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7652B1 -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7652B1
KR102557652B1 KR1020160106367A KR20160106367A KR102557652B1 KR 102557652 B1 KR102557652 B1 KR 102557652B1 KR 1020160106367 A KR1020160106367 A KR 1020160106367A KR 20160106367 A KR20160106367 A KR 20160106367A KR 102557652 B1 KR102557652 B1 KR 1025576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indoor unit
distance
indoor
van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63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21596A (ko
Inventor
김상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063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7652B1/ko
Publication of KR201800215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15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76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76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72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 F24F11/79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the supplied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4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 F24F1/004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mounted in the ceiling or at the cei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24F11/49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ensuring correct operation, e.g. by trial operation or configuration chec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2Indication arrangements, e.g.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6Remote contr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89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2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users or occupants
    • F24F2120/10Occupanc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uzzy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냉온의 공기를 실내로 토출하는 복수의 토출구에 대하여, 실내기의 설치 위치 및 공간의 형태에 따라 복수의 토출구에 설치된 복수의 베인의 개도각을 설정하여 기본값으로 저장함으로써, 설치위치에 따라 각 토출구로부터 기류가 상이하게 토출되도록 하고, 반복적인 설정 없이도 운전시작 시 베인의 개도각이 기본값으로 자동 설정되어 기류가 지정된 위치로 토출되어 공간의 크기 또는 형태에 따라 동일하게 기류를 제어할 수 있고, 토출된 공기가 실내공간에 균일하게 공급되어 보다 효과적으로 냉난방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Air-conditioner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실내기가 설치된 공간에 따라 냉온의 공기를 토출하는 복수의 토출구를 제어하는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공기조화기는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실내로 냉온의 공기를 토출하여, 실내 온도를 조절하고, 실내 공기를 정화하도록 함으로서 인간에게 보다 쾌적한 실내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설치된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열교환기로 구성되어 실내에 설치되는 실내기와, 압축기 및 열교환기 등으로 구성되어 실내기로 냉매를 공급하는 실외기를 포함한다.
공기조화기는 열교환기로 구성된 실내기와, 압축기 및 열교환기 등으로 구성된 실외기로 분리되어 제어되며, 실외기 및 실내기가 냉매배관으로 연결되어, 실외기의 압축기로부터 압축된 냉매가 냉매배관을 통해 실내기의 열교환기로 공급되고, 실내기의 열교환기에서 열교환된 냉매는 다시 냉매배관을 통해 실외기의 압축기로 유입된다. 그에 따라 실내기는 냉매를 이용한 열교환을 통해 냉온의 공기를 실내로 토출한다.
이러한 공기조화기는 복수의 토출구를 구비하여, 복수의 방향으로 냉온의 공기를 토출한다. 공기조화기는 토출구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에 대하여 풍향과 풍량을 설정하여 제어한다.
그러나 실내기가 설치되는 위치 또는 공간의 형태에 따라 실제 토출되는 기류가 도달하지 않는 영역이 발생하는 등 실내 공간에 균일하게 토출된 기류가 도달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출원 JP2012042138A와 같이, 토출되는 공기에 대한 기류제어를 수행하고 그애 대한 정보를 표시하고는 있으나, 실내기의 설치위치나 공간을 고려하지 않고 단순히 기류를 제어하고 있다.
또한, 특허출원 KR20140018395A의 경우에는 리모컨을 통해 바람의 방향을 조절하도록 하고 있으나, 이는 사용할때마다 사용자가 재설정을 해야하는 문제가 있고, 또한, 모든 토출구를 동일하게 제어하므로 설치위치나 공간에 따라 개별제어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에 있어서, 냉온의 공기를 실내로 토출하는 복수의 토출구에 대하여, 실내기의 설치 위치 및 공간의 형태에 따라 복수의 토출구를 각각 제어하는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복수의 토출구에 설치되어 기류의 방향을 조절하는 복수의 베인; 상기 복수의 베인에 대한 개폐를 제어하는 베인구동부; 상기 복수의 베인에 대한 개도각을 설정하여 상기 베인구동부로 제어명령을 인가하는 유닛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유닛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토출구로부터 벽면까지의 거리를 바탕으로 실내 공간에서의 실내기 설치위치를 판단하고, 실내기의 설치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복수의 토출구로부터 노출되는 기류의 방향이 변경되도록, 상기 복수의 베인에 대한 개도각의 기본값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은, 운전개시명령이 입력되면, 복수의 토출구에 설치된 복수의 베인에 대하여, 기류제어를 위해 설정된, 개도각에 대한 설정데이터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설정데이터를 바탕으로, 상기 복수의 베인에 대한 개도각을 각각의 기본값으로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베인을 통해 기류를 토출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은 실내기d에 구비되는 센서를 통해 공간의 크기를 측정하여 토출구에 설치된 베인의 개도각을 설정하여 기본값으로 저장함으로써, 설치위치에 따라 각 토출구로부터 기류가 상이하게 토출되도록 하고, 반복적인 설정없이도 운전시작 시 베인의 개도각이 기본값으로 자동 설정되어 기류가 지정된 위치로 토출되어 공간의 크기 또는 형태에 따라 동일하게 기류를 제어할 수 있고, 토출된 공기가 실내공간에 균일하게 공급되어 보다 효과적으로 냉난방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기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구성이 도시된 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1 의 실내기의 구성이 도시된 블록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1 의 리모컨의 구성이 도시된 블록도이다.
도 4a 는 실내공간에 설치되는 실내기와 리모컨의 설치예가 도시된 예시도이다.
도 4b 는 실내기의 설치위치 및 공간의 크기를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예시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모컨이 도시된 도이다.
도 6 은 도 5의 리모컨의 개도각 제어메뉴가 도시된 도이다.
도 7 은 복수의 실내기가 설치되는 경우 거리 산출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이다.
도 8 은 도 7의 복수의 실내기에 대한 기류제어를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이다.
도 9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내기의 공간크기에 따른 기류제어방법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순서도이다.
