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9401B1 - 바이너리 코드를 이용한 온라인-오프라인 데이터 통합·관리·공유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바이너리 코드를 이용한 온라인-오프라인 데이터 통합·관리·공유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9401B1
KR102559401B1 KR1020210055319A KR20210055319A KR102559401B1 KR 102559401 B1 KR102559401 B1 KR 102559401B1 KR 1020210055319 A KR1020210055319 A KR 1020210055319A KR 20210055319 A KR20210055319 A KR 20210055319A KR 102559401 B1 KR102559401 B1 KR 1025594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nary code
user
present
data
analo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53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69603A (ko
Inventor
김남현
Original Assignee
김남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70087347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427357B1/ko
Application filed by 김남현 filed Critical 김남현
Priority to KR10202100553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9401B1/ko
Publication of KR202100696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9603A/ko
Priority to KR1020230094499A priority patent/KR202301137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94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9401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digital computers each having at least an arithmetic unit, a program unit and a register, e.g. for a simultaneous processing of several progra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51Execution arrangements for user interfa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46Constructional detai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4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using light without selection of wavelength, e.g. sensing reflected white light
    • G06K7/1404Methods for optical code recogn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4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using light without selection of wavelength, e.g. sensing reflected white light
    • G06K7/1404Methods for optical code recognition
    • G06K7/1408Methods for optical code recognition the method being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type of code
    • G06K7/14172D bar c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xicolog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가 만든 바이너리 코드(특히 작은 사각형들로 이루어진 큰 사각형에서, 음영으로 채워지지 않은 작은 사각형의 빈칸을 0, 음영으로 채워진 칸을 1로 하는 바이너리 코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온라인 및 오프라인 데이터를 통합·관리·공유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바이너리 코드를 이용한 온라인-오프라인 데이터 통합·관리·공유 방법 및 시스템{Online and offline data integration and management, sharing method and system using the binary code}
본 발명은 사용자가 만든 바이너리 코드(특히 작은 사각형들로 이루어진 큰 사각형에서, 음영으로 채워지지 않은, 작은 사각형의 빈칸을 0, 음영으로 채워진 칸을 1로 하는 바이너리 코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온라인 및 오프라인 데이터를 통합·관리·공유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초고속 통신 및 이동통신의 발달, 그리고 스마트 단말기의 급속한 보급으로 인해 한 개인이 접하게 되는 데이터(텍스트, 이미지, 동영상 등)가 급증하고 있다. 또한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사진, 동영상 촬영 등으로 개인이 생산하는 데이터도 급증하고 있다.
이와 같은 상황속에서 ASP(Application Service Provider)와 같은 소프트웨어 기업과 스마트 단말기 및 PC 제조업체, 로컬 응용프로그램 기반 전통 소프트웨어 기업들은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서비스(예를들어 파일을 저장하는 드랍박스, i클라우드, 구글드라이브, 메모 및 일정 등을 저장하는 에버노트, OneNote, 프로젝트 일정을 관리하는 트렐로, 문서도구 구글독스 등)를 개발하여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고 다이어리, 시관관리의 대명사인 프랭클린플래너와 같은 출판/제조 업체들도 플랜플러스 플래너와 같은 애플리케이션을 선보이며 새로이 형성되고 있는 온라인-오프라인 데이터 통합 관리 시장에 적극적으로 끼어들고 있다.
위와 유사한 기존 IT 서비스(애플리케이션)들의 시행 초기에는 사용자들로 하여금 언제 어디서나 각종 데이터를 업로드/포스팅하고 다운로드/뷰잉 할 수 있는 편리함을 체험할 수 있게 하였다. 하지만 서비스의 이용 시간이 누적되어 데이터가 쌓이면서(온라인 저장소에는 오프라인 저장소보다 더 많은 데이터가 급격히 쌓인다), 그리고 유사 서비스들이 꾸준히 생기면서 기존의 서비스들이 단지 온라인과 오프라인의 차이점만 있을 뿐, 오프라인에서 데이터를 관리하는 것과 거의 유사한 피로도를 체감하기 시작하였다.
게다가 이 서비스들의 대부분은 사용자들의 데이터들 중 일부만을 전문적으로 취급하는 서비스들이기에 사용자가 각각의 서비스에 맞게 데이터를 영역별로 세분화하여 저장하고 관리해야 했다. 여기서 문제가 발생하는데, 사용자가 영역별로 세분화하여 사용하는 서비스들이 여러 사업자가 각각 별도로 서비스하는 프로그램(애플리케이션 등)이다보니, 이 서비스들을 이용하는 사용자들은 아이러니하게도 자신들의 데이터들을 영역별로 분할하고 관리하는데 더 많은 에너지를 소모하게 되는 상황에 처하게 된 것이다.
앞서 언급한 IT 서비스 제공 사업자중 가장 혁신적이라 불리우고 세계적으로 2억명에 가까운 유저를 확보한 에버노트의 이용률은 점점 낮아지고 있고, 심지어 에버노트가 곧 시장에서 사라질 것이라 예측하는 전문가들도 나타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지금까지의 거의 모든 온라인 애플리케이션 서비스들은 온라인으로 업로드된 데이터를 오프라인상에서 손쉽게 공유하기 어려운 한계를 드러냈다. 물론 온라인에 업로드 된 텍스트나 그림과 같은 데이터를 스마트 폰 등의 휴대용 단말기와 그에 연결된 모바일 프린터기를 통해 출력하여 공유할 수도 있겠지만, 이것을 구축하기 위한 비용이 그 효용성에 비해 클 뿐만 아니라 모바일 프린터기와 같은 모바일 주변기기를 상시적으로 가지고 다닌다는 것 자체가 매우 번거로운 일이 될 수 밖에 없을 것이다.
앞서 언급한 에버노트는 이 부분에서 꽤 취약했다(에버노트의 서비스를 살피어 보면 그들은 온라인과 오프라인의 연결을 단순히 오프라인의 데이터를 온라인에 업로드하여, 데이터를 손쉽게 찾고 편집하고 공유하는 것에 초점을 둔 서비스). 에버노트의 혁신적인 서비스에도 불구하고 사용자들은 여전히 오프라인상에서 메모, 일정관리와 같은 텍스트 데이터를 끊임없이 생산하고있으며, 그 메모를 오프라인상에서 가족, 친구, 동료 또는 제3 자들에게 전달함으로써 데이터를 공유하고 있다. 또한 에버노트와 같은 혁신적인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사람들은 온라인에 저장된 데이터의 일부를 다시 종이에 쓰고 그것을 타인에게 줌으로써 공유하고 있는 상황이 종종 발생하고 있는 것이다. 여기서 착안할 수 있는 한가지는 오프라인 데이터를 온라인으로 업로드하여 공유하는 것만큼 온라인 데이터를 오프라인으로 다운로드하여 손 쉽게 공유할 수만 있다면 그 효용성과 가치는 오프라인 데이터를 온라인으로 업로딩하여 공유하는 그 이상의 것을 얻을 수 있을 것이라는 점이다.
기존에 이 분야에서 서비스를 제공하던 수많은 업체들은 위와 같은 사실, 즉 온라인상의 수 많은 데이터를 손쉽게 오프라인상에서 공유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가치에 대해 제대로 인식하지 못함으로 인해 문제가 올바르게 해결되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실제적으로 온라인과 오프라인 데이터 통합·관리·공유하기 위해서는 단순히 오프라인에서 온라인으로의 데이터 업로드뿐만 아니라 온라인상에 존재하는 데이터를 오프라인 상에서도 타인에게 즉각적으로 공유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오프라인에도 온라인에서처럼 불특정 다수에게 온라인에 존재하는 데이터를 손쉽게 공유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여기서 개인 단말기에서 서버로의 데이터 업로드 및 서버에서 개인 단말기로의 데이터 다운로드, 이와 유사한 과정을 거치는 단말기에서 단말기로의 데이터 업로드, 다운로드는 모두 온라인상에서 이루어지는 데이터 전달 및 공유 방법으로 취급한다).
추가적으로 사용자의 온라인 데이터(온라인 데이터를 포함한 사용자가 업로딩/포스팅한 오프라인 데이터 - 텍스트, 이미지, 동영상, 개인정보, 결제 정보 등)를 오프라인으로 공유하고자 할 때는 더욱 특별한 보안장치가 마련되어야 한다.
한국공개특허공보 2013-0119600(2013.11.01.)
따라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손으로 직접 그린 아날로그 바이너리 코드를 디지털 바이너리 코드와 동일한 코드로 변환하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손으로 직접 그린 아날로그 바이너리 코드를 디지털 바이너리 코드와 동일한 코드로 변환하여 상기 디지털 바이너리 코드를 이용해 온라인과 오프라인 데이터를 통합, 관리, 공유하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에서 제작한 바이너리 코드를 이용해 온라인과 오프라인 데이터를 통합, 관리, 공유하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종래 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사용자가 일상에서 접하게 되는 온라인 및 오프라인 데이터(텍스트, 이미지, 동영상, 개인정보, 결제정보 등)를 통합·관리·공유하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이용 누적 시간이 많아질 수록 급격히 증가하는 각종 데이터를 통합· 관리·공유함에 대해 사용자의 이용 누적 시간에 따라 점점 더 손쉽게 행할 수 있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온라인 데이터(온라인 데이터를 포함한 사용자가 업로딩/포스팅한 오프라인 데이터 - 텍스트, 이미지, 동영상, 개인정보, 결제 정보 등)를 바이너리 코드로 추상화하여 오프라인상에서 손쉽게 다른 사람들과 공유할 수 있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오프라인 데이터를 촬영/스캔하여 업로드(또는 포스팅) 한 온라인 데이터(텍스트, 이미지, 동영상, 개인정보, 결제정보 포함)에 대해 사용자가 정의한 특정시간, 특정기간, 특정지역, 또는 특정인 등과 같은 각 조건을 설정하고 해당 조건(복수개 설정 가능)에 만족하는 경우에 한하여 접근가능한 보안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시스템 및 그 구성에 대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이너리 코드를 이용한 온라인-오프라인 데이터 통합·관리·공유 방법 및 시스템에서의 단말기는, 온라인과 오프라인에서 촬영, 스캔, 수집을 통해 바이너리 코드가 포함된 이미지, 동영상, 텍스트, 개인정보, 결제정보 등의 데이터를 획득하는 촬영/스캔부, 상기 촬영/스캔부가 획득한 상기 데이터에 포함된 상기 바이너리 코드를 검출하는 검출부, 상기 검출부의 내용에 따라 사용자가 설정해 놓은 일련의 과정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단말기는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GPS장치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말기의 촬영/스캔부는,
상기 바이너리 코드가 포함된 상기 데이터들을 바로 획득할 수도 있지만,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해 상기 바이너리 코드가 포함되지 않은 데이터를 촬영/스캔하여 상기 단말기를 통해 바이너리 코드를 적용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촬영/스캔부는 데이터에 바이너리 코드를 적용하기 위해,
온라인/오프라인을 통해 상기 바이너리 코드를 먼저 제작/취득 한 후 데이터에 적용하거나 또는,
선 취득한 데이터에 상기 바이너리 코드를 온라인/오프라인에서 제작/취득하여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단말기의 제어부는,
온라인, 오프라인 상으로 적용할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바이너리 코드, 상기 바이너리 코드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의 설정이 가능한 바이너리 코드 설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단말기의 메모리부는,
상기 바이너리 코드 설정부에서 정의된 바이너리 코드를 저장하는 바이너리 코드 메모리부,
상기 사용자가 본 발명에 의한 단말기의 촬영/스캔부를 통해 촬영/스캔한 데이터에 상기 바이너리 코드부에 설정된 바이너리 코드를 적용하여 상기 데이터와 상기 정의된 바이너리 코드를 연계 처리하여 저장하는 데이터 메모리부를 더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기의 제어부는,
상기 검출부를 통해 검출된 바이너리 코드의 정보와 상기 바이너리 코드 메모리부 또는 데이터 메모리부에 등록된 바이너리 코드의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비교 결과, 상기 바이너리 코드 메모리부 또는 데이터 메모리 부에 기 등록된 바이너리 코드와 일치할 경우 상기 검출부에서 검출된(바이너리 코드 메모리부에 등록된) 바이너리 코드에 정의된 바대로 사용자의 사전 설정을 수행한다.
상기 단말기의 상기 바이너리 코드 메모리부와 상기 데이터 메모리부는 상기 제어부 모듈 내부에 구성할 수도 있고 상기 제어부와는 별도의 저장부에 구성될 수도 있으며 상기 촬영/스캔부, 상기 검출부, 상기 제어부와 상호간 유기적인 연결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단말기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여, 촬영/스캔으로 생성되는 데이터 외에 사용자로부터 텍스트 입력을 받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바이너리 코드를 이용한 온라인-오프라인 데이터 통합·관리·공유를 위한 방법 및 시스템에서의 애플리케이션 서버는,
상기 서버에 접속하여 본 발명에 의한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하는 사용자들을 상호간 구분하기 위하여 상기 사용자가 가입시 기입한 ID, 사용자 이메일, 사용자가 임시적으로 만든 일회용 또는 기간이 설정된 ID, 사용자의 단말기번호, 사용자가 본 발명에 의한 서비스에 가입할 시 피동적으로 주어지는 가입번호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 개인을 특정화할 수 있는 수단을 포함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사용자 DB등이 구성된 저장부,
상기 사용자가 상기 단말기를 통해 상기 서버에 접속한 상태에서 온라인과 오프라인에서 바이너리 코드가 포함된 이미지, 동영상, 텍스트, 개인정보, 결제정보 등의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는 통신부,
상기 서버의 촬영/스캔부가 획득한 상기 데이터에 포함된 상기 바이너리 코드를 검출하는 검출부,
상기 서버의 검출부의 내용에 따라 사용자가 설정해 놓은 일련의 과정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서버의 검출부는 제어부내에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서버의 통신부는,
상기 바이너리 코드가 포함된 상기 데이터들을 바로 획득할 수도 있지만,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해 상기 바이너리 코드가 포함되지 않은 데이터를, 상기 서버와 연결된 상태의 단말기로 촬영/스캔 한 뒤 상기 서버를 통해 바이너리 코드를 적용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통신부는 상기 데이터에 바이너리 코드를 적용하기 위해 상기 서버와 연결된 단말기에서
온라인/오프라인을 통해 상기 바이너리 코드를 먼저 제작/취득 한 후 데이터에 적용하는 요청을 수신하거나 또는
선 취득한 데이터에 상기 바이너리 코드를 온라인/오프라인에서 제작/취득하여 적용하는 요청을 수신하여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
상기 서버의 제어부는
사용자가 통합·관리·공유하고자 하는 데이터(이미지, 동영상, 텍스트, 개인정보, 결제정보 등)에 온라인, 오프라인 상으로 적용할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바이너리 코드, 상기 바이너리 코드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의 설정이 가능한 바이너리 코드 설정부,
상기 바이너리 코드 설정부에서 정의된 바이너리 코드를 저장하는 바이너리 코드 메모리부,
상기 사용자가 단말기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서버의 촬영/스캔부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의 촬영/스캔부를 작동시켜 촬영/스캔한 데이터에, 상기 바이너리 코드부에 설정된 바이너리 코드를 적용하여 상기 데이터와 상기 정의된 바이너리 코드를 연계 처리하여 저장하는 데이터 메모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버의 제어부는
상기 검출부를 통해 검출된 바이너리 코드의 정보와 상기 바이너리 코드 메모리부 또는 데이터 메모리부에 등록된 바이너리 코드의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비교 결과, 상기 바이너리 코드 메모리부 또는 데이터 메모리 부에 기 등록된 바이너리 코드 와 일치할 경우 상기 검출부에서 검출된(즉, 바이너리 코드 메모리부에 등록된) 바이너리 코드에 정의된 바대로 사용자의 사전 설정을 수행한다.
