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5917B1 - Vehicle and method for disengaging brake - Google Patents

Vehicle and method for disengaging brak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5917B1
KR102555917B1 KR1020180161212A KR20180161212A KR102555917B1 KR 102555917 B1 KR102555917 B1 KR 102555917B1 KR 1020180161212 A KR1020180161212 A KR 1020180161212A KR 20180161212 A KR20180161212 A KR 20180161212A KR 102555917 B1 KR102555917 B1 KR 1025559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camera
parking brake
pattern
pattern s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121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072998A (en
Inventor
양정석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612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5917B1/en
Publication of KR202000729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299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59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591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18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braking systems
    • B60W10/182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braking systems including control of parking brak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7/00Brake-action initiating means
    • B60T7/1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automatic initiation; for initiation not subject to will of driver or passenger
    • B60T7/2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automatic initiation; for initiation not subject to will of driver or passenger initiated by contact of vehicle, e.g. bumper, with an external object, e.g. another vehicle, or by means of contactless obstacle detectors mounted on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2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ambient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10Terrestrial sce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42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ensors based on the principle of their operation
    • B60W2420/40Photo or light sensitive means, e.g. infrared sensors
    • B60W2420/403Image sensing, e.g. optical camer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42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ensors based on the principle of their operation
    • B60W2420/42Image sensing, e.g. optical camer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4Acceleration sensors
    • B60Y2400/3042Collision 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4Acceleration sensors
    • B60Y2400/3044Vibration sensors

Abstract

본 발명은 파킹 브레이크를 외부에서 해제할 수 있는 자동차 및 그를 수행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킹 브레이크 해제 방법은, 전자식 파킹 브레이크(EPB)가 체결된 상태에서 차량의 외부를 촬영하는 카메라가 활성화되는 단계; 상기 카메라를 통해 입력된 영상이 기 설정된 제1 패턴셋에 대응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제1 패턴셋에 대응되는 경우, 상기 전자식 파킹 브레이크를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capable of externally releasing a parking brake and a method for performing the same. A parking brake release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ctivating a camera for photographing the outside of a vehicle in a state in which an electronic parking brake (EPB) is engaged; Determining whether the image input through the camera corresponds to a preset first pattern set; and releasing the electronic parking brake when the determination result corresponds to the first pattern set.

Description

자동차 및 그를 위한 브레이크 해제 방법{VEHICLE AND METHOD FOR DISENGAGING BRAKE}Car and brake release method for it {VEHICLE AND METHOD FOR DISENGAGING BRAKE}

본 발명은 파킹 브레이크를 외부에서 해제할 수 있는 자동차 및 그를 수행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capable of externally releasing a parking brake and a method for performing the same.

일반적인 차량은 주차시 차량의 이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변속기의 P단 체결과, 파킹 브레이크를 이용한다. 여기서, P단은 구동축의 파킹 스프래그를 이용하며, 파킹 브레이크는 물리적으로 와이어를 당겨 드럼 브레이크를 작동시키는 것이 보통이다. 이러한 드럼 브레이크의 작동을 위해, 기계적으로 와이어를 잡아당기는 조작 수단의 위치에 따라 사이드/핸드 브레이크라고도 하고, 페달형 핸드 브레이크라고도 한다.A typical vehicle uses a P-stage engagement of a transmission and a parking brake to prevent movement of the vehicle during parking. Here, the P stage uses the parking sprag of the drive shaft, and the parking brake physically pulls a wire to operate the drum brake. For the operation of such a drum brake, it is also called a side/hand brake or a pedal-type hand brake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operating means that mechanically pulls the wire.

최근에 출시되는 차량들은 이러한 드럼 브레이크의 작동을 전자식으로 제어하는 전자식 파킹 브레이크(EPB: Electronic Parking Brake)가 채택되고 있다. 전자식 파킹 브레이크는 차량이 정차한 후 유압식 브레이크를 해제해도 차량이 움직이지 않도록 하는 오토홀드 기능도 지원한다. 예컨대, 오토 홀드 기능이 활성화된 상태에서 시동이 꺼지면, 자동으로 파킹 브레이크가 활성화된다.Recently released vehicles adopt an electronic parking brake (EPB) that electronically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drum brake. The electronic parking brake also supports an auto hold function that prevents the vehicle from moving even if the hydraulic brake is released after the vehicle stops. For example, if the ignition is turned off while the auto hold function is activated, the parking brake is automatically activated.

한편, 오래 전에 지어진 아파트 단지에는 지하 주차장이 없고 지상 주차장 공간마저 부족한 경우가 많아 시간대에 따라 이중 내지는 삼중 주차가 빈번히 발생한다. 이중 주차시에는 일반적으로 변속기를 N단에 두고 파킹 브레이크를 해제시켜 차량이 외력에 의해 이동될 수 있는 상태로 두는 것이 보통이다. 그런데, 전술한 바와 같이 오토 홀드 기능에 따라 전자식 파킹 브레이크가 주차시 자동으로 체결되나, 운전자는 자신이 직접 파킹 브레이크를 조작한 적이 없기 때문에 이를 인식하지 못하고 변속기만 N단으로 두고 내리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변속기 상태가 중립이라고 하여도 파킹브레이크로 인해 차량은 움직일 수 없는 상태가 되어, 다른 운전자는 해당 차량의 운전자를 주차장으로 호출해야만 하는 불편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On the other hand, apartment complexes built a long time ago do not have underground parking lots, and even ground parking spaces are often insufficient, so double or triple parking frequently occurs depending on the time of day. In double parking, it is common to put the transmission in N-range and release the parking brake to leave the vehicle in a state where it can be moved by external force. However, as described above, the electronic parking brake is automatically engaged during parking according to the auto hold function, but since the driver has never operated the parking brake himself, he does not recognize this and often leaves only the transmission in N gear. Therefore, even if the transmission state is neutral, the vehicle is in a state of being unable to move due to the parking brake, causing inconvenience that other drivers have to call the driver of the corresponding vehicle to the parking lot.

