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8840B1 - 골프장 조명 자동 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골프장 조명 자동 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8840B1
KR102558840B1 KR1020220159083A KR20220159083A KR102558840B1 KR 102558840 B1 KR102558840 B1 KR 102558840B1 KR 1020220159083 A KR1020220159083 A KR 1020220159083A KR 20220159083 A KR20220159083 A KR 20220159083A KR 102558840 B1 KR102558840 B1 KR 1025588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ing
course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590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승진
신승철
Original Assignee
(주)화신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화신코리아 filed Critical (주)화신코리아
Priority to KR10202201590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884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88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884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7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remote control
    • H05B47/19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remote control via wireless transmiss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8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0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 H05B47/11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by determining the brightness or colour temperature of ambient ligh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3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F21W2121/00
    • F21W2131/10Outdoor light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골프 카트의 위치 정보와 코스에 설치된 조도 센서의 조도 정보를 기반으로 조명을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에너지 절약이 될 수 있도록 하는 골프장 전용의 자동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위성 신호를 수신하여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GPS 수신기와 생성된 위치 정보를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제1 통신부가 구비되는 골프 카트, 조도를 측정하여 조도 정보를 생성하는 조도 센서와 생성된 조도 정보를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제2 통신부가 구비된 상태로 각 코스의 티잉 그라운드부터 그린까지 서로 상당거리 이격되게 하나씩 설치되는 다수의 조도 센서부, 위치 정보와 조도 정보를 수신하여 골프 카트의 위치에 따른 온오프 제어 목적의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골프 카트의 위치와 조명의 작동 상태에 관한 실시간의 현황 정보를 생성하며, 생성된 제어 신호를 특정의 조명등 제어부로 전송하고, 현황 정보를 표시부로 전송하는 관리 서버, 각 코스의 조명탑에 하나씩 설치되거나 배전반에 설치된 상태로 관리 서버의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조명등의 출력을 제어하는 하나 이상의 조명 제어부 및, 관리 서버의 현황 정보를 수신하여 화면에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골프장 조명 자동 제어 시스템{Golf course lighting automatic control system}
본 발명은 골프장의 야간 운영을 위한 목적으로 설치되어 있는 조명등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골프 카트의 위치 정보와 코스에 설치된 조도 센서의 조도 정보를 기반으로 조명을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에너지 절약이 될 수 있도록 하는 골프장 전용의 자동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야외의 골프장에는 다수의 조명탑이 적재적소에 설치되어 야간이나 날씨가 좋지 않은 상황에서도 사용자들이 시야에 큰 불편없이 라운딩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다만, 골프장의 규모상 원활한 라운딩을 위해 설치되어야 하는 조명탑의 수가 많고, 각 조명탑에서의 소비 전력이 크게 발생하기 때문에 불필요한 전력의 낭비가 골프장을 대상으로 하는 비난의 원인이 되어 왔으며, 사측의 입장에서도 야간 조명의 가동으로 인한 상당한 비용의 발생이 부담이 되어 왔다.
그리고 골프장 전체에 걸쳐 넓은 간격으로 설치되어 있는 많은 조명탑을 관리자가 직접 수동으로 제어하여 점등하거나 소등하여야 했기 때문에 관리의 측면에 있어서도 상당한 어려움이 있어 왔다.
따라서, 최근에는 관리자가 각 조명탑의 조명등을 원격으로 제어하여 점등하거나 소등할 수 있도록 하는 조명 제어 시스템이 구축된 바 있으며, 이로 인해 관리자의 부담을 크게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불필요한 전력의 낭비도 대폭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관리자에 의한 수동의 원격 제어 방식으로는 불필요한 전력의 낭비를 완전히 줄일 수는 없는 한계가 발생할 수 밖에 없기 때문에 결국에는 자동 제어 방식으로의 전환이 필요하다 할 수 있으며, 이러한 이유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060130호의 “골프장 조명시스템”이 선도적인 발명으로 제안되어 공개된 바 있다.
