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2628B1 - Membership management apparatus using blockchain - Google Patents

Membership management apparatus using blockchai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2628B1
KR102552628B1 KR1020210183061A KR20210183061A KR102552628B1 KR 102552628 B1 KR102552628 B1 KR 102552628B1 KR 1020210183061 A KR1020210183061 A KR 1020210183061A KR 20210183061 A KR20210183061 A KR 20210183061A KR 102552628 B1 KR102552628 B1 KR 1025526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form
membership
server
project
prod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306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30093972A (en
Inventor
김주원
Original Assignee
김주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주원 filed Critical 김주원
Priority to KR10202101830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2628B1/en
Publication of KR202300939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397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26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262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5Assembly of content; Generation of multimedia applications
    • H04N21/854Content authoring

Abstract

블록체인 기반 멤버쉽 관리 장치에 관한 것이며, 블록체인 기반 멤버쉽 관리 장치는 서버에 의해 제공되는 미디어 제작 플랫폼에 대한 사용자의 활동 이력을 기반으로 하고, 합의 수행을 통해 상기 사용자에게 부여되는 멤버쉽 정보를 블록체인에 기록하고 관리하는 멤버쉽 관리 엔진부를 포함할 수 있다.It relates to a blockchain-based membership management device, which is based on a user's activity history for a media production platform provided by a server, and transfers membership information granted to the user through consensus execution to a blockchain. It may include a membership management engine unit that records and manages.

Description

블록체인을 이용한 멤버쉽 관리 장치 {MEMBERSHIP MANAGEMENT APPARATUS USING BLOCKCHAIN}Membership management device using blockchain {MEMBERSHIP MANAGEMENT APPARATUS USING BLOCKCHAIN}

본원은 블록체인을 이용한 멤버쉽 관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application relates to a membership management device using a blockchain.

미디어(media)란 인간 사회에서 자신의 의사나 감정 또는 객관적 정보를 서로 주고받을 수 있도록 마련된 수단을 가리키는 말이다. 더 나아가 신문, 방송 등의 기존의 정보 전달 수단을 대신해 전자기술의 발전에 따라 새롭게 발달한 여러 가지 커뮤니케이션 및 정보 전달의 수단을 뉴미디어라고 한다. 현재 '미디어'의 개념은 기본적인 의미에 뉴미디어 개념을 더하여 통괄적인 의미로 활용된다고 볼 수 있다.Media refers to the means provided to exchange one's intentions, emotions, or objective information in human society. Furthermore, various means of communication and information delivery newly developed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of electronic technology are called new media instead of the existing information delivery means such as newspapers and broadcasting. Currently, the concept of 'media' can be seen as being used in a comprehensive sense by adding the concept of new media to the basic meaning.

OECD에서는 콘텐츠 및 미디어산업을 '콘텐츠 상품의 생산, 발간 또는 전자적 유통에 관련된 산업'으로 정의했다. 이후 2009년에는 콘텐츠산업에 대해 '주로 매스미디어를 통해 알리고 교육하며 즐거움을 주는 산업으로서 재화와 서비스의 생산'으로 개념화하면서 인간에게 조직화된 메시지를 전달하려는 의도를 가지고 정보적, 문화적, 오락적 상품인 콘텐츠를 생산하고, 출판 또는 유통시키는 산업'으로 정의하고 있다. 미국에서의 콘텐츠 및 미디어 산업은 엔터테인먼트산업으로 통용되는데, 이는 엔터테인먼트와 관련된 제품 및 서비스를 소비자들에게 제공하는 산업으로 엔터테인먼트의 창조, 생산, 유통, 소비 등 모든 과정을 포함한다.The OECD defined the content and media industry as 'an industry related to the production, publication or electronic distribution of content products'. Later, in 2009, the content industry was conceptualized as 'the production of goods and services as an industry that informs, educates, and entertains mainly through mass media', while providing informational, cultural, and entertainment products with the intention of delivering organized messages to humans. It is defined as an industry that produces, publishes, or distributes human content. The content and media industry in the United States is commonly referred to as the entertainment industry, which is an industry that provides entertainment-related products and services to consumers, and includes all processes such as creation, production, distribution, and consumption of entertainment.

종래 미디어 제작환경의 공통적인 문제점은 중앙 집중형의 불공정한 관행이라 할 수 있다.A common problem in the conventional media production environment is the centralized and unfair practice.

구체적으로, 현재 방송 미디어의 제작은 50% 전후 외주제작사를 통해 진행되고 있으나, 방송사-제작사-근로자 간 불공정 관행으로 인하여 제작환경/저작권/표준계약서 등의 문제점이 있다. 특히, 미디어 제작 관련 관계자(일예로, 대중예술인, 현장스텝, 기술직 등)의 95% 이상이 프리랜서이고, 프로그램을 제작하는 기간만 계약을 체결하는 형식이며, 저작권(Intellectual Property, IP)의 대부분이 방송국에 귀속되는 등의 문제점들이 있다.Specifically, about 50% of production of broadcast media is currently being carried out through outsourcing production companies, but there are problems such as production environment/copyright/standard contracts due to unfair practices between broadcasting companies, production companies, and workers. In particular, more than 95% of media production-related parties (for example, public artists, field staff, technical workers, etc.) are freelancers, and contracts are signed only for the period of program production, and most of copyright (Intellectual Property, IP) is There are problems such as belonging to a broadcasting station.

또한, 종래의 미디어 제작 환경에서는 동영상 공유 플랫폼과 창작자 간에 불합리한 수익 분배 현상이 일어나고 있다. 대표적으로 유튜브는 [유튜버 : 구글 = 55 : 45]의 수익 배분 구조이며, 아프리카tv는 후원금의 30%의 수익을 플랫폼이 가져가는 구조이다. 이러한 종래의 수익 분배 구조는 중개 플랫폼이 창작자에 대해 과도한 수익 분배를 가져가는 구조라 볼 수 있다.In addition, in a conventional media production environment, an irrational profit distribution phenomenon occurs between a video sharing platform and creators. As a representative example, YouTube has a profit distribution structure of [YouTuber : Google = 55 : 45], and Afreeca TV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platform takes 30% of the profits from donations. This conventional revenue distribution structure can be seen as a structure in which the mediation platform takes excessive revenue distribution to the creator.

또한, 기존 엔터테인먼트와 대중예술인 사이의 수익금 배분은 계약형태에 따라 8:2에서 5:5 비율까지 일어난다. 연예계 활동과 대중예술인 사이의 중앙 역할을 하고 있는 엔터테인먼트의 힘이 커지면서 불공정 계약 수준까지 이르렀다.In addition, the distribution of proceeds between existing entertainment and public artists occurs in a ratio of 8:2 to 5:5 depending on the type of contract. As the power of entertainment, which plays a central role between entertainment industry activities and popular artists, has grown, it has reached the level of unfair contracts.

한편, 미디어콘텐츠의 IP(저작권) 관련 투자 흐름의 변화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Meanwhile, changes in the investment flow related to IP (copyright) of media contents are as follows.

미디어콘텐츠 분야는 장르간·산업간 융복합이 이루어지고 있다. 전통적인 콘텐츠 관련의 투자는 주로 기업, 펀드, 방송국이 90% 이상 차지해왔다. 현재는 대형 제작사의 사전제작이나 OTT 플랫폼 자체 오리지널 콘텐츠 제작, 콘텐츠 IP 펀딩회사 및 관련 플랫폼 출현 등의 큰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글로벌 서비스의 한국 시장 진입 또한 확대되고 있는 실정이다.In the field of media contents, convergence between genres and industries is taking place. More than 90% of traditional content-related investments have been mainly made by companies, funds, and broadcasting stations. Currently, major changes are taking place, such as pre-production by large producers, production of original contents by OTT platforms, and the emergence of content IP funding companies and related platforms. The entry of global services into the Korean market is also expanding.

또한, MZ세대(1980년대 초~2000년대 초 출생)가 재테크 시장의 신주류로 부상하고 있다. 핀테크(금융 기술) 등 새로운 트렌드에 빠르게 적응하고 적극적인 학습을 통해 체계적인 투자를 하는게 기성세대와는 다른 점이다. 특히 유튜브로 새로운 정보를 습득하고 공부하며 신종 투자에 대한 두려움이 적다. 주식/빌딩지분/P2P금융/미술품 등 조각 투자에 대한 범위가 확장되고, MZ세대를 주도로 재태크에 대한 트렌드가 변화되고 있다.In addition, the MZ generation (born in the early 1980s to early 2000s) is emerging as a new mainstream in the investment market. It is different from the older generation in quickly adapting to new trends such as fintech (financial technology) and making systematic investments through active learning. In particular, they acquire and study new information through YouTube and have little fear of new investments. The scope for investment in sculptures such as stocks/building equity/P2P finance/artworks is expanding, and the trend for investment is changing led by the MZ generation.

따라서, 상술한 미디어콘텐츠의 IP 관련 투자 흐름의 변화를 고려하면서 종래의 미디어콘텐츠 제작 환경의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소할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된다.Therefore, it is urgently required to develop a technology capable of effectively solving the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media content production environment while considering the above-described changes in the investment flow related to media content IP.

본원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873897호에 개시되어 있다.The background technology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873897.

본원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중개 플랫폼이 창작자에 대해 과도한 수익 분배를 가져가는 종래의 수익 분배 구조를 개선할 수 있는 블록체인을 이용한 멤버쉽 관리 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to provide a membership management device using a block chain that can improve the conventional profit distribution structure in which the mediation platform takes excessive profit distribution to the creator. .

본원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미디어콘텐츠의 IP 관련 투자 흐름의 변화를 고려하면서 종래의 미디어콘텐츠 제작 환경의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소할 수 있는 블록체인을 이용한 미디어콘텐츠 제작 시스템을 제공하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application is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provides a media content production system using a block chain that can effectively solve the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media content production environment while considering changes in the investment flow related to IP of media content. intended to do

다만, 본원의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However, 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describ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may exist.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멤버쉽 관리 장치는, 서버에 의해 제공되는 미디어 제작 플랫폼에 대한 사용자의 활동 이력을 기반으로 하고, 합의 수행을 통해 상기 사용자에게 부여되는 멤버쉽 정보를 블록체인에 기록하고 관리하는 멤버쉽 관리 엔진부를 포함할 수 있다.As a technical means for achie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the blockchain-based membership managem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based on the user's activity history for the media production platform provided by the server, and through consensus execution A membership management engine unit for recording and managing membership information granted to the user in a blockchain may be included.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멤버쉽 관리 장치는, 상기 플랫폼을 이용하는 사용자의 활동 이력에 따라 부여되는 플랫폼 점수를 기반으로 상기 플랫폼을 이용하는 사용자의 멤버쉽 등급을 산정하고 관리하는 멤버쉽 레벨링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멤버쉽 레벨링부는, 기 정의된 멤버쉽 정책에 따라 각 사용자의 멤버쉽 등급을 산정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blockchain-based membership managem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a membership leveling unit that calculates and manages a membership level of a user using the platform based on a platform score given according to a user's activity history using the platform. Further, the membership leveling unit may calculate a membership level of each user according to a predefined membership policy.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멤버쉽 관리 장치는, 상기 플랫폼의 상태 변화에 따라 디지털자산 발급량을 계산하고 디지털자산을 발행하는 디지털자산 공급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멤버쉽 레벨링부는, 사용자의 멤버쉽 등급을 기반으로 상기 디지털자산 공급부에서 발행된 디지털자산을 리워드로서 사용자에게 분배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lockchain-based membership managem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further includes a digital asset supply unit for calculating the amount of digital assets issued and issuing digital assets according to the change in the status of the platform, and the membership leveling unit, the user Digital assets issued by the digital asset supply unit can be distributed to users as rewards based on the membership level of .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멤버쉽 관리 장치는, 상기 플랫폼에서 트랜잭션이 발생된 경우, 상기 트랜잭션의 검증을 수행하는 검증 노드를 선출하고 선출된 검증 노드를 대상으로 트랜젝션의 유효성 검증을 위한 합의를 수행하는 합의 수행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멤버쉽 관리 엔진부는, 상기 합의의 수행에 의한 합의 결과를 기반으로 검증 노드에 의해 유효성이 검증된 트랜잭션을 블록화하여 상기 블록체인에 기록하고 관리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트랜잭션은, 멤버쉽 정보 관련 안건에 대한 트랜잭션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lockchain-based membership managem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when a transaction occurs on the platform, selects a verification node that performs verification of the transaction and validates the transaction for the selected verification node. The membership management engine unit may block transactions validated by the verification node based on a result of the agreement by performing the agreement, and record and manage the transaction in the blockchain. there is. Here, the transaction may include a transaction on an agenda related to membership information.

또한, 상기 합의 수행부는, 복수의 그룹에 속한 노드들 중 미리 설정된 수의 노드를 랜덤하게 검증 노드로서 선출하고, 상기 선출된 검증 노드에 바인딩되어 있는 사용자들의 권한 증명을 기반으로 상기 합의를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sensus performing unit randomly selects a preset number of nodes among the nodes belonging to a plurality of groups as verification nodes, and performs the agreement based on the authentication of users bound to the selected verification nodes. can

또한, 상기 트랜잭션은 복수 유형의 안건에 대한 트랜잭션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 유형의 안건은, 프로젝트 관련 안건, 멤버쉽 관련 안건, 코인 발행 관련 안건 및 정책 관련 안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Also, the transaction may include transactions for multiple types of items, and the plurality of types of items may include at least one of project-related items, membership-related items, coin issuance items, and policy-related items.

한편,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을 이용한 미디어콘텐츠 제작 시스템은, 프로젝트와 관련하여 미디어콘텐츠를 제작하고 관리하며, 블록체인 기반 미디어 제작 플랫폼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서버; 상기 플랫폼을 이용하는 제1 유형의 사용자로서 미디어콘텐츠 제작에 참여하는 참여자의 단말인 참여자 단말; 및 상기 플랫폼을 이용하는 제2 유형의 사용자로서 미디어콘텐츠 제작에 투자하는 투자자의 단말인 투자자 단말을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블록체인으로서 상기 플랫폼의 이용량 및 프로젝트량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디지털자산 발급량이 결정되도록 기 정의된 PoM(Proof of Merge) 멤버쉽 메커니즘을 이용하여 상기 플랫폼을 이용하는 사용자에게 보상을 지급할 수 있다.Meanwhile, a media content production system using a blockcha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includes a server that produces and manages media content in relation to a project and provides a blockchain-based media production platform to users; A participant terminal, which is a terminal of a participant who participates in media content production as a first type of user using the platform; and an investor terminal that is a terminal of an investor who invests in media content production as a second type of user using the platform, wherein the server is a block chain and is a digital asset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amount of use and project amount of the platform. Compensation may be paid to users using the platform using a predefined Proof of Merge (PoM) membership mechanism so that the issuance amount is determined.

또한, 상기 프로젝트는 프로그램형 프로젝트 및 개인형 프로젝트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그램형 프로젝트는 드라마, 예능 및 교양을 포함하는 방송 관련 프로젝트이고, 상기 개인형 프로젝트는 개인 채널을 운영하는 인플루언서 관련 프로젝트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project includes a program-type project and a personal-type project, the program-type project is a broadcast-related project including drama, entertainment, and culture, and the personal-type project is a project related to an influencer who operates a personal channel. can

또한, 상기 서버는, 미디어콘텐츠의 사전제작에 필요한 금액을 블록체인의 NFT(Non-Fungible Token)를 이용하여 미디어콘텐츠의 저작권 지분율을 확보한 후 실제 미디어콘텐츠의 제작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rver may secure a copyright share ratio of the media content by using non-fungible tokens (NFTs) of the block chain for an amount necessary for pre-production of the media content, and then actually produce the media content.

또한, 상기 서버는, 기획선정과 투표를 수행하는 기획선정/투표 관련 제1 처리부; 미디어콘텐츠의 제작에 필요한 자금을 조달하고 NFT를 투자금액에 따라 지급하는 투자/자금조달 관련 제2 처리부; 미디어콘텐츠를 제작하는 콘텐츠 제작 관련 제3 처리부; 제작된 미디어콘텐츠를 공급하고 판매하는 공급/판매 관련 제4 처리부; 및 제작된 미디어콘텐츠와 관련하여 광고/PPL/OTT/해외판권 판매금액을 NFT 지분에 따라 수익을 배분하는 수익 배분 관련 제5 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rver may include a first processing unit related to planning selection/voting for performing planning selection and voting; A second processing unit related to investment/financing that procures funds necessary for the production of media contents and pays NFTs according to the investment amount; a third processing unit related to content creation that produces media content; a fourth processing unit related to supply/sale that supplies and sells produced media contents; And in relation to the produced media content, it may include a fifth processing unit related to revenue distribution for distributing revenue from the sales amount of advertising / PPL / OTT / overseas copyright according to NFT shares.

또한, 상기 서버는, 참여자의 상기 참여자 단말로부터 프로젝트 관련 기획서를 수신하고, 수신된 기획서에 대한 투표 진행 결과 상기 수신된 기획서가 제작 대상 기획서로 선정되면, 선정된 제작 대상 기획서의 프로젝트인 진행 가능 프로젝트의 제작비를 산정하고, 산정된 제작비에 대응하는 금액에 대하여 투자 기반 모금을 진행하고, 투자 기반 모금 진행에 의하여 상기 산정된 제작비의 모금이 완료된 경우, 모금된 금액을 기반으로 상기 진행 가능 프로젝트에 대응하는 미디어콘텐츠의 사전제작을 수행하고, 이후 사전제작이 완료되면 제작된 미디어콘텐츠를 판매하고, 상기 판매에 의해 발생되는 수익을 배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rver receives a project-related plan from the participant terminal of the participant, and as a result of voting on the received plan, the received plan is selected as a production plan, a project that is a project of the selected production plan. Calculate the production cost, proceed with investment-based fundraising for the amount corresponding to the calculated production cost, and respond to the project that can be carried out based on the amount raised when the fundraising of the calculated production cost is completed by the investment-based fundraising process After pre-production of the media content to be performed, when the pre-production is completed, the produced media content can be sold, and the revenue generated by the sale can be distributed.

또한, 상기 서버는, 상기 제작 대상 기획서의 선정이 이루어지면 상기 진행 가능 프로젝트에 대하여 디지털자산인 NFT를 미리 설정된 수량만큼 발행하고, 상기 산정된 제작비의 모금의 완료가 복수의 투자자에 의한 투자에 기반하여 이루어진 경우, 상기 진행 가능 프로젝트에 발행된 NFT를 상기 복수의 투자자 각각이 투자한 투자금액에 따라 투자금액에 대응하는 비율로 상기 복수의 투자자 각각에게 지분형 디지털자산으로서 차등 지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rver issues a predetermined number of NFTs, which are digital assets, for the workable project when the production target proposal is selected, and the completion of the fundraising of the calculated production cost is based on the investment by a plurality of investors. In this case, the NFTs issued in the project can be differentially paid as equity-type digital assets to each of the plurality of investors at a rate corresponding to the investment amount according to the investment amount invested by each of the plurality of investors.

또한, 상기 지분형 디지털자산을 지급받은 상기 복수의 투자자는 진행 가능 프로젝트의 지분소유자로서 상기 진행 가능 프로젝트의 저작권의 지분을 가지게 되며, 상기 서버는, 상기 판매에 의해 발생되는 수익을 판매된 미디어콘텐츠의 제작과 관계된 사용자들에게 미리 설정된 비율로 배분하고, 상기 판매된 미디어콘텐츠의 제작과 관계된 사용자들에는 상기 미디어콘텐츠를 창작한 상기 참여자인 창작자, 지분형 디지털자산을 지급받아 상기 미디어콘텐츠의 저작권 지분을 소유한 지분소유자, 및 상기 플랫폼을 제공하는 관리자가 포함되고, 상기 미리 설정된 비율은, 상기 창작자가 상기 지분소유자 및 관리자 대비 큰 값을 갖도록 설정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lurality of investors who have received the equity-type digital assets will have shares in the copyright of the project as equity owners of the project, and the server will use the revenue generated from the sale of the sold media content. It is distributed in a preset ratio to users related to the production of the media content sold, and to the users related to the production of the media content sold, the creator, who is the participant who created the media content, and equity-type digital assets are paid and the copyright share of the media content A stake holder who owns and a manager providing the platform are included, and the preset ratio may be set so that the creator has a larger value than the stake holder and the manager.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원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The above-described problem solving means are merely exemplary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disclosure. In addition to the exemplary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dditional embodiments may exist in the drawings and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블록체인을 이용한 멤버쉽 관리 장치(즉, PoM 멤버쉽 메커니즘)를 제공함으로써, 중개 플랫폼이 창작자에 대해 과도한 수익 분배를 가져가는 종래의 수익 분배 구조를 효과적으로 개선하고, 사용자의 활동에 따라 패시프인컴 수익이 가능하도록 하며, 플랫폼에 대한 사용자들의 자발적 참여를 독려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problem solving means of the present application, by providing a membership management device (ie, PoM membership mechanism) using a block chain, the conventional revenue distribution structure in which the mediation platform takes excessive revenue distribution to the creator is effectively improved, Passive Income can be made according to the user's activity, and users' voluntary participation in the platform can be encouraged.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블록체인을 이용한 미디어콘텐츠 제작 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미디어콘텐츠의 IP 관련 투자 흐름의 변화를 고려하면서 종래의 미디어콘텐츠 제작 환경의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소할 수 있다. 즉, 본원은 기존 중앙화된 제작 시스템에서 이루어졌던 불공정 관행에서 벗어난 미디어콘텐츠 제작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problem solving means of the present application, by providing a media content production system using a block chain,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solve the problem of the conventional media content production environment while considering changes in the investment flow related to IP of media content. In other words, the present application can provide a media content production environment that is free from unfair practices in the existing centralized production system.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블록체인의 기능과 특징을 미디어콘텐츠 제작 환경 전반에 적용한 블록체인을 이용한 미디어콘텐츠 제작 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중앙집중형 문제를 개선시키고, IP(저작권) 관련 투자를 편리하고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은 기존 미디어콘텐츠 주 투자자(기업, VC 등)뿐만 아니라, 사용자 개개인이 미디어콘텐츠의 제작에 참여할 수 있고 투자 또한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은 사용자들이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간편하게 미디어콘텐츠 제작에 투자하고 수익을 창출하도록 제공할 수 있으며, 일예로 투자 부문에 있어 재테크 시장의 신주류인 MZ세대를 주 타겟으로 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 solving means of the present application, by providing a media content production system using a block chain that applies the functions and characteristics of the block chain to the overall media content production environment, centralization problems are improved and IP (copyright) related investment is improved. can be provided for convenient and safe use. In addition, the present application can enable not only existing media content main investors (corporations, VCs, etc.), but also individual users to participate in the production of media content and to make investments. In addition, the present application can provide users to easily invest in media content production and generate profits through a mobile application, and for example, the MZ generation, a new mainstream in the investment sector, can be the main target in the investment sector.

다만, 본원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상기된 바와 같은 효과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효과들이 존재할 수 있다.However, the effects obtainable herei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described above, and other effects may exist.

도 1은 종래의 분산ID(DID) 기반 신원인증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을 이용한 미디어콘텐츠 제작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a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을 이용한 미디어콘텐츠 제작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b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을 이용한 미디어콘텐츠 제작 시스템 내 서버가 프로그램형 프로젝트를 처리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c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을 이용한 미디어콘텐츠 제작 시스템 내 서버가 개인형 프로젝트를 처리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을 이용한 미디어콘텐츠 제작 시스템의 전체 프로세스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을 이용한 미디어콘텐츠 제작 시스템 내 서버가 보상 지급시 이용하는 PoM 멤버쉽 메커니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을 이용한 미디어콘텐츠 제작 시스템 내 서버 내 PoM 멤버쉽 메커니즘의 동작 흐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종래의 다단계 형식의 고용 시스템 구조의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을 이용한 미디어콘텐츠 제작 시스템 내 서버가 제공하는 워커시스템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을 이용한 미디어콘텐츠 제작 시스템 내 서버가 제공하는 인플루언서 시스템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을 이용한 미디어콘텐츠 제작 시스템 내 서버에 의한 프로젝트 전문 관리팀의 구성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을 이용한 미디어콘텐츠 제작 시스템에 적용되는 플랫폼 아키텍처의 전체 구성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을 이용한 미디어콘텐츠 제작 시스템에 적용되는 플랫폼 내 구성 요소 중 AD 매칭 서비스 엔진의 아키텍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 및 도 15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을 이용한 미디어콘텐츠 제작 시스템 내 서버가 이용하는 PoM 멤버쉽 메커니즘 내 PoM 합의 알고리즘에 의해 이루어지는 합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을 이용한 미디어콘텐츠 제작 시스템의 시스템 레이어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을 이용한 미디어콘텐츠 제작 시스템에 적용되는 DID 서비스 아키텍처의 구조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을 이용한 미디어콘텐츠 제작 시스템에 적용되는 플랫폼의 이코노미 시스템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9a 및 도 19b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을 이용한 미디어콘텐츠 제작 시스템에 적용되는 플랫폼의 운영 및 수익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0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을 이용한 미디어콘텐츠 제작 시스템의 플랫폼에서 고려되는 프로그램형 프로젝트의 수익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1a 및 도 21b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을 이용한 미디어콘텐츠 제작 시스템의 플랫폼에서 고려되는 개인형 프로젝트의 수익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1c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을 이용한 미디어콘텐츠 제작 시스템 내 서버를 이용하는 사용자가 프리랜서인 경우, 사용자가 서버를 통해 이용 가능한 서비스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2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을 이용한 미디어콘텐츠 제작 시스템의 경쟁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3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을 이용한 미디어콘텐츠 제작 시스템에 적용되는 본 플랫폼의 NFT 전체 아키텍처 구조 예를 나타낸다.
도 24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을 이용한 미디어콘텐츠 제작 시스템을 통해 제공되는 가상 체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concept of conventional distributed ID (DID) based identity authentication.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media content production system using a block cha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A is a diagram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media content production system using a block cha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B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in which a server in a media content production system using a block chain processes a programmatic proje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C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processing a personal project by a server in a media content production system using a block cha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a to 4c are diagrams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e entire process of a media content production system using a block cha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PoM membership mechanism used by a server in a media content production system using a blockcha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reward is paid.
6 and 7 are diagrams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operation flow of a PoM membership mechanism in a server in a media content production system using a block cha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n example of the structure of a conventional multi-level employment system.
9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structure of a worker system provided by a server in a media content production system using a block cha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structure of an influencer system provided by a server in a media content production system using a block cha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11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the composition of a professional project management team by a server in a media content production system using a block cha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platform architecture applied to a media content production system using a block cha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13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architecture of an AD matching service engine among components in a platform applied to a media content production system using a block cha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and 15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n agreement made by a PoM agreement algorithm in a PoM membership mechanism used by a server in a media content production system using a block cha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ystem layer structure of a media content production system using a block cha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7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tructural example of a DID service architecture applied to a media content production system using a block cha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8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economy system structure of a platform applied to a media content production system using a block cha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19a and 19b ar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operating and profit structure of a platform applied to a media content production system using a block cha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20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profit structure of a programmatic project considered in a platform of a media content production system using a block cha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21a and 21b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profit structure of a personal project considered in a platform of a media content production system using a block cha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21C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 service available to a user through a server when a user using a server in a media content production system using a block cha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freelancer.
22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competitiveness of a media content production system using a block cha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23 shows an example of the NFT overall architecture structure of this platform applied to the media content production system using a block cha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24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virtual experience provided through a media content production system using a block cha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원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원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applic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practice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disclosure may be implement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nd in order to clearly describe the present applicatio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attached to similar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Throughout the present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said to be “connected” to another part, it is not only “directly connected”, but also “electrically connected” or “indirectly connected” with another element in between. "Including cases where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상부에", "상단에", "하에", "하부에", "하단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Throughout the present specification, when a member is referred to as being “on,” “above,” “on top of,” “below,” “below,” or “below” another member, this means that a member is located in relation to another member. This includes not only the case of contact but also the case of another member between the two members.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Throughout the present specification, when a certain component is said to "include", it means that it may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without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이하에서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을 이용한 미디어콘텐츠 제작 시스템(100)(이하 설명의 편의상 본 시스템이라 함)의 구체적인 설명에 앞서, 먼저 종래의 미디어콘텐츠 제작 기술이 갖는 문제점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prior to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media content production system 100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is system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using a block cha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first, the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media content production technology are described in more detail. Explain.

종래의 미디어콘텐츠 제작 기술이 갖는 문제점은 다음과 같이 크게 3가지로 구분될 수 있다.The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media content production technology can be largely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as follows.

1. [방송 미디어 제작 시스템의 불공정 관행] 문제1. [Unfair Practices in the Broadcasting Media Production System]

1-1) 방송국-외주제작사 시스템의 개요1-1) Overview of broadcasting station-outsourcing production company system

외주제작사란 방송사업자가 프로그램을 외부로 주문하게 되면, 방송프로그램을 제작하는 업체를 의미한다. 즉, 외주제작사는 지상파나 종합편성채널, 케이블 PP 등으로부터 수주를 받아 프로그램을 제작하고 납품하는 업체를 의미하며, 독립 제작사, 프로덕션 등의 이름으로도 불리운다. 외주제작사의 육성은 방송시장의 경쟁을 촉진시켜 지상파 방송사의 시장지배력을 완화하고 방송 프로그램의 다양성을 추구하는 결과로 이어졌는데, 이는 방송 콘텐츠 활성화에 큰 역할을 하고 있다.An outsourced production company refers to a company that produces a broadcast program when a broadcasting company orders a program from outside. In other words, an outsourced production company refers to a company that produces and delivers programs after receiving orders from terrestrial, general programming channels, cable PPs, etc., and is also called an independent production company or production company. The fostering of outsourced production companies has led to the promotion of competition in the broadcasting market, easing the market dominance of terrestrial broadcasters and the pursuit of diversity in broadcasting programs, which plays a large role in vitalizing broadcasting content.

1-2) 미디어 제작 환경 문제 인식1-2) Recognition of media production environment problems

현재 미디어 시장의 제작 환경에서는 부족한 제작비로 인해 근로자가 위험한 일을 하면서 기본적 보험에도 가입되지 않고, 사고 시 보상 문제까지 발생하게 된다. 또한 제작 과정 중 방송사 PD 등 관계자들이 외주 제작진에게 폭언, 멸시 등 비인격적 대우를 하는 경우가 다수 있다. 장시간 촬영 일정, 초과근로시간 예외업종 인정 등 제작 과정 전반에 걸쳐 제작인력들이 과도한 근무시간에 시달리고 있다.In the production environment of the current media market, due to insufficient production costs, workers do dangerous work, are not subscribed to basic insurance, and even have compensation problems in case of accidents. In addition, during the production process, there are many cases in which officials such as broadcasting company PDs treat outsourced crews with impersonal treatment such as abusive language and contempt. Production personnel are suffering from excessive working hours throughout the production process, such as long filming schedules and recognition of exceptions for overtime work.

관련 업계에서 다수의 사건, 사고들이 빈번히 발생함에도 불구하고, 아직도 프리랜서나 하청 업체로만 제작현장이 돌아가고 있으며, 실제 정규직도 아직 3% 내외이다. 방송 콘텐츠 제작 인력들의 4대 보험 가입 현황의 경우, 고용보험, 산재보험 심지어 국민연금까지 포함되지 않은 상태로 고용되고 있는 경우가 대다수이다.Despite frequent incidents and accidents in related industries, production sites are still run by freelancers or subcontractors, and the actual number of full-time workers is still around 3%. In the case of the status of four major insurance subscriptions for broadcasting content production personnel, most of them are employed without including employment insurance, industrial accident compensation insurance, and even the national pension.

1-3) 제작비 및 저작권 등 수익 배분 문제1-3) Profit distribution issues such as production costs and copyrights

방송사와 외주제작사 간에는 제작비와 저작권 등의 수익 배분의 문제가 굉장히 크다. 우선 제작단가를 차별적으로 책정하고 있다. 방송사 자체 제작일 경우와 외주제작사에게 수주를 주게 될 경우 제작비가 차별 책정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방송사가 프로그램의 주도권을 잡고 있기 때문에, 외주제작사에게 불리한 저작권을 배분하게 된다. 무릇 저작권(Intellectual Property, IP)이란 창작을 한 주체가 그 권리를 가져가게 되어 있지만, 관행이라는 이름으로 방송사가 계약 시 저작권 관련된 항목에서 우위를 선점하고 있는 것이다. 구두계약이나 계약서를 사후에 작성하는 등의 불합리한 계약 관행 또한 이루어지고 있으며, 협찬 및 정부 지원금을 자의적으로 배분하고 있다.The problem of distribution of profits such as production costs and copyrights between broadcasters and outsourced production companies is very big. First of all, the production unit price is discriminated against. This means that the production cost is discriminated against in the case of broadcasting company's own production and in case of giving orders to outsourcing production companies. In addition, since the broadcasting company holds the initiative in the program, it distributes the copyright unfavorably to the outsourcing production company. In all cases, copyright (Intellectual Property, IP) is supposed to be owned by the creator, but in the name of practice, broadcasting companies are preoccupying copyright-related items when signing contracts. Unreasonable contract practices such as verbal contracts or contracts are drafted after the fact, and sponsorships and government subsidies are arbitrarily distributed.