도 10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모컨의 실내기 제어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도 1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내기의 베인 개도각 설정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기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구성이 도시된 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조화기는, 복수의 실내기(20)(21 내지 26), 적어도 하나의 실외기(10), 복수의 실내기에 각각 연결되는 복수의 리모컨(30)(31 내지 36), 복수의 실내기(20) 및 실외기(10)와 연결되어 그 동작을 제어하고 모니터링하는 중앙제어기(50)를 포함한다.
중앙제어기(50)는 입력되는 사용자 명령에 대응하여 복수의 실내기(20) 및 실외기(10)의 동작을 제어하고, 그에 대응하는 복수의 실내기 및 실외기의 동작상태에 대한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수신하여 저장하며, 모니터링화면을 통해 동작상태를 출력한다.
중앙제어기(50)는 복수의 실내기(20)에 연결되어 실내기에 대한 운전설정, 잠금설정, 스케줄제어, 그룹제어, 전력사용에 대한 피크제어, 디멘드제어 등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중앙제어기(50)는 하나가 구비되는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하나 복수의 중앙제어기가 구비되어 상호 연결될 수 있고, 경우에 따라 소정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중앙제어기(50)는 리모컨(30)에 의해 실내기의 운전설정이 변경되는 경우, 그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한다. 또한, 중앙제어기(50) 또는 리모컨(30)을 통해 입력되는 설정에 충돌이 발생하는 경우, 중앙제어기(50)는 리모컨(30)에 우선하여 실내기 및 실외기를 제어할 수 있다.
중앙제어기(50)는 외부 네트워크(미도시)와 연결되어,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접속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고, 외부 접속을 통한 요청을 처리한다.
리모컨(30)은 실내기와 유선 또는 무선통신방식으로 연결되어 실내기로 사용자명령을 입력하고, 실내기의 데이터를 수신하여 출력한다. 리모컨(30)은 실내기와의 연결방식에 따라 상호 데이터를 송수신하여, 실내기로 사용자 명령을 전송하고, 실내기의 데이터를 수신하여 실내기 정보를 표시한다. 경우에 따라 리모컨은 일방향 통신으로, 실내기로 사용자 명령 또는 실내기에 대한 데이터를 전송한다.
리모컨(30)은 복수의 실내기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어, 연결된 실내기로 제어명령을 전송하고, 연결된 실내기의 정보를 출력한다. 예를 들어 제 1 리모컨(31)은 제 1 실내기(21)에 연결되고, 제 2 리모컨(32)은 제 2 실내기(22)에 연결된다. 경우에 따라 복수의 실내기에 하나의 리모컨이 연결되어 하나의 리모컨을 통해 복수의 실내기의 설정을 동시에 변경할 수 있다.
리모컨(30)은 연결된 실내기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고, 실내기의 설정이 변경되는 경우 실내기의 데이터를 갱신하여 저장한다. 리모컨(30)은 실내기 동작 시, 실내기에 대한 기본데이터를 실내기로 전송하고, 실내기가 기본 데이터에 따라 설정된 운전을 수행하도록 한다.
공기조화기는 실외기(10)와 실내기(20)를 포함하는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하나, 환기유닛, 공기청정장치, 가습장치, 히터 중 적어도 하나의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유닛은 실내기 및 실외기의 동작에 연동하여 동작할 수 있다.
실외기(10)는 각각 복수의 실내기(20)에 냉매배관으로 연결되어, 실내기로 냉매를 공급한다. 또한, 실외기(10)는 복수의 실내기와 주기적으로 통신하여 상호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실내기로부터 변경되는 운전설정에 따라 동작을 변경하고, 또한, 실내기의 동작상태를 중앙제어기(50)로 전송한다.
실내기(20)는 실외기(10)로부터 공급되는 냉매를 팽창시키는 팽창밸브(미도시), 냉매의 열교환시키는 실내열교환기(미도시), 실내공기가 실내열교환기로 유입되도록 하고, 열교환된 공기가 실내로 노출되도록 하는 실내기팬(미도시), 다수의 센서(미도시), 실내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수단(미도시)을 포함한다.
또한, 실내기(20)는 열교환된 공기를 토출하는 토출구(미도시)를 포함하고, 토출구에는 토출구를 여닫고,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제어하는 풍향조절수단으로 베인 또는 루버가 구비된다. 실내기는 실내기팬의 회전속도를 제어함으로써 흡입되는 공기 및 토출되는 공기를 제어하며, 풍량을 조절한다. 실내기(20)는 실내기의 운전상태 및 설정정보가 표시되는 출력부 및 설정 데이터 입력을 위한 입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실내기(20)는 공기조화기 운전에 대한 설정정보를 리모컨(30)으로 전송하여 리모컨을 통해 출력하고, 데이터를 입력받을 수 있다.
실외기(10)는 연결된 실내기(20)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 또는 중앙제어기(50)의 제어명령에 대응하여, 냉방모드 또는 난방모드로 동작하며, 연결된 실내기로 냉매를 공급한다.
실외기(10)는 냉매를 압축하여 고압의 기체 냉매를 토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압축기(미도시), 냉매로부터 기체 냉매와 액체냉매를 분리하여 기화되지 않은 액체냉매가 압축기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어큐뮬레이터(미도시), 압축기에서 토출된 냉매 중 오일을 회수하는 오일분리기(미도시), 외기와의 열교환에 의하여 냉매를 응축하거나 증발되도록 하는 실외열교환기(미도시), 실외열교환기의 열교환을 보다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실외 열교환기로 공기를 유입하고 열교환된 공기를 외부로 토출하는 실외기팬(미도시), 실외기의 운전모드에 따라 냉매의 유로를 변경하는 사방밸브(미도시), 압력을 측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압력센서(미도시), 온도를 측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온도센서(미도시), 실외기의 동작을 제어하고 다른 유닛과의 통신을 수행하는 제어구성을 포함한다. 실외기(10)는 그 외 다수의 센서, 밸브, 과냉각 장치 등을 더 포함하나, 그에 대한 설명은 하기에서 생략하기로 한다.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1 의 실내기의 구성이 도시된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기(2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열교환기, 복수의 밸브, 복수의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부(180), 유닛통신부(120), 유닛입력부(130), 유닛출력부(140), 베인구동부(150), 팬구동부(160), 실내기팬(170), 복수의 베인(151 내지 154), 실내기 동작 전반을 제어하는 유닛제어부(110)를 포함한다.
