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5050B1 - 조류 피해 방지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조류 피해 방지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5050B1
KR102555050B1 KR1020230004645A KR20230004645A KR102555050B1 KR 102555050 B1 KR102555050 B1 KR 102555050B1 KR 1020230004645 A KR1020230004645 A KR 1020230004645A KR 20230004645 A KR20230004645 A KR 20230004645A KR 102555050 B1 KR102555050 B1 KR 1025550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algae
damage
birds
par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046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인열
박성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바이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바이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바이오
Priority to KR10202300046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505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50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505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59/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elements or inorganic compounds
    • A01N59/16Heavy metals;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08Magnoliopsida [dicotyledons]
    • A01N65/36Rutaceae [Rue family], e.g. lime, orange, lemon, corktree or pricklyash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PBIOCIDAL, PEST REPELLANT, PEST ATTRACTANT OR PLANT GROWTH REGULATORY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PREPARATIONS
    • A01P17/00Pest repellan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lant Path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Dentistr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류 피해 방지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산화아연, 이산화티타늄 및 타나카 나무 추출물로 이루어진 자외선 차단제를 포함하며, 작물의 종실을 인식하는 조류의 시야를 방해하여 작물 재배 현장에서 발생하는 조류 피해를 줄일 수 있는 조류 피해 방지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조류 피해 방지용 조성물.{COMPOSITION FOR DAMAGE PREVENT FROM BIRDS}
본 발명은 조류 피해 방지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조류의 시야를 방해하여 작물 재배 현장에서 발생하는 조류 피해를 줄일 수 있는 조류 피해 방지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조류(bird)의 눈에는 가시광 영역 외에 자외선 파장을 감지할 수 있는 추상체(cone)가 포함되어 있으므로, 인간과 달리 식물을 자외선 영역에서 감지하여 구분할 수 있다. 이러한 조류의 특징을 이용하여 야생 조류가 유리창에 충돌하는 충돌 피해를 예방하기 위한 조류충돌 방지를 위해 유리창에 무늬(패턴)을 적용하거나 자외선 반사 테이프 부착 등의 다양한 방법으로 건설된 조류 친화형 건물이 개발되고 있다. 또한, 조류가 자외선 영역에서 쉽게 인식하는 유리창을 개발하여 건축물에 활용하고 있다.
한편, 조류에 의한 작물의 피해 발생을 줄이기 위해서 이러한 조류의 특징을 활용한 예는 찾아보기 힘들다. 조류의 피해를 줄이기 위한 기술로 과일(사과, 배, 포도 등)의 경우 열매에 종이봉지를 씌우거나, 크레졸 비누액(냄새)을 이용하고 있으다. 또한, 유실수 및 두류, 잡곡류, 수도작 등에는 방조망, 허수아비 또는 움직이는 물체(연 또는 드론 등)를 이용하거나, 싸이렌(소리, 폭음) 및 빛 반사 테이프 등과 농약 성분을 이용한 조류기피제(Bird repellent) 등을 다양하게 적용하고 있으나 그 효과가 미미한 실정이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0367080호에서는 과일 보호 봉지에서 조류 퇴치향을 발산하도록 하여 조류 피해를 방지하는 기술이 제안되고 있으며,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0436895호에서는 조류 퇴치향을 발생시키는 직물이 제안되고 있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20-1998-0059565호에서는 독수리 모양의 모조품이 움직이도록 하여 조류를 퇴치하는 장치가 제안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기술은 냄새나 시각적 효과를 통해 조류를 퇴치하고 있으나, 조류로 인한 작물의 피해를 줄일 수 있는 충분한 효과를 얻지 못하고 있으며, 최근에도 전체 수확량의 30%에 대해 조류로 인한 피해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는 등 조류 피해를 방지할 수 있는 개선된 기술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0367080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0436895호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20-1998-0059565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자외선 차단을 통해 작물의 종실을 인식하는 조류의 시야를 방해함으로써 작물 재배 현장에서 발생하는 조류 피해를 줄일 수 있는 조류 피해 방지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조류 피해 방지용 조성물은 산화아연, 이산화티타늄 및 타나카 나무 추출물로 이루어진 자외선 차단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자외선 차단제는 상기 자외선 차단제는 옥시벤존(oxybenzone; benzophenone-3; BP-3) 및 아보벤존(avobenzone)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류 피해 방지용 조성물은 수분산성 수지, 충진제 및 증점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류 피해 방지용 조성물은 스테비아 또는 당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류 피해 방지용 조성물은 상기 자외선 차단제 100 중량부에 대하여 2,000 내지 5,000 중량부의 물을 혼합하여 희석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류 피해 방지용 조성물을 적용하면 자외선 차단을 통해 작물의 종실을 인식하는 조류의 시야를 방해함으로써 작물 재배 현장에서 발생하는 조류 피해를 줄일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블루베리 과수에 대한 조류 피해 방지용 조성물 처리구와 대조구를 관찰한 결과이다.
