generating forward parking information of a parking guidance device in a predetermined parking area group based on the parking information for each parking guidance device received from the AI serv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주차유도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부에 의해 주차구역을 촬영하고, 소정의 주차구역 그룹에서 순방향의 주차상태를 표시하는 주차유도장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부로부터 수신한 촬영 이미지에 기초하여 상기 주차구역의 주차상황을 인식하고, 상기 주차유도장치의 주차정보를 생성하는 AI서버; 및 상기 AI서버로부터 수신한 상기 주차유도장치의 주차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소정의 주차구역 그룹에서 상기 주차유도장치의 순방향 주차정보를 생성하는 관리서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arking guidance system includes a parking guidance device for photographing a parking area by at least one camera unit and displaying a parking state in a forward direction in a predetermined parking area group; an AI server recognizing a parking situation of the parking area based on the photographed image received from the at least one camera unit and generating parking information of the parking guidance device; And a management server for generating forward parking information of the parking guidance device in the predetermined parking area group based on the parking information of the parking guidance device received from the AI serv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주차유도장치의 주차정보는 상기 주차유도장치가 담당하는 상기 주차구역에 대한, 소정 개수의 좌우측 주차면 각각에 대한 주차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 비트 정보이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arking information of the parking guidance device is flag bit information indicating whether or not parking is performed on each of a predetermined number of left and right parking surfaces for the parking area in charge of the parking guidance devic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소정의 주차구역 그룹은 상기 소정의 주차구역 그룹에 포함되는 복수의 주차유도장치 식별자 및 각각의 주차유도장치 식별자의 그룹내 순방향 순서번호로 설정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determined parking area group is set to a plurality of parking guidance device identifiers included in the predetermined parking area group and a forward sequence number within the group of each parking guidance device identifi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순방향 주차정보는 상기 소정의 주차구역 그룹에서 상기 주차유도장치 기준으로 순방향으로 비어있는 주차면의 개수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orward parking information includes the number of empty parking surfaces in the predetermined parking area group in a forward direction based on the parking guidance devic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주차유도장치는 상기 주차구역을 촬영하는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부; 상기 주차구역의 만차 또는 공차 상태를 표시하는 만공표시부; 상기 소정의 주차구역 그룹에서 순방향의 주차상태를 표시하는 순방향표시부; 및 상기 AI서버로부터 획득한 상기 주차유도장치의 주차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만공표시부를 제어하고,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획득한 상기 주차유도장치의 순방향 주차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순방향표시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arking guidance device includes at least one camera unit for photographing the parking area; a fullness display unit displaying a full or empty state of the parking area; a forward direction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 forward parking state in the predetermined parking area group;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full empty display unit based on the parking information of the parking guidance device obtained from the AI server and controlling the forward direction display unit based on the forward parking information of the parking guidance device obtained from the management server. do.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부는 상기 주차구역 중 소정 개수의 좌측 주차면을 촬영하는 제1 카메라부; 상기 주차구역 중 소정 개수의 우측 주차면을 촬영하는 제2 카메라부; 및 상기 주차구역 중 통로면을 촬영하는 제3 카메라부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t least one camera unit includes a first camera unit for photographing a predetermined number of left parking surfaces of the parking area; a second camera unit for capturing a predetermined number of right parking surfaces among the parking areas; and a third camera unit for capturing a passage surface in the parking area.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부는 1개의 어안렌즈로 구성된 카메라부이고; 상기 주차구역을 상기 어안렌즈로 촬영하고, 촬영된 상기 주차구역 이미지를 좌측 주차면, 우측 주차면 및 통로면 각각의 이미지로 분할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t least one camera unit is a camera unit composed of one fish-eye lens; The parking area is photographed with the fish-eye lens, and the captured parking area image is divided into images of a left parking surface, a right parking surface, and a path surface, respectively.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순방향의 주차상태는 상기 소정의 주차구역 그룹에서 상기 주차유도장치 기준으로 순방향으로, 비어있는 주차면이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방향등 및 비어있는 주차면의 개수를 나타내는 숫자등을 포함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arking state in the forward direction indicates whether there are vacant parking surfaces in the forward direction based on the parking guidance device in the predetermined parking area group, and indicates the number of vacant parking surfaces. including numbers, etc.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AI서버는 상기 주차유도장치에 대한 상기 주차구역을 설정하는 설정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부로부터 수신한 촬영 이미지에 기초하여 상기 주차구역의 주차상황을 인식하는 인식부; 및 상기 주차유도장치 각각에 대한 상기 주차정보를 설정하는 주차정보 설정부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I server includes a setting unit for setting the parking area for the parking guidance device; a recognizing unit recognizing a parking situation of the parking area based on a photographed image received from the at least one camera unit; and a parking information setting unit configured to set the parking information for each of the parking guidance device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인식부는 상기 촬영 이미지에 기초하여 차량 객체를 인식하고, 상기 인식된 차량 객체 관련 주차면에 대한 주차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주차정보 설정부는 상기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해당 주차유도장치의 상기 주차정보를 설정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cognizing unit recognizes a vehicle object based on the photographed image, and determines whether parking is performed on a parking surface related to the recognized vehicle object; The parking information setting unit sets the parking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parking guidance device based on the determination resul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주차유도장치에 대한 상기 주차구역을 설정하고, 상기 소정의 주차구역 그룹을 설정하는 설정부; 및 상기 AI 서버로부터 수신한 상기 주차유도장치 각각에 대한 상기 주차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소정의 주차구역 그룹에서 상기 주차유도장치의 상기 순방향 주차정보를 생성하는 그룹 주차정보 생성부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nagement server includes a setting unit for setting the parking area for the parking guidance device and setting the predetermined parking area group; and a group parking information generator for generating the forward parking information of the parking guidance device in the predetermined parking area group based on the parking information for each of the parking guidance devices received from the AI serv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주차유도 시스템은 상기 주차구역의 주차상황이 변경된 경우, 상기 변경된 주차구역을 촬영하는 상기 주차유도장치의 해당 카메라부로부터 촬영 영상을 획득하고 저장하는 영상저장서버를 더 포함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arking guidance system includes an image storage server for acquiring and storing a photographed image from a corresponding camera unit of the parking guidance device for photographing the changed parking area when the parking situation of the parking area is changed. contains mor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AI서버는 상기 주차구역의 주차상황 변경 이벤트를 판단하는 주차상황 변경 이벤트 판단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AI서버로부터 획득한 상기 주차상황 변경 이벤트에 기초하여 상기 영상저장서버에게 집중녹화 요청을 전송하는 영상저장서버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영상저장서버는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상기 집중녹화 요청을 수신하는 녹화요청수신부, 상기 변경된 주차구역을 촬영하는 상기 주차유도장치의 해당 카메라부로부터 촬영 영상을 획득하는 영상 수신부, 및 상기 촬영 영상을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I server further includes a parking situation change event determination unit for determining a parking situation change event of the parking area; The management server further includes a video storage server interface unit for transmitting a centralized recording request to the video storage server based on the parking situation change event obtained from the AI server; The video storage server includes a recording request receiving unit that receives the centralized recording request from the management server, an image receiving unit that acquires a captured image from a corresponding camera unit of the parking guidance device that photographs the changed parking area, and stores the captured image. It includes a storage unit tha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주차상황 변경 이벤트 판단부는 상기 인식부에 의해 상기 주차유도장치의 상기 주차정보가 변경되는 경우를 주차상황 변경 이벤트로 판단하고; 상기 AI서버는 상기 주차정보가 변경된 상기 주차유도장치의 카메라부 식별자를 포함하는 상기 주차상황 변경 이벤트를 상기 관리서버에게 전송하는 주차상황 변경 이벤트 전송부를 더 포함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arking situation change event determining unit determines that the parking situation change event occurs when the parking information of the parking guidance device is changed by the recognizing unit; The AI server further includes a parking situation change event transmission unit that transmits the parking situation change event including the camera unit identifier of the parking guidance device in which the parking information is changed to the management serv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주차유도장치는 상기 소정의 주차구역 그룹에서 역방향의 주차상태를 더 표시하고;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소정의 주차구역 그룹에서 상기 주차유도장치의 역방향 주차정보를 더 생성하고; 상기 소정의 주차구역 그룹은 상기 소정의 주차구역 그룹에 포함되는 복수의 주차유도장치 식별자, 각각의 주차유도장치 식별자의 그룹내 순방향 순서번호 및 각각의 주차유도장치 식별자의 그룹내 역방향 순서번호로 설정되고; 상기 순방향 주차정보는 상기 소정의 주차구역 그룹에서 상기 주차유도장치 기준으로 순방향으로 비어있는 주차면의 개수를 포함하고; 상기 역방향 주차정보는 상기 소정의 주차구역 그룹에서 상기 주차유도장치 기준으로 역방향으로 비어있는 주차면의 개수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arking guidance device further displays a reverse parking state in the predetermined parking area group; the management server further generates reverse parking information of the parking guidance device in the predetermined parking area group; The predetermined parking area group is set to a plurality of parking guidance device identifiers included in the predetermined parking area group, a forward sequence number within a group of each parking guidance device identifier, and a reverse sequence number within a group of each parking guidance device identifier. become; the forward parking information includes the number of vacant parking surfaces in the predetermined parking area group in a forward direction based on the parking guidance device; The reverse direction parking information includes the number of empty parking surfaces in the reverse direction based on the parking guidance device in the predetermined parking area group.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주차유도장치는 상기 주차구역을 촬영하는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부; 상기 주차구역의 만차 또는 공차 상태를 표시하는 만공표시부; 상기 소정의 주차구역 그룹에서 순방향의 주차상태를 표시하는 순방향표시부; 상기 소정의 주차구역 그룹에서 역방향의 주차상태를 표시하는 역방향표시부; 및 상기 AI서버로부터 획득한 상기 주차유도장치의 주차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만공표시부를 제어하고,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획득한 상기 주차유도장치의 순방향 주차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순방향표시부를 제어하고,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획득한 상기 주차유도장치의 역방향 주차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역방향표시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arking guidance device includes at least one camera unit for photographing the parking area; a fullness display unit displaying a full or empty state of the parking area; a forward direction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 forward parking state in the predetermined parking area group; a reverse direction display unit displaying a reverse parking state in the predetermined parking area group; And controlling the full empty display unit based on the parking information of the parking guidance device obtained from the AI server, controlling the forward direction display unit based on the forward parking information of the parking guidance device obtained from the management server, and controlling the management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reverse direction display unit based on the reverse parking information of the parking guidance device obtained from the serv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순방향의 주차상태는 상기 소정의 주차구역 그룹에서 상기 주차유도장치 기준으로 순방향으로, 비어있는 주차면이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방향등 및 비어있는 주차면의 개수를 나타내는 숫자등을 포함하고; 상기 역방향의 주차상태는 상기 소정의 주차구역 그룹에서 상기 주차유도장치 기준으로 역방향으로, 비어있는 주차면이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방향등 및 비어있는 주차면의 개수를 나타내는 숫자등을 포함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arking state in the forward direction indicates whether there are vacant parking surfaces in the forward direction based on the parking guidance device in the predetermined parking area group, and indicates the number of vacant parking surfaces. contain numbers and the like; The parking state in the reverse direction includes a direction light indicating whether there is an empty parking surface in the predetermined parking area group in a reverse direction based on the parking guidance device and a number indicating the number of empty parking surface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주차유도장치에 대한 상기 주차구역을 설정하고, 상기 소정의 주차구역 그룹을 설정하는 설정부; 및 상기 AI 서버로부터 수신한 상기 주차유도장치 각각에 대한 상기 주차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소정의 주차구역 그룹에서 상기 주차유도장치의 상기 순방향 주차정보 및 상기 역방향 주차정보를 생성하는 그룹 주차정보 생성부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nagement server includes a setting unit for setting the parking area for the parking guidance device and setting the predetermined parking area group; And a group parking information generator for generating the forward parking information and the reverse parking information of the parking guidance device in the predetermined parking area group based on the parking information for each of the parking guidance devices received from the AI server. do.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주차유도장치는 담당하는 주차구역을 촬영하는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부; 상기 주차구역의 만차 또는 공차 상태를 표시하는 만공표시부; 소정의 주차구역 그룹에서 순방향의 주차상태를 표시하는 순방향표시부; 상기 만공표시부 및 상기 순방향표시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arking guidance device includes at least one camera unit for photographing a parking area in charge; a fullness display unit displaying a full or empty state of the parking area; a forward direction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 forward parking state in a predetermined parking area group; and a control unit controlling the mangong display unit and the forward direction display uni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부는 상기 주차구역 중 소정 개수의 좌측 주차면을 촬영하는 제1 카메라부; 상기 주차구역 중 소정 개수의 우측 주차면을 촬영하는 제2 카메라부; 및 상기 주차구역 중 통로면을 촬영하는 제3 카메라부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t least one camera unit includes a first camera unit for photographing a predetermined number of left parking surfaces of the parking area; a second camera unit for capturing a predetermined number of right parking surfaces among the parking areas; and a third camera unit for capturing a passage surface in the parking area.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부는 1개의 어안렌즈로 구성된 카메라부이고; 상기 주차구역을 상기 어안렌즈로 촬영하고, 촬영된 상기 주차구역 이미지를 좌측 주차면, 우측 주차면 및 통로면 각각의 이미지로 분할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t least one camera unit is a camera unit composed of one fish-eye lens; The parking area is photographed with the fish-eye lens, and the captured parking area image is divided into images of a left parking surface, a right parking surface, and a path surface, respectively.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순방향의 주차상태는 상기 소정의 주차구역 그룹에서 상기 주차유도장치 기준으로 순방향으로, 비어있는 주차면이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방향등 및 비어있는 주차면의 개수를 나타내는 숫자등을 포함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arking state in the forward direction indicates whether there are vacant parking surfaces in the forward direction based on the parking guidance device in the predetermined parking area group, and indicates the number of vacant parking surfaces. including numbers, etc.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소정의 주차구역 그룹은 상기 소정의 주차구역 그룹에 포함되는 복수의 주차유도장치 식별자 및 각각의 주차유도장치 식별자의 그룹내 순방향 순서번호로 설정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determined parking area group is set to a plurality of parking guidance device identifiers included in the predetermined parking area group and a forward sequence number within the group of each parking guidance device identifi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주차유도장치는 상기 소정의 주차구역 그룹에서 역방향의 주차상태를 표시하는 역방향표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역방향표시부를 더 제어하고; 상기 역방향의 주차상태는 상기 소정의 주차구역 그룹에서 상기 주차유도장치 기준으로 역방향으로, 비어있는 주차면이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방향등 및 비어있는 주차면의 개수를 나타내는 숫자등을 포함하고; 상기 소정의 주차구역 그룹은 상기 소정의 주차구역 그룹에 포함되는 복수의 주차유도장치 식별자, 각각의 주차유도장치 식별자의 그룹내 순방향 순서번호 및 각각의 주차유도장치 식별자의 그룹내 역방향 순서번호로 설정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arking guidance device further includes a reverse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 reverse parking state in the predetermined parking area group; The control unit further controls the reverse direction display unit; The parking state in the reverse direction includes a direction light indicating whether there is an empty parking surface and a number indicating the number of empty parking surfaces in the predetermined parking area group in a reverse direction based on the parking guidance device; The predetermined parking area group is set to a plurality of parking guidance device identifiers included in the predetermined parking area group, a forward sequence number within a group of each parking guidance device identifier, and a reverse sequence number within a group of each parking guidance device identifier. do.