또한, 실내기(20)는 베인 및 실내기팬 구동을 위한 제어데이터, 실외기, 중앙제어기, 리모컨과의 통신을 위한 통신데이터, 송수신되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데이터부(미도시)를 더 포함한다.
유닛통신부(120)는 실외기(10)를 포함하는 다른 유닛, 중앙제어기(50), 리모컨(30)과 통신한다. 유닛통신부(120)는 복수의 통신모듈을 포함하여, 실외기, 중앙제어기, 리모컨과의 통신 시 연결형태에 따라 각각 상이한 통신방식으로 통신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실내기는 중앙제어기와 직접 통신선으로 되거나, 또는 실외기를 통해 중앙제어기와 통신할 수 있다.
유닛통신부(120)는 공기조화기 유닛 간의 통신방식에 따라 데이터를 수신하고, 실내기의 동작상태에 대한 데이터를 전송하며, 리모컨(30)으로부터 제어명령을 수신하여 유닛제어부(110)로 인가한다.
예를 들면, 유닛통신부(120)는, RS232, RS422 또는 RS485 통신 프로토콜을 통해, 다른 실내기 또는 실외기(10)와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또한, 유닛통신부(120)는 지그비, 와이파이, 블루투스 프로토콜을 통해, 실내기(20), 실외기(10), 중앙제어기(50)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도 있다.
유닛입력부(130)는 적어도 하나의 버튼, 스위치, 터치입력수단을 포함하여, 실내기로 사용자 명령 또는 소정의 데이터를 입력한다. 단, 실내기가 천장형인 경우 유닛입력부(130)는 구비되지 않고, 리모컨(30)을 통해 데이터를 입력받는다.
유닛출력부(140)는 점등 또는 점멸제어되는 램프, 스피커 및 디스플레이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실내기의 동작상태를 출력한다. 램프는 점등 여부, 점등색상, 점멸 여부에 따라 실내기가 동작중인지 여부를 출력하고, 스피커는 소정의 경고음, 효과음을 출력하여 실내기의 동작상태를 출력한다. 디스플레이부는 실내기의 운전설정 또는 동작상태를, 문자, 숫자,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의 조합으로 출력할 수 있다.
실내기팬(170)은 열교환기에 의해 열교환된 냉온의 공기를 토출구를 통해 실내로 토출한다.
팬구동부(160)는 실내기팬(170)을 동작시키는 모터의 구동을 제어한다. 팬구동부(160)는 유닛제어부(110)의 제어신호에 대응하여, 실내기팬(170)의 온오프를 제어하고, 실내기팬(170)이 설정된 속도로 동작하도록 제어한다.
베인구동부(150)는 유닛제어부(110)의 제어신호에 대응하여, 제 1 내지 제 4 토출구에 구비되는 제 1 내지 제 4 베인(151 내지 154)의 개폐를 제어한다. 또한, 베인구동부(150)는 제 1 내지 제 4 베인(151 내지 154) 각각에 대하여 개도각을 제어하여, 토출되는 풍향을 변경한다. 제 1 내지 제 4 베인(151 내지 154)는 베인구동부(150)에 의해 개도각이 가변되어, 토출되는 공기의 풍향을 변경한다. 이때, 각 토출구에는 좌우 방향의 풍향을 조절하기 위한 루버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베인은 각각 0도 내지 90도 각도의 범위 내에서 개도각이 설정될 수 있으며, 설정에 따라 단계별로 개도각이 변경된다.
베인구동부(150)는 유닛제어부(110)의 제어명령에 따라 각 베인의 개도각을 단계별로 변경하여 설정한다.
예를 들어 베인구동부(150)는 15도 단위로 15 내지 75도의 범위 내에서 5단계로 베인의 개도각을 제어할 수 있다. 베인의 개도각은 설정에 따라 3단계 내지 9단계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베인구동부(150)는 스윙모드 설정 시, 단계구분 없이 15도 내지 75도 범위 내에서 베인의 개도각을 연속적으로 변경한다.
유닛제어부(110)는 유닛입력부(130) 또는 유닛통신부(120)를 통해 리모컨(30), 중앙제어기(50), 실외기(10)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에 대응하여, 실내기의 동작을 설정하고, 실내기가 냉방, 난방, 제습, 송풍모드 중 어느 하나의 운전모드로 동작하도록 한다. 또한, 실내기(20)는 전력제어모드 설정 시, 실내기가 절전운전을 온도 또는 풍량을 제어한다.
유닛제어부(110)는 구비되는 센서를 통해 입력되는 실내온도와 설정된 희망온도에 대응하여 실내기가 지정된 운전모드로 동작하도록 하며, 설정된 풍량으로 공기가 토출되도록 실내기팬(170)으로 제어신호를 인가한다.
또한, 유닛제어부(110)는 설정된 개도각에 따라 베인구동부(150)로 제어신호를 인가하여 제 1 내지 제 4 베인의 개폐 및 개도각을 제어한다.
유닛제어부(110)는 실내기의 동작상태데이터를 데이터부(미도시)에 저장하고, 유닛통신부(120)를 통해 다른 유닛 또는 제어기로 동작상태데이터가 전송되도록 한다.
센서부(180)는 온도센서, 습도센서, 압력센서, 전류센서와 같은 복수의 센서를 포함한다.
또한, 센서부(180)는 실내기의 케이스에 설치되어, 실내기로부터 바닥까지의 높이 또는 실내기로부터 벽면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센서(미도시)를 포함한다. 이때 거리센서는 초음파센서, 적외선센서가 사용될 수 있고, 또한, 시간 전파법이나 환각식 3차원 거리센서가 사용될 수 있다.
