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3827B1 - 에어로졸 생성 장치용 보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 Google Patents

에어로졸 생성 장치용 보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3827B1
KR102553827B1 KR1020200078810A KR20200078810A KR102553827B1 KR 102553827 B1 KR102553827 B1 KR 102553827B1 KR 1020200078810 A KR1020200078810 A KR 1020200078810A KR 20200078810 A KR20200078810 A KR 20200078810A KR 102553827 B1 KR102553827 B1 KR 1025538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erosol generating
generating device
aerosol
mode
auxiliar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88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00759A (ko
Inventor
김동성
박상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Priority to KR10202000788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3827B1/ko
Publication of KR202200007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07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38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38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60Devices with integrated user interfac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65Devices with integrated communication means, e.g.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용 보조 장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본체; 상기 본체가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결합됨에 따라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장치와의 통신 연결(communication link)을 형성하는 송수신기;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모드를 선택하거나, 파라미터를 변경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된 상기 사용자 입력을 상기 통신 연결을 통해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장치로 전송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에어로졸 생성 장치용 보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AUXILIARY DEVICE FOR AEROSOL GENERATING APPARATUS AND AEROSOL GENERAT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본 개시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용 보조 장치 및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일반적인 에어로졸 생성 물품의 단점들을 극복하는 대체 방법에 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예를 들어, 에어로졸 생성 물품을 연소시켜 에어로졸을 생성시키는 방법이 아닌 에어로졸 생성 물품 내의 에어로졸 생성 물질이 가열됨에 따라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방법에 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가열식 에어로졸 생성 물품 또는 가열식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사용자 편의성을 위해 기존의 연소식 궐련과 유사한 크기를 갖도록 소형화되어 있으므로,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서 사용자가 조절할 수 있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기능들이 제한되거나,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다양한 기능들을 미세하게 조절하기 어려울 수 있다.
이에 따라,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소형화를 유지하면서 사용자가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기능을 보다 쉽게 조절하기 위한 기술이 요구된다.
KR 10-2016-0040443 a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서 사용자가 조절할 수 있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기능들은 제한되어 있거나,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다양한 기능들을 미세하게 조절하기 어려울 수 있다.
이에, 에어로졸 생성 장치와 결합되어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기능을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외부에서도 쉽게 변경할 수 있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용 보조 장치 및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실시예들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유추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개시의 제1 측면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용 보조 장치에 있어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본체; 상기 본체가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결합됨에 따라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장치와의 통신 연결(communication link)을 형성하는 송수신기;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모드를 선택하거나, 파라미터를 변경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된 상기 사용자 입력을 상기 통신 연결을 통해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장치로 전송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용 보조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제2 측면은,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에 있어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장치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본체, 상기 본체가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결합됨에 따라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장치와의 통신 연결(communication link)을 형성하는 송수신기,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모드를 선택하거나, 파라미터를 변경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된 상기 사용자 입력을 상기 통신 연결을 통해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장치로 전송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보조 장치;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용 보조 장치 및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개시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용 보조장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소형화를 유지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고, 보조 장치를 이용하여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기능을 보다 쉽게 선택하고 조절할 수 있다.
보조 장치를 이용하여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기능을 사용자가 손으로 쉽게 조작할 수 있고,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서 섬세하게 조절하기 어려운 다양한 기능을 쉽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기존의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채용되던 버튼 등의 입력 수단과 비교하여, 조그 다이얼을 포함하는 보조 장치를 이용함으로써,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다양한 기능들을 보다 작은 단위로 미세하게 조정할 수 있다.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에어로졸 생성 물품이 삽입된 예들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용 보조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에어로졸 생성 장치용 보조 장치가 결합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용 보조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용 보조 장치가 작동하는 방법을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을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다.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제 1' 또는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에어로졸 생성 물품이 삽입된 예들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 내지 도 3은 보조 장치와 결합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예시를 나타낸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100)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1) 및 에어로졸 생성 장치(1)에 삽입되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2)을 포함한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1)는 배터리(11), 제어부(12), 및 히터(13) 포함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에어로졸 생성 장치(1)는 증기화기(14)를 더 포함한다. 또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1)의 내부 공간에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2)이 삽입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에어로졸 생성 장치(1)에는 본 실시예와 관련된 구성요소들이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외에 다른 범용적인 구성요소들이 에어로졸 생성 장치(1)에 더 포함될 수 있음을 본 실시예와 관련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도 1에는 배터리(11), 제어부(12) 및 히터(13)가 일렬로 배치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2에는 배터리(11), 제어부(12), 증기화기(14) 및 히터(13)가 일렬로 배치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3에는 히터(13) 및 증기화기(14)가 병렬로 배치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에어로졸 생성 장치(1)의 내부 구조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시 말해, 에어로졸 생성 장치(1)의 설계에 따라, 배터리(11), 제어부(12), 히터(13), 및 증기화기(14)의 배치는 변경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물품(2)이 에어로졸 생성 장치(1)에 삽입되면, 에어로졸 생성 장치(1)는 히터(13) 및/또는 증기화기(14)를 작동시켜, 에어로졸을 발생시킬 수 있다. 히터(13) 및/또는 증기화기(14)에 의하여 발생된 에어로졸은 에어로졸 생성 물품(2)을 통과하여 사용자에게 전달된다.
