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8150B1 - 약물 입자 담지율 향상을 위한 3차원 미세유체 반응기 및 이를 이용한 균일한 캡슐의 연속 일괄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약물 입자 담지율 향상을 위한 3차원 미세유체 반응기 및 이를 이용한 균일한 캡슐의 연속 일괄 제조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58150B1 KR102558150B1 KR1020220121525A KR20220121525A KR102558150B1 KR 102558150 B1 KR102558150 B1 KR 102558150B1 KR 1020220121525 A KR1020220121525 A KR 1020220121525A KR 20220121525 A KR20220121525 A KR 20220121525A KR 102558150 B1 KR102558150 B1 KR 10255815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rug
- drug particles
- hydrophilic drug
- fluid
- hydrophilic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19/00—Chemical, physical or physico-chemical processes in general;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19/0093—Microreactors, e.g. miniaturised or microfabricated reactor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66—Phosphorus compounds
- A61K31/662—Phosphorus acids or esters thereof having P—C bonds, e.g. foscarnet, trichlorfon
- A61K31/663—Compounds having two or more phosphorus acid groups or esters thereof, e.g. clodronic acid, pamidronic acid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48—Preparations in capsules, e.g. of gelatin, of chocolate
- A61K9/50—Microcapsules having a gas, liquid or semi-solid filling; Solid microparticles or pellets surrounded by a distinct coating layer, e.g. coated microspheres, coated drug crystals
- A61K9/51—Nanocapsules; Nanoparticles
- A61K9/5107—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513—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Dendrimers
- A61K9/5146—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Dendri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ethylene glycol, polyamines, polyanhydrides
- A61K9/5153—Polyesters, e.g. poly(lactide-co-glycolid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48—Preparations in capsules, e.g. of gelatin, of chocolate
- A61K9/50—Microcapsules having a gas, liquid or semi-solid filling; Solid microparticles or pellets surrounded by a distinct coating layer, e.g. coated microspheres, coated drug crystals
- A61K9/51—Nanocapsules; Nanoparticles
- A61K9/5192—Process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9/0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 A61P19/08—Drugs for skeletal disorders for bone diseases, e.g. rachitism, Paget's disease
- A61P19/1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for bone diseases, e.g. rachitism, Paget's disease for osteoporosi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3/00—Other mixers; Mixing plants; Combinations of mixers
- B01F33/30—Micromix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pidemi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Rheumat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anotechnolog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3차원 미세유체 반응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미세유체 반응기는 용해성 차이에 의한 침전 현상을 이용하여 약물 입자를 침전시키기 위해 약물 및 용매가 포함된 제 1 유체와, 제 1 반용매가 포함된 제 2 유체가 연속적으로 혼합되도록 유로 구조를 구비하는 제 1 구조체 및 제 1 구조체로부터 전달된 약물 입자를 담지하기 위해 담지체가 포함된 제 3 유체를 공급하도록 유로 구조를 구비하는 제 2 구조체를 포함하고, 제 1 구조체와 제 2 구조체가 서로 유체 연통되어 제 1 구조체로부터 침전된 약물 입자가 제 2 구조체 측으로 지체 없이 전달됨으로써 약물 입자의 침전 공정 및 담지 공정이 연속 일괄 공정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3차원 미세유체 반응기 및 이를 이용한 균일한 크기의 약물 입자가 담지된 캡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연속-흐름을 기반으로 하여 2 단계의 3차원 유체 집속 효과를 통해 친수성 약물 입자 및 약물-고분자 캡슐의 크기를 균일하게 조절할 수 있는 3차원 미세유체 반응기, 이를 이용한 친수성 약물 입자가 담지된 캡슐의 제조방법, 상기 일괄 공정에 의한 제조방법에 있어서 약물의 담지 효율을 향상시키는 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균일한 크기의 친수성 약물 입자가 담지된 서방형 캡슐을 제공한다.
주로 약학 및 정밀화학 산업에 있어서, 화합물의 합성에 이용되는 미세유체 반응기는 종래 공정 대비 많은 이점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미세유체 반응기는 높은 표면적 대 부피비를 제공함으로써, 신속한 질량 및 열전달 효과를 확보할 수 있으며, 그 결과 공정 안전성 측면에서도 향상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미세유체 반응기는 스케일 업(scale-up)을 위하여, 비교적 간단한 타당성 조사를 필요로 하므로 비용-효율적인 이점을 제공할 수 있다. 즉, 미세유체 반응기의 설계용량 확장이 필요할 경우, 설계상 요구되는 미세유체 반응기 유닛을 복수 병렬 배치시킴과 동시에 보다 높은 유속을 인가함으로써 처리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즉, 미세유체 반응기는 종래 배치 공정과 달리 스케일-업을 위한 시험 및 설계를 과다하게 요하지 않으므로 스케일-업을 용이하게 달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나노 침전법을 통한 나노 약물 입자 생산 방법은 용매 및 반용매에 대한 약물의 용해성 차이에 기인한 침전 현상을 이용하여 약물 입자를 침전시킨다. 이와 관련하여 기존의 회분식 공정 기반 침전 반응기의 경우, 약물의 용해성이 큰 용매(Good solvent)와 반용매(Anti solvent)간의 접촉이 불규칙하게 형성되므로 균일한 크기의 나노 입자를 제작하는데 한계가 있다. 또한, 나노 약물 입자가 침전된 후 담지체에 담지 되기에 앞서서, 약물 입자가 일부 건조됨으로써 재결정화 현상이 발생되는 단점이 있다.
이와 관련하여, 문헌 [Results in Pharma Sciences 2 (2012) 79-85]에는 플라스크를 이용한, 단백질이 로딩된 PLGA 나노입자의 제조방법이 개시된 바 있으나, 해당 방법으로 약물-고분자 캡슐을 제조할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약물 입자의 재결정화로 인해 입자의 균일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미세유체 시스템을 기반으로 하여 공정상 유리한 효과를 확보할 수 있으면서도, 균일한 나노 약물을 생산할 수 있는 미세유체 반응기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약물 입자 및/또는 약물-고분자 캡슐의 재결정화를 방지하기 위한 3차원 미세유체 반응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친수성 약물을 입자화하여 침전시키는 제 1 구간, 친수성 약물 입자와 소수성 고분자 화합물을 혼합하는 제 2 구간 및 친수성 약물 입자를 소수성 고분자 화합물에 담지하여 캡슐화하는 제 3 구간이 연속적으로 연결된 3차원 미세유체 반응기에서 균일한 크기의 친수성 약물 입자가 담지된 캡슐을 일괄 공정으로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전술한 제조방법에 있어서, 친수성 약물 입자를 소수성 고분자 화합물 담지체에 고효율로 담지시키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전술한 캡슐 제조방법 및/또는 친수성 약물 입자를 소수성 고분자 화합물 담지체에 고효율로 담지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제조된 균일한 크기의 친수성 약물 입자가 담지된 서방형 캡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용해성 차이에 의한 침전 현상을 이용하여 약물 입자를 침전시키기 위해 약물 및 용매가 포함된 제 1 유체와, 제 1 반용매가 포함된 제 2 유체가 연속적으로 혼합되도록 유로 구조를 구비하는 제 1 구조체 및 상기 제 1 구조체로부터 전달된 상기 약물 입자를 담지하기 위해 담지체가 포함된 제 3 유체를 공급하도록 유로 구조를 구비하는 제 2 구조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구조체와 상기 제 2 구조체가 서로 유체 연통되어 상기 제 1 구조체로부터 침전된 상기 약물 입자가 상기 제 2 구조체 측으로 지체 없이 전달됨으로써 상기 약물 입자의 침전 공정 및 담지 공정이 연속 일괄 공정으로 이루어지는, 3차원 미세유체 반응기가 제공된다.
