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9408B1 - 환풍기 - Google Patents

환풍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9408B1
KR102559408B1 KR1020210097236A KR20210097236A KR102559408B1 KR 102559408 B1 KR102559408 B1 KR 102559408B1 KR 1020210097236 A KR1020210097236 A KR 1020210097236A KR 20210097236 A KR20210097236 A KR 20210097236A KR 102559408 B1 KR102559408 B1 KR 1025594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rail structure
protrusion
fastening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72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16124A (ko
Inventor
김정환
손부연
이동효
박상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힘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힘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힘펠
Priority to KR10202100972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9408B1/ko
Publication of KR202300161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61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94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94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32Supports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or ventilation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2007/001Ventilation with exhausting air duc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14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unted on the cei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실 제어가 용이한 환풍기의 흡입부 구조 및 천장 등 벽체에 고정하기 용이한 설치 구조를 포함하는 환풍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본 발명 환풍기는, 임펠러 및 임펠러 외주에 형성되는 유로를 포함하는 임펠러케이스; 및 상기 임펠러케이스가 수납되며, 천장 등 벽체에 일면이 대면하도록 설치되는 중공의 하우징; 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하우징의 일면을 따라 연장형성되며 상기 하우징의 일면과 대면하는 부분을 포함하는 레일 구조를 포함하며, 상기 벽체에 고정되는 것으로, 패널 형상으로 형성되는 고정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가 상기 레일 구조에 삽입되도록 조립되며, 상기 하우징은 상기 레일 구조에 의해 상기 고정부로부터 이탈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하우징에는 복수의 덕트와 각각 연결되는 복수의 흡입부가 관통형성되고, 상기 흡입부를 개폐하는 댐퍼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흡입부는 상기 하우징을 관통하는 면적이 동일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흡입부를 개폐하는 댐퍼를 각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환풍기 {ventilator}
본 발명은 송풍팬을 포함하여 공기를 강제로 유동시켜 환기에 이용하는 환풍기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천장 등 벽체에 편리하게 설치될 수 있는 환풍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환풍기는 송풍팬과, 송풍팬이 내장되는 함체 형상의 하우징을 포함하며, 하우징에는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와, 송풍팬을 거쳐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를 포함한다.
한편 공기를 환기하고자 하는 실내 공간과 환풍기의 위치가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실내 공간과 환풍기의 흡입구가 덕트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하나의 환풍기로 복수의 실내 공간을 환기하고자 하는 경우, 일반적으로 하우징에 형성된 흡입구와 실내 공간을 덕트로 연결하되, 덕트가 각 실내 공간으로 분기되어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그러나 이 경우 각 실 제어를 위해 덕트 각 실내 공간 또는 분기된 덕트 내에 유로를 개폐하는 덕트가 설치되어야 하는데, 이는 제어선이 길어지고, 설치가 복잡한 단점이 있다. 따라서 각실별 제어가 용이한 흡입부 구조가 필요한 상황이다.
또한 복수의 실내 공간을 하나의 환풍기로 환기하는 경우, 환풍기가 천장매립형으로 설치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환풍기를 천장에 매다는 방식으로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인데, 환풍기의 무게와 부피로 인해 간편한 설치 구조 개발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각실 제어가 용이한 환풍기의 흡입부 구조 및 천장 등 벽체에 고정하기 용이한 설치 구조를 포함하는 환풍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고자, 다음과 같은 환풍기의 일 실시예를 제공한다.