거리센서는 실내기 케이스의 4방향에 각각 설치되어, 실내기로부터 벽면까지의 거리를 각각 측정하고, 또한, 바닥을 향해 설치되어 실내기의 높이는 측정한다.
센서부(180)는 거리센서로부터 측정된 데이터를 유닛제어부(110)로 입력하고, 유닛제어부(110)는 측정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공간의 형태 또는 크기를 판단하여 제 1 내지 제 4 베인(151 내지 154)의 개도각의 기본값을 설정한다.
유닛제어부(110)는 리모컨으로부터 별도의 기본값에 대한 설정데이터가 수신되면, 수신되는 설정데이터에 따라 개도각에 대한 기본값을 설정할 수 있다.
개도각의 기본값은, 실내기가 운전을 시작하는 경우 각 베인이 오픈되는 정도를 나타내는 값으로, 별도의 명령이 입력되지 않으면 기본값에 따른 개도각이 유지된다. 유닛제어부(110)는 베인 별로 개도각에 대한 기본값을 각각 상이하게 설정할 수 있다.
베인구동부(150)는 기본값에 따라 각각의 베인이 지정된 개도각으로 동작하도록 제어한다. 베인구동부(150)는 유닛제어부(110)에 의해 개도각의 기본값이 변경되는 경우 변경된 기본값으로 각 베인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 1 베인(151)의 개도각의 기본값이 45도로 설정되고, 제 2 베인(152)의 개도각의 기본값이 30도로 설정된 경우, 베인구동부(150)는 실내기 운전 시작 시, 항상 제 1 베인(151)이 45도 오픈되도록 하고 제 2 베인은 30도로 오픈되도록 한다.
베인구동부(150)는 베인의 개도각이 사용자 명령에 따라 변경되더라도, 동작 정지 후 다시 동작하는 경우 또는 스윙 설정이 해제되는 경우에는 기본값에 따라 각 베인의 개도각을 설정한다.
또한, 유닛제어부(110)는 각 베인에 대하여 개도각의 최대값 또는 최소값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베인에 대하여 개도각의 최대값을 45도로 설정한 경우, 베인구동부(150)는 제 1 베인이 최대 45도로 개방되면,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더라도 더 이상 오픈되지 않도록 제어한다. 또한, 제 1 베인의 개도각의 최소값이 15도 인 경우, 베인구동부(150)는 제 1 베인에 대하여 개도각이 15도 이하로는 변경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1 의 리모컨의 구성이 도시된 블록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모컨(30)은 입력부(230), 표시부(240), 통신부(220), 데이터부(250), 센서부(미도시) 그리고 제어기의 동작 전반을 제어하는 제어부(210)를 포함한다.
입력부(230)는 버튼 또는 스위치, 터치패드의 입력수단을 포함하여, 동작 제어를 위한 키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표시부(240)는 제어기(80)의 동작상태를 출력하고, 실내기(20)과 통신 시, 실내기의 운전상태 및 실내기의 운전설정에 대한 정보를 출력하며, 실내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제어메뉴를 표시한다.
표시부(240)는 리모컨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하는데 있어서, 수행되는 기능 또는 실내기 제어를 위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할 수 있다.
표시부(240)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자잉크 디스플레이(e-ink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240)는 터치스크린이 구비될 수 있다.
리모컨(30)은, 출력수단으로 표시부 이외에도, 스피커, 램프 등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스피커는 입력부(230)의 조작에 따른 소정 음향을 출력할 수 있고, 실내기 동작에 관련하여 소정의 경고음 또는 효과음을 출력할 수 있다.
데이터부(250)에는 리모컨(30)의 기능별 실행프로그램, 실내기의 동작제어를 위한 데이터, 실내기와의 통신을 위한 데이터가 저장된다.
또한, 데이터부(250)에는 실내기에 대한 운전설정 데이터가 저장되고,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실내기의 베인에 대한 설정데이터가 저장된다. 예를 들어 데이터부(250)에는 입력부(230)를 통해 입력되는 실내기의 베인별 개도각의 기본값, 최대값 또는 최소값이 설정되어 입력될 수 있다.
데이터부(250)는 제어부(2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하드웨어적으로, ROM, RAM, EPROM, 플래시 드라이브, 하드 드라이브 등과 같은 다양한 저장기기 일 수 있다.
센서부(미도시)는 복수의 센서를 포함하여, 리모컨(30)에 인접한 물체나 인체를 감지하고, 실내온도 또는 실내습도를 감지할 수 있다.
통신부(220)는 리모컨과 실내기간에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통신부(220)는 실내기의 통신방식에 따라 동일한 통신방식을 사용하여 실내기와 통신한다.
제어부(210)는 데이터부(250)에 데이터를 바탕으로 실내기 제어를 위한 제어메뉴를 표시부(240)를 통해 출력하고, 입력부(230)로부터 데이터를 입력받아 표시부(240)를 통해 출력한다. 또한, 제어부(210)는 입출력되는 데이터를 제어하고, 데이터부(250)에 데이터가 저장되도록 한다.
제어부(210)는 제어메뉴를 통해 입력되는 실내기의 운전설정에 대한 데이터를 통신부(220)를 통해 실내기(20)로 전송되도록 하며, 수신되는 실내기의 데이터가 표시부(240)를 통해 출력되도록 한다.
제어부(210)는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실내기 베인에 대한 설정데이터가 데이터부에 저장되도록 하고, 통신부를 통해 실내기로 전송한다. 그에 따라 실내기의 유닛제어부는 수신되는 데이터를 바탕으로 제 1 내지 제 4 베인에 대한 개도각의 기본값, 최소값 또는 최대값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하여 변경한다.
도 4a 는 실내공간에 설치되는 실내기와 리모컨의 설치예가 도시된 예시도이고, 도 4b 는 실내기의 설치위치 및 공간의 크기를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예시도이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토출구가 구비되는 실내기가 실내공간에 설치되고, 실내기(20)에는 리모컨(30)이 연결된다. 실내기(20)는 제 1 내지 제 4 토출구를 포함하여 4방향으로 냉온의 공기를 토출한다.
