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3843B1 - 비디오 신호 처리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비디오 신호 처리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3843B1
KR102553843B1 KR1020200156277A KR20200156277A KR102553843B1 KR 102553843 B1 KR102553843 B1 KR 102553843B1 KR 1020200156277 A KR1020200156277 A KR 1020200156277A KR 20200156277 A KR20200156277 A KR 20200156277A KR 102553843 B1 KR102553843 B1 KR 1025538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current
picture
prediction
prediction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62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32828A (ko
Inventor
이배근
김주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ublication of KR202001328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28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38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38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5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 H04N19/503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involving temporal prediction
    • H04N19/51Motion estimation or motion compensation
    • H04N19/513Processing of motion vec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5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 H04N19/503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involving temporal prediction
    • H04N19/51Motion estimation or motion compens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5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 H04N19/503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involving temporal prediction
    • H04N19/51Motion estimation or motion compensation
    • H04N19/513Processing of motion vectors
    • H04N19/517Processing of motion vectors by encoding
    • H04N19/52Processing of motion vectors by encoding by predictive enco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0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selection affected or controlled by the adaptive coding
    • H04N19/103Selection of coding mode or of prediction mo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0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selection affected or controlled by the adaptive coding
    • H04N19/103Selection of coding mode or of prediction mode
    • H04N19/105Selection of the reference unit for prediction within a chosen coding or prediction mode, e.g. adaptive choice of position and number of pixels used for predi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34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criterion affecting or controlling the adaptive coding
    • H04N19/136Incoming video signal characteristics or proper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34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criterion affecting or controlling the adaptive coding
    • H04N19/157Assigned coding mode, i.e. the coding mode being predefined or preselected to be further used for selection of another element or parameter
    • H04N19/159Prediction type, e.g. intra-frame, inter-frame or bidirectional frame predi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6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 H04N19/17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 H04N19/174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the region being a slice, e.g. a line of blocks or a group of bloc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6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 H04N19/17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 H04N19/176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the region being a block, e.g. a macroblo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6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 H04N19/187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 scalable video lay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3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hierarchical techniques, e.g. scalabi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5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5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 H04N19/503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involving temporal predi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5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 H04N19/503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involving temporal prediction
    • H04N19/51Motion estimation or motion compensation
    • H04N19/573Motion compensation with multiple frame prediction using two or more reference frames in a given prediction dir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5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 H04N19/503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involving temporal prediction
    • H04N19/51Motion estimation or motion compensation
    • H04N19/58Motion compensation with long-term prediction, i.e. the reference frame for a current frame not being the temporally closest o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7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characterised by syntax aspects related to video coding, e.g. related to compression standar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80Details of filtering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for video compression, e.g. for pixel interpolation
    • H04N19/82Details of filtering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for video compression, e.g. for pixel interpolation involving filtering within a prediction loo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9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coding techniqu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4N19/10-H04N19/85, e.g. fractals
    • H04N19/91Entropy coding, e.g. variable length coding [VLC] or arithmetic co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0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selection affected or controlled by the adaptive coding
    • H04N19/117Filters, e.g. for pre-processing or post-proces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0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selection affected or controlled by the adaptive coding
    • H04N19/124Quantis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ression Or Coding Systems Of Tv Sig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비디오 신호 처리 방법은 현재 픽쳐에 관한 현재 픽쳐 레퍼런스 플래그에 기초하여 참조 픽쳐 리스트를 생성하고, 현재 픽쳐 내의 현재 블록에 관한 모션 정보를 획득하며, 현재 픽쳐에 관한 참조 픽쳐 리스트와 상기 현재 블록의 모션 정보를 이용하여 현재 블록을 복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비디오 신호 처리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A VIDEO SIGNAL}
본 발명은 비디오 신호 처리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HD(High Definition) 영상 및 UHD(Ultra High Definition) 영상과 같은 고해상도, 고품질의 영상에 대한 수요가 다양한 응용 분야에서 증가하고 있다. 영상 데이터가 고해상도, 고품질이 될수록 기존의 영상 데이터에 비해 상대적으로 데이터량이 증가하기 때문에 기존의 유무선 광대역 회선과 같은 매체를 이용하여 영상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기존의 저장 매체를 이용해 저장하는 경우, 전송 비용과 저장 비용이 증가하게 된다. 영상 데이터가 고해상도, 고품질화 됨에 따라 발생하는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고효율의 영상 압축 기술들이 활용될 수 있다.
영상 압축 기술로 현재 픽쳐의 이전 또는 이후 픽쳐로부터 현재 픽쳐에 포함된 화소값을 예측하는 화면 간 예측 기술, 현재 픽쳐 내의 화소 정보를 이용하여 현재 픽쳐에 포함된 화소값을 예측하는 화면 내 예측 기술, 출현 빈도가 높은 값에 짧은 부호를 할당하고 출현 빈도가 낮은 값에 긴 부호를 할당하는 엔트로피 부호화 기술 등 다양한 기술이 존재하고 이러한 영상 압축 기술을 이용해 영상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압축하여 전송 또는 저장할 수 있다.
한편, 고해상도 영상에 대한 수요가 증가함과 함께, 새로운 영상 서비스로서 입체 영상 컨텐츠에 대한 수요도 함께 증가하고 있다. 고해상도 및 초고해상도의 입체 영상 콘텐츠를 효과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비디오 압축 기술에 대하여 논의가 진행되고 있다.