본 발명 환풍기는, 임펠러 및 임펠러 외주에 형성되는 유로를 포함하는 임펠러케이스; 및 상기 임펠러케이스가 수납되며, 천장 등 벽체에 일면이 대면하도록 설치되는 중공의 하우징; 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하우징의 일면을 따라 연장형성되며 상기 하우징의 일면과 대면하는 부분을 포함하는 레일 구조를 포함하며, 상기 벽체에 고정되는 것으로, 패널 형상으로 형성되는 고정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가 상기 레일 구조에 삽입되도록 조립되며, 상기 하우징은 상기 레일 구조에 의해 상기 고정부로부터 이탈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은 상기 레일 구조의 내측에서 돌출형성되는 체결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체결돌기에 걸려 상기 하우징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체결돌기는 상기 하우징의 일면에 수직하는 방향으로 위치가 탄성적으로 변경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의 일면에는 돌기구멍이 관통형성되고, 상기 체결돌기는 상기 돌기구멍으로부터 이격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돌기구멍과 상기 체결돌기를 연결하는 브릿지가 형성되고, 상기 브릿지의 탄성변형에 의해 상기 체결돌기의 위치가 변경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체결돌기는 복수 개 형성되며, 복수의 상기 체결돌기는, 상기 하우징의 일면 상에 형성되는 가상의 지점을 중심으로 서로 점대칭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은 상기 레일 구조의 내측에서 돌출형성되는 가이드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레일 구조에 삽입될 때, 상기 가이드돌기에 의해 상기 레일 구조의 내측면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돌기는, 상기 레일 구조의 연장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며, 중앙부가 단부보다 더욱 돌출된 아치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돌기는, 상기 체결돌기보다 상기 레일 구조의 단부에 가까운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체결돌기 및 상기 가이드돌기는 복수 개 형성되며, 복수의 상기 체결돌기는, 상기 하우징의 일면 상에 형성되는 가상의 지점을 중심으로 서로 점대칭 위치에 형성되고, 복수의 상기 가이드돌기는, 상기 하우징의 일면 상에 형성되는 가상의 지점을 중심으로 서로 점대칭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은 상기 레일 구조의 내측에서 돌출형성되는 가이드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레일 구조에 삽입될 때, 상기 가이드돌기에 의해 상기 레일 구조의 내측면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돌기는, 상기 레일 구조의 연장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며, 중앙부가 단부보다 더욱 돌출된 아치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돌기는, 상기 체결돌기보다 상기 레일 구조의 단부에 가까운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의 일면에는 리브 형상의 가이드벽이 돌출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벽은, 상기 고정부가 상기 레일 구조에 삽입되는 방향을 가이드하도록 상기 레일 구조의 외측에서 상기 레일 구조의 연장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의 일면에는 안착부가 요입형성되며, 상기 안착부에 삽입되어 거치되며, 상기 레일 구조가 형성되는 조립부;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조립부는, 상기 안착부에 삽입되는 고정바디와, 상기 고정바디의 양 측단을 따라 상기 레일 구조를 형성하도록 연장형성되는 고정레일과, 상기 체결돌기 및 상기 가이드돌기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관통형성되는 가이드홀 및 제1체결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은 상기 레일 구조의 외측에서 돌출형성되는 경사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경사돌기는 상기 레일 구조의 연장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형성되고 상기 레일 구조에 가까울수록 더욱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레일 구조에 삽입될 때, 상기 경사돌기에 의해 상기 레일 구조의 내측면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에는 복수의 덕트와 각각 연결되는 복수의 흡입부가 관통형성되고, 상기 흡입부를 개폐하는 댐퍼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흡입부는 상기 하우징을 관통하는 면적이 동일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흡입부를 개폐하는 댐퍼를 각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흡입부에 형성되는 유로의 체적이 모두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과제해결 수단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사항을 포함하는 다양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하기와 같은 효과를 모두 발휘해야 성립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 환풍기에 따르면 하우징의 가이드돌기, 체결돌기 및 레일 구조에 의해 하우징에 조립부를 거치한 후, 고정부에 슬라이딩시켜 끼우는 방식으로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은 작고 가벼운 고정부를 천장 등 벽체에 미리 고정한 후 크고 무거운 하우징을 원터치로 고정부에 끼우는 것인 바, 종래 하우징에 마운틴부를 복수 개소 마련하고 하우징을 직접 벽체에 고정하는 것보다 훨씬 빠르고 편리한 장점이 있다. 따라서 작업 효율이 향상되는 유리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 환풍기는 복수의 흡입부 체적이 동일하게 형성되므로, 각실을 동시제어하는 경우 각실을 동일하게 제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 환풍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평면도,
