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5764B1 - Shoe soles, shoes and non-slip members - Google Patents

Shoe soles, shoes and non-slip member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5764B1
KR102555764B1 KR1020187020623A KR20187020623A KR102555764B1 KR 102555764 B1 KR102555764 B1 KR 102555764B1 KR 1020187020623 A KR1020187020623 A KR 1020187020623A KR 20187020623 A KR20187020623 A KR 20187020623A KR 102555764 B1 KR102555764 B1 KR 1025557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e sole
shoe
slip
sole
coeffici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2062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107108A (en
Inventor
토모히로 노자키
타카시 타쿠보
Original Assignee
닛신 고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신 고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신 고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1071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710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57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576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22Soles made slip-preventing or wear-resisting, e.g. by impregnation or spreading a wear-resisting layer
    • A43B13/24Soles made slip-preventing or wear-resisting, e.g. by impregnation or spreading a wear-resisting layer by use of insertions
    • A43B13/26Soles made slip-preventing or wear-resisting, e.g. by impregnation or spreading a wear-resisting layer by use of insertions projecting beyond the sole surfac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22Soles made slip-preventing or wear-resisting, e.g. by impregnation or spreading a wear-resisting layer
    • A43B13/223Profiled sol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5/00Non-skid devices or attachments

Abstract

본 발명은, 힘주어 서기 시작한 직후뿐만 아니라 그 후에도 계속 버틸 수 있고, 빙면을 보행하는 경우 등 조건이 나쁜 보행면을 보행하는 경우라도 뛰어난 내활성을 발휘할 수 있는 구두 밑창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구두 밑창을, 빙면에 대한 동마찰 계수가, 빙면에 대한 최대 정지 마찰 계수보다 큰 것으로 한다. 빙면에 대한 동마찰 계수는 0.25 이상으로 하면 바람직하다. 이들 조건은, 예를 들면 그 하단면이 접지면이 되는 복수의 미끄럼방지용 돌기가 하향으로 형성되고, 각각의 미끄럼방지용 돌기의 하단면에, 유발 형상으로 움푹 패인 오목부가 형성되며, 각각의 오목부 내주면에, 단차부가 환상으로 형성된 구두 밑창에 의해 달성할 수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hoe outsole that can withstand not only immediately after starting to stand up with strength but also continues thereafter, and can exhibit excellent sliding resistance even when walking on a poor walking surface such as when walking on an ice surfac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hoe sole has a coefficient of kinetic friction with respect to the ice surface greater than the maximum coefficient of static friction with respect to the ice surface. The coefficient of kinetic friction against the ice surface is preferably 0.25 or more. These conditions are, for example, a plurality of anti-slip protrusions whose lower surfaces serve as a ground contact surface are formed downward, a recessed portion formed in the shape of a bowl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each anti-slip protrusion, and each concave portion This can be achieved by a shoe sole having an annular stepped portion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Figure R1020187020623
Figure R1020187020623

Description

구두 밑창, 구두 및 미끄럼방지 부재Shoe soles, shoes and non-slip members

본 발명은 빙면(氷面)에 대한 내활성(耐滑性)이 뛰어난 구두 밑창과, 이 구두 밑창을 구비한 구두와, 이 구두 밑창 기술을 응용한 미끄럼방지 부재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oe sole having excellent sliding resistance to ice, a shoe provided with the shoe sole, and an anti-slip member to which the shoe sole technology is applied.

내활성을 높인 구두 밑창(내활성 구두 밑창)으로서는, 지금까지 여러 가지가 제안되었다. As a shoe sole (slip resistance shoe sole) with improved sliding resistance, various types have been proposed so far.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는, 구두 본체의 하부에 설치되는 구두 밑창과, 송곳 형상의 오목부를 가지는 흡반을 구비하고, 상기 구두 밑창에 상기 흡반을 다수 설치하여 일체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두 밑창의 미끄럼방지 구조(동일 문헌의 청구항 1)가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2에는, 상기 미끄럼방지 구조에 의해, 부착력을 가지는 흡반이 지면을 포착할 수 있게 되고, 마른 아스팔트와 흙, 잔디 등 지면에서는 물론 젖은 지면과 눈길, 얼은 지면 혹은 유성 액체가 깔린 지면에서도 미끄럼방지 효과가 얻어지는 내용(동일 문헌의 단락 0016)도 기재되어 있다.For example, in Patent Literature 1, a shoe sole provided on the lower part of a shoe body and a sucker having an awl-shaped concave portion are provided, and a plurality of the suckers are provided on the shoe sole to integrate the sliding of the shoe sole. A preventive structure (claim 1 of the same document) is described. In Patent Document 2, the non-slip structure allows the sucker having adhesive power to grip the ground, and not only dry asphalt, soil, grass, etc., but also wet ground, snowy road, frozen ground, or ground covered with oily liquid. The contents by which the anti-slip effect is obtained (paragraph 0016 of the same document) are also described.

또한 특허문헌 2에는, 베이스부의 길이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상기 베이스부의 접지 측면에 형성된 복수의 접지 볼록부를 가지는 내활성 구두 밑창으로서, 상기 각 접지 볼록부는 V자 형상의 횡단면을 가지고, 상기 베이스부와의 연결 부위에 경사 보강부가 형성되는 동시에 또한 20 ℃에서의 JIS-A 경도가 45 ~ 80도인 탄성 중합체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활성 구두 밑창(동일 문헌의 청구항 1)이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2에는, 상기 내활성 구두 밑창에 의해, 미끄러지기 쉬운 상태에 있는 바닥면 등이라도 안정적으로 보행하는 것이 가능해지는 내용(동일 문헌의 단락 0021)도 기재되어 있다. Further, in Patent Document 2, an anti-skid shoe sole having a plurality of ground convex portions formed on the ground contact side surface of the base portion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ase portion, wherein each ground convex portion has a V-shaped cross section, and the base portion has a V-shaped cross section. An active shoe outsole (claim 1 of the same document) is described, characterized in that a slope reinforcement part is formed at the joint portion and at the same time, it is formed of an elastic polymer having a JIS-A hardness of 45 to 80 degrees at 20 ° C. there is. Patent Literature 2 also describes content that it is possible to walk stably even on a floor or the like in a slippery state due to the slip resistant shoe sole (paragraph 0021 of the same document).

특허문헌 1 : 일본실용신안등록공보 제 3096646 호Patent Document 1: Japanese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3096646 특허문헌 2 : 일본재공표특허공보 2006-003740 호Patent Document 2: Japanese Patent Publication No. 2006-003740

그러나 지금까지의 내활성 구두 밑창은, 반드시 뛰어난 내활성을 발휘할 수 있다고는 말할 수 없었다. 왜냐하면 지금까지의 내활성 구두 밑창은, 보행면을 걷어차기 시작한 순간 등 힘주어 서기 시작한 직후에 마찰력(구두 밑창이 보행면으로부터 받는 마찰력, 이하 동일)이 순간적으로 피크에 도달하고, 그 후에는 마찰력이 급격히 저하되는 특성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이다. 이러한 특성을 가지는 구두 밑창을 구비한 구두의 착용자는, 힘주어 서기 시작한 직후의 미끄러지기 어려움(마찰력)이 그 후에도 유지된다고 착각하여, 무의식적으로 보행면을 강한 힘으로 계속 걷어차게 되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경우라도 마른 노면을 보행하는 등 조건이 좋은 보행면을 보행할 때에는 미끄러져 넘어지는 일은 적지만, 빙면을 보행하는 등 조건이 나쁜 보행면을 보행할 때에는 미끄러져 넘어지기 쉬워지는 경향이 있다. However, it was not possible to say that conventional sliding-resistant shoe soles could always exhibit excellent sliding resistance. This is because the frictional force (frictional force received by the sole of the shoe from the walking surface, the same below) instantaneously reaches a peak immediately after the moment when you start to stand with force, such as the moment you start kicking the walking surface, and the frictional force after that. This is because it had a rapidly degrading characteristic. A wearer of shoes equipped with a shoe sole having such characteristics tends to unconsciously continue kicking the walking surface with strong force, mistaking that the slipping difficulty (frictional force) immediately after starting to stand with strength is maintained thereafter. Even in this case, there is little chance of slipping and falling when walking on a walking surface with good conditions, such as walking on a dry road surface, but there is a tendency to slip and fall easily when walking on a walking surface with bad conditions, such as walking on an icy surface.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힘주어 서기 시작한 직후뿐만 아니라 그 후에도 계속하여 버틸 수 있어, 빙면을 보행하는 경우 등 조건이 나쁜 보행면을 보행하는 경우라도, 뛰어난 내활성을 발휘할 수 있는 구두 밑창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이 구두 밑창을 구비한 구두를 제공하는 것도 본 발명의 목적이다. 더욱이 이 구두 밑창 기술을 응용한 미끄럼방지 부재를 제공하는 것도 본 발명의 목적이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can endure not only immediately after starting to stand with force but also after that, and exhibits excellent sliding resistance even when walking on a walking surface with poor conditions such as when walking on an ice surface. It is to provide a shoe sole that can be worn. It is also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hoe provided with this shoe sole. Furthermore, it is also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nti-slip member to which this shoe sole technology is applied.

상기 과제는, 빙면에 대한 동마찰 계수가 빙면에 대한 최대 정지 마찰 계수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두 밑창(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특별히 언급이 없는 한 구두 밑창에 있어서의 가장 하면측 부분(아웃솔부)을 ‘구두 밑창’이라고 부르고 있다. )을 제공함으로써 해결된다. The above problem is a shoe sol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efficient of kinetic friction with respect to the ice surface is greater than the maximum coefficient of static friction with respect to the ice surface (in this specification, unless otherwise specified, the lowermost part (outsole part) of the shoe sole is provided). It is called 'shoe sole'. ) is solved by providing

여기서 ‘빙면에 대한 동마찰 계수’ 및 ‘빙면에 대한 최대 정지 마찰 계수’는, ISO13287 ‘구두 밑창의 미끄럼 저항 시험’에 준거한 측정 방법에 의해 측정된 마찰 계수를 말하며, 구체적으로는 이하의 단계 1 ~ 6에 의해 측정된 마찰 계수를 말한다. 단, 마찰 계수 측정은, 이하의 단계 1 ~ 6의 사이클을 1회로 해서 합계 10회 수행하고, 6번째 측정부터 10번째 측정까지 합계 5회의 측정에서 얻어진 최대 정지 마찰 계수의 평균값과 동마찰 계수의 평균값을 각각 정식 최대 정지 마찰 계수와 동마찰 계수로서 채용한다. Here, the 'dynamic coefficient of friction on the ice surface' and the 'maximum coefficient of static friction on the ice surface' refer to the coefficient of friction measured by a measurement method based on ISO13287 'slip resistance test of shoe soles', and specifically, in the following steps Refers to the coefficient of friction measured by 1 to 6. However, the friction coefficient measurement is performed a total of 10 times, including the cycle of steps 1 to 6 below, and the average value of the maximum static friction coefficient obtained from the total of 5 measurements from the 6th to the 10th measurement and the dynamic friction coefficient The average values are adopted as the formal maximum static friction coefficient and dynamic friction coefficient, respectively.

<단계 1><Step 1>

수평인 빙면(0 ℃로 유지되어 표면에 물이 생기지 않은 상태의 빙면. 이 빙면은, 후술하는 힘 F2에 의해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한 상태로 지지되어 있다.) 상에 구두 밑창을 설치한다. 구두 밑창은,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지그 등으로 유지한 상태로 한다. A shoe sole is installed on a horizontal ice surface (an ice surface maintained at 0°C and no water formed on the surface. This ice surface is supported in a horizontally slidable state by a force F 2 described later). The sole of the shoe is kept in a state held by a jig or the like so as not to mov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단계 2><Step 2>

구두 밑창의 상면에 연직 하향의 힘 F1(500 N)을 인가하여, 구두 밑창을 빙면으로 꽉 누른다. A vertically downward force F 1 (500 N) is appli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ole of the shoe, and the sole of the shoe is firmly pressed against the ice surface.

<단계 3><Step 3>

구두 밑창에 상기 (2)의 힘 F1을 계속 인가한 채로 수평 방향의 힘 F2를 빙면에 인가하고, 힘 F2를 서서히 증가시킨다. While the force F 1 of (2) above is continuously applied to the shoe sole, the force F 2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s applied to the ice surface, and the force F 2 is gradually increased.

<단계 4><Step 4>

상기 단계 3에서 힘 F2를 인가하기 시작하고 나서 빙면이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드를 개시할 때까지의 힘 F2를 측정하고, 이 사이에 나타난 가장 높은 피크값(힘 F2의 최대값)을 힘 F1으로 나눈 값을 ‘빙면에 대한 최대 정지 마찰 계수’로 한다. The force F 2 from the start of applying the force F 2 in step 3 until the start of the slid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ice surface is measured, and the highest peak value (maximum value of the force F 2 ) appearing during this time is the force The value divided by F 1 is the 'maximum coefficient of static friction on the ice surface'.

<단계 5><Step 5>

빙면이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드하는 속도가 300 mm/s가 될 때가지 힘 F2를 증가시킨다. Increase the force F2 until the speed at which the ice surface slides horizontally is 300 mm/s.

<단계 6><Step 6>

빙면이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드하는 속도가 300 mm/s로 안정되었을 때의 힘 F2를 측정하고, 이 사이의 힘 F2의 평균값(힘 F2를 인가하기 시작하고 나서 0.3초 경과부터 0.6초 경과할 때까지의 평균값)을 힘 F1으로 나눈 값을 ‘빙면에 대한 동마찰 계수’로 한다. Measure the force F 2 when the horizontal sliding speed of the ice surface stabilized at 300 mm/s, and the average value of the force F 2 between them (0.3 second to 0.6 second after the application of the force F 2 started) The average value until the ice surface) is divided by the force F 1 as the 'coefficient of dynamic friction on the ice surface'.

이와 같이 구두 밑창을, 빙면에 대한 동마찰 계수가 빙면에 대한 최대 정지 마찰 계수보다 큰 것으로 함으로써, 힘주어 서기 시작한 직후뿐만 아니라 그 후에도 계속하여 버틸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빙면을 보행하는 경우 등 조건이 나쁜 보행면을 보행하는 경우라도 뛰어난 내활성을 발휘할 수 있는 구두 밑창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In this way, by making the sole of the shoe have a coefficient of kinetic friction with respect to the ice surface greater than the maximum coefficient of static friction with respect to the ice surface, it becomes possible to withstand not only immediately after starting to stand up with force, but also continuously after that. Therefore, it becomes possible to provide a shoe sole capable of exhibiting excellent sliding resistance even when walking on a walking surface with poor conditions such as when walking on an ice surface.

본 발명의 구두 밑창에 있어서 ‘빙면에 대한 동마찰 계수’의 구체적인 값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0.25 이상으로 하면 바람직하다. 이로써 구두 밑창을, 빙면에 대해서 더욱 미끄러지기 어려운 것으로 하고, 더욱더 안전하게 보행할 수 있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빙면에 대한 동마찰 계수’는 0.30 이상으로 하면 보다 바람직하고, 0.35 이상으로 하면 더욱 바람직하며, 0.37 이상으로 하면 최적이다. 본 발명의 구두 밑창에서는, ‘빙면에 대한 동마찰 계수’를 0.39 이상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In the shoe sol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pecific value of the "coefficient of kinetic friction against the ice surfac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s preferably 0.25 or more. As a result, the sole of the shoe can be made more difficult to slip on the ice surface and can be made more safe to walk on. The 'coefficient of kinetic friction on the ice surface' is more preferably 0.30 or more, more preferably 0.35 or more, and optimal if 0.37 or more. In the shoe sol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lso possible to set the 'coefficient of kinetic friction against the ice surface' to 0.39 or more.

