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7538B1 - 화재확산방지 및 초기화재진압 기능을 갖는 콘센트 가드 - Google Patents

화재확산방지 및 초기화재진압 기능을 갖는 콘센트 가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7538B1
KR102557538B1 KR1020210045634A KR20210045634A KR102557538B1 KR 102557538 B1 KR102557538 B1 KR 102557538B1 KR 1020210045634 A KR1020210045634 A KR 1020210045634A KR 20210045634 A KR20210045634 A KR 20210045634A KR 102557538 B1 KR102557538 B1 KR 1025575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outlet
initial
attachment
outlet gu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56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39550A (ko
Inventor
황득규
한승욱
Original Assignee
(주)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수 filed Critical (주)수
Priority to KR10202100456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7538B1/ko
Publication of KR202201395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95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75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753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27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with evacuation of penetrating liquid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16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in electrical installations, e.g. cableway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DCHEMICAL MEANS FOR EXTINGUISHING FIRES OR FOR COMBATING OR PROTECTING AGAINST HARMFUL CHEMICAL AGENTS; CHEMICAL MATERIALS FOR USE IN BREATHING APPARATUS
    • A62D1/00Fire-extinguish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in extinguishing fires
    • A62D1/0007Solid extinguishing substances
    • A62D1/0021Microcapsules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화재확산방지 및 초기화재진압 기능을 갖는 콘센트 가드는, 종래 기술적 관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사각 평형으로 형성되고 일면에 요철형상을 가지는 보호부; 상기 보호부의 일단에서 연장되는 부착부; 및 상기 보호부의 일면과 반대되는 타면에는 필요에 따라 부착부재가 별도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화재확산방지 및 초기화재진압 기능을 갖는 콘센트 가드{Outlet guard with fire spread prevention and initial fire suppression function}
본 발명은 콘센트의 화재발생시 화염 확산을 방지하며, 초기화재 진압을 기능을 갖는 콘센트 가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화재의 경우에는 발화지점 근처에서 초기화재 진압을 통한 화재 진압이 화재의 피해를 줄이는 가장 효율적인 방법이다.
그러나 현대의 가정, 사무실 및 공장 등에서는 각종 전자제품이 사용됨에 따라 콘센트를 통하여 전력을 공급하는 비중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이다. 특히 냉장고, 공기청정기 및 인터넷 장비 등과 같은 지속적으로 전원공급이 필요한 전자제품의 사용이 많아짐으로서 사용자도 모르게 화재가 발생하여 초기에 화재를 진압하지 못하여 대형 화재로 이어지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누전이 발생하게 되면 전원 공급을 차단하는 누전차단기를 설치하여 상기 피해사례를 최소화하고 있으나, 전력 공급을 차단한다고 하여도 먼지와 습기를 통한 발화된 불길을 막지 못하여 대형 화재로 이어질 위험성이 있다. 또한 전기장치의 화재확산방지 기능 경우에는 연간의 유지 및 보수관리 비용이 지속적으로 필요하다.
이와 같은 콘센트에서 발생한 화재를 예방하기 위하여, 종래 기술로서 한국공개특허 제 10-2014-0103456호의 "소화 기능을 가지는 콘센트"에서는 내부에 설치공간이 형성되는 상자형상의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부에 설치공간에 설치되고 플러그의 수단자가 결합되는 암단자와, 상기 암단자에 근접한 상태로 상기 케이스 내부의 설치공간에 설치되고 상기 암단자를 향한 면은 불에 타거나 열에 녹기 쉬운 박막의 종이나 열가소성 합성수지 필름으로 제조되고 내부에는 분말 소화약제가 충진된 소화부재를 포함하여 화재 발생시 분말 소화약제가 외부로 분출되어 화재를 진압하였다.
