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7164B1 - 반려동물용 신발 - Google Patents

반려동물용 신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7164B1
KR102557164B1 KR1020220110903A KR20220110903A KR102557164B1 KR 102557164 B1 KR102557164 B1 KR 102557164B1 KR 1020220110903 A KR1020220110903 A KR 1020220110903A KR 20220110903 A KR20220110903 A KR 20220110903A KR 102557164 B1 KR102557164 B1 KR 1025571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g
companion animal
connection part
unit
wo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109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창주
Original Assignee
박창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창주 filed Critical 박창주
Priority to KR10202201109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716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71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71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3/00Devices for grooming or caring of animals, e.g. curry-combs; Fetlock rings; Tail-holders; Devices for preventing crib-biting; Washing devices; Protection against weather conditions or insects
    • A01K13/006Protective coverings
    • A01K13/007Leg, hoof or foot protecto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7/00Leads or collars, e.g. for dogs
    • A01K27/003Leads, leash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0525Loin or waist area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0543Leg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055Protector fastening, e.g. on the human body
    • A41D13/0556Protector fastening, e.g. on the human body with releasable fastening mea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Zoology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려동물의 앞다리 또는 뒷다리에 착용 가능한 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는, 반려동물의 두 발 각각에 착용 가능한 발보호부; 각 발보호부와 각각 연결되어, 반려동물의 다리 각각에 착용 가능한 다리연결부; 및 각각의 상기 다리연결부 상부 부분에서부터 등까지 연장 형성되어, 반려동물의 몸통 양 측을 감싸는 바디연결부;를 포함하되, 두 개의 상기 바디연결부의 단부가 서로 체결 및 분리 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몸체부가 앞다리 또는 뒷다리에 착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용 신발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반려동물용 신발{SHOES FOR PET}
본 발명은 반려동물용 신발에 관한 것이다.
국내 애견 인구가 수백만명에 이르고, 애완용으로 기르는 애완견도 수백마리로 이르고 있으며, 국내 애견 관련 산업 규모도 연간 1조원을 넘어서는 것으로 추산되고 있으며, 이제 사람들도 애완견은 과거와 달리 집을 지키고 남은 음식을 처리하는 동물이 아닌 우리와 더불어 사는 가족과 같은 반려자로 생각하고 있다. 따라서, 산책을 나가거나 야외활동을 애완견과 함께 하는 시간이 많아졌고, 이와 관련된 용품 예를 들면, 애견의류, 애견목줄, 애견용 신발 등 판매되고 있다.
애견용 신발은 애완견과 함께 산책 등을 다녀온 후 애완견을 집안에 다시 들여놓기 위해 애완견의 발을 씻겨야 하는 번거러움을 없애주는 용품으로, 종래 다양한 형태의 애견용 신발이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애견용 신발은 단지 수요자의 미적 디자인만 고려함으로써 사용자가 애완견 발에 착용시키기가 불편하였을 뿐만 아니라 애완견 자신도 부자연스러운 행동을 보이는 경우가 많았다. 특히, 종래의 애견용 신발은 단지 애완견 발에만 끼워넣어 착용시키는 방식이므로 야외 산책시 신발이 자주 벗겨지거나 주인도 모르는 사이에 1~2개씩 분실되어 다시 짝이 맞는 한 세트의 신발을 사야하는 문제점도 발생하였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5-0002431호(2015.06.23)
본 발명은 반려동물의 산책 등 야외활동 시에 반려동물의 발에 착용되어 발의 오염이나 상처 등을 방지할 수 있고, 반려동물의 발에 착용되는 발보호부가 반려동물의 다리와 몸통에 착용되는 다리연결부 및 바디연결부와 연결됨으로써, 야외 활동 시 반려동물용 신발이 분실되거나 임의로 벗겨지는 일이 없는, 반려동물용 신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배보호부를 통해, 배 부분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고, 진드기와 같은 해충으로부터 반려동물을 보호할 수 있는 반려동물용 신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반려동물의 앞다리 또는 뒷다리에 착용 가능한 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는, 반려동물의 두 발 각각에 착용 가능한 발보호부; 각 발보호부와 각각 연결되어, 반려동물의 다리 각각에 착용 가능한 다리연결부; 및 각각의 상기 다리연결부 상부 부분에서부터 등까지 연장 형성되어, 반려동물의 몸통 양 측을 감싸는 바디연결부;를 포함하되, 두 개의 상기 바디연결부의 단부가 서로 체결 및 분리 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몸체부가 앞다리 또는 뒷다리에 착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용 신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몸체부는, 반려동물의 앞 다리에 착용되는 제1 몸체부; 및 반려동물의 뒷 다리에 착용되는 제2 몸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용 신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몸체부는, 좌측 앞발과 우측 앞발에 각각 착용되는 제1 앞발보호부와 제2 앞발보호부; 좌측 앞다리와 우측 앞다리에 각각 착용되는 제1 앞다리연결부와 제2 앞다리연결부; 및 상기 제1 앞다리연결부 및 상기 제2 앞다리연결부 각각의 상부와 연결되어, 좌측 앞다리의 외측면과 우측 앞다리의 외측면 각각에서부터 등까지 연결되는 제1 앞바디연결부와 제2 앞바디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용 신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몸체부는, 좌측 뒷발과 우측 뒷발에 각각 착용되는 제1 뒷발보호부와 제2 뒷발보호부; 좌측 뒷다리와 우측 뒷다리에 각각 착용되는 제1 뒷다리연결부와 제2 앞다리연결부; 및 상기 제1 뒷다리연결부 및 상기 제2 앞다리연결부 각각의 상부와 연결되며, 각 뒷다리 외측면에서부터 등까지 연결되는 제1 뒷바디연결부와 제2 뒷바디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용 신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몸체부는, 반려동물의 몸통 양 측을 감싸는 양 측의 상기 바디연결부가 체결 및 분리 가능하도록, 양 측의 바디연결부 각각의 단부에 설치되는 제1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몸체부는, 반려동물의 몸통 양 측을 감싸는 양 측의 상기 바디연결부가 체결 및 분리 가능하도록, 양 측의 바디연결부 각각의 단부에 설치되는ㅈ 제2체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용 신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반려동물의 배 부분을 가릴 수 있도록 형성되는 배보호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배보호부는, 상기 제1 몸체부와 상기 제2 몸체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용 신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보호부는, 반려동물이 대소변이 가능하도록 후방에 형성되는 개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용 신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디연결부에 설치되어, 반려동물의 리드줄이 연결될 수 있는 고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용 신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리연결부 및 상기 바디연결부 중 적어도 하나의 소정 영역에서 빛이 반사될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되는 리플렉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용 신발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반려동물의 산책 등 야외활동 시에 반려동물의 발에 착용되어 발의 오염이나 상처 등을 방지할 수 있고, 반려동물의 발에 착용되는 발보호부가 반려동물의 다리와 몸통에 착용되는 다리연결부 및 바디연결부와 연결됨으로써, 야외 활동 시 반려동물용 신발이 분실되거나 임의로 벗겨지는 일이 없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배보호부를 통해, 배 부분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고, 진드기와 같은 해충으로부터 반려동물을 보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용 신발의 몸체부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용 신발의 몸체부와 배보호부가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용 신발을 착용한 상태의 강아지 모습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용 신발을 착용한 상태의 강아지 모습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1에 따른 두 개의 몸체부를 연결하는 연결부재가 포함된 반려동물용 신발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용 신발의 발보호부와 다리연결부가 연결되는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이즈조절부와 폭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반려동물용 신발을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보호부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도 8에 따른 배보호부가 접힌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도조절부가 설치된 발보호부를 나타낸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유닛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용 신발(1)의 몸체부(10)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용 신발(1)은 반려동물의 발에 착용되는 복수의 발보호부(11) 각각과 연결되되, 반려동물의 몸통에 착용되도록 하여, 반려동물의 야외활동 시, 반려동물의 발에 착용된 임의로 발보호부(11)가 벗겨지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용 신발(1)은 반려동물의 앞다리 또는 뒷다리에 착용되는 몸체부(10)를 포함한다.
