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4363B1 - 배출수 정화시스템 - Google Patents

배출수 정화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4363B1
KR102554363B1 KR1020220101485A KR20220101485A KR102554363B1 KR 102554363 B1 KR102554363 B1 KR 102554363B1 KR 1020220101485 A KR1020220101485 A KR 1020220101485A KR 20220101485 A KR20220101485 A KR 20220101485A KR 102554363 B1 KR102554363 B1 KR 1025543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t
support
plate
guide net
purification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014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병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름다운마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름다운마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름다운마을
Priority to KR10202201014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436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43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43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9/00Multistage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6Filters making use of electricity or magnetism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8Control or steering system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subclass C02F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 C02F1/28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using inorganic sorb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with magnetic or electric fields
    • C02F1/48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with magnetic or electric fields using electromagn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9Apparatus with independent power supply, e.g. solar cells, windpower, fuel cel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출수 정화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관로로부터 하천 등으로 배출되는 우수, 하수 등을 포함하는 배출수에 포함된 페트병, 비닐, 스티로폼 등의 오염물질을 포집하여 오염물질이 하천 등으로 흘러가면서 발생되는 수생태계의 파괴와 함께 환경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는 한편, 태양광을 이용한 자가발전을 통해 배출수에 포함된 중금속 등을 여과하여 중금속이 걸러진 상태의 배출수가 하천 등으로 흐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배출수 정화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배출수 정화시스템{PURIFICATION SYSTEM OF DISCHARGE WATER}
본 발명은 배출수 정화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관로로부터 하천 등으로 배출되는 우수, 하수 등을 포함하는 배출수에 포함된 페트병, 비닐, 스티로폼 등의 오염물질을 포집하여 오염물질이 하천 등으로 흘러가면서 발생되는 수생태계의 파괴와 함께 환경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는 한편, 태양광을 이용한 자가발전을 통해 배출수에 포함된 중금속 등을 여과하여 중금속이 걸러진 상태의 배출수가 하천 등으로 흐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배출수 정화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도시 지역에서 발생되는 오염원은 크게 점오염원과 비점오염원(非點汚染源, nonpoint pollution source)으로 구분된다.
점오염원은 가정하수, 공장폐수와 같이 오염배출원이 하나의 점으로 표현될 수 있는 특정한 배출경로를 가진 오염원으로 이동경로가 명확해 비교적 처리가 용이하다.
비점오염원은 도시, 도로, 농지, 산지, 공사장 등 불특정 장소에서 불특정하게 수질 오염물질을 배출하는 배출원을 말한다.
이러한 비점오염원은 생활하수나 공장폐수처럼 특정한 지점에서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점오염원과는 달리 산재되어 있는 오염원으로서 정확한 유출경로를 확인하기 어렵고 유입이 비지속적이다.
특히 오염물질의 유출 및 배출경로가 명확하게 구분되지 않아 수집이 어렵고 발생량, 배출량이 강수량 등의 기상조건에 크게 좌우된다.
비점오염물질에는 토사, 중금속이나 페트병, 비닐, 스티로폼 등이 있다.
비점오염원은 유출이 강우시에만 집중되고 오염원이 넓은 지역에 분산되기 때문에 오염원으로서의 그 중요성이 인식되지 못한다.
하지만, 강우시, 비점오염원의 유출 농도가 높고 특히 도시 지역의 경우에는 중금속 등의 독성물질 함유 가능성이 높다.