필요에 따라, 에어로졸 생성 물품(2)이 에어로졸 생성 장치(1)에 삽입되지 않은 경우에도 에어로졸 생성 장치(1)는 히터(13)를 가열할 수 있다.
배터리(11)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가 동작하는데 이용되는 전력을 공급한다. 예를 들어, 배터리(11)는 히터(13) 또는 증기화기(14)가 가열될 수 있도록 전력을 공급할 수 있고, 제어부(12)가 동작하는데 필요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11)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에 설치된 디스플레이, 센서, 모터 등이 동작하는데 필요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제어부(12)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2)는 배터리(11), 히터(13), 및 증기화기(14)뿐만 아니라 에어로졸 생성 장치(1)에 포함된 다른 구성들의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2)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의 구성들 각각의 상태를 확인하여, 에어로졸 생성 장치(1)가 동작 가능한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제어부(12)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프로세서는 다수의 논리 게이트들의 어레이로 구현될 수도 있고, 범용적인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이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다른 형태의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도 있음을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히터(13)는 배터리(11)로부터 공급된 전력에 의하여 가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어로졸 생성 물품(2)이 에어로졸 생성 장치(1)에 삽입되면, 히터(13)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2)의 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가열된 히터(13)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2) 내의 에어로졸 생성 기질의 온도를 상승시킬 수 있다.
히터(13)는 전기 저항성 히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히터(13)는 전기 절연성 기질 및 전기 전도성 트랙(track)을 포함하고, 전기 전도성 트랙에 전류가 흐름에 따라 히터(13)가 가열될 수 있다. 그러나, 히터(13)는 상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희망 온도까지 가열될 수 있는 것이라면 제한 없이 해당될 수 있다. 여기에서, 희망 온도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에 기 설정되어 있을 수도 있고, 사용자에 의하여 원하는 온도로 설정될 수도 있다.
한편, 다른 예로, 히터(13)는 유도 가열식 히터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히터(13)에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2)을 유도 가열 방식으로 가열하기 위한 전기 전도성 코일을 포함할 수 있으며, 에어로졸 생성 물품(2)은 유도 가열식 히터에 의해 가열될 수 있는 서셉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히터(13)는 원통형 가열 요소, 관 형 가열 요소, 판 형 가열 요소, 침 형 가열 요소 또는 봉 형의 가열 요소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가열 요소의 모양에 따라 에어로졸 생성 물품(2)의 내부 또는 외부를 가열할 수 있다.
또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1)에는 히터(13)가 복수 개 배치될 수도 있다. 이때, 복수 개의 히터(13)들은 에어로졸 생성 물품(2)의 내부에 삽입되도록 배치될 수도 있고, 에어로졸 생성 물품(2)의 외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복수 개의 히터(13)들 중 일부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2)의 내부에 삽입되도록 배치되고, 나머지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2)의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히터(13)의 형상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증기화기(14)는 액상 조성물을 가열하여 에어로졸을 생성할 수 있으며, 생성된 에어로졸은 에어로졸 생성 물품(2)을 통과하여 사용자에게 전달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증기화기(14)에 의하여 생성된 에어로졸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1)의 기류 통로를 따라 이동할 수 있고, 기류 통로는 증기화기(14)에 의하여 생성된 에어로졸이 에어로졸 생성 물품(2)을 통과하여 사용자에게 전달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증기화기(14)는 액체 저장부, 액체 전달 수단, 및 가열 요소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액체 저장부, 액체 전달 수단 및 가열 요소는 독립적인 모듈로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1)에 포함될 수도 있다.
액체 저장부는 액상 조성물을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상 조성물은 휘발성 담배 향 성분을 포함하는 담배 함유 물질을 포함하는 액체일 수 있고, 비 담배 물질을 포함하는 액체일 수도 있다. 액체 저장부는 증기화기(14)로부터 탈/부착될 수 있도록 제작될 수도 있고, 증기화기(14)와 일체로서 제작될 수도 있다. 액체 저장부가 증기화기(14)와 일체로서 제작되는 경우, 증기화기(14)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상 조성물은 물, 솔벤트, 에탄올, 식물 추출물, 향료, 향미제, 또는 비타민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향료는 멘솔, 페퍼민트, 스피아민트 오일, 각종 과일향 성분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향미제는 사용자에게 다양한 향미 또는 풍미를 제공할 수 있는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비타민 혼합물은 비타민 A, 비타민 B, 비타민 C 및 비타민 E 중 적어도 하나가 혼합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액상 조성물은 글리세린 및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에어로졸 형성제를 포함할 수 있다.
