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6361B1 - 일체형 고데기 히터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일체형 고데기 히터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6361B1
KR102556361B1 KR1020230014534A KR20230014534A KR102556361B1 KR 102556361 B1 KR102556361 B1 KR 102556361B1 KR 1020230014534 A KR1020230014534 A KR 1020230014534A KR 20230014534 A KR20230014534 A KR 20230014534A KR 102556361 B1 KR102556361 B1 KR 1025563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c
thin film
heater
film heater
body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145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진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레가토
Shenzhen Deogra Electrical Co., Ltd.
강다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레가토, Shenzhen Deogra Electrical Co., Ltd., 강다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레가토
Priority to KR10202300145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636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63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63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20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 H05B3/22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non-flexible
    • H05B3/26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non-flexible heating conductor mounted on insulating bas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1/00Curling-tongs, i.e. tongs for use when hot; Curling-irons, i.e. irons for use when hot; Accessories therefor
    • A45D2001/004Curling-tongs, i.e. tongs for use when hot; Curling-irons, i.e. irons for use when hot; Accessories therefor with a ceramic component, e.g. heater, styling surfac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03/00Aspects relating to Ohmic resistive heating covered by group H05B3/00
    • H05B2203/013Heaters using resistive films or coating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03/00Aspects relating to Ohmic resistive heating covered by group H05B3/00
    • H05B2203/017Manufacturing methods or apparatus for heaters

Landscapes

  • Resistance Hea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EMC와 필름박판 히터 그리고 테프론 필름을 융복합하여 부착함으로써 구조적인 복잡성 및 성능 그리고 대량 생산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제조 원가를 줄임과 함께 작업을 간소화하고 안전하며 성능이 우수한 일체형 히터를 제조할 수 있도록 한 일체형 고데기 히터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장축 및 단축 방향을 갖는 알루미늄판으로 이루어진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길이방향으로 양측 가장자리가 직각으로 절곡된 밴딩부와, 상기 몸체부의 길이방향으로 양단이 절곡되어 끝 부분이 상기 몸체부의 양단보다 더 돌출된 리드 프레임부와, 상기 밴딩부 사이의 몸체부상에 열융착되어 부착된 필름박판 히터와, 상기 필름박판 히터의 상단을 몰딩하는 EMC와, 상기 밴딩부의 측면 및 배면을 포함하고 상기 EMC를 제외한 상기 몸체부의 표면에 열융착되어 부착된 테프론 필름과, 상기 EMC를 통해 몰딩되고 상기 필름박판 히터의 상단에 구성되어 상기 필름박판 히터의 표면 온도를 감지하여 전달하는 온도센서와, 상기 필름박판 히터의 일측 상부에 구성되고 상기 EMC를 통해 일부가 몰딩된 상태에서 상기 EMC 표면보다 더 돌출된 복수의 단자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일체형 고데기 히터 및 그 제조방법{Integrated hair iron heat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고데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대량생산이 가능하고 원가절감 및 모발손상을 방지하며 성능을 향상시키도록 한 일체형 고데기 히터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데기는 열을 이용하여 모발을 감거나 집은 상태로 모발을 펴거나 굽혀서 원하는 헤어스타일을 만드는데 사용되며, 예전에는 금속막대가 서로 교차된 모양으로 이루어져 가열하여 사용하는 고데기가 주류를 이루었으나, 근래에는 사용이 편리하도록 전기에 의하여 가열되는 집게모양의 전기식 고데기가 주류를 이루고 있다.
이러한 전기식 고데기의 히터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기에 의하여 가열되며, 일반적으로 급속가열이 가능하도록 열전도율이 우수한 금속재로 이루어진다. 금속 중에서도 특히 열전도율이 우수한 알루미늄이나 알루미늄합금이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렇게 열전도율이 높은 금속재를 히터로 사용하는 경우 높은 열전도율로 인하여 발열판이 순간적으로 고열화 되므로 모발을 태우거나, 모발을 형성하고 있는 단백질 성분의 케라틴(Keratin)을 파괴하므로 모발이 심하게 손상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히터가 금속재로 이루어짐에 따라 발열은 우수하나 쉽게 식을 뿐만 아니라 열방사율이 미흡한 금속의 특성으로 인하여, 방사된 고열이 모발의 표면에만 작용하고 모발의 내부에 깊숙히 전달되지 못하여, 모발의 성형시간이 오래 걸릴 뿐만 아니라 성형된 모발이 손상도가 심하여 원상태로 복귀되지 않는 문제점도 있었다.
