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5992B1 - 개선된 구조를 갖는 창문형 공기순환기의 연결 마감재 - Google Patents
개선된 구조를 갖는 창문형 공기순환기의 연결 마감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55992B1 KR102555992B1 KR1020220054263A KR20220054263A KR102555992B1 KR 102555992 B1 KR102555992 B1 KR 102555992B1 KR 1020220054263 A KR1020220054263 A KR 1020220054263A KR 20220054263 A KR20220054263 A KR 20220054263A KR 102555992 B1 KR102555992 B1 KR 10255599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inishing material
- auxiliary member
- main body
- window
- connection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5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8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8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8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XECAHXYUAAWDEL-UHFFFAOYSA-N 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Chemical compound C=CC=C.C=CC#N.C=CC1=CC=CC=C1 XECAHXYUAAWDEL-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29920000122 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9000004676 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9000003963 antioxidant ag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8000009413 insul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10000000050 mohair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0000003078 antioxidant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1746 injection moul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9000004033 plastic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29920003023 plastic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0000000844 anti-bacteri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2209 hydrophobic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0049 pigm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4888 barrier function Effects 0.000 claims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1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abstract 2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abstract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5
- JOYRKODLDBILNP-UHFFFAOYSA-N Ethyl urethane Chemical compound CCOC(N)=O JOYRKODLDBIL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39000006260 foa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9423 venti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41000238631 Hexapoda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356 contamin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7797 corro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260 corro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2845 discolo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7254 oxid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GWEVSGVZZGPLCZ-UHFFFAOYSA-N Titan oxide Chemical compound O=[Ti]=O GWEVSGVZZGPLC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248 coa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576 coa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452 intercep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647 oxi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973 pai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OAICVXFJPJFONN-UHFFFAOYSA-N Phosphorus Chemical compound [P] OAICVXFJPJFON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NINIDFKCEFEMDL-UHFFFAOYSA-N Sulfur Chemical compound [S] NINIDFKCEFEMD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378 air conditio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412 amin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XNEFYCZVKIDDMS-UHFFFAOYSA-N avobenzone Chemical compound C1=CC(OC)=CC=C1C(=O)CC(=O)C1=CC=C(C(C)(C)C)C=C1 XNEFYCZVKIDDM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60005193 avobenzone Drugs 0.000 description 1
- RWCCWEUUXYIKHB-UHFFFAOYSA-N benzophenone Chemical compound C=1C=CC=CC=1C(=O)C1=CC=CC=C1 RWCCWEUUXYIKHB-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965 benzopheno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QRUDEWIWKLJBPS-UHFFFAOYSA-N benzotriazole Chemical compound C1=CC=C2N[N][N]C2=C1 QRUDEWIWKLJBP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964 benzotriazo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187 foam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DXGLGDHPHMLXJC-UHFFFAOYSA-N oxybenzone Chemical compound OC1=CC(OC)=CC=C1C(=O)C1=CC=CC=C1 DXGLGDHPHMLXJ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60001173 oxybenzon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515 penet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530 phenolic antioxid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698 phosphorus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74 phosphoru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68 sta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467 substitu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93 sulfu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17 sulfu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475 sunscreen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516 sunscreen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408 titanium diox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5196 titanium dioxide Drug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6—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26—Thermosensitive pai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62—Exterior insulation of exterior walls
- E04B1/7641—Elements for window or door openings, or for corners of the building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6—Horizontally-sliding wings
- E06B3/4609—Horizontally-sliding wings for windows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2—Measures preventing the formation of condensed wate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03—Ventilation in combination with air clea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rchitectur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창문형 공기순환기의 연결 마감재는 실내외 공기순환을 위해 필터 및 유로를 포함하는 공기 이동부; 와 상기 공기 이동부를 둘러싸며 창문과 연결되는 판 형상의 마감재 본체; 및 상기 마감재 본체와 연장 결합하되 창문과의 연결을 지지하는 하나 이상의 판 형상 보조부재; 를 포함하며, 상기 마감재 본체는 본체 돌출부와 본체 요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부재는 보조부재 돌출부와 보조부재 요입부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마감재 본체가 창틀 또는 상기 보조부재와 밀착 결합하고, 상기 보조부재는 창틀 또는 상기 마감재 본체와 밀착 결합하도록 하여, 상기 마감재 본체 및 보조부재의 틈새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창문에 설치하는 공기순환기의 연결 마감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공기순환기가 설치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와 결합되는 보조부재가 포함됨으로써 창문 규격에 상관없이 창틀과 창문 사이에 공기순환기를 설치할 수 있도록 지원하며 사용성능이 개선된 창문형 공기순환기의 연결 마감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 내의 밀폐된 공간의 경우 창문을 통해 외부공기를 유입시키는 실내 환기가 수시로 요구되며, 실내 환기 시 방충망이 닫힌 상태로 창문을 일정시간 동안 열어두는 방식으로 환기를 진행하게 된다. 방충망에 의해 벌레나 이물질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는 있지만, 환기 시 황사나 미세먼지가 실내로 유입되거나, 비나 눈이 내리는 등의 기상 상황에서 실내로 빗물이나 바람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는 어려운 상황이다.
