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7039B1 - 복강경 수술용 지혈 패드 삽입 기구 - Google Patents

복강경 수술용 지혈 패드 삽입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7039B1
KR102557039B1 KR1020230028829A KR20230028829A KR102557039B1 KR 102557039 B1 KR102557039 B1 KR 102557039B1 KR 1020230028829 A KR1020230028829 A KR 1020230028829A KR 20230028829 A KR20230028829 A KR 20230028829A KR 102557039 B1 KR102557039 B1 KR 1025570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push rod
hemostatic pad
stopper
laparoscopic surg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288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태훈
Original Assignee
구태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태훈 filed Critical 구태훈
Priority to KR10202300288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70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70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703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0491Surgical glue applic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 A61B17/12022Occluding by internal devices, e.g. balloons or releasable wires
    • A61B17/12131Occluding by internal devices, e.g. balloons or releasable wire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occluding device
    • A61B17/12168Occluding by internal devices, e.g. balloons or releasable wire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occluding device having a mesh structure
    • A61B17/12177Occluding by internal devices, e.g. balloons or releasable wire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occluding device having a mesh structure comprising additional materials, e.g. thrombogenic, having filaments, having fibers or being coat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17Details of tips or shafts, e.g. grooves, expandable, bendable; Multiple coaxial sliding cannulas, e.g. for dilating
    • A61B17/3421Cannula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03Automatic limiting or abutting means, e.g. for safety
    • A61F13/00012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0051Accessories for dressings
    • A61F13/00063Accessories for dressings comprising medicaments or additives, e.g. odor control, PH control, debriding, antimicrobi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4/00Surgical adhesives or cements; Adhesives for colostomy devices
    • A61L24/001Use of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A61L24/0036Porous materials, e.g. foams or spon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4/00Surgical adhesives or cements; Adhesives for colostomy devices
    • A61L24/04Surgical adhesives or cements; Adhesives for colostomy devices containing macromolecular materials
    • A61L24/043Mixtures of macromolecular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367Details of actuation of instruments, e.g. relations between pushing buttons, or the like, and activation of the tool, working tip,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 A61B17/12022Occluding by internal devices, e.g. balloons or releasable wires
    • A61B2017/1205Introduction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03Automatic limiting or abutting means, e.g. for safety
    • A61B2090/033Abutting means, stops, e.g. abutting on tissue or skin
    • A61B2090/034Abutting means, stops, e.g. abutting on tissue or skin abutting on parts of the device itself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복강경 수술용 지혈 패드 삽입 기구는 복강경 수술시 트로카(투관침)에 삽입된 관 내부의 밀대를 편리하게 이동 및 고정시킬 수 있고, 지혈 패드와 밀대가 복부 내부의 고압 기체(이산화탄소)에 의해서 외부로 임의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복강경 수술용 지혈 패드 삽입 기구 {Hemostatic pad insertion device for laparoscopic surgery}
본 발명은 복강경 수술시 트로카(투관침)를 통해서 지혈 패드(예를 들어, 지혈용 스폰지 등)를 복부 내부에 삽입하기 위한 기구에 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복강경 수술시 트로카(투관침)에 삽입된 관 내부의 밀대를 한 손으로 편리하게 이동 및 고정시킬 수 있고 지혈 패드와 밀대가 복부 내부의 고압 기체(이산화탄소)에 의해서 외부로 임의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지혈 패드 삽입 기구에 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복강경 수술은, 복부에 큰 절개창을 열고 시행하는 개복수술과 달리, 복부에 0.5~1.5cm 크기의 작은 구멍(절개창)을 한 개 또는 여러 개 내고, 그 안으로 카메라와 각종 기구들을 넣고 시행하는 수술방법으로서, '최소 침습 수술'이라고도 불린다.
복강경 수술기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환자가 마취된 이후에 환자의 배꼽 부위에 바늘을 찔러서 기복(복강 내에 이산화탄소를 넣어서 복강을 부풀어 오르게 하는 것) 상태를 만들고, 적절한 위치에 필요한 개수만큼의 투관침(트로카. 기구가 배 안으로 들어갔다 나왔다 할 수 있는 가느다란 관)을 뚫는다. 투관침을 통하여 카메라를 넣으면 이를 통해 복강 내 영상이 수술자 앞의 모니터에 비춰지며, 수술자는 모니터를 보면서 적절한 복강경 기구를 이용하여 원하는 수술을 시행한다.
한편, 외과적 수술시에 외과적 지혈을 보조하기 위해 적절한 크기의 블록, 판 또는 필름으로 된, 생물학적으로 흡수되는 지혈 스펀지들을 출혈 부위에 적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지혈 스펀지는 큰 복부 장기들(간, 지라 또는 소장들)의 수술, 폐 수술, 뇌 또는 신경 조직에서의 압력에 의한 피해를 막기 위한 신경외과적 수술, 다른 수단으로 억제하기가 어렵고 자주 발생하는 광범위한 출혈이 있는 정형 외과적 수술, 봉합자리에서 스며나오는 출혈을 막기 위한 혈관 수술, 발치와 같은 구강 또는 치과수술 등과 같은 외과적 수술 또는 다른 부상들의 몇몇 경우에서 출혈의 억제를 증진하는데 유용하다.
