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4786B1 - 부스덕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부스덕트 - Google Patents

부스덕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부스덕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4786B1
KR102554786B1 KR1020160087077A KR20160087077A KR102554786B1 KR 102554786 B1 KR102554786 B1 KR 102554786B1 KR 1020160087077 A KR1020160087077 A KR 1020160087077A KR 20160087077 A KR20160087077 A KR 20160087077A KR 102554786 B1 KR102554786 B1 KR 1025547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ad
booth duct
conductor
busbars
bus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70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37811A (ko
Inventor
임동현
김봉석
이준근
이민우
Original Assignee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to PCT/KR2016/009956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7052111A1/ko
Publication of KR201700378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78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47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47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5/00Installations of bus-bars

Abstract

부스덕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부스덕트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부스덕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부스덕트에 의하면, 대용량 전류를 공급하는 부스덕트에서 부하의 쏠림과 도체의 온도상승을 방지함으로써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부스덕트 유닛의 안전성과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각 전력공급처로 균등한 전력 배분을 통해 안정적인 전력 공급을 실현할 수 있다.

Description

부스덕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부스덕트{busduct unit and busduct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부스덕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부스덕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대용량 전류를 공급하는 둘 이상의 부스덕트로 이루어진 부스덕트 유닛에서 어느 한쪽으로 부하가 집중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안정적인 전력 수급이 가능한 부스덕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부스덕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 에너지를 전달하는 매개체로서 예전에는 케이블(cable)을 많이 사용해 왔으나, 최근에는 케이블의 대체품으로 부스덕트(bus duct)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부스덕트는 케이블에 포함된 도체 심선과 같은 역할을 수행하는 부스바(bus bar)를 구비하고 있으며 대용량의 전류를 통전 가능한 장점이 있다.
원래, 전력 배선 방식에 있어서는 전선케이블에 의한 배선 방식이 널리 사용되어 왔으나, 고층 건물이나 대단위 공장 등의 배선 방식에서는 점차적으로 부스바(bus bar)를 구비하는 부스덕트(bus duct)에 의한 배선 방식을 채택하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다.
이러한 부스덕트와 케이블은 도체와 절연체를 가지는 점에서는 공통점이 있으나 케이블은 도체를 보호하거나 절연하기 위하여 비닐 또는 고무를 사용하지만 부스덕트는 대용량의 전류를 도체를 통해 전달하므로, 절연체로서 직접 보호하기 어려워서 절연체를 부스바에 피복함과 동시에 부스바를 금속 덕트 안에 내장하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이러한 부스덕트는 증설과 이설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부스바의 전력배선 상에 이상이나 사고 발생 시 그 처리가 용이하여 신속하게 복구할 수 있으므로 비교적 많은 전력을 사용하는 장소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더욱이 예전에 비해서 지금의 건축물의 전기공급 시스템은 점점 크고 다양한 용량의 에너지를 필요로 하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추세에 맞추어 안전하고 에너지 손실이 적은 부스덕트의 사용량이 급속하게 증가하고 있다.
예컨대, 부스덕트는 공장, 빌딩, 아파트, 대형 할인마트, 오피스텔, 연구단지, 백화점, 골프장, 터널, 반도체 및 LCD공장, 화학, 정유, 제철, 초고층빌딩, 초고압 변전소, LNG인수기지, 신공항, 항만 등의 다양한 분야의 시설물에 적용되고 있다.
부스덕트 내부에 구비된 부스바는 통상적으로 큰 전류가 흐르기 때문에 소정 크기의 덕트 내부에 외부와 격리된 상태로 구비되며, 이러한 부스바를 포함하는 부스덕트는 일정 길이를 갖는 단위 유닛(unit)으로 제조된 후 설치하고자 하는 시설 및 배전 설계에 맞추어 연결 시공된다.
이때 단위 유닛으로 제조된 부스덕트를 연속적으로 시공할 수 있도록 접속부가 구비된다. 즉, 각각의 부스덕트 유닛은 접속부에 의해 도체는 도체끼리 연결되고 외부 접지는 접지끼리 서로 접속이 이루어진다.