또한, 외부의 차가운 공기가 실내로 유입되면서 실내 온도가 하락하는 등의 문제가 종종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창문에 설치하는 창문형 공기 청정기, 창문형 공기순환기 등의 제품들이 출시되고 있지만, 창문에 시공하는 과정 중 소음이 심하게 발생하거나, 창문과의 규격이 맞지 않는 경우 함석, 합판, 포맥스 등의 마감재로 창문의 빈 공간을 메우게 되는데, 재질의 특성상 단열 효과를 기대할 수 없으며 견고하게 결합되지 않아 방범에 취약하며 외관 상 미려하지 않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창문형 공기순환기의 연결 마감재는, 공기순환기를 설치하기 위한 본체와, 상기 본체와 결합하는 보조부재가 블록식 결합으로 용이하게 설치가 가능하여 창문에 공기순환기 설치 작업 시 소음이 발생하지 않으며, 상기 보조부재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로 다른 크기로 구비되어, 창문의 규격에 상관없이 공기 순환기 시공이 가능한 창문형 공기순환기의 연결 마감재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창문형 공기순환기의 연결 마감재는 실내외 공기순환을 위해 필터 및 유로를 포함하는 공기 이동부; 와 상기 공기 이동부를 둘러싸며 창문과 연결되는 판 형상의 마감재 본체; 및 상기 마감재 본체와 연장 결합하되 창문과의 연결을 지지하는 하나 이상의 판 형상 보조부재; 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마감재 본체는 본체 돌출부와 본체 요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부재는 보조부재 돌출부와 보조부재 요입부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마감재 본체가 창틀 또는 상기 보조부재와 밀착 결합하고, 상기 보조부재는 창틀 또는 상기 마감재 본체와 밀착 결합하도록 하여, 상기 마감재 본체 및 보조부재의 틈새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공기 이동부는 원통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마감재 본체 중간에 위치하고 상기 마감재 본체의 실내 및 실외 방향으로 각각 돌출되며, 실내 방향으로 돌출된 부분에 별도의 커버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커버부는 기압 차이를 이용하여 실외 공기가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제어함과 동시에 실내와 실외의 공기를 선택적으로 순환시키기 위한 하나 이상의 통공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마감재 본체와 상기 보조부재는 ABS(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사출 성형으로 제조된 합성수지 또는 플라스틱 소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마감재 본체와 상기 보조부재의 표면에 UV 차단제 및 산화 방지제를 코팅하며, 항균 필름 내지 항균 소재를 도포하고, 시온 안료를 사용함으로써 내부 외부 온도차이에 의한 색상의 변화를 사용자에게 알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마감재 본체와 상기 보조부재는 단열 성능을 증가시키기 위해 내부에 중공부가 마련되되, 상기 중공부는 내부가 모두 비어 있는 형태, 복수의 기포가 마련된 발포 플라스틱의 형태, 내부에 복수의 중공층 격벽이 순차적으로 마련되는 형태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 요입부 및 상기 보조부재 요입부에는 모헤어가 구비되며, 상기 모헤어는 반복 사용에 의한 밀폐 성능감소를 제거하기 위해 탈 부착이 가능하도록 별도의 체결수단을 사용하여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공기 이동부의 실외 방향으로 돌출된 부분은 외부 빗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빗물 방지부가 더 마련되고, 상기 빗물 방지부는 지면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설치하며, 별도의 필터 부재를 포함하여 미세먼지의 실내 유입을 방지하고, 상기 빗물 방지부 및 마감재 본체 표면에 소수성 필름을 부착함으로써 수분 유입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창문형 공기순환기의 연결 마감재 설치방법은 창틀에 상기 마감재 본체를 결합하는 단계; 상기 마감재 본체에 상기 보조부재를 결합하는 단계; 및 상기 창틀과 마감재 본체 내지 상기 창틀과 보조부재 사이에 유격이 생기는 경우 상기 보조부재 또는 별도의 밀폐부재를 추가로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마감재 본체와 보조부재는 각각 돌출부 및 요입부를 마련하여 서로 밀착 결합함으로써 틈새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고, 상기 창틀에 상기 마감재 본체를 결합하기 전에 상기 보조부재를 창틀과 결합하여 상기 마감재 본체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창문형 공기순환기의 연결 마감재는 ABS 사출 성형으로 제조되어 인장강도 및 굴곡강도가 향상되어 내충격성, 내약품성, 내구성이 향상된다. 