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5343B1 - 광화이버 회전형 커넥터 - Google Patents

광화이버 회전형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5343B1
KR102555343B1 KR1020200159208A KR20200159208A KR102555343B1 KR 102555343 B1 KR102555343 B1 KR 102555343B1 KR 1020200159208 A KR1020200159208 A KR 1020200159208A KR 20200159208 A KR20200159208 A KR 20200159208A KR 102555343 B1 KR102555343 B1 KR 1025553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hole
optical fiber
core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92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71742A (ko
Inventor
김평구
Original Assignee
김평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평구 filed Critical 김평구
Priority to KR10202001592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5343B1/ko
Publication of KR202200717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17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53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53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604Rotary joints allowing relative rotational movement between opposing fibre or fibre bundle end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26Optical coupling means
    • G02B6/32Optical coupling means having lens focusing means positioned between opposed fibre end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ptical Couplings Of Light Guid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화이버 회전형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회전관(110)과, 회전관(110)의 제1 관통홀(111)의 일측 끼움 고정되고 제1 광화이버(C1)의 코어(C1a)를 고정하는 제1 캐필러리(161)와, 회전관(110)에 체결되는 베어링(br)과, 베어링(br)의 외륜에 체결되는 고정관(120)과, 고정관(120)의 타측에 체결되며 제1,2 렌즈(151,152)를 보호하는 렌즈 보호관(130)과, 고정관(120)의 제2 관통홀(121)에 삽입 고정되고 제1 광화이버(C1)의 코어(C1a)가 편심되지 않고 회전하도록 가이드하는 회전 가이더(140)와, 회전하는 제1 광화이버(C1)의 코어(C1a)의 광을 출사하는 제1 렌즈(151)와, 렌즈 보호관(130)의 제3 관통홀(131)의 타측에 끼움 고정되고 제1 렌즈(151)로부터 출사되는 광을 수광하는 제2 렌즈(152)와, 제2 렌즈(170)의 타단에 접착되고 제2 광화이버(C2)를 고정하는 제2 캐필러리(16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이에 의하면 광손실을 예방하고 조립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광화이버 회전형 커넥터{A CONNECTOR FOR OPTICAL FIBER}
본 발명은 광화이버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렌즈가 회전되지 않고 광화이버의 코어만을 회전시키는 새로운 방식에 의해서 광손실을 줄일 수 있도록 하기에 적당하도록 광화이버 회전형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광화이버의 광신호를 전달하는 연결장치로서 360 도 회전이 가능한 광슬립링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광슬립에 관한 종래의 기술로는 특허등록 제 10-1348075 호(공고일: 2014.01.09)에 의한 "팬 및 틸트 회동 가능한 영상전송장치의 광 슬립링"이 알려져 있다.
위 특허등록 제 10-1348075 호에 의한 "팬 및 틸트 회동 가능한 영상전송장치의 광 슬립링"은 광화이버의 코어를 홀딩하기 위한 캐필러리와 이 캐필러리에 평행빔렌즈를 접착 구비하고 한 쌍의 평행빔렌즈를 통해서 광신호를 전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광화이버의 코어에서 출사되는 9 um의 광신호를 600 um로 확대하고 이 확대한 빔을 평행빔으로 만들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하고 있는 것으로서, 그 등록특허공보에 기술이 상술되어 있으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팬 및 틸트 회동 가능한 영상전송장치의 광 슬립링"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첫째, 종래 기술에서는 하우징 타입의 렌즈 홀더[따라서 렌즈 홀더를 회전시키기 위하여 각 렌즈 홀더마다 한 쌍(2 개)의 베어링을 구비]에 각각 렌즈를 구비하는 구조이어서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었다.
먼저, 양쪽에서 회전하므로 편심이 2 배의 크기로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각 렌즈 홀더마다 2 개의 베어링이 필요했으므로 부품수가 증가하고 또한 전체 길이가 길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둘째, 종래에는 양쪽 회전형이므로 회전을 잡아주기 위해서 2 개의 렌즈 홀더가 필요했으므로, 제품의 길이가 최소 6 ~ 7 cm 필요한데, 이러한 길이에서는 내부 작업(렌즈와 캐필러리의 얼라인 작업 및 에폭시 수지 작업)을 위해서는 작업창을 만들어서 작업하였으므로 이러한 2 개의 작업창이 필수이다.