본 발명에 따른 인공지능 주차유도 시스템은 주차구역 촬영 및 주차구역 만공표시 뿐만 아니라 소정의 주차구역 그룹에서 순방향의 주차상태 표시를 주차유도장치를 통해 일체형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주차구역의 만차 또는 공차 여부 뿐만 아니라, 소정의 주차구역 그룹에서 순방향으로 주차 가능 여부 및 주차 가능한 주차면 개수를 운전자에게 동시에 표시함으로써, 빠른 시간 내에 효율적으로 주차유도가 가능하다.The artificial intelligence parking guidanc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integrally provide parking condition display in a forward direction in a predetermined parking area group as well as parking area shooting and parking area full display through a parking guidance device. Through this, not only whether the parking area is full or empty, but also whether or not it is possible to park in a forward direction in a predetermined parking area group and the number of parking spaces available for parking are displayed to the driver at the same time, so that efficient parking guidance is possible in a short tim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인공지능 주차유도 시스템은 주차구역 촬영 및 주차구역 만공표시 뿐만 아니라 소정의 주차구역 그룹에서 순방향 및 역방향 각각의 주차상태 표시를 주차유도장치를 통해 일체형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주차구역의 만차 또는 공차 여부 뿐만 아니라, 소정의 주차구역 그룹에서 순방향 및 역방향으로 주차 가능 여부 및 주차 가능한 주차면 개수를 운전자에게 동시에 표시함으로써, 빠른 시간 내에 효율적으로 주차유도가 가능하다.In addition, the artificial intelligence parking guidanc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parking guidance devices for parking status display in each of the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s in a predetermined parking area group as well as parking area shooting and parking area full display through the parking guidance device. Through this, not only whether the parking area is full or empty, but also whether or not parking is possible in the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s in a predetermined parking area group, and the number of parking surfaces available for parking are simultaneously displayed to the driver, so that efficient parking guidance is possible in a short time.

본 발명에 따른 인공지능 주차유도 시스템은 주차유도장치에서의 주차구역 만공표시 및 소정의 주차구역 그룹에서 순방향의 주차상태 또는 순방향 및 역방향 각각의 주차상태 표시를 위해, AI서버에서 주차구역 촬영 이미지에 기초하여 차량 객체를 인공지능으로 인식하고, 차량 객체의 주차면 주차여부를 판단하여 주차유도장치 각각에 대한 주차정보를 생성함으로써, 보다 정확하고 효율적인 주차유도 판단이 가능하다.The artificial intelligence parking guidanc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isplays the parking area in the parking guidance device and displays the parking status in the forward direction or the parking status in the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s in a predetermined parking area group. Based on this, it is possible to determine more accurate and efficient parking guidance by recognizing a vehicle object with artificial intelligence, determining whether the vehicle object is parked on a parking surface, and generating parking information for each parking guidance devic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인공지능 주차유도 시스템은 AI서버에서 차량 입출차 감지 등으로 인한 주차구역의 주차상황 변경 이벤트를 판단하고, 동 이벤트 발생 전후로 영상저장서버가 집중녹화를 하게 함으로써, 집중녹화가 필요한 주차상황 변경 이벤트를 보다 정확하게 판단하고 영상저장서버의 저장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rtificial intelligence parking guidanc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termines the event of changing the parking situation in the parking area due to the detection of vehicle entry and exit in the AI server, and the video storage server performs intensive recording before and after the event occurs, thereby enabling intensive recording A necessary parking situation change event can be determined more accurately and the storage space of the image storage server can be used more efficiently.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유도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유도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유도장치의 개략적인 외관 및 촬영화면을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주차유도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주차유도장치의 촬영화면을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유도 시스템의 인공지능 주차유도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유도 시스템에서, 주차유도장치에서의 주차구역 만공표시 절차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유도 시스템에서, AI서버의 주차상황 인식 및 주차유도장치 각각의 주차정보 생성 절차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유도 시스템에서, 주차유도장치에서의 소정의 주차구역 그룹 내 순방향 및 역방향 각각의 주차상태 표시 절차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유도 시스템에서, AI서버의 주차상황 변경 이벤트 판단에 따른 영상저장서버의 집중녹화 절차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I서버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리서버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저장서버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1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parking guidanc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a parking guidanc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shows a schematic appearance and a shooting screen of a parking guidanc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a parking guidance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shows a shooting screen of a parking guidance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schematically illustrates an artificial intelligence parking guidance method of a parking guidanc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schematically illustrates a parking area full display procedure in a parking guidance device in a parking guidanc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schematically illustrates a procedure for recognizing a parking situation of an AI server and generating parking information for each parking guidance device in a parking guidanc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schematically illustrates a parking state display procedure in each of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s within a predetermined parking area group in a parking guidance system in a parking guidanc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schematically illustrates a centralized recording procedure of a video storage server according to an AI server determining a parking situation change event in a parking guidanc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an AI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a management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a video storage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도면 상에서 각 구성 요소의 크기는 설명의 명료성을 위하여 과장되어 있을 수 있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denote the same components, and the size of each component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of explan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유도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1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parking guidanc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유도 시스템(100)은 주차유도장치(110), AI서버(120), 관리서버(130) 및 영상저장서버(140)를 포함한다.Parking guidance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arking guidance device 110, an AI server 120, a management server 130 and an image storage server 140.

주차유도장치(110)는 주차시설에 적어도 하나 이상 존재한다. 주차유도장치(110)는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부에 의해 주차구역을 촬영하고, 소정의 주차구역 그룹에서 순방향의 주차상태를 표시하거나, 순방향 및 역방향 각각의 주차상태를 표시한다. 주차유도장치(110)는 이하 도 2 내지 도 5를 통해 보다 상세히 후술한다.At least one parking guidance device 110 exists in a parking facility. The parking guidance device 110 photographs a parking area by at least one camera unit, and displays a parking state in a forward direction in a predetermined parking area group or a parking state in each of the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s. The parking guidance device 110 will be described later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2 to 5 below.

AI서버(120)는 주차유도장치(110)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부로부터 수신한 촬영 이미지에 기초하여 상기 주차구역의 주차상황을 인공지능으로 인식하고, 주차유도장치(110) 각각의 주차정보를 설정한다. 주차유도장치(110)의 주차정보는 주차유도장치(110)가 담당하는 주차구역에 대한, 소정 개수의 좌우측 주차면 각각에 대한 주차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 비트 정보를 의미한다.The AI server 120 recognizes the parking situation of the parking area by artificial intelligence based on the captured image received from the at least one camera unit of the parking guidance device 110, and the parking information of each parking guidance device 110 set The parking information of the parking guidance device 110 refers to flag bit information indicating whether or not parking is performed for each of a predetermined number of left and right parking surfaces for a parking area in charge of the parking guidance device 110.

관리서버(130)는 상기 소정의 주차구역 그룹을 설정하고, AI서버(120)로부터 수신한 주차유도장치(110) 각각의 주차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소정의 주차구역 그룹 내에서 주차유도장치(110)의 순방향 주차정보를 생성하거나 순방향 주차정보 및 역방향 주차정보를 각각 생성한다.The management server 130 sets the predetermined parking area group, and the parking guidance apparatus 110 within the predetermined parking area group based on the parking information of each parking guidance apparatus 110 received from the AI server 120. ), or generate forward parking information and reverse parking information, respectively.