강우시 우수관로를 통해 유출되는 오염물질은 수집 및 처리가 어려운데 별도의 처리 없이 바로 하천으로 유입되면서 수질을 오염시키는 것은 물론, 강이나 바다로 흐르면서 어류가 집단폐사하거나 저서생물의 서식처가 파괴되어 수생태계가 교란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우수관로로부터 하천으로 배출되는 우수에 대한 정화가 시급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제10-1878395호(2018.07.16.) '강우수 정화장치'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관로로부터 하천 등으로 배출되는 우수, 하수 등을 포함하는 배출수에 포함된 페트병, 비닐, 스티로폼 등의 오염물질을 포집하여 오염물질이 하천 등으로 흘러가면서 발생되는 수생태계의 파괴와 함께 환경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는 한편, 태양광을 이용한 자가발전을 통해 배출수에 포함된 중금속 등을 여과하여 중금속이 걸러진 상태의 배출수가 하천 등으로 흐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배출수 정화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관로(10)를 통해 배출되는 배출수를 정화하기 위한 배출수 정화시스템으로서, 관로(10)의 전방에 배치되어 배출수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포집하는 포집망체(110); 전단부 상측에 포집망체(110)가 고정되고 후단부가 관로(10)에 고정되며 후단부로부터 전단부 방향으로 하향 경사를 이루면서 관로(10)에서 배출되는 오염물질이 포집망체(110)로 이동되도록 유도하는 유도망체(120); 유도망체(120)의 후단부를 관로(10)에 고정하는 연결부(130); 및 유도망체(120)의 전단부를 배출수가 낙하되는 바닥면(A)에 고정하는 고정부(150)를 포함하고, 포집망체(110)는 후단부가 개방되면서 내측으로 오염물질이 수용되는 포집공간(111)이 형성되며, 포집망체(110)나 유도망체(1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망체에는 일라이트(Illite)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출수 정화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연결부(130)는 내측으로 밀착부재(131c)가 구비되면서 관로(10)의 외측으로 결합되는 클램프(131); 유도망체(120)의 후단부가 고정되는 고정수단(132); 및 클램프(131)로부터 고정수단(132)을 지지하는 지지수단(133)을 포함하고, 고정수단(132)은 양단부가 좌우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면서 관로(10)의 하부에 배치되며 유도망체(120)의 후단부가 결합되는 걸림바(134a)가 복수 형성되는 하판(134); 결림바(134a)가 통과하는 결합공(135a)이 복수 형성되면서 하판(134)의 상부로 결합되는 상판(135); 및 걸림바(134a)로 나사결합되는 연결부재(136)를 포함하며, 지지수단(133)은 클램프(131)의 양측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고정판(137); 하부가 고정판(137)에 고정되고 상부가 상,하판(135,134)을 통과하는 지지바(138); 하판(134)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지지바(138)로 나사결합되는 지지부재(139); 하판(134)과 지지부재(139) 간에 위치되도록 지지바(138)의 외측으로 결합되는 스프링(140); 및 지지바(138)의 하부에 마련되면서 지지바(138)로부터 지지부재(139)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캡(14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닥면(A)으로부터 유도망체(120)의 중앙부를 지지하는 지지부(160)를 더 포함하고, 지지부(160)는 유도망체(120)의 중앙부 양측에 배치되며 하부가 바닥면(A)으로 고정되는 지주바(161); 지주바(161)의 하부에 고정되는 거치판(162); 거치판(162)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일단부가 유도망체(120)의 양측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지주바(161)로 승,하강 가능하게 결합되는 승강부재(163); 및 거치판(162)과 승강부재(163) 사이에 위치되도록 지주바(161)의 외측으로 결합되는 탄성부재(16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배출수에 포함된 중금속을 여과하는 여과부(170)를 더 포함하며, 여과부(170)는 포집망체(110)나 유도망체(1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망체에 설치되며 중금속을 끌어당겨 부착시키는 자성체(17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여과부(170)는 자성체(171)로 음극의 미세 전류를 인가하여 양이온을 가지는 중금속이 자성체(171)로 이동되도록 하는 전원공급수단(172)을 더 포함하며, 전원공급수단(172)은 태양광으로 발전하는 태양전지판(173); 태양전지판(173)에서 발전되는 전기를 집전하며 자성체(171)와 음극이 전달되도록 연결되고 양극이 별도의 다른 구조물과 연결되는 발전기(174); 및 발전기(174)로부터 자성체(172)로의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제어부(176)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관로로부터 하천 등으로 배출되는 배출수에 포함된 포함된 페트병, 비닐, 스티로폼 등의 오염물질을 포집함으로써 오염물질이 하천 등으로 흘러가면서 발생되는 수생태계의 파괴와 함께 환경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태양광을 이용한 자가발전을 통해 배출수에 포함된 중금속 등을 여과함으로써 중금속이 걸러진 상태의 배출수가 하천 등으로 흐를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출수 정화시스템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출수 정화시스템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 연결부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연결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에서 고정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에서 지지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배출수 정화시스템에서 여과부를 개력적으로 나타낸 개념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은 관로(10)를 통해 하천 등으로 배출되는 배출수를 정화하기 위한 배출수 정화시스템으로서, 관로(10)의 전방에 배치되어 배출수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포집하는 포집망체(110), 포집망체(110)와 관로(10)를 연결하면서 관로(10)에서 배출되는 오염물질을 포집망체(110)로 유도하는 유도망체(120) 및 유도망체(120)를 관로(10)에 고정하는 연결부(130)를 포함한다.
