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4303B1 - Dry room for pets - Google Patents

Dry room for pet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4303B1
KR102554303B1 KR1020210017807A KR20210017807A KR102554303B1 KR 102554303 B1 KR102554303 B1 KR 102554303B1 KR 1020210017807 A KR1020210017807 A KR 1020210017807A KR 20210017807 A KR20210017807 A KR 20210017807A KR 102554303 B1 KR102554303 B1 KR 1025543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dryer
dry room
main cover
h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780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114375A (en
Inventor
김서영
고영준
Original Assignee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0178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4303B1/en
Publication of KR202201143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437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43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430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3/00Devices for grooming or caring of animals, e.g. curry-combs; Fetlock rings; Tail-holders; Devices for preventing crib-biting; Washing devices; Protection against weather conditions or insects
    • A01K13/001Washing, cleaning, or drying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7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livestock or poultry

Abstract

본 발명은 반려동물용 드라이룸으로서, 내부 공간이 형성되며 상부에 개폐 가능한 메인 커버를 구비하고, 하면 및 일 측면에 공기유입구를 구비하는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의 하면을 받치는 거치부와, 상기 케이스의 일 측면에 맞닿는 지지부를 구비하는 드라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는 상기 메인 커버 또는 전면의 일부 영역을 별도로 개폐할 수 있는 보조 커버를 구비하며, 상기 드라이어는 상기 케이스의 상기 공기유입구와 대응되는 위치에 송풍구를 구비하고,
상기 케이스와 상기 드라이어는 서로 탈착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반려동물의 털 건조가 용이하고, 드라이룸을 이동장으로 사용하여 활용도가 증대되며, 털 건조 시 반려동물의 정신적 스트레스를 완화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a dry room for companion animals, wherein an internal space is formed, a case having an openable and openable main cover on the top, an air inlet on the bottom and one side, a holder supporting the bottom of the case, and the case It includes a dryer having a support part in contact with one side, and the case has an auxiliary cover that can separately open and close a part of the main cover or a front surface, and the dryer is locat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air inlet of the case Equipped with a vent,
The case and the dryer are detachable from each o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easy to dry the companion animal's hair, the utilization is increased by using the dry room as a moving place, and the mental stress of the companion animal can be relieved when the hair is dried.

Description

반려동물용 드라이룸{Dry room for pets}Dry room for pets}

본 발명은 반려동물의 털을 건조하기 위한 반려동물용 드라이룸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y room for companion animals for drying companion animal hair.

강아지, 고양이 등 반려동물을 기르는 인구가 증가하면서 반려동물 관련 산업의 시장 규모가 커지고 있다. 이러한 반려동물은 사람과 함께 생활하므로 위생 관리가 중요하고, 정기적으로 목욕시켜 반려동물을 청결하게 유지할 필요가 있다. 반려동물을 목욕시킨 후에는 반려동물의 감기 또는 피부 질환을 방지하기 위해 털을 잘 건조해야 한다. 그러나 헤어드라이어를 사용할 경우, 시끄러운 소리에 반려동물이 놀라 도망가려고 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털 건조에 걸리는 시간 동안 반려동물이 계속 움직여 보호자가 상당히 힘들었다. 또한, 건조 과정에서 탈락한 털이 집안 내부로 흩날리게 되어 별도 청소가 필요한 수고로움도 있었다.As the population raising companion animals such as dogs and cats increases, the market size of the companion animal-related industry is growing. Since these companion animals live with people, hygiene management is important, and it is necessary to keep them clean by bathing them regularly. After bathing your pet, make sure to dry the fur well to prevent your pet from getting a cold or skin disease. However, when using a hair dryer, it is common for pets to be startled and try to run away from a loud sound, and it was quite difficult for guardians to keep moving during the time it took for hair to dry. In addition, the hair that fell off during the drying process was scattered inside the house, requiring separate cleaning.