상기 소정의 주차구역 그룹은 상기 소정의 주차구역 그룹에 포함되는 복수의 주차유도장치 식별자, 각각의 주차유도장치 식별자의 그룹내 순방향 순서번호로 설정된다. 또는, 상기 소정의 주차구역 그룹은 상기 소정의 주차구역 그룹에 포함되는 복수의 주차유도장치 식별자, 각각의 주차유도장치 식별자의 그룹내 순방향 순서번호 및 각각의 주차유도장치 식별자의 그룹내 역방향 순서번호로 설정된다. 상기 순방향 주차정보는 상기 소정의 주차구역 그룹에서 주차유도장치(110) 기준으로 순방향으로 비어있는 주차면의 개수를 포함한다. 상기 역방향 주차정보는 상기 소정의 주차구역 그룹에서 주차유도장치(110) 기준으로 역방향으로 비어있는 주차면의 개수를 포함한다.The predetermined parking area group is set to a plurality of parking guidance device identifiers included in the predetermined parking area group, and a forward sequence number within the group of each parking guidance device identifier. Alternatively, the predetermined parking area group includes a plurality of parking guidance device identifiers included in the predetermined parking area group, a forward sequence number within a group of each parking guidance device identifier, and a reverse sequence number within a group of each parking guidance device identifier. is set to The forward direction parking information includes the number of empty parking surfaces in the forward direction based on the parking guidance device 110 in the predetermined parking area group. The reverse direction parking information includes the number of empty parking surfaces in the reverse direction based on the parking guidance device 110 in the predetermined parking area group.

영상저장서버(140)는 상기 주차구역의 주차상황이 변경된 경우, 상기 변경된 주차구역을 촬영하는 주차유도장치(110)의 해당 카메라부로부터 촬영 영상을 획득하고 저장한다.When the parking situation of the parking area is changed, the image storage server 140 acquires and stores a photographed image from a corresponding camera unit of the parking guidance device 110 that photographs the changed parking area.

주차유도장치(110), AI서버(120), 관리서버(130) 및 영상저장서버(140)는 통신망을 통해 서로 네트워크 연결된다. 또한, 주차유도장치(110)의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부 각각은 상기 통신망을 통해 AI서버(120), 관리서버(130) 및 영상저장서버(140) 각각과 서로 네트워크 연결된다. 상기 네트워크 연결에 사용되는 통신 기술이 다양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The parking guidance device 110, the AI server 120, the management server 130 and the image storage server 140 are network-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In addition, each of the at least one camera unit of the parking guidance device 110 is network-connected to each other with the AI server 120, the management server 130 and the image storage server 140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It is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communication technologies used for the network connection may vary.

주차유도 시스템(100)의 인공지능 주차유도 방법은 이하 도 6 내지 도 10을 통해 상세히 후술한다.The artificial intelligence parking guidance method of the parking guidance system 100 will be described later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6 to 10.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유도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유도장치의 개략적인 외관 및 촬영화면을 도시한다.Figure 2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a parking guidanc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shows a schematic appearance and a shooting screen of a parking guidanc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유도장치(200)는 제어부(210), 만공표시부(220), 순방향표시부(230), 제1 카메라부(250), 제2 카메라부(260) 및 제3 카메라부(27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유도장치(200)는역방향표시부(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parking guidance device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trol unit 210, a full display unit 220, a forward display unit 230, a first camera unit 250, a second camera unit 260, and a third A camera unit 270 is included. Parking guidance device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reverse direction display unit 240.

제1 카메라부(250), 제2 카메라부(260) 및 제3 카메라부(270)는 주차유도장치(200)가 담당하는 주차구역을 촬영한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카메라부(250)는 상기 주차구역 중 소정 개수(예. 3개)의 좌측 주차면을 촬영한다. 제2 카메라부(260)는 상기 주차구역 중 소정 개수(예. 3개)의 우측 주차면을 촬영한다. 제3 카메라부(270)는 상기 주차구역 중 통로면을 촬영한다.The first camera unit 250, the second camera unit 260, and the third camera unit 270 take pictures of the parking area covered by the parking guidance device 200. For example, as shown in FIG. 3 , the first camera unit 250 captures a predetermined number (eg, three) of left parking surfaces in the parking area. The second camera unit 260 photographs the right parking surface of a predetermined number (eg, three) of the parking area. The third camera unit 270 photographs the passage surface in the parking area.

제1 카메라부(250), 제2 카메라부(260) 및 제3 카메라부(270)가 각각 촬영한 영상은 영상저장서버(140)에 녹화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AI서버(120)가 제1 카메라부(250), 제2 카메라부(260) 및 제3 카메라부(270)로부터 각각 촬영한 이미지를 획득하여 상기 주차구역의 주차상황 변경 이벤트를 판단하고, 관리서버(130)를 통해 영상저장서버(140)가 상기 주차상황 변경 이벤트 관련 카메라부로부터 해당 주차상황 변경 이벤트 발생 전후의 촬영 영상을 집중녹화하도록 한다. 이로써, 집중녹화가 필요한 주차상황 변경 이벤트를 보다 정확하게 판단하고 영상저장서버의 저장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AI서버(120)의 주차상황 변경 이벤트 판단에 따른 영상저장서버(140)의 집중녹화를 제1 카메라부(250), 제2 카메라부(260) 및 제3 카메라부(270)에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I서버(120)의 주차상황 변경 이벤트 판단에 따른 영상저장서버(140)의 집중녹화를 좌측 주차면을 촬영하는 제1 카메라부(250) 및 우측 주차면을 촬영하는 제2 카메라부(260)에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이 경우, 통로면을 촬영하는 제3 카메라부(270)가 촬영한 영상은 영상저장서버(140)가 상시 녹화하거나 다른 방식의 이벤트 판단에 기초하여 집중 녹화할 수 있다.Images captured by the first camera unit 250, the second camera unit 260, and the third camera unit 270, respectively, are recorded in the image storage server 14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I server 120 obtains images taken from the first camera unit 250, the second camera unit 260, and the third camera unit 270, respectively, to determine the location of the parking area. A parking situation change event is determined, and the video storage server 140 through the management server 130 intensively records images taken before and after the corresponding parking situation change event from the camera unit related to the parking situation change event.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more accurately determine a parking situation change event requiring intensive recording and more efficiently utilize the storage space of the video storage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amera unit 250, the second camera unit 260, and the third camera unit 250, the second camera unit 260, and the third It can be selectively applied to the camera unit 270 . For example, the first camera unit 250 for photographing the left parking surface and the second camera for photographing the right parking surface for intensive recording of the video storage server 140 according to the judgment of the parking situation change event of the AI server 120 It can be selectively applied to section 260. In this case, the image captured by the third camera unit 270 for capturing the passage surface may be continuously recorded by the image storage server 140 or intensively recorded based on event determination in another method.

제어부(210)는 만공표시부(220) 및 순방향표시부(230)를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210)는 역방향표시부(240)를 더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10)는 AI서버(120)로부터 획득한 주차유도장치(200)의 주차정보에 기초하여, 만공표시부(220)가 상기 주차구역의 만차 또는 공차 상태를 소정의 설정된 색으로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제어부(210)는 관리서버(130)로부터 획득한 주차유도장치(110)의 순방향 주차정보에 기초하여, 순방향표시부(230)가 상기 소정의 주차구역 그룹에서 순방향의 주차상태를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제어부(210)는 관리서버(130)로부터 획득한 주차유도장치(110)의 역방향 주차정보에 기초하여, 역방향표시부(240)가 상기 소정의 주차구역 그룹에서 역방향의 주차상태를 표시하도록 제어한다.The control unit 210 controls the mangong display unit 220 and the forward direction display unit 230. Also, the control unit 210 may further control the reverse direction display unit 240 . Based on the parking information of the parking guidance device 200 obtained from the AI server 120, the control unit 210 controls the full display unit 220 to display the full or empty state of the parking area in a predetermined color. . The control unit 210 controls the forward direction display unit 230 to display the forward parking status in the predetermined parking area group based on the forward parking information of the parking guidance device 110 obtained from the management server 130. The control unit 210 controls the reverse direction display unit 240 to display the reverse parking state in the predetermined parking area group based on the reverse parking information of the parking guidance device 110 obtained from the management server 130.

만공표시부(220)는 제어부(210)에 의한 제어로, 상기 주차구역의 만차 또는 공차 상태를 소정의 설정된 색으로 표시한다. 예를 들어, 상기 주차구역의 모든 주차면이 만차일 경우 적색, 적어도 하나의 주차면이 비어있을 경우 녹색과 같이 사전에 설정된 색의 빛을 표시한다. 만공표시부(220)는 주차유도장치(200)의 바닥면에 위치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또한, 만공표시부(220)는 좌측 만공표시부 및 우측 만공표시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좌측 만공표시부는 상기 주차구역 중 좌측 주차면의 만차 또는 공차 상태를 소정의 설정된 색으로 표시한다. 상기 우측 만공표시부는 상기 주차구역 중 우측 주차면의 만차 또는 공차 상태를 소정의 설정된 색으로 표시한다.The fullness display unit 220 displays the full or empty state of the parking area in a predetermined color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210. For example, when all the parking surfaces of the parking area are full, a light of a preset color such as red light and green light when at least one parking surface is empty are displayed. Mangong display unit 220 may be loca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parking guidance device 200, but it is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it is not limited thereto. In addition, the mangong display unit 220 may include a left mangong display unit and a right mangong display unit. In this case, the left empty display unit displays the full or empty state of the left parking surface in the parking area in a predetermined color. The right empty display unit displays the full or empty state of the right parking surface in the parking area in a predetermined color.

순방향표시부(230)는 제어부(210)에 의한 제어로, 상기 소정의 주차구역 그룹에서 순방향의 주차상태를 표시한다. 상기 순방향의 주차상태는 상기 소정의 주차구역 그룹에서 주차유도장치(200) 기준으로 순방향으로, 비어있는 주차면이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방향등 및 비어있는 주차면의 개수를 나타내는 숫자등을 포함한다.The forward direction display unit 230 is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210 and displays a parking state in the forward direction in the predetermined parking area group. The parking state in the forward direction includes a direction light indicating whether there is an empty parking surface and a number indicating the number of empty parking surfaces in the forward direction based on the parking guidance device 200 in the predetermined parking area group.

역방향표시부(240)는 제어부(210)에 의한 제어로, 상기 소정의 주차구역 그룹에서 역방향의 주차상태를 표시한다. 상기 역방향의 주차상태는 상기 소정의 주차구역 그룹에서 주차유도장치(200) 기준으로 역방향으로, 비어있는 주차면이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방향등 및 비어있는 주차면의 개수를 나타내는 숫자등을 포함한다.The reverse direction display unit 240 is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210 and displays a reverse parking state in the predetermined parking area group. The parking state in the reverse direction includes a direction light indicating whether there is an empty parking surface and a number indicating the number of empty parking surfaces in the reverse direction based on the parking guidance device 200 in the predetermined parking area group.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주차유도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주차유도장치의 촬영화면을 도시한다.Figure 4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a parking guidance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shows a shooting screen of a parking guidance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에 따른 주차유도장치(400)는 제어부(410), 만공표시부(420), 순방향표시부(430) 및 카메라부(450)를 포함한다. 주차유도장치(400)는 역방향표시부(4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410), 만공표시부(420), 순방향표시부(430) 및 역방향표시부(440)의 동작은 도 2에서 기술한 실시예에서와 동일하다.The parking guidance device 400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ncludes a control unit 410, a mangong display unit 420, a forward direction display unit 430 and a camera unit 450. The parking guidance device 400 may further include a reverse direction display unit 440 . Operations of the control unit 410, the full hole display unit 420, the forward direction display unit 430, and the reverse direction display unit 440 are the same as in the embodiment described in FIG. 2 .