실내기(20)는 제 1 내지 제 4 토출구에 대하여, 각각 토출구를 개폐하고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조절하는 제 1 내지 제 4 베인(151 내지 154)을 포함한다. 제 1 내지 제 4 베인(151 내지 154)은, 제 1 내지 제 4 토출구에 각각 설치되어 풍향을 조절한다. 실내기(20)의 중앙에는 실내공기를 실내기 내부로 흡입하는 흡입구가 구비된다.
또한, 실내기(20)는 제 1 내지 제 4 거리센서(181 내지 184)를 포함한다.
제 1 내지 제 4 거리센서(181 내지 184)는 각각 제 1 내지 제 4 베인(152)의 기류 토출방향으로 설치되어, 4방향에 대하여 실내기로부터 벽면까지의 거리(d1 내지 d4)를 측정한다. 제 1 내지 제 4 거리센서는 각각 실내기의 측면에 설치된다.
예를 들어 제 2 베인(152)가 실내 공간의 우측에 기류를 토출하는 경우, 제 2 거리센서(182)는 실내공간의 우측벽까지의 제 2 거리(d2)를 측정한다. 이때, 실내 공간이 장애물이 존재하는 경우, 거리센서는 장애물까지의 거리를 측정한다.
또한, 제 5 거리센서(185)는 바닥면을 향해 설치되어, 바닥면까지의 거리(h) 즉, 실내기의 높이를 측정한다.
제 1 내지 제 5 거리센서(181 내지 185)는 측정된 데이터를 유닛제어부(110)로 입력하고, 유닛제어부(110)는 입력되는 데이터를 바탕으로 실내공간의 형태 또는 크기를 판단한다.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베인(151)의 기류 토출방향인 제 1 방향에는 제 1 거리센서(181)가 설치되어, 벽면까지의 제 1 거리(d1)를 측정하고, 제 2 베인(152)의 기류 토출방향에는 제 2 거리센서(182)가 설치되어, 벽면까지의 제 3 거리(d3)를 측정한다. 제 3 베인(153)의 기류 토출방향에는 제 3 거리센서(183)가 설치되어, 벽면까지의 제 3 거리(d3)를 측정하고, 제 4 베인(154)의 기류 토출방향에는 제 4 거리센서(184)가 설치되어, 벽면까지의 제 4 거리(d4)를 측정한다.
이때,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방향이 긴 직사각형의 공간(A)에서, 제 1 내지 제 4 베인이 동일한 개도각으로 오픈되어 기류를 토출하는 경우, 제 1 베인으로부터 토출되는 기류가 벽면까지 도달하지 못하게 된다. 그에 따라 기류가 도달하지 않는 영역(B)이 형성된다.
유닛제어부(110)는 거리센서로부터 측정되는 데이터를 바탕으로, 제 1 베인의 기류 토출방향인 제 1 방향에 대한 제 1 거리(d1)와 제 3 거리(d3)를 비교하고, 제 2 거리와 제 4 거리를 비교하며 또한, 제 5 거리(h)에 따른 실내기의 높이(천장높이)를 바탕으로, 실내 공간의 형태를 판단하고, 실내 공간 내에서의 실내기의 설치위치를 판단한다.
실내기의 설치위치는 실내기 시운전, 또는 초기 운전 시 거리 측정을 통해 판단될 수 있다.
또한, 유닛제어부(110)는 거리센서가 구비되지 않는 경우, 리모컨을 통해 거리데이터가 수신되면, 수신되는 거리데이터로부터 실내기의 설치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유닛제어부(110)는 벽면까지의 거리를 바탕으로, 거리를 복수의 단계로 구분하여 거리에 따라 개도각을 상이하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10)는 실내기 의 높이(천장높이)를 고려하여 개도각을 설정한다. 설치높이가 높은 경우 기류가 바닥에 도달하는 거리가 멀어지고, 또한 바닥에 도달하기 전 기류의 온도가 변화하므로, 벽면까지의 거리와 실내기의 높이를 모두 고려하여 베인에 대한 개도각의 기본값을 설정할 수 있다.
제 1 거리(d1)가 제 3 거리(d3)보다 크므로, 유닛제어부(110)는 제 1 방향으로 토출되는 기류가 멀리까지 도달할 수 있도록 제 1 베인의 개도각에 대한 기본값을 변경한다. 일정 거리 단위로 개도각을 5도 도는 10도씩 증가시키거나 감소시켜서 개도각의 기본값을 설정한다. 예를 들어 제 1 베인(151)은 15도, 제 3 베인은 60도로 설정될 수 있다. 이때, 개도각은 닫힘상태를 기준으로 0도, 점차 개도각을 증가하여 15도 30도 45도 60도 75도로 설정될 수 있다. 이때, 천장형의 경우 개도각이 클수록 오픈정도가 증가하므로 근거리에 기류가 도달하게 된다. 원거리로 기류를 토출하는 경우에는 개도각을 15도 20도로 설정할 수 있다. 이때 개도각은 기준이 되는 위치에 따라 그 값이 달라질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개도각에 대한 기본값은, 실내기 동작시 각 베인이 오픈되는 개도각에 대한 설정으로, 별도의 명령이 없으면 각 베인은 기본값에 따라 오픈된다.
유닛제어부(110)는 측정되는 거리데이터를 바탕으로 각 베인별 개도각에 대한 기본값을 설정하면, 개도각 설정데이터로 저장하여 다음 동작시에도 동일한 설정으로 동작하도록 한다.
또한, 유닛제어부(110)는 설정데이터를 리모컨(30)으로 전송하여 리모컨에 저장되도록 한다.
한편, 유닛제어부(110)는 리모컨(30)의 수동입력을 통해 개도각에 대한 설정데이터, 즉 기본값, 최대값, 최소값 중 어느 하나가 입력되면, 지정된 베인에 대한 설정을 변경하고, 그에 따라 베인이 동작하도록 베인구동부(150)를 제어한다.
