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7149B1 - 화상 부호화 방법, 화상 복호 방법, 화상 부호화 장치, 화상 복호 장치 및 화상 부호화 복호 장치 - Google Patents

화상 부호화 방법, 화상 복호 방법, 화상 부호화 장치, 화상 복호 장치 및 화상 부호화 복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7149B1
KR102137149B1 KR1020147000421A KR20147000421A KR102137149B1 KR 102137149 B1 KR102137149 B1 KR 102137149B1 KR 1020147000421 A KR1020147000421 A KR 1020147000421A KR 20147000421 A KR20147000421 A KR 20147000421A KR 102137149 B1 KR102137149 B1 KR 1021371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erence picture
picture
current
view
deco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004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33803A (ko
Inventor
도시야스 스기오
다카히로 니시
요우지 시바하라
교코 다니카와
히사오 사사이
도루 마츠노부
겐고 데라다
Original Assignee
선 페이턴트 트러스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선 페이턴트 트러스트 filed Critical 선 페이턴트 트러스트
Publication of KR201401338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38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71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71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6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 H04N19/17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 H04N19/176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the region being a block, e.g. a macroblo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46Embedding additional information in the video signal during the compression process
    • H04N19/463Embedding additional information in the video signal during the compression process by compressing encoding parameters before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5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 H04N19/503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involving temporal prediction
    • H04N19/51Motion estimation or motion compensation
    • H04N19/573Motion compensation with multiple frame prediction using two or more reference frames in a given prediction dir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5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 H04N19/503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involving temporal prediction
    • H04N19/51Motion estimation or motion compensation
    • H04N19/577Motion compensation with bidirectional frame interpolation, i.e. using B-pict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5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 H04N19/597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specially adapted for multi-view video sequence enco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7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characterised by syntax aspects related to video coding, e.g. related to compression standar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3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hierarchical techniques, e.g. scalabi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ression Or Coding Systems Of Tv Signals (AREA)

Abstract

화상 부호화 방법은, 현재 픽처를 블록마다 부호화하는 화상 부호화 방법으로서, 현재 픽처의 부호화에 있어서 참조 가능한 참조 픽처에 참조 픽처 인덱스를 할당하고, 참조 픽처 인덱스가 할당된 참조 픽처를 포함하는 참조 픽처 리스트를 생성하는 생성 단계(S1001)와, 현재 픽처에 포함되는 현재 블록의 부호화에 있어서 참조되는 참조 픽처를 참조 픽처 리스트로부터 특정하고, 특정된 참조 픽처를 참조하여 현재 블록을 부호화하는 부호화 단계(S1002)를 포함하며, 생성 단계(S1001)에서는 현재 픽처가 속하는 현재 뷰와는 다른 참조 뷰에 속하는 참조 픽처가 현재 픽처의 부호화에 있어서 참조될 가능성이 있는 경우, 참조 뷰에 속하는 참조 픽처를 참조 픽처 리스트에 추가한다.

Description

화상 부호화 방법, 화상 복호 방법, 화상 부호화 장치, 화상 복호 장치 및 화상 부호화 복호 장치{IMAGE CODING METHOD, IMAGE DECODING METHOD, IMAGE CODING DEVICE, IMAGE DECODING DEVICE, AND IMAGE CODING-DECODING DEVICE}
본 발명은 픽처를 블록마다 부호화하는 화상 부호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픽처를 블록마다 부호화하는 화상 부호화 방법에 관한 기술로서, 비특허문헌 1에 기재된 기술이 있다.
ITU-T Recommendation H.264 ‘Advanced video coding for generic audiovisual services’, 2010년 3월
그러나 최근, 고정밀 화상(4K×2K)의 방송 및 컨텐츠 전송이 검토되고 있다. 그 때문에 보다 높은 부호화 효율이 기대되고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화상의 부호화에서의 부호화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화상 부호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관한 화상 부호화 방법은, 현재 픽처를 블록마다 부호화하는 화상 부호화 방법으로서, 상기 현재 픽처의 부호화에 있어서 참조 가능한 참조 픽처에 참조 픽처 인덱스를 할당하여, 상기 참조 픽처 인덱스가 할당된 상기 참조 픽처를 포함하는 참조 픽처 리스트를 생성하는 생성 단계와, 상기 현재 픽처에 포함되는 현재 블록의 부호화에 있어서 참조되는 참조 픽처를 상기 참조 픽처 리스트로부터 특정하고, 특정된 상기 참조 픽처를 참조하여 상기 현재 블록을 부호화하는 부호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생성 단계에서는 상기 현재 픽처가 속하는 현재 뷰와는 다른 참조 뷰에 속하는 참조 픽처가 상기 현재 픽처의 부호화에 있어서 참조될 가능성이 있는 경우, 상기 참조 뷰에 속하는 참조 픽처를 상기 참조 픽처 리스트에 추가한다. 본 발명은 또한, 현재 픽처를 블록마다 부호화하는 화상 부호화 방법으로서, 기 현재 픽처의 부호화에 있어서 참조 가능한 참조 픽처에 참조 픽처 인덱스를 할당하여, 상기 참조 픽처 인덱스가 할당된 상기 참조 픽처를 포함하는 참조 픽처 리스트를 생성하는 생성 단계와, 상기 현재 픽처에 포함되는 현재 블록의 부호화에 있어서 참조되는 참조 픽처를 상기 참조 픽처 리스트로부터 특정하고, 특정된 상기 참조 픽처를 참조하여 상기 현재 블록을 부호화하는 부호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생성 단계에서는, 상기 현재 픽처가 속하는 현재 뷰와는 다른 참조 뷰에 속하는 참조 픽처가 상기 현재 픽처의 부호화에 있어서 참조될 가능성이 있는 경우, 상기 참조 뷰에 속하는 참조 가능한 참조 픽처를 상기 참조 픽처 리스트에 추가하며, 상기 참조 픽처 리스트에 포함된 모든 참조 픽처의 각각에 대하여, 상기 현재 뷰에 속하는 참조 가능한 참조 픽처의 수와, 상기 참조 뷰에 속하는 참조 가능한 참조 픽처의 수의 합계에 의해 정해지는 범위 내에서 상기 참조 픽처 인덱스를 수정하는, 화상 부호화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이들의 포괄적 또는 구체적인 양태는 시스템, 장치, 집적회로,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CD-ROM 등의 비일시적인 기록매체로 실현되어도 되고, 시스템, 장치, 방법, 집적회로,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기록매체의 임의의 조합으로 실현되어도 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관한 화상 부호화 방법은, 화상의 부호화에서의 부호화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참조 픽처 리스트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실시 형태 1에 관한 화상 부호화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실시 형태 1에 관한 화상 부호화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4는 실시 형태 1에 관한 인접 블록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실시 형태 1에 관한 예측 움직임 벡터 후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실시 형태 1에 관한 예측 움직임 벡터 인덱스의 결정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7은 실시 형태 1의 제1 예에 관한 참조 픽처 리스트의 산출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8은 실시 형태 1의 제1 예에 관한 제1 예측방향의 참조 픽처 리스트의 산출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9는 실시 형태 1의 제1 예에 관한 제2 예측방향의 참조 픽처 리스트의 산출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10은 실시 형태 1의 제1 예에 관한 참조 픽처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1a는 실시 형태 1에 관한 시퀀스 파라미터 세트의 신택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b는 실시 형태 1에 관한 슬라이스 헤더의 신택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c는 실시 형태 1에 관한 쇼트텀 픽처를 지정하기 위한 신택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d는 실시 형태 1에 관한 참조 픽처 리스트를 수정하기 위한 신택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a는 실시 형태 1에 관한 제1 예측방향의 일시적인 참조 픽처 리스트에 대한 추가 처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b는 실시 형태 1에 관한 제1 예측방향이 최종적인 참조 픽처 리스트에 대한 추가 처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c는 실시 형태 1에 관한 제2 예측방향의 일시적인 참조 픽처 리스트에 대한 추가 처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d는 실시 형태 1에 관한 제2 예측방향이 최종적인 참조 픽처 리스트에 대한 추가 처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실시 형태 1의 제2 예에 관한 참조 픽처 리스트의 산출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14는 실시 형태 1의 제2 예에 관한 제1 예측방향의 참조 픽처 리스트의 산출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15는 실시 형태 1의 제2 예에 관한 제2 예측방향의 참조 픽처 리스트의 산출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16은 실시 형태 1의 제2 예에 관한 참조 픽처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7은 실시 형태 2에 관한 화상 복호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8은 실시 형태 2에 관한 화상 복호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19는 실시 형태 3에 관한 화상 부호화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0은 실시 형태 3에 관한 화상 부호화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21은 실시 형태 3에 관한 화상 복호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2는 실시 형태 3에 관한 화상 복호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23은 컨텐츠 전송 서비스를 실현되는 컨텐츠 공급 시스템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24는 디지털 방송용 시스템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25는 텔레비전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6은 광디스크인 기록 미디어에 정보를 읽고 쓰는 정보재생/기록부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7은 광디스크인 기록 미디어의 구조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8a는 휴대전화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8b는 휴대전화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9는 다중화 데이터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0은 각 스트림이 다중화 데이터에서 어떻게 다중화되고 있는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1은 PES 패킷열에 비디오 스트림이 어떻게 저장되는지를 더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32는 다중화 데이터에서의 TS 패킷과 소스 패킷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3은 PMT의 데이터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4는 다중화 데이터 정보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5는 스트림 속성 정보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6은 영상 데이터를 식별하는 단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7은 각 실시 형태의 동화상 부호화 방법 및 동화상 복호화 방법을 실현하는 집적회로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8은 구동 주파수를 전환하는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9는 영상 데이터를 식별하고, 구동 주파수를 전환하는 단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0은 영상 데이터의 규격과 구동 주파수를 대응 지은 룩업 테이블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1a는 신호 처리부의 모듈을 공유화하는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1b는 신호 처리부의 모듈을 공유화하는 구성의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기초가 된 지견)
본 발명자는 픽처를 블록마다 부호화하는 화상 부호화 방법에 관해 과제를 발견했다. 이하,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화상 부호화 처리에서는, 일반적으로 화상이 가지는 공간방향 및 시간방향의 중복성(Redundancy)을 이용해서 정보량이 압축된다. 공간방향의 중복성을 이용하는 방법으로는 주파수 영역으로의 변환이 이용되고, 시간방향의 중복성을 이용하는 방법으로는 픽처 간 예측(이후, 인터 예측이라고 한다) 부호화 처리가 이용된다.
화상 부호화 장치는 인터 예측 부호화 처리로 부호화 대상 픽처(현재 픽처)를 부호화할 때, 부호화 대상 픽처에 대해 표시 시간순으로 전방 또는 후방에 있는 부호화 완료 픽처를 참조 픽처로서 이용한다. 그리고, 화상 부호화 장치는 그 참조 픽처에 대한 부호화 대상 픽처의 움직임 검출에 의해 움직임 벡터를 도출한다.
그리고, 화상 부호화 장치는 움직임 벡터에 근거해서 움직임 보상을 실시하여 얻어진 예측 화상 데이터와 부호화 대상 픽처의 화상 데이터의 차분을 취득함으로써, 시간방향의 중복성을 제거한다.
또, 화상 부호화 장치는 움직임 검출에 있어서, 부호화 대상 픽처 내의 부호화 대상 블록(현재 블록)과 참조 픽처 내의 블록의 차분치를 산출하고, 가장 차분치가 작은 참조 픽처 내의 블록을 참조 블록으로서 특정한다. 그리고, 화상 부호화 장치는 부호화 대상 블록과 참조 블록을 이용하여 움직임 벡터를 검출한다.
H.264라 불리는 화상 부호화 방식이 이미 표준화되어 있다(비특허문헌 1). 이 화상 부호화 방식에서는, 정보량의 압축을 위해 I 픽처, P 픽처 및 B 픽처라는 3종류의 픽처 타입이 이용된다.
I 픽처는, 인터 예측 부호화 처리가 실시되지 않는, 즉 픽처 내 예측(이후, 인트라 예측이라고 한다) 부호화 처리가 실시되는 픽처이다. P 픽처는, 표시 시간순으로 부호화 대상 픽처의 전방 또는 후방에 있는 이미 부호화가 완료된 1개의 픽처를 참조하는 인터 예측 부호화가 실시되는 픽처이다. B 픽처는, 표시 시간순으로 부호화 대상 픽처의 전방 또는 후방에 있는 이미 부호화가 완료된 2개의 픽처를 참조하는 인터 예측 부호화가 실시되는 픽처이다.
화상 부호화 장치는 인터 예측 부호화에 있어서, 참조 픽처를 특정하기 위한 참조 픽처 리스트를 생성한다. 참조 픽처 리스트는, 인터 예측에서 참조되는 부호화 완료 참조 픽처에 참조 픽처 인덱스가 할당된 리스트이다. 예를 들면, 화상 부호화 장치는 2개의 픽처를 참조해서 B 픽처를 부호화하기 위해 2개의 참조 픽처 리스트(L0, L1)를 유지한다.
도 1은 B 픽처에서의 참조 픽처 리스트의 예를 나타낸다. 도 1에서의 제1 참조 픽처 리스트(L0)는 쌍방향 예측에서의 제1 예측방향의 참조 픽처 리스트의 예이다. ‘0’의 참조 픽처 인덱스에는 표시 순서가 2인 참조 픽처 R3가 할당되어 있다. ‘1’의 참조 픽처 인덱스에는 표시 순서가 1인 참조 픽처 R2가 할당되어 있다. ‘2’의 참조 픽처 인덱스에는 표시 순서가 0인 참조 픽처 R1가 할당되어 있다.
즉, 부호화 대상 픽처에 대해 표시 순서로, 시간적으로 부호화 대상 픽처에 가까울수록 작은 참조 픽처 인덱스가 할당되어 있다.
한편, 제2 참조 픽처 리스트(L1)는 쌍방향 예측에서의 제2 예측방향의 참조 픽처 리스트의 예이다. ‘0’의 참조 픽처 인덱스에는 표시 순서가 1인 참조 픽처 R2가 할당되어 있다. ‘1’의 참조 픽처 인덱스에는 표시 순서가 2인 참조 픽처 R3가 할당되어 있다. ‘2’의 참조 픽처 인덱스에는 표시 순서가 0인 참조 픽처 R1가 할당되어 있다.
이렇게, 2개의 예측방향에 대응하는 2개의 참조 픽처 리스트에 있어서, 1개의 참조 픽처에 다른 참조 픽처 인덱스가 할당되어도 된다(도 1의 참조 픽처 R2 및 R3). 또, 2개의 참조 픽처 리스트에서, 1개의 참조 픽처에 같은 참조 픽처 인덱스가 할당되어도 된다(도 1의 참조 픽처 R1). 이 참조 픽처 리스트에 관해, 현재 새로운 산출방법이 검토되어 있다.
그러나, 현재 검토되어 있는 산출방법에서는, 다른 뷰 또는 다른 레이어에 속하는 픽처를 참조해서 부호화 대상 픽처를 부호화하는 것이 고려되지 않고 있다. 예를 들면 MVC(Multiview Video Coding: 다시점 영상 부호화)에 관한 화상 부호화 장치는, 베이스뷰의 픽처를 참조하여 논베이스뷰의 픽처를 부호화하는 경우가 있다. 현재 검토되고 있는 산출방법에서는 이러한 부호화가 고려되지 않고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의 일 양태에 관한 화상 부호화 방법은, 현재 픽처를 블록마다 부호화하는 화상 부호화 방법으로서, 상기 현재 픽처의 부호화에 있어서 참조 가능한 참조 픽처에 참조 픽처 인덱스를 할당하여, 상기 참조 픽처 인덱스가 할당된 상기 참조 픽처를 포함하는 참조 픽처 리스트를 생성하는 생성 단계와, 상기 현재 픽처에 포함되는 현재 블록의 부호화에 있어서 참조되는 참조 픽처를 상기 참조 픽처 리스트로부터 특정하고, 특정된 상기 참조 픽처를 참조하여 상기 현재 블록을 부호화하는 부호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생성 단계에서는 상기 현재 픽처가 속하는 현재 뷰와는 다른 참조 뷰에 속하는 참조 픽처가 상기 현재 픽처의 부호화에 있어서 참조될 가능성이 있는 경우, 상기 참조 뷰에 속하는 참조 픽처를 상기 참조 픽처 리스트에 추가한다.
이에 의해 뷰간 예측이 가능한 경우, 참조 픽처 리스트에 뷰간 예측을 위한 참조 픽처가 추가된다. 따라서, 참조 픽처 리스트로부터 보다 적절한 참조 픽처의 선택이 가능하다. 따라서, 부호화 효율이 향상한다.
예를 들면, 상기 생성 단계에서는 파라미터를 이용해서 상기 참조 픽처 리스트를 생성하고, 상기 부호화 단계에서는 또 상기 참조 픽처 리스트의 생성에 이용된 상기 파라미터를 부호화해도 된다.
이에 의해, 부호화 처리와 복호 처리의 쌍방에서 같은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같은 참조 픽처 리스트를 생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참조 픽처 리스트의 유연한 변경이 가능하다. 따라서, 적절한 부호화가 가능하다.
또, 예를 들면 상기 생성 단계에서는 또, 상기 참조 뷰에 속하는 참조 픽처가 상기 현재 픽처의 부호화에 있어서 참조될 가능성이 있는 경우, 상기 현재 뷰에 속하는 참조 가능한 참조 픽처의 수인 제1 수에 상기 참조 뷰에 속하는 참조 가능한 참조 픽처의 수인 제2 수를 가산함으로써, 상기 현재 픽처의 부호화에 있어서 참조 가능한 참조 픽처의 수인 제3 수를 산출하고, 상기 참조 픽처 리스트에 포함되는 상기 참조 픽처에 대해 할당된 상기 참조 픽처 인덱스를 수정하기 위한 수정 리스트 값의 범위를 상기 제3 수에 근거해서 결정해도 된다.
이에 의해, 참조 가능한 참조 픽처의 수에 대응하는 적절한 범위에서 참조 픽처 인덱스의 수정이 가능하다.
또, 예를 들면 상기 생성 단계에서는 또, 상기 현재 뷰가 논베이스뷰인지의 여부에 근거하여 상기 참조 뷰에 속하는 참조 픽처가 상기 현재 픽처의 부호화에 있어서 참조될 가능성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해도 된다.
이에 의해, 부호화 대상 픽처를 포함하는 뷰와는 다른 뷰에 포함되는 참조 픽처가 참조 가능한지의 여부가 적절히 판정된다.
또, 예를 들면 상기 생성 단계에서는 또, 부호화순으로 상기 현재 뷰에 대해 할당된 뷰 오더 인덱스에 근거하여 상기 현재 뷰가 논베이스뷰인지의 여부를 판정해도 된다.
이에 의해, 부호화 대상 픽처를 포함하는 뷰가 논베이스뷰인지의 여부가 적절히 판정된다.
또, 본 발명의 일 양태에 관한 화상 복호 방법은 현재 픽처를 블록마다 복호하는 화상 복호 방법으로서, 상기 현재 픽처의 복호에 있어서 참조 가능한 참조 픽처에 참조 픽처 인덱스를 할당하여, 상기 참조 픽처 인덱스가 할당된 상기 참조 픽처를 포함하는 참조 픽처 리스트를 생성하는 생성 단계와, 상기 현재 픽처에 포함되는 현재 블록의 복호에 있어서 참조되는 참조 픽처를 상기 참조 픽처 리스트로부터 특정하고, 특정된 상기 참조 픽처를 참조하여 상기 현재 블록을 복호하는 복호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생성 단계에서는 상기 현재 픽처가 속하는 현재 뷰와는 다른 참조 뷰에 속하는 참조 픽처가 상기 현재 픽처의 복호에 있어서 참조될 가능성이 있는 경우, 상기 참조 뷰에 속하는 참조 픽처를 상기 참조 픽처 리스트에 추가해도 된다.
