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7045B1 - 패각과 황토를 이용한 건축용 각재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패각과 황토를 이용한 건축용 각재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7045B1
KR102557045B1 KR1020210059168A KR20210059168A KR102557045B1 KR 102557045 B1 KR102557045 B1 KR 102557045B1 KR 1020210059168 A KR1020210059168 A KR 1020210059168A KR 20210059168 A KR20210059168 A KR 20210059168A KR 102557045 B1 KR102557045 B1 KR 1025570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e material
mixture
paper
construction
m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91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51882A (ko
Inventor
정 호 조
우하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토이즈앤
조정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토이즈앤, 조정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토이즈앤
Priority to KR10202100591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7045B1/ko
Publication of KR202201518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18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70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70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3/00Producing shap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using presses; P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28B3/02Producing shap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using presses; P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herein a ram exerts pressure on the material in a moulding space; Ram heads of special form
    • B28B3/08Producing shap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using presses; P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herein a ram exerts pressure on the material in a moulding space; Ram heads of special form with two or more rams per mould
    • B28B3/086The rams working in different dire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23/00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production of shaped articles with elements wholly or partly embedded in the moulding material; Production of reinforced objects
    • B28B23/02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production of shaped articles with elements wholly or partly embedded in the moulding material; Production of reinforced objects wherein the elements are reinforcing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7/00Moulds; Cores; Mandrels
    • B28B7/26Assemblies of separate moulds, i.e. of moulds or moulding space units, each forming a complete mould or moulding space unit independently from each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7/00Moulds; Cores; Mandrels
    • B28B7/36Linings or coatings, e.g. removable, absorbent linings, permanent anti-stick coatings; Linings becoming a non-permanent layer of the moulded art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7/00Moulds; Cores; Mandrels
    • B28B7/38Treating surfaces of moulds, cores, or mandrels to prevent stick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02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04B14/04Silica-rich materials; Silicates
    • C04B14/10Clay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02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04B14/26Carbonates
    • C04B14/28Carbonates of calcium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0/00Use of materials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C04B14/00 - C04B18/00 and characterised by shape or grain distribution; Treatment of material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groups C04B14/00 - C04B18/00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xpanding or defibrillating materials
    • C04B20/0048Fibrous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89/00Adhesives based on proteins;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Dry Formation Of Fiberboard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패각과 황토를 이용한 건축용 각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버려지는 패각와 황토를 이용하여 건축용 내/외장재로 사용하는 각재를 내구성이 우수하면서 경량화로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철판에 결합핀이 돌출되도록 형성한 상태에서 결합핀이 바깥으로 노출되게 제관하는 심재 준비단계와; 사면(四面)이 압착 가능한 성형틀에 지류를 내입하는 지류 내입단계와; 지지축봉에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결합된 심재를 지류 내측에 위치시키는 심재 내입 단계와; 지류와 지류 내측에 위치한 심재에 접착제를 도포한 상태에서 심재가 감싸지도록 패각분말과 황토분말을 혼합한 혼합물을 성형틀 내에 채우는 혼합물 투입단계와; 지류에 의해 감싸진 혼합물을 성형틀로 사방에서 압착하는 성형단계와; 성형틀을 가압 해제하고 심재에 결합된 지지축봉을 분리하고 성형틀에서 완성된 건축용 각재를 분리하는 취출단계를 포함하는 제조방법 및 제조방법으로 제조한 건축용 각재를 제공한 것이다.

Description

패각과 황토를 이용한 건축용 각재 및 그 제조방법{building materials using shells and loess and their manufacturing methods}
본 발명은 패각과 황토를 이용한 건축용 각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버려지는 패각와 황토를 이용하여 건축용 내/외장재로 사용하는 각재를 내구성이 우수하면서 경량화로 제공할 수 있도록 한 패각과 황토를 이용한 건축용 각재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굴 패각 또는 조개 패각의 경우 산업 폐기물로 분류되며, 남해안을 중심으로 연간 수십만톤 발생하고 있다.
이들 패각들의 일부는 굴 양식을 위한 채묘용 등으로 활용되고, 일부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B1)10-2220541호(2021.02.25.)와 같이 제철소 등에서 석회선 대체재로 사용하는 방법으로 소비되고 있으며, 많은 양의 패각은 적재상태로 방치되고 있다.