본 발명은 비디오 신호를 부호화/복호화함에 있어서, 현재 픽쳐 레퍼런스 모드에 기반한 예측 또는 복원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비디오 신호를 부호화/복호화함에 있어서, 현재 픽쳐 레퍼런스 모드에 이용되는 블록 벡터를 유도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비디오 신호를 부호화/복호화함에 있어서, 현재 픽쳐 레퍼런스 모드를 위한 참조 픽쳐 리스트를 생성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비디오 신호 디코딩 방법 및 장치는, 현재 픽쳐에 관한 현재 픽쳐 레퍼런스 플래그에 기초하여 참조 픽쳐 리스트를 생성하고, 상기 현재 픽쳐 내의 현재 블록에 관한 모션 정보를 획득하며, 상기 현재 픽쳐에 관한 참조 픽쳐 리스트와 상기 현재 블록의 모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현재 블록을 복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비디오 신호 디코딩 방법 및 장치에 있어서, 상기 현재 픽쳐 레퍼런스 플래그는 비디오 시퀀스 또는 픽쳐에 속하는 적어도 하나의 블록이 현재 픽쳐 레퍼런스 모드를 사용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비디오 신호 디코딩 방법 및 장치에 있어서, 상기 현재 픽쳐 레퍼런스 모드는 상기 현재 블록이 상기 현재 픽쳐 내의 기-복원된 블록을 참조하여 예측 또는 복원하는 방법을 의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비디오 신호 디코딩 방법 및 장치에 있어서, 상기 현재 픽쳐 레퍼런스 플래그에 기초하여 상기 현재 픽쳐에 관한 참조 픽쳐 리스트에 상기 현재 픽쳐가 추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비디오 신호 디코딩 방법 및 장치는, 현재 픽쳐의 인터 예측에 이용되는 시간적 참조 픽쳐를 배열하고, 상기 현재 픽쳐 레퍼런스 플래그에 기초하여, 상기 배열된 시간적 참조 픽쳐 다음에 상기 현재 픽쳐를 배열함으로써 참조 픽쳐 리스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비디오 신호 디코딩 방법 및 장치에 있어서, 상기 시간적 참조 픽쳐는 근거리 참조 픽쳐와 장거리 참조 픽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시간적 참조 픽쳐는 상기 근거리 참조 픽쳐, 상기 장거리 참조 픽쳐의 우선 순서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비디오 신호 디코딩 방법 및 장치에 있어서, 상기 현재 블록을 복원하는 단계는, 상기 현재 블록의 참조 픽쳐 인덱스, 슬라이스 타입 또는 파티션 모드(partition mode)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현재 블록이 상기 현재 픽쳐 레퍼런스 모드를 사용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비디오 신호 인코딩 방법 및 장치는, 현재 픽쳐에 관한 현재 픽쳐 레퍼런스 플래그에 기초하여 참조 픽쳐 리스트를 생성하고, 상기 현재 픽쳐 내의 현재 블록에 관한 모션 정보를 획득하며, 상기 현재 픽쳐에 관한 참조 픽쳐 리스트와 상기 현재 블록의 모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현재 블록을 복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비디오 신호 인코딩 방법 및 장치에 있어서, 상기 현재 픽쳐 레퍼런스 플래그는 비디오 시퀀스 또는 픽쳐에 속하는 적어도 하나의 블록이 현재 픽쳐 레퍼런스 모드를 사용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비디오 신호 인코딩 방법 및 장치에 있어서, 상기 현재 픽쳐 레퍼런스 모드는 상기 현재 블록이 상기 현재 픽쳐 내의 기-복원된 블록을 참조하여 예측 또는 복원하는 방법을 의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비디오 신호 인코딩 방법 및 장치에 있어서, 상기 현재 픽쳐 레퍼런스 플래그에 기초하여 상기 현재 픽쳐에 관한 참조 픽쳐 리스트에 상기 현재 픽쳐가 추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비디오 신호 인코딩 방법 및 장치는, 현재 픽쳐의 인터 예측에 이용되는 시간적 참조 픽쳐를 배열하고, 상기 현재 픽쳐 레퍼런스 플래그에 기초하여, 상기 배열된 시간적 참조 픽쳐 다음에 상기 현재 픽쳐를 배열함으로써 참조 픽쳐 리스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비디오 신호 인코딩 방법 및 장치에 있어서, 상기 시간적 참조 픽쳐는 근거리 참조 픽쳐와 장거리 참조 픽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시간적 참조 픽쳐는 상기 근거리 참조 픽쳐, 상기 장거리 참조 픽쳐의 우선 순서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비디오 신호 인코딩 방법 및 장치에 있어서, 상기 현재 블록을 복원하는 단계는, 상기 현재 블록의 참조 픽쳐 인덱스, 슬라이스 타입 또는 파티션 모드(partition mode)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현재 블록이 상기 현재 픽쳐 레퍼런스 모드를 사용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현재 픽쳐 레퍼런스 모드에 기반하여 현재 블록의 예측 또는 복원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현재 픽쳐 레퍼런스 모드에 이용되는 블록 벡터를 효율적으로 유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현재 픽쳐 레퍼런스 모드를 위한 참조 픽쳐 리스트를 효과적으로 생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 부호화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 복호화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일실시예로서, 현재 픽쳐 레퍼런스 모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일실시예로서, 현재 픽쳐 레퍼런스 모드(current picture reference mode)에 기초하여 현재 블록을 복원하는 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일실시예로서, 디코딩 픽쳐 버퍼에 저장되는 근거리 참조 픽쳐를 특정하는 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일실시예로서, 장거리 참조 픽쳐(long-term reference picture)를 특정하는 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일실시예로서, 근거리 참조 픽쳐와 장거리 참조 픽쳐를 이용하여 참조 픽쳐 리스트를 구성하는 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일실시예로서, 현재 픽쳐 레퍼런스 모드를 위한 참조 픽쳐 리스트를 구성하는 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하,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 부호화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영상 부호화 장치(100)는 픽쳐 분할부(110), 예측부(120, 125), 변환부(130), 양자화부(135), 재정렬부(160), 엔트로피 부호화부(165), 역양자화부(140), 역변환부(145), 필터부(150) 및 메모리(155)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나타난 각 구성부들은 영상 부호화 장치에서 서로 다른 특징적인 기능들을 나타내기 위해 독립적으로 도시한 것으로, 각 구성부들이 분리된 하드웨어나 하나의 소프트웨어 구성단위로 이루어짐을 의미하지 않는다. 즉, 각 구성부는 설명의 편의상 각각의 구성부로 나열하여 포함한 것으로 각 구성부 중 적어도 두 개의 구성부가 합쳐져 하나의 구성부로 이루어지거나, 하나의 구성부가 복수개의 구성부로 나뉘어져 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이러한 각 구성부의 통합된 실시예 및 분리된 실시예도 본 발명의 본질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
또한, 일부의 구성 요소는 본 발명에서 본질적인 기능을 수행하는 필수적인 구성 요소는 아니고 단지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선택적 구성 요소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단지 성능 향상을 위해 사용되는 구성 요소를 제외한 본 발명의 본질을 구현하는데 필수적인 구성부만을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고, 단지 성능 향상을 위해 사용되는 선택적 구성 요소를 제외한 필수 구성 요소만을 포함한 구조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
픽쳐 분할부(110)는 입력된 픽쳐를 적어도 하나의 처리 단위로 분할할 수 있다. 이때, 처리 단위는 예측 단위(Prediction Unit: PU)일 수도 있고, 변환 단위(Transform Unit: TU)일 수도 있으며, 부호화 단위(Coding Unit: CU)일 수도 있다. 픽쳐 분할부(110)에서는 하나의 픽쳐에 대해 복수의 부호화 단위, 예측 단위 및 변환 단위의 조합으로 분할하고 소정의 기준(예를 들어, 비용 함수)으로 하나의 부호화 단위, 예측 단위 및 변환 단위 조합을 선택하여 픽쳐를 부호화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픽쳐는 복수개의 부호화 단위로 분할될 수 있다. 픽쳐에서 부호화 단위를 분할하기 위해서는 쿼드 트리 구조(Quad Tree Structure)와 같은 재귀적인 트리 구조를 사용할 수 있는데 하나의 영상 또는 최대 크기 부호화 단위(largest coding unit)를 루트로 하여 다른 부호화 단위로 분할되는 부호화 유닛은 분할된 부호화 단위의 개수만큼의 자식 노드를 가지고 분할될 수 있다. 일정한 제한에 따라 더 이상 분할되지 않는 부호화 단위는 리프 노드가 된다. 즉, 하나의 코딩 유닛에 대하여 정방형 분할만이 가능하다고 가정하는 경우, 하나의 부호화 단위는 최대 4개의 다른 부호화 단위로 분할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부호화 단위는 부호화를 수행하는 단위의 의미로 사용할 수도 있고, 복호화를 수행하는 단위의 의미로 사용할 수도 있다.
예측 단위는 하나의 부호화 단위 내에서 동일한 크기의 적어도 하나의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 등의 형태를 가지고 분할된 것일 수도 있고, 하나의 부호화 단위 내에서 분할된 예측 단위 중 어느 하나의 예측 단위가 다른 하나의 예측 단위와 상이한 형태 및/또는 크기를 가지도록 분할된 것일 수도 있다.
부호화 단위를 기초로 인트라 예측을 수행하는 예측 단위를 생성시 최소 부호화 단위가 아닌 경우, 복수의 예측 단위 NxN 으로 분할하지 않고 인트라 예측을 수행할 수 있다.
예측부(120, 125)는 인터 예측을 수행하는 인터 예측부(120)와 인트라 예측을 수행하는 인트라 예측부(125)를 포함할 수 있다. 예측 단위에 대해 인터 예측을 사용할 것인지 또는 인트라 예측을 수행할 것인지를 결정하고, 각 예측 방법에 따른 구체적인 정보(예컨대, 인트라 예측 모드, 모션 벡터, 참조 픽쳐 등)를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예측이 수행되는 처리 단위와 예측 방법 및 구체적인 내용이 정해지는 처리 단위는 다를 수 있다. 예컨대, 예측의 방법과 예측 모드 등은 예측 단위로 결정되고, 예측의 수행은 변환 단위로 수행될 수도 있다. 생성된 예측 블록과 원본 블록 사이의 잔차값(잔차 블록)은 변환부(130)로 입력될 수 있다. 또한, 예측을 위해 사용한 예측 모드 정보, 모션 벡터 정보 등은 잔차값과 함께 엔트로피 부호화부(165)에서 부호화되어 복호화기에 전달될 수 있다. 특정한 부호화 모드를 사용할 경우, 예측부(120, 125)를 통해 예측 블록을 생성하지 않고, 원본 블록을 그대로 부호화하여 복호화부에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인터 예측부(120)는 현재 픽쳐의 이전 픽쳐 또는 이후 픽쳐 중 적어도 하나의 픽쳐의 정보를 기초로 예측 단위를 예측할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현재 픽쳐 내의 부호화가 완료된 일부 영역의 정보를 기초로 예측 단위를 예측할 수도 있다. 인터 예측부(120)는 참조 픽쳐 보간부, 모션 예측부, 움직임 보상부를 포함할 수 있다.
참조 픽쳐 보간부에서는 메모리(155)로부터 참조 픽쳐 정보를 제공받고 참조 픽쳐에서 정수 화소 이하의 화소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휘도 화소의 경우, 1/4 화소 단위로 정수 화소 이하의 화소 정보를 생성하기 위해 필터 계수를 달리하는 DCT 기반의 8탭 보간 필터(DCT-based Interpolation Filter)가 사용될 수 있다. 색차 신호의 경우 1/8 화소 단위로 정수 화소 이하의 화소 정보를 생성하기 위해 필터 계수를 달리하는 DCT 기반의 4탭 보간 필터(DCT-based Interpolation Filter)가 사용될 수 있다.
모션 예측부는 참조 픽쳐 보간부에 의해 보간된 참조 픽쳐를 기초로 모션 예측을 수행할 수 있다. 모션 벡터를 산출하기 위한 방법으로 FBMA(Full search-based Block Matching Algorithm), TSS(Three Step Search), NTS(New Three-Step Search Algorithm) 등 다양한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모션 벡터는 보간된 화소를 기초로 1/2 또는 1/4 화소 단위의 모션 벡터값을 가질 수 있다. 모션 예측부에서는 모션 예측 방법을 다르게 하여 현재 예측 단위를 예측할 수 있다. 모션 예측 방법으로 스킵(Skip) 방법, 머지(Merge) 방법, AMVP(Advanced Motion Vector Prediction) 방법, 인트라 블록 카피(Intra Block Copy) 방법 등 다양한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인트라 예측부(125)는 현재 픽쳐 내의 화소 정보인 현재 블록 주변의 참조 픽셀 정보를 기초로 예측 단위를 생성할 수 있다. 현재 예측 단위의 주변 블록이 인터 예측을 수행한 블록이어서, 참조 픽셀이 인터 예측을 수행한 픽셀일 경우, 인터 예측을 수행한 블록에 포함되는 참조 픽셀을 주변의 인트라 예측을 수행한 블록의 참조 픽셀 정보로 대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 즉, 참조 픽셀이 가용하지 않는 경우, 가용하지 않은 참조 픽셀 정보를 가용한 참조 픽셀 중 적어도 하나의 참조 픽셀로 대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인트라 예측에서 예측 모드는 참조 픽셀 정보를 예측 방향에 따라 사용하는 방향성 예측 모드와 예측을 수행시 방향성 정보를 사용하지 않는 비방향성 모드를 가질 수 있다. 휘도 정보를 예측하기 위한 모드와 색차 정보를 예측하기 위한 모드가 상이할 수 있고, 색차 정보를 예측하기 위해 휘도 정보를 예측하기 위해 사용된 인트라 예측 모드 정보 또는 예측된 휘도 신호 정보를 활용할 수 있다.
인트라 예측을 수행할 때 예측 단위의 크기와 변환 단위의 크기가 동일할 경우, 예측 단위의 좌측에 존재하는 픽셀, 좌측 상단에 존재하는 픽셀, 상단에 존재하는 픽셀을 기초로 예측 단위에 대한 인트라 예측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인트라 예측을 수행할 때 예측 단위의 크기와 변환 단위의 크기가 상이할 경우, 변환 단위를 기초로 한 참조 픽셀을 이용하여 인트라 예측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최소 부호화 단위에 대해서만 N x N 분할을 사용하는 인트라 예측을 사용할 수 있다.
인트라 예측 방법은 예측 모드에 따라 참조 화소에 AIS(Adaptive Intra Smoothing) 필터를 적용한 후 예측 블록을 생성할 수 있다. 참조 화소에 적용되는 AIS 필터의 종류는 상이할 수 있다. 인트라 예측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현재 예측 단위의 인트라 예측 모드는 현재 예측 단위의 주변에 존재하는 예측 단위의 인트라 예측 모드로부터 예측할 수 있다. 주변 예측 단위로부터 예측된 모드 정보를 이용하여 현재 예측 단위의 예측 모드를 예측하는 경우, 현재 예측 단위와 주변 예측 단위의 인트라 예측 모드가 동일하면 소정의 플래그 정보를 이용하여 현재 예측 단위와 주변 예측 단위의 예측 모드가 동일하다는 정보를 전송할 수 있고, 만약 현재 예측 단위와 주변 예측 단위의 예측 모드가 상이하면 엔트로피 부호화를 수행하여 현재 블록의 예측 모드 정보를 부호화할 수 있다.