그런데, 패드 형태를 갖는 지혈 스폰지는 그 면적이 크기 때문에 복강경 수술시에 인체 내부로 삽입하기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출원인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복강경 수술시에 투관침(트로카)을 통해 지혈 패드를 인체 내부(복부 내부)에 삽입할 수 있는 기구를 개발하였고 이를 KR 10-2459763으로 등록받은 바 있다.
상기 삽입기구는 원형으로 권취된 지혈 패드를 관에 삽입하고, 이 관을 투관침의 캐뉼라에 삽입한 후 막대(밀대)를 이용하여 관 내부의 지혈 패드를 복부에 밀어 넣는다. 그런데, 이 삽입기구는 복강경 수술시 복부의 높은 압력에 의해 지혈 패드 및/또는 막대가 외부로 배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인은 관 내부에 삽입된 막대(밀대)를 고정할 수 있는 삽입기구를 개발하고 이를 KR 10-2481857로 등록받은 바 있다. 그런데, 이 삽입기구에서 막대를 관에 고정하는 것은 안전핀을 막대와 관을 관통하도록 설치하는 것에 의해 이루어지는데, 이 고정 작업에는 시간이 소요되고 관통 설치과정에서 시행착오가 발생할 가능성이 크다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이 고정 작업은 한 손만으로는 이루어질 수 없으므로 양손이 모두 필요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복강경 수술시 트로카(투관침)에 삽입된 관 내부의 밀대를 한 손으로 편리하게 이동 및 고정시킬 수 있고 관 내부에 삽입된 지혈 패드와 밀대가 복부 내부의 고압 기체(이산화탄소)에 의해서 외부로 임의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지혈 패드 삽입 기구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삽입기구(100)는, 길게 형성된 관(10); 관(10)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막대 형상을 갖고, 관(10)에 삽입되는 외경을 갖는 밀대(30); 관(10)에 삽입된 밀대(30)를 관(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시키기 위하여 밀대(30)에 구비된 버튼(31); 및, 관(10)의 상단에 설치된 마개(20);를 포함할 수 있다.
관(10)은 복강경 수술시 적어도 일부분이 트로카(더욱 정확하게는 트로카의 캐뉼라(cannula))에 삽입된다. 관(10)의 상부에는 관(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가이드 홈(11)이 소정 구간에서 형성되고, 버튼(31)은 가이드 홈(11)을 통해 밀대(30)에 연결될 수 있다.
버튼(31)을 밀거나 당기는 것에 의해 밀대(30)가 위 또는 아래로 이동되고, 밀대(30)가 아래로 이동되는 것에 의해 지혈 패드(200)가 관(10)으로부터 배출될 수 있다. 이 때, 관(10) 및/또는 스토퍼(14)를 잡은 손의 손가락(예를 들어, 엄지 손가락)으로 버튼(31)을 밀거나 당기면 돌출부(34)가 요홈(13)에 삽입된 상태를 극복하면서 밀대(30)가 이동되므로, 한 손으로 조작이 가능하다.
마개(20)는 복강경 수술시 복부와 외부(대기)의 압력 차이에 의해 지혈 패드(200) 및/또는 밀대(30)가 관(10)의 상단을 통해 배출되는 것을 막는 지지력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관(10)의 외부면에는 스토퍼(14)가 설치될 수 있다. 스토퍼(14)는 측방향으로 돌출되므로, 관(10)이 트로카(캐뉼라)를 통해 복부에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가이드 홈(11)은 스토퍼(14) 보다 상측에 형성된다.
버튼(31)은, 관(10)의 외부에 위치하고 사용자의 손가락이 닿는 본체(32); 및, 한쪽 끝단은 본체(32)에 연결되고 다른쪽 끝단은 밀대(30)에 연결된 연결부(33);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홈(11)은 관(10)의 상단까지 연장되어 입구(16)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밀대(30)가 관(10)에 삽입될 때 연결부(33)는 입구(16)를 통해 가이드 홈(11)에 삽입될 수 있다.
가이드 홈(11)에는 돌기(12)와 요홈(13)이 교대로 반복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연결부(33)에는 요홈(13)에 삽입되는 돌출부(34)가 측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34)가 요홈(13)에 삽입되는 것에 의해 밀대(30)의 위치가 고정되고, 버튼(31)을 밀거나 당기는 힘이 인가되면 돌출부(34)가 요홈(13)에 삽입된 상태를 극복하면서 밀대(30)가 이동될 수 있다.