즉, 상기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060130호에는 이용자의 위치 변화에 따라 그 이용자의 후방에 위치하게 되는 조명 타워에서 조명하는 밝기를 감소시킴으로써 플레이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며 전력 낭비는 상당하게 줄일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에 관한 발명이 제안되어 공개된 바 있다.
다만, 상기한 선행 발명은 이용자의 위치만을 고려하여 골프장의 조명등을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에너지 절감의 극대화를 위한 최선의 방식이라고는 할 수 없으며, 이 때문에 보다 정밀한 조명 제어 방식으로의 개선이 필요하다 할 수 있다.
따라서, 골프장에 설치된 다수의 조명등을 대상으로 하는 자동 제어 방식을 채택하여 관리자에 의한 조명 관리의 부담을 크게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에너지 절감의 효과를 더욱 크게할 수 있는 개선된 형태의 발명이 요구되는 실정이라 할 수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060130호(2019. 12. 27)
본 발명에 의한 골프장 조명 자동 제어 시스템은,
골프장에 설치된 다수의 조명등을 대상으로 하는 자동 제어 방식을 채택하여 관리자에 의한 조명 관리의 부담을 크게 줄여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한 선행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이용자 위치 기반의 조명 제어 방식을 보다 정밀하게 개선하여 에너지 절감의 효과를 더욱 크게 하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고자,
위성 신호를 수신하여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GPS 수신기와 생성된 위치 정보를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제1 통신부가 구비되는 골프 카트; 조도를 측정하여 조도 정보를 생성하는 조도 센서와 생성된 조도 정보를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제2 통신부가 구비된 상태로 각 코스의 티잉 그라운드부터 그린까지 서로 상당거리 이격되게 하나씩 설치되는 다수의 조도 센서부; 위치 정보와 조도 정보를 수신하여 골프 카트의 위치에 따른 온오프 제어 목적의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골프 카트의 위치와 조명의 작동 상태에 관한 실시간의 현황 정보를 생성하며, 생성된 제어 신호를 특정의 조명등 제어부로 전송하고, 현황 정보를 표시부로 전송하는 관리 서버; 각 코스의 조명탑에 하나씩 설치되거나 배전반에 설치된 상태로 상기 관리 서버의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조명등의 출력을 제어하는 하나 이상의 조명 제어부; 및, 상기 관리 서버의 현황 정보를 수신하여 화면에 표시하는 표시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장 조명 자동 제어 시스템을 제시한다.
이때, 상기 관리 서버는 지정된 시간 또는 기설정된 주기로 기상청의 인터넷 홈페이지에 자동으로 접속하거나 기상청의 오픈 API인 동네예보 정보조회 서비스에 자동으로 접속하고, 해당 지역의 시간대별 날씨와 강수량 그리고 일몰시간을 포함하는 기상 예보 데이터를 선별 수집하여, 조명량 제어 목적의 제어 신호의 생성에 반영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골프장 조명 자동 제어 시스템은,
골프장에 설치된 다수의 조명을 대상으로 하는 자동 제어 방식을 채택하여 관리자의 부담을 크게 줄일 수 있게 되는 효과가 발생하고,
조명의 제어에 있어, 기상 예보 데이터를 수집하여 활용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선행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방식보다 정밀한 제어가 가능하여 에너지 절감의 효과를 더욱 크게 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골프장 조명 자동 제어 시스템의 기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골프 카트의 세부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조도 센서부의 일 실시 형태를 나타낸 세부 구성도.
도 4는 상기 조도 센서부의 다른 실시 형태를 나타낸 세부 구성도.