액체 전달 수단은 액체 저장부의 액상 조성물을 가열 요소로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체 전달 수단은 면 섬유, 세라믹 섬유, 유리 섬유, 다공성 세라믹과 같은 심지(wick)가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가열 요소는 액체 전달 수단에 의해 전달되는 액상 조성물을 가열하기 위한 요소이다. 예를 들어, 가열 요소는 금속 열선, 금속 열판, 세라믹 히터 등이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가열 요소는 니크롬선과 같은 전도성 필라멘트로 구성될 수 있고, 액체 전달 수단에 감기는 구조로 배치될 수 있다. 가열 요소는, 전류 공급에 의해 가열될 수 있으며, 가열 요소와 접촉된 액체 조성물에 열을 전달하여, 액체 조성물을 가열할 수 있다. 그 결과, 에어로졸이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증기화기(14)는 카트리지(cartridge), 카토마이저(cartomizer) 또는 무화기(atomizer)로 지칭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에어로졸 생성 장치(1)는 배터리(11), 제어부(12), 히터(13), 및 증기화기(14) 외에 범용적인 구성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어로졸 생성 장치(1)는 시각 정보의 출력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및/또는 촉각 정보의 출력을 위한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1)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1)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2)이 삽입된 상태에서도 외부 공기가 유입되거나, 내부 기체가 유출 될 수 있는 구조로 제작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물품(2)은 일반적인 연소형 궐련과 유사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포함하는 제1 세그먼트, 필터 등을 포함하는 제2 세그먼트로 구분될 수 있다. 또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2)의 제2 세그먼트에도 에어로졸 생성 물질이 포함될 수도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1)의 내부에는 제1 세그먼트의 전체가 삽입되고, 제2 세그먼트 부분은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또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의 내부에 제1 세그먼트의 일부만 삽입될 수도 있고, 제1 세그먼트의 전체 및 제2 세그먼트의 일부가 삽입될 수도 있다. 사용자는 제2 세그먼트를 입으로 문 상태에서 에어로졸을 흡입할 수 있다. 이때, 에어로졸은 외부 공기가 제1 세그먼트를 통과함으로써 생성되고, 생성된 에어로졸은 제3 세그먼트 및 제2 세그먼트를 통과하여 사용자의 입으로 전달된다.
일 예로서, 외부 공기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공기 통로를 통하여 유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어로졸 생성 장치(1)에 형성된 공기 통로의 개폐 및/또는 공기 통로의 크기는 사용자에 의하여 조절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무화량, 끽연감 등이 사용자에 의하여 조절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외부 공기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2)의 표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구멍(hole)을 통하여 에어로졸 생성 물품(2)의 내부로 유입될 수도 있다.
한편, 도 1 내지 도 3에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가 에어로졸 생성 물품(2)과 함께 사용되는 예시들에 대해서만 개시되어 있으나, 에어로졸 생성 장치(1)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2)과 함께 사용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에어로졸 생성 장치(1)는 증기화기(14)만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에어로졸 생성 장치(1)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2) 대신 사용자의 입에 물려지는 별도의 마우스피스를 포함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1)로부터 생성된 에어로졸은 마우스피스를 통하여 에어로졸 생성 장치(1)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일 예에서, 마우스피스는 증기화기(14)의 일 단부에 형성될 수 있고, 에어로졸 생성 장치(1)의 일 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1)는 복수 개의 카트리지들을 포함할 수 있고, 각각의 카트리지들은 서로 동일하거나, 서로 다른 액상 조성물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 개의 카트리지들 각각은 서로 다른 향미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 개의 카트리지들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1)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일체로 결합될 수도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1)의 크기는 궐련의 크기와 비슷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에어로졸 생성 장치(1)의 기능을 변경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버튼의 크기가 작을 수 있다. 또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1)는 소형화를 위해 단일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기능을 미세하게 조절하기 어려울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기능을 미세하게 조정할 수 있도록 복수의 버튼들과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채용하는 경우, 에어로졸 생성 장치(1)의 크기가 증가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소형화를 유지하면서도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기능을 더 쉽고,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용 보조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용 보조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보조 장치(400)는 송수신기(410), 사용자 인터페이스(420) 및 프로세서(43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체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 수단을 구비하는 결합 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송수신기(410)는 본체가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결합됨에 따라 에어로졸 생성 장치와의 통신 연결(communication link)을 형성할 수 있다. 통신 연결은 유선 연결 및 무선 연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유선 또는 무선 연결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와 보조 장치(400) 사이에 양방향 통신을 제공할 수 있다.
유선 연결은 I2C(Inter Intergrated Circuit), SPI(Serial Peripheral Interface), UART(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Transmit), 이더넷(Ethernet) 및 LAN(Local Area Network) 통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무선 연결은 블루투스(Bluetooth), 와이파이(Wi-fi), 적외선 통신(IrDA) 및 무선 주파수(RF)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420)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모드를 선택하거나, 파라미터를 변경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모드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히터 온도 조절, 히터의 가열 시간 조절 등의 다양한 기능을 조절하기 위한 모드를 의미할 수 있고, 파라미터는 사용자가 제어하고자 하는 데이터 값 등을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420)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구비된 복수의 카트리지들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모드를 유연 모드 및 무연 모드 중 하나로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포함되는 히터의 가열 시간에 대응되는 파라미터를 변경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 및 한 번의 흡연 동작에 대응되는 퍼프 횟수를 변경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에 불과할 뿐, 상기에 나열된 사용자 입력들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멘솔향 카트리지 및 프렌치향의 카트리지가 구비된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420)는 멘솔향 카트리지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유연 모드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로부터 시각적으로 보이는 증기가 배출되는 모드를 의미할 수 있고, 무연 모드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로부터 시각적으로 보이지 않는 증기가 배출되는 모드를 의미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로부터 시각적으로 보이지 않는 증기가 배출되는 것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로부터 증기가 배출되는지 여부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없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또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로부터 시각적으로 보이지 않는 증기가 배출되는 것은 시각적으로 보이는 증기가 배출되는 것보다 시각적으로 현저히 적은 양의 증기가 배출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한편, 무연 모드에서 배출되는 증기는 시각적으로 보이지 않을 뿐, 여전히 니코틴 또는 향미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한 번의 흡연 동작에 대응되는 퍼프 횟수는 하나의 에어로졸 생성 물품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에어로졸을 흡입할 수 있는 횟수를 의미할 수 있다. 한 번의 흡연 동작에는 하나의 에어로졸 생성 물품이 사용될 수 있다. 한 번의 흡연 동작에 대응되는 퍼프 횟수에 도달하면 배터리로부터 히터로의 전력 공급이 중단될 수 있다.