도 1은 일반적인 전기식 고데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일반적인 전기식 고데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 힌지(20)에 의해 연결되어 벌려진 상태로 유지되는 집게 모양의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선단부 내측에 서로 마주보도록 설치되어 외부로 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가열되는 한쌍의 히터(30)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고데기는 상기 히터(30)가 가열된 상태에서 상기 히터(30) 사이에 머리카락을 위치시킨 후 본체(10)를 오무리면 머리카락이 상기 히터(30)에 의해 압착 되며, 이러한 상태에서 본체(10)를 머리카락 끝부분을 향해 당기면서 머리카락을 직선으로 펴거나 또는 롤 형상으로 감아 원하는 헤어스타일을 연출하게 된다.
이때 상기 히터(30)의 온도가 너무 높으면 고온에 의해 머리카락이 손상되기 쉽고 반대로 너무 낮으면 머리카락을 원하는 형태로 펴거나 구부리는 작업이 잘 되지 않으므로 머리카락과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히터(30)는 항상 일정한 온도로 유지되는 것이 중요하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히터 부분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히터(30)는 히터 패턴(31)과, 상기 히터 패턴(31)의 상부면과 하부면에 코팅된 고분자 필름(32)과, 상기 고분자 필름(32)의 상부면에 라미네이팅된 금속박판(33)과, 상기 고분자 필름(32)의 하부면에 열융착된 세라믹판(34)과, 상기 금속박판(33) 및 세라믹판(34) 그리고 상기 고분자 필름(32)을 수납하는 알루미늄 하우징(35)과, 상기 세라믹판(34)과 알루미늄 하우징(35) 사이에 설치되어 금속박판(33)을 알루미늄 하우징(35)에 밀착시키는 역할을 하는 판스프링(36)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히터(30)는 PTC 히터와 MCH 히터 2종류를 주로 사용하고 있는데, 상기 PTC 히터는 온도가 상승하면 전류가 지속적으로 감소시켜 더 이상 온도가 오르지 못하도록 제어한다.
이러한 PTC 히터가 전세계 시장에 95%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상기 PTC 히터는 안전하지만 온도 상승 속도가 매우 느린 단점이 있기에 저가형 고데기에 주로 사용되며 MCH 히터는 온도 상승 속도가 빠르지만 순간 가열로 인하여 히터가 깨지거나 과열이 되어 쉽게 고장이 난다.
뿐만 아니라 감전이나 안전성 문제로 히터(30)는 복잡한 조립 구조를 지닌다.
즉, 알루미늄판에 실리콘 접착제를 도포하고, 상기 실리콘 접착제 위에 캡톤 테이프가 감겨진 히터 패턴(31)을 부착하고, 상기 히터 패턴(31) 위에 고분자 필름(34)과 판스프링(36)으로 눌러서 고정하며, 온도센서를 고정하기 위한 별도의 홀더 그리도 덮개를 갖는다. 여기에 밀착성을 높이기 위하여 고온 플라스틱 덮개까지 사용한다. 이러한 복잡한 히터 구조는 부품 수가 많고 조립이 까다롭기 때문에 원가도 높고 고장이 많이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EMC와 필름박판 히터 그리고 테프론 필름을 융복합하여 부착함으로써 구조적인 복잡성 및 성능 그리고 대량 생산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제조 원가를 줄임과 함께 작업을 간소화하고 안전하며 성능이 우수한 일체형 히터를 제조할 수 있도록 한 일체형 고데기 히터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일체형 고데기의 히터는 장축 및 단축 방향을 갖는 알루미늄판으로 이루어진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길이방향으로 양측 가장자리가 직각으로 절곡된 밴딩부와, 상기 몸체부의 길이방향으로 양단이 절곡되어 끝 부분이 상기 몸체부의 양단보다 더 돌출된 리드 프레임부와, 상기 밴딩부 사이의 몸체부상에 열융착되어 부착된 필름박판 히터와, 상기 필름박판 히터의 상단을 몰딩하는 EMC와, 상기 밴딩부의 측면 및 배면을 포함하고 상기 EMC를 제외한 상기 몸체부의 표면에 열융착되어 부착된 테프론 필름과, 상기 EMC를 통해 몰딩되고 상기 필름박판 히터의 상단에 구성되어 상기 필름박판 히터의 표면 온도를 감지하여 전달하는 온도센서와, 상기 필름박판 히터의 일측 상부에 구성되고 