상기 검출부는,
상기 바이너리 코드의 정보를 비교할 때 사용자의 ID를 비교하여, 상기 바이너리 코드를 제작하고 제어하는 사용자와 동일한 사용자인지 아닌지 그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동일한 사용자가 아닐 경우 상기 바이너리 코드의 사용허가를 받은 사용자인지 아닌지 그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 결과 상기 바이너리 코드를 사용할 수 있는 권한이 있는 사용자일 경우 다음 과정을 이행하고 그렇지 않을 경우 애플리케이션을 종료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에서 사용자 단말기와 애플리케이션 서버의 역할은 상호 보완적이다. 과거에는 해당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기술자들은 일반적으로 단말기와 서버의 역할을 일괄적으로 나누고 처리할 수 밖에 없었지만, 현재는 서버에서 단말기의 하드웨어 컨트롤이 직접 가능해졌기 때문에 본 발명에 의한 단말기와 서버의 역할은 서버의 상황에 따라 혹은 단말기의 성능에 따라 데이터 촬영/스캔, 바이너리코드의 검출, 제어 등의 처리 역할을 상호보완하여 유동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바이너리 코드에 대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이너리 코드를 이용한 온라인-오프라인 데이터 통합·관리·공유를 위하여 상기 바이너리 코드는,
사용자가 손으로 직접 그린 아날로그 바이너리 코드로써, 단말기에 의해 촬영/스캔된 후 "상기 단말기 또는 서버에서 만들어지고 상기 단말기 또는 서버에 저장된 디지털 바이너리 코드"와 동일한 코드로 해석되는 과정을 거쳐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에 의해 인식되어 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바이너리 코드를 이용한 온라인-오프라인 데이터 통합·관리·공유를 위하여 상기 바이너리 코드는,
0과 1을 이용한 숫자로 구성될 수도 있지만,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고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작은 사각형 M개가 가로로 채워지고, 작은 사각형 N개가 세로로 채워진 사각형 M×N 에서 음영으로 채워지지 않은 빈칸을 0, 음영으로 채워진 칸을 1로 하는 이미지화된 사각형의 바이너리 코드들의 집합을 포함 할 수 있다.
또한 마찬가지로 ―〓―〓 와 같이 선분으로 0과 1을 대체하여 표현할 수도 있으며, 가로 방향이 아닌 세로 방향으로도 0과 1을 대체하여 표현할 수도 있으며, │,┌, ┐,┘,└,├, ┬, ┤, ┴, ┼ 와 같은 특수 기호를 그의 시작기호 혹은 마감기호로써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의 마감기호들을 응용하여 다양한 표현을 할 수도 있고 M×N의 이미지화된 사각형의 바이너리코드에 적용하여 M×N 바이너리 코드가 본 발명에 의한 시스템에 의해 촬영/스캔되어질 때 사용자가 의도한 바대로 읽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바이너리 코드를 이용한 온라인-오프라인 데이터 통합·관리·공유를 위하여 상기 바이너리 코드는,
하나 이상의 사각형 M×N, 또는 사각형 M×N 복수개, 또는 하나 이상의 사각형 M x N과 하나 이상의 M+1 x N+1, 또는 하나 이상의 사각형 M x N과 하나 이상의 M+1 x N+1, …, 하나 이상의 M+n x M+n 의 n개의 다중 세트로 구성되어질 수 있다.
(오프라인에서 바이너리 코드를 제작, 이용하는 과정)
(오프라인에서 습득할 수 있는 바이너리 코드를 만드는 방법1)
본 발명에 따른 바이너리 코드를 이용한 온라인-오프라인 데이터 통합·관리·공유를 위하여 상기 바이너리 코드는,
오프라인에서 연필과 볼펜같은 필기구 등을 이용하여 종이나 일반 사물, 특정 장소 등에 사용자가 직접 그려 만든 뒤, 본 발명에 의한 프로그램이 내장된 단말기를 통해 촬영/스캔되어져 사용자의 단말기에 입력될 수도 있다(코드 사용 단계).
(오프라인에서 습득할 수 있는 바이너리 코드를 만드는 방법2)
본 발명에 따른 바이너리 코드를 이용한 온라인-오프라인 데이터 통합·관리·공유를 위하여 상기 바이너리 코드는 상기 바이너리 코드가 인쇄된 오브젝트가 존재하고, 본 발명에 의한 프로그램이 내장된 단말기를 통해 상기 오브젝트에 인쇄된 상기 바이너리 코드가 촬영/스캔되어져 사용자의 단말기에 입력될 수도 있다 (코드 사용 단계).
(오프라인에서 습득할 수 있는 바이너리 코드를 만드는 방법3)
본 발명에 따른 바이너리 코드를 이용한 온라인-오프라인 데이터 통합·관리·공유를 위하여 상기 바이너리 코드는,
상기 바이너리 코드를 만들 수 있는 실물 도구를 이용하여 만들어진 뒤 본 발명에 의한 프로그램이 내장된 단말기를 통해 촬영/스캔되어져 사용자의 단말기에 입력될 수 있다(코드 사용 단계).
(오프라인에서 습득한 데이터와 상기 데이터에서 습득한 바이너리 코드)
본 발명에 따른 바이너리 코드를 이용한 온라인-오프라인 데이터 통합·관리·공유를 위하여 상기 바이너리 코드는,
사용자가 촬영/스캔하고자 하는 실제 이미지, 동영상 또는 텍스트와 함께 본 발명에 의한 프로그램이 내장된 단말기를 통해 촬영/스캔 되어져 사용자 단말기에 입력되는 단계를 거쳐 상기 데이터가 상기 프로그램에 따라 저장되는 단계에서의 처리기준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이미 다른 프로그램을 통해 촬영/스캔된 데이터와의 호환성)
본 발명에 따른 바이너리 코드를 이용한 온라인-오프라인 데이터 통합·관리·공유 방법 및 시스템은 본 발명에 의한 프로그램이 내장된 단말기, 상기 단말기에 내장되거나 또는 다른 단말기에 내장된 다른 촬영/스캔 프로그램을 이용해 사용자가 촬영/스캔하고자 하는 상기 실제 데이터를 촬영/스캔한 뒤 본 발명에 의한 프로그램을 통해 상기 촬영/스캔된 데이터와 바이너리 코드를 입력받고 이를 본 발명에 의해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바이너리 코드를 확실하게 얻기 위한 수단1)
본 발명에 따른 바이너리 코드를 이용한 온라인-오프라인 데이터 통합·관리·공유를 위하여 상기 바이너리 코드는,
사용자가 촬영/스캔하고자 하는 상기 데이터와 함께 촬영/스캔되는 단계에서,
먼저 사용자가 촬영/스캔하고자 하는 상기 데이터, 상기 데이터와 함께 촬영/스캔되는 바이너리 코드에 각각 별도의 초점을 맞추진 상태에서 하나 이상의 이미지가 본 발명에 의한 프로그램이 내장된 단말기를 통해 촬영/스캔 되어 상기 단말기에 입력되어지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개의 바이너리 코드가 적용되어 있을 경우, 그중 특정 바이너리 코드는 보안이 필요한 데이터 일 수도 있고 바이너리 코드는 해당 데이터로 이동하는 수단이었을 뿐 그것은 유저가 보고자 하는 것이 아니므로-물론 코드의 조합을 특정 코드로 들어가면 모아서 볼 수 있게 할 수 는 있음- 사용자가 공개하고자 하는 바이너리 코드만이 촬영/스캔되어지는 데이터와 함께 입력되어지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입력되는 과정에서 모든 바이너리 코드가 입력되어질 수도 있지만, 일부는 사용자의 의도에 의해 가려진 상태로 나머지 바이너리 코드와 촬영/스캔된 데이터만이 제3자에게 공유되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바이너리 코드를 이용한 온라인-오프라인 데이터 통합·관리·공유를 위하여 상기 바이너리 코드는
사용자가 촬영/스캔하고자 하는 상기 실제 이미지, 동영상 또는 텍스트와 같은 데이터와 함께 촬영/스캔되어져, 상기 단말기에 설치된 본 발명에 의한 프로그램에 의해 상기 데이터가 분류되어진 뒤, 단말기 또는 서버에 상기 데이터가 저장되어질 때 상기 바이너리 코드는 삭제되거나 흐릿하게 처리되는 등의 방법으로 감추어질 수 있다. 또한 동영상을 촬영하는 중에 상기 바이너리 코드가 찍히면, 즉 촬영 맨 앞, 중반, 맨 끝에 관계없이 본 발명에 의한 프로그램이 동영상 내에서 상기 바이너리 코드를 해석하여 상기 바이너리 코드의 사전 정의에 따라 혹은 임시저장소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이것은 즉각적으로 공유되어 질 수 있다.
(온라인에서 제작, 이용하는 과정)
본 발명에 따른 바이너리 코드를 이용한 온라인-오프라인 데이터 통합·관리·공유를 위하여 상기 바이너리 코드는,
사용자가 본 발명에 의한 프로그램이 내장된 단말기를 통해 직접 만들어 사용자의 단말기에 입력되어 질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바이너리 코드를 이용한 온라인-오프라인 데이터 통합·관리·공유 방법은,
사용자가 ‘단말기 상에서 작성한 메모와 같은 데이터’ 또는 ‘단말기를 이용하면서 온라인상에서 얻게 되는 이미지/동영상 등의 데이터’에 본 발명에 의한 프로그램이 내장된 단말기를 통해 상기 바이너리 코드를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바이너리 코드를 이용한 온라인-오프라인 데이터 통합·관리·공유를 위하여 상기 바이너리 코드는
상기 사용자가 본 발명에 의한 프로그램이 내장된 단말기를 통해 만든 바이너리 코드로써, 상기 단말기를 통해 사용자가 촬영/스캔한 실제 이미지, 동영상 또는 텍스트와 같은 데이터에 적용되는 단계를 거쳐 상기 데이터가 상기 프로그램에 따라 정리되는 단계에서의 처리 기준으로 상기 바이너리 코드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바이너리 코드를 이용한 온라인-오프라인 데이터 통합·관리·공유를 위하여 상기 바이너리 코드는
상기 사용자가 본 발명에 의한 프로그램이 내장된 단말기를 통해 만든 바이너리 코드로써,
상기 사용자가 촬영/스캔하고자 하는 상기 실제 이미지, 동영상 또는 텍스트와 같은 데이터에 적용된 후 본 발명에 의한 프로그램의 설정에 따라 일련의 과정을 거친 후 상기 데이터가 저장될 때 상기 바이너리 코드가 삭제되거나 감춰지는 단계를 거쳐 처리 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가 만든 바이너리 코드 조합을 이용한 온라인-오프라인 데이터 통합·관리·공유를 위하여 상기 사용자가 만든 바이너리 코드는,
사용자가 상기 바이너리 코드를 온라인에서 정의하는 단계를 포함함으로써 구체화될 수 있다(코드 사용 전 정의 단계).
본 발명에 따른 바이너리 코드를 이용한 온라인-오프라인 데이터 통합·관리·공유를 위하여 상기 사용자가 상기 바이너리 코드에 사용자가 정의한 주제를 삽입하거나 연동함으로써 상기 바이너리 코드가 사용자에 의해 사용될 때,
즉 ‘사용자가 촬영/스캔한 이미지와 동영상, 텍스트 등의 데이터’에 본 발명에 의한 프로그램을 통해 ‘상기 바이너리 코드가 적용’되어 상기 데이터가 상기 주제에 따라 분류되고 상기 주제가 상기 데이터에 태그되어 질 수 있도록 정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바이너리 코드를 이용한 온라인-오프라인 데이터 통합·관리·공유를 위하여 상기 사용자가 본 발명에 의한 프로그램을 통해 바이너리 코드를 정의한 뒤 이를 가족, 친구, 동료 등 제3의 사용자가 이용할 수 있도록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코드 사용 단계).
본 발명에 따른 바이너리 코드를 이용한 온라인-오프라인 데이터 통합·관리·공유를 위하여 상기 바이너리 코드는,
사용자가 정의한 상기 바이너리 코드를 가족, 친구, 동료 등 제3의 사용자가 이용할 수 있도록 상기 바이너리 코드를 만든 사용자를 정의하기 위한 수단으로써,
상기 사용자가 가입시 기입한 ID, 사용자 이메일, 사용자가 임시적으로 만든 일회용 또는 기간이 설정된 ID, 사용자의 단말기번호, 사용자가 본 발명에 의한 서비스에 가입할 시 피동적으로 주어지는 가입번호 등을 이용하여 상기 바이너리 코드를 정의한 사용자 개인을 특정화할 수 있는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바이너리 코드를 이용한 온라인-오프라인 데이터 통합·관리·공유를 위하여 상기 바이너리 코드는,
가족, 친구, 동료 등 제3 자의 사용자가 정의해 놓은 또 다른 바이너리 코드로 대체되어 질 수 있다.
(사용자의 행위로 사용자를 이해하다)
본 발명에 따른 바이너리 코드를 이용한 온라인-오프라인 데이터 통합·관리·공유를 위하여 사용자가 상기 바이너리 코드를 포함한 이미지를 촬영/스캔할 때, 상기 바이너리 코드가 촬영/스캔된 이미지 상에서 서비스 제공자 혹은 사용자가 설정해 놓은 "상기 촬영/스캔된 이미지의 전체 비율 대비 촬영/스캔된 이미지내에서 상기 바이너리 코드가 차지하는 비율"은,
상기 사용자가 상기 바이너리 코드를 이용하여 상기 촬영/스캔된 이미지를 업로드/포스팅 할 것인지 아니면 이미 사용자가 정의해 놓은 바이너리 코드에 정의된 경로로 이동하여 다운로드/뷰잉 할 것인지를 결정하는 단계에서 본 발명에 의한 프로그램이 사용자의 의지를 파악하는 판단 요소로 활용되어 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바이너리 코드를 이용한 온라인-오프라인 데이터 통합·관리·공유를 위하여 사용자가 상기 바이너리 코드를 포함한 이미지를 촬영/스캔할 때, "상기 바이너리 코드가 촬영/스캔된 이미지 상에서의 상기 바이너리 코드의 위치"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바이너리 코드를 이용하여 상기 촬영/스캔된 이미지를 업로드/포스팅 할 것인지 아니면 이미 사용자가 정의해 놓은 바이너리 코드에 정의된 경로로 이동하여 다운로드/뷰잉 할 것인지를 결정하는 단계에서 본 발명에 의한 프로그램이 사용자의 의지를 파악하는 판단 요소로 활용되어 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에 의하면 상기 바이너리 코드는,
본 발명에 의한 애플리케이션 서비스를 통해 상기 사용자가 촬영/스캔한 데이터에 적용되어져 상기 데이터를 상기 애플리케이션에서 타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한개 또는 복수개의 서비스로 전달하는 명령어 집합의 추상화 도구로 활용되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에 의하면 상기 바이너리 코드는,
본 발명에 의한 애플리케이션 서비스를 통해 상기 사용자가 촬영/스캔한 데이터에 적용되어져 상기 데이터를 상기 애플리케이션에서 타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한개 또는 복수개의 서비스로 전달하여 일련의 과정을 처리하고 다시 사용자의 본 발명에 의한 애플리케이션 서비스로 받는 명령어 집합의 추상화 도구로 활용되어질 수 있다.