프로세서(43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420)를 통해 수신된 사용자 입력을 통신 연결을 통해 에어로졸 생성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반대로, 프로세서(430)는 통신 연결을 통해 에어로졸 생성 장치로부터 사용 데이터를 획득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430)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로부터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히터의 온도에 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히터의 온도에 관한 정보는 히터가 가열되는 온도 프로파일, 기 설정된 시간 이후의 히터의 온도 등을 의미할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에어로졸 생성 장치용 보조 장치가 결합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보조 장치(540)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510)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도 5의 보조 장치(540) 및 본체(520)는 각각 도 4에서 설명한 보조 장치(400) 및 본체에 대응되고, 도 5의 에어로졸 생성 장치(510)는 도 1 내지 도 3의 에어로졸 생성 장치(1)에 대응되므로,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일 실시예에서, 보조 장치(540)는 자석(5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자석(530)은 본체(520)의 결합 단부에 구비되어 에어로졸 생성 장치(510)와 자기적인 결합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조 장치(540)가 자석(530)을 구비하고, 에어로졸 생성 장치(510)가 자석(530)에 대응되는 자성 물질을 구비하는 경우, 에어로졸 생성 장치(510)와 보조 장치(540)는 자기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자석(53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 장치(540)의 하부면에 위치할 수도 있고, 도 5에 도시된 것과는 다르게 보조 장치(540)의 측면에 위치할 수도 있고, 보조 장치(540)에 내장되어 있어 시각적으로 보이지 않을 수도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다른 실시예에서, 보조 장치(540)는 자석(530) 대신 돌출부 또는 오목부(recess)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 또는 오목부는 본체(520)의 결합 단부에 구비되어 에어로졸 생성 장치(510)와 기계적인 결합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조 장치(540)가 돌출부를 구비하고, 에어로졸 생성 장치(510)가 돌출부에 대응되는 오목부를 구비하는 경우, 보조 장치(540)의 돌출부가 에어로졸 생성 장치(510)의 오목부 내부로 삽입되어 기계적으로 결합할 수 있다. 또한, 보조 장치(540)가 오목부를 구비하고, 에어로졸 생성 장치(510)가 오목부에 대응되는 돌출부를 구비하는 경우, 에어로졸 생성 장치(510)의 돌출부가 보조 장치(540)의 오목부 내부로 삽입되어 기계적으로 결합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보조 장치(540)는 자석(530)과 돌출부 또는 오목부를 함께 포함할 수 있고, 자석(530)과 돌출부 또는 오목부 외에 다른 결합 수단을 포함할 수도 있다.
오목부 또는 돌출부는, 보조 장치(540)의 하부면에 위치할 수도 있고, 보조 장치(540)의 측면에 위치할 수도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보조 장치(540)는 내부에 중공을 가지는 링(ring) 형상일 수 있고, 보조 장치(540)의 중공에 에어로졸 생성 장치(510)가 삽입되어 보조 장치(540) 및 에어로졸 생성 장치(510)가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보조 장치(540) 자체가 오목부에 해당하고, 에어로졸 생성 장치(510)가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보조 장치(540)와 에어로졸 생성 장치(510)가 결합되면, Wi-fi, 블루투스 등으로 통신 연결될 수 있고, 통신 연결이 되면 보조 장치(540)가 에어로졸 생성 장치(510)로 사용자 입력을 전송할 수 있다.
보조 장치(540)는 사용자에게 청각적 및 시각적 지시들을 제공하도록 본체(520)의 외부 표면 상에 배치되는 LED, 스피커 등과 같은 출력 장치를 가질 수 있다. 보조 장치(540)와 에어로졸 생성 장치(510)가 결합되면, 보조 장치(540)는 진동, 불빛, 소리 등으로 사용자에게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용 보조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보조 장치(600)는 조그 다이얼(Jog Dial)(610), 기준선(620) 및 디스플레이(6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의 보조 장치(600)는 도 5의 보조 장치(540)에 대응되므로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보조 장치(600)는 본 실시예와 관련된 구성들이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도 6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외에 다른 범용적인 구성요소들이 보조 장치(600)에 더 포함될 수 있음을 본 실시예와 관련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조 장치(600)에는 디스플레이(630)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하나의 전원(미도시)이 포함될 수 있다.
