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3213B1 - 디스플레이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3213B1
KR102553213B1 KR1020150149650A KR20150149650A KR102553213B1 KR 102553213 B1 KR102553213 B1 KR 102553213B1 KR 1020150149650 A KR1020150149650 A KR 1020150149650A KR 20150149650 A KR20150149650 A KR 20150149650A KR 102553213 B1 KR102553213 B1 KR 1025532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tern
image
mask
camera
focal leng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96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48940A (ko
Inventor
유재광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496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3213B1/ko
Publication of KR201700489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89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32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32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Landscapes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스크에 구비된 제1패턴과, 마더글라스에 구비된 제2패턴을 카메라로 촬영하여, 제1패턴을 촬영한 제1이미지와, 제2패턴을 촬영한 제2이미지를 가지고 각각 선명한 부분만을 합성부에 의해 합성하여 제3이미지를 도출함으로써, 제1패턴과 제2패턴 사이에 초점 거리가 이격 되더라도 고배율의 카메라를 통하여 마스크와 마더글라스 사이에 정렬 위치를 정밀하게 확인할 수 있고 이에 따라서 고해상도 FMM을 제작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DEVICE FOR MANUFACTURING DISPLA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유기발광다이오드에 구비되는 마스크와 마더글라스 사이에 이격되는 초점거리에 대응하여 마스크의 위치와 마더글라스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다양한 용도의 디스플레이 소자로 각광받고 있는 유기발광다이오드 (이하 OLED)는 반응속도가 박막트랜지스터 액정표시장치(TFT LCD)보다 월등히 빠르고, 별도의 백라이트 유닛 없이 자체 발광이 가능하여 종래 LCD 대비 두께와 무게를 3분의 1이나 줄일 수 있으며, 넓은 시야각과 저전력 소비 구조를 자랑하는 차세대 디스플레이로 자리잡고 있다.
이러한 OLED는 AM방식(능동)과 PM방식(수동)으로 나뉘는데. PMOLED는 OLED에 비해 제작단가가 낮고, 소비전력, 수명과 해상도에 한계가 있다. OLED는 각 화소마다 TFT와 커패시터가 있으며 소비전력, 수명, 해상도 측면 모두에서 우수하기 때문에, TFT의 제작으로 인해 제조비용이 높아진다는 단점을 딛고, 현재 각 분야의 활발한 개발과 양산 시도가 이어지고 있다.
특히 OLED의 강점은 화질 경쟁력으로 LCD에 비해 색 재현율은 30% 포인트나 높고 명암비는 20배나 뛰어나다. 또한 LCD의 최대 약점인 동영상의 잔상현상도 OLED에서는 찾아볼 수 없다. 이는 LCD가 백라이트 유닛이라는 간접광원을 액정, 컬러필터 등을 통과시키며 다소 복잡하게 화면을 연출하는 반면에 OLED는 유기물질이 자체 발광하여 곧바로 자연색의 화면을 재현하기 때문이다. 더욱이 OLED는 LCD 보다 구조가 단순하여 부품이 적어 제조기간과 단가에 있어 매우 유리한 장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장점 때문에 근래 OLED는 다양한 분야의 디스플레이 소자로 채용되고 있는 추세인데, 그 중 대표적인 분야가 스마트폰과 같은 소형 디스플레이 분야이다. 특히 스마트폰 쪽은 매년 새로운 제품이 출시되고 사용자의 교체 수요도 활발한 분야여서 사업 전망이 매우 밝은 분야이다.
그러나 스마트폰과 같은 소형 디스플레이 분야는 사용자가 요구하는 다양한 멀티미디어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점점 더 고해상도의 디스플레이 패널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여서 정밀한 제조 기술확보가 필요하다.