(비코드의 사용제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에 의하면 상기 사용자가 만든 바이너리 코드는 본 발명에 의한 프로그램을 통해 상기 사용자가 만든 바이너리 코드가 사용 될 수 있는 지역, 시간, 대상 등의 조건을 한정함으로써 상기 사용자가 설정한 조건 내에서만 사용 가능하도록하는 보안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본 발명에 의한 방법으로 시스템화된 애플리케이션 서비스를 통해 각각의 바이너리 코드의 조합에 각각의 주제를 정의하고 온라인과 오프라인에서 촬영/스캔 된 이미지, 동영상, 텍스트, 개인정보, 결재정보 등의 데이터 각각에 알맞게 정의된 바이너리 코드를 적용하여 데이터를 통합·관리·공유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바이너리 코드는 사용자가 필기구나 도구를 이용하여 직접 그리거나 만들 수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애플리케이션 서비스을 통해 만들 수 도 있으며, 상기 만들어진 바이너리 코드는 사용자가 오프라인에서 직접 그리고 만든 것이든, 본 발명에 의한 애플리케이션 서비스가 내장된 단말기로 만든 것이든지 그 수단을 가리지 않고, 특정된 사용자에게 있어서 동일한 바이너리 코드로 구성되어 있으면 동일한 기능을 가진 바이너리 코드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구분하지 않고 사용자의 상황에 따라 편리하게 만들어 사용할 수 있게 된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들은 자신이 소유하고 있는 온라인-오프라인 데이터를 하나의 일관된 시스템을 통해 통합·관리·공유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들은 상기 바이너리 코드를 사용자 자신을 특정할 수 있는 개인코드와 함께 정의하여 사용함으로써 가족, 친구, 동료 또는 제3 자들에게 자신이 정의한 바이너리 코드를 공개하고 공유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바이너리 코드의 공유를 통해 제3의 사용자들은 상기 사용자의 데이터를 다운로드/뷰잉 할 수 있으며, 상기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타 제3의 사용자들은 상기 바이너리 코드에 의해 특정된 가상의 공간에 제3의 사용자(자신)들의 데이터를 업로드/포스팅 할 수도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제3의 사용자들에게 공개된 상기 사용자의 상기 바이너리 코드는 사용자 자신뿐만 아니라 제3의 사용자들도,
본 발명에 따른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자신의 단말기에서 촬영/스캔한 데이터에 적용하여, 상기 데이터를 상기 애플리케이션에서 타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한개 또는 복수개의 서비스로 전달하거나, 전달한 뒤 일련의 과정을 처리하고 다시 본 발명에 의한 애플리케이션 서비스로 상기 데이터를 되돌려 받을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가 만든 바이너리 코드는 본 발명에 의한 애플리케이션 서비스를 통해 상기 사용자가 만든 바이너리 코드가 사용 될 수 있는 지역, 시간, 대상 등의 조건을 한정함으로써 상기 사용자가 설정한 조건 내에서만 사용가능하도록 보안 기능을 제공 받을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이너리 코드를 이용한 데이터 통합, 관리, 공유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제어부의 세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가 본인의 바이너리 코드를 사용하는 경우의 동작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가 타인의 바이너리 코드를 사용하는 경우의 동작 순서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가 타인의 바이너리 코드를 사용하는 경우의 동작 순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버에 등록된 사용자 단말을 통해 접속하였을때 사용자 단말기(예를 들어 PC)의 브라우저에서 보여지는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버에 등록된 사용자 단말을 통해 접속하였을때 사용자 단말기(예를 들어 스마트폰)의 브라우저에서 보여지는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버에 등록된 사용자 단말을 통해 접속하였을때 사용자 단말기(예를 들어 스마트폰)의 브라우저에서 보여지는 또 다른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가 등록된 사용자 단말을 통해 바이너리 코드를 설정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가 등록된 사용자 단말을 통해 바이너리 코드를 설정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가 등록된 사용자 단말을 통해 바이너리 코드를 설정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가 등록된 사용자 단말을 통해 바이너리 코드를 설정하는 과정에서 세부 설정을 도시한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가 등록된 사용자 단말을 통해 바이너리 코드를 설정하는 과정에서 세부 설정을 도시한 도면.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가 등록된 사용자 단말을 통해 바이너리 코드를 설정하는 과정에서 세부 설정을 도시한 도면.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가 등록된 사용자 단말을 통해 바이너리 코드를 설정하는 과정에서 세부 설정을 도시한 도면.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가 등록된 사용자 단말을 통해 바이너리 코드를 설정하는 과정에서 세부 설정을 도시한 도면.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가 등록된 사용자 단말을 통해 바이너리 코드를 설정하는 과정에서 세부 설정을 도시한 도면.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가 등록된 사용자 단말을 통해 기 설정된 바이너리 코드에 접속하였을때 보여지는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혹은 또 다른 사용자가 등록되지 않은 사용자 단말을 통해 기 설정된 바이너리 코드에 접속하였을때 보여지는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혹은 또 다른 사용자가 등록되지 않은 사용자 단말을 통해 기 설정된 바이너리 코드에 접속하였을 때 보안처리된 데이터를 보기 위해 입력해야 할 패턴인식 비밀해제에 관해 도시한 도면.
도 2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가 등록된 사용자 단말을 통해 사용자의 바이너리 코드와 데이터, 사용자의 태그와 데이터, 사용자의 태그와 바이너리 코드를 연결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2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에 저장된 데이터, 바이너리코드, 태그, 설정 등이 저장된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면서, 서버에 특정 사용자의 데이터, 바이너리코드, 태그, 설정 등이 저장된 관계를 도시한 도면.
도 2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이너리 코드가 이지모드에서 사용될 때의 단순하게 태그가 합쳐지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2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이너리 코드가 노말모드에서 사용될 때, 이지모드처럼 단순하게 태그가 합쳐지지 않음을 도시한 도면.
도 2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이너리 코드가 이지모드에서 노말모드로 전환될 수 있는 수단으로서의 바이너리 코드에 대해 도시한 도면.
도 2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모에 도시된 바이너리 코드를 사용자가 단말기에 직접 입력해서 서버의 특정공간에 접속을 시도하는 도면.
도 2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모에 도시된 바이너리 코드를 사용자가 단말기를 통해 촬영하여 서버의 특정공간에 접속을 시도하는 도면.
도 3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모에 도시된 바이너리 코드를 사용자가 단말기에 직접 입력해서 서버의 특정공간에 접속을 시도하는 도면.
도 3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모에 도시된 바이너리 코드를 사용자가 단말기를 통해 촬영하여 서버의 특정공간에 접속을 시도하는 도면.
도 3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에 사용자가 즐겨쓰는 바이너리 코드와 타인의 아이디가 도시된 도면.
도 3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사용자가 다른 사용자의 바이너리 코드와 상호간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가이드라인이 인쇄되어 있는 용지에 아날로그 바이너리 코드를 그려 넣은 상태를 도시한 도면 or 일반 종이에 사용자 메모와 아날로그 바이너리 코드를 그려넣은 상태에서 사용자 단말기의 화상에서 보여지는 가이드 라인을 도시한 도면.
도 3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일반 종이에 사용자 메모와 아날로그 바이너리 코드, 가이드 라인을 그려넣은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가이드라인이 인쇄되어 있는 용지에 아날로그 바이너리 코드를 그려 넣은 상태를 도시한 도면 or 일반 종이에 사용자 메모와 아날로그 바이너리 코드를 그려넣은 상태에서 사용자 단말기의 화상에서 보여지는 가이드 라인을 도시한 도면.
도 3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일반 종이에 사용자 메모와 아날로그 바이너리 코드, 가이드 라인을를 그려넣은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아날로그 바이너리 코드와 디지털 바이너리 코드가 본질적으로 같지 않음을 도시한 도면.
도 3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아날로그 바이너리 코드에서 흔하게 발견되는 문제를 도시한 도면.
도 4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아날로그 바이너리 코드를 도시하기 위해 그리는 3×3 사각형 그림을 도시한 도면.
도 4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아날로그 바이너리 코드를 도시하기 위해 그리는 3×3 사각형 그림에서, 컴퓨터가 아날로그 바이너리 코드를 인식할 수 있는 특징 지역을 도시한 도면.
도 4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아날로그 바이너리 코드를 도시하기 위해 그리는 3×3 사각형 그림에서 각 선분을 정의하기 위해 각 선분과 연관된 선분을 이용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4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아날로그 바이너리 코드를 도시하기 위해 그리는 사각형 그림에서, 컴퓨터가 아날로그 바이너리 코드를 인식할 수 있는 특징 지역에서 다양하게 나타나는 특징있는 경우을 도시한 도면.
도 4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아날로그 바이너리 코드를 도시하기 위해 그리는 사각형 그림을 컴퓨터가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한 결과 값인 0과 1로 도시한 도면.
도 4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아날로그 바이너리 코드를 컴퓨터가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한 결과 값인 0과 1로 도시한 도면.
도 4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아날로그 바이너리 코드를 컴퓨터가 아날로그 바이너리 코드로 인식할 수 있게 하여 디지털 바이너리 코드로 변환할 수 있는 근거들이 될 특징들을 도시한 도면.
도 4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아날로그 바이너리 코드를 컴퓨터가 아날로그 바이너리 코드로 인식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아날로그 바이너리 코드의 완성도가 극히 낮은 경우에도 아날로그 바이너리 코드를 인식할 수 있는 특징과 상황을 도시한 도면.
도 4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아날로그 바이너리 코드의 완성도가 극히 낮은 경우에 아날로그 바이너리 코드를 인식할 수 있는 방법과 그 방법을 통해 디지털 코드로 변환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4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아날로그 바이너리 코드의 완성도가 극히 낮은 경우에 아날로그 바이너리 코드를 인식할 수 있는 방법과 그 방법을 통해 디지털 코드로 변환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및 단말기와 서버가 아날로그 바이너리 코드로 인식할 수 있는 또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
도 5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아날로그 바이너리 코드를 도시하기 위해 그리는 3×3 사각형 그림에서 각 선분을 정의하기 위해 각 선분과 연관된 선분을 이용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5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아날로그 바이너리 코드를 도시할 때 각 셀에 사용자가 채워넣는 음영들의 특징을 도시한 도면.
도 5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아날로그 바이너리 코드의 각 셀에 사용자가 다양한 음영들로 채운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5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아날로그 바이너리 코드의 각 셀에 사용자가 채워넣는 음영을 회전하여 셀을 채우는 방법을 통해 상기 아날로그 바이너리 코드를 디지털 바이너리 코드로 근사해가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5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아날로그 바이너리 코드의 각 셀에 사용자가 채워넣는 음영의 선분을 두껍게 만들고 3×3 공간을 구획하는 선분을 넘어가는 선분의 이미지를 상기 구획하는 선분으로 재단하는 방법을 통해 상기 아날로그 바이너리 코드를 디지털 바이너리 코드로 근사해가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5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아날로그 바이너리 코드의 각 셀에 사용자가 채워넣는 음영과 그 음영을 회전하여 얻을 수 있는 결과를 도시한 도면.
도 5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아날로그 바이너리 코드의 각 셀에 사용자가 채워넣는 음영의 선분을 두껍게 만들고 3×3 공간을 구획하는 선분을 넘어가는 선분의 이미지를 상기 구획하는 선분으로 재단하는 방법을 통해 얻을 수 있는 결과를 도시한 도면.
도 5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아날로그 바이너리 코드를 도시하기 위해 그리는 3×3 사각형 그림에서 각 선분을 이용하여 특징점을 만들고 그 특징점을 통해 폐쇄된 아날로그 바이너리 코드를 만들어 상기 아날로그 바이너리 코드를 디지털 바이너리 코드로 근사해 가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5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아날로그 바이너리 코드의 특징 중 각 셀을 구획하는 8개의 선분의 두께와 각 셀에 그려지는 곡선의 두께와 색상이 동일함을 도시한 도면.
도 5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아날로그 바이너리 코드를 인식하는 효율을 높이기 위해 수직방향의 가이드 선을 단말기의 화면에 나타낸 상태 및 이를 사용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6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아날로그 바이너리 코드를 인식하는 효율을 높이기 위해 가로방향의 가이드 선을 단말기의 화면에 나타낸 상태 및 이를 사용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6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아날로그 바이너리 코드를 인식하는 효율을 높이기 위해 직교하는 가이드 선을 단말기의 화면에 나타낸 상태 및 이를 사용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6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아날로그 바이너리 코드를 인식하는 효율을 높이기 위해 복수의 사각형의 가이드 선을 단말기의 화면에 나타낸 상태 및 이를 사용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6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아날로그 바이너리 코드를 인식하는 효율을 높이기 위해 직교하는 선분(ㄱ모양)이 복수개로 이루어진 가이드 선을 단말기의 화면에 나타낸 상태 및 이를 사용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6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아날로그 바이너리 코드를 인식하는 효율을 높이기 위해 아날로그 바이너리 코드 옆에 가이드 표식을 함께 표시한 것을 도시한 도면.
도 6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아날로그 바이너리 코드를 인식하는 효율을 높이기 위해 아날로그 바이너리 코드 옆에 가이드 표식을 함께 표시한 상태에서, 아날로그 바이너리 코드의 인식효율을 더 높이기 위해 단말기의 화면에도 가이드 선을 나타낸 것을 도시한 도면.
도 6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아날로그 바이너리 코드를 인식하는 효율을 높이기 위해 아날로그 바이너리 코드 옆에 가이드 표식을 함께 표시한 상태에서, 아날로그 바이너리 코드의 인식효율을 더 높이기 위해 단말기의 화면의 한변을 가이드 선으로 활용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
도 6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아날로그 바이너리 코드를 인식하는 사용자의 행위를 반영하여 사용자가 소유한 바이너리 코드에 의해 데이터를 업로드/포스팅 할 것인지 다운로드/뷰잉할 것인지 판단하기 위한 단서가 되는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6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아날로그 바이너리 코드를 인식하는 사용자의 행위를 반영하여 타인의 바이너리 코드를 이용해 데이터를 업로드/포스팅 할 것인지 다운로드/뷰잉할 것인지 판단하기 위한 단서가 되는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6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아날로그 바이너리 코드를 인식하는 사용자의 행위를 반영하여 사용자가 소유한 바이너리 코드에 의해 데이터를 업로드/포스팅 할 것인지 다운로드/뷰잉할 것인지 판단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
도 7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아날로그 바이너리 코드를 인식하는 사용자의 행위를 반영하여 사용자가 소유한 바이너리 코드에 의해 데이터를 업로드/포스팅 할 것인지 다운로드/뷰잉할 것인지 판단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
도 7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아날로그 바이너리 코드를 인식한 단말기가 상기 아날로그 바이너리 코드의 방향을 사용자에게 선택하도록 요청하는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7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아날로그 바이너리 코드를 사용하는 또 다른 방법으로서, 복수의 바이너리 코드를 함께 사용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
도 7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아날로그 바이너리 코드를 설정하는 또 다른 방법으로서, 함께 자주 사용되는 바이너리 코드들을 하나의 셀에 묶을 수 있음을 도시한 도면.
도 7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아날로그 바이너리 코드를 사용하는 또 다른 방법으로서, 복수의 바이너리 코드를 함께 사용하는데 순서, 즉 상위 바이너리코드, 하위 바이너리 코드로 구분하여 사용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
도 7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바이너리 코드가 스마트 워치에 적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76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써 차량을 주차시 남겨놓는 메모에 본 발명에 의한 아날로그 바이너리 코드를 적용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 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었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의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본 발명에 따른 바이너리 코드를 이용한 데이터 통합, 관리, 공유 시스템은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되어있다.