또한, 예측부(120, 125)에서 생성된 예측 단위를 기초로 예측을 수행한 예측 단위와 예측 단위의 원본 블록과 차이값인 잔차값(Residual) 정보를 포함하는 잔차 블록이 생성될 수 있다. 생성된 잔차 블록은 변환부(130)로 입력될 수 있다.
변환부(130)에서는 원본 블록과 예측부(120, 125)를 통해 생성된 예측 단위의 잔차값(residual)정보를 포함한 잔차 블록을 DCT(Discrete Cosine Transform), DST(Discrete Sine Transform), KLT와 같은 변환 방법을 사용하여 변환시킬 수 있다. 잔차 블록을 변환하기 위해 DCT를 적용할지, DST를 적용할지 또는 KLT를 적용할지는 잔차 블록을 생성하기 위해 사용된 예측 단위의 인트라 예측 모드 정보를 기초로 결정할 수 있다.
양자화부(135)는 변환부(130)에서 주파수 영역으로 변환된 값들을 양자화할 수 있다. 블록에 따라 또는 영상의 중요도에 따라 양자화 계수는 변할 수 있다. 양자화부(135)에서 산출된 값은 역양자화부(140)와 재정렬부(160)에 제공될 수 있다.
재정렬부(160)는 양자화된 잔차값에 대해 계수값의 재정렬을 수행할 수 있다.
재정렬부(160)는 계수 스캐닝(Coefficient Scanning) 방법을 통해 2차원의 블록 형태 계수를 1차원의 벡터 형태로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재정렬부(160)에서는 지그-재그 스캔(Zig-Zag Scan)방법을 이용하여 DC 계수부터 고주파수 영역의 계수까지 스캔하여 1차원 벡터 형태로 변경시킬 수 있다. 변환 단위의 크기 및 인트라 예측 모드에 따라 지그-재그 스캔 대신 2차원의 블록 형태 계수를 열 방향으로 스캔하는 수직 스캔, 2차원의 블록 형태 계수를 행 방향으로 스캔하는 수평 스캔이 사용될 수도 있다. 즉, 변환 단위의 크기 및 인트라 예측 모드에 따라 지그-재그 스캔, 수직 방향 스캔 및 수평 방향 스캔 중 어떠한 스캔 방법이 사용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엔트로피 부호화부(165)는 재정렬부(160)에 의해 산출된 값들을 기초로 엔트로피 부호화를 수행할 수 있다. 엔트로피 부호화는 예를 들어, 지수 골롬(Exponential Golomb), CAVLC(Context-Adaptive Variable Length Coding), CABAC(Context-Adaptive Binary Arithmetic Coding)과 같은 다양한 부호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엔트로피 부호화부(165)는 재정렬부(160) 및 예측부(120, 125)로부터 부호화 단위의 잔차값 계수 정보 및 블록 타입 정보, 예측 모드 정보, 분할 단위 정보, 예측 단위 정보 및 전송 단위 정보, 모션 벡터 정보, 참조 프레임 정보, 블록의 보간 정보, 필터링 정보 등 다양한 정보를 부호화할 수 있다.
엔트로피 부호화부(165)에서는 재정렬부(160)에서 입력된 부호화 단위의 계수값을 엔트로피 부호화할 수 있다.
역양자화부(140) 및 역변환부(145)에서는 양자화부(135)에서 양자화된 값들을 역양자화하고 변환부(130)에서 변환된 값들을 역변환한다. 역양자화부(140) 및 역변환부(145)에서 생성된 잔차값(Residual)은 예측부(120, 125)에 포함된 움직임 추정부, 움직임 보상부 및 인트라 예측부를 통해서 예측된 예측 단위와 합쳐져 복원 블록(Reconstructed Block)을 생성할 수 있다.
필터부(150)는 디블록킹 필터, 오프셋 보정부, ALF(Adaptive Loop Filter)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블록킹 필터는 복원된 픽쳐에서 블록간의 경계로 인해 생긴 블록 왜곡을 제거할 수 있다. 디블록킹을 수행할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블록에 포함된 몇 개의 열 또는 행에 포함된 픽셀을 기초로 현재 블록에 디블록킹 필터 적용할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블록에 디블록킹 필터를 적용하는 경우 필요한 디블록킹 필터링 강도에 따라 강한 필터(Strong Filter) 또는 약한 필터(Weak Filter)를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디블록킹 필터를 적용함에 있어 수직 필터링 및 수평 필터링 수행시 수평 방향 필터링 및 수직 방향 필터링이 병행 처리되도록 할 수 있다.
오프셋 보정부는 디블록킹을 수행한 영상에 대해 픽셀 단위로 원본 영상과의 오프셋을 보정할 수 있다. 특정 픽쳐에 대한 오프셋 보정을 수행하기 위해 영상에 포함된 픽셀을 일정한 수의 영역으로 구분한 후 오프셋을 수행할 영역을 결정하고 해당 영역에 오프셋을 적용하는 방법 또는 각 픽셀의 에지 정보를 고려하여 오프셋을 적용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ALF(Adaptive Loop Filtering)는 필터링한 복원 영상과 원래의 영상을 비교한 값을 기초로 수행될 수 있다. 영상에 포함된 픽셀을 소정의 그룹으로 나눈 후 해당 그룹에 적용될 하나의 필터를 결정하여 그룹마다 차별적으로 필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 ALF를 적용할지 여부에 관련된 정보는 휘도 신호는 부호화 단위(Coding Unit, CU) 별로 전송될 수 있고, 각각의 블록에 따라 적용될 ALF 필터의 모양 및 필터 계수는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적용 대상 블록의 특성에 상관없이 동일한 형태(고정된 형태)의 ALF 필터가 적용될 수도 있다.
메모리(155)는 필터부(150)를 통해 산출된 복원 블록 또는 픽쳐를 저장할 수 있고, 저장된 복원 블록 또는 픽쳐는 인터 예측을 수행 시 예측부(120, 125)에 제공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 복호화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영상 복호화기(200)는 엔트로피 복호화부(210), 재정렬부(215), 역양자화부(220), 역변환부(225), 예측부(230, 235), 필터부(240), 메모리(245)가 포함될 수 있다.
영상 부호화기에서 영상 비트스트림이 입력된 경우, 입력된 비트스트림은 영상 부호화기와 반대의 절차로 복호화될 수 있다.
엔트로피 복호화부(210)는 영상 부호화기의 엔트로피 부호화부에서 엔트로피 부호화를 수행한 것과 반대의 절차로 엔트로피 복호화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 부호화기에서 수행된 방법에 대응하여 지수 골롬(Exponential Golomb), CAVLC(Context-Adaptive Variable Length Coding), CABAC(Context-Adaptive Binary Arithmetic Coding)과 같은 다양한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엔트로피 복호화부(210)에서는 부호화기에서 수행된 인트라 예측 및 인터 예측에 관련된 정보를 복호화할 수 있다.
재정렬부(215)는 엔트로피 복호화부(210)에서 엔트로피 복호화된 비트스트림을 부호화부에서 재정렬한 방법을 기초로 재정렬을 수행할 수 있다. 1차원 벡터 형태로 표현된 계수들을 다시 2차원의 블록 형태의 계수로 복원하여 재정렬할 수 있다. 재정렬부(215)에서는 부호화부에서 수행된 계수 스캐닝에 관련된 정보를 제공받고 해당 부호화부에서 수행된 스캐닝 순서에 기초하여 역으로 스캐닝하는 방법을 통해 재정렬을 수행할 수 있다.
역양자화부(220)는 부호화기에서 제공된 양자화 파라미터와 재정렬된 블록의 계수값을 기초로 역양자화를 수행할 수 있다.
역변환부(225)는 영상 부호화기에서 수행한 양자화 결과에 대해 변환부에서 수행한 변환 즉, DCT, DST, 및 KLT에 대해 역변환 즉, 역 DCT, 역 DST 및 역 KLT를 수행할 수 있다. 역변환은 영상 부호화기에서 결정된 전송 단위를 기초로 수행될 수 있다. 영상 복호화기의 역변환부(225)에서는 예측 방법, 현재 블록의 크기 및 예측 방향 등 복수의 정보에 따라 변환 기법(예를 들어, DCT, DST, KLT)이 선택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예측부(230, 235)는 엔트로피 복호화부(210)에서 제공된 예측 블록 생성 관련 정보와 메모리(245)에서 제공된 이전에 복호화된 블록 또는 픽쳐 정보를 기초로 예측 블록을 생성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영상 부호화기에서의 동작과 동일하게 인트라 예측을 수행시 예측 단위의 크기와 변환 단위의 크기가 동일할 경우, 예측 단위의 좌측에 존재하는 픽셀, 좌측 상단에 존재하는 픽셀, 상단에 존재하는 픽셀을 기초로 예측 단위에 대한 인트라 예측을 수행하지만, 인트라 예측을 수행시 예측 단위의 크기와 변환 단위의 크기가 상이할 경우, 변환 단위를 기초로 한 참조 픽셀을 이용하여 인트라 예측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최소 부호화 단위에 대해서만 N x N 분할을 사용하는 인트라 예측을 사용할 수도 있다.
예측부(230, 235)는 예측 단위 판별부, 인터 예측부 및 인트라 예측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측 단위 판별부는 엔트로피 복호화부(210)에서 입력되는 예측 단위 정보, 인트라 예측 방법의 예측 모드 정보, 인터 예측 방법의 모션 예측 관련 정보 등 다양한 정보를 입력 받고 현재 부호화 단위에서 예측 단위를 구분하고, 예측 단위가 인터 예측을 수행하는지 아니면 인트라 예측을 수행하는지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인터 예측부(230)는 영상 부호화기에서 제공된 현재 예측 단위의 인터 예측에 필요한 정보를 이용해 현재 예측 단위가 포함된 현재 픽쳐의 이전 픽쳐 또는 이후 픽쳐 중 적어도 하나의 픽쳐에 포함된 정보를 기초로 현재 예측 단위에 대한 인터 예측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현재 예측 단위가 포함된 현재 픽쳐 내에서 기-복원된 일부 영역의 정보를 기초로 인터 예측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인터 예측을 수행하기 위해 부호화 단위를 기준으로 해당 부호화 단위에 포함된 예측 단위의 모션 예측 방법이 스킵 모드(Skip Mode), 머지 모드(Merge 모드), AMVP 모드(AMVP Mode), 인트라 블록 카피 모드 중 어떠한 방법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인트라 예측부(235)는 현재 픽쳐 내의 화소 정보를 기초로 예측 블록을 생성할 수 있다. 예측 단위가 인트라 예측을 수행한 예측 단위인 경우, 영상 부호화기에서 제공된 예측 단위의 인트라 예측 모드 정보를 기초로 인트라 예측을 수행할 수 있다. 인트라 예측부(235)에는 AIS(Adaptive Intra Smoothing) 필터, 참조 화소 보간부, DC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AIS 필터는 현재 블록의 참조 화소에 필터링을 수행하는 부분으로써 현재 예측 단위의 예측 모드에 따라 필터의 적용 여부를 결정하여 적용할 수 있다. 영상 부호화기에서 제공된 예측 단위의 예측 모드 및 AIS 필터 정보를 이용하여 현재 블록의 참조 화소에 AIS 필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 현재 블록의 예측 모드가 AIS 필터링을 수행하지 않는 모드일 경우, AIS 필터는 적용되지 않을 수 있다.