사실 방송사와 제작사 간 '선 송출, 후 정산'을 하는 일은 오래된 관행이다. 시청자 반응에 따라 계약조건이 바뀔 수 있다는 이유로 대개 종영 전후 계약서를 쓴다. 종래에 외주제작사와 방송사 간에 발생된 저작권 갈등 문제의 일예로는, 방송사의 경우 '관행'대로 제작비 일부를 지급한다는 주장인 반면 제작사는 수익을 공개해 기여도에 따라 '투명하게' 배분해달라는 주장이 있었던 바 있다.In fact, it is a long-standing practice to 'transmit first, settle later' between broadcasters and producers. Because the terms of the contract can change depending on the reaction of viewers, contracts are usually written before and after the end of the show. An example of a copyright conflict problem that has occurred between outsourcing producers and broadcasting companies in the past is that the broadcasting company claims to pay part of the production cost according to 'custom', while the production company discloses profits and claims to distribute them 'transparently' according to the degree of contribution. there is a bar

한편, '외주제작'이라는 방송법 상의 표기에도 문제가 있다. 방송영상물에는 지식재산권이 있다. 무엇보다 동영상 플랫폼에서 유통 수익은 계속 발생한다. 방송영상물은 일반 제품과 가치가 달라 '외주'가 아니라 '창작자'인 '독립제작자'의 지식재산임을 분명히 해야 할 필요가 있다. ‘관행’이란 이름으로 이루어지는 모든 불공정한 문제들은 외주제작사 뿐만 아니라 근로자들에게까지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에, 개선되어야 할 관행이지만, 관행이기에 개선되기 어려운 것이 현실이라 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re is a problem with the notation in the Broadcasting Act of 'outsourcing production'. Broadcasting images have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Above all, distribution revenue continues to occur on the video platform. It is necessary to make it clear that the value of broadcast video is different from that of general products and that it is the intellectual property of 'independent producers' who are 'creators' rather than 'outsourcers'. All unfair issues in the name of 'custom' adversely affect not only outsourcing manufacturers but also workers. Therefore, although it is a practice that needs to be improved, it can be said that it is difficult to improve because it is a practice.

1-4) 표준계약서 활용문화 미정착1-4) Failure to establish a culture of using standard contracts

외주제작사와 방송근로자간에는 표준계약서를 활용하는 경우가 다른 직종에 비해 저조하다. 표준계약서의 수정 사용과 허용 범위에 대한 기준 또한 부재하다. 방송근로자의 대부분이 프리랜서라는 것에서 그 이유를 찾을 수 있다.Compared to other occupations, the use of standard contracts between outsourcing producers and broadcasting workers is low. There are also no standards for the use and permissible scope of amendments to standard contracts. The reason can be found in the fact that most broadcasting workers are freelancers.

종래에 '2019년 방송 프로그램 외주제작 거래실태조사'의 표준계약서 비율을 살펴본 결과, 방송사에서는 거의 100%로 활용하고 있다고 하지만 제작사 계약수준으로 봤을 때는 비교적 낮게 책정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난 바 있다. 이것 또한 실제 계약 시 모두 이행되고 있는지는 확실치 않다. 하청업체를 이용하는 경우 그 하청업체에서 근로 계약 시 표준계약서의 체결이 안되는 경우도 다수 있기 때문이다.Previously,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ratio of standard contracts in the '2019 Broadcasting Program Outsourcing Production Transaction Survey', broadcasting companies are using it at almost 100%, but it has been found that it is relatively low when viewed from the production company contract level. It is also not clear whether all of these are fulfilled in the actual contract. This is because, in the case of using a subcontractor, there are many cases in which the subcontractor cannot conclude a standard contract when signing an employment contract.

2019년 말부터 계약서에 따른 거래이행과 표준제작비 등을 점검하는 '방송프로그램 외주제작 거래 가이드 라인'을 시행하고 있다. 하지만 가이드 라인일 뿐 방송사나 제작사는 의무가 아니기 때문에 지키지 않아도 되며, 갈등이 생길 때 중재할 기구나 제도는 현재까지 없는 실정이다.Since the end of 2019, the 'Broadcast Program Outsourcing Production Transaction Guidelines' have been implemented to check the execution of contracts and standard production costs. However, since it is only a guideline and not an obligation for broadcasters or producers, it is not necessary to observe it, and there is no organization or system to mediate when conflicts arise.

2. [동영상 공유플랫폼 불합리한 수익 배분] 문제2. [Video Sharing Platform Unreasonable Profit Distribution] Problem

2-1) 동영상 공유플랫폼 개요2-1) Overview of video sharing platform

동영상 공유 플랫폼 서비스는 [첫째, 상당한 양의 프로그램 또는 이용자제작 동영상을 보유하고 있는 서비스로 구성되며, 서비스 사업자는 이에 대한 편집권을 갖지 않음. 둘째, 콘텐츠 구성은 전자적 방식에 따라 서비스 사업자가 결정. 셋째, 프로그램 도는 UGV 제공 서비스에 주된 목적은 일반 공중에게 정보, 오락, 교육을 제공하는 것. 넷째, 서비스는 전자커뮤니케이션 네트워크를 통해 제공되어야 함]과 같이 정의되고 있다.The video sharing platform service consists of [First, a service that has a significant amount of programs or user-generated videos, and the service provider does not have the right to edit them. Second, content composition is determined by service providers electronically. Third, the main purpose of programs or UGV provision services is to provide information, entertainment, and education to the general public. Fourth, the service must be provided through an electronic communication network].

밀레니얼 세대(1980년-1994년)와 Z세대(1995년-2019년)는 디지털 환경에 익숙하며 모바일을 우선시한다는 점에서 MZ세대라고도 한다. 동영상 공유플랫폼의 대표적인 예로는 유튜브, 인스타그램, 틱톡 등이 있다. MZ세대는 이러한 동영상 공유플랫폼의 주 이용자이며, 디지털 콘텐츠 산업의 변화의 중심에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본 시스템에 의해 제공되는 플랫폼(후술하는 본 플랫폼)은 일예로 MZ세대를 주 사용자 타겟으로 하여 제공될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모든 세대를 타겟으로 하여 제공될 수 있다.Millennials (1980-1994) and Generation Z (1995-2019) are also referred to as the MZ generation because they are familiar with the digital environment and prioritize mobile. Representative examples of video sharing platforms include YouTube, Instagram, and TikTok. The MZ generation is the main user of this video sharing platform and is at the center of change in the digital content industry. In consideration of this point, the platform provided by this system (this platform to be described later) may be provided as an example to target the MZ generation as the main user target,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will be provided targeting all generations can

2-2) 동영상 공유플랫폼 수익구조 문제2-2) Problems with the revenue structure of the video sharing platform

동영상 공유플랫폼의 수익 구조는 사용자, 광고주, 창작자가 플랫폼을 중심으로 광고, 후원금, 플랫폼 운영비용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대표적인 플랫폼과 사용자의 광고수익 비율을 따져보자면, 유튜버 : 구글(유튜브) = 55:45이다. 아프리카 tv의 경우는 60:40 이며, 후원금 전달방식인 별풍선에 대하여 30%의 중간 수수료를 플랫폼이 가져가고 있다.The revenue structure of the video sharing platform consists of advertisements, donations, and platform operating costs, with users, advertisers, and creators focusing on the platform. If you look at the ratio of advertising revenue between a representative platform and a user, YouTuber: Google (YouTube) = 55:45. In the case of Afreeca TV, it is 60:40, and the platform takes a 30% intermediate fee for the star balloon, which is a donation delivery method.

동영상을 촬영하고, 제작하는 주체는 창작자들이다. 동영상 공유 플랫폼의 역할은 동영상을 업로드할 수 있는 플랫폼과 서버를 운영하고, 광고주들로부터 받은 광고비를 창작자들에게 45%를 제공하고 있다. 플랫폼을 운 영하는 비용이 들지만, 창작자들의 광고 수익의 45%를 플랫폼에게 배분되는 것은 과도한 비율이라 여겨진다.It is the creators who shoot and produce the video. The role of a video sharing platform is to operate a platform and server where videos can be uploaded, and to provide 45% of advertising fees received from advertisers to creators. It costs money to operate the platform, but it is considered an excessive ratio to allocate 45% of creators' advertising revenue to the platform.

또한 사용자는 원하는 동영상을 보기 위해 원치 않는 광고를 유료회원이 아닌 이상, 반강제적으로 경험해야 한다. 광고를 본다고 해서 사용자에게 이익이 돌아가는 구조 또한 아니다. 어린이·청소년에게 노출되는 폭력적·선정적 광고는 사회문제점으로 야기되고 있다.In addition, users are forced to experience unwanted advertisements in order to view desired videos, unless they are paid members. It is also not a structure in which profits are returned to users by viewing advertisements. Violent and sensational advertisements exposed to children and adolescents are causing social problems.

광고주 입장에서는 특정 타겟 창작자만을 위한 광고를 제공하고자 할 수도 있다. 하지만 기존 플랫폼 구조에서는 전체를 타겟으로 하는 광고를 위해 광고비를 과도하게 제공해야 한다는 단점도 있다.Advertisers may want to provide advertisements only for specific target creators. However, in the existing platform structure,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excessive advertising costs must be provided for advertisements that target the entire population.

3. [엔터테인먼트 불공정 계약] 문제3. [Unfair Entertainment Contract] Problem

3-1) 엔터테인먼트 개요3-1) Entertainment Overview

엔터테인먼트란 대중예술인이 연예 활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조력하는 회사이다. 스케줄, 이동, 홍보, 계 약 등 매니지먼트 역할과 에이전시 역할이 주 업무이다. 대중예술인은 방송사 등으로부터 출연료를 받게 되면 일정한 비율을 엔터테인먼트에 지급하게 된다. 다른 방식으로는 엔터테인먼트가 출연료 및 수익금을 받고 정산하여 대중예술인에게 지급하고 있다.Entertainment is a company that helps popular artists to perform their entertainment activities smoothly. The main tasks are management roles such as schedules, moving, public relations, and contracts, as well as agency roles. When public artists receive appearance fees from broadcasting companies, they pay a certain percentage to entertainment. In other ways, entertainment receives appearance fees and proceeds, settles them, and pays them to popular artists.

3-2) 엔터테인먼트 불공정 계약 구조3-2) Unfair entertainment contract structure

엔터테인먼트 분야에서 발생하는 법률 분쟁은 전속계약 문제가 많은 비중을 차지한다. 전속계약의 내용(일예로, 연예인이 기획사를 통해서만 연예 활동을 할 수 있다는 내용)은 연예인의 모든 활동이 기획사에 구속된다는 의미이다. 따라서 연예인이 불성실·무성의한 기획사와 전속계약을 체결하거나 이른바 '노예계약'이라 불리는 불공정 계약을 체결하면 두고두고 고생하게 된다.Exclusive contract issues account for a large proportion of legal disputes in the entertainment field. The contents of the exclusive contract (for example, the content that the entertainer can only engage in entertainment activities through the agency) means that all activities of the entertainer are bound by the agency. Therefore, if a celebrity signs an exclusive contract with an unfaithful or insincere agency or an unfair contract called a 'slave contract', they will suffer forever.

전속계약의 대표적인 불공정 조항으로는 '장기간의 계약 기간', '일방적인 손해배상액 예정 조항', '일방적인 스케줄 설정 조항' 등이 있다. 엔터테인먼트와 소속 연예인 사이의 수익금 배분은 계약형태에 따라 8:2에서 5:5 비율까지 일어나고 있다. 이는 연예계 활동과 대중예술인 사이의 중앙 역할을 하고 있는 엔터테인먼트의 힘이 커지면서 불공정 계약 수준까지 이르렀다고 볼 수 있다.Representative unfair clauses in exclusive contracts include 'long-term contract period', 'unilateral damage compensation schedule clause', and 'unilateral schedule setting clause'. The distribution of profits between the entertainment and the affiliated entertainers is happening at a ratio of 8:2 to 5:5 depending on the type of contract. This can be seen as reaching the level of unfair contracts as the power of entertainment, which plays a central role between entertainment industry activities and popular artists, grows.

상술한 종래의 미디어콘텐츠 제작 기술이 갖는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본원은 블록체인을 이용한 미디어콘텐츠 제작 시스템(100, 본 시스템)에 대하여 제안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media content production technology, the present application proposes a media content production system (100, this system) using a block chain.

본 시스템(100)에서 고려되는 블록체인(블록체인 기술)의 기본 개념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Looking at the basic concept of the block chain (block chain technology) considered in this system 100 is as follows.

1. 블록체인 개념1. Blockchain concept

블록체인은 '블록'이라고 하는 소규모 데이터들이 P2P(peer to peer) 방식을 기반으로 생성된 체인 형태의 연결고리 기반의 분산 데이터 저장환경에 저장되어 누구라도 임의로 수정할 수 없고, 누구나 변경의 결과를 열람할 수 있는 분 산 컴퓨팅 방식의 데이터 변조 방지 기술을 의미한다. 다시 말해, 블록체인은 여러 건의 거래 내역을 하나의 블록으로 묶어 기존에 생성된 블록에 체인처럼 계속적으로 연결하는 데이터 구조를 의미한다. 블록체인은 모든 거래 정보를 포함하는 거대한 분산 장부라고도 할 수 있다. 블록체인은 분산되고, 독립적이며, 공통 장부 관리 기술이라 할 수 있다.In the blockchain, small-scale data called 'blocks' are stored in a distributed data storage environment based on chain-type links created based on the P2P (peer to peer) method, so that anyone cannot arbitrarily modify them, and anyone can view the results of changes. It means data tamper prevention technology of distributed computing method that can In other words, blockchain refers to a data structure that binds multiple transaction details into one block and continuously connects them to previously created blocks like a chain. Blockchain can also be said to be a huge distributed ledger that contains all transaction information. Blockchain is a decentralized, independent and common ledger management technology.

블록체인 내 블록은 전체 기간 중 일정기간의 거래 정보를 기록한 덩어리를 의미할 수 있다. 블록체인은 이러한 블록들을 체인 형태로 연결하여, 수많은 컴퓨터에 동시에 이를 복제해 저장하는 분산형 데이터 저장 기술을 의미한다. 블록체인은 데이터를 체인처럼 연결하여, 중앙 집중형 서버에 거래 기록을 보관하지 않고 누구나 열람할 수 있게 공개함으로써 데이터 위조나 변조를 할 수 없도록 서로서로 감시하는 P2P(peer to peer : 개인과 개인이 직접 연결됨) 구조를 가지며, 해당 시스템의 프로토콜(일정한 규칙)을 따를 수 있다. 쉽게 말해, 은행과 같은 제3자를 거치지 않고 블록체인을 이용하게 되면, 노드(node : 해당 시스템의 네트워크 참가자들-> 개개인의 네트워크 서버, 즉, 참가자)간, 직접 가치를 전달할 수 있으며, 이러한 블록체인은 4차산업혁명의 핵심기술이라 할 수 있다.A block in a blockchain may refer to a chunk that records transaction information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during the entire period. Blockchain refers to a distributed data storage technology that connects these blocks in a chain form and copies and stores them on numerous computers at the same time. Blockchain connects data like a chain, and does not store transaction records in a centralized server, but discloses them for anyone to view. directly connected) structure and can follow the protocol (certain rules) of the corresponding system. Simply put, if you use blockchain without going through a third party such as a bank, you can directly transfer value between nodes (nodes: network participants of the system -> individual network servers, i.e., participants), and these blocks The chain can be said to be the core technology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2. 블록체인 기술의 특징2. Characteristics of blockchain technology

블록체인은 분산성, 확장성, 투명성, 보안성 및 안정성 등의 특징을 갖는다. Blockchain has characteristics such as decentralization, scalability, transparency, security and stability.

분산성에 의하면, 신뢰할 수 있는 제 3자를 별도로 두지 않고 분산형 네트워크(P2P) 환경에서 거래 가능하며, 중앙집중형의 시스템을 운영하고 유지보수 등 필요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According to decentralization, it is possible to trade in a distributed network (P2P) environment without having a separate reliable third party, and it is possible to operate a centralized system and reduce necessary costs such as maintenance.

확장성에 의하면, 모든 소스가 공개되어 있어 네트워크에 참여하는 누구나 구축, 연결, 확장이 가능하다.According to scalability, all sources are open, so anyone participating in the network can build, connect, and expand.

투명성에 의하면, 모든 거래 기록은 공개적으로 접근이 가능하며, 거래 양성화 및 규제 비용 절감 가능하다.Transparency ensures that all transaction records are publicly accessible, facilitating transactions and reducing regulatory costs.

보안성에 의하면, 거래내역 장부는 네트워크 참여자 모두가 공동으로 소유하여 거래 데이터 조작 방지 및 무결성을 보장할 수 있다.According to security, the transaction details ledger can be jointly owned by all network participants to prevent manipulation of transaction data and to ensure integrity.

안정성에 의하면, 분산형 네트워크 구조로 단일 실패점이 존재하지 않는다. 또한 일부 참가 시스템에 오류 또는 성 능 저하가 발생하여도 전체 네트워크에 영향이 미미한 특성이 있다.According to stability, there is no single point of failure due to the decentralized network structure. In addition, even if an error or performance degradation occurs in some participating systems, the overall network is insignificant.

3. 블록체인의 종류 및 합의 알고리즘3. Types of Blockchain and Consensus Algorithm

첫 블록체인인 비트코인에서는 기술적 특성에서 생긴 처리속도의 제한적 문제가 발생한다. 모든 참여자가 데이터를 기록하고 관리하는 방식의 한계이기도 하며, 이를 해결하는 방안을 '합의(Consensus) 알고리즘'이라고 한다. 속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여러 가지 다양한 합의 알고리즘이 나타났고, 최초의 블록체인이 추구하던 개념과는 거리가 먼 알고리즘도 생겨났다.In Bitcoin, the first block chain, there is a limiting problem of processing speed caused by technical characteristics. It is also a limitation of the method of recording and managing data by all participants, and the solution to this is called 'consensus algorithm'. To solve the speed problem, various consensus algorithms have appeared, and algorithms that are far from the concept pursued by the first block chain have also been created.

퍼블릭(public) 블록체인은 말 그대로 누구나 할 수 있는 개방형이고, 프라이빗(private) 블록체인은 제한된 사람들만 참여할 수 있는 폐쇄형이다. 이 두 가지를 연결하거나 섞은 혼합형은 하이브리드(Hybrid) 블록체인이라고 한다.A public blockchain is an open type that literally anyone can use, and a private blockchain is a closed type that only limited people can participate in. A mixed type that connects or mixes these two is called a hybrid blockchain.

종래의 블록체인의 종류별 특성 정보는 아래 표 1에 도시된 바와 같다.Characteristic information for each type of conventional blockchain is shown in Table 1 below.

[표 1][Table 1]

Figure 112021147530423-pat00001
Figure 112021147530423-pat00001

본 시스템(100)은 본원에서 새롭게 제안하는 합의 알고리즘인 참여형 합의 알고리즘(즉 PoM 멤버쉽 메커니즘(20))을 이용할 수 있다. 즉, 본 시스템(100)에서는 참여형 합의 알고리즘을 새롭게 구축하여 제공하며, 이는 퍼블릭 블록체인 특성에 가까운 하이브리드 블록체인의 특성을 지닐 수 있다.The system 100 may use a participatory consensus algorithm (ie, the PoM membership mechanism 20), which is a newly proposed consensus algorithm in this application. That is, in this system 100, a new participatory consensus algorithm is built and provided, which can have characteristics of a hybrid block chain close to the characteristics of a public block chain.

4. DID(Decentralized Identity) 개요 및 필요4. DID (Decentralized Identity) Overview and Need

4-1) DID 개요4-1) DID Overview

분산 신원증명(DID, Decentralized Identity)은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신원을 증명하는 시스템을 의미한다. 기존 신원 확인 방식과 달리 중앙 시스템에 의해 통제되지 않으며 개개인이 자신의 정보에 완전한 통제권을 가질 수 있게 하는 기술을 의미한다.Decentralized Identity (DID) refers to a system that proves identity based on a blockchain. Unlike existing identification methods, it is not controlled by a central system and refers to a technology that allows individuals to have complete control over their information.

도 1은 종래의 분산ID(DID) 기반 신원인증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concept of conventional distributed ID (DID) based identity authentication.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DID 기반 신원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을 수 있다. 1. 서비스 제공자가 사용자에게 신원 정보 인증 요청을 할 수 있다. 다음으로, 2. 사용자가 신원정보발행자(인증기관 등)에게 신원 정보 발행 요청을 할 수 있다. 다음으로, 3. 신원정보발행자가 분산 ID저장소에 사용자의 신원 정보를 검증할 수 있는 서명된 ID정보를 등록할 수 있다. 다음으로, 4. 신원정보발행자가 사용자에게 신원정보 발행 및 사용자는 신원정보발행자가 서명한 내용에 대해 Counter-sign을 하여 DIDs(Key) ― DID Document(Value) 생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5. 사용자는 서비스 제공자에게 신원 정보를 전달할 수 있고, 이때 신원정보발행자에게 받은 신원 정보 전체 중 인증에 필요한 일부만을 선택한 신원 정보를 서비스 제공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다음으로, 6. 서비스 제공자는 DIDs를 통해 분산 ID저장소에 저장된 DID Document를 검증하여 신원 확인을 완료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 a conventional DID-based identity authentication procedure may be as follows. 1. The service provider may request user authentication of identity information. Next, 2. The user can request the issuance of identity information to the identity information issuer (certification authority, etc.). Next, 3. The identity information issuer can register signed ID information that can verify the user's identity information in the distributed ID storage. Next, 4. The identity information issuer issues identity information to the user, and the user counter-signs the contents signed by the identity information issuer to create DIDs (Key) - DID Document (Value). Next, 5. The user may transmit the identity information to the service provider, and at this time, among all the identity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identity information issuer, only a part of the identity information necessary for authentication may be transmitted to the service provider. Next, 6. The service provider can complete identity verification by verifying the DID Document stored in the distributed ID storage through DIDs.

4-2) DID의 필요4-2) Need for DID

신원 증명 중앙화 체제에서는 해킹이 발생할 경우 개인 정보가 대규모로 유출될 위험이 있고, 기업들이 개 인 정보를 몰래 이용해 이익을 얻는 사례들이 발생하기도 한다. 일각에서는 농담으로 우리 국민의 주민등록 번호가 중국에서는 공공재라는 말이 있기도 했는데, 안타깝게도 과거 중국의 유명 검색엔진에서는 국내 유명 사이트 계정 ID와 이름, 나이, 생년월일은 물론 주민등록번호까지 민감한 개인 정보가 거래되고 있었다. 이처럼 개인 정보 유출과 사생활 침해 이슈가 커지는 가운데 DID는 이에 대응할 수 있는 방안 중 하나로 부각되고 있다.In the centralized identity verification system, there is a risk of personal information being leaked on a large scale if hacking occurs, and there are cases in which companies secretly use personal information to gain profits. Some jokingly said that Koreans' resident registration numbers are public goods in China. Unfortunately, in the past, famous search engines in China were trading sensitive personal information such as account IDs, names, ages, dates of birth, and resident registration numbers on famous domestic sites. As such, personal information leakage and privacy issues are growing, DID is emerging as one of the ways to respond to it.

DID는 중앙 기관이나 기업과 같은 제 3자가 아닌 개인들이 자신의 데이터를 직접 관리하는 구조이다. 중앙 기관이나 기업에게 있던 데이터 주권을 개인이 가져온다는 것이다. 지금까지 글로벌 IT 기업은 물론 정부 기관들은 개인이 생성하는 데이터를 통해 막대한 이익과 가치를 만들어내고 있지만 정작 각각의 개인들에게는 본인이 만든 데이터에 대한 주권이 없는 상황이었다. 블록체인 DID 기술을 통해 만들어지는 보안성과 신뢰성 높은 디지털 환경속에서 데이터의 주권을 회복할 수 있고, 더 나아가 서비스 제공자들에게 개인이 생성한 데이터를 이용하는 행위에 대한 합리적 보상도 요구할 수 있게 된다.DID is a structure in which individuals directly manage their data, not third parties such as central institutions or companies. It means that individuals bring the sovereignty of data that used to be held by central institutions or companies. So far, global IT companies as well as government agencies have created huge profits and values through the data generated by individuals, but each individual has no sovereignty over the data they create. Data sovereignty can be restored in a secure and reliable digital environment created through blockchain DID technology, and furthermore, reasonable compensation can be demanded from service providers for the act of using data generated by individuals.

상술한 점을 고려해, 본원은 미디어콘텐츠 제작환경에 블록체인 및 DID 기술을 적용한(접목시킨) 본 시스템(100)에 대하여 제안하고자 한다.Considering the above points, the present application intends to propose a system 100 to which blockchain and DID technology are applied (integrated) to a media content production environment.

본 시스템(100)은 다음과 같이 크게 6가지의 특성들을 가질 수 있다.The present system 100 may have six characteristics as follows.

1. 탈중앙성 : 본 시스템(100)은 기획 단계부터 제작, 광고 등 누구나 참여 및 투자가 가능하기 때문에 탈중앙성을 가질 수 있다.1. Decentralization: This system 100 can have decentralization because anyone can participate and invest in it from the planning stage to production and advertising.

2. 보안성 : 본 시스템(100)은 암호화된 분산 장부 구조로 중앙 기관 없이 자금의 보안 확보가 가능하다.2. Security: This system 100 has an encrypted distributed ledger structure, and it is possible to secure the security of funds without a central authority.

3. P2P 더블(Double) 시스템 : 본 시스템(100)은 누구나 프로젝트 기획/제작/투자와 플랫폼 디지털자산 스왑에 참여할 수 있는 P2P Double 시스템의 특성을 가질 수 있다. 특히, 본 시스템(100)은 Peer to Project 서비스의 제공이 가능하고, 이와 관련하여 프로젝트형 지분형 디지털 자산으로 개인, 기관, 광고주 등 누구나 원하는 프로젝트에 원하는 금액을 P2P로 투자 가능하다. 또한, 본 시스템(100)은 Peer to Platform 서비스의 제공이 가능하고, 이와 관련하여 마이닝을 통한 플랫폼 디지털자산 및 지분형 디지털자산을 스왑 방식으로 플랫폼 내에서 P2P로 거래할 수 있다.3. P2P Double System: This system 100 can have the characteristics of a P2P Double system in which anyone can participate in project planning/production/investment and platform digital asset swap. In particular, this system 100 can provide a Peer to Project service, and in this regard, as a project-type equity-type digital asset, anyone, such as an individual, institution, or advertiser, can invest a desired amount in a desired project through P2P. In addition, this system 100 can provide peer to platform services, and in this regard, platform digital assets and equity-type digital assets through mining can be traded in P2P within the platform in a swap manner.

4. 투명성 : 본 시스템(100)은 지분형 디지털 자산 소유시 프로젝트 관련된 자금 내역, 판권 판매, OTT 스트리밍 수익 등을 열람할 수 있게 함으로써 블록체인의 투명성을 적용시킬 수 있다.4. Transparency: When owning equity-type digital assets, this system 100 can apply the transparency of blockchain by enabling the viewing of project-related fund details, copyright sales, OTT streaming revenue, etc.

5. 불변성 : 본 시스템(100)은 사용자들의 이력 관리(DID 활용), 프로젝트 기획서 등 블록체인 블록에 암호화된 상태로 기록이 되며, 이는 불변성을 가지므로 신뢰를 가질 수 있다.5. Immutability: This system 100 is recorded in an encrypted state in blockchain blocks such as user history management (using DID) and project proposals, which have immutability and can be trusted.

6. 스마트컨트렉트 : 본 시스템(100)은 현재 대면으로만 진행되던 계약과정을 DID와 스마트컨트렉트의 활용으로 비대면으로 전자계약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본 시스템(100)에 의하면, 본 플랫폼 내 프로젝트 진행시 관련 사용자들은 자동 계약체결 시스템을 사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시스템(100)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6. Smart contract: This system (100) can enable non-face-to-face electronic contracts by utilizing DID and smart contracts, which is currently only a face-to-face contract process. According to this system 100, related users can use an automatic contract conclusion system when a project within this platform is in progress. Hereinafter, the present system 10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도 2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을 이용한 미디어콘텐츠 제작 시스템(100)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a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을 이용한 미디어콘텐츠 제작 시스템(100)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b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을 이용한 미디어콘텐츠 제작 시스템 내 서버가 프로그램형 프로젝트를 처리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c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을 이용한 미디어콘텐츠 제작 시스템 내 서버가 개인형 프로젝트를 처리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을 이용한 미디어콘텐츠 제작 시스템(100)의 전체 프로세스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을 이용한 미디어콘텐츠 제작 시스템(100) 내 서버(10)가 보상 지급시 이용하는 PoM 멤버쉽 메커니즘(20)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을 이용한 미디어콘텐츠 제작 시스템(100) 내 서버(10) 내 PoM 멤버쉽 메커니즘(20)의 동작 흐름(플로우차트)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media content production system 100 using a block cha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3A is a diagram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media content production system 100 using a block cha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3B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in which a server in a media content production system using a block chain processes a programmatic proje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C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processing a personal project by a server in a media content production system using a block cha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a to 4c are diagrams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e entire process of the media content production system 100 using a block cha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PoM membership mechanism 20 used when the server 10 in the media content production system 100 using a block cha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compensation. 6 and 7 are diagrams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operation flow (flow chart) of the PoM membership mechanism 20 in the server 10 in the media content production system 100 using a block cha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특히, 도 5a는 PoM 멤버쉽 메커니즘(20) 구조의 일예를 나타낸다. 또한, 도 5b는 PoM 멤버쉽 메커니즘(20)에서 고려되는 노드 그룹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c는 PoM 멤버쉽 메커니즘(20)에 의한 밈비 코인 이코노미(economy, 경제) 구조를 나타낸 것으로서, 달리 표현해 PoM 멤버쉽 메커니즘(20)에 의해 이루어지는 코인(본 플랫폼에서 고려되는 코인) 분배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d는 PoM 멤버쉽 메커니즘(20)에서 고려되는 포인트(멤버쉽, 멤버쉽 포인트) 생산성(productivity)을 나타낸 것으로서, 달리 표현해 PoM 멤버쉽 메커니즘(20)이 사용자의 활동 점수(포인트, 멤버쉽, 멤버쉽 포인트) 산출시 고려하는 항목(즉, 활동 점수가 부여되는 항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에 따르면, PoM 멤버쉽 메커니즘(20)은 사용자에게 활동 점수로서 프로젝트 활동 점수, 프로젝트 투자 점수, 플랫폼 활동 점수, 노드 활동 점수 등을 제공할 수 있다.In particular, FIG. 5A shows an example of the PoM membership mechanism 20 structure. Also, FIG. 5B is a diagram for explaining node groups considered in the PoM membership mechanism 20 . 5c shows the Mimbi coin economy structure by the PoM membership mechanism 20, in other words, to explain the coin (coin considered in this platform) distribution structure made by the PoM membership mechanism 20 it is a drawing 5D shows the productivity of points (membership, membership points) considered in the PoM membership mechanism 20. In other words, when the PoM membership mechanism 20 calculates the user's activity points (points, membership, membership points) It is a diagram for explaining items to be considered (ie, items for which activity points are awarded). According to this, the PoM membership mechanism 20 may provide project activity points, project investment points, platform activity points, node activity points, and the like as activity points to the user.

이하에서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을 이용한 미디어콘텐츠 제작 시스템(100)을 설명의 편의상 본 시스템(100)라 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media content production system 100 using a block cha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will be referred to as the present system 100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시스템(100)은 서버(10), 참여자 단말(1) 및 투자자 단말(2)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본 시스템(100)은 일반 사용자 단말(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2 to 7, the system 100 may include a server 10, a participant terminal 1 and an investor terminal 2. Also,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present system 100 may include a general user terminal (not shown).

본 시스템(100) 내 각 구성들은 네트워크(3)를 통해 연동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즉, 서버(10)는 참여자 단말(1), 투자자 단말(2) 및 일반 사용자 단말(미도시) 각각과 네트워크(3)를 통해 연동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Each component in the present system 100 can transmit and receive data in conjunction with each other through the network 3 . That is, the server 10 may transmit and receive data by interworking with each of the participant terminal 1, the investor terminal 2, and a general user terminal (not shown) through the network 3.

도 2의 일예에서는 서버(10)가 1개의 참여자 단말(1)과 1개의 투자자 단말(2)과 연동된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이는 본원의 이해를 돕기 위한 하나의 예시일 뿐,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서버(10)는 복수개의 참여자 단말과 연동될 수 있고, 또한, 복수개의 투자자 단말과 연동될 수 있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 하더라도, 참여자 단말(1)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은 복수개의 참여자 단말 각각에 대한 설명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고, 투자자 단말(2)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은 복수개의 투자자 단말 각각에 대한 설명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In the example of FIG. 2, the server 10 is illustrated as interworking with one participant terminal 1 and one investor terminal 2, but this is only one example to help th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application, and is not limited thereto. no. The server 10 may interwork with a plurality of participant terminals, and may also interwork with a plurality of investor terminals. Therefore, even if the contents are omitted below, the description of the participant terminal 1 can be equally applied to the description of each of a plurality of participant terminals, and the description of the investor terminal 2 is a plurality of investor terminals. The same can be applied to the description of each.