몸체부(10)는 발보호부(11), 다리연결부(12), 바디연결부(13) 및 체결부(14)를 포함한다.
몸체부(10)는, 반려동물의 앞 다리에 착용 가능한 제1 몸체부(10a)와, 반려동물의 뒷다리에 착용 가능한 제2 몸체부(10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몸체부(10a)와 제2 몸체부(10b) 각각은 발보호부(11), 다리연결부(12) 및 바디연결부(13)를 각각 포함할 수 있다.
발보호부(11)는 반려동물의 두 발 각각에 착용될 수 있다.
발보호부(11)는 반려동물의 발에 각각 착용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발보호부(11)는 두 앞 발과 두 뒷 발 각각에 착용될 수 있다.
일 예로, 발보호부(11)는 실리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발보호부(11)가 실리콘 재질로 형성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미끄럼 방지 기능 및 방수 기능이 있는 고무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는, 여름 철에는 화상을 예방할 수 있는 화방 방지 기능을 포함하는 소재나 쿨 소재 등 다양한 소재 중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발보호부(11)는 반려동물의 발에 착용되어 발을 외부 자극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일반적인 신발 역할을 수행한다. 각 발보호부(11)는 반려동물의 발이 삽입될 수 있는 신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발보호부(11)는 제1 앞발보호부(111), 제2 앞발보호부(112), 제1 뒷발보호부(113) 및 제2 뒷발보호부(11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앞발보호부(111) 및 제2 앞발보호부(112)는 두 개의 앞발에 각각 착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앞발보호부(111)는 반려동물의 좌측 앞발에 착용될 수 있고, 제2 앞발보호부(112)는 반려동물의 우측 앞발에 착용될 수 있다.
제1 뒷발보호부(113) 및 제2 뒷발보호부(114)는 두 개의 뒷발에 착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뒷발보호부(113)는 반려동물의 좌측 뒷발에 착용될 수 있고, 제2 뒷발보호부(114)는 반려동물의 우측 뒷발에 착용될 수 있다.
다리연결부(12)는 각 발보호부(11)와 각각 연결되어, 반려동물의 다리 각각에 착용될 수 있다. 다리연결부(12)는 각 발보호부(11)와 각각 연결되어, 반려동물의 다리에 각각 착용될 수 있다. 다리연결부(12)는 두 앞 다리와 두 뒷 다리에 각각 착용될 수 있다.
다리연결부(12)는 원단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다리연결부(12)는 통풍이 잘 되는 메쉬망 소재, 우비 소재, 면 소재, 움직임에 따라 변형이 자유로워 착용감이 편안한 스판소재, 또는 스판 방수 소재 등 다양한 소재 중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리연결부(12)는 제1 앞다리연결부(121), 제2 앞다리연결부(122), 제1 뒷다리연결부(123) 및 제2 뒷다리연결부(124)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다리연결부(12)는 두 앞 다리에 각각 착용되는 제1 앞다리연결부(121) 및 제2 앞다리연결부(122)와, 두 뒷다리에 각각 착용되는 제1 뒷다리연결부(123) 및 제2 뒷다리연결부(124)를 포함한다.
제1 앞다리연결부(121)와 제2 앞다리연결부(122)는 두 개의 앞 다리에 각각 착용될 수 있다. 제1 앞다리연결부(121)는 제1 앞발보호부(111)와 연결되어 반려동물의 좌측 앞다리에 착용될 수 있고, 제2 앞다리연결부(122)는 제2 앞발보호부(112)와 연결되어 반려동물의 우측 앞다리에 착용될 수 있다. 즉, 제1 앞다리연결부(121)의 하부가 제1 앞발보호부(111)의 상부와 연결되고, 제2 앞다리연결부(122)의 하부가 제2 앞발보호부(112)의 상부와 연결될 수 있다.
제1 뒷다리연결부(123)와 제2 뒷다리연결부(124)는 두 개의 뒷 다리에 각각 착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뒷다리연결부(123)는 제1 뒷발보호부(113)와 연결되어 반려동물의 좌측 뒷다리에 착용될 수 있고, 제2 뒷다리연결부(124)는 제2 뒷발보호부(114)와 연결되어 반려동물의 우측 앞다리에 착용될 수 있다. 즉, 제1 뒷다리연결부(123)의 하부가 제1 뒷발보호부(113)의 상부와 연결되고, 제2 뒷다리연결부(124)의 하부가 제2 뒷발보호부(114)의 상부와 연결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앞다리연결부(121), 제2 앞다리연결부(122), 제1 뒷다리연결부(123) 및 제2 뒷다리연결부(124)는 반려동물의 다리가 끼워질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되며, 반려동물의 다리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앞다리연결부(121) 제2 앞다리연결부(122), 제1 뒷다리연결부(123) 및 제2 뒷다리연결부(124)는 반려동물의 발목 부분에서부터, 다리와 몸통이 이어지는 겨드랑이 부분까지의 길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1 앞다리연결부(121), 제2 앞다리연결부(122), 제1 뒷다리연결부(123) 및 제2 뒷다리연결부(124)는 반려동물의 다리가 내부에 관통할 수 있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되,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폭이 증가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다리 아래 부분에서 위로 갈수록 두꺼워지는 신체 조건에 따라, 상부로 갈수록 내부 직경이 증가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바디연결부(13)는 각각의 다리연결부(12) 상부 부분에서부터 등까지 연장 형성되어, 반려동물의 몸통 양 측을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두 개의 바디연결부(13)의 단부가 서로 체결 및 분리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몸체부(10)는 앞다리 또는 뒷다리에 착용될 수 있다. 이처럼, 바디연결부(13)는 반려동물의 다리 부분에서부터 등 부분까지 연결되어, 반려동물의 몸통에 착용될 수 있다.