지혈 패드(200)는 평평한 스폰지(패드 형태의 스폰지)가 원형으로 권취되어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스폰지는 지혈성분을 포함하는 혼합물이 동결건조되어 다수 개의 공극을 포함하고 이 공극의 적어도 일부가 서로 연결된 구조를 가지며 소정 쿠션과 복원력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권취된 지혈 패드(200)가 압축된 상태로 관(10)에 삽입되며, 관(10)에 삽입된 지혈 패드(200)가 복원력에 의해 원래 상태로 복귀되면 관(10)과의 마찰력이 발생하므로 관 내부에 고정되되 밀대(30)가 위에서 누르는 힘에 의해 관(10) 아래로 배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복강경 수술용 지혈 패드 삽입 기구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삽입 기구에 지혈 패드가 삽입된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3은 도 2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1의 삽입기구에서 밀대가 아래로 이동함으로써 지혈 패드가 배출되는 것을 보여주는 정면도.
도 5는 도 1의 삽입기구에 형성된 가이드 홈과 버튼을 보여주는 확대 도면.
도 6은 가이드 홈과 버튼의 또 다른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도 7은 관의 변형예를 보여주는 횡단면도.
도 8은 관의 또 다른 변형예를 보여주는 종단면도.
도 9는 지혈 패드의 제조 공정을 보여주는 플로우 차트.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본 발명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복강경 수술용 지혈 패드 삽입 기구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상기 삽입 기구에 지혈 패드가 삽입된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 2에서 점선으로 표시된 부분은 투명 또는 반투명한 관을 통해 보이는 내부를 나타낸다.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삽입기구(100)는 관(10)과, 관(10)에 삽입되어 지혈 패드(200)를 아래로 밀어서 배출하는 밀대(30)와, 관(10)에 삽입된 밀대(30)를 밀거나 당겨서 이동시키는 버튼(31) 및, 관(10)의 상단에 설치된 마개(20)를 포함할 수 있다.
관(10)은 그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다. 그리고, 관(10)의 상,하단은 개방되되, 관(10)의 상단에는 마개(20)가 설치되고 하단에는 덮개(50)가 설치된다.
관(10)은 스테인리스 스틸과 같은 금속이나 PC(polycarbonate), PVC(폴리염화비닐), PP(폴리프로필렌), PET(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PE(폴리에틸렌) 등과 같은 합성수지로 만들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관(10)은 내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하거나 반투명이다.
지혈 패드(200)는 관(10)의 하단을 통해서 관(10)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밀대(30)가 관(10)에 삽입되기 전이라면 지혈 패드(200)는 관(10)의 상단을 통해서 관(10) 내부로 삽입될 수도 있다.
관(10)의 상단에는 마개(20)가 설치된다. 그리고, 관(10)의 하단에는 덮개(50)가 설치될 수 있다. 덮개(50)는 관(10)의 하단을 착탈 가능하게 덮음으로써 지혈 패드(200)의 임의 배출과, 외부로부터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관(10)의 외부면에는 스토퍼(14)가 설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스토퍼(14)는 관(11)의 길이방향의 중앙이나 상부에 설치될 수 있다. 스토퍼(14)는 관통공과, 이 관통공에서 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 몸체를 포함할 수 있다. 관(10)이 관통공에 삽입되는 것에 의해 스토퍼(14)가 관에 설치 및 고정될 수 있다. 스토퍼(14)는 금속이나 합성수지 등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몸체의 외경은 투관침의 삽입구(더욱 정확하게는 캐뉼러의 내경) 보다 크고, 이에 따라 관(10)이 상기 삽입구에 삽입되도록 설치되었을 때 관(10)이 복부 내부에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관(10) 중에서 스토퍼(14)의 아랫부분은 트로카(보다 구체적으로는 트로카의 캐뉼라(cannula))에 삽입되고 스토퍼(14)의 윗부분은 트로카의 위에 위치한다.
관(10) 중에서 스토퍼(14)의 윗부분에는 가이드 홈(11)이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홈(11)은 관(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구간에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가이드 홈(11)은 관(10)의 상단까지 연장되어 입구(16)를 형성한다. 이에 따라, 밀대(30)가 관(10)에 삽입될 때 연결부(33)는 입구(16)를 통해 가이드 홈(11)에 삽입된다. 그리고, 이 삽입이 완료된 후에 마개(20)를 이용하여 관(10)의 상단을 막는다.
가이드 홈(11)의 일측에는 돌기(12)와 요홈(13)이 교대로 반복적으로 형성된다. 돌기(12)와 요홈(13)은 돌출부(도 5의 34)와 함께 밀대(30)의 위치를 고정하는데, 이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더 설명될 것이다. 한편, 돌기(12)와 요홈(13)이 가이드 홈(11)의 일측에만 형성되는 구조에 대한 대안으로서, 돌기(12)와 요홈(13)이 가이드 홈(11)의 양측 모두에 형성될 수도 있는데 이 경우에는 돌출부(34)가 연결부(33)의 양측에 형성될 수 있다.
관(10)에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관통공(15)이 형성될 수 있다. 관통공(15)은 관(10)의 내,외부를 연결하도록 형성된 것으로서, 관(10)의 내부와 외부의 압력 차이를 없애거나 줄여줌으로써 지혈 패드(200)가 잘 배출되도록 한다.
