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3364B1 - 근거리 무선 오디오 링크 기반 무선 회의 제공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 Google Patents

근거리 무선 오디오 링크 기반 무선 회의 제공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3364B1
KR102553364B1 KR1020220189633A KR20220189633A KR102553364B1 KR 102553364 B1 KR102553364 B1 KR 102553364B1 KR 1020220189633 A KR1020220189633 A KR 1020220189633A KR 20220189633 A KR20220189633 A KR 20220189633A KR 102553364 B1 KR102553364 B1 KR 1025533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crophone terminal
terminal device
microphone
identification number
voice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896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철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경바스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경바스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경바스컴
Priority to KR10202201896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336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33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33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3/005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for combining the signals of two or more microphone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8Constructional details of speech recognition systems
    • G10L15/32Multiple recognisers used in sequence or in parallel; Score combination systems therefor, e.g. voting system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21/00Speech or voice signal processing techniques to produce another audible or non-audible signal, e.g. visual or tactile, in order to modify its quality or its intelligibility
    • G10L21/02Speech enhancement, e.g. noise reduction or echo cancellation
    • G10L21/0208Noise filte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3/002Damping circuit arrangements for transducers, e.g. motional feedback 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3/02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for preventing acoustic reaction, i.e. acoustic oscillatory feedba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02Transmission of channel access control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20/07Applications of wireless loudspeakers or wireless microph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근거리 무선 오디오 링크 기반 무선 회의 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로서, 상기 장치는, 제1 마이크 단말장치 및 제2 마이크 단말장치를 포함한 복수의 마이크 단말장치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는 통신부; 저장부; 및 통신부 및 저장부와 동작 가능하게 연결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프로세서는, 상기 제1 마이크 단말장치 및 상기 제2 마이크 단말장치를 포함한 복수의 마이크 단말장치 각각에 서로 상이한 식별번호가 각각 부여되고, 상기 제2 마이크 단말장치를 상위 식별번호를 가지는 상기 제1 마이크 단말장치와 페어링시키고, 상기 제1 마이크 단말장치를 메인 컨트롤러와 페어링시키고, 상기 메인 컨트롤러와 상기 제1 마이크 단말장치의 페어링 후에, 상기 복수의 마이크 단말장치의 음성 데이터를 상기 제1 마이크 단말장치를 통해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근거리 무선 오디오 링크 기반 무선 회의 제공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APPARATUS FOR DEDUCING A WIRELESS CONFERENCE BASED ON A SHORT-RANGE WIRELESS AUDIO LINK AND SYSTEM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근거리 무선 오디오 링크 기반 무선 회의 제공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마이크 단말장치는 사람의 음성신호를 전기 신호로 바꿔서 스피커를 포함한 음성 출력 장치로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마이크 단말장치는 유선 통신 방식과 무선 통신 방식으로 나누어진다. 여기서, 유선 통신 방식의 마이크 단말장치는 잡음이나 간섭 등의 영향이 없어 음성 품질이 좋은 장점이 있지만, 사용 장소와 이동에 제약이 있는 단점이 있다. 한편, 무선 통신 방식의 마이크 단말장치는 사용 장소와 이동에 제약이 없는 장점이 있지만, 잡음이나 간섭 등의 영향으로 인해 음성 품질이 낮아지는 단점이 있다.
회의실 내의 마이크 단말장치는 참석자들의 잦은 이동으로 인해 무선 통신 방식의 마이크 단말장치의 효용성이 매우 높다. 이때, 무선 회의용 마이크 단말장치는 최대한 많은 회의 참가자 수를 보장하여야 하지만, 많은 수의 마이크 단말장치를 무선 연결하는 경우, 간섭, 잡음 등의 문제로 인하여 무선 통신 품질이 저하될 수 있다.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보다 용이하게 하기 위해 작성되었다.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에 기재된 사항들이 선행기술로 존재한다고 인정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다수의 마이크 단말장치의 연결로 인한 음성 품질 저하의 문제가 있다.
이에, 무선 신호 간섭을 최소화하여 다수의 마이크 단말장치의 음성 품질 저하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이 요구된다.
그 결과,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각 단말장치에 ID를 부여하여 메인 컨트롤러를 최상위로 하는 1열의 논리적 위계 구조를 만들고, 단말장치의 무선 출력을 1 ~ 2m 범위에 도달할 정도로 최소화하여 인접한 단말장치를 스캔하여 페어링한 후 양쪽의 단말장치 중 ID 상위의 단말장치가 ID 하위의 단말장치로부터 오디오와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여, 이를 자신의 오디오와 데이터에 혼합시킨 후 다시 자신보다 상위의 ID를 가지고 있는 단말장치로 전송해주는 방식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무선 오디오 링크 기반 무선 회의 제공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장치는, 제1 마이크 단말장치 및 제2 마이크 단말장치를 포함한 복수의 마이크 단말장치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는 통신부; 저장부; 및 통신부 및 저장부와 동작 가능하게 연결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프로세서는, 상기 제1 마이크 단말장치 및 상기 제2 마이크 단말장치를 포함한 복수의 마이크 단말장치 각각에 서로 상이한 식별번호가 각각 부여되고, 상기 제2 마이크 단말장치를 상위 식별번호를 가지는 상기 제1 마이크 단말장치와 페어링시키고, 상기 제1 마이크 단말장치를 메인 컨트롤러와 페어링시키고, 상기 메인 컨트롤러와 상기 제1 마이크 단말장치의 페어링 후에, 상기 복수의 마이크 단말장치의 음성 데이터를 상기 제1 마이크 단말장치를 통해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인 컨트롤러와 상기 복수의 마이크 단말장치 각각의 거리를 기반으로 상위의 식별번호를 부여하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페어링 시키는 상기 상위 식별번호를 가지는 복수의 마이크 단말장치에 대한 탐색 범위를 순차적으로 증가시키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마이크 단말장치로부터 상기 상위 식별번호를 가지는 상기 마이크 단말장치가 적어도 둘 이상 감지된 경우, 상기 제2 마이크 단말장치의 식별번호와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마이크 단말장치의 식별번호 사이의 차이가 적은 마이크 단말장치와 페어링 하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마이크 단말장치는, 상기 상위 식별번호가 부여된 마이크 단말장치와 페어링하기 위해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상위 무선 접속 채널, 하위 식별번호가 부여된 마이크 단말장치와 페어링하기 위해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하위 무선 접속 채널 및 상기 페어링의 재접속을 위해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예비 무선 