네트워크(3)는 일예로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고, 다양한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The network 3 is, for example, a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3GPP) network, a Long Term Evolution (LTE) network, a 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network, the Internet, a Local Area Network (LAN), and a Wireless 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 (Wide Area Network), PAN (Personal Area Network), Bluetooth (Bluetooth) network,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network, satellite broadcasting network, analog broadcasting network, DMB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network, etc. It may include,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include various wired/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서버(10)는 프로젝트와 관련하여 미디어콘텐츠를 제작하고 관리하며, 블록체인 기반 미디어 제작 플랫폼(이하 본 플랫폼이라 함)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는 서버(10)를 이용하는 모든 사용자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참여자(1') 및 투자자(2')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에는 참여자(1') 및 투자자(2') 뿐만 아니라 일반 사용자도 포함될 수 있다.The server 10 may produce and manage media content in relation to a project, and provide a blockchain-based media production platform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is platform) to users. Here, the user means all users using the server 10, and may include participants 1' and investors 2'. Users may include participants 1' and investors 2' as well as general users.

즉, 본 서버(10)를 이용하는 사용자는 역할에 따라 크게 참여자(1'), 투자자(2'), 일반 사용자(미도시)로 구분될 수 있으나, 이는 본원의 이해를 돕기 위한 하나의 예시일 뿐,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원의 다른 일예에 따르면, 참여자는 투자자(혹은 일반 사용자)가 될 수 있으며, 그 반대로도 적용 가능하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 하더라도, 참여자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은 투자자(혹은 일반 사용자)에 대한 설명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고, 그 반대로도 적용될 수 있다.That is, users using this server 10 can be largely divided into participants (1'), investors (2'), and general users (not shown) according to their roles, but this is an example to help th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application. However, it is not limited thereto. According to another example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participant may be an investor (or a general user), and vice versa. Therefore, even if the content is omitted below, the description of the participant can be equally applied to the description of the investor (or general user), and vice versa.

서버(10)는 블록체인을 이용해 미디어콘텐츠를 제작하고 관리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서버(10)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을 이용한 미디어콘텐츠 제작 장치를 의미할 수 있으며, 본원에서 본 장치, 본 서버 등으로 달리 지칭될 수 있다. 또한, 서버(10)에 의해 제공되는 블록체인 기반 미디어 제작 플랫폼은 이하 설명의 편의상 본 플랫폼이라 지칭될 수 있다.The server 10 may refer to a server that produces and manages media content using a blockchain. This server 10 may refer to a media content production device using a block cha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and may be otherwise referred to herein as this device, this server,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blockchain-based media production platform provided by the server 10 may be referred to as this platform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below.

본원에서 본 플랫폼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은, 본 시스템(100) 혹은 서버(10)에 대한 설명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즉, 본 플랫폼의 각종 기능들은 본 시스템(100) 혹은 서버(10)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The description of the platform herein may be equally applied to the description of the system 100 or the server 10. That is, various functions of the platform may be performed by the system 100 or the server 10.

본원에서 서버(10)를 통해 제공되는 블록체인 기반 미디어 제작 플랫폼(블록체인을 이용한 미디어 제작 플랫폼)은 밈비(Make Your Media in Blockchain, MYMB) 플랫폼 등이라 지칭될 수 있다. 즉, 본원에서 제안하는 기술은 후술하는 설명에서 밈비라는 용어로 지칭될 수 있다.In the present application, a blockchain-based media production platform provided through the server 10 (a media production platform using a block chain) may be referred to as a Make Your Media in Blockchain (MYMB) platform or the like. That is, the technology proposed herein may be referred to as the term Mimbi in the description below.

이에 따르면, 본원에서 제안하는 기술(즉, 블록체인을 이용한 미디어콘텐츠 제작 기술로서, 블록체인을 이용한 미디어콘텐츠 제작과 관련된 시스템(100), 장치(10), 플랫폼, 앱, 솔루션 등)은 밈비 기술, MYMB 기술, 블록체인을 활용한 원스탑 미디어 제작 기술 등으로 달리 지칭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the technology proposed in this application (ie, media content production technology using block chain, system 100, device 10, platform, app, solution, etc. related to media content production using block chain) is Mimbi technology , MYMB technology, and one-stop media production technology using blockchain.

참여자 단말(1)은 본 플랫폼을 이용하는 제1 유형의 사용자로서, 미디어콘텐츠 제작에 참여하는 참여자(1')가 소지한 단말을 의미할 수 있다. 투자자 단말(2)은 본 플랫폼을 이용하는 제2 유형의 사용자로서, 미디어콘텐츠 제작에 투자하는 투자자(2')가 소지한 단말을 의미할 수 있다. 일반 사용자 단말(미도시)는 본 플랫폼을 이용하는 제3 유형의 사용자로서, 서버(10)에 의해 제작된 미디어콘텐츠를 시청하는 일반 사용자가 소지한 단말을 의미할 수 있다.The participant terminal 1 is a first type of user who uses this platform and may mean a terminal possessed by the participant 1' participating in the production of media contents. The investor terminal 2 is a second type of user who uses this platform, and may mean a terminal possessed by the investor 2' who invests in media content production. A general user terminal (not shown) is a third type of user who uses the present platform and may refer to a terminal possessed by a general user who watches media content produced by the server 10 .

본원에서 참여자 단말(1), 투자자 단말(2) 및 일반 사용자 단말(미도시)은 단말(혹은 사용자 단말)이라는 용어로 통칭되어 표현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participant terminal 1, the investor terminal 2, and the general user terminal (not shown) may be collectively referred to as a terminal (or user terminal).

본원에서 단말(즉, 참여자 단말, 투자자 단말, 일반 사용자 단말)은, 서버(10)를 이용하는 사용자들(참여자, 투자자, 일반 사용자)이 소지한 단말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일예로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패드(SmartPad), 태블릿 PC, 노트북, 웨어러블 디바이스, 데스크탑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유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the present application, a terminal (ie, a participant terminal, an investor terminal, and a general user terminal) refers to a terminal possessed by users (participants, investors, and general users) using the server 10, for example, PCS (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 GSM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PDC (Personal Digital Cellular), PHS (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 (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 W-CDMA (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 (Wireless Broadband Internet) terminals, smartphones, smartpads, tablet PCs, laptops, wearable devices, desktop PCs, etc. It may include, but is not limited to.

일예로, 서버(10, 본 장치)는 단말(일예로 참여자 단말, 투자자 단말, 일반 사용자 단말)에 포함된 장치의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서버(10)는 단말에 설치되는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어플, 앱)의 형태로 구현 가능한 장치(서버)일 수 있다. 달리 말해, 서버(10)를 통해 제공되는 블록체인을 이용한 미디어콘텐츠 제작 방법은 일예로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의 형태로 구현되어 단말을 통해 사용자들(일예로 참여자, 투자자, 일반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server 10 (this device)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device included in a terminal (for example, a participant terminal, an investor terminal, and a general user terminal). In this case, the server 10 may be a device (server) that can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program or application (app, app) installed on a terminal. In other words, the media content production method using the block chain provided through the server 10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program or application, for example, and provided to users (eg participants, investors, general users) through a terminal. .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른 일예로 서버(10, 본 장치)는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단말과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한 형태(서버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서버(10)는, 서버(10)에 의해 제공되는 애플리케이션에 접속한 사용자들(일예로, 참여자, 투자자, 일반 사용자)의 단말의 화면 표시를 제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서버(10, 본 장치)가 단말에 포함된 장치 형태가 아닌,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서버의 형태로 마련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However, it is not limited to this, and as another example, the server 10 (this device) may be provided in a form (server form)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with a terminal as shown in FIG. 2 . In this case, the server 10 may control the screen display of terminals of users (eg, participants, investors, and general users) accessing the application provided by the server 10 . Hereinafter, it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that the server 10 (this device)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server as shown in FIG. 2 rather than the form of a device included in a terminal.

또한, 본원에서 서버(10)에 의해 제공되는 애플리케이션(어플, 앱)은 이하 설명의 편의상 본 앱이라 하기로 한다. 이에 따르면, 서버(10)는 본 앱을 설치한 사용자들(일예로, 참여자, 투자자, 일반 사용자)의 단말의 동작(일예로 화면 표시 동작 등)을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pplication (app, app) provided by the server 10 herein will be referred to as this app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below. According to this, the server 10 can control the operation (eg, screen display operation, etc.) of the terminal of users (eg, participants, investors, general users) who have installed this app.

서버(10)는 프로젝트와 관련하여 미디어콘텐츠를 제작하고 관리하며, 블록체인 기반 미디어 제작 플랫폼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는 서버(10)를 이용하는 모든 사용자를 의미할 수 있으며, 참여자(1'), 투자자(2'), 일반 사용자(미도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본원에서의 사용자는 유저, 시스템유저 등으로 지칭될 수 있다.The server 10 may produce and manage media content in relation to a project, and provide a blockchain-based media production platform to users. Here, the user may mean all users using the server 10, and may include participants 1', investors 2', general users (not shown), and the like. A user herein may be referred to as a user, a system user, and the like.

즉, 서버(10)를 이용하는 사용자(본 플랫폼을 이용하는 사용자)는 본원에서 유저, 시스템유저, 노드, 노드 사용자 등으로 달리 지칭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에는 참여자, 투자자, 일반 사용자가 포함될 수 있고, 뿐만 아니라 후술하여 설명하는 일예로 도 5b에 도시된 복수의 그룹(노드 그룹) 내 사용자들(즉, 스태프, 출연진, 일반 사용자, 투자자, 광고, 기업, 밈버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원에서 그룹은 노드 그룹, 집합 등으로 달리 지칭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원에서 노드라 함은 사용자가 소지한 단말을 의미할 수 있다.That is, a user using the server 10 (a user using the present platform) may be otherwise referred to herein as a user, a system user, a node, a node user, and the like. These users may include participants, investors, and general users, as well as users in a plurality of groups (node groups) shown in FIG. 5B as an example to be described later (ie, staff, cast members, general users, investors, advertisements) , corporations, mimbers, etc.) may be included. Also, herein, a group may be otherwise referred to as a node group, a set, or the like. Preferably, a node herein may mean a terminal possessed by a user.

본원에서 본 플랫폼을 이용하는 사용자는 미디어콘텐츠 제작의 참여 및 투자가 가능할 수 있다. 즉, 본 플랫폼을 이용하는 사용자들은 미디어콘텐츠 제작에 참여하여 미디어콘텐츠를 제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미디어콘텐츠 제작에 투자할 수도 있다.Users who use this platform herein may be able to participate in and invest in media content production. In other words, users who use this platform can not only participate in and produce media content, but also invest in media content production.

서버(10)에 의해 제공되는 본 플랫폼은 블록체인 기반 미디어 제작 플랫폼으로서, 중앙 집중형 제작 시스템이 아닌 탈중앙형 미디어 제작 시스템을 갖춘 플랫폼일 수 있다. 본 플랫폼에 의하면, 본 플랫폼을 이용하는 사용자들 누구나가 미디어콘텐츠의 제작과 관련해 참여, 제작, 투자를 할 수 있다.This platform provided by the server 10 is a blockchain-based media production platform, and may be a platform with a decentralized media production system rather than a centralized production system. According to this platform, any user who uses this platform can participate in, produce, and invest in the production of media contents.

본원에서 미디어콘텐츠는 미디어, 콘텐츠 등의 용어와 혼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원에서 고려되는 미디어콘텐츠(미디어)는 앞서 말한바와 같이 뉴미디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원에서 미디어 제작(미디어콘텐츠 제작)이라 함은 미디어콘텐츠의 창조, 생산, 유통, 소비 등 모든 과정을 포함한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In this application, media content may be used interchangeably with terms such as media and content. In addition, media content (media) considered herein may include new media as described above. In addition, media production (media contents production) herein can be understood as a concept including all processes such as creation, production, distribution, and consumption of media contents.

즉, 본 플랫폼은 미디어를 제작할 수 있는 환경을 갖춘 플랫폼을 의미할 수 있다. 본원을 설명함에 있어서, 프로젝트란 미디어(미디어콘텐츠)를 기획하고 제작하는 과정부터 이와 관련된 수익 창출의 전 과정을 의미할 수 있다. That is, this platform may mean a platform equipped with an environment for producing media. In describing the present application, a project may mean the entire process from planning and producing media (media contents) to generating revenue related thereto.

본 플랫폼에서는 프로젝트 단위로 미디어(미디어콘텐츠)가 제작, 유통, 판매될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서버(10)는 미디어콘텐츠를 프로젝트 단위로 제작/유통/판매하고 관리할 수 있다. 본원에서 미디어콘텐츠는 미디어, 콘텐츠, 미디어컨텐츠 등으로 지칭될 수 있다.On this platform, media (media contents) can be produced, distributed, and sold on a project basis. In other words, the server 10 may produce, distribute, sell, and manage media content in project units. In this application, media content may be referred to as media, content, media content, and the like.

본원에서 고려되는 프로젝트(Project)는 프로그램형 프로젝트(Program Type Project) 및 개인형 프로젝트(Personal Type Project)를 포함할 수 있다. 즉, 프로젝트의 종류는 크게 프로그램형 프로젝트와 개인형 프로젝트로 구분될 수 있다. A project considered herein may include a program type project and a personal type project. That is, the type of project can be largely divided into a program type project and a personal type project.

여기서, 프로그램형 프로젝트는 드라마, 예능 및 교양을 포함하는 방송 관련 프로젝트(방송 범위의 프로젝트)일 수 있다. 개인형 프로젝트는 개인 채널을 운영하는 인플루언서 관련 프로젝트(인플루언서 범위의 프로젝트)일 수 있다. 즉, 프로그램형 프로젝트는 기존 드라마, 웹드라마, 예능, 교양 등 방송용 콘텐츠를 위주로 진행될 수 있다. 개인형 프로젝트는 1인 미디어, 소셜 미디어 등을 포함하는 콘텐츠의 주인공인 인플루언서 자체가 프로젝트 단위가 될 수 있다. 개인형 프로젝트는 본원에서 개인미디어 프로젝트 등으로 달리 지칭될 수 있다.Here, the program type project may be a broadcast-related project (a project in the scope of broadcasting) including drama, entertainment, and culture. A personal project can be a project related to an influencer who runs a personal channel (influencer-scoped project). That is, program-type projects may be conducted mainly on broadcasting contents such as existing dramas, web dramas, entertainment, and culture. In the personal project, the influencer itself, the main character of content including one-person media and social media, can be a project unit. A personal project may be otherwise referred to herein as a personal media project or the like.

서버(10)는 미디어콘텐츠의 기획 단계에서부터 제작, 유통 및 보급까지 모두 자체 제작으로 이루어진 본 플랫폼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서버(10) 및 본 시스템(100)에 의하면, 본원은 방송사의 방영권 구매와 타 OTT(Over The Top) 플랫폼에 판권 판매, 동영상 공유플랫폼에서의 저작권 관련 등 다양한 부문에서 수입을 창출할 수 있다. 여기서, OTT는 인터넷으로 영화, 드라마 등 각종 영상을 제공하는 서비스로서, 대표적인 OTT 업체로는 넷플릭스, 유튜브 등이 있을 수 있다.The server 10 can provide this platform, which is self-produced from the planning stage to production, distribution, and dissemination of media content. Accordingly, according to this server 10 and this system 100, the present application creates income in various fields such as purchase of broadcasting rights of broadcasting companies, sales of copyrights to other OTT (Over The Top) platforms, and copyrights in video sharing platforms. can do. Here, OTT is a service that provides various videos such as movies and dramas over the Internet, and representative OTT companies may include Netflix and YouTube.

본 시스템(100) 내에서 투자자(2')들은, 프로젝트를 분석하고 판단하여, 프로젝 트의 지분형 디지털 자산을 구매할 수 있으며, 락킹 기간이 풀리면, 본 플랫폼 내에서 스왑 형식으로 사고 팔 수 있다.Within this system 100, investors (2') can analyze and judge the project, purchase the equity-type digital asset of the project, and when the locking period is released, they can buy and sell it in the form of a swap within this platform.

본 플랫폼의 사용자들은 크게 3가지 종류의 부류로 구분될 수 있다. 본 플랫폼의 사용자들은 프로젝트 관련 참여자(1')와 투자자(2'), 그리고 일반 사용자들로 구분될 수 있다.Users of this platform can be largely classified into three types. Users of this platform can be divided into project-related participants (1'), investors (2'), and general users.

프로젝트의 참여자(1')들은 스텝과 인플루언서를 중심으로 본 플랫폼 내에서 구인구직, 캐스팅 등을 할 수 있다.Participants (1') of the project can search for jobs, cast, etc. within this platform centering on staff and influencers.

투자자(2')들은 본 플랫폼 내에서 참여형 합의 알고리즘(즉, PoM 멤버쉽 메커니즘(20)), 서버운영 등을 통해 보상을 얻을 있으며, 프로젝트를 스스로 판단하고 직접 그 지분 디지털 자산에 투자할 수 있다.Investors (2') can obtain rewards through participatory consensus algorithm (i.e., PoM membership mechanism (20)), server operation, etc. within this platform, and can judge the project by themselves and directly invest in the equity digital asset.

일반 사용자들 중 일예로 인플루언서들은 본 플랫폼을 엔터테인먼트(연 예기획사)로서 활용할 수 있다. 인플루언서들은 본 플랫폼을 통하여, 엔터테인먼트 스텝진(일예로, 매니저, 스타일리스트, 메이크업아티스트, 동영상편집자, 디자이너, 기획자, 작곡가, 안무가 등)과 AI 매칭 서비스를 통해 스마트컨트렉트로 법적으로 효력이 있는 전자계약서의 작성을 수행(진행)할 수 있다.For example, among general users, influencers can utilize this platform as entertainment (entertainment agency). Through this platform, influencers can create legally effective smart contracts through AI matching services with entertainment staff (eg, managers, stylists, makeup artists, video editors, designers, planners, composers, choreographers, etc.). You can perform (proceed) the preparation of electronic contracts.

서버(10)는 블록체인으로서 기 정의된 PoM(Proof of Merge) 멤버쉽 메커니즘(20)을 이용하여 본 플랫폼을 이용하는 사용자에게 보상을 지급할 수 있다. 여기서, 기 정의된 PoM 멤버쉽 메커니즘(20)은, 본원에서 제안하는 메커니즘(PoM 멤버쉽 메커니즘)을 의미할 수 있다. 기 정의된 PoM 멤버쉽 메커니즘은 본 플랫폼의 이용량 및 프로젝트량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디지털자산 발급량이 결정되도록 정의된 참여형 멤버쉽 알고리즘일 수 있다. PoM 멤버쉽 메커니즘(20)은 PoM 합의 알고리즘(21)을 포함할 수 있다.The server 10 may use a Proof of Merge (PoM) membership mechanism 20 predefined as a block chain to provide compensation to users who use the platform. Here, the predefined PoM membership mechanism 20 may mean a mechanism (PoM membership mechanism) propos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predefined PoM membership mechanism may be a participatory membership algorithm defined so that the amount of digital asset issuance is determined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amount of use and project amount of this platform. The PoM membership mechanism 20 may include a PoM consensus algorithm 21 .

PoM 멤버쉽 메커니즘(20)은 후술하는 설명에서 블록체인 기반 멤버쉽 관리 장치라 달리 지칭될 수 있다. 즉, 후술하여 설명하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멤버쉽 관리 장치는 PoM 멤버쉽 메커니즘(20)과 대응되는 것일 수 있다.The PoM membership mechanism 20 may be otherwise referred to as a blockchain-based membership management device in the description below. That is, a blockchain-based membership managem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described below may correspond to the PoM membership mechanism 20 .

본 플랫폼은 PoM(Proof of Merge) 합의 알고리즘(21)으로 되어 있을 수 있다. 본원에서 고려되는 PoM 합의 알고리즘(21)은 참여형 알고리즘으로서, 참여자, 플랫폼 이용량, 프로젝트량, 블록량, 서버의 확장에 영향을 받아 플랫폼 디지털 자산의 발행량이 결정되도록 설정(설계)되어 있을 수 있다. PoM 합의 알고리즘(21)은 본원에서 새롭게 제안하는 합의 알고리즘으로서, 사용자들의 활동으로 완성되는 새로운 PoM 합의 알고리즘을 의미할 수 있다.This platform may be a PoM (Proof of Merge) consensus algorithm 21. The PoM consensus algorithm 21 considered herein is a participatory algorithm, and it may be set (designed) so that the issuance amount of platform digital assets is determined by being influenced by participants, platform usage amount, project amount, block amount, and server expansion. . The PoM consensus algorithm 21 is a new consensus algorithm proposed by the present application, and may mean a new PoM consensus algorithm completed by user activities.

사용자들은 PoM 알고리즘에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합의 참여자와 단순히 플랫폼을 이용만 하는 일반 사용자로 구분될 수 있다. 합의 참여자는 얼마나 본 플랫폼에 많이 접속하고 활동로그를 많이 남기는가에 따라 멤버쉽 등급이 결정될 수 있으며, 등급별로 발행된 코인을 본 시스템(혹은 서버(10))에 의해 보상을 배분받는 형태를 취할 수 있다.Users can be divided into consensus participants who can exert influence on the PoM algorithm and general users who simply use the platform. Membership levels can be determined by how many consensus participants access the platform and leave a lot of activity logs, and rewards can be distributed by the system (or server 10) for coins issued for each level. .

즉, 본원은 PoM 합의 알고리즘(21)에 멤버쉽 제도를 도입함으로써 생성된 PoM 멤버쉽 메커니즘(20)을 이용할 수 있다. 서버(10)는 PoM 멤버쉽 메커니즘(20)이 적용된 본 플랫폼을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들에게 플랫폼 참여를 독려하고, 본 플랫폼에 대한 활동에 따라 보상을 제공할 수 있다.That is, the present application can use the PoM membership mechanism 20 created by introducing a membership system into the PoM consensus algorithm 21. The server 10 may encourage users to participate in the platform by providing the platform to which the PoM membership mechanism 20 is applied, and provide rewards according to activities on the platform.

PoM 멤버쉽 메커니즘(20)은 PoM 합의 알고리즘(21)을 이용해 블록체인 멤버쉽 서비스를 제공하는 메커니즘을 의미할 수 있다. PoM 멤버쉽 메커니즘(20)은 밈비의 블록체인 합의 알고리즘으로서, 활동에 기준점을 둔 PoM(Proof of Merge)일 수 있다. The PoM membership mechanism 20 may refer to a mechanism that provides a blockchain membership service using the PoM consensus algorithm 21. The PoM membership mechanism 20 is a blockchain consensus algorithm of Mimbi, and may be PoM (Proof of Merge) based on activity.

본원에서 이용되는 PoM 합의 알고리즘은 참여형 멤버쉽 알고리즘(즉, PoM 멤버쉽 메커니즘(20))으로서, 플랫폼 이용량, 프로젝트량, 블록량, 서버의 확장에 영향을 받아 플랫폼 디지털 자산의 발행량이 결정될 수 있다. PoM 멤버쉽 메커니즘(20)에 의하면, 서버(10)는 본 플랫폼(본 시스템, 본 서버)를 이용하는 모든 사용자에게 패시브인컴(Passive income) 수익을 주고, 참여형 멤버쉽으로서 밈비 플랫폼(본 플랫폼) 참여를 독려할 수 있다. 여기서, 패시브인컴은 내가 일을 하지 않아도 잠자는 시간에도 돈이 쌓이는 신종 불로소득을 의미할 수 있다.The PoM consensus algorithm used herein is a participatory membership algorithm (i.e., the PoM membership mechanism 20), and the issuance amount of platform digital assets can be determined by being affected by the platform usage amount, project amount, block amount, and server expansion. According to the PoM membership mechanism 20, the server 10 gives passive income to all users using this platform (this system, this server), and encourages participation in the Mimbi platform (this platform) as a participatory membership can do. Here, passive income can mean a new type of unearned income that accumulates money even while sleeping even if I do not work.

PoM 멤버쉽 메커니즘(20, PoM Membership Mechanism)은 일예로 도 5a에 도시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고, 멤버쉽 서비스의 제공시 일예로 도 5c 및 도 5d에 도시된 멤버쉽 기준을 토대로 디지털자산을 분배하여 보상을 지급할 수 있다. The PoM Membership Mechanism (20, PoM Membership Mechanism) may consist of the structure shown in FIG. 5a, for example, and reward by distributing digital assets based on the membership criteria shown in FIGS. 5c and 5d, for example, when providing membership service. can pay

PoM 멤버쉽 메커니즘(20)은 일예로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흐름과 같이 동작할 수 있으며, 이는 도 4(즉, 도 4a 내지 도 4c)를 함께 참조하여 보다 쉽게 이해될 수 있다. 서버(10)는 이러한 PoM 멤버쉽 메커니즘(20)의 동작 흐름을 기반으로 본 플랫폼을 이용하는 사용자에게 보상(리워드)을 지급할 수 있다.The PoM membership mechanism 20 may operate as shown in FIGS. 6 and 7 as an example, which may be more easily understood with reference to FIG. 4 (ie, FIGS. 4A to 4C). The server 10 may provide rewards (rewards) to users using the present platform based on the operational flow of the PoM membership mechanism 20 .

구체적으로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원(본 시스템, 본 서버, 본 플랫폼)은 사용자들의 활동으로 완성되는 새로운 PoM 합의 알고리즘으로서 PoM 멤버쉽 메커니즘(20, PoM Membership Mechanism)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PoM은 Proof of Merge를 의미할 수 있다.Specifically, referring to FIGS. 4 to 7, the present application (this system, this server, this platform) can provide a PoM Membership Mechanism (20) as a new PoM consensus algorithm completed by user activities. Here, PoM may mean Proof of Merge.

기존 블록체인 동영상, 미디어 제작 관련 플랫폼들을 사용하는 사용자들은 대부분 보상 획득을 목적으로 한다. 이에 반해, 본 플랫폼은 미디어콘텐츠와 제작환경에 초점을 맞추고 있기 때문에 PoM 멤버쉽 메커니즘(20)을 제공함으로써 보상 획득만을 위한 플랫폼 참여율을 낮추고자 한다.Users who use existing blockchain video and media production platforms are mostly for the purpose of obtaining compensation. On the other hand, since this platform focuses on media content and production environment, it is intended to lower the participation rate of the platform only for reward acquisition by providing a PoM membership mechanism (20).

본원은 본 플랫폼을 이용하고 참여하는 실제 사용자들에게 보다 적합한 보상을 제공하고자, 새로운 합의 알고리즘인 PoM(Proof of Merge)로서 PoM 합의 알고리즘(21)을 고안하였다. PoM 합의 알고리즘(21)은 플랫폼 사용도, 프로젝트 활동에 따라 보상을 지급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서버(10)는 이러한 PoM 합의 알고리즘(21)을 포함한 PoM 멤버쉽 메커니즘(20)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활동에 따라 보상을 지급할 수 있다.In order to provide more suitable compensation to actual users who use and participate in this platform, the present application has devised a PoM consensus algorithm 21 as a new consensus algorithm, PoM (Proof of Merge). The PoM consensus algorithm (21) means a method of paying rewards according to platform usage and project activity. The server 10 may provide a PoM membership mechanism 20 including the PoM consensus algorithm 21 to reward users according to their activities.

일예로, 서버(10)는 PoM 멤버쉽 메커니즘(20)을 통해 멤버쉽을 제공할 때, 도 5c 및 도 5d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일예로 본 플랫폼의 이용 시간, 워커시스템의 이용 내역, 후술하는 인플루언서 시스템의 이용 내역, 미디어 업로드 및 시청, 서버 기여도(풀노드/라이트노드), 프로젝트 투자내역 및 투표 활동 등을 멤버쉽 제공 기준으로 하여, 멤버쉽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서버(10)는 일예로 사용자가 본 서버(10)를 통해 수행한 프로젝트 활동, 프로젝트 투자, 플랫폼에 대한 활동(참여 활동), 노드 활동 등에 따라 플랫폼 점수를 제공하고, 이를 토대로 멤버쉽을 제공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server 10 provides membership through the PoM membership mechanism 20, as shown in FIGS. 5C and 5D, for example, the use time of the platform, the use history of the worker system, and Membership can be provided based on the usage history of the unseo system, media upload and viewing, server contribution (full node/light node), project investment history, and voting activities. That is, the server 10 provides, for example, a platform score according to the project activity, project investment, platform activity (participation activity), node activity, etc. performed by the user through the server 10, and provides membership based on this. can do.

또한, 서버(10)는 멤버쉽 기준(멤버쉽 지급 기준)에 대하여, 도 5c 및 도 5d에 도시된 것과 같이 사용자 비율(일예로 1등급 5%, 2등급 10%, 3등급 20%, 4등급 40%)에 따라 해당 사용자들에게 디지털자산을 분배(일예로 18.75%)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들에 대한 디지털자산의 분배율(디지털자산 분배율)은 미리 설정된 사용자 비율의 기준에 따라 기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server 10 has a user ratio (for example, 1st grade 5%, 2nd grade 10%, 3rd grade 20%, 4th grade 40 %), digital assets can be distributed to the corresponding users (eg 18.75%). At this time, the distribution ratio of digital assets to users (digital asset distribution ratio) may be preset according to a standard of a user ratio set in advance.

일예로,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서버(10)는 PoM 멤버쉽 메커니즘(20)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보상을 지급(혹은 멤버쉽 서비스를 제공)하는 보상 지급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server 10 may include a reward payment unit (not shown) that provides a reward to the user (or provides a membership service) using the PoM membership mechanism 20 .

이때, 본원에서 디지털자산 분배, NFT 지급(분배), 수익 분배, 보상 지급, 멤버쉽 지급 등의 수행은 서버(10) 내 보상 지급부(미도시), 제2 처리부(12) 및 제5 처리부(15)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으며, 특정 구성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으로만 한정되지는 않는다. At this time, the digital asset distribution, NFT payment (distribution), profit distribution, reward payment, membership payment, etc. are perform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by the reward payment unit (not shown) in the server 10, the second processing unit 12, and the fifth processing unit ( 15), and may be made by at least one, and is not limited to being made by a specific configuration.

보상 지급부(미도시)는 PoM 멤버쉽 메커니즘(20)을 이용함으로써, 일예로 서버(10)에 의해 제공되는 본 플랫폼을 이용하는 복수의 사용자의 플랫폼 이용 시간을 분석하여, 복수의 사용자 중 상위 5%에 해당하는 사용자들(A 등급 사용자들)에게 25%의 디지털자산 분배율에 해당하는 디지털자산을 보상으로서 지급할 수 있다.The compensation payment unit (not shown) uses the PoM membership mechanism 20, for example, by analyzing the platform use time of a plurality of users using the platform provided by the server 10, and the top 5% of the plurality of users. Digital assets corresponding to a 25% digital asset distribution rate can be paid as compensation to users (class A users) who fall under

다른 일예로, PoM 멤버쉽 메커니즘(20)을 이용하여 보상 지급부(미도시)는 본 플랫폼을 이용하는 복수의 사용자의 플랫폼 이용 시간을 분석하여, 복수의 사용자 중 상위 5% 초과 15% 이하에 해당하는 사용자들(B 등급 사용자들)에게 25%의 디지털자산 분배율에 해당하는 디지털자산을 보상으로서 지급할 수 있다. 이때, PoM 멤버쉽 메커니즘(20)에는, 멤버쉽 등급별로 분배되는 디지털 자산은 같도록 설정되어 있는 반면, 등급에 따라 분배되는 수익률은 달라지도록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PoM 멤버쉽 메커니즘(20)은 사용자들의 자발적 참여를 위한 멤버쉽 제도라 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by using the PoM membership mechanism 20, the compensation payment unit (not shown) analyzes the platform use time of a plurality of users using this platform, and the top 5% and 15% or less of the plurality of users Digital assets corresponding to a 25% distribution rate of digital assets can be paid to users (class B users) as compensation. At this time, in the PoM membership mechanism 20, the digital assets distributed according to the membership level may be set to be the same, while the rate of return distributed according to the level may be set to be different. This PoM membership mechanism 20 can be referred to as a membership system for voluntary participation of users.

기존의 타 플랫폼에서는 대부분 PoW(Proof of Work)나 PoS(Proof of Stake) 합의 알고리즘을 사용하기 때문에, 컴퓨팅 파워와 지분증명, 그래픽 등 환경 문제나 자산 소유 시 디지털자산 급락에 따른 리스크를 감수해야 하는 단점이 있었다.Since most of the other existing platforms use PoW (Proof of Work) or PoS (Proof of Stake) consensus algorithm, it is necessary to take risks due to a sharp drop in digital assets when owning assets or environmental problems such as computing power, proof of stake, and graphics. There were downsides.