따라서, 이와 관련한 종래의 기술로서, 반려동물을 폐쇄된 케이스에 넣어 이동하지 못하게 한 뒤, 내부로 온풍을 공급하여 털을 건조하는 고정형 드라이룸이 있다. 이 드라이룸은 제한된 공간 내에서 반려동물의 털을 말릴 수 있고, 털이 외부로 흩날리지 않는 장점이 있으나, 자극에 민감한 반려동물에게 폐쇄감과 과도한 스트레스를 가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고정형 드라이룸은 실내에서 다소 많은 공간을 차지하는 반면 다른 활용 방법이 없어 집 안에 두고 사용하기에 효용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Therefore, as a conventional technique related to this, there is a fixed type dry room in which a companion animal is put in a closed case to prevent movement, and then warm air is supplied to the inside to dry the hair. This dry room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dry the companion animal's hair within a limited space and not scattering the hair to the outside, but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mposes a sense of closure and excessive stress on the companion animal that is sensitive to stimuli. In addition, while the fixed dry room occupies a rather large amount of space indoors,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less effective to use in the house because there is no other utilization method.

등록특허공보 제10-1710121호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1710121

따라서 본 발명은 반려동물의 스트레스를 낮추어 동물 친화적인 한편, 이용 편의성을 높여 활용도를 증대한 반려동물용 드라이룸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ry room for companion animals that is animal-friendly by lowering the stress of companion animals and increases usability by increasing usability.

본 발명은 반려동물용 드라이룸으로서, 내부 공간이 형성되며 상부에 개폐 가능한 메인커버를 구비하고, 하면 및 측면에 공기유입구를 구비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하면을 받치는 거치부와, 상기 케이스의 일 측면에 맞닿는 지지부를 구비하는 드라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는 상기 메인커버 또는 전면의 일부 영역을 별도로 개폐할 수 있는 보조커버를 구비하며, 상기 드라이어는 상기 케이스의 상기 공기유입구와 대응되는 위치에 송풍구를 구비하고, 상기 케이스와 상기 드라이어는 서로 탈착이 가능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dry room for companion animals, wherein an interior space is formed, a case having an openable and openable main cover on the top, and an air inlet on the bottom and side surfaces, a holder supporting the bottom of the case, and the case Including a dryer having a support portion in contact with one side, the case having an auxiliary cover capable of separately opening and closing a part of the main cover or a front surface, the dryer is locat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air inlet of the case An air outlet is provided, and the case and the dryer are detachable from each other.

바람직하게는, 상기 케이스는, 내부 공간으로 유입된 공기가 빠져나갈 수 있는 배기구를 구비한다.Preferably, the case is provided with an exhaust port through which air introduced into the inner space can escape.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케이스는, 측면 또는 상면에 운반용 손잡이부 또는 어깨끈을 고정 가능한 고정부를 구비한다.Also, preferably, the case has a carrying handle or a fixing part capable of fixing a shoulder strap to the side or upper surface.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드라이어는, 상기 거치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이탈방지벽이 형성된다.Also, preferably, in the dryer, a release prevention wall is formed along the edge of the mounting portion.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드라이어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고, 유연하게 굽어질 수 있는 송풍 호스를 구비한다.Also, preferably, the dryer is provided with a blower hose that has a predetermined length and can be bent flexibly.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드라이어는, 상기 호스를 삽입할 수 있도록 형성된 거치홈이 상기 송풍 호스의 길이만큼 연장되어 구비된다.Also, preferably, the dryer is provided with a mounting groove formed to insert the hose, extending as much as the length of the blowing hose.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드라이어는, 조작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조작부는, 설정 온도, 내부 온도, 송풍 세기 및 송풍 모드를 표시하고, 터치 방식으로 송풍 세기와 송풍 온도 및 송풍 모드의 조절이 가능하다.Preferably, the dryer further includes a control unit, and the control unit displays a set temperature, an internal temperature, a blowing strength and a blowing mode, and can adjust the blowing strength, blowing temperature and blowing mode by touch method do.