본 실시예에 따른 주차유도장치(400)의 카메라부(450)는 1개의 어안렌즈로 구성된 카메라부이다. 카메라부(450)는 상기 주차구역을 상기 어안렌즈로 촬영하고, 촬영된 상기 주차구역 이미지(510)를 좌측 주차면(540), 우측 주차면(550) 및 통로면(520, 530) 각각의 이미지로 분할한다.The camera unit 450 of the parking guidance device 400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s a camera unit composed of one fish-eye lens. The camera unit 450 photographs the parking area with the fish-eye lens, and transmits the photographed parking area image 510 to the left parking surface 540, the right parking surface 550, and the passage surfaces 520 and 530, respectively. split into images

카메라부(450)가 촬영한 영상은 영상저장서버(140)에 녹화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AI서버(120)는 카메라부(450)가 촬영한 후 분할한 이미지를 획득하여 상기 주차구역의 주차상황 변경 이벤트를 판단한다.The image taken by the camera unit 450 is recorded in the image storage server 140 .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I server 120 determines a parking situation change event of the parking area by obtaining a divided image after being photographed by the camera unit 450.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유도 시스템의 인공지능 주차유도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6 schematically illustrates an artificial intelligence parking guidance method of a parking guidanc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관리서버(130)는 소정의 주차구역 그룹(600)을 설정한다. 소정의 주차구역 그룹(600)은 소정의 주차구역 그룹(600)에 포함되는 복수의 주차유도장치 식별자, 각각의 주차유도장치 식별자의 그룹내 순방향 순서번호로 설정되거나, 소정의 주차구역 그룹(600)에 포함되는 복수의 주차유도장치 식별자, 각각의 주차유도장치 식별자의 그룹내 순방향 순서번호 및 각각의 주차유도장치 식별자의 그룹내 역방향 순서번호로 설정된다. 도시된 예에서, 소정의 주차구역 그룹(600)에 포함되는 복수의 주차유도장치는 제1 주차유도장치(610), 제2 주차유도장치(620), 제3 주차유도장치(630) 및 제4 주차유도장치(640)를 포함한다. 제1 주차유도장치(610)의 순방향 순서번호는 1, 역방향 순서번호는 4이고, 제2 주차유도장치(620)의 순방향 순서번호는 2, 역방향 순서번호는 3이고, 제3 주차유도장치(630)의 순방향 순서번호는 3, 역방향 순서번호는 2이고, 제4 주차유도장치(640)의 순방향 순서번호는 4, 역방향 순서번호는 1이다.The management server 130 sets a predetermined parking area group 600 . The predetermined parking area group 600 is set to a plurality of parking guidance device identifiers included in the predetermined parking area group 600, a forward sequence number within the group of each parking guidance device identifier, or a predetermined parking area group 600 A plurality of parking guidance device identifiers included in ), each parking guidance device identifier within a forward sequence number, and each parking guidance device identifier within a group of a reverse sequence number. In the illustrated example, a plurality of parking guidance devices included in a predetermined parking area group 600 include a first parking guidance device 610, a second parking guidance device 620, a third parking guidance device 630, and a second parking guidance device 610. 4 includes a parking guidance device (640). The forward sequence number of the first parking guidance device 610 is 1, the reverse sequence number is 4, the forward sequence number of the second parking guidance device 620 is 2, the reverse sequence number is 3, and the third parking guidance device ( 630) has a forward sequence number of 3, a reverse sequence number of 2, and a fourth parking guidance device 640 has a forward sequence number of 4 and a reverse sequence number of 1.

각각의 주차유도장치의 만공표시부(220)는 담당 주차구역의 만차 또는 공차 상태를 소정의 설정된 색으로 표시한다. 제어부(210)는 AI서버(120)로부터 획득한 주차유도장치(200)의 주차정보에 기초하여, 만공표시부(220)가 상기 주차구역의 만차 또는 공차 상태를 소정의 설정된 색으로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예를 들어, 담당 주차구역의 모든 주차면(예. 좌측 3면 및 우측 3면)이 만차일 경우 적색, 적어도 하나의 주차면이 비어있을 경우 녹색과 같이 사전에 설정된 색의 빛을 표시한다. 도시된 예에서, 제1 주차유도장치(610)의 담당 주차구역의 모든 주차면이 만차이므로, 제1 주차유도장치(610)의 만공표시부(220)는 적색을 표시한다. 주차유도장치(200)의 주차정보는 주차유도장치(200)가 담당하는 주차구역에 대한, 소정 개수의 좌우측 주차면 각각에 대한 주차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 비트 정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주차유도장치(200)의 주차정보는 parking_flag_bits[주차면 개수]의 플래그 비트 배열로 나타낼 수 있다. parking_flag_bits[주차면 개수] 배열은 좌측 제1 주차면, 좌측 제2 주차면, 좌측 제3 주차면, 우측 제1 주차면, 우측 제2 주차면, 우측 제3 주차면의 순차적인 배열 인덱스를 갖는다. 예를 들어, 제2 주차유도장치(620)의 주차정보인 parking_flag_bits[6]는 {1, 1, 0, 1, 0, 1} 값을 갖는다.The fullness display unit 220 of each parking guidance device displays the full or empty state of the parking area in charge in a predetermined color. Based on the parking information of the parking guidance device 200 obtained from the AI server 120, the control unit 210 controls the full display unit 220 to display the full or empty state of the parking area in a predetermined color. . For example, when all parking surfaces (eg, 3 left sides and 3 right sides) of the parking area in charge are full, a light of a preset color is displayed, such as red light and green light when at least one parking surface is empty. In the illustrated example, since all parking surfaces in the parking area in charge of the first parking guidance device 610 are full, the full display unit 220 of the first parking guidance device 610 displays red. The parking information of the parking guidance device 200 refers to flag bit information indicating whether or not parking is performed for each of a predetermined number of left and right parking surfaces for a parking area in charge of the parking guidance device 200. Specifically, the parking information of the parking guidance device 200 may be represented by a flag bit array of parking_flag_bits [the number of parking surfaces]. The parking_flag_bits [number of parking surfaces] array has sequential array indexes of the left first parking surface, the left second parking surface, the left third parking surface, the right first parking surface, the right second parking surface, and the right third parking surface. . For example, parking_flag_bits[6], which is parking information of the second parking guidance device 620, has a value of {1, 1, 0, 1, 0, 1}.

각각의 주차유도장치의 순방향표시부(230)는 소정의 주차구역 그룹(600)에서 순방향의 주차상태를 표시한다. 제어부(210)는 관리서버(130)로부터 획득한 주차유도장치(200)의 순방향 주차정보에 기초하여, 순방향표시부(230)가 소정의 주차구역 그룹(600)에서 순방향의 주차상태를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순방향 주차정보는 주차유도장치(200) 기준에서 순방향으로 비어있는 주차면의 개수를 포함한다. 상기 순방향의 주차상태는 소정의 주차구역 그룹(600)에서 각각의 주차유도장치 기준으로 순방향으로, 비어있는 주차면이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방향등 및 비어있는 주차면의 개수를 나타내는 숫자등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제1 주차유도장치(610)의 순방향표시부(230)는 순방향으로 비어있는 주차면이 있음을 나타내는 녹색 방향등 및 비어있는 주차면의 개수를 나타내는 숫자등 '7'을 표시한다. 제3 주차유도장치(630)의 순방향표시부(230)는 순방향으로 비어있는 주차면이 있음을 나타내는 녹색 방향등 및 비어있는 주차면의 개수를 나타내는 숫자등 '5'를 표시한다. The forward direction display unit 230 of each parking guidance device displays the parking state in the forward direction in a predetermined parking area group 600 . The control unit 210 controls the forward direction display unit 230 to display the forward parking status in a predetermined parking area group 600 based on the forward parking information of the parking guidance device 200 obtained from the management server 130. do. The forward direction parking information includes the number of empty parking surfaces in the forward direction based on the parking guidance device 200. The forward parking state includes a direction light indicating whether there is an empty parking surface and a number indicating the number of empty parking surfaces in a forward direction based on each parking guidance device in a predetermined parking area group 600. . For example, the forward direction display unit 230 of the first parking guidance device 610 displays a green direction light indicating that there is an empty parking surface in the forward direction and a number light '7' indicating the number of empty parking surfaces. The forward direction display unit 230 of the third parking guidance device 630 displays a green direction light indicating that there is an empty parking surface in the forward direction and a number light '5' indicating the number of empty parking surfaces.

각각의 주차유도장치의 역방향표시부(240)는 소정의 주차구역 그룹(600)에서 역방향의 주차상태를 표시한다. 제어부(210)는 관리서버(130)로부터 획득한 주차유도장치(200)의 역방향 주차정보에 기초하여, 역방향표시부(240)가 소정의 주차구역 그룹(600)에서 역방향의 주차상태를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역방향 주차정보는 주차유도장치(200) 기준에서 역방향으로 비어있는 주차면의 개수를 포함한다. 상기 역방향의 주차상태는 소정의 주차구역 그룹(600)에서 각각의 주차유도장치 기준으로 역방향으로, 비어있는 주차면이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방향등 및 비어있는 주차면의 개수를 나타내는 숫자등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제3 주차유도장치(630)의 역방향표시부(240)는 역방향으로 비어있는 주차면이 있음을 나타내는 녹색 방향등 및 비어있는 주차면의 개수를 나타내는 숫자등 '5'를 표시한다. 제1 주차유도장치(610)의 역방향표시부(240)는 역방향으로 비어있는 주차면이 없음을 나타내는 '적색 X' 방향등 및 비어있는 주차면이 없음을 나타내는 숫자등 'X'를 표시한다. The reverse direction display unit 240 of each parking guidance device displays a parking state in the reverse direction in a predetermined parking area group 600 . The control unit 210 controls the reverse direction display unit 240 to display the reverse parking status in a predetermined parking area group 600 based on the reverse parking information of the parking guidance device 200 obtained from the management server 130. do. The reverse direction parking information includes the number of vacant parking surfaces in the reverse direction based on the parking guidance device 200. The parking state in the reverse direction includes a direction light indicating whether there is an empty parking surface and a number indicating the number of empty parking surfaces in the reverse direction based on each parking guidance device in a predetermined parking area group 600. . For example, the reverse direction display unit 240 of the third parking guidance device 630 displays '5', a green direction light indicating that there is an empty parking surface in the reverse direction and a number indicating the number of empty parking surfaces. The reverse display unit 240 of the first parking guidance device 610 displays 'X', a number indicating that there is no 'red X' direction light and an empty parking surface indicating that there is no empty parking surface in the reverse direction.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유도 시스템에서, 주차유도장치에서의 주차구역 만공표시 절차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7 schematically illustrates a parking area full display procedure in a parking guidance device in a parking guidanc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단계 S610에서, 관리서버(130)는 각각의 주차유도장치가 담당하는 주차구역 및 주차구역 그룹을 설정한다. 상기 주차구역 설정은 주차유도장치 식별자(ID), 주차유도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부 식별자(ID), 주차유도장치가 담당하는 주차구역 정보를 나타내는 주차구역 설정 정보를 통해 설정된다. 예를 들어, 주차유도장치가 6개 주차면을 담당하고 각각의 주차면을 센터 라인의 시작/끝 (x,y) 좌표로 식별하는 경우, 상기 주차구역 정보는 6개 센터라인의 시작/끝 (x,y) 좌표 세트로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주차구역 그룹 설정은 소정의 주차구역 그룹에 포함되는 복수의 주차유도장치 식별자(ID), 각각의 주차유도장치 식별자의 그룹내 순방향 순서번호 및 각각의 주차유도장치 식별자의 그룹내 역방향 순서번호로 설정된다.In step S610, the management server 130 sets the parking area and parking area group in charge of each parking guidance device. The parking area setting is set through a parking guidance device identifier (ID), at least one camera unit identifier (ID) of the parking guidance device, and parking area setting information indicating parking area information in charge of the parking guidance device. For example, if the parking guidance device is in charge of 6 parking surfaces and identifies each parking surface with the start/end (x,y) coordinates of the center line, the parking area information is the start/end of the 6 center lines. It can be represented by a set of (x,y) coordinates. The parking area group setting is a plurality of parking guidance device identifiers (IDs) included in a predetermined parking area group, a forward sequence number within a group of each parking guidance device identifier, and a reverse sequence number within a group of each parking guidance device identifier. is set

단계 S620에서, 관리서버(130)는 AI서버(120)에게 상기 주차구역 설정 정보를 전송한다.In step S620, the management server 130 transmits the parking area setting information to the AI server 120.