도 3은 도 1을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4는 도 1의 저면도,
도 5는 도 1의 분해사시도,
도 6은 도 5에서 하우징 저면에 형성된 설치부를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도 6에서 X 부분의 확대사시도,
도 8은 도 5에서 조립부를 확대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도 5에서 고정부를 확대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도 8의 조립부와 도 9의 고정부가 결합된 상태의 참고도,
도 11은 도 4에서 Y 부분의 확대사시도,
도 12는 도 11에서 A-A’ 부분의 단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 환풍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평면도, 도 3은 도 1을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4는 도 1의 저면도, 도 5는 도 1의 분해사시도, 도 6은 도 5에서 하우징 저면에 형성된 설치부를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도 6에서 X 부분의 확대사시도, 도 8은 도 5에서 조립부를 확대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도 5에서 고정부를 확대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도 8의 조립부와 도 9의 고정부가 결합된 상태의 참고도, 도 11은 도 4에서 Y 부분의 확대사시도, 도 12는 도 11에서 A-A’ 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환풍기(1)의 일 실시예는, 함체 형상의 중공의 하우징(10)과, 하우징(10)의 개구된 일면을 덮도록 설치되는 커버(20), 하우징(10)의 사방 측면에 설치되며 공기가 하우징(10) 내로 유입되거나 하우징(10) 밖으로 배출되는 유로 조인트 역할을 하는 흡입부(30) 및 배출부(40)와, 하우징(10) 내부에 설치되며 모터 및 임펠러를 포함하여 흡입부(30)를 통해 하우징(10) 내로 공기를 빨아들인 후 배출부(40) 측으로 송풍시키는 임펠러케이스(60)를 포함한다. 임펠러케이스(60)는 커버(20)와 마주보는 면 상에 결합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내부에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임펠러케이스(60)는, 모터와 임펠러가 설치되며 중앙부로 공기를 흡입하는 부분과, 임펠러의 접선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하우징(10)의 일 측면에 연결되는 토출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도면과 같이, 배출부(40)는 임펠러 케이스의 토출부분이 형성되는 측에 설치되고, 흡입부(30)는 하우징(10)의 사방 측면 중 배출부(40)가 설치되지 않은 측면에 설치될 수 있다. 흡입부(30)는 하우징(10)의 측면에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흡입부(30)는 내측에 유로를 개폐할 수 있는 댐퍼가 설치될 수 있으며, 따라서 복수의 룸으로 구획된 실내공간에서 하나의 환풍기(1)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일부의 흡입부(30)만을 개방하여 선택된 룸으로부터 공기를 흡입할도록 제어될 수 있다. 즉, 유로의 개방 여부에 따라 어느 측의 흡입부(30)를 사용하여 어떤 실내 공간을 환기시킬지 결정할 수 있어, 댐퍼 제어로 각실의 환기 제어가 가능하다.
더욱 상세하게는 흡입부(30) 및 배출부(40)는 짧은 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관의 일단에는 관의 연장방향과 수직하는 방향으로 패널이 연장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패널을 하우징(10)에 형성된 공간에 삽입하는 방식으로 흡입부(30) 및 배출부(40)를 하우징(10)에 체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흡입부(30)가 복수 개 형성되는 경우, 각 흡입부(30)에 형성되는 유로의 체적이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흡입부(30) 및 배출부(40)에 형성된 상기 관의 길이방향이 공기의 유로 방향이 된다. 그리고 흡입부(30)의 유로는, 유로방향에 수직하는 단면적이 동일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10)의 타측 외측면에는 천장 등에 설치되기 위한 설치부(50)가 형성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부(50)에 조립부(70)를 고정시킨 후 천장 등 벽체에 고정된 고정부(80)에 슬라이딩시켜 끼우는 방식으로 하우징(10)을 천장 등의 벽면에 설치할 수 있다. 도면상 하우징(10)의 하부에 조립부(70) 및 고정부(80)가 조립되는 것으로 나타나 있으나, 실제로는 천장 또는 측벽 방향으로 조립부(70) 및 고정부(80)가 체결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을 참고하면, 설치부(50)는 하우징(10)을 슬라이딩시켜 결합하기 용이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10)의 중앙부에는 설치부(50)의 안착부(52)가 요입형성될 수 있다. 또한 안착부(52)는 조립부(70)의 외형에 대응되는 형상 및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안착부(52)에는 조립부(70)가 안착되어 가조립될 수 있다.
