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8326B1 - 광고 기능을 구비한 무선 전력 전송 장치 - Google Patents

광고 기능을 구비한 무선 전력 전송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8326B1
KR102558326B1 KR1020210115785A KR20210115785A KR102558326B1 KR 102558326 B1 KR102558326 B1 KR 102558326B1 KR 1020210115785 A KR1020210115785 A KR 1020210115785A KR 20210115785 A KR20210115785 A KR 20210115785A KR 102558326 B1 KR102558326 B1 KR 1025583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power
advertisement information
display
power receiver
displa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57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10549A (ko
Inventor
정춘길
Original Assignee
지이 하이브리드 테크놀로지스,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200093888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298703B1/ko
Application filed by 지이 하이브리드 테크놀로지스, 엘엘씨 filed Critical 지이 하이브리드 테크놀로지스, 엘엘씨
Priority to KR10202101157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8326B1/ko
Publication of KR202101105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0549A/ko
Priority to KR1020230004178A priority patent/KR202300131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83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832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005Mechanical details of housing or structure aiming to accommodate the power transfer means, e.g. mechanical integration of coils, antennas or transducers into emitting or receiving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7Wireless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77Online advertis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8/00Adaptation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or functions
    • H01F38/14Inductive coupl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02J50/12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of the resonant typ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4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two or more transmitting or receiv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8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the exchange of data, concerning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between transmitting devices and receiv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9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detection or optimisation of position, e.g. alignme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monitoring or indicating devices or circuits
    • H04B5/0037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7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H04B5/79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data transfer in combination with power transf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20/00Electricity: battery or capacitor charging or discharging
    • Y10S320/18Indicator or display
    • Y10S320/21State of charge of batte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전력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구성되는 전송 코일; 광고 정보를 저장하기 위해 구성된 메모리; 상기 전송 코일의 일측에 설치되어서 상기 광고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광고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고, 무선 전력 수신 장치가 충전 위치에 위치하면 상기 전송 코일을 통해 무선 전력 수신 장치로 상기 무선 전력 신호를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전송 제어부를 포함하는, 광고 기능을 구비한 무선 전력 전송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광고 기능을 구비한 무선 전력 전송 장치{WIRE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HAVING ADVERTISEMENT FUNCTION}
본 발명은 공항, 기차역, 편의점등의 공공 장소에서 무선 전력 신호를 통해 무선 전력 수신 장치를 충전시킬 수 있는, 광고 기능을 구비한 무선 전력 전송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핸드폰 및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과 같은 휴대용 단말기에는 배터리 팩이 장착되어 있다. 상기 배터리 팩은 외부의 충전장치가 공급하는 전력을 충전하고, 충전한 전력을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공급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를 정상으로 동작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배터리 팩은 전력을 충전하는 배터리 셀 모듈과, 상기 배터리 셀 모듈에 전력을 충전 및 방전시키는 충방전 회로 등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구비되어 있는 배터리 팩과, 전기에너지를 공급하는 충전장치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방식으로는 충전장치의 단자와 배터리 팩의 단자를 직접 연결하는 단자 연결방식이 있다.
그러나 상기 단자 연결방식은 충전장치의 단자와 배터리 팩의 단자를 상호간에 접촉시키거나 또는 분리할 경우에 배터리 팩의 단자 및 충전장치의 단자들이 서로 다른 전위차를 가지고 있으므로 순간 방전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순간 방전현상으로 인하여, 배터리 팩의 단자 및 충전장치의 단자들에 이물질이 쌓여 있을 경우에 화재 등이 발생할 우려가 있었다.
또한, 습기 등으로 인하여 배터리 팩에 충전된 전기에너지가 배터리 팩의 단자를 통해 외부로 자연 방전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고, 이로 인하여 배터리 팩의 사용 수명이 단축되고, 성능의 저하를 초래하게 된다.
최근에는 상기와 같은 단자 연결방식의 여러 가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무선전력 전송방식을 이용한 무접점 방식의 무선전력 충전시스템들이 제시되고 있다.