근자에는 패각을 이용한 건축재들로 개발되고 있으며, 대표적인 예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B1)10-0809446호(2008.03.06.)의 황토를 이용한 건축재 제조방법이 제공되고 있으나, 이는 패각의 소비율이 낮고 고온에서 가압 성형하는 것이다.
다른 대표적인 예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B1)10-0811602호(2008.03.11.)의 친환경 내장재 및 이의 제조방법이 제공되고 있으며, 이는 원목 판재 상에 패각, 맥반석, 천매암, 적토, 황토, 백토, 녹차잎, 커피가루, 시금치 분말, 파프리카유, 쑥 분말, 흑연, 숯,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을 포함하는 채색층, 상기 채색층 상에 희토류계 음이온제, 맥반석, 제올라이트, 피톤치드, 이산화티타늄, 히노키티올, 술피소미딘, 폴리페놀, 테르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을 포함하는 코팅층, 및 상기 코팅층 상에 은나노 및 향캡슐,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을 포함하는 나노 코팅층을 포함하도록 한 것이다.
또 다른 예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B1)10-1815018호(2018.01.08.)의 굴패각을 이용한 친환경 건축자재 조성물과 친환경 건축자재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고 있으며, 그 구성은 광합성미생물을 보관하고 있는 미생물반응장치에 굴패각을 투입하여 굴패각에서 발생 되는 악취 제거 및 단백질 분해를 수행한 후, 세척과 건조 및 분쇄단계를 통해 얻은 굴패각분말 35 ~ 60 중량부와, 마사토, 석분, 고령토, 황토, 천연포졸란, 일라이트, 펄라이트, 맥반석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 혼합된 혼합골재 40 ~ 65 중량부와, CaO 30 ~ 40 중량부, SiO2 20 ~ 35 중량부, Al2O3 10 ~ 20 중량부, SO3 1 ~ 5 중량부, MgO 1 ~ 5 중량부, Fe2O3 1 ~ 6 중량부로 이루어진 친환경 시멘트 10 ~35 중량부와, 에틸렌비닐초산 에멀젼(Ethylene-Vinyl Acetate Emulsion) 50 ~ 60 중량부, 아크릴계 폴리머 에멀젼(Acrylate polymer Emulsion) 20 ~ 30 중량부, 합성고무 라텍스(Synthetic Rubber latex) 5 ~ 10 중량부의 폴리머 복합체와 물을 1:4로 희석한 폴리머 액상 경화제 5 ~ 30 중량부를 포함하여 건축자재 조성물을 제공하고 이를 이용하여 친환경 건축자재를 제조토록 한 것이다.
상기에서와 같은 황토 및 패각을 이용한 건축용 자재의 개발이 많이 이루어졌음에도 불구하고, 쉽게 부스러지는 문제점이나 시공상의 어려움이 있음은 물론 건조시에도 점결력을 향상시켜 균열되거나 부서지는 현상을 막기 위해서는 제조비용이 급증되는 단점이 있고, 특히 난연, 단열 기능을 부가와 함께 완성된 제품의 중량 증가로 취급성이 떨어지는 등의 단점은 여전히 해결되지 못하여 건축용 판넬로 폭넓게 사용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건축용 재료에서 판넬 뿐 아니라 다량의 각재들도 필요로 하고 있으며, 대부분의 각재는 목재에 의존하고 있다.
KR 102220541 B1 2021.02.25. KR 100809446 B1 2008.03.06. KR 100811602 B1 2008.03.11. KR 101815018 B1 2018.01.08.
이에 본 발명자는 패각과 황토를 이용하면서 기존 판넬 타입으로만 일부 사용하는 것에서 벗어나 주로 목재로 제공되고 있는 건축용 각재로도 사용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을 연구 개발한 것이다.
즉, 본 발명에서는 스틸 구성이면서 중공 구성으로 이루어진 심재에 결합핀을 외향으로 돌출되게 형성하고, 그 외측으로 패각분말과 황토분말을 혼합한 혼합물을 가압하여 결합 구성함으로 해서 내구성이 우수하면서도 경량화된 패각과 황토를 이용한 건축용 각재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발명의 기술적 과제를 두고 본 발명을 완성한 것이다.