이에 따라서 점점 고해상도로 디스플레이 분야가 발전함에 따라 OLED에 구비되는 마스크 패턴과 마더글라스를 정렬하는 정밀도가 증가하고 있으나, 여전히 저배율의 카메라를 통하여 마스크와 마더글라스를 정렬할 수 밖에 없는 한계가 있어 보다 정밀한 정렬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초점 거리를 가변할 수 있는 고배율의 카메라를 통하여 마스크에 구비되는 제1패턴을 촬영한 제1이미지를 획득하고, 마더글라스에 구비되는 제2패턴을 촬영한 제2이미지를 획득한 후, 이들을 각각 합성한 제3이미지를 도출하여 마스크와 마더글라스 사이에 이격 거리가 있더라도 고배율의 카메라를 통하여 정확한 위치를 파악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제1패턴으로 복수개의 홀이 구비된 마스크와, 제2패턴이 구비된 마더글라스를 각각 카메라를 통하여 촬영하되, 제1패턴과 제2패턴의 초점 거리가 이격되어 있기 때문에 제1패턴을 촬영한 제1이미지와 제2패턴을 촬영한 제2이미지의 선명한 부분만 합성한 제3이미지를 도출하여 마스크와 마더글라스 사이에 정렬 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제조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마스크와 마더글라스를 정렬하고, 카메라를 통하여 마스크의 제1패턴을 촬영하는 제1이미지 생성단계와, 마더글라스의 제2패턴을 촬영하는 제2이미지 생성단계를 거쳐서 이들을 합성하여 제3이미지를 도출하는 합성단계를 통하여 마스크와 마더글라스 사이의 위치관계를 정밀하게 파악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디스플레이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에 따르면,
첫째, 고배율의 카메라를 통하여 마스크와 마더글라스에 구비된 고화소의 패턴을 정밀하게 촬영할 수 있고,
둘째, 합성부를 통해 정밀하게 촬영된 마스크 이미지와 마더글라스의 이미지를 합성하여 각 패턴들의 선명한 이미지를 도출할 수 있으며,
셋째, 구동부 또는 광학부를 통해 카메라 초점을 가변할 수 있기 때문에 마스크와 마더글라스 사이에 간극의 차이가 있더라도 각 패턴의 정확한 초점을 조정할 수 있고,
넷째, 이렇게 마스크와 마더글라스의 위치관계를 정밀하게 조정함으로써 고해상도의 FMM(fine Metal Mask)을 제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제조장치를 개략적으로 상부에서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디스플레이 제조장치를 정면에서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나타낸 디스플레이 제조장치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부분 확대도이다.
도 4는 도 3에 나타낸 디스플레이 제조장치의 카메라를 통하여 마스크와 마더글라스에 각각 구비된 제1패턴과 제2패턴을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5는 도 3에 나타낸 디스플레이 제조장치를 통하여 촬영 및 합성한 이미지를 도시하는 참고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제조방법을 도시하는 플로우차트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들에서 구성에 표기된 도면번호는 다른 도면에서도 동일한 구성을 표기할 때에 가능한 한 동일한 도면번호를 사용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의 기능 또는 공지의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도면에 제시된 어떤 특징들은 설명의 용이함을 위해 확대 또는 축소 또는 단순화된 것이고, 도면 및 그 구성요소들이 반드시 적절한 비율로 도시되어 있지는 않다. 그러나 당업자라면 이러한 상세 사항들을 쉽게 이해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제조장치를 개략적으로 상부에서 도시하는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나타낸 디스플레이 제조장치를 정면에서 도시하는 정면도이며, 도 3은 도 2에 나타낸 디스플레이 제조장치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부분 확대도이고, 도 4는 도 3에 나타낸 디스플레이 제조장치의 카메라를 통하여 마스크와 마더글라스에 각각 구비된 제1패턴과 제2패턴을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제조장치(100)는 설정된 제1패턴(P1)이 구비되는 마스크(110)와, 상기 마스크(110)의 하측에 이격 배치되고 제2패턴(P2)이 마련되는 마더글라스(120)와, 상기 마스크(110)의 제1패턴(P1)과 마더글라스(120)의 제2패턴(P2)을 촬영하는 카메라(130)와, 상기 제1패턴(P1)을 촬영한 제1이미지(I1)와 제2패턴(P2)을 촬영한 제2이미지(I2))를 합성하여 제3이미지(I3))를 도출하는 합성부(140)를 포함한다.
상기 마스크(110)는 설정된 제1패턴(P1)으로 복수개의 홀이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마더글라스(120)에는 상기 제1패턴(P1)의 위치와 대응하는 위치에 제2패턴(P2)이 마련된다.
상기 제1패턴(P1)과 제2패턴(P2)은 서로 동일한 위치관계를 가지고 마주하도록 배치되지만, 상기 마스크(110)는 마스크 프레임(111) 상에 올려진 상태 또는 마스크(110)의 양 단부를 인장기(180)에 파지한 상태에서 자중에 의해 처짐이 발생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마스크(110)와 마더글라스(120)의 정렬이 이루어지고 증착공정이 수행되면 마더글라스(120) 상에 형성된 전극 소자(제2패턴)와 정확한 매칭이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인접한 다른 전극 소자와 컬러의 믹싱이 발생하여 불량 픽셀이 발생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카메라(130)는 상기 제1패턴(P1)과 제2패턴(P2)의 위치를 정밀하게 촬영하여 서로의 위치관계를 정확히 판단할 수 있도록 상기 제1패턴(P1)의 위치에 형성된 제1초점과, 제2패턴의 위치에 형성된 제2초점을 잡게 된다.