또한, 내약품성의 향상으로 UV 차단제 및 산화방지제 코팅이 가능하여 자외선 및 산화에 의해 창문형 공기순환기의 연결 마감재에 퇴색이나 부식, 변형과 같은 손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창문형 공기순환기의 연결 마감재는 공기 순환기 설치를 위한 본체와 상기 본체와 결합하기 위한 보조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본체와 상기 보조부재는 돌출부 및 요입부가 구비되어 요철 형상으로 결합하여 결합력이 향상되어 외부 공기와 이물질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와 상기 보조부재의 내부에는 중공부가 형성되어 있어 단열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창문형 공기순환기의 연결 마감재가 창문에 설치된 것을 예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창문형 공기순환기의 연결 마감재가 창문에 설치된 것을 예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본체 요입부 및 본체 돌출부, 보조부재 요입부 및 보조부재 돌출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본체 돌출부와 보조부재 요입부의 결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커버부 및 빗물 방지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창문형 공기순환기의 연결 마감재가 창문에 설치된 것을 예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본체 요입부 및 본체 돌출부, 보조부재 요입부 및 보조부재 돌출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본체 돌출부와 보조부재 요입부의 결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커버부 및 빗물 방지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로서 이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창문형 공기순환기의 연결 마감재는 상술한 바와 같이 ABS 사출 성형으로 제조되어 인장강도 및 굴곡강도가 향상되어 내충격성, 내약품성, 내구성이 향상된다. 또한, 내약품성의 향상으로 UV 차단제 및 산화방지제 코팅이 가능하여 자외선 및 산화에 의해 창문형 공기순환기의 연결 마감재에 퇴색이나 부식, 변형과 같은 손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공기 순환기 설치를 위한 본체와 상기 본체와 결합하기 위한 보조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본체와 상기 보조부재는 돌출부 및 요입부가 구비되어 요철 형상으로 결합하여 결합력이 향상되어 외부 공기와 이물질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와 상기 보조부재의 내부에는 중공부가 형성되어 있어 단열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창문형 공기순환기의 연결 마감재는 종래의 연결부재 내지 챔버의 문제점인 외관이 미려하지 않고, 단열 성능이 좋지 않으며, 소음도 심하고 견고하지 않아 방범에 취약한 문제점을 해결한다. 이하, 이러한 기술적 사상을 얻기 위한 발명의 내용에 대해 후술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창문형 공기순환기의 연결 마감재는 실내외 공기순환을 위해 필터 및 유로를 포함하는 공기 이동부(130), 상기 공기 이동부(130)를 둘러싸며 창문과 연결되는 판 형상의 마감재 본체(100) 및 상기 마감재 본체(100)와 연장 결합하되 창문과의 연결을 지지하는 하나 이상의 판 형상 보조부재(200)를 포함한다.
즉, 본 발명은 창문 내지 창틀에 설치하여 내부 외부 공기를 순환시키는 공기 순환기와 창문 사이를 연결, 마감하는 마감재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 방식, 구조를 개선하여 설치가 용이하고 성능을 개선 시켰으며, 모듈화, 유닛화 함으로써 복수의 공기순환기 연결 마감재를 선택하고 다양한 개수, 위치를 선정하여 설치가 가능한 것이다.