도 5a 및 도 5b는 골프 카트의 위치에 따른 관리 서버의 대응 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관리 서버에 의한 기상 예보 데이터의 수집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7은 골프 카트의 위치 확인을 위한 표시부의 화면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
본 발명은 골프장의 야간 운영을 위한 목적으로 설치되어 있는 조명등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써,
위성 신호를 수신하여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GPS 수신기(101)와 생성된 위치 정보를 관리 서버(120)로 전송하는 제1 통신부(102)가 구비되는 골프 카트(100); 조도를 측정하여 조도 정보를 생성하는 조도 센서(111)와 생성된 조도 정보를 관리 서버(120)로 전송하는 제2 통신부(112)가 구비된 상태로 각 코스의 티잉 그라운드부터 그린까지 서로 상당거리 이격되게 하나씩 설치되는 다수의 조도 센서부(110); 위치 정보와 조도 정보를 수신하여 골프 카트(100)의 위치에 따른 온오프 제어 목적의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골프 카트(100)의 위치와 조명의 작동 상태에 관한 실시간의 현황 정보를 생성하며, 생성된 제어 신호를 특정의 조명등 제어부로 전송하고, 현황 정보를 표시부(140)로 전송하는 관리 서버(120); 각 코스의 조명탑에 하나씩 설치되거나 배전반에 설치된 상태로 상기 관리 서버(120)의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조명등의 출력을 제어하는 하나 이상의 조명 제어부(130); 및, 상기 관리 서버(120)의 현황 정보를 수신하여 화면에 표시하는 표시부(14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우선, 도 1의 골프 카트(100)는 골퍼의 이동과 클럽의 운송을 목적으로 골프장에서 이용되는 소형의 차량이며,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목적으로 하나 또는 다수가 이용될 수 있다.
다만, 상기 골프 카트(100)가 차량으로의 용도로만 이용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목적으로 하는 위치 정보의 수집에도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골프 카트(100)에는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목적으로 위성 신호를 수신하여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공지의 장치인 GPS 수신기(101)와 생성된 위치 정보를 관리 서버(120)로 전송하는 통신용의 장치인 제1 통신부(102)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골프 카트(100)는 골프 게임의 진행 상황에 따라 플레이어나 캐디의 운전에 의해 카트길을 주행함으로써 탑승자들에게 본연의 목적인 이동과 운송의 편의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골프장 조명의 자동 제어를 목적으로 하여 서로 다른 위치에서의 위치 정보가 실시간으로 생성되도록 할 수 있으며, 생성된 위치 정보가 관리 서버(120)로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통신부(102)가 관리 서버(120)로 위치 정보를 전송하는 방식으로는 저전력으로 장거리 통신이 가능한 공지의 LoRa 통신 방식, 블루투스 통신 방식 또는 LTE 통신 방식 등이 이용될 수 있으며, 위치 정보와 함께 고유의 식별 정보를 전송함으로써 골프 카트(100)에 대한 위치의 확인과 함께 다른 골프 카트(100)와의 구분을 위한 식별이 발생하도록 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제1 통신부(102)가 LoRa 통신 방식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관리 서버(120)와의 직접 통신이 가능하나 블루투스나 LTE 통신 방식 등 다른 통신 방식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통신 범위를 고려하여 카트길이나 조명탑 등의 여러 위치에 중계기를 설치하여야 하는 추가의 부담이 발생하게 될 수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골프 카트(100)에는 현재 코스의 지도 정보, 현재의 위치 정보, 홀까지의 거리 정보 그리고 사용자 입력에 의한 게임 정보(타수, 스코어 등)를 화면에 표시하고, 관리 서버(120)가 전송하는 위치 정보 기반의 지연 정보를 화면에 표시하는 정보 제공부(103)가 구비될 수 있다.