사용자 단말기(100)는 무선 혹은 유선으로 네트워크(200)를 통해 서비스 서버(300)에 접속할 수 있는 장치가 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장치(100)는 스마트 폰(Smart phone), 태블릿(Tablet), 랩탑(Laptop), 패블릿(Phablet), 개인용휴대단말기(PDA), 전자책단말기(E-book reader), 노트북(notebook)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복수의 사용자 장치(100) 각각은 서로 다른 운영 체제(OS, Operating System)가 설치되어 운영될 수 있으며, 이러한 운영 체제는 iOS, Symbian, Android, Windows, MAC, Linux, Unix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 장치(100)는 서로 다른 파일 시스템(File Systems)을 통해 파일을 관리한다.
여기서, 사용자 장치 또는 단말기(100)라 함은 예컨대 고해상도(HD급 이상)의 사진촬영이 가능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를 탑재하고 있는 스마트폰일 수 있다. 최근 유무선 인터넷의 보급이 널리 이루어지고 그 이용률이 급격하게 증가함에 따라,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WiFi(Wireless Fidelity),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등과 같은 다양한 데이터 통신 기술이 개발되어 상용화되고 있다.
휴대전화기를 비롯한 통신 단말기(100)는 이러한 데이터 통신 기술의 발전에 힘입어, 단순히 사용자 간의 음성 통화만을 지원하지 않고 이제는 일종의 초소형 컴퓨터로서도 기능할 수 있도록 그 기능이 대폭 강화되고 있다. PDA(Personal Digital Assistance, 개인 휴대 단말기), 태블릿 컴퓨터(Tablet Computer), 넷북(Netbook) 등 신개념의 모바일 통신 단말기(100)가 등장함에 따라, 사용자는 언제 어디서나 무선 인터넷에 접속하여 이메일을 주고 받거나 이동 중에도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즐길 수 있게 되었다.
이 중에서도 특히 스마트폰(Smart Phone, 100)은 휴대전화기와 개인 휴대 단말기(PDA)의 장점을 결합한 이동통신 단말기로서, 음성 통화 기능 외에 일정 관리, 팩스 송·수신 및 인터넷 접속 등의 데이터 통신 기능을 소형의 기기에 통합시켜 그 편의성과 활용도는 더욱 증대되어 가고 있다.
스마트폰의 가장 큰 특징은 완제품으로 출시되어 주어진 기능만 사용하던 기존의 휴대전화기와는 달리, 수백여종의 다양한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응용프로그램)을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설치하고 추가 혹은 삭제할 수있다는 점이다. 이 외에도 스마트폰 사용자는 무선인터넷을 이용하여 인터넷에 직접 접속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여러 가지 브라우징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인터넷 컨텐츠에 액세스하는 것이 가능하고, 심지어 사용자가 자신이 원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직접 제작할 수 있으며, 동일한 운영체제(Operating System, OS)를 가진 스마트폰 간에 애플리케이션을 공유할 수 있다는 점도 스마트폰과 일반 휴대전화기를 구별하는 중요한 특징으로 꼽을 수 있다.
실제로 최근의 스마트폰은 과거의 일반 휴대전화기에 비하여 더 넓은 터치스크린 방식의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를 탑재하고 있어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이 개선되었고, 소위 도킹 스테이션(Docking Station)이라 불리는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충전과 동시에 개인용 컴퓨터에 저장된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도 있으며, 수천 개에 이르는 주소를 관리할 수 있는 PIM(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개인정보 관리) 기능까지 갖추고 있다. 더 나아가 스마트폰은 이제 모바일 인터넷 뱅킹, 모바일 신용카드, 모바일 소셜 네트워킹, 모바일 쇼핑 등 활용 분야를 막론하고 실생활에 편리하게 응용되고 있으며, 이를 위해 은행, 증권회사, 신용카드 회사, 소셜 커머스 업체, 인터넷 쇼핑몰 업체들은 자사만의 고유한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을 해당 스마트폰의 운영체제에 맞게 개발하여 유료 혹은 무료로 사용자들에게 배포하고 있다.
이처럼 컴퓨터에 버금가는 강력한 성능과 네트워크 기능에 의한 이동성까지 겸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등장에 따라 본 발명에 대한 설명은 통신 단말기(100)가 스마트폰인 경우를 중심으로 한다.
참고로, 애플리케이션은 운영 체제(Operating System, OS) 상에서 동작하는 일종의 소프트웨어로서, 사용자 또는 타 응용프로그램에 대해 특정기능을 직접 수행하도록 설계된 프로그램을 말한다. 본 발명의 실시에 따른 스마트폰과 같은 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모바일 기기에 적용되도록 제작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일 수 있으며,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은 웹에 접속하는 브라우저 기반의 애플리케이션, 단말기 운영체제에 의존하여 단말기에 따라 제작되는 네이티브(native) 애플리케이션, 또는 이들을 조합한 하이브리드 애플리케이션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는 애플리케이션 데이터, 시스템 데이터 등이 소정의 프로그래밍 언어(예컨대, C언어 또는 자바(JAVA)등의 언어)로 기록, 저장되어 있다.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는 사용자와의 상호작용이 가능하도록 구현되는 각종 프로그램 기능(예컨대,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해 사용자의 터치를 인식하여 화면 전환)을 가진 데이터로서, 풀 모드(full mode) 데이터라고도 한다. 시스템 데이터는 애플리케이션관리 정보, 스타트업 정보 등을 포함하는 데이터를 말하며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재생하기 위한 속성 및 동작 정보이다. 그 밖의 추가적인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정보를 기록매체에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가 만든 바이너리 코드 조합을 이용한 온라인-오프라인 데이터 통합·관리·공유를 위한 방법 및 시스템에서의 단말기(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 온라인과 오프라인에서 촬영, 스캔, 수집을 통해 바이너리 코드가 포함된 이미지, 동영상 텍스트 등의 데이터를 획득하는 촬영/스캔부(108), 상기 촬영/스캔부가 획득한 상기 데이터에 포함된 상기 바이너리 코드를 검출하는 검출부(106), 사용자가 상기 바이너리 코드에 대해 사전 정의를 하거나, 상기 스캔된 바이너리 코드가 상기 검출부(106)에서 검출된 내용에 따라 상기 사용자가 설정해 놓은 일련의 과정을 수행하는 제어부(104)를 포함 하여 구성된다.
사용자는 상기 촬영/스캔부(108)를 통해 상기 바이너리 코드가 포함된 상기 데이터들을 바로 획득할 수도 있지만,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해 상기 바이너리 코드가 포함되지 않은 데이터를 촬영/스캔하여 상기 단말기를 통해 바이너리 코드를 적용시킬 수도 있다. 이때 사용자가 상기 데이터에 바이너리 코드를 적용시키는 과정은 온라인/오프라인을 통해 상기 바이너리 코드를 먼저 제작/취득 한 후 데이터에 적용하거나 또는 선 취득한 데이터에 상기 바이너리 코드를 온라인/오프라인에서 제작/취득하여 적용할 수도 있다.
상기 단말기(100)와 상기 서버(200)의 저장부에 구성된 바이너리 코드 메모리부와 데이터 메모리부는 제어부(104,204) 내부에 구성할 수도 있고 제어부와는 별도로 존재하지만 제어부와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모듈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상기 촬영/스캔부, 상기 검출부, 상기 제어부와 상호간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일반적으로 서버는 단말기 대비 촬영/스캔부(108)을 제외한 나머지 구성과 거의 흡사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제어부의 세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제어부(104, 204)는 영상의 이진화, 가이드라인 생성 및 노이즈 제거, 색상변환, 크기, 선분의 두께 변화, 차동분석 또는 스칼라 모델의 장점을 이용 바이너리 코드의 영역을 검출, 직선 검출, 하프 변환, 특징점 검출, 회전, 확대, 축소 등의 다양한 역할을 수행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가 본인의 바이너리 코드를 사용하는 경우의 동작 순서도이다. 사용자가 종이에 그린 그림이나 손으로 직접 쓴 글, 회의록, 시험지, 기기 설명서 등을 온라인으로 저장하고 싶을 경우, 사용자는 각각의 그림, 글, 회의록, 설명서 등에 본 발명에 의한 바이너리 코드를 그려 놓는다. 이후 단말기(100)를 통해 본 발명에 의한 프로그램을 실행하거나 웹으로 접속한 뒤(S100), 단말기의 촬영/스캔부(108)를 통해 상기의 데이터(그림, 글, 회의록, 설명서 등)와 함께 아날로그 바이너리 코드를 촬영/스캔한다(S102). 이후 사용자 단말기(100)는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되는 방법들의 조합을 통해 상기의 데이터에서 아날로그 바이너리 코드를 찾아내어 이를 단말기(100) 혹은 서버(200)가 이해할 수 있는 상태로 변환하여(S104) 해당 아날로그 바이너리 코드가 등록된 코드인지 아닌지를 판별한다(S106). 만약 상기 바이너리 코드가 등록된 아날로그 바이너리 코드일 경우 기 설정된 바대로 실행(S108)함으로써 프로세스가 종료된다. 만약 상기 바이너리 코드가 등록된 아날로그 바이너리 코드가 아닐 경우, 사용자에게 등록 설정을 할 것인지 아닌지 의사를 묻고(S110), 사용자가 등록 설정을 하고자 한다면 관리자 모드에서 바로 실행하도록 하며(S112), 바로 사용자가 실행할 것인지 여부를 물어(S114) 이를 실행하거나, 종료한다. 또한, 상기 등록설정(S110) 여부를 묻는 과정에서 사용자가 등록설정을 하지 않는다고 할 경우, 이를 데이터 및 임시코드로 저장을 할 것인지 그 여부를 묻고(S118) 사용자가 데이터 저장 및 임시코드로 저장을 하겠다고 하면 이를 실행하고(S120), 그렇지 않을 경우 프로세스를 종료한다. 여기서 사용자가 '상기의 데이터'와 함께 '상기의 바이너리 코드를 임시코드'로 저장할 경우, 추후 유사한 종류의 데이터가 쌓임(데이터 저장시 사용자는 태그를 넣을 수 있다)에 따라 태그 등의 내용, 데이터 자체의 내용분석을 통해 본 발명에 의한 프로그램은 사용자에게 새로운 바이너리 코드의 생성을 추천할 수도 있고, 사용자 본인이 스스로 이를 관리할 수도 있다.
상기의 프로세스는 데이터를 업로드 하는 프로세스에 대해 설명하였는데, 본 발명은 사용자의 행위를 기반으로 하여 데이터를 업로드 한 바이너리 코드와 동일한 바이너리 코드로 데이터의 다운로드 가능하다. 물론, 사전에 데이터를 관리하는 사용자의 사전 설정이 필요하다. 이와 같은 내용은 추후, 도 65를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가 타인의 바이너리 코드를 사용하는 경우의 동작 순서도이다. 사용자가 종이에 그린 그림이나 손으로 직접 쓴 글, 회의록, 시험지, 기기 설명서 등을 타인의 바이너리 코드를 통해 온라인으로 저장하고 싶을 경우(또는 저장해야 할 경우 - 예를 들어 상기 사용자는 학생이고 상기의 타인은 상기 학생의 지도교수이고, 과제를 제출해야 하는 경우도 여기에 포함될 것), 사용자는 각각의 그림, 글, 회의록, 설명서 등에 본 발명에 의한 바이너리 코드를 그려 놓는다. 이후 단말기(100)를 통해 본 발명에 의한 프로그램을 실행하거나 웹으로 접속한 뒤(S200), 단말기의 촬영/스캔부(108)를 통해 상기의 데이터(그림, 글, 회의록, 설명서 등)와 함께 아날로그 바이너리 코드를 촬영/스캔한다(S202). 이후 사용자 단말기(100)는 사용자로부터 개인식별코드를 입력받은 뒤(S204)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되는 방법들의 조합을 통해 상기의 데이터에서 아날로그 바이너리 코드를 찾아내어 이를 단말기(100) 혹은 서버(200)가 이해할 수 있는 상태로 변환하고(S206) 해당 아날로그 바이너리 코드가 등록된 코드인지 아닌지를 판별한다(S208). 이 과정에서 상기 과정 (S204)는 사용자로부터 직접 개인식별코드를 입력받을 수도 있지만, 본 발명에서 언급하는 GPS정보 및 도 8, 도 9, 도 10, 도11~도24, 도 33에 이르기까지 각 개별 사용자의 코드 설정, 타 사용자와의 코드 교환, 공유 및 사용 과정에서 필연적으로 얻어지는 데이터(사용빈도-입력, 선택들을 토대로, 현재 사용자의 위치에서 제작, 선택, 사용된 바 있는 개인식별코드, 또는 상기 프로세스에서 취득한 바이너리 코드와 동일한 코드들 중 사용자의 위치와 비교적 가까운 위치에 존재하는 개인식별코드, 또는 작은 범위에서는 사용자의 지인들 그리고 보다 큰 범위(시, 도 단위)에서는 사용자와 유사한 생활권 내에 존재하는 타 사용자들, 그리고 보다 큰 범위(국가, 대륙 단위, 동일 언어권)에서 사용하는 또 다른 사용자들의 사용 데이터(예를들어 1.유저가 직접 입력한 경우에 한하여 누적 사용량이 많은 개인식별코드 혹은 현재 시간 기준으로 사용량이 많은 개인식별코드. 2. 유저가 선택 입력한 경우에 한하여 누적 사용량이 많은 개인식별코드 혹은 현재 시간 기준으로 사용량이 많은 개인식별코드) 등의 데이터를 하나 혹은 복수개를 조합하여 사용자에게 의미있는 데이터를 추출하여 사용자에게 추천함으로써 사용자가 입력 혹은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에서 참고할 수 있는 물리적 데이터로는 GPS정보 외 비콘 정보, 와이파이정보, 블루투스 등의 정보가 포함될 수도 있다.
이후 만약 상기 바이너리 코드가 등록된 아날로그 바이너리 코드일 경우 기 설정된 바대로 실행(S210)함으로써 프로세스가 종료된다. 만약 상기 바이너리 코드가 등록된 아날로그 바이너리 코드가 아닐 경우, 이를 데이터 및 임시코드로 저장을 할 것인지 그 여부를 묻고(S212) 사용자가 데이터 저장 및 임시코드로 저장을 하겠다고 하면 이를 실행하고(S214), 그렇지 않을 경우 프로세스를 종료한다.