바디연결부(13)는 다리연결부(12)와 일체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고, 서로 다른 부재로 형성되어 연결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일 예로, 바디연결부(13)와 다리연결부(12)는 도 2와 같이 원단 소재로 형성될 수 있고, 도 3과 같이, 메쉬망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바디연결부(13)는 제1 앞바디연결부(131), 제2 앞바디연결부(132), 제1 뒷바디연결부(133) 및 제2 뒷바디연결부(13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앞바디연결부(131) 및 제2 앞바디연결는 제1 앞다리연결부(121) 및 제2 앞다리연결부(122) 각각의 상부와 연결되며, 앞다리 상부(어깨 부근)에서부터 등까지 연장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제1 앞바디연결부(131) 및 제2 앞바디연결부(132)는 반려동물의 어깨에서부터 등 위까지 밀착될 수 있는 면을 이루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앞바디연결부(131) 및 제2 앞바디연결부(132)는 어깨 부분에서 등으로 갈수록 폭이 점차 좁아지는 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앞바디연결부(131)의 하부는 제1 앞다리연결부(121)의 상부에 연결되되, 반려동물의 좌측 앞다리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연결될 수 있다. 제1 앞바디연결부(131)의 상부는 반려동물의 등에 위치되되, 목 뒤 부분인 등의 전방에 위치될 수 있다. 즉, 제1 앞바디연결부(131)는 반려동물의 좌측 앞다리 어깨 부분 외측에서부터 반려동물 목 뒤쪽의 등 부분까지 연장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앞바디연결부(132)의 하부는 제2 앞다리연결부(122)의 상부에 연결되되, 반려동물의 우측 앞다리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연결될 수 있다. 제2 앞바디연결부(132)의 상부는 반려동물의 등에 위치되되, 목 뒤 부분인 등의 전방에 위치될 수 있다. 즉, 제2 앞바디연결부(132)는 반려동물의 우측 앞다리 어깨 부분 외측에서부터 반려동물 목 뒤쪽의 등 부분까지 연장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앞바디연결부(131)의 상부 부분과 제2 앞바디연결부(132)의 상부 부분은 반려동물의 목 뒤쪽의 등 부분에서 서로 맞닿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앞바디연결부(131)와 제2 앞바디연결부(132)는 제1 체결부(141)에 의해 체결 및 분리될 수 있다.
제1 뒷바디연결부(133) 및 제2 뒷바디연결부(134)는 제1 뒷다리연결부(123) 및 제2 뒷다리연결부(124) 각각의 상부(즉, 허벅지 또는 고관절 부분)와 연결되고, 뒷다리 상부에서부터 등까지 연장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제1 뒷바디연결부(133) 및 제2 뒷바디연결부(134)는 반려동물의 허벅지에서부터 등 위까지 밀착될 수 있는 면을 이루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뒷바디연결부(133) 및 제2 뒷바디연결부(134)는 허벅지 부분에서 등으로 갈수록 폭이 점차 좁아지는 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뒷바디연결부(133)의 하부는 제1 뒷다리연결부(123)의 상부에 연결되되, 반려동물의 좌측 뒷다리 외측면을 감싸도록 연결될 수 있다. 제1 뒷바디연결부(133)의 상부는 반려동물의 등에 위치되되, 꼬리 앞 부분인 등의 후방에 위치될 수 있다. 즉, 제1 뒷바디연결부(133)는 반려동물의 좌측 뒷다리 고관절 부분에서부터 반려동물 꼬리 앞쪽의 등 부분까지 연장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뒷바디연결부(134)의 하부는 제2 뒷다리연결부(124)의 상부에 연결되되, 반려동물의 우측 뒷다리 외측면을 감싸도록 연결될 수 있다. 제2 뒷바디연결부(134)의 상부는 반려동물의 등에 위치되되, 꼬리 앞 부분인 등의 후방에 위치될 수 있다. 즉, 제2 뒷바디연결부(134)는 반려동물의 우측 뒷다리 고관절 부분에서부터 반려동물 꼬리 앞쪽의 등 부분까지 연장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뒷바디연결부(133)의 상부 부분과 제2 뒷바디연결부(134)의 상부 부분은 반려동물의 꼬리 앞쪽의 등 부분에서 서로 맞닿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뒷바디연결부(133)와 제2 뒷바디연결부(134)는 제2 체결부(142)에 의해 체결 및 분리될 수 있다.
제1 앞바디연결부(131), 제2 앞바디연결부(132), 제1 뒷바디연결부(133) 및 제2 뒷바디연결부(134)는 제1 앞다리연결부(121), 제2 앞다리연결부(122), 제1 뒷다리연결부(123) 및 제2 뒷다리연결부(124)와 일체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고, 서로 다른 부재로 형성되어 연결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일 예로, 제1 앞바디연결부(131), 제2 앞바디연결부(132), 제1 뒷바디연결부(133), 제2 뒷바디연결부(134), 제1 앞다리연결부(121), 제2 앞다리연결부(122), 제1 뒷다리연결부(123) 및 제2 뒷다리연결부(124)는 도 2와 같이 원단 소재로 형성될 수 있고, 도 3과 같이, 메쉬망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체결부(14)는 서로 체결 및 분리 가능한 체결부(14)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체결부(14)는 제1 체결부(141) 및 제2 체결부(142)를 포함한다. 일 예로, 제1 체결부(141) 및 제2 체결부(142)는 버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체결부(141)는 암버클과 수버클을 포함하며, 암버클과 수버클 각각은 제1 앞바디연결부(131)와 제2 앞바디연결부(132)의 단부에 각각 설치되어, 서로 체결됨에 따라 제1 앞바디연결부(131)와 제2 앞바디연결부(132)가 서로 체결 및 분리될 수 있다.
제2 체결부(142)는 암버클과 수버클을 포함하며, 암버클과 수버클 각각은 제1 뒷바디연결부(133)와 제2 뒷바디연결부(134)의 단부에 각각 설치되어, 서로 체결됨에 따라 제1 뒷바디연결부(133)와 제2 뒷바디연결부(134)가 서로 체결 및 분리될 수 있다.
다만, 제1 체결부(141)와 제2 체결부(142)가 버클로 형성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체결 구조 중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1 앞바디연결부(131)와 제2 앞바디연결부(132)가 서로 체결 고정되는 구조가 제1 체결부(141)에 의해 체결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앞바디연결부(131)와 제2 앞바디연결부(132)는 단부의 길이가 서로 매듭으로 묶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 앞바디연결부(131)와 제2 앞바디연결부(132)는 서로 매듭으로 묶일 수 있을 만큼 단부의 길이가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1 뒷바디연결부(133)와 제2 뒷바디연결부(134)가 서로 체결 고정되는 구조가 제2 체결부(142)에 의해 체결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뒷바디연결부(133)와 제2 뒷바디연결부(134)는 단부의 길이가 서로 매듭으로 묶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 뒷바디연결부(133)와 제2 뒷바디연결부(134)는 서로 매듭으로 묶일 수 있을 만큼 단부의 길이가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10)는 제1 몸체부(10a) 및 제2 몸체부(10b)를 포함한다.