한편, 대용량 전류용 부스덕트의 경우에는 각 상당 2개 이상의 부스바로 전력선로를 구성하는 경우가 많은데, 각 전력공급처로 분기할 때 한쪽 부스바에서만 부하를 부기하면 심각한 부하 불균형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이때 과부하가 걸린 전력선로의 도체는 발열하여 온도가 상승하므로 전체 부스덕트 유닛의 안전성에 손상을 가져오며, 자칫 화재 등 안전사고로 이어질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대용량 전류를 공급하는 둘 이상의 부스덕트 유닛으로 이루어진 부스덕트에서 어느 한쪽으로 부하가 집중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안정적인 전력 수급이 가능한 부스덕트 유닛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대용량 전류를 공급하는 부스덕트에서 부하의 쏠림과 도체의 온도상승을 방지함으로써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부스덕트 유닛의 안전성과 신뢰성을 확보하고자 한다.
또한, 각 전력공급처로 균등한 전력 배분을 통해 안정적인 전력 공급을 실현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도체로 이루어진 복수 개의 부스바와 상기 복수 개의 부스바 외측에 위치하는 덕트를 포함하는 부스덕트 유닛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부스바는 동일위상을 가진 부스바를 적어도 둘 이상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부스바 중 하나 이상의 부스바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부스바로부터 분기되어 전력사용을 위한 부하로 연결되는 부하 분기용 탭; 및 상기 부하 분기용 탭이 연결된 부스바와 동일위상의 부스바를 적어도 하나 이상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상기 부하를 균등하게 분배시키는 하나 이상의 부하 균등 분배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스덕트 유닛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부하 균등 분배기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진 하나 이상의 도체부; 상기 도체부와 부스바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도체부는 상기 부스바와 같거나 그보다 낮은 비저항을 가지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도체부는 상기 부스바와 동일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도체부의 총 종단면적은 상기 부하분기용탭이 연결된 부스바의 횡단면적의 80%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도체부 중심의 폭은 동일한 상의 부스바 간의 간격과 같거나 그보다 작고, 상기 도체부 중심의 높이는 상기 부스바 높이의 90% 내지 110%이며, 상기 도체부 길이는 상기 부스바 폭의 90% 내지 11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도체부의 단면에서 모서리 부분은 라운드 혹은 모따기 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는 용접 또는 납땜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전술한 부스덕트 유닛을 포함하는 부스덕트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대용량 전류를 공급하는 부스덕트에서 부하의 쏠림과 도체의 온도상승을 방지함으로써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부스덕트 유닛의 안전성과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각 전력공급처로 균등한 전력 배분을 통해 안정적인 전력 공급을 실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스덕트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스덕트 유닛의 전력분기 구성을 도시한 평면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스덕트 유닛의 전력분기를 위한 도체 연결 구성을 도시한 정면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스덕트 유닛의 전력분기를 위한 도체 연결 구성을 도시한 평면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부하 균등 분배기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부하 균등 분배기를 도시한 평면도
도 7과 도 8은 부하 균등 분배기에 적용되는 도체부를 형상을 도시한 사시도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스덕트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스덕트 유닛의 전력분기 구성을 도시한 평면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스덕트 유닛의 전력분기를 위한 도체 연결 구성을 도시한 정면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스덕트 유닛의 전력분기를 위한 도체 연결 구성을 도시한 평면구성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스덕트 유닛(10)은 동일위상의 전력전송을 위한 복수 개의 부스바(20)와 상기 복수 개의 부스바(20) 외측에 위치하는 덕트(1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복수 개의 부스바(20)는 동일 위상을 가지는 부스바(20)를 적어도 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부스덕트 유닛(10)은 상기 복수 개의 부스바(20) 중 하나 이상의 부스바(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부스바(20)로부터 분기되어 전력사용을 위한 부하로 연결되는 부하 분기용 탭(30); 및 상기 부하 분기용 탭(30)이 연결된 부스바(20)와 동일위상의 부스바(20)를 적어도 하나 이상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상기 부하를 균등하게 분배시키는 부하 균등 분배기(1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스덕트 유닛(10)의 기본구조를 살펴보면, 내부에 소정 공간을 형성하는 덕트(12)가 구비된다. 상기 덕트(12) 내부에는 케이블에 포함된 도체 심선과 같은 역할을 수행하는 부스바(20)가 구비되어 대용량의 전류를 통전하게 된다.
상기 부스바(20)는 구리나 알루미늄 등의 도체로 이루어지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주로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지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상기 부스바(20)는 도전율 61% 이상의 알루미늄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부스바(20) 표면은 각각 에폭시(epoxy),PET 등의 절연재료가 포함된 절연층에 의해 피복되어 서로 전기적으로 절연될 수 있다. 상기 부스바(20)는 통상적으로 큰 전류가 흐르기 때문에 1차적으로 절연층을 피복하여 절연하고, 상기 덕트(12) 내부에 외부와 격리된 상태로 수용하여 보호된다.