본 발명의 구두 밑창은, 빙면에 대한 동마찰 계수가 빙면에 대한 최대 정지 마찰 계수보다 커지는 특성을 발현하는 것이라면, 그 구체적인 구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이 특성은, 예를 들면 그 하단면이 접지면이 되는 복수의 미끄럼방지용 돌기가 하향으로 형성되고, 각각의 미끄럼방지용 돌기의 하단면에, 유발 형상으로 움푹 패인 오복부가 형성되며, 각각의 오목부의 내주면에, 단차부가 환상으로 형성된 구조를 채용함으로써 발현시킬 수 있다. 이 때 구두 밑창에는, 미끄럼방지용 돌기의 하단면이 접지되었을 때 상기 오목부에 들어간 물을 빨아올려서 구두 밑창 주위로 배출하기 위한 물 빠짐 홀을 설치하면 바람직하다. 이로써 물이 생긴 빙면을 보행하는 경우 등 나쁜 조건의 보행면이라도 뛰어난 내활성이 유지되기 쉽게 할 수 있다. The specific structure of the sole of the sho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exhibits a characteristic that the coefficient of kinetic friction against the ice surface is greater than the maximum coefficient of static friction against the ice surface. This characteristic is, for example, that a plurality of non-slip protrusions whose lower surfaces serve as ground contact surfaces are formed downward, and concave portions recessed in a bowl shape are formed on the lower surfaces of each anti-slip protrusions, and each concave portion It can be expressed by adopting a structure in which a stepped portion is annularly form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o install a water drainage hole in the sole of the shoe to suck up the water entering the concave portion when the bottom surface of the non-slip protrusion is grounded and to discharge it to the periphery of the sole of the shoe. This makes it easy to maintain excellent sliding resistance even on a walking surface under bad conditions, such as when walking on an ice surface with water.

본 발명의 구두 밑창에 있어서는, 구두 밑창의 폭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둔 상태에서 구두 밑창의 폭 방향을 따라서 배치된 복수의 미끄럼방지용 돌기로 이루어지는 돌기 열을, 구두 밑창의 전후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둔 상태에서 복수 열로 배치하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하면 동일한 돌기 열(구두 밑창의 폭 방향의 열)을 구성하는 미끄럼방지용 돌기의 전후 위치를 일치시키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미끄럼방지용 돌기(20)를 구두 밑창의 폭 방향 및 전후 방향으로 격자상으로 배치하는 경우 등이 여기에 해당한다. 이로써 인접하는 미끄럼방지용 돌기의 간극에 눈 등이 쌓인 상태가 되기 어렵게 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구두 밑창의 내활성을 더욱 높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미끄럼방지용 돌기(20)를 구두 밑창의 폭 방향 및 전후 방향으로 격자상으로 배치하면 인접하는 미끄럼방지용 돌기의 간극에 눈 등이 쌓인 상태가 되기 어려워지는 이유에 대해서는 후술한다.In the shoe sole of the present invention, a row of projections composed of a plurality of non-slip protrusions arranged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shoe sole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shoe sole are arrang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the front-back direction of the shoe sole. It is preferable to arrange in multiple rows in the state. In other words, it is preferable to match the front and rear positions of the non-slip projections constituting the same row of projections (row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shoe sole). For example, a case where the non-slip protrusions 20 are arranged in a lattice shape in the width direction and the front-back direction of the shoe sole corresponds to this case. As a result, it becomes possible to make it difficult for snow or the like to accumulate in the gap between the adjacent non-slip protrusions, and it becomes possible to further enhance the sliding resistance of the shoe sole. The reason why it is difficult for snow or the like to accumulate in gaps between adjacent anti-slip protrusions when the non-slip protrusions 20 are arranged in a lattice shape in the width direction and front-back direction of the shoe sole will be described later.

본 발명의 구두 밑창에 있어서는, 그 상면 측에, 구두 밑창 본체(아웃솔부)보다 경도가 낮은 소재로 이루어지는 미드솔부를 설치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로써 상술한 특성(힘주어 서기 시작한 직후뿐만 아니라 그 후에도 계속하여 버틸 수 있다는 특성)을 보다 적절하게 발현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In the shoe sol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lso preferable to provide a midsole portion made of a material lower in hardness than the shoe sole main body (outsole portion) on the upper surface side thereof. This makes it possible to more appropriately express the above-described characteristics (characteristics of being able to endure not only immediately after starting to stand with force but also continuing thereafter).

본 발명의 구두 밑창은, 그 용도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각종 구두에 구비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한랭지용 통근용 구두, 통학용 구두, 운동용 구두 또는 작업용 구두 등에 적절하게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스케이트 링크에서의 작업용 구두와 냉동고 내에서의 작업용 구두 등에도 적절하게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두 밑창은, 구두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상태로 제공되는 것이어도 되고, 기존 구두에 대해서 탈부착이 가능한 상태로 제공되는 것이어도 된다. The use of the shoe so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can be provided to various types of shoes. Among them, it can be appropriately provided for commuting shoes for cold regions, school shoes, sports shoes, or work shoes. In addition, it can be appropriately provided for shoes for work in a skating rink and shoes for work in a freezer. The shoe sol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in a state integrally formed with the shoe, or may be provided in a state in which it is attachable and detachable to existing shoes.

또한 본 발명의 구두 밑창에서 이용한 ‘빙면에 대한 동마찰 계수가 빙면에 대한 최대 정지 마찰 계수보다 크게 한다’라는 기술은, 구두 밑창 이외의 미끄럼방지 부재에도 응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바닥면과 노면, 짐받이 등에 대해서 부설되는 매트의 미끄럼방지 부재나 지팡이 선단의 미끄럼방지 부재, 장갑의 미끄럼방지 부재 등에도 응용할 수 있다. 이로써 빙면에 대한 내활성이 뛰어난 매트와 지팡이 선단, 장갑 등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In addition, the technique of making the coefficient of kinetic friction on the ice surface larger than the maximum coefficient of static friction on the ice surface used in the shoe sol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non-slip members other than the shoe sole. For example, it can be applied to the non-slip member of mats laid on floors, road surfaces, luggage racks, etc., the non-slip member of the tip of a cane, the non-slip member of gloves, and the like. This makes it possible to provide a mat, tip of a cane, gloves, etc. having excellent sliding resistance to an ice surface.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해, 힘주어 서기 시작한 직후뿐만 아니라 그 후에도 계속하여 버틸 수 있어, 빙면을 보행하는 경우 등 조건이 나쁜 보행면을 보행하는 경우라도, 뛰어난 내활성을 발휘할 수 있는 구두 밑창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이 구두 밑창을 구비한 구두를 제공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더욱이 이 구두 밑창 기술을 응용한 미끄럼방지 부재를 제공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shoe sole capable of enduring not only immediately after starting to stand with strength but also continuing thereafter, and exhibiting excellent sliding resistance even when walking on a poor walking surface such as when walking on an ice surface It becomes possible to provide It also becomes possible to provide shoes provided with this shoe sole. Furthermore, it becomes possible to provide an anti-slip member to which this shoe sole technology is applied.

도 1은, 제 1 실시양태의 구두 밑창을 하면 측으로부터 본 상태를 도시한 저면도이다.
도 2는, 제 1 실시양태의 구두 밑창을 하면 측으로부터 본 저면도로서, 상기 구두 밑창의 도 1에서의 A부를 확대한 상태를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3은, 제 1 실시양태의 구두 밑창의 미끄럼방지용 돌기 1개를 확대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제 2 실시양태의 구두 밑창을 하면 측으로부터 본 저면도로서, 상기 구두 밑창의 도 1에서의 A부에 해당하는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5는, 제 2 실시양태의 구두 밑창의 미끄럼방지용 돌기 1개를 확대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제 3 실시양태의 구두 밑창을 하면 측으로부터 본 저면도로서, 상기 구두 밑창의 도 1에서의 A부에 해당하는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7은, 제 3 실시양태의 구두 밑창의 미끄럼방지용 돌기 1개를 확대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실시예 1의 구두 밑창에 대하여, 표면에 물이 생기지 않은 상태의 빙면에 대한 마찰 계수의 변화를 측정한 결과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9는, 비교예 1의 구두 밑창에 대하여, 표면에 물이 생기지 않은 상태의 빙면에 대한 마찰 계수의 변화를 측정한 결과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10은, 실시예 1의 구두 밑창에 대하여, 표면에 물이 생긴 상태의 빙면에 대한 마찰 계수의 변화를 측정한 결과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11은, 비교예 1의 구두 밑창에 대하여, 표면에 물이 생긴 상태의 빙면에 대한 마찰 계수의 변화를 측정한 결과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12는, 제 4 실시양태의 구두 밑창을 하면 측으로부터 본 상태를 도시한 저면도이다.
도 13은, 제 4 실시양태의 구두 밑창을 하면 측으로부터 본 저면도로서, 상기 구두 밑창의 도 12에서의 A부를 확대한 상태를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14는, 제 4 실시양태의 구두 밑창을 구비한 구두로 보행하고 있을 때의 구두 밑창의 모습을, 구두의 측방으로부터 본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제 4 실시양태의 구두 밑창과 동일한 효과가 있는 미끄럼방지용 돌기의 배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제 5 실시양태의 구두 밑창을 구비한 구두를, 구두의 측방으로부터 본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은, 제 6 실시양태의 구두 밑창을 하면 측으로부터 본 상태를 도시한 저면도이다.
도 18은, 제 6 실시양태의 구두 밑창을 구비한 구두를, 구두의 측방으로부터 본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Fig. 1 is a bottom view showing a state of the shoe sole of the first embodiment seen from the bottom side.
Fig. 2 is a bottom view of the shoe sole of the first embodiment as seen from the bottom side, and is an enlarged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portion A in Fig. 1 of the shoe sole is enlarged.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nlarged state of one non-slip protrusion of the shoe sole of the first embodiment.
Fig. 4 is a bottom view of the shoe sole of the second embodiment as seen from the bottom side, and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corresponding to section A in Fig. 1 of the shoe sole.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nlarged state of one non-slip protrusion of the shoe sole of the second embodiment.
Fig. 6 is a bottom view of the shoe sole of the third embodiment as seen from the bottom side, and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corresponding to section A in Fig. 1 of the shoe sole.
Fig.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nlarged state of one non-slip protrusion of the shoe sole of the third embodiment.
8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s of measuring the change in the coefficient of friction with respect to the ice surface in a state in which water is not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shoe sole of Example 1.
9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s of measuring the change in the coefficient of friction with respect to the ice surface in a state in which no water ha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shoe sole of Comparative Example 1.
FIG. 10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s of measuring the change in friction coefficient with respect to the ice surface in a state where water is present on the surface of the shoe sole of Example 1.
FIG. 11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s of measuring the change in coefficient of friction with respect to the ice surface in a state where water is present on the surface of the shoe sole of Comparative Example 1.
Fig. 12 is a bottom view showing the state of the shoe sole of the fourth embodiment as viewed from the bottom side.
Fig. 13 is a bottom view of the shoe sole of the fourth embodiment as viewed from the bottom side, and is an enlarged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portion A in Fig. 12 of the shoe sole is enlarged.
Fig. 14 is a diagram showing the state of the sole of the shoe when walking with the shoe provided with the sole of the fourth embodiment, viewed from the side of the shoe.
Fig. 15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rrangement of non-slip protrusions having the same effect as the shoe sole of the fourth embodiment.
Fig. 16 is a view showing the state of the shoe provided with the shoe sole of the fifth embodiment, viewed from the side of the shoe.
Fig. 17 is a bottom view showing the state of the shoe sole of the sixth embodiment as viewed from the bottom side.
Fig. 18 is a view showing the state of the shoe provided with the shoe sole of the sixth embodiment, viewed from the side of the shoe.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대하여, 도면을 가지고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구두 밑창을 예로 들어서 본 발명을 설명한다. 단, 이하에서 서술하는 구성은, 구두 밑창에서 채용하는 경우에 한정되지 않고, 매트나 지팡이 선단, 장갑 등 다른 미끄럼방지 부재에 있어서도 적절히 채용할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는, 제 1 실시양태부터 제 6 실시양태까지 합계 6개의 실시양태의 구두 밑창에 대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이들 실시양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빙면에 대한 동마찰 계수가 빙면에 대한 최대 정지 마찰 계수보다 커지는 각종 구조를 채용할 수 있다. 더욱이 이하에서는, 주로 제 1 실시양태의 구두 밑창에 대하여 설명하지만, 제 1 실시양태의 구두 밑창에서 서술한 구성은, 그 구성이 다른 실시양태의 구두 밑창에서 모순되지 않는 한 상기 다른 실시양태의 구두 밑창에 있어서도 적절히 채용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 2 실시양태와 제 3 실시양태의 구두 밑창에서 서술한 구성은, 그 구성이 제 1 실시양태의 구두 밑창에서 모순되지 않는 한 제 1 실시양태의 구두 밑창에서도 적절히 채용할 수 있다.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more specifically with reference to drawings.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y taking a shoe sole as an example. However, the structure described below is not limited to the case of employing in soles of shoes, and can be suitably employed in other non-slip members such as mats, cane tips, and gloves. In addition, below, the shoe sole of a total of 6 embodiments from the 1st embodiment to the 6th embodiment is demonstrated. However,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embodiments, and various structures can be employed in which the coefficient of kinetic friction with respect to the ice surface is greater than the maximum coefficient of static friction with respect to the ice surface. Furthermore, in the following, the sole of the shoe of the first embodiment will be mainly described, but the configuration described in the sole of the shoe of the first embodiment can be used in the sole of the shoe of the other embodiment as long as the configuration does not contradict the sole of the shoe of the other embodiment. It can also be appropriately employed for outsoles. Similarly, the configurations described in the soles of the shoes of the second and third embodiments can be appropriately adopted in the soles of the shoes of the first embodiment as long as the structures are not contradictory in the soles of the shoes of the first embodiment.

1. 제 1 실시양태의 구두 밑창1. Outsole of the first embodiment

도 1은, 제 1 실시양태의 구두 밑창을 하면 측으로부터 본 상태를 도시한 저면도이다. 도 2는, 제 1 실시양태의 구두 밑창을 하면 측으로부터 본 저면도로서, 상기 구두 밑창의 도 1에서의 A부를 확대한 상태를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3은, 제 1 실시양태의 구두 밑창의 미끄럼방지용 돌기 1개를 확대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a)는, 미끄럼방지용 돌기 전체를 도시하고 있고, 도 3(b)는, 도 3(a)의 미끄럼방지용 돌기를 y-z면에 평행한 평면 B로 파단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Fig. 1 is a bottom view showing a state of the shoe sole of the first embodiment seen from the bottom side. Fig. 2 is a bottom view of the shoe sole of the first embodiment as seen from the bottom side, and is an enlarged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portion A in Fig. 1 of the shoe sole is enlarged.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nlarged state of one non-slip protrusion of the shoe sole of the first embodiment. Fig. 3(a) shows the entire non-slip protrusion, and Fig. 3(b) shows a state in which the non-slip protrusion of Fig. 3 (a) is broken into a plane B parallel to the y-z plane.