제1 몸체부(10a)는 반려동물의 앞 다리에 착용될 수 있고, 제2 몸체부(10b)는 반려동물의 뒷 다리에 착용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몸체부(10a)는 앞다리와 반려동물의 앞 몸통에 착용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고, 제2 몸체부(10b)는 뒷다리와 반려동물의 뒷 몸통에 착용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몸체부(10a)는, 제1 앞발보호부(111), 제2 앞발보호부(112), 제1 앞다리연결부(121) 제2 앞다리연결부(122), 제1 앞바디연결부(131) 및 제2 앞바디연결부(132)로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앞발보호부(111)는 반려동물의 좌측 앞발을 보호하도록 감싸고, 제1 앞다리연결부(121)는 반려동물의 좌측 앞다리를 보호하도록 착용되며, 제1 앞바디연결부(131)는 반려동물의 좌측의 어깨 외측면에서부터 등까지 연장되어 반려동물의 좌측 몸통을 감싸도록 착용된다.
제2 앞발보호부(112)는 반려동물의 우측 앞발을 보호하도록 감싸고, 제2 앞다리연결부(122)는 반려동물의 우측 앞다리를 보호하도록 착용되며, 제2 앞바디연결부(132)는 반려동물의 우측의 어깨 외측면에서부터 등까지 연장되어 반려동물의 우측 몸통을 감싸도록 착용된다.
이 상태에서, 제1 앞바디연결부(131)와 제2 앞바디연결부(132)의 상부는 제1 체결부(141)에 의해 서로 체결 및 분리될 수 있다. 제1 앞바디연결부(131)와 제2 앞바디연결부(132)가 서로 체결 고정됨에 따라, 제1 몸체부(10a)가 반려동물의 앞 발과 앞 다리에 안정적으로 착용될 수 있다.
제2 몸체부(10b)는, 제1 뒷발보호부(113), 제2 뒷발보호부(114), 제1 뒷다리연결부(123) 제2 뒷다리연결부(124), 제1 뒷바디연결부(133) 및 제2 뒷바디연결부(134)로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뒷발보호부(113)는 반려동물의 좌측 뒷발을 보호하도록 감싸고, 제1 뒷다리연결부(123)는 반려동물의 좌측 뒷다리를 보호하도록 착용되며, 제1 뒷바디연결부(133)는 반려동물의 좌측의 허벅지 외측면에서부터 등까지 연장되어 반려동물의 좌측 몸통을 감싸도록 착용된다.
제2 뒷발보호부(114)는 반려동물의 우측 뒷발을 보호하도록 감싸고, 제2 뒷다리연결부(124)는 반려동물의 우측 뒷다리를 보호하도록 착용되며, 제2 뒷바디연결부(134)는 반려동물의 우측의 허벅지 외측면에서부터 등까지 연장되어 반려동물의 우측 몸통을 감싸도록 착용된다.
이 상태에서, 제1 뒷바디연결부(133)와 제2 뒷바디연결부(134)의 상부는 제2 체결부(142)에 의해 서로 체결 및 분리될 수 있다. 제1 뒷바디연결부(133)와 제2 뒷바디연결부(134)가 서로 체결 고정됨에 따라, 제2 몸체부(10b)가 반려동물의 뒷 발과 뒷 다리에 안정적으로 착용될 수 있다.
이처럼, 제1 몸체부(10a)는 반려동물의 앞다리와 앞 몸통에 착용되어, 반려동물의 앞 발을 감싸도록 착용되는 제1 앞발보호부(111)와 제2 앞발보호부(112)가 벗겨지지 않도록 하여, 반려동물의 앞 발을 안정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몸체부(10b)는 반려동물의 뒷 다리와 뒷 몸통에 착용되어, 반려동물의 뒷 발을 감싸도록 착용되는 제1 뒷발보호부(113)와 제2 뒷발보호부(114)가 벗겨지지 않도록 하여, 반려동물의 뒷 발을 안정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용 신발(1)의 몸체부(10)와 배보호부(20)가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용 신발(1)을 착용한 상태의 강아지 모습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용 신발(1)을 착용한 상태의 강아지 모습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용 신발(1)은 배보호부(20), 고리부(30) 및 리플렉스부(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배보호부(20)는 반려동물의 배 부분을 가릴 수 있도록 형성되며, 제1 몸체부(10a)와 제2 몸체부(10b)에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배보호부(20)는 반려동물의 배 부분을 가릴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배보호부(20)는 배 부분을 가릴 수 있는 직사각형과 유사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배보호부(20)의 각 모서리부분은 반려동물의 다리와 몸통이 연결되는 겨드랑이 부분에 위치되는 제1 앞다리연결부(121), 제2 앞다리연결부(122), 제1 뒷다리연결부(123) 및 제2 뒷다리연결부(124) 각각에 연결될 수 있다.
배보호부(20)는 제1 앞다리연결부(121), 제2 앞다리연결부(122), 제1 뒷다리연결부(123) 및 제2 뒷다리연결부(124)와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별도의 부재가 연결된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배보호부(20)는 제1 앞다리연결부(121), 제2 앞다리연결부(122), 제1 뒷다리연결부(123) 및 제2 뒷다리연결부(124)와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경우, 제1 몸체부(10a)와 제2 몸체부(10b)가 서로 연결된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배보호부(20)가 배보호부(20)는 제1 앞다리연결부(121), 제2 앞다리연결부(122), 제1 뒷다리연결부(123) 및 제2 뒷다리연결부(124)와 분리된 별도의 부재로 형성되는 경우, 제1 몸체부(10a), 제2 몸체부(10b) 및 배보호부(20)가 각각 제작되고, 배보호부(20)는 제1 몸체부(10a) 및 제2 몸체부(10b)와 다양한 연결 구조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일 예로, 배보호부(20)는 제1 몸체부(10a) 및 제2 몸체부(10b) 각각과 지퍼나 단추 부재 등으로 연결 및 분리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배보호부(20)는 메쉬망, 면, 우비소재 등 다양한 원단 소재 중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배보호부(20)에는 개방부(21)가 형성될 수 있다.
개방부(21)는 배보호부(20)의 후방부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배보호부(20)에는 반려동물이 대소변이 가능하도록 반려동물의 생식기가 위치되는 부분에 개방된 형태의 개방부(21)가 형성될 수 있다.
고리부(30)는 제1 앞바디연결부(131) 또는 제2 앞바디연결부(132)의 상단에 연결되어, 리드줄이 연결될 수 있는 고리이다.