이러한 무선 전력 전송 방식을 구비한 충전기(무선 전력 전송 장치)는 자신의 개인 단말기를 충전시키기 위하여 개별 소유하는 경우 뿐만 아니라, 편의점이나 기차역, 공항과 같은 공공 장소에서 긴급하게 스마트폰의 충전이 요구되는 경우를 대비하여 다수의 충전 기기가 비치되어 있는 경우가 있다. 이렇게 공공 장소에 비치된 충전 기기는 통상 공공 장소를 이용하는 자에 대한 서비스 형태로서 제공되고 있다.
이러한 충전 기기는 단순히 스마트폰에 대한 충전 서비스 제공에 그치고 있어, 공공 장소를 운영하는 자는 통상 충전 서비스 비용을 받는 정도로 그 수익구조를 맞추고 있으며, 무료로 충전 서비스를 하는 경우, 이러한 충전기기의 구매 및 관리 운영을 위한 비용은 단순히 비용으로반 산정될 수 있을 뿐 어떠한 수익구조도 만들어내지 못하고 있었다.
본 발명은, 공공장소 등에 비치된 공용 충전기로서 무선 전력 전송 장치를 이용함과 더불어, 이 공공장소에 비치된 공용 충전기를 통해 광고 수익구조를 창출해 낼 수 있는, 광고 기능을 구비한 무선 전력 전송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광고기능을 구비한 무선 전력 수신 장치는, 무선 전력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구성되는 전송 코일; 광고 정보를 저장하기 위해 구성된 메모리; 상기 전송 코일의 일측에 설치되어서 상기 광고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광고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고, 무선 전력 수신 장치가 충전 위치에 위치하면 상기 전송 코일을 통해 무선 전력 수신 장치로 상기 무선 전력 신호를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전송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일태양에 의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선 전력 수신 장치가 상기 충전위치에 위치하지 않으면,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오프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일태양에 의하면, 상기 광고 정보는 영상 정보와 음성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 전력 전송 장치는, 상기 음성 정보를 출력하기 위하여 구성되는 스피커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일태양에 의하면, 상기 무선 전력 전송 장치는, 상기 광고 정보를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하기 위하여 구성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송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광고 정보를 상기 메모리에 임시 저장한 후,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일태양에 의하면, 상기 통신부는 이동 통신 모듈이고, 상기 전송 제어부는, 상기 무선 전력 수신 장치로부터의 아이디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 통신 모듈을 제어하여 상기 무선 전력 수신 장치와 관련된 이동 통신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광고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일태양에 의하면, 상기 아이디 신호는 상기 전송 코일을 통해 수신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일태양에 의하면, 상기 통신부는 무선 인터넷 모듈이고, 상기 전송 제어부는,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을 제어하여 상기 광고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일태양에 의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LED 디스플레이, LCD 디스플레이, 및 OLED 디스플레이 중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일태양에 의하면, 상기 무선 전력 전송 장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일측에 형성되는 경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경사부에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일태양에 의하면, 상기 무선 전력 전송 장치는 상기 본체와 상기 경사부를 체결하는 힌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일태양에 의하면, 상기 전송 제어부는, 상기 무선 전력 수신 장치로부터의 충전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 전력 수신 장치의 충전 상태를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일태양에 의하면, 상기 광고 정보는 제 1 광고 정보와 제 2 광고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전송 제어부는, 대기 모드에서 상기 제 1 광고 정보를 표시하고, 충전 모드에서 제 2 광고 정보를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일태양에 의하면, 상기 무선 전력 전송 장치는, 무선 인터넷 모듈 및 이동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송 제어부는,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을 통해 상기 제 1 광고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이동 통신 모듈을 통하여 제 2 광고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공공 장소에 비치된 무선 전력 전송 장치에 광고 정보를 표시할 수 있게 되어, 무선 전력 전송 장치를 운영하는 자에게 새로운 수익 창출 구조를 만들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전력 수신 장치를 가진자는 자신의 단말기를 충전하는 중에 광고를 볼 수 있게 되어 새로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기회를 부여받을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관련된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광고 기능을 구비한 무선 전력 전송 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광고 기능을 구비한 무선 전력 전송 장치의 경사부가 본체와 평행이 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광고 기능을 구비한 무선 전력 전송 장치 중 디스플레이부가 길이방향 측면에 설치된 예를 나타내는 도면.