본 발명에 따르면, 반려동물의 털을 자동으로 건조하므로 털 건조에 소모되는 보호자의 노력과 시간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반려동물의 털을 건조하기 위해 제한된 공간을 제공하므로 빠진 털이 외부로 날리지 않으며, 빠진 털의 청소가 편리하다. 또한, 건조 과정에서 반려동물이 느끼는 폐쇄감을 최소화하여 반려동물에 친화적이고, 반려동물의 이동장으로서 효용을 더하여 활용성을 증대하였다. 또한, 조작방법이 직관적이고 편리하며, 사용자가 직접 조작 가능한 송풍 호스를 구비하여 사용자의 조작 범위를 확장하였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companion animal's hair is automatically dried, the effort and time of the guardian consumed in drying the hair can be reduced. In addition, since it provides a limited space to dry the companion animal's hair, the lost hair is not blown outside, and it is convenient to clean the lost hair. In addition, it is friendly to companion animals by minimizing the sense of closure felt by companion animals during the drying process, and increases usability by adding utility as a moving place for companion animals. In addition, the operation method is intuitive and convenient, and the user's operation range is expanded by providing a blowing hose that the user can directly operat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용 드라이룸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용 드라이룸의 케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용 드라이룸의 드라이어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용 드라이룸의 사용 이미지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용 드라이룸의 렌더링 이미지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용 드라이룸의 조작부 구성 이미지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dry room for companion animal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case of a dry room for companion animal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dryer of a drying room for companion animal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use image of a dry room for companion animal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rendered image of a dry room for companion animal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image of a control unit configuration of a dry room for companion animal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제시되는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specific structure or functional description presented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erely illustrated for the purpose of explaining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 In addition,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bu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or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될 경우 그 설명을 생략하였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scription is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용 드라이룸(100)(이하, ‘드라이룸’이라 함)의 사시도이고, 도 2 및 도 3은 각각 드라이룸(100)의 케이스(110) 및 드라이어(120)를 별로도 도시한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dry room 100 for companion animals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dry roo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2 and 3 are cases 110 of the dry room 100, respectively. And it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dryer 120 separately.

도 4는 드라이룸(100)의 사용 이미지이고, 도 5는 드라이룸(100)의 렌더링 이미지이며, 도 6은 드라이룸(100)의 조작부(125) 이미지를 도시한다.FIG. 4 is a used image of the dry room 100 , FIG. 5 is a rendering image of the dry room 100 , and FIG. 6 shows an image of the control unit 125 of the dry room 100 .

도 1을 참조하면, 드라이룸(100)은 케이스(110)와 드라이어(12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 a dry room 100 includes a case 110 and a dryer 120 .

도 2를 참조하면, 케이스(110)는 반려동물의 털을 건조할 수 있도록 내부 공간을 제공하는 한편, 휴대 가능하여 반려동물의 이동장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소정의 부피를 가진다. 또한, 케이스(110)는 드라이어(120)에 거치될 수 있으며, 적절하게 안착될 수 있도록 드라이어(120)와 맞닿는 부분의 형상이 대응된다. 또한, 케이스(110)는 메인커버(111)와 보조커버(112), 공기유입구(미도시), 배기구(114), 손잡이부(미도시). 고정부(115a)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 the case 110 provides an internal space for drying companion animal hair, while being portable and having a predetermined volume so that it can be used as a companion animal moving area. In addition, the case 110 may be mounted on the dryer 120, and the shape of a portion in contact with the dryer 120 corresponds to the shape so that it can be properly seated. In addition, the case 110 includes a main cover 111 and an auxiliary cover 112, an air inlet (not shown), an exhaust port 114, and a handle (not shown). A fixing part 115a may be included.

메인커버(111)는 케이스(110)를 개폐할 수 있도록 케이스(110)의 상부에 마련되고, 보조커버(112)는 메인커버(111)의 일부 영역을 별도로 개폐할 수 있도록 메인커버(111)의 일부 영역에 구비된다.The main cover 111 is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case 110 so as to be able to open and close the case 110, and the auxiliary cover 112 is the main cover 111 so that a partial area of the main cover 111 can be separately opened and closed. It is provided in some areas of

메인커버(111)는 케이스(110)의 내부로 반려동물을 넣거나 꺼낼 때 여닫는 구성이며, 이에 적합하도록 적절한 크기로 구성된다. 체결구(113)는 메인커버(111)를 닫은 상태로 고정하는 구성이며, 다양한 공지의 수단을 적용할 수 있다.The main cover 111 is a configuration that opens and closes when a companion animal is put into or taken out of the case 110, and is configured in an appropriate size to suit this. The fastener 113 is configured to fix the main cover 111 in a closed state, and various known means may be applied.