이에 의해 뷰간 예측이 가능한 경우, 참조 픽처 리스트에 뷰간 예측을 위한 참조 픽처가 추가된다. 따라서, 참조 픽처 리스트로부터 보다 적절한 참조 픽처의 선택이 가능하다. 따라서, 고효율의 부호화에 대응하는 복호가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복호 단계에서는 또, 상기 참조 픽처 리스트의 생성에 이용되는 파라미터를 복호하고, 상기 생성 단계에서는 복호된 상기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상기 참조 픽처 리스트를 생성해도 된다.
이에 의해, 부호화 처리와 복호 처리의 쌍방에서 같은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같은 참조 픽처 리스트를 생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참조 픽처 리스트의 유연한 변경이 가능하다. 따라서, 적절한 복호가 가능하다.
또, 예를 들면 상기 생성 단계에서는 또, 상기 참조 뷰에 속하는 참조 픽처가 상기 현재 픽처의 복호에 있어서 참조될 가능성이 있는 경우, 상기 현재 뷰에 속하는 참조 가능한 참조 픽처의 수인 제1 수에 상기 참조 뷰에 속하는 참조 가능한 참조 픽처의 수인 제2 수를 가산함으로써, 상기 현재 픽처의 복호에 있어서 참조 가능한 참조 픽처의 수인 제3 수를 산출하고, 상기 참조 픽처 리스트에 포함되는 상기 참조 픽처에 대해 할당된 상기 참조 픽처 인덱스를 수정하기 위한 수정 리스트 값의 범위를 상기 제3 수에 근거해서 결정해도 된다.
이에 의해, 참조 가능한 참조 픽처의 수에 대응하는 적절한 범위에서 참조 픽처 인덱스의 수정이 가능하다.
또, 예를 들면 상기 생성 단계에서는 또, 상기 현재 뷰가 논베이스뷰인지의 여부에 근거하여 상기 참조 뷰에 속하는 참조 픽처가 상기 현재 픽처의 복호에 있어서 참조될 가능성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해도 된다.
이에 의해, 복호 대상 픽처를 포함하는 뷰와는 다른 뷰에 포함되는 참조 픽처가 참조 가능한지의 여부가 적절히 판정된다.
또, 예를 들면 상기 생성 단계에서는 또, 복호순으로 상기 현재 뷰에 대해 할당된 뷰 오더 인덱스에 근거하여 상기 현재 뷰가 논베이스뷰인지의 여부를 판정해도 된다.
이에 의해, 복호 대상 픽처를 포함하는 뷰가 논베이스뷰인지의 여부가 적절히 판정된다.
또한, 이들의 포괄적 또는 구체적인 양태는 시스템, 장치, 집적회로,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CD-ROM 등의 비일시적인 기록매체로 실현되어도 되고, 시스템, 장치, 방법, 집적회로,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기록매체의 임의의 조합으로 실현되어도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 형태는 모두 포괄적 또는 구체적인 예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하의 실시 형태로 나타나는 수치, 형상, 재료, 구성 요소, 구성 요소의 배치 위치 및 접속 형태, 단계, 단계의 순서 등은 일례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주지가 아니다. 또, 이하의 실시 형태에서의 구성 요소 중 최상위 개념을 나타내는 독립 청구항에 기재되어 있지 않은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임의의 구성 요소로서 설명된다.
(실시 형태 1)
도 2는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화상 부호화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와 같이, 화상 부호화 장치(100)는 감산부(101), 직교변환부(102), 양자화부(103), 역양자화부(105), 역직교변환부(106), 가산부(107), 블록 메모리(108), 프레임 메모리(109), 인트라 예측부(110), 인터 예측부(111), 전환부(112), 인터 예측 제어부(114), 참조 픽처 리스트 산출부(115), 픽처 타입 결정부(113), 예측 움직임 벡터 후보 산출부(116) 및 가변길이 부호화부(104)를 구비한다.
직교변환부(102)는 입력 화상에 대해 화소 영역으로부터 주파수 영역으로의 변환을 실시한다. 양자화부(103)는 주파수 영역으로 변환된 입력 화상에 대해 양자화 처리를 실시한다. 역양자화부(105)는 양자화부(103)에 의해 양자화 처리된 입력 화상에 대해 역양자화 처리를 실시한다. 역직교변환부(106)는 역양자화 처리된 입력 화상에 대해 주파수 영역으로부터 화소 영역으로의 변환을 실시한다.
블록 메모리(108)는 입력 화상을 블록 단위로 보존하고, 프레임 메모리(109)는 입력 화상을 프레임 단위로 보존한다. 픽처 타입 결정부(113)는 I 픽처, B 픽처 및 P 픽처 중 어느 픽처 타입으로 입력 화상을 부호화할지를 결정하고, 픽처 타입 정보를 생성한다.
인트라 예측부(110)는 블록 메모리(108)에 보존되어 있는 블록 단위의 입력 화상을 이용하여 부호화 대상 블록을 인트라 예측에 의해 부호화하고, 예측 화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인터 예측부(111)는 프레임 메모리(109)에 보존되어 있는 프레임 단위의 입력 화상과 움직임 검출 등에 의해 도출된 움직임 벡터를 이용하여 부호화 대상 블록을 인터 예측에 의해 부호화하고, 예측 화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예측 움직임 벡터 후보 산출부(116)는 예측 움직임 벡터 지정 모드의 예측 움직임 벡터 후보를 도출한다. 예측 움직임 벡터 후보는, 부호화 대상 블록의 인접 블록 및 이미 부호화가 완료된 픽처에 포함되는 co-located 블록의 움직임 벡터 등의 colPic 정보를 이용하여 도출된다. 예측 움직임 벡터 지정 모드의 예측 움직임 벡터 후보는, 움직임 벡터의 부호화에 이용되는 예측 움직임 벡터의 후보이다. 그리고, 예측 움직임 벡터 후보 산출부(116)는 예측 움직임 벡터 후보 수를 산출한다.
또. 예측 움직임 벡터 후보 산출부(116)는, 도출된 예측 움직임 벡터 후보에 대해 예측 움직임 벡터 인덱스의 값을 할당한다. 그리고, 예측 움직임 벡터 후보 산출부(116)는, 예측 움직임 벡터 후보와 예측 움직임 벡터 인덱스를 인터 예측 제어부(114)에 보낸다. 또, 예측 움직임 벡터 후보 산출부(116)는, 산출한 예측 움직임 벡터 후보 수를 가변길이 부호화부(104)로 송신한다.
인터 예측 제어부(114)는, 인터 예측부(111)와 함께 움직임 검출에 의해 도출된 움직임 벡터를 이용하여 인터 예측 화상을 생성한다. 그리고, 인터 예측 제어부(114)는, 인터 예측부(111)와 함께 인터 예측 화상을 이용하여 인터 예측 부호화를 실시한다.
또, 인터 예측 제어부(114)는 인터 예측 부호화에 이용된 움직임 벡터의 부호화에 최적한 예측 움직임 벡터 후보를 후술하는 방법으로 선택한다. 그리고, 인터 예측 제어부(114)는 선택된 예측 움직임 벡터 후보에 대응하는 예측 움직임 벡터 인덱스와 예측 오차정보를 가변길이 부호화부(104)에 보낸다.
참조 픽처 리스트 산출부(115)는 후술하는 방법으로 부호화 대상 픽처 또는 슬라이스를 부호화하기 위한 참조 픽처 리스트를 산출하고, 인터 예측 제어부(114) 및 예측 움직임 벡터 후보 산출부(116)에 출력한다. 그리고, 참조 픽처 리스트 산출부(115)는 부호화에 이용된 참조 픽처 리스트를 산출하기 위한 파라미터를 참조 픽처 리스트 정보로서 가변길이 부호화부(104)에 출력한다.
직교변환부(102)는 생성된 예측 화상 데이터와 입력 화상의 예측 오차 데이터에 대해 화소 영역으로부터 주파수 영역으로의 변환을 실시한다. 양자화부(103)는 주파수 영역으로 변환한 예측 오차 데이터에 대해 양자화 처리를 실시한다.
가변길이 부호화부(104)는 양자화 처리된 예측 오차 데이터, 예측방향 플래그, 픽처 타입 정보 및 참조 픽처 리스트 정보에 대해 가변길이 부호화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비트 스트림을 생성한다. 또, 가변길이 부호화부(104)는 예측 움직임 벡터 후보 수를 예측 움직임 벡터 후보 리스트의 사이즈로 설정한다. 그리고. 가변길이 부호화부(104)는 움직임 벡터 부호화에 이용된 예측 움직임 벡터 인덱스에 예측 움직임 벡터 후보 리스트의 사이즈에 따라 정해진 비트열을 할당해서 가변길이 부호화를 실시한다.
도 3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화상 부호화 방법의 처리 흐름의 개요이다. 우선, 참조 픽처 리스트 산출부(115)는 후술하는 방법으로 부호화 대상 픽처 또는 슬라이스의 참조 픽처 리스트를 산출한다(S101).
가변길이 부호화부(104)는 참조 픽처 리스트 정보를 부호화하여 부호화된 참조 픽처 리스트 정보를 헤더에 추가한다. 즉, 가변길이 부호화부(104)는 참조 픽처 리스트의 산출에 이용된 파라미터를 참조 픽처 리스트 정보로서 SPS(Sequence Parameter Set), PPS(Picture Parameter Set) 또는 슬라이스 헤더 등에 부가한다(S102).
인터 예측 제어부(114)는 움직임 검출을 실시하여, 부호화 대상 블록의 예측방향, 참조 픽처 인덱스 및 움직임 벡터를 결정한다(S103). 인터 예측 제어부(114)는 움직임 검출에 있어서, 예를 들면 부호화 대상 픽처 내의 부호화 대상 블록과 참조 픽처 내의 블록의 차분치를 산출하여, 가장 차분치가 작은 참조 픽처 내의 블록을 참조 블록으로 결정한다. 그리고, 인터 예측 제어부(114)는 부호화 대상 블록의 위치와 참조 블록의 위치로부터, 움직임 벡터를 구하는 방법 등을 이용한다.
또, 인터 예측 제어부(114)는 제 1 예측방향의 참조 픽처 및 제 2 예측방향의 참조 픽처에 대해 각각 움직임 검출을 실시한다. 그리고 인터 예측 제어부(114)는 예를 들어 R-D 최적화 모델을 나타내는 식 1 등을 이용하여 제1 예측방향, 제2 예측방향 또는 쌍방향 예측을 선택한다.
(식 1) Cost=D+λ×R
식 1에서, D는 부호화 왜곡을 나타낸다. 예를 들면 어떤 움직임 벡터로 생성된 예측 화상을 이용하여 부호화 대상 블록에 대해 부호화 및 복호를 실시함으로써 얻어지는 화소치와 부호화 대상 블록의 원래의 화소치의 차분 절대치 합 등이 D에 이용된다. 또, R은 발생 부호량을 나타낸다. 예를 들면, 예측 화상 생성에 이용된 움직임 벡터의 부호화로 발생하는 부호량 등이 이용된다. 또, λ는 라그랑주의 미정승수이다.
예측 움직임 벡터 후보 산출부(116)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부호화 대상 블록의 인접 블록 및 co-located 블록으로부터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예측 움직임 벡터 후보를 생성한다. 그리고, 인터 예측 제어부(114)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흐름에 따라, 움직임 벡터의 부호화에 이용되는 예측 움직임 벡터의 인덱스인 예측 움직임 벡터 인덱스를 결정하여 차분 움직임 벡터를 산출한다(S104). 여기서, 차분 움직임 벡터란 움직임 벡터와 예측 움직임 벡터의 차분이다.
가변길이 부호화부(104)는 예측방향, 참조 픽처 인덱스, 예측 움직임 벡터 인덱스 및 차분 움직임 벡터를 가변길이 부호화한다(S105).
본 실시 형태에서는 우선, 화상 부호화 장치(100)가 다른 뷰의 픽처를 참조하지 않고 부호화 대상 픽처를 부호화하는 경우에, 참조 픽처 리스트를 산출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이 방법은, 예를 들어 베이스뷰만을 포함하는 시퀀스를 부호화하는 경우 등에 이용된다.
도 7은 도 3의 S101의 상세한 처리 흐름으로, 다른 뷰의 픽처가 참조되지 않는 경우의 참조 픽처 리스트의 산출방법을 나타낸다. 이하, 도 7에 대해 설명한다.
참조 픽처 리스트 산출부(115)는 부호화 대상 픽처보다도 표시 순서(POC: Picture Order Count)가 앞이면서 인터 예측에 있어서 참조 가능한 쇼트텀 픽처(Short Term Picture)의 표시 순서 및 그 매수(NumPocStCurrBefore)를 산출한다(S301).
다음으로, 참조 픽처 리스트 산출부(115)는 부호화 대상 픽처보다도 표시 순서가 나중이면서 인터 예측에 있어서 참조 가능한 쇼트텀 픽처의 표시 순서 및 그 매수(NumPocStCurrAfter)를 산출한다(S302).
다음으로, 참조 픽처 리스트 산출부(115)는 인터 예측에 있어서 참조 가능한 롱텀 픽처(Long Term Picture)의 표시 순서 및 그 매수(NumPocLtCurr)를 산출한다(S303).
다음으로, 참조 픽처 리스트 산출부(115)는 NumPocStCurrBefore, NumPocStCurrAfter 및 NumPocLtCurr를 가산함으로써, 인터 예측에 있어서 참조 가능한 참조 픽처의 합계 매수(NumPocTotalCurr)를 산출한다(S304).
다음으로, 참조 픽처 리스트 산출부(115)는 후술하는 방법으로 제1 예측방향의 참조 픽처 리스트 RefPicList0를 산출한다(S305). 그리고, 참조 픽처 리스트 산출부(115)는 제2 예측방향의 참조 픽처 리스트 RefPicList1를 산출한다(S306).
도 8은 도 7의 S305의 상세한 처리 흐름으로, 제1 예측방향의 참조 픽처 리스트 RefPicList0를 산출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이하, 도 8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참조 픽처 리스트 산출부(115)는 도 7의 S301에서 산출된 표시 순서에 해당하는 참조 픽처를 산출된 NumPocStCurrBefore매 분량 참조 픽처 리스트 RefPicListTemp0에 추가한다(S401). 다음으로, 참조 픽처 리스트 산출부(115)는 도 7의 S302에서 산출된 표시 순서에 해당하는 참조 픽처를 산출된 NumPocStCurrAfter매 분량 참조 픽처 리스트 RefPicListTemp0에 추가한다(S402).
다음으로, 참조 픽처 리스트 산출부(115)는 도 7의 S303에서 산출된 표시 순서에 해당하는 참조 픽처를 산출된 NumPocLtCurr매 분량 참조 픽처 리스트 RefPicListTemp0에 추가한다(S403).
다음으로, 참조 픽처 리스트 산출부(115)는 S401∼S403에서 얻어진 참조 픽처 리스트 RefPicListTemp0를 이용하여 참조 픽처 리스트 RefPicList0를 산출한다. 산출되는 참조 픽처 리스트 RefPicList0의 참조 픽처의 매수는, 부호화 대상 픽처(또는 슬라이스)로부터 제1 예측방향에 있어서 참조 가능한 참조 픽처의 매수(num_ref_l0_active_minus1+1)와 동일하다.
참조 픽처 리스트 산출부(115)는 참조 픽처 리스트 RefPicList0를 플래그의 값에 따라 산출한다. 구체적으로는, 참조 픽처 리스트 산출부(115)는 제1 예측방향의 참조 픽처 리스트를 수정할 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 ref_pic_list_modification_flag_l0가 1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S404).
그리고, 참이면(S404에서 Yes), 참조 픽처 리스트 산출부(115)는 참조 픽처 리스트 RefPicListTemp0와 list_entry_l0[cIdx](cIdx는 0에서 num_ref_l0_active_minus1)의 값에 따라 참조 픽처 리스트 RefPicList0를 산출한다(S405).
구체적으로는, 참조 픽처 리스트 산출부(115)는 RefPicList0[cIdx]에 RefPicListTemp0[list_entry_l0[cIdx]]을 할당하고, 참조 픽처 리스트 RefPicList0를 산출한다.
여기서, list_entry_l0[cIdx]은 제1 예측방향의 참조 픽처 리스트를 수정하기 위해 이용되는 파라미터(수정 리스트)이다. 이 파라미터는 cIdx번째 참조 픽처 인덱스를 list_entry_l0[cIdx]번째 참조 픽처 인덱스에 할당하기 위해 이용되며, 슬라이스 헤더 등에 부가된다.
또한, list_entry_l0[cIdx] 값의 범위는 NumPocTotalCurr의 값에 근거하고 있으며, 0 이상이면서 (NumPocTotalCurr-1) 이하로 한정된다.
거짓인 경우(S404에서 No), 참조 픽처 리스트 산출부(115)는 참조 픽처 리스트 RefPicListTemp0를 이용하여 참조 픽처 리스트 RefPicList0를 산출한다(S406). 구체적으로는, 참조 픽처 리스트 산출부(115)는 RefPicList0[cIdx]에 RefPicListTemp0[cIdx]을 할당하고, 참조 픽처 리스트 RefPicList0를 산출한다.
도 9는 도 7의 S306의 상세한 처리 흐름으로, 제2 예측방향의 참조 픽처 리스트 RefPicList1를 산출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이하, 도 9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참조 픽처 리스트 산출부(115)는 도 7의 S302에서 산출된 표시 순서에 해당하는 참조 픽처를 산출된 NumPocStCurrAfter매 분량 참조 픽처 리스트 RefPicListTemp1에 추가한다(S501). 다음으로, 참조 픽처 리스트 산출부(115)는 도 7의 S301에서 산출된 표시 순서에 해당하는 참조 픽처를 산출된 NumPocStCurrBefore매 분량 참조 픽처 리스트 RefPicListTemp1에 추가한다(S502).
다음으로, 참조 픽처 리스트 산출부(115)는 도 7의 S303에서 산출된 표시 순서에 해당하는 참조 픽처를 산출된 NumPocLtCurr매 분량 참조 픽처 리스트 RefPicListTemp1에 추가한다(S503).
다음으로, 참조 픽처 리스트 산출부(115)는 S501∼S503에서 얻어진 참조 픽처 리스트 RefPicListTemp1를 이용하여 참조 픽처 리스트 RefPicList1를 산출한다. 산출되는 참조 픽처 리스트 RefPicList1의 참조 픽처의 매수는, 부호화 대상 픽처(또는 슬라이스)로부터 제2 예측방향에 있어서 참조 가능한 참조 픽처의 매수(num_ref_l1_active_minus1+1)와 동일하다.
참조 픽처 리스트 산출부(115)는, 참조 픽처 리스트 RefPicList1를 플래그의 값에 따라 산출한다. 구체적으로는, 참조 픽처 리스트 산출부(115)는 제2 예측방향의 참조 픽처 리스트를 수정할 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 ref_pic_list_modification_flag_l1가 1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S504).
그리고, 참이면(S504에서 Yes), 참조 픽처 리스트 산출부(115)는 참조 픽처 리스트 RefPicListTemp1와 list_entry_l1[cIdx](cIdx는 0에서 num_ref_l1_active_minus1)의 값에 따라 참조 픽처 리스트 RefPicList1를 산출한다(S505).
구체적으로는, 참조 픽처 리스트 산출부(115)는 RefPicList1[cIdx]에 RefPicListTemp1[list_entry_l1[cIdx]]을 할당하고, 참조 픽처 리스트 RefPicList1를 산출한다.
여기서, list_entry_l1[cIdx]은 제2 예측방향의 참조 픽처 리스트를 수정하기 위해 이용되는 파라미터(수정 리스트)이다. 이 파라미터는 cIdx번째 참조 픽처 인덱스를 list_entry_l1[cIdx]번째 참조 픽처 인덱스에 할당하기 위해 이용되며, 슬라이스 헤더 등에 부가된다.