구체적으로, 암호화폐 채굴방식 중 하나인 작업증명(POW: Proof of Work)은, 모든 참여자가 블록을 나눠 가진 후 블록 내에 들어 있는 암호를 풀면(채굴하면) 암호화폐로 일정한 보상을 주는 방식으로, 암호를 많이 해독할수록 많은 암호화폐를 얻을 수 있다. 즉, 이 과정은 참여자들이 블록에 담긴 암호를 해독하고 검증해 새로운 블록을 인정받게 하는 절차이다. 암호를 너무 빨리 풀 경우 과도한 보상이 이뤄지기 때문에 참여자가 많아지면 암호의 연산 난이도가 높아진다. 비트코인을 비롯해 라이트코인, 이더리움 등이 이 방식을 채택해 적용하고 있다. 그러나 비트코인이 단순 거래가 아닌 투기의 대상으로 변질되면서 고성능의 장비를 통해 채굴하는 사례가 증가했다. 이로 인해 대형 채굴자들이 운영 권한을 독점할 수 있고 많은 전기가 소모된다는 비판이 나왔고, 더 안정적인 증명 방식의 필요성이 대두되엇다. 이에 따라 POS 등이 등장하였다.Specifically, Proof of Work (POW), one of the cryptocurrency mining methods, is a method in which a certain amount of cryptocurrency is rewarded when all participants share a block and then solve (mine) the code contained in the block. The more passwords you crack, the more cryptocurrencies you get. In other words, this process is a process in which participants decrypt and verify the encryption contained in the block to allow new blocks to be recognized. If the password is solved too quickly, excessive compensation is made, so the computational difficulty of the password increases as the number of participants increases. Bitcoin, Litecoin, Ethereum, etc. adopt and apply this method. However, as Bitcoin was transformed into an object of speculation rather than a simple transaction, cases of mining through high-performance equipment increased. This has led to criticism that large miners can monopolize operational rights and consume a lot of electricity, and the need for a more stable proof method has emerged. Accordingly, POS and the like appeared.

암호화폐 채굴방식 중 또 다른 하나인 지분증명(POS: Proof-of-Stake)은, 시중의 암호화폐의 거래 빈도, 양 등을 고려해 암호를 풀지 않고 보상을 받을 수 있는 방식이다. 먼저 POS는 보유하고 있는 암호화폐 지분이 많을수록 많은 보상을 받는 방식이다. 즉, 채굴량에 보유 지분을 곱해 암호화폐를 지급받는다. 이는 피어코인(PeerCoin)에 처음 적용됐으며, 네오(NEO), 스트라티스(Stratis) 등도 이 방식을 활용하고 있다. Proof-of-Stake (POS), another cryptocurrency mining method, is a method that allows you to receive rewards without cracking the cryptocurrency, considering the transaction frequency and amount of cryptocurrency on the market. First of all, POS is a way to receive more rewards the more cryptocurrency shares you own. In other words, cryptocurrency is paid by multiplying the amount of mining by the stake. This was first applied to PeerCoin, and NEO and Stratis are also using this method.

그러나, 앞서 말한 바와 같이, PoW(Proof of Work)나 PoS(Proof of Stake) 합의 알고리즘을 사용하게 되면, 컴퓨팅 파워와 지분증명, 그래픽 등 환경 문제나 자산 소유 시 디지털자산 급락에 따른 리스크를 감수해야 하는 단점이 있었다.However, as mentioned above, if PoW (Proof of Work) or PoS (Proof of Stake) consensus algorithm is used, environmental issues such as computing power, proof of stake, graphics, etc. There was a downside to

이에 반해, 본 플랫폼에서는 본원에서 새롭게 제안하는 PoM 합의 알고리즘(21)을 사용(특히, PoM 합의 알고리즘(21)을 포함하는 PoM 멤버쉽 메커니즘(20)을 사용)하기 때문에, 사용자수, 프로젝트 개수, 서버 증가 등의 기준에 의해 디지털자산 발급량이 결정되므로, 본원은 디지털자산의 급락에 대한 리스크를 감소시키고, 컴퓨팅 파워 사용량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기존의 환경 문제점을 개선시킬 수 있다.On the other hand, since this platform uses the PoM consensus algorithm 21 newly proposed in this paper (in particular, the PoM membership mechanism 20 including the PoM consensus algorithm 21), the number of users, number of projects, and servers Since the issue amount of digital assets is determined by criteria such as increase, the present application can improve existing environmental problems in that it can reduce the risk of a sharp decline in digital assets and minimize computing power usage.

즉, 본원에서 제안하는 PoM 합의 알고리즘(21)(내지 이를 포함하는 PoM 멤버쉽 메커니즘)은, 본원만의(밈비만의) 합리적이고 경제적인 블록체인 멤버쉽 합의 알고리즘이라 할 수 있다.That is, the PoM consensus algorithm 21 (or the PoM membership mechanism including it) proposed herein can be said to be a reasonable and economical blockchain membership consensus algorithm unique to the present application (only Mimbi).

다시 말하자면, PoM 멤버쉽 메커니즘(20)의 구체적인 동작 흐름은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사항을 참조하여 보다 쉽게 이해될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specific operation flow of the PoM membership mechanism 20 can be more easily understood with reference to the matters shown in FIGS. 4 to 7 .

이때, 도 6 및 도 7에서 각 표시 아이콘/단어가 의미하는 바는 다음과 같다. 도 6 및 도 7에서, 노드 사용자는 본 서버(10)를 이용하는 사용자로서, 특히 복수의 그룹(노드 그룹) 중 어느 한 그룹에 속한 사용자를 의미할 수 있다. 엔진은 PoM 멤버쉽 메커니즘(20) 내 PoM 멤버쉽 관리 엔진을 의미하고, U는 유저인터페이스로서 사용자 입력을 의미하고, M은 PoM 멤버쉽 메커니즘(20)을 의미한다. 1은 PoM 합의 알고리즘(21) 내 1차 합의 모듈을 의미하고, 2는 PoM 합의 알고리즘(21) 내 2차 합의 모듈을 의미한다. 또한, L은 PoM 멤버쉽 메커니즘(20) 내 멤버쉽 레벨링(leveling) 모듈을 의미하고, c는 PoM 멤버쉽 메커니즘(20) 내 밈비 코인 공급 모듈을 의미할 수 있다. Ex 는 외부 블록체인(외부 퍼블릭 블록체인)을 의미할 수 있다. Es 는 엔진 스타트 조건을 의미할 수 있다. 즉, Es는 입력값이 주어졌을 때 엔진(PoM 멤버쉽 관리 엔진)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At this time, the meaning of each display icon/word in FIGS. 6 and 7 is as follows. 6 and 7, a node user is a user using the present server 10, and may mean a user belonging to any one group among a plurality of groups (node groups). The engine means the PoM membership management engine in the PoM membership mechanism 20, U means user input as a user interface, and M means the PoM membership mechanism 20. 1 means the first consensus module in the PoM consensus algorithm 21, and 2 means the second consensus module in the PoM consensus algorithm 21. In addition, L may mean a membership leveling module within the PoM membership mechanism 20, and c may mean a MIMB coin supply module within the PoM membership mechanism 20. Ex can mean an external blockchain (external public blockchain). Es may mean an engine start condition. That is, Es can activate an engine (PoM membership management engine) when an input value is given.

도4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PoM 멤버쉽 메커니즘(20)인 블록체인 기반 멤버쉽 관리 장치는 멤버쉽 관리 엔진부, 멤버쉽 레벨링부, 디지털자산 공급부, 및 합의 수행부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4 to 7 , the PoM membership mechanism 20, a blockchain-based membership management device, may include a membership management engine unit, a membership leveling unit, a digital asset supply unit, and an agreement execution unit.

이때, 블록체인 기반 멤버쉽 관리 장치(즉, PoM 멤버쉽 메커니즘(20)) 내 각 구성들을 도 5a의 구성과 대비해 보면 다음과 같이 대응될 수 있다. 일예로 도 5a에서, PoM 멤버쉽 관리 엔진은 멤버쉽 관리 엔진부와 대응되고, 멤버쉽 LEVELING 모듈은 멤버쉽 레벨링부와 대응되고, 멤버 코인 공급 모듈은 디지털자산 공급부와 대응되고, PoM 합의 알고리즘(21)은 합의 수행부와 대응될 수 있다. 달리 표현해, 합의 수행부는 PoM 합의 알고리즘(21)을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if each component in the blockchain-based membership management device (ie, the PoM membership mechanism 20) is compared with the configuration of FIG. 5A, it may correspond as follows. For example, in FIG. 5A, the PoM membership management engine corresponds to the membership management engine unit, the membership LEVELING module corresponds to the membership leveling unit, the member coin supply module corresponds to the digital asset supply unit, and the PoM consensus algorithm 21 corresponds to the consensus It may correspond to the performing unit. In other words, the consensus performing unit may include the PoM consensus algorithm 21 .

멤버쉽 관리 엔진부(즉, PoM 멤버쉽 관리 엔진)는 서버(10)에 의해 제공되는 미디어 제작 플랫폼에 대한 사용자의 활동 이력을 기반으로 하고, 합의 수행을 통해 사용자에게 부여되는 멤버쉽 정보를 블록체인에 기록하고 관리할 수 있다.The membership management engine unit (i.e., the PoM membership management engine) is based on the user's activity history on the media production platform provided by the server 10, and records the membership information granted to the user through consensus execution in the blockchain. and can be managed.

여기서, 미디어 제작 플랫폼은 프로젝트와 관련하여 미디어콘텐츠를 제작하고 관리하며 블록체인 기반 미디어 제작 플랫폼(즉, 본 서버에 의해 제공되는 플랫폼, 본 플랫폼)을 의미할 수 있다.Here, the media production platform may refer to a blockchain-based media production platform (ie, a platform provided by this server, this platform) that produces and manages media content in relation to a project.

멤버쉽 레벨링부(즉, 멤버쉽 LEVELING 모듈)는 본 플랫폼을 이용하는 사용자의 활동 이력에 따라 부여되는 플랫폼 점수(플랫폼 점수 = 프로젝트 활동 점수, 프로젝트 투자 점수, 플랫폼 활동 점수, 노드 활동 점수)를 기반으로 플랫폼을 이용하는 사용자(노드 사용자)의 멤버쉽 등급을 산정하고 관리할 수 있다. 본원에서 플랫폼 점수는 활동 점수라 달리 지칭될 수 있다.The membership leveling unit (i.e., the membership LEVELING module) builds the platform based on platform points (platform points = project activity points, project investment points, platform activity points, node activity points) given according to the user's activity history using this platform. Membership levels of users (node users) can be calculated and managed. A platform score may be alternatively referred to herein as an activity score.

여기서, 활동 이력은 플랫폼 이용량, 프로젝트량, 사용자 수, 서버의 확장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활동 이력을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활동 이력에 따라 부여되는 플랫폼 점수(활동 점수)는 일예로 도 5d에 도시된 것과 같은 프로젝트 활동 점수, 프로젝트 투자 점수, 플랫폼 활동 점수, 노드 활동 점수 등이 포함될 수 있다.Here, the activity history may refer to various activity histories including the amount of platform use, the amount of projects, the number of users, and the expansion of servers. Platform points (activity points) given according to the activity history may include, for example, project activity points, project investment points, platform activity points, and node activity points as shown in FIG. 5D .

멤버쉽 레벨링부(즉, 멤버쉽 LEVELING 모듈)는 기 정의된 멤버쉽 정책(멤버쉽 관리 정책)에 따라 각 사용자의 멤버쉽 등급을 산정할 수 있다. 여기서, 멤버쉽 정책(Memvership Policy)은 거버넌스 투표에 의해 변경 가능한 정책일 수 있다.The membership leveling unit (that is, the membership LEVELING module) may calculate the membership level of each user according to a predefined membership policy (membership management policy). Here, the membership policy may be a policy changeable by governance voting.

멤버쉽 관리 엔진부(즉, PoM 멤버쉽 관리 엔진)는 멤버쉽 라벨링부에서 산정된 사용자의 멤버쉽 등급 정보와 멤버쉽 등급 산정 시점의 멤버쉽 정책 정보를 멤버쉽 정보로서 블록체인에 기록하고 관리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한 사용자에 대한 멤버쉽 등급의 산정 근거는 해당 시점의 멤버쉽 정책 정보와 함께 멤버쉽 정보로서 블록체인에 기록될 수 있다.The membership management engine unit (ie, PoM membership management engine) can record and manage the user's membership level information calculated in the membership labeling unit and the membership policy information at the time of membership level calculation as membership information in the blockchain. According to this, the basis for calculating the membership level for one user can be recorded in the block chain as membership information together with membership policy information at that time.

디지털자산 공급부(즉, 멤버 코인 공급 모듈)는 플랫폼의 상태 변화에 따라 디지털자산 발급량(발행량)을 계산하고 디지털자산을 발행할 수 있다. 여기서, 플랫폼의 상태 변화는 사용자 증가(사용자 수 증가량), 프로젝트 증가(프로젝트 증가량) 등을 의미할 수 있다. 디지털자산은 코인을 의미할 수 있다.The digital asset supply unit (ie, member coin supply module) can calculate the amount of digital assets issued (issuance amount) and issue digital assets according to changes in the status of the platform. Here, the change in the status of the platform may mean an increase in users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users), an increase in a project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projects), and the like. Digital assets may mean coins.

플랫폼의 상태 변화량에 비례하도록 디지털자산 발급량이 결정될 수 있다. 일예로 플랫폼을 이용하는 사용자 수가 증가할수록 디지털자산의 발급량은 증가될 수 있다. 다른 일예로, 플랫폼을 이용하는 사용자 수가 제1 범위(일예로, 100명 이상 500명 미만) 만큼 증가한 경우, 디지털자산의 발급량은 제1 값(300 코인)으로 발행되고, 플랫폼을 이용하는 사용자 수가 제1 범위보다 큰 제2 범위(일예로, 500명 이상 1000명 미만)만큼 증가한 경우 디지털자산의 발행량은 제1 값보다 큰 제2 값(일예로, 600 코인)으로 발행될 수 있다.The amount of issuance of digital assets can be determined in proportion to the amount of change in the status of the platform. For example, as the number of users using the platform increases, the amount of issuance of digital assets may increase. As another example, if the number of users using the platform increases by a first range (eg, 100 or more and less than 500), the issued amount of digital assets is issued at the first value (300 coins), and the number of users using the platform is When increased by a second range (eg, 500 or more and less than 1,000) that is greater than 1 range, the issued amount of digital assets may be issued at a second value (eg, 600 coins) greater than the first value.

멤버쉽 레벨링부(즉, 멤버쉽 LEVELING 모듈)는 사용자에 대하여 산정된 멤버쉽 등급을 기반으로 디지털자산 공급부에서 발행된 디지털자산을 리워드로서 사용자에게 분배할 수 있다.The membership leveling unit (ie, membership LEVELING module) may distribute digital assets issued by the digital asset supply unit to users as rewards based on the membership level calculated for the user.

합의 수행부(즉, PoM 합의 알고리즘(21))는 플랫폼에서 트랜잭션이 발생된 경우, 트랜잭션의 검증을 수행하는 검증 노드(검증자 단말)를 선출하고 선출된 검증 노드를 대상으로 트랜젝션의 유효성 검증을 위한 합의를 수행할 수 있다. 트랜잭션은 처리되는 특정한 업무, 특정한 거래. 또 그 결과 얻어지는 데이터 기록을 의미할 수 있다. 플랫폼에서의 트랜잭션의 발생은 일예로 합의 수행부가 감지할 수도 있고, 다른 일예로 멤버쉽 관리 엔진부 내에 별도로 마련된 감지부가 감지할 수도 있다. When a transaction occurs on the platform, the consensus performing unit (i.e., the PoM consensus algorithm 21) elects a verification node (verifier terminal) that performs transaction verification and validates the transaction for the selected verification node. agreement can be made for A transaction is a specific task being processed, a specific transaction. In addition, it may mean a data record obtained as a result. The occurrence of a transaction on the platform may be detected, for example, by an agreement performing unit, or, as another example, by a sensing unit separately provided in the membership management engine unit.

합의 수행부(즉, PoM 합의 알고리즘(21))는 복수의 그룹(노드 그룹)에 속한 노드들 중 미리 설정된 수의 노드를 랜덤하게 검증 노드로서 선출하고, 선출된 검증 노드에 바인딩되어 있는 사용자들의 권한 증명(투표 권한 증명)을 기반으로 투표를 수행함으로써 합의를 수행할 수 있다. 즉, 합의 과정에서 투표가 이루어질 수 있다.The consensus performing unit (i.e., the PoM consensus algorithm 21) randomly selects a preset number of nodes among nodes belonging to a plurality of groups (node groups) as verification nodes, and selects users bound to the selected verification nodes. Consensus can be achieved by voting based on proof of authority (proof of voting authority). That is, voting may be performed in the consensus process.

여기서, 복수의 그룹(노드 그룹)은 도 5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일예로 제1 그룹인 개미(플랫폼 활용 목적), 제2 그룹인 고래(프로젝트 투자 목적), 제3 그룹인 밈비&밈버(중립 Zone)가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그룹은 소속된 프로젝트별로 생성될 수 있고, 또는 사용자 타입(목적)에 따라 그룹화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달리 말해, 복수의 그룹은 소속 그룹(참여 그룹)마다 생성될 수 있으며, 이때 소속 그룹(참여 그룹)은 프로젝트나 사용자 타입에 따라 형성(구분)되는 그룹일 수 있다.Here, as shown in FIG. 5B, the plurality of groups (node groups) include, for example, the first group of ants (platform utilization purpose), the second group of whales (project investment purpose), and the third group of Mimbi & Mimber (neutral). Zone) may be included. The plurality of groups may be created for each project to which they belong, or may be formed by being grouped according to user types (purposes). In other words, a plurality of groups may be created for each belonging group (participation group), and in this case, the belonging group (participation group) may be a group formed (classified) according to a project or user type.

합의 수행부에서, 검증 노드를 선출함에 있어서, 본 플랫폼에 대한 활동이가 높은 노드일수록(즉, 활동이 높아 멤버쉽 등급이 상위 등급으로 산정된 노드일수록) 검증 노드로의 선출 가능성이 높게 부여될 수 있다. 즉, 본 플랫폼을 이용하는 사용자들(노드들)은 플랫폼 활동이 높을수록 더 많은 비중을 갖게 되어 이와 비례적으로 검증 노드(검증자)로서 선출될 가능성이 커질 수 있다.In electing a verification node in the consensus performing unit, the higher the activity on this platform, the higher the probability of being elected as a verification node. there is. That is, the users (nodes) using this platform have a higher weight as the platform activity increases, and the possibility of being elected as a verification node (verifier) may increase proportionally.

본 서버(10)는 블록체인 기반 멤버쉽 관리 장치(즉, PoM 멤버쉽 메커니즘(20))의 제공을 통해, 사용자들의 활발한 참여를 유도하며, 사용자의 플랫폼에서의 활동 및 기여도에 따라 차등된 멤버쉽을 운영할 수 있다. 멤버쉽에서 등급은 각 참여 그룹을 대표하여 트랜잭션을 유효성을 검증하기 위한 검증인(Validators)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This server 10 induces active participation of users through the provision of a blockchain-based membership management device (ie, PoM membership mechanism 20), and operates differentiated membership according to the user's activity and contribution on the platform. can do. In membership, levels can serve as validators to validate transactions on behalf of each participating group.

합의 수행부(PoM 합의 알고리즘(21))는 검증 노드의 선출을 통해 검증인 집합(validator set)(즉, 검증 노드 집합)을 생성하고, 생성된 검증인 집합에 포함된 노드들(검증 노드들)을 대상으로 합의를 수행할 수 있다. 검증인 집합은 가중 round-robin 방식으로 번갈아 가면서 선출이 이루어질 수 있다.The consensus performing unit (PoM consensus algorithm 21) generates a validator set (ie, a validator set) through the election of validator nodes, and the nodes included in the created validator set (validator nodes) ) can be negotiated. The set of validators can be elected alternately in a weighted round-robin manner.

합의 수행부(즉, PoM 합의 알고리즘(21))는 합의로서, 1차 합의 모듈을 통한 1차 합의 및 2차 합의 모듈을 통한 2차 합의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합의 수행부는 후술하여 설명하는 활동에 따른 합의 및 거버넌스 투표 기반 합의를 수행할 수 있다.The consensus performing unit (ie, the PoM consensus algorithm 21) may perform a first agreement through a first agreement module and a second agreement through a second agreement module as an agreement. In addition, the consensus performing unit may perform consensus based on consensus and governance voting based on activities described below.

멤버쉽 관리 엔진부(즉, PoM 멤버쉽 관리 엔진)는 합의 수행부를 통해 이루어진 합의의 수행에 의한 합의 결과를 기반으로, 검증 노드에 의해 유효성이 검증된 트랜잭션들만을 블록화하여 블록체인에 기록하고 관리할 수 있다. 트랜잭션은 멤버쉽 정보 관련 안건에 대한 트랜잭션을 포함할 수 있다.The membership management engine unit (i.e., PoM membership management engine) can record and manage only the transactions validated by the verification node in the block chain based on the consensus result obtained through the consensus execution unit. there is. The transaction may include a transaction on an agenda related to membership information.

플랫폼에서 발생되는 트랜잭션은 복수 유형의 안건에 대한 트랜잭션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 유형의 안건에는 프로젝트 관련 안건, 멤버쉽 관련 안건, 코인 발행 관련 안건 및 정책 관련 안건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Transactions generated on the platform may include transactions for multiple types of agenda. Here, the plurality of types of agendas may include at least one of project-related agendas, membership-related agendas, coin issuance-related agendas, and policy-related agendas.

예시적으로, 프로젝트 관련 안건은 기획서 제출(기획 응모)이 이루어지면 해당 기획서에 대응하는 프로젝트를 진행할지를 결정하는 안건 등일 수 있다. 멤버쉽 관련 안건은 멤버쉽 레벨링 합의 요청에 대한 안건 등일 수 있다. 코인 발행 관련 안건은 코인 발행 합의 요청, 코인 발행 요청 등에 대한 안건 등일 수 있다. 정책 관련 안건은 멤버쉽 정책(멤버쉽 관리 정책)의 변경과 관련된 안건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예시적으로 멤버쉽 코인 공급 정책, 멤버쉽 레벨 분배 정책, 프로젝트/플랫폼 합의 정책 등의 변경과 관련된 안건을 포함할 수 있다.Exemplarily, the project-related agenda may be an agenda for determining whether to proceed with a project corresponding to the proposal when a proposal is submitted (plan application). The membership-related agenda may be an agenda for requesting a membership leveling agreement. The coin issuance-related agenda may include a request for a coin issuance agreement, a request for coin issuance, and the like. Policy-related agendas refer to agendas related to changes in membership policies (membership management policies), and may include, for example, items related to changes in membership coin supply policies, membership level distribution policies, project/platform consensus policies, etc. .

즉, 합의 수행부는 복수 유형의 안건에 대한 트랜잭션에 대하여, 선출된 검증 노드를 통해 합의를 수행하여 합의 결과를 도출할 수 있으며, 도출된 합의 결과를 멤버쉽 관리 엔진부로 제공할 수 있다. 멤버쉽 관리 엔진부(즉, PoM 멤버쉽 관리 엔진)는 복수 유형의 안건에 대한 트랜잭션에 대하여, 합의 수행부로부터 전달받은 합의 결과(즉, 합의 관련 정보, PoM 합의 정보)를 기반으로 검증 노드에 의해 유효성이 검증된 트랜잭션들만을 블록화하여 블록체인에 기록하고 관리할 수 있다. That is, the consensus performing unit may derive an agreement result by performing an agreement on transactions for multiple types of agendas through the selected verification node, and may provide the derived agreement result to the membership management engine unit. The membership management engine unit (ie, PoM membership management engine) is validated by the verification node based on the consensus result (ie, consensus-related information, PoM consensus information) delivered from the consensus execution unit for transactions on multiple types of agendas. Only these verified transactions can be recorded and managed in the block chain by blocking them.

멤버쉽 관리 엔진부(즉, PoM 멤버쉽 관리 엔진)는 합의 수행부(PoM 합의 알고리즘(21))을 통해 도출된 합의 결과를 본 서버(10)의 내부 블록체인의 블록에 Hash값으로 기록(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으며, 나아가 내부 블록체인의 블록에 기록된 Hash값을 한번 더 외부 블록체인(특히, 외부 퍼블릭 블록체인)에 기록(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The membership management engine unit (i.e., the PoM membership management engine) records (stores) the consensus result derived through the consensus execution unit (PoM consensus algorithm 21) as a hash value in a block of the internal block chain of this server 10. Furthermore, the hash value recorded in the block of the internal blockchain can be recorded (stored) and managed once more in the external blockchain (especially the external public blockchain).

본 플랫폼을 이용하는 사용자들은 PoM 합의 알고리즘(21)에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합의 참여자와 단순히 플랫폼을 이용만 하는 일반 사용자로 구분될 수 있다. 여기서, 플랫폼을 이용만 하는 일반 사용자는 예시적으로 도 5b에서 밈버를 의미할 수 있다. 합의 참여자는 일예로 밈버를 제외한 사용자로서 스태프, 출연진, 투자자, 광고, 기업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합의 참여자는 얼마나 플랫폼에 많이 접속하고 활동 로그(활동 이력, 플랫폼 활동 이력)을 많이 남기는가에 따라서 그들의 멤버쉽 등급이 결정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등급(멤버쉽 등급)별로 발행된 코인(디지털자산)을 블록체인 기반 멤버쉽 관리 장치(즉, PoM 멤버쉽 메커니즘(20))에 의해 보상(리워드)을 배분받을 수 있다.Users using this platform can be divided into consensus participants who can exert influence on the PoM consensus algorithm 21 and general users who simply use the platform. Here, a general user who only uses the platform may exemplarily mean a member in FIG. 5B. Agreement participants are, for example, users other than members, and may include staff, cast members, investors, advertisements, and companies. Consensus participants can determine their membership level depending on how many times they access the platform and leave a lot of activity logs (activity history, platform activity history), and coins (digital assets) issued for each user level (membership level) Compensation (reward) may be distributed by the underlying membership management device (ie, the PoM membership mechanism 20).

즉, 블록체인 기반 멤버쉽 관리 장치(즉, PoM 멤버쉽 메커니즘(20))는 사용자의 활동(활동 이력)를 기준으로 멤버쉽 제도를 운영하며, 디지털자산 공급부(멤버 코인 공급 모듈)에 의해 발행된 디지털자산(코인)을 사용자들이 자신의 멤버쉽 등급별로 주기적으로 배분받을 수 있도록 제공할 수 있다.That is, the blockchain-based membership management device (i.e., the PoM membership mechanism 20) operates a membership system based on user activity (activity history), and digital assets issued by the digital asset supply unit (member coin supply module). (coins) can be provided so that users can be periodically distributed according to their membership level.

본원에서 고려되는 밈비의 PoM 멤버쉽 메커니즘(20, PoM Membership Mechanism)은 사용자들의 다양한 플랫폼 활동 이력을 기준으로 PoM 합의 알고리즘(21)를 통해 Proof of Merge(PoM) 합의 과정을 거쳐 블록체인 멤버쉽을 통합 및 관리하는 메커니즘으로 정의될 수 있다. PoM 멤버쉽 메커니즘(20)은 사용자들에 의한 플랫폼 활성도에 따라 리워드(보상, 포인트, 점수)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본원은 지속적으로 성장하는 플랫폼을 제공하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Mimbi's PoM Membership Mechanism (20, PoM Membership Mechanism) considered in this paper is based on the various platform activity histories of users, through the PoM consensus algorithm (21) through the Proof of Merge (PoM) consensus process to integrate and It can be defined as a mechanism to manage. The PoM membership mechanism 20 may provide rewards (compensation, points, points) according to platform activity by users, and through this, the present application aims to provide a continuously growing platform.

PoM 멤버쉽 메커니즘(20)은(특히, PoM 멤버쉽 메커니즘(20) 내 PoM 멤버쉽 관리 엔진)은 플랫폼 이용량, 프로젝트량, 사용자 수, 서버의 확장 등과 같은 다양한 활동 이력을 정량적으로 측정하고 수집하여 4 단계의 등급(Grade)(즉, 1등급, 2등급, 3등급 및 4등급)으로 멤버쉽을 도출할 수 있다. 또한, PoM 멤버쉽 메커니즘(20) 내 PoM 멤버쉽 관리 엔진은 밈비(본 플랫폼, 본 서버)의 사용자 수 혹은 프로젝트 증가량에 따라 밈비 코인 발행량을 계산하고 추가 코인을 발행하는 중심을 담당할 수 있다. 이때, 발행된 코인은 밈비 멤버쉽 정책(MYMB Membership Policy)에 의해 사용자 활동에 따라 리워드로서 분배될 수 있다. 즉, PoM 멤버쉽 관리 엔진은 코인을 발행하며, 밈비 멤버쉽 정책을 기반으로 발행된 코인을 사용자의 활동에 따라 리워드로서 사용자들에게 분배할 수 있다.The PoM membership mechanism 20 (in particular, the PoM membership management engine within the PoM membership mechanism 20) quantitatively measures and collects various activity histories such as platform usage, project volume, number of users, server expansion, etc. Membership can be derived by grade (ie, 1st grade, 2nd grade, 3rd grade and 4th grade). In addition, the PoM membership management engine within the PoM membership mechanism 20 can be in charge of calculating the amount of Mimbi coin issuance and issuing additional coins according to the number of users of Mimbi (this platform, this server) or the project increase. At this time, the issued coin can be distributed as a reward according to user activity according to the MYMB Membership Policy. That is, the PoM membership management engine issues coins, and the issued coins based on the Mimbi membership policy can be distributed to users as rewards according to user activities.

Proof of Merge(PoM)은 사용자(직접) 합의와 시스템(간접) 합의를 노드를 통해 정보를 투명하게 관리할 수 있다. Proof of Merge(PoM)은 PoM 합의 알고리즘(21)을 의미할 수 있다. PoM 합의 알고리즘(21)에 의해 밈비 시스템 기능과 멤버쉽 관리, 프로젝트 관련 건 등에 대한 합의 과정이 완료되면, PoM 합의 알고리즘(21)에서 합의 과정 완료에 의해 생성된 합의 관련 정보가 밈비 멤버쉽 정책(Membership Policy)으로 통합될 수 있다. Proof of Merge (PoM) can transparently manage information through user (direct) consensus and system (indirect) consensus nodes. Proof of Merge (PoM) may refer to the PoM consensus algorithm 21. When the PoM consensus algorithm (21) completes the consensus process on the Mimbi system functions, membership management, and project-related issues, the consensus-related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completion of the consensus process in the PoM consensus algorithm (21) is transferred to the Mimbi membership policy (Membership Policy). ) can be incorporated.

이때, 합의를 위한 그룹은 개미(플랫폼 활용 목적), 고래(프로젝트 투자 목적), 및 밈비&밈버(중립 Zone)를 포함한 복수의 그룹(노드 그룹)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서버(10)는 PoM 합의 알고리즘(21)에서 합의 과정의 수행을 위해, 합의를 위한 그룹(노드 그룹)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생성된 합의를 위한 그룹(노드 그룹)에는 복수의 그룹으로서, 제1 그룹인 개미(플랫폼 활용 목적), 제2 그룹인 고래(프로젝트 투자 목적), 제3 그룹인 밈비&밈버(중립 Zone)가 포함될 수 있다. 이들 그룹들에 의해 합의 과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At this time, the group for consensus can be composed of a plurality of groups (node groups) including ants (for the purpose of using the platform), whales (for the purpose of project investment), and Mimbi & Mimber (for the neutral zone). That is, the server 10 may create a group (node group) for consensus in order to perform a consensus process in the PoM consensus algorithm 21. At this time, there are a plurality of groups in the group (node group) for the created consensus, the first group is ants (for the purpose of using the platform), the second group is the whale (for the purpose of project investment), and the third group is Mimbi & Mimber (neutral zone). ) may be included. A consensus process can be made by these groups.

사용자가 개인기기를 노드 활동에 융합시키기 위해서는 개인 목적에 일치하는 노드 기능을 활성화 시켜 사용자(직접) 투표 혹은 시스텝(간접) 투표를 진행하면 된다. 이는, 민주적인 투표 방법으로써 플랫폼이 자체적으로 관리 및 운영되는 효과를 가져 온다. 달리 표현하면, 본 서버(10)를 이용하는 사용자(본 앱에 접속한 사용자, 일예로 신규 사용자)는 합의를 위한 그룹에 참여하고자 할 경우, 복수의 그룹(제1 그룹, 제2 그룹, 제3 그룹) 중 어느 한 그룹을 선택할 수 있다. 이후, PoM 합의 알고리즘(21)은 어느 한 그룹을 선택한 해당 사용자(일예로 신규 사용자)에 대하여, 해당 사용자의 참여에 관해 사용자(직접) 투표 혹은 시스텝(간접) 투표를 진행할 수 있다.In order for users to integrate their personal devices into node activities, they can activate node functions that match their personal purpose and proceed with user (direct) voting or system step (indirect) voting. This, as a democratic voting method, brings about the effect that the platform is self-managed and operated. In other words, when a user using this server 10 (a user who has accessed this app, for example a new user) wants to participate in a group for agreement, a plurality of groups (first group, second group, third group) group) can be selected. Thereafter, the PoM consensus algorithm 21 may proceed with user (direct) voting or system step (indirect) voting regarding participation of the corresponding user (for example, a new user) who has selected any one group.