제 1 실시양태의 구두 밑창은, 도 1에 도시한 것과 같이, 구두 밑창 본체(10, 아웃솔부)의 하면 측에, 다수의 미끄럼방지용 돌기(20)가 하향으로 형성된 것으로 되어 있다. 구두 밑창 본체(10)의 두께는 통상적으로 2 ~ 30 mm가 된다. 미끄럼방지용 돌기(20)는, 그 하단면(z축 방향의 음수측 단면)이 접지면(보행면에 접촉되는 면)이 되도록 되어 있다. 제 1 실시양태의 구두 밑창에 있어서는, 구두 밑창 본체(10)의 하면 전체에 걸쳐서 미끄럼방지용 돌기(20)를 설치하고 있지만, 구두 밑창 본체(10)에 있어서의 보행면에 접촉되기 어려운 영역, 즉 내활성 향상에 기여하기 어려운 영역(예를 들면 도 1에서 그물 모양 해칭으로 도시한 부분(구두 밑창 본체(10)에 있어서 발바닥에 중첩되는 부분과 구두 밑창 본체(10)의 주변 둘레부 등))에는, 미끄럼방지용 돌기(20)를 설치하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구두 밑창 본체(10)의 하면에 있어서의 미끄럼방지용 돌기(20)를 설치하지 않는 영역을 ‘돌기 비형성 영역’이라고 하고, 구두 밑창 본체(10)에 있어서의 미끄럼방지용 돌기(20)를 설치하는 영역을 ‘돌기 형성 영역’이라고 부른다. As shown in Fig. 1, the shoe sole of the first embodiment has a plurality of non-slip protrusions 20 formed downward on the lower surface side of the shoe sole body 10 (outsole portion). The thickness of the shoe sole body 10 is usually 2 to 30 mm. The non-slip protrusion 20 has its lower end face (negative end face in the z-axis direction) serving as a grounding surface (surface in contact with the walking surface). In the shoe sole of the first embodiment, the non-slip projections 20 are provided over the entire lower surface of the shoe sole body 10, but the region of the shoe sole body 10 that is difficult to contact with the walking surface, that is, Areas that are difficult to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sliding resistance (for example, the portion shown by cross hatching in FIG. 1 (the portion overlapping the sole in the shoe sole body 10 and the periphery of the shoe sole body 10, etc.)) In, it is also possible not to install the protrusion 20 for non-slip. Hereinafter, the area where the anti-slip protrusion 20 is not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hoe sole body 10 is referred to as a 'protrusion non-formation area', and the non-slip protrusion 20 in the shoe sole body 10 The area in which the is installed is referred to as a 'protrusion formation area'.

단위면적당 설치하는 미끄럼방지용 돌기(20)의 개수는, 미끄럼방지용 돌기(20)의 치수 등에 따라서도 다르고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그러나 단위면적당 미끄럼방지용 돌기(20)의 개수가 너무 적으면, 구두 밑창 본체(10)에 설치하는 미끄럼방지용 돌기(20)의 합계 개수가 적어지고, 구두 밑창의 최대 정지 마찰 계수와 동마찰 계수를 필요한 레벨까지 높이기 어려워질 우려가 있다. 그렇기 때문에 단위면적당 미끄럼방지용 돌기(20)의 개수(구두 밑창 본체(10)의 하면에 돌기 비형성 영역이 있는 경우에는 돌기 형성 영역에서의 값. 이하 동일.)는, 통상적으로 0.5개/cm2 이상이 된다. 단위면적당 미끄럼방지용 돌기(20)의 개수는, 0.8개/cm2 이상이면 바람직하고, 1개/cm2 이상이면 보다 바람직하다.The number of non-slip protrusions 20 installed per unit area varies depending on the dimensions of the anti-slip protrusions 20 and the like, an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However, if the number of anti-slip protrusions 20 per unit area is too small, the total number of anti-slip protrusions 20 installed on the shoe sole body 10 decreases, and the maximum static friction coefficient and the dynamic friction coefficient of the shoe sole There is a risk that it will be difficult to raise to the required level. Therefore, the number of non-slip protrusions 20 per unit area (the value in the protrusion formation area when there is a protrusion non-formation area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hoe sole body 10. The same below) is usually 0.5/cm 2 it becomes more The number of non-slip protrusions 20 per unit area is preferably 0.8/cm 2 or more, and more preferably 1/cm 2 or more.

한편 단위면적당 미끄럼방지용 돌기(20)의 개수가 너무 많으면 각각의 미끄럼방지용 돌기(20)의 치수가 필연적으로 작아져서, 구두 밑창 성형이 곤란해지거나 각각의 미끄럼방지용 돌기(20)의 강도를 확보하기 어려워질 우려가 있다. 그렇기 때문에 단위면적당 미끄럼방지용 돌기(20)의 개수는, 통상적으로 10개/cm2 이하가 된다. 단위면적당 미끄럼방지용 돌기(20)의 개수는, 5개/cm2 이하면 바람직하고, 3개/cm2 이하면 보다 바람직하며, 2개/cm2 이하면 더욱 바람직하다. 제 1 실시양태의 구두 밑창에 있어서, 단위면적당 미끄럼방지용 돌기(20)의 개수는, 구두 밑창 본체(10)의 하면 전체(돌기 형성 영역)에 있어서 거의 균일하게 되어있지만, 단위면적당 미끄럼방지용 돌기(20)의 개수는, 장소에 따라 증감시켜도 된다. On the other hand, if the number of anti-slip protrusions 20 per unit area is too large, the size of each anti-slip protrusion 20 inevitably becomes small, making it difficult to mold a shoe outsole or making it difficult to secure the strength of each anti-slip protrusion 20. There is a risk that it will become difficult. Therefore, the number of non-slip protrusions 20 per unit area is usually 10/cm 2 or less. The number of non-slip protrusions 20 per unit area is preferably 5/cm 2 or less, more preferably 3/cm 2 or less, and even more preferably 2/cm 2 or less. In the shoe sole of the first embodiment, the number of anti-slip protrusions 20 per unit area is substantially uniform over the entire lower surface of the sole body 10 (protrusion formation area), but the anti-slip protrusions per unit area ( 20) may be increased or decreased depending on the location.

인접하는 미끄럼방지용 돌기(20)의 간극 폭(W0, 도 2)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그러나 간극 폭(W0)을 너무 좁게 하면 인접하는 미끄럼방지용 돌기(20)의 간극에 자갈과 모래 등이 쌓이기 쉬워질 우려가 있다. 또한 구두 밑창으로 힘주어 섰을 때, 미끄럼방지용 돌기(20)는, 그 높이 방향으로 압축되고 지름 방향으로 넓어진 상태가 되므로, 인접하는 미끄럼방지용 돌기(20)가 서로 간섭하여 소망하는 내활 성능을 얻기 어려워질 우려가 있다. 그렇기 때문에 간극의 폭(W0, 장소에 따라서 간극의 폭(W0)이 다른 경우에는 그 최소값. 다음 문장에서도 동일.)은, 통상적으로 0.1 mm 이상이 된다. 간극의 폭(W0)은, 0.3 mm 이상으로 하면 바람직하고, 0.5 mm 이상으로 하면 보다 바람직하다. 한편 간극의 폭(W0)을 너무 넓게 하면 단위면적당 미끄럼방지용 돌기(20)의 개수를 많게 하기 어려워지고, 소망하는 내활 성능을 얻기 어려워질 우려가 있다. 그렇기 때문에 간극의 폭(W0, 장소에 따라서 간극의 폭(W0)이 다른 경우에는 그 최대값. 다음 문장에서도 동일.)은, 통상적으로 10 mm 이하로 된다. 간극의 폭(W0)은, 5 mm 이하로 하면 바람직하고, 3 mm 이하로 하면 보다 바람직하다.The gap width (W 0 , FIG. 2 ) of adjacent non-slip protrusions 20 is not particularly limited either. However, when the gap width W 0 is made too narrow, there is a risk that gravel, sand, and the like may easily accumulate in the gap between the adjacent non-slip protrusions 20 . In addition, when standing on the sole of a shoe, the non-slip protrusions 20 are compressed in the height direction and widened in the radial direction, so that adjacent anti-slip protrusions 20 interfere with each other, making it difficult to obtain the desired sliding performance. There are concerns about quality. Therefore, the gap width (W 0 , the minimum value when the gap width (W 0 ) differs depending on the place. The same applies in the next sentence) is usually 0.1 mm or more. The gap width (W 0 ) is preferably 0.3 mm or more, and more preferably 0.5 mm or more. On the other hand, if the width W 0 of the gap is too wide, it becomes difficult to increase the number of anti-slip protrusions 20 per unit area, and there is a possibility that it becomes difficult to obtain desired slide resistance. Therefore, the width of the gap (W 0 , the maximum value when the width of the gap (W 0 ) differs depending on the place. The same applies in the next sentence) is usually 10 mm or less. The gap width (W 0 ) is preferably 5 mm or less, and more preferably 3 mm or less.

미끄럼방지용 돌기(20)는, 통상적으로 구두 밑창 본체(10)에 대해서 일체적으로 성형된다. 구두 밑창의 성형 재료는, 종래부터 구두 밑창의 아웃솔부에 사용되고 있는 각종 고무와 엘라스토머 등을 채용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합성 고무, 천연 고무, 열가소성 스티렌부타디엔 고무(SBS), 스티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SIS),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EVA), 폴리우레탄 및 폴리염화비닐로 이루어지는 그룹에서 선택된 1종류 또는 복수 종류의 탄성중합체와, 고무 배합제로 이루어지는 것을, 구두 밑창의 성형 재료로서 사용할 수 있다. The non-slip protrusion 20 is usually integrally molded with respect to the shoe sole body 10. As the molding material for the shoe sole, various kinds of rubber, elastomer, etc. conventionally used for the outsole part of the shoe sole can be employed. More specifically,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ynthetic rubber, natural rubber, thermoplastic styrene butadiene rubber (SBS), styrenic thermoplastic elastomer (SIS), ethylene vinyl acetate copolymer (EVA), polyurethane and polyvinyl chloride A material made of a kind of elastomer and a rubber compounding agent can be used as a molding material for shoe soles.

구두 밑창의 경도(아웃솔부의 경도)는, 구두 밑창의 성형 재료 등에 따라서도 다르고,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그러나 구두 밑창의 아웃솔부가 너무 부드러우면 미끄럼방지용 돌기(20)의 강도를 유지하기 어려워질 우려가 있다. 그렇기 때문에 구두 밑창의 아웃솔부를 고무로 형성하는 경우에는, 상기 아웃솔부의 경도(A 경도계로 측정된 값. 이하, 고무의 경우에도 동일.)는, 통상적으로 10도 이상으로, 20도 이상이면 바람직하고, 30도 이상이면 보다 바람직하며, 35도 이상이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구두 밑창의 아웃솔부를 EVA로 형성하는 경우에는, 상기 아웃솔부의 경도(E 경도계로 측정된 값. 이하, EVA의 경우도 동일.)는, 10도 이상이면 바람직하고, 20도 이상이면 보다 바람직하며, 30도 이상이면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구두 밑창의 아웃솔부가 너무 단단하면, 미끄럼방지용 돌기(20)가 탄성 변형되기 어려워져서 보행면을 따르기 어려워지고, 소망하는 내활 성능을 얻기 어려워질 우려가 있다. 또한 구두 밑창의 완충성이 저하되어, 구두의 착용감이 나빠질 우려도 있다. 그렇기 때문에 구두 밑창의 아웃솔부를 고무로 형성하는 경우에는, 상기 아웃솔부의 경도는 70도 이하면 바람직하고, 60도 이하면 보다 바람직하며, 50도 이하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구두 밑창의 아웃솔부를 EVA로 형성하는 경우에는, 상기 아웃솔부의 경도는 통상적으로 70도 이하로, 60도 이하로 하면 바람직하고, 50도 이하로 하면 보다 바람직하며, 40도 이하로 하면 더욱 바람직하다. The hardness of the shoe sole (hardness of the outsole portion) also varies depending on the molding material of the shoe sole, an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However, if the outsole portion of the shoe sole is too soft, it may be difficult to maintain the strength of the non-slip protrusion 20 . Therefore, when the outsole part of the shoe sole is formed of rubber, the hardness of the outsole part (a value measured by A durometer. Hereinafter, the same applies to rubber) is usually 10 degrees or more, preferably 20 degrees or more, , It is more preferable when it is 30 degrees or more, and it is more preferable when it is 35 degrees or more. In addition, when the outsole part of the shoe sole is formed of EVA, the hardness of the outsole part (a value measured by E durometer. Hereinafter, the same applies to EVA) is preferably 10 degrees or more, more preferably 20 degrees or more, , more preferably 30 degrees or more. On the other hand, if the outsole portion of the sole of the shoe is too hard, the non-slip protrusion 20 becomes difficult to elastically deform, making it difficult to follow the walking surface, and there is a risk that desired sliding performance may be difficult to obtain. In addition,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cushioning property of the shoe sole is lowered and the wearing comfort of the shoe is deteriorated. Therefore, when the outsole part of the shoe sole is formed of rubber, the hardness of the outsole part is preferably 70 degrees or less, more preferably 60 degrees or less, and even more preferably 50 degrees or less. In addition, when the outsole part of the shoe sole is made of EVA, the hardness of the outsole part is usually 70 degrees or less, preferably 60 degrees or less, more preferably 50 degrees or less, and even more preferably 40 degrees or less. .

그런데 각각의 미끄럼방지용 돌기(20)는, 통상적으로 기둥상으로 형성된다. 제 1 실시양태의 구두 밑창에 있어서는, 도 3(a)에 도시한 것과 같이 미끄럼방지용 돌기(20)를 원기둥상으로 형성하고 있다. 그러나 미끄럼방지용 돌기(20)의 형태는, 원기둥상으로 형성되지 않고, 삼각기둥상, 사각기둥상 또는 육각기둥상 등 다각기둥상으로 하거나 타원기둥상으로 하거나 이들을 조합한 형태로 할 수 있다. 또한 제 1 실시양태의 구두 밑창에 있어서는, 미끄럼방지용 돌기(20)의 외경(D0, 도 3(a))은, 높이에 상관없이 일정하게 되어 있지만, 미끄럼방지용 돌기(20)의 외주면을 테이퍼상으로 형성하는 등 미끄럼방지용 돌기(20)의 외경(D0)을, 높이에 따라서 변화시켜도 된다. By the way, each anti-slip protrusion 20 is normally formed in a columnar shape. In the shoe sole of the first embodiment, as shown in Fig. 3(a), the non-slip protrusion 20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However, the shape of the anti-slip protrusion 20 is not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but may be a polygonal column shape such as a triangular columnar shape, a square columnar shape, or a hexagonal columnar shape, or an elliptical columnar shape, or a combination thereof. In the shoe sole of the first embodiment, the outer diameter (D 0 , Fig. 3(a)) of the non-slip protrusion 20 is constant regardless of the height, but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anti-slip protrusion 20 is tapered. The outer diameter D 0 of the anti-slip protrusion 20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height.