접속 채널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마이크 단말장치는, 상기 페어링이 단절된 경우, 상기 예비 무선 접속 채널을 이용하여, 상기 상위 식별번호 및 상기 하위 식별번호의 마이크 단말장치로의 재접속을 시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제N 마이크 단말장치를 상위 식별번호를 가지는 제N-1 마이크 단말장치와 페어링시키고, 상기 제N-1 마이크 단말장치를 상위 식별번호를 가지는 제N-2 마이크 단말장치와 페어링시키도록 더 구성되고, 상기 N은 상기 복수의 마이크 단말장치의 개수로서, 적어도 3이상의 정수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마이크 단말장치 각각의 사용자의 음성이 각각 음성 데이터로 변환되고, 1) 상기 제N-1 마이크 단말장치는 상기 제N 마이크 단말장치로부터 제N 음성 데이터를 제공받고, 2) 상기 제공받은 제N 음성 데이터와 상기 제N-1 마이크 단말장치의 제N-1 음성 데이터를 믹싱하고, 3) 믹싱된 상기 제N-1 음성 데이터를 페어링된 상기 제N-2 마이크 단말장치로 전달하고, 상기 N의 값이 3이 될때까지 상기 1) 내지 3)의 단계를 반복하고, 믹싱된 제1 음성 데이터를 상기 메인 컨트롤러로 전달하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인 컨트롤러는 제N 마이크 단말장치로부터 단독 발언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단독 발언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복수의 마이크 단말장치는 수신된 상기 제N 음성 데이터를 상기 메인 컨트롤러로 믹싱없이 전달하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음성 데이터의 잡음을 제거하기 위해 상기 복수의 마이크 단말장치로부터 수신된 음성 데이터의 일정 전압 이하의 데이터는 믹싱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마이크 단말장치는, 투표 기능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버튼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투표 기능은, 상기 투표 기능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버튼으로부터 상기 복수의 마이크 단말장치 투표 데이터를 도출하고, 1) 상기 제N-1 마이크 단말장치는 상기 제N 마이크 단말장치로부터 제N 투표 데이터를 제공받고, 2) 상기 제N 투표 데이터와 제N-1 투표 데이터를 합산하고, 3) 합산된 상기 제N-1 투표 데이터를 페어링된 상기 제N-2 마이크 단말장치로 전달하고, 상기 N의 값이 3이 될때까지 상기 1) 내지 3)의 단계를 반복하고, 믹싱된 제1 투표 데이터를 상기 메인 컨트롤러로 전달하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무선 오디오 링크 기반 무선 회의 제공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시스템은, 제1 마이크 단말장치; 제2 마이크 단말장치; 및 상기 제1 마이크 단말장치 및 상기 제2 마이크 단말장치와 연결되도록 구성된 메인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 컨트롤러는, 상기 제1 마이크 단말장치 및 상기 제2 마이크 단말장치를 포함한 복수의 마이크 단말장치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는 통신부; 저장부; 및 통신부 및 저장부와 동작 가능하게 연결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프로세서는, 상기 제1 마이크 단말장치 및 상기 제2 마이크 단말장치를 포함한 복수의 마이크 단말장치 각각에 서로 상이한 식별번호가 각각 부여되고, 상기 제2 마이크 단말장치를 상위 식별번호를 가지는 상기 제1 마이크 단말장치와 페어링시키고, 상기 제1 마이크 단말장치를 메인 컨트롤러와 페어링시키고, 상기 메인 컨트롤러와 상기 제1 마이크 단말장치의 페어링 후에, 상기 복수의 마이크 단말장치의 음성 데이터를 상기 제1 마이크 단말장치를 통해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은 무선 회의용 마이크 단말장치 사이에 최소 출력의 무선 신호를 통하여 모든 무선 회의용 마이크 단말장치의 오디오 및 데이터 신호가 메인 컨트롤러에 도달하도록 설계하여, 무선 신호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단독 발언 방식, 발언 가능한 인원수가 제한된 다수 발언 방식, 투표 기능 등을 포함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이 높은 무선 회의용 마이크 단말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발명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무선 오디오 링크 기반 무선 회의 제공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 단말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 단말장치의 전면 인터페이스의 예시도이다.
도 2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 단말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인 컨트롤러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무선 오디오 링크 기반 무선 회의 제공 시스템의 순서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무선 오디오 링크 기반 무선 회의 제공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들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가진다," "가질 수 있다,"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해당 특징(예: 수치, 기능, 동작, 또는 부품 등의 구성요소)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특징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또는/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및 B 중 하나 또는 그 이상" 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는, (1) 적어도 하나의 A를 포함, (2) 적어도 하나의 B를 포함, 또는(3) 적어도 하나의 A 및 적어도 하나의 B 모두를 포함하는 경우를 모두 지칭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제1," "제2," "첫째," 또는 "둘째," 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1 사용자 기기와 제2 사용자 기기는, 순서 또는 중요도와 무관하게, 서로 다른 사용자 기기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문서에 기재된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바꾸어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 연결되어((operatively or communicatively) coupled with/to)" 있다거나 "접속되어(connected to)"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예: 제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2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예: 제3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표현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configured to)"은 상황에 따라, 예를 들면, "~에 적합한(suitable for)," "~하는 능력을 가지는(having the capacity to)," "~하도록 설계된(designed to)," "~하도록 변경된(adapted to)," "~하도록 만들어진(made to)," 또는 "~ 를 할 수 있는(capable of)"과 바꾸어 사용될 수 있다. 용어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은 하드웨어적으로 "특별히 설계된(specifically designed to)" 것 만을 반드시 의미하지 않을 수 있다. 대신, 어떤 상황에서는, "~하도록 구성된 장치"라는 표현은, 그 장치가 다른 장치 또는 부품들과 함께 "~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문구 "A, B, 및 C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프로세서"는 해당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전용 프로세서(예: 임베디드 프로세서), 또는 메모리 장치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해당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범용 프로세서(generic-purpose processor)(예: CPU 또는 application processor)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문서에 사용된 용어들 중 일반적인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문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문서의 실시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며, 당업자가 충분히 이해할 수 있듯이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 가능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의 해석의 명확함을 위해, 이하에서는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을 정의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무선 오디오 링크 기반 무선 회의 제공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무선 회의 시스템(1000)은 마이크 단말장치(100) 및 메인 컨트롤러(200)(이하, 무선 회의 제공 장치(200))를 포함한다.