단계 S630에서, AI서버(120)는 상기 주차구역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주차구역을 설정한다.In step S630, the AI server 120 sets a parking area using the parking area setting information.

단계 S640에서, AI서버(120)는 각각의 주차유도장치(110)의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부로부터 촬영 이미지를 획득한다.In step S640, the AI server 120 acquires a photographed image from at least one camera unit of each parking guidance device 110.

단계 S650에서, AI서버(120)는 단계 S640에서 획득한 촬영 이미지에 기초하여 촬영 이미지와 관련된 주차구역의 주차상황을 인식하고, 주차유도장치 각각의 주차정보를 설정한다. 상기 주차유도장치 각각의 주차정보는 담당하는 주차구역에 대한, 소정 개수의 좌우측 주차면 각각에 대한 주차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 비트 정보를 의미한다. 단계 S650의 구체적인 동작은 이하 도 8을 통해 상세히 후술한다. In step S650, the AI server 120 recognizes the parking situation of the parking area related to the captured image based on the captured image obtained in step S640, and sets parking information for each parking guidance device. The parking information of each of the parking guidance devices means flag bit information indicating whether or not parking is performed for each of a predetermined number of left and right parking surfaces for a parking area in charge. The specific operation of step S650 will be described later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8 .

단계 S660에서, AI서버(120)는 주차유도장치(110)에게 상기 주차정보를 전송한다.In step S660, the AI server 120 transmits the parking information to the parking guidance device 110.

단계 S670에서, 주차유도장치(110)는 상기 주차정보에 기초하여 담당 주차구역의 만차 또는 공차 상태를 표시한다.In step S670, the parking guidance device 110 displays the full or empty state of the parking area in charge based on the parking information.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유도 시스템에서, AI서버의 주차상황 인식 및 주차유도장치 각각의 주차정보 생성 절차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8 schematically illustrates a procedure for recognizing a parking situation of an AI server and generating parking information for each parking guidance device in a parking guidanc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단계 S810에서, AI서버(120)는 단계 S640에서 획득한 촬영 이미지에서 인공지능으로 차량 객체를 인식한다. 차량 객체 인식을 위해 머신러닝 및 딥러닝을 포함한 다양한 알고리즘을 이용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In step S810, the AI server 120 recognizes the vehicle object with artificial intelligence from the photographed image obtained in step S640. It is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algorithms including machine learning and deep learning can be used for vehicle object recognition.

단계 S820에서, AI서버(120)는 단계 S810에서 인식된 각각의 차량 객체 관련 주차면에 대한 주차여부를 판단한다. 구체적으로, 인식된 차량 객체가 관련 주차면의 센터라인에 소정의 확률 이상으로 매칭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주차면에 대한 주차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나, 그 이외 다양한 알고리즘을 이용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In step S820, the AI server 120 determines whether to park for each vehicle object-related parking surface recognized in step S810. Specifically,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 parking surface is parked by determining whether the recognized vehicle object is matched to the center line of the related parking surface with a predetermined probability or more, but it is possible to use various other algorithm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self-explanatory

단계 S830에서, AI서버(120)는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주차유도장치의 주차정보를 설정한다. 상기 주차유도장치의 주차정보는 담당하는 주차구역에 대한, 소정 개수의 좌우측 주차면 각각에 대한 주차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 비트 정보를 의미한다.In step S830, the AI server 120 sets the parking information of the parking guidance device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The parking information of the parking guidance device means flag bit information indicating whether or not parking for each of a predetermined number of left and right parking surfaces for a parking area in charge.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유도 시스템에서, 주차유도장치에서의 소정의 주차구역 그룹 내 순방향 및 역방향 각각의 주차상태 표시 절차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9 schematically illustrates a parking state display procedure in each of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s within a predetermined parking area group in a parking guidance system in a parking guidanc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단계 S910에서, 관리서버(130)는 각각의 주차유도장치가 담당하는 주차구역 및 주차구역 그룹을 설정한다. 상기 주차구역 설정은 주차유도장치 식별자(ID), 주차유도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부 식별자(ID), 주차유도장치가 담당하는 주차구역 정보를 나타내는 주차구역 설정 정보를 통해 설정된다. 예를 들어, 주차유도장치가 6개 주차면을 담당하고 각각의 주차면을 센터 라인의 시작/끝 (x,y) 좌표로 식별하는 경우, 상기 주차구역 정보는 6개 센터라인의 시작/끝 (x,y) 좌표 세트로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주차구역 그룹 설정은 소정의 주차구역 그룹에 포함되는 복수의 주차유도장치 식별자(ID), 각각의 주차유도장치 식별자의 그룹내 순방향 순서번호 및 각각의 주차유도장치 식별자의 그룹내 역방향 순서번호로 설정된다. 또는, 상기 주차구역 그룹 설정은 소정의 주차구역 그룹에 포함되는 복수의 주차유도장치 식별자(ID), 각각의 주차유도장치 식별자의 그룹내 순방향 순서번호로 설정될 수 있다(미도시).In step S910, the management server 130 sets the parking area and parking area group in charge of each parking guidance device. The parking area setting is set through a parking guidance device identifier (ID), at least one camera unit identifier (ID) of the parking guidance device, and parking area setting information indicating parking area information in charge of the parking guidance device. For example, if the parking guidance device is in charge of 6 parking surfaces and identifies each parking surface with the start/end (x,y) coordinates of the center line, the parking area information is the start/end of the 6 center lines. It can be represented by a set of (x,y) coordinates. The parking area group setting is a plurality of parking guidance device identifiers (IDs) included in a predetermined parking area group, a forward sequence number within a group of each parking guidance device identifier, and a reverse sequence number within a group of each parking guidance device identifier. is set Alternatively, the parking area group setting may be set to a plurality of parking guidance device identifiers (IDs) included in a predetermined parking area group, and a forward sequence number within a group of each parking guidance device identifier (not shown).

단계 S920에서, 관리서버(130)는 AI서버(120)에게 상기 주차구역 설정 정보를 전송한다.In step S920, the management server 130 transmits the parking area setting information to the AI server 120.

단계 S930에서, AI서버(120)는 상기 주차구역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주차구역을 설정한다.In step S930, the AI server 120 sets a parking area using the parking area setting information.

단계 S940에서, AI서버(120)는 각각의 주차유도장치(110)의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부로부터 촬영 이미지를 획득한다.In step S940, the AI server 120 acquires a photographed image from at least one camera unit of each parking guidance device 110.

단계 S950에서, AI서버(120)는 단계 S940에서 획득한 촬영 이미지에 기초하여 촬영 이미지와 관련된 주차구역의 주차상황을 인식하고, 주차유도장치 각각의 주차정보를 설정한다. 상기 주차유도장치 각각의 주차정보는 담당하는 주차구역에 대한, 소정 개수의 좌우측 주차면 각각에 대한 주차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 비트 정보를 의미한다. In step S950, the AI server 120 recognizes the parking situation of the parking area related to the captured image based on the captured image obtained in step S940, and sets parking information for each parking guidance device. The parking information of each of the parking guidance devices means flag bit information indicating whether or not parking is performed for each of a predetermined number of left and right parking surfaces for a parking area in charge.

단계 S960에서, AI서버(120)는 관리서버(130)에게 각각의 주차유도장치의 주차정보를 전송한다.In step S960, the AI server 120 transmits the parking information of each parking guidance device to the management server 130.

단계 S970에서, 관리서버(130)는 단계 S960에서 획득한 각각의 주차유도장치의 주차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주차구역 그룹에서 각각의 주차유도장치의 순방향 주차정보 및 역방향 주차정보를 생성한다. 또는, 관리서버(130)는 단계 S960에서 획득한 각각의 주차유도장치의 주차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주차구역 그룹에서 각각의 주차유도장치의 순방향 주차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미도시).In step S970, the management server 130 generates forward parking information and reverse parking information of each parking guidance device in the parking area group based on the parking information of each parking guidance device obtained in step S960. Alternatively, the management server 130 may generate forward parking information of each parking guidance device in the parking area group based on the parking information of each parking guidance device obtained in step S960 (not shown).

상기 순방향 주차정보는 상기 주차구역 그룹에서 각각의 주차유도장치 기준으로 순방향으로 비어있는 주차면의 개수를 포함한다. 상기 역방향 주차정보는 상기 주차구역 그룹에서 각각의 주차유도장치 기준으로 역방향으로 비어있는 주차면의 개수를 포함한다.The forward parking information includes the number of empty parking surfaces in the forward direction based on each parking guidance device in the parking area group. The reverse parking information includes the number of vacant parking surfaces in the reverse direction based on each parking guidance device in the parking area group.

단계 S980에서, 관리서버(130)는 각각의 주차유도장치(110)에게 순방향 주차정보 및 역방향 주차정보를 전송한다. 또는, 관리서버(130)는 각각의 주차유도장치(110)에게 순방향 주차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미도시).In step S980, the management server 130 transmits forward parking information and reverse parking information to each parking guidance device 110. Alternatively, the management server 130 may transmit forward parking information to each parking guidance device 110 (not shown).

단계 S990에서, 주차유도장치(110)는 상기 주차구역 그룹에서 순방향의 주차상태 및 역방향의 주차상태를 표시한다. 또는, 주차유도장치(110)는 상기 주차구역 그룹에서 순방향의 주차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미도시).In step S990, the parking guidance device 110 displays the parking state in the forward direction and the parking state in the reverse direction in the parking area group. Alternatively, the parking guidance device 110 may display a forward parking state in the parking area group (not shown).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유도 시스템에서, AI서버의 주차상황 변경 이벤트 판단에 따른 영상저장서버의 집중녹화 절차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10 schematically illustrates a centralized recording procedure of a video storage server according to an AI server determining a parking situation change event in a parking guidanc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단계 S1010에서, 관리서버(130)는 각각의 주차유도장치가 담당하는 주차구역 및 주차구역 그룹을 설정한다.In step S1010, the management server 130 sets the parking area and parking area group in charge of each parking guidance device.

단계 S1020에서, 관리서버(130)는 AI서버(120)에게 주차구역 설정 정보를 전송한다.In step S1020, the management server 130 transmits parking area setting information to the AI server 120.

단계 S1030에서, AI서버(120)는 상기 주차구역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주차구역을 설정한다.In step S1030, the AI server 120 sets a parking area using the parking area setting information.

단계 S1040에서, AI서버(120)는 각각의 주차유도장치(110)의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부로부터 촬영 이미지를 획득한다.In step S1040, the AI server 120 acquires a photographed image from at least one camera unit of each parking guidance device 110.

단계 S1050에서, AI서버(120)는 단계 S940에서 획득한 촬영 이미지에 기초하여 촬영 이미지와 관련된 주차구역의 주차상황을 인식하고, 주차유도장치 각각의 주차정보를 설정한다. 상기 주차유도장치 각각의 주차정보는 담당하는 주차구역에 대한, 소정 개수의 좌우측 주차면 각각에 대한 주차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 비트 정보를 의미한다. In step S1050, the AI server 120 recognizes the parking situation of the parking area related to the captured image based on the captured image obtained in step S940, and sets parking information for each parking guidance device. The parking information of each of the parking guidance devices means flag bit information indicating whether or not parking is performed for each of a predetermined number of left and right parking surfaces for a parking area in charge.