본 발명은 외부에서 파킹 브레이크를 해제할 수 있는 방법 및 그를 수행할 수 있는 차량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capable of releasing the parking brake from the outside and a vehicle capable of performing the same.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s to be achiev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You will be able to.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킹 브레이크 해제 방법은, 전자식 파킹 브레이크(EPB)가 체결된 상태에서 차량의 외부를 촬영하는 카메라가 활성화되는 단계; 상기 카메라를 통해 입력된 영상이 기 설정된 제1 패턴셋에 대응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제1 패턴셋에 대응되는 경우, 상기 전자식 파킹 브레이크를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 a parking brake release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ctivating a camera for photographing the outside of a vehicle in a state in which an electronic parking brake (EPB) is engaged; Determining whether the image input through the camera corresponds to a preset first pattern set; and releasing the electronic parking brake when the determination result corresponds to the first pattern set.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는, 전자식 파킹 브레이크(EPB); 상기 전자식 파킹 브레이크가 체결된 상태에서 특정 조건이 만족되면 활성화되어 차량의 외부를 촬영하는 카메라; 및 상기 카메라를 통해 입력된 영상이 기 설정된 제1 패턴셋에 대응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제1 패턴셋에 대응되는 경우, 상기 전자식 파킹 브레이크가 해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lectronic parking brake (EPB); a camera that is activated when a specific condition is satisfied in a state in which the electronic parking brake is engaged and photographs the exterior of the vehicle; and a control unit determining whether the image input through the camera corresponds to a preset first pattern set, and controlling the electronic parking brake to be released if the image corresponds to the first pattern set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can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관련된 차량은 영상 입력 수단을 통한 제스쳐 패턴 인식을 통해, 차량 외부에서 파킹 브레이크를 해제할 수 있어 편리하다.The vehicle according to at least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convenient in that the parking brake can be released from the outside of the vehicle through gesture pattern recognition through an image input means.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btainable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will b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구조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VN 시스템을 통해 EPB 해제를 위한 패턴이 입력되는 형태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EPB 해제를 위한 카메라 제어 과정의 일례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 영상 필터링 과정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5는 도 4의 과정을 통해 필터링된 입력 영상을 기반으로 음영값에 따른 패턴 인식 형태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턴 결정 과정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 패턴 처리 과정의 일례를 나타낸다.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vehicl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shows an example of a form in which a pattern for EPB release is input through an AV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camera control process for releasing an EPB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shows an example of a process of filtering an input im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shows a form of pattern recognition according to a shade value based on the input image filtered through the process of FIG. 4 .
6 shows an example of a pattern determination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shows an example of an input pattern processing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nd in order to clear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attached to similar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로 표시된 부분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의미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certain component is said to "include", it means that it may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without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In addition, parts denoted with the same reference numeral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mean the same component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차량의 파킹 브레이크가 체결된 경우 해당 차량에 구비되되, 차량 외부의 영상을 획득하는 영상 인식 수단을 통해 미리 설정된 패턴의 영상이 인식될 경우 파킹 브레이크가 해제되도록 하여, 차량 내부에서의 조작 없이도 차량 외부에서 파킹 브레이크가 해제될 수 있도록 할 것을 제안한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parking brake of the vehicle is engaged, the parking brake is released when an image of a preset pattern is recognized through an image recognition means for acquiring an image outside the vehicle, provided in the vehicle, It is proposed to enable the parking brake to be released from outside the vehicle without manipulation inside the vehicle.

본 실시예의 일 양상에 의하면, 차량 외부의 영상을 획득하는 영상 인식 수단은 후방 카메라일 수 있으며, 미리 설정된 패턴의 영상은 후방 카메라를 손가락 등으로 밀착하여 훑고 지나가면서 생기는 음영 변화일 수 있으며, 미리 설정된 패턴은 운전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image recognizing means for obtaining an image outside the vehicle may be a rear camera, and the image of a preset pattern may be a change in shade caused by passing the rear camera in close contact with a finger or the like. The set pattern may be set by the driver.

또한, 본 실시예의 일 양상에 의하면, 영상 인식 수단은 차량에 가해지는 특정 패턴의 진동이나 충격일 수 있다.Also,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is embodiment, the image recognizing means may be vibration or impact of a specific pattern applied to the vehicle.

이하, 본 실시예를 수행하기 위한 차량 구조를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구조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Hereinafter, a vehicle structure for carrying out this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vehicl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차량은 입력부(10), 제어부(20) 및 출력부(30)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0)는 다시 AVN(Audio/Video/Navigation) 시스템(11), 카메라(12) 및 센서(13)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어부(20)는 바디 제어기(21), 영상처리 제어기(22) 및 충격 인식 제어기(23)를 포함할 수 있고, 출력부(30)는 전자식 파킹브레이크(EPB, 31)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각 구성요소를 설명한다.Referring to FIG. 1 ,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include an input unit 10, a control unit 20, and an output unit 30. The input unit 10 may again include an AVN (Audio/Video/Navigation) system 11, a camera 12, and a sensor 13, and the controller 20 includes a body controller 21 and an image processing controller 22. ) and an impact recognition controller 23, and the output unit 30 may include an electronic parking brake (EPB, 31). Hereinafter, each component is described.

AVN 시스템(11)은 EPB(31)가 체결된 경우 이를 해제하기 위해 카메라(12)로 입력될 패턴을 운전자로부터 입력받을 수 있으며, 입력받은 패턴은 영상 처리 제어기(22)로 전달할 수 있다.When the EPB 31 is fastened, the AVN system 11 may receive a pattern to be input to the camera 12 from the driver to release it, and the input pattern may be transmitted to the image processing controller 22 .

카메라(12)는 시동이 꺼진 상태에서 바디 제어기(21)에 의해 웨이크업될 수 있으며, 웨이크업된 상태에서는 외부 영상을 입력받아 영상 처리 제어기(22)로 전달할 수 있다. 카메라(12)는 첨단운전자 보조 시스템(ADAS)이나 어라운드뷰 모니터(AVM) 시스템을 구성하는 카메라들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나, 이하의 기재에서는 편의상 차량의 후방 영상을 촬영하는 후방 카메라인 것으로 가정한다.The camera 12 may be woken up by the body controller 21 in a state in which the engine is turned off, and may receive an external image and transmit it to the image processing controller 22 in the wake-up state. The camera 12 may be any one of cameras constituting an advanced driver assistance system (ADAS) or an around view monitor (AVM) system, but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it is assumed that it is a rear camera that captures a rear image of the vehicle for convenience. .

센서(13)는 외부로부터 차체에 가해지는 충격/진동이나 차체의 움직임/가속도 등을 감지할 수 있으며, 이를 충격 인식 제어기(23)로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13)는 가속도(G) 센서나 충격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sensor 13 can detect shock/vibration applied to the vehicle body from the outside or movement/acceleration of the vehicle body, and can transmit them to the shock recognition controller 23 . For example, the sensor 13 may include an acceleration (G) sensor or an impact sensor.