이와 같이 종래의 기술에서 2 개의 작업창이 필요한 이유는, 얼라인 작업(정지 상태의 직선 정렬하면서 손실값이 최소인 위치에서 초기위치를 잡아주는 1차 직선 정렬 작업과, 1차 직선 정렬 작업 후에 한쪽의 회전에 의해서 회전 시의 광손실을 측정하면서 최소 광손실값에서 정렬을 하여서 그 위치에서 나머지 캐필러리와 렌즈를 부착하는 작업)을 수행해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캐필러리를 지그(집게)를 이용해서 잡은 상태에서 작업해야 하는데, 캐필러리의 부착대상인 렌즈가 모두 하우징 내에 있으므로 작업창을 만들고, 이 작업창을 통해서 광손실 얼라인먼트와 캐필러리 부착작업을 해야만 했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서는 작업창을 내는 것은 필수이다.
이와 같이 종래의 기술에서 작업창을 가공하고 작업창을 통해서 조립 작업을 하는 경우 다음의 문제가 있었다.
먼저, 작업창의 가공 작업 자체가 어렵고 비용과 시간이 많이 소요된다.
그리고, 작업창을 통해서 지그(집게)를 집어 넣어서 캐필러리를 잡고, 이 작업창을 통해서 잡은 상태에서 광손실 측정 작업 및 캐필러리 부착 작업을 하였다.
이와 같이 작업창을 통해서 내부 작업(집게 투입 작업, 광손실 측정 작업, 에폭시 수지 부착 작업)을 하는 경우, 작업성이 나빠서 가공비가 30 ~ 50 % 이상 추가되고, 작업 시간이 매우 길어지는 문제가 있고, 그 결과 생산성이 낮아지는 문제가 있었다. 예를 들면 종래에는 8시간 당 2 개의 제품만을 제작할 수 있었다.
셋째, 특히 가장 중요한 문제가 있었는데, 렌즈에 캐필러리를 에폭시 접착제로 부착하는 경우, 작업창이 있는 쪽은 에폭시 접착제 도포 후에 UV 큐어링(UV 경화) 작업이 가능하였으나, 작업창의 반대쪽에는 UV 큐어링 작업이 불가능하였다.
따라서 에폭시의 한쪽에는 경화가 되어 있으나 반대쪽에는 경화가 되지 못하므로, 제품의 신뢰성이 저하되어서 품질이 나빠지는 치명적인 문제가 있었다.
즉, 작업창을 통해서 보이는 쪽(UV 큐어링이 되는 쪽)은 경화가 가능하나, 반대쪽은 물렁물렁하여서 경화가 잘 되지 못하므로, 온도 변화나 많은 시간이 경과하면 접착부가 비틀리게 되고(특히 온도 변화에 따라서 비틀리게 된다), 비틀림에 의해서 얼라인이 맞지 않으면(즉, 조금만 비틀려도) 광손실이 매우 커진다. 이렇게 광손실이 커지면 제품의 품질이 저하됨은 물론이다.
문헌1. 등록특허공보 제 10-1348075 호(공고일: 2014.01.09.) 문헌2. 등록특허 제 10-1039121 호(공고일:2011.06.07.)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한 광화이버 회전형 커넥터의 목적은,
첫째, 2 개의 렌즈가 모두 회전되지 않고 고정되고 광화이버의 코어만이 회전하고, 또한 회전하는 코어를 잡아주는 회전 가이더를 채택하되 회전 가이더가 회전하지 않고 고정하여서 회전하는 코어를 잡아주고 나아가 코어를 잡아주는 회전 가이더가 캐필러리와 동축 및 동심으로 설치함으로써 베어링의 마모로 인한 공차 관리가 가능하게 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광손실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하며,
둘째, 제품의 조립 작업성 및 렌즈 설치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며,
셋째, 간단한 구성에 의해서 렌즈홀더의 설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며,
넷째, 광학젤의 충진 작업이 원활하게 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그 충진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며,
다섯째, 제1 광화이버의 코어에서 출사되는 광이 반사 또는 산란에 의한 손실 없이 렌즈로 입사할 수 있도록 하여 렌즈로 입사되는 광의 손실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하며,