무선 회의 시스템(1000)은 다수의 마이크 단말장치(100)로부터 사용자의 음성 근거리 무선 오디오 링크 기반 무선 회의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무선 회의 시스템(1000)은 복수의 마이크 단말장치(100)로부터 사용자의 음성을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무선 회의 시스템(1000)의 무선 회의 제공 장치(200)는 복수의 마이크 단말장치(100)로부터 복수의 음성을 제공받을 수 있다. 여기서, 마이크 단말장치(100)는 음성을 인식할 수 있는 장치로서, 다이나믹 마이크, 콘덴서 마이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무선 회의 시스템(1000)은 무선 회의용 마이크 단말장치(100) 사이에 최소 출력의 무선 신호를 통하여 모든 무선 회의용 마이크 단말장치의 오디오 및 데이터 신호가 메인 컨트롤러에 도달하도록 설계하여, 무선 신호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무선 회의 시스템(1000)은 단독 발언 방식, 발언 가능한 인원수가 제한된 다수 발언 방식, 투표 기능 등을 포함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이 높은 무선 회의용 마이크 단말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 단말장치의 측면도이고,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 단말장치의 전면 인터페이스의 예시도이고, 도 2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 단말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a 내지 도 2c를 참조하면, 마이크 단말장치(100)는 마이크 헤드(110), 식별번호 표시부(120), 투표 기능부(130), 발언 요청부(140), 무선 접속 채널(150) 및 I/O 서브시스템(16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마이크 단말장치(100) 내의 다양한 컴포넌트들은 하나 이상의 통신 버스 또는 신호 라인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마이크 헤드(110)는 I/O 서브시스템(160)과 연결되어 사용자의 음성을 I/O 서브시스템(160)로 전달할 수 있다. 이때, 마이크 단말장치(100)는 마이크 헤드(110)를 통해 음성 작동형 기능, 예컨대 음성 인식, 음성 복제, 디지털 녹음, 및 전화 기능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식별번호 표시부(120)는 I/O 서브시스템(160)과 연결되어 복수의 마이크 단말장치(100) 각각의 식별번호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식별번호 표시부(120)는 무선 회의 제공 장치(200)로부터 부여된 식별번호가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식별번호는 상황에 따라 다르게 부여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식별번호는 각 마이크 단말장치(100)에 부여된 고정된 값일 수 있다.
투표 기능부(130)는 I/O 서브시스템(160)과 연결되어 마이크 단말장치(100)의 투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투표 기능부(130)는 찬성, 반대, 기권 등의 버튼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I/O 서브시스템(160)은 무선 회의 제공 장치(200)로부터 투표 기능 활성화 신호를 받을 때 투표 기능부(130)의 찬성, 반대, 기권 등의 버튼을 활성화 시킬 수 있다. 또한, 투표 기능부(130)는 사용자가 선택한 찬성, 반대, 기권 등의 데이터를 I/O 서브시스템(160)에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마이크 단말장치(100)는 각각의 투표 기능부(130)의 결과를 기반으로 투표 데이터가 형성될 수 있다.
발언 요청부(140)는 I/O 서브시스템(160)과 연결되어 마이크 단말장치(100)의 발언 요청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발언 요청부(140)는 발언 요청/종료 버튼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발언 요청부(140)는 I/O 서브시스템(160)을 통해 무선 회의 제공 장치(200)로 해당 마이크 단말장치(100)의 발언을 요청할 수 있다. 또한, 발언 요청부(140)는 단독 발언 요청, 발언 종료, 발언 가능한 인원수가 제한된 다수 발언 방식에서의 발언 요청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발언 요청부(140)는 해당 마이크 단말장치(100)가 발언 기능이 활성화 되었을 때 발언 요구/종료 버튼을 누름으로써 발언 기능을 비활성화 할 수 있다. 다른 예로는, 마이크 단말장치(100)는 발언 요청 버튼, 발언 종료 버튼, 단독 발언 요청 버튼 등을 각각 구비할 수 있다.
무선 접속 채널(150)은 하위 무선 접속 채널(151), 예비 무선 접속 채널(152) 및 상위 무선 접속 채널(153)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무선 접속 채널(150)은 인접한 복수의 마이크 단말장치(100)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무선 접속 채널(150)은 무선 회의 제공 장치(200)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무선 접속 채널(150)은 인접한 복수의 마이크 단말장치(100)와 연결되어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다. 이때, 무선 접속 채널(150)은 출력 전력 제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무선 접속 채널(150)은 무선 출력의 전력 제어가 가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무선 접속 채널(150)은 하나 이상의 유/무선 네트워크로 구성되며, 다양한 통신 포트, 무선 주파수 송수신기, 광학 송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다.
하위 무선 접속 채널(151)은 인접한 마이크 단말장치(100) 중 자신의 식별번호 보다 낮은 마이크 단말장치(100)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하위 무선 접속 채널(151)은 자신의 식별번호 보다 낮은 마이크 단말장치(100)로부터 음성 데이터, 투표 데이터 등이 수신될 수 있다.
예비 무선 접속 채널(152)은 채널의 재접속용으로 대기되는 무선 접속 채널일 수 있다. 이때, 복수의 마이크 단말장치(100)는 예비 무선 접속 채널(152)을 통해 인접한 마이크 단말장치(100)로의 재접속을 시도할 수 있다. 여기서, 예비 무선 접속 채널(152)은 하위 무선 접속 채널(151)의 한 종류일 수 있다.
상위 무선 접속 채널(153)은 인접한 마이크 단말장치(100) 중 자신의 식별번호 보다 높은 마이크 단말장치(100)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위 무선 접속 채널(153)은 자신의 식별번호 보다 높은 마이크 단말장치(100)로 음성 데이터, 투표 데이터 등을 전달할 수 있다.
I/O 서브시스템(160)은 마이크 단말장치(100)의 사용자 입력(예. 음성 입력, 키보드 입력, 터치 입력 등)을 수신하고, 수신된 입력에 따른 명령을 처리할 수 있다. 여기서, I/O 서브시스템(160)은 음성 변환부(161), 데이터 수신부(162), 예비 데이터 수신부(163) 및 데이터 발신부(164)를 포함할 수 있다.
음성 변환부(161)은 마이크 헤드(110)로부터 인식되는 사용자의 음성을 음성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I/O 서브시스템(160)은 프리앰프 및 ADC를 통해 사용자의 음성을 24bit의 음성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
데이터 수신부(162)는 자신의 식별번호 보다 낮은 마이크 단말장치(100)로부터 음성 데이터가 수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I/O 서브시스템(160)은 하위 무선 접속 채널(151)과 연결된 마이크 단말장치(100)로부터 24bit의 음성 데이터가 수신될 수 있다.
예비 데이터 수신부(163)는 예비 무선 접속 채널(152)로부터 음성 데이터가 수신될 수 있다. 이때, 예비 무선 접속 채널(152)이 접속 대기인 경우, 수신된 음성 데이터를 폐기처분 할 수 있다.