바디 제어기(21)는 바디 제어 모듈(BCM: Body Control Module)이나 통합 바디 유닛(IBU: Integrated Body Unit)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적어도 충격 인식 제어기(23), 영상 처리 제어기(22) 및 EPB(31)를 제어할 수 있다면 어떠한 제어기라도 본 실시예에 따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바디 제어기(21)는 시동이 꺼진 상태에서 충격 인식 제어기(23)에서 카메라 활성화 신호를 수신하면, 영상 처리 제어기(22)와 카메라(12)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이때, 바디 제어기(21)는 카메라(12) 활성화를 외부에 알리기 위해 외부 출력 수단(예컨대, 헤드 램프, 방향 지시등, 경음기, 외부 스피커 등)을 기 설정된 형태로 동작시킬 수 있다. 이후, 영상 처리 제어기(22)로부터 EPB 해제 신호를 수신하면, EPB(31)를 해제시킬 수 있다.The body controller 21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body control module (BCM) or an integrated body unit (IBU),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includes at least a shock recognition controller 23, Any controller that can control the image processing controller 22 and the EPB 31 can perform the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For example, the body controller 21 may activate the image processing controller 22 and the camera 12 when receiving a camera activation signal from the shock recognition controller 23 in a state in which the engine is turned off. At this time, the body controller 21 may operate an external output means (eg, a head lamp, a turn signal lamp, a horn, an external speaker, etc.) in a preset form to inform the outside of the activation of the camera 12 . Then, when an EPB release signal is received from the image processing controller 22, the EPB 31 can be released.

영상 처리 제어기(22)는 AVN 시스템(11)으로부터 EPB 해제를 위한 패턴 정보를 수신하여, 바디 제어기(22)에 의해 활성화된 경우 카메라(12)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을 분석하여 해당 영상이 EPB 해제를 위한 패턴 정보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정하고, 일치하는 경우 EPB 해제 신호를 바디 제어기(21)로 전달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영상 처리 제어기(22)는 ADAS 제어기일 수도 있고, AVN 시스템(11)의 일 기능으로 구현될 수도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image processing controller 22 receives pattern information for EPB release from the AVN system 11, analyzes the image input through the camera 12 when activated by the body controller 22, and releases the EPB when the corresponding image is released. It is determined whether it matches the pattern information for , and if it matches, an EPB release signal can be transmitted to the body controller 21. Depending on the embodiment, the image processing controller 22 may be an ADAS controller or implemented as one function of the AVN system 11,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충격 인식 제어기(23)는 센서(13)가 감지한 신호를 통해 차량에 가해지는 충격/진동/차체 움직임이 카메라(12) 활성화를 위한 패턴(또는 패턴셋)에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일치할 경우 바디 제어기(21)에 카메라 활성화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충격 인식 제어기(23)는 DVRS (Digital Vedio Recording System), 블랙박스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The impact recognition controller 23 determines whether the shock/vibration/body motion applied to the vehicle matches the pattern (or pattern set) for activating the camera 12 through the signal detected by the sensor 13, and In this case, a camera activation signal may be transmitted to the body controller 21 . For example, the shock recognition controller 23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DVRS (Digital Video Recording System), a black box, or the like.

EPB(31)는 바디 제어기(21)의 제어에 따라 파킹 브레이크의 체결/해제를 수행할 수 있다.The EPB 31 may engage/disengage the parking brake under the control of the body controller 21 .

물론, 상술한 구성은 본 실시예와 관련된 구성만을 나타낸 것으로, 실제 차량은 구현에 따라 이보다 많거나 적은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 자명하다.Of course,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only shows configurations related to the present embodiment, and it is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an actual vehicle may include more or less components than these depending on implementation.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EPB 해제를 위한 패턴을 저장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VN 시스템을 통해 EPB 해제를 위한 패턴이 입력되는 형태의 일례를 나타낸다.Hereinafter, a process of storing a pattern for EPB releas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 2 shows an example of a form in which a pattern for EPB release is input through an AV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의 (a)를 먼저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운전자가 소정의 메뉴 조작을 통해 EPB 해제를 위한 패턴 입력 메뉴를 호출하면, AVN 시스템(11)의 디스플레이 상으로 네 개의 점(210, 220, 230, 240)이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는 서로 다른 두 점을 가로 방향 또는 세로 방향으로 이어가는 방식으로 EPB 해제를 위한 패턴을 입력할 수 있다. 이때, AVN 시스템(11)은 미리 결정된 형태의 패턴 타입(예컨대, 가로 방향 패턴이나 세로 방향 패턴)만 인식할 수 있으며, 이와 다른 형태의 패턴 타입(예컨대, 대각선 방향 패턴)이 입력될 경우 재입력을 유도할 수 있다. 또한, AVN 시스템(11)은 미리 결정된 개수의 패턴을 순차적으로 입력받을 수 있다. 순차적으로 입력되는 복수의 패턴은 하나의 패턴셋(pattern set)을 구성할 수 있으며, 패턴셋을 구성하는 모든 패턴이 빠짐없이 순차적으로 인식되어야 EPB 해제가 수행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Referring first to (a) of FIG. 2 , when a driver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calls a pattern input menu for releasing an EPB through a predetermined menu manipulation, four dots 210 appear on the display of the AVN system 11. , 220, 230, 240) may be displayed. In this state, the user may input a pattern for releasing the EPB by connecting two different points horizontally or vertically. At this time, the AVN system 11 can recognize only a predetermined pattern type (eg, a horizontal pattern or a vertical pattern), and re-inputs when a different pattern type (eg, a diagonal pattern) is input. can induce Also, the AVN system 11 may sequentially receive a predetermined number of patterns. A plurality of patterns that are sequentially input may constitute one pattern set, and EPB release may be performed only when all patterns constituting the pattern set are sequentially recognized.

예컨대, 도 2의 (b)와 같이 상단 점(210)에서 시작되어 하단 점(230)에서 종료되는 터치 입력을 제1 패턴이라 할 수 있으며, 도 2의 (b)와 반대 방향으로(즉, 하->상) 입력되는 터치 입력을 제2 패턴이라 할 수 있다.For example, a touch input starting at the top point 210 and ending at the bottom point 230 as shown in FIG. Bottom->Upper) The inputted touch inpu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pattern.