이 때, 상기 제 1 구조체는, 육면체 형상을 가지는 제 1 집중공간의 일측면에 연결되어 상기 제 1 집중공간 측으로 상기 제 1 유체를 공급하는 제 1 채널; 상기 제 1 집중공간의 상기 일측면과 접하는 4면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제 1 집중공간의 내부 측으로 상기 제 2 유체를 공급하는 제 2 채널 내지 제 5 채널 및 상기 제 1 집중공간의 일측면과 대향하는 타측면에 연결되어 상기 제 1 집중공간으로부터 상기 약물 입자가 유출되는 제 6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3차원 미세유체 반응기는 각각 서로 다른 약물 입자를 침전시키도록 복수 개의 제 1 구조체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제 1 구조체는 서로 합류된 후 상기 제 2 구조체와 연결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 2 구조체는, 상기 제 1 구조체의 일단부와 교차되도록 연결되며 상기 제 3 유체를 공급하는 제 7 채널 및 상기 제 7 채널의 일단부와 연결되며 적어도 3개의 절곡부를 구비하는 제 8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 2 구조체와 유체 연통되며, 상기 담지체에 대한 상기 입자 약물의 담지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제 2 반용매가 포함된 제 4 유체를 공급하도록 유로 구조를 구비하는 제 3 구조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 3 구조체는, 일단부가 상기 제 2 구조체의 일단부와 연결되며 타단부가 육면체 형상을 가지는 제 2 집중공간의 일측면에 연결되는 제 9 채널; 상기 제 2 집중공간의 상기 일측면과 접하는 4면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제 2 집중공간의 내부 측으로 상기 제 4 유체를 공급하는 제 10 채널 내지 제 13 채널 및 상기 제 2 집중공간의 일측면과 대향하는 타측면에 연결되어 상기 제 2 집중공간으로부터 상기 담지체에 의해 캡슐화된 상기 약물 입자가 유출되는 제 14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 2 구조체와 유체 연통되며, 상기 담지체에 대한 상기 입자 약물의 담지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제 2 반용매가 포함된 제 4 유체를 공급하도록 유로 구조를 구비하는 제 3 구조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구조체는, 육면체 형상을 가지는 제 1 집중공간의 일측면에 연결되어 상기 제 1 집중공간 측으로 상기 제 1 유체를 공급하는 제 1 채널; 상기 제 1 집중공간의 상기 일측면과 접하는 4면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제 1 집중공간의 내부 측으로 상기 제 2 유체를 공급하는 제 2 채널 내지 제 5 채널 및 상기 제 1 집중공간의 일측면과 대향하는 타측면에 연결되어 상기 제 1 집중공간으로부터 상기 약물 입자가 유출되는 제 6 채널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구조체는, 상기 6 채널의 일단부와 교차되도록 연결되며 상기 제 3 유체를 공급하는 제 7 채널 및 상기 제 7 채널의 일단부와 연결되며 적어도 3개의 절곡부를 구비하는 제 8 채널을 포함하고, 상기 제 3 구조체는, 일단부가 상기 제 8 채널의 일단부와 연결되며 타단부가 육면체 형상을 가지는 제 2 집중공간의 일측면에 연결되는 제 9 채널; 상기 제 2 집중공간의 상기 일측면과 접하는 4면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제 2 집중공간의 내부 측으로 상기 제 4 유체를 공급하는 제 10 채널 내지 제 13 채널 및 상기 제 2 집중공간의 일측면과 대향하는 타측면에 연결되어 상기 제 2 집중공간으로부터 상기 담지체에 의해 캡슐화된 상기 약물 입자가 유출되는 제 14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마이크로 반응기는 레이저에 의해 각각 패턴이 식각된 복수개의 평판형 필름을 적층하여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균일한 크기의 친수성 약물 입자가 담지된 캡슐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친수성 약물을 입자화하여 침전시키는 제 1 구간, 친수성 약물 입자와 소수성 고분자 화합물을 혼합하는 제 2 구간 및 친수성 약물 입자를 소수성 고분자 화합물에 담지하여 캡슐화하는 제 3 구간이 연속 일괄 공정으로 연결된 3차원 미세유체 반응기에서,
a) 제 1 구간에서 친수성 약물이 용해된 용액을 수평으로 유동시킨 상태에서 3차원 수직 4 방향으로 상기 친수성 약물에 대한 반용매를 투입하여 친수성 약물을 입자화한 후 침전시키는 단계;
b) 제 2 구간에서 소수성 고분자 화합물이 용해된 용액을 투입하여 침전된 친수성 약물 입자와 연속적으로 혼합시키는 단계; 및
c) 제 3 구간에서 수용성 고분자 화합물이 용해된 용액을 3차원 수직 4 방향으로 투입하여 친수성 약물 입자를 소수성 고분자 화합물에 담지시켜 캡슐화하는 단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a) 단계는 제 1 구간에서 2종 이상의 서로 다른 친수성 약물을 각각 개별적으로 입자화하여 침전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친수성 약물은 알렌드로네이트, 독소루비신 하이드로클로라이드, 바레니클린, 네오마이신 및 치료용 펩타이드 또는 단백질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a) 단계의 친수성 약물에 대한 반용매는 아세토나이트릴, 테트라하이드로퓨란, 다이메틸설폭사이드 및 에탄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소수성 고분자 화합물은 폴리락트산, 폴리락타이드, 폴리락틱-코-글리콜산, 폴리락타이드-코-글리콜라이드(PLGA), 폴리포스파진, 폴리이미노카보네이트, 폴리포스포에스테르, 폴리안하이드라이드, 폴리오르쏘에스테르, 락트산과 카프로락톤의 공중합체, 폴리카프로락톤, 폴리하이드록시발레이트, 폴리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 폴리아미노산, 락트산과 아미노산의 공중합체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c) 단계의 수용성 고분자 화합물은 친수성 약물을 소수성 고분자 화합물에 담지시키는 효율을 높이기 위한 친수성 약물 안정화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친수성 약물 입자의 크기는 a) 단계의 친수성 약물이 용해된 용액의 유속, a) 단계의 친수성 약물 농도 및 a) 단계의 친수성 약물이 용해된 용액:반용매의 유속 비율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변수로 하여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친수성 약물 입자는 10 nm 내지 1,000 nm의 균일한 직경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a) 단계의 제 1 구간에서 친수성 약물이 용해된 용액과 반용매의 유속 비율은 1:2 내지 1:12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친수성 약물은 알렌드로네이트이고, 소수성 고분자 화합물은 폴리락틱-코-글리콜산, 폴리락타이드-코-글리콜라이드 (PLGA)이며, 수용성 고분자 화합물은 폴리비닐알코올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알렌드로네이트의 담지 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해 0.1 중량% 내지 2.5 중량%의 폴리비닐알코올 용액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알렌드로네이트의 담지율이 적어도 70%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조방법은 전술한 3차원 미세유체 반응기에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전술한 캡슐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균일한 크기의 친수성 약물 입자가 담지된 서방형 캡슐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전술한 캡슐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균일한 나노 입자 크기의 알렌드로네이트가 폴리락타이드-코-글리콜라이드에 담지된 서방형 캡슐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미세유체 반응기 및 이를 이용한 친수성 약물 입자가 담지된 캡슐의 제조방법은 연속-흐름을 기반으로 하여 2 단계의 3차원 유체 집속 효과를 통해 친수성 약물 입자 및 약물-고분자 캡슐의 크기를 균일하게 조절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조된 약물-고분자 캡슐은 서방형으로 체내에서 약물을 장기간 지속적으로 방출하는 것이 가능하여, 관련 질환을 치료하는데 보다 효과적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미세유체 반응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미세유체 반응기 중 유체와 인접하는 부분 만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미세유체 반응기의 단면을 도 1의 A-A 방향을 기준으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미세유체 반응기의 단면을 도 1의 B-B 방향을 기준으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미세유체 반응기의 다른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미세유체 반응기를 형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7은 폴리이미드계 필름으로 제조된 단일 흐름 기반의 3차원 집속 구조 (3D flow focusing)를 구비한 미세유체 반응기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여기서, 제 1 구간에서는 약물 입자화 및 침전이 이루어지고, 제 2 구간에서는 약물 입자와 담지체로 사용되는 고분자 화합물의 혼합이 이루어지며, 제 3 구간에서는 약물 입자가 고분자 화합물에 담지되어 캡슐화가 이루어진다.
도 8은 도 7의 제 1 구간에서 이루어지는 약물 입자화 및 침전 단계의 각 조건인 초기 약물 유속, 초기 약물 농도 및 용매:반용매의 유속 비율에 따른 약물 입자의 크기를 동적광산란광도계 (Dynamic Light Scattering, DLS)로 분석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도 7의 제 1 구간에서 이루어지는 약물 입자화 및 침전 단계의 약물 유속 및 용매:반용매 유속 비율에 따른 3차원 집속 효과를 전산 유체 역학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CFD)을 이용하여 계산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10은 3차원 미세유체 반응기 (a), 플라스크 (b) 및 T-형 장치 (c)를 각각 이용하여 제조된 약물-고분자 캡슐을 주사전자현미경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으로 분석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11은 3차원 미세유체 반응기 이용하여 제조된 약물-고분자 캡슐을 투과전자현미경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TEM)으로 분석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12는 3차원 미세유체 반응기를 이용한 약물-고분자 캡슐 (ALS-PLGA 캡슐)의 제조 시 PVA 농도에 따른 약물의 담지 효율을 비교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13은 3차원 미세유체 반응기 (a), 플라스크 (b) 및 T-형 장치 (c)를 각각 이용하여 제조된 약물-고분자 캡슐의 약물 담지 효율을 비교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미세유체 반응기 중 유체와 인접하는 부분 만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미세유체 반응기의 단면을 도 1의 A-A 방향을 기준으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미세유체 반응기의 단면을 도 1의 B-B 방향을 기준으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미세유체 반응기의 다른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미세유체 반응기를 형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7은 폴리이미드계 필름으로 제조된 단일 흐름 기반의 3차원 집속 구조 (3D flow focusing)를 구비한 미세유체 반응기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여기서, 제 1 구간에서는 약물 입자화 및 침전이 이루어지고, 제 2 구간에서는 약물 입자와 담지체로 사용되는 고분자 화합물의 혼합이 이루어지며, 제 3 구간에서는 약물 입자가 고분자 화합물에 담지되어 캡슐화가 이루어진다.