여섯째, 베어링의 편심을 완충하여 제품의 신뢰성 및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기에 적당하도록 한 광화이버 회전형 커넥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광화이버 회전형 커넥터는, 제1 관통홀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회전관과, 상기 회전관의 제1 관통홀의 일측에 끼움 고정되고, 제1 광화이버의 코어를 고정하기 위한 제1 고정홀이 길이방향으로 관통되어 있어서 제1 광화이버의 코어를 고정하는 제1 캐필러리와, 상기 회전관의 타측 외주면에 동축으로 체결되는 베어링과, 상기 제1 관통홀과 연통하는 제2 관통홀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베어링의 외륜에 체결되는 고정관과, 상기 제2 관통홀과 연통하는 제3 관통홀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관의 타측에 체결되며, 제1 렌즈 및 제2 렌즈를 상기 제3 관통홀에 위치하도록 하여서 제1 렌즈 및 제2 렌즈를 보호하는 렌즈 보호관과, 상기 고정관의 제2 관통홀에 삽입 고정되고, 내부에 제1 광화이버의 코어가 내삽되는 삽입홀이 길이방향으로 관통되어 있으며, 제1 광화이버의 코어가 편심되지 않고 회전하도록 가이드하는 회전 가이더와, 상기 고정관의 제2 관통홀 또는 렌즈 보호관의 제3 관통홀 중의 어느 하나의 관통홀에 삽입 고정되고, 회전하는 제1 광화이버의 코어의 광을 출사하는 제1 렌즈와, 상기 렌즈 보호관의 제3 관통홀의 타측에 끼움 고정되고, 상기 제1 렌즈로부터 출사되는 광을 수광하는 제2 렌즈와, 상기 제2 렌즈의 타단에 접착되고, 내부에 제2 광화이버의 코어를 고정하기 위한 제2 고정홀이 길이방향으로 관통되어 있어서 제2 광화이버를 고정하는 제2 캐필러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인 광화이버 회전형 커넥터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2 개의 렌즈가 모두 회전되지 않고 고정되고 광화이버의 코어만이 회전하고, 또한 회전하는 코어를 잡아주는 회전 가이더를 채택하되 회전 가이더가 회전하지 않고 고정하여서 회전하는 코어를 잡아주고 나아가 코어를 잡아주는 회전 가이더가 캐필러리와 동축 및 동심으로 설치함으로써 베어링의 마모로 인한 공차 관리가 가능하게 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또한 광손실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제품의 조립 작업성 및 렌즈 설치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간단한 구성에 의해서 렌즈홀더의 설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넷째, 광학젤의 충진 작업이 원활하게 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또한 그 충진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섯째, 제1 광화이버의 코어에서 출사되는 광이 반사 또는 산란에 의한 손실 없이 렌즈로 입사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그 결과 렌즈로 입사되는 광의 손실을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여섯째, 베어링의 편심을 완충하여 제품의 신뢰성 및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광화이버 회전형 커넥터(A)의 외관도이다.
도 2는 도 1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요부 확대도이다.
도 4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다.