상기의 과정에서 사용자가 '상기의 데이터'와 함께 '상기 타인의 바이너리 코드를 임시코드'로 저장할 경우, 추후 상기 타인이 상기 바이너리 코드를 설정함에 따라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타인의 바이너리 코드가 등록되었음을 통지 받을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가 타인의 바이너리 코드를 사용하는 경우의 동작 순서도이다. 이 순서도는 상기 도 6의 순서도를 기본으로 하여, 특정 사용자가 자신의 개인식별코드하의 미등록 바이너리코드에 대해 제3자로 하여금 등록설정을 할 수 있도록(전면허용을 할 수도 있고, 하나 이상의 특정 셀(3×3 사각형 바이너리코드의 경우 9개로 나뉘어진 칸을 셀이라고 표현)을 포함한 경우에만 허가할 수도 있다)한 경우에 대해 추가적으로 다루고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제3자의 개인식별코드하의 특정 바이너리 코드 설정에 대해 임시관리자 모드 형태로 관리자 권한을 일부 허용받아 상기 바이너리 코드를 설정, 등록(S316)하여 실행(S318)할 수 있게 된다. '개인식별코드'라는 명칭에서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개인'이라는 표현을 썼을 뿐, 다른 사용자들과 구분되어 질 필요가 있는 모든 '객체'들을 통칭하여 일컫는다고 보는 것이 타당하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버에 등록된 사용자 단말을 통해 접속하였을때 사용자 단말기(PC)의 브라우저에서 보여지는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의한 바이너리 코드는 EASY MODE(306)과 NORMAL MODE(308), 그리고 유로 서비스(310)으로 나누어질 수 있다. MyBCODE 옆 + 버튼을 눌러 설정을 시작할 수 있으며, 각각의 코드는 사용자수/사용량/최근사용빈도/코드링크수 등의 기준으로 재정렬되어질 수 있다. 도 8에서는 tag groupN 으로 표기했지만, 실제로는 사용하고 있는 태그들이 기입되어 있음이 바람직하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버에 등록된 사용자 단말을 통해 접속하였을때 사용자 단말기(스마트폰)의 브라우저에서 보여지는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기본적으로 PC화면과 유사하다. 사용자가 자주 쓰는 바이너리 코드를 쉽게 선택할 수 있게 가상의 버튼(314)도시되어 있고, 그 아래는 각 바이너리 코드에 설정되어 있는 태그가 표시되어 있다. 또한 그 하단에는 다른 사람들의 바이너리 코드를 볼 수 있는 '개인식별코드'가 가상의 버튼(320)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화면은 단지 예시일 뿐, 실제 개발되어 졌을 때는 사용자들의 사용데이터를 근거로 지속적으로 변경되어 질 수 있음이 자명하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버에 등록된 사용자 단말을 통해 접속하였을때 사용자 단말기(스마트폰)의 브라우저에서 보여지는 또 다른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사용자가 태그(322)를 선택하여 원하는 작업(예를 들어 태그를 선택한 후 바이너리 코드를 선택할 수 있고, 설정을 변경할 수도 있다)을 할 수 있도록 태그가 도시되어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가 등록된 사용자 단말을 통해 바이너리 코드를 설정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사용자는 바이너리 코드를 임의로 설정할 수 있으며(물론 이전에 설정된 코드와 동일한 코드를 새로이 설정할 수는 없고 재설정은 가능하다), 바이너리 코드가 갖게 될 기능(330, 여기서는 "업로드/포스팅" 과 "다운로드/뷰잉"으로 표시되어 있는데 이는 사용자 단말기(100)와 서버(200)가 주고받는 모든 종류의 데이터를 통칭하여 언급한 것이다), 태그(332), 공유(334), 링크(336), 코드공유(338), 보안(339) 설정 등을 할 수 있다. 실제 본 발명에 의한 바이너리 코드 및 그에 관한 설정은 위의 사항보다 설정할 내용이 더 적을 수도 있고, 더 많을 수도 있다.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에 의한 바이너리 코드 및 설정 애플리케이션이 본 명세서에 도시된 기능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하 도 12 ~ 도 19는 바이너리 코드 및 설정에 대한 일련의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가 등록된 사용자 단말을 통해 바이너리 코드를 설정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가 등록된 사용자 단말을 통해 바이너리 코드를 설정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의한 바이너리 코드의 설정시, 기능, 태그, 공유, 링크, 코드 공유 등의 단서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사용 중, 예를 들어 위 코드로 데이터를 업로드할 때 기본 설정대로 업로드 할 수 있지만 일부 수정하여 업로드 할 수도 있다. 기본적으로 코드 공유를 하지 않도록 해 놓았다 하더라도 사용자가 업로드 할 때 마다 설정을 달리할 수 있기 때문에 일부 데이터에 대해 업로드 할 때 코드 공유 설정을 해 놓았다면 제3자가 해당 바이너리 코드로 접속시 상기 사용자가 코드 공유설정해 놓은 데이터에 한해서 목록이 보여지고 다운로드/뷰잉할 수 있다.
바이너리 코드를 설정할 때 보안 수단으로써 단말기에서 바이너리코드를 촬영/스캔시 위치정보를 반드시 첨부하도록 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지역/공간에서만 사용가능한 혹은 사용 가능하지 못하는 바이너리 코드를 만들 수 있다. 보안수단으로써 상기 위치정보에는 GPS정보 외 비콘 정보, 와이파이 정보, 블루투스 등의 정보가 포함될 수도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가 등록된 사용자 단말을 통해 바이너리 코드를 설정하는 과정에서 세부 설정 중 기능 설정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특정 바이너리 코드를 촬영/스캔하여 특정 전화번호로 전화를 걸고자 한다면 바이너리 코드를 단말기/서버를 통해 사전 설정을 함으로써 가능하다.
또한 사전 설정이 되어 있지 않다면 특정 바이너리 코드를 먼저 촬영/스캔한 뒤 단말기/서버를 통해 사후 설정을 한 뒤 전화걸기 기능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가 등록된 사용자 단말을 통해 바이너리 코드를 설정하는 과정에서 세부 설정 중 태그 설정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가 등록된 사용자 단말을 통해 바이너리 코드를 설정하는 과정에서 세부 설정 중 공유 설정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가 등록된 사용자 단말을 통해 바이너리 코드를 설정하는 과정에서 세부 설정 중 코드 공유 설정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링크 탭의 경우, 특정 페이지를 보고 있다가 본 발명에 의한 애플리케이션으로 공유 선택 시 링크가 자동입력 되어 있음이 바람직하다.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데이터 업로드시 타이틀 입력란이 추가되어 타이틀을 입력할 수 있게 된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가 등록된 사용자 단말을 통해 바이너리 코드를 설정하는 과정에서 세부 설정 중 메일을 통한 공유 설정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을 보면 공유추가 버튼이 존재하고 이를 클릭하면 도 18에 도시된 화면이 사용자의 단말기 화면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에 의한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제공자가 제공하지 않는 공유서비스라 할지라도 사용자가 스스로 생성하여 사용할 수 있는 기능등이 추가로 제공 되어져야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촬영/스캔한 내용에 따라 아날로그 바이너리 코드와 태그를 추천하는 기능이 추가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촬영/스캔한 데이터가 텍스트라면, 혹은 인물 사진이라면, 혹은 숫자로 이루어진 수식이라던가, 숫자로 이루어진 전화번호, 또는 ZIP 코드가 존재하는 주소라면 해당 데이터에 맞춰 사전 설정된 바이너리 코드와 태그를 추천해 줄 수도 있다. 또는 GPS 정보를 통해 해당 바이너리 코드와 동일한 코드를 가진 제3자가 서버에 등록한 태그 및 개인식별코드를 알려줄 수도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가 등록된 사용자 단말을 통해 바이너리 코드를 설정하는 과정에서 세부 설정 중 메일을 통한 공유 설정을 완료한 도면이다. 도 16 및 도 18, 도 19를 통해 공유 기능에 추가적인 기능을 사용자 스스로 생성하여 설정하는 과정을 나타내었는데 이와 같은 추가적인 기능의 설정이 단순히 공유(334) 설정뿐만 아니라, 기능(330) 설정, 태그(332) 설정, 코드 공유(338) 설정 등의 과정에서도 주어져야 함이 당연하다. 이와 같은 자율성은 사용자 스스로 다양한 기능/설정을 추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본 발명에 의한 바이너리 코드 및 애플리케이션을 개별 사용자 스스로에게 최적화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보장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가 등록된 사용자 단말을 통해 기 설정된 바이너리 코드에 접속하였을때 보여지는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FLD는 FOLDER를 의미한다. 업로드 하는 데이터는 폴더도 가능하다. 이 폴더에는 심지어 앞서 설정한 바이너리 코드의 경로 또한 업로드 할 수도 있다.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혹은 또 다른 사용자가 등록되지 않은 사용자 단말을 통해 기 설정된 바이너리 코드에 접속하였을때 보여지는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만약 데이터 하나만 존재한다면 사용자 혹은 제3자가 위 바이너리코드로 다운로드/뷰잉 했을때 도 21이 보여지지 않고 바로 파일을 다운로드 하거나 뷰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타이틀이 지정되지 않은 게시물의 타이틀은 태그로 대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 화면은 웹으로 접속하였을 때의 화면이다. 스마트폰과 같은 단말기의 전용 애플리케이션으로 보는 화면의 구도는 위와 다를지라도 내용은 거의 동일하게 표시된다.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혹은 또 다른 사용자가, "등록되지 않은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기 설정된 바이너리 코드에 접속하였을 때 보안처리된 데이터를 보기 위해 입력해야 할 패턴인식 비밀해제에 관해 도시한 도면이다. 이처럼 등록되지 않은 제3자의 단말기를 통해 비공개 바이너리 코드에 접속하여도 비밀번호 해제를 통해 해당 바이너리 코드에 저장된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바이너리 코드는 각각 서로 다른 비밀번호로 설정될 수 있으며 바이너리 코드의 음영을 기반으로 바이너리 코드를 터치, 드래그하는 순서 및 조합을 사전에 정의함으로써 바이너리 코드의 음영을 기반으로 한 패턴인식으로 비밀해제가 가능하다. 각 바이너리 코드별로 보안설정이 보장하는 것은 매우 바람직하다. 이렇게 함으로써 기업 내에서 또는 친구, 가족들과 부담없이 데이터를 공유 할 수 있게 된다.
도 2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가 등록된 사용자 단말을 통해 사용자의 바이너리코드와 데이터, 사용자의 태그와 데이터, 사용자의 태그와 바이너리 코드를 연결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바이너리 코드와 파일은 1:n 관계 일수도 있고 n:1 관계 일 수도 있으며 n:n 관계일 수도 있다.
또한, 태그와 바이너리 코드는 1:n 관계 일수도 있고 n:1 관계 일 수도 있으며 n:n 관계일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파일과 태그는 1:n 관계 일수도 있고 n:1 관계 일 수도 있으며 n:n 관계일 수도 있다.
도 2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에 저장된 데이터, 바이너리코드, 태그, 설정 등이 저장된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면서 서버에 특정 사용자의 데이터, 바이너리코드, 태그, 설정 등이 저장된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데이터 저장부(132)는 사용자DB(130)와 임시저장부(128), 바이너리코드 저장부(136), 태그 저장부(138)와 연결되어 저장부(114)를 구성한다. 도 23과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이너리 코드 저장부(136)와 태그 저장부(138), 데이터 저장부(132)는 각각 별도의 저장소에 저장되지만, 이들은 매우 유기적이며 긴밀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
도 2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이너리 코드가 EASY MODE에서 사용될 때,의 단순히 사전 설정이 합쳐지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EASY MODE는 사각형 바이너리 코드를 이루는 개개의 셀 하나하나에 사전 설정이 되어 있고 상기 사각형 바이너리 코드를 이루는 상기 셀의 음영의 조합은 새로운 코드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셀 하나하나에 적용되어 있는 사전 설정(태그 그룹을 포함한)을 서로 더해서 처리되는 방식이다.
예를 들어 바이너리 코드 (410)은 클라우드 폴더 A에 촬영/스캔 파일을 업로드 하는 코드이고, 바이너리 코드 (412)는 페이스북이라는 SNS에 촬영/스캔 된 파일을 업로드 하는 바이너리 코드일 경우, 이 둘의 바이너리 코드를 합쳐서 하나의 바이너리 코드를 그린 뒤, 이를 촬영/스캔하면 상기 촬영/스캔된 데이터를 클라우드 폴더 A와 사용자의 페이스북 타임라인에 동시에 업로드 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바이너리 코드(414)가 자주 구매하는 식료품에 대한 것이라면 상기 바이너리 코드 (410), (412)와 함께 하나의 코드에 그려 넣은 뒤 한 번에 촬영/스캔하면 클라우드 폴더 A와 페이스북에 상기 촬영/스캔된 파일을 업로드하고 동시에 상기의 식료품을 구매하게 되는 식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이너리 코드가 NORMAL MODE에서 사용될 때, 바이너리 코드의 설정들이 EASY MODE처럼 단순하게 합쳐지는 것이 아님을 도시한 도면이다.
NORMAL MODE 에서는 각각의 조합(셀의 조합)은 새로운 설정이 필요한 새로운 코드가 된다. 음영으로 표기된 셀의 위치가 일부 중복될지라도 전혀 관계가 없는 새로운 바이너리 코드가 되는 것이다. 물론, 사용자에 따라 일부 셀은 EASY MODE로, 일부 셀은 NORMAL MODE 로 사용할 수도 있다.
도 2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이너리 코드가 이지모드에서 노말모드로 전환될 수 있는 수단으로서의 바이너리 코드에 대해 도시한 도면이다.
EASY / NORMAL MODE 의 상호간 변환은 바이너리코드의 특정 셀을 통해 EASY MODE On/Off 설정을 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7의 좌측 상단의 도면부호(416)으로 표기되어 있는 특정 셀에 음영이 칠해져 있으면 EASY MODE, 음영이 없으면 NORMAL MODE로 인식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또한 이는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본 발명에 의한 애플리케이션의 관리자 설정 모드를 통해 설정 가능하도록 할 수도 있으며, 예를 들어 도면 부호(418)으로 표기된 특정 바이너리 코드를 촬영/스캔하여 EASY/NORMAL MODE 의 상호간 변환이 가능하도록 할 수도 있다. 즉, 바이너리코드 자체가 EASY / NORMAL MODE 변환 스위치가 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단말기로 촬영/스캔시 EASY / NORMAL MODE 가 자동 변환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도 2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모에 도시된 바이너리 코드와 개인식별코드를 본 발명에 의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가 직접 입력하여 사전 설정된 데이터의 업로드/포스팅을 시도하는 도면이다. 이하에서 자세히 설명하겠지만, 사용자는 메모를 촬영/스캔한 뒤 메모에 도시된 바이너리 코드와 개인식별코드를 보고, 본 발명에 의해 개발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직접 입력할 수도 있다.
물론, 도 29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해 개발된 애플리케이션으로 촬영/스캔함으로써 자동으로 촬영/스캔된 데이터와 함께 개인식별 코드와 바이너리 코드가 애플리케이션에 입력되어, 손쉽게 업로드/포스팅 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 언급하는 GPS정보 및 도 6, 도7, 도 8, 도 9, 도 10, 도11~도24, 도 33에 이르기까지 각 개별 사용자의 코드 설정, 타 사용자와의 코드 교환, 공유 및 사용 과정에서 필연적으로 얻어지는 데이터(사용빈도-사용자들의 입력과 사용자들의 선택들을 토대로, 현재 사용자의 위치에서 제작, 선택, 사용된 바 있는 개인식별코드, 또는 상기 프로세스에서 취득한 바이너리 코드와 동일한 코드들 중 사용자의 위치와 비교적 가까운 위치에 존재하는 개인식별코드, 또는 작은 범위에서는 사용자의 지인들 그리고 보다 큰 범위(시, 도 단위)에서는 사용자와 유사한 생활권 내에 존재하는 타 사용자들, 그리고 보다 큰 범위(국가, 대륙 단위, 동일 언어권)에서 사용하는 또 다른 사용자들의 사용 데이터(예를들어 1.유저가 직접 입력한 경우에 한하여 누적 사용량이 많은 개인식별코드 혹은 현재 시간 기준으로 사용량이 많은 개인식별코드. 2. 유저가 선택 입력한 경우에 한하여 누적 사용량이 많은 개인식별코드 혹은 현재 시간 기준으로 사용량이 많은 개인식별코드) 등의 데이터를 하나 혹은 복수개를 조합하여 사용자에게 의미있는 데이터를 추출하여 사용자에게 추천함으로써 사용자가 입력 혹은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에서 참고할 수 있는 물리적 데이터로는 GPS정보 외 비콘 정보, 와이파이정보, 블루투스 등의 정보가 포함될 수도 있다.
도 3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모에 도시된 바이너리 코드와 개인식별코드를 본 발명에 의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가 직접 입력하여 사전 설정된 데이터의 다운로드/뷰잉을 시도하는 도면이다.