도 2는 복숭아 과수에 대한 조류 피해 방지용 조성물 처리구와 대조구를 관찰한 결과이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조류는 자외선 영역의 파장을 감지할 수 있기 때문에 인간의 눈에 무성한 나뭇잎이 초록색으로 뒤죽박죽 덮인 것으로 보이는 나무를 분명하게 구분할 수 있으며 각각의 잎사귀를 또렷하게 인식할 수 있다. 즉, 자외선 영역에서 잎을 감지할 때 훨씬 더 명확하게 식물을 볼 수 있으며, 잎의 윗면은 더 밝게 보이고 밑면은 훨씬 어둡게 감지된다. 자외선 영역으로 잎을 보면 명암이 더 높아졌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이전보다 세부적으로 감지하게 된다.
모든 작물의 열매와 종실은 외피에 하얀 분의 형태로 당분을 배출하게 된다. 이때, 조류의 눈으로는 직접적으로 당분을 볼 수는 없지만, 태양광의 자외선(Ultraviolet rays)을 받게 되면 당분의 배출량에 따라 조류의 눈에는 현란(반짝임) 빛이 외부 보이게 되어 작물의 익은 열매와 종실을 구별할 수 있게 된다.
자외선 영역에서는 투과되는 빛의 양보다 반사되는 빛의 양이 훨씬 많다. 예를 들어, 황조롱이 같은 맹금류는 자외선을 이용하여 사냥을 하는데, 하늘에서 황조롱이가 정지비행을 하면서 주시하는 것은 들쥐가 아니라 들쥐의 오줌에 들어 있는 당에서 반사되는 자외선을 확인하고 사냥을 한다고 알려져 있다.
이러한 배경하에서, 출원인은 종래의 조류기피제(bird repellent)가 아닌 자외선 차단 물질을 이용하여 조류의 시야에서 작물의 과실 및 종실을 식별하기 어렵게 만들어 작물의 피해를 줄이는 암막제(bird eyes don't sight, black screen matter) 형태의 조류 피해 방지용 조성물을 개발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자들은 실험을 통해 조류들이 당분에 반응된 자외선의 강도에 따라 유실수 및 각종 종자의 숙성성분을 탐지하여 가해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본 발명에서는 조류의 시야에서 작물의 과실 및 종실을 보이지 않게 하여 효과적으로 조류 피해를 방지할 수 있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류 피해 방지용 조성물은 산화아연, 이산화티타늄 및 타나카 나무 추출물로 이루어진 자외선 차단제를 이용하여 조류의 시각을 방해하는 효과를 얻고 있다.