리플렉스부(40)는 빛이 반사되는 형광색 등의 필름, 원단 등으로 이루어져, 어두운 장소나 어두운 시간에도 반려동물의 위치와 이동이 잘 보이도록 하여, 차량 사고와 같은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리플렉스부(40)는 다리연결부(12) 및 바디연결부(13)에 복수의 영역에 설치될 수 있다.
도 5는 도 1에 따른 두 개의 몸체부(10)를 연결하는 연결부재(50)가 포함된 반려동물용 신발(1)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용 신발(1)은 제1 몸체부(10a), 제2 몸체부(10b) 및 연결부재(5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도 1에서 제1 몸체부(10a)와 제2 몸체부(10b)가 연결부재(50)에 의해 서로 연결 고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결부재(50)는 좌측의 제1 앞다리연결부(121) 및 제1 뒷다리연결부(123)의 상부에 연결되어, 제1 앞다리연결부(121) 및 제1 뒷다리연결부(123)를 서로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연결부재(50)는 우측의 제2 앞다리연결부(122)와 제2 뒷다리연결부(124)의 상부에 연결되어, 제2 앞다리연결부(122)와 제2 뒷다리연결부(124)를 서로 연결할 수 있다.
이때, 연결부재(50)는 끈 형태로 형성되어 반려동물의 옆구리 부분에 위치되어, 반려동물의 배 부분은 개방된 상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여름 철 체온 조절을 위해 배 부분을 개방하기 위해, 배보호부(20)가 포함되지 않는 형태로 제작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용 신발(1)의 발보호부(11)와 다리연결부(12)가 연결되는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용 신발(1)은 발보호부(11)와 다리연결부(12)가 탈부착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려동물 신발의 각 발보호부(11)와 각 다리연결부(12)는 재봉, 융착 등에 의해 서로 고정된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부(60)에 의해 발보호부(11)와 다리연결부(12)가 서로 탈부착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결합부(60)는 암결합부재(61) 및 수결합부재(62)를 포함한다. 일 예로, 결합부(60)는 지퍼로 이루어져, 암결합부재(61) 및 수결합부재(62)가 서로 맞물릴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도면에서는 결합부(60)가 지퍼 형태로 형성되는 것으로 표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단추, 벨크로 등 다양한 탈부착 부재 중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암결합부재(61)가 각 발보호부(11)의 상부 외측 둘레면에 설치될 수 있고, 수결합부재(62)는 각 다리연결부(12)의 하부 내측 둘레면에 설치되어, 서로 체결될 수 있다. 따라서, 비오는 날이나 눈오는 날 반려동물용 신발(1)을 이용한 후에, 각 발보호부(11) 부분을 분리하고, 다리연결부(12), 바디연결부(13) 및 배보호부(20)를 세탁할 수 있다. 각 발보호부(11)를 포함하는 발 보호부는 실리콘 또는 고무 재질로 형성되기 때문에 별도의 세탁 없이 물티슈 등으로 닦을 수 있다. 또한, 발보호부(11)는 오염에 강한 소재/원단으로 형성되어, 세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 후, 다시 각 발보호부(11)를 각 다리연결부(12)에 체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때, 결합부(60)의 수결합부재(62)가 설치되는 다리연결부(12)의 하부의 소정길이에는 형태유지부(125)가 형성될 수 있다. 형태유지부(125)는 원단으로 이루어지는 각 다리연결부(12)의 소재보다 두껍고 단단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형태유지부(125) 내측에 수결합부재(62)가 설치될 수 있다. 형태유지부(125)는 무게에 의해 형태가 변형되지 않기 때문에, 수결합부재(62)가 내측면에 설치되더라도, 동일한 형태가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암결합부재(61)와 수결합부재(62)의 탈부착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이즈조절부(135)와 폭조절부(70)를 더 포함하는 반려동물용 신발(1)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용 신발(1)은 사이즈조절부(135) 및 폭조절부(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사이즈조절부(135)는 조절클립(1351) 및 스트랩(1352)을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제1 앞바디연결부(131) 및 제2 앞바디연결부(132) 각각의 상부에 조절클립(1351)이 설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조절클립(1351)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가방 끈 길이 조절 버클 중 하나로 이루어지며, 길이 조절이 가능한 가방 끈에 버클이 설치되는 형태로, 조절클립(1351)이 제1 앞바디연결부(131) 및 제2 앞바디연결부(132)의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제1 앞바디연결부(131) 및 제2 앞바디연결부(132)의 상부에 설치될 수 있다.
반려동물의 신체 조건에 따라, 제1 앞바디연결부(131) 및 제2 앞바디연결부(132)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제1 뒷바디연결부(133) 및 제2 뒷바디연결부(134)에는 조절클립(1351) 및 스트랩(1352)이 설치될 수 있다.
스트랩(1352)은 제1 뒷바디연결부(133) 및 제2 뒷바디연결부(134) 각각의 상부에 설치될 수 있다. 스트랩(1352)은 제1 뒷바디연결부(133) 및 제2 뒷바디연결부(134) 각각의 상부 소정 길이에 2개가 서로 이격되어 설치될 수 있다.
제1 뒷바디연결부(133) 및 제2 뒷바디연결부(134) 각각에 설치된 스트랩(1352) 각각에 조절클립(1351)이 설치될 수 있다. 조절클립(1351)은 상술한 바와 같이 가방 끈 길이조절 버클과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져, 스트랩(1352)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반려동물의 신체 조건에 따라, 스트랩(1352)의 길이를 조절하여, 제1 뒷바디연결부(133) 및 제2 뒷바디연결부(134)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폭조절부(70)는 제1 앞다리연결부(121), 제2 앞다리연결부(122), 제1 뒷다리연결부(123) 및 제2 뒷다리연결부(124)에 설치되어, 제1 앞다리연결부(121), 제2 앞다리연결부(122), 제1 뒷다리연결부(123) 및 제2 뒷다리연결부(124)가 반려동물의 다리에 안정적으로 착용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폭 조절부는 제1 앞다리연결부(121), 제2 앞다리연결부(122), 제1 뒷다리연결부(123) 및 제2 뒷다리연결부(124) 각각에 설치되어, 제1 앞다리연결부(121), 제2 앞다리연결부(122), 제1 뒷다리연결부(123) 및 제2 뒷다리연결부(124)의 폭을 조절하여, 반려동물의 다리에 제1 앞다리연결부(121), 제2 앞다리연결부(122), 제1 뒷다리연결부(123) 및 제2 뒷다리연결부(124) 각각이 밀착되도록 할 수 있다.
폭조절부(70)는 밴드부(71) 및 벨크로부(72)를 포함할 수 있다.