도 3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모에 도시된 바이너리 코드를 사용자가 단말기를 통해 촬영하여 서버의 특정공간에 접속을 시도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서는 도 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설정(이러한 설정에 대해서는 도 38 ~ 도 68에 거쳐 설명)을 통해 바이너리 코드에 대한 인식률이 높아지도록 한다.
도 3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에 사용자가 즐겨쓰는 바이너리 코드와 타인의 개인식별코드가 도시된 도면이다.
이처럼 한번 등록되거나, 사용했던 개인식별코드와 바이너리코드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단말기 또는 서버에 저장되어 차후 다시 사용하고자 할 때, 기존 기록을 이용하여 빠르고 쉽게 재사용이 가능하다. 아직 한 번도 입력되지 않은 개인식별코드는, 해당 개인식별코드에 따른 바이너리 코드를 촬영/스캔시 본 발명에 의한 개인식별코드 추천(GPS 정보 근거 및 다양한 데이터들에 근거한 추천)에 따라 사용자가 선택할 수도 있고, 직접 입력할 수도 있다.
도 3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사용자가 다른 사용자의 바이너리 코드와 상호간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3은 본 발명에 의해 생성될 수 있는 네트워크를 최대한 단순화하여 표현한 것으로 볼 수도 있다. 여기서 사용자는 USER1(450)과 USER2(452), USER3(454)가 등장한다. 이들 각각의 사용자에게는 많은 네트워크가 형성되어 있음을 표현한 도면부호(466)이 붙어 있다. 그러나 여기서는 사용자 세 명의 관계 내로 범위를 한정하여 본 발명에 의해 형성될 수 있는 네트워크를 살펴보고자 한다. 단순히 설명을 위해 사용자 세명을 한정하였을 뿐, 이들 유저의 숫자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짓지는 않음은 자명하다. USER1(450)과 연결된 바이너리 코드 중 두 선으로 연결된 것이 USER1의 생성하고 관리하는 바이너리 코드들이다. 즉, 전화걸기, 야식,.. 으로 태크가 되어 있는 바이너리 코드(460), 다어리 메모, 일정,.. 으로 태그가 되어 있는 바이너리 코드(462) 및 뉴스, 스크랩,.. 으로 태그가 되어 있는 바이너리 코드, 회사, 프로젝트,.. 로 태그가 되어 있는 바이너리 코드(482), 친구, 사진,.. 으로 태그가 되어 있는 바이너리 코드와, 영화, 공유,.. 로 태그가 되어 있는 바이너리 코드가 USER1의 생성하고 관리하는 바이너리 코드들이다. 이와 동일한 방법(각각의 사용자들로 부터 두개의 선이 뻗은 바이너리 코드를 찾는 방법)으로 USER2와 USER3이 생성하고 관리하는 바이너리 코드들도 쉽게 찾을 수 있다. 각각의 선들에 써 있는 n=1, n=2, n=3은 사용빈도에 따라 구분되어지고, 굵을 수록 높은 숫자(3)를 갖는다, 이는 사용 빈도가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각각의 사용자가 만든 바이너리 코드에 대해 다른 사용자와 한 줄로 연결된 것은 해당 사용자가 해당 바이너리 코드를 한번 이상 이용했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USER1의 바이너리 코드 중 영화, 공유, ... 로 태크가 되어 있는 바이너리 코드는, USER2가 사용하면서 USER2가 만든 자유게시판 으로 태크가 되어 있는 바이너리 코드와 바이너리 코드끼리 연결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해당 바이너리 코드를 통해 다른 바이너리 코드로 이동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실제적으로 본 발명에서 바이너리 코드가 갖는 의미는 어떤 가상의 공간과의 연결을 의미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단말기로 바이너리코드를 촬영/스캔할 경우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촬영/스캔 데이터를 업로드/포스팅할 수 있고, 또는 다운로드/뷰잉할 수 있는 것이다. 그래서 어떤 바이너리 코드는 폴더와 같은 기능을 할 수도 있고, 이런 폴더 내에 다른 바이너리 코드로의 이동하는 링크가 있다면, 그것은 인터넷 사이트간의 이동처럼 자유로울 수 있다. 즉 여기서는 USER1의 영화, 공유,.. 바이너리 코드를 통해 USER2의 자유게시판 바이너리 코드가 가르키는 웹 게시판으로 이동할 수 있고, 그 반대도 가능하다고 볼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자유게시판 바이너리 코드는 USER3의 영화, 공유,.. 바이너리 코드와 또 연결되어 있을 수 있고, USER3의 영화, 공유,.. 바이너리 코드는 USER1이 종종 사용하는 바이너리 코드일 수도 있는 것이다.
도 3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가이드라인이 인쇄되어 있는 용지에 아날로그 바이너리 코드를 그려 넣은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거나 또는 일반 종이에 사용자 메모와 아날로그 바이너리 코드를 그려넣은 상태에서 사용자 단말기의 화상에서 보여지는 가이드 라인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일반 종이에 사용자 메모와 아날로그 바이너리 코드, 가이드 라인을 그려넣은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가이드라인이 인쇄되어 있는 용지에 아날로그 바이너리 코드를 그려 넣은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거나 또는 일반 종이에 사용자 메모와 아날로그 바이너리 코드를 그려넣은 상태에서 사용자 단말기의 화상에서 보여지는 가이드 라인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일반 종이에 사용자 메모와 아날로그 바이너리 코드, 가이드 라인을를 그려넣은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위치결정 심볼을 통해 촬영 스캔하고자 하는 영역을 설정할 수 있으며, 위치 결정 심볼 영역외, 영역내에 아날로그 바이너리 코드를 둠으로 촬영/스캔 데이터에 아날로그 바이너리 코드를 넣을것인지 아닌지 구분할 수 있다.
위치 결정 심볼은 사용자가 직접 그릴 수도 있고, 인쇄된 용지가 제공될 수도 있다.
또는 화면상에서 사용자가 촬영/스캔하고자 하는 영역을 설정할 수도 있으며 바이너리 코드로 우하단의 영역설정표시를 대신할 수도 있을 것이다.
마찬가지로 좌상단에 바이너리코드가 있다면 우하단에만 영역설정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하나 이상의 영역설정 표시마크와 함께 아날로그 바이너리 코드의 대각선상의 존재하면 된다.
또한, 하나의 노트에 하나 이상의 "메모와 영역설정 표시마크와 아날로그 바이너리 코드"가 존재한다면, 이를 촬영/스캔할 경우 사전 설정된 내용에 따라 분류하여 각각 저장할 수도 있다.
도 3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아날로그 바이너리 코드와 디지털 바이너리 코드가 본질적으로 같지 않음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것은 당연하다. 아날로그 바이너리 코드라는 개념 자체가 본 발명의 필요에 의해 만들어진 개념이므로 더욱 그러할 수밖에 없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처럼 서로 같지 않은 "아날로그 바이너리 코드"와 "디지털 바이너리 코드"를, 단말기 또는 서버에서 동일한 바이너리 코드로 인식할 수 있기 위한 방법들, 특히 어떠한 상황에서도 단말기 또는 서버가 아날로그 바이너리 코드를 디지털 바이너리 코드로 성공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방법들에 대해 이하 도 39 ~ 도 58을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3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아날로그 바이너리 코드에서 흔하게 발견되는 문제를 도시한 도면이다. 아이러니 하게도 이것이 결국은 특징점, 특징 지역의 역할을 하게 된다. 도면부호 500, 502, 504, 506과 같은 특징점들은 디지털 바이너리 코드는 가질 수 없는 아날로그 바이너리 코드의 고유한 특징이다.
도 4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아날로그 바이너리 코드를 도시하기 위해 그리는 3×3 사각형 그림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0 ~ 도 58까지는 도 39에 도시된 특징점을 포함한, 아날로그 바이너리 코드에서 드러나는 다양한 특징점을 열거하고 그 특징점들로부터 추론할 수 있는 사실들, 그리고 특징점 이외 아날로그 바이너리 코드를 다양한 사용자들이 사용하게 되면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성 문제를 포괄하여, 아날로그 바이너리 코드를 더 확실하게 인식하기 위한 방법들을 열거한다. 이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도면 번호를 특별히 언급하지 않을 수도 있다.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도면 번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했으므로, 설명에 있어서의 혼동은 없을 것이다.
도 4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아날로그 바이너리 코드를 도시하기 위해 그리는 3×3 사각형 그림에서, 컴퓨터가 아날로그 바이너리 코드를 인식할 수 있는 특징 지역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0과 도 41에서 볼 수 있듯이 아날로그 바이너리 코드를 만들면, 선분끼리 닿지 않았거나, 닿았거나 선을 넘어갔거나 하는 특징점(3×3의 경우 16개의 특징점)들이 항상 만들어지게 된다. 이와 같은 특징을 검출하여 아날로그 바이너리 코드를 인식하고, 이를 디지털 코드로 변환시켜 단말기 또는 서버가 결과적으로 아날로그 바이너리 코드를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SP13~SP16은 반드시 교차점으로 만들어져야 한다는 조건을 걸 수도 있다. 또한, 적어도 세 점 이상 교차할 경우만 아날로그 바이너리 코드로 인식할 수 있도록 최소 조건을 제약할 수도 있다.
유사한 조건으로 SS13~SS16을 이루는 선분들은 각각 영역 내에서 상호 직각에 가까운 두 선분과 반드시 교차해야 한다는 조건(L5는 L6, L8와 교차, L6는 L5, L7과 교차 등)이 제시될 수도 있다.
촬영/스캔된 아날로그 바이너리 코드를 디지털화 하는 과정에서 아날로그 바이너리 코드로 인식되면 이와 높은 확률로 유사도를 갖는, 프로그램상에서 제시되는 표본과 비교 인식하는 과정이 더 포함될 수도 있다.
도 4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아날로그 바이너리 코드를 도시하기 위해 그리는 3×3 사각형 그림에서 각 선분을 정의하기 위해 각 선분과 연관된 선분을 이용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예를 들어 선분 L1을 정의하기 위해 도 42-a와 같이 선분 L8과 선분 L6가 사용되어 질 수 있다. 도면에서는 선분 L1과 선분 L8이 맞닿아 있고 선분 L1과 선분 L6가 교차하고 있다. 사실상 하나의 선분은 두개의 점을 잇는 선으로 정의할 수 있으므로, L8과 거의 맞닿는 L1의 한 점(점1이라 한다), L6와 교차하는 L1의 한 점(점2라 한다) 이렇게 두 점을 통해 가상의 선분을 정의할 수 있고, 이를 근사하게 지나는 실제의 선분 L1의 존재가 확인되면 이는 아날로그 바이너리 코드의 한 선분으로 확실하게 정의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선분 L1을 정의하기 위해 도 42-b에서와 같이 선분 L4, L8, L6, L2가 선분 L1과 교차 또는 근방에 존재하는 정도에 관한 데이터를 종합하여 더 확실한 근거를 잡을 수도 있고 필요에 의해 도 42-c 나 도 42-d와 같은 방법으로 선분 L1의 존재를 확인, 정의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선분 L1과 선분 L4와 같이 두 선분이 모여 모서리를 이루는 경우에 있어서는 도 43과 같은 더욱 다양한 경우에 대해 특징점을 추출해 낼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특징점들에 대해 적절한 결과값(예를들어 도 43-a에 해당하는 경우-이러한 판별 과정은 도 44를 참고- 1을 반환하고, 도 43-b 경우 2, 도 43-c의 경우 3, ..., 도 43-i의 경우 9를 반환 - 이와 유사하게 각각의 모서리와 교차점, 접점에서 값을 반환)을 생성, 반환할 수 있는 본 발명에 의한 애플리케이션으로 누군가가 직접 손으로 그린 아날로그 바이너리 코드에 대해 촬영/스캔하여 각 모서리, 교차점, 접점에서 예상할 수 있는 결과값이 도출되면, 우리는 이를 매우 타당하게 아날로그 바이너리 코드로 인정할 수 있을 것이다.
도 4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아날로그 바이너리 코드를 도시하기 위해 그리는 사각형 그림을 컴퓨터가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한 결과 값인 0과 1로 도시한 도면이다.
각 특징지역을 주목할만한 특징이 보인다. 이 특징 지역이 상기 아날로그 바이너리 코드를 일반 사각형과 같은 바이너리 코드가 아닌 도형과 구분되어지는 특징지역이라 할 수 있다.
*도 44에 도시된 바이너리 코드는 55×38 pixel 사이즈의 샘플이다. 그러나 실제로는 100×100 pixel 이상의 해상도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 개 이상의 선분이 직선을 가졌는데 나머지 선분이 직선이 아닌 경우에도, 아날로그 바이너리 코드라고 판단할 수 있을 것이다.
도 4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아날로그 바이너리 코드를 컴퓨터가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한 결과 값인 0과 1로 도시한 도면이다.
각 특징지역을 주목할만한 특징이 보인다. 이 특징 지역이 상기 아날로그 바이너리 코드를 일반 사각형과 같은 바이너리 코드가 아닌 도형과 구분되어지는 특징지역이라 할 수 있다.
우선 본 발명에서 주로 다루고 있는 3×3 바이너리 코드에서 좌상단의 칸을 Cell 1.1, 중상단의 칸을 Cell 1.2, 우상단의 칸을 Cell 1.3, 좌중단의 칸을 Cell 2.1, 중중단의 칸을 Cell 2.2, 우중단의 칸을 Cell 2.3, 좌하단의 칸을 Cell 3.1, 중하단의 칸을 Cell 3.2, 우하단의 칸을 Cell 3.3 이라 명한다. 도 46에서는 최외각 테두리(선분 L1, 선분 L2, 선분 L3, 선분 L4)를 제외한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그려질 수 있는 내부 선분 (L5, L6, L7, L8)들이 다양하게 도시되어 있다. 이를 보면, 최외각 테두리가 존재하지 않더라도 도 46-a는 내부 선분들에 의해 9개의 셀들의 위치를 구분할 수 있다. 그런데 도 46-a 뿐만이 아니라, 도 46-b, 도 46-c, 도 46-d, 심지어 도 46-e 도 몇 가지 조건을 감안하면 대략적으로 어디에 각 Cell이 존재할지 알 수 있다. 그 중 하나의 조건은 각 Cell의 내부에 음영이 있을 경우이다. 도 47을 보자.
도 4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아날로그 바이너리 코드를 컴퓨터가 아날로그 바이너리 코드로 인식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아날로그 바이너리 코드의 완성도가 극히 낮은 경우에도 아날로그 바이너리 코드를 인식할 수 있는 특징과 상황을 도시한 도면이다.
즉, 극한의 상황에서 음영이 추가될 경우, 이 음영들을 근거로 아날로그 바이너리 코드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하여 신뢰도를 높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48은 도 47보다도 더 극한의 상황에서도 아날로그 바이너리 코드의 모양을 추론하여, 본 발명에 의한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하는 단말기 또는 서버에서 바이너리코드로 인식하는 과정의 예시를 도시하고 있다. 도 4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분 L4와 함께 음영 하나가 존재한다면, 해당 음영의 폭을 통해 해당 바이너리 코드의 대략적인 Cell의 크기를 추산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도 48-b에서 처럼 가상의 L1, L2, L3, L5, L6, L7, L8 을 그려 내어 도 48-c처럼 아날로그 바이너리 코드 대략적으로 추상화시키거나 바로 도 48-d 처럼 디지털 바이너리 코드로 인식하게 할 수 있다.