상기 공기 이동부(130)의 순환 기능은 자연적인 기압 차이로 인한 공기 순환도 가능하나 필요 시 외부 전원을 이용하여 임펠러, 프로펠러, 블레이드 등을 이용한 강제 순환이 가능하며 이때 상기 전원은 상기 마감재의 외부 표면에 설치한 태양광 패널에서 생산된 전력을 일부 이용할 수도 있다.
상기 마감재 본체(100)는 본체 돌출부(110)와 본체 요입부(120)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부재(200)는 보조부재 돌출부(210)와 보조부재 요입부(220)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마감재 본체(100)가 창틀 또는 상기 보조부재(200)와 밀착 결합하고, 상기 보조부재(200)는 창틀 또는 상기 마감재 본체(100)와 밀착 결합하도록 하여, 상기 마감재 본체(100) 및 보조부재(200)의 틈새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즉, 연결부 틈새로 유입되는 먼지, 수분, 빗물, 오염원 등을 방지하기 위해 요부와 철부에 의한 요철 결합, 복수의 단턱에 의한 외부 오염원 차단, 기타 다양한 결합 수단이 이용될 수 있다. 예컨대, 요철 결합이 하나 이상 즉, 두 개 이상으로 마련되어 그 밀폐 성능을 추가로 확보할 수도 있다.
상기 외부 오염원이 먼지인 경우 정전기를 이용한 방진 수단을 이용하여 먼지의 유입을 방지할 수도 있으며, 수분, 빗물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해 소수성 필름 내지 도료를 도포할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 공기 이동부(130)는 원통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마감재 본체(100) 중간에 위치하고 상기 마감재 본체(100)의 실내 및 실외 방향으로 각각 돌출되며, 실내 방향으로 돌출된 부분에 별도의 커버부(14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커버부(140)는 기압 차이를 이용하여 실외 공기가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제어함과 동시에 실내와 실외의 공기를 선택적으로 순환시키기 위한 하나 이상의 통공이 마련되는데 상기 통공을 통해 공기의 순환 기능을 확보하며 그 수와 크기 위치를 다양하게 선택함으로써 본래의 기능을 다양하게 이용하고 확보할 수 있다.
상기 마감재 본체(100)와 상기 보조부재(200)는 ABS(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사출 성형으로 제조된 합성수지 또는 플라스틱 소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마감재 본체(100)와 상기 보조부재(200)의 표면에 UV 차단제 및 산화 방지제를 코팅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감재 본체(100)와 상기 보조부재(200) 표면에는 항균 필름 내지 항균 소재를 도포하고, 필요에 따라 시온 안료를 사용함으로써 내부 외부 온도차이에 의한 색상의 변화를 사용자에게 알람 하는 기능을 확보할 수도 있다. 즉, 시온 도료를 사용하여 외부의 온도와 내부의 온도 차이를 이용해 사용자에게 적정한 냉난방 가동을 가능케 하는 것이다.
상기 마감재 본체(100)와 상기 보조부재(200)는 단열 성능을 증가시키기 위해 내부에 중공부(400)가 마련되되, 상기 중공부(400)는 내부가 모두 비어 있는 형태, 복수의 기포가 마련된 발포 플라스틱의 형태, 내부에 복수의 중공층 격벽이 순차적으로 마련되는 형태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즉, 내부에 중공층을 마련함으로써 단열기능을 확보하기 위함인데, 이러한 방법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형태를 선택 내지 결합하여 이용할 수 있는 것이다. 예컨대, 내부의 발포, 기포의 크기를 위치 별로 상이하게 조정하거나 그 수를 조정하여 단열 성능을 증가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본체 요입부(120) 및 상기 보조부재 요입부(220)에는 모헤어가 구비되며, 상기 모헤어는 반복 사용에 의한 밀폐 성능감소를 제거하기 위해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별도의 체결수단(미도시)을 사용하여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공기 이동부(130)의 실외 방향으로 돌출된 부분은 외부 빗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빗물 방지부(150)가 더 마련되고, 상기 빗물 방지부(150)는 지면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설치하며, 별도의 필터 부재(미도시)를 포함하여 미세먼지의 실내 유입을 방지한다. 또한, 빗물 방지부(150) 및 마감재 본체 표면에 소수성 필름을 부착함으로써 수분 유입을 차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문형 공기순환기의 연결 마감재가 창문에 설치된 것을 예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창문형 공기순환기의 연결 마감재가 창문에 설치된 것을 예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 요입부 및 본체 돌출부, 보조부재 요입부 및 보조부재 돌출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 돌출부와 보조부재 요입부의 결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부 및 빗물방지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문형 