밴드부(71)는 소정 길이의 밴드로 형성되며, 소정의 탄성을 가질 수 있는 고무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밴드부(71)는 제1 앞다리연결부(121), 제2 앞다리연결부(122), 제1 뒷다리연결부(123) 및 제2 뒷다리연결부(124) 각각에 설치될 수 있다. 일 예로, 밴드부(71)는 반려동물의 무릎(슬개골) 아래쪽 높이에 위치되도록 제1 앞다리연결부(121), 제2 앞다리연결부(122), 제1 뒷다리연결부(123) 및 제2 뒷다리연결부(124) 각각에 설치될 수 있다.
밴드부(71)의 양 단에는 서로 체결가능한 벨크로부(72)가 설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일 측 단부에는 수벨크로가 설치되고, 타 측 단부에는 암벨크로가 설치될 수 있다.
이때, 밴드부(71)의 일 단부의 소정 길이는 제1 앞다리연결부(121), 제2 앞다리연결부(122), 제1 뒷다리연결부(123) 및 제2 뒷다리연결부(124) 각각에 고정되고, 타 단부는 고정되지 않은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반려동물의 다리 두께에 따라, 타 단부를 당겨서 벨크로부(72)를 통해 타 단부를 일 단부에 체결할 수 있다.
이처럼, 반려동물의 다리 두께에 맞춰서, 밴드부(71)의 일 단부와 타 단부를 체결함으로써, 폭조절부(70)에 의해 제1 앞다리연결부(121), 제2 앞다리연결부(122), 제1 뒷다리연결부(123) 및 제2 뒷다리연결부(124) 각각이 반려동물의 다리에 밀착되어, 안정적으로 착용될 수 있다. 또한, 보호자가 반려동물에게 착용시킬 때, 편리하게 착용시킬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보호부(20)가 전개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도 8에 따른 배보호부(20)가 접힌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보호부(20)는 단추(22) 및 조절홀(2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단추(22) 및 조절홀(23)을 통해, 배보호부(20)의 전후방향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배보호부(20)의 후방에 개방부(21)가 형성된 상태에서, 개방부(21)의 전방에 복수개의 단추(22)가 좌우방향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조절홀(23)은 복수개의 단추(22) 각각의 전방에 형성되되, 전후방향으로 복수의 열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조절홀(23)은 복수의 단추(22) 각각의 전방에서 단추(22) 위치와 대응되도록 복수의 조절홀(23)이 좌우로 이격 형성되고, 좌우로 이격 형성된 복수의 조절홀(23)이 하나의 열을 이룰 때, 전후 방향으로 복수의 열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열로 이루어진 조절홀(23) 중 어느 열의 조절홀(23)에 단추(22)가 끼워지는지에 따라, 배보호부(20)의 전후방향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개의 열로 이루어진 조절홀(23) 중 2번째 열의 조절홀(23)에 단추(22)를 끼워서 배보호부(20)의 전후 방향 길이를 줄일 수 있다.
반려동물마다 몸통 길이가 상이하다. 이 때, 반려동물의 몸통 길이에 맞춰서, 조절홀(23)과 단추(22)를 통해 배보호부(2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도 10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도조절부(80)가 설치된 발보호부(11)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용 신발(1)은 온도조절부(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온도조절부(80)는 각 발보호부(11)에 설치되어, 겨울 철, 반려동물 산책 시에 반려동물의 발이 시렵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일 예로, 눈이 많이 오는 겨울철에도 산책을 해야하는 반려동물의 경우, 눈이 얼은 상태의 바닥을 밟으면서 산책하게 되면 발바닥이 시렵고, 반려동물의 발 패드에 상처를 입기도 한다. 뿐만 아니라, 겨울철에는 눈을 녹이기 위한 염화칼슘이 많이 뿌려지기도 하는데, 이러한 염화칼슘을 반려동물이 직접 밟게 되어 반려동물의 발 패드 부분에 화상을 입기도 한다. 또한, 눈이나 물에 노출된 후, 발가락 사이사이 관리(드라이)를 하지 않으면, 사이사이 마다 습진이 발생하고 이로 인한 각종 피부병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도 있다. 이때, 온도조절부(80)는 각 발보호부(11)에 설치되어, 추운 겨울철에도 반려동물 산책 시, 바닥의 냉기가 반려동물의 발로 전달되지 않도록 하고, 발 패드를 보호할 수 있다.
다만, 여름철에는 아스팔트의 온도 때문에 반려동물의 발 패드에 화상을 입기도 하는데, 이러한 경우에는 온도조절부(80)가 작동되지 않고, 발보호부(11)를 통해 반려동물의 발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이때, 발보호부(11)는 외부 온도가 내부로 전달되지 않는 열전도율이 낮은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온도조절부(80)는 하우징(81), 히팅부(82) 및 공기홀(83)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81)은 각 발보호부(11)의 외측에 씌워지는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각 하우징(81)은 각 발보호부(11)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되, 각 발보호부(11)가 내부로 삽입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각 하우징(81)의 내주면에 각 발보호부(11)의 외주면에 밀착되면서, 각 하우징(81)의 내부에 각 발보호부(11)가 삽입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히팅부(82)는 반려동물의 발이 위치되는 하우징(81) 하부에 설치될 수 있다. 일 예로, 반려동물의 발 패드가 위치되는 부분에 설치될 수 있다. 히팅부(82)는 열선으로 구성되어, 작동됨에 따라 소정 온도의 열을 발열할 수 있다.
이때, 하우징(81)은 히팅부(82)에 의해 녹거나 형상이 변형되지 않는 재질로 형성되며, 열전도율이 높은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공기홀(83)은 하우징(81)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공기홀(83)은 하우징(81)의 상부에 복수개의 홀 형태로 이격 형성되어, 반려동물의 발목 부분으로 공기가 통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각 발보호부(11)에는 공기홀(83)과 연통되는 통기홀(115)이 형성되어, 반려동물의 발목 부분으로 소정의 공기가 통하도록 하여, 각 발보호부(11) 내부에 습기 차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유닛(90)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유닛(90)은 습도측정부(91), 온도측정부(92), 체온측정부(93), 움직임측정부(94), 운동량산출부(95), 위치센싱부(96) 및 알람부(97)를 포함한다. 제어유닛(90)은 기 등록된 사용자단말기와 연결되어, 각 구성들의 신호에 따라 사용자단말기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제어유닛(90)은 발보호부(11), 다리연결부(12), 바디연결부(13) 및 배보호부(20)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설치될 수도 있다.