상기 EMC를 통해 일부가 몰딩된 상태에서 상기 EMC 표면보다 더 돌출된 복수의 단자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일체형 고데기의 히터 제조방법은 장축 및 단축을 갖고 장축의 양단이 리드 프레임 구조를 갖는 알루미늄판으로 이루어진 한 쌍의 몸체부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한 쌍의 몸체부를 탑제 공간을 갖는 트레이에 복수개씩 지그를 이용하여 배열하는 단계; 상기 각 몸체부의 가장자리를 제외한 중앙 부분에 필름박판 히터를 가접한 후 핫프레스를 이용하여 열융착하여 접착하는 단계; 상기 필름박판 히터 상에 온도 센서를 부착하고 마운팅 공정을 통해 복수개의 단자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필름박판 히터가 부착된 몸체부를 프레스 가공하여 장축 방향 및 단축의 양측을 90도 꺾어진 구조로 밴딩처리하여 밴딩부와 상기 몸체부의 양측보다 외부로 돌출된 형태의 리드 프레임부를 각각 형성하는 단계; 상기 밴딩부 및 리드 프레임부를 구비한 상기 필름박판 히터 상부에 EMC를 몰딩하여 형성하는 단계; 상기 EMC가 형성된 몸체부를 개별적으로 분리하고, 상기 EMC를 제외한 상기 몸체부의 표면에 테프론 필름을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일체형 고데기 히터 및 그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즉, EMC와 필름박판 히터 그리고 테프론 필름을 융복합하여 부착함으로써 구조적인 복잡성 및 성능 그리고 대량 생산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제조 원가를 줄임과 같이 작업을 간소화하고 안전하며 성능이 우수한 일체형 고데기 히터를 제조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전기식 고데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히터 부분을 나타낸 단면도
도 3 및 도 4은 본 발명에 의한 고데기의 히터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도 3의 히터를 Ⅱ-Ⅱ'선에 따른 단면도
도 6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고데기의 히터 제조방법을 나타낸 공정 사시도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일체형 고데기의 히터와 대조상품을 비교 평가한 결과를 나타낸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의 설명 및 첨부된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도면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3 및 도 4은 본 발명에 의한 고데기의 히터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3의 히터를 Ⅱ-Ⅱ'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고데기의 히터(100)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축 및 단축 방향을 갖는 알루미늄판으로 이루어진 몸체부(110)와, 상기 몸체부(110)의 길이방향으로 양측 가장자리가 직각으로 절곡된 밴딩부(120)와, 상기 몸체부(110)의 길이방향으로 양단이 절곡되어 끝 부분이 상기 몸체부(110)의 양단보다 더 돌출된 리드 프레임부(130)와, 상기 밴딩부(120) 사이의 몸체부(110)상에 열융착되어 부착된 필름박판 히터(140)와, 상기 필름박판 히터(140)의 상단을 몰딩하는 EMC(150)와, 상기 밴딩부(120)의 측면 및 배면을 포함하고 상기 EMC(150)를 제외한 상기 몸체부(110)의 표면에 열융착되어 부착된 테프론 필름(160)과, 상기 EMC(150)를 통해 몰딩되고 상기 필름박판 히터(140)의 상단에 구성되어 상기 필름박판 히터(140)의 표면 온도를 감지하여 전달하는 온도센서(170)와, 상기 필름박판 히터(140)의 일측 상부에 구성되고 상기 EMC(150)를 통해 일부가 몰딩된 상태에서 상기 EMC(150) 표면보다 더 돌출된 복수의 단자(1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몸체부(110)를 포함한 밴딩부(120) 및 리드 프레임부(130)의 표면을 테프론과 같은 절연 재질로 코팅처리되어 있다. 이로 인해 전기적인 감전 위험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다.