또 다른 기술로는, 한국등록특허 제 10-1011709호의 "콘센트"에서는 콘센트 내부에 개구부를 구비한 별도의 압축용기가 있음에 따라 상기 압축용기에는 소화가스가 충진 됨으로써 화재 발생시 일정 온도이상으로 상승에 따라 상기 충진 된 소화가스가 개구부를 통하여 외부로 확산 분출됨에 따라 발화지점에 산소공급을 차단하여 화재를 진압하는 구조를 가졌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기술들의 경우에는 별도의 소화약제에 의하여 소화기능을 가지게 되며, 단지 소화약제의 충진만으로 발화점에 대한 소화 효과를 높이는데 한계를 가지고 있다. 또한, 초기 진압에 실패한 화재의 경우에는 외부로 화재가 확산되어 더 큰 재산 피해를 불러 올 뿐만 아니라 이미 과거에 설치된 콘센트 구조의 경우 별도의 전기공사 등이 필요하여 별도의 설치 시간과 비용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발화가 이루어진 후, 화재가 외부 환경으로 발화되는 것을 방지 할 뿐만 아니라 더 나아가 외부 먼지로 부터 콘센트를 보호 할 수 있으며 벽면 콘센트, 산업용 콘센트 및 멀티콘센트 등 다양한 용도 및 형태로 설치가 용이한 소화수단이 설치될 필요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10-2014-01034156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1011709호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벽면 콘센트, 산업용 콘센트 및 멀티콘센트 등에 별도의 공사 없이도 설치가 용이한 화재확산방지 및 초기화재진압 기능을 갖는 콘센트 가드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해결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화재확산방지 및 초기화재진압 기능을 갖는 콘센트 가드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해결과제로 한다.
콘센트의 화재발생시 화재확산방지 및 초기화재진압 기능을 갖는 콘센트 가드에 있어서, 사각 평형으로 형성되고 일면에 요철형상을 가지는 보호부;
상기 보호부의 일단에서 연장되는 부착부; 및 상기 보호부의 일면과 반대되는 타면에는 필요에 따라 부착부재를 별도로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보호부와 상기 부착부의 일면에는 일방향으로 연장된 돌기가 평행하게 배치되어 홈이 순차적으로 연속 배치된 요철형상을 가지되, 상기 부착부의 돌기는 상기 보호부의 돌기보다 낮은 높이의 돌기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보호부와 상기 부착부가 연장되는 경계부는 접선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부착부의 일면에 평행하게 배치된 홈은 절개가 용이하도록 절취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보호부의 일면과 반대되는 타면에는 자기소화 기능을 갖는 소화층을 구비하고, 상기 소화층은 캡슐형 소화약제 포함되되, 상기 캡슐형 소화약제는 코어와 쉘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코어는 플루오르화 케톤계 소화약제를 포함하고, 상기 쉘은 가교결합(Cross-link)된 젤라틴이 포함된 고분자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힌디.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르면, 벽면 콘센트, 산업용 콘센트 및 멀티 콘센트에 소화 가드를 설치함으로서 화재확산방지와 초기화재진압 기능을 가지며및더 나아가 외부 먼지 등의 이물질로부터 오염을 막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별도의 설비공사를 거치지 않아도 설치가 용이하여 시간 및 비용을 절감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화재확산방지 및 초기화재진압 기능을 갖는 콘센트 가드의 사시도 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화재확산방지 및 초기화재진압 기능을 갖는 콘센트 가드의 뒷면 사시도 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화재확산방지 및 초기화재진압 기능을 갖는 콘센트 가드의 뒷면에 부착부와 소화부가 별도로 부착되는 것에 대한 사시도 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화재확산방지 및 초기화재진압 기능을 갖는 콘센트 가드의 뒷면에 부착부와 소화부가 부착된 사시도 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화재확산방지 및 초기화재진압 기능을 갖는 콘센트 가드의 정면도 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화재확산방지 및 초기화재진압 기능을 갖는 콘센트 가드의 측면도 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화재확산방지 및 초기화재진압 기능을 갖는 콘센트 가드의 접선부를 따라 접어진 상태의 사시도 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화재확산방지 및 초기화재진압 기능을 갖는 콘센트 가드의 접선부를 따라 접어진 상태에서 일부 부착부를 컷팅하여 ㄷ자 형태로 접은 형태의 사시도 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화재확산방지 및 초기화재진압 기능을 갖는 콘센트 가드의 접선부를 따라 접어진 상태에서 일부 부착부를 컷팅하여 ㄷ자 형태로 접은 형태의 평면도 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화재확산방지 및 초기화재진압 기능을 갖는 콘센트 가드의 접선부를 따라 접어진 상태에서 다수의 부착부를 컷팅하여 U자 형태로 접은 형태의 평면도 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화재확산방지 및 초기화재진압 기능을 갖는 콘센트 가드의 일부 부착부를 컷팅하여 ㄷ자 형태로 접어 멀티콘센트에 다수 설치한 사시도 이다.