즉, 골프 게임을 진행 중인 플레이어와 플레이어를 보조하는 캐디는 상기 정보 제공부(103)의 화면을 통해 제공되는 여러 정보를 확인하여 참고할 수 있고, 게임 정보의 갱신을 위한 사용자 입력을 실시할 수 있으며, 그 외에도 해당 코스의 공략법과 같은 부가 기능을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정보 제공부(103)의 화면을 통해 지연 정보의 표시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골프 게임의 진행 속도를 좀 더 빠르게 하여 다른 플레이어들의 불편이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도 센서부(110)는 조도를 측정하여 조도 정보를 생성하는 조도 센서(111)와 생성된 조도 정보를 관리 서버(120)로 전송하는 제2 통신부(112)가 구비되는 측정용의 장치이며, 각 코스의 티잉 그라운드부터 그린까지 서로 상당거리 이격되게 하나씩 설치되어 고정된 위치에서의 조도의 측정과 정보의 전송이 발생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조도 센서부(110)는 티잉 그라운드와 그린에 하나씩 설치되고, 페어웨이에는 코스의 길이에 따라 하나 이상이 설치될 수 있으며, 각 위치에서의 조도 측정에 의한 조도 정보를 관리 서버(120)로 전송함으로써 조명의 자동 제어를 위한 제어 신호의 생성에 이용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조도 센서부(110)는 외주면의 전체나 일부가 투명한 재질로 구성되고,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어 조도 센서(111)와 제2 통신부(112)가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원통형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조도 측정에 유리하되 골프공과의 충돌 등 플레이에 방해가 발생하지 않거나 최소화 될 수 있도록 하는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조도 센서부(110)는 되도록 코스의 좌측이나 우측 경계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조도 측정에 불필요한 영향이 발생하지 않도록 그림자가 짙게 발생하는 나무 주변 등을 피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더하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도 센서부(110)는 하부에 승강 장치를 구비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와 연계하여 상기 관리 서버(120)가 전송하는 제어 신호를 기반으로 승강 장치를 제어하는 승강 제어부(113)를 더 구비하는 형태로 구성됨으로써 조명의 점등과 출력 조정이 완료된 이후로는 지중에 매립된 형태가 될 수 있다.
즉, 상기 조도 센서부(110)는 평상시 코스 위로 일정길이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며 필요에 따른 조도 정보의 생성과 전송이 실시될 수 있도록 하되, 조명의 점등과 출력 조정이 완료된 이후로는 상기 관리 서버(120)가 전송하는 승강 목적의 제어 신호에 따라 하강하여 매립된 형태가 될 수 있으며, 조명이 소등된 이후로는 다시 제어 신호에 따라 상승하여 코스 위로 일정길이 돌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통신부(112)가 관리 서버(120)로 조도 정보를 전송하는 방식으로는 저전력으로 장거리 통신이 가능한 공지의 LoRa 통신 방식이 이용될 수 있으나, 반드시 LoRa 통신 방식으로만 구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므로 다른 통신 방식이 이용되어도 무방하다.
즉, 상기 제2 통신부(112)는 블루투스나 LTE 통신 방식 등 다른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관리 서버(120)로 조도 정보를 전송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있어서는 상기 제1 통신부(102)가 전송하는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관리 서버(120)로 전송하는 중계기로의 역활도 할 수 있다.
또한, 도 1의 관리 서버(120)는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목적으로 골프장 내의 관리실과 같은 특정의 장소에 구비되는 서버 장치이다.
즉, 상기 관리 서버(120)는 상기 제1 통신부(102)가 전송하는 위치 정보와 상기 제2 통신부(112)가 전송하는 조도 정보를 수신하여 골프 카트(100)의 위치에 따른 온오프 제어 목적의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골프 카트(100)의 위치와 조명의 작동 상태에 관한 실시간의 현황 정보를 생성한다.
또한, 상기 관리 서버(120)는 상기 제2 통신부(112)가 중계기로 이용되는 경우에 있어서는 제2 통신부(112)가 전송하는 위치 정보와 조도 정보를 수신하여 골프 카트(100)의 위치에 따른 온오프 제어 목적의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골프 카트(100)의 위치와 조명의 작동 상태에 관한 실시간의 현황 정보를 생성한다.