데이터 발신부(164)는 자신의 식별번호 보다 높은 마이크 단말장치(100)로 음성 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I/O 서브시스템(160)은 상위 무선 접속 채널(153)과 연결된 마이크 단말장치(100)로 24bit의 음성 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다. 이때, I/O 서브시스템(160)은 음성 변환부(161)로부터 변환된 음성 데이터와 데이터 수신부(162)로부터 수신된 음성 데이터를 믹싱한 음성 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회의 제공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무선 회의 제공 장치(200)는 통신 인터페이스(210), 메모리(220), I/O 인터페이스(230) 및 프로세서(240)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각 구성은 하나 이상의 통신 버스 또는 신호 라인을 통해 서로 통신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210)는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마이크 단말장치(100)와 연결되어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인터페이스(210)는 마이크 단말장치(100)로부터 음성 데이터, 투표 데이터, 발언 요청 신호 등을 수신할 수 있다. 이때, 통신 인터페이스(210)는 발언 요청 신호를 발신한 마이크 단말장치(100)의 식별번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 인터페이스(210)는 단독 발언 모드, 발언자 수 제한 모드, 밀어내기 모드, 자유발언 모드, 투표 시작, 투표 종료 등의 신호를 마이크 단말장치(100)로 전달할 수 있다.
도 3b를 참조하면, 통신 인터페이스(210)는 하위 무선 접속 채널(211) 및 예비 무선 접속 채널(212)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통신 인터페이스(210)는 출력 전력 제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통신 인터페이스(210)는 무선 출력의 전력 제어가 가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통신 인터페이스(210)는 하나 이상의 유/무선 네트워크로 구성되며, 다양한 통신 포트, 무선 주파수 송수신기, 광학 송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다.
하위 무선 접속 채널(211)은 인접한 마이크 단말장치(100)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하위 무선 접속 채널(151)은 마이크 단말장치(100)로부터 음성 데이터, 투표 데이터 등이 수신될 수 있다.
예비 무선 접속 채널(212)은 채널의 재접속용으로 대기되는 무선 접속 채널일 수 있다. 이때, 복수의 마이크 단말장치(100)는 예비 무선 접속 채널(152)을 통해 인접한 마이크 단말장치(100)로의 재접속을 시도할 수 있다. 여기서, 예비 무선 접속 채널(152)은 하위 무선 접속 채널(151)의 한 종류일 수 있다.
한편, 다시 도 3a로 돌아와서, 이러한 데이터의 송수신을 가능하게 하는 통신 인터페이스(210)는 유선 통신 포트(211) 및 무선 회로(212)를 포함하며, 여기 유선 통신 포트(211)는 하나 이상의 유선 인터페이스, 예를 들어, 이더넷, 범용 직렬 버스(USB), 파이어와이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무선 회로(212)는 RF 신호 또는 광학 신호를 통해 외부 디바이스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아울러, 무선 통신은 복수의 통신 표준, 프로토콜 및 기술, 예컨대 GSM, EDGE, CDMA, TDMA, 블루투스, Wi-Fi, VoIP, Wi-MAX, 또는 임의의 기타 적합한 통신 프로토콜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메모리(220)는 무선 회의 제공 장치(200)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220)는 사용자의 음성 데이터, 투표 데이터 등이 저장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메모리(220)는 각종 데이터, 명령 및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기록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22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 하드디스크 타입,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 SRAM, 롬, EEPROM, PROM, 네트워크 저장 스토리지, 클라우드,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메모리(220)는 운영 체제(221), 통신 모듈(222),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223) 및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224)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을 저장할 수 있다.
운영 체제(221)(예. LINUX, UNIX, MAC OS, WINDOWS, VxWorks 등의 내장형 운영 체제)는 일반적인 시스템 작업(예. 메모리 관리, 저장 디바이스 제어, 전력 관리 등)를 제어하고 관리하기 위한 다양한 소프트웨어 컴포넌트 및 드라이버를 포함할 수 있으며, 다양한 하드웨어, 펌웨어, 및 소프트웨어 컴포넌트 간의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통신 모듈(223)은 통신 인터페이스(210)를 통해 다른 디바이스와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통신 모듈(220)은 통신 인터페이스(210)의 유선 통신 포트(211) 또는 무선 회로(212)에 의해 수신되는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다양한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223)은 I/O 인터페이스(230)를 통해 키보드, 터치 스크린, 마이크 등으로부터 사용자의 요청 또는 입력을 수신하고, 디스플레이 상에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224)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240)에 의해 실행되도록 구성되는 프로그램 또는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무선 회의 제공을 제공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은 서버 팜(server farm) 상에서 구현될 수 있다.
I/O 인터페이스(230)는 무선 회의 제공 장치(200)의 입출력 디바이스(미도시), 예컨대 디스플레이, 키보드, 터치 스크린 및 마이크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223)과 연결할 수 있다. I/O 인터페이스(23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223)과 함께 사용자 입력(예. 음성 입력, 키보드 입력, 터치 입력 등)을 수신하고, 수신된 입력에 따른 명령을 처리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도 3b를 참조하면, I/O 인터페이스(230)는 회의모드 설정부(231), 투표 제어부(232), 예비 데이터 수신부(233) 및 음성 출력부(23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I/O 인터페이스(230)는 통신 인터페이스(210)를 통해 마이크 단말장치(100)와 연결될 수 있다.
회의모드 설정부(231)는 마이크 단말장치(100)의 회의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이때, 회의모드 설정부(231)는 단독발언 모드(231a), 발언자수 제한 모드(231b), 밀어내기 모드(231c), 자유발언 모드(231d) 등의 회의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단독발언 모드(231a)는, 마이크 단말장치(100)로부터 단독 발언이 요청될 수 있다. 이때, 무선 회의 제공 장치(200)는 단독 발언이 요청된 마이크 단말장치의 음성 데이터를 무선 회의 제공 장치(200)로 믹싱없이 수신할 수 있다.
발언자수 제한 모드(231b)는, 마이크 단말장치(100)의 발언자 수를 제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회의 제공 장치(200)는 발언자수 제한 모드(231b)인 경우, 마이크 단말장치(100)의 발언자 수를 3명으로 제한할 수 있다. 이때, 무선 회의 제공 장치(200)는 최대 3개의 마이크 단말장치(100)의 발언 요청을 허가할 수 있다. 여기서, 무선 회의 제공 장치(200)는 상기 3개의 마이크 단말장치를 제외한 나머지 마이크 단말장치의 음성 데이터는 믹싱하지 않고 음성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밀어내기 모드(231c)는, 마이크 단말장치(100)의 음성 데이터를 차례로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회의 제공 장치(200)는 제1 마이크 단말장치 내지 제4 마이크 단말장치와 연결되고, 밀어내기 모드(231c)로 설정된 경우, 제4 마이크 단말장치로부터 단독발언 음성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다음으로, 무선 회의 제공 장치(200)는 제3 마이크 단말장치의 단독 발언, 제2 마이크 단말장치의 단독 발언, 및 제1 마이크 단말장치의 단독발언 음성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자유발언 모드(231d)는, 마이크 단말장치(100)의 음성 데이터를 제약없이 수신할 수 있다.