그리고 부스덕트(10)의 접속을 위해 절연층을 제거하고 노출되는 도체 부분에는 주석도금이 적용되어 염분이나 각종 화학물질에 노출되는 환경에서도 내염해, 내부식성을 갖도록 제작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선박이나 풍력 및 화학, 정유 플랜트 등 고도의 안전성이 요구되는 환경에서 활용 가능하다.
상기 부스바(20)는 덕트(12) 내측에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됨으로써 각 상간의 공기 절연을 통해 절연성능을 높일 수 있다. 이때 이격되는 거리는 통상적으로 부스바(20)의 두께 이상 간격을 두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부스바(20)가 R, S, T의 3개의 상으로 이루어져 3개가 구비되는데, 상기 부스바(20)의 구성은 부스덕트의 설치대상이나 설치환경, 공급하는 전력용량 등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부스바(20)는 R, S, T, N의 4상의 부스바(20)로 이루어지거나 R, S, T 및 2개의 N을 합쳐 5개의 부스바(20)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3000A 이상의 대용량 전류를 송전하기 위해 상기 부스덕트 유닛(10)은 부스바(20)가 이루는 전력전송부(22)가 둘 이상 구비되어 전력선로를 구성할 수 있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부스바(20)는 3개가 적층된 형태인데 그 일측에 동일한 간격과 높이로 3개의 부스바(20)가 역시 적층된 형태로 구비된다. 즉,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전력전송부(22)는 2개가 구비되어 하나의 전력선로를 이루는 것이다.
특히 전력전송부(22)가 2개로 이루어지는 경우 2way 부스덕트라 불리우는데, 물론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2개 이상의 전력전송부(22)가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덕트(12)는 고강도의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져 충분한 접지용량을 갖추도록 구성하고, 표면에는 내부식성의 절연성 도장재료가 도포될 수 있다. 이러한 부스바(20)를 포함하는 덕트(12)는 일정 길이를 갖는 단위 유닛(unit)으로 제조된 후, 부스덕트 접속부(미도시)에 의해 연결 설치될 수 있다.
실제 현장에서는 부스덕트 유닛, 부스덕트 등의 명칭을 구분하지 않고 부스덕트로 통칭하여 사용하지만, 본 명세서에서는 명확한 개념 정의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일정 길이를 갖는 단위 유닛으로 제조된 제품을 부스덕트 유닛(10)으로, 다수의 부스덕트 유닛(10)이 접속하여 이루어진 전력전송로를 부스덕트로 지칭하여 사용한다.
한편,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전기실의 메인 배전반(1)으로부터 부스덕트(10a, 10b, 10c, 10d)가 연장되며, 시설물의 벽체를 통과하여 단위배전영역을 경유하도록 설치된다.
각각의 단위배전영역을 통과하는 부스덕트(10a, 10b, 10c, 10d)에는 각 단위배전영역에 할당된 부하(5a, 5b, 5c, 5d)가 연결되어 전력공급처로 전력을 공급하게 된다.
상기 부하(5a, 5b, 5c, 5d)의 연결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력공급처로 전력을 공급하도록 연결되는 부하 분기용 탭(30)이 적용되어 분기될 수 있다. 상기 부하 분기용 탭(30)은 부스덕트 유닛(10) 내부의 부스바(20)에 분기용 도체(32)가 각각의 상에 맞게 동일한 위상으로 연결됨으로써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때 메인 배전반(1)으로부터 연장설치되는 부스덕트(10a, 10b, 10c, 10d)는 단위배전영역별로 리듀서 박스(Reducer Box, 7a, 7b)가 설치되어 각각의 부하에 맞게 부스덕트(10a, 10b, 10c, 10d)의 용량이 점차적으로 감소하면서 연결된다.
그런데 각 단위배전영역별로 부하(5a, 5b, 5c, 5d)가 연결될 때 한쪽 도체에서만 분기되기 때문에 심각한 부하 불균형이 발생하고 한쪽 도체에 과부하가 걸려 발열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둘 이상이 구비된 전력전송부(22)를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각 전력선로에 걸리는 부하를 균등하게 분배시키는 부하 균등 분배기(100)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부하 균등 분배기(100)는 부하 분기용 탭(30)이 연결되는 부분의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도 2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부하 분기용 탭(30)은 부스덕트(10)의 길이방향과 수직이 되는 방향으로 연결되어 전기적으로 접속하는데, 상기 부하 균등 분배기(100)는 그 연장선상에서 2개의 부스바(20)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즉, 상기 부하 균등 분배기(100)는 적층된 부스바(20)가 형성하는 2개의 전력전송부(22)의 사이에 구비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부하 균등 분배기(100)는 도 4(a)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부하 분기용 탭(30)이 연결되는 부분과 정확히 대응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도 4(b)에 도시된 것처럼 일측으로 일정 부분 편심된 위치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부하 균등 분배기(100)는 도 4(c)에 도시된 것처럼 복수 개로 나누어진 상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부하 균등 분배기(100)는 동일한 상의 부스바(20)를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상기 부하 균등 분배기(100)는 동일한 상의 부스바(20)를 용접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용접연결부(1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각 전력전송부(22)의 부스바(20)는 상하로 일정 간격으로 이격된 상태로 적층되어 구비된다. 그리고 동일한 상을 이루는 부스바(20)는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므로 이들을 용접하여 전기적으로 연결함으로써 용접연결부(110)를 형성한다.