또한, list_entry_l1[cIdx] 값의 범위는 NumPocTotalCurr의 값에 근거하고 있으며, 0 이상이면서 (NumPocTotalCurr-1) 이하로 한정된다.
거짓인 경우(S504에서 No), 참조 픽처 리스트 산출부(115)는 참조 픽처 리스트 RefPicListTemp1를 이용하여 참조 픽처 리스트 RefPicList1를 산출한다(S506). 구체적으로는, 참조 픽처 리스트 산출부(115)는 RefPicList1[cIdx]에 RefPicListTemp1[cIdx]을 할당하고, 참조 픽처 리스트 RefPicList1를 산출한다.
도 10은 다른 뷰의 픽처가 참조 픽처로서 이용되지 않는 경우의 참조 픽처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의 예에서는, 부호화 대상 픽처보다도 표시 순서가 앞이면서 인터 예측에서 참조 가능한 쇼트텀 픽처는 쇼트텀 픽처 St1 및 St2이며, 그 매수 NumPocStCurrBefore는 2이다. 또, 부호화 대상 픽처보다도 표시 순서가 나중이면서 인터 예측에서 참조 가능한 쇼트텀 픽처는 쇼트텀 픽처 St3 및 St4이며, 그 매수 NumPocStCurrAfter는 2이다.
또, 인터 예측에 있어서 참조 가능한 롱텀 픽처는 롱텀 픽처 Lt이며, 그 매수 NumPocLtCurr는 1이다. 이 경우, 부호화 대상 픽처가 인터 예측에 있어서 참조 가능한 매수 NumPocTotalCurr는 5(=2+2+1)이다.
도 10과 같은 경우에, 예를 들면 (num_ref_l0_active_minus1+1)이 5이면서 ref_pic_list_modification_flag_l0이 0인 경우, 제1 예측방향의 참조 픽처 리스트 RefPicList0에는 St2, St1, St3, St4, Lt의 순으로 참조 픽처가 할당된다.
또, 예를 들면 (num_ref_l1_active_minus1+1)이 5이면서 ref_pic_list_modification_flag_l1이 0인 경우, 제2 예측방향의 참조 픽처 리스트 RefPicList1에는 St3, St4, St2, St1, Lt의 순으로 참조 픽처가 할당된다.
또, 예를 들면 (num_ref_l0_active_minus1+1)이 5이면서 ref_pic_list_modification_flag_l0이 1이면서 list_entry_l0의 값이 {4, 3, 2, 1, 0}인 경우, 제1 예측방향의 참조 픽처 리스트 RefPicList0에는 Lt, St4, St3, St1, St2의 순으로 참조 픽처가 할당된다.
또, 예를 들면 (num_ref_l1_active_minus1+1)이 5이면서 ref_pic_list_modification_flag_l1이 1이며, list_entry_l1의 값이 {1, 0, 4, 2, 3}인 경우, 제2 예측방향의 참조 픽처 리스트 RefPicList1에는 St4, St3, Lt, St2, St1의 순으로 참조 픽처가 할당된다.
도 11a∼도 11d는 참조 픽처 리스트 산출에 이용한 파라미터를 참조 픽처 리스트 정보로서 SPS, PPS 또는 슬라이스 헤더 등에 부가하는 경우의 신택스의 예를 나타낸다.
도 11a에 있어서, lists_modification_present_flag는 참조 픽처 리스트를 수정할 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이다. short_term_ref_pic_set(i)은 쇼트텀 픽처를 지정하기 위한 신택스이다. long_term_ref_pics_present_flag는 롱텀 픽처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이다.
도 11b에서, short_term_ref_pic_set(num_short_term_ref_pic_sets)은 쇼트텀 픽처를 지정하기 위한 신택스이다. num_long_term_pics는 롱텀 픽처의 매수이다. num_ref_idx_l0_active_minus1은 제1 예측방향에서 참조 가능한 참조 픽처의 매수이다. num_ref_idx_l1_active_minus1은 제2 예측방향에서 참조 가능한 참조 픽처의 매수이다.
도 11c에서, 각 요소는 쇼트텀 픽처를 지정하기 위한 파라미터이다.
도 11d에서, ref_pic_list_modification_flag_l0은 제1 예측방향의 참조 픽처 리스트를 수정할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이다. ref_pic_list_modification_flag_l1은 제2 예측방향의 참조 픽처 리스트를 수정할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이다.
또, list_entry_l0[i]은 제1 예측방향의 참조 픽처 리스트에 할당하는 참조 픽처를 변경하기 위한 파라미터이다. list_entry_l1[i]은 제2 예측방향의 참조 픽처 리스트에 할당하는 참조 픽처를 변경하기 위한 파라미터이다. list_entry_l0[i] 및 list_entry_l1[i]은 0 이상 NumPocTotalCurr-1로 한정된다.
0 또는 1이 X로 나타날 경우, list_entry_lX[i]에 의해 참조 픽처 리스트 LX에서의 참조 픽처의 인덱스가 특정된다. list_entry_lX[i]의 길이는 Ceil(Log2(NumPocTotalCurr))비트이다. list_entry_lX[i]은 0 이상 NumPocTotalCurr-1로 한정된다. list_entry_lX[i]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list_entry_lX[i]은 0으로 취급된다.
또, 참조 픽처 리스트로서 RefPicSetStCurrBefore, RefPicSetStCurrAfter, RefPicSetStFoll, RefPicSetLtCurr 및 RefPicSetLtFoll이 있다. NumPocTotalCurr은 NumPocStCurrBefore+NumPocStCurrAfter+NumPocLtCurr와 동일하다. P 슬라이스 또는 B 슬라이스의 부호화 및 복호에 있어서, NumPocTotalCurr은 0이 아니다.
도 12a 및 도 12b는 참조 픽처 리스트 RefPicList0의 산출예를 나타낸다. 참조 픽처 리스트 RefPicList0의 산출은 P 슬라이스 또는 B 슬라이스의 헤더의 부호화 및 복호에 있어서 실시된다. NumRpsCurrTempList0은 num_ref_idx_l0_active_minus1+1 및 NumPocTotalCurr 중 큰 쪽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12a가 RefPicListTemp0의 산출예를 나타내고, 도 12b가 RefPicList0의 산출예를 나타낸다.
도 12c 및 도 12d는 참조 픽처 리스트 RefPicList1의 산출예를 나타낸다. 참조 픽처 리스트 RefPicList1의 산출은, B 슬라이스의 헤더의 부호화 및 복호에 있어서 실시된다. NumRpsCurrTempList1은 num_ref_idx_l1_active_minus1+1 및 NumPocTotalCurr 중 큰 쪽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12c가 RefPicListTemp1의 산출예를 나타내고, 도 12d가 RefPicList1의 산출예를 나타낸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다른 뷰가 참조되지 않는 경우, 예를 들면 베이스뷰가 부호화되는 경우, 인터 예측에서 참조 가능한 참조 픽처의 매수 NumPocTotalCurr에 NumPocStCurrBefore, NumPocStCurrAfter 및 NumPocLtCurr의 총합이 설정된다. 그리고, NumPocTotalCurr의 값에 근거해서 설정 가능한 값이 변동하는 list_entry_l0 및 list_entry_l1 등의 파라미터가 이용된다.
이에 의해, 참조 픽처 리스트에 할당되는 참조 픽처를 유연하게 변경하는 것이 가능해서, 부호화 효율이 향상한다.
다음으로, 다른 뷰가 참조되는 경우의 참조 픽처 리스트의 산출방법을 나타낸다. 예를 들면, 화상 부호화 장치(100)가 베이스뷰 및 논베이스뷰를 포함하는 다시점 영상을 부호화할 경우 등에 이하의 산출방법이 이용된다.
도 13은 도 3의 S101의 상세한 처리 흐름으로, 부호화 대상 픽처로부터 다른 뷰의 픽처가 참조될 가능성이 있는 경우의 참조 픽처 리스트의 산출방법을 나타낸다. 이하, 도 13에 대해 설명한다.
참조 픽처 리스트 산출부(115)는, 부호화 대상 픽처보다도 표시 순서(POC: Picture Order Count)가 앞이면서 인터 예측에 있어서 참조 가능한 쇼트텀 픽처(Short Term Picture)의 표시 순서 및 그 매수(NumPocStCurrBefore)를 산출한다(S601).
다음으로, 참조 픽처 리스트 산출부(115)는 부호화 대상 픽처보다도 표시 순서가 나중이면서 인터 예측에 있어서 참조 가능한 쇼트텀 픽처의 표시 순서 및 그 매수(NumPocStCurrAfter)를 산출한다(S602).
다음으로, 참조 픽처 리스트 산출부(115)는 인터 예측에 있어서 참조 가능한 롱텀 픽처(Long Term Picture)의 표시 순서 및 그 매수(NumPocLtCurr)를 산출한다(S603).
다음으로, 참조 픽처 리스트 산출부(115)는 NumPocStCurrBefore, NumPocStCurrAfter 및 NumPocLtCurr를 가산함으로써, 인터 예측에 있어서 참조 가능한 참조 픽처의 합계 매수(NumPocTotalCurr)를 산출한다(S604).
다음으로, 참조 픽처 리스트 산출부(115)는 부호화 대상 픽처가 논베이스뷰에 포함되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S605). 또한, 이 판정은 예를 들면 각 뷰의 부호화(복호) 순으로 할당된 VOIdx(View Order Index), 특정 nal_type 또는 각 뷰에 할당된 view_id 등에 근거해서 실시되어도 된다. 판정 방법은 어떠한 방법이더라도 상관없다.
본 실시 형태의 예에서는 VOIdx가 이용된다. VOIdx가 0인 경우, 참조 픽처 리스트 산출부(115)는 부호화 대상 픽처가 베이스뷰에 포함된다고 판정한다. 한편, VOIdx가 0이 아닌 경우, 참조 픽처 리스트 산출부(115)는 부호화 대상 픽처가 논베이스뷰에 포함된다고 판정한다.
판정 결과가 참인 경우(S605에서 Yes), 즉 부호화 대상 픽처가 논베이스뷰에 포함될 경우, 참조 픽처 리스트 산출부(115)는 num_inter-view_reference[VOIdx]을 NumPocTotalCurr에 가산한다(S606).
여기서, num_inter-view_reference[VOIdx]은 부호화 대상 픽처로부터 뷰간 예측에서 참조 가능한 참조 픽처의 매수이다. 또, 뷰간 예측이란 부호화 대상 픽처가 속하는 뷰와는 다른 뷰의 픽처를 참조해서 예측 화상이 생성되는 것을 나타낸다.
다음으로, 참조 픽처 리스트 산출부(115)는 후술하는 방법으로 제1 예측방향의 참조 픽처 리스트 RefPicList0 및 제2 예측방향의 참조 픽처 리스트 RefPicList1를 산출한다(S607, S608).
도 14는 도 13의 S607의 상세한 처리 흐름으로, 제1 예측방향의 참조 픽처 리스트 RefPicList0를 산출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이하, 도 14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참조 픽처 리스트 산출부(115)는 도 13의 S601에서 산출된 표시 순서에 해당하는 참조 픽처를 산출된 NumPocStCurrBefore매 분량 참조 픽처 리스트 RefPicListTemp0에 추가한다(S701). 다음으로, 참조 픽처 리스트 산출부(115)는 도 13의 S602에서 산출된 표시 순서에 해당하는 참조 픽처를 산출된 NumPocStCurrAfter매 분량 참조 픽처 리스트 RefPicListTemp0에 추가한다(S702).
다음으로, 참조 픽처 리스트 산출부(115)는 도 13의 S603에서 산출된 표시 순서에 해당하는 참조 픽처를 산출된 NumPocLtCurr매 분량 참조 픽처 리스트 RefPicListTemp0에 추가한다(S703).
다음으로, 참조 픽처 리스트 산출부(115)는 부호화 대상 픽처가 논베이스뷰에 포함되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S704). 또한, 이 판정은 예를 들면 각 뷰의 부호화(복호) 순으로 할당된 VOIdx(View Order Index), 특정 nal_type 또는 각 뷰에 할당된 view_id 등에 근거해서 실시되어도 된다. 판정 방법은 어떠한 방법이더라도 상관없다.
본 실시 형태의 예에서는 VOIdx가 이용된다. VOIdx가 0인 경우, 참조 픽처 리스트 산출부(115)는 부호화 대상 픽처가 베이스뷰에 포함된다고 판정한다. 한편, VOIdx가 0이 아닌 경우, 참조 픽처 리스트 산출부(115)는 부호화 대상 픽처가 논베이스뷰에 포함된다고 판정한다.
판정 결과가 참인 경우(S704에서 Yes), 즉 부호화 대상 픽처가 논베이스뷰에 포함될 경우, 참조 픽처 리스트 산출부(115)는 참조 픽처를 참조 픽처 리스트 RefPicListTemp0에 추가한다(S705). 구체적으로는, 이 경우, 참조 픽처 리스트 산출부(115)는 부호화 대상 픽처로부터 뷰간 예측을 이용해서 참조 가능한 참조 픽처를 num_inter-view_reference[VOIdx]매 분량 참조 픽처 리스트 RefPicListTemp0에 추가한다.
다음으로, 참조 픽처 리스트 산출부(115)는 S701∼S705에서 얻어진 참조 픽처 리스트 RefPicListTemp0를 이용하여 참조 픽처 리스트 RefPicList0를 산출한다. 산출되는 참조 픽처 리스트 RefPicList0의 참조 픽처의 매수는, 부호화 대상 픽처(또는 슬라이스)로부터 제1 예측방향에 있어서 참조 가능한 참조 픽처의 매수(num_ref_l0_active_minus1+1)와 동일하다.
참조 픽처 리스트 산출부(115)는, 참조 픽처 리스트 RefPicList0를 플래그의 값에 따라 산출한다. 구체적으로는, 참조 픽처 리스트 산출부(115)는 제1 예측방향의 참조 픽처 리스트를 수정할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 ref_pic_list_modification_flag_l0이 1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S706).
그리고, 참이면(S706에서 Yes), 참조 픽처 리스트 산출부(115)는 참조 픽처 리스트 RefPicListTemp0와 list_entry_l0[cIdx](cIdx는 0에서 num_ref_l0_active_minus1)의 값에 따라 참조 픽처 리스트 RefPicList0를 산출한다(S707).
구체적으로는, 참조 픽처 리스트 산출부(115)는 RefPicList0[cIdx]에 RefPicListTemp0[list_entry_l0[cIdx]]을 할당하고, 참조 픽처 리스트 RefPicList0를 산출한다.
여기서, list_entry_l0[cIdx]은 제1 예측방향의 참조 픽처 리스트를 수정하기 위해 이용되는 파라미터(수정 리스트)이다. 이 파라미터는 cIdx번째 참조 픽처 인덱스를 list_entry_l0[cIdx]번째 참조 픽처 인덱스에 할당하기 위해 이용되며, 슬라이스 헤더 등에 부가된다.
또한, list_entry_l0[cIdx] 값의 범위는 NumPocTotalCurr의 값에 근거하고 있으며, 0 이상이면서 (NumPocTotalCurr-1) 이하로 한정된다.
거짓인 경우(S706에서 No), 참조 픽처 리스트 산출부(115)는 참조 픽처 리스트 RefPicListTemp0를 이용하여 참조 픽처 리스트 RefPicList0를 산출한다(S708). 구체적으로는, 참조 픽처 리스트 산출부(115)는 RefPicList0[cIdx]에 RefPicListTemp0[cIdx]을 할당하고, 참조 픽처 리스트 RefPicList0를 산출한다.
도 15는 도 13의 S608의 상세한 처리 흐름으로, 제2 예측방향의 참조 픽처 리스트 RefPicList1를 산출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이하, 도 15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참조 픽처 리스트 산출부(115)는, 도 13의 S602에서 산출된 표시 순서에 해당하는 참조 픽처를 산출된 NumPocStCurrAfter매 분량 참조 픽처 리스트 RefPicListTemp1에 추가한다(S801). 다음으로, 참조 픽처 리스트 산출부(115)는 도 13의 S601에서 산출된 표시 순서에 해당하는 참조 픽처를 산출된 NumPocStCurrBefore매 분량 참조 픽처 리스트 RefPicListTemp1에 추가한다(S802).
다음으로, 참조 픽처 리스트 산출부(115)는 도 13의 S603에서 산출된 표시 순서에 해당하는 참조 픽처를 산출된 NumPocLtCurr매 분량 참조 픽처 리스트 RefPicListTemp1에 추가한다(S803).
다음으로, 참조 픽처 리스트 산출부(115)는 부호화 대상 픽처가 논베이스뷰에 포함되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S804). 또한, 이 판정은 예를 들면 각 뷰의 부호화(복호) 순으로 할당된 VOIdx(View Order Index), 특정 nal_type 또는 각 뷰에 할당된 view_id 등에 근거해서 실시되어도 된다. 판정 방법은 어떠한 방법이더라도 상관없다.
본 실시 형태의 예에서는 VOIdx가 이용된다. VOIdx가 0인 경우, 참조 픽처 리스트 산출부(115)는 부호화 대상 픽처가 베이스뷰에 포함된다고 판정한다. 한편, VOIdx가 0이 아닌 경우, 참조 픽처 리스트 산출부(115)는 부호화 대상 픽처가 논베이스뷰에 포함된다고 판정한다.
판정 결과가 참인 경우(S804에서 Yes), 즉 부호화 대상 픽처가 논베이스뷰에 포함될 경우, 참조 픽처 리스트 산출부(115)는 참조 픽처를 참조 픽처 리스트 RefPicListTemp1에 추가한다(S805). 구체적으로는, 이 경우, 참조 픽처 리스트 산출부(115)는 부호화 대상 픽처로부터 뷰간 예측을 이용해서 참조 가능한 참조 픽처를 num_inter-view_reference[VOIdx]매 분량 참조 픽처 리스트 RefPicListTemp1에 추가한다.
다음으로, 참조 픽처 리스트 산출부(115)는 S801∼S805에서 얻어진 참조 픽처 리스트 RefPicListTemp1를 이용하여 참조 픽처 리스트 RefPicList1를 산출한다. 산출되는 참조 픽처 리스트 RefPicList1의 참조 픽처의 매수는, 부호화 대상 픽처(또는 슬라이스)로부터 제2 예측방향에 있어서 참조 가능한 참조 픽처의 매수(num_ref_l1_active_minus1+1)와 동일하다.
참조 픽처 리스트 산출부(115)는 참조 픽처 리스트 RefPicList1를 플래그의 값에 따라 산출한다. 구체적으로는, 참조 픽처 리스트 산출부(115)는 제2 예측방향의 참조 픽처 리스트를 수정할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 ref_pic_list_modification_flag_l1가 1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S806).
그리고, 참이면(S806에서 Yes), 참조 픽처 리스트 산출부(115)는 참조 픽처 리스트 RefPicListTemp1와 list_entry_l1[cIdx](cIdx는 0에서 num_ref_l1_active_minus1)의 값에 따라 참조 픽처 리스트 RefPicList1를 산출한다(S807).
구체적으로는, 참조 픽처 리스트 산출부(115)는 RefPicList1[cIdx]에 RefPicListTemp1[list_entry_l1[cIdx]]을 할당하고, 참조 픽처 리스트 RefPicList1를 산출한다.
여기서, list_entry_l1[cIdx]은 제2 예측방향의 참조 픽처 리스트를 수정하기 위해 이용되는 파라미터(수정 리스트)이다. 이 파라미터는 cIdx번째 참조 픽처 인덱스를 list_entry_l1[cIdx]번째 참조 픽처 인덱스에 할당하기 위해 이용되며, 슬라이스 헤더 등에 부가된다.
또한, list_entry_l1[cIdx] 값의 범위는 NumPocTotalCurr의 값에 근거하고 있으며, 0 이상이면서 (NumPocTotalCurr-1) 이하로 한정된다.