그리고 생성된 제어 신호를 제어가 필요한 전체 또는 특정의 조명 제어부(130)로 전송하여 조명의 제어가 실시될 수 있도록 하고, 생성된 실시간의 현황 정보를 표시부(140)로 전송하여 관리자의 확인을 위한 목적으로 표시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관리 서버(120)가 생성하는 온오프 제어 목적의 제어 신호는 각 코스를 대상으로 하여, 상기 골프 카트(100)의 코스 진입이 확인될 때 해당 코스의 전체 조명탑을 대상으로 하여 생성하는 제1 점등 신호, 골프 카트(100)의 코스 내 이동이나 이탈이 확인될 때 후방의 조명탑을 대상으로 하는 소등 신호 또는 골프 카트(100)의 코스 이탈이 확인될 때 다음 코스의 전체 조명탑을 대상으로 하는 제2 점등 신호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관리 서버(120)는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상기 골프 카트(100)의 코스 진입이 확인될 때에는 해당 코스의 전체 조명탑을 대상으로 하는 제1 점등 신호를 생성한 후 하나 이상의 조명 제어부(130)로 전송함으로써 코스 전체에 대한 조명이 발생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각 조명탑에서의 조명은 최대 출력에 비해 20 내지 30% 낮은 출력으로 발생하도록 구성되어 에너지 절감이 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관리 서버(120)는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상기 골프 카트(100)의 코스 내 이동이 확인될 때에는 골프 게임의 진행 방향 기준, 플레이어 후방의 조명탑을 대상으로 하는 소등 신호를 생성한 후 하나 이상의 조명 제어부(130)로 전송함으로써 골프 게임의 진행 상황에 따른 조명등의 소등이 점차적으로 발생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관리 서버(120)는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상기 골프 카트(100)의 코스 이탈이 확인될 때에는 해당 코스의 전체 조명탑을 대상으로 하는 소등 신호를 생성하고 하나 이상의 조명 제어부(130)로 전송함으로써 코스 전체에 대한 소등이 발생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관리 서버(120)는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상기 골프 카트(100)의 코스 이탈이 확인될 때에는 소등 신호를 생성함과 동시에 다음 코스의 전체 조명탑을 대상으로 하는 제2 점등 신호를 생성한 후 하나 이상의 조명 제어부(130)로 전송함으로써 코스 전체에 대한 조명이 발생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더하여, 상기 관리 서버(120)는 상기 제2 점등 신호를 기반으로 하여 전체 조명탑의 조명 제어가 실시된 상태에서 기설정된 제한 시간 이상 상기 골프 카트(100)의 코스 진입이 미확인되면, 해당 코스의 전체 조명탑을 대상으로 하는 전체 소등 신호를 생성하여 조명 제어부(130)로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관리 서버(120)는 제2 점등 신호가 생성된 상태에서 기설정된 제한 시간 이상 상기 골프 카트(100)의 코스 진입이 미발생하여 제1 점등 신호가 생성되지 않을 때에는 해당 코스의 전체 조명탑을 대상으로 하는 전체 소등 신호를 생성하여 조명 제어부(130)로 전송함으로써 해당 코스의 전체가 소등되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플레이어가 티잉 그라운드에 도착한 상태에서는 코스 전체에 플레이를 위한 조명이 비춰지고 있는 상태가 되도록 하되, 골프 게임의 진행 상황에 따른 소등이 발생하도록 하고, 이용이 완료된 코스 전체의 소등이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상당한 에너지 절감이 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상기 관리 서버(120)는 제1 점등 신호 또는 제2 점등 신호로 구성되는 제어 신호의 생성에 의한 조명의 제어가 실시된 이후로는 상기 제2 통신부(112)가 전송하는 조도 정보를 수신하여 조명량 제어 목적의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제어 신호를 제어가 필요한 전체 또는 특정의 조명 제어부(130)로 전송하여 조명의 출력 조정이 실시될 수 있도록 한다.
즉, 본 발명은 조명탑에서의 조명이 최대 출력에 비해 20 내지 30% 낮은 출력으로 발생하도록 구성될 수 있기 때문에 더 강한 출력의 조명이 필요한 상황에서는 상기 관리 서버(120)에 의한 자동으로의 출력 조정이 실시될 수 있다.