도 12는 본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화재확산방지 및 초기화재진압 기능을 갖는 콘센트 가드의 일부 부착부를 컷팅하여 ㄷ자 형태로 접어 콘센트 외부 벽면에 설치한 사시도 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화재확산방지 및 초기화재진압 기능을 갖는 콘센트 가드의 다수의 부착부 컷팅하여 아치형태로 접어 콘센트 외부 벽면에 설치한 사시도 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화재확산방지 및 초기화재진압 기능을 갖는 콘센트 가드의 부착부를 컷팅하지 않고 아치형태로 접어 콘센트 내부 외벽에 설치한 사시도 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이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된다고 할 수 없으며, 또 다른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삭제 등에 의해서,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의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화재확산방지 및 초기화재진압 기능을 갖는 콘센트 가드(1)는, 사각 평형으로 형성되는 보호부(100), 상기 보호부의 일단에서 연장되는 부착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관련하여, 상기 콘센트 가드(1)는 내열성능이 향상된 플라스틱 소재로 제조 될 수 있으며, 고온에서도 변형이 쉽게 이루어지지 않을 뿐만 아니라 가공성이 뛰어난 소재이다. 또한 필요에 따라 굽힘 및 접는 것이 가능하여 다양한 형태로 사용이 가능한 소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소재는 폴리우레탄, 폴리염화비닐, ABS, 폴리프로필렌, 폴레에틸렌, 변성 폴리페닐렌옥사이드,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페놀 바인더, 불소 바인더, 에폭시 바인더,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폴리이미드, 메타크릴 바인더, 폴리에텔르에테르 케톤, 폴리페닐렌설파이드, 폴리아미드 및 폴리카보네이트 중 하나 이상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 하지는 않는다.
상기 소재와 관련하여 소재에 내열성 강화를 위해서 내열성 안료 및 첨가제를 포함 할 수 있다.
관련하여 상기 안료는 유/무기계 안료 사용이 가능하며 이에 한정 하지는 않다.
관련하여, 상기 내열성 강화를 위한 대표적인 안료로는 디케토피롤로 피롤계 안료 또는 아이소인돌린계 안료를 예로 들 수 있는데 아래에서 상기 안료의 특징에 대해 간략히 서술하고자 한다.
먼저, 디케토피롤로 피롤로계 안료는 높은 내용제성, 내열성, 내후성 및 선명한 색상을 구현 할 수 있는 특성을 가진 안료로서 플라스틱, 잉크 및 도료 분야 등에 널리 사용되며 최근에는 LED, LCD 칼라필터용, 근적외선 흡수염료 등의 고기능성 컬러 소재로 사용되고 있는 대표적인 기능성 안료이다.
아이소인돌린계 안료 황색 계통의 다양한 색상 구현이 가능 할 뿐만 아니라 고유의 안정적인 골격구조를 가지고 있는 고기능성 유기안료로서 내후성, 용제성 또한 우수하여 플라스틱, PVC 등에 광범위하게 사용되며 260℃ 이상의 높은 내열성을 가졌다. 더욱이 무기안료 크롬황색의 대체 안료로 각광받고 있는 안료로써 잉크 및 페인트 분야에서도 활용빈도가 증가하고 있는 기능성 안료이다.