배출수는 우수,하수 등을 포함하며, 관로(10)는 우수관로나 하수관로 등으로 이해될 수 있다.
관로(10)는 타단부로 배출수가 유입되고 일단부로 유입되는 배출수가 외부로 배출된다.
관로(10)는 타단부가 외부로 노출되면서 내부를 흐르는 배출수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로(10)는 타단부가 하천 등의 일측을 이루는 사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면서 내부로 유입되는 배출수가 하천 등으로 낙하되며 강이나 바다 등으로 흐를 수 있도록 한다.
오염물질은 페트병, 비닐, 스티로폼 등을 포함하며 강이나 바다 등으로 흘러가는 동안 미세플라스틱 등으로 분해되면서 먹이 사슬을 통해 해양 생물의 몸 속에 축적되어, 결과적으로 인간의 몸으로 흡수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배출수 정화시스템은 배출수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포집하여 오염물질이 하천 등으로 흘러가면서 발생되는 수생태계의 파괴와 함께 환경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한다.
포집망체(110)는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구멍(110a)을 갖는 그물 형태를 이룰 수 있으며 관로(10)를 향하는 후단부가 개방되면서 내측으로 오염물질이 포집되는 포집공간(111)이 형성될 수 있다.
포집망체(110)는 사각 보(褓) 형태를 이루면서 후단부를 제외한 전단부 및 양측단부가 유도망체(120)에 고정되면서 후단부가 개방되는 한편, 유도망체(120)와의 사이로 포집공간(111)을 형성할 수 있다.
또는, 포집망체(110)는 후단부가 개방되는 주머니 형태를 이루면서 내측으로 포집공간(111)이 형성되는 한편, 유도망체(120)의 상부로 고정될 수 있다.
관로(10)에서 배출되는 배출수는 구멍(110a)을 통과하면서 포집망체(110)의 외부로 배출되는 한편, 오염물질은 포집공간(111)으로 수용되어 포집된다.
유도망체(120)는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구멍(120a)이 형성되는 그물 형태를 이룰 수 있으며 중앙부를 중심으로 상부가 연결부(130)에 의해 관로(10)에 고정되고 하부에 포집망체(110)가 고정된다.
유도망체(120)는 다수의 구멍(120a)이 형성되면서 배출수가 외부로 통과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오염물질이 통과되지 못하면서 포집망체(110)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연결부(13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로의(10) 외측으로 결합되는 클램프(131), 유도망체(120)의 후단부가 고정되는 고정수단(132), 클램프(131)로부터 고정수단(132)을 지지하는 지지수단(133)을 포함한다.
클램프(131)는 링 형태를 이루며 관로(10)의 일단부 외측으로 결합된다.
클램프(131)는 관로(10)를 중심으로 좌우 한 쌍의 클램프유닛(131a)으로 분기되면서 볼트,너트를 포함하는 결합수단(131b)에 의해 관로(10)의 외측으로 결합될 수 있다.
클램프(131)는 내측으로 밀착부재(131c)가 구비될 수 있다.
밀착부재(131c)는 실리콘이나 고무재질 등으로 이루어지면서 클램프(131)과 관로(10)로 쉽게 밀착될 수 있도록 한다.
고정수단(132)은 양단부가 좌우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면서 관로(10)의 하부에 배치되며 유도망체(120)의 후단부가 결합되는 걸림바(134a)가 복수 형성되는 하판(134), 결림바(134a)가 통과하는 결합공(135a)이 복수 형성되면서 하판(134)의 상부로 결합되는 상판(135) 및 걸림바(134a)로 나사결합되는 연결부재(136)를 포함한다.