다음은 본 발명인 광화이버 회전형 커넥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광화이버 회전형 커넥터(A)는, 제1 관통홀(111)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회전관(110)과, 상기 회전관(110)의 제1 관통홀(111)의 일측(도면상으로는 좌측)에 끼움 고정되고, 제1 광화이버(C1)의 코어(C1a)를 UV접착제로 고정하기 위한 제1 고정홀(161a)이 길이방향으로 관통되어 있어서 제1 광화이버(C1)의 코어(C1a)를 고정하는 제1 캐필러리(161)와, 상기 회전관(110)의 타측 외주면에 동축으로 체결되는 베어링(br)과, 상기 제1 관통홀(111)과 연통하는 제2 관통홀(121)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베어링(br)의 외륜에 체결되는 고정관(120)과, 상기 제2 관통홀(121)과 연통하는 제3 관통홀(131)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관(120)의 타측(도면상에서는 우측)에 체결되며, 제1 렌즈(151) 및 제2 렌즈(152)를 상기 제3 관통홀(131)에 위치하도록 하여서 제1 렌즈(151) 및 제2 렌즈(152)를 보호하는 렌즈 보호관(130)과, 상기 고정관(120)의 제2 관통홀(121)에 삽입 고정되고, 내부에 제1 광화이버(C1)의 코어(C1a)가 내삽되는 삽입홀(140a)이 길이방향으로 관통되어 있으며, 제1 광화이버(C1)의 코어(C1a)가 편심되지 않고 회전하도록 가이드하는 회전 가이더(140)와, 상기 고정관(120)의 제2 관통홀(121) 또는 렌즈 보호관(130)의 제3 관통홀(131) 중의 어느 하나의 관통홀에 삽입 고정되고, 회전하는 제1 광화이버(C1)의 코어(C1a)의 광을 출사하는 제1 렌즈(151)와, 상기 렌즈 보호관(130)의 제3 관통홀(131)의 타측(도면상에서는 우측)에 끼움 고정되고, 상기 제1 렌즈(151)로부터 출사되는 광을 수광하는 제2 렌즈(152)와, 상기 제2 렌즈(170)의 타단(도면상에서는 우측단)에 접착되고, 내부에 제2 광화이버(C2)의 코어(C2a)를 고정하기 위한 제2 고정홀(162a)이 길이방향으로 관통되어 있어서 UV접착제에 의해서 제2 광화이버(C2)를 고정하는 제2 캐필러리(16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회전 가이더(140)의 삽입홀(140a)과 제1 캐필러리(161)의 제1 고정홀(161a)이 동축의 일직선 상에 위치하도록[즉, 회전 가이더(140)의 삽입홀(140a)과 제1 캐필러리(161)의 제1 고정홀(161a)이 동심이 되도록] 상기 회전 가이더(140)가 상기 고정관(120)의 제2 관통홀(121)에 삽입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2 개의 렌즈(151,152)가 모두 고정되고(즉 회전하지 않고) 제1 광화이버(C1)의 코어(C1a)만이 회전하는 구성을 채택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이점이 발생한다.
즉, 2 개의 렌즈[제1 렌즈(151)와 제2 렌즈(152)] 모두가 회전하지 않는 고정측[즉, 고정관(120) 또는 렌즈 보호관(130)]에 구비되므로 2 개의 렌즈[제1 렌즈(151)와 제2 렌즈(152)] 간의 간격이 좁아져서(예컨대 0.1 ~ 10 um) 광손실의 발생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2 개의 렌즈[제1 렌즈(151)와 제2 렌즈(152)]가 회전측이든 고정측이든 한 쪽의 구성에 모두 구비되어 있으므로 예컨대 모두가 회전하지 않는 고정측[즉, 고정관(120) 또는 렌즈 보호관)]에 구비되므로, 회전관(110)이 회전하더라도 회전에 따른 얼라인 공차가 발생할 수 없고 그 결과 회전에 따른 광손실은 발생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렌즈[제1 렌즈(151)]는 캐필러리에 접착할 필요가 없으므로, 렌즈 접착 작업 공정이 줄어들어서 전체적으로 제품의 제작 작업성이 향상된다.
회전 가이더(140)와 렌즈는 회전하지 않고 제1 광화이버의 코어(C1a)만이 회전하는 방식을 채택함으로써, 광심선 정렬은 빛이 전달되는 코어의 단면 길이방향에 대하여 1㎛ 단위에도 광손실이 발생하는 무척 민감한 부분이나, 광코어와 렌즈의 기술적 결합으로 이러한 길이방향의 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오랜 시간의 회전으로 인해 베어링(br)의 마모가 발생하게 되는데, 이러한 베어링의 마모로 인하여 길이방향의 유격이 발생한다고 하더라도 광을 전달하는 제1 광화이버의 코어(C1a)의 단면이 길이 방향으로 시프트가 발생하는 구성이므로 때문에 종래의 광손실을 초래하던 부분을 보완할 수 있게 된다(본원발명은 길이방향 0.1 mm 벗어나도 광손실이 발생하지 않음).