미끄럼방지용 돌기(20)의 외경(D0, 도 3(a))에 대한 높이(H0, 도 3(a))의 비 H0/D0는, 미끄럼방지용 돌기(20)의 성형 재료 등에 따라서도 다르고,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그러나 H0/D0가 너무 작으면, 미끄럼방지용 돌기(20)가 평탄한 형태가 되고, 소망하는 내활 성능을 얻기 어려워질 우려가 있다. 그렇기 때문에 H0/D0는, 통상적으로 0.1 이상이 된다. H0/D0는 0.2 이상이면 바람직하고, 0.3 이상이면 보다 바람직하다. 한편 H0/D0가 너무 크면 미끄럼방지용 돌기(20)가 가늘고 긴 형태가 되어, 미끄럼방지용 돌기(20)의 강도를 높게 유지하는 것이 곤란해질 우려가 있다. 그렇기 때문에 H0/D0는, 통상적으로 3 이하가 된다. H0/D0는 2 이하면 바람직하고, 1 이하면 보다 바람직하다. The ratio H 0 /D 0 of the height (H 0 , FIG. 3 (a)) to the outer diameter (D 0 , FIG. 3 (a)) of the non-slip protrusion 20 is the molding material of the non-slip protrusion 20, etc. Depending on this, it is also different an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However, when H 0 /D 0 is too small, the non-slip protrusion 20 becomes a flat shape, and there is a possibility that it is difficult to obtain desired sliding resistance. Therefore, H 0 /D 0 is usually 0.1 or more. H 0 /D 0 is preferably 0.2 or more, and more preferably 0.3 or more. On the other hand, when H 0 /D 0 is too large, the anti-slip protrusion 20 becomes thin and long, and there is a concern that it may become difficult to maintain the strength of the anti-slip protrusion 20 high. Therefore, H 0 /D 0 is usually 3 or less. H 0 /D 0 is preferably 2 or less, and more preferably 1 or less.

미끄럼방지용 돌기(20)의 외경(D0, 도 3(a))은, 통상적으로 2 mm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5 mm 이상이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7 mm 이상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미끄럼방지용 돌기(20)의 외경(D0)은, 통상적으로 30 mm 이하이며, 바람직하게는 20 mm 이하이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15 mm 이하로 할 수 있다. 한편 미끄럼방지용 돌기(20)의 높이(H0, 도 3(a))는 통상적으로 1 mm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2 mm 이상이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3 mm 이상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미끄럼방지용 돌기(20)의 높이(H0)는, 통상적으로 15 mm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10 mm 이하이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7 mm 이하로 할 수 있다. The outer diameter (D 0 , FIG. 3(a)) of the non-slip protrusion 20 is usually 2 mm or more, preferably 5 mm or more, and more specifically, 7 mm or more. In addition, the outer diameter (D 0 ) of the non-slip protrusion 20 is usually 30 mm or less, preferably 20 mm or less, and more specifically, 15 mm or less. Meanwhile, the height of the non-slip protrusion 20 (H 0 , FIG. 3(a)) is usually 1 mm or more, preferably 2 mm or more, and more specifically, 3 mm or more. In addition, the height (H 0 ) of the non-slip protrusion 20 is usually 15 mm or less, preferably 10 mm or less, and more specifically, 7 mm or less.

또한 제 1 실시양태의 구두 밑창에 있어서는, 도 3에 도시한 것과 같이 각각의 미끄럼방지용 돌기(20)의 하단면에, 단면이 원형인 유발 형상으로 움푹 패인 오목부(21)를 형성하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미끄럼방지용 돌기(20)를 흡반처럼 보행면에 흡착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오목부(21)의 내주면은, 매끄럽게 형성해도 되지만, 제 1 실시양태의 구두 밑창에 있어서는, 오목부(21)의 내주면에, 단차부(22)를 원환상으로 형성하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구두 밑창으로 힘주어 서기 시작한 직후뿐만 아니라 그 후에도 미끄러지기 어렵게 하는 것이 가능해졌다. 또한 단차부(22)를 환상으로 형성함으로써, 그 미끄러지기 어려움을 모든 방향에 대해서 발현시키는 것이 가능해졌다. 제 1 실시양태의 구두 밑창은, 전후 방향으로 힘주어 서는 경우뿐만 아니라 횡방향으로 힘주어 서는 경우(예를 들면 반복적으로 옆으로 뛰기를 하는 경우)에도 뛰어난 내활 성능이 얻어지는 것으로 되어 있다.Further, in the shoe sole of the first embodiment, as shown in Fig. 3, a concave portion 21 recessed in a bowl shape with a circular cross section is formed on the lower end surface of each non-slip protrusion 20. Therefore, it is possible to adsorb the non-slip protrusion 20 to the walking surface like a sucker.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cave portion 21 may be formed smoothly, but in the shoe sole of the first embodiment, the stepped portion 22 is formed in an annular shape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cave portion 21 . Therefore, it became possible to make it difficult to slip not only immediately after starting to stand up with the sole of the shoe, but also after that. Further, by forming the stepped portion 22 in an annular shape, it is possible to develop the slip resistance in all directions. The shoe outsole of the first embodiment is supposed to have excellent sliding performance not only when standing with force in the front-rear direction but also when standing with force in the lateral direction (for example, when repeatedly jumping sideways).

오목부(21)의 내주면에 단차부(22)를 설치하는 경우, 단차부(22)의 개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그러나 단차부(22)의 단수가 적으면 미끄럼방지용 돌기(20)의 마모에 의해 단차부(22)가 없어지기 쉬워진다. 또한 소망하는 내활 성능을 얻기 어려워질 우려도 있다. 그렇기 때문에 단차부(22)의 단 수는 2단 이상으로 하면 바람직하고, 3단 이상으로 하면 보다 바람직하다. 한편 단차부(22)의 단 수에 특별히 상한은 없지만, 단차부(22)의 단 수를 너무 많게 하면 미끄럼방지용 돌기(22)의 성형이 곤란해질 우려가 있다. 그렇기 때문에 단차부(22)의 단 수는, 통상적으로 10단 이하가 된다. 단차부(22)의 단 수는 7단 이하면 바람직하고, 5단 이하면 보다 바람직하다. In the case where the stepped portion 22 is provid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cave portion 21, the number of stepped portions 22 is not particularly limited. However, when the number of stages of the stepped portion 22 is small, the stepped portion 22 tends to disappear due to abrasion of the non-slip protrusion 20 . Moreover, there exists a possibility that it may become difficult to obtain desired slide resistance performance. Therefore, the number of stages of the stepped portion 22 is preferably two or more, and more preferably three or more. On the other hand, there is no particular upper limit to the number of stages of the stepped portion 22, but if the number of stages of the stepped portion 22 is too large, molding of the non-slip protrusion 22 may become difficult. Therefore, the number of stages of the stepped portion 22 is usually 10 or less. The number of stages of the stepped portion 22 is preferably 7 or less, and more preferably 5 or less.

단차부(22)의 폭(W1, 도 3(b))에 대한 단차부(22)의 높이(H1, 도 3(b))의 비 H1/W1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그러나 H1/W1이 너무 작으면 필연적으로 오목부(21) 내주면의 경사가 완만해지고, 미끄럼방지용 돌기(20)가 보행면에 흡착되기 어려워진다. 그렇기 때문에 H1/W1은 통상적으로 0.1 이상이 된다. H1/W1는 0.3 이상이면 바람직하고, 0.5 이상이면 보다 바람직하다. 한편 H1/W1이 너무 크면 단차부(22)가 미끄럼방지용 돌기(20)의 하단면으로부터 깊은 장소에 위치하게 되고, 단차부(22)의 모서리부가 보행면에 접촉하기 어려워져서 소망하는 내활 성능을 얻기 어려워질 우려가 있다. 그렇기 때문에 H1/W1은 통상적으로 3 이하가 된다. H1/W1은 2 이하면 바람직하고, 1.5 이하면 보다 바람직하다. The ratio H 1 /W 1 of the height (H 1 , FIG. 3(b)) of the stepped portion 22 to the width (W 1 , FIG. 3(b)) of the stepped portion 22 is not particularly limited. However, if H 1 /W 1 is too small, the slope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cave portion 21 inevitably becomes gentle, making it difficult for the non-slip protrusion 20 to be adsorbed to the walking surface. Therefore, H 1 /W 1 is usually greater than or equal to 0.1. H 1 /W 1 is preferably 0.3 or more, and more preferably 0.5 or more. On the other hand, if H 1 /W 1 is too large, the step portion 22 is located deep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non-slip protrusion 20, and it is difficult for the corner portion of the step portion 22 to come into contact with the walking surface, resulting in the desired slide resistance. Performance may be difficult to obtain. Therefore, H 1 /W 1 is usually 3 or less. H 1 /W 1 is preferably 2 or less, and more preferably 1.5 or less.

단차부(22)의 폭(W1, 도 3(b))은, 미끄럼방지용 돌기(20)의 외경(D0)과 단차부(22)의 단 수 등에 따라서 다르지만, 통상적으로 0.3 mm 이상이 되고, 바람직하게는 0.4 mm 이상이 되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0.5 mm 이상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단차부(22)의 폭(W1)은, 통상적으로 5 mm 이하가 되고, 바람직하게는 3 mm 이하가 되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1 mm 이하가 된다. 단차부(22)를 2단 이상 설치하는 경우에는, 단차부(22)의 폭(W1)은 모든 단차부(22)에서 동일하게 설정해도 되고, 단에 따라서 변화시켜도 된다. 한편 단차부(22)의 높이(H1, 도 3(b))는, 미끄럼방지용 돌기(20)의 높이(H0)와 단차부(22)의 단 수 등에 따라서 다르지만, 통상적으로 0.1 mm 이상이 되며, 바람직하게는 0.2 mm 이상이 되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0.3 mm 이상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단차부(22)의 높이(H1)는 통상적으로 3 mm 이하가 되고, 바람직하게는 2 mm 이하가 되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1 mm 이하로 할 수 있다. 단차부(22)를 2단 이상 설치하는 경우에는, 단차부(22)의 높이(H1)는, 모든 단차부(22)에 있어서 동일하게 설정해도 되고, 단에 따라서 변화시켜도 된다. The width (W 1 , FIG. 3(b)) of the stepped portion 22 varies depending on the outer diameter (D 0 ) of the non-slip protrusion 20 and the number of stages of the stepped portion 22, but is usually 0.3 mm or more. And, preferably, it is 0.4 mm or more, and more specifically, it can be 0.5 mm or more. Also, the width W 1 of the stepped portion 22 is usually 5 mm or less, preferably 3 mm or less, and more specifically 1 mm or less. When the stepped portions 22 are provided in two or more stages, the width W 1 of the stepped portions 22 may be set to be the same for all the stepped portions 22 or may be varied depending on the stage. On the other hand, the height (H 1 , FIG. 3(b)) of the stepped portion 22 varies depending on the height H 0 of the non-slip protrusion 20 and the number of stages of the stepped portion 22, but is usually 0.1 mm or more. It becomes, Preferably it becomes 0.2 mm or more, More specifically, it can be 0.3 mm or more. In addition, the height (H 1 ) of the stepped portion 22 is usually 3 mm or less, preferably 2 mm or less, and more specifically, 1 mm or less. When the stepped portions 22 are provided in two or more stages, the height H 1 of the stepped portions 22 may be set to be the same for all the stepped portions 22 or may be varied depending on the stage.

더욱이 제 1 실시양태의 구두 밑창에 있어서는, 도 3에 도시한 것과 같이 각각의 미끄럼방지용 돌기(20)에 있어서 오목부(21)의 중심부에, 물 빠짐 홀(23)이 설치되어 있다. 이 물 빠짐 홀(23)은, 구두 밑창 본체(10)에 설치된 물 배출로(11)에 연통되어 설치되어 있다. 물 배출로(11)는, 구두 밑창 본체(10)의 외주면(측면)까지 연통된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그렇기 때문에 물이 있는 상태의 보행면을 보행하는 경우, 오목부(22)에 들어간 물이 물 빠짐 홀(23)에 의해 빨아올려진 후, 물 배출로(11)를 통하여 구두 밑창 본체(10)의 외측에 배출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물이 있는 보행면을 보행하는 경우라도 구두 밑창의 내활 성능을 유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물 배출로(11)를 어떤 식으로 설치할지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제 1 실시양태의 구두 밑창에 있어서는, 구두 밑창 본체(10)의 상면(z축 방향 양수 측 면)에 형성한 오목 홈을 물 배출로(11)로 하고 있다. 구두 밑창 본체(10, 아웃솔부)의 상면 측에는, 후술하는 것과 같이 도시를 생략한 미드솔부가 고착되므로, 물 배출로(11, 오목 홈)의 상측은 미드솔부로 막힌 상태가 된다. Furthermore, in the shoe sole of the first embodiment, as shown in Fig. 3, a water drainage hole 23 is provided in the center of the concave portion 21 of each non-slip protrusion 20. This water drainage hole 23 communicates with a water discharge path 11 provided in the shoe sole body 10 and is provided. The water discharge path 11 is provided in a state of communication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side surface) of the shoe sole body 10 . Therefore, when walking on a walking surface with water, the water entering the concave portion 22 is sucked up by the water drain hole 23, and then the shoe sole body 10 through the water discharge path 11 It is designed to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Therefore, even when walking on a walking surface with water, the sliding resistance of the shoe sole can be maintained. Although there is no particular limitation on how the water discharge path 11 is provided, in the shoe sole of the first embodiment, the concave groov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positive side in the z-axis direction) of the shoe sole body 10 is water It is set as the discharge path 11. Since a midsole (not shown) is fixed to the upper surface side of the shoe sole main body 10 (outsole), the upper side of the water discharge path 11 (concave groove) is blocked by the midsole.

물 빠짐 홀(23)의 직경(D1, 도 3(a))은, 미끄럼방지용 돌기(20)의 직경(D0)과, 단차부(22)의 단 수, 단차부(22)의 폭(W1) 등에 따라서도 다르고,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그러나 물 빠짐 홀(23)의 직경(D1)이 너무 작으면 물 빠짐 홀(23)에 자갈과 모래 등이 쌓이기 쉬워질 우려가 있다. 그렇기 때문에 물 빠짐 홀(23)의 직경(D1)은, 통상적으로 0.5 mm 이상이 된다. 물 빠짐 홀(23)의 직경(D1)은, 1 mm 이상이면 바람직하고, 1.5 mm 이상이면 보다 바람직하다. 한편 물 빠짐 홀(23)의 직경(D1)이 너무 크면 필연적으로 미끄럼방지용 돌기(20)의 외경(D1)도 커지고, 단위면적당 미끄럼방지용 돌기(20)의 개수를 많게 하기 어려워져서, 소망하는 내활 성능을 얻기 어려워질 우려가 있다. 그렇기 때문에 물 빠짐 홀(23)의 직경(D1)은, 통상적으로 20 mm 이하가 된다. 물 빠짐 홀(23)의 직경(D1)은 10 mm 이하로 하면 바람직하고, 7 mm 이하로 하면 보다 바람직하다. The diameter (D 1 , FIG. 3(a)) of the water drain hole 23 is the diameter (D 0 ) of the non-slip protrusion 20, the number of stages of the stepped portion 22, and the width of the stepped portion 22. (W 1 ) It is also different depending on the like an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However, if the diameter D 1 of the draining hole 23 is too small, there is a concern that gravel, sand, etc. may easily accumulate in the draining hole 23 . Therefore, the diameter D 1 of the water drain hole 23 is usually 0.5 mm or more. The diameter D 1 of the water drain hole 23 is preferably 1 mm or more, and more preferably 1.5 mm or more. On the other hand, if the diameter (D 1 ) of the water drain hole 23 is too large, the outer diameter (D 1 ) of the anti-slip protrusions 20 inevitably increases, and it becomes difficult to increase the number of anti-slip protrusions 20 per unit area. There is a risk that it may become difficult to obtain the desired bow resistance performance. Therefore, the diameter D 1 of the water drain hole 23 is usually 20 mm or less. The diameter D 1 of the water drain hole 23 is preferably 10 mm or less, and more preferably 7 mm or less.