각 걸림고리(135)로는 유도망체(120)에 형성된 구멍(121a)이 끼움 결합되면서 유도망체(120)의 상부가 하판(134)으로 걸림된다.
걸림바(134a)는 하부가 하판(134)의 상부에 고정되고 상부가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구멍(121a) 및 결합공(135a)을 통과한다.
걸림바(134a)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연결부재(136)는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면서 걸림바(134a)로 나사결합된다.
상판(135)은 하판(134)의 상부로 결합되는 연결부재(136)의 조임 회전에 따라 하판(134) 방향으로 밀착되면서 상,하판(135,134) 간으로 유도망체(120)의 상부가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지지수단(133)은 클램프(131)의 양측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고정판(137), 하부가 고정판(137)에 고정되고 상부가 상,하판(135,134)을 통과하는 지지바(138), 하판(134)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지지바(138)로 나사결합되는 지지부재(139)를 포함한다.
고정판(137)은 일단부가 클램프(131)의 양측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클램프(131)와 반대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면서 한 쌍의 클램프유닛(131a)에 각각 마련된다.
지지바(138)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지지부재(139)는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면서 하판(134)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지지바(138)로 나사결합된다.
지지부재(139)는 지지바(138)의 하부로 나사결합되어 하판(134)에 접하면서 지지바(138)로부터 고정수단(132)과 함께 유도망체(120)의 후단부를 지지한다.
지지부재(139)는 회전에 따라 승,하강되면서 관로(10)와 유도망체(120) 간의 이격거리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
고정수단(137)은 하판(134)과 지지부재(139) 간에 위치되도록 지지바(138)의 외측으로 결합되는 스프링(1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스프링(140)은 지지부재(139)로부터 하판(134)을 지지하는 한편, 관로(10)로부터 포집부(110)나 유도부(120)로 배출되는 배출수의 가압에 따라 수축,이완되면서 충격을 완충한다.
이에 따라, 유도망체(120)는 후단부로 작용하는 충격이 완충되면서 상,하판(135,134) 간으로부터 분리됨이 없이 안정된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고정수단(137)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바(138)의 하부에 마련되는 이탈방지캡(14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탈방지캡(141)은 실리콘이나 고무재질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부가 개방되면서 지지바(138)의 하부로 억지끼움 결합될 수 있다.
이탈방지캡(141)은 지지바(138)의 하부로 결합되면서 지지바(138)로부터 지지부재(139)의 이탈을 방지한다.
이탈방지캡(141)은 필요에 따라 접착제 등에 의해 지지바(138)의 하부로 접착될 수도 있다.
배출수 정화시스템은 도 1,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도망체(120)의 전단부를 배출수가 낙하되는 하천 등의 바닥면(A)에 고정하는 고정부(150)를 더 포함한다.
고정부(150)는 유도망체(120)의 전단부 양측에 위치되도록 바닥면(A)으로 매립되는 콘크리트 구조물(151), 유도망체(120)의 전단부 양측에 마련되는 고리(152) 및 고리(152)를 콘크리트 구조물(151)에 고정시키는 고정핀(153)을 포함한다.
콘크리트 구조물(151)은 하부가 바닥면(A)으로 매립되면서 상부가 바닥면(A)의 상부로 돌출된다.
고리(152)는 링 형태 등으로 이루어지며 유도망체(120)의 후단부 양측에 마련된다.
고정핀(153)은 하부가 고리(152)를 통과하여 콘크리트 구조물(151)로 인입되면서 고리(152)를 콘크리트 구조물(151)로 고정시킨다.
유도망체(120)는 전단부가 바닥면(A)에 고정되고 후단부가 관로(10)에 고정되면서 안정된 고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은 물론, 후단부로부터 전단부 방향으로 하향 경사를 이루면서 관로(10)에서 배출되는 오염물질을 포집망체(110)로 쉽게 유도할 수 있다.