도 8은 도 7의 제 1 구간에서 이루어지는 약물 입자화 및 침전 단계의 각 조건인 초기 약물 유속, 초기 약물 농도 및 용매:반용매의 유속 비율에 따른 약물 입자의 크기를 동적광산란광도계 (Dynamic Light Scattering, DLS)로 분석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도 7의 제 1 구간에서 이루어지는 약물 입자화 및 침전 단계의 약물 유속 및 용매:반용매 유속 비율에 따른 3차원 집속 효과를 전산 유체 역학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CFD)을 이용하여 계산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10은 3차원 미세유체 반응기 (a), 플라스크 (b) 및 T-형 장치 (c)를 각각 이용하여 제조된 약물-고분자 캡슐을 주사전자현미경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으로 분석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11은 3차원 미세유체 반응기 이용하여 제조된 약물-고분자 캡슐을 투과전자현미경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TEM)으로 분석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12는 3차원 미세유체 반응기를 이용한 약물-고분자 캡슐 (ALS-PLGA 캡슐)의 제조 시 PVA 농도에 따른 약물의 담지 효율을 비교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13은 3차원 미세유체 반응기 (a), 플라스크 (b) 및 T-형 장치 (c)를 각각 이용하여 제조된 약물-고분자 캡슐의 약물 담지 효율을 비교하여 나타낸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미세유체 반응기(10, 이하 '미세유체 반응기')는 용해성 차이에 의한 침전 현상을 이용하여 약물 입자를 침전시키고, 이와 같이 침전된 약물 입자를 담지체에 담지하는 공정을 연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장치이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유체 반응기(10)는 약물 입자의 침전 공정과 담지 공정 사이에 별도의 건조 과정을 생략 가능함으로써, 건조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약물 입자의 재결정화를 방지할 수 있는 장치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미세유체 반응기(10)의 주요 구성 및 효과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미세유체 반응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미세유체 반응기 중 유체와 인접하는 부분 만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미세유체 반응기의 단면을 도 1의 A-A 방향을 기준으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미세유체 반응기의 단면을 도 1의 B-B 방향을 기준으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유체 반응기(10)는 서로 순차적으로 연결된 제 1 구조체(30), 제 2 구조체(50) 및 제 3 구조체(70)를 포함한다.
먼저, 제 1 구조체(30)는 약물이 포함된 제 1 유체(F1)로부터 약물 입자를 침전시키기 위해 제 1 유체(F1)와 제 2 유체(F2)가 연속적으로 혼합되도록 유로를 구비한 구조체이다.
구체적인 예시로서,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제 1 구조체(30)는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된 제 1 집중공간(40)의 각 측면(41 내지 46)에 연결되는 제 1 채널 내지 제 6 채널(31 내지 36)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 채널을 설명함에 있어서 채널은 내부에 유체가 이동할 수 있도록 중공을 구비하는 공간 구조로 규정한다.
이 때, 제 1 채널(31)은 일단부가 제 1 집중공간(40)의 제 1 면(31)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제 1 채널(31)의 타단부에는 제 1 유체(F1)를 공급할 수 있는 유체 펌프(P), 일례로 소량의 유체의 유동을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는 시린지 펌프가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 1 채널(31)을 통해 미세유체 반응기(10)의 외부로부터 제 1 집중공간(40) 측으로 제 1 유체(F1)가 공급될 수 있다.
이 때, 제 1 유체(F1)는 추후 침전에 의해 입자화되는 약물과, 상기 약물을 용해시키기 위한 용매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 1 집중공간(40)의 제 1 면(41)과 접하는 제 2 면 내지 제 5 면(42 내지 45)에는 각각 제 2 채널 내지 제 5 채널(32 내지 35)이 연결될 수 있다. 즉, 제 2 채널 내지 제 5 채널(32 내지 35)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유체(F1)를 십자가(cross) 형태로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제 2 채널 내지 제 5 채널(32 내지 35)의 일측부에는 제 1 채널(31)과 마찬가지로 유체 펌프(P)가 연결됨으로써 제 2 유체(F2)가 제 1 집중공간(40) 측으로 공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 2 유체(F2)는 제 1 유체(F1)와 혼합되어 상기 약물 입자를 침전시킬 수 있는 유체로서, 상기 약물에 대한 제 1 반용매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 1 유체(F1)와 제 2 유체(F2)가 제 1 집중공간(40)에서 혼합되는 경우, 제 1 유체(F1)에 포함된 용매와 제 1 반용매 사이의 용해도 차이가 발생하게 된다. 그 결과 상기 약물로부터 입자화된 형태의 약물 입자를 침전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용해도 차이를 이용하여 입자를 침전시키는 침전법(precipitation)은 이미 공지된 기술인 바,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제 2 채널 내지 제 5 채널(32 내지 35)은 십자가 형태로 배치되며, 제 2 채널 내지 제 5 채널(32 내지 35)과 연결되는 제 1 집중공간(40)의 측면(42 내지 45) 면적이 서로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 1 집중공간(40) 내부로 유입된 제 1 유체(F1)에 대하여 제 2 유체(F2)를 통해 상하 좌우 균등한 크기의 압력을 인가할 수 있다. 그 결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유체 반응기(10)는 일 방향(도 3을 기준으로 할 때 y 방향으로)으로 이동하는 제 1 유체(F1)에 대하여 어느 한 방향으로 치우침이 없이 고르게 제 2 유체(F2)를 혼합시킬 수 있으므로, 전체적으로 균일한 크기의 약물 입자를 침전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 이처럼 일 방향으로 이동하는 유체에 대하여 사방 균일한 크기의 유체 압력을 가하여 얻을 수 있는 효과를 '3차원 유체 흐름 집속 효과'라고 규정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 1 집중공간(40)을 기준으로 할 때, 제 1 채널(31)의 타측에는 제 6 채널(36)이 배치될 수 있다. 즉, 도 3을 참조하면, 제 1 집중공간(40)의 제 6 면(46)에는 제 6 채널(36)이 연결될 수 있다.
이 때, 제 6 채널(36)은 제 1 집중공간(40)에서 서로 혼합된 제 1 유체(F1)와 제 2 유체(F2)가 제 1 구조체(30)의 외부로 유출되는 통로로서 기능할 수 있다. 따라서, 제 6 채널(36)을 통해서 전술한 바와 같이 침전되어 입자화된 형태의 약물 입자도 함께 외부로 유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유체 반응기(10)는 제 1 구조체(30)의 일단부와 서로 유체 연통되는 제 2 구조체(50)를 포함한다.
이 때, 제 2 구조체(50)는 제 1 구조체(30)로부터 전달된 약물 입자를 담지하기 위한 담지체가 포함된 제 3 유체(F3)를 공급하고, 이를 약물 입자와 혼합시키도록 유로 구조를 구비할 수 있다.
예시적인 일례로서, 도 3을 참조하면, 제 2 구조체(50)는 제 1 구조체(30)에 포함된 제 6 채널(36)의 일단부와 서로 교차되도록 연결되는 제 7 채널(51)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제 7 채널(51)의 일측부(52)에 제 6 채널(36)이 서로 유체 연통 가능한 형태로 연결됨으로써, 제 6 채널(36)과 제 7 채널(51)이 서로 수직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일단부가 유체 펌프(P)와 연결된 제 7 채널(51)을 통해 제 3 유체(F3)가 미세유체 반응기(10)의 내부로 공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공급된 제 3 유체(F3)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6 채널(36)로부터 유입된 약물 입자와 서로 혼합된 후, 일 방향으로 유동할 수 있다.