보조커버(112)는 메인커버(111)의 일부분에 형성된 개구부를 개폐하는 구성이다. 메인커버(111)의 개구부는 케이스(110) 안에 있는 반려동물이 머리만 케이스(110) 바깥으로 뺄 수 있도록 적절한 크기로 형성되고, 케이스(110)의 전면(116) 쪽에 위치한다. 따라서, 메인커버(111)를 닫고 보조커버(112)를 열었을 때, 케이스(110) 안에 있는 반려동물은 머리를 케이스(110) 밖으로 뺄 수 있는 상태가 되어 폐쇄 공간에서 받는 스트레스가 완화된다.The auxiliary cover 112 is configured to open and close an opening formed in a portion of the main cover 111 . The opening of the main cover 111 is formed in an appropriate size so that the companion animal inside the case 110 can pull only the head out of the case 110, and is located on the front side 116 of the case 110. Therefore, when the main cover 111 is closed and the auxiliary cover 112 is opened, the companion animal in the case 110 is in a state in which the head can be pulled out of the case 110, and the stress received in the closed space is relieved.

다른 실시예로서, 보조커버는 케이스의 전면에 구비된 개구부를 개폐할 수 있도록 케이스 전면의 일부 영역에 구비될 수 있다. 케이스 전면에 구비된 개구부는 반려동물의 머리를 뺄 수 있는 적절한 크기로 형성되고, 반려동물의 머리 높이에 상관이 없도록 상하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메인커버 또는 전면에 구비된 개구부는 반려동물의 머리에 따라 크기를 적절하게 가변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As another embodiment, the auxiliary cover may be provided on a partial area of the front surface of the case to open and close the opening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case. The opening provided on the front of the case is formed in an appropriate size to remove the companion animal's head, and may be formed vertically long so as not to have any relation to the head height of the companion animal. As another embodiment, the main cover or the opening provided on the front side may be formed to properly vary in size according to the head of the companion animal.

한편, 메인커버(111)와 보조커버(112)는 투명한 재질로 되어 시각적인 개방감을 더 부여할 수 있고, 케이스(110)의 전면(116)도 투명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Meanwhile, the main cover 111 and the auxiliary cover 112 may be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to further impart a sense of visual openness, and the front surface 116 of the case 110 may also be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공기유입구(미도시)는 케이스(110)의 하부 저면 또는 일 측면에 구비되며, 드라이어(120)로부터 케이스(110)의 내부로 바람이 들어올 수 있도록 뚫린 개구로 형성된다. 공기유입구의 크기와 위치 및 모양은 드라이어(120)에 구비된 송풍구(121a, 122a)와 대응하며, 이에 따라 적절하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공기유입구는 거름망(미도시)을 구비하여, 빠진 털 등의 이물질이 케이스(110)의 내외부로 통하지 못하도록 하며, 거름망의 형상은 그 기능을 구현하는 범위에서 다양할 수 있다.An air inlet (not shown) is provided on a lower bottom surface or one side of the case 110 and is formed as an opening through which wind can enter the inside of the case 110 from the dryer 120 . The size, location, and shape of the air inlet correspond to the outlets 121a and 122a provided in the dryer 120, and may be appropriately changed accordingly. In addition, the air inlet is provided with a strainer (not shown) to prevent foreign substances such as hair loss from passing into and out of the case 110, and the shape of the strainer may vary within the scope of implementing its function.