과제 해결 수단으로 본 발명에서는 첫째 철판에 결합핀이 돌출되도록 형성한 상태에서 결합핀이 바깥으로 노출되게 제관하는 심재 준비단계와; 사면(四面)이 압착 가능한 성형틀에 지류를 내입하는 지류 내입단계와; 지지축봉에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결합된 심재를 지류 내측에 위치시키는 심재 내입 단계와; 지류와 지류 내측에 위치한 심재에 접착제를 도포한 상태에서 심재가 감싸지도록 패각분말과 황토분말을 혼합한 혼합물을 성형틀 내에 채우는 혼합물 투입단계와; 지류에 의해 감싸진 혼합물을 성형틀로 사방에서 압착하는 성형단계와; 성형틀을 가압 해제하고 심재에 결합된 지지축봉을 분리하고 성형틀에서 완성된 건축용 각재를 분리하는 취출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둘째 상기 심재는 철판에 핀으로 구멍을 펀칭하여 결합핀이 돌출되도록 형성한 것을 제관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셋째 상기 혼합물은 패각분말 30~40%와 황토 60~70%로 구성되며; 혼합물 중량의 1~2% 범위로 단섬유를 포함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넷째 성형틀에는 흡착구멍을 형성하여 지류를 진공 흡착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성형틀에 내입한 지류를 성형틀에 고정할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섯째 스틸 구성의 심재와; 심재의 외부에 가압상태로 결합되는 패각분말과 황토분말을 혼합한 혼합물과; 혼합물의 외부에 씌워지는 접착제로 접착된 지류를 포하는 건축용 각재를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패각과 황토를 이용한 건축용 각재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하면 하기와 같은 효과가 있다.
-산업 폐기물인 굴 패각 또는 조개 패각을 처리하는 데 따른 문제점을 일소하면서 친환경 건축용 각재로 사용할 수 있다.
-사용 후 폐기하더라도 패각분말 및 황토분말이 혼합된 것으로, 환경오염이 없다.
-스틸 구성의 심재 바깥으로 패각분말 및 황토분말을 혼합한 혼합물을 가압상태로 결합한 것으로 경량이면서 내구성이 우수하다.
-외부에 지류가 접착되어 있어 혼합물이 부스러지는 염려가 없다.
-지류에 접착제를 도포한 상태로 블록과 같이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패각과 황토를 이용한 건축용 각재의 바람직한 제1실시례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패각과 황토를 이용한 건축용 각재의 정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패각과 황토를 이용한 건축용 각재의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패각과 황토를 이용한 건축용 각재의 다른 예를 보인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심재의 제조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패각과 황토를 이용한 건축용 각재의 바람직한 실시례를 보인 블록도
이하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패각과 황토를 이용한 건축용 각재 및 그 제조방법의 바람직한 실시례를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패각과 황토를 이용한 건축용 각재의 바람직한 제1실시례를 보인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패각과 황토를 이용한 건축용 각재의 정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패각과 황토를 이용한 건축용 각재의 측단면도를 각각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패각과 황토를 이용한 건축용 각재(1)는 주로 건축물의 실내 또는 실외의 마감재로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 구성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목재 각재와 같은 다양한 규격과 길이로 제공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패각과 황토를 이용한 건축용 각재(1)는 필요에 따라서 길이를 짧게 구성하거나 절단하여 벽돌과 같이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패각과 황토를 이용한 건축용 각재(1)는 도시된 바와 같이 스틸 구성의 심재(2)와, 심재(2)의 외부에 가압상태로 결합되는 패각분말(31)과 황토분말(32)을 혼합한 혼합물(3)과, 혼합물(3)의 외부에 씌워지는 접착제(5)로 접착된 지류(4)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직사각형 구성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직사각형 구성일 경우 도 4와 같이 복수의 심재(2)가 내장되게 구성한다.
상기 스틸 구성의 심재(2)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얇은 철판에 핀으로 구멍을 펀칭하여 결합핀(21)이 돌출형성되도록 한다. 이때 핀의 굵기에 따라 결합핀(21)의 길이가 결정되며, 철판에 결합핀(21)을 형성한 상태에서 말아 양단을 이어붙이는 방법으로 파이프와 같은 형상이 되도록 제관 한다.
상기 혼합물(3)은 패각분말(31)과 황토분말(32)을 적절한 비율로 혼합하여 제공한다.
혼합물(3)로 사용하는 패각은, 악취 제거 및 세척과 건조공정을 거친 상태에서 5mm 이하로 분쇄한 패각분말(31)을 사용하며, 황토는 채질하여 자갈과 같이 큰 입자를 분리한 황토분말(32)을 사용한다.
혼합물(3)의 바람직한 혼합비율로는 패각분말(31) 30~40%와 황토 60~70%가 적당하며, 교반기에 투입하여 패각분말(31)과 황토분말(32)이 충분히 교반되도록 한다.