밀대(30)는 관(10)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막대 형상을 갖고, 관(10)에 삽입되는 직경(외경)을 갖는다. 밀대(30)의 하단은 반구(半球) 형상으로 둥글게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밀대(30)는 관(10)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밀대(30)는 스테인리스 스틸과 같은 금속이나 PC, PVC, PP, PET, PE 등과 같은 합성수지로 만들어질 수 있다.
밀대(30)에는 그 길이 방향으로 눈금(도면에 미도시)이 형성될 수도 있다. 눈금은 밀대(30)가 삽입된 깊이(아래로 이동한 길이)를 알려준다. 버튼(31)의 연결부(33)가 가이드 홈(11)의 하단에 닿을 때 밀대(30)의 하단이 관(10)의 하단에 위치하거나 관의 하단 보다 약간 아래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것은 지혈 패드(200)가 관(10)으로부터 완전히 배출된 것을 보장하기 위함이다.
밀대(30)는 버튼(31)을 밀거나 당기는 것에 의해서 관(10) 내부에서 관(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된다. 버튼(31)은 본체(32)와 연결부(33)를 포함할 수 있다. 버튼(31)은 밀대(30)와 일체로 합성수지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체(32)는 사용자(예를 들어, 의사)의 손가락(예를 들어 엄지 손가락)이 닿는 부분으로서, 관(10)의 외부에 위치한다. 본체(32)는 가이드 홈(11)의 폭 보다 넓은 폭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자는 손가락으로 본체(32)를 밀거나 당김으로써 밀대(30)를 이동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관(10) 및/또는 스토퍼(14)를 잡은 손의 손가락(예를 들어, 엄지 손가락)으로 버튼(31)을 밀거나 당기면 돌출부(34)가 요홈(13)에 삽입된 상태를 극복하면서 밀대(30)가 이동되므로, 한 손으로 조작이 가능하다.
연결부(33)는 본체(32)와 밀대(30)를 연결하는 부분이다.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연결부(33)에는 돌출부(34)가 측방향 즉, 요홈(13)과 돌기(12)를 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34)는 요홈(13)에 삽입되는데, 이 삽입에 의해서 밀대(30)가 관(10)에 고정될 수 있다. 이를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힘을 줘서 본체(32)를 밀거나 당기면 이 힘에 의해 돌출부(34)가 요홈(13)과 돌기(12)의 걸림을 극복하면서 가이드 홈(11)을 따라 이동되고, 이 힘이 제거되면 돌출부(34)가 요홈(13)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KR 10-2481857에서는 안전핀을 밀대와 관을 관통하도록 설치하는 것에 의해 밀대를 고정하였으므로, 밀대의 위치는 구멍의 위치에 의해 결정되고 이에 따라 밀대의 위치를 정교하게 조절할 수 없었음에 비해, 본 발명에서는 교대로 반복적으로 형성된 요홈(13)과 돌기(12)를 이용하므로 밀대(30)의 위치를 정교하게 조절할 수 있다. 이 점은 지혈 패드의 길이가 다양할 때 특히 유용하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는 한 손(엄지 손가락)으로 버튼(31)의 이동과 고정이 가능하므로, 양손을 모두 사용해야 하는 KR 10-2481857 보다 편리하다.
한편, 이 구조에 대한 대안으로서, 밀대(30)와 버튼(31)을 원주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돌출부(34)가 요홈(13)에 삽입되거나 이탈하도록 할 수도 있다. 즉, 밀대(30)와 버튼(31)을 시계 방향의 원주 방향으로 회전시켜서 돌출부(34)가 요홈(13)에 삽입되도록 하여 밀대(30)의 위치를 고정하고 밀대(30)와 버튼(31)을 반시계 방향의 원주 방향으로 회전시켜서 돌출부(34)가 요홈(13)에서 이탈하도록 할 수도 있다.
복강경 수술시에는 복부를 부풀리게 하기 위해서 기체(예를 들어, 이산화탄소)를 복부 내부에 고압으로 주입하는데, 이 기체로 인해서 복부 내부는 고압 상태가 된다. 그런데, 복강경 수술시, 관(10)을 트로카(도면에 미도시)의 캐뉼라에 삽입한 상태로 두면 복부 내부의 고압에 의해 지혈 패드(200) 및/또는 밀대(30)가 외부로 임의 배출되는 문제점이 생길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마개(20)를 이용하여 관(10)의 상단을 막는다. 즉, 마개(20)는 압축 가스로 인한 지혈 패드(200) 및/또는 밀대(30)의 배출을 방지하기 위한 지지력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마개(20)는 관(10)의 상단을 밀봉할 수도 있는데, 이에 따라 복강경 수술시 복부 내부의 고압 기체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마개(20)는 실리콘, 합성수지, 고무 등으로 이루어지는 소재 그룹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거나 둘 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마개(20)는 제1 돌기부(21)와 제2 돌기부(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돌기부(21)는 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되도록 형성된 부분인데, 원주 방향을 따라 소정 각도 간격으로 여러 개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돌기부(22)는 마개(20)의 하단에서 원주 방향을 따라 돌출되도록 형성된 부분이다. 제2 돌기부(22)가 관(10)의 내부면에 밀착되는 정도의 외경을 갖는 것이 밀봉과 쉬운 삽입을 위해서 바람직하다. 즉, 제2 돌기부(22)가 관(10)의 내부면에 밀착되어 관(10)을 밀봉하고 제2 돌기부(22)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관(10)의 내경과 동일하거나 약간 작은 외경을 갖는 구조는 마개(20)의 쉬운 삽입과 관(10)의 상단을 효과적으로 밀봉하기 위해서 유리하다.