도 49에서는 3×3 바이너리 코드의 틀을 이루는 선분을 단 한개도 도시하지 않고 그저 4개의 음영을 그린 것만으로 아날로그 바이너리 코드로 근사화하거나, 디지털 코드로 인식하는 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와 같은 경우는 각각의 음영이 특수한 위치에 있을 때만 인식할 수 있는 특별한 경우에 해당한다. 예를들어 음영 한개만 그려놓은 경우 그 음영이 3×3 바이너리 코드의 어디에 존재하는 것인지 전혀 알 수 가 없다. 그러나 도 49-a와 같은 특별한 경우에는 이를 충분히 인지할 수 있다. 음영이 Cell 1.1, Cell 2.2, Cell 3.3에 있는 경우도 도 49-a와 같이 음영만으로 바이너리 코드를 인식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도 49-d와 같이 3×3 바이너리 코드를 사각형이 아닌, 동그라미들로 구성해서 표현하더라도 상기에서 설명한 방법들을 적용하면, 그다지 어렵지 않게 인식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5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아날로그 바이너리 코드를 도시하기 위해 그리는 3×3 사각형 그림에서 각 선분을 정의하기 위해 각 선분과 연관된 선분을 이용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형의 닮음을 이용하여 대략적으로 아날로그 코드임을 인지하는 방법이다.
예를들어 Cell 1.1은 선분 L1과 L4의 일부와 선분 L8, L5’로 사각형과 유사한 도형의 일부를 만들어 낼 수 있다. 우선 Cell 1.1을 이루는 선분들 중 두 개의 선분을 이용해서 닮음을 찾는다. 아날로그 바이너리 코드를 실제로 그려보면 바이너리 코드안에서 닮음 도형들이 생기는 이유를 쉽게 알 수 있다.
일반적으로 3×3 사각형 바이너리 코드는 4개의 선분(L1, L2, L3, L4)이 구역을 구획하고 그 구역을 다시 4개의 선분(L5, L6, L7, L8)이 9개의 구역으로 구획하기 때문에 사각형과 유사한 도형을 찾은 뒤, 그 도형을 이루는 선분의 연장을 따라 대략적으로 닮음 도형을 찾을 수 있다. 즉 Cell 1.1(L1과 L4, L8’, L5’)을 찾으면 그 셀의 가로, 세로 길이를 통해 대략적으로 Cell 1l1과 Cell1.2, Cell 2.1, Cell 2.2를 이루는 ( L1과 L4, L6’,L7’)을 찾을 수 있고, 이후 바이너리 전체를 포괄하는 (L1과 L4, L2,L3)의 외각 선분들을 찾을 수 있는데, 이처럼 닮은 도형들을 통해 단말기와 서버는 이를 아날로그 바이너리 코드로 인지할 수 있는 것이다. 나머지 셀 Cell 1.2 에 대해서도 유사한 과정을 거쳐 추가적인 검증이 가능하다. 모든 셀에 대해 이 과정을 거친다면, 아날로그 바이너리 코드를 메모지에서 검출해낼 확률을 상당히 높힐 수 있을 것이다.
도 5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아날로그 바이너리 코드를 도시할 때 각 셀에 사용자가 채워넣는 음영들의 특징을 도시한 도면이다.
사용자가 실제 사용하다보면, 바이너리코드를 만들때 음영을 모두 채는 것은 비효율적이다. 갈 지(之)자 모양의 곡선으로 대략적으로 채우도록 하는 것은 여러모로 효율적이다. 이와 같은 사실을 통해 사용자의 표식이 음영을 의미한다는 것을 단말기 또는 서버가 이해하도록 시스템을 설계하는 것은 매우 바람직하다.
도 5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아날로그 바이너리 코드의 각 셀에 사용자가 다양한 음영들로 채운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아날로그 바이너리 코드의 각 셀에 사용자가 채워넣는 음영을 회전하여 셀을 채우는 방법을 통해 상기 아날로그 바이너리 코드를 디지털 바이너리 코드로 근사해가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아날로그 바이너리 코드의 각 셀에 사용자가 채워넣는 음영의 선분을 두껍게 만들고 3×3 공간을 구획하는 선분을 넘어가는 선분의 이미지를 상기 구획하는 선분으로 재단하는 방법을 통해 상기 아날로그 바이너리 코드를 디지털 바이너리 코드로 근사해가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아날로그 바이너리 코드의 각 셀에 사용자가 채워넣는 음영과 그 음영을 회전하여 얻을 수 있는 결과를 도시한 도면이다.
셀안의 음영이 해당 영역의 음영으로 만들어진 것인지 구분을 해야한다. 좌, 우, 상, 하의 셀의 음영이 침범한 것인지 아닌지 판단이 필요하다.회전을 적용할 경우 상기 음영의 중심이 어떤 셀이 있느냐가 중요한 단서로 활용될 수 있다.
*도 5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아날로그 바이너리 코드의 Cell에 사용자가 채워넣는 음영의 선분을 두껍게 만드는 방법을 통해 얻을 수 있는 결과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6-a에 도시된 바이너리 코드는 음영의 위치가 Cell 1.2인지 Cell 1.3인지 결정하기 쉽지 않은 상태인데, 이 상태에서 선분의 두께를 크게 가공할 경우(도 56-b) 음영이 Cell 1.2의 영역으로 조금 더 치우쳐진 것으로 판단할 수 있게 해 준다. 물론, 이러한 점은 단순히 시각적으로 판단할 것이 아니라 음영이 갈지자로 칠해진 그 상태 자체로 디지털 변환(도 45참고)하여 어느 Cell에 1이 더 많은지, 또한 각 Cell의 전체 크기 대비(각 Cell을 차지하고 있는 0과 1의 개수의 합) 음영(1)이 차지하고 있는 비율, 그리고 선분의 두께를 두껍게 가공한 상태에서 디지털 변환하여 어느 Cell에 1이 더 많은지, 또한 각 Cell의 전체 크기 대비(각 Cell을 차지하고 있는 0과 1의 개수 합) 음영(1)이 차지하고 있는 비율, 그리고 상기의 디지털 변환을 도 55에도 적용하여, 종합적인 결과를 도출하는 방법을 통해 최대한 사용자의 의지를 읽을 수 있는 시스템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즉, 손으로 직접 그린 3×3 아날로그 바이너리 코드에 있어서, 어떤 경우에는 9개 중 가장 작은 Cell 영역의 바로 곁에 가장 큰 Cell 영역이 존재할 때 전체 수기 음영의 70%가 큰셀의 60%를 차지하고 있고 나머지 수기 음영의 30%는 작은 셀의 70%를 차지하고 있다면, 실제적인 영역은 큰 Cell이 더 많이 갖고 있으나 단순히 개별 Cell에서 음영이 차지하고 있는 비율만 보자면 작은 셀이 상기 음영을 갖는 것으로 오판할 경우도 고려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도 5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아날로그 바이너리 코드를 도시하기 위해 그리는 3×3각형 그림에서 각 선분을 이용하여 특징점을 만들고 그 특징점을 통해 폐쇄된 아날로그 바이너리 코드를 만들어 상기 아날로그 바이너리 코드를 디지털 바이너리 코드로 근사해 가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예를들어 도 57-a와 같은 아날로그 바이너리 코드가 있다면, 선분 L1 ~ 선분 L8까지의 선분을 이용해서 각각의 선분을 좌우,상하 직선 방향으로 확장(도 57-b)하고 최외각 선분의 교차점(도 57-c의 P1, P2, P3, P4)위치에서 교차점을 초과 선분들을 제거(도 57-d)하여 아날로그 바이너리 코드이지만, 3×3 사각형 내에서 모든 Cell이 폐쇄되도록 틀을 만들고 9개의 셀이 차지하는 넓이를 계산하고, 각 영역의 넓이를 계산, 최외각 선분은 고정시키고 내부의 선분들을 적절이 이동하여 각 영역의 넓이를 평균화하여 서로 비슷한 크기를 가지도록 형태를 변화시킨 후 디지털 코드로 인식할 수 있게 한다.
도 5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아날로그 바이너리 코드의 특징 중 각 셀을 구획하는 8개의 선분의 두께와 각 셀에 그려지는 곡선의 두께와 색상이 동일함을 도시한 도면이다.
단말기가 아날로그 바이너리 코드를 촬영할 때 이를 아날로그 바이너리 코드로 인식하기 위한 방법중 하나로 아날로그 바이너리 코드에서 각 셀을 구획하는 8개의 선분의 두께와 각 셀에 그려지는 곡선의 두께를 비교하면 이 이미지가 아날로그 바이너리 코드인지 아닌지 판단할 수 있게 된다.
사용자가 실제 사용하다보면, 수기 필기된 내용과 바이너리 코드의 선분의 선 두께 혹은 바이너리 코드의 틀을 이루는 선분의 선 두께와 바이너리 코드내 음영 표시된 곡선의 선두께, 또는 수기 필기된 내용과 바이너리 코드의 틀을 이루는 선분의 선 두께, 바이너리 코드내 음영 표시된 곡선의 선두께가 거의 일치하는 - 필압에 따라 약간씩 차이는 존재하겠지만, 필압에 따른 차이(이는 경험칙으로 얻어낼 수 있는 값)는 무시하도록 한다- 경우 의도적으로 삽입된 아날로그 바이너리 코드로 이해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추가적으로 글씨의 색상과 바이너리코드를 구획하는 선분의 색상, 바이너리 코드를 이루는 셀들에 채워진 음영을 이루는 곡선의 색상의 동일 여부를 추가적 판단의 기준으로 삼아도 좋다. 다만, 음영을 그려 넣을 수 있는 M×N의 사각형 틀이 인쇄되어 제공된 경우 이를 인지할 수 있는 조건들을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 앞서 서술한 조건들을 적절히 조합하면, 이 또한 그리 어려운 일은 아닐 것이다.
도 5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아날로그 바이너리 코드를 인식하는 효율을 높이기 위해 수직방향의 가이드 선을 단말기의 화면에 나타낸 상태 및 이를 사용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서는 단말기의 화면에 가이드 선(512)이 주어진다. 가이드 선(512)은 화면의 상하를 가로지르는 하나 이상의 선분으로 주어질 수도 있고, 좌우로 하나 이상이 주어질 수도 있으며, 좌우상하로 하나 이상이 주어질 수도 있으며, 하나 이상의 사각형으로 주어질 수도 있다.
도 6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아날로그 바이너리 코드를 인식하는 효율을 높이기 위해 가로방향의 가이드 선(516)을 단말기의 화면에 나타낸 상태 및 이를 사용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아날로그 바이너리 코드를 인식하는 효율을 높이기 위해 직교하는 가이드 선(518)을 단말기의 화면에 나타낸 상태 및 이를 사용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아날로그 바이너리 코드를 인식하는 효율을 높이기 위해 복수의 사각형의 가이드 선을 단말기의 화면에 나타낸 상태 및 이를 사용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추가적으로 사용자가 아날로그 바이너리 코드의 위치를 선택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사용자 선택시의 UI는 사용자가 화면을 첫 번째 터치시 그 시작을 두 번째 터치시 바이너리 코드 영역의 끝을 선택하도록 할 수도 있고 화면을 터치하면 그 영역을 위주로 바이너리 코드를 탐색하도록 할 수도 있고 화면을 터치하고 있으면 하이라이트 또는 선택 영역이 점점 넓어지면서 바이너리 코드 영역을 모두 포함하면 사용자가 화면에서 손을 떼도록 하는 다양한 방식을 취할 수 있다.
사용자의 아날로그 바이너리 코드 선택 방법은 촬영/스캔 전에 화면을 터치하여 하는 일련의 작업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사용자의 또 다른 선택 방법은 촬영/스캔 이후에 화면을 터치하여 아날로그 바이너리 코드 영역을 선택하는 일련의 작업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 6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아날로그 바이너리 코드를 인식하는 효율을 높이기 위해 직교하는 선분(ㄱ모양)이 복수개로 이루어진 가이드 선(522)을 단말기의 화면에 나타낸 상태 및 이를 사용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아날로그 바이너리 코드를 인식하는 효율을 높이기 위해 아날로그 바이너리 코드 옆에 가이드 표식(530)을 함께 표시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아날로그 바이너리 코드를 그릴때 가이드선을 함께 그려넣음으로써 단말기가 촬영/스캔한 방향에 관계없이 아날로그 바이너리 코드의 올바른 방향을 인식하여 자동으로 촬영/스캔된 데이터/아날로그 바이너리 코드의 방향을 수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가이드 선은 한개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가이드 선은 점이나 원(532, 534과 같은 더 단순한 오브젝트로 대체 될 수도 있다. 상기 가이드 선은 아날로그 가이드 선이라고 할 수 있는데, 상기 아날로그 가이드 선은 사용자 단말기 화면상에 표시되는 디지털 가이드 선과 함께 사용될 경우 인식효율, 신뢰도 등에 있어서 더 큰 시너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6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아날로그 바이너리 코드를 인식하는 효율을 높이기 위해 아날로그 바이너리 코드 옆에 가이드 표식(530)을 함께 표시한 상태에서, 아날로그 바이너리 코드의 인식효율을 더 높이기 위해 단말기의 화면에도 가이드 선을 나타낸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아날로그 바이너리 코드를 인식하는 효율을 높이기 위해 아날로그 바이너리 코드 옆에 가이드 표식(530)을 함께 표시한 상태에서, 아날로그 바이너리 코드의 인식효율을 더 높이기 위해 단말기의 화면의 한변을 가이드 선으로 활용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가이드 선에 맞춰 촬영한 아날로그 바이너리 코드 및 데이터가 단말기의 화면의 한 변을 기준으로 회전하여 원래 사용자가 의도한 방향으로 이미지가 회전하는 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도 있다. 상기에 언급된 방법을 복수 개 중복해서 사용함으로써 수기 바이너리 코드의 인식률을 높일 수 있다.
도 6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아날로그 바이너리 코드를 인식하는 사용자의 행위를 반영하여 사용자가 소유한 바이너리 코드에 의해 데이터를 업로드/포스팅 할 것인지 다운로드/뷰잉할 것인지 판단하기 위한 단서가 되는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7-a와 같이 종이(540)에 어떤 내용(회의 내용일 수도 있고, 수학 문제 풀이일 수도 있고, 종이 자체가 설명서 종이 일수 도 있다)이 있고 거기에 아날로그 바이너리 코드가 존재한다. 이때 사용자가 스마트폰과 같은 단말기를 이용해 도 67-b와 같이 촬영/스캔하였다면, 촬영/스캔 된 데이터 상에서 아날로그 바이너리 코드가 차지하는 비율이 상대적으로 작은 것을 쉽게 눈치챌 수 있다(물론 이것은 도 67-c와 비교할 때이다). 또한, 아날로그 바이너리 코드가 단말기 화면의 중심으로부터 벗어나 있기 때문에 현재 촬영/스캔 된 데이터는, 함께 촬영/스캔된 아날로그 바이너리 코드에 사전 설정된 경로를 따라, 클라우드 서비스의 어느 폴더(예를들어 구글 드라이브의 어느 폴더)에 상기의 촬영/스캔 된 데이터를 업로드 한다.
만약 이때 사용자가 스마트폰과 같은 단말기를 이용해 도 67-c와 같이 촬영/스캔하였다면, 즉 아날로그 바이너리 코드(538)을 촬영한 것으로 판단(촬영/스캔의 중심이 아날로그 바이너리 코드의 중심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고 촬영/스캔된 데이터에서 아날로그 바이너리 코드가 차지하는 비율이 상대적으로 큰 경우엔 촬영/스캔된 아날로그 바이너리 코드에 사전 설정된 경로를 따라, 클라우드 서비스의 어느 폴더(예를들어 구글 드라이브의 어느 폴더)에 있는 어떤 데이터를 다운로드(폴더일 경우 폴더를 오픈) 한다.