거짓인 경우(S806에서 No), 참조 픽처 리스트 산출부(115)는 참조 픽처 리스트 RefPicListTemp1를 이용하여 참조 픽처 리스트 RefPicList1를 산출한다(S808). 구체적으로는, 참조 픽처 리스트 산출부(115)는 RefPicList1[cIdx]에 RefPicListTemp1[cIdx]을 할당하고, 참조 픽처 리스트 RefPicList1를 산출한다.
도 16은 다른 뷰의 픽처가 참조 픽처로서 이용되는 경우의 참조 픽처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의 예에서는 부호화 대상 픽처는 논베이스뷰에 속해 있으며, VOIdx는 2이다.
또, 부호화 대상 픽처보다도 표시 순서가 앞이면서 인터 예측에서 참조 가능한 쇼트텀 픽처는 쇼트텀 픽처 St1 및 St2이며, 그 매수 NumPocStCurrBefore는 2이다. 또, 부호화 대상 픽처보다도 표시 순서가 나중이면서 인터 예측에서 참조 가능한 쇼트텀 픽처는 쇼트텀 픽처 St3 및 St4이며, 그 매수 NumPocStCurrAfter는 2이다.
또, 인터 예측에 있어서 참조 가능한 롱텀 픽처는 롱텀 픽처 Lt이며, 그 매수 NumPocLtCurr는 1이다. 또, 뷰간 예측에 있어서 참조 가능한 참조 픽처(inter-view 참조 픽처)는 inter-view 참조 픽처 Iv1 및 Iv2이며, 그 매수 num_inter-view_reference[VOIdx]은 2이다.
이 경우, 부호화 대상 픽처가 인터 예측에 있어서 참조 가능한 매수 NumPocTotalCurr는 5(=2+2+1)이다. 그 값에 뷰간 예측에서 참조 가능한 매수 num_inter-view_reference[VOIdx]가 가산된다. 이에 의해 NumPocTotalCurr은 7로 설정된다.
도 16과 같은 경우에, 예를 들면 (num_ref_l0_active_minus1+1)이 5이면서 ref_pic_list_modification_flag_l0이 0인 경우, 제1 예측방향의 참조 픽처 리스트 RefPicList0에는 St2, St1, St3, St4, Lt, Iv1, Iv2의 순으로 참조 픽처가 할당된다.
또, 예를 들면 (num_ref_l1_active_minus1+1)이 5이면서 ref_pic_list_modification_flag_l1이 0인 경우, 제2 예측방향의 참조 픽처 리스트 RefPicList1에는 St3, St4, St2, St1, Lt, Iv1, Iv2의 순으로 참조 픽처가 할당된다.
또, 예를 들면 (num_ref_l0_active_minus1+1)이 5이면서 ref_pic_list_modification_flag_l0이 1이면서 list_entry_l0의 값이 {6, 5, 4, 3, 2, 1, 0}인 경우, 제1 예측방향의 참조 픽처 리스트 RefPicList0에는 Iv2, Iv1, Lt, St4, St3, St1, St2의 순으로 참조 픽처가 할당된다.
또, 예를 들면 (num_ref_l1_active_minus1+1)이 5이면서 ref_pic_list_modification_flag_l1이 1이면서 list_entry_l1의 값이 {1, 0, 4, 2, 3, 6, 5}인 경우, 제2 예측방향의 참조 픽처 리스트 RefPicList1에는 St4, St3, Lt, St2, St1, Iv2, Iv1의 순으로 참조 픽처가 할당된다.
다른 뷰가 참조되는 경우라도, 도 11a∼도 11d에 나타난 신택스가 이용되어도 된다.
또, 상술대로, 참조 픽처 리스트로서 RefPicSetStCurrBefore, RefPicSetStCurrAfter, RefPicSetStFoll, RefPicSetLtCurr 및 RefPicSetLtFoll이 있다. NumPocTotalCurr은 NumPocStCurrBefore+NumPocStCurrAfter+NumPocLtCurr와 동일하다. P 슬라이스 또는 B 슬라이스의 부호화 및 복호에 있어서, NumPocTotalCurr은 0이 아니다.
또한, 부호화 대상 픽처가 논베이스뷰에 포함된다면(VOIdx!=0), 뷰간 예측에 있어서 참조 가능한 참조 픽처의 매수 num_inter-view_reference[VOIdx]가 NumPocTotalCurr에 가산된다. 또한, MVC(다시점 영상 부호화)에 있어서, num_inter-view_reference는 num_anchor_refs_lX[i] 또는 num_anchor_refs_lX[i]와 동일하다.
또, 다른 뷰가 참조되는 경우라도, 제1 예측방향의 참조 픽처 리스트 RefPicList0의 산출에 도 12a 및 도 12b에 나타난 산출예가 이용되어도 된다. 그에 더해, 부호화 대상 픽처가 논베이스뷰에 포함된다면(VOIdx!=0), 뷰간 예측에 있어서 참조 가능한 참조 픽처가 참조 픽처 리스트 RefPicListTemp0에 추가된다. 추가되는 참조 픽처의 수는 num_inter-view_reference와 동일하다.
구체적으로는, 0에서 num_inter-view_reference[VOIdx]-1까지의 참조 뷰 인덱스 j에 대해, inter-view_reference[VOIdx][j]에 대응하는 참조 픽처가 RefPicListTemp0 및 RefPicList0에 추가된다.
마찬가지로, 다른 뷰가 참조되는 경우라도, 제2 예측방향의 참조 픽처 리스트 RefPicList1의 산출에 도 12c 및 도 12d에 나타난 산출예가 이용되어도 된다. 그에 더해, 부호화 대상 픽처가 논베이스뷰에 포함된다면(VOIdx!=0), 뷰간 예측에 있어서 참조 가능한 참조 픽처가 참조 픽처 리스트 RefPicListTemp1에 추가된다. 추가되는 참조 픽처의 수는 num_inter-view_reference와 동일하다.
구체적으로는, 0에서 num_inter-view_reference[VOIdx]-1까지의 참조 뷰인덱스 j에 대해, inter-view_reference[VOIdx][j]에 대응하는 참조 픽처가 RefPicListTemp1 및 RefPicList1에 추가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부호화 대상 픽처로부터 다른 뷰의 픽처가 참조되는 경우, 예를 들면 논베이스뷰에 포함되는 픽처가 부호화되는 경우, 다른 뷰의 픽처가 참조 픽처로서 부호화 대상 픽처의 참조 픽처 리스트에 추가된다. 이에 의해 다른 뷰의 픽처가 참조 픽처 리스트에 있어서 참조 가능하게 설정되어, 부호화 효율이 향상한다.
또, 인터 예측에서 참조 가능한 참조 픽처의 매수 NumPocTotalCurr에 NumPocStCurrBefore, NumPocStCurrAfter 및 NumPocLtCurr의 총합이 설정된다.
또, NumPocTotalCurr에 뷰간 예측에서 참조 가능한 참조 픽처의 매수 num_inter-view_reference[VOIdx]가 가산된다. 이에 의해 NumPocTotalCurr가 산출된다. 그리고, NumPocTotalCurr의 값에 근거해서 설정 가능한 값이 변동하는 list_entry_l0 및 list_entry_l1 등의 파라미터가 이용된다.
이에 의해 참조 픽처 리스트에 할당되는 참조 픽처를 유연하게 변경하는 것이 가능해서, 부호화 효율이 향상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부호화 대상 픽처로부터 다른 뷰의 픽처가 참조되는 경우, 예를 들면 논베이스뷰에 포함되는 픽처가 부호화되는 경우가 예로 나타나 있다. 그러나, 적용 범위는 이에는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부호화 대상 픽처로부터 다른 레이어의 픽처가 참조되는 경우에, 본 실시 형태에서 나타난 방법이 적용되어도 된다.
예를 들면 본 실시 형태에서 나타난 방법이 SVC(Scalable Video Coding) 등에 적용되어도 된다. 이 경우, 예를 들면 인터 예측에서 참조 가능한 매수 NumPocTotalCurr에 NumPocStCurrBefore, NumPocStCurrAfter 및 NumPocLtCurr의 총합이 설정된다. 또, NumPocTotalCurr에 다른 레이어에 포함되는 참조 가능한 참조 픽처의 매수가 가산되어도 된다.
그리고, 상기와 마찬가지로, NumPocTotalCurr의 값에 근거해서 설정 가능한 값이 변동하는 list_entry_l0 및 list_entry_l1 등의 파라미터가 이용된다. 이에 의해 참조 픽처 리스트에 할당되는 참조 픽처를 유연하게 변경하는 것이 가능해서, 부호화 효율이 향상한다.
(실시 형태 2)
도 17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화상 복호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7과 같이, 화상 복호 장치(200)는 가변길이 복호부(204), 역양자화부(205), 역직교변환부(206), 가산부(207), 블록 메모리(208), 프레임 메모리(209), 인트라 예측부(210), 인터 예측부(211), 전환부(212), 인터 예측 제어부(214), 참조 픽처 리스트 산출부(215) 및 예측 움직임 벡터 후보 산출부(216)를 구비한다.
가변길이 복호부(204)는 입력된 비트 스트림에 대해 가변길이 복호처리를 실시하여 픽처 타입 정보, 예측방향 플래그, 양자화 계수 및 참조 픽처 리스트 정보를 생성한다. 또, 가변길이 복호부(204)는 헤더 등으로부터 복호된 예측 움직임 벡터 후보 수를 이용하여 예측 움직임 벡터 인덱스의 가변길이 복호처리를 실시한다.
역양자화부(205)는 가변길이 복호처리에 의해 얻어진 양자화 계수에 대해 역양자화 처리를 실시한다. 역직교변환부(206)는 역양자화 처리에서 얻어진 직교변환 계수를 주파수 영역에서 화소 영역으로 변환하고, 예측 오차 화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블록 메모리(208)는 예측 오차 화상 데이터와 예측 화상 데이터의 가산으로 생성된 화상을 블록 단위로 보존한다. 그리고, 프레임 메모리(209)는 화상을 프레임 단위로 보존한다.
인트라 예측부(210)는 블록 메모리(208)에 보존되어 있는 블록 단위의 화상을 이용하여 인트라 예측을 실행함으로써, 복호 대상 블록(현재 블록)의 예측 오차 화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인터 예측부(211)는 프레임 메모리(209)에 보존되어 있는 프레임 단위의 화상을 이용하여 인터 예측을 실행함으로써, 복호 대상 블록의 예측 오차 화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참조 픽처 리스트 산출부(215)는 후술하는 방법으로 복호 대상 픽처(현재 픽처) 또는 슬라이스를 복호하기 위한 참조 픽처 리스트를 산출하고, 인터 예측 제어부(214) 및 예측 움직임 벡터 후보 산출부(216)에 출력한다.
예측 움직임 벡터 후보 산출부(216)는 복호 대상 블록의 인접 블록의 움직임 벡터 등의 정보 및 colPic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co-located 블록의 움직임 벡터 등의 정보를 이용하여 예측 움직임 벡터 후보를 도출한다. 또, 예측 움직임 벡터 후보 산출부(216)는 도출된 예측 움직임 벡터 후보에 대해 예측 움직임 벡터 인덱스의 값을 할당하고, 예측 움직임 벡터 후보를 인터 예측 제어부(214)에 보낸다.
인터 예측 제어부(214)는 예측 움직임 벡터 후보로부터 복호된 예측 움직임 벡터 인덱스에 근거하여 인터 예측에 이용되는 움직임 벡터를 산출하고, 산출된 움직임 벡터를 이용해서 인터 예측 화상을 생성한다.
마지막으로, 가산부(207)는 복호된 예측 화상 데이터와 예측 오차 화상 데이터를 가산함으로써, 복호 화상을 생성한다.
도 18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화상 복호 방법의 처리 흐름의 개요이다. 우선, 가변길이 복호부(204)는 SPS, PPS 또는 슬라이스 헤더 등으로부터 참조 픽처 리스트의 산출에 이용되는 참조 픽처 리스트 정보를 복호한다(S901). 참조 픽처 리스트 산출부(215)는 도 7 또는 도 13과 같은 방법으로 참조 픽처 리스트를 산출한다(S902). 가변길이 복호부(204)는 예측방향 플래그, 참조 픽처 인덱스 및 차분 움직임 벡터를 복호한다(S903).
예측 움직임 벡터 후보 산출부(216)는 복호 대상 블록의 인접 블록 및 co-located 블록에 근거하여 예측 움직임 벡터 후보를 생성한다. 또, 가변길이 복호부(204)는 가변길이 복호에서 얻어진 예측 움직임 벡터 후보 리스트 사이즈를 이용하여 비트 스트림에 포함되는 예측 움직임 벡터 인덱스를 가변길이 복호한다(S904).
인터 예측 제어부(214)는 복호된 예측 움직임 벡터 인덱스가 나타내는 예측 움직임 벡터 후보에 복호된 차분 움직임 벡터를 가산함으로써, 움직임 벡터를 산출한다. 그리고, 인터 예측부(211)는 인터 예측 화상을 생성한다(S905).
또한, 도 18의 S902에 있어서, 다른 뷰의 픽처가 참조되지 않고 복호 대상 픽처가 복호되는 경우, 참조 픽처 리스트 산출부(215)는 도 7과 같은 방법으로 참조 픽처 리스트를 산출한다. 그리고, 다른 뷰의 픽처를 참조해서 복호 대상 픽처가 복호되는 경우, 참조 픽처 리스트 산출부(215)는 도 13과 같은 방법으로 참조 픽처 리스트를 산출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다른 뷰가 참조되지 않는 경우, 예를 들면 베이스뷰가 복호되는 경우, 인터 예측에서 참조 가능한 참조 픽처의 매수 NumPocTotalCurr에 NumPocStCurrBefore, NumPocStCurrAfter 및 NumPocLtCurr의 총합이 설정된다. 그리고, NumPocTotalCurr의 값에 근거해서 설정 가능한 값이 변동하는 list_entry_l0 및 list_entry_l1 등의 파라미터가 이용된다.
이에 의해 참조 픽처 리스트에 할당되는 참조 픽처가 유연하게 변경된다. 따라서, 고효율의 부호화에 대응하는 복호가 가능하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복호 대상 픽처로부터 다른 뷰의 픽처가 참조되는 경우, 예를 들면 논베이스뷰에 포함되는 픽처가 복호되는 경우, 다른 뷰의 픽처가 참조 픽처로서 복호 대상 픽처의 참조 픽처 리스트에 추가된다. 이에 의해, 다른 뷰의 픽처가 참조 픽처 리스트에 있어서 참조 가능하게 설정된다. 따라서, 고효율의 부호화에 대응하는 복호가 가능하다.
또, 인터 예측에서 참조 가능한 참조 픽처의 매수 NumPocTotalCurr에 NumPocStCurrBefore, NumPocStCurrAfter 및 NumPocLtCurr의 총합이 설정된다.
또, NumPocTotalCurr에 뷰간 예측에서 참조 가능한 참조 픽처의 매수 num_inter-view_reference[VOIdx]가 가산된다. 그리고, NumPocTotalCurr의 값에 근거해서 설정 가능한 값이 변동하는 list_entry_l0 및 list_entry_l1 등의 파라미터가 이용된다.
이에 의해, 참조 픽처 리스트에 할당되는 참조 픽처가 유연하게 변경된다. 따라서, 고효율의 부호화에 대응하는 복호가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복호 대상 픽처로부터 다른 뷰의 픽처가 참조되는 경우, 예를 들면 논베이스뷰에 포함되는 픽처가 복호되는 경우가 예로 나타나 있다. 그러나, 적용 범위는 이에는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복호 대상 픽처로부터 다른 레이어의 픽처가 참조되는 경우에, 본 실시 형태에서 나타난 방법이 적용되어도 된다.
예를 들면 본 실시 형태에서 나타난 방법이 SVC(Scalable Video Coding) 등에 적용되어도 된다. 이 경우, 예를 들면 인터 예측에서 참조 가능한 매수 NumPocTotalCurr에 NumPocStCurrBefore, NumPocStCurrAfter 및 NumPocLtCurr의 총합이 설정된다. 또, NumPocTotalCurr에 다른 레이어에 포함되는 참조 가능한 참조 픽처의 매수가 가산되어도 된다.
그리고, 상기와 마찬가지로, NumPocTotalCurr의 값에 근거해서 설정 가능한 값이 변동하는 list_entry_l0 및 list_entry_l1 등의 파라미터가 이용된다. 이에 의해 참조 픽처 리스트에 할당되는 참조 픽처가 유연하게 변경되어, 고효율의 부호화에 대응하는 복호가 가능하다.
(실시 형태 3)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복수의 실시 형태에서 나타난 특징적인 구성 및 특징적인 순서가 확인적으로 나타난다.
도 19는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화상 부호화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9와 같이, 화상 부호화 장치(300)는 생성부(301) 및 부호화부(302)를 구비한다. 생성부(301)는 실시 형태 1의 참조 픽처 리스트 산출부(115) 등에 대응한다. 부호화부(302)는 실시 형태 1의 인터 예측 제어부(114), 인터 예측부(111) 및 가변길이 부호화부(104) 등에 대응한다.
도 20은 도 19에 나타난 화상 부호화 장치(300)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화상 부호화 장치(300)는 이하의 동작에 근거하여 현재 픽처를 블록마다 부호화한다.
우선, 생성부(301)는 현재 픽처의 부호화에 있어서 참조 가능한 참조 픽처에 참조 픽처 인덱스를 할당한다. 그리고, 생성부(301)는 참조 픽처 인덱스가 할당된 참조 픽처를 포함하는 참조 픽처 리스트를 생성한다(S1001). 그때, 생성부(301)는 현재 픽처가 속하는 현재 뷰와는 다른 참조 뷰에 속하는 참조 픽처가 현재 픽처의 부호화에 있어서 참조될 가능성이 있는 경우, 참조 뷰에 속하는 참조 픽처를 참조 픽처 리스트에 추가한다.
다음으로, 부호화부(302)는 현재 픽처에 포함되는 현재 블록의 부호화에 있어서 참조되는 참조 픽처를 참조 픽처 리스트로부터 특정한다. 그리고, 부호화부(302)는 특정된 참조 픽처를 참조하여 현재 블록을 부호화한다(S1002).
이에 의해, 뷰간 예측이 가능한 경우, 참조 픽처 리스트에 뷰간 예측을 위한 참조 픽처가 추가된다. 따라서, 참조 픽처 리스트로부터 보다 적절한 참조 픽처의 선택이 가능하다. 따라서, 부호화 효율이 향상한다.
또, 생성부(301)는 소정의 파라미터(수정 리스트 등)를 이용하여 참조 픽처 리스트를 생성해도 된다. 그리고, 부호화부(302)는 참조 픽처 리스트의 생성에 이용된 파라미터를 부호화해도 된다.
또한, 생성부(301)는 참조 뷰에 속하는 참조 픽처가 현재 픽처의 부호화에 있어서 참조될 가능성이 있는 경우, 현재 픽처의 부호화에 있어서 참조 가능한 참조 픽처의 수를 산출해도 된다. 예를 들면 이 경우, 생성부(301)는 현재 뷰에 속하는 참조 가능한 참조 픽처의 수에 참조 뷰에 속하는 참조 가능한 참조 픽처의 수를 가산함으로써, 현재 픽처의 부호화에 있어서 참조 가능한 참조 픽처의 수를 산출한다.
그리고, 이 경우, 생성부(301)는 참조 픽처 리스트에 포함되는 참조 픽처에 대해 할당된 참조 픽처 인덱스를 수정하기 위한 수정 리스트 값의 범위를 산출된 수에 근거해서 결정해도 된다.
또, 예를 들면 생성부(301)는 현재 뷰가 논베이스뷰인지의 여부에 근거하여 참조 뷰에 속하는 참조 픽처가 현재 픽처의 부호화에 있어서 참조될 가능성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해도 된다. 또, 예를 들면 생성부(301)는 부호화순으로 현재 뷰에 대해 할당된 뷰 오더 인덱스에 근거하여 현재 뷰가 논베이스뷰인지의 여부를 판정해도 된다.