아울러, 복부 내부의 고압 기체에 의한 압력이 마개(20)에 인가되더라도 마개(20)가 관의 내부면에 밀착 고정되어 있으므로 마개(20)의 이탈이 방지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밀대(30) 및/또는 지혈 패드(200)가 관 상단을 통해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돌출부(34)는 연결부(33)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지만, 큰 탄성과 큰 복원력을 갖기 위해 돌출부(34)는 연결부(33)와 다른 소재 예를 들어 스테인리스 스틸과 같은 금속편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는데 도 6은 이러한 구조의 일 예를 보여준다.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돌출부(34)는 연결부(33)에 측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된 금속편일 수 있다. 이 금속편(돌출부)은 스테인리스 스틸과 같은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돌출부(34)의 일부는 장착부(36)에 삽입되고 나머지 일부는 장착부(36)에서 돌출된다. 구체적으로, 돌출부(34)의 한쪽 끝단(34b)과 반대쪽 끝단(34c)은 장착부(36)에 고정되고 중앙부(34a)는 돌출되고 반대쪽 끝단(34c)의 근처에는 만곡부(34d)가 형성된다. 이 구조는 금속편이 탄성 복원력을 가지도록 한다. 그리고, 중앙부(34a)가 요홈(13)에 삽입되는 것에 의해 밀대(30)의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버튼(31)에 힘을 가하여 밀거나 당기면 중앙부(34a)가 요홈(13)에 삽입되는 것과 돌기(12)에 닿는 것을 반복한다. 구체적으로, 중앙부(34a)가 돌기(12)에 닿으면 중앙부(34a)의 높이가 낮아지면서 만곡부(34d)가 위로 이동하게 되고, 중앙부(34a)가 요홈(13)에 삽입되면 중앙부(34a)의 높이가 높아지면서 만곡부(34d)가 아래로 이동하게 된다. 이 구조는 금속편이 큰 탄성 복원력을 가지므로, 밀대를 고정시키는 힘이 증가되기 때문에 유리하다.
도 7은 관(10)의 변형예를 보여주는 횡단면도이다. 이 관(10)은, 상술한 관(10)과 비교하여, 그 하부에 돌기 라인(17)을 갖는다는 차이점을 갖는다.
돌기 라인(17)은 관(10)의 하부, 바람직하게는 지혈 패드(200)가 위치하는 부분에 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돌기 라인(17)은 관의 중심을 기준으로 소정 각도 간격으로 복수 개가 형성된다. 돌기 라인(17)의 높이는 밀대(30)와 충돌하지 않는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돌기 라인(17)은 다양한 직경의 지혈 패드(200)가 관(10)에 밀착 고정되도록 한다. 즉, 지혈 패드(200)의 직경은 지혈할 부분의 면적에 따라 다양할 수 있는데, 큰 직경의 지혈 패드(200)는 관의 내부면과 돌기 라인(17)에 밀착되는 것에 의해 고정될 수 있고 작은 직경의 지혈 패드(200)는 돌기 라인(17)에 밀착되는 것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아울러, 도 8은 관의 또 다른 변형예를 보여주는 종단면도이다. 이 관(10)은, 상술한 관(10)과 비교하여, 그 하단이 라운드지게 형성되었다는 차이점을 갖는다. 이 라운드진 부분(18)은 관(10)의 하단이 장기 등에 닿았을 때 장기 등의 손상을 최소로 하는 역할과, 지혈 패드(200)의 임의 배출을 억제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원형으로 권취된 지혈 패드]
도 9는 지혈 패드(지혈용 스펀지 패드)를 제조하기 위한 공정을 보여주는 플로우 차트이다. 아래에서는 상기 공정을 순차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콜라겐, 바람직하게는 콜라겐 스폰지를 물에 혼합하여 콜라겐 0.5~2wt% 혼합액, 바람직하게는 1wt% 혼합액을 만들고, 카복시메틸 셀룰로스계 화합물(예를 들어, Sodium CMC)를 물에 혼합하여 카복시메틸 셀룰로스계 화합물 0.5~2wt% 혼합액, 바람직하게는 1wt% 혼합액을 만든다.