배기구(114)는 공기유입구를 통해 케이스(110)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를 배출하고, 케이스(110)의 내부의 공기 흐름을 건조 상태로 유지할 수 있게 하는 구성이다. 배기구(114)는 거름망(미도시)을 구비하거나 배기구(114) 자체의 개구 형상을 적절하게 구성하여 케이스(110)의 내부에서 발생한 이물질(털 등)이 밖으로 유출되지 않게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배기구(114)의 개수, 모양 및 위치 등은 전술한 기능을 구현하는 범위에서 다양할 수 있다.The exhaust port 114 is configured to discharge the air introduced into the case 110 through the air inlet and maintain the air flow inside the case 110 in a dry state. The exhaust port 114 may be provided with a sieve (not shown) or properly configured with an opening shape of the exhaust port 114 to prevent foreign substances (hair, etc.) generated from the inside of the case 110 from leaking out. Accordingly, the number, shape, location, etc. of the exhaust ports 114 may vary within the range of implementing the aforementioned functions.

고정부(115a)는 어깨끈(115)을 케이스(110)에 연결할 수 있도록 케이스(110)의 측면 또는 상면에 구비된다. 어깨끈(115)의 양 단부와 케이스(110)에 형성된 고정부(115a)를 연결함으로써, 사용자가 어깨끈(115)을 매어 케이스(110)를 휴대할 수 있다. 어깨끈(115)과 고정부(115a)의 연결 형식은 공지된 수단을 적용할 수 있으며, 고정부(115a)의 위치는 휴대의 편의성을 고려하여 당업자가 적절한 위치를 선정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손잡이부(미도시)는 사용자가 직접 손으로 케이스(110)를 운반하기 편리하도록 케이스(110)에 구비된 손잡이 구성이다. 케이스(110)는 상면 또는 측면에 손잡이를 달거나, 손으로 잡기 유리한 적절한 형상으로 형성된 손잡이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The fixing part 115a is provided on the side or upper surface of the case 110 to connect the shoulder strap 115 to the case 110 . By connecting both ends of the shoulder strap 115 and the fixing part 115a formed in the case 110, the user can carry the case 110 by wearing the shoulder strap 115. Known means may be applied to the connection type between the shoulder strap 115 and the fixing part 115a, and a person skilled in the art may select an appropriate position for the fixing part 115a in consideration of portability convenience. Meanwhile, the handle portion (not shown) is a handle provided on the case 110 so that the user can conveniently carry the case 110 by hand. The case 110 may further include a handle attached to a top or side surface, or a handle formed in an appropriate shape that is advantageous for holding by hand.

도 3을 참조하면, 드라이어(120)는 거치부(121)와 지지부(122)를 포함하며, 드라이어(120)는 거치된 케이스(110)의 공기유입구으로 바람을 공급한다. 드라이어(120)와 케이스(110)는 서로 탈착이 가능하다.Referring to FIG. 3 , the dryer 120 includes a mounting portion 121 and a support portion 122, and the dryer 120 supplies wind to the air inlet of the mounted case 110. The dryer 120 and the case 110 are detachable from each other.

거치부(121)는 케이스(110)의 하면을 받칠 수 있는 적절한 넓이를 가지며, 상부에 송풍구(121a)가 구비되어 케이스(110)의 하면에 구비된 공기유입구를 통해 케이스(110)의 내부로 바람을 공급한다. 또한, 거치부(121)는 상부 가장자리에 상향으로 돌출된 이탈방지벽(121b)을 구비하여, 거치된 케이스(110)의 측 방향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The mounting portion 121 has an appropriate width to support the lower surface of the case 110, and an air outlet 121a is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to enter the inside of the case 110 through an air inlet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case 110. supply wind. In addition, the mounting portion 121 has a separation prevention wall 121b protruding upward at an upper edge thereof to prevent the mounted case 110 from being separated in a lateral direction.

송풍구(121a)는 반려동물의 전방과 후방 및 좌우측에 바람을 공급할 수 있도록 복수가 고르게 분산 배치될 수 있다. 케이스(110)를 거치부(121) 위에 거치 시 케이스(110)의 공기유입구와 송풍구(121a)가 연결되고, 공기유입구와 송풍구(121a)의 형상, 위치, 크기 등은 서로 대응된다.A plurality of air outlets 121a may be evenly distributed to supply wind to the front, rear, and left and right sides of the companion animal. When the case 110 is placed on the holder 121, the air inlet of the case 110 and the air outlet 121a are connected, and the shape, position, and size of the air inlet and the air outlet 121a correspond to each other.