상기 EMC(150)의 상부 표면은 상기 밴딩부(120)의 상측과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고, 상기 EMC(150)의 몰딩시 추가적으로 소정위치에 퓨즈가 장착될 수 있도록 퓨즈 삽입부(190)를 구성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퓨즈는 상기 필름박판 히터(140)에 고전압이 인가될 경우에 전원을 차단하여 전기적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단자(180)는 상기 필름박판 히터(140)에 전원을 인가하는 2개의 전원단자와 상기 온도센서(170)와 연결되는 2개의 연결단자이다. 아울러 상기 단자(180)는 총 4개로 구성되어 있는데, 중앙 부분의 2개 단자가 상기 온도센서(170)과 연결되고 양측 2개의 단자가 상기 필름박판 히터(140)와 연결된다.
이때 상기 4개의 단자는 일렬로 배치할 수도 있고 사다리꼴 형태로 2개의 단자가 다른 2개의 단자보다 전단에 각각 형성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온도센서(170)는 상기 필름박판 히터(140)의 표면온도를 직접적으로 검출하여 전달하는 NTC 방식의 센서를 사용한다.
상기 밴딩부(120)를 포함한 몸체부(110)는 "凹"자 형태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필름박판 히터(140)와 EMC(150)는 상기 "凹"자 형태의 내부에 차례로 적층되며, 상기 테프론 필름(160)은 상기 "凹"자 형태의 외부 표면에 상기 EMC(150)를 제외하고 형성되어 있다.
상기 테프론 필름(160)은 머리카락과 직접 맞닿는 부분이고, 상기 EMC(150)는 도 1의 본체 내부에 삽입 안착되는 부분이다.
일반적인 고데기는 200℃ 고온으로 헤어스타일링을 하면 모발 손상이 매우 심각하며 대부분의 소비자는 온도를 내리면 헤어연출이 안되고, 온도를 올리면 모발이 손상되어 늘상 고민하게 된다.
그런데 왜 200℃의 열로 헤어스타일링을 하면 모발이 손상될까? 수 많은 시험끝에 해당 원인의 가장 큰 문제점은 모발온도 25도와 히터 온도 200도의 열편차가 급작스럽게 닿으면서 히터 표면에 열반사에 의한 큐티클 손상임을 알게되어 이를 개선하기에 본 발명에서 많은 실험을 하게 되었다.
즉, 본 발명자는 기존의 알루미늄 금속 표면에 세라믹 등의 코팅면이 금속열 반사율이 높아서 발생한다는 것을 알아냈고, 이에 대한 해결 방안으로 테프론 필름을 몸체부(110)에 열융착시켜 직접 열이 아닌 간접열 형태로 버퍼처럼 열이 급작스럽게 흡수하지 않고 서서히 흡수하도록 하여 시험을 하였다.
그 결과 내추럴 헤어컬에 일반 고데기 열판으로 180도 기준으로 1000회 사용하여 큐티클층을 전자 현미경으로 500배 확대 촬영한 결과 테프론 섬유를 열융착한 고데기에 동일한 시험 후 큐티클층을 분석한 결과 현격한 차이가 남을 확인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고데기의 히터 제조방법을 나타낸 공정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고데기의 히터 제조방법은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축 및 단축을 갖고 장축의 양단이 리드 프레임 구조를 갖는 알루미늄판으로 이루어진 한 쌍의 몸체부(110)를 준비한다.
이어서, 상기 한 쌍의 몸체부(110)를 탑제 공간을 갖는 트레이(200)에 복수개씩 지그를 이용하여 배열한다. 본 발명에서는 샷당 60개 배열하고 있다.
이때 상기 몸체부(110)는 상기 트레이(200)에 한 쌍씩 안착되기 위해 상기 몸체부(110)와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지면서 브릿지(220)를 통해 고정되는 사각틀 형상의 보조 프레임(210)이 금형 공정에 의해 동시에 형성된다.
상기 보조 프레임(210)의 가장자리에는 각각 관통홀(230)이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관통홀(230)은 상기 몸체부(110)를 구비한 보조 프레임(210)이 상기 트레이(200)에 안착될 때 상기 트레이(200)의 각 수납공간에 형성된 돌기부(도시되지 않음)에 삽입되어 고정되게 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각 몸체부(110)의 가장자리를 제외한 중앙 부분에 필름박판 히터(140)를 가접한 후 핫프레스를 이용하여 열융착하여 접착한다.