상기 카메라(130)는 상기 제1초점과 제2초점을 선택적으로 조정하기 위하여 카메라(130)를 수직(Z축 방향) 또는 수평방향(X축 또는 Y축 방향)으로 이송시킬 수 있는 구동부(150)가 마련된다. 상기 카메라(130)는 고배율의 카메라로써 고화질 또는 대형화되고 있는 디스플레이에 대응할 수 있어 보다 정밀한 촬영이 가능하며, 고배율에 따라 심도가 낮게 표현되기 때문에 극히 짧은 이격 거리에 대해서도 초점이동이 필요하게 된다.
상기 구동부(150)는 모터나 유공압을 이용하여 기어, 벨트 또는 체인 구동을 통해 카메라(130)를 정밀하게 이송시킴으로서 제1초점과 제2초점 사이의 초점거리를 조절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그러면 상기 마스크(110)의 처짐량에 따른 마스크(110)와 마더글라스(120) 사이의 이격 거리가 변화하는 것에 대응하여 초점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마스크(110)와 마더글라스(120) 사이에 다양한 초점거리에 대응하는 초점을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심도가 매우 낮은 고배율의 카메라를 통한 초점 조절이 용이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카메라(130)는 카메라 자체의 물리적인 이동을 통한 초점이동과 별도로 내부에 복수개의 렌즈군을 조절하여 초점거리를 조정할 수 있는 광학부(160)를 포함한다.
상기 광학부(160)는 복수개의 렌즈(미도시) 간에 거리를 이동하여 초점거리를 조정하거나, 또는 반사거울(미도시)의 각도변경 또는 회전을 이용하여 카메라(130)의 초점을 조정하며, 상기 카메라(130)의 이동 없이 상기 제1패턴(P1) 또는 제2패턴(P2)의 초점을 선택적으로 잡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5는 도 3에 나타낸 디스플레이 제조장치를 통하여 촬영 및 합성한 다른 실시예의 이미지를 도시하는 참고도이다. 도 5의 참고도는 도 4에서 살펴본 실제 장치에서 촬영한 이미지와 별도로 제1패턴과 제2패턴의 초점 심도에 따른 이미지를 일 예로써 도시한다.
상기 합성부(140)는 상기 마스크(110)의 제1패턴(P1)을 촬영한 제1이미지(I1) 중 선명한 부분을 파악하고, 상기 마더글라스(120)의 제2패턴(P2)을 촬영한 제2이미지(I2) 중 선명한 부분을 파악하여 각각의 선명한 부분만을 편집한 제3이미지(I3)를 도출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이미지(I1)는 상기 제1패턴(P1)에 초점이 형성되어 제2패턴(P2) 부분을 흐리게 표현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제2이미지(I1)는 상기 제2패턴(P2)에 초점이 형성되어 제1패턴(P1) 부분이 흐리게 표현된다.
그리고 제3이미지(I1)는 제1이미지(I1)의 제1패턴(P1)과, 제2이미지(I2)의 제2패턴(P2) 부분을 캡쳐하여 선명한 부분만을 담아낸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제조장치(100)는 상기 합성부(140)를 통하여 합성한 제3이미지(I3)를 통하여 상기 마더글라스(120)의 제2패턴(P2)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마스크(110)의 제1패턴(P1) 위치가 이동하여 정렬해야 하는 값을 판단하는 위치정보 판단부(17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위치정보 판단부(170)에서 수행하는 내용은 후기하기로 한다.