상기 혼합물(3)에는 단섬유(33)가 포함될 수 있다. 단섬유(33)는 길이10mm 미만의 것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서의 혼합물(3)의 외부에 접착제(5)가 도포된 지류(4)를 접착하고 있다. 이때 지류(4)는 다양한 것이 적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기로는 한지를 사용한다.
상기 접착제(5)로는 아교를 사용하며, 동물아교, 부레풀, 해초풀, 녹말풀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면 된다. 바람직하기로는 녹말풀을 사용한다.
도 5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패각과 황토를 이용한 건축용 각재(1)의 바람직한 실시례를 보인 블록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패각과 황토를 이용한 건축용 각재(1) 제조방법의 제1실시례로는 1)심재 준비단계(S10)와, 2)지류 내입단계(S20)와, 3)심재 내입단계(S30)와, 4)혼합물 투입단계(S40)와, 5)성형단계(S50)와, 6)취출단계(S60)를 포함하는 구성에 의해 제조되는 것으로, 이하에서 각 단계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1)심재 준비단계(S10)
본 발명에서 사용코자 하는 심재(2)는 얇은 철판에 핀으로 구멍을 펀칭하여 결합핀(21)이 돌출형성되도록 한 후 말아 양단을 이어붙이는 방법으로 파이프와 같은 형상이 되도록 제관 한다.
2)지류 내입단계(S20)
지류 내입단계(S20)는 사면(四面)이 압착 가능한 성형틀(10)에 지류(4)를 내입하는 단계이다. 지류(4)의 경우 후술할 성형과정에서 혼합물(3)이 성형틀(10)에 달라붙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성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성형틀(10)은 구체적으로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하좌우 사면이 압착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길이 방향 양단에 막음판을 구비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성형틀(10)에는 흡착구멍을 형성하여 지류(4)를 진공 흡착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성형틀(10)에 내입한 지류(4)를 성형틀(10)에 고정할 수 있게 한다.
3)심재 내입단계(S30)
심재 내입단계(S30)는 상기와 같이 준비한 심재(2)를 성형틀(10) 내에 내입시키는 단계이다.
심재(2)에는 상기에서와 같이 결합핀(21)이 형성된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바, 후술할 성형과정에서 심재(2)가 찌그러질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본 발명에서는 심재(2)의 내주에 지지축봉(11)을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결합한다. 지지축봉(11)은 성형틀(10)의 양쪽 막음판에 지지되도록 설치함이 바람직하다.
4)혼합물 투입단계(S40)
혼합물 투입단계(S40)는 상기와 같이 지지축봉(11)을 이용하여 성형틀(10) 내부에 심재(2)를 결합한 상태에서 패각분말(31)과 황토분말(32)을 혼합한 혼합물(3)을 성형틀(10) 내에 채운다.
상기 혼합물(3)은 패각분말(31) 30~40%와 황토 60~70%를 혼합하여 구성하며, 경우에 따라서 혼합물(3)에 단섬유(33)가 포함될 수 있다. 단섬유(33)는 길이10mm 미만의 것을 사용한다.
혼합물(3)을 성형틀(10)에 채우기 위해서는 먼저 성형틀(10)에 내입되어 있는 지류(4)와 심재(2)의 표면에 접착제(5)를 스프레이 도포하여 혼합물(3)과의 결합력을 높일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접착제(5)는 아교를 사용하며, 동물아교, 부레풀, 해초풀, 녹말풀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면 된다.
5)성형단계(S50)
성형단계(S50)는 성형틀(10)에 혼합물(3)을 내입한 상태에서 사방으로 가압되는 성형틀(10)을 작동시켜 패각분말(31)과 황토분말(32)을 혼합하여 제공한 혼합물(3)을 가압한다.
이때 혼합물(3)은 심재(2) 쪽으로 가압되는데, 본 발명에 의하면 심재(2) 내부에 슬라이드 되는 지지축봉(11)이 결합되어 있어 심재(2)가 찌그러지는 등의 문제없이 성형이 이루어지며, 심재(2)에 형성되어 있는 결합핀(21)은 혼합물(3)에 매립된 상태에서 찌그러지는 현상이 발생되어 가압 성형된 혼합물(3) 내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성형단계(S50)에서 가압 성형된 혼합물(3)은 마치 벽돌과 같이 단단하며, 외부에는 지류(4)가 접착제(5)에 의해 접착된 지류(4)가 위치되므로 성형틀(10)에 혼합물(3)이 달라붙는 것을 방지하고, 아울러 혼합물(3)이 부서지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성을 제공하게 된다.