다만, 상기와 같이 조도 정보만을 반영하여 조명의 출력 조정을 실시하는 방식으로는 불필요한 출력 조정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은 조명량 제어 목적의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과정에 있어 해당 지역의 시간대별 날씨와 강수량 그리고 일몰시간을 포함하는 기상 예보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관리 서버(120)는 지정된 시간 또는 기설정된 주기로 기상청의 인터넷 홈페이지에 자동으로 접속하거나 기상청의 오픈 API인 동네예보 정보조회 서비스에 자동으로 접속하고, 해당 지역의 시간대별 날씨와 강수량 그리고 일몰시간을 포함하는 기상 예보 데이터를 선별 수집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관리 서버(120)가 기상 예보 데이터를 선별하여 수집하는 시간 간격은 기상청에서 기상 예보를 갱신하는 주기인 한 시간으로 구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나, 시간 간격의 설정에 어떠한 제한이 발생하는 것은 아니라 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관리 서버(120)는 수집된 기상 예보 데이터에 포함된 시간대별 날씨와 강수량 그리고 일몰시간을 이용하여 시간대별 예측 조도값을 산출할 수 있으며, 지속적으로 수집되는 조도 정보를 예측 조도값과 비교함으로써 현재의 조도 정보가 정상적인 것인지 비정상적인 것인지 적정성을 판단하여 정상적인 경우에만 조명량 제어(출력 조정)를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예보되어 있지 않은 일시적인 소나기가 발생하거나 구름에 의한 일시적인 해가림 현상이 발생하는 상황에서의 불필요한 출력 조정이 방지될 수 있기 때문에, 이로 인한 에너지 절감의 효과가 발생한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은 골프장의 임의의 위치에 설치되어 실시간의 기상 정보를 수집하는 하나 이상의 기상 센서부를 더 포함하는 형태로도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기상 센서부가 생성하는 기상 정보는 관리 서버(120)에서 기상 예보 데이터와의 비교 자료로 이용되어 제어 신호의 생성 여부에 반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리 서버(120)는 다수의 골프 카트(100)가 전송하는 위치 정보를 실시간 모니터링 하며, 각 코스에서의 게임 시간을 카운팅할 수 있으며, 이를 기입력된 각 코스별 평균 게임 시간과 비교함으로써 기설정된 시간 이상 지연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지연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지연 정보에는 골프 게임의 빠른 진행을 요청하는 메시지와 지연이 발생한 시간 정보가 포함될 수 있으며, 지연이 발생하고 있는 골프 카트(100)로 전송되어 정보 제공부(103)의 화면에 단독으로 표시되거나 알람음과 함께 표시됨으로써 플레이어와 캐디가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
다만, 상기와 같은 지연 정보는 다른 플레이어들의 불편을 해소하기 위한 것이므로 인접한 다른 코스에서의 위치 정보가 확인되는 상황에서만 생성되도록 제한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관리 서버(120)는 각 코스에서의 게임 시간을 카운팅하여 기입력된 각 코스별 평균 게임 시간에 비해 기설정된 시간 이상 단축이 발생하고, 인접한 다른 코스에서의 위치 정보가 확인되는 상황에서는 골프 게임의 속도 조정을 요청하는 메시지가 정보 제공부(103)의 화면에 표시되도록 하여 다른 플레이어들의 심리적인 불편이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1의 조명 제어부(130)는 관리 서버(120)의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조명등의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이며, 각 코스의 조명탑에 하나씩 설치되어 조명등의 출력을 제어하는 형태로 구성되거나 각 코스의 조명탑에 전원을 공급하는 변압기의 배전반에 설치된 상태로 조명등의 출력을 제어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조명 제어부(130)는 관리 서버(120)가 전송하는 제1 점등 신호가 수신될 때 특정 코스 전체에 대한 조명이 발생하도록 할 수 있고, 소등 신호가 수신될 때에 골프 게임의 진행 상황에 따른 조명등의 소등이 점차적으로 발생하도록 하거나 해당 코스 전체에 대한 소등이 발생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조명 제어부(130)는 관리 서버(120)가 전송하는 제2 점등 신호가 수신될 때 다음 코스 전체에 대한 조명이 발생하도록 할 수 있으며, 전체 소등 신호가 수신될 때에는 코스 전체에 대한 소등이 발생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 1의 표시부(140)는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목적으로 골프장 내의 관리실과 같은 특정의 장소에 구비되는 표시 장치이며, 관리 서버(120)가 전송하는 현황 정보를 수신하여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로 화면에 표시함으로써 관리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관리자는 관리실에 위치한 상태에서 골프 게임의 진행을 위해 이용되고 있는 골프 카트(100) 전부의 위치 정보를 확인할 수 있고, 화면을 통해 표시되는 식별 정보를 통해 골프 카트(100) 각각을 특정할 수 있다.