지지부(122)는 케이스(110)를 거치 시 케이스(110)의 일 측면에 맞닿는다. 지지부(122)는 거치부(121)의 일 측에 수직으로 연결되고, 거치된 케이스(110)의 측 방 움직임을 제한한다.The support part 122 comes into contact with one side of the case 110 when the case 110 is placed thereon. The support part 122 is vertically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mounting part 121 and limits the lateral movement of the mounted case 110.

또한, 지지부(122)는 케이스(110)와 맞닿는 면의 가장자리에 케이스(110) 방향으로 돌출된 이탈방지벽(122b)을 구비하고, 이탈방지벽(122b)은 거치된 케이스(110)의 이탈을 방지한다.In addition, the support part 122 has a separation prevention wall 122b protruding in the direction of the case 110 at the edge of the surface in contact with the case 110, and the separation prevention wall 122b is separated from the mounted case 110. to prevent

또한, 지지부(122)는 케이스(110)와 맞닿는 면에 송풍구(122a)를 구비하고, 상기 송풍구(122a)는 케이스(110)의 측면에 구비된 공기유입구와 연결되어 케이스(110)의 내부로 바람을 공급한다.In addition, the support part 122 has an air outlet 122a on a surface in contact with the case 110, and the air outlet 122a is connected to an air inlet provided on a side surface of the case 110 to enter the case 110. supply wind.

송풍구(122a)는 반려동물의 후방에 바람을 공급할 수 있도록 복수가 고르게 분산 배치될 수 있다. 케이스(110)를 거치부(121) 위에 거치 시 케이스(110)의 공기유입구와 송풍구(122a)가 연결되고, 공기유입구와 송풍구(122a)의 형상, 위치, 크기 등은 서로 대응된다.A plurality of air outlets 122a may be evenly distributed to supply wind to the rear of the companion animal. When the case 110 is placed on the holder 121, the air inlet of the case 110 and the air outlet 122a are connected, and the shape, position, and size of the air inlet and the air outlet 122a correspond to each other.

드라이어(120)는 송풍 수단으로 공지의 수단을 활용할 수 있으며, 송풍 수단에 의해 바람이 드라이어(120)의 내부에서 송풍구(121a, 122a)로 향하는 유로를 따라 이동하여 송풍구(121a, 122a)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The dryer 120 may utilize a known means as a blowing means, and by the blowing means, the wind moves from the inside of the dryer 120 along a flow path toward the outlets 121a and 122a through the outlets 121a and 122a. may be discharged.

또 다른 실시예로서, 드라이어는 공기를 흡입할 수 있는 흡입구(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흡입구는 거치된 케이스의 배기구와 연결되어 케이스 내부에 있는 이물질을 흡입할 수 있다. 상기 흡입구는 필터부(미도시)와 연결되어 공기 중에 포함된 털과 먼지가 상기 필터부에서 분리되고, 필터부를 통과한 공기는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흡입구에서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수단은 공지의 수단을 적용할 수 있다.As another embodiment, the dryer may further include a suction port (not shown) through which air can be sucked. The suction port is connected to the exhaust port of the mounted case to suck in foreign substances in the case. The inlet is connected to a filter unit (not shown) so that hair and dust contained in the air are separated from the filter unit, and air passing through the filter unit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A known means can be applied as a means for inhaling air from the inlet.

한편, 지지부(122)는 사용자가 임의 조작 가능한 송풍용 호스(123)와 상기 송풍용 호스(123)를 삽입하여 거치할 수 있는 거치홈(124)을 구비한다. 송풍용 호스(123)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일단이 드라이어(120)에 연결되고 타단은 바람을 배출한다. 또한, 호스(123)는 유연한 재질로 형성되어 사용자에 의해 다양한 각도와 방향으로 굽어질 수 있다.Meanwhile, the support part 122 includes a blowing hose 123 that can be arbitrarily manipulated by a user and a mounting groove 124 into which the blowing hose 123 can be inserted and mounted. The blowing hose 123 has a predetermined length, one end is connected to the dryer 120 and the other end discharges wind. In addition, the hose 123 is formed of a flexible material and can be bent at various angles and directions by the user.