상기 첨가제는 내열성 강화를 위한 첨가제라면 특별히 한정 하지는 않으나 플라스틱 소재의 물성을 해치지 않도록 전체 플라스틱 바인더 총 중량비 대비 1~5 중량비 비율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보호부(100)는 콘센트에서 화재가 발생하게 되어 불이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형태에 따라 외부 먼지와 같은 이물질이 콘센트에 떨어져 화재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 할 수 있다.
관련하여, 상기 보호부(100)의 일면에는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제1 돌기(11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1 돌기(110)은 연장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요철형상의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1 돌기(110) 중 서로 인접한 한쌍의 제1 돌기(110)의 사이에는 함몰된 세로 접선부(111)가 형성될 수 있다.제1 돌기(110)을
관련하여, 상기 제1 돌기(110)의 경우 상기 세로 접선부(111)를 다양한 형태로 변형에 용이하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관련하여 본원발명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돌기(110)의 종단면이 등변사다리꼴 형태로 되어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제1 돌기(110)은 필요에 따라 종단면 형상이 이등변 삼각형, 반타원형 등의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호부(100)는 복수의 상기 세로 접선부(111)의 접힘에 의해서 아치형태, ‘ㄷ’형태, ‘ㄱ’형태 및 ‘ㄹ’형태 등 다양한 형태로 변형 가능하다.
한편, 상기 보호부(100)의 일면과 반대되는 타면에는 자기소화 기능을 갖는 소화층(400)이 구비될 수 있다. 관련하여, 상기 소화층(400)은 캡슐형 소화약제를 포함함으로써 바인더와 혼합되어 필름형태 제공되거나 캡슐형소화약제가 부착된 양면테이프 형식으로 상기 보호부(100)의 타면에 부착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소화층(400)층에 있어 필름형태의 경우 바인더 10~60 중량부, 용제 1~10 중량부, 캡슐형 소화약제 10~50 중량부 및 첨가제 0.01~5 중량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소화층(400)에 포함되는 바인더는 에폭시 바인더, 우레탄 바인더 및 염화고무 바인더 중 하나 이상 포함하되 10~60 중량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바인더가 10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에는 충분한 접착성능을 발휘하기 힘들며, 60 중량부 초과 포함되는 경우에는 소화약제의 소화능력이 감소하기 때문이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용제는 중비점 용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보호층과의 부착성이 우수하며 탄성력 등의 물성이 안정적인 필름층을 형성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중비점 용제로 자일렌, 프로플렌 글리콜 메틸 에테르, 솔벤트나프타, 메틸이소부틸케톤 및 에틸벤젠 등이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소화층(400)에 포함되는 첨가제는 pH조정제, 소포제 및 접착증진제 등이 하나 이상 포함될 수 있다. 관련하여 상기 첨가제는 0.01~5 중량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0.01 중량부 미만의 경우 첨가제의 효과가 미흡하며, 5 중량부 초과 포함되는 경우에는 소화층(400)의 기계적 물성 및 건조 등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소화층(400)에 포함되는 캡슐형 소화약제는 외부가 가교결합(Cross-Link)된 젤라틴이 포함되어 쉘의 형태로 구성되고, 내부는 코어 형태로써 플루오르화 케톤계 소화약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관련하여 상기 캡슐형 소화약제는 10~50 중량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10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 충분한 소화능력을 발휘 할 수 없으며, 50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에는 소화층 구성에 있어서 탄성력 및 부착성이 