또한, 각 코스의 조명 발생 여부와 조명의 세기를 확인할 수 있으며, 조명이 발생하지 않거나 출력 부족 등의 조명의 이상을 확인하여 현장으로 나가 점검을 실시할 수 있다.
위에서 소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써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 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도면에서 생략하였으며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 또는 축소되어 표현될 수 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 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100 : 골프 카트 → 101 : GPS 수신기
→ 102 : 제1 통신부
→ 103 : 정보 제공부
110 : 조도 센서부 → 111 : 조도 센서
→ 112 : 제2 통신부
120 : 관리 서버
130 : 조명 제어부
140 : 표시부

Claims (6)

  1. 위성 신호를 수신하여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GPS 수신기(101)와 생성된 위치 정보를 관리 서버(120)로 전송하는 제1 통신부(102)가 구비되는 골프 카트(100);
    조도를 측정하여 조도 정보를 생성하는 조도 센서(111)와 생성된 조도 정보를 관리 서버(120)로 전송하는 제2 통신부(112)가 구비된 상태로 각 코스의 티잉 그라운드부터 그린까지 서로 상당거리 이격되게 하나씩 설치되는 다수의 조도 센서부(110);
    위치 정보와 조도 정보를 수신하여 골프 카트(100)의 위치에 따른 온오프 제어 목적의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골프 카트(100)의 위치와 조명의 작동 상태에 관한 실시간의 현황 정보를 생성하며, 생성된 제어 신호를 특정의 조명등 제어부로 전송하고, 현황 정보를 표시부(140)로 전송하는 관리 서버(120);
    각 코스의 조명탑에 하나씩 설치되거나 배전반에 설치된 상태로 상기 관리 서버(120)의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조명등의 출력을 제어하는 하나 이상의 조명 제어부(130); 및,
    상기 관리 서버(120)의 현황 정보를 수신하여 화면에 표시하는 표시부(140); 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관리 서버(120)가 생성하는 온오프 제어 목적의 제어 신호는,
    각 코스를 대상으로 하여,
    상기 골프 카트(100)의 코스 진입이 확인될 때 해당 코스의 전체 조명탑을 대상으로 하여 생성하는 제1 점등 신호, 골프 카트(100)의 코스 내 이동이나 이탈이 확인될 때 후방의 조명탑을 대상으로 하는 소등 신호 또는 골프 카트(100)의 코스 이탈이 확인될 때 다음 코스의 전체 조명탑을 대상으로 하는 제2 점등 신호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고,
    상기 관리 서버(120)는,
    상기 제2 점등 신호를 기반으로 하여 전체 조명탑의 조명 제어가 실시된 상태에서 기설정된 제한 시간 이상 상기 골프 카트(100)의 코스 진입이 미확인되면,
    해당 코스의 전체 조명탑을 대상으로 하는 전체 소등 신호를 생성하여 전송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조도 센서부(110)는 코스의 좌측이나 우측 경계에 설치되되, 하부에 승강 장치를 구비하는 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관리 서버(120)가 전송하는 제어 신호를 기반으로 승강 장치를 제어하는 승강 제어부(113)를 구비하며, 조명의 점등과 출력 조정이 완료된 이후로는 지중에 매립된 형태가 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골프 카트(100)에는,
    현재 코스의 지도 정보, 현재의 위치 정보, 홀까지의 거리 정보 그리고 사용자 입력에 의한 게임 정보를 화면에 표시하고, 관리 서버(120)가 전송하는 위치 정보 기반의 지연 정보를 화면에 표시하는 정보 제공부(103)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관리 서버(120)는,
    상기 골프 카트(100)가 전송하는 위치 정보를 실시간 모니터링 하며 각 코스에서의 게임 시간을 카운팅하고, 카운팅 된 게임 시간을 기입력된 각 코스별 평균 게임 시간과 비교하여, 기설정된 시간 이상 지연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지연 정보를 생성하여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장 조명 자동 제어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120)는,
    제어 신호의 생성에 의한 조명의 제어가 실시된 이후로는 상기 제2 통신부(112)가 전송하는 조도 정보를 수신하여 조명량 제어 목적의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제어 신호를 제어가 필요한 전체 또는 특정의 조명 제어부(130)로 전송하여 조명의 출력 조정이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장 조명 자동 제어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120)는,
    지정된 시간 또는 기설정된 주기로 기상청의 인터넷 홈페이지에 자동으로 접속하거나 기상청의 오픈 API인 동네예보 정보조회 서비스에 자동으로 접속하고, 해당 지역의 시간대별 날씨와 강수량 그리고 일몰시간을 포함하는 기상 예보 데이터를 선별 수집하여, 제어 신호의 생성에 반영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장 조명 자동 제어 시스템.