또한 설치부(50)는 하우징(10)의 타측 외측면을 가로질러 형성되며, 슬라이딩 조립 방향으로 하우징(10)과 조립부(70)의 상대 위치가 가이드 될 수 있도록 리브 형상으로 연장형성되는 가이드벽(51)을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벽(51)은 안착부(52)의 양 단 측에 모두 형성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안착부(52)의 일단 측 또는 타단 측으로 모두 설치가 가능하여, 하우징(10) 조립 방향의 자유도를 높일 수 있다.
안착부(52)에는 가이드돌기(53) 및 체결돌기(54)가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돌기(53)는 조립부(70)를 통과하여 고정부(80)를 조립부(70)에 밀착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또한 가이드돌기(53)는 하우징(10)의 슬라이딩 조립 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짧은 리브 형상으로, 고정부(80)를 조립부(70)에 밀착시켜 견고하게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가이드돌기(53)는 중앙부가 양측 단부보다 더욱 돌출된 아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하여 이러한 형상에 의해 조립부(70)가 하우징(10)의 안착부(52)에 가조립된 상태에서 조립부(70)를 고정부(80) 외측에 끼울 때, 고정부(80)의 삽입 및 밀착이 용이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가이드돌기(53)는 안착부(52)의 양 단 측에 모두 형성될 수 있으며, 일단 및 타단의 폭방향으로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고정부(80)의 모든 꼭지점 부분이 조립부(70)에 밀착되게 하기 위함이다.
체결돌기(54)는 하우징(10), 조립부(70) 및 고정부(80)의 체결을 위한 구성이다. 체결돌기(54)는 가이드돌기(53)와 마찬가지로 리브 형상으로 돌출형성될 수 있고, 가이드돌기(53)에 인접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으며, 가이드돌기(53)보다 중앙 측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고정부(80)가 가이드돌기(53)에 의해 삽입방향이 가이드 된 후 삽입되어, 체결돌기(54)가 고정부(80)에 더욱 용이하게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체결돌기(54)는 가이드돌기(53)보다 더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10)과 조립부(70)와 고정부(80)가 조립된 상태에서, 가이드돌기(53)는 고정부(80)를 조립부(70)에 밀착시키기 위한 구성이지만, 체결돌기(54)는 고정부(80)를 통과하여 체결되기 위한 구성이기 때문이다.
또한 설치부(50)에는 돌기구멍(55)이 관통형성될 수 있고, 돌기구멍(55)의 일측 및 타측으로부터 중앙방향으로 브릿지(56)가 각각 형성되며, 브릿지(56)에 의해 체결돌기(54)가 돌기구멍(55) 내에 형성될 수 있다. 이를 달리 설명하면, 설치부(50)에는 체결돌기(54)가 돌출형성되고, 체결돌기(54)의 돌출된 측면을 따라 돌기구멍(55)이 긴 슬릿 형상으로 관통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0)은 플라스틱 사출품이나 EPP 사출품 등으로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인바, 소재가 가지는 탄성에 의해 브릿지(56)가 하우징(10)의 두께 방향으로 탄성병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설치돌기가 하우징(10) 면에 수직하는 방향으로 눌리거나 복원될 수 있어, 고정부(80)가 삽입되는 동안 체결돌기(54)가 하우징(10) 내측 방향으로 눌리고, 고정부(80) 삽입이 완료되면 체결돌기(54)의 위치가 복원되면서 고정부(80)에 체결될 수 있는 것이다.