도 21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화상 복호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1과 같이, 화상 복호 장치(400)는 생성부(401) 및 복호부(402)를 구비한다. 생성부(401)는 실시 형태 2의 참조 픽처 리스트 산출부(215) 등에 대응한다. 복호부(402)는 실시 형태 2의 인터 예측 제어부(214), 인터 예측부(211) 및 가변길이 복호부(204) 등에 대응한다.
도 22는 도 21에 나타난 화상 복호 장치(400)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화상 복호 장치(400)는 이하의 동작에 근거하여 현재 픽처를 블록마다 복호한다.
우선, 생성부(401)는 현재 픽처의 복호에 있어서 참조 가능한 참조 픽처에 참조 픽처 인덱스를 할당한다. 그리고, 생성부(401)는 참조 픽처 인덱스가 할당된 참조 픽처를 포함하는 참조 픽처 리스트를 생성한다(S1101). 그때, 생성부(401)는 현재 픽처가 속하는 현재 뷰와는 다른 참조 뷰에 속하는 참조 픽처가 현재 픽처의 복호에 있어서 참조될 가능성이 있는 경우, 참조 뷰에 속하는 참조 픽처를 참조 픽처 리스트에 추가한다.
다음으로, 복호부(402)는 현재 픽처에 포함되는 현재 블록의 복호에 있어서 참조되는 참조 픽처를 참조 픽처 리스트로부터 특정한다. 그리고, 복호부(402)는 특정된 참조 픽처를 참조하여 현재 블록을 복호한다(S1102).
이에 의해 뷰간 예측이 가능한 경우, 참조 픽처 리스트에 뷰간 예측을 위한 참조 픽처가 추가된다. 따라서, 참조 픽처 리스트로부터 보다 적절한 참조 픽처의 선택이 가능하다. 따라서, 고효율의 부호화에 대응하는 복호가 가능하다.
또한, 복호부(402)는 참조 픽처 리스트의 생성에 이용되는 소정의 파라미터(수정 리스트 등)를 복호해도 된다. 그리고, 생성부(401)는 복호된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참조 픽처 리스트를 생성해도 된다.
또, 생성부(401)는 참조 뷰에 속하는 참조 픽처가 현재 픽처의 복호에 있어서 참조될 가능성이 있는 경우, 현재 픽처의 복호에 있어서 참조 가능한 참조 픽처의 수를 산출해도 된다. 예를 들면 이 경우, 생성부(401)는 현재 뷰에 속하는 참조 가능한 참조 픽처의 수에 참조 뷰에 속하는 참조 가능한 참조 픽처의 수를 가산함으로써, 현재 픽처의 복호에 있어서 참조 가능한 참조 픽처의 수를 산출한다.
그리고, 이 경우, 생성부(401)는 참조 픽처 리스트에 포함되는 참조 픽처에 대해 할당된 참조 픽처 인덱스를 수정하기 위한 수정 리스트 값의 범위를 산출된 수에 근거해서 결정해도 된다.
또, 예를 들면 생성부(401)는 현재 뷰가 논베이스뷰인지의 여부에 근거하여 참조 뷰에 속하는 참조 픽처가 현재 픽처의 복호에 있어서 참조될 가능성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해도 된다. 또, 예를 들면 생성부(401)는 복호순으로 현재 뷰에 대해 할당된 뷰 오더 인덱스에 근거하여 현재 뷰가 논베이스뷰인지의 여부를 판정해도 된다.
이상대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화상 부호화 장치(300) 및 화상 복호 장치(400)는 참조 픽처 리스트에 다른 뷰의 참조 픽처를 추가한다. 이에 의해 더욱 적절한 참조 픽처의 선택이 가능하다. 따라서, 부호화 효율이 향상한다.
또한, 상기 각 실시 형태에 있어서, 각 구성 요소는 전용 하드웨어로 구성되든지, 각 구성 요소에 적합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실현되어도 된다. 각 구성 요소는, CPU 또는 프로세서 등의 프로그램 실행부가 하드 디스크 또는 반도체 메모리 등의 기록매체에 기록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읽어내서 실행함으로써 실현되어도 된다. 여기서, 상기 각 실시 형태의 화상 부호화 장치 등을 실현하는 소프트웨어는 다음과 같은 프로그램이다.
즉, 이 프로그램은 컴퓨터에 현재 픽처를 블록마다 부호화하는 화상 부호화 방법으로서, 상기 현재 픽처의 부호화에 있어서 참조 가능한 참조 픽처에 참조 픽처 인덱스를 할당하여, 상기 참조 픽처 인덱스가 할당된 상기 참조 픽처를 포함하는 참조 픽처 리스트를 생성하는 생성 단계와, 상기 현재 픽처에 포함되는 현재 블록의 부호화에 있어서 참조되는 참조 픽처를 상기 참조 픽처 리스트로부터 특정하고, 특정된 상기 참조 픽처를 참조하여 상기 현재 블록을 부호화하는 부호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생성 단계에서는 상기 현재 픽처가 속하는 현재 뷰와는 다른 참조 뷰에 속하는 참조 픽처가 상기 현재 픽처의 부호화에 있어서 참조될 가능성이 있는 경우, 상기 참조 뷰에 속하는 참조 픽처를 상기 참조 픽처 리스트에 추가하는 화상 부호화 방법을 실행시킨다.
또, 이 프로그램은 컴퓨터에 현재 픽처를 블록마다 복호하는 화상 복호 방법으로서, 상기 현재 픽처의 복호에 있어서 참조 가능한 참조 픽처에 참조 픽처 인덱스를 할당하여, 상기 참조 픽처 인덱스가 할당된 상기 참조 픽처를 포함하는 참조 픽처 리스트를 생성하는 생성 단계와, 상기 현재 픽처에 포함되는 현재 블록의 복호에 있어서 참조되는 참조 픽처를 상기 참조 픽처 리스트로부터 특정하고, 특정된 상기 참조 픽처를 참조하여 상기 현재 블록을 복호하는 복호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생성 단계에서는 상기 현재 픽처가 속하는 현재 뷰와는 다른 참조 뷰에 속하는 참조 픽처가 상기 현재 픽처의 복호에 있어서 참조될 가능성이 있는 경우, 상기 참조 뷰에 속하는 참조 픽처를 상기 참조 픽처 리스트에 추가하는 화상 복호 방법을 실행시켜도 된다.
또, 각 구성 요소는 회로이어도 된다. 이들 회로는 전체적으로 하나의 회로를 구성해도 되고, 각각 별개의 회로이어도 된다. 또, 각 구성 요소는 범용적인 프로세서로 실현되어도 되고, 전용의 프로세서로 실현되어도 된다.
이상, 하나 또는 복수의 양태에 관한 화상 부호화 장치 등에 대해 실시 형태에 근거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한, 당업자가 생각해 내는 각종 변형을 본 실시행태에 실시한 것이나 다른 실시 형태에서의 구성 요소를 조합하여 구축되는 형태도 하나 또는 복수의 양태의 범위 내에 포함되어도 된다.
예를 들면, 화상 부호화 복호 장치가 화상 부호화 장치 및 화상 복호 장치를 구비해도 된다. 또, 특정 처리부가 실행하는 처리를 다른 처리부가 실행해도 된다. 또, 처리를 실행하는 차례가 변경되어도 되고, 복수의 처리가 병행하여 실행되어도 된다.
(실시 형태 4)
상기 각 실시 형태에서 나타낸 동화상 부호화 방법(화상 부호화 방법) 또는 동화상 복호화 방법(화상 복호 방법)의 구성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억 미디어에 기록함으로써, 상기 각 실시 형태에서 나타낸 처리를 독립된 컴퓨터 시스템에서 간단하게 실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기억 미디어는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IC 카드, 반도체 메모리 등 프로그램을 기록할 수 있는 것이면 된다.
또 여기서, 상기 각 실시 형태에서 나타낸 동화상 부호화 방법(화상 부호화 방법)이나 동화상 복호화 방법(화상 복호 방법)의 응용예와 그를 이용한 시스템을 설명한다. 상기 시스템은, 화상 부호화 방법을 이용한 화상 부호화 장치 및 화상 복호 방법을 이용한 화상 복호 장치로 이루어지는 화상 부호화 복호 장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시스템에서의 다른 구성에 대해 경우에 따라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도 23은 컨텐츠 전송 서비스를 실현하는 컨텐츠 공급 시스템(ex100)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통신 서비스의 제공 구역을 원하는 크기로 분할하고, 각 셀 내에 각각 고정 무선국인 기지국(ex106, ex107, ex108, ex109, ex110)이 설치되어 있다.
이 컨텐츠 공급 시스템(ex100)은, 인터넷(ex101)에 인터넷 서비스 프로바이더(ex102) 및 전화망(ex104) 및 기지국(ex106∼ex110)을 통해 컴퓨터(ex111),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ex112), 카메라(ex113), 휴대전화(ex114), 게임기(ex115) 등의 각 기기가 접속된다.
그러나, 컨텐츠 공급 시스템(ex100)은 도 23과 같은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어느 하나의 요소를 조합하여 접속하도록 해도 된다. 또, 고정 무선국인 기지국(ex106∼ex110)을 통하지 않고 각 기기가 전화망(ex104)에 직접 접속되어도 된다. 또, 각 기기가 근거리 무선 등을 통해 직접 서로 접속되어 있어도 된다.
카메라(ex113)는 디지털 비디오카메라 등의 동화상 촬영이 가능한 기기이며, 카메라(ex116)는 디지털카메라 등의 정지화상 촬영, 동화상 촬영이 가능한 기기이다. 또, 휴대전화(ex114)는 GSM(등록 상표)(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방식,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 W-CDMA(Wideband-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 혹은 LTE(Long Term Evolution) 방식, HSPA(High Speed Packet Access)의 휴대전화기 또는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등이며, 어느 것이어도 상관없다.
컨텐츠 공급 시스템(ex100)에서는 카메라(ex113) 등이 기지국(ex109), 전화망(ex104)을 통해 스트리밍 서버(ex103)에 접속됨으로써, 라이브 전송 등이 가능해진다. 라이브 전송에서는, 사용자가 카메라(ex113)를 이용하여 촬영하는 컨텐츠(예를 들면, 음악 라이브 영상 등)에 대해 상기 각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부호화 처리를 실시하고(즉, 본 발명의 일 양태에 관한 화상 부호화 장치로서 기능한다), 스트리밍 서버(ex103)에 송신한다. 한편, 스트리밍 서버(ex103)는 요구가 있던 클라이언트에 대해 송신된 컨텐츠 데이터를 스트림 전송한다. 클라이언트로는, 상기 부호화 처리된 데이터를 복호화하는 것이 가능한 컴퓨터(ex111), PDA(ex112), 카메라(ex113), 휴대전화(ex114), 게임기(ex115) 등이 있다. 전송된 데이터를 수신한 각 기기에서는, 수신한 데이터를 복호화 처리하여 재생한다(즉, 본 발명의 일 양태에 관한 화상 복호 장치로서 기능한다).
또한, 촬영한 데이터의 부호화 처리는 카메라(ex113)로 실시해도, 데이터의 송신 처리를 하는 스트리밍 서버(ex103)로 실시해도 되며, 서로 분담하여 실시해도 된다. 마찬가지로 전송된 데이터의 복호화 처리는 클라이언트로 실시해도, 스트리밍 서버(ex103)로 실시해도 되며, 서로 분담하여 실시해도 된다. 또, 카메라(ex113)에 한정하지 않고, 카메라(ex116)로 촬영한 정지화상 및/또는 동화상 데이터를 컴퓨터(ex111)를 통해 스트리밍 서버(ex103)에 송신해도 된다. 이 경우의 부호화 처리는 카메라(ex116), 컴퓨터(ex111), 스트리밍 서버(ex103) 중 어느 것으로 실시해도 되며, 서로 분담하여 실시해도 된다.
또, 이들 부호화·복호화 처리는, 일반적으로 컴퓨터(ex111)나 각 기기가 가지는 LSI(ex500)에서 처리한다. LSI(ex500)는, 원 칩이어도 복수 칩으로 이루어지는 구성이어도 된다. 또한, 동화상 부호화·복호화용 소프트웨어를 컴퓨터(ex111) 등으로 판독 가능한 어떠한 기록 미디어(CD-ROM, 플렉시블 디스크, 하드 디스크 등)에 설치하고, 그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부호화·복호화 처리를 실시해도 된다. 또, 휴대전화(ex114)에 카메라가 부착된 경우에는, 그 카메라로 취득한 동화상 데이터를 송신해도 된다. 이때의 동화상 데이터는 휴대전화(ex114)가 가지는 LSI(ex500)로 부호화 처리된 데이터이다.
또, 스트리밍 서버(ex103)는 복수의 서버나 복수의 컴퓨터로서, 데이터를 분산하여 처리하거나 기록하거나 전송하는 것이어도 된다.
이상과 같이 하여, 컨텐츠 공급 시스템(ex100)에서는 부호화된 데이터를 클라이언트가 수신하여 재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컨텐츠 공급 시스템(ex100)에서는 사용자가 송신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클라이언트가 수신하여 복호화하고 재생할 수 있어, 특별한 권리나 설비를 가지지 않은 사용자라도 개인 방송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컨텐츠 공급 시스템(ex100)의 예에 한정하지 않고, 도 2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디지털 방송용 시스템(ex200)에도 상기 각 실시 형태의 적어도 동화상 부호화 장치(화상 부호화 장치) 또는 동화상 복호화 장치(화상 복호 장치) 중 어느 하나를 설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방송국(ex201)에서는 영상 데이터에 음악 데이터 등이 다중화된 다중화 데이터가 전파를 통해 통신 또는 위성(ex202)에 전송된다. 이 영상 데이터는 상기 각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동화상 부호화 방법에 의해 부호화된 데이터이다(즉, 본 발명의 일 양태에 관한 화상 부호화 장치에 의해 부호화된 데이터이다). 이를 받은 방송위성(ex202)은 방송용 전파를 발신하고, 이 전파를 위성방송의 수신이 가능한 가정의 안테나(ex204)가 수신한다. 수신한 다중화 데이터를 텔레비전(수신기)(ex300) 또는 셋탑 박스(STB)(ex217) 등의 장치가 복호화하여 재생한다(즉, 본 발명의 일 양태에 관한 화상 복호 장치로서 기능한다).
또, DVD, BD 등의 기록 미디어(ex215)에 기록한 다중화 데이터를 판독하여 복호화하는, 또는 기록 미디어(ex215)에 영상신호를 부호화하고, 또 경우에 따라서는 음악 신호와 다중화하여 기입하는 리더/리코더(ex218)에도 상기 각 실시 형태에서 나타낸 동화상 복호화 장치 또는 동화상 부호화 장치를 실장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재생된 영상신호는 모니터(ex219)에 표시되고, 다중화 데이터가 기록된 기록 미디어(ex215)에 의해 다른 장치나 시스템에서 영상신호를 재생할 수 있다. 또, 케이블 텔레비전용 케이블(ex203) 또는 위성/지상파 방송의 안테나(ex204)에 접속된 셋탑 박스(ex217) 내에 동화상 복호화 장치를 실장하고, 이를 텔레비전의 모니터(ex219)로 표시해도 된다. 이때 셋탑 박스가 아니라 텔레비전 내에 동화상 복호화 장치를 설치해도 된다.
도 25는 상기 각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동화상 복호화 방법 및 동화상 부호화 방법을 이용한 텔레비전(수신기)(ex300)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텔레비전(ex300)은, 상기 방송을 수신하는 안테나(ex204) 또는 케이블(ex203) 등을 통해 영상 데이터에 음성 데이터가 다중화된 다중화 데이터를 취득 또는 출력하는 튜너(ex301)와, 수신한 다중화 데이터를 복조하는, 또는 외부로 송신하는 다중화 데이터로 변조하는 변조/복조부(ex302)와, 복조한 다중화 데이터를 영상 데이터와 음성 데이터로 분리하는, 또는 신호 처리부(ex306)에서 부호화된 영상 데이터, 음성 데이터를 다중화하는 다중/분리부(ex303)를 구비한다.
또, 텔레비전(ex300)은 음성 데이터, 영상 데이터 각각을 복호화하는 또는 각각의 정보를 부호화하는 음성신호 처리부(ex304), 영상신호 처리부(ex305)(본 발명의 일 양태에 관한 화상 부호화 장치 또는 화상 복호 장치로서 기능한다)를 가지는 신호 처리부(ex306)와, 복호화한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ex307), 복호화한 영상신호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등의 표시부(ex308)를 가지는 출력부(ex309)를 가진다. 또, 텔레비전(ex300)은 사용자 조작의 입력을 받아들이는 조작 입력부(ex312) 등을 가지는 인터페이스부(ex317)를 가진다. 또, 텔레비전(ex300)은 각 부를 통괄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ex310), 각 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 회로부(ex311)를 가진다. 인터페이스부(ex317)는 조작 입력부(ex312) 이외에 리더/리코더(ex218) 등의 외부 기기와 접속되는 브리지(ex313), SD 카드 등의 기록 미디어(ex216)를 장착 가능하게 하기 위한 슬롯부(ex314), 하드 디스크 등의 외부 기록 미디어와 접속하기 위한 드라이버(ex315), 전화망과 접속하는 모뎀(ex316) 등을 가지고 있어도 된다. 또한 기록 미디어(ex216)는 저장하는 비휘발성/휘발성 반도체 메모리 소자에 의해 전기적으로 정보의 기록을 가능하게 한 것이다. 텔레비전(ex300)의 각 부는 동기 버스를 통해 서로 접속되어 있다.
우선, 텔레비전(ex300)이 안테나(ex204) 등에 의해 외부로부터 취득한 다중화 데이터를 복호화하고, 재생하는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텔레비전(ex300)은 리모트 컨트롤러(ex220) 등으로부터의 사용자 조작을 받고, CPU 등을 가지는 제어부(ex310)의 제어에 근거하여 변조/복조부(ex302)에서 복조한 다중화 데이터를 다중/분리부(ex303)에서 분리한다. 또, 텔레비전(ex300)은 분리한 음성 데이터를 음성신호 처리부(ex304)에서 복호화하고, 분리한 영상 데이터를 영상신호 처리부(ex305)에서 상기 각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복호화 방법을 이용하여 복호화한다. 복호화한 음성신호, 영상신호는 각각 출력부(ex309)로부터 외부를 향해 출력된다. 출력할 때는 음성신호와 영상신호가 동기하여 재생하도록 버퍼(ex318, ex319) 등에 일단 이들 신호를 축적하면 된다. 또, 텔레비전(ex300)은 방송 등으로부터가 아니라 자기/광디스크, SD 카드 등의 기록 미디어(ex215, ex216)로부터 다중화 데이터를 읽어내도 된다. 다음으로, 텔레비전(ex300)이 음성신호나 영상신호를 부호화하고, 외부로 송신 또는 기록 미디어 등에 기입하는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텔레비전(ex300)은, 리모트 컨트롤러(ex220) 등으로부터의 사용자 조작을 받아 제어부(ex310)의 제어에 근거하여 음성신호 처리부(ex304)에서 음성신호를 부호화하고, 영상신호 처리부(ex305)에서 영상신호를 상기 각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부호화 방법을 이용하여 부호화한다. 부호화한 음성신호, 영상신호는 다중/분리부(ex303)에서 다중화되어 외부로 출력된다. 다중화 시에는, 음성신호와 영상신호가 동기하도록 버퍼(ex320, ex321) 등에 일단 이들 신호를 축적하면 된다. 또한, 버퍼(ex318, ex319, ex320, ex321)는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복수 구비하고 있어도 되고, 하나 이상의 버퍼를 공유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또, 도시한 이외에, 예를 들면 변조/복조부(ex302)나 다중/분리부(ex303) 사이 등에서도 시스템의 오버플로, 언더플로를 피하는 완충재로서 버퍼에 데이터를 축적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또, 텔레비전(ex300)은 방송 등이나 기록 미디어 등으로부터 음성 데이터, 영상 데이터를 취득하는 이외에, 마이크나 카메라의 AV 입력을 받아들이는 구성을 구비하고, 그들로부터 취득한 데이터에 대해 부호화 처리를 실시해도 된다. 또한, 여기서는 텔레비전(ex300)은 상기의 부호화 처리, 다중화 및 외부 출력을 할 수 있는 구성으로 설명했지만, 이들 처리를 할 수 없으면 상기 수신, 복호화 처리, 외부 출력만이 가능한 구성이어도 된다.