투표 제어부(232)는 마이크 단말장치(100)의 투표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투표 제어부(232)는 투표 시작부(232a) 및 투표 종료부(232b)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무선 회의 제공 장치(200)는 투표 시작부(232a)를 통해 마이크 단말장치(100)의 투표 기능을 활성화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마이크 단말장치(100)는 투표 버튼을 통해 각각의 투표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제N 마이크 단말장치는 제N 투표 데이터를 제N-1 마이크 단말장치로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제N-1 마이크 단말장치는 수신한 제N 투표 데이터와 제N-1 투표 데이터를 합산할 수 있다. 여기서, 제N-1 마이크 단말장치는 합산된 제N-1 투표 데이터를 제N-2 마이크 단말장치로 전달할 수 있다. 아울러, 제N-1 마이크 단말장치가 제N 투표 데이터와 제N-1 투표 데이터를 합산하여 제N-2 마이크 단말장치로 전달하는 과정은 제2 마이크 단말장치가 제3 투표 데이터와 제2 투표 데이터를 합산하여 제1 마이크 단말장치로 전달할 때까지 릴레이 방식으로 반복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제1 마이크 단말장치(521)는 합산된 제1 투표 데이터를 메인 컨트롤러(200)로 전달할 수 있다. 이때, 무선 회의 제공 장치(200)는 투표 종료부(232b)를 통해 마이크 단말장치(100)의 투표 기능을 비활성화할 수 있다.
예비 데이터 수신부(233)는, 채널의 재접속용으로 대기되는 무선 접속 채널일 수 있다. 이때, 복수의 마이크 단말장치(100)는 예비 무선 접속 채널(212)을 통해 인접한 마이크 단말장치(100)로의 재접속을 시도할 수 있다. 여기서, 예비 무선 접속 채널(152)은 하위 무선 접속 채널(151)의 한 종류일 수 있다.
음성 출력부(234)는, 인접한 마이크 단말장치(100)와 하위 무선 접속 채널(211)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음성 출력부(234)는 하위 무선 접속 채널(211)을 통해 마이크 단말장치(100)의 음성 데이터, 투표 데이터 등이 수신될 수 있다. 여기서, 음성 출력부(234)는 마이크 단말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음성 데이터를 RF 전력제어 입/출력 앰프, Decoder, DAC, 오디오 앰프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다시, 도 3a로 돌아와서, 프로세서(240)는 통신 인터페이스(210), 메모리(220) 및 I/O 인터페이스(230)와 연결되어 무선 회의 제공 장치(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으며, 메모리(220)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을 통해 추천 종목 제공을 위한 다양한 명령들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240)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나 AP(Application Processor)와 같은 연산 장치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240)는 다양한 연산 장치가 통합된 SoC(System on Chip)와 같은 통합 칩(Integrated Chip (IC))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240)는 NPU(Neural Processing Unit)과 같이 인공 신경망 모델을 계산하기 위한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프로세서(240)는 복수의 마이크 단말장치(100) 각각에 식별번호를 부여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240)는 무선 회의 제공 장치(200)와 마이크 단말장치(100)의 거리를 기반으로 상위의 식별번호를 부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40)는 메인 컨트롤러와 가장 인접한 마이크 단말장치(100)에 최상위 식별번호를 부여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240)는 무선 회의 제공 장치(200)와 가장 먼 마이크 단말장치(100)에 최하위 식별번호를 부여할 수 있다.
프로세서(240)는 제2 마이크 단말장치와 제1 마이크 단말장치를 페어링 할 수 있다. 이때, 제1 마이크 단말장치는 식벌변호 1이 부여된 마이크 단말장치(100)일 수 있다. 또한, 제2 마이크 단말장치는 식별번호 2가 부여된 마이크 단말장치(100)일 수 있다. 여기서, 제2 마이크 단말장치는 상위 식별번호가 부여된 제1 마이크 단말장치와 페어링될 수 있다. 한편, 마이크 단말장치(100)는 상위 식별번호가 부여된 마이크 단말장치와 페어링하기 위해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상위 무선 접속 채널, 하위 식별번호가 부여된 마이크 단말장치와 페어링하기 위해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하위 무선 접속 채널 및 페어링의 재접속을 위해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예비 무선 접속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240)는 제1 마이크 단말장치와 무선 회의 제공 장치(200)를 페어링할 수 있다. 이때, 무선 회의 제공 장치(200)는 식별번호의 위계질서에 최상위로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마이크 단말장치는 상위 식별번호가 부여된 무선 회의 제공 장치(200)와 페어링될 수 있다.
프로세서(240)는 복수의 마이크 단말장치(100)의 음성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240)는 제1 마이크 단말장치로부터 복수의 마이크 단말장치(100)의 음성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마이크 단말장치는 페어링 된 제2 마이크 단말장치로부터 제2 음성 데이터가 수신될 수 있다. 이때, 제2 음성 데이터는 제2 마이크 단말장치로부터 인식되는 음성 데이터일 수 있다. 한편, 제1 마이크 단말장치는 제2 마이크 단말장치로부터 제공된 제2 음성 데이터를 제1 음성 데이터와 믹싱할 수 있다. 이때, 제1 음성 데이터는 제1 마이크 단말장치로부터 인식되는 음성 데이터일 수 있다. 여기서, 제1 마이크 단말장치는 믹싱된 제1 음성 데이터를 무선 회의 제공 장치(200)로 전달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회의 제공 장치(200)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무선 회의 제공 장치(200)를 통해 무선 회의 제공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회의 제공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의 순서도이고,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회의 제공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들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복수의 마이크 단말장치(100) 각각은 서로 상이한 식별번호가 부여된다(S410). 이때, 식별번호는 마이크 단말장치(100)의 DIP 스위치를 통해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마이크 단말장치(100)의 각각의 식별번호는 해당 마이크 단말장치의 고정된 식별번호 값이 아닌 실시예에 따라 서로 상이한 값을 가질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도 5를 참조하면, 복수의 마이크 단말장치(100) 각각은 서로 상이한 식별번호가 부여될 수 있다. 이때, 식별번호는 마이크 단말장치(100)의 DIP 스위치를 통해 설정될 수 있다.메인 컨트롤러(510)는 식별번호 1번, 제1 마이크 단말장치(521)는 식별번호 2번, 제2 마이크 단말장치(522)는 식별번호 3번, 제3 마이크 단말장치(523)는 식별번호 4번이 부여될 수 있다. 한편, 마이크 단말장치(100)의 각각의 식별번호는 해당 마이크 단말장치의 고정된 식별번호 값이 아닌 실시예에 따라 서로 상이한 값을 가질 수 있다.