일 실시양태에서 자외선 차단제를 포함하는 조류 피해 방지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자외선 차단 성분으로는 염산퀴니네 등의 퀴닌 염류, p-아미노벤조산에틸 등의 p-아미노벤조산 유도체, 살리실산페닐 등의 살리실산 유도체 등이 사용된다. 이들 흡수제는 화장료 조성물에 이용되고 있으며, 크림, 로션, 기름의 형태로 2 내지 10% 정도 첨가되어 피부에 도포된다. 이들의 주성분에는 자외선 방지를 돕기 위해 산화아연과 이산화티탄 등의 분말이 쓰이고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상기 자외선 차단제는 무기물인 산화아연(zink oxide) 및 이산화티타늄(titanium dioxide)과 유기물인 옥시벤존(oxybenzone; benzophenone-3; BP-3), 아보벤존(avobenzone), 천연물인 타나카(thanaka) 나무추출물(coumarin 및 marmesin 98% 함유) 중에서 선택되는 2종 이상의 성분의 조합일 수 있다.
산화아연은 무기화합물로 물에 녹지 않는 백색 분말이다. 상기 산화 아연은 화장품, 식품 보조제, 고무, 플라스틱, 도자기, 유리, 시멘트, 윤활제, 도료, 연고, 접착제, 실런트, 안료, 식품, 전지, 페라이트, 난연제 등 수많은 재료 및 제품의 첨가제로 이용된다. 광물성 아연광은 자연적으로 발생하지만 대부분의 산화아연은 합성으로 생성된다.
또한, 이산화티타늄은 자외선 차단제 및 화장품, 흰색의 도료(물감, 유약, 잉크, 수정액, 페인트 등), 광촉매, 식품첨가제, 항균제, 악취제거 및 살균제, 반도체 물질, 및 태양전지 셀 및 코팅 물질 등으로 다양하게 이용된다.
또한, 옥시벤존은 대부분의 유기 용매에 쉽게 용해되는 담황색 고체로서, 벤조페논으로 알려진 방향족 케톤 계열에 속하며,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다양한 꽃 식물에서 발견되는 화학물질일 뿐만 아니라 자외선 차단제의 유기성분이다. 옥시벤존은 로션, 플라스틱, 장난감, 가구 마감재 등에, UV 분해를 제한하기 위해 널리 이용된다.
또한, "아보벤존(Avobenzone; 상표명 Parsol 1789, Milestab 1789, Eusolex 9020, Escalol 517, Neo Heliopan 357 및 기타, INCI 부틸 메톡시디벤조일메탄)"은 UVA 광선의 전체 스펙트럼을 흡수하기 위해 선스크린 제품에 사용되는 지용성 성분이다. 아보벤존은 용매의 특성에 민감하여 극성 양성자성 용매에서는 비교적 안정하고 비극성 환경에서는 불안정하다. 또한, UVA 광을 조사하면 케토 형태의 삼중항 여기상태를 생성하여 아보벤존을 분해하거나 생물학적 표적에 에너지를 전달하여 해로운 영향을 줄 수 있다.
또한, 타나카 나무 추출물은 쿠미린과 말메신을 98% 함유하는 다년생 식물로 양질의 성분을 얻기 위해서는 최소 35년 이상의 나무를 사용한다. 자연상태의 타나카는 작은 통나무 또는 묶음일 수 있으나 상업적으로 판매되는 페이스트나 분말 형태일 수 있다. 타나카 나무 분말은 미얀마 문화의 독특한 특징으로 일반적으로 자외선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는 것과 더불어 청량감, 잡티 방지, 피부 유분 조절을 위해 사용된다. 타나카 나무의 자생지역은 미얀마 샨주, 버꼬꾸 지역 등이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자외선 차단제로 산화아연, 이산화티타늄 및 타나카 나무 추출물을 사용하는데 이는 안정성이 높아 조류 피해 방지용 조성물에 포함하기에 적합성이 특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자외선 차단제로 옥시벤존 및 아보벤존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일 실시예에 따른 자외선 차단제는 산화아연 1 내지 50 중량부, 이산화티타늄 1 내지 50 중량부 및 타나카 나무 추출물 1 내지 50 중량부로 이루어진 자외선 차단제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외선 차단제는 산화아연 1 내지 50 중량부, 이산화티타늄 1 내지 50 중량부 및 타나카 나무 추출물 1 내지 50 중량부, 옥시벤존 1 내지 50 중량부 및 아보벤존 1 내지 50 중량부로 이루어진 자외선 차단제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류 피해 방지용 조성물은 액상으로 제조하여 작물에 분무 또는 도포하는 용도로 사용할 수 있으며, 코팅액 형태로 제조하여 과일 보호 봉지에 코팅하기 위한 용도로도 사용할 수 있다.