또, 리더/리코더(ex218)로 기록 미디어로부터 다중화 데이터를 읽어내는 또는 기입하는 경우에는, 상기 복호화 처리 또는 부호화 처리는 텔레비전(ex300), 리더/리코더(ex218) 중 어느 것으로 실시해도 되며, 텔레비전(ex300)과 리더/리코더(ex218)가 서로 분담하여 실시해도 된다.
일례로, 광디스크로부터 데이터를 읽어 들이거나 또는 기입하는 경우의 정보 재생/기록부(ex400)의 구성을 도 26에 나타낸다. 정보 재생/기록부(ex400)는, 이하에 설명하는 요소(ex401, ex402, ex403, ex404, ex405, ex406, ex407)를 구비한다. 광헤드(ex401)는 광디스크인 기록 미디어(ex215)의 기록면에 레이저 스폿을 조사하여 정보를 기입하고, 기록 미디어(ex215)의 기록면으로부터의 반사광을 검출하여 정보를 읽어 들인다. 변조 기록부(ex402)는, 광헤드(ex401)에 내장된 반도체 레이저를 전기적으로 구동하여 기록 데이터에 따라 레이저광의 변조를 실시한다. 재생 복조부(ex403)는 광헤드(ex401)에 내장된 포토 디텍터에 의해 기록면으로부터의 반사광을 전기적으로 검출한 재생 신호를 증폭하고, 기록 미디어(ex215)에 기록된 신호 성분을 분리하여 복조하고, 필요한 정보를 재생한다. 버퍼(ex404)는, 기록 미디어(ex215)에 기록하기 위한 정보 및 기록 미디어(ex215)로부터 재생한 정보를 일시적으로 보유한다. 디스크 모터(ex405)는 기록 미디어(ex215)를 회전시킨다. 서보 제어부(ex406)는 디스크 모터(ex405)의 회전 구동을 제어하면서 광헤드(ex401)를 소정의 정보 트랙으로 이동시키고, 레이저 스폿의 추종 처리를 실시한다. 시스템 제어부(ex407)는, 정보 재생/기록부(ex400) 전체의 제어를 실시한다. 상기의 읽어내거나 기입하는 처리는 시스템 제어부(ex407)가 버퍼(ex404)에 보유된 각종 정보를 이용하여, 또 필요에 따라 새로운 정보의 생성·추가를 실시함과 함께 변조 기록부(ex402), 재생 복조부(ex403), 서보 제어부(ex406)를 협조 동작시키면서, 광헤드(ex401)를 통해 정보의 기록 재생을 실시함으로써 실현된다. 시스템 제어부(ex407)는 예를 들면 마이크로 프로세서로 구성되고, 리드 라이트(read write)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그들 처리를 실행한다.
이상에서는, 광헤드(ex401)는 레이저 스폿을 조사하는 것으로 설명했지만, 근접장광을 이용하여 보다 고밀도의 기록을 실시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도 27에 광디스크인 기록 미디어(ex215)의 모식도를 나타낸다. 기록 미디어(ex215)의 기록면에는 안내 홈(그루브)이 나선모양으로 형성되고, 정보 트랙(ex230)에는 미리 그루브의 형상 변화에 따라 디스크 상의 절대 위치를 나타내는 번지 정보가 기록되어 있다. 이 번지 정보는 데이터를 기록하는 단위인 기록 블록(ex231)의 위치를 특정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고, 기록이나 재생을 실시하는 장치에서 정보 트랙(ex230)을 재생하여 번지 정보를 판독함으로써 기록 블록을 특정할 수 있다. 또, 기록 미디어(ex215)는 데이터 기록 영역(ex233), 내주 영역(ex232), 외주 영역(ex234)을 포함하고 있다. 사용자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해 이용하는 영역이 데이터 기록 영역(ex233)이고, 데이터 기록 영역(ex233)보다 내주 또는 외주에 배치되어 있는 내주 영역(ex232)과 외주 영역(ex234)은, 사용자 데이터의 기록 이외의 특정 용도로 이용된다. 정보 재생/기록부(ex400)는, 이러한 기록 미디어(ex215)의 데이터 기록 영역(ex233)에 대해 부호화된 음성 데이터, 영상 데이터 또는 그들 데이터를 다중화한 다중화 데이터를 읽고 쓴다.
이상에서는, 한 층의 DVD, BD 등의 광디스크를 예로 들어 설명했지만, 이들에 한정한 것이 아니라 다층 구조로 표면 이외에도 기록 가능한 광디스크이어도 된다. 또, 디스크의 동일한 장소에 여러 다른 파장 색의 광을 이용하여 정보를 기록하거나 다양한 각도에서 다른 정보의 층을 기록하는 등, 다차원적인 기록/재생을 실시하는 구조의 광디스크이어도 된다.
또, 디지털 방송용 시스템(ex200)에서 안테나(ex205)를 가지는 차(ex210)로 위성(ex202) 등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고, 차(ex210)가 가지는 카 내비게이션(ex211) 등의 표시장치에 동화상을 재생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카 내비게이션(ex211)의 구성은 예를 들면 도 25에 나타내는 구성 중 GPS 수신부를 더한 구성을 생각할 수 있으며, 동일한 것을 컴퓨터(ex111)나 휴대전화(ex114) 등에서도 생각할 수 있다.
도 28a는 상기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동화상 복호화 방법 및 동화상 부호화 방법을 이용한 휴대전화(ex114)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휴대전화(ex114)는, 기지국(ex110)과의 사이에서 전파를 송수신하기 위한 안테나(ex350), 영상, 정지화상을 찍는 것이 가능한 카메라부(ex365), 카메라부(ex365)에서 촬상한 영상, 안테나(ex350)로 수신한 영상 등이 복호화된 데이터를 표시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등의 표시부(ex358)를 구비한다. 휴대전화(ex114)는 조작키부(ex366)를 가지는 본체부, 음성을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 등인 음성 출력부(ex357), 음성을 입력하기 위한 마이크 등인 음성 입력부(ex356), 촬영한 영상, 정지화상, 녹음한 음성, 또는 수신한 영상, 정지화상, 메일 등의 부호화된 데이터 혹은 복호화된 데이터를 보존하는 메모리부(ex367) 또는 마찬가지로 데이터를 보존하는 기록 미디어와의 인터페이스부인 슬롯부(ex364)를 더 구비한다.
또, 휴대전화(ex114)의 구성예에 대해 도 28b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휴대전화(ex114)는 표시부(ex358) 및 조작키부(ex366)를 구비한 본체부의 각 부를 통괄적으로 제어하는 주제어부(ex360)에 대해 전원 회로부(ex361), 조작입력 제어부(ex362), 영상신호 처리부(ex355), 카메라 인터페이스부(ex363), LCD(Liquid Crystal Display) 제어부(ex359), 변조/복조부(ex352), 다중/분리부(ex353), 음성신호 처리부(ex354), 슬롯부(ex364), 메모리부(ex367)가 버스(ex370)를 통해 서로 접속되어 있다.
전원 회로부(ex361)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통화 종료 및 전원 키가 온 상태가 되면, 배터리 팩으로부터 각 부에 대해 전력을 공급함으로써 휴대전화(ex114)를 동작 가능한 상태로 기동한다.
휴대전화(ex114)는 CPU, ROM, RAM 등을 가지는 주제어부(ex360)의 제어에 근거하여 음성통화 모드 시에 음성 입력부(ex356)에서 수음한 음성신호를 음성신호 처리부(ex354)에서 디지털 음성신호로 변환하고, 이를 변조/복조부(ex352)에서 스펙트럼 확산 처리하고, 송신/수신부(ex351)에서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 처리 및 주파수 변환 처리를 실시한 후에 안테나(ex350)를 통해 송신한다. 또 휴대전화(ex114)는 음성통화 모드 시에 안테나(ex350)를 통해 수신한 수신 데이터를 증폭하여 주파수 변환 처리 및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 처리를 실시하고, 변조/복조부(ex352)에서 스펙트럼 역확산 처리하고, 음성신호 처리부(ex354)에서 아날로그 음성신호로 변환한 후, 이를 음성 출력부(ex357)로부터 출력한다.
또 데이터 통신 모드 시에 전자 메일을 송신하는 경우, 본체부의 조작키부(ex366) 등의 조작에 의해 입력된 전자 메일의 텍스트 데이터는 조작입력 제어부(ex362)를 통해 주제어부(ex360)로 송출된다. 주제어부(ex360)는 텍스트 데이터를 변조/복조부(ex352)에서 스펙트럼 확산 처리를 하고, 송신/수신부(ex351)에서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 처리 및 주파수 변환 처리를 실시한 후에 안테나(ex350)를 통해 기지국(ex110)으로 송신한다. 전자 메일을 수신하는 경우는, 수신한 데이터에 대해 이 거의 반대의 처리가 실시되고, 표시부(ex358)에 출력된다.
데이터 통신 모드 시에 영상, 정지화상, 또는 영상과 음성을 송신하는 경우, 영상신호 처리부(ex355)는 카메라부(ex365)로부터 공급된 영상신호를 상기 각 실시 형태에서 나타낸 동화상 부호화 방법에 따라 압축 부호화하고(즉, 본 발명의 일 양태에 관한 화상 부호화 장치로서 기능한다), 부호화된 영상 데이터를 다중/분리부(ex353)로 송출한다. 또, 음성신호 처리부(ex354)는 영상, 정지화상 등을 카메라부(ex365)에서 촬상 중에 음성 입력부(ex356)로 수음한 음성신호를 부호화하고, 부호화된 음성 데이터를 다중/분리부(ex353)에 송출한다.
다중/분리부(ex353)는, 영상신호 처리부(ex355)로부터 공급된 부호화된 영상 데이터와 음성신호 처리부(ex354)로부터 공급된 부호화된 음성 데이터를 소정의 방식으로 다중화하고, 그 결과 얻어지는 다중화 데이터를 변조/복조부(변조/복조 회로부)(ex352)에서 스펙트럼 확산 처리를 하고, 송신/수신부(ex351)에서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 처리 및 주파수 변환 처리를 실시한 후에 안테나(ex350)를 통해 송신한다.
데이터 통신 모드 시에 홈페이지 등에 링크된 동화상 파일의 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 또는 영상 및 혹은 음성이 첨부된 전자 메일을 수신하는 경우, 안테나(ex350)를 통해 수신된 다중화 데이터를 복호화하기 위해, 다중/분리부(ex353)는 다중화 데이터를 분리함으로써 영상 데이터의 비트 스트림과 음성 데이터의 비트 스트림으로 나누고, 동기 버스(ex370)를 통해 부호화된 영상 데이터를 영상신호 처리부(ex355)에 공급함과 함께 부호화된 음성 데이터를 음성신호 처리부(ex354)에 공급한다. 영상신호 처리부(ex355)는, 상기 각 실시 형태에서 나타낸 동화상 부호화 방법에 대응한 동화상 복호화 방법에 따라 복호화함으로써 영상신호를 복호하고(즉, 본 발명의 일 양태에 관한 화상 복호 장치로서 기능한다), LCD 제어부(ex359)를 통해 표시부(ex358)로부터 예를 들면 홈페이지에 링크된 동화상 파일에 포함되는 영상, 정지화상이 표시된다. 또 음성신호 처리부(ex354)는 음성신호를 복호하고, 음성 출력부(ex357)로부터 음성이 출력된다.
또, 상기 휴대전화(ex114) 등의 단말은 텔레비전(ex300)과 마찬가지로, 부호화기·복호화기를 모두 가지는 송수신형 단말 외에, 부호화기뿐인 송신 단말, 복호화기뿐인 수신 단말이라는 세 가지 실장 형식을 생각할 수 있다. 또, 디지털 방송용 시스템(ex200)에서, 영상 데이터에 음악 데이터 등이 다중화된 다중화 데이터를 수신, 송신하는 것으로 설명했지만, 음성 데이터 이외에 영상에 관련한 문자 데이터 등이 다중화된 데이터이어도 되며, 다중화 데이터가 아니라 영상 데이터 자체이어도 된다.
이와 같이, 상기 각 실시 형태에서 나타낸 동화상 부호화 방법 혹은 동화상 복호화 방법을 상술한 모든 기기·시스템에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그렇게 함으로써 상기 각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이러한 상기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여러 변형 또는 수정이 가능하다.
(실시 형태 5)
상기 각 실시 형태에서 나타낸 동화상 부호화 방법 또는 장치와 MPEG-2, MPEG4-AVC, VC-1 등 다른 규격에 준거한 동화상 부호화 방법 또는 장치를 필요에 따라 적절히 전환함으로써,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각각 다른 규격에 준거하는 복수의 영상 데이터를 생성한 경우, 복호할 때에 각각의 규격에 대응한 복호 방법을 선택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복호할 영상 데이터가 어느 규격에 준거하는 것인지 식별할 수 없기 때문에, 적절한 복호 방법을 선택할 수 없다는 과제가 발생한다.
이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영상 데이터에 음성 데이터 등을 다중화한 다중화 데이터는, 영상 데이터가 어느 규격에 준거하는 것인지를 나타내는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한다. 상기 각 실시 형태에서 나타내는 동화상 부호화 방법 또는 장치에 의해 생성된 영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다중화 데이터의 구체적인 구성을 이하 설명한다. 다중화 데이터는 MPEG-2 트랜스포트 스트림 형식의 디지털 스트림이다.
도 29는 다중화 데이터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다중화 데이터는 비디오 스트림, 오디오 스트림, 프리젠테이션 그래픽스 스트림(PG), 인터랙티브 그래픽스 스트림 중, 하나 이상을 다중화함으로써 얻어진다. 비디오 스트림은 영화의 주영상 및 부영상을, 오디오 스트림(IG)은 영화의 주음성 부분과 그 주음성과 믹싱하는 부음성을, 프리젠테이션 그래픽스 스트림은 영화의 자막을 각각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주영상이란 화면에 표시되는 통상의 영상을 나타내고, 부영상이란 주영상 중에 작은 화면으로 표시하는 영상을 말한다. 또, 인터랙티브 그래픽스 스트림은 화면상에 GUI 부품을 배치함으로써 작성되는 대화 화면을 나타내고 있다. 비디오 스트림은, 상기 각 실시 형태에서 나타낸 동화상 부호화 방법 또는 장치, 종래의 MPEG-2, MPEG4-AVC, VC-1 등의 규격에 준거한 동화상 부호화 방법 또는 장치에 의해 부호화되어 있다. 오디오 스트림은 돌비 AC-3, Dolby Digital Plus, MLP, DTS, DTS-HD 또는 리니어 PCM 등의 방식으로 부호화되어 있다.
다중화 데이터에 포함되는 각 스트림은 PID에 의해 식별된다. 예를 들면 영화의 영상에 이용하는 비디오 스트림에는 0x1011이, 오디오 스트림에는 0x1100에서 0x111F까지가, 프리젠테이션 그래픽스에는 0x1200에서 0x121F까지가, 인터랙티브 그래픽스 스트림에는 0x1400에서 0x141F까지가, 영화의 부영상에 이용하는 비디오 스트림에는 0x1B00에서 0x1B1F까지, 주음성과 믹싱하는 부음성에 이용하는 오디오 스트림에는 0x1A00에서 0x1A1F가 각각 할당되어 있다.
도 30은 다중화 데이터가 어떻게 다중화되는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우선, 복수의 비디오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비디오 스트림(ex235), 복수의 오디오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오디오 스트림(ex238)을 각각 PES 패킷열(ex236 및 ex239)로 변환하고, TS 패킷(ex237 및 ex240)으로 변환한다. 동일하게 프리젠테이션 그래픽스 스트림(ex241) 및 인터랙티브 그래픽스(ex244)의 데이터를 각각 PES 패킷열(ex242 및 ex245)로 변환하고, TS 패킷(ex243 및 ex246)으로 더 변환한다. 다중화 데이터(ex247)는 이들 TS 패킷을 하나의 스트림으로 다중화함으로써 구성된다.
도 31은 PES 패킷열에 비디오 스트림이 어떻게 저장되는지를 더 상세하게 나타내고 있다. 도 31에서 제1 단은 비디오 스트림의 비디오 프레임열을 나타낸다. 제2 단은, PES 패킷열을 나타낸다. 도 31의 화살표(yy1, yy2, yy3, yy4)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비디오 스트림에서의 복수의 Video Presentation Unit인 I 픽처, B 픽처, P 픽처는 픽처마다 분할되어 PES 패킷의 페이로드에 저장된다. 각 PES 패킷은 PES 헤더를 가지며, PES 헤더에는 픽처의 표시 시각인 PTS(Presentation Time-Stamp)나 픽처의 복호 시각인 DTS(Decoding Time-Stamp)가 저장된다.
도 32는 다중화 데이터에 최종적으로 기입되는 TS 패킷의 형식을 나타내고 있다. TS 패킷은, 스트림을 식별하는 PID 등의 정보를 가지는 4Byte의 TS 헤더와 데이터를 저장하는 184Byte의 TS 페이로드로 구성되는 188Byte 고정 길이의 패킷이며, 상기 PES 패킷은 분할되어 TS 페이로드에 저장된다. BD-ROM의 경우, TS 패킷에는 4Byte의 TP_Extra_Header가 부여되어 192Byte의 소스 패킷을 구성하고, 다중화 데이터에 기입된다. TP_Extra_Header에는 ATS(Arrival_Time_Stamp) 등의 정보가 기재된다. ATS는 상기 TS 패킷의 디코더의 PID 필터에 대한 전송 개시시각을 나타낸다. 다중화 데이터에는 도 32 하단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소스 패킷이 나열되게 되고, 다중화 데이터의 선두로부터 증가(increment)하는 번호는 SPN(소스 패킷 넘버)이라 불린다.
또, 다중화 데이터에 포함되는 TS 패킷에는 영상·음성·자막 등의 각 스트림 이외에도 PAT(Program Association Table), PMT(Program Map Table), PCR(Program Clock Reference) 등이 있다. PAT는 다중화 데이터 중에 이용되는 PMT의 PID가 무엇인지를 나타내고, PAT 자신의 PID는 0으로 등록된다. PMT는, 다중화 데이터 중에 포함되는 영상·음성·자막 등의 각 스트림의 PID와 각 PID에 대응하는 스트림의 속성 정보를 가지며, 또 다중화 데이터에 관한 각종 디스크립터를 가진다. 디스크립터에는 다중화 데이터 카피의 허가·불허가를 지시하는 카피 컨트롤 정보 등이 있다. PCR은, ATS의 시간축인 ATC(Arrival Time Clock)와 PTS·DTS의 시간축인 STC(System Time Clock)의 동기를 취하기 위해, 그 PCR 패킷이 디코더로 전송되는 ATS에 대응하는 STC 시간의 정보를 가진다.