즉, 2 개의 렌즈(151,152)와 회전 가이더(140)가 모두 회전하지 않고 제1 광화이버(C1)의 코어(C1a)만이 회전하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고 나아가 제1 캐필러리(161)와 회전 가이더(140)가 동축 및 동심(센터 정렬)을 이루고 있는 방식을 채택함으로써 공차 관리가 가능하게 되는데, 이하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오랫 동안의 사용으로 인해서 금속재질의 베어링(br)에 마모가 발생하게 되는데, 마모된 만큼 베어링은 길이방향으로 편심이 발생하게 되고, 이에 따라서 광화이어버의 코어도 편심이 발생하게 되고, 광화이버의 코어의 끝이 베어링의 공차에 따라서 빛의 진향방향인 길이방향에 변화가 발생하게 되어서 광 특성이 나빠지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본원발명은 마모된 베어링(br)이 회전하더라도 렌즈(151,152)와 회전 가이더(140)가 모두 고정되어 있고, 광화이버(C1)의 코어(C1a)만이 회전하므로 제1 캐필러리(161)의 공차(1/10,000)가 베어링(br)의 공차(3/1,000)보다 더 정밀하여서 코어(C1a)에 광진행방향으로 변화가 생겨도 광손실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광화이버 회전형 커넥터(A)에 있어서, 상기 고정관(120)의 타측(도면상에서는 우측)에 고정되고, 끼움홀(170a)이 길이방향으로 관통형성되어 있는 관 형상의 렌즈홀더(170)가 더 포함되어서 구성되고, 상기 제1 렌즈(151)는 상기 렌즈홀더(170)의 끼움홀(170a)에 끼워져서 고정되고, 타측(도면상에서는 우측)이 상기 렌즈홀더(170)로부터 노출되도록 상기 렌즈홀더(170)의 타측에 끼움 구비되는[즉, 제1 렌즈(151)는 렌즈홀더(170)에 부분적으로 끼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광화이버 회전형 커넥터(A)에 있어서, 상기 회전 가이더(140)는 타측(도면상에서는 우측)이 상기 렌즈홀더(170)의 전단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제2 관통홀(121)에 끼움 고정되고, 상기 렌즈홀더(170)의 일측(도면상에서는 좌측)이, 상기 고정관(120)의 타측으로부터 돌출된 상기 회전 가이더(140)의 타측에 끼움 고정됨으로써 상기 고정관(120)의 타측에 고정되며, 상기 렌즈홀더(170)의 끼움홀(170a)에 내삽되어서 끼워진 회전 가이더(140)의 타단과 제1 렌즈(151)의 일단 사이에는 에어갭(g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광화이버(C1)의 코어(C1a)는 상기 회전 가이더(140)의 삽입홀(140a)을 통과하여서 에어갭(g1)에서 종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면, 별도의 체결 구성을 채택하지 않더라도, 회전 가이더(140)를 이용하여 렌즈홀더(170)를 고정관(120)에 고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광화이버 회전형 커넥터(A)에 있어서, 상기 렌즈홀더(170)의 끼움홀(170a)에 내삽된 회전 가이더(140)와 제1 렌즈(151) 사이의 에어갭(g1)에는 광화이버의 코어와 동일한 굴절률(n=1.47)을 갖고 있어서 제1 광화이버 코어(C1a)와 제1 렌즈(151) 간의 삽입 손실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광학젤(180)이 충진되어 있고[따라서 에어갭(g1)에 충진되어 있는 광학젤(180)은 회전 가이더(140)의 타단면과 제1 렌즈(151)의 일단면에 모두에 밀착되어 있다.], 상기 회전 가이더(140)의 삽입홀(140a)에 내삽되어 있는 상기 제1 광화이버(C1)의 코어(C1a)는 상기 광학젤(180)에 종단되어 있고, 상기 제1 광화이버(C1)의 코어(C1a)에서 출사되는 광은 광학젤(180)을 매질로 하여 상기 제1 렌즈(151)로 입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 광화이버(C1)의 코어(C1a)의 끝이 광학젤(180)에서 종단되므로 광학젤(180)은 젤 타입이어서 유동성이 있고 제1 광화이버(C1)의 코어(C1a)의 끝은 자유단이 되고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어서, 제1 광화이버(C1)의 코어(C1a)는 편심이 없이 회전하게 되므로 광손실이 없이 제1 렌즈(151)로 광이 입사하게 된다.
상기 광학젤(180)은 광화이버의 코어와 동일한 굴절률을 갖는 석영이나 유리 재질로서, 윤활 오일(grease)와 유사한 점도가 있어서 유동성이 있는 젤 타입의 광학 재료이다.
그리고, 광학젤(180)은 코어와 동일한 굴절률을 가지므로, 출사된 광이 산란이나 반사를 하지 않고 제1 렌즈(151)로 직진하여서 반사 손실 없이 광이 전달된다. 또한 제1 광화이버 코어(C1a)와 제1 렌즈(151) 간의 삽입 손실을 없게 하고 역반사를 낮추는 역할을 한다.