공기순환기의 연결 마감재는 마감재 본체(100) 및 보조부재(200)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마감재 본체(100)는 실내와 실외 사이에서 공기가 이동하는 공기 이동부(130)와 'ㄱ'자 형태로 돌출되는 본체 돌출부(110)와 'ㄴ'자 형태로 인입되는 본체 요입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본체 돌출부(110) 및 상기 본체 요입부(120)는 창문 또는 창틀의 규격 및 크기에 따라 본체 요입부(120) 및 본체 돌출부(110)의 위치가 변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본체 돌출부(110)는 상기 마감재 본체(100)의 상면 및 하면에 구비되고, 상기 본체 요입부(120)는 상기 마감재 본체(100)의 양옆에 구비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상기 본체 돌출부(110) 및 상기 본체 요입부(120)가 구비되는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본체 돌출부(110)가 상기 마감재 본체(100)의 양옆에 구비되고, 상기 본체 요입부(120)가 상기 마감재 본체(100)의 상면 및 하면에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다양한 크기 및 규격의 창문 또는 창틀에 공기 순환기를 설치할 수 있는 창문형 공기순환기의 연결 마감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부재(200)는 상기 마감재 본체(100)와 결합하기 위해, 복수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보조부재(200)은 'ㄱ'자 형태로 돌출되는 보조부재 돌출부(210)와 'ㄴ' 자 형태로 인입되는 보조부재 요입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보조부재 돌출부(210) 및 상기 보조부재 요입부(220)는 창문 또는 창틀의 규격 및 크기에 따라 보조부재 요입부(220) 및 보조부재 돌출부(210)의 위치가 변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보조부재 돌출부(210)는 상기 보조부재(200)의 상면 및 하면에 구비되고, 상기 보조부재 요입부(220)는 상기 보조부재(200)의 양옆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보조부재 돌출부(210)는 상기 보조부재(200)의 양옆에 구비되고, 상기 상기 보조부재 요입부(220)는 상기 보조부재(200)의 상면 및 하면에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보조부재 돌출부(210) 및 상기 보조부재 요입부(220)가 구비되는 위치가 변경됨에 따라, 다양한 크기 및 규격의 창문 또는 창틀에 공기 순환기를 설치할 수 있는 창문형 공기순환기의 연결 마감재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창문형 공기순환기의 연결 마감재는 상기 본체 요입부(120)와 상기 보조부재 돌출부(210)가 결합하거나 상기 본체 돌출부(110)와 상기 보조부재 요입부(220)가 결합되어 창문에 시공될 수 있으며, 상기 마감재 본체(100)와 상기 보조부재(200)의 결합에 의해 상기 공기 이동부(130) 이외의 공간에서 외부 공기가 유입되거나 이물질이 실내로 들어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보조부재(200)는 상기 마감재 본체(100)와 결합하고 창문의 빈 공간을 채우기 위해 각각의 크기가 서로 다른 보조부재 (200,200-1,200-2)을 구비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창문의 크기에 따라 상기 마감재 본체(100)와 창틀이 결합한 뒤 빈 공간이 남아있는 경우, 상기 보조부재(200,200-1,200-2)을 추가로 결합하여 빈틈없이 결합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 2와 같이, 창문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작은 경우 상기 마감재 본체(100) 1개만 결합하여 공기 순환기 설치를 위한 상기 창문형 공기순환기의 연결 마감재를 시공할 수 있으며, 창문 규격에 따라 상기 마감재 본체(100)와 창문이 결합한 뒤 빈 공간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보조부재(200,200-1)을 추가로 결합하여 빈틈없이 결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창문의 크기에 상관없이 분리되지 않고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 이동부(130)는 원통형의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본체(100)의 실내 방향과 실외 방향으로 각각 돌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공기 이동부(130)에서 실내 방향으로 돌출된 부분과 결합하는 커버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부(140)는 일측에 통공이 구비되어, 외부의 바람이 실내로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면서, 상기 통공을 통해 실내와 실외 사이에서 공기가 순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 이동부(130)에서 실외 방향으로 돌출된 부분과 결합하는 빗물 방지부(15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빗물 방지부(150)는 상기 