6)취출단계(S60)
취출단계(S60)는 상기와 같이 혼합물(3)을 심재(2)의 외부에 씌워 성형한 상태에서 심재(2)에 결합되어 있는 지지축봉(11)을 분리하고, 아울러 사방으로 가압되는 성형틀(10)을 제거하여 완성된 건축용 각재(1)를 분리하는 단계이다.
상기와 같이 성형틀(10)에서 분리한 건축용 각재(1)의 경우 외부를 감싸고 있는 지류(4)를 접착하는 접착제(5)가 완전히 건조되도록 한 상태에서 적층하여 보관하면 된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패각과 황토를 이용한 건축용 각재(1)의 경우 건축물의 모서리 마감용, 기둥 대용 등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벽돌로도 사용할 수 있다.
특히 벽돌 대용으로 사용할 경우 외부에 지류(4)가 결합되어 있는 바, 접착제(5)를 이용하여 쉽게 적층 고정할 수 있으므로 사용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패각과 황토를 이용한 건축용 각재(1)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하면 산업 폐기물로 분류되는 대량의 패각을 건축용 각재(1)로 소비할 수 있으며, 심재(2)가 파이프 형상으로 중량을 줄일 수 있어 취급성을 개선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례에 관해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설명된 실시례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패각과 황토를 이용한) 건축용 각재
2:심재 21:결합핀
3:혼합물 31:패각분말
32:황토분말 33:단섬유
4:지류 5:접착제
10:성형틀 11:지지축봉
S10:심재 준비단계 S20:지류 내입단계
S30:심재 내입단계 S40:혼합물 투입단계
S50:성형단계 S60:취출단계

Claims (5)

  1. 철판에 결합핀(21)이 돌출되도록 형성한 상태에서 결합핀(21)이 바깥으로 노출되게 제관하는 심재 준비단계(S10)와;
    사면(四面)이 압착 가능한 성형틀(10)에 지류(4)를 내입하는 지류 내입단계(S20)와;
    지지축봉(11)에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결합된 심재(2)를 지류(4) 내측에 위치시키는 심재 내입단계(S30)와;
    지류(4)와 지류(4) 내측에 위치한 심재(2)에 접착제(5)를 도포한 상태에서 심재(2)가 감싸지도록 패각분말(31)과 황토분말(32)을 혼합한 혼합물(3)을 성형틀(10) 내에 채우는 혼합물 투입단계(S40)와;
    지류(4)에 의해 감싸진 혼합물(3)을 성형틀(10)로 사방에서 압착하는 성형단계(S50)와;
    성형틀(10)을 가압 해제하고 심재(2)에 결합된 지지축봉(11)을 분리하여 성형틀(10)에서 완성된 건축용 각재(1)를 분리하는 취출단계(S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각과 황토를 이용한 건축용 각재 제조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심재(2)는 철판에 핀으로 구멍을 펀칭하여 결합핀(21)이 돌출되도록 형성한 것을 제관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각과 황토를 이용한 건축용 각재 제조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혼합물(3)은 패각분말(31) 30~40%와 황토 60~70%로 구성되며;
    혼합물(3) 중량의 1~2% 범위로 단섬유(33)를 포함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각과 황토를 이용한 건축용 각재 제조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성형틀(10)에는 흡착구멍을 형성하여 지류(4)를 진공 흡착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성형틀(10)에 내입한 지류(4)를 성형틀(10)에 고정할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각과 황토를 이용한 건축용 각재 제조방법.
  5. 스틸 구성의 심재(2)와;
    심재(2)의 외부에 가압상태로 결합되는 패각분말(31)과 황토분말(32)을 혼합한 혼합물(3)과;
    혼합물(3)의 외부에 씌워지는 접착제(5)로 접착된 지류(4)를 포함하는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제조한 건축용 각재(1)를 특징으로 하는 패각과 황토를 이용한 건축용 각재.