유사하게, 도 2의 (c)와 같이 좌측 점(220)에서 시작하여 우측 점(240)에서 종료되는 터치 입력을 제3 패턴이라 할 수 있으며, 도 2의 (c)와 반대 방향으로(즉, 우->좌) 입력되는 터치 입력을 제4 패턴이라 할 수 있다. 결국, 패턴셋은 113, 134, 224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패턴셋을 구성하는 개별 패턴의 개수는 이와 달리 설정될 수도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입력된 패턴셋에 대한 정보는 영상 처리 제어기(22)에 전달될 수 있다.Similarly, a touch input starting from the left point 220 and ending at the right point 240 as shown in (c) of FIG. 2 can be referred to as a third pattern, , Right->Left) The input touch input may be referred to as a fourth pattern. Eventually, the pattern set may be composed of 113, 134, 224, etc., but the number of individual patterns constituting the pattern set may be set differently. As described above, information on the input pattern set may be transmitted to the image processing controller 22 .

아울러, 도 2에 도시된 각 점의 위치 및 형태 또한 예시적인 것으로, 필요에 따라 이와 다른 개수와 위치 및 형태의 디스플레이 객체를 통해 패턴을 입력받을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패턴의 입력은 AVN 시스템(11)의 디스플레이가 아닌 키패드, 센터 콘솔 부근의 터치 패드, 다이얼 등 다른 입력수단을 통해 수신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position and shape of each dot shown in FIG. 2 is also illustrative, and a pattern may be input through a display object having a different number, position, and shape as needed. In addition, the input of the pattern may be received through other input means such as a keypad, a touch pad near the center console, and a dial rather than the display of the AVN system 11 .

다음으로, 도 3을 참조하여 카메라의 동작을 중심으로 EPB 해제 과정을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EPB 해제를 위한 카메라 제어 과정의 일례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Next, with reference to FIG. 3 , an EPB releasing process will be described focusing on the operation of the camera.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camera control process for releasing an EPB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서는 도 2와 같은 과정을 거쳐 미리 EPB 해제를 위한 패턴셋이 저장되었으며, 카메라 활성화를 위한 충격/진동 패턴도 미리 결정된 상황(예컨대, 운전자가 입력하거나 차량 출고시 제조사가 미리 입력)을 가정한다. 또한, 본 차량은 변속기는 N단 상태이나 EPB가 체결된 상태로 이중 주차되어, 다른 운전자가 본 차량의 운전자에 전화를 걸어 차량 이동을 요구하는 상황이다. 이때, 본 차량의 운전자는 다른 운전자에게 카메라 활성화를 위한 충격/진동 패턴과, EPB 해제를 위한 패턴셋을 전화상으로 알려줄 수 있다. 그에 따라, 다른 운전자가 먼저 차량에 카메라 활성화를 위한 충격/진동 패턴(예컨대, 차량 앞에서 뒤로 힘껏 1회 민 후 보닛부근을 세번 탭하여 충격)을 입력할 수 있다(S310).In FIG. 3, it is assumed that a pattern set for EPB release is stored in advance through the same process as in FIG. 2, and a shock/vibration pattern for camera activation is also pre-determined (eg, input by the driver or input by the manufacturer when the vehicle is shipped). do. In addition, the present vehicle is double-parked with the transmission in the N-range but the EPB engaged, and another driver calls the driver of the present vehicle to request the vehicle to be moved. In this case, the driver of the present vehicle may inform another driver of the shock/vibration pattern for activating the camera and the pattern set for releasing the EPB over the phone. Accordingly, another driver may first input an impact/vibration pattern (eg, a shock by pushing the vehicle backward once in front of the vehicle and then tapping the bonnet three times) to activate the camera (S310).

이러한 충격/진동은 센서(13)에 의해 감지되며, 충격 인식 제어기(23)는 미리 설정된 카메라 활성화(on)를 위한 패턴과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하며(S320), 판단 결과 동일한 경우, 카메라 활성화 신호를 바디 제어기(21)로 전달한다.The shock/vibration is detected by the sensor 13, and the shock recognition controller 23 determines whether the pattern is the same as a preset camera activation (on) pattern (S320). is transmitted to the body controller 21.

바디 제어기(21)는 카메라(12)와 영상 처리 제어기(22)를 활성화시켜 EPB 해제를 위한 패턴입력을 대기하도록 하고(S330), 다른 운전자가 카메라가 활성화됨을 알 수 있도록 소정의 외부 출력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S340). 예컨대, 소정의 외부 출력은 비상등 1회 점등과 함께 비프음이 출력되는 형태나 일반적인 하자드(hazard)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body controller 21 activates the camera 12 and the image processing controller 22 to wait for a pattern input to release the EPB (S330), and activates a predetermined external output so that other drivers can know that the camera is activated. It can be done (S340). For example, the predetermined external output may be a form in which an emergency light is turned on once and a beep sound is output or a general hazard,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카메라(12)는 활성화된 시점부터 경과된 시간(T)이 기 설정된 카메라 오프 시간(τ)에 도달할 때까지 온 상태를 유지하며(S350), 카메라 오프 시간(τ)에 도달하면 오프될 수 있다(S360). 따라서, 카메라 오프 시간(τ)은 최대로 EPB 해제를 위한 패턴셋을 입력할 수 있는 시간에 대응된다고 볼 수 있다.The camera 12 maintains an on state until the elapsed time (T) from the activation point reaches a preset camera off time (τ) (S350), and may be turned off when the camera off time (τ) is reached. Yes (S360). 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the camera off time τ corresponds to the time at which the pattern set for EPB release can be input at the maximum.

다음으로,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카메라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을 통해 영상 처리 제어기(22)에서 패턴 인식을 수행하는 과정을 설명한다.Next, a process of performing pattern recognition in the image processing controller 22 through an image input through a camera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 to 6 .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 영상 필터링 과정의 일례를, 도 5는 도 4의 과정을 통해 필터링된 입력 영상을 기반으로 음영값에 따른 패턴 인식 형태를,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턴 결정 과정의 일례를 각각 나타낸다.4 shows an example of an input image filtering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shows a pattern recognition form according to a shade value based on the input image filtered through the process of FIG. 4, and FIG. An example of a pattern determination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is shown respectively.

먼저, 도 4에서는 후방 카메라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EPB를 외부에서 해제하고자 하는 사람이 후방 카메라에 손가락을 밀착시켜 훑는 방식으로 패턴을 입력하는 상황을 가정한다.First, in FIG. 4 , it is assumed that a person who wants to release the EPB from the outside inputs a pattern in a manner in which a person who wants to release the EPB from the outside puts his or her finger in close contact with the rear camera while the rear camera is activated.