다른 예로는, 무선 회의 제공 장치(200)는 릴레이 방식으로 식별번호를 부여할 수 있다. 이때, 무선 회의 제공 장치(200)는 식별번호를 메인 컨트롤러(510)와 가장 인접한 제1 마이크 단말장치(521)에 식별번호 2번을 부여할 수 있다. 이때, 제1 마이크 단말장치(521)는 가장 인접한 제2 마이크 단말장치(522)에 식별번호 3번을 부여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는, 무선 회의 제공 장치(200)는 마이크 단말장치의 식벌번호를 랜덤하게 부여할 수 있다. 한편, 식별번호를 부여하는 방식은 상기 언급한 방식에 제한되지 않는다.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무선 회의 제공 장치(200)는 제2 마이크 단말장치와 제1 마이크 단말장치를 페어링 힌다(S420). 이때, 제1 마이크 단말장치는 식벌변호 1이 부여된 마이크 단말장치(100)일 수 있다. 또한, 제2 마이크 단말장치는 식별번호 2가 부여된 마이크 단말장치(100)일 수 있다. 여기서, 제2 마이크 단말장치는 상위 식별번호가 부여된 제1 마이크 단말장치와 페어링될 수 있다. 한편, 마이크 단말장치(100)는 상위 식별번호가 부여된 마이크 단말장치와 페어링하기 위해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상위 무선 접속 채널, 하위 식별번호가 부여된 마이크 단말장치와 페어링하기 위해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하위 무선 접속 채널 및 페어링의 재접속을 위해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예비 무선 접속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도 5를 참조하면, 무선 회의 제공 장치(200)는 제1 마이크 단말장치(521), 제2 마이크 단말장치(522), 제3 마이크 단말장치(523) 내지 제N 마이크 단말장치를 페어링 시킬 수 있다. 이때, 무선 회의 제공 장치(200)는 제N 마이크 단말장치를 상위 식별번호를 가지는 제N-1 마이크 단말장치와 페어링시킬 수 있다. 여기서, 무선 회의 제공 장치(200)는 제N-1 마이크 단말장치를 상위 식별번호를 가지는 제N-2 마이크 단말장치와 페어링시킬 수 있다. 아울러, 무선 회의 제공 장치(200)는 제N 마이크 단말장치와 제N-1 마이크 단말장치를 페어링하는 과정을 제2 마이크 단말장치(522)와 제1 마이크 단말장치(521)까지 반복할 수 있다.
한편, 무선 회의 제공 장치(200)는 임의의 마이크 단말장치와 페어링 시키는 상위 식별번호를 가지는 마이크 단말장치의 탐색 범위를 순차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무선 회의 제공 장치(200)는 동시에 복수개의 상위 식별번호를 가지는 마이크 단말장치가 검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럼에도, 무선 회의 제공 장치(200)는 복수개의 상위 식별번호를 가지는 마이크 단말장치가 검색된 경우, 해당 마이크 단말장치의 식별번호와 인접한 식별번호가 부여된 마이크 단말장치와 페어링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식별번호 3이 부여된 제3 마이크 단말장치를 페어링 될 때, 식별번호 4가 부여된 제4 마이크 단말장치와 식별번호 5가 부여된 제5 마이크 단말장치가 동시에 검색될 수 있다. 이때, 제3 마이크 단말장치는 자신에게 부여된 식별번호 3과 인접한 식별번호 4가 부여된 제4 마이크 단말장치와 페어링 될 수 있다.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무선 회의 제공 장치(200)는 제1 마이크 단말장치와 페어링한다(S430). 이때, 무선 회의 제공 장치(200)는 식별번호의 위계질서에 최상위로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마이크 단말장치는 최상위 식별번호가 부여된 무선 회의 제공 장치(200)와 페어링될 수 있다. 한편, 제1 마이크 단말장치는 무선 회의 제공 장치(200)와 페어링 될 때까지 무선 출력을 늘릴 수 있다. 여기서, 제1 마이크 단말장치는 무선 회의 제공 장치(200)로 RF 송출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 이때, 무선 회의 제공 장치(200)는 제1 마이크 단말장치의 RF 송출전력을 기반으로 무선 회의 제공 장치(200)의 RF 송출전력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무선 회의 제공 장치(200)는 무선 회의 제공 장치(200)와 제1 마이크 단말장치의 페이링이 완료된 경우 무선 회의 준비가 완료됐음을 사용자에게 표시할 수 있다.