커버부(140)보다 긴 형태로 구비되며, 상기 빗물 방지부(150) 내부에 필터부가 구비되어 빗물 또는 미세먼지가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마감재 본체(100) 및 상기 보조부재(200)은 ABS 사출 성형(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으로 제조된 합성수지 또는 플라스틱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마감재 본체(100) 및 상기 보조부재(200)은 인장강도와 굴곡강도가 향상되며, 내부 및 외부에서 발생하는 충격에 대한 흡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감재 본체(100) 및 상기 보조부재(200)은 ABS 사출 성형에 의해 내약품성이 향상되어 UV 차단제 및 산화방지제가 코팅될 수 있다. 이때, 상기 UV 차단제는 벤조페논계, 벤조트리아졸계, 옥시벤존, 이산화티탄 또는 아보벤존 등의 성분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이외에도 기존에 시판되는 자외선 차단제 제품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산화 방지제는 고분자형 페놀계의 산화방지제, 아민계 산화방지제, 유황계 산화방지제, 인계 산화방지제 등의 성분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이외에도 기존에 시판되는 산화 방지제 제품을 사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자외선 또는 산화반응에 의한 상기 창문형 공기순환기의 연결 마감재에 퇴색이나 부식, 변형과 같은 손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마감재 본체(100) 및 상기 보조부재(200)에는 중공층(400)이 구비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본체 돌출부(110)와 상기 보조부재 요입부(220)의 결합부위 및 상기 본체 요입부(120)와 상기 보조부재 돌출부(210)의 결합부위의 3개의 중공층(400)이 형성되어 단열 효과가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 요입부(120) 및 상기 보조부재 요입부(220)에는 1mm 내지 3mm의 모헤어(300)가 구비되고, 상기 본체 돌출부(110) 및 상기 보조부재 돌출부(210)에는 우레탄폼을 1mm 내지 3mm로 코팅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모헤어(300)가 1mm 미만으로 포함될 경우 단열 효과 및 결합력의 향상을 기대하기 어렵고, 상기 모헤어(300)가 3mm를 초과할 경우 상기 모헤어(300)의 크기에 의해 상기 본체(100)와 상기 보조부재(200) 사이의 결합을 방해하는 등의 문제를 유발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우레탄폼이 1mm 미만으로 코팅될 경우 상기 마감재 본체(100)와 상기 보조부재(200)이 결합할 때 생기는 틈을 완벽히 차단하는데 어려움이 발생하고, 상기 우레탄폼이 3mm를 초과하여 코팅할 경우 상기 우레탄폼의 두께에 의해 상기 마감재 본체(100)와 상기 보조부재(200) 사이의 결합을 방해하는 등의 문제를 유발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창문형 공기순환기의 연결 마감재를 시공하는 방법은,
창틀에 상기 마감재 본체(100)를 결합하는 단계; 상기 마감재 본체(100)에 상기 보조부재(200)를 결합하는 단계; 및 상기 창틀과 마감재 본체(100) 내지 상기 창틀과 보조부재(200) 사이에 유격이 생기는 경우 상기 보조부재(200) 또는 별도의 밀폐부재를 추가로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마감재 본체(100)와 보조부재(200)는 각각 돌출부 및 요입부를 마련하여 서로 밀착 결합함으로써 틈새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고, 상기 창틀에 상기 마감재 본체(100)를 결합하기 전에 상기 보조부재(200)를 창틀과 결합하여 상기 마감재 본체(100)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창문형 공기순환기의 연결 마감재를 시공하는 방법은, 창틀에 상기 마감재 본체(100)를 결합하는 제1 단계, 상기 마감재 본체(100)에 상기 보조부재(200)를 결합하는 제2 단계 및 창문에 빈 공간이 남아있을 때, 상기 마감재 본체(100) 또는 상기 보조부재(200)을 추가로 결합하는 제3 단계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단계에 있어서, 창틀에 상기 마감재 본체(100)를 결합하기 전에 상기 보조부재(200)를 창틀과 결합하여 상기 마감재 본체(100)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마감재 본체(100)에 설치될 공기 순환기의 높낮이를 조정할 수 있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개선된 구조를 갖는 창문형 공기순환기의 연결 마감재는 다양한 규격, 모양 및 기준에 적용될 수 있도록 변경 및 교환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의 단순 치환, 변형 및 변경은 당 분야에서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문형 공기순환기의 연결 마감재는 본체와 보조부재가 블록식으로 창문에 결합하여 쉽게 설치가 가능하고, 결합부위가 요철 형상으로 이루어져 견고하게 결합되어 외부 공기 및 이물질을 차단할 수 있는 창문형 공기순환기의 연결 마감재를 제공하여 단열성 및 보안성이 향상된 창문형 공기 순환기 설치를 지원할 수 있다.