이상에서 서술한 제 1 실시양태의 구두 밑창은, 빙면에 대한 동마찰 계수(μ1로 한다.)가, 빙면에 대한 최대 정지 마찰 계수(μ0로 한다.)보다 커지도록 되어 있다. 빙면에서의 최대 정지 마찰 계수(μ0)에 대한 동마찰 계수(μ1)의 비(μ10)는, 1보다 크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1.1 이상이면 바람직하고, 1.2 이상이면 보다 바람직하다. 제 1 실시양태의 구두 밑창에서는, 후술하는 것과 같이 빙면에서의 μ10를 1.3 이상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μ10에 특별히 상한은 없지만, 현실적으로는 빙면에서의 μ10는, 1.5 ~ 2 정도가 한도가 된다고 생각된다.In the shoe sole of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the coefficient of kinetic friction against the ice surface (referred to as μ 1 ) is greater than the maximum coefficient of static friction against the ice surface (referred to as μ 0 ). The ratio of the dynamic friction coefficient (μ 1 ) to the maximum static friction coefficient (μ 0 ) on the ice surface (μ 1 / μ 0 )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is greater than 1, but is preferably 1.1 or more, and more preferably 1.2 or more. do. In the shoe sole of the first embodiment, it is also possible to set μ 10 on the ice surface to 1.3 or more as will be described later. Although there is no particular upper limit to μ 1 / μ 0 , it is thought that in reality, μ 1 / μ 0 on the ice surface is limited to about 1.5 to 2.

빙면에 대한 동마찰 계수(μ1)의 구체적인 값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그러나 동마찰 계수(μ1)가 너무 작으면 내활성이 뛰어난 것이라고는 더 이상 말할 수 없게 된다. 그렇기 때문에 빙면에 대한 동마찰 계수(μ1)는, 통상적으로 0.3 이상이 된다. 빙면에 대한 동마찰 계수(μ1)는 상술한 것과 같이 0.25 이상으로 하면 바람직하고, 0.30 이상으로 하면 보다 바람직하며, 0.35 이상으로 하면 더욱 바람직하고, 0.37 이상으로 하면 최적이다. 제 1 실시양태의 구두 밑창에서는, 후술하는 것과 같이 빙면에 대한 동마찰 계수(μ1)를 0.39 이상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동마찰 계수(μ1)는 높으면 높을수록 바람직하지만, 현실적으로는 빙면에서는 0.7 이상으로 하는 것은 어렵다고 생각된다.A specific value of the coefficient of kinetic friction (μ 1 ) with respect to the ice surfac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either. However, if the coefficient of kinetic friction (μ 1 ) is too small, it can no longer be said that the sliding resistance is excellent. Therefore, the coefficient of kinetic friction against the ice surface (μ 1 ) is usually 0.3 or more. As described above, the coefficient of kinetic friction (μ 1 ) against the ice surface is preferably 0.25 or more, more preferably 0.30 or more, more preferably 0.35 or more, and optimal if 0.37 or more. In the shoe sole of the first embodiment, 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coefficient of kinetic friction (μ 1 ) against the ice surface can be set to 0.39 or more. The higher the coefficient of kinetic friction (μ 1 ) is, the better it is, but realistically it is considered difficult to set it to 0.7 or more on the ice surface.

그런데 제 1 실시양태의 구두 밑창을 실제 구두에 구비하는 경우에는, 그 구두 밑창 본체(10)의 상면 측에, 도시를 생략한 미드솔부를 설치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미드솔부의 경도는, 통상적으로 구두 밑창 본체(10)의 경도보다 낮다. 이로써 힘주어 서기 시작한 직후뿐만 아니라 그 후에도 계속하여 버틸 수 있다는 특성이, 실제 구두에 보다 적절히 발현되기 쉽게 할 수 있다. 미드솔부는, 아웃솔부보다 부드러운 것이라면 그 성형 재료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미드솔부의 성형 재료로서는, 종래부터 구두 밑창의 미드솔부에 사용되고 있는 각종 고무와 엘라스토머 등을 채용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합성 고무, 천연 고무, 열가소성 스티렌부타디엔 고무(SBS), 스티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SIS),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EVA), 폴리우레탄 및 폴리염화비닐로 이루어지는 그룹에서 선택된 1종류 또는 복수 종류의 탄성중합체와, 고무 배합제로 이루어지는 것을, 미드솔부의 성형 재료로서 사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EVA는 미드솔부의 성형 재료로서 바람직하다. By the way, in the case where actual shoes are provided with the shoe sole of the first embodiment, it is also preferable to provide a midsole portion (not shown) on the upper surface side of the shoe sole main body 10. The hardness of the midsole portion is usually lower than that of the sole body 10 of the shoe.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more properly express the characteristic of being able to endure not only immediately after starting to stand up with strength but also after that, more properly in actual shoes. The molding material of the midsole por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is softer than the outsole portion. As the molding material for the midsole portion, various rubbers and elastomers conventionally used for the midsole portion of shoe soles can be employed. More specifically,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ynthetic rubber, natural rubber, thermoplastic styrene butadiene rubber (SBS), styrenic thermoplastic elastomer (SIS), ethylene vinyl acetate copolymer (EVA), polyurethane and polyvinyl chloride A material made of a kind of elastomer and a rubber compounding agent can be used as a molding material for the midsole portion. Among them, EVA is preferable as a molding material for the midsole portion.

미드솔부의 경도는, 아웃솔부의 경도보다 낮으면 구체적인 값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아웃솔부의 경도보다 적어도 5 ~ 10도 이상, 경우에 따라서는 15 ~ 20 도정도 이상 낮게 하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미드솔부를 EVA로 형성하는 경우에는, 미드솔부의 경도(E 경도계로 측정된 값. 이하, EVA의 경우도 동일.)는 50도 이하로 하면 바람직하고, 40도 이하로 하면 보다 바람직하며, 30도 이하로 하면 더욱 바람직하다. 미드솔부의 경도의 하한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미드솔부를 너무 부드럽게 하면 미드솔부의 강도를 유지할 수 없게 될 우려가 있다. 그렇기 때문에 미드솔부를 EVA로 형성하는 경우에는, 미드솔부의 경도는 5도 이상으로 하면 바람직하고, 10도 이상으로 하면 보다 바람직하며, 15도 이상으로 하면 더욱 바람직하다. The hardness of the midsol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is lower than the hardness of the outsole, but it is preferable to lower the hardness of the outsole by at least 5 to 10 degrees, and in some cases by 15 to 20 degrees or more. For example, when the midsole part is made of EVA, the hardness of the midsole part (a value measured with an E hardness meter. Hereinafter, the same applies to EVA) is preferably 50 degrees or less, more preferably 40 degrees or less, It is more preferable if it is 30 degrees or less. The lower limit of the hardness of the midsol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f the midsole is too soft, the strength of the midsole may not be maintained. Therefore, when the midsole portion is formed of EVA, the hardness of the midsole portion is preferably 5 degrees or more, more preferably 10 degrees or more, and even more preferably 15 degrees or more.

2. 제 2 실시양태의 구두 밑창2. Outsole of the second embodiment

계속해서 제 2 실시양태의 구두 밑창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제 2 실시양태의 구두 밑창을 하면 측으로부터 본 저면도로서, 상기 구두 밑창의 도 1에서의 A부에 해당하는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5는, 제 2 실시양태의 구두 밑창의 미끄럼방지용 돌기 1개를 확대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a)는 미끄럼방지용 돌기의 전체를 도시하고 있고, 도 5(b)는 도 5(a)의 미끄럼방지용 돌기를 y-z면에 평행한 평면 B로 파단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Next, the shoe sole of the second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Fig. 4 is a bottom view of the shoe sole of the second embodiment as seen from the bottom side, and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corresponding to section A in Fig. 1 of the shoe sole.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nlarged state of one non-slip protrusion of the shoe sole of the second embodiment. Fig. 5 (a) shows the entire non-slip protrusion, and Fig. 5 (b) shows a state in which the anti-slip protrusion of Fig. 5 (a) is broken into a plane B parallel to the y-z plane.

상술한 제 1 실시양태의 구두 밑창에서는, 미끄럼방지용 돌기(20)가 원기둥상으로 형성되어 있었지만, 제 2 실시양태의 구두 밑창에서는,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것과 같이 각각 미끄럼방지용 돌기(20)가 사각기둥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수반하여 제 2 실시양태의 구두 밑창에서는, 물 빠짐 홀(23)은 단면이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오목부(21)도 단면이 사각형인 유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단차부(22)는, 사각 환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처럼 사각기둥상인 미끄럼방지용 돌기(20)를 설치함으로써도, 빙면에 대한 동마찰 계수(μ1)를, 빙면에 대한 최대 정지 마찰 계수(μ0)보다 크게 할 수 있다.In the shoe sole of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the non-slip protrusion 20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but in the shoe sole of the second embodiment, as shown in FIGS. 4 and 5, respectively, the anti-slip protrusion 20 ) is formed in the shape of a square prism. Concomitantly with this, in the shoe sole of the second embodiment, the drain hole 23 is formed in a rectangular cross section, and the concave portion 21 is also formed in a bowl shape with a rectangular cross section. In addition, the stepped portion 22 is formed in a quadrangular annular shape. Even by providing the anti-slip protrusion 20 in the shape of a square column in this way, the coefficient of kinetic friction (μ 1 ) against the ice surface can be made higher than the maximum coefficient of static friction (μ 0 ) against the ice surface.

제 2 실시양태의 구두 밑창은, 제 1 실시양태의 구두 밑창보다 미끄럼방지용 돌기(20)를 밀집 배치할 수 있다는 이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단차부(22)에 직선부를 많이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직선부에 수직한 방향에 대한 내활 성능을 높이기 쉽다는 이점도 가지고 있다. 제 2 실시양태의 구두 밑창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은 구성은, 제 1 실시양태의 구두 밑창과 거의 동일한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The sole of the shoe of the second embodiment has an advantage that the non-slip protrusions 20 can be densely arranged compared to the sole of the shoe of the first embodiment. In addition, since many straight parts can be secured in the stepped part 22, it also has an advantage that it is easy to increase the sliding resistance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traight part. As for the structure not specifically mentioned in the shoe sole of the second embodiment, almost the same structure as the shoe sole of the first embodiment can be employed.

3. 제 3 실시양태의 구두 밑창3. Outsole of the third embodiment

계속해서 제 3 실시양태의 구두 밑창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은, 제 3 실시양태의 구두 밑창을 하면 측으로부터 본 저면도로서, 상기 구두 밑창의 도 1에서의 A부에 해당하는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7은, 제 3 실시양태의 구두 밑창의 미끄럼방지용 돌기 1개를 확대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a)는 미끄럼방지용 돌기의 전체를 도시하고 있고, 도 7(b)는 도 7(a)의 미끄럼방지용 돌기를 y-z면에 평행한 평면 B로 파단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Next, the shoe sole of the third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Fig. 6 is a bottom view of the shoe sole of the third embodiment as seen from the bottom side, and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corresponding to section A in Fig. 1 of the shoe sole. Fig.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nlarged state of one non-slip protrusion of the shoe sole of the third embodiment. Fig. 7 (a) shows the entire non-slip protrusion, and Fig. 7 (b) shows a state in which the non-slip protrusion of Fig. 7 (a) is broken into a plane B parallel to the y-z plane.

제 3 실시양태의 구두 밑창에서는,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것과 같이 각각의 미끄럼방지용 돌기(20)가 육각기둥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수반하여 제 3 실시양태의 구두 밑창에서는, 물 빠짐 홀(23)은 단면이 육각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오목부(21)도 단면이 육각형인 유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단차부(22)는, 육각 환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처럼 육각기둥상인 미끄럼방지용 돌기(20)를 설치함으로써, 빙면에 대한 동마찰 계수(μ1)를, 빙면에 대한 최대 정지 마찰 계수(μ0)보다 크게 할 수 있다.In the shoe sole of the third embodiment, as shown in Figs. 6 and 7, each non-slip protrusion 20 is formed in the shape of a hexagonal column. Correspondingly, in the shoe sole of the third embodiment, the drain hole 23 is formed in a hexagonal cross section, and the concave portion 21 is also formed in a bowl shape with a hexagonal cross section. In addition, the stepped portion 22 is formed in a hexagonal annular shape. By providing the anti-slip protrusion 20 in the shape of a hexagonal column in this way, the coefficient of kinetic friction (μ 1 ) against the ice surface can be made larger than the maximum coefficient of static friction (μ 0 ) against the ice surface.

제 3 실시양태의 구두 밑창은, 제 2 실시양태의 구두 밑창과 동일하게 미끄럼방지용 돌기(20)를 밀집 배치할 수 있다는 이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단차부(22)에 직선부를 많이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직선부에 수직한 방향에 대한 내활 성능을 높이기 쉽다는 이점도 가지고 있다. 제 3 실시양태의 구두 밑창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은 구성은, 제 1 실시양태의 구두 밑창, 제 2 실시양태의 구두 밑창과 거의 동일한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The shoe sole of the third embodiment has the advantage that the non-slip protrusions 20 can be densely arranged as in the shoe sole of the second embodiment. In addition, since many straight parts can be secured in the stepped part 22, it also has an advantage that it is easy to increase the sliding resistance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traight part. As for the structure not specifically mentioned in the shoe sole of the third embodiment, almost the same structure as the shoe sole of the first embodiment and the shoe sole of the second embodiment can be employed.

4. 제 4 실시양태의 구두 밑창4. Outsole of the fourth embodiment

계속해서 제 4 실시양태의 구두 밑창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2는, 제 4 실시양태의 구두 밑창을 하면 측으로부터 본 상태를 도시한 저면도이다. 도 13은, 제 4 실시양태의 구두 밑창을 하면 측으로부터 본 저면도로서, 상기 구두 밑창의 도 12에서의 A부를 확대한 상태를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14는, 제 4 실시양태의 구두 밑창을 구비한 구두로 보행하고 있을 때의 구두 밑창 모습을, 구두의 측방으로부터 본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Next, the shoe sole of the fourth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Fig. 12 is a bottom view showing the state of the shoe sole of the fourth embodiment as viewed from the bottom side. Fig. 13 is a bottom view of the shoe sole of the fourth embodiment as seen from the bottom side, and is an enlarged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portion A in Fig. 12 of the shoe sole is enlarged. Fig. 14 is a diagram showing the state of the sole of a shoe when walking with the shoe provided with the sole of the fourth embodiment, viewed from the side of the shoe.