이때 상기 핫프레스에 의한 열융착 공정은 프레스 바디의 온도를 200~220℃로 설정하고 온도가 설정된 온도에 도달하면 지그를 로딩하고 압력은 50~60톤으로 설정하면서 60~90분 동안 핫프레스를 실시한다.
이어서, 상기 필름박판 히터(140) 상에 온도 센서(170)를 부착하고 SMT 타입의 너트를 마운팅하여 복수개의 단자(180)를 형성한다.
상기 단자(180)는 상기 필름박판 히터(140)에 전원을 인가하는 2개의 전원단자와 상기 온도센서(170)와 연결되는 2개의 연결단자이다.
아울러 상기 단자(180)는 총 4개로 구성되어 있는데, 중앙 부분의 2개 단자가 상기 온도센서(170)와 연결되고 양측 2개의 단자가 상기 필름박판 히터(140)와 연결된다. 이때 상기 4개의 단자는 일렬로 배치할 수도 있고 사다리꼴 형태로 2개의 단자가 다른 2개의 단자보다 전단에 각각 형성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온도센서(170)는 상기 필름박판 히터(140)의 표면온도를 직접적으로 검출하여 전달하는 NTC 방식의 센서를 사용한다.
또한, 상기 몸체부(110)는 2~3㎜의 두께를 갖고 리프 프레임 구조로 상기 필름박판 히터(140)와 열융착할 수 있도록 구조 설계 후 프레스 금형으로 하나의 트레이에 60개가 배열된다. 이때 상기 몸체부(110)와 필름박판 히터(140)는 가접한 후 핫 프레스를 이용하여 열융착하여 접착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필름박판 히터(140)가 부착된 몸체부(110)를 프레스 가공하여 장축 방향 및 단축의 양측을 90도 꺾어진 구조로 밴딩처리하여 밴딩부(120)와 리드 프레임부(130)를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몸체부(110)의 밴딩 처리에 의해 상기 밴딩부(120)를 포함한 몸체부(110)의 장변 가장자리는 "凹"자 형태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리드 프레임부(130)는 상기 몸체부(110)의 양측보다 외부로 돌출된 형태로 "┎" 형태로 이루어진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밴딩부(120) 및 리드 프레임부(130)를 구비한 상기 필름박판 히터(140) 상부에 EMC(150)를 몰딩하여 형성한다. 이때 상기 EMC(150)에 의해 상기 온도센서(170)는 완전히 커버되고 상기 단자(180)의 일부는 노출된다.
한편, 상기 EMC(150)의 상부 표면은 상기 밴딩부(120)의 상측과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고, 상기 EMC(150)의 몰딩시 추가적으로 소정위치에 퓨즈가 장착될 수 있도록 퓨즈 삽입부(190)를 형성한다.
이때 상기 퓨즈는 상기 필름박판 히터(140)에 고전압이 인가될 경우에 전원을 차단하여 전기적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EMC(150)를 성형한 후 컷팅 프레스를 통해 개별 분리하고, 개별 분된 히터의 표면을 초음파 세척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별적으로 분리된 60개의 히터(100)를 다시 지그를 통해 프레스로 탑재하고, 핫프레스 작업을 통해 상기 히터(100) 즉 상기 몸체부(110)의 밴딩부(120)를 포함하여 상기 EMC(150)를 제외하여 테프론 필름(160)을 부착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몸체부의 표면에 테프론 필름(160)을 부착한 고데기를 한국피부임상연구센터를 통해 인모 트레스 적용 평가시험을 거쳤다.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일체형 고데기의 히터와 대조상품을 비교 평가한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평가시험은 GCP(Good Clinical Practic), MFDC(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관련규정 및 KSRC 한국피부임상연구센터의 표준작업지침서(SOP)에 따라 계획되어 수행되었음을 신뢰성 보증인이 점검하여 연구책임자에게 제출하여 확인을 거쳤다.