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광고 기능을 구비한 무선 전력 전송 장치(100)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장치",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관련된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무선 전력 충전 시스템은, 무선 전력 전송 장치(100)와, 상기 무선 전력 전송 장치(100)로부터의 무선 전력 신호를 수신하여, 배터리 셀을 충전하거나, 핸드폰을 동작시키기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2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무선 전력 전송 장치(100)는, 전송 코일(110), 메모리(120), 통신부(130), 디스플레이부(140), 스피커 모듈(150) 및 전송 제어부(160)를 포함할 수 있고, 무선 전력 수신 장치(200)는, 수신 코일(210), 정류부(220), 배터리 셀 모듈(230) 및 수신 전송 제어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무선전력 전송 장치(100)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무선 전력 전송 장치(100)의 전송 코일(110)은 후술하는 공진형 컨버터(163)가 스위칭한 전력에 직렬 공진되면서 무선 전력 신호를 무선 전력 수신 장치(200)로 전송하는 기능을 한다. 여기서, 상기 전송 코일(110)은 하나만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는 2개 이상 복수 개의 전송 코일(110)을 병렬로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전송 코일(110)을 사용할 경우에 상기 복수 개의 전송 코일들 각각에 직렬로 스위치 및 커패시터를 구비하고, 상기 전송 제어부(160)의 제어에 따라 상기 스위치를 선택적으로 스위칭시켜 공진형 컨버터(163)에서 스위칭된 전력이 상기 복수 개의 전송 코일(110)에 선택적으로 출력되게 할 수 있다.
메모리(120)는 광고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여기서, 광고 정보는 통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정보일수도 있고, SD 메모리와 같은 외장형 메모리에 저장된 정보일 수도 있다. 광고 정보는 영상 정보와 음성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광고 정보는 후술하는 디스플레이부(140) 및 스피커 모듈(150)을 통해 출력될 수 있다.
메모리(120)는 내장형 메모리가 될 수도 있고 외장형 메모리가 될 수도 있다. 즉, 메모리(12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30)는, 외부장치에 전송되는 광고정보를 수신하기 위여 무선 통신시스템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 간의 네트워크 사이에서 무선통신 또는 유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장치로서, 본 발명에서는, WIPI 모듈과 같은 무선 인터넷 모듈(131)과, 이동 통신 모듈(132)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30)는 유선 케이블과 같은 유선통신을 위한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31)은, 예를 들면, 공항과 같은 장소에 본 발명의 무선 전력 전송 장치(100)가 설치되는 경우, 공항 운영 서버로부터의 광고 정보(청구항에서의 제 1 광고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무선 인터넷 모듈(131)로서,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3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는 기능을 한다. 본 발명에서는, 이동 통신 서비스 제공 서버에 접속하기 위한 구성요소로서, 예를 들면, 무선 전력 수신 장치(200)가 스마트폰인 경우, 그 스마트폰 서비스 제공자의 서버에 접속하여 광고 정보(청구항에서는 제 2 광고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이동 통신 모듈(132)로서, 2G 모듈, 3G 모듈, LTE를 포함하는 4G 모듈 중 하나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4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의 일측에 형성된 경사부(102:도 2참조)에 설치되어서,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광고 정보 중 영상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디스플레이부(140)로서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다수의 메트릭스 형태의 발광 모듈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스피커 모듈(150)은 전송 제어부(160)의 제어에 따라 상기 메모리(120)에 저장되어 있는 광고 정보 중 음성 정보를 출력하는 기능을 한다.