KR1020220159083A 2022-11-24 2022-11-24 골프장 조명 자동 제어 시스템 KR1025588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59083A KR102558840B1 (ko) 2022-11-24 2022-11-24 골프장 조명 자동 제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59083A KR102558840B1 (ko) 2022-11-24 2022-11-24 골프장 조명 자동 제어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58840B1 true KR102558840B1 (ko) 2023-07-24

Family

ID=874283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59083A KR102558840B1 (ko) 2022-11-24 2022-11-24 골프장 조명 자동 제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884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2767A (ko) * 2014-12-12 2016-06-23 주식회사 경동원 무선통신을 이용한 홈네트워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알람방법과 제어방법
KR20180093893A (ko) * 2015-10-16 2018-08-22 레밍스 엘엘씨 로봇 골프 캐디
KR20190122342A (ko) * 2018-04-20 2019-10-30 주식회사 디엔씨아이 골프장 조명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2767A (ko) * 2014-12-12 2016-06-23 주식회사 경동원 무선통신을 이용한 홈네트워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알람방법과 제어방법
KR20180093893A (ko) * 2015-10-16 2018-08-22 레밍스 엘엘씨 로봇 골프 캐디
KR20190122342A (ko) * 2018-04-20 2019-10-30 주식회사 디엔씨아이 골프장 조명시스템
KR102060130B1 (ko) 2018-04-20 2019-12-27 주식회사 디엔씨아이 골프장 조명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196616B (zh) 交通感应节能路灯及节能路灯系统
CA2643254C (en) Long-range radio frequency receiver-controller module and wireless control system comprising same
RU2604654C2 (ru) Адаптивно управляемая система наружного освещения и способ ее работы
CN102883501B (zh) 智能路灯控制系统、装置及智能路灯控制方法
CN111210629B (zh) 一种基于路灯杆的智慧交通控制方法及系统
CN105792450A (zh) 一种无线智能led路灯的控制系统及监测方法
JP2012003937A (ja) 街灯制御システム
CN105722293A (zh) 一种智能路灯杆
CN107517531A (zh) 一种智能路灯系统
CN109005629B (zh) 一种球场照明系统的控制方法及球场照明系统
KR102060130B1 (ko) 골프장 조명시스템
KR20120016485A (ko) 가로등의 점등패턴 제어시스템 및 원격제어장치
KR102558840B1 (ko) 골프장 조명 자동 제어 시스템
KR101829032B1 (ko) 무선통신을 이용 자동연동제어 가능한 지능형 조명등 및 그 제어방법
KR20130055873A (ko) Cim/bim기반의 모션디텍션 기능을 가지는 스마트 가로등 시스템
CN105263241B (zh) 一种路灯照明中路灯亮灯率的计算方法
CN116887469B (zh) 一种用于多功能球场的led智能控制系统
CN111038495A (zh) 一种自动停车方法和车辆
KR101906801B1 (ko) 위치정보시스템을 이용한 지능형 도로조명 시스템
KR102307889B1 (ko) 수광장치 기능이 내장된 led 전광판
CN215773644U (zh) 物联网智慧车库照明管理系统
KR101256105B1 (ko) 피에조 압전센서를 이용한 도로 및 터널 조명기기 점소등 제어장치
CN111472437B (zh) 一种基于空中街市建筑结构的智能控制系统
CN105430851B (zh) 一种智能景观控制系统
CN212618193U (zh) 一种灯杆显示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