예컨대, 도 4의 상단에 표시된 바와 같이, 손가락이 도 3을 참조하여 전술한 제3 패턴(즉, 좌->우)을 입력할 경우, t 시점에서 좌측에서부터 손가락에 가려지는 부분이 어두워지고, t+1 시점에서는 어두운 영역이 점차 우측으로 확장되면서 이동하며, t+2 시점에서는 좌측부터 다시 밝아지기 시작하고, t+3 시점에서는 점차 어두운 영역이 우측 방향으로 사라지게 된다.For example, as shown at the top of FIG. 4, when the finger inputs the third pattern (ie, left->right)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3, the portion covered by the finger from the left at time t becomes dark, At the time point t+1, the dark area gradually expands and moves to the right, and at the time point t+2, it starts to brighten from the left again, and at the time point t+3, the dark area gradually disappears to the right.

이때, 영상 인식의 효율 향상을 위해 음영값을 기준으로 필터링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 영상 데이터에서 손가락이 지나가는 부분을 추출하기 위해 손가락으로 가려진 부분에 해당하는 음영값이 기준 음영값으로 선정될 수 있다.이러한 기준 음영값을 필터로 선정하여 영상을 도 4의 중단과 같이 단순화할 수 있으며, 단순화된 영상은 다시 도 4의 하단과 같이 행렬화될 수 있다.In this case, filtering may be performed based on a shadow value to improve image recognition efficiency. For example, in order to extract a portion where a finger passes from camera image data, a shade value corresponding to a portion covered by a finger may be selected as a reference shade value. By selecting this reference shade value as a filter, the image is generated in the middle of FIG. It can be simplified as in, and the simplified image can be matrixed again as shown in the lower part of FIG.

한편, 단순화된 영상은 사분면 분할을 통해 패턴으로 해석될 수 있다. 예컨대, 도 4의 중단 좌측과 같이 단순화된 영상의 우측 상단을 1사분면, 좌측 상단을 2사분면, 좌측 하단을 3사분면, 우측 하단을 4사분면이라 할 경우, 제3 패턴은 t 시점에서 2/3사분면에서 음영 데이터가 증가하기 시작한다. 이후 t+1 시점에서는 2/3사분면의 거의 모든 데이터가 음영값을 나타내며 1/4사분면에서 음영값이 생기기 시작한다. 또한, t+2 시점에서는 2/3사분면 음영값이 줄어들며 1/4사분면 음영값은 최대를 이룬다. 이후 T+3 시점에서는 2/3사분면 음영값이 사라지며 1/4사분면 음영값만 남게 된다. 이러한 사분면 분할을 이용한 음영값의 총합(∑: SUM)값에 대해 시간(t)의 변화에 따른 그래프는 도 5와 같이 정리될 수 있다.Meanwhile, the simplified image may be interpreted as a pattern through quadrant segmentation. For example, if the upper right corner of the simplified image as shown in the middle left of FIG. 4 is called quadrant 1, the upper left corner is quadrant 2, the lower left corner is quadrant 3, and the lower right corner is quadrant 4, the third pattern is 2/3 at time point t In the quadrant, the shaded data starts to increase. After that, at the time point t+1, almost all the data in the 2/3 quadrants show shaded values, and the shaded values start to appear in the 1/4 quadrants. In addition, at the time point t+2, the 2/3 quadrant shading value decreases and the 1/4 quadrant shading value reaches its maximum. After that, at the time point T+3, the 2/3 quadrant shading values disappear and only the 1/4 quadrant shading values remain. A graph according to a change in time t for the sum of shadow values (∑: SUM) using such quadrant division can be organized as shown in FIG. 5 .

이러한 패턴별 시간에 따른 음영값 총합 변화 특성에 기반하여, 도 6과 같은 순서에 따라 입력되는 패턴이 판정될 수 있다.An input pattern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order shown in FIG. 6 based on the change characteristic of the total shade value over time for each pattern.

도 6을 참조하면, 영상 처리 제어기(22)는 카메라(12)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필터링하여, 각 사분면에 대해 음영의 총합(∑)값을 기반으로 시작 사분면군을 결정할 수 있다(S601). 여기서, 시작 사분면군이란 카메라 활성화 이후 가장 음영값의 총합의 증가량이 높은 두 개의 사분면을 의미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 the image processing controller 22 may filter an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12 and determine a starting quadrant group based on the sum (∑) value of shadows for each quadrant (S601). . Here, the starting quadrant group may refer to two quadrants in which the increase in the sum of shadow values is the highest after the camera is activated.

예컨대, EPB의 해제를 시도하는 사람이 입력하는 패턴이 제3 패턴일 경우, 2/3 사분면이 시작 사분면군이 된다. 패턴 입력이 진행됨에 따라, 시작 사분면군의 음영 총합값은 점차 증가하게 될 것이며, 영상 처리 제어기(22)는 시작 사분면군의 음영 총합값을 확인하여(S602), 최대값을 시작 사분면군의 최대값(M_1)으로 저장할 수 있다(S603).For example, when a pattern input by a person attempting to unlock the EPB is the third pattern, the 2/3 quadrant becomes the starting quadrant group. As the pattern input progresses, the total shaded value of the starting quadrant group will gradually increase, and the image processing controller 22 checks the total shaded value of the starting quadrant group (S602), and sets the maximum value to the maximum value of the starting quadrant group. It can be stored as a value (M_1) (S603).

이후 제1 시간(a1)이 경과하면, 영상 처리 제어기(22)는 종료 사분면군의 음영 총합값의 증가 여부를 판단하고(S604), 증가한 경우 제2 시간(a2)이 경과함에 따라 시작 사분면군의 음영 총합값의 감소 여부를 판단한다(S605). 여기서, 종료 사분면군이란 시작 사분면군의 반대 방향에 위치한, 즉, 시작 사분면군을 제외한 나머지 두 개의 사분면을 의미할 수 있다. 즉, 차량 외부에서 EPB 해제를 희망하는 사람이 특정 패턴을 바르게 입력한 경우, 시작 사분면군 방면에서 시작된 손가락은 종료 사분면군을 향하여 이동한 후 종료 사분면군에서 사라지게 된다. 또한, 제1 시간(a1)은 손가락으로 카메라(12)를 쓸며 지나갈 때 실험적으로 종료 사분면군에 처음 손가락이 도달하는 시간(즉, 종료 사분면군의 음영값이 증가하기 시작하는 시간)을 의미할 수 있으며, 제2 시간(a2)은 손가락으로 쓸며 지나갈 때 실험적으로 시작 사분면군의 음영값이 감소되기 시작하는 시간을 의미할 수 있다.After that, when the first time (a1) has elapsed, the image processing controller 22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total value of the shadows of the end quadrant group has increased (S604), and if so, the start quadrant group as the second time (a2) has elapsed.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total shaded value of is decreased (S605). Here, the ending quadrant group may refer to the remaining two quadrants located in opposite directions of the starting quadrant group, that is, excluding the starting quadrant group. That is, when a person wishing to release the EPB from outside the vehicle correctly inputs a specific pattern, the finger starting from the starting quadrant group moves toward the ending quadrant group and disappears from the ending quadrant group. In addition, the first time (a1) means the time when the finger first arrives at the end quadrant group experimentally when the finger sweeps the camera 12 (ie, the time when the shade value of the end quadrant group starts to increase). , and the second time (a2) may refer to the time at which the shading value of the starting quadrant group experimentally begins to decrease when the finger sweeps over.