그러면 제1패턴(P1)과 제2패턴(P2)의 정확한 위치 관계를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마스크(110)와 마더글라스(120)의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제1패턴(P1)의 중심과 제2패턴(P1)의 중심이 같은 위치에 오도록 정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제조장치(100)는 상기 위치정보 판단부(170)에서 연산된 데이터를 근거로 상기 마더글라스(120)의 제2패턴(P2) 중심에 대응하여 상기 마스크(110)의 제1패턴(P1) 중심을 이동하는 인장기(180)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인장기(180)는 상기 마스크(110)의 양 단부를 파지할 수 있는 파지부(181)를 포함한다. 상기 인장기(180)는 수평방향(X축 또는 Y축)으로 상기 마스크(110)를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잡아당기거나 회전시켜 상기 제1패턴(P1)과 제2패턴(P2)의 중심이 일치하도록 조정한다. 이때 상기 인장기(180)는 상기 파지부(181)의 일부 또는 전부에 선택적으로 장력이 인가되도록 잡아당길 수 있다. 이는 상기 파지부(181)와 마스크(110)의 일 단부 사이에서 결합 위치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고, 또는 상기 파지부(181)와 인장기(180) 사이의 결합위치를 선택적으로 조절하여 장력이 인가되는 부분을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마스크(110)와 마더글라스(120)의 정렬 상태를 조정함으로써 고해상도의 FMM(fine Metal Mask)을 제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제조방법을 도시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제조방법(S100)은 마스크 준비단계(S110)와, 글라스 정렬단계(S120)와, 제1이미지 생성단계(S130)와, 제2이미지 생성단계(S140)와 합성단계(S150) 및 위치정보 판단단계(S160)를 포함한다.
상기 마스크 준비단계(S110)와 마더글라스 정렬단계(S120)는 서로의 위치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공급단계로서 상기 마스크 또는 마더글라스 중 어느 하나가 먼저 준비되고, 준비된 하나의 대응하는 위치에 다른 하나가 맞춰 정렬되도록 순서를 바꿀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마더글라스가 준비되고, 이후 상기 마더글라스 위치에 대응하여 마스크가 정렬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1이미지 생성단계(S130)는 상기 마스크 상에 형성된 제1패턴을 촬영하여 제1이미지를 얻는 공정이다. 이때 상기 제1이미지 생성단계(S130)는 상기 제1패턴에 이미 카메라의 초점이 맞춰진 상태를 일 예로써 설명하며, 카메라의 초점 이동이 필요한 경우 후기할 초점거리 조정단계가 선택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제1이미지 생성단계(S130)가 완료되면, 상기 제2이미지 생성단계(S140)가 진행되기 전에 카메라의 초점거리를 조정하는 단계(S131)가 수행된다.
상기 초점거리 조정단계(S131)는 카메라를 이동하는 단계(S132)와 광학부를 조절하는 단계(S133)를 포함한다.
먼저 상기 카메라를 이동하는 단계(S132)는 상기 카메라를 수직 또는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비된 구동부를 통하여 카메라를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마더글라스에 구비된 제2패턴에 초점이 맞추어 진다.
이때 상기 카메라를 이동하는 단계(S132)와 광학부를 조절하는 단계(S133)는 선택적으로 수행될 수 있으며, 동시 동작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예컨대 상기 제1패턴과 제2패턴 사이의 이격 거리가 멀 때, 상기 카메라를 이동하는 단계(S132)가 수행되는 과정에서 상기 광학부를 조절하는 단계(S133)를 동시에 수행하여 보다 빠른 시간 내에 상기 제2패턴의 초점을 잡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패턴과 제2패턴 사이의 이격거리가 가까울 때, 상기 카메라를 이동하는 단계(S132)는 생략하고, 단지 상기 광학부를 조절하는 단계(S133)를 수행함으로써 상기 제2패턴의 초점을 잡을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이는 상기 구동부의 불필요한 이동을 제한하고 물리적인 이동을 최소화 함으로써 소음과 진동을 억제함과 동시에 상기 구동부의 내구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상기 초점거리 조정단계(S131)가 완료되면 상기 제2패턴을 촬영하는 제2이미지 생성단계(S140)가 수행된다.
그리고 제1이미지와 제2이미지의 촬영이 완료되면, 제1이미지와 제2이미지를 이용하여 제3이미지를 도출하는 합성단계(S150)가 수행된다.
상기 합성단계(S150)는 제1이미지의 선명한 부분과 제2이미지의 선명한 부분만을 캡쳐하여 상기 제1패턴과 제2패턴이 모두 선명하게 나타나는 제3이미지를 도출한다.