단계 S1060에서, AI서버(120)는 주차구역의 주차상황 변경 이벤트를 판단한다. 구체적으로 특정 주차유도장치의 특정 주차정보가 변경된 경우, 해당 주차유도장치의 해당 카메라부 담당 주차면에 주차상황이 변경된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다.In step S1060, the AI server 120 determines a parking situation change event of a parking area. Specifically, when specific parking information of a specific parking guidance device is changed, it is determined that an event in which a parking situation is changed occurs in the parking surface in charge of the corresponding camera unit of the corresponding parking guidance device.

주차구역의 주차상황 변경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단계 S1070에서, AI서버(120)는 관리서버(130)에게 상기 주차상황 변경 이벤트를 전송한다. 상기 주차상황 변경 이벤트는 주차상황이 변경된 주차면을 담당하는 카메라부 식별자를 포함한다.When a parking situation change event occurs in a parking area, in step S1070, the AI server 120 transmits the parking situation change event to the management server 130. The parking situation change event includes a camera unit identifier in charge of the parking surface in which the parking situation is changed.

단계 S1080에서, 관리서버(130)는 단계 S1070에서 획득한 상기 주차상황 변경 이벤트에 기초하여 영상저장서버(140)에게 집중녹화 요청을 전송한다. 상기 집중녹화 요청은 상기 카메라부 식별자를 포함한다.In step S1080, the management server 130 transmits a centralized recording request to the video storage server 140 based on the parking situation change event acquired in step S1070. The centralized recording request includes the camera unit identifier.

단계 S1090에서, 영상저장서버(140)는 상기 카메라부 식별자에 대응하는 주차유도장치(110)의 해당 카메라부로부터 촬영 영상을 획득한다. 주차유도장치(110)의 해당 카메라부로부터 획득한 촬영 영상은 상기 카메라부 식별자 및 타임스탬프를 더 포함한다.In step S1090, the image storage server 140 obtains a photographed image from the corresponding camera unit of the parking guidance device 110 corresponding to the camera unit identifier. The captured image obtained from the corresponding camera unit of the parking guidance device 110 further includes the camera unit identifier and a timestamp.

본 실시예에 따른 AI서버(120)는 차량 객체 인식 및 인식된 차량 객체 관련 주차면에 대한 주차여부를 판단함으로써 주차구역의 주차상황 변경 이벤트를 판단하고, 영상저장서버(140)에서 주차상황 변경 이벤트 전후의 집중녹화가 가능하도록 한다. 이로써 집중녹화가 필요한 주차상황 변경 이벤트를 보다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으며, 조명 변경 및 모니터링하는 주차구역 이외의 다른 구역의 움직임에 의한 환경 변화(예. 그림자 생성 등) 등의 불필요한 이벤트에 기인한 집중녹화를 하지 않음으로써 영상저장서버(140)의 저장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The AI server 12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determines a parking situation change event in a parking area by recognizing a vehicle object and determining whether a parking surface related to the recognized vehicle object is parked, and the image storage server 140 changes the parking situation. Enables intensive recording before and after the event. This makes it possible to more accurately determine parking situation change events that require intensive recording, and intensive recording due to unnecessary events such as lighting changes and environmental changes caused by movement of areas other than the monitored parking area (eg shadow generation, etc.) By not doing so, the storage space of the image storage server 140 can be utilized more efficiently.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I서버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11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an AI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에 따른 AI서버(120)는 설정정보 수신부(1110), 설정부(1120), 이미지 획득부(1130), 인식부(1140), 주차정보 설정부(1150), 주차정보 전송부(1160), 주차상황 변경 이벤트 판단부(1170) 및 주차상황 변경 이벤트 전송부(1180)를 포함한다.The AI server 120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ncludes a setting information receiving unit 1110, a setting unit 1120, an image acquisition unit 1130, a recognizing unit 1140, a parking information setting unit 1150, a parking information transmission unit ( 1160), a parking situation change event determination unit 1170 and a parking situation change event transmission unit 1180.

설정정보 수신부(1110)는 관리서버(130)로부터 주차구역 설정 정보를 수신한다. 주차구역 설정 정보는 주차유도장치 식별자, 주차유도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부 식별자, 주차유도장치가 담당하는 주차구역 정보를 포함한다.The setting information receiving unit 1110 receives parking area setting information from the management server 130 . The parking area setting information includes a parking guidance device identifier, at least one camera unit identifier of the parking guidance device, and parking area information in charge of the parking guidance device.

설정부(1120)는 각각의 주차유도장치에 대한 주차구역을 설정한다.The setting unit 1120 sets a parking area for each parking guidance device.

이미지 획득부(1130)는 각각의 주차유도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부로부터 촬영 이미지를 획득한다.The image acquisition unit 1130 acquires a photographed image from at least one camera unit of each parking guidance device.

인식부(1140)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부로부터 수신한 촬영 이미지에 기초하여 주차구역의 주차상황을 인식한다. 인식부(1140)는 이미지 획득부(1130)에 의해 획득한 촬영 이미지에서 인공지능으로 차량 객체를 인식한다. 차량 객체 인식을 위해 머신러닝 및 딥러닝을 포함한 다양한 알고리즘을 이용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인식부(1140)는 인식된 각각의 차량 객체 관련 주차면에 대한 주차여부를 판단한다. 구체적으로, 인식된 차량 객체가 관련 주차면의 센터라인에 소정의 확률 이상으로 매칭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주차면에 대한 주차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나, 그 이외 다양한 알고리즘을 이용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The recognizing unit 1140 recognizes a parking situation in a parking area based on a photographed image received from the at least one camera unit. The recognizing unit 1140 recognizes a vehicle object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in a photographed image acquired by the image acquiring unit 1130 . It is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algorithms including machine learning and deep learning can be used for vehicle object recognition. The recognition unit 1140 determines whether parking is performed on each recognized parking surface related to the vehicle object. Specifically,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 parking surface is parked by determining whether the recognized vehicle object is matched to the center line of the related parking surface with a predetermined probability or more, but it is possible to use various other algorithm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self-explanatory

주차정보 설정부(1150)는 각각의 주차유도장치의 주차정보를 설정한다. 상기 주차유도장치 각각의 주차정보는 담당하는 주차구역에 대한, 소정 개수의 좌우측 주차면 각각에 대한 주차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 비트 정보를 의미한다. Parking information setting unit 1150 sets the parking information of each parking guidance device. The parking information of each of the parking guidance devices means flag bit information indicating whether or not parking is performed for each of a predetermined number of left and right parking surfaces for a parking area in charge.

주차정보 전송부(1160)는 관리서버(130)에게 각각의 주차유도장치의 주차정보를 전송한다. 또한, 주차정보 전송부(1160)는 주차유도장치(110)에게 해당 주차정보를 전송한다.The parking information transmitter 1160 transmits parking information of each parking guidance device to the management server 130 . In addition, the parking information transmission unit 1160 transmits the corresponding parking information to the parking guidance device 110.

주차상황 변경 이벤트 판단부(1170)는 주차구역의 주차상황 변경 이벤트를 판단한다. 주차상황 변경 이벤트 판단부(1170)는 인식부(1140)에 의해 주차유도장치의 주차정보가 변경되는 경우를 주차상황 변경 이벤트로 판단한다.The parking situation change event determining unit 1170 determines a parking situation change event in a parking area. The parking situation change event determining unit 1170 determines that the parking situation change event occurs when the parking information of the parking guidance device is changed by the recognizing unit 1140 .

주차상황 변경 이벤트 전송부(1180)는 주차정보가 변경된 주차유도장치의 카메라부 식별자를 포함하는 상기 주차상황 변경 이벤트를 관리서버(130)에게 전송한다.The parking situation change event transmission unit 1180 transmits the parking situation change event including the camera unit identifier of the parking guidance device for which parking information has been changed to the management server 130 .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리서버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12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a management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에 따른 관리서버(130)는 설정부(1210), 그룹 주차정보 생성부(1220), AI서버 인터페이스부(1230), 주차유도장치 인터페이스부(1240) 및 영상저장서버 인터페이스부(1250)를 포함한다.The management server 130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ncludes a setting unit 1210, a group parking information generation unit 1220, an AI server interface unit 1230, a parking guidance device interface unit 1240, and an image storage server interface unit 1250. ).

설정부(1210)는 주차유도장치에 대한 주차구역을 설정하고, 소정의 주차구역 그룹을 설정한다. 주차구역 설정은 주차유도장치 식별자, 주차유도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부 식별자, 주차유도장치가 담당하는 주차구역 정보를 나타내는 주차구역 설정 정보를 통해 설정된다. 예를 들어, 주차유도장치가 6개 주차면을 담당하고 각각의 주차면을 센터 라인의 시작/끝 (x,y) 좌표로 식별하는 경우, 상기 주차구역 정보는 6개 센터라인의 시작/끝 (x,y) 좌표 세트로 나타낼 수 있다.The setting unit 1210 sets a parking area for the parking guidance device and sets a predetermined parking area group. The parking area setting is set through a parking guidance device identifier, at least one camera unit identifier of the parking guidance device, and parking area setting information indicating parking area information in charge of the parking guidance device. For example, if the parking guidance device is in charge of 6 parking surfaces and identifies each parking surface with the start/end (x,y) coordinates of the center line, the parking area information is the start/end of the 6 center lines. It can be represented by a set of (x,y) coordinates.

주차구역 그룹 설정은 소정의 주차구역 그룹에 포함되는 복수의 주차유도장치 식별자, 각각의 주차유도장치 식별자의 그룹내 순방향 순서번호 및 각각의 주차유도장치 식별자의 그룹내 역방향 순서번호로 설정된다. 또는, 주차구역 그룹 설정은 소정의 주차구역 그룹에 포함되는 복수의 주차유도장치 식별자 및 각각의 주차유도장치 식별자의 그룹내 순방향 순서번호로 설정될 수 있다.The parking area group setting is set to a plurality of parking guidance device identifiers included in a predetermined parking area group, a forward sequence number within a group of each parking guidance device identifier, and a reverse sequence number within a group of each parking guidance device identifier. Alternatively, the parking area group setting may be set to a plurality of parking guidance device identifiers included in a predetermined parking area group and a forward sequence number within a group of each parking guidance device identifier.

그룹 주차정보 생성부(1220)는 AI 서버(120)로부터 수신한 주차유도 장치 각각의 주차정보에 기초하여 소정의 주차구역 그룹에서 각각의 주차유도장치의 순방향 주차정보 및 역방향 주차정보를 생성한다. 또는, 그룹 주차정보 생성부(1220)는 AI 서버(120)로부터 수신한 주차유도 장치 각각의 주차정보에 기초하여 소정의 주차구역 그룹에서 각각의 주차유도장치의 순방향 주차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순방향 주차정보는 상기 주차구역 그룹에서 각각의 주차유도장치 기준으로 순방향으로 비어있는 주차면의 개수를 포함한다. 상기 역방향 주차정보는 상기 주차구역 그룹에서 각각의 주차유도장치 기준으로 역방향으로 비어있는 주차면의 개수를 포함한다.The group parking information generator 1220 generates forward parking information and reverse parking information of each parking guidance device in a predetermined parking area group based on the parking information of each parking guidance device received from the AI server 120. Alternatively, the group parking information generator 1220 may generate forward parking information of each parking guidance device in a predetermined parking area group based on the parking information of each parking guidance device received from the AI server 120. The forward direction parking information includes the number of empty parking surfaces in the forward direction based on each parking guidance device in the parking area group. The reverse direction parking information includes the number of vacant parking surfaces in the reverse direction based on each parking guidance device in the parking area group.