보조 장치(6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고,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모드를 선택하거나, 파라미터를 변경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보조 장치(6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회전 방향 및 회전 정도에 대응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조그 다이얼(610)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그 다이얼(610)이 시계 방향으로 30°회전되는 경우,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유연 모드를 선택하는 제어 신호가 출력될 수 있다. 조그 다이얼(610)이 시계 방향으로 60°회전되는 경우,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무연 모드를 선택하는 제어 신호가 출력될 수 있다.
조그 다이얼(610)은 제1 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를 증가시키기 위한 제어 신호를 출력하고,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를 감소시키기 위한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제1 방향은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을 의미할 수 있고, 제1 방향이 시계 방향인 경우, 제2 방향은 반시계 방향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조그 다이얼(610)이 제1 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히터의 온도에 대응되는 파라미터를 증가시키기 위한 제어 신호가 출력되고, 제2 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히터의 온도에 대응되는 파라미터를 감소시키기 위한 제어 신호가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조그 다이얼(610)이 제1 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히터의 온도에 대응되는 파라미터를 증가시키기 위한 제어 신호 및 히터의 가열 시간에 대응되는 파라미터를 증가시키기 위한 제어신호가 출력될 수 있다. 제2 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히터의 온도에 대응되는 파라미터를 감소시키기 위한 제어 신호 및 히터의 가열 시간에 대응되는 파라미터를 증가시키기 위한 제어신호가 출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조그 다이얼(610)은 회전 정도에 비례하는 변화량만큼 파라미터를 변경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그 다이얼(610)이 시계 방향으로 30°회전되는 경우,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히터의 온도에 대응되는 파라미터를 2배 증가시키기 위한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조그 다이얼(610)이 시계 방향으로 60°회전되는 경우,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히터의 온도에 대응되는 파라미터를 4배 증가시키기 위한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조그 다이얼(610)이 시계 방향으로 3°단위로 회전되면 히터의 최고 온도를 1(도)씩 증가시키는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조그 다이얼(610)이 시계 방향으로 1°단위로 회전되면 히터의 최고 온도를 0.5(도)씩 증가시키는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조그 다이얼(610)은 제1 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제1 파라미터를 증가시키고, 제2 파라미터를 감소시키기 위한 제어 신호를 출력하고,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제1 파라미터를 감소시키고 제2 파라미터를 증가시키기 위한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제1 파라미터 및 제2 파라미터는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그 다이얼(610)이 제1 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보조 장치(600)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히터의 온도에 대응되는 파라미터를 증가시키고, 한 번의 흡연 동작에 대응되는 퍼프 횟수를 감소시키기 위한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히터의 온도를 증가시키고, 퍼프 횟수를 감소시킨다는 것은 연무량을 증가시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조그 다이얼(610)이 제2 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보조 장치(600)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히터의 온도에 대응되는 파라미터를 감소시키고, 한 번의 흡연 동작에 대응되는 퍼프 횟수를 증가시키기 위한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조그 다이얼(610)은 기준선(620)을 포함할 수 있다. 기준선(620)은 조그 다이얼(610)의 회전 방향 및 회전 정도를 지시할 수 있고, 기준선(620)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회전 방향 및 회전 정도에 대응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준선(620)을 기준으로 조그 다이얼(610)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히터의 온도에 대응되는 파라미터를 증가시키기 위한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조그 다이얼(610)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히터의 온도에 대응되는 파라미터를 감소시키기 위한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보조 장치(600)는 디스플레이(6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63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선택된 모드 및 변경된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되는 시각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그 다이얼(610)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입력이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유연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인 경우, 디스플레이(630)는 유연모드임을 나타내는 연기 그림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조그 다이얼(610)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입력이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히터의 온도에 대응되는 파라미터를 증가시키기 위한 사용자 입력인 경우, 디스플레이(630)는 파라미터가 증가됨을 나타내는 빨간색 불빛을 출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630)는 온도에 대응되는 파라미터 값을 출력할 수 있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용 보조 장치가 작동하는 방법을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보조 장치(700)는 조그 다이얼(710) 외에 버튼(7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7의 보조 장치(700)는 도 6의 보조 장치(600)에 대응되므로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모드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다양한 기능을 조절하기 위한 모드를 의미할 수 있고,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히터의 온도를 조절하는 모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히터의 가열 시간을 조절하는 모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유연 모드 또는 무연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모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모드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로부터 선택될 수도 있고, 조그 다이얼(710)의 회전 정도 및 회전 방향에 의해 선택될 수도 있고, 버튼(720)에 의해 선택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버튼(720)을 더 포함할 수 있고, 버튼(720)은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누르는 횟수 및 누르는 시간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버튼(720)은 버튼(720) 및/또는 조그 다이얼(710)로부터 출력된 제어 신호를 확정시킬 수 있다. 제어신호를 확정시킨다는 것은, 제어 신호가 프로세서로 전송되어 에어로졸 생성 장치로 전송되고, 제어 신호에 의해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모드가 선택되거나 파라미터가 변경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버튼(720)이 1번 눌러진 경우,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히터의 온도를 조절하는 모드를 선택하는 제어 신호가 출력될 수 있다. 버튼(720)이 2번 눌러진 경우,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히터의 가열 시간을 조절하는 모드를 선택하는 제어 신호가 출력될 수 있다. 또한, 버튼(720)이 1초(sec) 이하로 1번 눌러진 경우,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히터의 온도를 조절하는 모드를 선택하는 제어 신호가 출력될 수 있다. 버튼(720)이 3초 이상으로 1번 눌러진 경우,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히터의 가열 시간을 조절하는 모드를 선택하는 제어 신호가 출력될 수 있다.