나아가 설치부(50)에는 리브 형상의 경사돌기(57)가 형성될 수 있다. 경사돌기(57)는 안착부(52)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며, 슬라이딩 방향과 일치하는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더불어 경사돌기(57)는, 안착부(52)에 가까워질수록 돌출 길이가 점차 증가하도록 형성되어 돌출면이 경사지게 형성되며, 이는 안착부(52)에 조립부(70)를 가조립한 상태에서 조립부(70)를 고정부(80)에 슬라이딩시켜 끼울 때, 고정부(80)가 조립부(70)에 밀착될 수 있는 방향으로 가이드하기 위한 것이다.
도 8을 참고하여 조립부(70)를 설명하면, 조립부(70)는 안착부(52)에 거치되는 것으로, 하우징(10)을 고정부(80)에 고정하기 위한 매개 장치이다. 도 8에서 상부에 형성된 면이 하우징(10)에 형성된 안착부(52)에 접하도록 거치되며, 조립부(70)는 안착부(52)에 안착되는 패널 형상의 조립바디(72)와, 조립바디(72)의 양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형성되는 고정레일(71)을 포함할 수 있다. 도면상 고정레일(71)을 ㄷ자와 같이 형성하였으나, 고정레일(71)은 조립바디(72)와 이격되어 마주보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면을 형성하는 것으로 족하며, 따라서 고정레일(71)의 형상을 다소 다르게 할 수 있다. 고정레일(71)이 고정부(80)의 외측을 따라 끼워짐으로써 조립부(70)와 고정부(80)가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조립바디(72)에는 상술한 가이드돌기(53) 및 체결돌기(54)에 대응되는 가이드홀(73) 및 제1체결홀(74)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조립부(70)가 안착부(52)에 거치될 때, 가이드돌기(53)는 가이드홀(73)을 관통하여 삽입되며, 체결돌기(54)는 제1체결홀(74)을 관통하여 삽입될 수 있다. 한편, 가이드홀(73) 및 제1체결홀(74)은 조립부(70)가 안착부(52)에 제1 방향으로 안착되는 것과, 일 방향으로부터 180°회전된 제2 방향으로 안착되는 것이 모두 가능하도록 두 방향에 각각 대응되는 위치에 모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에서 체결돌기(54)가 한 쌍만 형성되어 있으나, 도 8에서 제1체결홀(74)은 두 쌍이 형성될 수 있다. 이는 가이드돌기(53)나 체결돌기(54)가 안착부(52) 중앙을 중심으로 점대칭된 위치가 아니더라도, 제1 방향 및 제2 방향 각각에 대응되는 위치에 모두 가이드홀(73) 및 제1체결홀(74)을 형성하여, 두 방향 모두 자유롭게 이용하기 위함이다.
도 9를 참고하여, 고정부(80)를 설명한다. 고정부(80)는 천장 등 벽체에 고정되는 구성이며, 패널 형상의 고정로드(84) 중앙부에 돌출형성되는 고정로드(84)를 통해 고정될 수 있다. 고정바디(81)의 양 측단을 따라 삽입부(82)가 형성되며, 삽입부(82)는 도면과 같이 고정바디(81)와 단차를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삽입부(82)는 조립부(70)의 고정레일(71)에 삽입되며, 고정레일(71) 내측에 밀착되도록 배치 및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고정부(80)가 조립부(70)에 삽입된 상태에서, 삽입부(82)에는 제1체결홀(74)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2체결홀(83)이 관통형성될 수 있다. 제2체결홀(83)은 도면과 같이 구멍의 형태로 관통형성될 수도 있고, 홈의 형태로 요입형성될 수도 있다. 제2체결홀(83)을 통해 체결돌기(54)가 조립부(70)를 관통하여 고정부(80)에 체결될 수 있다.