상술한 바에 따르면, 본 서버(10)를 이용하는 사용자는 복수의 그룹(제1 그룹, 제2 그룹, 제3 그룹) 중 어느 하나의 그룹에 속할 수 있다. 각 그룹 내에는 사용자들이 다수의 유형의 노드로 구분될 수 있다. 즉, 제1 그룹에는 개인노드, 스태프, 출연진, 일반 사용자 등을 포함한 다수 유형의 사용자들(노드)이 포함될 수 있다. 제2 그룹에는 서버노드, 투자자, 광고, 기업 등을 포함한 다수 유형의 사용자들(노드)이 포함될 수 있다. 제3 그룹에는 밈비 플랫폼, 중앙서버, 밈버 등을 포함한 다수 유형의 사용자들(노드)이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밈버는 밈비 플랫폼(본 플랫폼) 활동을 하는 중립적인 사용자를 의미할 수 있다. 본 서버(10)를 이용하는 사용자는 복수의 그룹 내 다수의 유형의 노드 중 어느 한 유형의 노드에 속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 user using the present server 10 may belong to any one of a plurality of groups (first group, second group, and third group). Within each group, users can be divided into multiple types of nodes. That is, the first group may include multiple types of users (nodes) including individual nodes, staff, cast members, and general users. The second group may include multiple types of users (nodes) including server nodes, investors, advertisements, companies, and the like. The third group may include multiple types of users (nodes) including the Mimbi platform, central server, and Mimber. Here, Mimber can mean a neutral user who is active in the Mimbi platform (this platform). A user using this server 10 may belong to any one type of node among a plurality of types of nodes in a plurality of groups.

기존의 블록체인 플랫폼에서는 대부분 PoW(Proof of Work)나 PoS(Proof of Stake) 합의 알고리즘을 사용하기 때문에, 컴퓨팅 파워와 지분증명, 그래픽 등 환경 문제나 자산 소유 시 디지털자산 급락에 따른 리스크를 감수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Since most of the existing blockchain platforms use PoW (Proof of Work) or PoS (Proof of Stake) consensus algorithms, environmental issues such as computing power, proof of stake, graphics, or asset ownership must take risks due to a sharp drop in digital assets. There is a downside to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고자, 본 시스템(100)에서 고려되는 블록체인(즉, 본 서버(10)가 이용하는 블록체인인 밈비 블록체인)은 속도와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하이퍼렛저 블록체인(기업형)으로 설계된 것일 수 있다. PoM 합의 알고리즘(21)을 통해 도출된 PoM 합의 정보(합의 관련 정보)는 신뢰성과 투명성, 불변성을 위해 내부 블록체인의 해당 블록 Hash값을 외부 퍼블릭 블록체인에 한번 더 기록하도록 설계되어 있을 수 있다. 즉, PoM 멤버쉽 메커니즘(20)은 PoM 합의 알고리즘(21)을 통해 도출된 PoM 합의 정보를 본 서버(10)의 내부 블록체인의 블록에 Hash값으로 기록할 수 있으며, 나아가 내부 블록체인의 블록에 기록된 Hash값을 한번 더 외부 블록체인(특히, 외부 퍼블릭 블록체인)에 기록할 수 있다. In order to overcome these disadvantages, the blockchain considered in this system 100 (i.e., the Mimbi blockchain, which is the blockchain used by this server 10) is designed as a hyperledger blockchain (enterprise type) for speed and privacy protection it could be The PoM consensus information (consensus-related information) derived through the PoM consensus algorithm 21 may be designed to record the corresponding block hash value of the internal blockchain once again to the external public blockchain for reliability, transparency, and immutability. That is, the PoM membership mechanism 20 can record the PoM consensus information derived through the PoM consensus algorithm 21 as a hash value in the block of the internal block chain of this server 10, and furthermore, in the block of the internal block chain. The recorded Hash value can be recorded once more in an external blockchain (in particular, an external public blockchain).

여기서, 내부 블록체인은 본 서버(10)의 내부에 마련되는 블록체인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이는 일예로 도 5a에 도시된 'MYMB Blockchain' 및 도 4a에 도시된 PoM(20)와 대응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외부 블록체인은 본 서버(10)의 내부가 아닌 외부에 마련된 블록체인(외부 퍼블릭 블록체인)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이는 일예로 도 5a에 도시된 'External Blockchain' 및 도 4a에 도시된 Pub.와 대응되는 것일 수 있다.Here, the internal blockchain refers to a blockchain provided inside the server 10, which may correspond to 'MYMB Blockchain' shown in FIG. 5A and PoM 20 shown in FIG. 4A, for example. there is. In addition, the external blockchain refers to a blockchain (external public blockchain) provided outside the server 10, not inside, which is, for example, 'External Blockchain' shown in FIG. 5A and Pub shown in FIG. 4A. It may correspond to .

즉, 본 서버(10)가 고려하는 블록체인(밈비 블록체인, PoM 멤버쉽 메커니즘(20))은 하이퍼렛저 블록체인(기업형)으로 구성된 것일 수 있다. 이 때문에, 본 서버(10)에서 고려되는 블록체인(즉, PoM 멤버쉽 메커니즘(20))은 PoM 합의 알고리즘(21)에 의해 발생된 합의 정보(합의 관련 정보)의 신뢰성과 투명성, 불변성을 위해, 합의 관련 정보의 기록을 내부 블록체인 뿐만 아니라 이를 퍼블릭 블록체인에 한번 더 기록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즉, PoM 합의 과정(PoM 합의 알고리즘(21)에 의한 합의 과정)을 거친 건은 밈비 블록체인의 해당 블록 Hash값을 외부 블록체인에 한번 더 기록하는 형식일 수 있다.That is, the blockchain (Mimbi blockchain, PoM membership mechanism 20) considered by this server 10 may be composed of a Hyperledger blockchain (enterprise type). For this reason, the blockchain considered in this server 10 (i.e., the PoM membership mechanism 20) is for reliability, transparency, and immutability of the consensus information (consensus-related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PoM consensus algorithm 21, It can be designed to record consensus-related information once again on the public blockchain as well as on the internal blockchain. In other words, items that have gone through the PoM consensus process (agreement process by the PoM consensus algorithm 21) can be in the form of recording the corresponding block hash value of the Mimbi blockchain once more in an external blockchain.

PoM 멤버쉽 메커니즘(20)은 도 5d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서버(10)를 이용하는 사용자에게 활동 점수로서 프로젝트 활동 점수, 프로젝트 투자 점수, 플랫폼 활동 점수, 노드 활동 점수 등을 제공(부여)할 수 있다. 이때, 프로젝트 활동 점수는 프로젝트 기획, 프로젝트 공모 투표, 워커시스템 이용 등을 수행한 경우일 때 제공되는 점수일 수 있다. 프로젝트 투자 점수는 프로젝트 NFT 투자, NFT 거래 등이 수행되었을 때 제공되거나 NFT 소유 기간에 따라 제공되는 점수일 수 있다. 플랫폼 활동 점수는 사용자가 본 플랫폼에서 활동한 점수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DID 사용자 인증, 동영상 업로드, 동영상 시청, 플랫폼 커뮤니티 활동 등의 수행시 제공되는 점수일 수 있다. 노드 활동 점수는 사용자가 노드로서 활동을 할 때 제공되는 점수로서, 개인 기기 노드 참여, 서버 노드 운영, 시스템(간접)<사용자(직접) 등에 따라 제공되는 점수일 수 있다.As shown in FIG. 5D, the PoM membership mechanism 20 can provide (grant) project activity points, project investment points, platform activity points, node activity points, etc. as activity points to users using this server 10. there is. In this case, the project activity score may be a score provided when project planning, project public voting, use of a worker system, and the like are performed. The project investment score may be a score provided when a project NFT investment, NFT transaction, etc. is performed, or a score provided according to the NFT ownership period. The platform activity score refers to the score of a user's activity on this platform, and may be a score provided when performing DID user authentication, video upload, video viewing, platform community activity, etc. The node activity score is a score provided when a user acts as a node, and may be a score provided according to personal device node participation, server node operation, system (indirect) < user (direct), and the like.

또한, 본원의 밈비(특히, PoM 멤버쉽 메커니즘(20))는 사용자수, 프로젝트 개수, 서버 증가 등의 기준에 의해 디지털 자산 발급량을 산출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가격 급락에 대한 리스크를 감소시킴과 동시에 컴퓨팅 파워 사용량을 최소화시킬 수 있으며, 이에 기존의 환경 문제점을 개선시킬 수 있다. 즉, 본원에서 제안하는 PoM(Proof of Merge) 블록체인 메커니즘인 PoM 멤버쉽 메커니즘(20)은 사용자들을 위한 밈비만의 새로운 성장형 블록체인 시스템으로 활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mimbi of the present application (in particular, the PoM membership mechanism 20) can calculate the amount of digital assets issued by standards such as the number of users, the number of projects, and the increase in servers, thereby reducing the risk of price drops and At the same time,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amount of computing power used, thereby improving existing environmental problems. That is, the PoM membership mechanism 20, which is a PoM (Proof of Merge) blockchain mechanism proposed in this application, can be used as a new growth type blockchain system for users.

또한, 서버(10)는 미디어콘텐츠의 사전제작에 필요한 금액을 블록체인의 대체 불가능한 토큰(NFT, Non-Fungible Token)을 이용하여 미디어콘텐츠의 저작권(Intellectual Property, IP) 지분율을 유동적으로 확보한 후 실제 미디어콘텐츠의 제작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달리 말해, 서버(10)는 미디어콘텐츠의 제작(사전제작 등)에 필요한 금액의 투자가 NFT를 이용하여(NFT 투자 프로세스, NFT 조각 투자 프로세스를 이용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즉, 서버(10)는 IP(저작권)에 NFT 기반 기술을 활용하여 미디어콘텐츠의 제작을 수행할 수 있다. 서버(10)는 조각 투자의 활용도를 극대화시키는 NFT를 이용하여 투자 프로세스가 진행(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rver 10 uses a non-fungible token (NFT, Non-Fungible Token) of the block chain for the amount required for pre-production of the media content to flexibly secure the share of intellectual property (IP) of the media content. Actual media contents can be produced. In other words, the server 10 may allow the investment of an amount necessary for production (pre-production, etc.) of media content to be made using NFTs (using an NFT investment process, an NFT piece investment process). That is, the server 10 may perform production of media content by utilizing NFT-based technology for IP (copyright). The server 10 may allow the investment process to proceed (performed) using NFTs that maximize the utilization of piece investment.

서버(10)는 MYMB 프로젝트를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MYMB 프로젝트라 함은, IP(저작권)에 NFT 기반 기술을 활용하여 미디어콘텐츠를 제작하는 전체 프로세서를 의미할 수 있다. 달리 말해, 서버(10)는 프로젝트(프로그램형 프로젝트, 개인형 프로젝트)의 제작과 관련하여, 프로젝트 제작에 관한 저작권(IP)에 대하여 NFT 기술을 적용할 수 있고, 이를 토대로 프로젝트에 대응하는 미디어콘텐츠를 제작할 수 있다.The server 10 may perform the MYMB project. Here, the MYMB project may mean an entire process that produces media content by utilizing NFT-based technology in IP (copyright). In other words, the server 10 may apply NFT technology to copyright (IP) related to project production in relation to the production of a project (programmatic project, personal project), and based on this, media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project. can be produced.

NFT는 Non-Fungible Token의 약자로 대체 불가능한 토큰을 의미하고, 이는 블록체인에 저장된 데이터 단위를 의미할 수 있다. NFT는 고유하면서 상호 교환할 수 없는 토큰을 뜻하며, 사진, 비디오, 오디오 및 기타 유형의 디지털 파일을 나타내는데 사용될 수 있다.NFT stands for Non-Fungible Token and means a non-fungible token, which can mean a unit of data stored in a blockchain. NFTs stand for unique, non-interchangeable tokens and can be used to represent photos, videos, audios and other types of digital files.

즉, NFT는 하나의 디지털 단위(미디어콘텐츠)를 작은 단위로 분할이 가능하며, 발행된 NFT에 투자 및 수익 배분을 하는데 매우 효율적이다. NFT를 활용한 조각 투자 방식은 미국 주식의 미니스톡, 소수점 단위 투자 서비스처럼, 제작 금액이 큰 미디어콘텐츠를 작은 단위로 투자/거래를 가능하게 한다.In other words, NFTs can divide one digital unit (media content) into small units, and are very efficient in investing in and distributing profits to issued NFTs. The piece investment method using NFT enables investment/transaction of media contents with a large amount of production in small units, such as mini-stocks of US stocks and investment services in decimal units.

또한 기존에는 중개자 수수료, 추가 투자, 저작권 계약 비율 등 복잡한 투자 프로세스를 통한 수익 배분이 이루어졌다. 이에 반해, 서버(10)는 본 플랫폼(밈비 플랫폼)의 제공을 통해 기존의 투자 프로세스를 간소화시키면서도, 사용자들을 위한 효율적인 NFT 조각 투자 프로세스를 새롭게 고안하여 제공한다. 즉, 서버(10)의 후술하는 제5 처리부(15)는 본원에 의해 새롭게 고안된 NFT 기반 투자 프로세스(NFT 투자 프로세스, NFT 조각 투자 프로세스)를 통해 투자(미디어콘텐츠 제작 관련 투자) 및 수익 배분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ast, profit distribution was made through a complex investment process such as intermediary fees, additional investment, and copyright contract ratio. On the other hand, the server 10 simplifies the existing investment process through the provision of this platform (the Mimbi platform), while newly devising and providing an efficient NFT piece investment process for users. That is, the fifth processing unit 15 of the server 1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makes investments (media content production-related investments) and profit distribution through a newly devised NFT-based investment process (NFT investment process, NFT piece investment process) you can make it

서버(10)는 프로젝트와 관련하여, 기획선정/투표를 진행 후 펀딩(funding)을 통해 제작에 필요한 자금을 조달하게 되면, NFT를 투자금액에 따라 지급할 수 있다. 또한, 서버(10)는 프로젝트 전문관리팀이 제작에 필요한 요건을 처리하도록 하고, 본 시스템(100)의 스마트계약을 활용하여 출연진, 스텝 등이 고용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프로젝트에 대한 미디어콘텐츠가 제작되도록 할 수 있다. 서버(10)는 미디어콘텐츠의 제작이 완료되면, 광고/PPL/OTT/해외판권 판매금액이 NFT 지분에 따라 지속적으로 수익을 배분할 수 있다.In relation to the project, the server 10 may pay NFTs according to the investment amount when funds necessary for production are procured through funding after planning and selection/voting. In addition, the server 10 allows the project professional management team to process the requirements for production, and can employ the cast and crew by utilizing the smart contract of the system 100, through which the media content for the project can be can be made to be made. When the production of media content is completed, the server 10 may continuously distribute revenue according to the NFT share of the sales amount of advertisement/PPL/OTT/overseas copyright.

서버(10)는 제1 처리부(11), 제2 처리부(12), 제3 처리부(13), 제4 처리부(14), 제5 처리부(15) 및 PoM 멤버쉽 메커니즘(20)을 포함할 수 있다.The server 10 may include a first processing unit 11, a second processing unit 12, a third processing unit 13, a fourth processing unit 14, a fifth processing unit 15 and a PoM membership mechanism 20. there is.

제1 처리부(11)는 기획선정과 투표를 수행하는 기획선정/투표 관련 처리부일 수 있다. 제2 처리부(12)는 미디어콘텐츠의 제작에 필요한 자금을 조달하고 NFT를 투자금액에 따라 지급하는 투자/자금조달 관련 처리부일 수 있다. 제3 처리부(13)는 미디어콘텐츠를 제작하는 콘텐츠(미디어콘텐츠) 제작 관련 처리부일 수 있다. 제4 처리부(14)는 제3 처리부(13)에서 제작된 미디어콘텐츠를 공급하고 판매하는 공급/판매 관련 처리부일 수 있다. 제5 처리부(15)는 제작된 미디어콘텐츠와 관련하여 광고/PPL/OTT/해외판권 판매금액을 NFT 지분에 따라 지속적으로 수익을 배분하는 수익 배분 관련 처리부일 수 있다. 즉, 제5 처리부(15)는 NFT 기반 투자 프로세스(후술하는 투자 시스템)를 통해 수익을 배분할 수 있다.The first processing unit 11 may be a planning selection/voting related processing unit that performs planning selection and voting. The second processing unit 12 may be an investment/funding related processing unit that procures funds necessary for production of media content and pays NFTs according to the investment amount. The third processing unit 13 may be a content (media content) production-related processing unit that produces media content. The fourth processing unit 14 may be a supply/sale related processing unit that supplies and sells the media contents produced by the third processing unit 13 . The fifth processing unit 15 may be a profit distribution related processing unit for continuously distributing profits from sales of advertising/PPL/OTT/overseas copyrights in relation to produced media contents according to NFT shares. That is, the fifth processing unit 15 may distribute profits through an NFT-based investment process (an investment system to be described later).

서버(10)의 전체 동작 흐름(즉, 전체 프로세스)은 도 4a 내지 도 4c를 참조하여 보다 쉽게 이해될 수 있다. 서버(10)는 일예로 도 4a 내지 도 4c에 도시된 것과 같은 흐름(프로세스)으로 동작할 수 있다. 도 4a에 도시된 밈비 내부시스템은 서버(10)를 의미할 수 있고, 시스템유저는 서버(10)와 연동되는 사용자들(참여자, 투자자, 일반 사용자 등)을 의미할 수 있다.The overall operation flow (ie, the entire process) of the server 10 can be more easily understood with reference to FIGS. 4A to 4C. The server 10 may operate in a flow (process) as shown in FIGS. 4A to 4C as an example. The Mimbi internal system shown in FIG. 4A may refer to the server 10, and system users may refer to users (participants, investors, general users, etc.) interworking with the server 10.

구체적으로, 프로젝트 기획단계에 참여하고자 하는 사용자(프로젝트 기획에 참여를 희망하는 사용자)인 참여자(1')는, 자신의 기획서(프로젝트 관련 기획서)를 참여자 단말(1)을 통해 서버(10)에 제출(업로드)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participant (1'), who is a user who wants to participate in the project planning stage (a user who wishes to participate in project planning), sends his or her proposal (project-related proposal) to the server 10 through the participant terminal (1). You can submit (upload).

제1 처리부(11)는 복수의 참여자가 제출한 기획서(복수의 기획서)를 서버(10) 내 기획서 저장부(미도시)에 저장할 수 있다. 제1 처리부(11)는 기획서 저장부(미도시)에 저장된 복수의 기획서 중 실제 미디어콘텐츠를 제작하고자 하는 기획서를 제작 대상 기획서로서 선정할 수 있다. 이때, 제1 처리부(11)는 제작 대상 기획서의 선정을 위해 투표를 수행할 수 있다.The first processing unit 11 may store plans (a plurality of plans) submitted by a plurality of participants in a plan storage unit (not shown) in the server 10 . The first processing unit 11 may select a plan to produce actual media content as a production plan from among a plurality of plans stored in a plan storage unit (not shown). At this time, the first processing unit 11 may perform a vote to select a production target planning document.

제1 처리부(11)에서 투표에 의해 제작 대상 기획서의 선정(즉, 진행 가능 프로젝트의 선정)이 이루어지면, 이후 투자/자금조달 관련 제2 처리부(12)는 투자 프로세스를 진행하여 미디어콘텐츠의 제작에 필요한 자금을 조달하고 NFT를 투자금액에 따라 지급할 수 있다.When the first processing unit 11 selects a proposal for production by voting (ie, selection of a project that can be carried out), the second processing unit 12 related to investment/financing proceeds with the investment process to produce media contents. You can procure the necessary funds and pay NFTs according to the investment amount.

즉, 제2 처리부(12)는 제작 대상 기획서의 선정이 이루어지면 투자 프로세스를 수행(진행)할 수 있다. 여기서, 투자 프로세스는 시리즈 A(기획 단계, Sales Benefit) - 시리즈B(출연진/감독, 인플루언서_투표 확정 단계) - 시리즈 C(제작 최종 확정) 단계로 구성될 수 있다.That is, the second processing unit 12 may perform (proceed) an investment process when a production target planning document is selected. Here, the investment process may consist of Series A (planning stage, Sales Benefit) - Series B (cast/director, influencer_vote confirmation stage) - Series C (final production confirmation stage).

본 서버(10)에서 제작(미디어콘텐츠 제작)에 투자하는 사용자는 일예로 기존 투자자인 기업, 광고, 펀드 등의 거대 자본 그룹과 신종 투자 주류인 MZ세대를 타겟으로 할 수 있다. 달리 말해, 본 서버(10)에서는 미디어콘텐츠 제작에 대한 투자를 기존 투자자(기업, 광고, 펀드 등의 거대 자본 그룹) 뿐만 아니라 MZ 세대를 포함한 개인 사용자(개인 투자자)가 투자에 참여할 수 있다.Users who invest in production (media content production) in this server 10 can target, for example, large capital groups such as existing investors such as companies, advertisements, and funds, and the MZ generation, a new type of investment mainstream. In other words, in this server 10, individual users (individual investors) including the MZ generation as well as existing investors (large capital groups such as corporations, advertisements, and funds) can participate in investment in media content production.

본원(즉, 본 시스템(100) 및 서버(10))은 지분 조각 투자(크라우드 펀딩 형식)와 본 앱의 활용으로 편리성과 실용성을 토대로 MZ세대를 유입시켜, 기존 투자자들의 고자본 투자 위험 부담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은 Cap(투자 시 수익금 제한 설정)을 없앰으로써 모든 투자자들의 수익 창출을 배가시키는 이점이 있을 수 있다.The main office (that is, this system 100 and server 10) introduces the MZ generation based on convenience and practicality through equity piece investment (crowdfunding format) and the use of this app, thereby reducing the risk of high-capital investment by existing investors may have a reducing effect. In addition, this application may have the advantage of doubling the profit generation of all investors by eliminating the cap (setting a profit limit when investing).

서버(10)에서 고려되는 참여 프로세스의 과정은 다음과 같다. 구체적으로, 프로젝트 기획단계(일예로, 기획공모 단계)에 참여하길 희망하는 사용자(즉, 참여자(1')는 본인의 기획서를 서버(10)에 제출(업로드)함으로써 제출한 기획서에 대하여 사람들(미리 선정된 전문가 집단)에게 평가/투표를 받을 수 있다. 참여자(1')는 자신의 기획서가 선정되면(즉, 자신의 기획서가 진행 가능한 프로젝트의 기획서로서 선정되면) 투자자들에게 투자를 받아 실제 콘텐츠를 실현(즉, 실제 미디어콘텐츠의 제작을 실현)할 수 있다. 이때, 수익 배분 관련 제5 처리부(15)는 일예로 미디어콘텐츠 제작 관련 기획자에게 총 제작비의 1%의 IP(저작권) 지분을 지급할 수 있다. 또한, 제작에 참여하는 인력은 투자 프로세스 내 시리즈 A의 가격에 상응하는 가격으로, 제작되는 미디어콘텐츠에 투자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질 수 있다. The course of the participation process considered in the server 10 is as follows. Specifically, a user who wishes to participate in the project planning stage (eg, planning competition stage) (ie, the participant 1') submits (uploads) his or her proposal to the server 10, and people ( The participant (1') receives investment from investors when his or her proposal is selected (ie, when the proposal is selected as a proposal for a project that can be carried out). Content can be realized (that is, actual production of media contents can be realized.) At this time, the fifth processing unit 15 related to revenue distribution provides, for example, a 1% IP (copyright) share of the total production cost to a planner related to media content production. In addition, the personnel participating in the production can have the opportunity to invest in the media content being produced at a price corresponding to the price of Series A in the investment process.

서버(10)는 선정된 기획서(제작 대상 기획서)에 대응하는 미디어콘텐츠를 제작함에 있어서, 미디어콘텐츠 제작에 실제 참여하는 사용자들에게 본 플랫폼의 부가 서비스(밈비 부가 서비스)인 워커시스템(Woker-System, MYMB Woker-System)을 사용하여 편리하고 효율적인 활동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실제 미디어콘텐츠 제작에 참여하는 사용자들은 본 플랫폼을 통해 표준계약서에 의거한 스마트컨트렉트, DID를 통한 급여 관리 및 경력관리 등 다양한 기능을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제작에 참여하는 사용자(즉, 미디어콘텐츠 제작에 참여하는 사용자)는 일예로 미디어 관련 종사자 및 인플루언서, 대중예술인 등이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워커시스템에 대한 설명은 후술하여 설명하기로 한다.In producing media contents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proposal (production target proposal), the server 10 provides users who actually participate in media content production with the Walker-System, an additional service of this platform (Mimbi additional service). , MYMB Walker-System) can be used to support convenient and efficient activities. Accordingly, users participating in actual media content production can use various functions such as smart contracts based on standard contracts, salary management and career management through DID through this platform. Here, users participating in production (ie, users participating in media content production) may include, for example, media-related workers, influencers, and popular artists, but are not limited thereto. A description of the worker system will be described later.

한편, 서버(10)는 프로젝트가 프로그램형 프로젝트인 경우에 대하여 도 3b에 도시된 흐름에 따라 프로젝트를 진행(처리)할 수 있다. 반면, 서버(10)는 프로젝트가 개인형 프로젝트인 경우에 대하여 도 3c에 도시된 흐름에 따라 프로젝트를 진행(처리)할 수 있다.Meanwhile, the server 10 may progress (process) the project according to the flow shown in FIG. 3B when the project is a program type project. On the other hand, the server 10 may progress (process) the project according to the flow shown in FIG. 3C when the project is a personal project.

도 3(즉, 도 3a 내지 도 3c) 및 도 4(즉, 도 4a 내지 도 4c)를 참조하면, 참여자(1')는 기획 공모 단계에서 참여자 단말(1)을 통해 서버(10)에 기획서를 제출(업로드)할 수 있다. 여기서, 참여자(1')가 제출하는 기획서는 일예로 프로그램형 프로젝트에 관한 기획서일 수 있다. 프로그램형 프로젝트는 드라마, 예능, 교양 등을 포함하는 방송 범위의 프로젝트를 의미할 수 있다.3 (i.e., FIGS. 3a to 3c) and 4 (i.e., FIGS. 4a to 4c), the participant 1' sends a proposal to the server 10 through the participant terminal 1 in the planning competition stage. can be submitted (uploaded). Here, the proposal submitted by the participant 1' may be, for example, a proposal for a program type project. The program type project may refer to a project in the range of broadcasting including drama, entertainment, culture, and the like.

기획선정/투표 관련 제1 처리부(11)는 다양한 전문가 집단을 미리 선정해 둔 후, 선정된 전문가 집단을 통해 참여자(1')가 제출한 기획서에 대한 투표를 수행하고 이를 통해 기획서가 진행 가능한 프로젝트인지를 선정(결정)할 수 있다. 이때, 투표를 통해 기획서가 진행 가능한 프로젝트의 기획서인 것으로 선정된 경우, 선정된 기획서는 본원에서 제작 대상 기획서(진행 가능한 프로젝트의 기획서)라 지칭될 수 있다. 즉, 제1 처리부(11)는 복수의 참여자가 업로드한 복수의 기획서에 대하여, 복수의 기획서 중 어느 기획서가 제작 진행이 가능한 프로젝트인지를 선정하기 위한 투표를 미리 선정된 전문가 집단을 통해 진행할 수 있다. 이를 기반으로 복수의 기획서 중 제작 대상 기획서가 선정될 수 있다.The first processing unit 11 related to planning selection/voting selects various expert groups in advance, and then votes on the proposal submitted by the participant 1' through the selected expert group, and through this, projects that can proceed with the proposal Awareness can be selected (determined). At this time, when the proposal is selected as a proposal of a project that can be carried out through voting, the selected proposal may be referred to as a production target proposal (plan of a project that can be carried out)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at is, the first processing unit 11 may proceed with a pre-selected expert group to vote to select which proposal from among the plurality of proposals is a project capable of proceeding with production with respect to a plurality of proposals uploaded by a plurality of participants. . Based on this, a production target plan may be selected from among a plurality of plans.

참여자(1')는 기획 공모에 기획서를 제출할 수 있으며, 이를 다양한 전문가 집단을 선정 후 투표를 통해 진행 가능한 프로젝트가 선정될 수 있다. 이때, 제1 처리부(11)는 프로젝트가 선정되기 전(즉, 복수의 기획서 중 제작 대상 기획서가 선정되기 전)까지 투표를 익명으로 진행할 수 있다. 제1 처리부(11)가 복수의 참여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기획서들은 블록체인(일예로, 퍼블릭 블록체인)의 블록에 저장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익명성과 불변성을 통한 저작권 확보가 가능하게 될 수 있다.The participant (1') can submit a plan to the planning contest, and after selecting various expert groups, a project that can be carried out can be selected through voting. At this time, the first processing unit 11 may proceed with anonymous voting until a project is selected (ie, before a production target plan is selected from among a plurality of plans). The proposals received by the first processing unit 11 from a plurality of participant terminals may be stored in a block of a block chain (eg, a public block chain), thereby securing copyright through anonymity and immutability. Can be.

제1 처리부(11)에서 제작 대상 기획서가 선정되면, 투자/자금조달 관련 제2 처리부(12)는 선정된 제작 대상 기획서에 대응하는 프로젝트(즉, 진행 가능한 프로젝트, 미디어콘텐츠의 제작이 가능한 프로젝트)의 제작예산을 책정하고, 여기에 맞추어 실제 제작비를 투자받을 수 있다. 즉, 진행 가능 프로젝트는 제작예산을 책정하게 되고, 여기에 맞추어 실제 제작비를 투자받게 된다.When a production target proposal is selected in the first processing unit 11, the second processing unit 12 related to investment/financing proceeds with a project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production target proposal (ie, a project that can be carried out, a project that can produce media contents) A production budget can be set, and actual production costs can be invested accordingly. In other words, a production budget is set for a feasible project, and the actual production cost is invested accordingly.

이때, 기존에는 프로젝트의 제작비 투자와 관련하여, 주로 기업이나 문화예술 관련 펀드회사, 광고주가 투자에 참여할 수 있었다. 이에 반해, 본 시스템(100)(본 플랫폼, 본 서버)에서는, 개인이 소액으로도 투자할 수 있으며, 투자금액의 지분만큼 디지털자산을 받을 수 있다. 즉, 본 시스템(100)에서는 기업, 문화예술 관련 펀드회사, 광고주 등 뿐만 아니라, 본 서버(10)를 이용하는 사용자 누구나가(개개인이) 소액으로도 투자할 수 있다. At this time, in the past, mainly companies, culture and arts related fund companies, and advertisers could participate in the investment in relation to the investment in the production cost of the project. On the other hand, in this system 100 (this platform, this server), an individual can invest even a small amount and receive digital assets as much as the share of the investment amount. That is, in this system 100, not only companies, culture and art related fund companies, advertisers, etc., but also all users using this server 10 (individuals) can invest even with a small amount.

투자/자금조달 관련 제2 처리부(12)를 통해 제작 대상 기획서에 대응하는 프로젝트(즉, 진행 가능한 프로젝트)에 대한 기획 제작비 모금이 완료되면, 콘텐츠 제작 관련 제3 처리부(13)는 진행 가능한 프로젝트에 대한 미디어콘텐츠의 사전제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사전제작이 끝날 때까지 디지털자산은 락킹(lock-up)이 될 수 있다.When the planning and production cost collection for the project corresponding to the production plan (that is, the project that can be carried out) is completed through the second processing unit 12 related to investment/financing, the third processing unit 13 related to content production You can perform pre-production of media contents for At this time, the digital asset may be locked-up until the pre-production is finished.

제3 처리부(13)에서 진행 가능한 프로젝트에 대한 미디어콘텐츠의 사전제작이 끝나면(완료되면), 공급/판매 관련 제4 처리부(14)는 사전제작이 완료된 미디어콘텐츠(제작된 미디어콘텐츠)를 공급하고 판매할 수 있다. 이때, 제4 처리부(14)는 제작된 미디어콘텐츠의 공급/판매의 수행시 방영권, 판권 관련된 부분을 진행할 수 있으며, 이 과정에서의 자산(해당 자산)은 본 플랫폼 내에서 스왑 형태로 거래가 가능할 수 있다. 즉, 사전제작이 끝나고, 방영권, 판권 관련된 부분이 진행되게 되면, 해당 자산(락킹되었던 디지털자산인 NFT)은 락킹이 해제되어(lock-off) 플랫폼 내에서 스왑 형태로 거래가 가능할 수 있다.When the pre-production of media contents for a project that can be carried out in the third processing unit 13 is completed (completed), the fourth processing unit 14 related to supply/sales supplies pre-produced media contents (produced media contents) and can be sold At this time, the fourth processing unit 14 can proceed with the parts related to broadcasting rights and copyrights when supplying/selling produced media contents, and assets (corresponding assets) in this process can be traded in the form of swaps within this platform. there is. That is, when the pre-production is over and the part related to broadcasting rights and copyrights proceeds, the asset (NFT, which is a digital asset that has been locked) is unlocked and can be traded in the form of a swap within the platform.