또한, 보조 장치(700)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모드가 선택된 경우, 조그 다이얼(710)을 이용하여 조그 다이얼(710)의 회전 방향 및 회전 정도에 대응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하고, 버튼(720)을 이용하여 출력된 제어 신호를 확정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히터의 온도를 조절하는 모드가 선택된 경우, 조그 다이얼(710)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어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히터의 온도에 대응되는 파라미터를 증가시키기 위한 제어 신호가 출력되고, 버튼(720)이 2번 눌러짐으로서 조그 다이얼(710)로부터 출력된 제어 신호가 확정될 수 있다.
또한, 보조 장치(700)는 조그 다이얼(710)을 이용하여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모드를 선택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하고, 버튼(720)을 이용하여 출력된 제어 신호를 확정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조그 다이얼(710)이 시계 방향으로 30°회전되어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히터의 온도를 조절하는 모드를 선택하는 제어 신호가 출력되고, 버튼(720)이 2초 이상으로 눌러짐으로서 출력된 제어 신호를 확정시킬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조그 다이얼(710)이 시계 방향으로 30°회전되어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유연 모드 또는 무연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모드를 선택하는 제어 신호가 출력될 수 있다. 버튼(720)이 2초 이상으로 눌러짐으로서 출력된 제어 신호를 확정시켜 유연 모드 또는 무연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모드가 선택될 수 있다. 모드가 선택된 후, 조그 다이얼(710)이 시계 방향으로 60°회전되어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무연 모드를 선택하는 제어 신호가 출력되고, 버튼(720)이 1초 이상으로 눌러짐으로써 무연 모드를 선택하는 제어 신호가 확정될 수 있다. 다만, 이에 반드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모드 및 파라미터의 종류에 따라 버튼(720) 및 조그 다이얼(710)의 조합 방식이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을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800)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810) 및 보조 장치(82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의 에어로졸 생성 장치(810)는 도 1 내지 도 3의 에어로졸 생성 장치(1)에 대응되고, 도 8의 보조 장치(820)는 도 7의 보조 장치(700)에 대응되므로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800)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810) 및 보조 장치(820)를 포함할 수 있다. 보조 장치(820)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810)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본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보조 장치(820)는 본체가 에어로졸 생성 장치(810)에 결합됨에 따라 에어로졸 생성 장치(810)와의 통신 연결을 형성하는 송수신기(821)를 포함할 수 있다. 보조 장치(820)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810)의 모드를 선택하거나, 파라미터를 변경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823)를 포함할 수 있다. 보조 장치(82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823)를 통해 수신된 사용자 입력을 통신 연결을 통해 에어로졸 생성 장치(810)로 전송하는 프로세서(822)를 포함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810)는 송수신기(811) 및 제어부(812)를 포함할 수 있다. 송수신기(811)는 보조 장치(820)와의 통신 연결을 형성할 수 있고, 송수신기(811)는 송수신기(821)와의 통신 연결을 형성할 수 있다. 통신 연결은 유선 연결 및 무선 연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유선 또는 무선 연결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810)와 보조 장치(820) 사이에 양방향 통신을 제공할 수 있다. 송수신기(811) 및 송수신기(821)는 블루투스, 와이파이 등에 의해 통신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송수신기(811)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810)에 대한 정보를 보조 장치(820)로 전송하도록 제어부(812)에 연결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810)에 대한 정보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히터의 온도에 관한 정보 등을 의미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제어부(812)는 통신 연결을 통해 보조 장치(820)로부터 사용자 인터페이스(823)를 통해 수신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812)는 보조 장치(820)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에어로졸 생성 장치(81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810)는 가시적인 연기가 발생되는 유연 모드 및 가시적인 연기가 발생되지 않는 무연 모드 중 하나로 동작할 수 있고, 보조 장치(820)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모드를 유연 모드 및 무연 모드 중 하나로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인터페이스(823)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810)의 모드를 유연 모드 및 무연 모드 중 하나로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822)는 수신된 사용자 입력을 제어부(812)로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812)는 유연 모드 및 무연 모드 중 하나로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에어로졸 생성 장치(810)가 유연 모드 및 무연 모드 중 하나로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810)는 복수의 카트리지들을 포함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810)는 각각이 서로 상이한 향미를 갖는 복수의 카트리지들을 포함할 수 있고, 보조 장치(820)는 복수의 카트리지들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인터페이스(823)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810)의 복수의 카트리지들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822)는 수신된 사용자 입력을 제어부(812)로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812)는 복수의 카트리지들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에어로졸 생성 장치(810)의 복수의 카트리지들 중 적어도 하나가 선택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810)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을 가열하는 히터를 포함할 수 있고, 보조 장치(820)는 히터의 온도를 캘리브레이션(calibration)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캘리브레이션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810)의 히터의 온도 프로파일을 기 설정된 온도 프로파일과 일치시키기 위해 에어로졸 생성 장치(810)의 전력량을 도출하는 인자를 조정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캘리브레이션은 기 설정된 시간 이후 에어로졸 생성 장치(810)의 히터에서 측정된 온도가 기 설정된 온도와 일치하도록 에어로졸 생성 장치(810)의 히터의 온도를 조정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캘리브레이션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810)의 히터가 가열되는 최고 