이어서, 상기 콜라겐 혼합액과 카복시메틸 셀룰로스계 화합물 혼합액을 1:1 부피비로 혼합하고 트롬빈을 이 혼합액에 투입한 후 교반한다(S310). 트롬빈의 투입량은 추후 동결 건조된 스폰지 1mg당 트롬빈이 10 ~ 1000 IU가 되도록 혼합할 수 있다. 그리고, 동결 건조된 스폰지 1mg당 트롬빈이 10 ~ 1000 IU 이고 콜라겐과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계 화합물의 중량비는 1:9 ~ 9:1 일 수 있다.
이 비율에 대한 대안으로서, 상기 지혈용 스폰지는 트롬빈 20~40wt%, 콜라겐 20~40wt%,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계 화합물 20~40wt%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트롬빈의 양이 10 IU 보다 작거나 20wt% 보다 작으면 지혈 효과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생기고, 트롬빈의 양이 1000 IU 보다 많거나 40wt% 보다 많으면 콜라겐과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계 화합물의 양이 상대적으로 작아지므로 콜라겐의 효과인 손상 조직의 재생과 회복, 흉터 생성 억제 등의 기능을 제대로 할 수 없고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계 화합물의 뛰어난 흡액 성능과 및 보액 성능을 가질 수 없게 되어 출혈 부위로부터 나오는 혈액이나 삼출물 등을 다량 흡수하여 보유하기가 어렵게 될 수 있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서, 트롬빈이 지혈용 스폰지의 2 ~ 50 중량%가 되도록 혼합액에 투입될 수 있다. 이 때, 트롬빈이 2중량% 미만으로 포함될 경우 지혈효과가 매우 떨어질 수 있으며, 50중량%를 초과하여 포함될 경우 상대적으로 콜라겐과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계 화합물이 작게 포함되므로 전체 지혈용 스폰지의 화학적 안정성이 떨어지거나 지혈효과가 낮아질 수 있거나 흡액성능과 보액성능이 떨어지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콜라겐으로서 돼지의 진피를 이용하여 만들어진 제1형 콜라겐을 사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시중에서 판매되는 콜라겐을 이용할 수도 있다. 이 콜라겐은 진피를 펩신으로 처리하여 텔로펩티드를 제거한 것으로서 의료용으로 적합한 것이다. 아울러, 콜라겐은 동결건조되어 스폰지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콜라겐 스펀지는 공극을 많이 포함하고 이 공극의 적어도 일부가 서로 연결된 구조를 갖는다.
카복시메틸 셀룰로스계 화합물은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또는 그의 염을 의미하는데, 이러한 염으로는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나트륨(Sodium carboxymethyl cellulose, Sodium CMC),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칼륨,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이 있을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하게, 카복시메틸 셀룰로스계 화합물은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나트륨(Sodium CMC)이다.
카복시메틸 셀룰로스계 화합물은 뛰어난 흡액 성능과 및 보액 성능을 동시에 갖는다. 따라서, 지혈용 스폰지의 성분으로 사용되면 출혈 부위로부터 나오는 혈액이나 삼출물 등을 다량 흡수하여 보유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이 스폰지로 만든 지혈 패드가 출혈부위에 밀착될 수 있다.
참고로, 흡액도는 지혈용 스폰지의 중량(흡액 전 중량)을 각각 측정하고, 25℃의 0.9% 생리 식염수에 10분간 침지한 후, 흡액 후의 중량을 측정하여 다음 식으로 계산하였다.
Figure 112023025007542-pat00001
보액도는 지혈용 스폰지에 대해 중량(흡액 전 중량)을 각각 측정하고, 25℃의 0.9% 생리 식염수에 10분간 침지한 후, 흡액된 다공성 구조체(스폰지)에 40㎜Hg의 압력을 1분간 가한 후, 다공성 구조체의 중량(가압 후 중량)을 측정하여 다음 식으로 계산하였다.
Figure 112023025007542-pat00002
예를 들어, 지혈 패드(스폰지)가 '콜라겐과 트롬빈 및 Sodium CMC의 혼합액이 동결건조되어 만들어진 스폰지'인 경우, 흡액도는 18이고 보액도는 12로서 '콜라겐과 트롬빈의 혼합액이 동결건조되어 만들어진 스폰지'인 경우(흡액도와 보액도를 측정 불가능함)보다 매우 우수하다. 따라서, 지혈 패드(지혈용 스폰지)가 Sodium CMC과 같은 카복시메틸 셀룰로스계 화합물을 포함하면 우수한 흡액도를 갖고, 형태 안정성이 우수하여 가압 후에도 높은 수준의 흡액 특성을 유지하여 우수한 보액도를 나타낸다. 이것은 본 발명에 따른 지혈 패드가 출혈 부위에 적용된 경우, 출혈 부위에 밀착될 수 있음을 나타내고 출혈 부위의 혈액 등에 의해 위로 뜨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다음으로, 교반이 완료된 혼합액을 트레이(tray)에 붓고 동결건조하여 스폰지를 제조한다(S320). 스폰지는 다수의 공극을 갖고 이 공극이 서로 연결된 구조(즉, 스폰지 구조)를 갖는데, 트레이에서 만들어지므로 평평한 형태(평평한 패드 형태)를 갖는다,
동결건조가 완료된 후에는 스폰지를 소정 넓이의 직사각형으로 절단한다(S330). 상기 넓이는 스폰지의 두께와 관(11)의 내경을 고려하여 정해질 수 있다. 즉, 권취된 스폰지가 약간 압축된 상태로 관(11)에 삽입된 후에 스폰지가 원 상태로 복귀하면서 관 내부면과 마찰력을 발생시키게 되어 관(11) 내부에 고정될 수 있는데, 이러한 마찰력이 발생할 수 있을 정도의 직경을 갖도록 스폰지를 절단할 수 있다.