그리고 상기 제3이미지를 통하여 상기 마스크와 마더글라스를 정렬할 수 있도록 위치정보를 판단하는 단계(S160)가 상기 위치정보 판단부에 의해서 수행된다. 예컨대 상기 마스크와 마더글라스 사이에 설정된 패턴의 위치정보 데이터를 상기 위치정보 판단부가 포함하고 있다면, 이에 따른 데이터를 근거로 상기 마스크와 마더글라스 사이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고, 설정된 패턴에 따라서 상기 마스크와 마더글라스의 정렬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에 따르면, 마스크와 마더글라스에 구비되는 패턴들이 고화소화 됨에 따라서 고배율의 카메라를 통하여 이들 보다 정밀한 이미지를 확보할 수 있고, 또한 정밀하게 촬영된 이미지들을 합성하여 상기 마스크와 마더글라스 사이의 위치 정보를 정밀하게 파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카메라의 초점 거리를 가변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마스크와 마더글라스 사이에 형성된 극히 짧은 이격 거리가 있더라도 정확한 초점을 파악할 수 있으며, 상기 마스크와 마더글라스의 위치를 정밀하게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이들의 위치 정렬이 보다 정확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해 구체적인 실시 예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구체적인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 및 작용효과에만 국한되지 않고, 여러 가지 변형된 예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그와 같은 변형 예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해야 하며,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결정되어야 할 것이다.
100 : 디스플레이 제조장치
110 : 마스크 111 : 마스크 프레임
120 : 마더글라스 130 : 카메라
140 : 합성부 150 : 구동부
160 : 광학부 170 : 위치정보 판단부
180 : 인장기 181 : 파지부
P1 : 제1패턴 P2 : 제2패턴
I1 : 제1이미지 I2 : 제2이미지
I3 : 제3이미지

Claims (10)

  1. 마스크의 제1패턴과 마더글라스의 제2패턴의 정렬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제1패턴과, 상기 제2패턴의 위치를 촬영하는 카메라;
    상기 카메라의 상기 마스크와 대면하는 측에 구비되며, 내부에 복수개의 렌즈를 포함하거나 반사거울을 포함하는 광학부; 및
    상기 광학부를 포함하는 상기 카메라를 통하여, 이미지를 추출하고 합성하는 합성부를 포함하며,
    상기 합성부는,
    상기 제1패턴에 대응되는 제1수직거리의 초점거리로 상기 제1패턴과 상기 제2패턴 촬영시, 상기 제2패턴보다 상기 제1패턴이 더 선명하게 촬영된 제1이미지; 및
    상기 제1패턴의 홀을 통하여 상기 제2패턴에 대응되는 제2수직거리의 초점거리로 상기 제1패턴과 상기 제2패턴 촬영시, 상기 제1패턴보다 상기 제2패턴이 더 선명하게 촬영된 제2이미지를 갖고,
    상기 제1이미지와 상기 제2이미지 각각에서, 상기 제1이미지의 선명하게 촬영된 상기 제1패턴의 이미지와 상기 제2이미지의 선명하게 촬영된 상기 제2패턴의 이미지를 합성하는 디스플레이 제조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는,
    수직 또는 수평방향으로 상기 카메라를 물리적으로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제조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광학부는 상기 복수개의 렌즈간의 거리를 이동하거나, 상기 반사거울의 각도변경 또는 회전을 통해,
    상기 카메라로부터 상기 마스크간의 상기 제1수직거리의 초점거리와 상기 카메라로부터 상기 마더글라스간의 상기 제2수직거리의 초점거리를 선택적으로 조정하는 디스플레이 제조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합성부를 통하여 제1이미지의 제1패턴과 제2이미지의 제2패턴 중 선명한 부분을 각각 합성한 제3이미지를 도출하고,
    상기 제3이미지를 근거로 상기 마더글라스의 제2패턴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마스크의 제1패턴 위치가 이동하여 정렬해야 하는 값을 판단하는 위치정보 판단부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제조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위치정보 판단부에서 연산된 데이터를 근거로 상기 마더글라스의 제2패턴 중심에 대응하여 상기 마스크의 제1패턴 중심을 이동하는 인장기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제조장치.