전송 제어부(160)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200)가 충전 위치에 위치하여 상기 전송 코일(110)을 통해 무선 전력 전송 장치(100)로 상기 무선 전력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메모리(120)에 저장된 광고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140)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전송 제어부(160)는, 통신부(130)를 제어하여 외부 장치로부터의 광고정보를 수신하여 메모리(120)에 저장한 후, 이 메모리(120)에 저장된 광고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140) 및 스피커 모듈(150)을 통해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이 때, 무선 인터넷 모듈(131)로부터 수신되는 정보는 무선 전력 전송 장치(100)가 설치된 장소에서 운영하는 서버(예컨대 공항서버)로부터 전송되는 다양한 광고 및 안내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동 통신 모듈(132)로부터 수신되는 정보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200)로부터 수신되는 아이디 정보를 이용하여 이동 통신 서버로부터의 광고 정보를 수신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전송 제어부(160)는, 상기 무선 전력 수신 장치(200)로부터의 충전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 전력 수신 장치(200)의 충전 상태를 상기 디스플레이부(140)를 통해 표시하게 된다. 즉, 후술하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200)의 수신 코일(210) 또는 별도의 근거리 통신 모듈(132)(도시되지 않음)을 통해 배터리셀의 충전상태 정보를 수신하게 되면, 이를 디스플레이부(140)에 출력하여 현재의 무선 전력 수신 장치(200)의 수신 상태를 표시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충전상태 정보도 상기 아이디 정보와 동일한 루트를 통해 수신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전송 제어부(160)는, 구동 드라이버(161)와 공진형 컨버터(16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 드라이버(161)는 전송 코일(110)에서 발생되는 무선 전력 신호를 구동할 구동 신호를 발생시키며, 상기 공진형 컨버터(163)는 상기 구동 드라이버(161)가 발생하는 구동신호에 따라 직류전력을 스위칭하는 기능을 한다.
다음으로, 무선 전력 수신 장치(200)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무선전력 수신장치는 수신 코일(210), 정류부(220), 배터리셀 모듈 및 수신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신 코일(210)은 상기 무선전력 전송장치의 전송 코일(110)과 전자기 유도방식 또는 자기 공명 방식으로 결합되어 상기 무선전력 전송장치가 전송하는 무선 전력 신호를 수신한다.
상기 정류부(220)는 상기 수신 코일(210)이 수신한 저전력 신호 또는 기준 전력 신호를 정류하여 직류전력으로 변환한다.
상기 수신 제어부(240)는 상기 정류부(220)가 정류한 직류 전력을 상기 배터리 셀 모듈을 충전한다. 또한 배터리 셀 모듈(230: 또는 부하)의 충전 상태를 감지하여 충전 상태 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수신 코일(210) 또는 근거리 통신 모듈(132)(도시되지 않음)을 통해 무선 전력전송 장치(100)로 전송하게 된다. 이 때, 상기 수신 코일(210) 및 근거리 통신 모듈(132)은, 무선 전력 전송 장치(100)의 ID 요청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ID 요청신호에 대한 아이디 신호를 무선 전력 전송 장치(100)로 전송하는 기능을 한다.
상술한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공공 장소에 설치되어서 사용자가 무선 전력 수신 장치(200)를 구비한 스마트폰을 충전하는 경우, 충전 중에 적합한 광고가 표시되기 때문에, 공공 장소에서 충전 기기를 운영하는 자에게 새로운 이익 창출 구조를 만들 수 있을 뿐 아니라, 충전 기기를 이용하는 자가 보다 저렴한 비용으로 자신의 스마트 폰을 충전할 뿐 아니라, 충전중에 광고 정보를 볼 수 있어 다양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무선 전력 전송 장치(100)의 외관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광고 기능을 구비한 무선 전력 전송 장치(100)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광고 기능을 구비한 무선 전력 전송 장치(100)의 경사부가 본체와 평행이 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무선 전력 전송 장치(100)는 본체(101)와 경사부(10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체(101)의 주면에는 전송 코일(110)이 설치되고, 무선 전력 수신 장치(200)가 충전 위치에 위치하게 되면, 무선 전력 수신 장치(200)로 무선 전력 신호가 전송되게 된다. 그리고, 본체 일측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경사부(102)에는 디스플레이부(140)가 설치된다. 이 디스플레이부(140)를 통해 메모리(120)에 저장되어 있는 광고정보를 출력하게 된다. 상기 경사부(102)는 본체(101)와 힌지결합될 수 있다. 다시 말해, 경사부(102)와 본체(101)를 결합시키는 힌지부가 더 포함되어서, 상기 경사부(102)는 도 3과 같이 본체(101)와 평행하게 위치할 수도 있고, 도 2와 같이 본체(101)와 경사지게 위치할 수 있도록 회전가능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부(140)를 본체(101)에 경사지게 위치하는 경사부(102)에 부착시킴으로서, 광고 정보의 시인성을 높일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 이를 본체와 평행하게 위치할 수 있게 함으로써, 공간 활용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한편 본체 주면의 일측에는 스피커 모듈(150)이 설치되어서, 광고 정보를 음성 출력하게 되며, 본체 측면에는 외장형 메모리를 삽입하기 위한 메모리 소켓(121)이 설치될 수 있다. 