온도가 기 설정된 온도와 일치하도록 에어로졸 생성 장치(810)의 히터의 온도를 조정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캘리브레이션은 사용자가 원하는 온도로 에어로졸 생성 장치(810)의 히터의 온도를 조정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사용자 인터페이스(823)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810)의 히터의 온도를 캘리브레이션 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822)는 수신된 사용자 입력을 제어부(812)로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812)는 히터의 온도를 캘리브레이션 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에어로졸 생성 장치(810)의 히터의 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어로졸 생성 장치(810)의 히터가 가열되는 최고 온도가 공장 초기값의 온도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 보조 장치(820)는 사용자에게 캘리브레이션이 필요하다는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823)가 히터가 가열되는 최고 온도를 공장 초기값의 온도로 일치시키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822)는 수신된 사용자 입력을 제어부(812)로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812)는 히터가 가열되는 최고 온도가 공장 초기값의 온도와 일치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히터가 가열되는 최고 온도가 공장 초기값의 온도와 일치하는 경우, 보조 장치(820)는 사용자에게 캘리브레이션이 완료되었다는 알림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보조 장치(820)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810)에 포함되는 히터의 온도를 증가시키고, 한 번의 흡연 동작에 대응되는 퍼프 횟수를 감소시키는 제1 모드 및 히터의 온도를 감소시키고, 한 번의 흡연 동작에 대응되는 퍼프 횟수를 증가시키는 제2 모드 중 하나의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810)는 수신된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모드에 따라 흡연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인터페이스(823)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810)에 포함되는 히터의 온도를 증가시키고, 한 번의 흡연 동작에 대응되는 퍼프 횟수를 감소시키는 제1 모드 및 히터의 온도를 감소시키고, 한 번의 흡연 동작에 대응되는 퍼프 횟수를 증가시키는 제2 모드 중 하나의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822)는 수신된 사용자 입력을 제어부(812)로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812)는 수신된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에어로졸 생성 장치(810)의 제1 모드 및 제2 모드 중 적어도 하나의 모드가 선택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며, 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과 동등한 범위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지는 보호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에어로졸 생성 장치 610: 조그 다이얼
2: 에어로졸 생성 물품 620: 기준선
11: 배터리 630: 디스플레이
12: 제어부 700: 보조 장치
13: 히터 710: 조그 다이얼
14: 증기화기 720: 버튼
400: 보조 장치 800: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410: 송수신기 810: 에어로졸 생성 장치
420: 사용자 인터페이스 811: 송수신기
430: 프로세서 812: 제어부
510: 에어로졸 생성 장치 820: 보조 장치
520: 본체 821: 송수신기
530: 자석 822: 프로세서
540: 보조 장치 823: 사용자 인터페이스
600: 보조 장치

Claims (16)

  1. 에어로졸 생성 장치용 보조 장치에 있어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본체;
    상기 본체가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결합됨에 따라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장치와의 통신 연결(communication link)을 형성하는 송수신기;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모드를 선택하거나, 파라미터를 변경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된 상기 사용자 입력을 상기 통신 연결을 통해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장치로 전송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회전 방향 및 회전 정도에 대응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조그 다이얼(Jog Dial); 및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누르는 횟수 및 누르는 시간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버튼;을 포함하고,
    상기 조그 다이얼에 의해 출력된 상기 제어 신호는, 상기 버튼이 기 설정된 횟수만큼 눌려지거나 상기 버튼이 기 설정된 시간 이상 눌려지는 경우 확정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용 보조 장치.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조그 다이얼은,
    제1 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를 증가시키기 위한 제어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를 감소시키기 위한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용 보조 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조그 다이얼은,
    상기 회전 정도에 비례하는 변화량만큼 상기 파라미터를 변경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용 보조 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조그 다이얼은,
    제1 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제1 파라미터를 증가시키고, 제2 파라미터를 감소시키기 위한 제어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상기 제1 파라미터를 감소시키고, 상기 제2 파라미터를 증가시키기 위한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용 보조 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조그 다이얼은,
    상기 회전 방향 및 상기 회전 정도를 지시하는 기준선을 포함하고,
    상기 기준선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회전 방향 및 회전 정도에 대응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용 보조 장치.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구비된 복수의 카트리지들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모드를 유연 모드 및 무연 모드 중 하나로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포함되는 히터의 온도에 대응되는 파라미터를 변경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포함되는 히터의 가열 시간에 대응되는 파라미터를 변경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 및 한 번의 흡연 동작에 대응되는 퍼프 횟수를 변경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용 보조 장치.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장치는,
    상기 본체의 결합 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장치와 자기적인 결합을 제공하는 자석을 더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용 보조 장치.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장치는,
    상기 본체의 결합 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장치와 기계적인 결합을 제공하는 돌출부 또는 오목부(recess)를 더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용 보조 장치.