KR1020210059168A 2021-05-07 2021-05-07 패각과 황토를 이용한 건축용 각재 및 그 제조방법 KR1025570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9168A KR102557045B1 (ko) 2021-05-07 2021-05-07 패각과 황토를 이용한 건축용 각재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9168A KR102557045B1 (ko) 2021-05-07 2021-05-07 패각과 황토를 이용한 건축용 각재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1882A KR20220151882A (ko) 2022-11-15
KR102557045B1 true KR102557045B1 (ko) 2023-07-19

Family

ID=840416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9168A KR102557045B1 (ko) 2021-05-07 2021-05-07 패각과 황토를 이용한 건축용 각재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704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5797B1 (ko) 2022-12-28 2023-07-14 (주)미라클뮤지엄 패각을 이용한 반려동물용 매트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0003B1 (ko) 2007-03-20 2007-10-25 (주)에리트퍼니처 강화 몰드 내장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833891B1 (ko) 2007-01-12 2008-06-02 노미화 황토 및 목분을 주원료로 하는 숯벽돌 및 그 제조방법
KR101418231B1 (ko) 2014-04-29 2014-07-10 김순복 건축용 친환경 황토보드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8581U (ko) * 1999-03-23 2000-10-25 이걸수 황토벽돌제조장치 및 황토벽돌
KR100809446B1 (ko) 2006-10-12 2008-03-06 (주)나노테크 황토를 이용한 건축재 제조방법
KR100811602B1 (ko) 2007-12-18 2008-03-11 주식회사 한성종합기술단건축사사무소 친환경 건축 내장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132971B1 (ko) * 2009-11-10 2012-04-09 양춘도 내장용 황토벽돌의 제조방법
KR101815018B1 (ko) 2017-08-25 2018-01-08 장동원 굴패각을 이용한 친환경 건축자재 조성물과 친환경 건축자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20541B1 (ko) 2020-08-25 2021-02-25 여수바이오 주식회사 패각을 이용한 제철소결용 석회석 대체재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3891B1 (ko) 2007-01-12 2008-06-02 노미화 황토 및 목분을 주원료로 하는 숯벽돌 및 그 제조방법
KR100770003B1 (ko) 2007-03-20 2007-10-25 (주)에리트퍼니처 강화 몰드 내장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418231B1 (ko) 2014-04-29 2014-07-10 김순복 건축용 친환경 황토보드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1882A (ko) 2022-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91245A (en) Fire-resistant building component
US20060043627A1 (en) Wood cement board and method for the manufacturing thereof
CA2421793A1 (en) Fire door components and fire doors comprising the components
CA2645403A1 (en) Non-cement fire door core
KR102557045B1 (ko) 패각과 황토를 이용한 건축용 각재 및 그 제조방법
KR101468780B1 (ko) 친환경 건축 불연과 단열과 흡음과 보온과 방수성과 미네랄 바이오 기능성 내장 마감 보드 제조 방법 및 이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친환경 건축 불연과 단열과 흡음과 보온과 방수성과 미네랄 바이오 기능성 내장 마감 보드
US4214027A (en)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fiber-containing plaster boards
EP1950187A2 (en) Mortars suitable for thermic and acoustic isolations comprising cork and aerial lime which is optionally hydrophobized
KR100239134B1 (ko) 황토보드의 제조방법
CN102134890A (zh) 空心楼板填充用复合箱体的制作方法
WO2012159748A1 (de) Anorganisches bindemittel und verfahren zur schnellen verfestigung von baustoffmaterialien aller art mittels begasung mit kohlendioxid
GB2064986A (en) Building or construction element
EP2873656B1 (en) Method of formation for composite materials comprising cement and geopolymer containing layers, and products obtained from such methods
CN100393663C (zh) 轻质高强度建筑保温隔热材料及其制品的制作方法
KR102581883B1 (ko) 건축용 외장판넬 및 그 제조방법
EP3156383B1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anorganischen schaumes
KR102581879B1 (ko) 패각과 황토를 이용한 건축용 판넬 및 그 제조방법
KR101367981B1 (ko) 친환경 건축 내장 보드 및 이 제조 방법
KR20220165386A (ko) 패각과 황토를 이용한 건축용 판넬
KR101747317B1 (ko) 차열성이 강한 황토포장 조성물을 이용한 황토 포장공법
EP0383872A1 (de) Baumaterial.
KR101292800B1 (ko) 기능성 경량 복합판재 제조방법 및 이 제조방법을 통해 제조된 기능성 경량 복합판재
CN114085065B (zh) 一种多元耦合改性的低碳胶凝材料、板材及其制备方法
JP2883586B2 (ja) ガラス繊維強化石膏製品及びその製造方法
KR970010343B1 (ko) 건축물 내,외면 피복재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