수익 배분 관련 제5 처리부(15)는, 제4 처리부(14)에서 미디어콘텐츠를 공급/판매할 때 발생되는 금액(판매금액)을 NFT 지분에 따라 수익을 배분할 수 있다.The fifth processing unit 15 related to revenue distribution may distribute the revenue generated when the fourth processing unit 14 supplies/sells media content (sales amount) according to NFT shares.

여기서, 방영권은 방영을 할 수 있는 정당한 권리를 의미하고, 판권은 저작권을 가진 사람과 계약하여 그 저작물의 이용, 복제, 판매 등에 따른 이익을 독점할 권리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스왑(Swap, 스와핑) 형태라 함은 교환한다는 의미를 가진 거래 형태(스왑거래 형태)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이는 두 당사자가 각기 지니고 있는 미래의 서로 다른 자금흐름을 일정기간 동안 서로 교환하기로 계약하는 거래를 의미(즉, 계약조건 등에 따라 일정시점에 자금흐름의 교환을 통해서 이루어지는 금융기법을 의미)할 수 있다.Here, the broadcasting right means a legitimate right to broadcast, and the copyright may mean the right to monopolize profits according to the use, reproduction, sale, etc. of the copyrighted work by contracting with the person who has the copyright. In addition, the swap (swap) type refers to a transaction type (swap transaction type) that has the meaning of exchanging, which means that the two parties agree to exchange different future fund flows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It can refer to a contractual transaction (ie, a financial technique that is performed through the exchange of fund flows at a certain point in accordance with contract conditions, etc.).

서버(10)가 개인형 프로젝트를 처리하는 과정에 대한 설명은 다음과 같다.A description of a process in which the server 10 processes a personal project is as follows.

참여자(1')는 기획 공모 단계에서 참여자 단말(1)을 통해 서버(10)에 기획서를 제출(업로드)할 수 있다. 여기서, 참여자(1')가 제출하는 기획서는 일예로 개인형 프로젝트에 관한 기획서일 수 있다.The participant 1' may submit (upload) a plan to the server 10 through the participant terminal 1 in the planning competition stage. Here, the proposal submitted by the participant 1' may be, for example, a proposal for a personal project.

여기서, 개인형 프로젝트는, 개인으로 활동하는 인플루언서의 영향력의 척도에 따라 적용되는 개인형 프로젝트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1인 미디어와 소셜미디어를 포함하는 프로젝트를 의미할 수 있다. 간단히 말해, 개인형 프로젝트는 인플루언서 자신의 1인 기업화라고 할 수 있으며, 서버(10)는 개인미디어(개인형 프로젝트)를 지분화하고 이를 지분형 디지털 자산의 형태로 마련하여 구독자나 플랫폼 사용자들(본 플랫폼을 이용하는 사용자들)이 구매할 수 있게 할 수 있다.Here, the personal project refers to a personal project applied according to the scale of the influence of an influencer acting as an individual, and may refer to a project including one-person media and social media. In short, a personal project can be said to be a one-person enterprise of the influencer himself, and the server 10 stakes personal media (personal project) and prepares it in the form of equity-type digital assets for subscribers or platform users. (users using this platform) can make purchases.

개인형 프로젝트로서 활동하고자 하는 사용자(일예로, 참여자 혹은 일반 사용자)는 구독자 수, 기존 광고 수입, 개인미디어의 경쟁력, 공익성 등의 판단기준으로 전문가 집단의 투표로 프로젝트권을 획득할 수 있다. 본 플랫폼에서 이들은 프로젝터라 지칭될 수 있다.Users who want to act as a personal project (for example, participants or general users) can obtain project rights by voting by a group of experts based on criteria such as the number of subscribers, existing advertising income, competitiveness of personal media, and public interest. In this platform they may be referred to as projectors.

달리 말해, 참여자(1')가 기획서(특히, 개인형 프로젝트에 관한 기획서, 혹은 인플루언서_기획서)를 서버(10)에 제출하면, 기획선정/투표 관련 제1 처리부(11)는 다양한 전문가 집단을 미리 선정해 둔 후, 선정된 전문가 집단을 통해 참여자(1')가 제출한 기획서에 대한 투표를 수행하고 이를 통해 기획서가 진행 가능한 프로젝트인지를 선정(결정)할 수 있다. 이때, 전문가 집단은 제출된 기획서에 대하여 구독자 수, 기존 광고 수입, 개인미디어의 경쟁력, 공익성 등의 판단기준으로, 해당 기획서가 진행 가능한 프로젝트인지를 결정할 수 있다. In other words, when the participant 1' submits a proposal (particularly, a proposal for a personal project or an influencer_plan) to the server 10, the first processing unit 11 related to planning selection/voting provides various experts After selecting a group in advance, voting on the proposal submitted by the participant (1') is conducted through the selected expert group, and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select (determine) whether the proposal is a feasible project. At this time, the expert group can determine whether the proposal is a feasible project based on criteria such as the number of subscribers, existing advertising income, competitiveness of personal media, and public interest for the submitted proposal.

본 시스템(100)에서 프로젝터와 일반 인플루언서들은 편집자, 촬영기사, 기획자 등을 AI 서비스를 통해 본 플랫폼 내 활동하는 사용자들과 계약을 수행할 수 있다. 쉽게 설명하자면, 유튜브의 mcn의 역할을 본 플랫폼이 한다고 비유해볼 수 있다.In this system 100, projectors and general influencers can perform contracts with users active in this platform through AI services such as editors, cinematographers, and planners. To put it simply, you can compare the role of YouTube's mcn to this platform.

한편, 워커시스템(Woker-System, MYMB Woker-System)은 인력 중개 시스템, 인력 관리 시스템, 밈비 인력 관리 시스템으로 지칭될 수 있다. 서버(10)는 사용자들에게 본 플랫폼의 부가 서비스(밈비 부가 서비스)로서 워커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본원에서 고려되는 워커시스템은 Woker-System, MYMB Woker-System 등으로 표현될 수 있다.Meanwhile, the worker system (Woker-System, MYMB Walker-System) may be referred to as a manpower mediation system, a manpower management system, and a mimbi manpower management system. The server 10 may provide the worker system as an additional service (Mimbi additional service) of the present platform to users. The worker system considered herein may be expressed as a worker-system, a MYMB worker-system, and the like.

도 8은 종래의 다단계 형식의 고용 시스템 구조의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을 이용한 미디어콘텐츠 제작 시스템(100) 내 서버(10)가 제공하는 워커시스템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8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n example of the structure of a conventional multi-level employment system. 9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structure of a worker system provided by the server 10 in the media content production system 100 using a block cha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플랫폼에서 제작되는 모든 미디어 프로젝트(미디어콘텐츠 제작을 위한 프로젝트)에서는 수많은 스텝이 필요하다.Referring to FIGS. 8 and 9 , numerous steps are required in all media projects (projects for producing media contents) produced on this platform.

도 8에는 종래의 다단계 형식의 고용 시스템의 구조 예가 도시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방송사 내에는 내부 조연출, 편집자 등이 있으며, 제작사 혹은 방송사가 개인&팀 단위로 프리랜서 혹은 하청업체 단위로 계약하여 프로젝트가 진행되고 있다.8 shows an example of the structure of a conventional multi-level employment system. In general, there are internal assistant directors and editors in broadcasting companies, and projects are being carried out by contracting with production companies or broadcasting companies on an individual and team basis, as freelancers or subcontractors.

종래의 다단계 형태의 고용 시스템 구조와는 달리, 본 플랫폼의 워커시스템은 수평형 구조를 갖는 P2P(Project to People) 형태의 구인구직 시스템일 수 있다. 본 시스템(100)에서 고려되는 워커시스템(즉, 본원에서 제안하는 워커시스템)은 DID를 통한 이력 자동 관리, 표준계약서에 기반한 스마트컨트렉트 계약서비스 기능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즉, 본 서버(10)를 이용하는 사용자들은 본 플랫폼을 통해 제공되는 부가서비스인 워커시스템을 이용함으로써 구인구직 활동을 수행할 수 있다.Unlike the conventional multi-level employment system structure, the worker system of this platform may be a P2P (Project to People) type job search system having a horizontal structure. The worker system considered in this system 100 (i.e., the worker system proposed herein) can provide automatic history management through DID, smart contract contract service functions based on standard contracts, and the like. That is, users using this server 10 can perform job search activities by using the worker system, which is an additional service provided through this platform.

워커시스템에 의하면, 사용자가 개인 인증을 통해 DID를 획득하게 되면, 자신만의 이력 관리를 할 수 있는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개인 이력을 등록/인증받게 되면, 이 기록은 암호화되어 블록에 동기화될 수 있다. 구인을 원하는 사용자가 AI 매칭 서비스에서 검색하게 되면 자신의 이력 정보를 베이스로 일을 제안받을 수 있다. 여러 프로젝트를 거치면서 사용자들은 평가시스템에 점수와 후기를 남길 수 있는데, 이는 해당 인력의 신뢰점수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신뢰점수가 높은 인력일수록 시장경제원리에 따라 고용금액이 상향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worker system, when a user acquires a DID through personal authentication, he/she can use a service that allows his or her own personal history management. When a personal history is registered/certified, this record can be encrypted and synchronized to a block. When a user who wants to find a job searches in the AI matching service, he/she can receive a job offer based on his/her personal history information. Going through several projects, users can leave scores and reviews in the evaluation system, which affects the trust score of the person in question. The higher the trust score, the higher the employment amount according to the market economy principle.

달리 표현해, 서버(10)는 미디어콘텐츠 제작에 참여하는 사용자들에게 워커시스템을 이용해 구직활동을 지원할 수 있다. 여기서, 미디어콘텐츠 제작에 참여하는 사용자는 일예로 미디어 관련 종사자 및 인플루언서, 대중예술인을 타겟으로 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미디어콘텐츠 제작에 참여하는 사용자는 워커시스템(즉 P2P(Project to People) 형태의 구인구직 시스템)을 이용할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server 10 may support job search activities for users participating in media content production using the worker system. Here, users who participate in the production of media contents may target, for example, media-related workers, influencers, and popular artists, but are not limited thereto. Users who participate in the production of media contents can use the worker system (that is, a job search system in the form of P2P (Project to People)).

이러한 워커시스템은 기존의 수직적인 계약 구조가 아닌 P2P의 수평적인 계약 구조의 시스템일 수 있다. 서버(10)는 워커시스템에서 모든 계약이 블록체인에 기록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미디어 종사자와 대중예술인의 이력 관리, 공정한 수익 관리가 가능하도록 제공할 수 있다. 서버(10)는 워커시스템을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실제 경력과 실력에 대한 정당한 권리를 부여받게 할 수 있다.This worker system may be a P2P horizontal contract structure rather than a conventional vertical contract structure. The server 10 can ensure that all contracts are recorded in the block chain in the worker system, and through this, it can provide media workers and public artists' career management and fair profit management. The server 10 may allow the user to be given a legitimate right to actual experience and skill by providing the worker system to the user.

도 10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을 이용한 미디어콘텐츠 제작 시스템(100) 내 서버(10)가 제공하는 인플루언서 시스템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10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e structure of an influencer system provided by a server 10 in a media content production system 100 using a block cha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도 10을 참조하면, 서버(10)는 사용자들에게 본 플랫폼의 인플루언서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인플루언서 시스템은 상술한 워커시스템과 연계하여 동작(작동)할 수 있다. 인플루언서 시스템의 제공을 통해, 서버(10)는 소속 연예인 관리 및 필요 인력을 배치시켜 주며, 캐스팅의 기회를 마련해 주고, 팬덤을 확보하기 위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본원에서 제안하는 인플루언서 시스템은 방송인 연예기획사과 인플루언서 매니지먼트 범위를 포함하며, 전술한 3가지 역할을 본 플랫폼 내에서 해결할 수 있는 환경을 갖추고 있다.Referring to FIG. 10 , the server 10 may provide the influencer system of the present platform to users. The influencer system may operate (operate) in conjunction with the above-described worker system. Through the provision of the influencer system, the server 10 can manage the affiliated entertainers, arrange necessary personnel, provide opportunities for casting, and provide an environment for securing fandom. The influencer system proposed herein includes the scope of broadcasters, entertainment agencies, and influencer management, and is equipped with an environment that can solve the above three roles within this platform.

구체적으로, 첫째, 서버(10)는 본 플랫폼의 워커시스템(WORKER-SYSTEM)을 통해 필요한 매니저, 스타일리스트, 작곡가, 안무가 등을 구하고(모집, 선정하고), 본 플랫폼을 통해 계약을 맺도록 할 수 있다.Specifically, first, the server 10 will seek (recruit, select) necessary managers, stylists, composers, choreographers, etc. through the WORKER-SYSTEM of this platform, and make contracts through this platform. can

현재 대형 기획사 '엑소더스(Exodus·대탈출)' 현상이 불거지고 있으며, 대형 기획사에서 나온 연예인들은 1인 기획사, 혹은 군소 기획사로 흘러들고 있다. 이에 본 플랫폼에서는 인플루언서 시스템의 제공을 통해 제약 없이 서버(10)를 이용하는 사용자들이 자신의 능력과 개성에 맞추어 활동할 수 있는 생태계를 만들어 제공할 수 있다.Currently, the large-scale agency 'Exodus' phenomenon is emerging, and celebrities from large-scale agencies are flowing into single-person agencies or small agencies. In this platform, through the provision of an influencer system, it is possible to create and provide an ecosystem in which users using the server 10 can act according to their abilities and personalities without restrictions.

기존 연예인이 대형기획사를 나왔을 때 가장 부담스러운 부분은 본인이 필요한 인력을 찾고, 계약을 위한 과정이라 할 수 있다. 이 과정의 복잡성과 신뢰의 문제 때문에 1인 기획사를 직접 차리거나 자신의 개성을 존중해 주는 군소 기획사를 찾게 된다.The most burdensome part when an existing celebrity leaves a large agency is the process of finding the manpower he needs and signing a contract. Due to the complexity of this process and the problem of trust, they start their own one-man agency or find a small agency that respects their individuality.

본 플랫폼에서는 사용자(일예로, 참여자, 투자자, 혹은 일반 사용자들 등)가 자신이 원하는 인력을 검색을 통해 찾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혹은 본 플랫폼은 사용자와 같이 일하던 사람이 있는 경우에도 본 플랫폼을 통해 표준계약서를 기반으로 한 P2P 전자계약서를 이용하도록 할 수 있어, 복잡성을 줄일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서버(10)는 신인 연예인이나 지망생, 인플루언서들 등의 사용자들도 본 플랫폼의 인플루언서 시스템 및 워커시스템을 통해 제공되는 서비스를 통하여, 손쉽게 필요한 인력을 얻을 수 환경을 경험할 수 있도록 제공할 수 있다.In this platform, users (for example, participants, investors, or general users, etc.) can find the manpower they want through search. Alternatively, this platform can reduce complexity by enabling P2P electronic contracts based on standard contracts to be used through this platform even if there is a person who worked with the user. According to this, the server 10 allows users such as new entertainers, aspirants, and influencers to experience an environment where they can easily obtain the necessary manpower through the services provided through the influencer system and worker system of this platform. can provide it.

둘째, 서버(10)는 인플루언서 시스템을 통해 사용자가 자신의 이력 프로필과 영상 프로필을 업로드 할 수 있는 DID기반 프로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Second, the server 10 can provide a DID-based profile service through which users can upload their own history profile and video profile through the influencer system.

기존 연출들은 원하는 사람을 캐스팅하기 위해 조연출을 통하거나, 대부분 캐스팅디렉터를 통해 오디션을 진행하곤 한다. 이에 반해, 본 플랫폼에서는 인증된 연출에 한하여 인플루언서 시스템(혹은 워커시스템)의 AI 검색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서버(10)를 이용하는 사용자들은 본 플랫폼을 통해 프로그램 캐릭터에 맞는 배우들을 모아볼 수 있고, 오디션도 진행할 수 있다. 또한, 서버(10)를 이용하는 사용자들은 바로 캐스팅의 기회를 이 시스템(인플루언서 시스템, 워커시스템)을 통해 서로 얻을 수 있다.Existing directors often go through auditions to cast people they want through assistant directors, or mostly through casting directors. On the other hand, on this platform, AI search service of the influencer system (or worker system) can be provided only for certified productions. Through this, users using the server 10 can collect actors suitable for program characters through this platform, and can also conduct auditions. In addition, users using the server 10 can directly obtain casting opportunities through this system (influencer system, worker system).

또한, 인플루언서 시스템에 의하면, 사용자들은 본 플랫폼 내 프로젝트에서 나오는 캐스팅의 우선 기회를 얻을 수 있다. 본 플랫폼 내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연출의 경우 가입된 인플루언서를 검색하게 될 가능성이 크고, 이에 따라 업로드 된 영상 프로필 또한 바로 제공받을 수 있다.Also, according to the influencer system, users can get preferential opportunities for casting from projects within this platform. In the case of directing projects within this platform,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you will search for affiliated influencers, and accordingly, uploaded video profiles can also be provided immediately.

신인이나 지망생의 경우 대형기획사 없이 자신의 프로필을 연출에게 노출시키고, 기회를 잡기란 확률적으로 희박하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플랫폼의 인플루언서 시스템은 이러한 기회를 사용자들이 지속적으로 가질 수 있도록 제공할 수 있다.In the case of a newcomer or aspiring person, it is highly unlikely that they will expose their profile to the director and seize the opportunity without a large agency. Therefore, the influencer system of this platform can provide users with such opportunities continuously.

셋째, 서버(10)는 인플루언서 시스템으로 하여금 개인형 프로젝트를 통해 팬덤을 관리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기존 엔터테인먼트에서는 활동으로 일한 수익을 평균 7:3 비율로 배분하게 되어있다.Third, the server 10 may enable the influencer system to manage the fandom through a personal project. In existing entertainment, profits from activities are distributed at an average ratio of 7:3.

이에 반해, 본 플랫폼에서는 사용자(일예로 참여자)가 개인형 프로젝트를 등록하고 승인받을 경우 프로젝터가 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프로젝터)의 수익금은 본 플랫폼에 의해 디지털자산화되어 관리될 수 있고, 이때 본 플랫폼에서는 광고수익금의 60%를 사용자(인플루언서)에게 배분할 수 있고, 일예로 사용자의 수익금의 20%는 NFT 소유자인 팬 혹은 구독자에게 제공(배분)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달리 표현해, 서버(10) 내 제5 처리부(15)는 사용자의 수익금의 20%가 팬 혹은 구독자에게 제공(배분)되도록 수익을 배분할 수 있다. 본원에서 제안하는 인플루언서 시스템이 전술한 수익 배분 구조(수익금 배분 구조)를 가지도록 마련됨에 따라, 서버(10)는 사용자(프로젝터)에게 있어서 자신의 활동 범위에 따라 팬들의 충성심의 유지가 가능하도록 하고, 팬들에 대하여 고마움을 표시할 수 있는 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팬들은 본 플랫폼을 통해 자신이 응원하는 인플루언서를 지원하면서도 수익을 얻을 수 있는 환경을 제공받을 수 있다.On the other hand, on this platform, if a user (for example, a participant) registers and receives approval for a personal project, it can become a projector. At this time, the proceeds of the user (projector) can be digitalized and managed by this platform, and at this time, this platform can distribute 60% of the advertising proceeds to the user (influencer), for example, 20% of the user's proceeds can be set to be provided (distributed) to fans or subscribers who are NFT owners. In other words, the fifth processing unit 15 in the server 10 may distribute revenue so that 20% of the user's revenue is provided (distributed) to fans or subscribers. As the influencer system proposed herein is prepared to have the above-mentioned profit distribution structure (profit distribution structure), the server 10 enables the user (projector) to maintain the loyalty of fans according to the scope of their activities. It can be used as a means to express gratitude to the fans. According to this, fans can be provided with an environment in which they can earn money while supporting the influencers they support through this platform.

또한, 서버(10)는 본 플랫폼을 통해 서버(10)를 이용하는 사용자들에게 후술하는 다양한 부가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본 플랫폼을 통해 제공되는 부가서비스에는 DID 적용 프로필 및 경력관리 서비스, 스마트컨트렉트 기반 전자계약 서비스, 프로젝트 ERP 시스템 서비스, 프로젝트 전문 관리 서비스, AI 서비스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구체적인 설명은 다음과 같다.In addition, the server 10 may provide various additional services to be described below to users using the server 10 through this platform. Here, additional services provided through this platform may include DID applied profile and career management services, smart contract-based electronic contract services, project ERP system services, professional project management services, and AI services. The specific explanation is as follows.

1. DID 적용 프로필 및 경력관리 서비스1. DID application profile and career management service

서버(10)는 부가서비스로서 일예로 DID 적용 프로필 및 경력관리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본 서버(10)를 이용하는 사용자들(즉, 본 플랫폼을 이용하는 사용자들)은 일예로 일반 이용자와 플랫폼 사용자로 구분될 수 있다.The server 10 may provide, for example, a DID application profile and career management service to the user as an additional service. Users using this server 10 (that is, users using this platform) can be divided into, for example, general users and platform users.

일반 이용자는 본 앱을 통해 본 플랫폼에 회원 가입한 후 단순히 본 플랫폼에 라온 영상 시청 및 사이트 둘러보기 등 기본 제공 기능만 이용할 수 있다. 플랫폼 사용자는 본 플랫폼에 회원 가입한 후 DID를 기반으로 신원 증명을 통해 워커시스템(Worker-System) / 인플루언서 시스템(INFLUENCE_SYSTEM) / 투자 및 거래 등 본 플랫폼 주요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After registering as a member of this platform through this app, general users can simply use the basic functions of this platform, such as watching Raon videos and browsing the site. Platform users can use main functions of this platform, such as Worker-System / Influencer System (INFLUENCE_SYSTEM) / Investment and trading, through identity verification based on DID after subscribing to this platform.

워커시스템에 대한 DID 적용에 의하면, 서버(10)는 사용자에게 구인구직 서비스, 이력관리 서비스(기존 이력 - 서류제출 / 플랫폼 사용 후 - 자동적용), 스마트컨트렉트 기반 표준계약서 제공, 급여 서비스, 신뢰 점수 획득 등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DID application to the worker system, the server 10 provides users with job search service, history management service (existing history - document submission / after using the platform - automatic application), smart contract-based standard contract provision, salary service, A service such as obtaining a trust score may be provided.

인플루언서 시스템에 대한 DID 적용에 의하면, 서버(10)는 사용자에게 스마트컨트렉트 기반 표준계약서 제공 서비스, 프로필 업로드 기본용량 제공 (이력 및 영상프로필 업로드 가능), 캐스팅 기회 제공, 워커시스템을 통한 필요 인력 구인 서비스, 개인형 프로젝트 신청시 새로운 수익구조 발생 등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pplication of DID to the influencer system, the server 10 provides the user with a smart contract-based standard contract provision service, basic profile upload capacity (history and video profile upload possible), casting opportunity, and worker system. It can provide services such as recruitment of necessary manpower and generation of new profit structure when applying for individual projects.

본 플랫폼의 주요 기능 중 사용자가 DID 기반으로 이용 가능한 투자 및 거래 기능에 대한 설명은 다음과 같다.Among the main functions of this platform, a description of the investment and trading functions available to users based on DID is as follows.

DID로 신원증명을 마친 플랫폼 사용자들은 프로젝트를 스스로 판단하고 가치 투자를 할 수 있다. 기존에는 기업이나 기관만 투자 가능했던 반면, 본 플랫폼에서는 NFT형 디지털자산을 통해 개인/소액투자가 방송프로그램 등의 프로젝트에 투자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본 플랫폼을 통해 개인형 프로젝트를 구매하면, 사용자는 자신이 좋아하는 인플루언서의 수입을 일부 공유하며 수익을 창출할 수 있다. 또한, 서버를 제공하는 사용자들 또한 본 플랫폼의 디지털자산으로 수익을 창출할 수 있다.Platform users who have completed identification with DID can judge the project themselves and make value investments. Previously, only companies or institutions could invest, but on this platform, individuals/small investors can invest in projects such as broadcast programs through NFT-type digital assets. In addition, when a user purchases a personal project through this platform, the user can generate revenue by sharing some of the income of their favorite influencer. In addition, users who provide servers can also generate revenue with digital assets on this platform.

PoM 알고리즘(즉, PoM 합의 알고리즘(21) 내지 그를 포함하는 PoM 멤버쉽 메커니즘(20))은 본 플랫폼에 참여하는 사용자의 기여도에 따라 보상해주는 시스템을 의미할 수 있다. 이때, 본 플랫폼 내 기여도는 워커시스템이나 인플루언서 시스템, 투자 등에 기반하여 자동산출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PoM 알고리즘을 통해 서버(10)로부터 멤버쉽 등급을 부여받을 수 있다.The PoM algorithm (ie, the PoM consensus algorithm 21 or the PoM membership mechanism 20 including the PoM algorithm 21) may refer to a system that rewards users according to the contribution of users participating in the platform. At this time, the contribution in this platform can be automatically calculated based on the worker system, influencer system, investment, etc., and the user can be given a membership level from the server 10 through the PoM algorithm.

서버(10)는 DID로 신원 증명을 한 사용자에 한하여 회원을 관리할 수 있으며, 이 때문에 회원의 사용기기가 노드로서 역할도 할 수 있으므로 건강한 블록체인 생태계를 지향한다고 할 수 있다. 본 플랫폼은 일예로 아이콘루프, LG CNS 등 DID에 특화되어 있고, 국제표준에 발맞춰 걷고 있는 플랫폼을 활용하여, DID의 적용이 가능하다.The server 10 can manage members only for users who have verified their identities with DID, and because of this, the member's device can also act as a node, so it can be said to aim for a healthy blockchain ecosystem. For example, this platform is specialized for DID, such as Iconloop and LG CNS, and it is possible to apply DID by utilizing platforms that are walking in line with international standards.

2. 스마트컨트렉트 기반 전자계약 서비스2. Smart contract based electronic contract service

서버(10)는 부가서비스로서 일예로 스마트컨트렉트 기반 전자계약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The server 10 may provide, for example, a smart contract based electronic contract service to the user as an additional service.

DID를 적용한 본 플랫폼 내 서비스는 상술한 스마트컨트렉트 기반의 전자계약 서비스의 제공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DID 로 증명된 신원은 디지털 상 신원으로서 효력을 가질 수 있다. 서버(10)는 일예로 중요 계약의 경우 따로 공증을 해놓는 방식으로 운영 가능하며, 국제표준의 수립에 따라 스마트컨트렉트 기반 전자계약 서비스는 법적인 효력을 가질 수 있다. Services within this platform to which DID is applied can enable the above-mentioned smart contract-based electronic contract services to be provided. The identity verified by the DID can be effective as a digital identity. For example, the server 10 can be operated in a way that notarizes important contracts separately, and smart contract-based electronic contract services can have legal effect according to the establishment of international standards.

전자계약서는 개인정보, 기업정보가 표기되는 민감한 문서이기 때문에, 서버(10)는 전자계약서와 관련하여 계약서를 암호화한 코드만 기록되도록 할 수 있다. 서버(10)는 계약서의 경우 메인 서버(일예로 본 서버(10))에 기록되도록 하고 계약서의 코드(계약서의 암호화된 코드)는 블록체인에 기록되도록 할 수 있는바, 보안성과 불변성을 동시에 가질 수 있어 사용자들이 신뢰를 가지고 본 플랫폼을 통해 전자계약을 이용하도록 할 수 있다.Since the electronic contract is a sensitive document in which personal information and corporate information are written, the server 10 may record only the code that encrypts the contract in relation to the electronic contract. The server 10 can have the contract recorded on the main server (eg, the server 10) and the code of the contract (encrypted code of the contract) recorded on the blockchain, which can have security and immutability at the same time. This enables users to use electronic contracts through this platform with trust.

3. 프로젝트 ERP 시스템 서비스3. Project ERP system service

서버(10)는 부가서비스로서 일예로 프로젝트 ERP 시스템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The server 10 may provide a project ERP system service to the user as an example as an additional service.

ERP(Enterprise Resources Planning)는 생산/판매/인사/회계 등의 데이터를 통합관리 함으로써 조직운용의 효율성을 극대화하려는 경영혁신 기법의 하나로 전사적 자원관리시스템을 말한다.ERP (Enterprise Resources Planning) refers to an enterprise-wide resource management system as one of the management innovation techniques to maximize the efficiency of organizational operation by integrating management of data such as production/sales/personnel/accounting.

방송사나 외주제작사는 방송 특성에 맞는 전문적인 ERP 시스템이 존재하고 이를 활용한다. 본 플랫폼에서는 개인형 프로젝트도 추가한 형태의 통합 관리시스템을 운영할 수 있다. Broadcasters and outsourcing production companies have specialized ERP systems suitable for broadcasting characteristics and utilize them. In this platform, it is possible to operate an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in the form of adding personal projects.

본 플랫폼에서는 방송제작사에서 쓰는 일반적인 ERP시스템에 DID와 스마트컨트렉트 기반 스마트계약이 적용된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서버(10)는 개인형 프로젝트와 구분되기는 하지만, 미디어라는 큰 틀 안에서 프로젝트 ERP 시스템을 구축하여 본 플랫폼을 제공할 수 있는바, 사용자들로 하여금 기존과 크게 다르지 않으면서도 보다 편의성은 향상된, 그들에게 익숙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In this platform, DID and smart contract-based smart contract technology can be used in the general ERP system used by broadcasting production companies. Although the server 10 is distinguished from a personal project, it can provide this platform by building a project ERP system within the large framework of media, allowing users to provide them with improved convenience whil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existing ones. It can provide a familiar interface.

4. 프로젝트 전문 관리 서비스4. Professional project management service

서버(10)는 부가서비스로서 일예로 프로젝트 전문 관리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The server 10 may provide, for example, a specialized project management service to the user as an additional service.

미디어 분야는 저작권 및 불법 음란물 등의 뿌리 깊은 문제점을 항상 품고 있다. 이에 본 서버(10)는 DID를 기반으로 하여 사용자들의 신원 관리가 가능함에 따라 상술한 문제점에 대한 1차적인 근절 솔루션의 제공은 가능하나, 보다 확실한 근절을 위해서는 프로젝트 단위로 이를 관리할 전문 관리팀이 필수적으로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이에 서버(10)는 프로젝트 전문 관리팀을 구성할 수 있다. The media field always has deep-rooted problems such as copyright and illegal pornography. Accordingly, as this server 10 can manage the identity of users based on DID, it is possible to provide a primary eradication solution for the above-mentioned problems, but for more reliable eradication, a professional management team to manage it on a project basis judged to be essential. Accordingly, the server 10 may configure a professional project management team.

도 1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을 이용한 미디어콘텐츠 제작 시스템(100) 내 서버(10)에 의한 프로젝트 전문 관리팀(미리 선정된 전문가 집단)의 구성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 11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 configuration of a professional project management team (a group of experts selected in advance) by the server 10 in the media content production system 100 using a block cha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도 11을 참조하면, 서버(10) 내 기획선정/투표 관련 제1 처리부(11)는 일예로 프로젝트 전문 관리팀을 일예로 2개의 그룹(프로그램형 전문관리팀 및 개인미디어 전문관리팀)으로 구성할 수 있다. 구성된 프로젝트전문 관리팀은 도 11에 도시된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며,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1 처리부(11)에 의해 구성되는 프로젝트 전문 관리팀은 일예로 상술한 미리 선정된 전문가 집단을 의미할 수 있다. 즉, 본원에서 프로젝트 전문 관리팀은 전문가 집단 등의 용어로 달리 지칭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1, the first processing unit 11 related to planning/selection/voting in the server 10 may constitute, for example, a project professional management team into two groups (a program type professional management team and a personal media professional management team). . The configured project management team may perform the role shown in FIG. 11,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The professional project management team constituted by the first processing unit 11 may mean, for example, the aforementioned group of experts selected in advance. That is,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professional project management team may be otherwise referred to as a term such as an expert group.

5. AI 서비스5. AI service

서버(10)는 부가서비스로서 일예로 AI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The server 10 may provide an AI service to the user as an example as an additional service.

일예로 서버(10)는 [프로젝트 분야별 광고 매칭 AI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예시적으로 "프로그램형 프로젝트 : 건설 관련 드라마 = 광고주 : 건설업 관련 광고 (기타 관련 소품관련 PPL)", "개인형 프로젝트 : 먹방 = 광고주 : 음식 관련 광고 및 PP" 등과 같은 매칭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server 10 may provide [an advertisement matching AI service for each project field]. According to this, by way of example, matching services such as "program type project: construction-related drama = advertiser: construction-related advertisement (other related prop-related PPL)", "personal project: mukbang = advertiser: food-related advertisement and PP" are provided. It can be.