무선 회의 제공 장치(200)는 복수의 마이크 단말장치(100)의 음성 데이터를 수신한다(S440). 이때, 무선 회의 제공 장치(200)는 제1 마이크 단말장치로부터 복수의 마이크 단말장치(100)의 음성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마이크 단말장치는 페어링된 제2 마이크 단말장치로부터 제2 음성 데이터가 수신될 수 있다. 이때, 제2 음성 데이터는 제2 마이크 단말장치로부터 인식되는 음성 데이터일 수 있다. 한편, 제1 마이크 단말장치는 제2 마이크 단말장치로부터 제공된 제2 음성 데이터를 제1 음성 데이터와 믹싱할 수 있다. 이때, 제1 음성 데이터는 제1 마이크 단말장치로부터 인식되는 음성 데이터일 수 있다. 여기서, 제1 마이크 단말장치는 믹싱된 제1 음성 데이터를 무선 회의 제공 장치(200)로 전달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도 5를 참조하면, 복수의 마이크 단말장치(100)의 각각의 사용자의 음성이 각각 음성데이터로 변환될 수 있다. 이때, 제1 마이크 단말장치(521)는 제1 음성 데이터, 제2 마이크 단말장치(522)는 제2 음성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제N 마이크 단말장치는 제N 음성 데이터를 제N-1 마이크 단말장치로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제N-1 마이크 단말장치는 수신한 제N 음성 데이터와 제N-1 음성 데이터를 믹싱할 수 있다. 여기서, 제N-1 마이크 단말장치는 믹싱된 제N-1 음성 데이터를 제N-2 마이크 단말장치로 전달할 수 있다. 아울러, 제N-1 마이크 단말장치가 제N 음성 데이터와 제N-1 음성 데이터를 믹싱하여 제N-2 마이크 단말장치로 전달하는 과정은 제2 마이크 단말장치(522)가 제3 음성 데이터와 제2 음성 데이터를 믹싱하여 제1 마이크 단말장치(521)로 전달할 때까지 릴레이 방식으로 반복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제1 마이크 단말장치(521)는 믹싱된 제1 음성 데이터를 무선 회의 제공 장치(200)로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도 7을 참조하면, 복수의 마이크 단말장치(100)는 수신된 음성 데이터(720)와 입력된 음성 데이터(710)를 믹싱하여 믹싱된 음성 데이터(730)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마이크 단말장치(100)는 입력된 음성 데이터(710)를 ADC 변환한 수신된 음성 데이터(720)와 믹싱하여 입력된 음성 데이터(710)와 같은 크기의 믹싱된 음성 데이터(730)를 생성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마이크 단말장치(100)는 전송 데이터의 양이 늘어남으로 인해 발생하는 전송지연을 최소화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마이크 단말장치(100)는 임계치 이하의 공통된 신호 값을 제거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복수의 마이크 단말장치(100)는 공통 잡음 레벨의 증가를 막아 공통 잡음을 제거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마이크 단말장치(100)는 페어링이 완료된 후 페어링이 단절된 경우, 예비 무선 접속 채널을 통해 상위 식별번호 및 하위 식별번호의 마이크 단말장치로의 재접속을 시도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도 6a를 참조하면 식별번호 3이 부여된 제1 마이크 단말장치(601)는 상위 식별번호인 식별번호 2가 부여된 제2 마이크 단말장치(602)와 페어링 될 수 있다. 이때, 식별번호 2가 부여된 제2 마이크 단말장치(602)는 상위 식별번호인 식별번호 1이 부여된 제3 마이크 단말장치(603)와 페어링 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6b를 참조하면, 제2 마이크 단말장치(602)의 통신이 두절될 수 있다. 이때, 제1 마이크 단말장치(601) 및 제3 마이크 단말장치(603)은 제2 마이크 단말장치(602)의 통신 두절을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마이크 단말장치(602)의 통신 두절을 감지한 제1 마이크 단말장치(601) 및 제3 마이크 단말장치(603)는 제2 마이크 단말장치(602)를 링크에서 제거하고, 제1 마이크 단말장치(601)는 RF송출전력을 높여서 상위 식별번호가 부여된 제3 마이크 단말장치(603)와 페어링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6c를 참조하면, 제2 마이크 단말장치(602)는 사용자의 재접속 요구에 따라 재접속을 시도할 수 있다. 이때, 제1 마이크 단말장치(601) 및 제3 마이크 단말장치(603)는 예비 무선 접속 채널을 통해 제2 마이크 단말장치(602)와 페어링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6d를 참조하면, 제1 마이크 단말장치(601) 및 제3 마이크 단말장치(603)는 제2 마이크 단말장치(602)와 정상적으로 페어링 된 경우 제1 마이크 단말장치(601)와 제3 마이크 단말장치(603)의 페어링을 끊을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마이크 단말장치
110: 마이크 헤드 120: 식별번호 표시부
130: 투표기능부 140: 발언 요청부
150: 무선 접속 채널 151: 하위 무선 접속 채널
152: 예비 무선 접속 채널 153: 상위 무선 접속 채널
160: I/O 서브시스템
200: 무선 회의 제공 서버
210: 통신 인터페이스
211: 유선 통신 포트 212: 무선 회로
220: 메모리
221: 운영 체제 222: 통신 모듈
223: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 224: 애플리케이션
230: I/O 인터페이스 240: 프로세서

Claims (13)

  1. 제1 마이크 단말장치 및 제2 마이크 단말장치를 포함한 복수의 마이크 단말장치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는 통신부;
    저장부; 및
    통신부 및 저장부와 동작 가능하게 연결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프로세서는,
    상기 제1 마이크 단말장치 및 상기 제2 마이크 단말장치를 포함한 복수의 마이크 단말장치 각각에 서로 상이한 식별번호를 각각 부여하고,
    상기 제2 마이크 단말장치를 상위 식별번호를 가지는 상기 제1 마이크 단말장치와 페어링시키고,
    상기 제1 마이크 단말장치를 메인 컨트롤러와 페어링시키고,
    상기 메인 컨트롤러와 상기 제1 마이크 단말장치의 페어링 후에, 상기 복수의 마이크 단말장치의 음성 데이터를 상기 제1 마이크 단말장치를 통해 수신하며,
    상기 제2 마이크 단말장치로부터 상기 상위 식별번호를 가지는 상기 마이크 단말장치가 적어도 둘 이상 감지된 경우, 상기 제2 마이크 단말장치의 식별번호와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마이크 단말장치의 식별번호 사이의 차이가 적은 마이크 단말장치와 페어링 하도록 구성되는, 근거리 무선 오디오 링크 기반 무선 회의 제공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인 컨트롤러와 상기 복수의 마이크 단말장치 각각의 거리를 기반으로 상기 복수의 마이크 단말 장치 각각에 식별번호를 부여하도록 더 구성된, 근거리 무선 오디오 링크 기반 무선 회의 제공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페어링 시키는 상기 상위 식별번호를 가지는 복수의 마이크 단말장치에 대한 탐색 범위를 순차적으로 증가시키도록 더 구성된, 근거리 무선 오디오 링크 기반 무선 회의 제공 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 단말장치는,
    상기 상위 식별번호가 부여된 마이크 단말장치와 페어링하기 위해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상위 무선 접속 채널;
    하위 식별번호가 부여된 마이크 단말장치와 페어링하기 위해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하위 무선 접속 채널; 및
    상기 페어링의 재접속을 위해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예비 무선 접속 채널을 포함하는, 근거리 무선 오디오 링크 기반 무선 회의 제공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제N 마이크 단말장치를 상위 식별번호를 가지는 제N-1 마이크 단말장치와 페어링시키고,
    상기 제N-1 마이크 단말장치를 상위 식별번호를 가지는 제N-2 마이크 단말장치와 페어링시키도록 더 구성되고,
    상기 N은 상기 복수의 마이크 단말장치의 개수로서, 적어도 3이상의 정수로 구성된, 근거리 무선 오디오 링크 기반 무선 회의 제공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마이크 단말장치 각각의 사용자의 음성이 각각 음성 데이터로 변환되고,
    1) 상기 제N-1 마이크 단말장치는 상기 제N 마이크 단말장치로부터 제N 음성 데이터를 제공받고,
    2) 상기 제공받은 제N 음성 데이터와 상기 제N-1 마이크 단말장치의 제N-1 음성 데이터를 믹싱하고,
    3) 믹싱된 상기 제N-1 음성 데이터를 페어링된 상기 제N-2 마이크 단말장치로 전달하고,
    상기 N의 값이 3이 될때까지 상기 1) 내지 3)의 단계를 반복하고,
    믹싱된 제1 음성 데이터를 상기 메인 컨트롤러로 전달하도록 더 구성된, 근거리 무선 오디오 링크 기반 무선 회의 제공 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 단말장치는,