감소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관련하여, 상기 쉘을 구성하고 있는 가교결합된 젤라틴은 물질의 특성상 산성환경에서 용해되고, 물에서 용해되는 성질을 가지고 있는바, 소화층 형성을 위한 바인더는 용제형 바인더를 사용하되 pH가 6~10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가교결합된 젤라틴으로 구성된 쉘이 바인더에 의하여 약해지는 것을 방지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캡슐형 소화약제의 내부 코어는 플루오르화 케톤계 소화약제를 포함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안정제, pH조정제 등의 첨가제를 포함 할 수 있으나 이는 소화약제의 소화성능을 감소시킬 수 있는바, 전체 소화약제양의 대비 1~5 중량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캡슐형 소화약제에 있어서, 캡슐형태의 외부 쉘은 화재발생에 의해 90~230℃ 온도가 주변환경에 변화됨에 따라 젤라틴으로 구성된 외부 쉘이 파괴되며, 상기 캡슐형 소화약제의 내부 코어에 포함된 나노크기의 소화약제가 외부로 노출되어 소화가 유도되는 원리를 가진다. 또한 상기 캡슐형 소화약제는 10~400㎛의 입자 크기를 가지도록 개발된 것으로, 이와 같은 축소된 마이크로 단위의 크기를 가짐에 따라 평활한 면으로 구성된 소화층을 효과적으로 적용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캡슐형소화약제가 부착된 양면테이프 형식으로 사용가능한바,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면에는 캡슐형 소화약제가 부착되고, 타면의 접착부 경우에는 보호부에 부착함으로써 사용 가능하다. 이때 상기 부착에 사용되는 양면테이프의 종류는 별도로 한정하지 않는다.
한편, 상기 부착부(200)는 상기 제1 돌기(110)의 연장선상에 위치된 상기 보호부(100)의 일단에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부착부(200)는 상기 보호부(100)의 폭과 대응하는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부착부(200)의 일면에서 상기 세로 접선부(111)의 연장선상에는 함몰된 절취부(211)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부착부(200)의 일면에는 상기 복수의 세로 접선부(111)와 대응하여 홈 형상의 복수의 절취부(211)가 형성될 수 있다.관련하여, 상기 부착부(200)는 일면에 상기 복수의 제1 돌기(110)에 대응하는 복수의 제2 돌기(210)가 형성되어 요철형상의 패턴을 이루고, 서로 인접한 한쌍의 제2 돌기(210)의 이격에 의해서 상기 절취부(211)가 형성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이 때, 상기 부착부(200)의 제2 돌기(210)는 상기 보호부(100)의 제1 돌기(110) 보다 낮은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부착부(200)의 제2 돌기(210)과 상기 보호부(100)의 제1 돌기(110)은 서로 대면하는 면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접선부(301)의 접힘시 초기 간섭을 방지하며, 경사면의 접촉에 의해서 접힘 각도를 제한할 수 있다.
상기 돌기(210,110)들에 형성되는 경사면은 요구되는 접힘 각도를 고려하여 다양한 경사도로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복수의 절취부(211)를 필요에 따라 컷팅 또는 접음으로써 상기 부착부(200)의 형상을 다양하게 변형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화재확산방지용 콘센트 가드(1)를 다양한 위치에 장착 가능하게 된다.
관련하여 상기 부착부(200)를 소지부에 용이하게 부착고자 도 3 및 도 4와 같이 부착부의 일면 또는 타면에 부착부재(500)를 별도로 부착하여 소지에 부착 할 수 있는데, 이는 도 11 내지 도 14와 같이 다양한 형태의 콘센트에 활용하기 위함이다.
관련하여 상기 부착부재(500)는 에폭시 접착제 및 우레탄 접착제, 고무형 접착제 등 필름형태의 접착제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도 5 및 도 6과 같이 상기 보호부의 제1 돌기(110)는 부착부의 제2 돌기(210)보다 낮은 높이의 돌기를 형성 할 수 있는데, 이는 부착부재(500)이 부착부(200)의 일면에 용이하게 부착되도록 부착 면적을 최대한 넓히기 위함이다.
상기 가로 접선부(301)는 도 7과 같이 접음으로서 소지와의 부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하 도면 참조하여 화재방지용 콘센트 가드의 설치방법을 설명하고자 한다.
도 8 및 도 9은 다수의 절취부(211)를 일부 컷팅하고 가로 접선부(301) 일부 접음으로서 ‘ㄷ’형태로 사용하는 사시도 및 평면도 이다.