참조 화소 보간부는 예측 단위의 예측 모드가 참조 화소를 보간한 화소값을 기초로 인트라 예측을 수행하는 예측 단위일 경우, 참조 화소를 보간하여 정수값 이하의 화소 단위의 참조 화소를 생성할 수 있다. 현재 예측 단위의 예측 모드가 참조 화소를 보간하지 않고 예측 블록을 생성하는 예측 모드일 경우 참조 화소는 보간되지 않을 수 있다. DC 필터는 현재 블록의 예측 모드가 DC 모드일 경우 필터링을 통해서 예측 블록을 생성할 수 있다.
복원된 블록 또는 픽쳐는 필터부(240)로 제공될 수 있다. 필터부(240)는 디블록킹 필터, 오프셋 보정부, ALF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 부호화기로부터 해당 블록 또는 픽쳐에 디블록킹 필터를 적용하였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 및 디블록킹 필터를 적용하였을 경우, 강한 필터를 적용하였는지 또는 약한 필터를 적용하였는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영상 복호화기의 디블록킹 필터에서는 영상 부호화기에서 제공된 디블록킹 필터 관련 정보를 제공받고 영상 복호화기에서 해당 블록에 대한 디블록킹 필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
오프셋 보정부는 부호화시 영상에 적용된 오프셋 보정의 종류 및 오프셋 값 정보 등을 기초로 복원된 영상에 오프셋 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
ALF는 부호화기로부터 제공된 ALF 적용 여부 정보, ALF 계수 정보 등을 기초로 부호화 단위에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ALF 정보는 특정한 파라메터 셋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메모리(245)는 복원된 픽쳐 또는 블록을 저장하여 참조 픽쳐 또는 참조 블록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고 또한 복원된 픽쳐를 출력부로 제공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코딩 유닛(Coding Unit)을 부호화 단위라는 용어로 사용하지만, 부호화뿐만 아니라 복호화를 수행하는 단위가 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일실시예로서, 현재 픽쳐 레퍼런스 모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복호화 대상 블록(이하, 현재 블록이라 함)은 복호화 대상 블록 이전에 복원된 블록(이하, 참조 블록이라 함)을 참조하여 예측 또는 복원될 수 있으며, 현재 블록과 참조 블록은 동일 픽쳐에 속하는 것일 수 있다. 이와 같이, 현재 블록이 동일 픽쳐 내의 기-복원된 블록을 참조하여 예측 또는 복원하는 방법을 현재 픽쳐 레퍼런스 모드라 부르기로 한다.
현재 픽쳐 레퍼런스 모드는 동일 픽쳐 내의 기-복원된 샘플값을 이용한다는 점에서 인트라 모드(intra mode)와 유사하나, 현재 픽쳐 레퍼런스 모드는 현재 블록과 참조 블록 간의 위치 차이를 나타내는 벡터(이하, 블록 벡터라 함)를 이용한다는 점에서 인트라 모드와 상이하다. 또한, 현재 픽쳐 레퍼런스 모드는 참조 블록을 특정하기 위해 블록 벡터를 이용한다는 점에서 인터 모드(inter mode)와 유사하나, 현재 픽쳐 레퍼런스 모드는 현재 블록과 동일한 픽쳐에 속하는 참조 블록을 이용하는 것이고, 인터 모드는 현재 블록과 다른 픽쳐에 속하는 참조 블록을 이용하는 것이라는 점에서 양자는 상이하다. 영상 내에 한글 또는 알파벳 등과 같은 문자가 많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이전 블록에서 현재 블록에서 부호화하려는 문자를 포함하고 있으면, 현재 픽쳐 레퍼런스 모드를 사용하여 부호화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영상 복호화 장치는 현재 블록이이 현재 픽쳐 레퍼런스 모드로 부호화된 블록인지를 판단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현재 블록이 현재 픽쳐 레퍼런스 모드로 부호화된 블록임을 나타내는 모드 정보(예를 들어, 인덱스, 플래그)가 시그날링될 수도 있다. 또는, 현재 블록의 참조 픽쳐 인덱스를 확인하여 현재 픽쳐 레퍼런스 모드로 부호화된 블록인지를 결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현재 블록의 참조 픽쳐 인덱스가 현재 블록이 포함된 픽쳐를 특정하는 경우, 현재 블록은 현재 픽쳐 레퍼런스 모드에 기반하여 예측/복원될 수 있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스킵(Skip) 방법, 머지(Merge) 방법 또는 AMVP(Advanced Motion Vector Prediction) 방법 등을 이용하여 예측/복원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현재 픽쳐 레퍼런스 모드에서 현재 블록은 인접한 이웃 블록(예를 들어, 좌측, 상단, 좌-상단 이웃 블록)을 참조 블록으로 이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좌측, 상단 또는 좌-상단 방향으로 일정 거리만큼 떨어진 위치의 블록을 참조 블록으로 이용할 수도 있다. 복호화 대상 블록의 위치를 기준으로 참조 블록의 위치를 특정하기 위해서 x성분과 y성분 중 적어도 하나로 구성되는 벡터를 이용할 수 있으며, 여기서의 벡터를 이하 블록 벡터(block vector)라 부르기로 한다. 블록 벡터는 현재 블록과 현재 픽쳐 레퍼런스 모드에서 이용되는 참조 블록 간의 위치 차이를 나타낼 수 있다.
블록 벡터는 예측 부호화를 통해 예측 블록 벡터(predicted block vector)를 생성하고, 블록 벡터(original block vector)와 예측 블록 벡터 간의 차분 블록 벡터(differential block vector)만을 부호화할 수도 있다. 여기서, 예측 블록 벡터는 현재 블록에 인접한 이웃 블록의 블록 벡터(또는, 모션 벡터)로부터 유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이웃 블록의 블록 벡터(또는, 모션 벡터)를 포함한 블록 벡터 후보자를 구성하고, 현재 블록의 블록 벡터를 특정하는 인덱스를 기반으로 블록 벡터 후보자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한편, 예측 블록 벡터는 현재 블록에 인접한 이웃 블록으로부터 유도되는 것으로 한정되지 아니하며, 현재 블록이 포함된 최대 코딩 유닛(largest coding unit) 내의 블록 벡터로부터 유도될 수도 있고, 현재 블록이 포함된 최대 코딩 유닛 열(largest coding unit row) 내의 블록 벡터로부터 유도될 수도 있다.
또는, 블록 벡터는 상술한 예측 부호화 과정을 수반하지 않고 블록 벡터를 부호화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영상 부호화 장치는 동일 픽쳐 내에서 부호화 대상 블록과 가장 유사한 블록을 탐색하여 이를 참조 블록으로 결정하고, 부호화 대상 블록과 참조 블록 간의 위치 차이에 대응하는 블록 벡터를 산출할 수 있다. 그런 다음 영상 부호화 장치는 산출된 블록 벡터를 절대값 성분과 부호 성분으로 분리하고, 이를 각각 부호화하여 영상 복호화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영상 복호화 장치는 부호화된 절대값 성분과 부호 성분을 복호화하여 블록 벡터를 복원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일실시예로서, 현재 픽쳐 레퍼런스 모드(current picture reference mode)에 기초하여 현재 블록을 복원하는 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현재 픽쳐 레퍼런스 플래그에 기초하여 현재 픽쳐에 관한 참조 픽쳐 리스트(reference picture list)를 생성할 수 있다(S400).
현재 픽쳐 레퍼런스 플래그는 비디오 시퀀스 또는 픽쳐에 속하는 적어도 하나의 블록(예를 들어, 코딩 블록, 예측 블록)이 현재 픽쳐 레퍼런스 모드를 사용하는지 여부를 나타낼 수 있다. 현재 픽쳐 레퍼런스 플래그는 비디오 시퀀스 및/또는 픽쳐 단위로 시그날링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 픽쳐 레퍼런스 플래그의 값이 1인 경우, 현재 비디오 시퀀스 및/또는 현재 픽쳐에 속하는 적어도 하나의 블록이 현재 픽쳐 레퍼런스 모드를 사용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현재 픽쳐에 관한 참조 픽쳐 리스트는 현재 픽쳐와 다른 시간적 순서(temporal order)를 가진 픽쳐로서, 현재 픽쳐 이전에 복원 완료된 픽쳐(이하, 시간적 참조 픽쳐라 함)를 포함할 수 있다. 시간적 참조 픽쳐로 구성된 참조 픽쳐 리스트를 생성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살펴 보기로 한다. 여기서, 시간적 참조 픽쳐는 인-루프 필터(in-loop filter)가 적용된 픽쳐를 의미할 수 있다. 인-루프 필터는 상술한 디블록킹 필터, 샘플 적응적 오프셋 필터(sample adaptive offset filter), 적응적 루프 필터(adaptive loop filter) 중 적어도 하나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현재 픽쳐가 현재 픽쳐 레퍼런스 모드를 사용하는 경우(즉, 현재 픽쳐 레퍼런스 플래그의 값이 1인 경우), 현재 픽쳐에 관한 참조 픽쳐 리스트에는 현재 픽쳐가 추가될 수 있다. 현재 픽쳐는 소정의 우선 순위에 기초하여 참조 픽쳐 리스트에 추가될 수 있다. 참조 픽쳐 리스트에서 현재 픽쳐가 추가되는 위치에 따라 근거리 참조 픽쳐로 이용된다는 표시(used for short-term reference) 또는 장거리 참조 픽쳐로 이용된다는 표시(used for long-term reference)가 현재 픽쳐에 마킹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 픽쳐가 근거리 참조 픽쳐들 사이에 위치하는 경우, 현재 픽쳐에 근거리 참조 픽쳐로 이용된다는 표시가 마킹될 수 있다. 또는, 현재 픽쳐가 장거리 참조 픽쳐 다음에 위치하는 경우, 현재 픽쳐에 장거리 참조 픽쳐로 이용된다는 표시가 마킹될 수 있다. 이 경우, 현재 픽쳐는 참조 픽쳐 리스트에 포함된 다른 픽쳐와 달리 인-루프 필터가 적용되지 않은 것일 수 있다. 또는, 현재 픽쳐 내의 기-복원된 일부 영역에 대해서 선택적으로 인-루프 필터가 적용된 이후에 참조 픽쳐 리스트에 추가될 수도 있다. 상기 현재 픽쳐를 참조 픽쳐로 포함하는 참조 픽쳐 리스트 생성 방법에 대해서는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살펴 보기로 한다.