제 4 실시양태의 구두 밑창은, 도 12 및 도 13에 도시한 것과 같이 각각의 미끄럼방지용 돌기(20)가 사각기둥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 4 실시양태의 구두 밑창에 있어서의 미끄럼방지용 돌기(20)는, 상술한 제 2 실시형태의 구두 밑창에 있어서의 미끄럼방지용 돌기(20, 도 5)와 동일한 형태를 가지고 있다. 단, 제 2 실시양태의 구두 밑창에서는, 도 4에 도시한 것과 같이 구두 밑창의 폭 방향(x축 방향)으로 인접하는 미끄럼방지용 돌기(20)가, 구두 밑창의 전후 방향(y축 방향)으로 1/2 피치씩 어긋난 상태로 배치되어 있는데, 제 4 실시양태의 구두 밑창에서는, 도 13에 도시한 것과 같이 구두 밑창의 폭 방향(x축 방향)으로 인접하는 미끄럼방지용 돌기(20)가, 구두 밑창의 전후 방향(y축 방향)으로 어긋나지 않도록 배치되어 있다. As shown in Figs. 12 and 13, in the shoe sole of the fourth embodiment, each non-slip protrusion 20 is formed in the shape of a square column. The non-slip protrusion 20 in the shoe sole of the fourth embodiment has the same shape as the anti-slip protrusion 20 (FIG. 5) in the shoe sole of the second embodiment described above. However, in the shoe sole of the second embodiment, as shown in FIG. 4, the non-slip protrusions 20 adjacent in the width direction (x-axis direction) of the shoe sole extend in the front-back direction (y-axis direction) of the shoe sole. Although arranged in a state shifted by 1/2 pitch, in the shoe sole of the fourth embodiment, as shown in FIG. 13, the non-slip protrusions 20 adjacent in the width direction (x-axis direction) of the shoe sole, They are arranged so as not to shift in the front-back direction (y-axis direction) of the outsole.

다시 말하면 제 4 실시양태의 구두 밑창에서는, 도 12에 도시한 것과 같이 구두 밑창의 폭 방향(x축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둔 상태에서 구두 밑창의 폭 방향(x축 방향)을 따라서 배치된 복수의 미끄럼방지용 돌기로 이루어지는 돌기 열 L(도 12에 도시한 각각의 파선이 1개의 돌기 열 L에 대응한다.)이, 구두 밑창의 전후 방향(y축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둔 상태로 복수 열로 배치된 상태로 되어 있다. 미끄럼방지용 돌기(20)를 이와 같이 격자상으로 배열함으로써 구두 밑창의 내활성을 더욱 높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특히 설면을 보행하는 경우 등에 있어서도 미끄럼방지용 돌기(20)에, 소망하는 미끄럼방지 작용을 발휘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In other words, in the shoe sole of the fourth embodiment, as shown in FIG. 12, a plurality of soles disposed along the width direction (x-axis direction) of the shoe sole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the width direction (x-axis direction) of the shoe sole. The rows of projections L (each broken line shown in FIG. 12 corresponds to one row of projections L) composed of anti-slip projections are arranged in a plurality of rows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the front-back direction (y-axis direction) of the shoe sole. It is in a deployed state. By arranging the non-slip protrusions 20 in a lattice shape in this way, it is possible to further enhance the sliding resistance of the shoe sole. In particular, it becomes possible to exert a desired anti-slip action on the anti-slip protrusion 20 even when walking on a snowy surface.

왜냐하면 인접하는 미끄럼방지용 돌기(20)의 간극에 눈 등이 쌓이면 미끄럼방지용 돌기(20)가 탄성 변형되기 어려워지는 것에 더하여, 구두 밑창의 저면도 평평해지기(보행면에 설 수 있는 모서리부가 없어지기) 때문에 구두 밑창이 미끄러지기 쉬워질 우려가 있다. 이 점이, 제 4 실시양태의 구두 밑창에서는, 도 14에 도시한 것과 같이 인접하는 미끄럼방지용 돌기(20)의 간극(동일 도면에 있어서 그물 모양 해칭으로 도시한 부분,α)에 눈 등이 쌓였다고 하더라도 보행 시에 있어서, 구두 밑창을 착지시킬 때나 지면을 찰 때 등 구두 밑창의 접지 부분 주변이 만곡된 상태가 되어, 전후 방향으로 인접한 미끄럼방지용 돌기(20)의 간극(α) 폭(W0´)이 당초보다 넓어지는 것에 더하여, 그 간극(α)이 구두 밑창의 폭 방향으로 관통된 상태가 되어 있기 때문에 그 간극(α)에 쌓여있던 눈 등이 쉽게 빠지도록 하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이다. This is because when snow or the like accumulates in the gap between the adjacent non-slip protrusions 20, in addition to making it difficult for the non-slip protrusions 20 to elastically deform, the bottom surface of the shoe sole also becomes flat (there is no corner that can stand on the walking surface). ), so the sole of the shoe may become slippery. This is because in the sole of the shoe of the fourth embodiment, as shown in Fig. 14, it is believed that snow or the like has accumulated in the gap between the adjacent non-slip protrusions 20 (the portion indicated by hatching in the same figure, α). Even when walking, when the sole of the shoe lands or when the ground is kicked, the periphery of the grounding portion of the sole of the shoe is in a curved state, and the width of the gap (α) between the protrusions 20 for preventing slipping adjacent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W 0 ´ ) becomes wider than originally, and since the gap α is penetrate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shoe sole, it becomes possible to easily remove snow accumulated in the gap α.

따라서 제 4 실시양태의 구두 밑창에서는, 인접하는 미끄럼방지용 돌기(20)의 간극 폭(W0, 도 13)을, 제 2 실시양태의 구두 밑창보다 좁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제 4 실시양태의 구두 밑창에서는 미끄럼방지용 돌기(20)를 밀집 배치할 수 있고, 보다 뛰어난 내활 성능을 발휘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 4 실시양태의 구두 밑창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은 구성은, 제 1 실시양태부터 제 3 실시양태까지의 구두 밑창과 거의 동일한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Therefore, in the shoe sole of the fourth embodiment, it becomes possible to make the gap width (W 0 , FIG. 13 ) of adjacent non-slip protrusions 20 narrower than that of the shoe sole of the second embodiment. Therefore, in the shoe sole of the fourth embodiment, the non-slip protrusions 20 can be densely arranged, and it becomes possible to exhibit more excellent sliding performance. As for the structure not specifically mentioned in the shoe sole of the 4th embodiment, almost the same structure as the shoe sole of the 1st to 3rd embodiment can be adopted.

그런데 도 13에 도시한 것과 같이 미끄럼방지용 돌기(20)를 구두 밑창의 폭 방향 및 전후 방향으로 격자상으로 배치하지 않아도 동일한 돌기 열 L(구두 밑창의 폭 방향의 열)을 구성하는 미끄럼방지용 돌기(20)의 전후 위치가 일치하고 있으면, 상술한 것과 같은 효과(전후 방향으로 인접하는 미끄럼방지용 돌기(20)의 간극(α)에 쌓인 눈 등이 빠지기 쉬워지는 효과)는 얻어진다. 도 15는, 제 4 실시양태의 구두 밑창과 동일한 효과가 얻어지는 미끄럼방지용 돌기(20)의 배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도 12에서의 A부에 해당하는 부분을 확대한 것으로 되어 있다. 도 15에 도시한 구두 밑창에 있어서는, 어느 돌기 열 L을 구성하는 미끄럼방지용 돌기(20)의 위치와, 그 돌기 열 L에 대해서 전후 방향으로 인접하는 다른 돌기 열 L을 구성하는 미끄럼방지용 돌기(20)의 위치가, 구두 밑창의 폭 방향(x축 방향)에 있어서 1/2 피치씩 어긋나있다. 미끄럼방지용 돌기(20)가 도 15에 도시한 것과 같이 배치된 구두 밑창에 있어서도 상술한 효과가 얻어진다. However, as shown in FIG. 13, even if the anti-slip protrusions 20 are not arranged in a lattice shape in the width direction and the front-back direction of the shoe sole, the anti-slip protrusions constituting the same protrusion column L (column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shoe sole) ( If the front and back positions of 20) coincide, the same effect as described above (the effect of making it easy for snow and the like to fall out in the gap α between the adjacent non-slip protrusions 20 in the front and back direction) is obtained. Fig. 15 is a view showing an arrangement example of non-slip protrusions 20 from which the same effects as those of the shoe sole of the fourth embodiment can be obtained. FIG. 15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corresponding to section A in FIG. 12 . In the shoe sole shown in FIG. 15, the position of the anti-slip projection 20 constituting a certain row of projections L and the anti-slip projection 20 constituting another row of projections L adjacent to the row of projections L in the front-back direction ) is shifted by 1/2 pitch in the width direction (x-axis direction) of the shoe sole. The above effect is also obtained in the shoe sole in which the non-slip protrusion 20 is arranged as shown in FIG. 15 .

5. 제 5 실시양태의 구두 밑창5. Outsole of the fifth embodiment

계속해서 제 5 실시양태의 구두 밑창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6은, 제 4 실시양태의 구두 밑창을 구비한 구두의 일례를, 구두의 측방으로부터 본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구두에 있어서의 구두 밑창 주변을 투시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Next, the shoe sole of the fifth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Fig. 16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shoe provided with a shoe sole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viewed from the side of the shoe. Fig. 16 shows a state in which the periphery of the sole of the shoe is seen through.

제 5 실시양태의 구두 밑창에 있어서, 미끄럼방지용 돌기(20)의 형태와 배치는, 제 4 실시양태의 구두 밑창과 거의 동일하게 되어 있다. 단, 제 5 실시양태의 구두 밑창에서는, 도 16에 도시한 것과 같이 구두 밑창 본체(10, 아웃솔부)의 상면 측에, 연질 미드솔부(32)를 설치하고 있다. 연질 미드솔부(32)의 경도는, 구두 밑창 본체(10, 아웃솔부)의 경도보다 낮다. 이로써 힘주어 서기 시작한 직후뿐만 아니라 그 후에도 계속하여 버틸 수 있다는 특성을, 실제 구두에서 보다 적절하게 발현되기 쉽게 할 수 있다. 연질 미드솔부(32)의 성형 재료와 경도에 대해서는, 상기한 ‘1. 제 1 실시양태의 구두 밑창’에서 미드솔부에 대하여 서술한 것과 동일하다. In the shoe sole of the fifth embodiment, the shape and arrangement of the non-slip protrusions 20 are substantially the same as those of the shoe sole of the fourth embodiment. However, in the shoe sole of the fifth embodiment, as shown in Fig. 16, the soft midsole portion 32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side of the shoe sole main body 10 (outsole portion). The hardness of the soft midsole portion 32 is lower than that of the shoe sole main body 10 (outsole portion).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more properly express the characteristic of being able to endure not only immediately after starting to stand up with strength but also after that, more appropriately in actual shoes. Regarding the molding material and hardness of the soft midsole part 32, the above '1. It is the same as what was described for the midsole part in the 'sole sole of the first embodiment'.

또한 제 4 실시양태의 구두 밑창에서는, 도 14에 도시한 것과 같이, 발가락 부분에 설치한 미끄럼방지용 돌기(20)와, 발꿈치 부분에 설치한 미끄럼방지용 돌기(20)는, 공통된 구두 밑창 본체(10, 아웃솔)에 설치되어 있었지만, 제 5 실시양태의 구두 밑창에서는, 도 16에 도시한 것과 같이 발가락 부분의 미끄럼방지용 돌기(20)와, 발꿈치 부분의 미끄럼방지용 돌기(20)는, 별개의 구두 밑창 본체(10, 아웃솔)에 설치되어 있다. 그렇기 때문에 상술한 연질 미드솔부(32)도, 발가락 부분과 발꿈치 부분에서 별개로 설치되어 있다. 발가락 부분의 구두 밑창 본체(10, 아웃솔부) 및 연질 미드솔부(32)와, 발꿈치 부분의 구두 밑창 본체(10, 아웃솔부) 및 연질 미드솔부(32)는, 공통된 미드솔 본체(31)에 대해서 고정되어 있다. Further, in the shoe sole of the fourth embodiment, as shown in FIG. 14, the non-slip protrusion 20 provided on the toe portion and the non-slip protrusion 20 provided on the heel portion have a common sole body 10 , outsole), but in the shoe sole of the fifth embodiment, as shown in FIG. 16, the anti-slip protrusion 20 of the toe portion and the non-slip protrusion 20 of the heel portion are separate shoe soles. It is installed in the body (10, outsole). Therefore, the soft midsole portion 32 described above is also provided separately in the toe portion and the heel portion. The sole body 10 (outsole portion) and soft midsole portion 32 of the toe portion, and the sole body 10 (outsole portion) and soft midsole portion 32 of the heel portion share a common midsole body 31. It is fixed.

제 5 실시양태의 구두 밑창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은 구성은, 제 1 실시양태부터 제 4 실시양태까지의 구두 밑창과 거의 동일한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As for the structure not specifically mentioned in the shoe sole of the fifth embodiment, almost the same structure as the shoe soles of the first to fourth embodiments can be employed.

6. 제 6 실시양태의 구두 밑창6. Outsole of the sixth embodiment

계속해서 제 6 실시양태의 구두 밑창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7은, 제 6 실시양태의 구두 밑창을 하면 측으로부터 본 상태를 도시한 저면도이다. 도 18은, 제 6 실시양태의 구두 밑창을 구비한 구두를, 구두의 측방으로부터 본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은, 구두의 구두 밑창 주변을 투시한 상태로 도시하고 있다.Next, the shoe sole of the sixth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Fig. 17 is a bottom view showing the state of the shoe sole of the sixth embodiment as viewed from the bottom side. Fig. 18 is a view showing the state of the shoe provided with the shoe sole of the sixth embodiment, viewed from the side of the shoe. Fig. 18 shows the periphery of the sole of the shoe in a transparent state.

제 6 실시양태의 구두 밑창에 있어서, 미끄럼방지용 돌기(20)의 형태는, 제 2 실시양태, 제 4 실시양태 및 제 5 실시양태의 구두 밑창과 거의 동일하게 되어 있다. 또한 제 6 실시양태의 구두 밑창은, 도 17에 도시한 것과 같이 구두 밑창의 하면 거의 전체에 미끄럼방지용 돌기(20)를 가지고 있고, 이 점에서는 제 1 실시양태의 구두 밑창과 거의 동일하게 되어 있다. 게다가 제 6 실시양태의 구두 밑창은, 미끄럼방지용 돌기(20)가 구두 밑창의 폭 방향 및 전후 방향으로 격자상으로 배열되어 있고, 이 점에서는 제 4 실시양태의 구두 밑창과 거의 동일하게 되어 있다. In the shoe sole of the sixth embodiment, the shape of the non-slip protrusion 20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at of the shoe sole of the second, fourth and fifth embodiments. Also, as shown in Fig. 17, the shoe sole of the sixth embodiment has anti-slip protrusions 20 on almost the entire lower surface of the shoe sole, and in this respect is almost the same as the shoe sole of the first embodiment. . Furthermore, in the sole of the shoe of the sixth embodiment, the non-slip protrusions 20 are arranged in a lattice shape in the width direction and the front-back direction of the shoe sole, and in this respect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shoe sole of the fourth embodiment.