이어서, 절단된 스폰지를 원형으로 권취하여 지혈 패드(200)를 제조한다. 지혈 패드(200)를 약간 압축한 상태에서 관(11) 내부에 삽입하면 지혈 패드(200)가 원상태로 복귀하면서 관 내부면과 마찰력을 발생시키고 이에 따라 지혈 패드(200)가 관 내부에 고정될 수 있다. 한편, 밀대(30)를 이용하여 지혈 패드(200)를 아래로 밀면 지혈 패드(200)는 마찰력을 극복하여 아래로 배출되고, 아래로 배출된 지혈 패드(200)는 복원력에 의해 평평하게 펼쳐질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펼쳐짐은 내시경을 이용하여 수술 부위에 지혈 패드(200)를 위치시킬 때(부착할 때) 도움이 된다.
한편, 위에서는 지혈 패드가 트롬빈과 콜라겐 및 카복시메틸 셀룰로스계 화합물의 혼합액이 동결건조되어 만들어진 경우에 대해 설명을 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지혈 패드는 지혈성분을 포함하는 혼합액, 예를 들어 콜라겐과 트롬빈의 혼합액이 동결건조되어 만들어질 수도 있다.
아울러, 위에서는 인체를 대상으로 하는 복강경 수술을 예로 들어서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 사상은 인간을 제외한 동물을 복강경 수술할 때에도 적용될 수 있는데 이러한 점은 본 명세서를 참조한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10 : 관 11 : 가이드 홈
12 : 돌기 13 : 요홈
14 : 스토퍼 15 : 관통공
16 : 입구 17 : 돌기 라인
18 : 라운드진 부분 20 : 마개
21 : 제1 돌기부 22 : 제2 돌기부
30 : 밀대 31 : 버튼
32 : 본체 33 : 연결부
34 : 돌출부 34a : 중앙부
34b : 돌출부의 한쪽 끝단 34c : 돌출부의 반대쪽 끝단
34d : 만곡부 36 : 장착부
50 : 덮개
100 : 복강경 수술용 지혈 패드 삽입 기구
200 : 원형으로 권취된 지혈 패드

Claims (5)

  1. 복강경 수술시 트로카를 통해서 지혈 패드를 복부에 삽입하기 위한 기구로서,
    길게 형성된 관(10);
    관(10)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막대 형상을 갖고, 관(10)에 삽입되는 외경을 갖는 밀대(30); 및,
    관(10)에 삽입된 밀대(30)를 관(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시키기 위하여 밀대(30)에 구비된 버튼(31);을 포함하고,
    관(10)은 복강경 수술시 적어도 일부분이 트로카에 삽입되며, 관(10)의 상부에는 관(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가이드 홈(11)이 소정 구간에서 형성되고, 버튼(31)은 가이드 홈(11)을 통해 밀대(30)에 연결되며,
    버튼(31)을 밀거나 당기는 것에 의해 밀대(30)가 위 또는 아래로 이동되고, 밀대(30)가 아래로 이동되는 것에 의해 지혈 패드(200)가 관(10)으로부터 배출되며,
    관(10)의 상단에 설치된 마개(20)를 포함하고,
    마개(20)는 복강경 수술시 복부와 외부의 압력 차이에 의해 지혈 패드(200)와 밀대(30)가 관(10)의 상단을 통해 배출되는 것을 막는 지지력을 가지며,
    관(10)의 외부면에는 스토퍼(14)가 설치되고, 스토퍼(14)는 관(10)이 트로카를 통해 복부에 빠지는 것을 방지하며, 가이드 홈(11)은 스토퍼(14) 보다 상측에 형성되고,
    버튼(31)은,
    관(10)의 외부에 위치하는 본체(32); 및,
    한쪽 끝단은 본체(32)에 연결되고 다른쪽 끝단은 밀대(30)에 연결된 연결부(33);를 포함하고,
    가이드 홈(11)에는 돌기(12)와 요홈(13)이 교대로 반복적으로 형성되고,
    연결부(33)에는 요홈(13)에 삽입되는 돌출부(34)가 측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돌출부(34)가 요홈(13)에 삽입되는 것에 의해 밀대(30)의 위치가 고정되고,
    관(10) 또는 스토퍼(14)를 잡은 손의 손가락으로 버튼(31)을 밀거나 당기면 돌출부(34)가 요홈(13)에 삽입된 상태를 극복하면서 밀대(30)가 이동되므로, 한 손으로 조작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강경 수술용 지혈 패드 삽입 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가이드 홈(11)은 관(10)의 상단까지 연장되어 입구(16)를 형성하고, 밀대(30)가 관(10)에 삽입될 때 연결부(33)는 입구(16)를 통해 가이드 홈(11)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강경 수술용 지혈 패드 삽입 기구.