한편, 광학제(180) 자체는 본원발명의 출원 전에 공지된 광학 재료로서 예컨대 미국 코닝사의 광학젤을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광화이버 회전형 커넥터(A)에 있어서, 상기 렌즈홀더(170)의 끼움홀(170a)에 내삽된 회전 가이더(140)와 제1 렌즈(151) 사이의 에어갭(g1)에 연통되도록, 상기 렌즈홀더(170)에는 주입공(170b)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광학젤(180)은 상기 주입공(170b)을 통해서 에어갭(g1)으로 충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면, 광학젤(180)의 주입을 원활하게 할 수 있고, 에어갭(g1)에 충진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주입공(170b)을 통해서 에어갭(g1)에 광학젤(180)이 충진된 경우 UV경화제(미도시)에 의해서 상기 주입공(170b)은 폐색된다. UV경화제로 막고 UV조사하면 바로 굳으므로 주입공(170b)이 폐색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광화이버 회전형 커넥터(A)에 있어서, 상기 에어갭(g1)에 충진된 광학젤(180)의 일부가 상기 회전 가이더(140)의 삽입홀(140a)로 유입되어서 상기 회전 가이더(140)의 삽입홀(140a)과 제1 광화이버(C1) 코어(C1a) 사이에는 광학젤이 충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유입된 광학젤(180)이 윤활유 역할을 하게 되어서 제1 광화이버(C1)의 코어(C1a)가 삽입홀(140a)에서 회전할 때에 마모가 없이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광화이버 회전형 커넥터(A)에 있어서, 상기 고정관(120)의 일측에 나사체결되고, 고정관(120)의 일단면으로부터 일측으로 이격되어 있는 환형의 누름리브(191a)가 형성되어 있는 어댑터(191)와, 일측면이 상기 어댑터(191)의 누름리브(191a)에 밀착되고, 타측면이 상기 고정관(120)의 일단면과 베어링(br)의 외륜에 동시에 밀착되어서, 어댑터(191)의 누름리브(191a)와 고정관(120) 및 베어링(br)의 외륜에 동시에 압착 개재되고, 상기 베어링(br)의 편심을 완충하는 쿠션 재질의 완충링(192)이 더 포함되어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면, 베어링(br)의 편심을 완충하여서 제품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편심을 완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광화이버 회전형 커넥터(A)에 있어서, 상기 회전관(110)의 외주면에는 단턱(110a)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회전관(110)의 제1 관통홀(111)의 타측에는 제1 나사부(도면번호 미병기)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베어링(br)의 일단이 상기 단턱(110a)에 밀착되어서 회전관(110)의 외주면에 축설되어 있으며, 상기 제1 관통홀(111) 및 제2 관통홀(121)과 연통하는 제4 관통홀(193a)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나사부에 나사 체결되며, 제1 나사부와의 조임에 의해서 머리부(193b)가 일측이 회전관(110)의 단턱(110a)에 스토핑되어 있는 베어링(br)의 타측면을 압착하여서 베어링(br)의 편심과 유격 발생을 예방하는 압착볼트(193)가 더 포함되어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면, 베어링(br)을 압착하여서 베어링(br)의 유격을 예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광화이버 회전형 커넥터(A)에 있어서, 상기 회전 가이더(140)의 삽입홀(140a)은 상기 제1 광화이버(C1)의 코어(C1a)와 회전공차가 형성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광화이버(C1)의 코어(C1a)와 삽입홀(140a)의 회전공차는 0.0001 mm인 것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광화이버 회전형 커넥터(A)에 있어서, 상기 제2 렌즈(152)는 타측(도면상에서는 우측)이 상기 렌즈 보호관(130)로부터 노출되도록(따라서 제2 렌즈(152)는 렌즈 보호관(130)에 부분적으로 끼움 고정된다.) 렌즈 보호관(130)의 제3 관통홀(131)의 타측에 끼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광화이버 회전형 커넥터(A)에 있어서, 상기 제2 렌즈(152)는 제2 캐필러리(162a)에 UV경화제(195)에 의해서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미설명의 도면부호 H1은 회전측 보호커버(H1)이고, 도면번호 H2는 고정측 보호커버(H2)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해당 기술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A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광화이버 회전형 커넥터
C1 : 제1 광화이버 C1a : 제1 광화이버의 코어
C2 : 제2 광화이버 C2a : 제2 광화이버의 코어
110 : 회전관 110a : 회전관의 단턱
111 : 제1 관통홀 br : 베어링