이 메모리 소켓(121)을 통해 외장형 메모리가 삽입되며, 이 외장형 메모리에는 광고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광고 기능을 구비한 무선 전력 전송 장치 중 디스플레이부가 길이방향 측면에 설치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도 4의 예에서는 경사부(102)가 본체(101)의 길이방향에서 연장 형성되고, 이에 따라, 보다 길이가 긴 디스플레이부(140)를 경사부에 설치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 경사부(102)의 본체(101)에 대한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각도 조절부(103)이 경사부(102)와 본체(101)의 경계영역에 설치되고, 사용자는 이 각도 조절부(103)를 이용하여 경사부(102)의 본체(101)에 대한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구조를 가지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공공 장소에 비치된 무선 전력 전송 장치(100)에 광고 정보를 표시할 수 있게 되어, 무선 전력 전송 장치(100)를 운영하는 자에게 새로운 수익 창출 구조를 만들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전력 수신 장치(200)를 가진자는 자신의 단말기를 충전하는 중에 광고를 볼 수 있게 되어 새로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기회를 부여받을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광고 기능을 구비한 무선 전력 전송 장치(100)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00 : 무선 전력 전송 장치
110 : 전송 코일
120 : 메모리
130 : 통신부
131 : 무선 인터넷 모듈
132 : 이동 통신 모듈
140 : 디스플레이부
150 : 스피커 모듈
160 : 전송 제어부
200 : 무선 전력 수신 장치
210 : 수신 코일
220 : 정류부
230 : 배터리 셀 모듈(부하)
240 : 수신 전송 제어부

Claims (10)

  1. 광고 기능을 구비한 무선 전력 전송 장치에 있어서,
    무선 전력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구성되는 전송 코일;
    광고 정보를 저장하기 위해 구성되는 메모리;
    상기 전송 코일의 일측에 설치되어서 상기 광고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광고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고, 무선 전력 수신 장치가 충전 위치에 위치하면 상기 전송 코일을 통해 상기 무선 전력 수신 장치로 상기 무선 전력 신호를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전송 제어부;
    상기 광고 정보를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하기 위하여 구성되는 통신부;
    본체와, 상기 본체의 일측에 형성되는 경사부 -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경사부에 설치됨 - ; 및
    상기 본체와 상기 경사부를 체결하는 힌지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전송 제어부는, 상기 무선 전력 수신 장치와 관련된 통신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광고 정보를 수신하도록 상기 무선 전력 수신 장치로부터의 아이디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인, 광고 기능을 구비한 무선 전력 전송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 정보는 영상 정보와 음성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 전력 전송 장치는 상기 음성 정보를 출력하기 위하여 구성되는 스피커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인, 광고 기능을 구비한 무선 전력 전송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제어부는 상기 무선 전력 수신 장치가 상기 충전 위치에 위치하지 않으면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오프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인, 광고 기능을 구비한 무선 전력 전송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무선 인터넷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전송 제어부는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을 제어하여 상기 광고 정보를 수신하는 것인, 광고 기능을 구비한 무선 전력 전송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LED 디스플레이, LCD 디스플레이, 및 OLED 디스플레이 중 하나인 것인, 광고 기능을 구비한 무선 전력 전송 장치.
  6. 삭제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제어부는, 상기 무선 전력 수신 장치로부터의 충전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 전력 수신 장치의 충전 상태를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하는 것인, 광고 기능을 구비한 무선 전력 전송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 정보는 제 1 광고 정보와 제 2 광고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전송 제어부는 대기 모드에서 상기 제 1 광고 정보를 표시하고, 충전 모드에서 상기 제 2 광고 정보를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것인, 광고 기능을 구비한 무선 전력 전송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무선 인터넷 모듈 및 이동 통신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전송 제어부는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을 통해 상기 제 1 광고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이동 통신 모듈을 통하여 상기 제 2 광고 정보를 수신하는 것인, 광고 기능을 구비한 무선 전력 전송 장치.