이 때, 제 3 유체(F3)는 상기 약물 입자를 담지하기 위한 담지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담지체는 상기 약물 입자가 담지된 형태의 캡슐을 제조하기 위한 것으로서, 후술될 제 3 구조체(70)를 경유하여 최종적으로 캡슐화되었을 때 상기 약물 입자를 감싸는 구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 2 구조체(50)는 제 7 채널(51)의 타단부에 연결되는 제 8 채널(54)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도 3을 참조하면, 제 8 채널(54)은 제 7 채널(51)와 연결되되, 제 7 채널(51)의 일단부로부터 절곡된 형태로 연장 방향을 전환하는 제 1 절곡부(55a)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 8 채널(54)은 후술될 제 3 구조체(70)와 서로 연결될 때까지 절곡된 형태로 연장 방향을 전환하는 적어도 2개의 절곡부(55b 및 55c)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처럼 제 8 채널(54)이 복수의 절곡부(55a 내지 55c)를 구비함으로써, 도 3을 기준으로 할 때, 미세유체 반응기(10)의 y축 방향 길이를 연장하지 않고서도 약물 입자와 담지체가 충분히 혼합될 수 있는 채널 길이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절곡부(55a 내지 55c)를 통한 유체 흐름의 전환 시 발생되는 외력에 의해서, 약물 입자와 담지체의 혼합이 보다 촉진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제 8 채널(54)이 3개의 절곡부(55a 내지 55c)를 구비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보다 많은 수의 절곡부를 구비할 수 있다. 그러나, 많은 수의 절곡부를 구비할 경우, 유체 흐름 전환시 발생되는 압력 소산으로 인하여 유체에 적절한 크기의 압력을 제공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펌프의 용량을 고려하여 절곡부의 개수를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유체 반응기(10)는 제 2 구조체(50)의 일단부와 서로 유체 연통되는 제 3 구조체(70)를 더 포함한다.
이 때, 제 3 구조체(70)는 전술한 제 2 구조체(50)를 통해 혼합된 약물 입자와 담지체의 담지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제 2 반용매가 포함된 제 4 유체(F4)를 공급하도록 유로 구조를 구비할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제 3 구조체(70)는 제 1 구조체와 유사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3 구조체(70)는 제 1 구조체(30)의 제 1 집중공간(40)에 대응되는 공간으로서,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된 제 2 집중공간(80)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제 2 집중공간(80)의 제 1 면(81)에는 일단부가 제 2 구조체(50)의 제 8 채널(54)과 서로 연결되는 제 9 채널(71)이 연결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 2 구조체(50)로부터 약물 입자와 담지체가 혼합된 상태의 유체가 제 2 집중공간(80) 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집중공간(80)의 제 1 면(81)과 서로 접하는 4면(82 내지 85)에는 제 10 채널 내지 제 13 채널(72 내지 75)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10 채널 내지 제 13 채널(72 내지 75)의 각 단부에는 제 2 채널 내지 제 5 채널(32 내지 35)과 마찬가지로 유체 펌프(P)가 연결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 4 유체(F4)가 제 10 채널 내지 제 13 채널(72 내지 75)을 통해 제 2 집중공간(80) 측으로 공급될 수 있다.
이 때, 제 10 채널 내지 제 13 채널(72 내지 75)을 통해 공급된 제 4 유체(F4)는 제 2 집중공간(80)에서 제 9 채널(71)을 통해 이동된 약물 입자 및 담지체에 대하여 압력을 가하여 약물 입자가 포함된 캡슐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4 유체(F4)는 제 2 유체(F2)와 동일하게 3차원 유체 흐름 집속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제 2 집중공간(80)의 사방에서 약물 입자 및 담지체에 대하여 압력을 가함으로써, 담지체에 약물 입자가 담지되는 것을 가속화할 수 있으며, 사방 동일한 크기의 압력이 인가되므로 보다 균일한 크기의 약물 캡슐을 생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 2 집중공간(80)을 기준으로 할 때, 제 9 채널(71)의 타측, 구체적으로 제 2 집중공간(80)의 제 6면(86)에는 제 14 채널(76)이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 14 채널(76)을 통해서 제 2 집중공간(80)에서 캡슐화된 약물 입자가 외부로 이동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미세유체 반응기의 다른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유체 반응기(10)는 복수개의 제 1 구조체(30, 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복수개의 제 1 구조체(30)는 각각 다른 종류의 제 1 유체(F1) 내지 제 3 유체(F3)를 공급함으로써, 서로 다른 종류의 약물 입자를 침전시킬 수 있다. 다만, 복수개의 제 1 구조체(30, 30')는 공급되는 약물의 종류만 달리할 뿐, 구조 및 기능은 모두 동일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복수개의 제 1 구조체(30, 30')를 통해 각각 침전된 약물 입자가 서로 혼합되도록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제 6 채널(36,36')의 일단부가 서로 모이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합류된 제 6 채널(36)을 제 2 구조체(50)와 연결시키도록 별도의 연결 채널(37)이 도입될 수도 있다.
이처럼 복수개의 제 1 구조체(30, 30')를 구비함으로써, 물성 면에서 차이가 있는 이종 물질을 각각 침전시킨 후에 단일한 담지체에 일체로 담지시킬 수 있다.
한편, 이상을 통해 설명한 제 1 구조체 내지 제 3 구조체(30, 50 및 70)의 구조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다양한 형태의 제 1 구조체 내지 제 3 구조체(30, 50 및 70)가 적용될 수 있음을 밝혀 둔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미세유체 반응기를 형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유체 반응기(10)는 복수개의 평판형 필름(A1 내지 A8)을 적층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평판형 필름 (A1 내지 A8)의 적층 개수는 설계에 따라 다양하게 채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평판형 필름 (A1 내지 A8)은 내화학성이 우수한 폴리이미드(PI) 필름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각각의 평판형 필름 (A1 내지 A8)은 적층시 제 1 구조체(30) 내지 제 3 구조체(70)에 포함된 채널을 형성하도록 각기 다른 형상의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패턴은 레이저 식각(Laser Etching)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유체 반응기(10)는 미세한 크기의 반응기 내에 포함되는 복잡한 유로 구조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도 6을 참조하면, 각각의 평판형 필름 (A1 내지 A8)은 복수의 정렬홀(K)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정렬홀(K)을 공통적으로 관통하는 길이 부재에 의하여 평판형 필름(A1 내지 A8)을 보다 정밀하게 정렬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측면은 다음을 포함하는, 균일한 크기의 친수성 약물 입자가 담지된 캡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친수성 약물을 입자화하여 침전시키는 제 1 구간, 친수성 약물 입자와 소수성 고분자 화합물을 혼합하는 제 2 구간 및 친수성 약물 입자를 소수성 고분자 화합물에 담지하여 캡슐화하는 제 3 구간이 연속 일괄 공정으로 연결된 3차원 미세유체 반응기에서,
a) 제 1 구간에서 친수성 약물이 용해된 용액을 수평으로 유동시킨 상태에서 3차원 수직 4 방향으로 상기 친수성 약물에 대한 반용매를 투입하여 친수성 약물을 입자화한 후 침전시키는 단계;
b) 제 2 구간에서 소수성 고분자 화합물이 용해된 용액을 투입하여 침전된 친수성 약물 입자와 연속적으로 혼합시키는 단계; 및
c) 제 3 구간에서 수용성 고분자 화합물이 용해된 용액을 3차원 수직 4 방향으로 투입하여 친수성 약물 입자를 소수성 고분자 화합물에 담지시켜 캡슐화하는 단계.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3차원 미세유체 반응기의 제 1 구간은 친수성 약물을 입자화하여 침전시키는 구간으로, 3차원 유체 집속 효과를 통해 친수성 약물 입자의 크기를 균일하게 조절하여 침전시키는 a) 단계가 진행된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제 1 구간에서 2종 이상의 서로 다른 친수성 약물을 각각 개별적으로 입자화하여 침전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친수성 약물은 알렌드로네이트, 독소루비신 하이드로클로라이드, 바레니클린, 네오마이신 및 치료용 펩타이드 또는 단백질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으나, 이로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a) 단계의 친수성 약물에 대한 반용매는 아세토나이트릴 (ACN), 테트라하이드로퓨란, 다이메틸설폭사이드 및 에탄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으나, 친수성 약물에 반용매 작용을 할 수 있는 것이라면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도 6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각 초기 약물 유속 조건 (0.1 ml/분, 0.3 ml/분 및 0.5 ml/분)에서 약물 농도가 낮아질수록 약물 입자 크기는 작아지고, 각 약물 농도 조건 (5 mg/mL, 10 mg/mL 및 23.3 mg/mL)에서 초기 약물 유속이 커질수록 약물 입자 크기가 작아진다. 또한, 용매:반용매의 유속 비율이 증가할수록 약물의 입자 크기가 작아진다.