100: 마감재 본체
110: 본체 돌출부
120: 본체 요입부
130: 공기 이동부
140: 커버부
150: 빗물 방지부
200: 보조부재
210: 보조부재 돌출부
220: 보조부재 요입부
300: 모헤어
400: 중공부(층)
110: 본체 돌출부
120: 본체 요입부
130: 공기 이동부
140: 커버부
150: 빗물 방지부
200: 보조부재
210: 보조부재 돌출부
220: 보조부재 요입부
300: 모헤어
400: 중공부(층)
Claims (7)
- 창문형 공기순환기의 연결 마감재에 있어서,
실내외 공기순환을 위해 필터 및 유로를 포함하는 공기 이동부; 와 상기 공기 이동부를 둘러싸며 창문과 연결되는 판 형상의 마감재 본체; 및 상기 마감재 본체와 연장 결합하되 창문과의 연결을 지지하는 하나 이상의 판 형상 보조부재; 를 포함하며,
상기 마감재 본체는 본체 돌출부와 본체 요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부재는 보조부재 돌출부와 보조부재 요입부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마감재 본체가 창틀 또는 상기 보조부재와 밀착 결합하고, 상기 보조부재는 창틀 또는 상기 마감재 본체와 밀착 결합하도록 하여, 상기 마감재 본체 및 보조부재의 틈새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되,
상기 마감재 본체와 상기 보조부재는 단열 성능을 증가시키기 위해 내부에 중공부가 마련되되, 상기 중공부는 내부가 모두 비어 있는 형태, 복수의 기포가 마련된 발포 플라스틱의 형태, 내부에 복수의 중공층 격벽이 순차적으로 마련되는 형태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형 공기순환기의 연결 마감재.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이동부는 원통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마감재 본체 중간에 위치하고 상기 마감재 본체의 실내 및 실외 방향으로 각각 돌출되며, 실내 방향으로 돌출된 부분에 별도의 커버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커버부는 기압 차이를 이용하여 실외 공기가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제어함과 동시에 실내와 실외의 공기를 선택적으로 순환시키기 위한 하나 이상의 통공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형 공기순환기의 연결 마감재.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재 본체와 상기 보조부재는 ABS(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사출 성형으로 제조된 합성수지 또는 플라스틱 소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마감재 본체와 상기 보조부재의 표면에 UV 차단제 및 산화 방지제를 코팅하며, 항균 필름 내지 항균 소재를 도포하고, 시온 안료를 사용함으로써 내부 외부 온도차이에 의한 색상의 변화를 사용자에게 알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형 공기순환기의 연결 마감재.
- 삭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요입부 및 상기 보조부재 요입부에는 모헤어가 구비되며, 상기 모헤어는 반복 사용에 의한 밀폐 성능감소를 제거하기 위해 탈 부착이 가능하도록 별도의 체결수단을 사용하여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형 공기순환기의 연결 마감재.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이동부의 실외 방향으로 돌출된 부분은 외부 빗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빗물 방지부가 더 마련되고, 상기 빗물 방지부는 지면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설치하며, 별도의 필터 부재를 포함하여 미세먼지의 실내 유입을 방지하고, 상기 빗물 방지부 및 마감재 본체 표면에 소수성 필름을 부착함으로써 수분 유입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형 공기순환기의 연결 마감재.