120 : 고정관 121 : 제2 관통홀
130 : 렌즈 보호관 131 : 제3 관통홀
140 : 회전 가이더 140a : 회전 가이더의 삽입홀
151 : 제1 렌즈 152 : 제2 렌즈
161 : 제1 캐필러리 161a : 제1 캐필러리의 제1 고정홀
162 : 제2 캐필러리 162a : 제2 캐필러리의 제2 고정홀
170 : 렌즈홀더
170a : 끼움홀 170b : 주입공
g1 : 회전 가이더와 제1 렌즈 사이의 에어갭
180 : 광학젤
191 : 어댑터 191a : 누름리브
192 : 완충링 193 : 압착볼트
193a : 제4 관통홀 193b : 압착볼트의 머리부
195 : 경화제 H1,H2 : 보호커버

Claims (4)

  1. 제1 관통홀(111)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회전관(110)과,
    상기 회전관(110)의 제1 관통홀(111)의 일측에 끼움 고정되고, 제1 광화이버(C1)의 코어(C1a)를 고정하기 위한 제1 고정홀(161a)이 길이방향으로 관통되어 있어서 제1 광화이버(C1)의 코어(C1a)를 고정하는 제1 캐필러리(161)와,
    상기 회전관(110)의 타측 외주면에 동축으로 체결되는 베어링(br)과,
    상기 제1 관통홀(111)과 연통하는 제2 관통홀(121)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베어링(br)의 외륜에 체결되는 고정관(120)과,
    상기 제2 관통홀(121)과 연통하는 제3 관통홀(131)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관(120)의 타측에 체결되며, 제1 렌즈(151) 및 제2 렌즈(152)를 상기 제3 관통홀(131)에 위치하도록 하여서 제1 렌즈(151) 및 제2 렌즈(152)를 보호하는 렌즈 보호관(130)과,
    상기 고정관(120)의 제2 관통홀(121)에 삽입 고정되고, 내부에 제1 광화이버(C1)의 코어(C1a)가 내삽되는 삽입홀(140a)이 길이방향으로 관통되어 있으며, 제1 광화이버(C1)의 코어(C1a)가 편심되지 않고 회전하도록 가이드하는 회전 가이더(140)와,
    상기 고정관(120)의 제2 관통홀(121) 또는 렌즈 보호관(130)의 제3 관통홀(131) 중의 어느 하나의 관통홀에 삽입 고정되고, 회전하는 제1 광화이버(C1)의 코어(C1a)의 광을 출사하는 제1 렌즈(151)와,
    상기 렌즈 보호관(130)의 제3 관통홀(131)의 타측에 끼움 고정되고, 상기 제1 렌즈(151)로부터 출사되는 광을 수광하는 제2 렌즈(152)와,
    상기 제2 렌즈(152)의 타단에 접착되고, 내부에 제2 광화이버(C2)의 코어(C2a)를 고정하기 위한 제2 고정홀(162a)이 길이방향으로 관통되어 있어서 제2 광화이버(C2)를 고정하는 제2 캐필러리(162)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회전 가이더(140)의 삽입홀(140a)과 제1 캐필러리(161)의 제1 고정홀(161a)이 동축의 일직선 상에 위치하도록 상기 회전 가이더(140)가 상기 고정관(120)의 제2 관통홀(121)에 삽입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화이버 회전형 커넥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관(120)의 타측에 고정되고, 끼움홀(170a)이 길이방향으로 관통형성되어 있는 관 형상의 렌즈홀더(170)가 더 포함되어서 구성되고,
    상기 제1 렌즈(151)는,
    상기 렌즈홀더(170)의 끼움홀(170a)에 끼워져서 고정되고, 타측(도면상에서는 우측)이 상기 렌즈홀더(170)로부터 노출되도록 상기 렌즈홀더(170)의 타측에 끼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화이버 회전형 커넥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회전 가이더(140)는,
    타측이 상기 렌즈홀더(170)의 전단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제2 관통홀(121)에 끼움 고정되고,
    상기 렌즈홀더(170)의 일측이, 상기 고정관(120)의 타측으로부터 돌출된 상기 회전 가이더(140)의 타측에 끼움 고정됨으로써 상기 고정관(120)의 타측에 고정되며,
    상기 렌즈홀더(170)의 끼움홀(170a)에 내삽되어서 끼워진 회전 가이더(140)의 타단과 제1 렌즈(151)의 일단 사이에는 에어갭(g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광화이버(C1)의 코어(C1a)는 상기 회전 가이더(140)의 삽입홀(140a)을 통과하여서 에어갭(g1)에서 종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화이버 회전형 커넥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렌즈홀더(170)의 끼움홀(170a)에 내삽된 회전 가이더(140)와 제1 렌즈(151) 사이의 에어갭(g1)에는 광화이버의 코어와 동일한 굴절률을 갖고 있어서 제1 광화이버 코어(C1a)와 제1 렌즈(151) 간의 삽입 손실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광학젤(180)이 충진되어 있고,
    상기 회전 가이더(140)의 삽입홀(140a)에 내삽되어 있는 상기 제1 광화이버(C1)의 코어(C1a)는 상기 광학젤(180)에 종단되어 있으며,
    상기 제1 광화이버(C1)의 코어(C1a)에서 출사되는 광은 광학젤(180)을 매질로 하여 상기 제1 렌즈(151)로 입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화이버 회전형 커넥터.