이와 같이, 상기 친수성 약물 입자의 크기는 a) 단계의 친수성 약물이 용해된 용액의 유속, a) 단계의 친수성 약물 농도 및 a) 단계의 친수성 약물이 용해된 용액:반용매의 유속 비율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변수로 하여 조절될 수 있으므로, 제조하고자 하는 약물 입자의 크기에 따라, 상기 각 조건들을 조절하여, 다양한 크기, 예를 들어 10 내지 1,000 nm의 직경을 갖는 균일한 크기의 나노입자 약물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a) 단계의 제 1 구간에서 친수성 약물이 용해된 용액과 상기 친수성 약물에 대한 반용매의 유속 비율은 1:2 내지 1:12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2 내지 1:10, 가장 바람직하게는 1:2 내지 1:8일 수 있다. 이때, 도 9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용매:반용매 유속 비율 1:12에서 반용매의 유속이 더 증가하는 경우 3차원 집속 효과가 감소하여 포커싱이 깨지는 현상이 발생하므로, 용매:반용매의 유속 비율은 상기 범위를 벗어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3차원 미세유체 반응기의 제 2 구간은 친수성 약물 입자와 소수성 고분자 화합물을 혼합하는 구간으로, 제 1 구간에서 침전된 친수성 약물 입자에 담지체 역할을 하는 소수성 고분자 화합물이 연속적으로 혼합되는 b) 단계가 진행된다. 이와 같은 연속 일괄 공정을 통해 약물 입자의 재결정화를 방지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균일한 크기의 약물 입자의 제조를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b) 단계의 소수성 고분자 화합물은 폴리락트산, 폴리락타이드, 폴리락틱-코-글리콜산, 폴리락타이드-코-글리콜라이드(PLGA), 폴리포스파진, 폴리이미노카보네이트, 폴리포스포에스테르, 폴리안하이드라이드, 폴리오르쏘에스테르, 락트산과 카프로락톤의 공중합체, 폴리카프로락톤, 폴리하이드록시발레이트, 폴리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 폴리아미노산, 락트산과 아미노산의 공중합체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일 수 있으나, 친수성 약물 입자를 담지하기 위한 용도로 적절하다고 공지된 모든 소수성 고분자 화합물을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3차원 미세유체 반응기의 제 3 구간은 친수성 약물 입자를 소수성 고분자 화합물에 담지하여 캡슐화하는 구간으로, 제 2 구간에서 혼합된 친수성 약물 입자와 소수성 고분자 화합물에 친수성 약물의 담지 효율을 높이기 위한 수용성 고분자 화합물을 3차원 집속으로 투입하여 균일한 크기의 약물-고분자 캡슐이 제조되는 c) 단계가 진행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c) 단계의 수용성 고분자 화합물은 친수성 약물을 소수성 고분자 화합물에 담지시키는 효율을 높이기 위한 친수성 약물 안정화제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폴록사머407 (pluronic f127, f108), 폴리소르베이트 20 (polysorbate 20), 폴리비닐알코올 (PVA) 또는 Tween 20 등일 수 있으나, 이로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제 3 구간에서 침전되는 약물-고분자 캡슐의 크기는 제 2 구간의 소수성 고분자 화합물의 농도와 소수성 고분자 화합물이 용해된 용액의 유속 및 제 3 구간의 수용성 고분자 화합물의 농도와 수용성 고분자 화합물이 용해된 용액의 유속을 변수로 하여 0.1 ㎛ 내지 2 ㎛ 의 균일한 직경으로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친수성 약물이 알렌드로네이트이고, 소수성 고분자 화합물이 폴리락틱-코-글리콜산, 폴리락타이드-코-글리콜라이드 (PLGA)이며, 수용성 고분자 화합물이 폴리비닐알코올인 경우, 알렌드로네이트의 담지 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해 0.1 중량% 내지 2.5 중량%의 폴리비닐알코올 용액을 사용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중량% 내지 2.5 중량%의 폴리비닐알코올 용액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도 12 및 13에 나타난 바와 같이 2 중량%의 폴리비닐알코올 용액을 사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미세유체 반응기로 약물-고분자 캡슐을 제조하는 경우, 최대 97%까지 약물의 담지 효율을 높일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른 알렌드로네이트의 담지율은 예를 들어, 50% 이상, 바람직하게는, 예를 들어, 70% 이상, 75% 이상, 80% 이상, 85% 이상, 90% 이상 또는 95% 이상일 수 있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최대 97%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조방법은 전술한 3차원 미세유체 반응기에서 수행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제 3 측면은 전술한 캡슐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균일한 크기의 친수성 약물 입자가 담지된 서방형 캡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 3 측면에 있어서, 균일한 크기의 친수성 약물 입자가 담지된 서방형 캡슐은 나노 입자 크기의 알렌드로네이트가 폴리락타이드-코-글리콜라이드에 담지된 서방형 캡슐 형태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이하에서 기술하는 특정 실시예 및 설명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일 뿐, 본 발 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범위는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균일한 크기의 친수성 약물 입자가 담지된 캡슐의 제조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도 1의 3차원 미세유체 반응기를 이용하여 균일한 크기의 친수성 약물 입자가 담지된 캡슐의 생산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해, 대표적인 약물 전달체로서 골다공증 치료제인 알렌드로네이트 (Alendronate)가 고분자 PLGA에 (Poly(Lactic-co-glycolic acid), PLGA)에 담지된 형태의 캡슐을 제조하였다.
1-1. 전산 유체 역학 시뮬레이션 설정
질량 보존식과 함께 압축 불가능한 나비에-스토크스 (Navier-stokes) 식으로 미세 채널 내부의 유체 흐름을 설명할 수 있다. 정상 상태를 가정하면, 유체 흐름을 위한 지배 방정식을 단순화할 수 있다.
[나비에-스토크스 식]
[질량 보존식]
상기 식에서, ρ는 유체 밀도이고, ν는 유체 선형 속도이며, p는 압력이고, μ는 유체 동적 점도이며, g는 중력 가속도이다. 전체 지배 방정식에서 적용된 경계조건은 미끄럼 방지 조건으로 설정되었으며, 따라서 유동층이 존재하는 모든 채널 계면(유체의 입구 및 출구, 채널 표면)에서의 유속을 0이라 하였다. 유한 부피 방법에 기초하여 식을 이산화시키고 상용화된 수치 소프트웨어 FLUENT 2019 R2(ANSYS, INC.)를 수치 시뮬레이션에 사용하였다. 담체 용매로서 25℃에서 물(998 kg m-3,0.00089kgm-1s-1)과 아세토나이트릴(786 kg m-3,0.00082kgm-1s-1)의 물리적 물성을 사용하였다.
1-2. Alendronate@PLGA의 제조
도 7의 모식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3차원 미세유체 반응기를 이용하여 표 1의 조건으로 약물-고분자 캡슐을 제조하였다. 이때, 3차원 미세유체 반응기의 제 1 구간에서 친수성 약물에 대한 반용매는 아세토나이트릴 (ACN)을 사용하였다.
약물/고분자 | 농도 | 용매 | 유속 |
알렌드로네이트 | 5~23.3 mg/mL | 정제수 | 0.1~0.5 mL/분 |
PLGA | 1~10 중량 wt% | ACN | 0.1~1 mL/분 |
PVA | 0.1~1 중량% | 정제수 | - |
초기 약물 유속, 약물 농도 및 용매-반용매 유속 비율 변화에 따른 약물 입자 크기 확인
본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3차원 미세유체 반응기를 이용한, 친수성 약물 입자가 담지된 캡슐의 제조에 있어서, 1) 초기 약물 유속, 2) 약물 농도 및 3) 용매:반용매의 유속 비율 변화에 따른 약물 입자의 크기를 확인하였다.