도 33은 PMT의 데이터 구조를 상세하게 설명하는 도면이다. PMT의 선두에는, 그 PMT에 포함되는 데이터의 길이 등을 기록한 PMT 헤더가 배치된다. 그 뒤에는, 다중화 데이터에 관한 디스크립터가 복수 배치된다. 상기 카피 컨트롤 정보 등이 디스크립터로서 기재된다. 디스크립터의 뒤에는, 다중화 데이터에 포함되는 각 스트림에 관한 스트림 정보가 복수 배치된다. 스트림 정보는, 스트림의 압축 코덱 등을 식별하기 위해 스트림 타입, 스트림의 PID, 스트림의 속성 정보(프레임률, 종횡비(aspect ratio) 등)가 기재된 스트림 디스크립터로 구성된다. 스트림 디스크립터는 다중화 데이터에 존재하는 스트림의 수만큼 존재한다.
기록매체 등에 기록하는 경우에는, 상기 다중화 데이터는 다중화 데이터 정보 파일과 함께 기록된다.
다중화 데이터 정보 파일은 도 3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다중화 데이터의 관리 정보로, 다중화 데이터와 1 대 1로 대응하며, 다중화 데이터 정보, 스트림 속성 정보와 엔트리 맵으로 구성된다.
다중화 데이터 정보는 도 3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스템률, 재생개시 시각, 재생종료 시각으로 구성되어 있다. 시스템률은 다중화 데이터의 후술하는 시스템 타깃 디코더의 PID 필터에 대한 최대 전송률을 나타낸다. 다중화 데이터 중에 포함되는 ATS의 간격은 시스템률 이하가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재생개시 시각은 다중화 데이터 선두의 비디오 프레임의 PTS이며, 재생종료 시각은 다중화 데이터 종단의 비디오 프레임의 PTS에 1 프레임 분의 재생 간격을 더한 것이 설정된다.
스트림 속성 정보는 도 3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다중화 데이터에 포함되는 각 스트림에 대한 속성 정보가 PID마다 등록된다. 속성 정보는 비디오 스트림, 오디오 스트림, 프리젠테이션 그래픽스 스트림, 인터랙티브 그래픽스 스트림마다 다른 정보를 가진다. 비디오 스트림 속성 정보는 그 비디오 스트림이 어떠한 압축 코덱으로 압축되었는지, 비디오 스트림을 구성하는 개개의 픽처 데이터의 해상도가 얼마인지, 종횡비는 얼마인지, 프레임률은 얼마인지 등의 정보를 가진다. 오디오 스트림 속성 정보는 그 오디오 스트림이 어떠한 압축 코덱으로 압축되었는지, 그 오디오 스트림에 포함되는 채널수는 몇인지, 무슨 언어에 대응하는지, 샘플링 주파수가 얼마인지 등의 정보를 가진다. 이들 정보는, 플레이어가 재생하기 전의 디코더의 초기화 등에 이용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다중화 데이터 중 PMT에 포함되는 스트림 타입을 이용한다. 또, 기록매체에 다중화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는 경우에는, 다중화 데이터 정보에 포함되는 비디오 스트림 속성 정보를 이용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각 실시 형태에서 나타낸 동화상 부호화 방법 또는 장치에서, PMT에 포함되는 스트림 타입 또는 비디오 스트림 속성 정보에 대해 상기 각 실시 형태에서 나타낸 동화상 부호화 방법 또는 장치에 의해 생성된 영상 데이터임을 나타내는 고유의 정보를 설정하는 단계 또는 수단을 설치한다. 이 구성에 의해, 상기 각 실시 형태에서 나타낸 동화상 부호화 방법 또는 장치에 의해 생성한 영상 데이터와 다른 규격에 준거하는 영상 데이터를 식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의 동화상 복호화 방법의 단계를 도 36에 나타낸다. 단계(exS100)에서, 다중화 데이터로부터 PMT에 포함되는 스트림 타입 또는 다중화 데이터 정보에 포함되는 비디오 스트림 속성 정보를 취득한다. 다음으로, 단계(exS101)에서, 스트림 타입 또는 비디오 스트림 속성 정보가 상기 각 실시 형태에서 나타낸 동화상 부호화 방법 또는 장치에 의해 생성된 다중화 데이터임을 나타내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스트림 타입 또는 비디오 스트림 속성 정보가 상기 각 실시 형태에서 나타낸 동화상 부호화 방법 또는 장치에 의해 생성된 것이라고 판단된 경우에는, 단계(exS102)에서, 상기 각 실시 형태에서 나타낸 동화상 복호 방법에 의해 후보로부터 참조 픽처나 움직임 벡터를 선택하여 복호를 실시한다. 또, 스트림 타입 또는 비디오 스트림 속성 정보가 종래의 MPEG-2, MPEG4-AVC, VC-1 등의 규격에 준거하는 것임을 나타내고 있는 경우에는, 단계(exS103)에서, 종래의 규격에 준거한 동화상 복호 방법에 의해 복호를 실시한다. 이는, 예를 들면 속성 정보가 MPEG4-AVC 규격에 준거하는 것임을 나타내고 있는 경우이면, 복수 후보로부터 선택하는 것이 아니라 공간적 또는 시간적으로 인접하는 주변 블록의 움직임 벡터로부터 산출되는 움직임 벡터를 이용해서 복호를 실시한다.
이와 같이 스트림 타입 또는 비디오 스트림 속성 정보에 새로운 고유치를 설정함으로써, 복호 시에 상기 각 실시 형태에서 나타낸 동화상 복호화 방법 또는 장치에서 복호 가능한지를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다른 규격에 준거하는 다중화 데이터가 입력된 경우라도 적절한 복호화 방법 또는 장치를 선택할 수 있기 때문에, 에러를 발생시키지 않고 복호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 나타낸 동화상 부호화 방법 또는 장치, 또는 동화상 복호 방법 또는 장치를 상술한 모든 기기·시스템에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실시 형태 6)
상기 각 실시 형태에서 나타낸 동화상 부호화 방법 및 장치, 동화상 복호화 방법 및 장치는, 전형적으로는 집적회로인 LSI로 실현된다. 일례로, 도 37에 1 칩화된 LSI(ex500)의 구성을 나타낸다. LSI(ex500)는 이하에 설명하는 요소(ex501, ex502, ex503, ex504, ex505, ex506, ex507, ex508, ex509)를 구비하고, 각 요소는 버스(ex510)를 통해 접속해 있다. 전원 회로부(ex505)는 전원이 온 상태인 경우에 각 부에 대해 전력을 공급함으로써 동작 가능한 상태로 기동한다.
예를 들면 부호화 처리를 실시하는 경우에는, LSI(ex500)는 CPU(ex502), 메모리 컨트롤러(ex503), 스트림 컨트롤러(ex504), 구동 주파수 제어부(ex512) 등을 가지는 제어부(ex501)의 제어에 근거하여, AV I/O(ex509)에 의해 마이크(ex117)나 카메라(ex113) 등으로부터 AV 신호를 입력한다. 입력된 AV 신호는, 일단 SDRAM 등의 외부 메모리(ex511)에 축적된다. 제어부(ex501)의 제어에 근거하여, 축적한 데이터는 처리량이나 처리 속도에 따라 적절히 복수회로 나누어져 신호 처리부(ex507)로 보내지고, 신호 처리부(ex507)에서 음성신호의 부호화 및/또는 영상신호의 부호화가 실시된다. 여기서 영상신호의 부호화 처리는 상기 각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부호화 처리이다. 신호 처리부(ex507)에서는 또, 경우에 따라 부호화된 음성 데이터와 부호화된 영상 데이터를 다중화하는 등의 처리를 실시하고, 스트림 I/O(ex506)로부터 외부로 출력한다. 이 출력된 다중화 데이터는, 기지국(ex107)을 향해 송신되거나 또는 기록 미디어(ex215)에 기입된다. 또한, 다중화 시에는 동기하도록 일단 버퍼(ex508)에 데이터를 축적하면 된다.
또한, 상기에서는 메모리(ex511)가 LSI(ex500)의 외부 구성으로 설명했지만, LSI(ex500)의 내부에 포함되는 구성이어도 된다. 버퍼(ex508)도 하나로 한정한 것이 아니라 복수의 버퍼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또, LSI(ex500)는 1 칩화되어도 되며, 복수 칩화되어도 된다.
또, 상기에서는 제어부(ex501)가 CPU(ex502), 메모리 컨트롤러(ex503), 스트림 컨트롤러(ex504), 구동 주파수 제어부(ex512) 등을 가지는 것으로 했지만, 제어부(ex501)의 구성은 이 구성에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신호 처리부(ex507)가 CPU를 더 구비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신호 처리부(ex507)의 내부에도 CPU를 설치함으로써, 처리 속도를 보다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다른 예로, CPU(ex502)가 신호 처리부(ex507) 또는 신호 처리부(ex507)의 일부인, 예를 들면 음성신호 처리부를 구비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이러한 경우에는, 제어부(ex501)는 신호 처리부(ex507) 또는 그 일부를 가지는 CPU(ex502)를 구비하는 구성이 된다.
또한, 여기서는 LSI라 했지만, 집적도의 차이에 따라 IC, 시스템 LSI, 슈퍼 LSI, 울트라 LSI라 호칭되는 경우도 있다.
또, 집적회로화의 수법은 LSI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전용 회로 또는 범용 프로세서로 실현해도 된다. LSI 제조 후에 프로그램하는 것이 가능한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나 LSI 내부의 회로 셀의 접속이나 설정을 재구성 가능한 리컨피규러블 프로세서를 이용해도 된다. 이러한 프로그램 가능 논리 소자(programmable logic device)는 전형적으로는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를 구성하는 프로그램을 로드하는 또는 메모리 등으로부터 읽어 들임으로써, 상기 각 실시 형태에서 나타낸 동화상 부호화 방법 또는 동화상 복호화 방법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반도체 기술의 진보 또는 파생하는 다른 기술에 의해 LSI로 치환되는 집적회로화의 기술이 등장하면, 당연히 그 기술을 이용하여 기능 블록의 집적화를 실시해도 된다. 바이오 기술의 적응 등이 가능성으로 있을 수 있다.
(실시 형태 7)
상기 각 실시 형태에서 나타낸 동화상 부호화 방법 또는 장치에 의해 생성된 영상 데이터를 복호하는 경우, 종래의 MPEG-2, MPEG4-AVC, VC-1 등의 규격에 준거하는 영상 데이터를 복호하는 경우에 비해 처리량이 증가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그 때문에, LSI(ex500)에 있어서, 종래의 규격에 준거하는 영상 데이터를 복호할 때의 CPU(ex502)의 구동 주파수보다 높은 구동 주파수로 설정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구동 주파수를 높게 하면 소비 전력이 높아진다는 과제가 발생한다.
이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텔레비전(ex300), LSI(ex500) 등의 동화상 복호화 장치는 영상 데이터가 어느 규격에 준거하는 것인지를 식별하고, 규격에 따라 구동 주파수를 전환하는 구성으로 한다. 도 38은, 본 실시 형태에서의 구성(ex800)을 나타내고 있다. 구동 주파수 전환부(ex803)는 영상 데이터가 상기 각 실시 형태에서 나타낸 동화상 부호화 방법 또는 장치에 의해 생성된 것인 경우에는, 구동 주파수를 높게 설정한다. 그리고, 상기 각 실시 형태에서 나타낸 동화상 복호화 방법을 실행하는 복호 처리부(ex801)에 대해 영상 데이터를 복호하도록 지시한다. 한편, 영상 데이터가 종래의 규격에 준거하는 영상 데이터인 경우에는, 영상 데이터가 상기 각 실시 형태에서 나타낸 동화상 부호화 방법 또는 장치에 의해 생성된 것인 경우에 비해 구동 주파수를 낮게 설정한다. 그리고, 종래의 규격에 준거하는 복호 처리부(ex802)에 대해 영상 데이터를 복호하도록 지시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구동 주파수 전환부(ex803)는 도 37의 CPU(ex502)와 구동 주파수 제어부(ex512)로 구성된다. 또, 상기 각 실시 형태에서 나타낸 동화상 복호화 방법을 실행하는 복호 처리부(ex801) 및 종래의 규격에 준거하는 복호 처리부(ex802)는, 도 37의 신호 처리부(ex507)에 해당한다. CPU(ex502)는 영상 데이터가 어느 규격에 준거하는 것인지를 식별한다. 그리고, CPU(ex502)로부터의 신호에 근거하여, 구동 주파수 제어부(ex512)는 구동 주파수를 설정한다. 또, CPU(ex502)로부터의 신호에 근거하여, 신호 처리부(ex507)는 영상 데이터를 복호한다. 여기서, 영상 데이터의 식별에는, 예를 들면 실시 형태 5에서 기재한 식별 정보를 이용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식별 정보에 관해서는 실시 형태 5에서 기재한 것에 한정하지 않고, 영상 데이터가 어느 규격에 준거하는지 식별할 수 있는 정보이면 된다. 예를 들면 영상 데이터가 텔레비전에 이용되는 것인지, 디스크에 이용되는 것인지 등을 식별하는 외부 신호에 근거하여, 영상 데이터가 어느 규격에 준거하는 것인지 식별 가능한 경우에는, 이러한 외부 신호에 근거하여 식별해도 된다. 또, CPU(ex502)에서의 구동 주파수의 선택은, 예를 들면 도 40과 같은 영상 데이터의 규격과 구동 주파수를 대응 지은 룩업 테이블에 근거하여 실시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룩업 테이블을 버퍼(ex508)나 LSI의 내부 메모리에 저장해 두고, CPU(ex502)가 이 룩업 테이블을 참조함으로써 구동 주파수를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39는 본 실시 형태의 방법을 실시하는 단계를 나타내고 있다. 우선, 단계(exS200)에서는 신호 처리부(ex507)에서, 다중화 데이터로부터 식별 정보를 취득한다. 다음으로, 단계(exS201)에서는 CPU(ex502)에서, 식별 정보에 근거하여 영상 데이터가 상기 각 실시 형태에서 나타낸 부호화 방법 또는 장치에 의해 생성된 것인지의 여부를 식별한다. 영상 데이터가 상기 각 실시 형태에서 나타낸 부호화 방법 또는 장치에 의해 생성된 것인 경우에는 단계(exS202)에서, 구동 주파수를 높게 설정하는 신호를 CPU(ex502)가 구동 주파수 제어부(ex512)에 보낸다. 그리고, 구동 주파수 제어부(ex512)에서, 높은 구동 주파수로 설정된다. 한편, 종래의 MPEG-2, MPEG4-AVC, VC-1 등의 규격에 준거하는 영상 데이터임을 나타내고 있는 경우에는, 단계(exS203)에서, 구동 주파수를 낮게 설정하는 신호를 CPU(ex502)가 구동 주파수 제어부(ex512)에 보낸다. 그리고, 구동 주파수 제어부(ex512)에서, 영상 데이터가 상기 각 실시 형태에서 나타낸 부호화 방법 또는 장치에 의해 생성된 것인 경우에 비해 낮은 구동 주파수로 설정된다.
또, 구동 주파수의 전환에 연동하여 LSI(ex500) 또는 LSI(ex500)를 포함하는 장치에 부여하는 전압을 변경함으로써, 전력 절약 효과를 더욱 높이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구동 주파수를 낮게 설정하는 경우에는, 이에 따라 구동 주파수를 높게 설정하고 있는 경우에 비해 LSI(ex500) 또는 LSI(ex500)를 포함하는 장치에 부여하는 전압을 낮게 설정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또, 구동 주파수의 설정 방법은 복호 시의 처리량이 큰 경우에 구동 주파수를 높게 설정하고, 복호 시의 처리량이 작은 경우에 구동 주파수를 낮게 설정하면 되며, 상술한 설정 방법에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MPEG4-AVC 규격에 준거하는 영상 데이터를 복호하는 처리량이 상기 각 실시 형태에서 나타낸 동화상 부호화 방법 또는 장치에 의해 생성된 영상 데이터를 복호하는 처리량보다 큰 경우에는, 구동 주파수의 설정을 상술한 경우의 반대로 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또, 구동 주파수의 설정 방법은 구동 주파수를 낮게 하는 구성에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식별 정보가 상기 각 실시 형태에서 나타낸 동화상 부호화 방법 또는 장치에 의해 생성된 영상 데이터임을 나타내고 있는 경우에는 LSI(ex500) 또는 LSI(ex500)를 포함하는 장치에 부여하는 전압을 높게 설정하고, 종래의 MPEG-2, MPEG4-AVC, VC-1 등의 규격에 준거하는 영상 데이터임을 나타내고 있는 경우에는 LSI(ex500) 또는 LSI(ex500)를 포함하는 장치에 부여하는 전압을 낮게 설정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는, 식별 정보가 상기 각 실시 형태에서 나타낸 동화상 부호화 방법 또는 장치에 의해 생성된 영상 데이터임을 나타내고 있는 경우에는 CPU(ex502)의 구동을 정지시키지 않고, 종래의 MPEG-2, MPEG4-AVC, VC-1 등의 규격에 준거하는 영상 데이터임을 나타내고 있는 경우에는 처리에 여유가 있기 때문에 CPU(ex502)의 구동을 일시정지시키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식별 정보가 상기 각 실시 형태에서 나타낸 동화상 부호화 방법 또는 장치에 의해 생성된 영상 데이터임을 나타내고 있는 경우라도, 처리에 여유가 있으면 CPU(ex502)의 구동을 일시정지시키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이 경우는 종래의 MPEG-2, MPEG4-AVC, VC-1 등의 규격에 준거하는 영상 데이터임을 나타내고 있는 경우에 비해 정지시간을 짧게 설정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영상 데이터가 준거하는 규격에 따라 구동 주파수를 전환함으로써 전력 절약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전지를 이용하여 LSI(ex500) 또는 LSI(ex500)를 포함하는 장치를 구동하고 있는 경우에는, 전력 절약화에 따라 전지의 수명을 길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실시 형태 8)
텔레비전이나 휴대전화 등 상술한 기기·시스템에는, 다른 규격에 준거하는 복수의 영상 데이터가 입력되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이, 다른 규격에 준거하는 복수의 영상 데이터가 입력된 경우에도 복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LSI(ex500)의 신호 처리부(ex507)가 복수의 규격에 대응하고 있을 필요가 있다. 그러나, 각각의 규격에 대응하는 신호 처리부(ex507)를 개별로 이용하면, LSI(ex500)의 회로 규모가 커지고, 또 비용이 증가한다는 과제가 발생한다.
이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상기 각 실시 형태에서 나타낸 동화상 복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복호 처리부와 종래의 MPEG-2, MPEG4-AVC, VC-1 등의 규격에 준거하는 복호 처리부를 일부 공유화하는 구성으로 한다. 이 구성예를 도 41a의 ex900에 나타낸다. 예를 들면, 상기 각 실시 형태에서 나타낸 동화상 복호 방법과 MPEG4-AVC 규격에 준거하는 동화상 복호 방법은 엔트로피 부호화, 역양자화, 디블록킹 필터, 움직임 보상 등의 처리에서 처리 내용이 일부 공통한다. 공통하는 처리 내용에 대해서는 MPEG4-AVC 규격에 대응하는 복호 처리부(ex902)를 공유하고, MPEG4-AVC 규격에 대응하지 않는 본 발명의 일 양태의 특유의 다른 처리 내용에 대해서는 전용 복호 처리부(ex901)를 이용한다는 구성을 생각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양태는 움직임 보상에 특징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예를 들면 움직임 보상에 대해서는 전용 복호 처리부(ex901)를 이용하고, 그 이외의 엔트로피 복호, 디블록킹 필터, 역양자화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든 처리에 대해서는 복호 처리부를 공유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복호 처리부의 공유화에 관해서는, 공통하는 처리 내용에 대해서는 상기 각 실시 형태에서 나타낸 동화상 복호화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복호 처리부를 공유하고, MPEG4-AVC 규격의 특유의 처리 내용에 대해서는 전용 복호 처리부를 이용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또, 처리를 일부 공유화하는 다른 예를 도 41b의 ex1000에 나타낸다. 이 예에서는, 본 발명의 일 양태의 특유의 처리 내용에 대응한 전용 복호 처리부(ex1001)와, 다른 종래 규격의 특유의 처리 내용에 대응한 전용 복호 처리부(ex1002)와, 본 발명의 일 양태에 관한 동화상 복호 방법과 다른 종래 규격의 동화상 복호 방법에 공통하는 처리 내용에 대응한 공용 복호 처리부(ex1003)를 이용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여기서, 전용 복호 처리부(ex1001, ex1002)는 반드시 본 발명의 일 양태 또는 다른 종래 규격의 특유의 처리 내용으로 특화한 것이 아니라 다른 범용 처리를 실행할 수 있는 것이어도 된다. 또, 본 실시 형태의 구성을 LSI(ex500)로 실장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양태에 관한 동화상 복호 방법과 종래 규격의 동화상 복호 방법에서 공통하는 처리 내용에 대해 복호 처리부를 공유함으로써, LSI의 회로 규모를 작게 하면서 비용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하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은 예를 들면 텔레비전 수상기, 디지털 비디오리코더, 카 내비게이션, 휴대전화, 디지털카메라 또는 디지털 비디오카메라 등에 이용 가능하다.