종료 사분면군의 음영 총합값이 증가하면서 시작 사분면군의 음영 총합값이 감소하는 경우, 손가락이 일정 방향으로 이동함을 의미할 수 있으므로, 영상 처리 제어기(22)는 종료 사분면군의 음영 총합값을 확인하여(S606), 최대값(M_2)을 저장할 수 있다(S607).When the sum of the shadows of the start quadrant group decreases while the sum of the shadows of the end quadrant group increases, it may mean that the finger moves in a certain direction, so the image processing controller 22 determines the sum of shadows of the end quadrant group. After checking (S606), the maximum value (M_2) can be stored (S607).

영상 처리 제어기(22)는 종료 사분면군의 최대 음영 총합값(M_2)에 소정의 비율(r%)을 곱하여 시작 사분면군의 최대 음영 총합값(M_1)과 비교할 수 있다(S608). 이때, 비율값(r)은 실험적으로 최초 측정된 시작 사분면군의 최대 음영 총합값(M_1)에 대하여 이후 측정될 종료 사분면군의 최대 음영값(M_2)에 대한 유효 비율을 의미할 수 있다. 이는 M_1 값과 유사한 값이 M_2 값에 측정되어야 손가락이 움직임을 판단할 수 있기 때문이다.The image processing controller 22 may multiply the maximum sum value of shadows (M_2) of the end quadrant group by a predetermined ratio (r%) and compare the result with the maximum sum value (M_1) of the shadow group of the start quadrant group (S608). In this case, the ratio value r may mean an effective ratio of the maximum shade value M_2 of the ending quadrant group to be measured later to the maximum shade total value M_1 of the first quadrant group experimentally measured. This is because the motion of the finger can be determined only when a value similar to the M_1 value is measured for the M_2 value.

비교 결과, M_1 값이 더 큰 경우, 영상 처리 제어기(22)는 종료 사분면군의 음영 총합값을 확인하여(S609), 제3 시간(a3)이 경과한 이후 종료 사분면군의 음영 총합값이 감소하면 손가락을 통한 패턴입력이 종료되어 가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S610). 여기서, 제3 시간(a3)은 손가락으로 쓸며 지나갈 때 실험적으로 종료 사분면군의 음영값이 감소되기 시작하는 시간을 의미할 수 있다.As a result of the comparison, when the value of M_1 is greater, the image processing controller 22 checks the sum value of the shadows of the ending quadrant group (S609), and after the lapse of the third time (a3), the sum value of the shadows of the ending quadrant group decreases. If so,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 pattern input through the finger ends (S610). Here, the third time (a3) may refer to the time when the shading value of the end quadrant group starts to decrease experimentally when sweeping with a finger.

이후, 모든 사분면의 음영 총합값이 손가락이 없다고 판단할만한 적절한 수치(OFF) 이하인 경우(S611), 영상 처리 제어기(22)는 시작 사분면군에서 시작하여 종료 사분면군 방향으로 향하는 패턴이 입력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S612). 예컨대, 영상 처리 제어기(22)는 2/3 사분면이 시작 사분면군이고, 1/4 사분면이 종료 사분면군인 경우, 제3 패턴이 입력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Thereafter, when the total value of the shadows of all quadrants is less than an appropriate value (OFF) for determining that there is no finger (S611), the image processing controller 22 determines that a pattern starting from the start quadrant group and heading toward the end quadrant group is input. It can (S612). For example, the image processing controller 22 may determine that the third pattern is input when the 2/3 quadrant is the starting quadrant group and the 1/4 quadrant is the ending quadrant group.

다음으로, 도 7을 참조하여 영상 처리 제어기(22)가 개별 패턴을 입력받아 패턴셋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정하고 EPB를 해제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 패턴 처리 과정의 일례를 나타낸다.Next, referring to FIG. 7 , a process in which the image processing controller 22 receives an individual pattern, determines whether it corresponds to a pattern set, and releases the EPB will be described. 7 shows an example of an input pattern processing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영상처리 제어기(22)는 후방카메라 입력된 영상을 분석하여(S710) 입력 차수별로 패턴을 판단한다(S720). 여기서 S710 단계 및 S720 단계는 전술한 도 6에 해당하는 과정일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 the image processing controller 22 analyzes an image input from a rear camera (S710) and determines a pattern for each input order (S720). Here, steps S710 and S720 may be processes corresponding to FIG. 6 described above.

판단된 패턴은 순차적으로 저장되며(S730), 패턴셋을 구성하는 개수(n)보다 하나 더 많은 개수(즉, n+1)의 패턴이 입력완료되면(S740), 영상처리 제어기(22)는처음부터 n번째 패턴으로 구성되는 패턴셋이 미리 설정된 EPB 해제를 위한 패턴셋과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한다(S750). 여기서, n+1번째 패턴은 패턴셋을 구성하는 n개의 패턴 이후에 패턴셋 입력이 종료됨을 나타내는 기 설정된 형태(예컨대, 3초간 카메라를 완전히 가림)의 패턴일 수 있다. 따라서, 영상처리 제어기(22)는 n+1번째 패턴이 패턴셋 입력이 종료됨을 나타내는 패턴과 일치할 경우, 첫 패턴부터 n 번째 패턴으로 구성되는 패턴셋이 EPB 해제를 위한 패턴셋과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determined patterns are sequentially stored (S730), and when one more number (ie, n+1) of patterns than the number (n) constituting the pattern set is input (S740), the image processing controller 22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pattern set consisting of the nth pattern from the beginning is the same as the preset pattern set for EPB release (S750). Here, the n+1th pattern may be a pattern in a preset form (eg, completely covering the camera for 3 seconds) indicating that pattern set input is terminated after n patterns constituting the pattern set. Therefore, the image processing controller 22 determines whether the pattern set consisting of the nth pattern from the first pattern is the same as the pattern set for EPB release when the n+1th pattern coincides with the pattern indicating that the pattern set input is finished. It can be configured to determine.