도 10은 다수의 절취부(211)를 일부 컷팅하고 가로 접선부(301) 전부 접어 벽면콘센트에 아치 모양의 형태로 사용하는 평면도 이다.
도 11은 보호부(100)의 일면과 반대되는 타면에 소화층(400)을 형성하고, 부착부(200)의 일면과 반대되는 타면에 부착부재(500)를 형성한 뒤 다수의 절취부(211)를 일부 컷팅하고 가로 접선부(301) 일부 접어 멀티콘센트에 ‘ㄷ’형태로 설치한 사시도 이다.
도 12는 보호부(100)의 일면과 반대되는 타면에 소화층(400)을 형성하고, 부착부(200)의 일면과 반대되는 타면에 부착부재(210)를 형성한 뒤 다수의 절취부(211)를 일부 컷팅하고 가로 접선부(301) 전부 접어 벽면콘센트에 아치모양의 형태로 설치한 사시도 이다.
도 13은 보호부(100)의 일면과 반대되는 타면에 소화층(400)을 형성하고, 부착부(200)의 일면과 반대되는 타면에 부착부재(500)를 형성한 뒤 절취부(211)를 전부 컷팅하고 가로 접선부(301) 전부 접어 벽면콘센트에 아치모양의 형태로 설치한 사시도 이다.
도 14는 보호부(100)의 일면과 반대되는 타면에 소화층(400)을 형성하고, 부착부(200)의 일면에 부착부재(220)를 형성하여 콘센트의 내부에 도 13과 동일한 형태로 설치한 사시도 이다.
1 : 화재확산방지 및 초기화재진압 기능을 갖는 콘센트 가드
100 : 보호부
110 : 제1 돌기
111 : 세로 접선부
200 : 부착부
210 : 제2 돌기
211 : 절취부
301 : 가로 접선부
400 : 소화층
500, 220 : 부착부재

Claims (5)

  1. 콘센트의 화재발생시 화염 확산을 방지 및 초기화재진압을 위한 화재확산방지 및 초기화재진압 기능을 갖는 콘센트 가드에 있어서,
    일면에 일방향으로 연장된 복수의 제1 돌기가 나란하게 배치되고, 인접한 한쌍의 제1 돌기들의 사이에 함몰된 세로 접선부가 형성되는 보호부;
    상기 보호부의 일단에서 연장되며, 상기 세로 접선부의 연장선을 따라 함몰된 절취부가 형성되는 부착부;
    상기 보호부의 일면과 반대되는 타면에 구비되며, 콘센트에 부착 가능하도록 구성된 부착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부착부에는 상기 복수의 제1 돌기에 각각 연장선을 따라 형성된 복수의 제2 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제2 돌기는 상기 제1 돌기보다 낮은 높이로 돌출 형성되되,
    상기 보호부의 일면과 반대되는 타면에는 자기소화 기능을 갖는 소화층을 구비하고,
    상기 소화층에는 캡슐형 소화약제 포함되되,
    상기 캡슐형 소화약제는 코어와 쉘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코어는 플루오르화 케톤계 소화약제를 포함하고, 상기 쉘은 90~230℃에서 파괴되는 가교결합(Cross-link)된 젤라틴이 포함된 고분자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확산방지 및 초기화재진압 기능을 갖는 콘센트 가드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돌기와 제2 돌기의 서로 대면하는 면은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확산방지 및 초기화재진압 기능을 갖는 콘센트 가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부와 상기 부착부의 경계에는 함몰된 접선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확산방지 및 초기화재진압 기능을 갖는 콘센트 가드
  5. 삭제
KR1020210045634A 2021-04-08 2021-04-08 화재확산방지 및 초기화재진압 기능을 갖는 콘센트 가드 KR1025575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5634A KR102557538B1 (ko) 2021-04-08 2021-04-08 화재확산방지 및 초기화재진압 기능을 갖는 콘센트 가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5634A KR102557538B1 (ko) 2021-04-08 2021-04-08 화재확산방지 및 초기화재진압 기능을 갖는 콘센트 가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9550A KR20220139550A (ko) 2022-10-17
KR102557538B1 true KR102557538B1 (ko) 2023-07-26

Family