본 발명의 영상 부호화 장치는 현재 픽쳐에 속한 블록들이 인트라 모드와 현재 픽쳐 레퍼런스 모드로 부호화되는 경우, 현재 픽쳐의 슬라이스 타입(slice type)을 P 슬라이스 또는 B 슬라이스로 부호화하며, I 슬라이스로 부호화하지 않는다. 따라서, 현재 픽쳐가 현재 픽쳐 레퍼런스 모드를 사용하는 경우, 현재 픽쳐의 슬라이스 타입은 P 슬라이스 또는 B 슬라이스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현재 픽쳐의 슬라이스 타입이 I 슬라이스인 경우, 영상 복호화 장치는 현재 픽쳐가 현재 픽쳐 레퍼런스 모드를 사용하는 것을 허용하지 않는다.
도 4를 참조하면, 현재 픽쳐 내의 현재 블록에 관한 모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410).
본 발명의 모션 정보는 모션 벡터, 블록 벡터 또는 참조 픽쳐 인덱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모션 벡터는 현재 픽쳐 내의 현재 블록과 현재 픽쳐와 다른 시간대에 위치한 픽쳐 내의 참조 블록 간의 위치 차이를 나타내는 것이고, 블록 벡터는 현재 픽쳐 내의 현재 블록과 현재 픽쳐 내의 참조 블록 간의 위치 차이를 나타내는 것이라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차이를 구별하기 위해 블록 벡터라는 용어를 사용하는 것에 불과하고, 블록 벡터는 모션 벡터에 포함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현재 블록의 모션 벡터 및/또는 참조 픽쳐 인덱스는 스킵 모드(skip mode), 머지 모드(merge mode) 또는 AMVP(advanced motion vector prediction) 모드 등을 이용하여 획득될 수 있다.
한편, 현재 블록의 블록 벡터는 예측 블록 벡터와 차분 블록 벡터를 이용하여 획득될 수 있다. 여기서, 예측 블록 벡터는 현재 블록에 공간적/시간적으로 인접한 이웃 블록의 모션 벡터(또는, 블록 벡터)를 이용하여 유도될 수 있다. 현재 블록의 이웃 블록은 현재 블록 이전에 복원된 영역 중 소정의 범위 내에 속하는 블록만이 제한적으로 이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이웃 블록은 현재 블록이 포함된 최대 코딩 유닛(largest coding unit) 내에 속하는 것으로 제한될 수도 있고, 현재 블록이 포함된 최대 코딩 유닛 열(largest coding unit row)에 속하는 것으로 제한될 수도 있다. 또한, 복수의 이웃 블록들이 존재하는 경우, 디코딩 순서상 현재 블록에 가장 가까운 블록이 이용될 수도 있다.
현재 블록의 블록 벡터는 상술한 방법 외에 모션 벡터와 마찬가지로 스킵 모드(skip mode), 머지 모드(merge mode) 또는 AMVP(advanced motion vector prediction) 모드 등을 이용하여 획득될 수도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현재 픽쳐에 관한 참조 픽쳐 리스트와 현재 블록의 모션 정보를 이용하여 현재 블록을 예측/복원할 수 있다(S420).
구체적으로, 현재 블록의 참조 픽쳐 인덱스에 기반하여, 참조 픽쳐 리스트로부터 현재 블록의 참조 픽쳐를 선택할 수 있다. 현재 블록의 모션 벡터(또는, 블록 벡터)를 이용하여 참조 픽쳐 내의 참조 블록을 특정할 수 있다. 특정된 참조 블록의 복원된 샘플을 이용하여 현재 블록을 예측/복원할 수 있다.
만일, 현재 블록의 참조 픽쳐 인덱스에 기초하여 선택된 참조 픽쳐가 현재 픽쳐인 경우, 현재 블록은 상술한 현재 픽쳐 레퍼런스 모드를 사용함을 알 수 있다. 즉, 현재 블록은 S410 단계에서 유도된 모션 벡터(또는, 블록 벡터)에 기반하여 현재 픽쳐 내의 기-복원된 영역 중에서 참조 블록을 결정하고, 참조 블록의 복원된 샘플을 현재 블록의 예측된 샘플 또는 복원된 샘플로 설정할 수 있다.
현재 픽쳐 레퍼런스 예측 모드가 사용되는 경우, 현재 픽쳐에 속한 블록은 참조 픽쳐 리스트0(list0) 및 참조 픽쳐 리스트1(list1)을 사용하는 양방향 예측(PRED_BI), list0을 사용하는 단방향 예측(PRED_L0) 또는 list1을 사용하는 단방향 예측(PRED_L1)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PRED_BI, PRED_L0 또는 PRED_L1를 나타내는 신택스 inter_pred_idc가 블록 단위로 시그날링될 수 있다. 또는, 현재 픽쳐 레퍼런스 예측 모드가 사용되는 경우, 신택스 inter_pred_idc 값은 PRED_L0 또는 PRED_L1 중 어느 하나의 값을 가지도록 제한될 수도 있다. 또는, 현재 블록이 소정의 형태 및/또는 크기를 가지는 경우에 한하여 양방향 예측(PRED_BI)을 수행하지 않도록 제한될 수도 있다. 여기서, 소정의 형태는 현재 블록의 파티션 모드가 정사각형인 경우 또는 대칭형 파티션을 의미할 수 있고, 소정의 크기는 영상 복호화 장치에 기-정의된 블록 크기 중 어느 하나로서, 현재 픽쳐 레퍼런스 모드 기반의 양방향 예측이 허용되는 블록 크기를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의 블록 크기는 4x4, 8x8, 8x4, 4x8, 16x16 등 중에서 적어도 하나가 영상 복호화 장치에 고정적으로 설정될 수도 있다.
현재 픽쳐 레퍼런스 모드를 사용하는 경우, 현재 픽쳐에 속한 블록은 1)현재 픽쳐 내의 참조 블록을 이용한 인터 예측과 2)현재 픽쳐와 다른 시간적 순서를 가진 참조 픽쳐 내 참조 블록을 이용한 인터 예측을 포함한 양방향 예측을 수행할 수도 있다. 여기서, 현재 픽쳐에 속한 블록은 현재 픽쳐 레퍼런스 모드로 부호화된 블록일 수도 있고, 인트라/인터 모드로 부호화된 블록일 수도 있다. 상기 참조 픽쳐 내의 참조 블록은 인트라/인터 모드로 부호화된 블록일 수 있다. 예를 들어, List0에 관한 참조 블록이 현재 픽쳐 레퍼런스 모드로 부호화된 블록이고 List1에 관한 참조 블록이 인터/인트라 모드로 부호화된 블록인 경우에도 양방향 예측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List0에 관한 참조 블록이 인터/인트라 모드로 부호화된 블록이고 List1에 관한 참조 블록이 현재 픽쳐 레퍼런스 모드로 부호화된 블록인 경우에도 양방향 예측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현재 픽쳐에 속하는 블록들에 대해서 현재 픽쳐 레퍼런스 모드를 선택적으로 이용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블록 별로 현재 픽쳐 레퍼런스 모드가 사용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블록이라 함은 소정의 크기를 가진 최대 코딩 블록 내지 최소 코딩 블록 범위 내에 속하는 코딩 블록을 의미할 수 있다. 또는, 코딩 블록의 파티션 모드에 따라 결정되는 예측 블록을 의미할 수도 있고, 변환을 수행하는 기본 단위인 변환 블록을 의미할 수도 있다.
현재 픽쳐 레퍼런스 모드가 사용되는지 여부는 현재 블록의 참조 픽쳐 인덱스, 슬라이스 타입 또는 현재 블록의 파티션 모드(partition mode)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판단될 수 있으며, 이하 상세히 살펴 보도록 한다.
1. 실시예1: 참조 픽쳐 인덱스를 이용하는 방법
현재 블록이 현재 픽쳐 레퍼런스 모드를 사용하는지 여부는 현재 블록의 참조 픽쳐 인덱스에 기초하여 판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현재 블록의 참조 픽쳐 인덱스에 기초하여 참조 픽쳐 리스트로부터 선택된 픽쳐가 현재 블록을 포함한 현재 픽쳐인 경우, 현재 블록이 현재 픽쳐 레퍼런스 모드를 사용하는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또는, 현재 픽쳐에 관한 현재 픽쳐 레퍼런스 플래그의 값이 1인 경우, 현재 픽쳐는 참조 픽쳐 리스트에 추가될 수 있으며, 도 5를 참조하여 후술하겠지만 현재 픽쳐는 참조 픽쳐 리스트 내에서 가장 마지막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현재 블록의 참조 픽쳐 인덱스의 값이 참조 픽쳐 리스트에 속하는 참조 픽쳐의 총 개수에서 1을 뺀 값 또는 참조 픽쳐 리스트에 할당된 인덱스 중 최대값과 동일한 경우, 현재 블록이 현재 픽쳐 레퍼런스 모드를 사용하는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또는, 현재 픽쳐의 출력 순서 정보(picture order count)와 현재 블륵의 참조 픽쳐 인덱스에 의해 선택된 참조 픽쳐의 출력 순서 정보(picture order count)를 비교하여 현재 픽쳐 레퍼런스 모드의 사용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현재 블록이 참조 픽쳐 리스트0(list0)를 사용하는 단방향 예측(PRED_L0)을 하는 경우, 다음 수학식 1과 같이 유추할 수 있고, 현재 블록의 참조 픽쳐 리스트1(list1)을 사용하는 단방향 예측(PRED_L1)을 하는 경우에는 다음 수학식 2와 같이 유추할 수 있다.