도 5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모컨이 도시된 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모컨(30)은 실내기 동작에 대한 제어메뉴 및 동작상태를 출력하는 표시부(240), 복수의 버튼으로 구성된 입력부(230)가 구비된다.
표시부(240)에는 냉방, 난방, 제습, 송풍, 환기운전, 부가운전, 절전운전, 제상 등의 운전모드에 대한 정보, 희망온도와 실내온도에 대항 온도정보, 풍향 및 풍량에 대한 정보, 예약운전, 에너지 사용정보, 실내기의 필터, 센서 등의 구성물에 대한 정보가 표시된다.
입력부(230)는 실내기에 대한 운전명령을 입력하는 운전키, 운전모드 설정을 위한 운전선택키, 바람세기키, 온도조절키를 포함한다. 또한, 입력부(230)는 환기키, 예약설정키, 기능설정키(233), 바람방향키, 부가운전키, 실내온도 설정 또는 메뉴이동을 위한 네비게이션키(231), 설정키(232)를 포함한다.
제어부(210)는 실내기로부터 개도각에 대한 설정데이터가 수신되는 경우 이를 데이터부에 저장하고, 실내기 운전 시, 데이터부에 저장된 설정데이터를 실내기로 전송한다.
제어부(210)는 입력부(230)의 복수의 키 중, 설정키(232), 네비게이션키(231), 기능설정키(233)의 입력에 의해 실내기의 베인에 대한 개도각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10)는 베인의 개도각에 대한, 기본값, 최대값 또는 최소값을 키입력을 통해 설정할 수 있고, 데이터부에 설정데이터로 저장한 후, 통신부를 통해 실내기로 전송한다.
제어부(210)는 운전키가 입력되어 실내기가 운전을 시작하는 경우, 실내기의 베인 개도각에 대한 설정데이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설정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 실내기로 설정데이터를 전송하여 실내기의 베인이 설정된 개도각으로 변경되도록 한다.
제어부(210)는 실내기에, 베인에 대한 개도각 설정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표시부를 통해 새로운 설정을 적용하는지 여부에 대한 안내를 출력할 수 있고, 그에 대응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새로운 설정데이터를 전송하거나, 기존 설정데이터가 유지되도록 한다.
도 6 은 도 5의 리모컨의 개도각 제어메뉴가 도시된 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능설정키(233)가 일정시간 이상 입력되어 롱키 입력이 발생하면, 제어부(210)는 실내기 베인에 대한 개도각 설정을 위한 제어메뉴를 표시부(240)를 통해 표시한다. 경우에 따라 제어부(210)는 설정 변경을 위한 패스워드 입력화면을 출력하고, 입력되는 패스워드가 일치하면 개도각 설정을 위한 제어메뉴를 표시할 수 있다.
기능설정키(233)를 반복 입력하여, 제어하고자 하는 베인, 제 1 내지 제 4 베인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면, 시간표시창(243, 244)에 베인 번호 또는 그에 대한 코드가 표시된다.
베인 선택이 완료된 후, 네비게이션키(231)가 입력되면, 상, 하, 좌, 우 키 입력에 따라, 선택된 베인에 대한 개도각을 단계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때, 표시부(240)에는, 온도창(241)에 개도각의 단계가 숫자로 표시된다. 개도각은 각도에 따라 3 내지 8단계로 제어될 수 있다. 또한, 개도각표시창(242)에는 개도각이 이미지로 표시된다. 온도창과 개도각표시창은 네비게이션키 입력에 대응하여 동시에 변경된다.
설정키(232)가 입력되면, 제어부(210)는 선택된 베인에 대한 개도각의 기본값을 변경하여 설정데이터로써 저장한다. 이때, 제어메뉴 호출 및 개도각 설정을 위한 키는 하나의 실시예로써, 변경될 수 있음을 명시한다.
도 7 은 복수의 실내기가 설치되는 경우 거리 산출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공간에 복수의 실내기가 설치될 수 있다.
제 1 실내기(21)와 제 2 실내기(22)는, 각각 거리센서(181a 내지 185a, 181b내지 185b)가 구비되어, 벽면까지의 거리와 실내기 높이는 측정한다.
제 1 실내기(21)는 제 11 내지 제 14거리(d11 내지 d14)거리를 측정하고, 제 2 실내기(22)는 제 15 내지 제 18거리(d15 내지 d18)을 각각 측정한다.
이때, 제 1 실내기(21)와 제 2 실내기(22)는 나란히 설치됨에 따라, 제 1 실내기는 제 2 실내기 방향으로 제 11거리(d11)를 측정하고, 제 2 실내기(22)는 제 1 실내기 방향으로 제 17 거리(d17)를 측정하게 된다.
제 1 실내기와 제 2 실내기가 각각 제 11 거리와 제 17거리를 바탕으로 개도각을 설정하여 기류를 제어하는 경우, 기류의 충돌이 발생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제 1 실내기와 제 2 실내기(33)는 제 11거리와 제 17 거리를 바탕으로 간격(d19)을 산출하여 공간을 재인식한다. 유닛제어부(110)는 주변에 설치된 다른 실내기에 대한 정보 또는 그룹설정을 바탕으로 제 2 실내기를 인식하여, 제 2 실내기를 고려하여 공간을 재인식할 수 있다. 또한, 유닛제어부(110)는 리모컨의 키입력을 통해 공간을 재인식할 수 있다.
도 8 은 도 7의 복수의 실내기에 대한 기류제어를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이다.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실내기(21)와 제 2 실내기(22)가 초기 인식된 공간의 바탕으로 기류를 제어하는 경우, 마주하는 기류에 충돌이 발생한다.
그에 따라 제 1 실내기 및 제 2 실내기는 상호 통신을 통해 공간을 재인식하여,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류가 중간지점에 도달하도록 개도각을 재설정할 수 있다.
또한, 도 8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실내기와 제 2 실내기의 거리가 일정거리 이하로 가까운 경우에 제 2 실내기의 베인을 닫고, 제 1 실내기를 통해 제어할 수 있다.