즉, 본 발명에 의한 단말기 또는 서버를 위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본 발명에 의한 아날로그 바이너리 코드를 촬영/스캔할 시 사용자의 행위를 반영하여 아날로그 바이너리 코드를 이용해 데이터를 업로드/포스팅 할 것인지 다운로드/뷰잉할 것인지 판단할 수 있다.
도 68은 도 67에 사용자의 개인식별코드를 추가한 도면이다. 이때도 업로드/포스팅 혹은 다운로드/뷰잉의 기능은 도 67과 흡사하게 작동하다. 여기서 사용자A(540)는 제3의 사용자를 의미하는데, 하나의 아날로그 코드로 업로드/포스팅 혹은 다운로드/뷰잉이 가능해짐에 따라 사용자 간에 데이터의 공유가 활발히 이루어질 경우 매우 유용한 수단이 될 것이다.
도 6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아날로그 바이너리 코드를 인식하는 사용자의 행위를 반영하여 사용자가 소유한 바이너리 코드에 의해 데이터를 업로드/포스팅 할 것인지 다운로드/뷰잉할 것인지 판단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7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아날로그 바이너리 코드를 인식하는 사용자의 행위를 반영하여 사용자가 소유한 바이너리 코드에 의해 데이터를 업로드/포스팅 할 것인지 다운로드/뷰잉할 것인지 판단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7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아날로그 바이너리 코드를 인식한 단말기가 상기 아날로그 바이너리 코드의 방향을 사용자에게 선택하도록 요청하는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아날로그 바이너리 코드를 사용하는 또 다른 방법으로서, 복수의 바이너리 코드를 함께 사용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아날로그 바이너리 코드를 설정하는 또 다른 방법으로서, 함께 자주 사용되는 바이너리 코드들을 하나의 셀에 묶을 수 있음을 도시한 도면이다.
하나의 셀이나 하나의 바이너리 코드로 묶는 설정이 가능하다. 매우 편리하게 자주 사용하는 바이너리 코드들과 자주 사용하지 않는 바이너리 코드들을 정리할 수 있다. 기 사용중인 바이너리 코드를 하나의 Cell(하나의 셀을 스위치라 표현해도 좋을 것 같다)/하나의 바이너리 코드에 종속시킬 수 있다. 또한 자주 사용하는 태그들을 하나의 즐겨찾기 모음집처럼 모음 수 있다. 만약 이처럼 Cell에 종속시키는 경우는 Cell 하나하나가 매우 빈도 높게 사용될 것이다. 바이너리 코드에 종속시키는 경우는 바이너리 코드를 다른 바이너리코드들의 폴더로 사용하는 것과 같을 것이다.
결국 셀 하나도 바이너리코드이므로, 대문에 사용하는 바이너리 코드중 개별셀 하나씩만 사용하는 바이너리코드 9개는 사용자가 매우 빈번하게 쓸 조합으로 할 수도 있다.
도 7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아날로그 바이너리 코드를 사용하는 또 다른 방법으로서, 복수의 바이너리 코드를 함께 사용하는데 순서, 즉 상위 바이너리코드, 하위 바이너리 코드로 구분하여 사용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바이너리 코드가 스마트 워치에 적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의한 바이너리 코드는 아마, 웨어러블 기기들에본 발명을 응용하면 매우 효용도가 높을 것이다.
도 76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써 차량을 주차시 남겨놓는 메모에 본 발명에 의한 아날로그 바이너리 코드를 적용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자동차 주차시 휴대폰 연락처는 민감한 개인정보임에도 불구하고 어쩔 수 없이 노출할 수 밖에 없다.QR코드를 사용하는 사람들이 드물다. 그 이유는 즉각적으로 만들어 사용하기가 불편하기 때문이다.
아날로그 바이너리 코드를 이용할 경우 손으로 사용자의 ID와 사용자가 정의한 아날로그 바이너리 코드를 종이에 그려서 전화번호 대신 놓기만 하면 된다. 사용자의 사전 설정에 의해 다른 사용자가 해당 아날로그 바이너리 코드를 촬영/스캔시자동으로 사용자의 전화로 연결된다. 이때 사용자의 사전 설정에 따라 일방, 혹은 상호간 전화번호를 다른 문자로 대체 한다거나 없애거나, 다른 일회용 번호 등으로 대체할 수도 있다.
또는 무방비로 노출을 피하기 위한 수단으로써, 아날로그 바이너리 코드를 촬영/스캔시 촬영/스캔한 단말기의 고유번호를 서버에 기록하는 수단으로써의 기능을 제공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일부분은 알고리즘 프로세스 또는 동작의 관점에서 실시예를 설명하였다. 이러한 알고리즘적 기술 및 표현은 데이터 처리를 행하는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그들의 작업의 주제를 가장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수단이다. 기능적으로 또는 논리적으로 기술되었지만, 이러한 동작은 프로세서, 등가 전자회로 또는 마이크로 코드 등을 실행하기 위한 명령으로 구성된 컴퓨터 프로그램에 의해 구현되도록 이해될 수 있다. 더욱이, 모듈로서 또는 기능적인 이름에 의해 동작의 이러한 배열을 언급하는 것은 일반적으로 종종 편리하다고 언급되어 왔다. 상기 설명된 동작 및 그것의 관련된 모듈은 소프트웨어, 펌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 가운데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 또는 실시예에 대한 임의의 참조는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된 구성요소, 특성, 구조, 또는 특징이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포함됨을 의미한다. 상세한 설명의 여러 부분에서의 구문일 실시예에서의 표현은 동일한 실시예를 모두 나타내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서 둘 이상의 구성요소가 서로 직접 접촉하지 않지만, 서로 함께 동작하거나 상호작용을 할 수도 있다. 실시예들은 이 문맥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포함하다", "포함하는", "가진다", "갖는" 또는 이들의 임의의 파생어는 비독점적인 포함을 커버하도록 의도된다. 예를 들어, 구성요소 리스트를 포함하는 프로세스, 방법, 물건, 또는 장치는 이들 구성요소에 반드시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이러한 프로세스, 방법, 물건, 또는 장치에 내재하거나 명백하게 리스트되지 않은 다른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또는" 에 대해 명백히 반대되도록 언급되지 않는 한, "또는"는 포함적인 또는을 의미하며 배타적인 또는을 의미하지 않는다. 또한, 조건 A 또는 B는, A 는 진실 (또는 현실)이며 B는 거짓 (또는 비현실), A는 거짓 (또는 비현실)이며 B는 진실 (또는 현실), 및 A와 B 모두 진실 (또는 현실) 중 임의의 하나에 의해 만족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실시예의 구성요소 및 컴포넌트는 특정하게 불리어 시스템을 설명하도록 사용된다. 이는 단지 편리함을 위한 것이며 설명의 일반성을 제공한다. 이 설명은 하나 또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으로 판독되어야 하며, 단일한 구성요소로써 명백히 그렇지 않음을 의미하지 않는 이상 복수를 포함한다.
*이 명세서를 읽는 경우, 당업자는 아날로그 바이너리 코드와 디지털 바이너리 코드를 이용한 온오프라인 통합 데이터 저장, 관리, 공유 과정 및 방법과 그 시스템의 기본적인 설계를 이해할 것이다. 그 결과 특정 실시예 및 애플리케이션이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상세한 구조 및 컴포넌트에 제한되지 않으며, 당업자에게 명백할 다양한 수정물, 변경물, 및 변형물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서 규정된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방법 및 장치 배열, 동작, 및 세부사항에서 이루어질 수도 있다.
100 단말기
200 네트워그
300 서버

Claims (4)

  1. 삭제
  2. 바이너리 코드에 대한 사전 정의가 가능한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며,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에서 상기 바이너리 코드를 습득할 수 있는 단말기가 네트워크 및 서버와 연결되어 상기 바이너리 코드에 대한 사용자의 사전 설정이 가능한 데이터 통합·관리·공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바이너리코드는 선분 A, B, C, D 4개의 선분만으로 구역을 구분하는 특성을 가지며,

    상기 4개의 선분으로 나뉘어지는 구역을 형성함에 있어서

    상기 선분 A, B, C, D는 각각 다른 선분과 교차되거나 교차되지 않을 수 있으나,
    상기 선분 A, B, C, D를 각각 선분의 길이 방향으로 동시에 가상으로 연장할 경우,

    상기 선분 A와 D는 상기 선분 B, C와 교차되고,
    상기 선분 A와 상기 선분 D가 평행이 아닐 때 상기 선분 A와 상기 선분 D를 각각 길이 방향으로 계속 연장하면 상기 선분 A와 상기 선분 D가 언젠가 교차되어지는 특성을 가지며,

    상기 선분 B와 C는 상기 선분 A, D와 교차되고,
    상기 선분 B와 상기 선분 C가 평행이 아닐 때 상기 선분 B와 상기 선분 C를 각각 길이 방향으로 계속 연장하면 상기 선분 B와 상기 선분 C가 언젠가 교차되어지는 특성을 가지며,

    상기 선분 A, B, C, D가 교차 또는 가상으로 교차되어짐으로써,
    상기 선분 A, B, C, D로 구분된 구역이 생성되어지고, 상기의 4개의 선분에 의해 구분되어지는 각 영역에 최소 0개, 최대 9개의 음영을 넣을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너리 코드를 이용한 온라인 및 오프라인 데이터 통합, 관리, 공유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선분 A, B의 상기 교차는 서로 수직하고, 상기 선분 A, C의 상기 교차는 서로 수직하고,상기 선분 B, D의 상기 교차는 서로 수직하고, 상기 선분 C, D의 상기 교차가 서로 수직함으로써, 상기 선분 A, D가 서로 평행하고, 상기 선분 B, C도 서로 평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너리 코드를 이용한 온라인 및 오프라인 데이터 통합, 관리, 공유 시스템.
  4. 삭제
KR1020210055319A 2017-07-10 2021-04-28 바이너리 코드를 이용한 온라인-오프라인 데이터 통합·관리·공유 방법 및 시스템 KR1025594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5319A KR102559401B1 (ko) 2017-07-10 2021-04-28 바이너리 코드를 이용한 온라인-오프라인 데이터 통합·관리·공유 방법 및 시스템
KR1020230094499A KR20230113713A (ko) 2017-07-10 2023-07-20 바이너리 코드를 이용한 온라인-오프라인 데이터 통합·관리·공유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7347A KR102427357B1 (ko) 2016-06-21 2017-07-10 바이너리 코드를 이용한 온라인-오프라인 데이터 통합·관리·공유 방법 및 시스템
KR1020210055319A KR102559401B1 (ko) 2017-07-10 2021-04-28 바이너리 코드를 이용한 온라인-오프라인 데이터 통합·관리·공유 방법 및 시스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7347A Division KR102427357B1 (ko) 2016-06-21 2017-07-10 바이너리 코드를 이용한 온라인-오프라인 데이터 통합·관리·공유 방법 및 시스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94499A Division KR20230113713A (ko) 2017-07-10 2023-07-20 바이너리 코드를 이용한 온라인-오프라인 데이터 통합·관리·공유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9603A KR20210069603A (ko) 2021-06-11
KR102559401B1 true KR102559401B1 (ko) 2023-07-24

Family

ID=60939372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5319A KR102559401B1 (ko) 2017-07-10 2021-04-28 바이너리 코드를 이용한 온라인-오프라인 데이터 통합·관리·공유 방법 및 시스템
KR1020220092835A KR20220110694A (ko) 2017-07-10 2022-07-27 바이너리 코드를 이용한 온라인-오프라인 데이터 통합·관리·공유 방법 및 시스템
KR1020220092834A KR20220127180A (ko) 2017-07-10 2022-07-27 바이너리 코드를 이용한 온라인-오프라인 데이터 통합·관리·공유 방법 및 시스템
KR1020230094499A KR20230113713A (ko) 2017-07-10 2023-07-20 바이너리 코드를 이용한 온라인-오프라인 데이터 통합·관리·공유 방법 및 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After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2835A KR20220110694A (ko) 2017-07-10 2022-07-27 바이너리 코드를 이용한 온라인-오프라인 데이터 통합·관리·공유 방법 및 시스템
KR1020220092834A KR20220127180A (ko) 2017-07-10 2022-07-27 바이너리 코드를 이용한 온라인-오프라인 데이터 통합·관리·공유 방법 및 시스템
KR1020230094499A KR20230113713A (ko) 2017-07-10 2023-07-20 바이너리 코드를 이용한 온라인-오프라인 데이터 통합·관리·공유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4) KR10255940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22609A (ja) * 2003-10-20 2005-05-12 Mitsubishi Electric Corp 撮像物認識装置
US20140002403A1 (en) * 2010-06-19 2014-01-0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System, and Program Product for No-Look Digit Entry in a Multi-Touch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119600A1 (en) 2011-11-15 2013-05-16 Foxlink Image Technology Co., Ltd. Paper feeding mechanism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22609A (ja) * 2003-10-20 2005-05-12 Mitsubishi Electric Corp 撮像物認識装置
US20140002403A1 (en) * 2010-06-19 2014-01-0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System, and Program Product for No-Look Digit Entry in a Multi-Touch Device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beSUCCESS. ‘비코드’, "바이너리 코드가 일상을 기록하고, 정보를 공유하는 새로운 소통 방법 될 것". 2016.05.03.*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3713A (ko) 2023-08-01
KR20220110694A (ko) 2022-08-09
KR20210069603A (ko) 2021-06-11
KR20220127180A (ko) 2022-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80321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 scalable, collaborative, real-time, graphical life-management interface
US9652704B2 (en) Method of providing content transmission service by using printed matter
US10007411B2 (en) Electronic device and display method thereof
US9336435B1 (en)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performing processing based on object recognition
KR102001218B1 (ko) 객체와 관련된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디바이스
CN103593110A (zh) 一种电子名片快速分享的方法
US20150040035A1 (en) Social Network Interaction
CN104081438A (zh) 姓名气泡处理
CN110168592A (zh) 分析数据以确定上传帐户
WO2016023378A1 (zh) 联系人信息的存储方法及装置
US9330301B1 (en)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performing processing based on object recognition
KR102559401B1 (ko) 바이너리 코드를 이용한 온라인-오프라인 데이터 통합·관리·공유 방법 및 시스템
KR102427357B1 (ko) 바이너리 코드를 이용한 온라인-오프라인 데이터 통합·관리·공유 방법 및 시스템
US20180033175A1 (en) Image display device and image display system
KR102471785B1 (ko) 온라인/오프라인 데이터 통합·관리·공유·인증 방법 및 시스템
KR20210053838A (ko) 바이너리 코드를 이용한 온라인-오프라인 데이터 통합·관리·공유 방법 및 시스템
KR101812939B1 (ko) 바이너리 코드를 이용한 온라인-오프라인 데이터 통합·관리·공유 방법 및 시스템
KR20180099594A (ko) 바이너리 코드를 이용한 온라인-오프라인 데이터 통합·관리·공유 방법 및 시스템
KR20180016326A (ko) 바이너리 코드를 이용한 온라인-오프라인 데이터 통합·관리·공유 방법 및 시스템
US10217015B2 (en) Physical and digital bookmark syncing
KR20180025297A (ko) 온라인/오프라인 데이터 통합·관리·공유·인증 방법 및 시스템
KR20230052843A (ko) 온라인/오프라인 데이터 통합·관리·공유·인증 방법 및 시스템
KR101458155B1 (ko) 편집 문서 생성 장치 및 방법
KR101418988B1 (ko) 파일 사용을 제한하는 방법, 사용자 단말기 및 기록 매체
KR20130026601A (ko) 명함 관리 서버를 이용한 명함 인식 및 저장 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