AI서버 인터페이스부(1230)는 AI서버(120)에게 주차구역 설정 정보를 전송한다. 또한, AI서버 인터페이스부(1230)는 AI서버(120)로부터 각각의 주차유도장치의 주차정보를 수신한다. 또한, AI서버 인터페이스부(1230)는 AI서버(120)로부터 주차상황 변경 이벤트를 수신한다.The AI server interface unit 1230 transmits parking area setting information to the AI server 120. In addition, the AI server interface unit 1230 receives parking information of each parking guidance device from the AI server 120. In addition, the AI server interface unit 1230 receives a parking situation change event from the AI server 120.

주차유도장치 인터페이스부(1240)는 각각의 주차유도장치에게 순방향 주차정보 및 역방향 주차정보를 전송한다. 또는, 주차유도장치 인터페이스부(1240)는 각각의 주차유도장치에게 순방향 주차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The parking guidance device interface unit 1240 transmits forward parking information and reverse parking information to each parking guidance device. Alternatively, the parking guidance device interface unit 1240 may transmit forward parking information to each parking guidance device.

영상저장서버 인터페이스부(1250)는 AI서버(120)로부터 획득한 주차상황 변경 이벤트에 기초하여 영상저장서버(140)에게 집중녹화 요청을 전송한다.The video storage server interface unit 1250 transmits a centralized recording request to the video storage server 140 based on the parking situation change event obtained from the AI server 120 .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저장서버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13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a video storage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에 따른 영상저장서버(140)는 녹화요청 수신부(1310), 영상 수신부(1320) 및 저장부(1330)를 포함한다.The video storage server 140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ncludes a recording request receiving unit 1310, an image receiving unit 1320, and a storage unit 1330.

녹화요청 수신부(1310)는 관리서버(130)로부터 집중녹화 요청을 수신한다. 상기 집중녹화 요청은 주차상황이 변경된 주차면을 담당하는 카메라부 식별자를 포함한다.The recording request receiver 1310 receives a centralized recording request from the management server 130 . The centralized recording request includes an identifier of a camera unit in charge of a parking surface in which a parking situation is changed.

영상 수신부(1320)는 주차상황이 변경된 주차구역을 촬영하는, 주차유도장치의 해당 카메라부로부터 촬영 영상을 획득한다. 상기 촬영 영상은 상기 카메라부 식별자 및 타임스탬프를 더 포함한다.The image receiving unit 1320 acquires a photographed image from a corresponding camera unit of the parking guidance device that photographs the parking area in which the parking situation is changed. The captured image further includes the camera unit identifier and timestamp.

저장부(1330)는 획득한 촬영 영상을 저장한다.The storage unit 1330 stores the acquired captured image.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상세히 기술되었지만,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Although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장치는 도시된 바와 같은 장치 각각의 유닛들에 커플링된 버스, 상기 버스에 커플링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고, 명령, 수신된 메시지 또는 생성된 메시지를 저장하기 위해 상기 버스에 커플링되고, 전술한 바와 같은 명령들을 수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커플링된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For example, an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bus coupled to each unit of the apparatus as shown, at least one processor coupled to the bus, and instructions, received and a memory coupled to the bus for storing messages or generated messages and coupled to at least one processor for performing instructions as described abov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를 들면,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디스크 등) 및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디브이디 등)를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as computer readable codes on a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s all types of recording devices in which data that can be read by a computer system is stored.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s a magnetic storage medium (eg, ROM, floppy disk, hard disk, etc.) and an optical reading medium (eg, CD-ROM, DVD, etc.). In addition,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s distributed to computer systems connected through a network, and computer-readable codes can be stored and executed in a distributed manner.