습도측정부(91)는 각 발보호부(11) 내측에 설치되어, 각 발보호부(11) 내부의 습도를 측정할 수 있다. 즉, 습도측정부(91)는 습도를 측정할 수 있는 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온도측정부(92)는 각 발보호부(11) 내측에 설치되어, 각 발보호부(11) 내부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즉, 온도측정부(92)는 온도를 측정할 수 있는 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체온측정부(93)는 배보호부(20)의 내면에 설치되어, 반려동물의 배 부분의 신체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즉, 온도측정부(92)는 온도를 측정할 수 있는 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습도측정부(91), 온도측정부(92) 및 체온측정부(93)에서 측정된 측정값들은 모두 제어유닛(90)으로 전송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유닛(90)은 습도측정부(91)에서 측정된 습도가 기 설정된 습도값 이상이 되는 경우, 반려동물의 발에 습진 등 피부병을 유발할 수 있다고 판단하여, 사용자단말기로, 기 설정된 습도값 이상이 된 각 발보호부(11)의 위치를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당시 상황에 따라 각 발보호부(11)를 반려동물 발에서 탈착할 수 있다. 일 예로, 비가 안오는 경우, 필요에 따라, 각 발보호부(11)를 각 다리연결부(12)에서 분리하여, 각 발보호부(11)만 반려동물의 발에서 분리하여 반려동물의 발에 공기가 통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어유닛(90)은 온도측정부(92)에서 측정된 온도가 기 설정된 온도 이상이 되는 경우, 사용자단말기로, 기 설정된 온도 이상이 된 각 발보호부(11)의 위치를 전송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사용자는 상황에 따라 각 발보호부(11)를 반려동물 발에서 탈착할 수 있다. 일 예로, 각 발보호부(11)를 각 다리연결부(12)에서 분리하여, 각 발보호부(11)만 반려동물의 발에서 분리하여 반려동물의 발에 공기가 통하도록 할 수 있고, 또는 발보호부(11), 다리연결부(12), 바디연결부(13) 및 배보호부(20) 모두 반려동물 신체에서 분리시킬 수도 있다.
또한, 제어유닛(90)은 온도측정부(92)에서 측정된 온도와, 체온측정부(93)에서 측정된 온도를 비교하여 판단할 수 있다. 일 예로, 온도측정부(92)에서 측정된 온도가 기 설정된 온도 이상으로 측정되더라도, 온도측정부(92)에서 측정된 온도가 체온측정부(93)에서 측정된 온도와 기 설정된 범위 이내의 차이인 경우에는, 날씨가 덥거나 반려동물의 체온 자체가 높은 것으로 판단하여 사용자단말기로 별도의 신호를 전송하지 않을 수도 있다.
그러나, 온도측정부(92)에서 측정된 온도가 기 설정된 온도 이상으로 측정된 상태에서, 온도측정부(92)에서 측정된 온도가 체온측정부(93)에서 측정된 온도와 기 설정된 범위를 초과하여 차이가 발생되는 경우에는, 반려동물의 체온 자체에 비해, 각 발보호부(11) 내부의 온도만 높은 것으로 판단하여 사용자단말기로 신호를 전송하여, 반려동물의 발을 환기시키도록 할 수 있다.
즉, 온도측정부(92)와 체온측정부(93)의 온도를 비교하여 판단함으로써, 반려동물의 체온 자체가 높거나 날씨가 더운 경우에는 별도의 조치를 취하지 않도록 하되, 반려동물의 발 자체만 체온이 높아지는 경우에는 각 발보호부(11) 내부에 공기가 통하지 않아 반려동물의 발 부분에 온도가 높아지고 습진이 발생할 수 있다고 판단하여 보호자가 환기를 시켜주는 등의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움직임측정부(94)는 복수의 발보호부(11) 중 하나 이상에 설치되되, 바닥면에 설치되어 압력이 가해지는 횟수를 측정할 수 있다. 즉, 발이 움직인 횟수로써, 걸음 횟수를 산출할 수 있다.
운동량산출부(95)는 움직임측정부(94)에서 측정된 횟수에 따라 반려동물의 운동량을 산출할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단말기를 통해 입력받은 반려동물의 체중, 체고, 등 반려동물 정보와, 움직임측정부(94)에서 측정된 횟수를 통해 반려동물의 사용 칼로리를 산출할 수 있다.
위치센싱부(96)는 반려동물의 위치 정보를 사용자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위치센싱부(96)는 제어유닛(90)과 사용자단말기가 기 설정된 거리 이상이 되는 경우 작동될 수 있다. 즉, 제어유닛(90)과 사용자단말기가 기 설정된 거리 미만에 있는 경우에는 위치센싱부(96)는 작동되지 않고, 제어유닛(90)과 사용자단말기가 기 설정된 거리 이상이 되는 경우 작동되어, 위치센싱부(96)에서 감지되는 위치를 사용자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특히, 위치센싱부(96)는 제어유닛(90)과 사용자단말기가 기 설정된 거리 이상이 되고, 이와 동시에 움직임측정부(94)에서 압력이 가해지는 신호가 발생될 때, 해당 위치를 감지하여 사용자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반려동물의 움직임이 있을 경우, 그에 따라 위치를 감지하여 사용자단말기로 위치를 전송함으로써, 반려동물 유기 시에 반려동물의 이동에 따라 위치를 파악하고 신속하게 찾을 수 있다.
알람부(97)는 바디연결부(13)에 설치되는 조명으로써, 기 설정된 형태의 불빛이 나오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일 예로, 보호자의 핸드폰 번호나 현재 유기된 상태라는 것이 표시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알람부(97)는 제어유닛(90)과 사용자단말기가 기 설정된 거리 미만에 있는 경우에는 작동되지 않으며, 제어유닛(90)과 사용자단말기가 기 설정된 거리 이상이 되면, 자동으로 작동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 반려동물용 신발
10: 몸체부 10a: 제1 몸체부
10b: 제2 몸체부 11: 발보호부
111: 제1 앞발보호부 112: 제2 앞발보호부
113: 제1 뒷발보호부 114: 제2 뒷발보호부
115: 통기홀 12: 다리연결부
121: 제1 앞다리연결부 122: 제2 앞다리연결부
123: 제1 뒷다리연결부 124: 제2 뒷다리연결부
125: 형태유지부 13: 바디연결부
131: 제1 앞바디연결부 132: 제2 앞바디연결부
133: 제1 뒷바디연결부 134: 제2 뒷바디연결부
135: 사이즈조절부 1351: 조절클립
1352: 스트랩 14: 체결부
141: 제1 체결부 142: 제2 체결부
20: 배보호부 21: 개방부
22: 단추 23: 조절홀
30: 고리부 40: 리플렉스부
50: 연결부재 60: 결합부
61: 암결합부재 62: 수결합부재
70: 폭조절부 71: 밴드부
72: 벨크로부 80: 온도조절부
81: 하우징 82: 히팅부
83: 공기홀 90: 제어유닛
91: 습도측정부 92: 온도측정부
93: 체온측정부 94: 움직임측정부
95: 운동량산출부 96: 위치센싱부
97: 알람부

Claims (9)

  1. 반려동물의 앞 다리에 착용되는 제1 몸체부와, 반려동물의 뒷 다리에 착용되는 제2 몸체부로 구성되는 몸체부;
    상기 제1 몸체부와 상기 제2 몸체부를 연결하는 연결부재; 및
    빛이 반사될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되는 리플렉스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몸체부 및 상기 제2 몸체부 각각은,
    반려동물의 두 발 각각에 착용 가능한 발보호부;
    각 발보호부와 각각 연결되어, 반려동물의 다리 각각에 착용 가능한 다리연결부; 및
    각각의 상기 다리연결부 상부 부분에서부터 등까지 연장 형성되어, 반려동물의 몸통 양 측을 감싸는 바디연결부;를 포함하되,
    두 개의 상기 바디연결부의 단부가 서로 체결 및 분리 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제1 몸체부는 앞 다리에 착용되고, 상기 제2 몸체부는 뒷 다리에 착용되고,