만약 가이드돌기(53) 및 체결돌기(54)가 안착부(52)의 중앙을 중심으로 점대칭되는 위치에 설치된다면, 제1 방향 및 제2 방향에서 대응되는 가이드홀(73), 제1체결홀(74) 및 제2체결홀(83)의 위치가 동일하므로, 돌기와 홀이 서로 대응되는 갯수로 형성될 것이다.
상술한 구성에 의해, 천장 등 벽체에 고정부(80)를 고정한 후, 하우징(10)의 설치부(50)에 조립부(70)를 가거치한 후, 조립부(70)의 고정레일(71) 내측에 고정부(80)가 삽입되도록 하우징(10)을 슬라이딩 이동시켜 끼우면, 하우징(10)을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크고 무거운 하우징(10) 자체를 천장 등에 설치하는 것보다 작고 가벼운 고정부(80)를 설치한 후, 하우징(10)을 간단하게 슬라이딩시키는 동작으로 고정부(80)에 체결하여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제1 방향 및 이로부터 180°회전된 제2 방향으로 하우징(10)을 설치할 수 있어, 설치의 자유도가 높아져 환풍기(1) 설치가 더욱 용이해지는 장점이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구성별로 나누어 세부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각 실시예를 임의로 조합하여 도출될 수 있는 실시예 역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속하는 것이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한 것으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환풍기 10 하우징
20 커버 30 흡입부
40 배출부 50 설치부
51 가이드벽 52 안착부
53 가이드돌기 54 체결돌기
55 돌기구멍 56 브릿지
57 경사돌기 60 임펠러케이스
70 조립부 71 고정레일
72 조립바디 73 가이드홀
74 제1체결홀 80 고정부
81 고정바디 82 삽입부
83 제2체결홀 84 고정로드

Claims (13)

  1. 임펠러 및 임펠러 외주에 형성되는 유로를 포함하는 임펠러케이스; 및
    상기 임펠러케이스가 수납되며, 천장 등 벽체에 일면이 대면하도록 설치되는 중공의 하우징;
    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하우징의 일면을 따라 연장형성되며 상기 하우징의 일면과 대면하는 부분을 포함하는 레일 구조를 포함하며,
    상기 벽체에 고정되는 것으로, 패널 형상으로 형성되는 고정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가 상기 레일 구조에 삽입되도록 조립되며, 상기 하우징은 상기 레일 구조에 의해 상기 고정부로부터 이탈이 방지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레일 구조의 내측에서 돌출형성되는 가이드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레일 구조에 삽입될 때, 상기 가이드돌기에 의해 상기 레일 구조의 내측면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풍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레일 구조의 내측에서 돌출형성되는 체결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체결돌기에 걸려 상기 하우징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풍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돌기는 상기 하우징의 일면에 수직하는 방향으로 위치가 탄성적으로 변경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풍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일면에는 돌기구멍이 관통형성되고, 상기 체결돌기는 상기 돌기구멍으로부터 이격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돌기구멍과 상기 체결돌기를 연결하는 브릿지가 형성되고,
    상기 브릿지의 탄성변형에 의해 상기 체결돌기의 위치가 변경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풍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돌기는 복수 개 형성되며,
    복수의 상기 체결돌기는, 상기 하우징의 일면 상에 형성되는 가상의 지점을 중심으로 서로 점대칭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풍기.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돌기는, 상기 레일 구조의 연장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며, 중앙부가 단부보다 더욱 돌출된 아치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풍기.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돌기는, 상기 체결돌기보다 상기 레일 구조의 단부에 가까운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풍기.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돌기 및 상기 가이드돌기는 복수 개 형성되며,
    복수의 상기 체결돌기는, 상기 하우징의 일면 상에 형성되는 가상의 지점을 중심으로 서로 점대칭 위치에 형성되고,
    복수의 상기 가이드돌기는, 상기 하우징의 일면 상에 형성되는 가상의 지점을 중심으로 서로 점대칭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풍기.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일면에는 안착부가 요입형성되며,
    상기 안착부에 삽입되어 거치되며, 상기 레일 구조가 형성되는 조립부;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조립부는, 상기 안착부에 삽입되는 고정바디와, 상기 고정바디의 양 측단을 따라 상기 레일 구조를 형성하도록 연장형성되는 고정레일과, 상기 체결돌기 및 상기 가이드돌기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관통형성되는 가이드홀 및 제1체결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풍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일면에는 리브 형상의 가이드벽이 돌출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벽은, 상기 고정부가 상기 레일 구조에 삽입되는 방향을 가이드하도록 상기 레일 구조의 외측에서 상기 레일 구조의 연장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풍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레일 구조의 외측에서 돌출형성되는 경사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경사돌기는 상기 레일 구조의 연장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형성되고 상기 레일 구조에 가까울수록 더욱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레일 구조에 삽입될 때, 상기 경사돌기에 의해 상기 레일 구조의 내측면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풍기.