Claims (24)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부에 의해 주차구역을 촬영하고, 소정의 주차구역 그룹에서 순방향의 주차상태를 표시하는 주차유도장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부로부터 수신한 촬영 이미지에 기초하여 상기 주차구역의 주차상황을 인식하고, 상기 주차유도장치의 주차정보를 생성하는 AI서버; 및
상기 AI서버로부터 수신한 상기 주차유도장치의 주차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소정의 주차구역 그룹에서 상기 주차유도장치의 순방향 주차정보를 생성하는 관리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주차유도장치는 상기 소정의 주차구역 그룹에서 역방향의 주차상태를 더 표시하고;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소정의 주차구역 그룹에서 상기 주차유도장치의 역방향 주차정보를 더 생성하고;
상기 소정의 주차구역 그룹은 상기 소정의 주차구역 그룹에 포함되는 복수의 주차유도장치 식별자, 각각의 주차유도장치 식별자의 그룹내 순방향 순서번호 및 각각의 주차유도장치 식별자의 그룹내 역방향 순서번호로 설정되고;
상기 순방향 주차정보는 상기 소정의 주차구역 그룹에서 상기 주차유도장치 기준으로 순방향으로 비어있는 주차면의 개수를 포함하고;
상기 역방향 주차정보는 상기 소정의 주차구역 그룹에서 상기 주차유도장치 기준으로 역방향으로 비어있는 주차면의 개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유도 시스템.
a parking guidance device for photographing a parking area by at least one camera unit and displaying a parking state in a forward direction in a predetermined parking area group;
an AI server recognizing a parking situation of the parking area based on the photographed image received from the at least one camera unit and generating parking information of the parking guidance device; and
A management server for generating forward parking information of the parking guidance device in the predetermined parking area group based on the parking information of the parking guidance device received from the AI server;
the parking guidance device further displays a reverse parking state in the predetermined parking area group;
the management server further generates reverse parking information of the parking guidance device in the predetermined parking area group;
The predetermined parking area group is set to a plurality of parking guidance device identifiers included in the predetermined parking area group, a forward sequence number within a group of each parking guidance device identifier, and a reverse sequence number within a group of each parking guidance device identifier. become;
the forward parking information includes the number of vacant parking surfaces in the predetermined parking area group in a forward direction based on the parking guidance device;
The parking guidance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reverse direction parking information includes the number of empty parking surfaces in the revers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parking guidance device in the predetermined parking area group.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유도장치의 주차정보는
상기 주차유도장치가 담당하는 상기 주차구역에 대한, 소정 개수의 좌우측 주차면 각각에 대한 주차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 비트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유도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parking information of the parking guidance device is
Parking guidance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flag bit information indicating whether or not parking for each of the left and right parking surfaces of a predetermined number of the parking area in charge of the parking guidance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주차구역 그룹은
상기 소정의 주차구역 그룹에 포함되는 복수의 주차유도장치 식별자 및 각각의 주차유도장치 식별자의 그룹내 순방향 순서번호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유도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predetermined parking area group
A parking guidance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set to a forward sequence number within a group of a plurality of parking guidance device identifiers and each parking guidance device identifier included in the predetermined parking area group.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순방향 주차정보는
상기 소정의 주차구역 그룹에서 상기 주차유도장치 기준으로 순방향으로 비어있는 주차면의 개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유도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forward parking information is
A parking guidance system comprising the number of empty parking surfaces in a forward direction based on the parking guidance device in the predetermined parking area group.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유도장치는
상기 주차구역을 촬영하는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부;
상기 주차구역의 만차 또는 공차 상태를 표시하는 만공표시부;
상기 소정의 주차구역 그룹에서 순방향의 주차상태를 표시하는 순방향표시부; 및
상기 AI서버로부터 획득한 상기 주차유도장치의 주차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만공표시부를 제어하고,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획득한 상기 주차유도장치의 순방향 주차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순방향표시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유도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parking guidance device
at least one camera unit for capturing the parking area;
a fullness display unit displaying a full or empty state of the parking area;
a forward direction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 forward parking state in the predetermined parking area group;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full display unit based on the parking information of the parking guidance device obtained from the AI server and controlling the forward display unit based on the forward parking information of the parking guidance device obtained from the management server Parking guidance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부는
상기 주차구역 중 소정 개수의 좌측 주차면을 촬영하는 제1 카메라부;
상기 주차구역 중 소정 개수의 우측 주차면을 촬영하는 제2 카메라부; 및
상기 주차구역 중 통로면을 촬영하는 제3 카메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유도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at least one camera unit
a first camera unit for capturing a predetermined number of left parking surfaces among the parking areas;
a second camera unit for capturing a predetermined number of right parking surfaces among the parking areas; and
Parking guidance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third camera unit for photographing the passage surface of the parking are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부는
1개의 어안렌즈로 구성된 카메라부이고;
상기 주차구역을 상기 어안렌즈로 촬영하고, 촬영된 상기 주차구역 이미지를 좌측 주차면, 우측 주차면 및 통로면 각각의 이미지로 분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유도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at least one camera unit
A camera unit composed of one fish-eye lens;
The parking guidance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for photographing the parking area with the fish-eye lens, and dividing the photographed parking area image into images of a left parking surface, a right parking surface, and a passage surface, respectively.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순방향의 주차상태는
상기 소정의 주차구역 그룹에서 상기 주차유도장치 기준으로 순방향으로, 비어있는 주차면이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방향등 및 비어있는 주차면의 개수를 나타내는 숫자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유도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5,
The parking state in the forward direction is
A parking guidance system comprising a direction light indicating whether there is an empty parking surface and a number indicating the number of empty parking surfaces in a forward direction based on the parking guidance device in the predetermined parking area group.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I서버는
상기 주차유도장치에 대한 상기 주차구역을 설정하는 설정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부로부터 수신한 촬영 이미지에 기초하여 상기 주차구역의 주차상황을 인식하는 인식부; 및
상기 주차유도장치 각각에 대한 상기 주차정보를 설정하는 주차정보 설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유도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AI server
a setting unit for setting the parking area for the parking guidance device;
a recognizing unit recognizing a parking situation of the parking area based on a photographed image received from the at least one camera unit; and
A parking guidance system comprising a parking information setting unit for setting the parking information for each of the parking guidance devices.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부는
상기 촬영 이미지에 기초하여 차량 객체를 인식하고, 상기 인식된 차량 객체 관련 주차면에 대한 주차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주차정보 설정부는
상기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해당 주차유도장치의 상기 주차정보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유도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9,
the recognition unit
Recognizing a vehicle object based on the photographed image, and determining whether to park on a parking surface related to the recognized vehicle object;
The parking information setting unit
Parking guidance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for setting the parking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parking guidance device based on the determination resul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주차유도장치에 대한 상기 주차구역을 설정하고, 상기 소정의 주차구역 그룹을 설정하는 설정부; 및
상기 AI 서버로부터 수신한 상기 주차유도장치 각각에 대한 상기 주차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소정의 주차구역 그룹에서 상기 주차유도장치의 상기 순방향 주차정보를 생성하는 그룹 주차정보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유도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management server
a setting unit that sets the parking area for the parking guidance device and sets the predetermined parking area group; and
And a group parking information generator for generating the forward parking information of the parking guidance device in the predetermined parking area group based on the parking information for each of the parking guidance devices received from the AI server. induction system.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유도 시스템은
상기 주차구역의 주차상황이 변경된 경우, 상기 변경된 주차구역을 촬영하는 상기 주차유도장치의 해당 카메라부로부터 촬영 영상을 획득하고 저장하는 영상저장서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유도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0,
The parking guidance system
When the parking situation of the parking area is changed, the parking guidance system further comprises an image storage server for acquiring and storing a photographed image from a camera unit of the parking guidance device that photographs the changed parking area.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AI서버는
상기 주차구역의 주차상황 변경 이벤트를 판단하는 주차상황 변경 이벤트 판단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AI서버로부터 획득한 상기 주차상황 변경 이벤트에 기초하여 상기 영상저장서버에게 집중녹화 요청을 전송하는 영상저장서버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영상저장서버는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상기 집중녹화 요청을 수신하는 녹화요청수신부,
상기 변경된 주차구역을 촬영하는 상기 주차유도장치의 해당 카메라부로부터 촬영 영상을 획득하는 영상 수신부, 및
상기 촬영 영상을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유도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2,
The AI server
Further comprising a parking situation change event determination unit for determining a parking situation change event of the parking area;
The management server
Further comprising a video storage server interface unit for transmitting a centralized recording request to the video storage server based on the parking situation change event obtained from the AI server;
The video storage server
a recording request receiving unit receiving the centralized recording request from the management server;
An image receiving unit for acquiring a photographed image from a corresponding camera unit of the parking guidance device for photographing the changed parking area, and
Parking guidance system comprising a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captured image.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상황 변경 이벤트 판단부는
상기 인식부에 의해 상기 주차유도장치의 상기 주차정보가 변경되는 경우를 주차상황 변경 이벤트로 판단하고;
상기 AI서버는
상기 주차정보가 변경된 상기 주차유도장치의 카메라부 식별자를 포함하는 상기 주차상황 변경 이벤트를 상기 관리서버에게 전송하는 주차상황 변경 이벤트 전송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유도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3,
The parking situation change event determination unit
determining that a case where the parking information of the parking guidance device is changed by the recognition unit is a parking situation change event;
The AI server
The parking guidance system further comprises a parking situation change event transmiss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parking situation change event including the camera unit identifier of the parking guidance device in which the parking information is changed to the management server.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유도장치는
상기 주차구역을 촬영하는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부;
상기 주차구역의 만차 또는 공차 상태를 표시하는 만공표시부;
상기 소정의 주차구역 그룹에서 순방향의 주차상태를 표시하는 순방향표시부;
상기 소정의 주차구역 그룹에서 역방향의 주차상태를 표시하는 역방향표시부; 및
상기 AI서버로부터 획득한 상기 주차유도장치의 주차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만공표시부를 제어하고,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획득한 상기 주차유도장치의 순방향 주차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순방향표시부를 제어하고,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획득한 상기 주차유도장치의 역방향 주차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역방향표시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유도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parking guidance device
at least one camera unit for capturing the parking area;
a fullness display unit displaying a full or empty state of the parking area;
a forward direction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 forward parking state in the predetermined parking area group;
a reverse direction display unit displaying a reverse parking state in the predetermined parking area group; and
Based on the parking information of the parking guidance device obtained from the AI server, controls the full empty display unit, controls the forward display unit based on the forward parking information of the parking guidance device obtained from the management server, and controls the forward direction display unit, and the management server Based on the reverse parking information of the parking guidance device obtained from the parking guidance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reverse direction display unit.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순방향의 주차상태는
상기 소정의 주차구역 그룹에서 상기 주차유도장치 기준으로 순방향으로, 비어있는 주차면이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방향등 및 비어있는 주차면의 개수를 나타내는 숫자등을 포함하고;
상기 역방향의 주차상태는
상기 소정의 주차구역 그룹에서 상기 주차유도장치 기준으로 역방향으로, 비어있는 주차면이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방향등 및 비어있는 주차면의 개수를 나타내는 숫자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유도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6,
The parking state in the forward direction is
In the predetermined parking area group, in a forward direction based on the parking guidance device, a direction light indicating whether there is an empty parking surface and a number indicating the number of empty parking surfaces are included;
The parking condition in the reverse direction is
A parking guidance system comprising a direction light indicating whether there is an empty parking surface and a number indicating the number of empty parking surfaces in a reverse direction based on the parking guidance device in the predetermined parking area group.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주차유도장치에 대한 상기 주차구역을 설정하고, 상기 소정의 주차구역 그룹을 설정하는 설정부; 및
상기 AI 서버로부터 수신한 상기 주차유도장치 각각에 대한 상기 주차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소정의 주차구역 그룹에서 상기 주차유도장치의 상기 순방향 주차정보 및 상기 역방향 주차정보를 생성하는 그룹 주차정보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유도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management server
a setting unit that sets the parking area for the parking guidance device and sets the predetermined parking area group; and
A group parking information generation unit for generating the forward parking information and the reverse parking information of the parking guidance device in the predetermined parking area group based on the parking information for each of the parking guidance devices received from the AI server. Parking guidance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주차유도장치에 있어서, 상기 주차유도장치는
담당하는 주차구역을 촬영하는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부;
상기 주차구역의 만차 또는 공차 상태를 표시하는 만공표시부;
소정의 주차구역 그룹에서 순방향의 주차상태를 표시하는 순방향표시부;
상기 만공표시부 및 상기 순방향표시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주차유도장치는
상기 소정의 주차구역 그룹에서 역방향의 주차상태를 표시하는 역방향표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역방향표시부를 더 제어하고;
상기 역방향의 주차상태는 상기 소정의 주차구역 그룹에서 상기 주차유도장치 기준으로 역방향으로, 비어있는 주차면이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방향등 및 비어있는 주차면의 개수를 나타내는 숫자등을 포함하고;
상기 소정의 주차구역 그룹은 상기 소정의 주차구역 그룹에 포함되는 복수의 주차유도장치 식별자, 각각의 주차유도장치 식별자의 그룹내 순방향 순서번호 및 각각의 주차유도장치 식별자의 그룹내 역방향 순서번호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유도장치.
In the parking guidance device, the parking guidance device
At least one camera unit for photographing a parking area in charge;
a fullness display unit displaying a full or empty state of the parking area;
a forward direction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 forward parking state in a predetermined parking area group;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mangong display unit and the forward direction display unit;
The parking guidance device
It further includes a reverse direction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 reverse parking state in the predetermined parking area group;
The control unit further controls the reverse direction display unit;
The parking state in the reverse direction includes a direction light indicating whether there is an empty parking surface and a number indicating the number of empty parking surfaces in the predetermined parking area group in a reverse direction based on the parking guidance device;
The predetermined parking area group is set to a plurality of parking guidance device identifiers included in the predetermined parking area group, a forward sequence number within a group of each parking guidance device identifier, and a reverse sequence number within a group of each parking guidance device identifier. Parking guidanc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being.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부는
상기 주차구역 중 소정 개수의 좌측 주차면을 촬영하는 제1 카메라부;
상기 주차구역 중 소정 개수의 우측 주차면을 촬영하는 제2 카메라부; 및
상기 주차구역 중 통로면을 촬영하는 제3 카메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유도장치.
According to claim 19,
The at least one camera unit
a first camera unit for capturing a predetermined number of left parking surfaces among the parking areas;
a second camera unit for capturing a predetermined number of right parking surfaces among the parking areas; and
Parking guidanc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third camera unit for photographing the passage surface of the parking area.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부는
1개의 어안렌즈로 구성된 카메라부이고;
상기 주차구역을 상기 어안렌즈로 촬영하고, 촬영된 상기 주차구역 이미지를 좌측 주차면, 우측 주차면 및 통로면 각각의 이미지로 분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유도장치.
According to claim 19,
The at least one camera unit
A camera unit composed of one fish-eye lens;
The parking guidanc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photographing the parking area with the fish-eye lens, and dividing the photographed parking area image into images of a left parking surface, a right parking surface, and a passage surface, respectively.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순방향의 주차상태는
상기 소정의 주차구역 그룹에서 상기 주차유도장치 기준으로 순방향으로, 비어있는 주차면이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방향등 및 비어있는 주차면의 개수를 나타내는 숫자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유도장치.
According to claim 19,
The parking state in the forward direction is
A parking guidance device comprising a direction light indicating whether there is an empty parking surface and a number indicating the number of empty parking surfaces in a forward direction based on the parking guidance device in the predetermined parking area group.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주차구역 그룹은
상기 소정의 주차구역 그룹에 포함되는 복수의 주차유도장치 식별자 및 각각의 주차유도장치 식별자의 그룹내 순방향 순서번호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유도장치.
According to claim 19,
The predetermined parking area group
Parking guidanc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set to the forward sequence number within the group of a plurality of parking guidance device identifiers and each parking guidance device identifier included in the predetermined parking area group.
삭제delete
KR1020200176236A 2020-12-16 2020-12-16 Total security and parking guidance system including parking guidance display unit KR10255960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6236A KR102559603B1 (en) 2020-12-16 2020-12-16 Total security and parking guidance system including parking guidance display uni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6236A KR102559603B1 (en) 2020-12-16 2020-12-16 Total security and parking guidance system including parking guidance display uni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6102A KR20220086102A (en) 2022-06-23
KR102559603B1 true KR102559603B1 (en) 2023-07-28

Family

ID=822217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6236A KR102559603B1 (en) 2020-12-16 2020-12-16 Total security and parking guidance system including parking guidance display uni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9603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565403B (en) * 2022-12-01 2023-03-28 杭州立方控股股份有限公司 Intelligent management method for green berth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7415B1 (en) * 2012-07-03 2013-02-27 강원식 Parking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thereof
KR101655839B1 (en) * 2015-03-13 2016-09-23 (주)파크인서울 Parking management system using fisheye lens camera and method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1652B1 (en) * 2015-08-27 2017-08-28 (주)지비유 데이터링크스 Parking control system
KR20190134018A (en) * 2018-05-24 2019-12-04 (주)이지정보기술 Parking control method and system using intelligent CCTV with deep learning based image processing technology
KR102224247B1 (en) * 2019-01-17 2021-03-05 현대건설주식회사 Parking guidance camera apparatus having direct guidance functio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7415B1 (en) * 2012-07-03 2013-02-27 강원식 Parking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thereof
KR101655839B1 (en) * 2015-03-13 2016-09-23 (주)파크인서울 Parking management system using fisheye lens camera and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6102A (en) 2022-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20061079A (en) Traffic violation vehicle identification system, server, and vehicle control program
WO2013115470A1 (en) Integrated control system and method using surveillance camera for vehicle
CN112468765B (en) Method, device, system,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for tracking target object
WO2020027607A1 (en) Object detection device and control method
KR20170033075A (en) parking guidance image camera, system for parking guidance using the same and method for parking guidance by parking guidance system
KR102559603B1 (en) Total security and parking guidance system including parking guidance display unit
JP2001216519A (en) Traffic monitor device
JP7073972B2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s, programs, and control methods
WO2021172833A1 (en) Object recognition device, object recognition method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performing same
KR101621822B1 (en) Device for security and recognizing number of license plate based on hybrid image transmission, and method for recognizing and providing number of license plate using the same
CN113870613A (en) Parking space determination method and device, electronic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KR20120103352A (en) Vehicle drive recorder and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transport using the same
KR102584325B1 (en) edge computing device and method for parking control
KR101070882B1 (en) method of providing real-map information and system thereof
JP2019091247A (en) Vehicle managing system, confirmation information transmitting system, information managing system, vehicle managing program, confirmation information transmitting program, and information managing program
CN212463305U (en) Edge calculation device and edge calculation system
KR102386277B1 (en) Street parking lot license plate recognition system with reliability improved
JP3835868B2 (en) Intersection vehicle monitoring system
CN114299744A (en) Panoramic parking lot system and management scheme
CN113053154A (en) Vehicle monitoring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parking lot and server
CN113973162A (en) Edge calculation device and edge calculation method and system
JP2009259155A (en) Vehicle passage history management system
KR20210060275A (en) Parking management system using image analysis based vehicle object recognition and tracking
CN107284479B (en) Locomotive number identification method and device based on image processing
WO2016088919A1 (en) Wireless microphone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