액상으로 제조할 경우 상기 조류 피해 방지용 조성물은 스테비아 또는 당류를 추가로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스테비아 또는 당류는 1 내지 30 중량부의 범위에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류 피해 방지용 조성물은 침강방지제인 탈크(파우더)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탈크는 1 내지 20 중량부의 범위에서 포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조류 피해 방지용 조성물은 이산화티탄 30 중량부, 산화아연 30 중량부, 타나카 나무 추출물 30 중량부, 스테비아 30 중량부 및 탈크 10 중량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조류 피해 방지용 조성물을 작물에 처리하면 조류가 작물의 종실을 식별하는데 어려움을 겪게 되므로 조류로 인한 작물의 피해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작물에 처리하는 방법으로는 상기 조류 피해 방지용 조성물을 적절히 희석하여 분무 또는 도포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상기 조류 피해 방지용 조성물에 물을 가하여 1 내지 500배, 바람직하게는 200 내지 500배 희석한 수용액을 제조하고 이를 작물에 분무하거나 도포할 수 있다.
또한, 조류 피해 방지용 조성물을 작물에 처리하기 전에 스테비아 또는 당을 별도로 작물에 사전 처리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조류 피해 방지용 조성물은 스테비아 또는 당을 포함하지 않아도 된다. 상기 조류 피해 방지용 조성물을 작물에 도포하기 전에 스테비아 또는 당을 도포하면 먼저 작물 전체에 고르게 현리 현상을 표현하여 햇빛에 의해 작물에서 자외선들이 난반사를 일으키게 하고, 더 나아가 상기 조류 피해 방지 조성물의 작물에 대한 흡착도를 높일 수 있으므로 골고루 피복 및 흡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류 피해 방지용 조성물은 수분산성 수지, 충진제 및 증점제를 포함하는 코팅 조성물로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수분산성 수지로는 수분산성 폴리우레탄, 수분산성 아크릴, 폴리에스테르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으며, 수분산성 폴리우레탄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충진제로는 카본블랙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카본블랙은 흑색도가 높고 착색성, 전기전도성, 내후성, 내화학성 등이 우수하므로 상기 수분산성 수지의 강화제 및 차광재료로서 사용하기 적합하다. 상기 충진제는 상기 수분산성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5 내지 20 중량부의 범위에서 함유될 수 있다. 상기 충진제의 함량이 너무 적으면 가시광선이 충분히 차단되지 않아 코팅층의 기능이 저하될 수 있고, 너무 많으면 코팅 후 경화가 잘 되지 않아 코팅층의 내구성이 저하되게 된다.
또한, 상기 증점제로는 잔탄검, 담마검, 셀룰로오스 분말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는데, 상기 수분산성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5 중량부의 범위에서 함유될 수 있다. 상기 증점제의 함량이 너무 적으면 점도가 낮아 코팅층의 두께가 얇아질 수 있고 너무 많으면 점도가 높아 경화 및 균일한 코팅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조류 피해 방지용 조성물을 코팅액으로 사용할 경우, 종이나 비닐과 같은 과일 보호 봉지의 표면에 상기 코팅액을 도포하고 경화시키는 과정을 통해 코팅층을 형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코팅액은 800 내지 1,300cps의 점도를 나타내도록 조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점도가 너무 낮으면 코팅층의 두께가 얇아지고 코팅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점도가 너무 높으면 경화가 잘 안되고 코팅층이 불균일해 질 수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조류 피해 방지용 조성물은 자외선 차단제를 포함하며, 작물에 분무 또는 도포 처리를 하거나 작물에 사용되는 과일 보호 봉지와 같은 기재의 표면에 코팅함으로써 작물의 종실을 인식하는 조류의 시야를 방해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작물 재배 현장에서 발생하는 조류 피해를 줄일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조류 피해 방지용 조성물을 작물에 처리했을 때 조류 피해를 방지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블루베리 및 복숭아 과수에 조류 피해 방지용 조성물을 살포한 후 조류 피해 여부를 확인하였다.