판단 결과, 패턴셋이 동일한 경우, 영상처리 제어기(22)는 EPB 해제 신호를 바디 제어기(21)로 전달하며, 바디 제어기(21)는 EPB(31)를 해제하고, 이를 외부에 알리기 위한 기 설정된 형태의 외부출력(예컨대, 2회의 Hazard 출력)을 수행할 수 있다(S760).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f the pattern sets are the same, the image processing controller 22 transmits the EPB release signal to the body controller 21, and the body controller 21 releases the EPB 31 and sets a predetermined setting for informing the outside. It is possible to perform an external output in the form of (eg, two Hazard outputs) (S760).

한편, 패턴 입력에 대해 오류를 대비하여, 영상처리 제어기(22)는 패턴셋 불일치시 카운트를 1 증가시키고, 저장된 개별 패턴의 판단 결과를 리셋(T=0)할 수 있다(S770). 이때, EPB 해제 실패 또는 패턴셋 불일치를 외부에 알리기 위해 소정의 외부 출력(예컨대, 경음기 1회 출력)이 발생할 수 있다.Meanwhile, in preparation for an error in pattern input, the image processing controller 22 may increase the count by 1 when the pattern set does not match, and reset (T=0) the stored determination result of the individual pattern (S770). At this time, a predetermined external output (eg, one-time output of a horn) may be generated to inform the outside of EPB release failure or pattern set mismatch.

만일, 카운트가 기 설정된 횟수(여기서는 3회)에 도달할 경우(S780), EPB 해제를 위한 패턴 입력을 받지 않는 상태로 초기화될 수 있다(S790).If the count reaches a preset number of times (here, 3 times) (S780), it may be initialized to a state in which a pattern input for releasing the EPB is not received (S790).

상술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서울과 같은 도심지 구축 아파트에서 이중 주차 중 EPB 잠김에 의한 차 이동 불가 상황에서 차량 소유자가 타인의 EPB 해제 요구에 대응 불가능 할 때, 본 발명에 따른 EPB 해제를 위한 패턴셋을 타인에 알려줄 경우, 차량 소유자의 부재 상황에서도 EPB 해제가 가능하다. 따라서, 주민간 불편함은 물론 차량 소유자의 불편함도 해소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the pattern for unlocking the EPB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vehicle owner is unable to respond to another person's EPB release request in a situation where the car cannot be moved due to EPB locking during double parking in an apartment built in a downtown area such as Seoul. If the set is notified to others, the EPB can be released even in the absence of the vehicle owner. Accordingly, inconvenience to residents as well as inconvenience to vehicle owners can be resolved.

전술한 본 발명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다.The above-described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as computer readable code on a medium on which a program is recorded. The computer-readable medium includes all types of recording devices in which data that can be read by a computer system is stored.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media include Hard Disk Drive (HDD), Solid State Disk (SSD), Silicon Disk Drive (SDD), ROM, RAM, CD-ROM, magnetic tape, floppy disk, optical data storage device, etc. there is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Accordingly, 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in all respects and should be considered illustra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reasonable interpretation of the appended claims, and all change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7)