KR1020200159208A 2020-11-24 2020-11-24 광화이버 회전형 커넥터 KR1025553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9208A KR102555343B1 (ko) 2020-11-24 2020-11-24 광화이버 회전형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9208A KR102555343B1 (ko) 2020-11-24 2020-11-24 광화이버 회전형 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1742A KR20220071742A (ko) 2022-05-31
KR102555343B1 true KR102555343B1 (ko) 2023-07-13

Family

ID=817863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9208A KR102555343B1 (ko) 2020-11-24 2020-11-24 광화이버 회전형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534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8075B1 (ko) 2013-11-30 2014-01-09 엘림광통신 주식회사 팬 및 틸트 회동 가능한 영상전송장치의 광 슬립링
KR101634885B1 (ko) 2011-08-10 2016-06-29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코포레이션 현장 설치가능 확장 빔 커넥터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43845Y2 (ko) * 1987-12-10 1992-10-16
US5039193A (en) * 1990-04-03 1991-08-13 Focal Technologies Incorporated Fibre optic single mode rotary joint
JPH10206686A (ja) * 1997-01-16 1998-08-07 Nitsupatsu Seimitsu Kogyo Kk 光ロータリコネクタ
KR101039121B1 (ko) 2010-02-05 2011-06-07 엘림광통신 주식회사 영상전송장치에 이용되는 영상 케이블 연결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4885B1 (ko) 2011-08-10 2016-06-29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코포레이션 현장 설치가능 확장 빔 커넥터 시스템
KR101348075B1 (ko) 2013-11-30 2014-01-09 엘림광통신 주식회사 팬 및 틸트 회동 가능한 영상전송장치의 광 슬립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1742A (ko) 2022-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211999A1 (en) Optical Connector
US10634856B2 (en) Dual inner diameter ferrule device and method
US7474822B2 (en) Optical fiber collimator
US20070019908A1 (en) Fiber optic rotary joint with de-rotating prism
US10101545B2 (en) Traceable cable assembly and connector
US5018821A (en) Optical connector ferrule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 same
US4666238A (en) Optical fiber alignment and retention device
US6556733B2 (en) Optical isolator and method for making same
JPWO2012121318A1 (ja) 光コネクタ、マルチコアファイバとバンドル構造との調芯方法、ファイバ配列変換部材
EP0023114B2 (en) Lens-applied optical fibre connectors
EP0190146B1 (en) Plural-channel optical rotary joint
KR102555343B1 (ko) 광화이버 회전형 커넥터
US4383732A (en) Fiber optic connector
US20050123240A1 (en) Optical collimator-use lens component, optical collimator, and method of assembling these
EP2573601A1 (en) Optical collimator and optical connector using same
US20130084042A1 (en) Damage resistant fiber optic connector
JP2016184106A (ja) 光ファイバ付きフェルール、光コネクタシステム及び光ファイバ付きフェルールの製造方法
US4867525A (en) Optical connector
CN106468805A (zh) 具有分立对齐组件的扩散束连接器
US20020197020A1 (en) Optical fiber collimator with long working distance and low insertion loss
JP2020052133A (ja) 光コネクタ用フェルール、スリーブ及びフェルール部材製造方法
US11079553B2 (en) Field installable rugged optical terminus
WO2006098221A1 (ja) 光モニタ方法および光モニタ装置
US20030138214A1 (en) Optical collimator with molding lens
US20140178013A1 (en) Flutes for ferrule to fiber bond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