드라이룸(100)은 자동으로 반려동물의 털을 건조할 수 있을 뿐만아니라 사용자가 호스(123)를 이용하여 직접 건조 가능하므로, 두 방식이 호환되어 각 방식의 단점을 서로 보완한다.In the dry room 100, not only can the hair of a companion animal be automatically dried, but also the user can directly dry it using the hose 123, so the two methods are compatible and compensate for the disadvantages of each method.

한편, 거치홈(124)은 지지부(122)의 외면에 형성되며, 호스(123)를 거치할 수 있다. 거치홈(124)은 호스(123)의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로 연장되며 호스(123)를 충분히 삽입 가능한 깊이를 가진 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 호스(123) 미사용 시, 호스(123)는 거치홈(124)에 삽입되어 거치, 보관될 수 있으며, 드라이어(120)의 외관 복잡성을 줄인다.On the other hand, the installation groove 124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upport portion 122, and the hose 123 can be mounted. The mounting groove 124 extends to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length of the hose 123 and may be formed as a groove having a sufficient depth to insert the hose 123 . When the hose 123 is not in use, the hose 123 can be inserted into the mounting groove 124 to be mounted and stored, reducing the appearance complexity of the dryer 120.

또한, 지지부(122)는 드라이어(120)의 송풍 수단을 조작하는 조작부(125)를 구비한다. 조작부(125)는 스크린 터치 방식으로 송풍 수단을 제어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조작부(125)는 설정 온도와 케이스의 내부 온도, 송풍 세기 및 송풍 모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영역을 포함한다.In addition, the support part 122 includes a control part 125 for manipulating the blowing means of the dryer 120 . The control unit 125 may control the blowing means by touching the screen. Referring to FIG. 5 , the control unit 125 includes a display area displaying the set temperature,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case, the blowing intensity, and the blowing mode.

송풍구(121a, 122a)는 온도 센서가 설치될 수 있므며, 조작부(125)는 상기 센서에서 감지한 온도를 디스플레이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송풍 모드는 목욕 후 털 건조 모드 및 외부 산책 후 먼지털이 모드를 구비할 수 있으며, 기타 다양한 모드를 추가할 수 있다.A temperature sensor may be installed in the air outlets 121a and 122a, and the control unit 125 may display the temperature detected by the sensor on the display area. The blowing mode may include a hair drying mode after bathing and a dusting mode after walking outside, and various other modes may be added.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not limited by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various substitutions, modifications, and change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100: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드라이룸
110: 케이스
111: 메인커버
112: 보조커버
113: 체결구
114: 배기구
115: 어깨끈
115a: 고정부
116: 전면
120: 드라이어
121: 거치부
121a: 송풍구
121b: 이탈방지벽
122: 지지부
122a: 송풍구
122b: 이탈방지벽
123: 호스
124: 거치홈
125: 조작부
100: Dry roo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0: case
111: main cover
112: auxiliary cover
113: fastener
114: exhaust port
115: shoulder strap
115a: fixing part
116: front
120: dryer
121: mounting part
121a: tuyere
121b: departure prevention barrier
122: support
122a: tuyere
122b: departure prevention barrier
123: hose
124: mounting groove
125: control panel

Claims (5)