도 9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내기의 공간크기에 따른 기류제어방법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순서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기(20)는 시운전명령이 입력되면, 시운전을 개시한다(S310).
유닛제어부(110)는 시운전 시, 거리센서의 설치 여부를 판단하고, 거리센서가 구비된 경우, 거리센서를 동작시켜 실내기로부터 벽면까지의 거리데이터를 입력받는다.
유닛제어부(110)는 거리데이터를 바탕으로, 공간의 크기와 공간 내에서의 실내기의 설치위치를 판단한다.
이때 유닛제어부(110)는 제 1 내지 제 4 거리센서로부터 입력되는 거리데이터를 바탕으로 각 방향에 대하여 거리를 판단한다(S330).
유닛제어부(110)는 n방향의 거리를 복수의 구간으로 구분하여 각각 A구간, B구간, C구간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그에 따라 개도각에 대한 기준값을 설정한다. 이때 거리에 대한 구간은 3 구간으로 구분하였으나, 설정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측정된 거리에 따라 A구간에 포함되는 경우에는 원거리에 해당하므로 개도각의 기준값을 a만큼 감소시키고(S340), B구간에 포함되는 경우 표준거리 범위에 해당하므로 기존의 기준값을 유지하며(S350), C구간에 포함되는 경우에는 근거리이므로 기준값을 a만큼 증가시킨다(S360).
이때, 개도각의 증가와 감소는 개도각의 기준이 되는 위치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즉 천장형 실내기의 경우 천장방향에서 바닥방향으로 베인이 오픈됨에 따라, 개도각이 클수록 개방 정도가 커지고, 가까운 거리로 기류가 토출된다. 반면, 하부에서 상부로 오픈되는 베인의 경우에는 개도각에 대한 기준이 변경되므로 그에 따라 개도각의 제어는 달라질 수 있다.
베인에 대한 개도각의 기준값을 저장하고(S370), 모든 방향, 즉 모든 토출구에 대한 개도각의 기준값 설정이 완료되었는지 판단하여, 위와 같은 과정을 반복한다(S330 내지 S380).
모든 토출구에 대하여 설정이 완료되면, 개도각에 대한 기준값을 적용하여 각 베인의 개도각을 제어한다(S390).
또한, 유닛제어부(110)는 개도각에 대한 기준값을 설정데이터로 저장하여 통신부를 통해 리모컨(30)으로 전송하고, 리모컨에 저장되도록 한다.
도 10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기를 실내기 제어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모컨(30)은 입력부(230)에 구비되는 운전키 입력을 통해 운전명령을 입력받는다(S410).
제어부(210)는 운전명령이 입력되면, 데이터부에 실내기의 개도각에 대한 설정데이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430).
제어부(210)는 개도각의 기본값이 초기값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430).
제어부(210)는 개도각의 기본값이 초기값인 경우, 별도의 개도각 변경이 없는 것으로 판단하여 통신부를 통해 운전개시명령을 실내기로 전송한다(S440).
한편, 개도각의 기본값이 초기값이 아닌 경우, 제어부(210)는 운전개시명령을 실내기로 전송하면서(S440), 데이터부에 저장된 개도각에 대한 설정데이터를 실내기(20)로 전송한다(S460).
도 1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내기의 베인 개도각 설정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기(20)는 리모컨(30)으로부터 운전개시 명령이 입력되면(S510), 베인의 개도각에 대한 설정이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유닛제어부(110)는 리모컨으로부터 개도각에 대한 설정데이터가 수신되면, 제 1 내지 제 4 베인에 대하여 각각 설정된 기본값을 저장하고(S540), 각 베인의 개도각을 설정된 기본값으로 설정한다(S550).
베인구동부(15)는 유닛제어부(110)의 제어명령에 따라 제 1 내지 제 4 베인에 대한 개도각을 조정한다(S560).
팬구동부에 의해 실내기팬이 동작하고, 각 베인을 통해 기류가 토출된다(S540).
한편, 설정데이터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유닛제어부(110)는 초기값으로 베인을 설정하고(S530), 기류를 제어한다(S540).
따라서 본 발명은 공간의 크기 또는 실내기의 설치위치에 따라 복수의 토출구에 대한 개도각의 기본값을 각각 변경하여 공간에 따라 상이하게 기류가 토출되도록 한다. 또한, 개도각의 기본값을 저장하여 새로운 개도각이 설정되기 전까지는 그 값을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다음 운전에서 적용하도록 하여 반복하여 재설정하지 않아도 공간에 다른 기류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실시예에 따라서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10: 실외기 20: 실내기
30: 리모컨 50: 중앙제어기
110: 유닛제어부 120: 유닛통신부
150: 베인구동부 151 내지 154: 베인
181 내지 185: 거리센서
210: 제어부 220: 통신부
230: 입력부 240: 표시부

Claims (20)

  1. 제1 실내기에 구비된 복수의 토출구에 설치되어 기류의 방향을 조절하는 복수의 베인;
    통신을 수행하는 유닛통신부;
    상기 복수의 베인을 제어하는 베인구동부;
    상기 복수의 베인에 대한 개도각을 설정하여 상기 베인구동부로 제어명령을 인가하는 유닛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유닛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토출구로부터 벽면까지의 거리를 바탕으로 실내 공간에서 상기 제1 실내기가 설치된 제1 위치를 판단하고,
    상기 제1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복수의 베인에 대한 개도각의 기본값을 설정하고,
    상기 실내 공간에서 제2 실내기가 설치된 제2 위치와 관련된 정보를 상기 유닛통신부를 통해 수신하고,
    상기 제2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베인 중 상기 제2 실내기에 대응하는 베인에 대한 개도각의 기본값을 재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토출구의 기류 토출방향에 대응하여 벽면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는 복수의 거리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유닛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거리센서에 의해, 상기 복수의 토출구로부터 벽면까지의 각각의 거리가 거리데이터로 입력되면, 상기 거리데이터를 바탕으로 상기 제1 위치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거리센서는 상기 복수의 토출구의 기류방향에 따라 상기 제1 실내기의 측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실내기로부터 바닥면을 향해 설치되어 상기 제1 실내기와 상기 바닥면 간의 거리에 대응하는 상기 제1 실내기의 높이를 측정하는 거리센서를 더 포함하고,상기 유닛제어부는 상기 거리데이터 및 상기 높이를 바탕으로 상기 제1위치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닛제어부는 리모컨으로부터 수신되는 거리데이터를 바탕으로 상기 제1 위치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닛제어부는 시운전 시, 상기 거리센서를 제어하여 상기 제1 위치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닛제어부는 상기 제1 위치를 바탕으로, 상기 복수의 토출구로부터 벽면까지의 각각의 거리에 따라 상기 복수의 베인에 대한 개도각의 기본값을 증가 또는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유닛제어부는 상기 각 토출구로부터 벽면까지의 거리를 복수의 구간으로 구분하여, 구간에 따라 상기 복수의 베인에 대한 개도각의 기본값을 증가 또는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유닛제어부는 상기 거리가 일정 기준값 이상으로 먼 경우, 토출되는 기류가 원거리까지 도달하도록 상기 개도각의 기본값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닛제어부는 리모컨 입력에 의해 상기 복수의 베인 중 어느 하나의 개도각이 변경된 후 운전이 다시 시작되는 경우, 스윙이 해제되는 경우, 및 운전종료 후 다음 운전이 개시되는 경우 중 어느 하나의 경우, 설정된 상기 기본값으로 상기 복수의 베인에 대한 개도각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11. 삭제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베인에 대한 개도각의 기본값을 설정데이터로 저장하는 데이터부를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닛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베인에 대한 개도각의 기본값을 설정데이터로써 리모컨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리모컨은,