이때, 상기 용접연결부(110)는 상기 부스바(20)와 동일한 폭과 두께를 가지도록 구비되어 양측 부스바(20)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상기 용접연결부(110)는 실질적으로 양측 부스바(2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통로를 형성하므로, 상기 부스바(20)와 동일한 용량과 전기적 성능을 갖도록 그 폭과 두께도 동일하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부하 균등 분배기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부하 균등 분배기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7과 도 8은 부하 균등 분배기에 적용되는 도체부를 형상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부하 균등 분배기(100)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진 하나 이상의 도체부(120); 상기 도체부(120)와 부스바(20)를 연결하는 연결부(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도체부(120)는 일정 길이를 갖는 바(bar)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도체부(120)는 상기 부스바(20)와 같거나 그보다 낮은 비저항을 가지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어 상기 부스바(20)와 동일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부스바(20)가 도전율 61% 이상의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상기 도체부(120)도 도전율 61% 이상의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부스바(20)가 구리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도체부(120)도 구리로 제조될 수 있다.
어느 경우에도 상기 도체부(120)는 상기 부스바(20)와 같거나 그보다 낮은 비저항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짐으로써 양쪽 부스바(20)에 걸리는 전력 부하를 균등하게 분배하는 기능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체부(120)의 종단면적(A1)은 상기 부스바(20)의 횡단면적(A2)의 80%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4(c)와 같이 복수의 부하 균등 분배기(100)가 구비될 경우 합산한 총 종단면적은 상기 부스바(20)의 횡단면적(A2)의 80%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도체부(120) 길이방향 단면적(A1)이 커질수록 저항이 감소하고 그에 따라 전력 부하를 균등하게 분배하는 기능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만일 도체부(120) 종단면적(A1)이 부스바(20) 횡단면적(A2)의 80% 미만인 경우 저항이 높아 높은 부하가 걸릴 경우 전력 분배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상기 도체부(120) 중심의 폭(W)은 동일한 상의 부스바(20) 간의 간격과 같거나 그보다 작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도체부(120)를 부스바(20) 사이에 위치시킨 후 양단을 연결부(130)로 연결하며, 이때 상기 연결부(130)는 용접 또는 납땜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용접 또는 납땜 이후 전계집중 방지를 위해 샌딩(sanding)작업 등을 통해 평평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체부(120) 중심의 높이(h1)는 상기 부스바(20) 높이(h2)의 90% 내지 110%이며, 상기 도체부(120) 길이(L1)는 상기 부스바 폭(L2)의 90% 내지 110%로 이루어질 수 있다. 90% 미만 또는 110% 초과일 경우 높이차에 의한 전계집중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즉, 0.9h2≤h1≤1.1h2 및 0.9L2≤L1≤1.1L2 의 관계가 성립하여야 하며, 전계집중 방지를 위해 h1=h2인 것이 바람직하고, 되도록 높이차로 인한 단차가 크지 않도록 한다.
상기 도체부(120)의 형상은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도체부(120)의 단면에서 모서리 부분은 모따기(S)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 8과 같이 도체부(120)의 모서리 부분을 라운드 형상(R)으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부하 균등 분배기(100)를 형성하면 기존에 부하 분기용 탭(30)이 한쪽 전력전송부(22)로만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력을 공급받던 것을 양쪽의 전력전송부(22)를 통해 균등하게 공급받을 수 있으므로 부하의 불균형을 해소할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부스덕트 부하 균등 분배시스템에 따르면, 대용량 전류를 공급하는 부스덕트에서 부하의 쏠림과 도체의 온도상승을 방지함으로써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부스덕트 유닛의 안전성과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각 전력공급처로 균등한 전력 배분을 통해 안정적인 전력 공급을 실현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이하에서 서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변형된 실시가 기본적으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면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범주에 포함된다고 보아야 한다.
10 : 부스덕트 유닛 12 : 덕트
20 : 부스바 30 : 부하 분기용 탭
100 : 부하 균등 분배기 110 : 용접연결부
120 : 도체부 130 : 연결부