캡슐의 제조는 실시예 1-2와 동일하게 수행하였다. 이때, 초기 약물 유속을 각각 0.1 ml/분, 0.3 ml/분 및 0.5 ml/분으로 설정하고, 각 초기 약물 유속 조건에서 약물 농도를 각각 5 mg/mL, 10 mg/mL 및 23.3 mg/mL로 조절하면서, 각 약물 농도에서 용매:반용매의 유속 비율을 각각 1:2, 1:6 및 1:12로 변화시켰으며, 각 조건에 따라 제조된 약물 입자의 크기는 동적광산란광도계 (DLS)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도 8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각 초기 약물 유속 조건 (0.1 ml/분, 0.3 ml/분 및 0.5 ml/분)에서 약물 농도가 낮아질수록 약물 입자 크기가 작아졌고, 각 약물 농도 조건 (5 mg/mL, 10 mg/mL 및 23.3 mg/mL)에서 초기 약물 유속이 커질수록 약물 입자 크기가 작아졌다. 또한, 용매:반용매의 유속 비율이 증가할수록 약물의 입자 크기가 작아졌다. 상기 각 조건에 따라, 약물 입자의 크기를 50~410 nm의 직경으로 조절하여 다양한 크기의 나노입자 약물을 제조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약물의 종류, 약물의 표적 위치, 전달하고자 하는 약물 농도 등에 따라, 1) 초기 약물 유속, 2) 약물 농도 및 3) 용매:반용매의 유속 비율을 조절하여 수십 나노미터부터 수천나노미터 직경을 갖는 약물 입자를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초기 약물 유속 및 용매-반용매 유속 비율 변화에 따른 3차원 집속 (3D focusing) 효과 확인
본 발명의 3차원 미세유체 반응기를 이용한, 친수성 약물 입자가 담지된 캡슐의 제조에 있어서, 제 1 단계에서의 초기 약물 유속과 용매-반용매 유속 비율 조건에 따른 3차원 집속 흐름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 전산유체역학 (CFD)을 이용하여 흐름의 단면을 확인하였다. 이때, 약물 농도는 10 mg/mL으로 일정하게 유지한 상태에서 초기 약물 유속을 각각 0.1 ml/분, 0.3 ml/분 및 0.5 ml/분으로 설정하고, 각 초기 약물 유속 조건에서 용매:반용매의 유속 비율을 각각 1:2, 1:6 및 1:12로 변화시켰다. 3차원 집속 흐름에서 혼합의 정도에 따라 0 (파란색, 완전혼합)-1(빨간색, 완전 비혼합)으로 흐름 패턴을 색으로 나타내었다.
도 9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용매:반용매의 유속 비율을 1:2에서 1:6으로 증가시키는 경우 혼합 정도와 3차원 집속 효과가 증가하였으나, 용매:반용매의 유속 비율을 1:12로 증가시키는 경우 3차원 집속 효과가 감소하여 포커싱이 깨지는 현상이 발생하였다. 이러한 현상은 초기 약물 유속 조건을 변경하여도 동일하게 나타났다. 따라서, 용매와 반용매의 적절한 혼합 및 최적의 3차원 집속 흐름 효과를 나타내기 위해서는 용매:반용매의 유속 비율을 조절하는 것이 중요하며, 가장 바람직한 용매:반용매 유속 비율은 1:2 내지 1:8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플라스크, T-형 장치 및 3차원 미세유체 반응기로 제조된 약물-고분자 캡슐의 품질 비교
본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3차원 미세유체 반응기를 이용하여 제조된 약물-고분자 캡슐 및 종래의 공지된 약물-고분자 캡슐의 제조방법인 플라스크 제조방법과 T-형 장치를 이용한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각 약물-고분자 캡슐의 품질을 비교하였다.
각 제조방법에서 알렌드로네이트, PLGA 및 PVA의 농도는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일치시켰다.
약물/고분자 | 농도 |
알렌드로네이트 | 10 mg/mL |
PLGA | 2 중량% |
PVA | 1 중량% |
4-1. 3차원 미세유체 반응기 (in one-flow)를 이용한 제조방법
실시예 1에서 제작된 3차원 미세유체 반응기의 제 1 구간에서 알렌드로네이트가 용해된 용액의 초기 유속을 0.3 mL/분, 제 2 구간에서 알렌드로네이트가 용해된 용액:아세토나이트릴의 유속 비율을 1:6, 제 3 구간에서 PVA가 용해된 용액:PLGA가 용해된 아세토나이트릴의 유속 비율을 1:2로 설정하여, 약물-고분자 캡슐을 제조하였다.
4-2. 플라스크 (in batch) 기반 제조방법
플라스크 기반 제조방법은 문헌 [Results in Pharma Sciences 2 (2012) 79-85]에 기재된 방법과 동일하게 수행하였다. 다만, 친수성 약물의 종류, PLGA의 분자량의 차이 및 유속을 고려하여 알렌드로네이트의 용매인 정제수는 3 mL, 알렌드로네이트의 반용매로서 아세토나이트릴은 18 mL, PLGA의 용매로서 아세토나이트릴은 9.5 mL, PVA의 용매로서 정제수는 1.9 mL의 양으로 조절하였다.
4-3. T-형 장치를 이용한 제조방법
T-형 장치 (Upchurch Scientific. Co.) 를 이용한 제조방법은 실시예 4-1의 3차원 미세유체 반응기를 이용한 제조방법과 동일한 조건에서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제 1 구간에서 알렌드로네이트가 용해된 용액의 초기 유속을 0.3 mL/분, 제 2 구간에서 알렌드로네이트가 용해된 용액:아세토나이트릴의 유속 비율을 1:6, 제 3 구간에서 PVA가 용해된 용액:PLGA가 용해된 아세토나이트릴의 유속 비율을 1:2로 설정하여, 약물-고분자 캡슐을 제조하였다.
4-4. 각 제조방법에 따른 약물-고분자 캡슐의 품질 비교
실시예 4-1 내지 4-3에서 각각 제조된 약물-고분자 캡슐의 형태 및 크기 분포도를 주사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도 10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약물-고분자 캡슐은 모두 구형으로 제조되었다. 플라스크에서 제조된 약물 고분자의 크기 분포도는 70 % 이상의 크기 차이를 보였으며, T-형 장치를 이용한 방법은 보다 더 균일한 48 % 이상의 차이를 보였다. 이는, 불균일한 약물 방출을 유도한다. 하지만, 3차원 미세유체 반응기 (in one-flow)에서 제조된 약물 고분자 캡슐의 분포도는 15 % 이하의 크기 분포를 가지고 있어 서방출을 유도할 수 있다.
또한, 각 제조방법에 따른 약물-고분자 캡슐의 크기는 표 3에 나타내었다.
제조방법 | 약물-고분자 캡슐 크기 |
실시예 4-1 | 0.1~10 ㎛ (바람직하게는 0.1~1 ㎛) |
실시예 4-2 | 0.1~100 ㎛ (바람직하게는 0.6~45 ㎛) |
실시예 4-3 | 0.1~50 ㎛ (바람직하게는 0.6~15 ㎛) |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4-2 (플라스크)와 실시예 4-3 (T-형 장치)의 방법으로 제조된 약물-고분자 캡슐의 크기는 실시예 4-1 (3차원 미세유체 반응기)의 방법으로 제조된 약물-고분자 캡슐의 크기보다 넓은 범위를 나타내어 균일도가 떨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따라, 실시예 4-1의 3차원 미세유체 반응기를 이용한 제조방법에서 가장 고품질의 약물-고분자 캡슐을 수득할 수 있었다. 각 제조방법에서 제조된 약물-고분자 캡슐의 품질은 실시예 4-2 (플라스크) < 실시예 4-3 (T-형 장치) < 실시예 4-1 (3차원 미세유체 반응기)으로 평가되었다.
실시예 4-1의 3차원 미세유체 반응기를 이용한 제조방법에서 수득된 약물-고분자 캡슐을 투과전자현미경 (TEM)으로 확인한 결과, 도 1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알렌드로네이트가 PLGA에 적절하게 로딩되어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균일한 약물 입자 크기를 갖는 고품질의 약물-고분자 캡슐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실시예 4-1의 3차원 미세유체 반응기를 이용한 제조방법이 가장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이때, 3차원 미세유체 반응기의 제 2 구간 (PLGA/약물 혼합)에서 PLGA의 농도와 PLGA가 용해된 아세토나이트릴의 유속 및 제 3 구간 (약물/고분자 캡슐화)에서 PVA의 농도와 PVA가 용해된 정제수의 유속을 조절한다면, 약 2 μm까지 캡슐 입자의 크기를 재현성 있게 선택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알렌드로네이트의 담지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조건 확립
친수성 약물인 알렌드로네이트를 소수성 고분자 화합물인 PLGA에 효과적으로 담지시키기 위해, 실시예 1의 제조방법의 제 3 구간에서는 알렌드로네이트의 안정화제 (stabilizer)로 PVA가 사용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알렌드로네이트의 담지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최적의 PVA 농도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5-1. PVA 농도의 최적화
실시예 4-1의 3차원 미세유체 반응기를 이용한 제조방법과 동일한 조건으로 약물-고분자 캡슐을 제조하되, PVA (PLGA의 반용매에 용해됨)의 농도를 각각 0.5 중량%, 1 중량% 및 2 중량%로 달리하여 PVA 농도에 따른 알렌드로네이트의 담지 효율을 평가하였다. 담지 효율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평가하였다.