Figure 112020124741858-pat00001
Figure 112020124741858-pat00002
수학식 1 및 2에서, 변수 curr_pic_as_ref_pu 값이 1이면, 현재 블록이 현재 픽쳐 레퍼런스 모드를 사용함을 나타내고, 그 값이 0이면, 현재 블록이 현재 픽쳐 레퍼런스 모드를 사용하지 않음을 나타낸다. 또한, DiffPicOrderCnt는 참조 픽쳐 인덱스에 의해 선택된 참조 픽쳐(예를 들어, RefPicList0[ref_idx_l0])와 현재 픽쳐(currPic) 간의 출력 순서 정보가 같으면 0을 출력하고, 출력 순서 정보가 서로 다르면 1을 출력하는 함수를 나타내고, RefPicList0과 RefPicList1은 각각 참조 픽쳐 리스트0와 참조 픽쳐 리스트1을 나타낸다.
2. 실시예2: 슬라이스 타입을 이용하는 방법
슬라이스 타입에 따라 현재 픽쳐 레퍼런스 모드를 적응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P 슬라이스에서만 현재 픽쳐 레퍼런스 모드가 사용되도록 제한할 수 있으며, 이 경우 현재 픽쳐 레퍼런스 모드를 사용하는지 여부는 다음 수학식 3과 같이 유추될 수 있다.
Figure 112020124741858-pat00003
현재 픽쳐가 P 슬라이스이고, 현재 픽쳐 레퍼런스 플래그의 값이 1인 경우, 현재 픽쳐는 참조 픽쳐 리스트0에 현재 픽쳐를 추가되고, 참조 픽쳐 리스트1에 추가되지 않을 수 있다.
3. 실시예3: 파티션 모드를 이용하는 방법
현재 픽쳐 레퍼런스 모드는 코딩 블록의 파티션 모드에 따라 선택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파티션 모드가 대칭 파티션(symmetric partition)인 경우에 현재 픽쳐 레퍼런스 모드가 허용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현재 픽쳐 레퍼런스 모드가 사용되는 코딩 블록의 파티션 모드의 값은 PART_2Nx2N, PART_Nx2N, PART_2NxN, PART_NxN 중 어느 하나의 값을 가지도록 설정될 수 있다. 반대로, 현재 픽쳐 레퍼런스 모드가 사용되는 코딩 블록에서는 비대칭 파티션(asymmetric partition) 형태인 PART_2NxnU, PART_2NxnD, PART_nLx2N, PART_nRx2N 인 파티션 모드를 갖지 않는다.
도 5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일실시예로서, 디코딩 픽쳐 버퍼에 저장되는 근거리 참조 픽쳐를 특정하는 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시간적 참조 픽쳐는 디코딩 픽쳐 버퍼(DPB)에 저장될 수 있고, 현재 픽쳐의 인터 예측을 위해 필요한 경우에 참조 픽쳐로 이용될 수 있다. 디코딩 픽쳐 버퍼에 저장된 시간적 참조 픽쳐는 근거리 참조 픽쳐(short-term reference picture)를 포함할 수 있다. 근거리 참조 픽쳐는 현재 픽쳐와의 출력 순서 정보(POC)의 차이가 크지 않은 픽쳐를 의미한다.
현재 시점에서 디코딩 픽쳐 버퍼에 저장해야 하는 근거리 참조 픽쳐를 특정하는 정보는 참조 픽쳐의 출력 순서 정보(POC)와 현재 픽쳐에서 직접 참조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예를 들어, used_by_curr_pic_s0_flag, used_by_curr_pic_s1_flag)로 구성되어 있고, 이를 참조 픽쳐 세트(reference picture set)라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used_by_curr_pic_s0_flag[i]의 값이 0인 경우, 근거리 참조 픽쳐 세트 중 i번째 근거리 참조 픽쳐가 현재 픽쳐의 출력 순서(POC)보다 작은 값을 가지면, i번째 근거리 참조 픽쳐는 현재 픽쳐의 참조 픽쳐로 사용되지 아니함을 나타낸다. 그리고, 상기 used_by_curr_pic_s1_flag[i]의 값이 0인 경우, 근거리 참조 픽쳐 세트 중 i번째 근거리 참조 픽쳐가 현재 픽쳐의 출력 순서(POC)보다 큰 값을 가지면, i번째 근거리 참조 픽쳐는 현재 픽쳐의 참조 픽쳐로 사용되지 아니함을 나타낸다.
도 5를 참조하면, POC 값이 26인 픽쳐의 경우, 인터 예측 시 근거리 참조 픽쳐로 모두 3개의 픽쳐(즉, POC 값이 25, 24, 20인 픽쳐)가 이용될 수 있다. 다만, POC 값이 25인 픽쳐의 used_by_curr_pic_s0_flag 값은 0이므로, POC 값이 25인 픽쳐는 POC 값이 26인 픽쳐의 인터 예측에 직접적으로 사용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참조 픽쳐의 출력 순서 정보(POC)와 현재 픽쳐에 의해서 참조 픽쳐로 이용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에 기초하여 근거리 참조 픽쳐를 특정할 수 있다.
한편, 현재 픽쳐에 대한 참조 픽쳐 세트에 나타나 있지 않은 픽쳐에 대해서는 참조 픽쳐로 사용하지 않는다는 표시(예를 들어, unused for reference)를 마킹할 수 있고, 나아가 디코딩 픽쳐 버퍼에서 제거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일실시예로서, 장거리 참조 픽쳐(long-term reference picture)를 특정하는 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장거리 참조 픽쳐의 경우에는 현재 픽쳐와의 POC 값의 차이가 크기 때문에 POC 값의 최하위 비트(least significant bit, LSB)와 최상위 비트(most significant bit, MSB)를 이용하여 표현할 수 있다.
따라서, 장거리 참조 픽쳐의 POC 값은 참조 픽쳐의 POC 값의 LSB 값, 현재 픽쳐의 POC 값 및 현재 픽쳐의 POC 값의 MSB와 참조 픽쳐의 POC 값의 MSB 간의 차이를 이용하여 유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 픽쳐의 POC 값이 331이고, LSB로 표현 가능한 최대값이 32이며, 장거리 참조 픽쳐로 POC 값이 308인 픽쳐가 이용된다고 가정한다.
이 경우, 현재 픽쳐의 POC 값인 331은 32*10+11로 표현할 수 있으며, 이때 10이 MSB 값이 되고, 11이 LSB 값이 된다. 장거리 참조 픽쳐의 POC 값인 308은 32*9+20으로 표현되며, 이때 9는 MSB 값이 되고, 20은 LSB 값이 된다. 이때 장거리 참조 픽쳐의 POC 값은 도 6에 도시된 수식과 같이 유도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일실시예로서, 근거리 참조 픽쳐와 장거리 참조 픽쳐를 이용하여 참조 픽쳐 리스트를 구성하는 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시간적 참조 픽쳐를 포함한 참조 픽쳐 리스트는 시간적 참조 픽쳐가 근거리 참조 픽쳐인지 여부와 근거리 참조 픽쳐의 POC 값을 고려하여 생성될 수 있다. 여기서, 참조 픽쳐 리스트는 L0 예측을 위한 참조 픽쳐 리스트 0와 L1 예측을 위한 참조 픽쳐 리스트 1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참조 픽쳐 리스트 0에서는 현재 픽쳐보다 작은 POC 값을 가진 근거리 참조 픽쳐(RefPicSetCurr0), 현재 픽쳐보다 큰 POC 값을 가진 근거리 참조 픽쳐(RefPicSetCurr1), 장거리 참조 픽쳐(RefPicSetLtCurr)의 순서로 배열될 수 있다.
한편, 참조 픽쳐 리스트 1에서는 현재 픽쳐보다 큰 POC 값을 가진 근거리 참조 픽쳐(RefPicSetCurr1), 현재 픽쳐보다 작은 POC 값을 가진 근거리 참조 픽쳐(RefPicSetCurr0), 장거리 참조 픽쳐(RefPicSetLtCurr)의 순서로 배열될 수 있다.
또한, 시간적 참조 픽쳐에 할당된 참조 픽쳐 인덱스에 대한 부호화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참조 픽쳐 리스트에 포함된 복수 개의 시간적 참조 픽쳐들을 재배열할 수 있다. 이는 리스트 재배열 플래그(list_modification_present_flag)에 기초하여 적응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리스트 재배열 플래그는 참조 픽쳐 리스트 내의 참조 픽쳐들이 재배열되는지 여부를 특정하는 정보이다. 상기 리스트 재배열 플래그는 참조 픽쳐 리스트 0와 참조 픽쳐 리스트 1에 대해서 각각 시그날링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리스트 재배열 플래그(list_modification_present_flag)의 값이 0인 경우, 참조 픽쳐 리스트 내의 참조 픽쳐들은 재배열되지 아니하며, 리스트 재배열 플래그(list_modification_present_flag)의 값이 1인 경우에 한하여 참조 픽쳐 리스트 내의 참조 픽쳐들은 재배열될 수 있다.
만일, 리스트 재배열 플래그(list_modification_present_flag)의 값이 1인 경우에는 리스트 엔트리 정보(list_entry[i])를 이용하여 참조 픽쳐 리스트 내의 참조 픽쳐들을 재배열할 수 있다. 여기서, 리스트 엔트리 정보(list_entry[i])는 참조 픽쳐 리스트에서 현재 포지션(즉, i번째 엔트리)에 위치하게 되는 참조 픽쳐 및/또는 참조 픽쳐 인덱스를 특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생성된 참조 픽쳐 리스트에서 상기 리스트 엔트리 정보(list_entry[i])에 대응하는 참조 픽쳐를 특정하고, 특정된 참조 픽쳐를 참조 픽쳐 리스트에서 i번째 엔트리에 재배열할 수 있다.