Claims (9)

  1. 도체로 이루어진 복수 개의 부스바와 상기 복수 개의 부스바 외측에 위치하는 덕트를 포함하는 부스덕트 유닛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부스바는 동일위상을 가진 부스바를 적어도 둘 이상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부스바 중 하나 이상의 부스바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부스바로부터 분기되어 전력사용을 위한 부하로 연결되는 부하 분기용 탭;
    상기 부하 분기용 탭이 연결된 부스바와 동일위상의 부스바를 적어도 하나 이상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상기 부하를 균등하게 분배시키는 하나 이상의 부하 균등 분배기;를 포함하고,
    상기 부하 균등 분배기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진 하나 이상의 도체부; 및 상기 도체부와 부스바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스덕트 유닛.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체부는 상기 부스바와 같거나 그보다 낮은 비저항을 가지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스덕트 유닛.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체부는 상기 부스바와 동일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스덕트 유닛.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체부의 총 종단면적은 상기 부하분기용탭이 연결된 부스바의 횡단면적의 80%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스덕트 유닛.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도체부 중심의 폭은 동일한 상의 부스바 간의 간격과 같거나 그보다 작고, 상기 도체부 중심의 높이는 상기 부스바 높이의 90% 내지 110%이며, 상기 도체부 길이는 상기 부스바 폭의 90% 내지 1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스덕트 유닛.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체부의 단면에서 모서리 부분은 라운드 혹은 모따기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스덕트 유닛.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용접 또는 납땜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스덕트 유닛.
  9. 제1항 및 제3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부스덕트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스덕트.
KR1020160087077A 2015-09-26 2016-07-08 부스덕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부스덕트 KR1025547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6/009956 WO2017052111A1 (ko) 2015-09-26 2016-09-06 부스덕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부스덕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7161 2015-09-26
KR20150137161 2015-09-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7811A KR20170037811A (ko) 2017-04-05
KR102554786B1 true KR102554786B1 (ko) 2023-07-12

Family

ID=585871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7077A KR102554786B1 (ko) 2015-09-26 2016-07-08 부스덕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부스덕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478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123388A1 (en) * 2006-04-24 2007-11-01 Chih Bok Lew Multiple-run bus duct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61724A (ko) * 2009-12-02 2011-06-10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통전율 증가를 위한 부스덕트 접속부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123388A1 (en) * 2006-04-24 2007-11-01 Chih Bok Lew Multiple-run bus duct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7811A (ko) 2017-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121920B1 (en) Method for constructing power distribution line by using combined overhead ground wire and extra high voltage neutral line having separated installation structure for extra high voltage neutral line and low voltage neutral line
US20110195600A1 (en) Distribution strip and equipment cabinet
US1029098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nnecting power distribution devices
KR102195372B1 (ko) 신축형 부스덕트 접속부
WO2013067086A1 (en) Switchgear bus assembly having reduced power loss, material and temperature
US20170338633A1 (en) Quick connect and disconnect cable junction box
US6146169A (en) Water resistant outdoor busway system
KR102554786B1 (ko) 부스덕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부스덕트
US9033721B2 (en)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
KR102439247B1 (ko) 부스덕트 접속부 및 그 접속방법
KR102100523B1 (ko) 몰딩형 부스덕트
KR20090081903A (ko) 수평 분기형 버스바 및 이를 구비한 버스덕트
WO2017052111A1 (ko) 부스덕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부스덕트
KR101282654B1 (ko) 경제형 전력케이블 배전 시스템
CN103871646B (zh) 一种电力电缆
KR101282652B1 (ko) 경제형 전력케이블 배전 시스템
KR101825604B1 (ko) 부스바 결합용 구조체
KR102582212B1 (ko) 몰딩형 부스덕트의 접속부
KR101054024B1 (ko) 송전 선로의 과전압 저감 장치 및 방법
JP6704648B2 (ja) 分電盤
Pfeiffer Principles of electrical grounding
US4620758A (en) Connecting device for stiff electric conductors
CN203521645U (zh) 电气二次设备的接地装置和接地系统
KR102577302B1 (ko) 분전반용 단락 방지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분전반
CN205303790U (zh) 线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