다른 일예로, 서버(10)는 [영상 시청 AI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해, 서버(10)는 '일반 알고리즘형 영상 제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사용자는 유튜브, 넷플릭스와 같은 자주 시청하는 알고리즘에 따른 영상 시청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서버(10)는 '선택형 영상 제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사용자는 #먹방 #산뜻한 #홈메이드 등의 해시태그 키워드를 통해 자신의 성향을 선택할 수 있고, 선택한 성향에 맞추어 서버(10)로부터 제시되는 영상을 시청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server 10 may provide [video viewing AI service]. In this regard, the server 10 may provide a 'general algorithmic video presentation service', and accordingly, users may be able to watch videos according to frequently viewed algorithms such as YouTube and Netflix. In addition, the server 10 may provide a 'selective video presentation service', whereby the user can select his/her own tendency through hashtag keywords such as #mukbang #refreshing #homemade, and the server according to the selected tendency You can watch the video presented from (10).

또 다른 일예로, 서버(10)는 [PEOPLE in MYMB 플랫폼 AI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해, 서버(10)는 '프로젝트-프로필 매칭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인플루언서(방송인)별 프로필에 제시된 성향, 캐릭터로 연출진이 캐스팅 명단을 제공받을 수 있다. 예시적으로, 연출진이 "#코미디#개성있는#목소리가탁한#30대"로 검색을 수행하면, 서버(10)는 검색을 수행한 해당 연출진에게 그와 관련된 인플루언서의 프로필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서버(10)는 '구인구직 AI 매칭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고, 이를 통해 구직을 원하는 사람이 자신의 성향과 경력을 등록하면 구인을 원하는 사람은 경력 검색을 통해 자신의 성향과 비슷한 사람이 매칭되어 프로필을 제공받을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server 10 may provide [PEOPLE in MYMB platform AI service]. In this regard, the server 10 may provide a 'project-profile matching service', through which the production team can be provided with a casting list based on the propensity and character presented in the profile of each influencer (broadcaster). Exemplarily, when the production team performs a search with "#comedy #personal #voiced #30s", the server 10 may provide a profile of an influencer related to it to the production team performing the search. there is. In addition, the server 10 may provide a 'Job Search AI Matching Service', through which a person seeking a job registers his/her inclination and career, and the person seeking a job seeks a person similar to his/her inclination through a career search. This matching can provide a profile.

구인구직 AI 매칭 서비스에 대해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서버(10)를 이용하는 사용자들 중 구직을 희망하는 제1 사용자(제1 구직자)가 자신의 프로필 정보(일예로, '#코미디#개성있는#목소리가탁한#30#인플루언서')를 포함한 이력 정보를 서버(10)에 등록해 두었다고 하자. 이때, 이력 정보에는 프로필 정보, 직업(직종) 경력 정보, 주소, 연락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사용자(구인 희망자)가 본 서버(10)에 이력 정보를 등록해둔 복수의 구직자 중 자신이 희망하는 성향을 가진 구직자를 찾고자 한다고 하자.An example of job search AI matching service is as follows. Among the users using the server 10, the first user (first job seeker) who wishes to find a job includes his/her profile information (eg, '#comedy #personal #voice #30 #influencer') Assume that history information is registered in the server 10 . In this case, the history information may include profile information, job (occupation) career information, address, contact information, and the like. Also, suppose that a second user (a job seeker) wants to find a job seeker having a desired tendency among a plurality of job seekers whose history information is registered in the server 10 .

이때, 제2 사용자(구인 희망자)는 본 서버(10)의 구인구직 AI 매칭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 제2 사용자(구인 희망자)는 자신이 소지한 단말로 본 앱에 접속하여 구인구직 AI 매칭 서비스 제공 메뉴를 클릭하고, 자신이 찾고자 하는 구직자의 성향 관련 키워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이때, 성향 관련 키워드 정보로서 '30대, 여자, 인플루언서'가 입력된 경우, 서버(10)는 복수의 구직자 중 제2 사용자가 입력한 성향 관련 키워드 정보와 매칭되는 구직자를 검색하고, 검색된 구직자 관련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검색된 구직자가 일예로 제1 사용자라고 하자.At this time, the second user (job seeker) may use the job search AI matching service of the present server 10 . As a specific example, the second user (job seeker) can access this app with his or her own terminal, click the job search AI matching service provision menu, and input keyword information related to the job seeker's propensity he/she wants to find. At this time, when '30s, female, influencer' is input as the keyword information related to the disposition, the server 10 searches for a job seeker matching the keyword information related to the disposition input by the second user among the plurality of job seekers, and finds the searched job seeker. You can provide job seeker-related information. At this time, assume that the searched job seeker is a first user as an example.

서버(10)는 검색된 제1 사용자(구직자) 관련 정보를 제2 사용자의 단말로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서버(10)는 제1 사용자 관련 정보의 제공시, 제1 사용자의 이력 정보(즉, 프로필 정보, 직업 경력 정보, 주소, 연락처 등을 포함한 이력 정보 전체) 내 프로필 정보만 1차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제2 사용자는 1차적으로 서버(10)를 통해 제1 사용자의 프로필 정보만 제공받을 수 있다. 만약, 제2 사용자가 제1 사용자의 프로필 정보를 보고 해당 사용자를 캐스팅하고자 하는 경우, 제2 사용자 단말의 화면 일영역에 제공되는 캐스팅 버튼을 클릭할 수 있다. 서버(10)는 캐스팅 버튼에 대한 제2 사용자의 클릭 입력에 응답하여, 제1 사용자의 단말로 '캐스팅 알림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캐스팅 알림 메시지는 '제2 사용자 님이 캐스팅을 요청했습니다. 수락 하시겠습니까?'와 같은 메시지일 수 있고, 해당 캐스팅 알림 메시지에는 일예로 제2 사용자의 기본 소개 정보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기본 소개 정보는 캐스팅 목적, 직업, 업종 분야 등의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The server 10 may provide the searched first user (job seeker) related information to the terminal of the second user. At this time, when providing the first user-related information, the server 10 primarily provides only the profile information within the first user's history information (that is, the entire history information including profile information, job career information, address, contact information, etc.) can do. The second user may be primarily provided with only profile information of the first user through the server 10 . If the second user views the profile information of the first user and wants to cast the corresponding user, he/she may click a casting button provided on one area of the screen of the second user terminal. The server 10 may provide a 'casting notification message' to the terminal of the first user in response to the second user's click input on the casting button. Here, the casting notification message is 'The second user has requested casting. Do you want to accept?', and the corresponding casting notification message may include, for example, basic introduction information of the second user. Basic introduction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such as casting purpose, occupation, and industry field.

제1 사용자가 캐스팅 알림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수락 응답을 한 경우, 2차적으로 서버(10)는 제2 사용자의 단말로 제1 사용자의 이력 정보(이력 정보 전체)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서버(10)는 제1 사용자가 캐스팅 알림 메시지에 대한 응답을 수락 응답으로 한 경우에 한하여, 제1 사용자가 등록해 둔 모든 이력 정보(프로필 정보, 직업 경력 정보, 주소, 연락처 등 전체)를 제공할 수 있다. 만약, 제1 사용자가 캐스팅 알림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서 거절 응답을 한 경우, 서버(10)는 제2 사용자의 단말로 캐스팅 거절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다.When the first user makes an acceptance response in response to the casting notification message, the server 10 may secondarily provide history information (whole history information) of the first user to the terminal of the second user. That is, the server 10 provides all history information (profile information, job career information, address, contact information, etc.) registered by the first user only when the first user responds to the casting notification message as an acceptance response. can provide. If the first user makes a rejection response as a response to the casting notification message, the server 10 may provide a casting rejection message to the terminal of the second user.

이때, 서버(10)는 제2 사용자가 자신이 원하는 구직자를 보다 빠르게 찾아 캐스팅을 완료(즉, 캐스팅 성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1 사용자에게 캐스팅 알림 메시지를 제공한 이후, 미리 설정된 시간(일예로 1시간) 내에서 미리 설정된 응답 기한(일예로 10분)의 경과시마다 제1 사용자(구직자)의 단말로 재촉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서버(10)는 미리 설정된 응답 기한(10분)의 경과시마다 재촉 알림의 제공시, 제공되는 재촉 알림의 알림 유형을 달리할 수 있으며, 재촉 알림의 반복 제공시 보다 강도가 높은 알림 유형으로 바꾸어 제공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erver 10 provides a casting notification message to the first user in order to allow the second user to find a job seeker he/she wants more quickly and complete casting (ie, casting is successful), and then for a preset time ( A prompt notification may be provided to the terminal of the first user (job seeker) whenever a preset response time period (eg, 10 minutes) within a preset time period (eg, 1 hour) has elapsed. At this time, the server 10 may change the notification type of the prompt notification provided when the prompt notification is provided every time the preset response period (10 minutes) elapses, and when the prompt notification is repeatedly provided, a notification type with a higher intensity is selected. can be provided in exchange.

재촉 알림의 알림 유형에는 일예로 메시지 유형인 제1 알림 유형, 메시지와 진동이 결합된 제2 알림 유형, 메시지와 벨소리가 결합된 제3 알림 유형 및 전화 연결 유형인 제4 알림 유형을 포함할 수 있다.Notification types of the prompt notification may include, for example, a first notification type that is a message type, a second notification type that combines a message and a vibration, a third notification type that combines a message and a ringtone, and a fourth notification type that is a call connection type. there is.

예시적으로, 서버(10)가 오늘 오전 10시에 제1 사용자의 단말로 캐스팅 알림 메시지를 전송했다고 하자. 이때, 서버(10)는 오전 10시 10분 내에 제1 사용자로부터 확인 응답(확인 응답에는 수락 응답 또는 거절 응답이 포함될 수 있음)이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 오전 10시 10분에 제1 사용자의 단말로 캐스팅 알림 메시지에 대한 응답을 재촉하는 재촉 알림을 제1 알림 유형(메시지 형태)로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재촉 알림을 제1 알림 유형으로 제공한 이후 미리 설정된 응답 기한(일예로 10분)이 경과한 오전 10시 20분 내에, 역시나 제1 사용자로부터 확인 응답(즉, 수락 응답 또는 거절 응답)이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 서버(10)는 오전 10시 20분에 재차 캐스팅 알림 메시지에 대한 응답을 재촉하는 재촉 알림을 제2 알림 유형(메시지 제공과 더불어 제1 사용자의 단말에 진동이 발생되도록 하는 유형)으로 제공할 수 있다. 만약, 제2 알림 유형으로 재촉 알림을 제공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제1 사용자가 확인 응답을 하지 않으면, 서버(10)는 또 다시 재촉 알림을 제3 알림 유형으로 제공하고, 이 역시도 확인 응답을 하지 않으면 또 다시 재촉 알림을 제4 알림 유형으로 바꾸어 제공할 수 있다.Illustratively, it is assumed that the server 10 transmits a casting notification message to the terminal of the first user at 10 am today. At this time, if the server 10 does not receive a confirmation response from the first user within 10:10 am (the confirmation response may include an acceptance response or a rejection response), the server 10 determines the terminal of the first user at 10:10 am. A prompting notification for prompting a response to the casting notification message may be provided in the first notification type (message form). At this time, within 10:20 am after the preset response deadline (for example, 10 minutes) has elapsed after the prompt notification is provided as the first notification type, a confirmation response (ie, an acceptance response or a rejection response) is received from the first user. If this is not done, the server 10 sends a prompting notification prompting a response to the casting notification message again at 10:20 am in the second notification type (a type in which vibration is generated in the terminal of the first user in addition to providing a message). ) can be provided. If the first user still does not give an acknowledgment despite providing the prompt notification in the second notification type, the server 10 again provides the prompt notification in the third notification type, and if this also does not give an acknowledgment Again, the prompt notification may be changed to the fourth notification type and provided.

이처럼, 서버(10)는 캐스팅 알림 메시지의 전송 이후 미리 설정된 시간(일예로 1시간) 내에 한하여, 제1 사용자의 확인 응답(수락 응답 또는 거절 응답)이 이루어질 때까지 미리 설정된 응답 기한(일예로 10분) 마다 재촉 알림을 반복적으로 제공하되, 반복적으로 재촉 알림의 제공시 알림 유형을 달리하며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서버(10)는 재촉 알림을 반복 제공하였음에도 불구하고 미리 설정된 시간(일예로 1시간) 내에 제1 사용자의 응답(수락 응답 또는 거절 응답)이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 제1 사용자가 미응답인 것으로 인지하여 제2 사용자(구인 희망자)의 단말로 구직자의 재선택을 요청(즉, 다른 구직자로의 선택을 요청)하는 재선택 요청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server 10 is limited to a predetermined time (eg, 1 hour) after transmission of the casting notification message, until the first user's confirmation response (acceptance response or rejection response) is made. minutes), the prompt notification is repeatedly provided, but when the prompt notification is repeatedly provided, the notification type may be changed and provided. At this time, if the server 10 does not respond (acceptance response or rejection response) within a preset time period (for example, 1 hour) despite repeatedly providing prompt notifications, the first user is a non-response person. and a reselection request message for requesting reselection of the job seeker (that is, requesting selection of another job seeker) may be provided to the terminal of the second user (job seeker).

이처럼, 구직자 단말로 알림 유형을 변경하면서 재촉 알림을 반복 제공함에 따라, 서버(10)는 캐스팅 알림 메시지를 수신한 제1 사용자(구직자)가 캐스팅 알림 메시지에 대하여 보다 빠르게 응답(수락 응답 또는 거절 응답)하도록 유도할 수 있고, 캐스팅 알림 메시지를 수신했음에 대한 인지가 보다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이를 통해 서버(10)는 제2 사용자(구인 희망자)에게 있어서, 자신이 원하는 구직자에 대한 캐스팅을 보다 빠르게 수행(완료)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In this way, as the prompting notification is repeatedly provided while changing the notification type to the job seeker terminal, the server 10 allows the first user (job seeker) who has received the casting notification message to more quickly respond (accept response or rejection response) to the casting notification message. ), and the recognition that the casting notification message has been received can be made more effective. In addition, through this, the server 10 may support the second user (job seeker) to more quickly perform (complete) casting for the job seeker he/she wants.

이하에서는 서버(10)를 통해 제공되는 본 플랫폼(즉, 본원에서 제안하는 플랫폼, 본 시스템(100)에 적용되는 플랫폼)의 구조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structure of the platform provided through the server 10 (that is, the platform proposed herein and the platform applied to the system 10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1. 본 플랫폼의 아키텍처 개요1. Architecture overview of this platform

본 서버(10)에서 콘텐츠(컨텐츠)를 제작하는 과정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크게 두 가지 프로젝트(프로그램형 프로젝트, 개인형 프로젝트)의 상호작용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ocess of producing content (contents) in this server 10 can be largely performed through the interaction of two projects (a program type project and a personal type project).

본 플랫폼의 참여자(일예로, 합의 참여자)는 프로젝트 참여자, 투자자, 일반 사용자 등 소속된 프로젝트 또는 사용자 타입에 따라 소속 그룹을 대표하여 서로 다른 그룹에서 요청되는 트랜잭션을 검증하여 어느 특정 집단에 편향되지 않도록 형평성을 유지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환경에서 각 참여 그룹에 속한 참여자(최종 사용자)의 일부는 플랫폼에서 발생하는 트랜잭션에 대해 유효성을 검증하여 플랫폼의 무결성을 유지하며, 플랫폼의 사용자들에게 일관되고 신뢰성을 제공할 수 있다.Participants in this platform (e.g., consensus participants) represent their groups according to their projects or user types, such as project participants, investors, and general users, to verify transactions requested by different groups so that they are not biased towards any specific group. It can play a role in maintaining equity. In such an environment, some of the participants (end users) belonging to each participating group can maintain the integrity of the platform by validating transactions occurring on the platform, and can provide consistency and reliability to platform users.

플랫폼은 사용자들의 활발한 참여를 유도하며, 사용자의 플랫폼에서의 활동 및 기여도에 따라 차등된 멤버쉽을 운영할 수 있다. 멤버쉽에서 등급은 각 참여 그룹을 대표하여 트랜잭션을 유효성을 검증하기 위한 검증인(Validators)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플랫폼에서는 검증인에 의해 유효성을 검증된 트랜잭션들만 블록화되어 최종 원장으로 저장되고 관리될 수 있다. 검증인 집합(validator set)은 가중 round-robin 방식으로 번갈아 가면서 선출할 수 있다. 검증인은 플랫폼 활동이 높을수록 더 많은 비중을 갖게 되고 이와 비례적으로 지도자로 선출될 가능성이 늘어날 수 있다.The platform induces active participation of users and can operate differentiated membership according to the user's activities and contributions on the platform. In membership, levels can serve as validators to validate transactions on behalf of each participating group. In the platform, only transactions that have been validated by validators can be blocked and stored and managed as the final ledger. Validator sets can be alternately elected in a weighted round-robin manner. The higher the activity of the platform, the more weight the validator has, and the probability of being elected as a leader can increase proportionately.

도 12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을 이용한 미디어콘텐츠 제작 시스템(100)에 적용되는 플랫폼 아키텍처의 전체 구성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12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platform architecture applied to the media content production system 100 using a block cha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도 12를 참조하면, 서버(10)가 제공하는 본 플랫폼(본 시스템에 적용되는 본 플랫폼)은 콘텐츠 제작 플랫폼(미디어콘텐츠 제작 플랫폼)으로서, 일예로 BFT+PoS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하여 본 플랫폼에 필요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2, this platform (this platform applied to this system) provided by the server 10 is a content production platform (media content production platform), for example, based on the BFT + PoS algorithm, function can be provided.

여기서, BFT는 비에프토큰(BnkToTheFuture)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핀테크, 블록체인, 비트코인 등 주식 및 토큰에 투자할 수 있는 BNK 플랫폼에서 발행한 토큰을 의미할 수 있으며,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PoS 알고리즘은 본원에서 제안하는 PoM 멤버쉽 메커니즘(20)을 의미한다.Here, BFT means BnkToTheFuture, which can mean a token issued by the BNK platform that can invest in stocks and tokens such as fintech, block chain, and bitcoin, and a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 The PoS algorithm refers to the PoM membership mechanism 20 proposed herein.

콘텐츠 제작을 위한 본 플랫폼의 전체 구성은 크게 "MYMB Core Platform", "외부 블록체인 플랫폼" 및 "MYMB 확장 시스템들" 간의 통합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본 플랫폼은 "MYMB Core Platform", "외부 블록체인 플랫폼" 및 "MYMB 확장 시스템들"을 포함할 수 있다. 각 구성 요소별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다음과 같다.The overall composition of this platform for content production can be largely composed of an integrated structure between "MYMB Core Platform", "external blockchain platform" and "MYMB extension systems". That is, this platform may include "MYMB Core Platform", "external blockchain platform" and "MYMB extension systems".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function of each component is as follows.

2. 본 플랫폼 아키텍처의 구성요소2. Components of the architecture of this platform

2-1) MYMB Core Platform2-1) MYMB Core Platform

본 플랫폼 내 코어 플랫폼(Core Platform)은 탈중앙화된 분산 밈비 서비스를 위한 블록체인 인프라로서, 사용자의 활동을 기반으로 하는 합의 알고리즘을 통해 사용자 참여형 미디어 제작 플랫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코어 플랫폼은 미디어 제작 또는 사용자 환경에서 토큰 이코노미 환경, 미디어 제작 과정에서의 공정한 계약을 위한 계약 관계 관리 환경, 투명한 광고 계약 관리 환경, 제작된 미디어 파일을 관리하기 위한 미디어 스토리지 기능 등 미디어 제작 환경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업무를 지원하기 위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코어 플랫폼은 다음과 같은 구성요소들을 포함한다.The Core Platform in this platform is a blockchain infrastructure for decentralized distributed Mimbi service, and can provide a user-participating media production platform through a consensus algorithm based on user activity. In addition, the core platform is a media production environment such as token economy environment in media production or user environment, contract relationship management environment for fair contracts in media production process, transparent advertising contract management environment, and media storage function to manage created media files. It can provide an environment to support various tasks that occur in To this end, the core platform includes the following components.

2-1-1) 모듈 방식의 미디어 제작 엔진 아키텍처2-1-1) Modular media production engine architecture

미디어 제작을 중심으로 한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본 서버(10)는 PoM 합의 알고리즘(21) 기반의 블록체인 엔진에 모듈화된 다양한 기능을 추가할 수 있는 아키텍처(즉, PoM 멤버쉽 메커니즘(20))를 채택하여 이용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향후 미디어 제작 환경의 변화에 대하여, 본 플랫폼은 민첩하고 확장적으로 대응 가능할 수 있다.In order to provide various functions centered on media production, this server 10 is an architecture that can add various modular functions to the blockchain engine based on the PoM consensus algorithm 21 (i.e., the PoM membership mechanism 20). ) can be adopted and used. Through this, this platform can respond to changes in the future media production environment in an agile and scalable manner.

개별 모듈은 미디어 제작 환경에서 제공하는 단일 기능이 구현되어 있으며, 코어 엔진(Core Engine)에 해당하는 "Membership mgmt. Engine"에 연결되어 사용자에 대한 활동 정보를 교환하여 본 플랫폼 내의 모든 사용자의 활동에 대하여 활동 점수가 결정되도록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코어 엔진(Core Engine)이라 함은 도 5a에서의 PoM 멤버쉽 메커니즘(20) 내 'PoM 멤버쉽 관리 엔진' 구성과 대응되는 구성을 의미할 수 있다. Each module implements a single function provided by the media production environment and is connected to the "Membership mgmt. It may be set so that an activity score is determined for Here, the core engine may mean a configuration correspon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PoM membership management engine' in the PoM membership mechanism 20 in FIG. 5A.

2-1-2) 멤버쉽 관리 엔진 (코어 엔진)2-1-2) Membership Management Engine (Core Engine)

멤버쉽 관리 엔진(코어 엔진)은 PoM 멤버쉽 메커니즘(20) 내 PoM 멤버쉽 관리 엔진을 의미한다.The membership management engine (core engine) means a PoM membership management engine in the PoM membership mechanism 20 .

멤버쉽 관리 엔진은 본 플랫폼에서 발생하는 모든 사용자들의 활동 정보를 취합 관리하기 위한 모듈일 수 있다. 멤버쉽 관리 엔진은 최종적인 사용자의 플랫폼 점수(활동 점수)를 정책 기반으로 계산하여 관리할 수 있다. 이때, 멤버쉽 등급 관리를 위한 정책은 플랫폼 운영 그룹의 거버넌스 투표에 의해 변경 가능하고, 변경의 적용 즉시 모든 플랫폼의 동작에 반영될 수 있다. 여기서, 일예로 플랫폼 운영 그룹이라 함은 상술한 미리 선정된 전문가 집단일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membership management engine may be a module for collecting and managing activity information of all users occurring on this platform. The membership management engine may calculate and manage the final user's platform score (activity score) based on policies. At this time, the policy for membership level management can be changed by a governance vote of the platform operation group, and the change can be reflected in the operation of all platforms immediately after application. Here, as an example, the platform operation group may be the aforementioned expert group selected in advance, but is not limited thereto.

멤버쉽 관리 엔진은 멤버쉽 정책 거버넌스 정도를 블록체인의 트랜잭션으로 저장하여 투명성이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멤버쉽 관리 엔진은 한 사용자에 대한 멤버쉽 등급의 산정 근거를 해당 시점의 멤버쉽 정책 정보와 함께 블록체인에 기록하여 관리할 수 있다.The membership management engine can store the degree of membership policy governance as a transaction on the blockchain to ensure transparency. In addition, the membership management engine can record and manage the basis for calculating the membership level for one user along with the membership policy information at that time in the blockchain.

2-1-3) 모듈화된 엔진 리스트 (필요에 따른 모듈 추가 가능)2-1-3) Modular engine list (modules can be added as needed)

서버(10)는 PoM 합의 알고리즘(21) 기반의 블록체인 엔진에 모듈화된 다양한 기능을 추가할 수 있는 아키텍처로서 PoM 멤버쉽 메커니즘(20)을 채택하여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모듈화된 다양한 기능은 후술하여 설명하는 모듈화된 엔진들(Token Economy, Contract mgmt., Personal Career mgmt., Media file mgmt., AD 매칭 서비스)에 의해 제공되는 기능을 의미할 수 있다.The server 10 can adopt and use the PoM membership mechanism 20 as an architecture that can add various modular functions to the blockchain engine based on the PoM consensus algorithm 21. Here, various modularized functions may refer to functions provided by modularized engines (Token Economy, Contract mgmt., Personal Career mgmt., Media file mgmt., AD matching service) to be described later.

'토큰 이코노미(Token Economy)' 엔진은, 본 플랫폼 내에서 통용되게 되는 다양한 토큰의 발행/관리 기능을 구현한 엔진으로서, 멤버쉽 엔진과 함께 토큰 이코노미를 동작하게 하는 핵심 기능을 가질 수 있다. 토큰 이코노미 엔진은 토큰의 상호 교환을 위한 스와핑(Swapping, 스왑) 기능도 함께 구현하여 제공할 수 있다.The 'Token Economy' engine, as an engine that implements issuance/management functions of various tokens to be used within this platform, may have a core function that operates the token economy together with the membership engine. The token economy engine can also implement and provide a swapping function for mutual exchange of tokens.

토큰 이코노미는 행동심리학에서 처음 등장한 용어로서 토큰 >>> 보상 >>> 강화로 발전되어가며, 참여자는 토큰 이코노미에서 생태계를 발전시키는 가치상승 행위를 하고 그 보상으로 토큰을 받을 수 있다.Token economy is a term that first appeared in behavioral psychology and develops with token >>> compensation >>> reinforcement, and participants can receive tokens as a reward for performing value-raising activities that develop the ecosystem in token economy.

'컨트랙트 관리(Contract mgmt.) 엔진은, 본 플랫폼을 통해 미디어 제작 프로젝트가 진행되는 동안 발생되는 다양한 계약 활동에 대한 표준 계약 프로세스를 관리하여 공정한 거래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해당 엔진은 스마트 컨트랙트 기능을 활용하여 다양한 목적에 맞는 표준 계약 프로세스를 관리할 수 있다. The 'Contract mgmt.' engine can enable fair trade by managing standard contract processes for various contract activities that occur during media production projects through this platform. The engine can utilize smart contract functions to manage standard contract processes for various purposes.

'개인 이력 관리(Personal Career mgmt.) 엔진은, 본 플랫폼을 통해 제공되는 미디어 제작 환경에서 고려되는 다양한 참여자들(일예로, 스태프, 배우, 제작자, 투자자 등)에 대한 이력 관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개인 이력 관리 엔진은 본 플랫폼의 활동에 따른 멤버쉽 관리를 위한 핵심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모듈로서 동작할 수 있다.The 'Personal Career mgmt.' engine can perform the career management function for various participants (eg, staff, actors, producers, investors, etc.) considered in the media production environment provided through this platform. there is. The personal history management engine can operate as a module for generating core data for membership management according to activities of this platform.

'미디어 파일 관리(Media file mgmt.) 엔진은, 본 플랫폼에 의하여 프로젝트를 통해 만들어지는 최종 미디어 영상 파일의 저장/관리와 라이센스 관리를 위한 엔진을 의미할 수 있다. 미디어 파일 관리 엔진은 미디어에 대한 접근 관리, 라이센스 관리, 외부 OTT 및 스트리밍 환경과의 연동을 위한 기능 등을 수행할 수 있다.The 'media file management engine (Media file mgmt.)' may refer to an engine for storage/management and license management of final media image files created through a project by this platform. The media file management engine can perform functions such as media access management, license management, and linkage with external OTT and streaming environments.

'AD 매칭 서비스' 엔진은, 서버(10)를 이용하는 사용자에게 워커시스템에 의한 스태프 추천 및 프로젝트 제안이나, 광고 계약 관리를 위한 모듈을 의미할 수 있다. AD 매칭 서비스 엔진의 아키텍처는 일예로 도 13에 도시된 것과 같을 수 있다.The 'AD matching service' engine may mean a module for staff recommendation and project proposal by the worker system to users using the server 10, or advertisement contract management. The architecture of the AD matching service engine may be as shown in FIG. 13 as an example.

도 13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을 이용한 미디어콘텐츠 제작 시스템(100)에 적용되는 플랫폼 내 구성 요소 중 AD 매칭 서비스 엔진의 아키텍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13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e architecture of an AD matching service engine among components in a platform applied to the media content production system 100 using a block cha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을 참조하면, AD 매칭 서비스 엔진은 AI 매칭 엔진(인공지능 매칭 엔진)을 이용하여 광고 매칭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AD 매칭 서비스 엔진은 AI의 개인화된 분석 데이터를 이용하여, 본 서버(10)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요구(니즈, Need)에 따른 매칭 서비스를 가능하게 하고, 토큰 이코노미에 의해 광고주와 광고 소비자들 간에 광고비에 대한 보상이 이루어지도록 제공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3 , the AD matching service engine may provide an advertisement matching service using an AI matching engine (artificial intelligence matching engine). In particular, the AD matching service engine uses AI's personalized analysis data to enable matching services according to the user's needs (needs) using this server 10, and advertisers and advertising consumers by token economy. It can be provided so that compensation for advertising expenses is made between

AI 매칭 엔진은 본 시스템(혹은 본 플랫폼)에 저장되어 있는 다양한 개인 이력, 광고 이력 데이터를 기준으로 매칭 모델을 학습하여 만들어내고, 학습된 매칭 모델은 다시 저장소에 저장되어 매칭 서비스(AD 매칭 서비스)의 실행시 사용될 수 있다.The AI matching engine learns and creates a matching model based on various personal history and advertisement history data stored in this system (or this platform), and the learned matching model is stored in the storage again to provide a matching service (AD matching service) can be used during execution of

여기서, 매칭 모델로는 일예로 딥러닝 모델이 적용될 수 있다. 딥러닝 모델은 인공지능(AI) 알고리즘 모델, 기계학습(머신러닝) 모델, 신경망 모델(인공 신경망 모델), 뉴로 퍼지 모델 등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딥러닝 모델로는 예시적으로 컨볼루션 신경망(Convolution Neural Network, CNN, 합성곱 신경망), 순환신경망(RNN, Recurrent Neural Network), 딥 신경망(Deep Neural Network) 등 종래에 이미 공지되었거나 향후 개발되는 다양한 신경망 모델이 적용될 수 있다.Here, as an example, a deep learning model may be applied as the matching model. The deep learning model may mean an artificial intelligence (AI) algorithm model, a machine learning (machine learning) model, a neural network model (artificial neural network model), a neuro fuzzy model, and the like. In addition, as examples of deep learning models, convolutional neural networks (CNNs), recurrent neural networks (RNNs), deep neural networks, etc. have been previously known or developed in the future. A variety of neural network models can be applied.

2-1-4) 미디어 스토리지 관리 기능2-1-4) Media storage management function

서버(10)는 본 플랫폼을 통해 제작 완료된 미디어콘텐츠들을 파일 단위로 관리할 수 있으며, 본 플랫폼에서 지원하는 스토리지에 분산 저장하여 관리할 수 있다. 미디어 스토리지 관리 기능은 일예로 도 12에 도시된 본 플랫폼 내 코어 플랫폼(Core Platform)의 "파일 공유 통합 계층(File sharing integration layer)"에서 구현될 수 있다.The server 10 can manage media contents that have been produced through this platform in units of files, and can distribute and store them in storage supported by this platform for management. The media storage management function may be implemented, for example, in a "file sharing integration layer" of the Core Platform in the present platform shown in FIG. 12 .

[본 플랫폼이 지원하는 스토리지]는 일예로 클라우드 기반 오브젝트 스토리지, IPFS, 플랫폼 참여자에 의해 기부(Contribution)된 스토리지, 이중 사용자가 제공하는 스토리지의 경우 플랫폼 기여도에 따른 보상이 이루어지도록 설계된 스토리지 등이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Storage supported by this platform] includes, for example, cloud-based object storage, IPFS, storage contributed by platform participants, and storage designed to compensate for platform contributions in the case of storage provided by dual users. It may, but is not limited thereto.

미디어 스토리치 관리 기능에 의하면, 본 플랫폼은 분산화된 미디어 파일 관리 기능(DHT 기반 파일 관리), 파일 입/출 및 ACL관리 기능, 미디어콘텐츠 라이센스 관리 기능, 외부 OTT 연동 기능 등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media storage management function, this platform can provide users with a decentralized media file management function (DHT-based file management), file entry/exit and ACL management function, media content license management function, and external OTT linkage function. there is.

2-1-5) 레거시 미디어 제작 시스템 및 개인 이력 연동 기능2-1-5) Legacy media production system and personal history linkage function

본 플랫폼은 레거시 미디어 제작 시스템 및 개인 이력 연동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는 기존 미디어 제작환경을 지원하던 다양한 시스템의 데이터를 본 플랫폼으로 편입하기 위한 목적의 연동 기능으로서, 본 플랫폼에서 처리 가능한 형태의 데이터로 변환하여 마이그레이션하며, MYMB 확장 시스템(Extended System) 중 하나인 "미디어 생산 시스템(Media production system)"과 데이터를 공유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기능을 통해, 본 플랫폼은 전산화 되어 있지 않은 개인 경력 데이터를 수기 입력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는바, 기존 오프라인 방식으로 체계적으로 관리되지 못하던 개인 경력 관리를 본 플랫폼 상에서 통합 관리 가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This platform can provide legacy media production system and personal history interworking function. This is an interlocking function for the purpose of incorporating data from various systems that supported the existing media production environment into this platform, converting and migrating data in a form that can be processed on this platform, and It can share data with "Media production system". In addition, through these functions, this platform can provide an interface for handwriting input of personal career data that is not computerized, enabling integrated management of personal career management, which was not systematically managed in the existing offline method, on this platform. can support you to do it.