전자식 파킹 브레이크(EPB)가 체결된 상태에서 차량의 외부를 촬영하는 카메라가 활성화되는 단계;
상기 카메라를 통해 입력된 영상이 기 설정된 제1 패턴셋에 대응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제1 패턴셋에 대응되는 경우, 상기 전자식 파킹 브레이크를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파킹 브레이크 해제 방법.
activating a camera for photographing the outside of the vehicle in a state in which an electronic parking brake (EPB) is engaged;
Determining whether the image input through the camera corresponds to a preset first pattern set; and
When the determination result corresponds to the first pattern set, the parking brake release method comprising the step of releasing the electronic parking brake.
제1 항에 있어서,
시동이 꺼진 상태에서 상기 차량에 가해지는 충격 및 진동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활성화되는 단계는,
상기 감지된 충격 및 진동 중 적어도 하나가 기 설정된 제2 패턴셋과 일치하는 경우 수행되는, 파킹 브레이크 해제 방법.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detecting at least one of shock and vibration applied to the vehicle in a state in which the ignition is turned off,
The activation step is
The method of releasing the parking brake, which is performed when at least one of the sensed shock and vibration matches a preset second pattern set.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패턴셋은,
입력 순서를 갖는 복수의 패턴을 포함하는, 파킹 브레이크 해제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pattern set,
A parking brake release method comprising a plurality of patterns having an input sequence.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제1 패턴셋에 대응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카메라를 통해 입력된 상기 영상을 음영값에 대하여 필터링하는 단계; 및
상기 필터링된 영상에서 시간의 경과에 따른 음영의 총합값의 변화를 기반으로 순차적으로 입력된 복수의 입력 패턴을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파킹 브레이크 해제 방법.
According to claim 3,
In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or not it corresponds to the preset first pattern set,
filtering the image input through the camera with respect to a shadow value; and
And determining a plurality of input patterns sequentially input based on a change in the total value of shadows over time in the filtered image.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제1 패턴셋에 대응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순차적으로 입력된 복수의 입력 패턴이 상기 제1 패턴셋에 포함된 상기 복수의 패턴과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파킹 브레이크 해제 방법.
According to claim 4,
In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or not it corresponds to the preset first pattern set,
The parking brake release method further comprising determining whether the plurality of input patterns sequentially input are the same as the plurality of patterns included in the first pattern set.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순차적으로 입력된 복수의 입력 패턴을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입력 패턴 각각에 대하여,
상기 필터링된 영상의 음영 총합값을 복수의 영역별로 판단하는 단계;
상기 영역별로 판단된 음영 총합값을 기반으로 시작 영역군 및 종료 영역군을 결정하는 단계; 및
기 설정된 복수의 패턴 타입 중 상기 시작 영역군 및 상기 종료 영역군에 대응되는 패턴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파킹 브레이크 해제 방법.
According to claim 4,
In the step of determining the plurality of input patterns sequentially input,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input patterns,
determining a total value of shadows of the filtered image for each of a plurality of regions;
determining a start area group and an end area group based on the total shaded value determined for each area; and
and determining a pattern corresponding to the start area group and the end area group from among a plurality of preset pattern types.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시작 영역군 및 종료 영역군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영역 중 상기 카메라가 활성화된 이후 음영 총합값의 증가폭이 가장 큰 둘 이상의 영역을 상기 시작 영역군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파킹 브레이크 해제 방법.
According to claim 6,
The step of determining the start region group and the end region group,
and determining two or more areas having the largest increase in a total shade value after the camera is activated among the plurality of areas as the starting area group.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영역은,
사분면 형태로 구성되는, 파킹 브레이크 해제 방법.
According to claim 6,
The plurality of areas,
A parking brake releasing method configured in a quadrant shap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는, 후방 카메라를 포함하는, 파킹 브레이크 해제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camera includes a rear camera, parking brake release method.
제1 항 내지 제9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파킹 브레이크 해제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해독 가능 기록 매체.A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recording a program for executing the parking brake releasing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9. 전자식 파킹 브레이크(EPB);
상기 전자식 파킹 브레이크가 체결된 상태에서 특정 조건이 만족되면 활성화되어 차량의 외부를 촬영하는 카메라; 및
상기 카메라를 통해 입력된 영상이 기 설정된 제1 패턴셋에 대응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제1 패턴셋에 대응되는 경우, 상기 전자식 파킹 브레이크가 해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자동차.
Electronic Parking Brake (EPB);
a camera that is activated when a specific condition is satisfied in a state in which the electronic parking brake is engaged and photographs the exterior of the vehicle; and
A controller for determining whether the image input through the camera corresponds to a preset first pattern set, and controlling the electronic parking brake to be released if the image corresponds to the first pattern set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automobile.
제11 항에 있어서,
시동이 꺼진 상태에서 상기 자동차에 가해지는 충격 및 진동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는 센서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된 충격 및 진동 중 적어도 하나가 기 설정된 제2 패턴셋과 일치하는 경우 상기 카메라를 활성화시키는, 자동차.
According to claim 11,
Further comprising a sensor for detecting at least one of shock and vibration applied to the vehicle in a state in which the ignition is turned off,
The control unit,
and activating the camera when at least one of the sensed shock and vibration matches a preset second pattern set.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패턴셋은,
입력 순서를 갖는 복수의 패턴을 포함하는, 자동차.
According to claim 11,
The first pattern set,
An automobile comprising a plurality of patterns having an input sequence.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를 통해 입력된 상기 영상을 음영값에 대하여 필터링하고, 상기 필터링된 영상에서 시간의 경과에 따른 음영의 총합값의 변화를 기반으로 순차적으로 입력된 복수의 입력 패턴을 판단하는, 자동차.
According to claim 13,
The control unit,
Filtering the image input through the camera with respect to a shadow value, and determining a plurality of input patterns sequentially input based on a change in a total value of shadow over time in the filtered image.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순차적으로 입력된 복수의 입력 패턴이 상기 제1 패턴셋에 포함된 상기 복수의 패턴과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자동차.
According to claim 14,
The control unit,
and determining whether the plurality of input patterns sequentially input are the same as the plurality of patterns included in the first pattern set.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순차적으로 입력된 복수의 입력 패턴 각각에 대하여,
상기 필터링된 영상의 음영 총합값을 복수의 영역별로 판단하고, 상기 영역별로 판단된 음영 총합값을 기반으로 시작 영역군 및 종료 영역군을 결정하며, 기 설정된 복수의 패턴 타입 중 상기 시작 영역군 및 상기 종료 영역군에 대응되는 패턴을 결정하는, 자동차.
According to claim 14,
The control unit,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input patterns sequentially input,
A total value of shadows of the filtered image is determined for each of a plurality of regions, a start region group and an end region group are determined based on the total value of shadows determined for each region, and among a plurality of preset pattern types, the start region group and determining a pattern corresponding to the end region group.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영역 중 상기 카메라가 활성화된 이후 음영 총합값의 증가폭이 가장 큰 둘 이상의 영역을 상기 시작 영역군으로 결정하는, 자동차.
According to claim 16,
The control unit,
Wherein two or more areas having the largest increase in a total shadow value after the camera is activated among the plurality of areas are determined as the start area group.
KR1020180161212A 2018-12-13 2018-12-13 Vehicle and method for disengaging brake KR10255591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1212A KR102555917B1 (en) 2018-12-13 2018-12-13 Vehicle and method for disengaging brak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1212A KR102555917B1 (en) 2018-12-13 2018-12-13 Vehicle and method for disengaging brak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2998A KR20200072998A (en) 2020-06-23
KR102555917B1 true KR102555917B1 (en) 2023-07-17

Family

ID=711381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1212A KR102555917B1 (en) 2018-12-13 2018-12-13 Vehicle and method for disengaging brak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5917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21845A (en) 2021-08-06 2023-02-14 에이치엘만도 주식회사 Electronic parking brake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2628B1 (en) 2007-05-21 2008-12-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arking releasing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19305A (en) * 2013-08-13 2015-02-2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Vehicle Recording
KR101550604B1 (en) * 2013-09-25 2015-09-07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Vehicle operation device
KR20180067072A (en) * 2016-12-12 2018-06-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Remote control system for electric parking brak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2628B1 (en) 2007-05-21 2008-12-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arking releasing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2998A (en) 2020-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31714B2 (en) Vehicle apparatus
CN105282499B (en) Periphery monitoring apparatus and program
CN103786647B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image on Multi-function mirror to show
KR100936014B1 (en) Single unit video camera recoder
JP4611899B2 (en) Camera lens dirt detection device and image display system
CN104417435B (en) The control method of panorama car-parking model
US2010020161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a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JP5750687B2 (en) Gesture input device for car navigation
WO2016177325A1 (en) Unlocking method and system for vehicle engine hood
JP6693357B2 (en) Image recording apparatus, image recording method and program
KR102555917B1 (en) Vehicle and method for disengaging brake
JP4853227B2 (en) Driving operation support device and program for driving operation support device
JP7138175B2 (en) Method of operating head-mounted electronic display device for displaying virtual content and display system for displaying virtual content
JP2009284386A (en) Parking support device for vehicle
KR101514451B1 (en) Smart parking assist system with integrated camera and atuomatic parking method thereof
CN111086505B (en) Parking assistance device and parking assistance method
KR20150096868A (en) Apparatus of recording event based image data
KR102315541B1 (en) A Blackbox Having ouptting event image in case of starting
CN113104047A (en) Vehicle control device
KR101524197B1 (en) Black-box for vehicle
CN113104027A (en) Vehicle control device
JP6558952B2 (en) Imaging device, vehicle, installation position determination system, installation position determination apparatus, and installation position determination method
JP6791331B2 (en) Recording control device, recording control method, and program
JP6788447B2 (en) Video output system
KR102155357B1 (en) Electrical Parking Brake System Using Electrical Switch Modul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