배출수 정화시스템은 도 1, 도 2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면(A)으로부터 유도망체(120)의 전,후단부 사이 중앙부를 지지하는 지지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160)는 유도망체(120)의 중앙부 양측에 배치되며 하부가 바닥면(A)으로 고정되는 지주바(161), 지주바(161)의 하부에 고정되는 거치판(162), 거치판(162)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일단부가 유도망체(120)의 양측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지주바(161)로 승,하강 가능하게 결합되는 승강부재(163), 거치판(162)과 승강부재(163) 사이에 위치되도록 지주바(161)의 외측으로 결합되는 탄성부재(164)를 포함한다.
지주바(161)는 한 쌍으로 이루어져 포집망체(110)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유도망체(120)의 앙측에 배치되며 하부가 바닥면(A)으로 인입 고정된다.
거치판(162)은 바닥면(A)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지주바(161)의 외측으로 고정되면서 탄성부재(164)를 지지한다.
승강부재(163)는 링 형태를 이루어 지주바(161)의 외측으로 승,하강 가능하게 결합되면서 탄성부재(164)에 의해 지지된다.
지주바(161)는 상부에 승강부재(163)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판(165)이 구비될 수 있다.
지지부(160)는 바닥면(A)으로 매립되는 콘크리트 구조물(166)을 더 포함하면서 지주바(161)의 하부가 콘크리트 구조물로 고정될 수 있다.
탄성부재(164)는 스프링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거치판(162)으로부터 승강부재(163)를 지지하면서 유도망체(120)의 중앙부를 지지한다.
탄성부재(164)는 외력에 따라 수축,이완되면서 유도망체(120)의 중앙부가 상하 방향으로 흔들릴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유도망체(120)은 관로(10)로부터 상부로 낙하되는 배출수나 오염물질의 가압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흔들리면서 충격이 완충될 수 있음으로써 쉽게 찢어지지 않을 수 있다.
포집망체(110)나 유도망체(1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망체에는 일라이트(Illite)가 포함될 수 있다.
망체는 일라이트가 포함된 줄이 격자 형태로 엮이거나, 일라이트가 표면으로 도포되면서 일라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일라이트가 포함된 망체는 일라이트의 작용에 의해 각종 중금속이 흡착될 수 있다. 또한, 배출수는 망체를 통과하면서 일라이트의 정화작용에 의해 수질이 정화 및 활성화되면서 하천 등으로 흐를 수 있다.
배출수 정화시스템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수에 포함된 중금속을 여과하는 여과부(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과부(170)는 포집망체(110)나 유도망체(1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망체에 설치되는 자성체(171)를 포함한다.
자성체(171)는 영구자석과 같이 자성을 보유한 것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망체의 내부에 배치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자성체(171)는 판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격자 형태로 이루어져 망체(111)(121)의 내부에 고정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자성체(171)는 배출수에 포함된 중금속 등을 인력으로 끌어당겨 부착시킨다.
여과부(170)는 자성체(171)로 음극의 미세 전류를 인가하여 중금속을 자성체(171)로 이동시키는 전원공급수단(17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원공급수단(172)은 태양광으로 발전하는 태양전지판(173), 태양전지판(173)에서 발전되는 전기를 집전하여 자성체(172)로 공급하는 발전기(174)를 포함한다.