ID=838100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5634A KR102557538B1 (ko) 2021-04-08 2021-04-08 화재확산방지 및 초기화재진압 기능을 갖는 콘센트 가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753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45114A (ja) 1999-06-09 2000-12-12 Teraoka Seisakusho:Kk 防湿用粘着テープ
JP2005143840A (ja) 2003-11-14 2005-06-09 Sankoo:Kk 保液テープ
KR102237294B1 (ko) 2019-06-26 2021-04-07 (주)수 캡슐형 소화약제를 이용한 2액형 초기화재진압용 에폭시계 도료 조성물 및 에어로졸형 에폭시계 도료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5649U (ko) * 1989-06-30 1991-02-18
KR101011709B1 (ko) 2007-08-10 2011-01-28 임두만 콘센트
KR101719492B1 (ko) * 2015-07-08 2017-03-24 파이어킴 주식회사 열감응 자동 소화 장치
KR101734514B1 (ko) * 2015-09-03 2017-05-11 동서대학교 산학협력단 화재 조기진압용 전원콘센트 장착 소화덮개
KR101994813B1 (ko) * 2017-02-24 2019-07-01 정형진 자동소화용 접착 테이프
KR200490593Y1 (ko) * 2018-03-23 2019-12-04 주식회사 코리아엠에프 엘리베이터 보호 패널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45114A (ja) 1999-06-09 2000-12-12 Teraoka Seisakusho:Kk 防湿用粘着テープ
JP2005143840A (ja) 2003-11-14 2005-06-09 Sankoo:Kk 保液テープ
KR102237294B1 (ko) 2019-06-26 2021-04-07 (주)수 캡슐형 소화약제를 이용한 2액형 초기화재진압용 에폭시계 도료 조성물 및 에어로졸형 에폭시계 도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9550A (ko) 2022-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688112C (en) Flame resistant and heat protective flexible material with intumescing guard plates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CA2753087C (en) Fire hose coupling with directional indicator
PL1802703T3 (pl) Termoplasty o dobrej płynności z fluorowcowym środkiem ogniochronnym
US7544100B2 (en) Expandable electrical plug and surge protector
KR102557538B1 (ko) 화재확산방지 및 초기화재진압 기능을 갖는 콘센트 가드
WO2008076264A2 (en) Fire retardant body and methods of use
JPH10509550A (ja) 機能不全を示す手段を有する電気ケーブル
EP1035169A4 (en) FLAME RETARDANT POLYCARBONATE RESIN COMPOSITION
KR102249270B1 (ko) 투척식 소화기가 구비된 안전 멀티탭
CA2586470C (en) Gasket system for a vandal resistant luminaire
Camino et al. Intumescence
CN210518889U (zh) 一种用于碳纤维地暖的防火电缆
EP1160290A4 (en) FLAME RETARDANT FOR THERMOPLASTIC RESIN AND FLAME RETARDANT RESIN COMPOSITION
JP5365501B2 (ja) 不燃性内照式電飾看板
JP2011080723A (ja) 空気調和機の室外ユニット
CN202509317U (zh) 具有高效阻燃功能性织物
AU2020394897B2 (en) Safety electrical outlet
Gordon et al. Ecosystem management and economic development
JP3100309U (ja) コンセント安全保護プレート
KR20090010287U (ko) 덮개를 갖는 멀티탭
KR20170003926U (ko) 피난유도선
KR0113750Y1 (ko) 케이블 보호 차화판
KR200460253Y1 (ko) 수배전반
CN216872354U (zh) 一种航空用电源接头布套隐蔽件
JP2008308176A (ja) 貯蔵タンクの浮屋根断熱材並びに保護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