블루베리는 블루베리 듀크 삽목 6년생을 시험 대상으로 하였으며, 500배액 3kg/ha의 조류 피해 방지용 조성물을 과수에 살포한 후 조류 피해를 25일간 관찰하였다. 또한, 복숭아는 복숭아 흰둥이 접목 8년생을 시험 대상으로 하였으며, 500배액 3kg/ha의 조류 피해 방지용 조성물을 과수에 3차에 걸쳐 살포한 후 살포일로부터 3개월 후의 상태를 관찰하였다.
블루베리에 대한 처리구 및 대조구의 총수확량을 조사한 결과는 조류 피해 방지용 조성물 처리구는 15일 째 수확량이 한 그루 당 6.64㎏이었으나, 대조구의 경우 수확량이 2.14㎏에 불과하여 조류 피해 방지용 조성물을 처리하지 않은 과수에서 조류에 의한 소실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복숭아에 대한 처리구 및 대조구의 피해개체를 조사하기 위하여 난괴법을 이용하여 3회 반복하여 육안피해조사를 실시하였다. 처리구(9개 과수)와 무처리구(9개 과수)의 거리는 약 18.5m의 간격을 두었다. 또한, 과수 1그루 당 100개의 과를 조사하여 조류에 의한 피해 과수 평균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는 표 1과 같다(표 1에서 단위는 피해과수/100개과임).
1차살포 2차살포 3차살포 평균
처리구 2.67 3.0 4.3 3.32
대조구 14.0 19.7 17.3 17.0
표 1의 결과를 살펴보면, 조류 피해 방지용 조성물 처리구의 경우 피해 과 평균이 3.32인 것에 대해 대조구의 경우 17.0으로 나타나 조류 피해 방지용 조성물을 복숭아 과수에 살포함으로써 조류의 접근을 막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블루베리 과수에 대한 조류 피해 방지용 조성물 처리구와 대조구를 관찰한 결과는 도 1과 같으며, 복숭아 과수에 대한 조류 피해 방지용 조성물 처리구와 대조구를 관찰한 결과는 도 2과 같다.
처리구와 대조구를 관찰한 결과를 살펴보면, 조류 피해 방지용 조성물을 살포한 블루베리 과수는 20일 경과 후에도 조류에 의한 피해가 관찰되지 않았으나, 대조구의 경우 조류에 의한 피해가 나타나 과수에 조류가 접근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과 변경이 가능하다. 그러한 변형예 및 변경예는 본 발명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범위 내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Claims (5)

  1. 산화아연 1 내지 50 중량부, 이산화티타늄 1 내지 50 중량부 및 타나카(thanaka) 나무 추출물 1 내지 50 중량부로 이루어진 자외선 차단제, 스테비아 1 내지 30 중량부, 탈크 1 내지 2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류 피해 방지용 조성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차단제는 옥시벤존(oxybenzone; benzophenone-3; BP-3) 및 아보벤존(avobenzone)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류 피해 방지용 조성물.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류 피해 방지용 조성물은 수분산성 수지, 충진제 및 증점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류 피해 방지용 조성물.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류 피해 방지용 조성물은 상기 자외선 차단제 100 중량부에 대하여 2,000 내지 5,000 중량부의 물을 혼합하여 희석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류 피해 방지용 조성물.