100, 300: 화상 부호화 장치 101: 감산부
102: 직교변환부 103: 양자화부
104: 가변길이 부호화부 105, 205: 역양자화부
106, 206: 역직교변환부 107, 207: 가산부
108, 208: 블록 메모리 109, 209: 프레임 메모리
110, 210: 인트라 예측부 111, 211: 인터 예측부
112, 212: 전환부 113: 픽처 타입 결정부
114, 214: 인터 예측 제어부
115, 215: 참조 픽처 리스트 산출부
116, 216: 예측 움직임 벡터 후보 산출부 200, 400: 화상 복호 장치
204: 가변길이 복호부 301, 401: 생성부
302: 부호화부 402: 복호부

Claims (13)

  1. 현재 픽처를 블록마다 부호화하는 화상 부호화 방법으로서,
    상기 현재 픽처의 부호화에 있어서 참조 가능한 참조 픽처에 참조 픽처 인덱스를 할당하여, 상기 참조 픽처 인덱스가 할당된 상기 참조 픽처를 포함하는 참조 픽처 리스트를 생성하는 생성 단계와,
    상기 현재 픽처에 포함되는 현재 블록의 부호화에 있어서 참조되는 참조 픽처를 상기 참조 픽처 리스트로부터 특정하고, 특정된 상기 참조 픽처를 참조하여 상기 현재 블록을 부호화하는 부호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생성 단계에서는, 상기 현재 픽처가 속하는 현재 뷰와는 다른 참조 뷰에 속하는 참조 픽처가 상기 현재 픽처의 부호화에 있어서 참조될 가능성이 있는 경우,
    상기 참조 뷰에 속하는 참조 가능한 참조 픽처를 상기 참조 픽처 리스트에 추가하며,
    상기 참조 픽처 리스트에 포함된 모든 참조 픽처의 각각에 대하여, 상기 현재 뷰에 속하는 참조 가능한 참조 픽처의 수와, 상기 참조 뷰에 속하는 참조 가능한 참조 픽처의 수의 합계에 의해 정해지는 범위 내에서 상기 참조 픽처 인덱스를 수정하는, 화상 부호화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생성 단계에서는, 파라미터를 이용해서 상기 참조 픽처 리스트를 생성하고,
    상기 부호화 단계에서는 또한, 상기 참조 픽처 리스트의 생성에 이용된 상기 파라미터를 부호화하는, 화상 부호화 방법.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생성 단계에서는 또한, 상기 참조 뷰에 속하는 참조 픽처가 상기 현재 픽처의 부호화에 있어서 참조될 가능성이 있는 경우,
    상기 현재 뷰에 속하는 참조 가능한 참조 픽처의 수인 제1 수에 상기 참조 뷰에 속하는 참조 가능한 참조 픽처의 수인 제2 수를 가산함으로써, 상기 현재 픽처의 부호화에 있어서 참조 가능한 참조 픽처의 수인 제3 수를 산출하고,
    상기 참조 픽처 리스트에 포함되는 상기 참조 픽처에 대해 할당된 상기 참조 픽처 인덱스를 수정하기 위한 수정 리스트 값의 범위를 상기 제3 수에 근거해서 결정하는, 화상 부호화 방법.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생성 단계에서는 또한, 상기 현재 뷰가 논베이스뷰인지의 여부에 근거하여 상기 참조 뷰에 속하는 참조 픽처가 상기 현재 픽처의 부호화에 있어서 참조될 가능성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화상 부호화 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생성 단계에서는 또한, 부호화순으로 상기 현재 뷰에 대해 할당된 뷰 오더 인덱스에 근거하여 상기 현재 뷰가 논베이스뷰인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화상 부호화 방법.
  6. 현재 픽처를 블록마다 복호하는 화상 복호 방법으로서,
    상기 현재 픽처의 복호에 있어서 참조 가능한 참조 픽처에 참조 픽처 인덱스를 할당하여, 상기 참조 픽처 인덱스가 할당된 상기 참조 픽처를 포함하는 참조 픽처 리스트를 생성하는 생성 단계와,
    상기 현재 픽처에 포함되는 현재 블록의 복호에 있어서 참조되는 참조 픽처를 상기 참조 픽처 리스트로부터 특정하고, 특정된 상기 참조 픽처를 참조하여 상기 현재 블록을 복호하는 복호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생성 단계에서는, 상기 현재 픽처가 속하는 현재 뷰와는 다른 참조 뷰에 속하는 참조 픽처가 상기 현재 픽처의 복호에 있어서 참조될 가능성이 있는 경우, 상기 참조 뷰에 속하는 참조 가능한 참조 픽처를 상기 참조 픽처 리스트에 추가하며,
    상기 참조 픽처 리스트에 포함된 모든 참조 픽처의 각각에 대하여, 상기 현재 뷰에 속하는 참조 가능한 참조 픽처의 수와, 상기 참조 뷰에 속하는 참조 가능한 참조 픽처의 수의 합계에 의해 정해지는 범위 내에서 상기 참조 픽처 인덱스를 수정하는, 화상 복호 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복호 단계에서는 또한, 상기 참조 픽처 리스트의 생성에 이용되는 파라미터를 복호하고,
    상기 생성 단계에서는, 복호된 상기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상기 참조 픽처 리스트를 생성하는, 화상 복호 방법.
  8. 청구항 6 또는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생성 단계에서는 또한, 상기 참조 뷰에 속하는 참조 픽처가 상기 현재 픽처의 복호에 있어서 참조될 가능성이 있는 경우,
    상기 현재 뷰에 속하는 참조 가능한 참조 픽처의 수인 제1 수에 상기 참조 뷰에 속하는 참조 가능한 참조 픽처의 수인 제2 수를 가산함으로써, 상기 현재 픽처의 복호에 있어서 참조 가능한 참조 픽처의 수인 제3 수를 산출하고,
    상기 참조 픽처 리스트에 포함되는 상기 참조 픽처에 대해 할당된 상기 참조 픽처 인덱스를 수정하기 위한 수정 리스트 값의 범위를 상기 제3 수에 근거해서 결정하는, 화상 복호 방법.
  9. 청구항 6 또는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생성 단계에서는 또한, 상기 현재 뷰가 논베이스뷰인지의 여부에 근거하여 상기 참조 뷰에 속하는 참조 픽처가 상기 현재 픽처의 복호에 있어서 참조될 가능성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화상 복호 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생성 단계에서는 또한, 복호순으로 상기 현재 뷰에 대해 할당된 뷰 오더 인덱스에 근거하여 상기 현재 뷰가 논베이스뷰인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화상 복호 방법.
  11. 현재 픽처를 블록마다 부호화하는 화상 부호화 장치로서,
    상기 현재 픽처의 부호화에 있어서 참조 가능한 참조 픽처에 참조 픽처 인덱스를 할당하여, 상기 참조 픽처 인덱스가 할당된 상기 참조 픽처를 포함하는 참조 픽처 리스트를 생성하는 생성부와,
    상기 현재 픽처에 포함되는 현재 블록의 부호화에 있어서 참조되는 참조 픽처를 상기 참조 픽처 리스트로부터 특정하고, 특정된 상기 참조 픽처를 참조하여 상기 현재 블록을 부호화하는 부호화부를 구비하며,
    상기 생성부는, 상기 현재 픽처가 속하는 현재 뷰와는 다른 참조 뷰에 속하는 참조 픽처가 상기 현재 픽처의 부호화에 있어서 참조될 가능성이 있는 경우, 상기 참조 뷰에 속하는 참조 가능한 참조 픽처를 상기 참조 픽처 리스트에 추가하며,
    상기 참조 픽처 리스트에 포함된 모든 참조 픽처의 각각에 대하여, 상기 현재 뷰에 속하는 참조 가능한 참조 픽처의 수와, 상기 참조 뷰에 속하는 참조 가능한 참조 픽처의 수의 합계에 의해 정해지는 범위 내에서 상기 참조 픽처 인덱스를 수정하는, 화상 부호화 장치.
  12. 현재 픽처를 블록마다 복호하는 화상 복호 장치로서,
    상기 현재 픽처의 복호에 있어서 참조 가능한 참조 픽처에 참조 픽처 인덱스를 할당하여, 상기 참조 픽처 인덱스가 할당된 상기 참조 픽처를 포함하는 참조 픽처 리스트를 생성하는 생성부와,
    상기 현재 픽처에 포함되는 현재 블록의 복호에 있어서 참조되는 참조 픽처를 상기 참조 픽처 리스트로부터 특정하고, 특정된 상기 참조 픽처를 참조하여 상기 현재 블록을 복호하는 복호부를 구비하고,
    상기 생성부는, 상기 현재 픽처가 속하는 현재 뷰와는 다른 참조 뷰에 속하는 참조 픽처가 상기 현재 픽처의 복호에 있어서 참조될 가능성이 있는 경우, 상기 참조 뷰에 속하는 참조 가능한 참조 픽처를 상기 참조 픽처 리스트에 추가하며,
    상기 참조 픽처 리스트에 포함된 모든 참조 픽처의 각각에 대하여, 상기 현재 뷰에 속하는 참조 가능한 참조 픽처의 수와, 상기 참조 뷰에 속하는 참조 가능한 참조 픽처의 수의 합계에 의해 정해지는 범위 내에서 상기 참조 픽처 인덱스를 수정하는, 화상 복호 장치.
  13. 청구항 11에 기재된 화상 부호화 장치와,
    청구항 12에 기재된 화상 복호 장치를 구비하는 화상 부호화 복호 장치.
KR1020147000421A 2012-03-02 2013-02-15 화상 부호화 방법, 화상 복호 방법, 화상 부호화 장치, 화상 복호 장치 및 화상 부호화 복호 장치 KR10213714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261605870P 2012-03-02 2012-03-02
US61/605,870 2012-03-02
PCT/JP2013/000856 WO2013128832A1 (ja) 2012-03-02 2013-02-15 画像符号化方法、画像復号方法、画像符号化装置、画像復号装置および画像符号化復号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3803A KR20140133803A (ko) 2014-11-20
KR102137149B1 true KR102137149B1 (ko) 2020-07-23

Family

ID=490820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00421A KR102137149B1 (ko) 2012-03-02 2013-02-15 화상 부호화 방법, 화상 복호 방법, 화상 부호화 장치, 화상 복호 장치 및 화상 부호화 복호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3) US9621889B2 (ko)
EP (1) EP2822277A4 (ko)
JP (2) JPWO2013128832A1 (ko)
KR (1) KR102137149B1 (ko)
CN (2) CN107835428B (ko)
TW (1) TWI581621B (ko)
WO (1) WO201312883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MX362021B (es) * 2014-10-08 2019-01-04 Lg Electronics Inc Metodo de codificacion de imagen de profundidad y dispositivo en codificacion de video.
CN111147845B (zh) 2014-11-27 2023-10-10 株式会社Kt 对视频信号进行解码的方法和对视频信号进行编码的方法
KR102553844B1 (ko) 2014-11-27 2023-07-10 주식회사 케이티 비디오 신호 처리 방법 및 장치
EP3298606B1 (en) * 2015-05-20 2019-05-0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Coding of multi-channel audio signals
KR101782153B1 (ko) * 2015-06-05 2017-09-26 인텔렉추얼디스커버리 주식회사 움직임 벡터 후보 선택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영상 부호화/복호화 방법
KR101782155B1 (ko) * 2015-06-05 2017-09-26 인텔렉추얼디스커버리 주식회사 움직임 벡터 정밀성을 이용하는 영상 부호화 및 복호화 방법과 영상 복호화 장치
US10178403B2 (en) * 2015-06-23 2019-01-08 Qualcomm Incorporated Reference picture list construction in intra block copy mode
CN110114803B (zh) * 2016-12-28 2023-06-27 松下电器(美国)知识产权公司 三维模型分发方法、三维模型接收方法、三维模型分发装置以及三维模型接收装置
WO2020017367A1 (ja) * 2018-07-18 2020-01-23 パナソニック インテレクチュアル プロパティ コーポレーション オブ アメリカ 符号化装置、復号装置、符号化方法及び復号方法
US11196988B2 (en) * 2018-12-17 2021-12-07 Apple Inc. Reference picture management and list construction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03242037A1 (en) * 2002-07-02 2004-01-23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Image encoding method and image decoding method
US7728878B2 (en) * 2004-12-17 2010-06-01 Mitsubishi Electric Research Labortories, Inc. Method and system for processing multiview videos for view synthesis using side information
ZA200805337B (en) 2006-01-09 2009-11-25 Thomson Licensing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reduced resolution update mode for multiview video coding
US8115804B2 (en) 2006-01-12 2012-02-14 Lg Electronics Inc. Processing multiview video
KR101245251B1 (ko) 2006-03-09 2013-03-19 삼성전자주식회사 균일한 화질을 제공하는 다시점 영상 부호화 및 복호화방법 및 장치
JP5054092B2 (ja) 2006-03-30 2012-10-24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ビデオ信号のデコーディング/エンコーディング方法及び装置
US20100091845A1 (en) * 2006-03-30 2010-04-15 Byeong Moon Jeon Method and apparatus for decoding/encoding a video signal
RU2443074C2 (ru) * 2006-07-06 2012-02-20 Томсон Лайсенсинг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тделения номера кадра и/или счетчика очередности изображения (рос) для мультивидового видеокодирования и видеодекодирования
EP2037828A2 (en) * 2006-07-12 2009-03-25 Les Hôpitaux Universitaires De Geneve Medical device for tissue ablation
TWI375469B (en) * 2006-08-25 2012-10-21 Lg Electronics Inc A method and apparatus for decoding/encoding a video signal
EP2090110A2 (en) * 2006-10-13 2009-08-19 Thomson Licensing Reference picture list management syntax for multiple view video coding
DE102006049154B4 (de) * 2006-10-18 2009-07-09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Kodierung eines Informationssignals
JP5273824B2 (ja) * 2007-04-04 2013-08-28 トムソン ライセンシング 参照ピクチャー・リスト管理
JP5578775B2 (ja) 2008-09-02 2014-08-27 富士通株式会社 符号化装置および復号装置
US8325796B2 (en) 2008-09-11 2012-12-04 Google Inc. System and method for video coding using adaptive segmentation
JP5534470B2 (ja) * 2009-03-24 2014-07-02 国立大学法人北海道大学 放射線治療装置
JP5574345B2 (ja) * 2009-03-26 2014-08-20 パナソニック インテレクチュアル プロパティ コーポレーション オブ アメリカ 符号化方法、エラー検出方法、復号方法、符号化装置、エラー検出装置及び復号装置
KR20120027194A (ko) * 2009-04-21 2012-03-21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시점 비디오 신호 처리 방법 및 장치
US8933989B2 (en) * 2009-04-22 2015-01-13 Lg Electronics Inc. Reference picture list changing method of multi-view video
JP2011082683A (ja) 2009-10-05 2011-04-21 Sony Corp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2028960A (ja) 2010-07-22 2012-02-09 Jvc Kenwood Corp 画像復号装置、画像復号方法および画像復号プログラム
JP5801908B2 (ja) * 2011-03-11 2015-10-28 サムスン エレクトロニクス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映像の符号化方法及びその装置、その復号化方法及びその装置
US9674525B2 (en) * 2011-07-28 2017-06-06 Qualcomm Incorporated Multiview video coding
US9338474B2 (en) * 2011-09-23 2016-05-10 Qualcomm Incorporated Reference picture list construction for video coding
KR101662918B1 (ko) * 2011-11-11 2016-10-05 지이 비디오 컴프레션, 엘엘씨 깊이-맵 추정 및 업데이트를 사용한 효율적인 멀티-뷰 코딩
US9432665B2 (en) * 2011-12-02 2016-08-30 Qualcomm Incorporated Coding least significant bits of picture order count values identifying long-term reference pictures
US9258559B2 (en) * 2011-12-20 2016-02-09 Qualcomm Incorporated Reference picture list construction for multi-view and three-dimensional video coding
WO2013107939A1 (en) * 2012-01-20 2013-07-25 Nokia Corporation Method for video coding and an apparatus, a computer-program product, a system, and a module for the same
US9369710B2 (en) * 2012-02-06 2016-06-14 Qualcomm Incorporated Reference picture list modification for video cod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835428B (zh) 2021-09-24
US20170171559A1 (en) 2017-06-15
TW201347557A (zh) 2013-11-16
EP2822277A4 (en) 2015-03-04
EP2822277A1 (en) 2015-01-07
US20200112744A1 (en) 2020-04-09
TWI581621B (zh) 2017-05-01
US20140211856A1 (en) 2014-07-31
KR20140133803A (ko) 2014-11-20
JP6920670B2 (ja) 2021-08-18
CN107835428A (zh) 2018-03-23
CN103650497A (zh) 2014-03-19
US9621889B2 (en) 2017-04-11
JP2019126085A (ja) 2019-07-25
JPWO2013128832A1 (ja) 2015-07-30
US11109063B2 (en) 2021-08-31
CN103650497B (zh) 2018-01-05
WO2013128832A1 (ja) 2013-09-06
US10547866B2 (en) 2020-0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253709B2 (ja) 動画像復号方法及び動画像符号化方法
JP6172485B2 (ja) 画像符号化方法及び画像符号化装置
KR101790378B1 (ko) 화상 부호화 방법, 화상 복호방법, 화상 부호화 장치, 화상 복호장치 및 화상 부호화 복호장치
CN107277542B (zh) 动态图像解码方法、动态图像解码装置
JP6394966B2 (ja) 時間動きベクトル予測を用いた、符号化方法、復号方法、符号化装置、及び、復号装置
JP6004271B2 (ja) 画像符号化方法、画像復号方法、画像符号化装置および画像復号装置
KR102010100B1 (ko) 화상 부호화 방법, 화상 복호 방법, 화상 부호화 장치, 화상 복호 장치 및 화상 부호화 복호 장치
JP6920670B2 (ja) 画像符号化方法、画像符号化装置、画像復号方法および画像復号装置
KR20140043730A (ko) 화상 복호 방법, 화상 부호화 방법, 화상 복호 장치, 화상 부호화 장치, 및, 화상 부호화 복호 장치
JP6112418B2 (ja) 画像符号化方法、画像復号方法、画像符号化装置、画像復号装置および画像符号化復号装置
WO2012102045A1 (ja) 画像符号化方法および画像復号化方法
EP2871838B1 (en) Image encoding method, image encoding device
WO2013001749A1 (ja) 画像符号化方法、画像復号方法、画像符号化装置、画像復号装置および画像符号化復号装置
EP2835971A1 (en) Image encoding method, image decoding method, image encoding device, and image decoding device
JP2018129808A (ja) 動画像復号化方法および動画像復号化装置
JP6365924B2 (ja) 画像復号方法及び画像復号装置
WO2012096157A1 (ja) 画像符号化方法、画像復号方法、画像符号化装置および画像復号装置
WO2012073481A1 (ja) 動画像符号化方法および動画像復号化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