더욱이 제 6 실시양태의 구두 밑창은, 도 18에 도시한 것과 같이 구두 밑창 본체(10, 아웃솔부)의 상면 측에 연질 미드솔부(32)를 설치한 점에 있어서 제 5 실시양태의 구두 밑창과 동일하게 되어 있다. 단, 제 5 실시양태의 구두 밑창에서는, 도 16에 도시한 것과 같이 구두 밑창 본체(10, 아웃솔부) 및 연질 미드솔부(32)를, 발가락 부분과 발꿈치 부분에서 각각 분단하여 설치한데 비해, 제 6 실시양태의 구두 밑창에서는, 도 18에 도시한 것과 같이 구두 밑창 본체(10, 아웃솔부) 및 연질 미드솔부(32)를, 발가락 부분과 발꿈치 부분에서 각각 공통인 것으로 하고 있다. Furthermore, the shoe sole of the sixth embodiment is different from the shoe sole of the fifth embodiment in that the soft midsole portion 32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side of the shoe sole body 10 (outsole portion) as shown in FIG. are made the same However, in the shoe sole of the fifth embodiment, as shown in FIG. 16, the shoe sole body 10 (outsole portion) and the soft midsole portion 32 are divided and provided at the toe portion and the heel portion, respectively. In the shoe sole of the sixth embodiment, as shown in Fig. 18, the shoe sole body 10 (outsole portion) and the soft midsole portion 32 are made common in the toe portion and the heel portion, respectively.

제 6 실시양태의 구두 밑창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은 구성은, 제 1 실시양태부터 제 5 실시양태까지의 구두 밑창과 거의 동일한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As for the structure not specifically mentioned in the shoe sole of the sixth embodiment, almost the same structure as the shoe sole of the first to fifth embodiments can be employed.

7. 측정7. Measure

7.1 측정 방법7.1 Measurement method

본 발명의 구두 밑창의 내활 성능을 확인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구두 밑창의 기술적 범위에 속하는 실시예 1의 구두 밑창을 제작하고, 빙면에 대한 최대 정지 마찰 계수와 동마찰 계수를 측정하는 실험을 수행했다. 또한 실시예 1의 내활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서 현재 시판되고 있는 구두 밑창 중에서 빙면에 대한 내활 성능이 가장 뛰어나다고 평가되고 있는 타사의 구두 밑창(이하, ‘비교예 1의 구두 밑창’으로 표기한다.)에 대해서도 동일한 측정을 수행했다. 최대 정지 마찰 계수와 동마찰 계수의 측정 방법은, 상술한 단계 1 ~ 6에 의해 수행했다. 단, 상기 단계 1에서는, 표면에 물이 생기지 않은 상태의 빙면에 대해서 구두 밑창을 설치했지만, 여기에서는 보다 미끄러지기 쉬운 조건에서의 내활 성능에 대해서도 평가하기 위해서, 표면에 물이 생기지 않은 상태의 빙면에 대해서 구두 밑창을 설치한 경우에 더하여, 표면에 물이 생긴 상태의 표면에 대해서 구두 밑창을 설치한 경우에 대해서도 측정을 수행했다.In order to confirm the slip resistance of the shoe sol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hoe sole of Example 1 belonging to the technical scope of the shoe sole of the present invention was manufactured, and an experiment was performed to measure the maximum static friction coefficient and dynamic friction coefficient against the ice surface. . In addition, in order to evaluate the slip resistance performance of Example 1, the shoe soles of other companies that are evaluated to have the best slip resistance performance on ice among the shoe soles currently on the market (hereinafter referred to as 'shoe soles of Comparative Example 1'). The same measurements were performed for The method of measuring the maximum coefficient of static friction and the coefficient of kinetic friction was performed by the steps 1 to 6 described above. However, in the above step 1, the shoe sole was installed on the ice surface without water on the surface, but here, in order to evaluate the sliding performance in a more slippery condition, the ice surface with no water on the surface. In addition to the case where the shoe sole was installed for , the measurement was also performed on the case where the shoe sole was installed on the surface with water on the surface.

실시예 1의 구두 밑창은, 상술한 제 1 실시양태의 구두 밑창에 대응하는 것으로, 미끄럼방지용 돌기(20)를 원기둥상으로 형성한 것이다. 실시예 1의 구두 밑창은, 인접하는 미끄럼방지용 돌기(20)의 간극 폭(W0, 도 2)이 1.8 mm이고, 단위면적당 미끄럼방지용 돌기(20)의 개수가 약 1.2개/cm2로 되어 있다. 또한 미끄럼방지용 돌기(20)의 외경(D0, 도 3(a))은 8 mm이고, 미끄럼방지용 돌기(20)의 높이(H0, 도 3(a))는 4 mm로 되어 있으며, 미끄럼방지용 돌기(20)의 외경(D0)에 대한 높이(H0)의 비(H0/D0)는 0.5로 되어 있다. 더욱이 단차부(22)의 단 수가 3단으로 되어 있고, 단차부(22)의 폭(W1, 도 3(b))은 모든 단차부(22)에서 0.5 mm이며, 단차부(22)의 높이(H1, 도 3(b))는, 모든 단차부(22)에서 0.3 mm로 되어 있다. 그렇기 때문에 단차부(22)의 폭(W1)에 대한 높이(H1)의 비(H1/W1)는 0.6으로 되어 있다. 또한 물 빠짐 홀(23)의 직경(D1, 도 3(a))은 3 mm로 되어 있다. 구두 밑창(아웃솔 부분)에 사용한 고무의 경도는, 35 ~ 50도의 범위 내이다. The shoe sole of Example 1 corresponds to the shoe sole of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and the non-slip protrusion 20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In the shoe sole of Example 1, the gap width (W 0 , FIG. 2 ) of adjacent anti-slip protrusions 20 is 1.8 mm, and the number of anti-slip protrusions 20 per unit area is about 1.2/cm 2 . there is. In addition, the outer diameter (D 0 , FIG. 3 (a)) of the non-slip protrusion 20 is 8 mm, and the height (H 0 , FIG. 3 (a)) of the non-slip protrusion 20 is 4 mm, and the non-slip The ratio (H 0 /D 0 ) of the height (H 0 ) to the outer diameter (D 0 ) of the prevention protrusion (20) is 0.5. Furthermore, the number of stages of the stepped portion 22 is three, and the width W 1 of the stepped portion 22 ( FIG. 3 (b)) is 0.5 mm in all the stepped portions 22, The height H 1 ( FIG. 3(b) ) is 0.3 mm in all the stepped portions 22 . Therefore, the ratio (H 1 /W 1 ) of the height (H 1 ) to the width (W 1 ) of the stepped portion 22 is 0.6. In addition, the diameter D 1 of the water drain hole 23 (FIG. 3(a)) is set to 3 mm. The hardness of the rubber used for the shoe sole (outsole portion) is within the range of 35 to 50 degrees.

7.2 측정 결과7.2 Measurement results

우선 표면에 물이 생기지 않은 상태의 빙면에 대한 측정 결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은, 실시예 1의 구두 밑창에 대하여, 표면에 물이 생기지 않은 상태의 빙면에 대한 마찰 계수 변화를 측정한 결과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9는, 비교예 1의 구두 밑창에 대하여, 표면에 물이 생기지 않은 상태의 빙면에 대한 마찰 계수 변화를 측정한 결과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8 및 도 9의 그래프에서 횡축의 시간은, 상기 단계 3에서, 수평 방향의 힘(F2)을 빙면에 인가하기 시작해서부터의 시간을 나타내고 있다. 그래프의 횡축의 의미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도 10 및 도 11에서도 동일하다. First, the measurement results of the ice surface in a state in which no water has formed on the surface will be described. FIG. 8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s of measuring the change in the coefficient of friction on the ice surface in the state in which water is not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shoe sole of Example 1. FIG. 9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s of measuring the change in the coefficient of friction on the ice surface in the state in which water is not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shoe sole of Comparative Example 1. In the graphs of FIGS. 8 and 9 , the time on the horizontal axis represents the time from the start of applying the force (F 2 )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o the ice surface in the step 3 above. About the meaning of the horizontal axis of a graph, it is the same also in FIG. 10 and FIG. 11 mentioned later.

표면에 물이 생기지 않은 상태의 빙면에 대한 실시예 1의 구두 밑창의 최대 정지 마찰 계수(μ0)는, 도 8의 그래프의 피크(P0) 값으로부터, 0.29인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표면에 물이 생기지 않은 상태의 빙면에 대한 실시예 1의 구두 밑창의 동마찰 계수(μ1)는, 도 8의 그래프의 범위(R0)의 평균값을 구함으로써, 0.39가 된다. 마찬가지로 표면에 물이 생기지 않은 상태의 빙면에 대한 비교예 1의 구두 밑창의 최대 정지 마찰 계수(μ0)와 동마찰 계수(μ1)를, 도 9에 도시한 그래프로부터 구하면, 최대 정지 마찰 계수(μ0)가 0.39이고, 동마찰 계수(μ1)가 0.30이 된다. 이들 결과를 정리하면 하기 표 1과 같다. It can be seen that the maximum coefficient of static friction (μ 0 ) of the sole of the shoe of Example 1 on the ice surface with no water formed on the surface is 0.29 from the peak (P 0 ) value of the graph of FIG. 8 . Further, the coefficient of kinetic friction (μ 1 ) of the sole of the shoe of Example 1 on the ice surface in a state in which water is not formed on the surface is 0.39 by calculating the average value of the range (R 0 ) of the graph in FIG. 8 . Similarly, if the maximum coefficient of static friction (μ 0 ) and coefficient of kinetic friction (μ 1 ) of the sole of the shoe of Comparative Example 1 on the ice surface in a state where no water has formed on the surface is obtained from the graph shown in FIG. 9, the maximum coefficient of static friction (μ 0 ) is 0.39, and the coefficient of kinetic friction (μ 1 ) is 0.30. These results are summarized in Table 1 below.

최대 정지 마찰 계수(μ0)Maximum coefficient of static friction (μ 0 ) 동마찰 계수(μ1)Coefficient of dynamic friction (μ 1 ) 실시예 1Example 1 0.290.29 0.390.39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0.390.39 0.300.30

상기 표 1의 ‘비교예 1’을 보면 비교예 1의 구두 밑창은, 동마찰 계수(μ1)가 최대 정지 마찰 계수(μ0)보다 작고, 최대 정지 마찰 계수(μ0)에 대한 동마찰 계수(μ1)의 비(μ10)는, 약 0.77인 것을 알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비교예 1의 구두 밑창은, 빙면에 대해서 힘주어 서기 시작한 직후에는 뛰어난 내활성을 발휘하지만 그 후에는 미끄러지기 쉬운 경향에 있다고 할 수 있다. 실제로 비교예 1의 구두 밑창을 구비한 구두를 착용하고 빙면을 보행해보면 힘주어 서기 시작한 직후(보행면에 착지한 직후나 보행면을 걷어차기 시작한 직후)에는, 빙면을 확실히 포착할 수 있지만 그 후에는 미끄러지기 쉬운 경향이 있었다. 그렇기 때문에 현재 시판되고 있는 것 중에서 빙면에 대한 내활 성능이 가장 뛰어나다고 평가되고 있는 비교예 1의 구두 밑창을 구비한 구두를 착용하고 빙면을 보행하는 경우라도 상당한 주의가 필요한 것을 알 수 있다. 비교예 1의 구두 밑창을 구비한 구두를 착용해도 빙면 상을 달리거나 빙면 상에서 반복적으로 옆으로 뛰는 것은 곤란했다. Looking at 'Comparative Example 1' in Table 1, the sole of the shoe of Comparative Example 1 has a dynamic friction coefficient (μ 1 ) smaller than the maximum static friction coefficient (μ 0 ), and a dynamic friction for the maximum static friction coefficient (μ 0 ). It can be seen that the ratio (μ 10 ) of the coefficient μ 1 is about 0.77.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the sole of the shoe of Comparative Example 1 exhibits excellent sliding resistance immediately after starting to stand on the ice surface with force, but tends to be slippery thereafter. In fact, when walking on the ice surface while wearing the shoes with soles of Comparative Example 1, the ice surface can be captured reliably immediately after starting to stand with force (immediately after landing on the walking surface or immediately after starting to kick the walking surface), but after that had a tendency to slip. 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considerable caution is required even when walking on an ice surface while wearing shoes having soles of Comparative Example 1, which are evaluated to have the best slip resistance on ice among those currently on the market. It was difficult to run on the ice surface or repeatedly jump sideways on the ice surface even when wearing the shoes having the soles of the shoes of Comparative Example 1.

이에 비해서, 상기 표 1의 ‘실시예 1’을 보면 실시예 1의 구두 밑창은, 동마찰 계수(μ1)가 최대 정지 마찰 계수(μ0)보다 크고, 최대 정지 마찰 계수(μ0)에 대한 동마찰 계수(μ1)의 비(μ10)는, 약 1.34가 되는 것을 알 수 있다. 게다가 실시예 1의 구두 밑창의 동마찰 계수(μ1)는 0.39이며, 비교예 1의 구두 밑창의 동마찰 계수(μ1)인 0.30을 크게 상회하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실시예 1의 구두 밑창은, 힘주어 서기 시작한 직후뿐만 아니라 그 후에도 계속 버틸 수 있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실제로 실시예 1의 구두 밑창을 구비한 구두를 착용하고 빙면을 보행해보면 구두 밑창이 빙면에 착지하고부터 떨어질 때까지의 기간, 빙면을 확실히 포착하고 있는 감촉이 있었다. 그렇기 때문에 실시예 1의 구두 밑창을 구비한 구두를 착용하면 특별히 주의할 일 없이, 건조한 노면을 보행하는 경우와 동일한 감각으로 보행할 수 있었다. 실시예 1의 구두 밑창을 구비한 구두를 착용하면 빙면 상을 달리거나 빙면 상에서 반복적으로 옆으로 뛰는 것도 가능하였다. In contrast, looking at 'Example 1' in Table 1, the shoe sole of Example 1 has a coefficient of dynamic friction (μ 1 ) greater than the maximum coefficient of static friction (μ 0 ), and a maximum coefficient of static friction (μ 0 ). It can be seen that the ratio (μ 1 / μ 0 ) of the coefficient of kinetic friction (μ 1 ) to that is about 1.34. In addition, the coefficient of kinetic friction (μ 1 ) of the sole of the shoe of Example 1 is 0.39, greatly exceeding the coefficient of kinetic friction (μ 1 ) of the sole of the shoe of Comparative Example 1 of 0.30.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the sole of the shoe of Example 1 can withstand not only immediately after starting to stand up with strength, but also after that. In fact, when walking on the ice surface while wearing the shoes with the soles of Example 1, there was a feeling that the soles of the shoes firmly caught the ice surface during the period from landing on the ice surface to falling off. Therefore, when the shoes having the soles of the shoes of Example 1 were worn, they could walk with the same feeling as when walking on a dry road surface without any special care. When the shoes having the shoe soles of Example 1 were worn, it was possible to run on the ice surface or repeatedly jump sideways on the ice surface.