대조제품으로 일반(세라믹) 발열판 고데기와 시험제품으로 본 발명에 의한 실크 플레이트 고데기를 각각 1,000회 적용, 무작위 배정(randomization), 대조군 비교(vs. control)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인체 유래 모발(흑모) 트레스를 사용하여 제품 사용 전 및 제품 사용 1,000회 후 시점에서 주사전자현미경(SEM) 이미지 촬영 및 육안 평가를 진행하였다.
아울러 SSP Package Program(IBM, USA)를 이용하여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하였으며, 통계학적 유의 수준은 p값 0.05미만으로 설정하였습니다.
모말 손상도 분석 결과, 제품 사용 전과 비교시 제품 사용 1,000회 후 시점에서 대조제품 및 시험제품 모두 주사전자현미경(SEM) 이미지에 대한 육안평가 점수가 유의하게 증가(손상)되었지만(p < 0.05), 군간 비교시 시제제품의 모발 큐티클층 변화율이 87.06%로 265.63%인 대조제품보다 유의하여 178.57% 모발 손상이 적었다.
즉 시험제품이 대조제품에 비해 모발 큐티클층이 유지된 것을 알 수 있다.
아래의 표 1은 모발 큐티클층 육안평가 점수에 대한 시점 별 전후 빅 결과 통계 분석을 나타내고, 표 2는 모발 큐티클층 육안 평가 점수에 대한 동질성 및 구간 비교 결과 통계 분석을 각각 나타내고 있다.
Figure 112023012781615-pat00001
Figure 112023012781615-pat00002
한편,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기초로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후술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110 : 몸체부 120 : 밴딩부
130 : 리드 프레임부 140 : 필름박판 히터
150 : EMC 160 : 테프론 필름
170 : 온도센서 180 : 단자

Claims (5)

  1. 장축 및 단축 방향을 갖는 알루미늄판으로 이루어진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길이방향으로 양측 가장자리가 직각으로 절곡된 밴딩부와,
    상기 몸체부의 길이방향으로 양단이 절곡되어 끝 부분이 상기 몸체부의 양단보다 더 돌출된 리드 프레임부와,
    상기 밴딩부 사이의 몸체부상에 열융착되어 부착된 필름박판 히터와,
    상기 필름박판 히터의 상단을 몰딩하는 EMC와,
    상기 밴딩부의 측면 및 배면을 포함하고 상기 EMC를 제외한 상기 몸체부의 표면에 열융착되어 부착된 테프론 필름과,
    상기 EMC를 통해 몰딩되고 상기 필름박판 히터의 상단에 구성되어 상기 필름박판 히터의 표면 온도를 감지하여 전달하는 온도센서와,
    상기 필름박판 히터의 일측 상부에 구성되고 상기 EMC를 통해 일부가 몰딩된 상태에서 상기 EMC 표면보다 더 돌출된 복수의 단자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밴딩부를 포함한 몸체부는 "凹"자 형태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필름박판 히터와 EMC는 상기 "凹"자 형태의 내부에 차례로 적층되며, 상기 테프론 필름은 상기 "凹"자 형태의 외부 표면에 상기 EMC를 제외하고 형성되며,
    상기 리드 프레임부는 상기 몸체부의 양측보다 외부로 돌출된 "┎" 형태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고데기의 히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를 포함한 밴딩부 및 리드 프레임부의 표면을 테프론과 같은 절연 재질로 코팅처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고데기의 히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EMC의 상부 표면은 상기 밴딩부의 상측과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고, 상기 EMC의 몰딩시 추가적으로 소정위치에 퓨즈가 장착될 수 있도록 퓨즈 삽입부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고데기의 히터.