    상기 페어링이 단절된 경우, 상기 예비 무선 접속 채널을 이용하여, 상기 상위 식별번호 및 상기 하위 식별번호의 마이크 단말장치로의 재접속을 시도하도록 구성된, 근거리 무선 오디오 링크 기반 무선 회의 제공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인 컨트롤러는 제N 마이크 단말장치로부터 단독 발언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단독 발언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복수의 마이크 단말장치는 수신된 상기 제N 음성 데이터를 상기 메인 컨트롤러로 믹싱없이 전달하도록 더 구성된, 근거리 무선 오디오 링크 기반 무선 회의 제공 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음성 데이터의 잡음을 제거하기 위해 상기 복수의 마이크 단말장치로부터 수신된 음성 데이터의 일정 전압 이하의 데이터는 믹싱하지 않도록 구성된, 근거리 무선 오디오 링크 기반 무선 회의 제공 장치.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 단말장치는,
    투표 기능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버튼이 더 구비된, 근거리 무선 오디오 링크 기반 무선 회의 제공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투표 기능은,
    상기 투표 기능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버튼으로부터 상기 복수의 마이크 단말장치 투표 데이터를 도출하고,
    1) 상기 제N-1 마이크 단말장치는 상기 제N 마이크 단말장치로부터 제N 투표 데이터를 제공받고,
    2) 상기 제N 투표 데이터와 제N-1 투표 데이터를 합산하고,
    3) 합산된 상기 제N-1 투표 데이터를 페어링된 상기 제N-2 마이크 단말장치로 전달하고,
    상기 N의 값이 3이 될때까지 상기 1) 내지 3)의 단계를 반복하고,
    믹싱된 제1 투표 데이터를 상기 메인 컨트롤러로 전달하도록 더 구성된, 근거리 무선 오디오 링크 기반 무선 회의 제공 장치.
  13. 제1 마이크 단말장치;
    제2 마이크 단말장치; 및
    상기 제1 마이크 단말장치 및 상기 제2 마이크 단말장치와 연결되도록 구성된 메인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 컨트롤러는,
    상기 제1 마이크 단말장치 및 상기 제2 마이크 단말장치를 포함한 복수의 마이크 단말장치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는 통신부;
    저장부; 및
    통신부 및 저장부와 동작 가능하게 연결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프로세서는,
    상기 제1 마이크 단말장치 및 상기 제2 마이크 단말장치를 포함한 복수의 마이크 단말장치 각각에 서로 상이한 식별번호가 각각 부여되고,
    상기 제2 마이크 단말장치를 상위 식별번호를 가지는 상기 제1 마이크 단말장치와 페어링시키고,
    상기 제1 마이크 단말장치를 메인 컨트롤러와 페어링시키고,
    상기 메인 컨트롤러와 상기 제1 마이크 단말장치의 페어링 후에, 상기 복수의 마이크 단말장치의 음성 데이터를 상기 제1 마이크 단말장치를 통해 수신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2 마이크 단말장치로부터 상기 상위 식별번호를 가지는 상기 마이크 단말장치가 적어도 둘 이상 감지된 경우, 상기 제2 마이크 단말장치의 식별번호와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마이크 단말장치의 식별번호 사이의 차이가 적은 마이크 단말장치와 페어링 하도록 구성되는, 근거리 무선 오디오 링크 기반 무선 회의 제공 시스템.
KR1020220189633A 2022-12-29 2022-12-29 근거리 무선 오디오 링크 기반 무선 회의 제공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KR1025533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89633A KR102553364B1 (ko) 2022-12-29 2022-12-29 근거리 무선 오디오 링크 기반 무선 회의 제공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89633A KR102553364B1 (ko) 2022-12-29 2022-12-29 근거리 무선 오디오 링크 기반 무선 회의 제공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53364B1 true KR102553364B1 (ko) 2023-07-06

Family

ID=871860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89633A KR102553364B1 (ko) 2022-12-29 2022-12-29 근거리 무선 오디오 링크 기반 무선 회의 제공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336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1449B1 (ko) * 2008-05-02 2009-04-01 조영종 카메라/마이크 원격제어 및 전자투표 기능을 겸한무선회의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132745B1 (ko) * 2011-10-26 2012-04-06 (주)씨어스테크놀로지 이더넷을 통해 연결되는 회의용 마이크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1449B1 (ko) * 2008-05-02 2009-04-01 조영종 카메라/마이크 원격제어 및 전자투표 기능을 겸한무선회의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132745B1 (ko) * 2011-10-26 2012-04-06 (주)씨어스테크놀로지 이더넷을 통해 연결되는 회의용 마이크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09679B1 (ko) IEEE 802.11 표준에 정의된 TWT(target wake time)를 이용하여 무선 매체에 대한 접근을 지원하는 전자 장치
EP3554046B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ecure network access
US7747223B2 (en) Method, system and mobile device for prioritizing a discovered device list
US7865568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appliances via a network
CN103297557A (zh) 用于在无线通信网络中分配ip地址的方法和设备
CN103124422A (zh) 关联设备的方法、装置及系统
CN110473555B (zh) 一种基于分布式语音设备的交互方法及装置
CN113785256B (zh) 基于服务器的办公桌轮用
US20160100356A1 (en) Method and controller for implementing wireless network cloud
US1086355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ng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S20120269362A1 (en) Sharing public addressing system using personal communication devices in an ad-hoc network
AU2005283023A1 (en)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content delivery in a push-to-talk communication system
US11991612B2 (en) Bluetooth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terminal and storage medium
JP2023515468A (ja) 相互接続デバイスの無線クロスペアリングの解決策
US8150945B2 (en) Host arbitrated user interface resource sharing
JP2001175602A (ja) 通信端末接続確立方法および通信システム
WO2022257667A1 (zh) 路由器控制方法、装置和存储介质
KR102553364B1 (ko) 근거리 무선 오디오 링크 기반 무선 회의 제공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JP5057946B2 (ja) 音声会議装置および音声会議方法
WO2021218849A1 (zh) 小区选择方法、小区选择控制方法及相关设备
TWI238605B (en)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blue-tooth data and its apparatus
US20130007474A1 (en) Providing power to a communication device via a device switch
US20040258006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mmunicating between devices without a piconet coordinator in a piconet
US10778674B2 (en) Voice authentication and setup for wireless media rendering system
KR20170137580A (ko) 무선랜에서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와 액세스 포인트의 페어링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