제조된 약물-고분자 캡슐의 고분자 부분을 선택적으로 용매(DCM)에 분산시켜 용해하고, 13000 rpm에서 15 분동안 원심분리를 후 DCM에 재 분산시켜 남아 있는 고분자를 모두 제거한다. 이후 남아 있는 친수성 약물을 정제수 1 mL에 분산시킨 다음 UV-vis를 통해 흡광도를 측정하여 기존의 친수성 약물 검정곡선 그래프를 통하여 친수성 약물의 양을 계산한다. 이후, 미세유체를 통하여 소모된 친수성 약물과 상기 Uv-vis을 통하여 측정된 친수성 약물의 농도를 비교하여 담지 효율을 확인하였다.
도 12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PVA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알렌드로네이트의 담지 효율이 증가하였다. 이에 따라, 알렌드로네이트의 담지 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한 최적의 PVA 농도는 2 중량%로 선정되었다.
5-2. 각 제조방법에 따른 알렌드로네이트의 담지 효율 비교
제조방법 차이에 따른 알렌드로네이트 담지 효율을 비교하기 위해, PVA의 농도를 2 중량%로 일치시킨 후, 실시예 4-1 (3차원 미세유체 반응기), 4-2 (플라스크) 및 4-3 (T-자형 장치)과 동일한 방법으로 각각 제조된 약물-고분자 캡슐에서 알렌드로네이트의 담지율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도 13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실시예 4-1의 3차원 미세유체 반응기를 이용한 제조방법은 96 ± 18%의 약물 담지 효율을 나타내어, 다른 2가지 제조방법에 비해 현저하게 높은 약물 담지 효율을 나타냈다.
Claims (19)
- 친수성 약물을 입자화하여 침전시키는 제 1 구간, 친수성 약물 입자와 소수성 고분자 화합물을 혼합하는 제 2 구간 및 친수성 약물 입자를 소수성 고분자 화합물에 담지하여 캡슐화하는 제 3 구간이 연속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 1 구간은,
육면체 형상을 가지는 제 1 집중공간의 일측면에 연결되어 상기 제 1 집중공간 측으로 상기 제 1 유체를 공급하는 제 1 채널;
상기 제 1 집중공간의 상기 일측면과 접하는 4면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제 1 집중공간의 내부 측으로 상기 제 2 유체를 공급하는 제 2 채널 내지 제 5 채널 및
상기 제 1 집중공간의 일측면과 대향하는 타측면에 연결되어 상기 제 1 집중공간으로부터 상기 약물 입자가 유출되는 제 6 채널을 포함하는 3차원 미세유체 반응기에서,
a) 상기 제 1 구간에서 친수성 약물이 용해된 용액을 수평으로 유동시킨 상태에서 3차원 수직 4 방향으로 상기 친수성 약물에 대한 반용매를 투입하여 친수성 약물을 입자화한 후 침전시키는 단계;
b) 상기 제 2 구간에서 소수성 고분자 화합물이 용해된 용액을 투입하여 침전된 친수성 약물 입자와 연속적으로 혼합시키는 단계; 및
c) 상기 제 3 구간에서 수용성 고분자 화합물이 용해된 용액을 3차원 수직 4 방향으로 투입하여 친수성 약물 입자를 소수성 고분자 화합물에 담지시켜 캡슐화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균일한 크기의 친수성 약물 입자가 담지된 캡슐의 제조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구간은 서로 다른 약물 입자를 침전시키도록 복수 개의 제 1 구간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제 1 구간은 서로 합류된 후 상기 제 2 구간과 연결되는, 균일한 크기의 친수성 약물 입자가 담지된 캡슐의 제조방법.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제 1 구간에서 2종 이상의 서로 다른 친수성 약물을 각각 개별적으로 입자화하여 침전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균일한 크기의 친수성 약물 입자가 담지된 캡슐의 제조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친수성 약물은 알렌드로네이트, 독소루비신 하이드로클로라이드, 바레니클린, 네오마이신 및 치료용 펩타이드 또는 단백질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균일한 크기의 친수성 약물 입자가 담지된 캡슐의 제조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의 친수성 약물에 대한 반용매는 아세토나이트릴, 테트라하이드로퓨란, 다이메틸설폭사이드 및 에탄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균일한 크기의 친수성 약물 입자가 담지된 캡슐의 제조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의 소수성 고분자 화합물은 폴리락트산, 폴리락타이드, 폴리락틱-코-글리콜산, 폴리락타이드-코-글리콜라이드(PLGA), 폴리포스파진, 폴리이미노카보네이트, 폴리포스포에스테르, 폴리안하이드라이드, 폴리오르쏘에스테르, 락트산과 카프로락톤의 공중합체, 폴리카프로락톤, 폴리하이드록시발레이트, 폴리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 폴리아미노산, 락트산과 아미노산의 공중합체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소수성 고분자 화합물인, 균일한 크기의 친수성 약물 입자가 담지된 캡슐의 제조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의 수용성 고분자 화합물은 친수성 약물을 소수성 고분자 화합물에 담지시키는 효율을 높이기 위한 친수성 약물 안정화제인 것인, 균일한 크기의 친수성 약물 입자가 담지된 캡슐의 제조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친수성 약물 입자의 크기는 상기 a) 단계의 친수성 약물이 용해된 용액의 유속, 상기 a) 단계의 친수성 약물 농도 및 상기 a) 단계의 친수성 약물이 용해된 용액 : 친수성 약물에 대한 반용매의 유속 비율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변수로 하여 조절되는, 균일한 크기의 친수성 약물 입자가 담지된 캡슐의 제조방법.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친수성 약물 입자는 10 nm 내지 1,000 nm 의 균일한 직경을 갖는, 균일한 크기의 친수성 약물 입자가 담지된 캡슐의 제조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의 제 1 구간에서 친수성 약물이 용해된 용액과 반용매의 유속 비율은 1:2 내지 1:12인 것인, 균일한 크기의 친수성 약물 입자가 담지된 캡슐의 제조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친수성 약물은 알렌드로네이트이고, 소수성 고분자 화합물은 폴리락틱-코-글리콜산, 폴리락타이드-코-글리콜라이드 (PLGA)이며, 수용성 고분자 화합물은 폴리비닐알코올인 것인, 균일한 크기의 친수성 약물 입자가 담지된 캡슐의 제조방법.
-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알렌드로네이트의 담지 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해 0.1 중량% 내지 2.5 중량%의 폴리비닐알코올 용액을 사용하는, 균일한 크기의 친수성 약물 입자가 담지된 캡슐의 제조방법.
-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알렌드로네이트의 담지율이 적어도 70% 이상인, 균일한 크기의 친수성 약물 입자가 담지된 캡슐의 제조방법.