계속해서 표면에 물이 생긴 상태의 빙면에 대한 측정 결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0은, 실시예 1의 구두 밑창에 대하여, 표면에 물이 생긴 상태의 빙면에 대한 마찰 계수 변화를 측정한 결과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11은, 비교예 1의 구두 밑창에 대하여, 표면에 물이 생긴 상태의 빙면에 대한 마찰 계수 변화를 측정한 결과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Subsequently, the measurement results of the ice surface in a state where water is formed on the surface will be described. FIG. 10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s of measuring the change in friction coefficient on the ice surface in a state where water is present on the surface of the shoe sole of Example 1. FIG. 11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s of measuring the change in the coefficient of friction for the ice surface in a state in which water is present on the surface of the shoe sole of Comparative Example 1.

표면에 물이 생긴 상태의 빙면에 대한 실시예 1의 구두 밑창의 최대 정지 마찰 계수(μ0)는, 도 10의 그래프의 피크(P0) 값으로부터, 0.31인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표면에 물이 생긴 상태의 빙면에 대한 실시예 1의 구두 밑창의 동마찰 계수(μ1)는, 도 10의 그래프의 범위(R0)의 평균값을 구함으로써, 0.20이 된다. 마찬가지로 표면에 물이 생긴 상태의 빙면에 대한 비교예 1의 구두 밑창의 최대 정지 마찰 계수(μ0)와 동마찰 계수(μ1)를, 도 11에 도시한 그래프로부터 구하면, 최대 정지 마찰 계수(μ0)가 0.41이고, 동마찰 계수(μ1)가 0.10이 된다. 이들 결과를 정리하면 하기 표 2와 같다. It can be seen that the maximum coefficient of static friction (μ 0 ) of the sole of the shoe of Example 1 on the ice surface with water on the surface is 0.31 from the peak (P 0 ) value of the graph of FIG. 10 . Further, the coefficient of kinetic friction (μ 1 ) of the sole of the shoe of Example 1 on the ice surface with water on the surface is 0.20 by calculating the average value of the range (R 0 ) of the graph in FIG. 10 . Similarly, if the maximum static friction coefficient (μ 0 ) and dynamic friction coefficient (μ 1 ) of the sole of the shoe of Comparative Example 1 on the ice surface with water on the surface are obtained from the graph shown in FIG. 11, the maximum static friction coefficient ( μ 0 ) is 0.41, and the coefficient of kinetic friction (μ 1 ) is 0.10. These results are summarized in Table 2 below.

최대 정지 마찰 계수(μ0)Maximum coefficient of static friction (μ 0 ) 동마찰 계수(μ1)Coefficient of dynamic friction (μ 1 ) 실시예 1Example 1 0.310.31 0.200.20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0.410.41 0.100.10

상기 표 2의 ‘비교예 1’을 보면 비교예 1의 구두 밑창은, 동마찰 계수(μ1)가 최대 정지 마찰 계수(μ0)보다 상당히 작고, 최대 정지 마찰 계수(μ0)에 대한 동마찰 계수(μ1)의 비(μ10)는, 약 0.24에 불과한 것을 알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비교예 1의 구두 밑창은, 표면에 물이 생긴 상태의 빙면에 대해서 힘주어 서기 시작한 직후에는 뛰어난 내활성을 발휘하지만 그 후에는 급격히 미끄러지기 쉬워지는 경향에 있다고 할 수 있다. Looking at 'Comparative Example 1' in Table 2, the shoe sole of Comparative Example 1 has a dynamic friction coefficient (μ 1 ) that is significantly smaller than the maximum static friction coefficient (μ 0 ), and has a dynamic coefficient of dynamic friction for the maximum static friction coefficient (μ 0 ). It can be seen that the ratio of the coefficient of friction (μ 1 ) (μ 1 / μ 0 ) is only about 0.24.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the sole of the shoe of Comparative Example 1 exhibits excellent sliding resistance immediately after starting to stand on the ice surface in a state where water is formed on the surface, but thereafter it tends to become slippery rapidly.

이에 비해서, 상기 표 2의 ‘실시예 1’을 보면 실시예 1의 구두 밑창은, 동마찰 계수(μ1)가 최대 정지 마찰 계수(μ0)보다 작지만, 최대 정지 마찰 계수(μ0)에 대한 동마찰 계수(μ1)의 비(μ10)는, 약 0.64가 되었고, 동일한 조건에서의 비교예 1의 구두 밑창의 μ10인 0.24를 크게 상회하고 있다. 게다가 실시예 1의 구두 밑창의 동마찰 계수(μ1)는 표면에 물이 생긴 상태의 빙면이라도 0.20으로, 동일한 조건에서의 비교예 1의 구두 밑창의 동마찰 계수(μ1)의 2배에 도달하였다. 따라서 실시예 1의 구두 밑창은, 표면에 물이 생긴 상태의 빙면이라도, 현재 시판되고 있는 구두 밑창 중에서 빙면에 대한 내활 성능이 가장 뛰어나다고 평가되고 있는 비교예 1의 구두 밑창을 구비한 구두 밑창보다 뛰어난 내활 성능을 발휘하는 것을 알 수 있다. In contrast, looking at 'Example 1' in Table 2, the shoe sole of Example 1 has a dynamic friction coefficient (μ 1 ) smaller than the maximum static friction coefficient (μ 0 ), but the maximum static friction coefficient (μ 0 ) The ratio (μ 1 / μ 0 ) of the coefficient of kinetic friction (μ 1 ) to the shoe was about 0.64, greatly exceeding the μ 1 / μ 0 of 0.24 of the sole of the shoe of Comparative Example 1 under the same conditions. In addition, the coefficient of kinetic friction (μ 1 ) of the sole of the shoe of Example 1 is 0.20 even on an ice surface with water on the surface, which is twice the coefficient of kinetic friction (μ 1 ) of the sole of the shoe of Comparative Example 1 under the same conditions. reached Therefore, the shoe sole of Example 1 is superior to the shoe sole provided with the shoe sole of Comparative Example 1, which is evaluated to have the best sliding resistance against ice among the shoe soles currently on the market, even when water is formed on the surface. It can be seen that excellent performance is exhibited.

10: 구두 밑창 본체(아웃솔부) 11: 물 배출로
20: 미끄럼방지용 돌기 21: 오목부
22: 단차부 23: 물 빠짐 홀
30: 미드솔부 31: 미드솔 본체
32: 연질 미드솔부 D0: 미끄럼방지용 돌기의 외경
D1: 물 빠짐 홀의 직경 H0: 미끄럼방지용 돌기의 높이
H1: 단차부의 높이
W0: 인접하는 미끄럼방지용 돌기의 간극 폭
W1: 단차부 폭
10: shoe sole body (outsole part) 11: water discharge path
20: protrusion for non-slip 21: concave portion
22: stepped portion 23: water drain hole
30: midsole part 31: midsole body
32: soft midsole part D 0 : outer diameter of protrusion for non-slip
D 1 : Diameter of water drain hole H 0 : Height of protrusion for non-slip
H 1 : height of the stepped part
W 0 : Gap width between adjacent non-slip protrusions
W 1 : width of step

Claims (8)

빙면(氷面)에 대한 동마찰 계수가 빙면에 대한 최대 정지 마찰 계수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두 밑창.
A shoe sol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efficient of kinetic friction against the ice surface is greater than the maximum coefficient of static friction against the ice surface.
제 1 항에 있어서,
빙면에 대한 동마찰 계수가 0.25 이상 0.7 미만인 구두 밑창.
According to claim 1,
The sole of a shoe with a coefficient of kinetic friction against the ice surface of 0.25 or more and less than 0.7.
제 1 항에 있어서,
그 하단면이 접지면이 되는 복수의 미끄럼방지용 돌기가 하향으로 형성되고,
각각의 미끄럼방지용 돌기의 하단면에, 유발 형상으로 움푹 패인 오목부가 형성되며,
각각의 오목부의 내주면에, 단차부가 환상(環狀)으로 형성된 구두 밑창.
According to claim 1,
A plurality of non-slip protrusions, the lower surface of which serves as a ground contact surface, are formed downward,
On the lower surface of each non-slip protrusion, a recessed portion is formed in the shape of a trigger,
A shoe sole in which a stepped portion is annularly form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each concave portion.
제 3 항에 있어서,
구두 밑창의 폭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둔 상태로 구두 바닥의 폭 방향을 따라서 배치된 복수의 미끄럼방지용 돌기로 이루어지는 돌기 열이, 구두 밑창의 전후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둔 상태로 복수 열 배치된 구두 밑창.
According to claim 3,
A shoe sole in which rows of protrusions composed of a plurality of non-slip protrusions are disposed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shoe sole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shoe sole, and a plurality of rows are arrang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the front-back direction of the shoe sole. .
제 3 항에 있어서,
미끄럼방지용 돌기의 하단면이 접지되었을 때 상기 오목부에 들어간 물을 빨아올려서 구두 밑창 주위로 배출하기 위한 물 빼기 홀이 설치된 구두 밑창.
According to claim 3,
A shoe sole provided with a water drainage hole for sucking up water entering the concave portion when the bottom surface of the non-slip projection is grounded and discharging it around the sole of the shoe.
제 1 항에 있어서,
그 상면 측에, 구두 밑창 본체보다 경도가 낮은 소재로 이루어지는 미드솔부가 설치된 구두 밑창.
According to claim 1,
A shoe sole provided with a midsole portion made of a material lower in hardness than the shoe sole body on the upper surface side.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구두 밑창을 구비한 구두.
Shoes provided with the shoe sol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6.
빙면에 대한 동마찰 계수가 빙면에 대한 최대 정지 마찰 계수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방지 부재.An anti-slip member, characterized in that the coefficient of kinetic friction with respect to the ice surface is greater than the maximum coefficient of static friction with respect to the ice surface.
KR1020187020623A 2016-01-22 2016-11-04 Shoe soles, shoes and non-slip members KR102555764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010220 2016-01-22
JPJP-P-2016-010220 2016-01-22
PCT/JP2016/082768 WO2017126192A1 (en) 2016-01-22 2016-11-04 Shoe sole, shoe and antislip memb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7108A KR20180107108A (en) 2018-10-01
KR102555764B1 true KR102555764B1 (en) 2023-07-13

Family

ID=593615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0623A KR102555764B1 (en) 2016-01-22 2016-11-04 Shoe soles, shoes and non-slip members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3406156B1 (en)
JP (1) JP6881759B2 (en)
KR (1) KR102555764B1 (en)
CN (1) CN108471837B (en)
WO (1) WO2017126192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2086B1 (en) * 2018-04-10 2022-07-15 닛신 고무 가부시키가이샤 shoe soles and shoes
JP2021177020A (en) * 2020-05-06 2021-11-11 トップ・グローブ・インターナショナル・スンディリアン・ブルハド Embossment of thin film articl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034798A1 (en) 2003-08-14 2005-02-17 Bright Donald Anthony Tread and method for use
JP2013059603A (en) 2011-08-22 2013-04-04 Okamoto Kk Anti-slip sole and anti-slip shoe
JP5710083B1 (en) 2014-05-14 2015-04-30 株式会社アシックス Shoe outsole
WO2015121884A1 (en) 2014-02-13 2015-08-20 Sordo Pietro Antislip device in composite material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591148C (en) * 1934-01-17 Hermann Schulze Rubber sole
US3043025A (en) * 1960-12-09 1962-07-10 William P Semon Article of manufacture with non-slip suction means
JPS488446U (en) * 1971-06-14 1973-01-30
JPS5710083B2 (en) * 1972-04-25 1982-02-24
DE2533622A1 (en) * 1975-07-26 1977-02-10 Adolf Dassler Ventilated sports shoe esp. for tennis - has ventilation holes in sole in area of ball of foot
SU1639600A1 (en) * 1988-08-10 1991-04-07 Р.В.Кудр вцев Antislip sole
JP2598748B2 (en) * 1993-12-18 1997-04-09 株式会社アサヒコーポレーション Cold-slip soles
JP3096646U (en) * 2003-02-26 2003-09-26 堂模 潘 Anti-slip structure for shoes
KR20060003740A (en) 2004-07-07 2006-01-11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Method of inspecting the quality of dried ginseng using the magnetic resonance imaging
JP4864349B2 (en) * 2005-05-30 2012-02-01 株式会社ハイドロストッパー Anti-slip material for frozen road surface and footwear bottom using the same
JP4693068B2 (en) * 2008-07-15 2011-06-01 弘進ゴム株式会社 Anti-slip sole
UA108665C2 (en) * 2010-09-03 2015-05-25 Sole ventilation element, and also soled sole and waterproof, breathable shoe item containing it
CN202774444U (en) * 2012-07-19 2013-03-13 泰亚鞋业股份有限公司 Ice-surface and water-surface non-slip shoe sole structure
DE102014213303B4 (en) * 2014-07-09 2019-11-07 Adidas Ag Multifunctional outdoor shoe, especially mountaineering shoe, mountain running shoe, trail running shoe or climbing shoe, and method for its production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034798A1 (en) 2003-08-14 2005-02-17 Bright Donald Anthony Tread and method for use
JP2013059603A (en) 2011-08-22 2013-04-04 Okamoto Kk Anti-slip sole and anti-slip shoe
WO2015121884A1 (en) 2014-02-13 2015-08-20 Sordo Pietro Antislip device in composite material
JP5710083B1 (en) 2014-05-14 2015-04-30 株式会社アシックス Shoe outso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7108A (en) 2018-10-01
EP3406156B1 (en) 2021-06-09
WO2017126192A1 (en) 2017-07-27
EP3406156A4 (en) 2019-08-14
JPWO2017126192A1 (en) 2019-01-31
CN108471837B (en) 2021-08-24
JP6881759B2 (en) 2021-06-02
EP3406156A1 (en) 2018-11-28
CN108471837A (en) 2018-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959648B2 (en) Slip resistant sole
US10448705B2 (en) Shoe sole with improved grip capacity
KR102046176B1 (en) Outsole tread pattern
US9949529B2 (en) Article of footwear with sole structure having frusto-conical structures
CA2728485C (en) Shoe with traction outsole
US10004294B2 (en) Slip resistant soles and footwear
KR20160086866A (en) Outsole tread pattern
US20070283595A1 (en) X-Shaped Pillar Sole for Footwear Traction and Comfort
KR102555764B1 (en) Shoe soles, shoes and non-slip members
JP2012217678A (en) Anti-slip shoe bottom and shoe bottom molding die for the same
CN109068800A (en) The sole face decorative pattern of on-slip shoes combines
CN210783124U (en) Wear-resisting anti-skidding drainage sole
KR101822652B1 (en) Footwear for fishing
US11684123B2 (en) Footwear traction device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CN203262410U (en) Anti-skidding wear-resistant shoe soles
JP5377737B1 (en) Shoe sole suitable for walking on snow or ice
JP2005087639A (en) Antislip shoe sole
JP2002300902A (en) Outsole and shoes provided with the same
CN212014688U (en) Anti-skidding sole and anti-skidding shoe with same
CN204838241U (en) Limited slip shoe -pad
JP2002282008A (en) Outsole and shoes equipped with the same
CN213281753U (en) Sole and shoe
CN215124868U (en) Shock attenuation helping hand supports sole and sports shoes
CN210471181U (en) Matrix modular anti-skid stud structure for sole
CN207653679U (en) A kind of Antiskid so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