  13. 제1항 내지 제5항, 제7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복수의 덕트와 각각 연결되는 복수의 흡입부가 관통형성되고, 상기 흡입부를 개폐하는 댐퍼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흡입부는 상기 하우징을 관통하는 면적이 동일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흡입부를 개폐하는 댐퍼를 각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풍기.
KR1020210097236A 2021-07-23 2021-07-23 환풍기 KR1025594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7236A KR102559408B1 (ko) 2021-07-23 2021-07-23 환풍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7236A KR102559408B1 (ko) 2021-07-23 2021-07-23 환풍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6124A KR20230016124A (ko) 2023-02-01
KR102559408B1 true KR102559408B1 (ko) 2023-07-26

Family

ID=852131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7236A KR102559408B1 (ko) 2021-07-23 2021-07-23 환풍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940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4466B1 (ko) 2016-12-12 2018-08-01 주식회사 동우전자 엘이디 평판등 브라켓
CN108931005A (zh) * 2018-06-13 2018-12-04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空调器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09516U (ko) * 1980-01-24 1981-08-25
JPS6422932U (ko) * 1987-07-31 1989-02-07
KR20170103150A (ko) * 2016-03-03 2017-09-13 주식회사 힘펠 풍량비 조절이 가능한 환기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4466B1 (ko) 2016-12-12 2018-08-01 주식회사 동우전자 엘이디 평판등 브라켓
CN108931005A (zh) * 2018-06-13 2018-12-04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空调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6124A (ko) 2023-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14029B1 (ko) 공기가 통과하는 행거부 및 이를 포함하는 천장 조립체
JPWO2009054316A1 (ja) 天井埋込型の空気調和機
EP1600705A2 (en) Ventilating system
AU2019242466B2 (en) Ceiling-embedded air conditioner
KR102559408B1 (ko) 환풍기
KR100513092B1 (ko) 공기 조화기
JPH10185231A (ja) 空気調和機
KR102458262B1 (ko) 환풍기의 소음 저감용 그릴 구조
KR20100054023A (ko) 환기장치의 일체형 환기그릴
KR200416704Y1 (ko) 환기장치용 케이스
KR100389426B1 (ko) 벽매립형 공기조화기의 실외측 공기안내구조
KR100432744B1 (ko) 창문형 공기조화기의 실내측 구조
WO2018100767A1 (ja) 換気用システム部材及び換気扇
JPH09170775A (ja) 天井埋込み形空気調和機
JPH0727410A (ja) 空気調和機の吹出口構造
KR100347046B1 (ko) 벽매립형 공기조화기의 실외측 공기안내구조
KR100648945B1 (ko) 환기장치의 실내기
JPS5834334Y2 (ja) 空気調和機
JP4271102B2 (ja) 吹出チャンバ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ビルトイン型空気調和機
EP1254342B1 (en) A wall-mounted supply-air device
KR20220005252A (ko) 공기조화기의 천장형 실내기
KR20230118466A (ko) 천장형 공기조화기
KR100644208B1 (ko) 환기장치의 팬 외부케이스
KR200479495Y1 (ko) 환풍기용 그릴 조립체
KR20210153947A (ko) 라인형 제트 드로우 디퓨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