  4. 장축 및 단축을 갖고 장축의 양단이 리드 프레임 구조를 갖는 알루미늄판으로 이루어진 한 쌍의 몸체부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한 쌍의 몸체부를 탑제 공간을 갖는 트레이에 복수개씩 지그를 이용하여 배열하는 단계;
    상기 각 몸체부의 가장자리를 제외한 중앙 부분에 필름박판 히터를 가접한 후 핫프레스를 이용하여 열융착하여 접착하는 단계;
    상기 필름박판 히터 상에 온도 센서를 부착하고 마운팅 공정을 통해 복수개의 단자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필름박판 히터가 부착된 몸체부를 프레스 가공하여 장축 방향 및 단축의 양측을 90도 꺾어진 구조로 밴딩처리하여 밴딩부와 상기 몸체부의 양측보다 외부로 돌출된 형태의 리드 프레임부를 각각 형성하는 단계;
    상기 밴딩부 및 리드 프레임부를 구비한 상기 필름박판 히터 상부에 EMC를 몰딩하여 형성하는 단계;
    상기 EMC가 형성된 몸체부를 개별적으로 분리하고, 상기 EMC를 제외한 상기 몸체부의 표면에 테프론 필름을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밴딩부를 포함한 몸체부는 "凹"자 형태로 형성하고, 상기 필름박판 히터와 EMC는 상기 "凹"자 형태의 내부에 차례로 적층하여 형성하며, 상기 테프론 필름은 상기 "凹"자 형태의 외부 표면에 상기 EMC를 제외하여 형성하고, 상기 리드 프레임부는 상기 몸체부의 양측보다 외부로 돌출된 "┎" 형태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고데기의 히터 제조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EMC를 성형한 후 컷팅 프레스를 통해 상기 히터를 개별 분리하고, 상기 개별 분리된 히터의 표면을 초음파 세척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고데기의 히터 제조방법.
KR1020230014534A 2023-02-03 2023-02-03 일체형 고데기 히터 및 그 제조방법 KR1025563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14534A KR102556361B1 (ko) 2023-02-03 2023-02-03 일체형 고데기 히터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14534A KR102556361B1 (ko) 2023-02-03 2023-02-03 일체형 고데기 히터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56361B1 true KR102556361B1 (ko) 2023-07-14

Family

ID=871555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14534A KR102556361B1 (ko) 2023-02-03 2023-02-03 일체형 고데기 히터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636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7813A (ko) * 2010-07-15 2012-01-25 주식회사 트레이스 아이알-히터를 이용한 헤어용 전기 고데기
KR20130073189A (ko) * 2011-12-23 2013-07-03 주식회사 제이엠더블유 전기 헤어 고데기
JP2020150999A (ja) * 2019-03-18 2020-09-24 株式会社 Mtg 加温美容器具
KR20200125224A (ko) * 2019-04-26 2020-11-04 주식회사 명성 전원제어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고데기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7813A (ko) * 2010-07-15 2012-01-25 주식회사 트레이스 아이알-히터를 이용한 헤어용 전기 고데기
KR20130073189A (ko) * 2011-12-23 2013-07-03 주식회사 제이엠더블유 전기 헤어 고데기
JP2020150999A (ja) * 2019-03-18 2020-09-24 株式会社 Mtg 加温美容器具
KR20200125224A (ko) * 2019-04-26 2020-11-04 주식회사 명성 전원제어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고데기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318178A (zh) 封口机用发热模块
KR102556361B1 (ko) 일체형 고데기 히터 및 그 제조방법
KR200492841Y1 (ko) 가열 기능을 구비하는 속눈썹 성형구
CN111418982A (zh) 睫毛卷翘器
CN105639973B (zh) 烫发器
KR20120019693A (ko) 열전소자를 이용한 고데기
CN216255901U (zh) 一种直发梳
CN208658101U (zh) 一种直卷发器
TWM253104U (en) Power safety plug
CN209391304U (zh) 一种具有温控功能的3d睫毛定型机
CN209610216U (zh) 一种便携式睫毛夹
JP3737966B2 (ja) 熱可塑性樹脂成形品の熱溶着方法及びその装置
KR200270330Y1 (ko) 퍼머용 아이롱
CN208337903U (zh) 一种ptc标准件发热铝件
KR101413569B1 (ko) 헤어 컬링용 오픈 로드
CN220023099U (zh) 软硬一体成型的加热板
CN217609889U (zh) 睫毛卷翘器
CA1129503A (en) Controlled electric heating apparatus for stacking clips in insulator
JPH053122Y2 (ko)
KR102597625B1 (ko) 일체형 고데기 히터 및 그 제조방법
JPH0534561Y2 (ko)
CN218634326U (zh) 一种电发器用软性发热模块
KR200490371Y1 (ko) 슈가 페이스트 온열기
CN218390115U (zh) 一种具有复数发热件的电发器发热模组
US3911935A (en) Hair-sett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