태양전지판(173)은 자가발전을 통해 전기에너지가 발생될 수 있도록 하며 관로(10)의 상부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전기(174)는 자성체(172)로 음극이 인가될 수 있도록 연결되며 양극은 별도의 다른 구조물과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포집망체(110)나 유도망체(1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망체에 양극판(175)이 설치되면서 발전기(174)가 양극판(175)으로 양극이 전달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자성체(171)로의 음극의 전달의 어려운 경우, 별도의 음극판(미도시)을 포집망체(110)나 유도망체(1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망체에 설치하여 발전기(174)로부터 음극판으로 음극이 전달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는, 증금속이 양이온을 가지므로, 발전기(174)로부터 자성체(172) 및 양극판(175)으로 직류 전기를 인가하여 자성체(172)로 양이온을 가지는 중금속이 이동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전원공급수단(172)은 발전기(174)로부터 자성체(172) 및 양극판(175)으로의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제어부(17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76)는 포집망체(110)로 포집된 오염물질 등을 수거하기 위해 자성체(172) 및 양극판(175)으로 전원을 오프(OFF)하거나 포집망체(110)로부터 오염물질 등의 수거 후에는 전원을 온(ON)하여 자성체(172) 및 양극판(175)으로 전원이 인가되도록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배출수 정화시스템은 관로로부터 하천 등으로 배출되는 배출수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포집하여 오염물질이 하천 등으로 흘러가면서 발생되는 수생태계의 파괴와 함께 환경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은 물론, 태양광을 이용한 자가발전을 통해 배출수에 포함된 중금속 등을 여과하여 중금속이 걸러진 상태의 배출수가 하천 등으로 흐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배출수 정화시스템을 실시하기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10 : 포집망체 120 : 유도망체
130 : 고정부 131 : 클램프
132 : 고정수단 133 : 지지수단
150 : 고정부 160 : 지지부
170 : 여과부 171 : 자성체
172 : 전원공급수단

Claims (5)

  1. 관로(10)를 통해 배출되는 배출수를 정화하기 위한 배출수 정화시스템으로서,
    관로(10)의 전방에 배치되어 배출수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포집하는 포집망체(110);
    전단부 상측에 포집망체(110)가 고정되고 후단부가 관로(10)에 고정되며 후단부로부터 전단부 방향으로 하향 경사를 이루면서 관로(10)에서 배출되는 오염물질이 포집망체(110)로 이동되도록 유도하는 유도망체(120);
    유도망체(120)의 후단부를 관로(10)에 고정하는 연결부(130); 및
    유도망체(120)의 전단부를 배출수가 낙하되는 바닥면(A)에 고정하는 고정부(150)를 포함하고,
    포집망체(110)는 후단부가 개방되면서 내측으로 오염물질이 수용되는 포집공간(111)이 형성되며,
    포집망체(110)나 유도망체(1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망체에는 일라이트(Illite)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출수 정화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연결부(130)는
    내측으로 밀착부재(131c)가 구비되면서 관로(10)의 외측으로 결합되는 클램프(131);
    유도망체(120)의 후단부가 고정되는 고정수단(132); 및
    클램프(131)로부터 고정수단(132)을 지지하는 지지수단(133)을 포함하고,
    고정수단(132)은
    양단부가 좌우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면서 관로(10)의 하부에 배치되며 유도망체(120)의 후단부가 결합되는 걸림바(134a)가 복수 형성되는 하판(134);
    결림바(134a)가 통과하는 결합공(135a)이 복수 형성되면서 하판(134)의 상부로 결합되는 상판(135); 및
    걸림바(134a)로 나사결합되는 연결부재(136)를 포함하며,
    지지수단(133)은
    클램프(131)의 양측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고정판(137);
    하부가 고정판(137)에 고정되고 상부가 상,하판(135,134)을 통과하는 지지바(138);
    하판(134)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지지바(138)로 나사결합되는 지지부재(139);
    하판(134)과 지지부재(139) 간에 위치되도록 지지바(138)의 외측으로 결합되는 스프링(140); 및
    지지바(138)의 하부에 마련되면서 지지바(138)로부터 지지부재(139)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캡(14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출수 정화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바닥면(A)으로부터 유도망체(120)의 중앙부를 지지하는 지지부(160)를 더 포함하고,
    지지부(160)는
    유도망체(120)의 중앙부 양측에 배치되며 하부가 바닥면(A)으로 고정되는 지주바(161);
    지주바(161)의 하부에 고정되는 거치판(162);
    거치판(162)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일단부가 유도망체(120)의 양측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지주바(161)로 승,하강 가능하게 결합되는 승강부재(163); 및
    거치판(162)과 승강부재(163) 사이에 위치되도록 지주바(161)의 외측으로 결합되는 탄성부재(16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출수 정화시스템.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배출수에 포함된 중금속을 여과하는 여과부(170)를 더 포함하며,
    여과부(170)는
    포집망체(110)나 유도망체(1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망체에 설치되며 중금속을 끌어당겨 부착시키는 자성체(17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출수 정화시스템.