  10. 삭제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장치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선택된 모드 및 변경된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되는 시각 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용 보조 장치.
  12.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에 있어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장치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본체,
    상기 본체가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결합됨에 따라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장치와의 통신 연결(communication link)을 형성하는 송수신기,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모드를 선택하거나, 파라미터를 변경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된 상기 사용자 입력을 상기 통신 연결을 통해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장치로 전송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보조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회전 방향 및 회전 정도에 대응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조그 다이얼(Jog Dial); 및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누르는 횟수 및 누르는 시간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버튼;을 포함하고,
    상기 조그 다이얼에 의해 출력된 상기 제어 신호는, 상기 버튼이 기 설정된 횟수만큼 눌려지거나 상기 버튼이 기 설정된 시간 이상 눌려지는 경우 확정되는,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가시적인 연기가 발생되는 유연 모드 및 가시적인 연기가 발생되지 않는 무연 모드 중 하나로 동작 가능하고,
    상기 보조 장치는,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모드를 상기 유연 모드 및 상기 무연 모드 중 하나로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복수의 카트리지들을 포함하고,
    상기 보조 장치는,
    상기 복수의 카트리지들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15.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을 가열하는 히터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 장치는,
    상기 히터의 온도를 캘리브레이션(calibration)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16.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장치는,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포함되는 히터의 온도를 증가시키고, 한 번의 흡연 동작에 대응되는 퍼프 횟수를 감소시키는 제1 모드 및 상기 히터의 온도를 감소시키고, 상기 한 번의 흡연 동작에 대응되는 퍼프 횟수를 증가시키는 제2 모드 중 하나의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상기 수신된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모드에 따라 흡연 동작을 수행하는,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KR1020200078810A 2020-06-26 2020-06-26 에어로졸 생성 장치용 보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KR1025538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8810A KR102553827B1 (ko) 2020-06-26 2020-06-26 에어로졸 생성 장치용 보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8810A KR102553827B1 (ko) 2020-06-26 2020-06-26 에어로졸 생성 장치용 보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0759A KR20220000759A (ko) 2022-01-04
KR102553827B1 true KR102553827B1 (ko) 2023-07-10

Family

ID=793424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8810A KR102553827B1 (ko) 2020-06-26 2020-06-26 에어로졸 생성 장치용 보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3827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331035A1 (en) * 2015-05-15 2016-11-17 Lunatech, Llc Electronic vapor device in cooperation with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US20170325508A1 (en) * 2016-05-15 2017-11-16 Mutual Vape Inc Electronic Cigarette with Analog Display Arrangement
US20180020720A1 (en) * 2016-07-21 2018-01-25 Infineon Technologies Ag Electronic cigarette, liquid container, and method of operating an electronic cigarette
US20180317543A1 (en) * 2015-03-18 2018-11-08 Alexander M Jackson Waterless Vacuum Based Smoking Apparatus
US20200046032A1 (en) * 2016-12-27 2020-02-13 Gofire, Inc.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concentrate usage of a user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PL2967153T3 (pl) 2013-03-15 2018-09-28 Altria Client Services Llc Akcesorium do papierosa elektronicznego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80317543A1 (en) * 2015-03-18 2018-11-08 Alexander M Jackson Waterless Vacuum Based Smoking Apparatus
US20160331035A1 (en) * 2015-05-15 2016-11-17 Lunatech, Llc Electronic vapor device in cooperation with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US20170325508A1 (en) * 2016-05-15 2017-11-16 Mutual Vape Inc Electronic Cigarette with Analog Display Arrangement
US20180020720A1 (en) * 2016-07-21 2018-01-25 Infineon Technologies Ag Electronic cigarette, liquid container, and method of operating an electronic cigarette
US20200046032A1 (en) * 2016-12-27 2020-02-13 Gofire, Inc.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concentrate usage of a us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0759A (ko) 2022-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840289B2 (ja) エアロゾル生成装置
JP7225344B2 (ja) エアロゾル生成装置
KR102074930B1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370569B1 (ko) 향미 전달 디바이스
EP3704968B1 (en) Device for generating aerosol
US11083227B2 (en) Flavor inhaler
JP7197240B2 (ja) エアロゾル生成装置及びその動作方法
JP2021509277A (ja) エアロゾル生成装置及びそれを制御する方法
KR102281869B1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553827B1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용 보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KR102272407B1 (ko) 마우스피스 교체식 에어로졸 생성장치
KR20210155688A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210042744A (ko) 궐련 및 카트리지를 선택적으로 사용 가능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방법
KR102663247B1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546288B1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471108B1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EP4324346A1 (en) Aerosol-generating article and aerosol-generating system
JP7056862B2 (ja) 電子蒸気化器
TWI839489B (zh) 吸煙替代系統、吸煙替代設備、及操作吸煙替代設備的方法
TW202041160A (zh) 吸煙替代系統
TW202218566A (zh) 吸嚐裝置、資訊傳送方法及程式
TW202045039A (zh) 吸煙替代系統
WO2023046488A1 (en) Aerosol delivery article with an infrared heater
TW202042674A (zh) 吸煙替代系統
KR20230156249A (ko) 에어로졸 발생 물품 및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