상기 리스트 엔트리 정보는 참조 픽쳐 리스트에 포함된 참조 픽쳐의 개수만큼 또는 참조 픽쳐 리스트의 참조 인덱스 최대값만큼 획득될 수 있다. 또한, 리스트 엔트리 정보는 현재 픽쳐의 슬라이스 타입을 고려하여 획득될 수 있다. 즉, 현재 픽쳐의 슬라이스 타입이 P 슬라이스인 경우에는 참조 픽쳐 리스트 0에 대한 리스트 엔트리 정보(list_entry_l0[i])를 획득하고, 현재 픽쳐의 슬라이스 타입이 B 슬라이스인 경우에는 참조 픽쳐 리스트 1에 대한 리스트 엔트리 정보(list_entry_l1[i])를 추가적으로 획득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일실시예로서, 현재 픽쳐 레퍼런스 모드를 위한 참조 픽쳐 리스트를 구성하는 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참조 픽쳐 리스트 0는 현재 픽쳐의 POC 값보다 POC 값이 작은 근거리 참조 픽쳐(이하, 제1 근거리 참조 픽쳐라 함), 현재 픽쳐의 POC 값보다 POC 값이 큰 근거리 참조 픽쳐(이하, 제2 근거리 참조 픽쳐라 함), 장거리 참조 픽쳐의 순서로 구성될 수 있다. 참조 픽쳐 리스트 1은 제2 근거리 참조 픽쳐, 제1 근거리 참조 픽쳐, 장거리 참조 픽쳐의 순서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현재 픽쳐는 참조 픽쳐 리스트 0과 참조 픽쳐 리스트 1에서 장거리 참조 픽쳐 다음에 배열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배열된 참조 픽쳐 각각에는 인덱스가 할당되며, 상기 현재 픽쳐에는 가장 큰 값의 인덱스가 할당될 수 있다. 여기서, 가장 큰 값의 인덱스는 참조 픽쳐 리스트에 포함되는 참조 픽쳐들의 총 개수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유도될 수 있다. 상기 총 개수에 관한 정보는 영상 부호화 장치에서 부호화되어 영상 복호화 장치로 시그날링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 부호화 장치는 참조 픽쳐 리스트에 포함되는 참조 픽쳐들의 총 개수에서 1을 뺀 값을 총 개수에 관한 정보로 부호화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영상 복호화 장치는 총 개수에 관한 정보의 값을 현재 픽쳐의 인덱스로 할당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재 픽쳐를 장거리 참조 픽쳐 이전에 추가함으로써, 참조 픽쳐 리스트의 부호화 성능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현재 픽쳐는 참조 픽쳐 리스트 내의 근거리 참조 픽쳐들 사이에 배열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참조 픽쳐 리스트 0는 제1 근거리 참조 픽쳐, 현재 픽쳐, 제2 근거리 참조 픽쳐, 장거리 참조 픽쳐의 순서로 구성될 수 있다. 참조 픽쳐 리스트 1은 제2 근거리 참조 픽쳐, 현재 픽쳐, 제1 근거리 참조 픽쳐, 장거리 참조 픽쳐의 순서로 구성될 수 있다.
또는, 현재 픽쳐는 참조 픽쳐 리스트 내의 근거리 참조 픽쳐와 장거리 참조 픽쳐 사이에 배열될 수도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참조 픽쳐 리스트 0는 제1 근거리 참조 픽쳐, 제2 근거리 참조 픽쳐, 현재 픽쳐, 장거리 참조 픽쳐의 순서로 구성될 수 있다. 참조 픽쳐 리스트 1은 제2 근거리 참조 픽쳐, 제1 근거리 참조 픽쳐, 현재 픽쳐, 장거리 참조 픽쳐의 순서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도 8 내지 도 10에서는 참조 픽쳐 리스트를 구성하는 일례로 현재 픽쳐보다 POC 값이 작은 근거리 참조 픽쳐, 현재 픽쳐보다 POC 값이 큰 근거리 참조 픽쳐, 장거리 참조 픽쳐가 각각 1개인 경우를 도시하고 있으나, 이는 참조 픽쳐들이 배열되는 순서를 도시한 것에 불과하며, 복수 개의 근거리 참조 픽쳐들(즉, 근거리 참조 픽쳐 세트), 장거리 참조 픽쳐들(즉, 장거리 참조 픽쳐 세트)가 이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Claims (8)

  1. 부호화된 영상 신호를 디코딩하는 방법에 있어서,
    모드 정보에 기초하여 현재 블록이 제3 예측 모드로 복호화 되는 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여기서 상기 제3 예측 모드는 인트라 예측 모드인 제1 예측모드 또는 인터 예측 모드인 제2 예측 모드와는 상이한 예측 모드를 의미하며, 상기 제3 예측 모드는 현재 픽처에 속하는 현재 블록이 동일한 현재 픽처 내의 미리 복원된 블록을 참조하여 예측됨을 나타냄;
    상기 현재 블록이 상기 제3 예측 모드로 복호화 하는 경우, 상기 제3 예측 모드의 블록 벡터 후보에 기초하여 예측 블록 벡터를 유도하는 단계, 여기서 상기 블록 벡터 후보 중 하나를 인덱스 정보를 활용하여 상기 예측 블록 벡터로 선택하되, 상기 인덱스 정보는 상기 부호화된 영상 신호로부터 획득됨;
    상기 예측 블록 벡터로부터 상기 현재 블록의 블록 벡터를 유도하는 단계: 및
    상기 유도된 블록 벡터에 기초하여 상기 현재 블록을 복원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현재 블록의 블록 벡터를 유도하는 단계는, 상기 부호화된 영상 신호로부터 차분 블록 벡터를 획득하여, 상기 예측 블록 벡터와 상기 차분 블록 벡터를 가산하여 상기 현재 블록의 블록 벡터를 유도하는, 영상 신호 디코딩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 벡터 후보는 상기 현재 블록에 인접한 적어도 하나의 주변 블록의 블록 벡터(block vector)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신호 디코딩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 벡터 후보는 상기 현재 블록을 포함하는 가장 큰 코딩 유닛(largest coding unit)의 블록 벡터를 포함하는, 영상 신호 디코딩 방법.
  4. 삭제
  5. 영상 신호를 인코딩하는 방법에 있어서,
    현재 블록이 제3 예측 모드로 부호화되는 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여기서 상기 제3 예측 모드는 인트라 예측 모드인 제1 예측모드 또는 인터 예측 모드인 제2 예측 모드와는 상이한 예측 모드를 의미하며, 상기 제3 예측 모드는 현재 픽처에 속하는 현재 블록이 동일한 현재 픽처 내의 미리 복원된 블록을 참조하여 예측됨을 나타냄;
    현재 블록이 제3 예측 모드로 부호화 되는 경우, 블록 벡터 후보에 기초하여 상기 현재 블록의 예측 블록 벡터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블록 벡터 후보 중 어느 하나를 지정하는 인덱스 정보 및 상기 예측 블록 벡터에 기초하여 차분 블록 벡터를 부호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현재 블록의 블록 벡터는, 상기 예측 블록 벡터와 상기 차분 블록 벡터를 가산하여 유도되는, 영상 신호 인코딩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 벡터 후보는 상기 현재 블록에 인접한 적어도 하나의 주변 블록의 블록 벡터(block vector)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신호 인코딩 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 벡터 후보는 상기 현재 블록을 포함하는 가장 큰 코딩 유닛(largest coding unit)의 블록 벡터를 포함하는, 영상 신호 인코딩 방법.
  8. 부호화된 영상 신호를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에 있어서, 상기 기록매체는,
    현재 블록이 제3 예측 모드로 부호화되는 지 여부를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제3 예측 모드는 인트라 예측 모드인 제1 예측모드 또는 인터 예측 모드인 제2 예측 모드와는 상이한 예측 모드를 의미하며, 상기 제3 예측 모드는 현재 픽처에 속하는 현재 블록이 동일한 현재 픽처 내의 미리 복원된 블록을 참조하여 예측됨을 나타냄; 및
    현재 블록이 제3 예측 모드로 부호화 되고 블록 벡터 후보에 기초하여 상기 현재 블록의 예측 블록 벡터를 결정하게 되는 경우, 상기 블록 벡터 후보 중 어느 하나를 지정하는 인덱스 정보 및 상기 예측 블록 벡터에 기초하여 차분 블록 벡터를 포함하되,
    상기 현재 블록의 블록 벡터는, 상기 예측 블록 벡터와 상기 차분 블록 벡터를 가산하여 유도되는, 기록매체.