    상기 연결부재는, 끈 형태로 형성되어 반려동물의 옆구리 부분에 위치되도록 상기 제1 몸체부의 다리연결부 상부와 상기 제2 몸체부의 다리연결부 상부에 연결되어, 상기 제1 몸체부와 상기 제2 몸체부를 연결하되, 반려동물의 배가 개방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리플렉스부는, 상기 다리연결부 및 상기 바디연결부 각각에서 소정 영역으로 형성되며,
    상기 각 발보호부에 설치되어, 겨울 철 반려동물의 발을 냉기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온도조절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온도조절부는,
    각 발보호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되, 각 발보호부의 외주면에 씌워지는 형태로 설치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설치되어 소정 온도로 발열하는 히팅부; 및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복수개의 홀 형태로 형성되어 반려동물의 발목 부분으로 공기가 통하도록 형성되는 공기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용 신발.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몸체부는,
    좌측 앞발과 우측 앞발에 각각 착용되는 제1 앞발보호부와 제2 앞발보호부;
    좌측 앞다리와 우측 앞다리에 각각 착용되는 제1 앞다리연결부와 제2 앞다리연결부; 및
    상기 제1 앞다리연결부 및 상기 제2 앞다리연결부 각각의 상부와 연결되어, 좌측 앞다리의 외측면과 우측 앞다리의 외측면 각각에서부터 등까지 연결되는 제1 앞바디연결부와 제2 앞바디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몸체부는,
    좌측 뒷발과 우측 뒷발에 각각 착용되는 제1 뒷발보호부와 제2 뒷발보호부;
    좌측 뒷다리와 우측 뒷다리에 각각 착용되는 제1 뒷다리연결부와 제2 앞다리연결부; 및
    상기 제1 뒷다리연결부 및 상기 제2 앞다리연결부 각각의 상부와 연결되며, 각 뒷다리 외측면에서부터 등까지 연결되는 제1 뒷바디연결부와 제2 뒷바디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용 신발.
  4. 삭제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반려동물의 배 부분을 가릴 수 있도록 형성되는 배보호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배보호부는, 상기 제1 몸체부와 상기 제2 몸체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용 신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220110903A 2022-09-01 2022-09-01 반려동물용 신발 KR1025571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0903A KR102557164B1 (ko) 2022-09-01 2022-09-01 반려동물용 신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0903A KR102557164B1 (ko) 2022-09-01 2022-09-01 반려동물용 신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57164B1 true KR102557164B1 (ko) 2023-07-19

Family

ID=874256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0903A KR102557164B1 (ko) 2022-09-01 2022-09-01 반려동물용 신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7164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60074U (ja) * 1998-09-21 1999-07-21 株式会社赤坂捺染 ペット用被服
KR200328595Y1 (ko) * 2003-07-04 2003-09-29 이필호 일체형 구조의 애완견용 옷
KR200328596Y1 (ko) * 2003-07-04 2003-09-29 이필호 애완견용 다리 보호구
KR200398212Y1 (ko) * 2005-04-28 2005-10-12 신용윤 애완견 전용 견인줄 부착방식의 애완견용 옷
JP2009189248A (ja) * 2008-02-12 2009-08-27 Yoshiko Yamamura 犬の四肢カバー
KR20150002431U (ko) 2013-12-13 2015-06-23 전혜린 본 발명은 집안에서 기르는 반려동물의 발을 외출시 보호하는 반려동물 신발에 관한 것 으로 본 발명의 명칭은 펫토우
KR102262839B1 (ko) * 2020-07-14 2021-06-08 이명화 애완견용 신발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60074U (ja) * 1998-09-21 1999-07-21 株式会社赤坂捺染 ペット用被服
KR200328595Y1 (ko) * 2003-07-04 2003-09-29 이필호 일체형 구조의 애완견용 옷
KR200328596Y1 (ko) * 2003-07-04 2003-09-29 이필호 애완견용 다리 보호구
KR200398212Y1 (ko) * 2005-04-28 2005-10-12 신용윤 애완견 전용 견인줄 부착방식의 애완견용 옷
JP2009189248A (ja) * 2008-02-12 2009-08-27 Yoshiko Yamamura 犬の四肢カバー
KR20150002431U (ko) 2013-12-13 2015-06-23 전혜린 본 발명은 집안에서 기르는 반려동물의 발을 외출시 보호하는 반려동물 신발에 관한 것 으로 본 발명의 명칭은 펫토우
KR102262839B1 (ko) * 2020-07-14 2021-06-08 이명화 애완견용 신발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P3060074 U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44333A (en) Protective footwear for animals
US4633817A (en) Protective footwear for animals
US3742679A (en) Stretchable pet suit with boots
JP5433234B2 (ja) 留め具不要の使い捨てタイプの犬用保護ソックス/ブーツ
US20120132153A1 (en) Dog boot
US20070289557A1 (en) Animal garment
US11297800B2 (en) Trail boot with molded liner and adjustable metatarsal and metacarpal pad
US20170086424A1 (en) Garment for animal
KR102141937B1 (ko) 반려 동물용 기능성 의류
US20200196572A1 (en) Animal footwear
KR102557164B1 (ko) 반려동물용 신발
US20140250732A1 (en) Footwear system for animals
JP2006262734A (ja) 愛玩動物用履物
AU2013344328A1 (en) Improvements relating to animal footwear
US20230020508A1 (en) Multipurpose Traction Enhancing and Insulating Sock
KR101984821B1 (ko) 배변봉투가 구비된 애완동물용 옷
KR102262839B1 (ko) 애완견용 신발
KR20200099787A (ko) 애완견용 미끄럼방지 패치
US20200390061A1 (en) Wearable vented non-pinching pet shoe device
KR102647339B1 (ko) 반려동물용 슈트
RU222050U1 (ru) Прогулочная шлейка для домашних животных
WO2019178415A1 (en) Trail boot with molded liner and adjustable metatarsal and metacarpal pad
KR102626715B1 (ko) 반려견 일회용 신발
KR200328596Y1 (ko) 애완견용 다리 보호구
KR20150002431U (ko) 본 발명은 집안에서 기르는 반려동물의 발을 외출시 보호하는 반려동물 신발에 관한 것 으로 본 발명의 명칭은 펫토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