  5. 제 4항에 있어서,
    여과부(170)는
    자성체(171)로 음극의 미세 전류를 인가하여 양이온을 가지는 중금속이 자성체(171)로 이동되도록 하는 전원공급수단(172)을 더 포함하며,
    전원공급수단(172)은
    태양광으로 발전하는 태양전지판(173);
    태양전지판(173)에서 발전되는 전기를 집전하며 자성체(171)와 음극이 전달되도록 연결되고 양극이 별도의 다른 구조물과 연결되는 발전기(174); 및
    발전기(174)로부터 자성체(172)로의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제어부(176)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출수 정화시스템.
KR1020220101485A 2022-08-12 2022-08-12 배출수 정화시스템 KR1025543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1485A KR102554363B1 (ko) 2022-08-12 2022-08-12 배출수 정화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1485A KR102554363B1 (ko) 2022-08-12 2022-08-12 배출수 정화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54363B1 true KR102554363B1 (ko) 2023-07-12

Family

ID=871637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1485A KR102554363B1 (ko) 2022-08-12 2022-08-12 배출수 정화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436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3425B1 (ko) * 2004-02-16 2006-05-02 태봉산업기술주식회사 목욕탕 폐수의 여과장치
KR100933376B1 (ko) * 2007-12-21 2009-12-22 효성바이오텍 주식회사 우수받이용 맨홀트랩
KR101878395B1 (ko) 2016-04-12 2018-07-16 최영화 강우수 정화장치
KR102376914B1 (ko) * 2021-10-13 2022-03-21 (주)대한기전 안전수단을 구비한 저수조 여과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3425B1 (ko) * 2004-02-16 2006-05-02 태봉산업기술주식회사 목욕탕 폐수의 여과장치
KR100933376B1 (ko) * 2007-12-21 2009-12-22 효성바이오텍 주식회사 우수받이용 맨홀트랩
KR101878395B1 (ko) 2016-04-12 2018-07-16 최영화 강우수 정화장치
KR102376914B1 (ko) * 2021-10-13 2022-03-21 (주)대한기전 안전수단을 구비한 저수조 여과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4022B1 (ko) 비점오염물질 처리장치
KR100624085B1 (ko) 교량의 교각에 설치되는 하천 부유물 수거장치
US7857966B2 (en) Storm water inlet apparatus
KR101249741B1 (ko) 미생물 처리조를 포함한 통합 장치형 우수 처리 장치 및 우수 처리 방법
KR100897258B1 (ko) 우수에 포함된 비점오염물 처리 장치
KR101013113B1 (ko) 비점오염 저감장치
WO2012163308A2 (es) Planta modular integrada, multifuncional para separar sólidos, aceites e hidrocarburos y tratar las aguas residuales industriales petroleras
KR101009634B1 (ko) 비점오염 정화장치
KR102554363B1 (ko) 배출수 정화시스템
CN108191044A (zh) 一种免固定太阳能微循环生态系统
KR101308064B1 (ko) 우수를 재활용하기 위한 처리 장치
KR100899572B1 (ko) 하천 제방의 이동식 부유물 수거장치
CN204384946U (zh) 碳素纤维和人工水草复合型排污口水质原位净化装置
KR20160060012A (ko) 하천수에 함유된 미립자성 오염물질들, 각종 쓰레기들 및 유체성 오염물질분자들을 완벽하게 제거함과 동시에 깨끗한 물로 정수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자연친화적인 수질 정화기 겸용 친환경 발전 시스템
KR20040035625A (ko) 빗물처리 정수시스템
CN109019956A (zh) 一种截污净水装置
KR101275298B1 (ko) 비점오염원 침투 도랑형 정화장치
KR100576062B1 (ko) 다단의 하천 오염수 정화장치
KR100590467B1 (ko) 미생물을 이용한 도로배수의 초기정화장치
CN108862874A (zh) 一种便于污水利用的废水净化装置
JPH06272223A (ja) 河川の浄化装置
JP2003236576A (ja) 水浄化具および水浄化構造体ならびに水浄化装置
KR20000063599A (ko) 자연형 하천 정화 시설
KR101031616B1 (ko) 천연자연석을 이용한 수질정화장치
CN211871737U (zh) 一种复合型河道净化生态屏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