  6. 제1패턴이 구비된 마스크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마스크 하측에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제1패턴의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제2패턴이 구비된 마더글라스를 정렬시키는 단계;
    상기 마스크와 마더글라스의 정렬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마스크 상부에서, 상기 제1패턴에 대응되는 제1수직거리의 초점거리로 하여, 상기 제1패턴과 상기 제2패턴 촬영시 상기 제2패턴보다 상기 제1패턴을 더 선명하게 카메라로 촬영하는 제1이미지 생성단계;
    상기 제1패턴을 촬영한 위치에서 상기 제1수직거리의 초점거리와 다른 상기 제2패턴에 대응되는 제2수직거리의 초점거리로 변경하며, 상기 제1패턴의 홀을 통해 상기 제1패턴과 상기 제2패턴 촬영시, 상기 제1패턴보다 상기 제2패턴을 더 선명하게 촬영하는 제2이미지 생성단계; 및
    상기 제1이미지의 선명하게 촬영된 상기 제1패턴의 이미지와, 상기 제2이미지의 선명하게 촬영된 상기 제2패턴의 이미지를 합성하여 상기 제1패턴과 상기 제2패턴이 모두 선명하게 표현되는 제3이미지를 도출하는 합성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가 상기 마스크가 대면하는 측에 내부에 복수개의 렌즈를 포함하거나 반사거울을 포함한 광학부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개의 렌즈간의 거리를 이동시키거나 상기 반사거울의 각도변경 또는 회전을 통해,
    상기 카메라로부터 상기 마스크와 상기 마더글라스에 대한 상기 제1수직거리의 초점거리와 제2수직거리의 초점거리를 조정하는 디스플레이 제조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합성단계에서 도출된 제3이미지를 근거로 상기 1패턴과 상기 제2패턴 사이의 수직 및 수평방향의 위치정보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제조방법.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1이미지 생성단계와 제2이미지 생성단계 사이에는, 상기 제1패턴에 상기 제1수직거리의 초점거리로 맞춰진 상기 카메라의 초점거리를 상기 제2패턴의 상기 제2수직거리의 초점거리에 대응하도록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제조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초점거리를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패턴에 대한 상기 제1수직거리의 초점거리로부터 상기 제2패턴에 대한 상기 제2수직거리의 초점거리로 이동하도록, 수직 또는 수평방향으로 상기 카메라를 이동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제조방법.
  10. 삭제
KR1020150149650A 2015-10-27 2015-10-27 디스플레이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1025532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9650A KR102553213B1 (ko) 2015-10-27 2015-10-27 디스플레이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9650A KR102553213B1 (ko) 2015-10-27 2015-10-27 디스플레이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8940A KR20170048940A (ko) 2017-05-10
KR102553213B1 true KR102553213B1 (ko) 2023-07-07

Family

ID=587436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9650A KR102553213B1 (ko) 2015-10-27 2015-10-27 디스플레이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3213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3350B1 (ko) * 2003-08-21 2005-10-24 이곤철 백-사이드 마스크 정렬이 가능한 노광장치
KR20070046375A (ko) * 2005-10-31 2007-05-03 주성엔지니어링(주) 기판과 마스크 정렬 장치 및 정렬 방법
KR101354445B1 (ko) * 2012-03-23 2014-01-27 (주)한 송 마스크프레임어셈블리 제조 방법 및 장치
KR102206593B1 (ko) * 2013-12-02 2021-02-02 주식회사 선익시스템 기판의 얼라인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8940A (ko) 2017-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79270B2 (en) Three dimensional display
CN102540491B (zh) 立体图像显示器的对准标记及利用其的对准方法和系统
US8009239B2 (en) Stereoscopic display device, system and method
US20050083516A1 (en) Method and system for calibration of optics for an imaging device
CN105827922A (zh) 一种摄像装置及其拍摄方法
JP2017003981A (ja) 表示装置及び表示装置の動作方法
CN102955258A (zh) 三维图像显示装置
US10785465B2 (en) Head mounted display device
TWI397759B (zh) 基板對準裝置的眼識系統以及該系統之控制對焦的方法
CN102970559A (zh) 立体图像显示装置
US7463826B2 (en) Apparatus for measuring response time and method of measuring of response time using the same
US20040120039A1 (en) Three-dimensional image display device, polarization means position holding mechanism, and polarization means
CN106501951A (zh) 一种裸眼3d显示装置的制作方法
CN103108195B (zh) 立体摄像装置
US20150029425A1 (en) Auto-stereoscopic display device
CN106526875B (zh) 集成成像三维显示装置及其方法
CN104698694B (zh) 一种液晶面板对合设备及方法
WO2018141161A1 (zh) 3d显示装置及其工作方法
US20130147968A1 (en) Testing method for camera
CN111189621A (zh) 一种平视显示光学检测标定方法及系统
KR102553213B1 (ko) 디스플레이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CN107991782A (zh) 裸眼3d显示装置
US11039117B2 (en) Dual lens imaging module and capturing method thereof
JP5330623B2 (ja) 表示装置、その表示装置を備えた電子機器、及び投影ユニット
TWI462568B (zh) 立體顯示器之影像顯示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