  3. 제1항에 있어서,
    지혈 패드(200)는 평평한 스폰지가 원형으로 권취되어 만들어지고, 스폰지는 지혈성분을 포함하는 혼합물이 동결건조되어 다수 개의 공극을 포함하고 이 공극의 적어도 일부가 서로 연결된 구조를 가지며 소정 쿠션과 복원력을 갖고,
    상기 권취된 지혈 패드(200)가 압축된 상태로 관(10)에 삽입되며, 관(10)에 삽입된 지혈 패드(200)가 복원력에 의해 원래 상태로 복귀되면 관(10)과의 마찰력이 발생하므로 관 내부에 고정되되 밀대(30)가 위에서 누르는 힘에 의해 관(10) 아래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강경 수술용 지혈 패드 삽입 기구.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관(10)의 하부에는 돌기 라인(17)이 관(10)의 중심을 기준으로 소정 각도 간격으로 복수 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강경 수술용 지혈 패드 삽입 기구.
  5. 삭제
KR1020230028829A 2023-03-05 2023-03-05 복강경 수술용 지혈 패드 삽입 기구 KR1025570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28829A KR102557039B1 (ko) 2023-03-05 2023-03-05 복강경 수술용 지혈 패드 삽입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28829A KR102557039B1 (ko) 2023-03-05 2023-03-05 복강경 수술용 지혈 패드 삽입 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57039B1 true KR102557039B1 (ko) 2023-07-18

Family

ID=874233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28829A KR102557039B1 (ko) 2023-03-05 2023-03-05 복강경 수술용 지혈 패드 삽입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703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09039A (ko) * 2014-03-19 2015-10-01 주식회사 제일메디칼코퍼레이션 외상외과용 깊이 게이지
JP2019177138A (ja) * 2018-03-12 2019-10-17 ジンマー バイオメット スパイン,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ロッドリデューサーのラチェットロックアウト機構
KR102481857B1 (ko) * 2022-04-20 2022-12-26 구태훈 복강경 수술용 지혈제 패드 삽입 기구, 및 이에 이용되는 원형으로 권취된 지혈제 패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09039A (ko) * 2014-03-19 2015-10-01 주식회사 제일메디칼코퍼레이션 외상외과용 깊이 게이지
JP2019177138A (ja) * 2018-03-12 2019-10-17 ジンマー バイオメット スパイン,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ロッドリデューサーのラチェットロックアウト機構
KR102481857B1 (ko) * 2022-04-20 2022-12-26 구태훈 복강경 수술용 지혈제 패드 삽입 기구, 및 이에 이용되는 원형으로 권취된 지혈제 패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49959A (en) Assembly for sealing a puncture in a vessel
US8702750B2 (en) Apparatus for closing vascular puncture
US7192436B2 (en) Pledget-handling system and method for delivering hemostasis promoting material to a blood vessel puncture site by fluid pressure
US5810884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losing a vascular perforation after percutaneous puncture of a blood vessel in a living subject
Carbajo et al. Laparoscopic approach to incisional hernia
ES2296053T3 (es) Junta quirurgica para uso en un aparato de acceso quirurgico.
JP4728547B2 (ja) 生検路の止血を促進するための装置および方法
JP5253170B2 (ja) 血管創の閉鎖装置および方法
US7357795B2 (en) Medical device and method of embolizing bronchus or bronchiole
EP0610099A2 (en) Inflatable laparoscopic retractor
JP2005517467A (ja) 脊柱の間隔をあけ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JP5157689B2 (ja) 内視鏡下手術用デバイス
KR102481857B1 (ko) 복강경 수술용 지혈제 패드 삽입 기구, 및 이에 이용되는 원형으로 권취된 지혈제 패드
KR20100110844A (ko) 경시하 수술용의 장기 사이 스페이서
KR102557039B1 (ko) 복강경 수술용 지혈 패드 삽입 기구
US9572559B2 (en) Port site closure
KR102459763B1 (ko) 원형으로 권취된 지혈제 패드, 및 이를 인체 내부에 삽입하기 위한 기구
EP2630926A2 (en) Two-part access port
JP4653083B2 (ja) 固定し引き出す技術により穿刺部位を閉塞するシステム
RU175236U1 (ru) Иглодержатель хирургический винтовой
ES2920430T3 (es) Andamiaje de refuerzo para mantener un tamaño reducido de un estómago
RU2578185C1 (ru) Способ создания доступа при выполнении ретроперитонеоскопической операции на органах забрюшинного пространства
RU198788U1 (ru) Рабочая насадка кондуктора лигатурного
RU198697U1 (ru) Универсальный фиксатор рабочих насадок медицинских инструментов
AU749733B2 (en) Assembly for sealing a puncture in a vess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