KR1020200156277A 2014-11-27 2020-11-20 비디오 신호 처리 방법 및 장치 KR1025538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7042 2014-11-27
KR20140167042 2014-11-27
KR1020150164465A KR102551609B1 (ko) 2014-11-27 2015-11-24 비디오 신호 처리 방법 및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4465A Division KR102551609B1 (ko) 2014-11-27 2015-11-24 비디오 신호 처리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2828A KR20200132828A (ko) 2020-11-25
KR102553843B1 true KR102553843B1 (ko) 2023-07-10

Family

ID=5607468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4465A KR102551609B1 (ko) 2014-11-27 2015-11-24 비디오 신호 처리 방법 및 장치
KR1020200156277A KR102553843B1 (ko) 2014-11-27 2020-11-20 비디오 신호 처리 방법 및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4465A KR102551609B1 (ko) 2014-11-27 2015-11-24 비디오 신호 처리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3) US10368084B2 (ko)
KR (2) KR102551609B1 (ko)
CN (4) CN112584139A (ko)
WO (1) WO201608522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768011B (zh) * 2015-03-31 2018-03-06 浙江大学 图像编解码方法和相关装置
CN115134607A (zh) 2015-06-11 2022-09-30 杜比实验室特许公司 使用自适应去块滤波编码和解码图像的方法及其装置
KR102383107B1 (ko) * 2016-07-05 2022-04-06 주식회사 케이티 비디오 신호 처리 방법 및 장치
US10742971B2 (en) 2016-10-05 2020-08-11 Lg Electronics Inc. Inter prediction method and device that performs prediction by applying weights to motion information of a current block
US20210243475A1 (en) * 2016-12-28 2021-08-05 Sony Corporatio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WO2018128228A1 (ko) * 2017-01-03 2018-07-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 코딩 시스템에서 영상 디코딩 방법 및 장치
CN116233416A (zh) * 2017-01-16 2023-06-06 世宗大学校产学协力团 影像编码/解码方法
TWI749394B (zh) 2018-11-07 2021-12-11 聯發科技股份有限公司 利用當前畫面參照編碼方式的視訊區塊編碼或解碼方法和裝置
KR20210094082A (ko) * 2018-12-29 2021-07-28 에스지 디제이아이 테크놀러지 코., 엘티디 비디오 처리 방법 및 기기
KR20210119981A (ko) * 2019-02-01 2021-10-06 베이징 바이트댄스 네트워크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조합된 인트라-인터 예측의 확장된 적용
CN113545046A (zh) 2019-03-21 2021-10-22 北京字节跳动网络技术有限公司 组合帧间帧内预测的信令

Family Cites Families (5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1768B1 (ko) * 2004-04-14 2006-10-09 삼성전자주식회사 비디오 코딩에서 프레임간 예측방법 및 비디오 인코더와,비디오 디코딩방법 및 비디오 디코더
US7468745B2 (en) * 2004-12-17 2008-12-23 Mitsubishi Electric Research Laboratories, Inc. Multiview video decomposition and encoding
US8854486B2 (en) * 2004-12-17 2014-10-07 Mitsubishi Electric Research Laboratories, Inc. Method and system for processing multiview videos for view synthesis using skip and direct modes
US20100091845A1 (en) 2006-03-30 2010-04-15 Byeong Moon Jeon Method and apparatus for decoding/encoding a video signal
EP3139615A1 (en) 2006-03-30 2017-03-08 LG Electronics Inc. A method and apparatus for decoding/encoding a video signal
WO2007148906A1 (en) 2006-06-19 2007-12-27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a vedeo signal
WO2008023968A1 (en) 2006-08-25 2008-02-28 Lg Electronics Inc A method and apparatus for decoding/encoding a video signal
KR101228020B1 (ko) * 2007-12-05 2013-01-30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이드 매칭을 이용한 영상의 부호화 방법 및 장치, 그복호화 방법 및 장치
US8953685B2 (en) * 2007-12-10 2015-02-10 Qualcomm Incorporated Resource-adaptive video interpolation or extrapolation with motion level analysis
CN101534112A (zh) 2008-03-14 2009-09-16 富士迈半导体精密工业(上海)有限公司 开关装置
KR101432775B1 (ko) * 2008-09-08 2014-08-22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서브블록 내 임의 화소를 이용한 영상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
US8385404B2 (en) 2008-09-11 2013-02-26 Google Inc. System and method for video encoding using constructed reference frame
CN101686393B (zh) * 2008-09-28 2012-10-17 华为技术有限公司 应用于模板匹配的快速运动搜索方法及装置
CN101534442B (zh) * 2009-04-13 2011-01-12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视频编码系统及方法
WO2010123198A2 (ko) * 2009-04-21 2010-10-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시점 비디오 신호 처리 방법 및 장치
KR101671460B1 (ko) * 2009-09-10 2016-11-02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움직임 벡터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와 그를 이용한 영상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
KR101479123B1 (ko) * 2009-09-25 2015-01-09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인접 화소를 이용한 인터 예측 방법 및 장치와 그를 이용한 영상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
WO2011099792A2 (ko) * 2010-02-10 2011-08-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비디오 신호의 처리 방법 및 장치
JP5393573B2 (ja) * 2010-04-08 2014-01-22 株式会社Nttドコモ 動画像予測符号化装置、動画像予測復号装置、動画像予測符号化方法、動画像予測復号方法、動画像予測符号化プログラム、及び動画像予測復号プログラム
KR101752418B1 (ko) 2010-04-09 2017-06-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비디오 신호 처리 방법 및 장치
KR101379188B1 (ko) * 2010-05-17 2014-04-18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인트라 블록 및 인터 블록이 혼합된 코딩블록을 이용하는 영상 부호화/복호화 장치 및 그 방법
KR101820997B1 (ko) 2011-01-12 2018-01-22 선 페이턴트 트러스트 동화상 부호화 방법 및 동화상 복호화 방법
US9008181B2 (en) * 2011-01-24 2015-04-14 Qualcomm Incorporated Single reference picture list utilization for interprediction video coding
EP2687011A1 (en) * 2011-03-14 2014-01-22 Thomson Licensing Method for reconstructing and coding an image block
HUE056367T2 (hu) * 2011-03-21 2022-02-28 Lg Electronics Inc Eljárás mozgásvektor elõrejelzõk kiválasztására
WO2012148128A2 (ko) * 2011-04-24 2012-11-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인터 예측 방법과 이를 이용한 인코딩 방법, 디코딩 방법 및 장치
KR20120140592A (ko) * 2011-06-21 2012-12-3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움직임 보상의 계산 복잡도 감소 및 부호화 효율을 증가시키는 방법 및 장치
MX2014000159A (es) * 2011-07-02 2014-02-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odo y aparato para la codificacion de video, y metodo y aparato para la decodificacion de video acompañada por inter prediccion utilizando imagen co-localizada.
CN107635140B (zh) * 2011-09-09 2020-12-08 株式会社Kt 用于解码视频信号的方法
CN107105269B (zh) 2011-09-23 2020-01-10 株式会社Kt 获得合并候选的方法
GB2554828B (en) * 2011-10-18 2018-10-24 Kt Corp Method for encoding image, method for decoding image, image encoder, and image decoder
US20130107949A1 (en) * 2011-10-26 2013-05-02 Intellectual Discovery Co., Ltd. Scalable video coding method and apparatus using intra prediction mode
MX2014005115A (es) * 2011-10-28 2014-08-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odo para inter-prediccion y dispositivo para el mismo, y metodo para compensacion de movimiento y dispositivo para el mismo.
JP6101709B2 (ja) * 2012-01-18 2017-03-22 エレクトロニクス アンド テレ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 リサーチ インスチチュート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映像復号化装置
TWI578758B (zh) 2012-01-31 2017-04-11 Vid衡器股份有限公司 視訊資料解碼的裝置及方法
KR102137149B1 (ko) 2012-03-02 2020-07-23 선 페이턴트 트러스트 화상 부호화 방법, 화상 복호 방법, 화상 부호화 장치, 화상 복호 장치 및 화상 부호화 복호 장치
US20130272409A1 (en) * 2012-04-12 2013-10-17 Qualcomm Incorporated Bandwidth reduction in video coding through applying the same reference index
EP2838263A4 (en) 2012-04-15 2015-12-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INTERPRETING METHOD BY WHICH LISTS OF REFERENCE PICTURES CAN BE MODIFIED, AND APPARATUS THEREFOR
CN104396252B (zh) * 2012-04-25 2018-05-04 三星电子株式会社 使用用于多视点视频预测的参考画面集的多视点视频编解码方法及其装置
JP2015525547A (ja) * 2012-07-02 2015-09-03 サムスン エレクトロニクス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ビデオ符号化またはビデオ復号化のための動きベクトル予測方法及びその装置
SG11201408721RA (en) 2012-07-02 2015-01-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encoding video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decoding video determining inter-prediction reference picture list depending on block size
US9332257B2 (en) * 2012-10-01 2016-05-03 Qualcomm Incorporated Coded black flag coding for 4:2:2 sample format in video coding
US9247271B2 (en) * 2012-10-08 2016-01-26 Inria Institut National De Recherche En Informatique Et En Automatique Method and device for motion information prediction in multi-view video coding
US9380305B2 (en) * 2013-04-05 2016-06-28 Qualcomm Incorporated Generalized residual prediction in high-level syntax only SHVC and signaling and management thereof
WO2014163461A1 (ko) * 2013-04-05 2014-10-09 삼성전자 주식회사 비디오 부호화 방법 및 그 장치, 비디오 복호화 방법 및 그 장치
WO2014163456A1 (ko) 2013-04-05 2014-10-09 삼성전자 주식회사 멀티 레이어 비디오의 복호화 방법 및 장치, 멀티 레이어 비디오의 부호화 방법 및 장치
KR20130067280A (ko) * 2013-04-18 2013-06-21 엠앤케이홀딩스 주식회사 인터 예측 부호화된 동영상 복호화 방법
WO2015053598A1 (ko) * 2013-10-12 2015-04-16 삼성전자 주식회사 멀티 레이어 비디오 부호화 방법 및 장치, 멀티 레이어 비디오 복호화 방법 및 장치
GB2524476B (en) * 2014-03-14 2016-04-27 Canon Kk Method, device and computer program for optimizing transmission of motion vector related information when transmitting a video stream
US10432928B2 (en) * 2014-03-21 2019-10-01 Qualcomm Incorporated Using a current picture as a reference for video coding
US9930341B2 (en) * 2014-06-20 2018-03-27 Qualcomm Incorporated Block vector coding for intra block copying
US10412387B2 (en) * 2014-08-22 2019-09-10 Qualcomm Incorporated Unified intra-block copy and inter-prediction
WO2017105097A1 (ko) * 2015-12-17 2017-06-22 삼성전자 주식회사 머지 후보 리스트를 이용한 비디오 복호화 방법 및 비디오 복호화 장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Rajan Joshi, et. al., "High Efficiency Video Coding (HEVC) Screen Content Coding: Draft 1", Joint Collaborative Team on Video Coding (JCT-VC) of ITU-T SG 16 WP 3 and ISO/IEC JTC 1/SC 29/WG 11 18th Me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005692A (zh) 2017-08-01
CN111147845B (zh) 2023-10-10
KR20160063995A (ko) 2016-06-07
US10368084B2 (en) 2019-07-30
US10880569B2 (en) 2020-12-29
US20190306527A1 (en) 2019-10-03
KR20200132828A (ko) 2020-11-25
US20210076060A1 (en) 2021-03-11
US20180124420A1 (en) 2018-05-03
CN112584140A (zh) 2021-03-30
CN107005692B (zh) 2020-11-17
CN111147845A (zh) 2020-05-12
WO2016085229A1 (ko) 2016-06-02
KR102551609B1 (ko) 2023-07-05
US11563971B2 (en) 2023-01-24
CN112584139A (zh) 2021-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53843B1 (ko) 비디오 신호 처리 방법 및 장치
KR102553845B1 (ko) 비디오 신호 처리 방법 및 장치
CN110692248B (zh) 视频信号处理方法及装置
KR102470831B1 (ko) 비디오 신호 처리 방법 및 장치
KR102028522B1 (ko) 영상 정보 부호화 방법 및 복호화 방법과 이를 이용한 장치
KR102068826B1 (ko) 영상 부호화 및 복호화 방법과 이를 이용한 장치
KR102490375B1 (ko) 움직임 벡터 리스트 설정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사용하는 장치
KR20210137982A (ko) 영상 부호화/복호화 방법, 장치 및 비트스트림을 저장한 기록 매체
KR20180073464A (ko) 비디오 신호 처리 방법 및 장치
EP3439303B1 (en) Inter prediction mode-based image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therefor
CN112106359B (zh) 用于处理视频信号的方法和设备
KR20210082421A (ko) 영상 부호화/복호화 방법, 장치 및 비트스트림을 저장한 기록 매체
KR20190113652A (ko) 비디오 신호 처리 방법 및 장치
KR20190139786A (ko) 비디오 신호 처리 방법 및 장치
KR102551311B1 (ko) 비디오 신호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 그리고 비트스트림을 저장한 기록 매체
KR20210124069A (ko) 영상 부호화 및 복호화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