반려동물용 드라이룸으로서,
내부 공간이 형성되며 상부에 개폐 가능한 메인커버를 구비하고, 하면 및 측면에 공기유입구를 구비하는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의 하면을 받치는 거치부와, 상기 케이스의 일 측면에 맞닿는 지지부를 구비하는 드라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는 상기 메인커버 또는 전면의 일부 영역을 별도로 개폐할 수 있는 보조커버를 구비하며,
상기 드라이어는 상기 케이스의 상기 공기유입구와 대응되는 위치에 송풍구를 구비하고,
상기 케이스와 상기 드라이어는 서로 탈착이 가능하며,
상기 케이스는, 내부 공간으로 유입된 공기가 빠져나갈 수 있는 배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케이스는, 측면 또는 상면에 운반용 손잡이부 또는 어깨끈을 고정 가능한 고정부를 구비하며,
상기 드라이어에는,
상기 거치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케이스 방향으로 상향으로 돌출되어 케이스의 모서리를 감싸는 형태로 이탈방지벽이 형성되고,
상기 드라이어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고, 유연하게 굽어질 수 있는 송풍 호스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용 드라이룸.
As a dry room for companion animals,
A case having an inner space formed therein, having a main cover that can be opened and closed at the top, and having air inlets on the bottom and side surfaces; and
A dryer having a holding part supporting the lower surface of the case and a supporting part contacting one side surface of the case;
The case includes an auxiliary cover capable of separately opening and closing a part of the main cover or a front surface,
The dryer has an air outlet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air inlet of the case,
The case and the dryer are detachable from each other,
The case has an exhaust port through which air introduced into the inner space can escape,
The case has a carrying handle part or a fixing part capable of fixing a shoulder strap on the side or upper surface,
In the dryer,
A separation prevention wall is formed in a shape that protrudes upward in the direction of the case along the edge of the mounting portion and surrounds the edge of the case,
The dryer,
A dry room for pet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blower hose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being flexibl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210017807A 2021-02-08 2021-02-08 Dry room for pets KR10255430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7807A KR102554303B1 (en) 2021-02-08 2021-02-08 Dry room for pet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7807A KR102554303B1 (en) 2021-02-08 2021-02-08 Dry room for pet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4375A KR20220114375A (en) 2022-08-17
KR102554303B1 true KR102554303B1 (en) 2023-07-12

Family

ID=831111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7807A KR102554303B1 (en) 2021-02-08 2021-02-08 Dry room for pet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4303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61217A (en) 2004-03-16 2005-09-29 Kita Idea:Kk Drying device for pet
JP2020141630A (en) 2019-03-08 2020-09-10 株式会社喜多俊之デザイン研究所 Tetrapod packaging bag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12299A (en) * 1994-10-19 1996-05-07 Sharp Corp Automatically cleaning, drying and diagnostic apparatus for pet animal
US8061304B1 (en) * 2009-02-19 2011-11-22 Jennifer Ramsay Small pet washing apparatus
KR101710121B1 (en) 2015-03-16 2017-02-27 강의수 Dry pet room
KR101963814B1 (en) * 2017-06-26 2019-04-01 주식회사 몰트 Drying device for pet
KR20180118575A (en) * 2018-10-22 2018-10-31 엄남경 Pet carrier with dry room function
KR20200127801A (en) * 2019-05-03 2020-11-11 쿠쿠전자 주식회사 pet dry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61217A (en) 2004-03-16 2005-09-29 Kita Idea:Kk Drying device for pet
JP2020141630A (en) 2019-03-08 2020-09-10 株式会社喜多俊之デザイン研究所 Tetrapod packaging ba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4375A (en) 2022-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3814B1 (en) Drying device for pet
US20210000075A1 (en) Pet dry room and tray used therefor
US7341020B2 (en) Animal housing structure and apparatus
KR101609559B1 (en) Pet Carrier With Dry Room Function
KR101710121B1 (en) Dry pet room
KR102017129B1 (en) Sanitary Management and Health Care Devices for Companion Animal
US20080190375A1 (en) Animal Grooming Apparatus
KR101557129B1 (en) Pet dry room
US11000007B2 (en) Pet litter box
US20180077900A1 (en) Pet drying room
KR102554303B1 (en) Dry room for pets
WO2006040365A1 (en) Automatic hydromassage machine for household pets
JP2980559B2 (en) Ornamental incubators for small animals such as rodents
KR20180068638A (en) Practical enhanced dry pet room
KR20230000088U (en) Pet dry clothes
JP2008142029A (en) Circular structure for pets
CN110214719A (en) A kind of pet toy with defeathering function
JP2579930Y2 (en) Pet brushing case
KR200275525Y1 (en) Inner base structure of bag for pet animal
CN220733949U (en) SPF-level mouse rearging cage
JP2004065368A (en) Tissue box carry bag
KR200300232Y1 (en) Pet house
KR101001318B1 (en) Clean piglet pigpen
JP3063669U (en) Animal rearing rack
JP2018117599A (en) Cage for pet anim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