KR1020210115785A 2013-03-07 2021-08-31 광고 기능을 구비한 무선 전력 전송 장치 KR1025583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5785A KR102558326B1 (ko) 2020-07-28 2021-08-31 광고 기능을 구비한 무선 전력 전송 장치
KR1020230004178A KR20230013141A (ko) 2013-03-07 2023-01-11 광고 기능을 구비한 무선 전력 전송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3888A KR102298703B1 (ko) 2013-03-07 2020-07-28 광고 기능을 구비한 무선 전력 전송 장치
KR1020210115785A KR102558326B1 (ko) 2020-07-28 2021-08-31 광고 기능을 구비한 무선 전력 전송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3888A Division KR102298703B1 (ko) 2013-03-07 2020-07-28 광고 기능을 구비한 무선 전력 전송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04178A Division KR20230013141A (ko) 2013-03-07 2023-01-11 광고 기능을 구비한 무선 전력 전송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0549A KR20210110549A (ko) 2021-09-08
KR102558326B1 true KR102558326B1 (ko) 2023-07-20

Family

ID=777878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5785A KR102558326B1 (ko) 2013-03-07 2021-08-31 광고 기능을 구비한 무선 전력 전송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832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504387A (ja) * 2008-09-27 2012-02-16 ウィトリシティ コーポレーション 無線エネルギー伝達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4723B1 (ko) * 2005-11-18 2007-06-04 하대철 광고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충전장치
US9312728B2 (en) * 2009-08-24 2016-04-12 Access Business Group International Llc Physical and virtual identification in a wireless power network
US8547057B2 (en) * 2009-11-17 2013-10-01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selective wireless power transfer
KR20120132773A (ko) * 2011-05-30 2012-12-10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광고 기반의 무선 충전 장치, 단말장치와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504387A (ja) * 2008-09-27 2012-02-16 ウィトリシティ コーポレーション 無線エネルギー伝達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0549A (ko) 2021-09-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40726B1 (ko) 광고 기능을 구비한 무선 전력 전송 장치
US9325186B2 (en) Charging area displayable wireless charger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9444284B2 (en) Bi-directional wireless charger
US9912380B2 (en) Power supply devic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and non-contact power transmission method
KR101845099B1 (ko) 전자 디바이스들에 대한 전력 관리
US20120187772A1 (en) Wireless Power Transceiver System
JP5028505B2 (ja) 電気自動車
EP2812976A1 (en) A system and method for charging mobile devices at a venue
CN103475077B (zh) 带有数据发送功能的手机无线充电基座及所述基座向无线充电手机的发送数据的方法
CN104937811A (zh) 共振型无线电力传送系统的无线电力传送控制方法,及利用此方法的无线电力传送装置及无线电力接收装置
CN110015120A (zh) 电力管理系统、服务器和车辆
US20140015332A1 (en) Power transmitting device, power feeding system, and power feeding method
CN107332363A (zh) 无线充电系统及其控制方法
ES2950409T3 (es) Carga y comunicación inalámbrica con dispositivos de fuente de alimentación y dispositivos de carga de potencia en un sistema de comunicación
KR102603831B1 (ko) 차량, 차량과 통신하는 서버 및 차량의 제어 방법
KR20140117072A (ko) 다수의 외부 장치에 유선으로 전원공급이 가능한 무선 전력 수신 장치
KR102558326B1 (ko) 광고 기능을 구비한 무선 전력 전송 장치
JP2002330095A (ja) 基地局、基地局の制御方法及び移動通信システム
KR20180100973A (ko) 전기자동차 충전소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US10396586B1 (en) Wireless charging and powering of electronic devices by multipurpose wireless transmitting devices
KR102298703B1 (ko) 광고 기능을 구비한 무선 전력 전송 장치
WO2012066407A1 (en) Multiple battery charger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KR101383179B1 (ko) 휴대단말기의 무선충전 및 외부출력 작동시스템
KR101884753B1 (ko) 충전 회로 관리 어플리케이션 및 시스템
KR20180072132A (ko) 교통수단에 설치되는 휴대용 단말기 충전시스템 및 충전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3101000073;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230111

Effective date: 20230317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