- 3차원 미세유체 반응기에서 수행되는 균일한 크기의 친수성 약물 입자가 담지된 캡슐의 제조방법으로서,
상기 3차원 미세유체 반응기는,
용해성 차이에 의한 침전 현상을 이용하여 약물 입자를 침전시키기 위해 약물 및 용매가 포함된 제 1 유체와, 제 1 반용매가 포함된 제 2 유체가 연속적으로 혼합되도록 유로 구조를 구비하는 제 1 구조체
상기 제 1 구조체로부터 전달된 상기 약물 입자를 담지하기 위해 담지체가 포함된 제 3 유체를 공급하도록 유로 구조를 구비하는 제 2 구조체 및
상기 제 2 구조체와 유체 연통되며, 상기 담지체에 대한 상기 입자 약물의 담지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제 2 반용매가 포함된 제 4 유체를 공급하도록 유로 구조를 구비하는 제 3 구조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구조체는,
육면체 형상을 가지는 제 1 집중공간의 일측면에 연결되어 상기 제 1 집중공간 측으로 상기 제 1 유체를 공급하는 제 1 채널;
상기 제 1 집중공간의 상기 일측면과 접하는 4면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제 1 집중공간의 내부 측으로 상기 제 2 유체를 공급하는 제 2 채널 내지 제 5 채널 및
상기 제 1 집중공간의 일측면과 대향하는 타측면에 연결되어 상기 제 1 집중공간으로부터 상기 약물 입자가 유출되는 제 6 채널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구조체와 상기 제 2 구조체가 서로 유체 연통되어 상기 제 1 구조체로부터 침전된 상기 약물 입자가 상기 제 2 구조체 측으로 지체 없이 전달됨으로써 상기 약물 입자의 침전 공정 및 담지 공정이 연속 일괄 공정으로 이루어지는, 균일한 크기의 친수성 약물 입자가 담지된 캡슐의 제조방법. -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구조체는,
상기 제 1 구조체의 일단부와 교차되도록 연결되며 상기 제 3 유체를 공급하는 제 7 채널 및
상기 제 7 채널의 일단부와 연결되며 적어도 3개의 절곡부를 구비하는 제 8 채널을 포함하는, 균일한 크기의 친수성 약물 입자가 담지된 캡슐의 제조방법. -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구조체는,
일단부가 상기 제 2 구조체의 일단부와 연결되며 타단부가 육면체 형상을 가지는 제 2 집중공간의 일측면에 연결되는 제 9 채널;
상기 제 2 집중공간의 상기 일측면과 접하는 4면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제 2 집중공간의 내부 측으로 상기 제 4 유체를 공급하는 제 10 채널 내지 제 13 채널 및
상기 제 2 집중공간의 일측면과 대향하는 타측면에 연결되어 상기 제 2 집중공간으로부터 상기 담지체에 의해 캡슐화된 상기 약물 입자가 유출되는 제 14 채널을 포함하는, 균일한 크기의 친수성 약물 입자가 담지된 캡슐의 제조방법. -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구조체는,
상기 6 채널의 일단부와 교차되도록 연결되며 상기 제 3 유체를 공급하는 제 7 채널 및 상기 제 7 채널의 일단부와 연결되며 적어도 3개의 절곡부를 구비하는 제 8 채널을 포함하고,
상기 제 3 구조체는,
일단부가 상기 제 8 채널의 일단부와 연결되며 타단부가 육면체 형상을 가지는 제 2 집중공간의 일측면에 연결되는 제 9 채널; 상기 제 2 집중공간의 상기 일측면과 접하는 4면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제 2 집중공간의 내부 측으로 상기 제 4 유체를 공급하는 제 10 채널 내지 제 13 채널 및 상기 제 2 집중공간의 일측면과 대향하는 타측면에 연결되어 상기 제 2 집중공간으로부터 상기 담지체에 의해 캡슐화된 상기 약물 입자가 유출되는 제 14 채널을 포함하는, 균일한 크기의 친수성 약물 입자가 담지된 캡슐의 제조방법. - 제 1 항 내지 제 17 항 중 어느 한 항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균일한 크기의 친수성 약물 입자가 담지된 서방형 캡슐로서,
상기 친수성 약물 입자는 10 nm 내지 1,000 nm의 균일한 직경을 가지고, 상기 서방형 캡슐은 0.1 내지 10 ㎛의 크기를 가지는, 서방형 캡슐. - 제 1 항 내지 제 17 항 중 어느 한 항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균일한 나노 입자 크기의 알렌드로네이트가 폴리락타이드-코-글리콜라이드에 담지된 서방형 캡슐로서,
상기 알렌드로네이트는 10 nm 내지 1,000 nm의 균일한 직경을 가지고, 상기 서방형 캡슐은 0.1 내지 10 ㎛의 크기를 가지는, 서방형 캡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16248 | 2020-09-10 | ||
KR20200116248 | 2020-09-10 | ||
KR1020210008661A KR102499988B1 (ko) | 2020-09-10 | 2021-01-21 | 약물 입자 담지율 향상을 위한 3차원 미세유체 반응기 및 이를 이용한 균일한 캡슐의 연속 일괄 제조방법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08661A Division KR102499988B1 (ko) | 2020-09-10 | 2021-01-21 | 약물 입자 담지율 향상을 위한 3차원 미세유체 반응기 및 이를 이용한 균일한 캡슐의 연속 일괄 제조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133846A KR20220133846A (ko) | 2022-10-05 |
KR102558150B1 true KR102558150B1 (ko) | 2023-07-21 |
Family
ID=8093623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08661A KR102499988B1 (ko) | 2020-09-10 | 2021-01-21 | 약물 입자 담지율 향상을 위한 3차원 미세유체 반응기 및 이를 이용한 균일한 캡슐의 연속 일괄 제조방법 |
KR1020220121525A KR102558150B1 (ko) | 2020-09-10 | 2022-09-26 | 약물 입자 담지율 향상을 위한 3차원 미세유체 반응기 및 이를 이용한 균일한 캡슐의 연속 일괄 제조방법 |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08661A KR102499988B1 (ko) | 2020-09-10 | 2021-01-21 | 약물 입자 담지율 향상을 위한 3차원 미세유체 반응기 및 이를 이용한 균일한 캡슐의 연속 일괄 제조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2) | KR102499988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3229438A1 (ko) * | 2022-05-26 | 2023-11-30 |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 마이크로 캡슐을 제조하기 위한 미세유체반응기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외부 자극 반응성 마이크로 캡슐 |
CN117618441A (zh) * | 2022-08-15 | 2024-03-01 | 深圳善康医药科技股份有限公司 | 包含伐尼克兰的缓释制剂及其制备方法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20522505A (ja) | 2017-05-31 | 2020-07-30 | デーウン ファーマシューティカル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 放出制御が容易な徐放性薬物微粒子の製造方法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ATE530250T1 (de) * | 2006-03-09 | 2011-11-15 | Sekisui Chemical Co Ltd | Mikrofluidische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verdünnung von flüssigkeit in spuren |
KR101092379B1 (ko) * | 2009-09-03 | 2011-12-09 |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 고분자 필름을 이용한 마이크로 리액터 및 이의 제조방법 |
KR101741982B1 (ko) * | 2015-01-22 | 2017-05-31 | 주식회사 셀루메드 | 이중 약물 전달을 위한 다공성 생분해성 고분자 미립자 및 그의 제조 방법 |
-
2021
- 2021-01-21 KR KR1020210008661A patent/KR102499988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22
- 2022-09-26 KR KR1020220121525A patent/KR102558150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20522505A (ja) | 2017-05-31 | 2020-07-30 | デーウン ファーマシューティカル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 放出制御が容易な徐放性薬物微粒子の製造方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499988B1 (ko) | 2023-02-15 |
KR20220033960A (ko) | 2022-03-17 |
KR20220133846A (ko) | 2022-10-0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558150B1 (ko) | 약물 입자 담지율 향상을 위한 3차원 미세유체 반응기 및 이를 이용한 균일한 캡슐의 연속 일괄 제조방법 | |
Tao et al. | Application of flash nanoprecipitation to fabricate poorly water-soluble drug nanoparticles | |
Lee et al. | PLA micro-and nano-particles | |
Ramazani et al. | Strategies for encapsulation of small hydrophilic and amphiphilic drugs in PLGA microspheres: state-of-the-art and challenges | |
Liu et al. | Core/shell nanocomposites produced by superfast sequential microfluidic nanoprecipitation | |
JP6025706B2 (ja) | 微小粒子またはナノ粒子を生成する方法および装置 | |
Forigua et al. | Recent advances in the design of microfluidic technologies for the manufacture of drug releasing particles | |
He et al. | A modified microfluidic chip for fabrication of paclitaxel-loaded poly (l-lactic acid) microspheres | |
Maulvi et al. | Application of 3D printing technology in the development of novel drug delivery systems | |
Kaialy et al. | Recent advances in the engineering of nanosized active pharmaceutical ingredients: promises and challenges | |
Khan et al. | Continuous-flow encapsulation of ketoprofen in copolymer microbeads via co-axial microfluidic device: Influence of operating and material parameters on drug carrier properties | |
Sharifi et al. | Continuous in-line homogenization process for scale-up production of naltrexone-loaded PLGA microparticles | |
Dobhal et al. | A microreactor-based continuous process for controlled synthesis of poly-methyl-methacrylate-methacrylic acid (PMMA) nanoparticles | |
Wischke | Concepts for efficient preparation of particulate polymer carrier systems by droplet-based microfluidics | |
Siavashy et al. | A comprehensive review of one decade of microfluidic platforms applications in synthesis of enhanced carriers utilized in controlled drug delivery | |
CA2918541A1 (en) | Method and device for manufacturing polymer particles containing a therapeutic material | |
Dwivedi et al. | Nano-size polymers via precipitation of polymer solutions | |
Heshmatnezhad et al. | Production of doxorubicin-loaded PCL nanoparticles through a flow-focusing microfluidic device: encapsulation efficacy and drug release | |
Fang et al. | Dispersion-based methods for the engineering and manufacture of polymeric nanoparticles for drug delivery applications | |
BR112015025694B1 (pt) | Método de produção de micropartículas poliméricas moldadas com formato não esférico | |
Türeli | Nanoparticle preparation process using novel microjet reactor technology for enhancing dissolution rates of poorly water soluble drugs | |
EP4162930B1 (en) | Preparation of drug-loaded micro- and nanoparticles by jet impingement | |
Saikh et al. | Specialised coating processes finding pharmaceutical applicability | |
EP4163006B1 (en) | Methods for validating an apparatus for producing nanoparticles | |
Abirami | Review on Microspheres Drug Delivery System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