- 제 1항 내지 제 3항, 제 5항 및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창문형 공기순환기의 연결 마감재를 시공하는 방법은,
창틀에 상기 마감재 본체를 결합하는 단계;
상기 마감재 본체에 상기 보조부재를 결합하는 단계; 및
상기 창틀과 마감재 본체 내지 상기 창틀과 보조부재 사이에 유격이 생기는 경우 상기 보조부재 또는 별도의 밀폐부재를 추가로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마감재 본체와 보조부재는 각각 돌출부 및 요입부를 마련하여 서로 밀착 결합함으로써 틈새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고, 상기 창틀에 상기 마감재 본체를 결합하기 전에 상기 보조부재를 창틀과 결합하여 상기 마감재 본체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형 공기순환기의 연결 마감재 설치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54263A KR102555992B1 (ko) | 2022-05-02 | 2022-05-02 | 개선된 구조를 갖는 창문형 공기순환기의 연결 마감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54263A KR102555992B1 (ko) | 2022-05-02 | 2022-05-02 | 개선된 구조를 갖는 창문형 공기순환기의 연결 마감재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555992B1 true KR102555992B1 (ko) | 2023-07-18 |
Family
ID=874233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054263A KR102555992B1 (ko) | 2022-05-02 | 2022-05-02 | 개선된 구조를 갖는 창문형 공기순환기의 연결 마감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555992B1 (ko)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77797B1 (ko) * | 2019-06-10 | 2020-11-11 | 김명지 | 창문형 공기 청정기 |
KR102220043B1 (ko) | 2019-09-16 | 2021-02-25 | 김보영 | 창문형 공기순환기 |
KR102318416B1 (ko) * | 2020-11-03 | 2021-10-28 | 주식회사 리그린텍 | 공기정화장치 창문설치방법 |
-
2022
- 2022-05-02 KR KR1020220054263A patent/KR102555992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77797B1 (ko) * | 2019-06-10 | 2020-11-11 | 김명지 | 창문형 공기 청정기 |
KR102220043B1 (ko) | 2019-09-16 | 2021-02-25 | 김보영 | 창문형 공기순환기 |
KR102318416B1 (ko) * | 2020-11-03 | 2021-10-28 | 주식회사 리그린텍 | 공기정화장치 창문설치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346147B2 (en) | Modular sill | |
US20110139379A1 (en) | Door assembly | |
US5787659A (en) | Weep valve for frame member | |
US11725452B2 (en) | Indoor ventilation system | |
KR102555992B1 (ko) | 개선된 구조를 갖는 창문형 공기순환기의 연결 마감재 | |
KR102064578B1 (ko) | 창틀프레임의 배수를 원활하게 시키면서 외풍도 차단할 수 있는 방풍 및 배수구조 | |
US8590228B2 (en) | Casing for openings of buildings with enhanced thermal insulation capacity | |
US20060225364A1 (en) | Door sealing system for inclement weather | |
JP5191962B2 (ja) | カーテンウォール | |
SI25159A (sl) | Zunanja žaluzija in rolo senčila, zaščitena s steklom v ohišju | |
KR101799394B1 (ko) | 방충 및 방범 기능을 갖는 복합식 창호 | |
US20080244999A1 (en) | Frame, in Particular for Window, Door or Facade Elements | |
KR101129964B1 (ko) | 조립식 통풍 창호 | |
KR200314547Y1 (ko) | 단열 및 기밀성이 우수한 고강도 합성수지제 창호 | |
KR100662657B1 (ko) | 미세 조절이 가능한 환기 창문 | |
EP2048318B1 (en) | Assembly of a ventilation device and a rebate of a window | |
KR200373238Y1 (ko) | 창문의 눈비막이 구조 | |
KR101829053B1 (ko) | 창문 구조물 | |
KR200417841Y1 (ko) | 창문용 빗물 차단장치 | |
KR200258012Y1 (ko) | 빗물 비산 방지용 중간 창짝용 중간막 | |
KR200474289Y1 (ko) | 방풍용 미서기 창호 | |
JP4511391B2 (ja) | アルミ製建具防風雨装置 | |
US12049785B2 (en) | Window frame ventilator | |
KR102655569B1 (ko) | 기밀성과 방풍기능 향상 및 이물질 유입 방지를 위한 창틀하부프레임 구조 | |
KR200321369Y1 (ko) | 단열 및 기밀성이 우수한 고강도 합성수지제 창호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