KR1020230004645A 2023-01-12 2023-01-12 조류 피해 방지용 조성물. KR1025550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04645A KR102555050B1 (ko) 2023-01-12 2023-01-12 조류 피해 방지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04645A KR102555050B1 (ko) 2023-01-12 2023-01-12 조류 피해 방지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55050B1 true KR102555050B1 (ko) 2023-07-18

Family

ID=874233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04645A KR102555050B1 (ko) 2023-01-12 2023-01-12 조류 피해 방지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5050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70305A (ko) * 1973-08-29 1975-06-11
KR19980059565U (ko) 1998-07-20 1998-10-26 이은재 조류의 피해를 방지하는 장치
KR100367080B1 (ko) 2000-11-29 2003-01-24 윤성길 조류피해 방지용 과일 보호봉지와 그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KR100436895B1 (ko) 2002-04-26 2004-06-23 (주)사천화섬 조류피해 방지용 직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70047243A (ko) * 2014-07-25 2017-05-04 아르키온 라이프 사이언씨즈 엘엘씨 조류 기피 조성물을 개선하기 위한 시각적 신호제의 용도
KR102164246B1 (ko) * 2020-01-29 2020-10-12 (주)지에프씨생명과학 식물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및 자외선에 대한 피부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70305A (ko) * 1973-08-29 1975-06-11
KR19980059565U (ko) 1998-07-20 1998-10-26 이은재 조류의 피해를 방지하는 장치
KR100367080B1 (ko) 2000-11-29 2003-01-24 윤성길 조류피해 방지용 과일 보호봉지와 그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KR100436895B1 (ko) 2002-04-26 2004-06-23 (주)사천화섬 조류피해 방지용 직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70047243A (ko) * 2014-07-25 2017-05-04 아르키온 라이프 사이언씨즈 엘엘씨 조류 기피 조성물을 개선하기 위한 시각적 신호제의 용도
KR102164246B1 (ko) * 2020-01-29 2020-10-12 (주)지에프씨생명과학 식물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및 자외선에 대한 피부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arentz et al. Survey of mycosporine-like amino acid compounds in Antarctic marine organisms: potential protection from ultraviolet exposure
US8986741B2 (en) Sunscreen compositions for application to plants
KR102556756B1 (ko) 조류 기피 조성물을 개선하기 위한 시각적 신호제의 용도
WO2006044060A2 (en) Use of lipid formulations to protect horticultural crops
JP3623008B2 (ja) 屋外構築物用フイルム
JP5495795B2 (ja) 植物衛生製剤
CN112167266A (zh) 一种微膜钙水果日灼保护剂及其制备和应用方法
Salian et al. A roadmap to UV-protective natural resources: Classification, characteristics, and applications
WO2016100316A1 (en) Natural plant pigments for sunscreen protection in specialty crops
Guedes Marroig et al. The effect of Ascophyllum nodosum (Ochrophyta) extract powder on the epibiosis of Kappaphycus alvarezii (Rhodophyta) commercially cultivated on floating rafts
JP2023505535A (ja) 化学的及び物理的日焼け防止用ドライ組成物、エマルション及び/又は流体、並びにそれらの使用
KR102555050B1 (ko) 조류 피해 방지용 조성물.
KR101128591B1 (ko) 해양 홍조류 추출 혼합물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464335B1 (ko)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식물 병원균 방제용 조성물
D'Aquino et al. Effect of surround WP (a Kaolin-based particle film) on Ceratitis capitata infestation, quality and postharvest behavior of cactus pear fruit cv Gialla
JP2022525993A (ja) 作物の日焼け防止剤
Zaky Impact of spraying some chemical substances on controlling sunburn of Balady mandarin fruits
KR20100036125A (ko) 병충해 방제용 과일보호용 봉지.
CN111925685A (zh) 植物防晒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Klisch et al. UV-absorbing compounds in algae
US20240000077A1 (en) Composition and method for enhance uva/uvb resistance of agrochemical formulation, use of the composition, and agrochemical formulation
AMEERUL HASSAN et al. SYNTHESIS OF ORGANIC PAINT FROM VEGETABLE WASTE
KR20050112501A (ko) 해충기피성 도료
WO2021152217A1 (en) Use of rosin for treatment of plants
Casal et al. The absence of UV-radiation delays the strawberry ripening but increases the final productivity, not altering the main fruit nutritional properti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