    상기 제1 실내기로부터 상기 설정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운전키가 입력되면, 운전개시명령과 상기 설정데이터를 상기 제1 실내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15. 제1 실내기에 구비된 복수의 토출구로부터 벽면까지의 거리를 바탕으로 실내 공간에서 상기 제1 실내기가 설치된 제1 위치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1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복수의 토출구에 설치된 복수의 베인의 개도각에 대한 기본값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실내 공간에서 제2 실내기가 설치된 제2 위치에 대한 정보를 유닛통신부를 통해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베인 중 상기 제2 실내기에 대응하는 베인에 대한 개도각의 기본값을 재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시운전 또는 최초 운전 시, 거리데이터를 바탕으로 상기 제1 위치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1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복수의 베인에 대한 개도각의 기본값을 변경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개도각의 기본값은 상기 복수의 베인에 대하여 각각 상이하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18. 제 16 항에 있어서,
    복수의 거리센서롤 통해 측정되는 상기 복수의 토출구로부터 벽면까지의 거리 및 상기 제1 실내기와 바닥면 간의 거리에 대응하는 상기 제1 실내기의 높이에 기초하여 상기 거리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거리데이터를 바탕으로 상기 복수의 토출구로부터 벽면까지의 각각의 거리에 따라 상기 개도각의 기본값을 증가 또는 감소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19. 제 15 항에 있어서,
    리모컨으로부터 상기 제1 위치에 대한 데이터가 수신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20.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베인 중 어느 하나의 개도각이 변경되는 단계;
    운전 종료 후 운전이 다시 시작되는 단계;
    상기 복수의 베인의 개도각에 대한 기본값이 설정된 설정데이터를 바탕으로, 상기 복수의 베인에 대한 개도각을 각각의 기본값으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KR1020160106367A 2016-08-22 2016-08-22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5576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6367A KR102557652B1 (ko) 2016-08-22 2016-08-22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6367A KR102557652B1 (ko) 2016-08-22 2016-08-22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1596A KR20180021596A (ko) 2018-03-05
KR102557652B1 true KR102557652B1 (ko) 2023-07-19

Family

ID=617268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6367A KR102557652B1 (ko) 2016-08-22 2016-08-22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765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5973B1 (ko) * 2019-01-10 2021-08-30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664870B1 (ko) * 2022-01-21 2024-05-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모터 제어 장치, 공조 시스템 및 실내기의 팬 모터 제어 장치의 정풍량 제어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87217B1 (ko) 1994-12-23 1999-05-01 김광호 공기조화기의 운전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100855000B1 (ko) 2007-04-27 2008-08-28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JP2010249387A (ja) 2009-04-15 2010-11-04 Panasonic Corp 空気調和機
JP2011080621A (ja) * 2009-10-05 2011-04-21 Panasonic Corp 空気調和機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61063B1 (ko) * 1993-06-14 1999-01-15 윤종용 공기조화기의 운전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20140132854A (ko) * 2013-05-08 2014-11-19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87217B1 (ko) 1994-12-23 1999-05-01 김광호 공기조화기의 운전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100855000B1 (ko) 2007-04-27 2008-08-28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JP2010249387A (ja) 2009-04-15 2010-11-04 Panasonic Corp 空気調和機
JP2011080621A (ja) * 2009-10-05 2011-04-21 Panasonic Corp 空気調和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1596A (ko) 2018-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64317B2 (en) Air conditioner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KR101908306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CN108151150B (zh) 一种嵌入式空调、系统及其控制方法
US20100168922A1 (en) Air conditioner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JP6242309B2 (ja) 空気調和機
KR102262245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40132854A (ko) 공기조화장치
KR20150011258A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JP2012184868A (ja) 空調システム
KR101526338B1 (ko) 공기조화기의 제습운전방법
KR101921537B1 (ko) 공기조화기 시스템
KR102557652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317725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운전방법
KR20130038560A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JP2006145192A (ja) 空気調和機及びその運転制御方法
JP5817799B2 (ja) 空気調和機
KR20160010197A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70090837A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50105839A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509992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80075175A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199373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동작방법
EP3208550B1 (en) Air conditioning apparatus
KR20150022254A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80011672A (ko) 공기조화기 시스템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