레거시 미디어 제작 시스템 및 개인 이력 연동 기능에 의하면, 본 플랫폼은 기존 데이터 마이그레이션 변환 기능, 개인 이력 전산화 입력 기능 등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legacy media production system and personal history linking function, this platform can provide existing data migration conversion function, personal history computerized input function, and the like.

2-2) 외부 블록체인 플랫폼2-2) External blockchain platform

본 플랫폼 내 외부 플록체인 플랫폼은, 본 플랫폼의 기능을 지원하거나 외부 암호화폐 연동을 위한 외부 블록체인과 본 플랫폼 내에서 기본적으로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는 DID 플랫폼을 연동하기 위한 목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The external blockchain platform within this platform is used for the purpose of linking the external blockchain for supporting the function of this platform or linking external cryptocurrency with the DID platform, which is used for basic user identification within this platform. It can be.

외부 플랫폼들은 "외부 블록체인 통합 서비스(External Blockchain Integration Services)"를 통해 통합/연동될 수 있다. 본 플랫폼에서는 외부 DID 네트워크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의 전자지갑은 이 서비스(외부 블록체인 통합 서비스)를 통해 사용자 계정 관리가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외부 블록체인 플랫폼은 국가 차원의 CBDC 등의 생성이 이루어지면, 본 플랫폼 내의 토큰 스와핑(Swapping) 기능을 통해 다양한 외부 화폐와의 교환이 가능하게 중간 연동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External platforms can be integrated/interlocked through "External Blockchain Integration Services". In this platform, an external DID network can be used, and accordingly, the user's e-wallet may be able to manage user accounts through this service (external blockchain integration service). In addition, an external blockchain platform can provide an intermediary linkage function that enables exchange with various external currencies through a token swapping function within this platform when a national level CBDC is created.

2-3) MYMB 확장 시스템2-3) MYMB expansion system

본 플랫폼에 포함된 MYMB 확장 시스템은 미디어 제작 업무 프로세스 관리 및 미디어 라이센스/광고 관리를 위한 업무 시스템들을 의미할 수 있다. MYMB 확장 시스템은 프로젝트 진행에 따른 개인 경력 데이터 및 표준 계약관리 기능에 따른 계약 정보를 본 플랫폼과 공유할 수 있다.The MYMB expansion system included in this platform may mean work systems for media production work process management and media license/advertisement management. The MYMB expansion system can share personal career data according to project progress and contract information according to standard contract management function with this platform.

이하에서는 본 시스템(100)에서 고려되는 PoM 합의 알고리즘(21)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oM consensus algorithm 21 considered in the present system 100 will be described.

도 14 및 도 15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을 이용한 미디어콘텐츠 제작 시스템(100) 내 서버(10)가 이용하는 PoM 멤버쉽 메커니즘(20) 내 PoM 합의 알고리즘(21)에 의해 이루어지는 합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특히, 도 14는 PoM 합의 알고리즘(21)이 활동에 따른 합의를 수행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는 PoM 합의 알고리즘(21)이 거버넌스 투표 기반 합의를 수행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4 and 15 illustrate an agreement made by the PoM consensus algorithm 21 in the PoM membership mechanism 20 used by the server 10 in the media content production system 100 using a block cha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It is a drawing for In particular, FIG. 14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process in which the PoM agreement algorithm 21 performs an agreement according to activities. 15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process in which the PoM consensus algorithm 21 performs a governance vote-based consensus.

도 5a,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 서버(10)는 PoM 합의 알고리즘(21)을 포함하는 기 정의된 PoM 멤버쉽 메커니즘(20)을 이용하여 본 플랫폼을 이용하는 사용자에게 보상을 지급할 수 있다. 또한, 서버(10)의 제1 처리부(11)는 제작 대상 기획서의 선정을 위한 투표를 수행할 때, PoM 합의 알고리즘(21)을 이용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5A, 14 and 15, the server 10 may use a predefined PoM membership mechanism 20 including a PoM consensus algorithm 21 to provide rewards to users using the present platform. . In addition, the first processing unit 11 of the server 10 may use the PoM consensus algorithm 21 when performing a vote to select a production target proposal.

구체적으로, PoM(Proof of Merge) 합의 알고리즘(21)은 활동에 의해 합의를 도출하는 알고리즘을 의미할 수 있다. 본 플랫폼에서 합의는 통상적인 업무 시 활동에 따른 블록체인 노드에서의 합의(즉, 활동에 따른 합의)와 미디어 제작 환경의 의사결정 과정을 위한 거버넌스 투표 기반의 합의(즉, 거버넌스 투표 기반 합의)로 이루어질 수 있다.Specifically, the PoM (Proof of Merge) consensus algorithm 21 may refer to an algorithm that derives consensus through activities. Consensus in this platform consists of consensus at the blockchain node according to normal business activities (i.e. activity-based consensus) and governance voting-based consensus for the decision-making process in the media production environment (i.e. governance vote-based consensus). It can be done.

[활동에 따른 합의][Agreement according to activities]

서버(10)는 PoM 합의 알고리즘(21)을 통해 활동에 따른 합의 수행시, 일예로 도 14에 도시된 구조를 기반으로 합의를 수행할 수 있다.When performing an agreement according to activities through the PoM agreement algorithm 21, the server 10 may perform an agreement based on the structure shown in FIG. 14, for example.

분산되어 있는 노드들 중에는 프로젝트별로 논리적으로 구분되어 지는 노드들의 집합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노드들은 본 서버(10)를 이용하는 사용자들을 의미할 수 있다.Among the distributed nodes, there may be a set of nodes that are logically divided by project. Here, the nodes may mean users using the present server 10 .

본 플랫폼은 트랜잭션들을 처리하는 합의 시점에서 다음과 같은 절차로 합의를 수행할 수 있다. 활동에 따른 합의를 위해, 서버(10)는 노드 그룹 중 무작위로 검증 노드를 선출(step 1)할 수 있다. 이때, 검증 노드의 선출은 본 플랫폼의 선출 정책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고, 정책의 변경은 거버넌스 투표에 의해 변경 가능할 수 있다. 이후, 서버(10)는 선출된 노드에 바인딩되어 있는 사용자들의 멤버쉽 등급에 따라 권한 증명을 수행함으로써 합의를 수행(step 2)할 수 있다. 이때, 선출된 노드들은 합의를 완료하여 블록을 생성하고 나머지 노드들에게 전파할 수 있다.At the point of agreement processing transactions, this platform can perform the agreement through the following procedure. For consensus based on activity, the server 10 may randomly select a verification node from among the node groups (step 1). At this time, the election of the verification node can be made by the election policy of this platform, and the change of policy can be changed by governance voting. Thereafter, the server 10 may perform an agreement (step 2) by performing authority verification according to membership levels of users bound to the elected node. At this time, the elected nodes can complete the consensus, generate a block, and propagate it to the rest of the nodes.

즉, 활동에 따른 합의는 다수의 검증 노드들을 프로젝트별 논리적 묶음으로써 관리될 수 있고, 실제 합의 시에는 검증 노드들 중 정책에 따라 무작위로 선출하여 대표 검증 노드를 추출해내는 로직으로 수행될 수 있다.That is, consensus according to activities can be managed by logically grouping a plurality of verification nodes for each project, and in case of actual agreement, it can be performed by logic that extracts representative verification nodes by randomly selecting verification nodes according to policies.

[거버넌스 투표 기반 합의][Governance vote-based consensus]

서버(10)는 PoM 합의 알고리즘(21)을 통해 거버넌스 투표 기반 합의 수행시, 일예로 도 15에 도시된 구조를 기반으로 합의를 수행할 수 있다.The server 10 may perform an agreement based on the structure shown in FIG. 15 as an example when performing a governance vote-based agreement through the PoM agreement algorithm 21.

본 플랫폼에서 멤버쉽의 등급이나 합의 시 검증 노드 선출 로직 등은 정책 기반으로 플랫폼이 확장되고 발전됨에 따라 사용자들에 의해서 변경되어 반영되어야 한다. 이는 본 플랫폼의 근본 동작 메커니즘에 영향을 주므로 다수의 사용자나 운영자를 대표하여 결정된 로직으로 본 플랫폼이 동작하도록 하여야 하며, 이는 거버넌스 투표를 통해 변경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달리 말해, 본 플랫폼에서 멤버쉽의 등급이나 합의시 이루어지는 검증 노드 선출 로직 등은 일예로 거버넌스 투표를 통해 변경될 수 있다. In this platform, the membership level or verification node election logic at the time of agreement must be changed and reflected by users as the platform expands and develops based on policy. Since this affects the fundamental operation mechanism of this platform, it is necessary to make this platform operate with the logic determined on behalf of a number of users or operators, which can allow changes to be made through governance voting. In other words, the level of membership in this platform or the logic for selecting verification nodes at the time of agreement can be changed through, for example, governance voting.

거버넌스 투표 절차는 프로포절 제출 - 투표 - 투표 상속 - 담보금 클레임 절차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governance voting procedure may consist of proposal submission - voting - voting inheritance - collateral claim procedure.

프로포절 제출 (Proposal Submission) 절차의 경우, 위임 여부와 관계없이 검증자는 트랜잭션 검증을 위한 제안을 제출할 수 있다. 특정 조건<조건 설계 필요>이 충족되면 검증자들은 트랜잭션 검증을 위한 투표를 시작할 수 있다.In the case of the Proposal Submission procedure, the verifier can submit a proposal for transaction verification regardless of whether it is delegated or not. When certain conditions <Condition Design Required> are met, validators can start voting for transaction verification.

투표 (Vote) 절차의 경우, 투표 기간이 시작되면, 검증인과 위임자가 해당 프로포절 네가지 중 한 가지를 선택하여 투표할 수 있다. 투표 옵션은 YES (찬성), NO (부정), NoWithVeto (강한 부정), Abstain (기권)으로 나누어질 수 있다.In the case of the voting process, once the voting period begins, validators and delegators can vote on one of the four proposed proposals. Voting options can be divided into YES (for), NO (negative), NoWithVeto (strong negative), and Abstain (abstain).

투표 상속 절차의 경우, 위임자는 직접 투표하지 않아도, 본인이 위임한 검증인이 선택한 투표를 그대로 물려받게 될 수 있다. 만약에 검증인이 YES 투표를 하면, 투표하지 않은 위임인도 YES로 자동으로 선택될 수 있다. In the case of the vote inheritance procedure, the delegator can inherit the vote chosen by the validator he or she delegated without directly voting. If a validator votes YES, delegators who did not vote can be automatically selected as YES.

담보금 클레임 (Claiming Deposit) 절차의 경우, 거버넌스 제안이 통과되거나, 한 번도 투표 기간에 진입한 적이 없으면, 프로포절에 제출했던 담보금을 모두 돌려받게 될 수 있다. 이때 토큰 이코노미 설계 시 투표 담보금 관련 설계 제공이 필요할 수 있다.In the case of the Claiming Deposit process, if the governance proposal passes or has never entered the voting period, any deposit submitted to the proposal may be returned. At this time, when designing the token economy, it may be necessary to provide a design related to voting collateral.

PoM 멤버쉽 메커니즘(20)에 대한 설명은 도 5a 를 참조하여 보다 쉽게 이해될 수 있다. PoM 멤버쉽 메커니즘(20)은 PoM 알고리즘 멤버쉽 메커니즘, 블록체인 기반 멤버쉽 관리 장치 등으로 달리 지칭될 수 있다.A description of the PoM membership mechanism 20 can be more easily understood with reference to FIG. 5A. The PoM membership mechanism 20 may be otherwise referred to as a PoM algorithm membership mechanism, a blockchain-based membership management device, and the like.

PoM 멤버쉽 메커니즘(20)은 참여자의 멤버쉽 등급에 따른 합의를 수행할 수 있으며, 이때의 합의는 상술한 PoM 합의 알고리즘(21)과 멤버쉽 관리 엔진(Membership mgmt. Engine) 컴포넌트가 함께 동작함으로써 합의 과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The PoM membership mechanism 20 can perform an agreement according to the membership level of the participants, and the agreement at this time is achieved by operating the above-described PoM agreement algorithm 21 and the membership management engine (Membership mgmt. Engine) component together. It can be done.

PoM 멤버쉽 메커니즘(20)은 플러그인 방식의 모듈화된 엔진들에 의해 발생된 멤버쉽 산정을 위한 데이터를 수집하여 거버넌스 투표에 의해 변경되거나 결정될 수 있는 멤버쉽 정책에 따라 각 사용자의 멤버쉽 등급을 산정할 수 있다. PoM 멤버쉽 메커니즘(20)은 산정된 멤버쉽 등급을 블록체인에 저장하여 관리할 수 있다.The PoM membership mechanism 20 can calculate the membership level of each user according to a membership policy that can be changed or determined by governance voting by collecting data for calculating membership generated by plug-in modular engines. The PoM membership mechanism 20 can store and manage the calculated membership level in the blockchain.

PoM 합의 알고리즘(21)은 트랜잭션 발행 시 멤버쉽 관리 엔진으로부터 검증 노드 대상 정보를 조회하여 검증 노드를 선출하고 합의 과정을 거칠 수 있다.When issuing a transaction, the PoM consensus algorithm 21 retrieves the verification node target information from the membership management engine, selects a verification node, and can go through a consensus process.

도 16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을 이용한 미디어콘텐츠 제작 시스템(100)의 시스템 레이어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즉, 도 16은 본 플랫폼의 시스템 레이어 구조를 나타낸다.16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ystem layer structure of a media content production system 100 using a block cha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at is, FIG. 16 shows the system layer structure of this platform.

도 16을 참조하면, 본 시스템(100, 미디어 콘텐츠 제작 시스템)은 클라우드 환경을 기반으로 하여 글로벌화된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인프라스트럭처를 구성할 수 있다. 본 시스템(즉 본 플랫폼)의 시스템 레이어는 크게 Media file storage layer, Blockchain Platform layer, MYMB Service layer, MYMB Extended 서비스 레이어로 이루어질 수 있다.Referring to FIG. 16 , the present system (media content production system 100) may configure an infrastructure to enable globalized services based on a cloud environment. The system layer of this system (ie, this platform) can be largely composed of Media file storage layer, Blockchain Platform layer, MYMB Service layer, and MYMB Extended service layer.

미디어 파일 스토리지 레이어(Media file storage layer)는 클라우드 기반 오브젝트 스토리지, IPFS 등 분산된 스토리지 서비스를 위한 레이어일 수 있다. 이는 플랫폼 활동을 높이기 위해 사용자 또는 사용 그룹이 제공하는 스토리지도 포함하여 서비스가 가능하다.A media file storage layer may be a layer for distributed storage services such as cloud-based object storage and IPFS. This service can also include storage provided by users or groups of users to increase platform activity.

블록체인 플랫폼 레이어(Blockchain Platform layer)는 본원에서 제안하는 블록체인 플랫폼(즉, PoM 멤버쉽 메커니즘(20))이 운영되는 레이어를 의미할 수 있다.The blockchain platform layer may refer to a layer in which the blockchain platform (ie, the PoM membership mechanism 20) proposed herein is operated.

DID 레이어(DID layer)는 사용자 개인 인증 및 개인 데이터 등을 관리하기 위한 레이어로서, 글로벌 서비스가 가능한 다양한 DID 플랫폼을 활용할 수 있다.The DID layer is a layer for managing user personal authentication and personal data, and various DID platforms capable of global service can be utilized.

MYMB 서비스 레이어(MYMB Service layer)는 대시보드 서비스 및 MYMB 확장(Extended) 서비스 등이 운영되는 최상단 레이어로서, 사용자를 위한 인터페이스들을 제공할 수 있다.The MYMB service layer is the uppermost layer in which the dashboard service and the MYMB extended service are operated, and may provide interfaces for users.

한편, 본 시스템(100)은 DID를 이용하여 사용자들의 이력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본 시스템(100)에 적용되는 DID 관련 서비스 아키텍처는 도 17을 참조하여 보다 쉽게 이해될 수 있다.Meanwhile, the present system 100 may perform history management of users using the DID. The DID-related service architecture applied to the present system 100 can be more easily understood with reference to FIG. 17 .

도 17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을 이용한 미디어콘텐츠 제작 시스템(100)에 적용되는 DID 서비스 아키텍처의 구조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17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tructural example of a DID service architecture applied to the media content production system 100 using a block cha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도 17을 참조하면, 본 시스템(100)에서는 전자지갑에서 사용하는 개인키가 DID 기반으로 서로 다른 사용자들이 상대방의 개인 정보를 유추하지 못하게 기밀성을 유지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7, in this system 100, the private key used in the electronic wallet can be designed based on DID to maintain confidentiality so that different users cannot infer the other party's personal information.

또한, 본 시스템(100)에서는 관리되는 사용자의 이력 데이터만으로는 연관되어 있는 사용자 정보를 찾을 수 없게 하고, 오직 사용자의 전자지갑의 키를 통해서만 연관성을 가지는 기능이 제공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system 100, it is possible to make it impossible to find related user information only with the managed user's history data, and to provide a function having a correlation only through the key of the user's electronic wallet.

서버(10)는 DID 네트워크에서 발행하는 유일한 아이디를 기준으로, 본 플랫폼에서 발생되는 사용자 개인의 이력 정보(일예로, 사용자가 본 플랫폼을 통해 참여한 프로젝트 이력 등의 정보)를 블록체인에 저장할 수 있다.The server 10 can store the user's personal history information generated on this platform (eg, information such as project history that the user participated through this platform) in the blockchain based on the unique ID issued by the DID network. .

이때, 블록체인에 저장되는 이력 정보에는 개인을 지칭할 수 있는 정보를 제외한 프로젝트 활동 정보와 대응되는 DID만 저장될 수 있다. 서버(10)는 향후 사용자가 자신의 이력을 증명해야 할 때 전자지갑에 있는 DID를 포함하는 키를 이용하여 증명하도록 할 수 있다. 서버(10)는 프로젝트의 경우 블록체인에 기록된 정보를 DID 키 값으로 검색하여 저작권 증명이 가능하도록 제공할 수 있다.At this time, in the history information stored in the blockchain, only the DID corresponding to the project activity information excluding information that can refer to an individual may be stored. The server 10 may allow the user to prove his or her history using a key including the DID in the electronic wallet when the user needs to prove his/her history in the future. In the case of a project, the server 10 may retrieve information recorded in the blockchain with a DID key value and provide it so that copyright proof can be provided.

DID 환경에서 사용자는 신원의 소유자, 발급자, 검증자로 구분될 수 있으며, 본 플랫폼에서는 DID 환경이 개인 이력 데이터를 검증하거나 발급하는 서로 다른 사용자가 사용하는 하나의 환경일 수 있다. In the DID environment, users can be classified as the owner, issuer, and verifier of the identity, and in this platform, the DID environment can be one environment used by different users who verify or issue personal history data.

소유자가 검증을 받고자 하는 데이터를 본 플랫폼(즉, 본 서버(10))에 요청하면, 이에 응답하여 서버(10)는 "외부 블록체인 통합 서비스(External Blockchain Integration Services)"의 "DID 백엔드 서비스(DID Backend Service)"를 통해 외부 DID에 요청을 보낼 수 있으며, DID 표준에 따라 요청문(Request Payload)에 명시되어 있는 서비스 엔드포인트(Service endpoint)의 경로에 따라 다시 본 플랫폼의 "DID Backend Service"로 외부 DID 가 검증 또는 발급을 위한 요청을 보낼 수 있다. DID가 보내는 요청의 대상은 발급자 또는 검증자일 수 있다.When the owner requests data to be verified to this platform (ie, this server 10), in response, the server 10 provides the "DID backend service (external blockchain integration services)" A request can be sent to an external DID through the "DID Backend Service", and according to the DID standard, the "DID Backend Service" of the platform can be returned according to the path of the service endpoint specified in the request payload. With , an external DID can send a request for verification or issuance. The target of the request sent by the DID can be either the issuer or the verifier.

본 플랫폼(본 서버(10))은 이 요청을 처리하기 위해 담당자에게 노티를 통해 알려줄 수 있으며, 검증이나 발급의 동작이 일어났을 때 요청의 역순으로 최초 검증을 요청한 소유자에게 결과를 알려줄 수 있고, 처리 결과 내용은 블록체인이나 필요에 따라 외부 제작 시스템에 저장되도록 할 수 있다.This platform (this server 10) can inform the person in charge through a notification to process this request, and when the verification or issuance operation occurs, it can notify the owner who requested the initial verification in the reverse order of the request, The contents of the processing result can be stored in the blockchain or an external production system if necessary.

도 18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을 이용한 미디어콘텐츠 제작 시스템(100)에 적용되는 플랫폼(본 플랫폼)의 이코노미 시스템 구조(이코노미 시스템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18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n economy system structure (economy system structure) of a platform (this platform) applied to the media content production system 100 using a block cha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도 18을 참조하면, 먼저 본 플랫폼에서 고려되는 디지털자산의 종류는 다음과 같다. 달리 표현해, 서버(10)가 취급하는 디지털자산의 종류로는 크게 플랫 자산(Flat Asset) 및 퍼블릭 디지털자산이 포함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8, the types of digital assets considered in this platform are as follows. In other words, the types of digital assets handled by the server 10 may largely include flat assets and public digital assets.

[플랫 자산][flat asset]

플랫 자산에는 법정화폐 및 스테이블 코인(aka. CBDC)이 포함될 수 있다. 플랫은 법정 통화를 기반으로 적립금(Reserve) 형태의 실제 자산에 의해 뒷받침되어 발행하는 가상자산을 의미한다.Flat assets can include fiat currencies and stablecoins (aka. CBDC). Flat refers to virtual assets issued backed by real assets in the form of reserves based on legal currency.

플랫 자산의 필요성을 살펴보면, 본 플랫폼은 기본적으로 블록체인 기반의 플랫폼이다. 하지만 프로젝트 진행단계에서 일하는 사람들은 블록체인에 대해 이해도가 부족하거나, 디지털자산에 대한 신뢰도가 부족할 가능성이 있다. 또한 퍼블릭 디지털자산의 경우 가격의 등락이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이를 고려하여 본 서버(10)는 자산의 변동성을 원치 않는 사용자들이 플랫 자산을 선택할 수 있도록 제공할 수 있다. Looking at the need for flat assets, this platform is basically a blockchain-based platform. However, there is a possibility that people working in the project progress lack understanding of blockchain or lack trust in digital assets. In addition, since there may be price fluctuations in the case of public digital assets, in consideration of this, the server 10 can provide users who do not want asset volatility to select flat assets.

법정화폐와 관련해, 본 플랫폼은 법정화폐를 통장으로 바로 인출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갖추고 있을 수 있다. 달리 표현해, 서버(10)는 사용자가 법정화폐를 통장으로 바로 인출 가능하도록 제공할 수 있다. 일예로 서버(10)는 사용자가 본 앱에서 통장 인증을 해 놓은 경우, 필요한 금액만큼 바로 인출이 가능하도록 제공할 수 있고, 출금 또한 자유롭게 할 수 있도록 제공할 수 있다. 서버(10)는 사용자가 본 플랫폼에서 발생하는 수익을 법정화폐로 인출 가능하도록 제공할 수 있다.Regarding fiat currency, the Platform may have a system for withdrawing fiat currency directly into a bank account. In other words, the server 10 may provide so that the user can directly withdraw legal currency to a bankbook. As an example, the server 10 can provide the user to be able to withdraw immediately as much as the necessary amount when the user has authenticated the bankbook in this app, and can also provide free withdrawal. The server 10 may provide users with the ability to withdraw profits generated from the platform in legal currency.

스테이블 코인은 CBDC로 지칭되기도 하며, 이는 '기존의 화폐 또는 실물자산과 연동시켜 가격 안정성을 보장'하는 디지털자산을 의미한다. 서버(10)는 일예로 디지털자산의 변동성을 낮추고, 가치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해 본 플랫폼에서 스테이블 코인을 이용할 수 있다. 서버(10)는 일예로 기존의 신뢰도 있는 스테이블 코인을 적용할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향후 국가에서 발행하는 DBDC 등의 적용이 가능할 수 있다.Stablecoin is also referred to as CBDC, which means a digital asset that 'guarantees price stability by linking it with existing currency or real assets'. The server 10 may, for example, use a stable coin on this platform to lower the volatility of digital assets and minimize loss of value. The server 10 may apply, for example, an existing reliable stable coin,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DBDC issued by a country may be applied in the future.

[퍼블릭 디지털자산][Public digital assets]

서버(10)는 퍼블릭 디지털자산과 관련하여, 플랫폼 디지털자산 및 프로젝트 디지털자산을 고려할 수 있다.The server 10 may consider platform digital assets and project digital assets in relation to public digital assets.

플랫폼 디지털자산의 경우, 퍼블릭 블록체인은 많은 사람들의 네트워크 참여에 동기를 부여하기 위해 특정 암호화폐를 인센티브 또는 보상으로 지급하여 네트워크를 유지하게 된다.In the case of platform digital assets, the public blockchain maintains the network by paying specific cryptocurrency as an incentive or reward to motivate many people to participate in the network.

본 플랫폼의 합의 알고리즘은 PoM (Proof of Merge), 즉 참여형 알고리즘일 수 있다. 이러한 PoM 합의 알고리즘(21)은 기본적으로 사용자가 본 플랫폼에 얼마나 많이 참여하고 기여했는지에 따라 보상을 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consensus algorithm of this platform may be PoM (Proof of Merge), that is, a participatory algorithm. This PoM consensus algorithm 21 basically aims to allow users to receive rewards according to how much they participate and contribute to this platform.

본 플랫폼에서의 플랫폼 디지털자산의 발행량은 사용자 증가와 프로젝트 활성도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서버(10)는 "사용자 100명 -> 1000명 : 발행량 10개 -> 50개", "프로젝트 활성 2개 -> 10개 : 발행량 10개 -> 50개"와 같이 플랫폼 디지털자산의 발행량을 결정할 수 있다.The amount of issuance of platform digital assets on this platform can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increase in users and the activity of the project. Exemplarily, the server 10 is a platform digital asset, such as "100 users -> 1000: issue amount 10 -> 50", "project active 2 -> 10: issue amount 10 -> 50" issuance can be determined.

서버(10)는 상술한 예시와 같이 사용자와 프로젝트가 많아질수록 알고리즘(PoM 합의 알고리즘(21))에 의해 주기적으로 플랫폼디지털자산의 발행량을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주기적이라 함은 예시적으로 10일, 30일 등으로 설정되는 주기일 수 있으나, 이러한 수치 값은 본원의 이해를 돕기 위한 하나의 에시일 뿐,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시스템(100)을 관리하는 관리자에 의해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As in the above example, the server 10 can periodically determine the issue amount of platform digital assets by an algorithm (PoM consensus algorithm 21) as the number of users and projects increases. Here, the periodicity may be a period set to 10 days, 30 days, etc. by way of example, but these numerical values are only one example to help th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application, but are not limited thereto, and the present system 100 ) can be set in various ways by the manager who manages it.

서버(10)는 본 플랫폼에서 PoM 멤버쉽 메커니즘(20)을 이용해, 본 플랫폼에 대한 사용자의 활동을 기준으로 멤버쉽 제도를 운영할 수 있다. 서버(10)는 PoM 멤버쉽 메커니즘(20)을 이용해, 사용자들이 등급별로 발행된 플랫폼 디지털 자산을 주기적으로 배분받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본 플랫폼에서 고려되는 멤버쉽(MYMB 멤버쉽)에 대한 설명은 후술하여 설명하는 투자 시스템(Investment System)의 내용을 통해 보다 쉽게 이해될 수 있다.The server 10 may use the PoM membership mechanism 20 in this platform to operate a membership system based on the user's activity on this platform. The server 10 may use the PoM membership mechanism 20 to allow users to periodically receive distribution of platform digital assets issued by level. At this time, the description of the membership (MYMB membership) considered in this platform can be more easily understood through the contents of the investment system (Investment System) to be described later.

서버(10)는 프로젝트 디지털자산으로서 NFT를 고려할 수 있다. NFT는 대체불가토큰으로서, 각 한 개의 토큰이 다른 토큰을 대체하는 것이 불가능한 토큰을 의미한다. 가상화폐 게임인 이더리움의 크립토키티가 NFT의 대표적 사례라고 할 수 있다.The server 10 may consider NFTs as project digital assets. NFT is a non-fungible token, meaning that each token cannot be substituted for another token. CryptoKitties of Ethereum, a cryptocurrency game, is a representative example of NFT.

서버(10)는 프로젝트 디지털자산인 NFT를 프로젝트 지분형 코인으로서 활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버(10)는 프로젝트별로 NFT형 디지털자산 코드를 발행할 수 있다. 이때, 발행되는 코드와 함께 구매 순서에 따라 시리얼 넘버 또한 부여될 수 있다. 프로젝트 디지털자산을 사용자가 구매하게 되면, 사용자는 개인 지갑에 해당 자산을 소유할 수 있다.The server 10 may utilize the NFT, which is a project digital asset, as a project equity coin. Specifically, the server 10 may issue NFT-type digital asset codes for each project. At this time, along with the issued code, a serial number may also be assigned according to the order of purchase. When a user purchases a project digital asset, the user can own the asset in their personal wallet.

프로그램형 프로젝트의 진행과 관련하여, 서버(10)는 프로그램 선정 후 최종 제작비를 산정하고, 투자 모금이 완료되면 사전제작에 들어가는 순서로 진행할 수 있다. 서버(10)는 초기의 디지털자산의 가격을 최종 제작비를 기준으로 결정할 수 있다. 프로그램의 인기도에 따라 가치변동이 있을 수 있으며, 서버(10)는 광고 및 판권 판매 등의 수익에 따라 해당 NFT 코인을 소유한 사람에게 수익금이 자동으로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Regarding the progress of the program type project, the server 10 calculates the final production cost after selecting the program, and when the investment fund is completed, the server 10 may proceed in the order of entering the pre-production. The server 10 may determine the initial price of the digital asset based on the final production cost. Depending on the popularity of the program, there may be a value change, and the server 10 may automatically provide the proceeds to the person who owns the corresponding NFT coin according to revenues such as advertising and copyright sales.

개인형 프로젝트의 진행과 관련하여, 서버(10)는 인플루언서의 신청을 받고, 투표를 통해 프로젝터를 선정할 수 있다. 이때, 참여자(1')가 서버(10)로 개인형 프로젝트의 기획서를 제출하고, 제출한 기획서가 투표를 통해 진행 가능한 프로젝터의 기획서로서 선정됨에 따라 참여자(1')가 프로젝트권을 획득하면, 프로젝트권을 획득한 참여자(1')가 프로젝터라 지칭될 수 있다. 이후, 서버(10)는 선정된 프로젝터에게 제공될 NFT형 디지털자산 수량을 결정할 수 있으며, 이때 프로젝터에게 지급 가능한 NFT형 디지털자산의 최소/최대 수량은 미리 정해져 있을 수 있다. 프로젝터는 서버(10)로부터 지급받은 NFT형 디지털자산을 미리 설정된 기간 동안 경매 형식으로 타 사용자에게 판매할 수 있다. 여기서, 미리 설정된 기한은 본 시스템(100)을 관리하는 관리자에 의해 다양한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때, 인기도와 자유경제의 원칙에 따라 해당 디지털자산(NFT형 디지털자산)의 가격이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서버(10)는 투표로 선정된 기획서에 해당하는 미디어콘텐츠(서버에 의해 제작된 미디어콘텐츠)에 대한 광고나 활동으로 발생한 수익이 자동으로 자산소유자에게 배분되도록 할 수 있다.Regarding the progress of a personal project, the server 10 may receive an influencer's application and select a projector through voting. At this time, if the participant 1' submits a personal project plan to the server 10 and the submitted plan is selected as a plan for a projector that can be progressed through voting, the participant 1' acquires the project right. A participant 1' who has acquired the project right may be referred to as a projector. Thereafter, the server 10 may determine the number of NFT-type digital assets to be provided to the selected projector, and at this time, the minimum/maximum number of NFT-type digital assets payable to the projector may be predetermined. The projector can sell the NFT-type digital assets paid from the server 10 to other users in an auction format for a preset period. Here, the preset deadline may be set to various values by an administrator who manages the present system 100 . At this time, the price of the corresponding digital asset (NFT-type digital asset)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principle of popularity and free economy. In addition, the server 10 may automatically distribute profits generated from advertisements or activities for media content (media content produced by the server) corresponding to the proposal selected by voting to asset owners.

본 플랫폼의 이코노미 시스템은 스테이블(Stable) 코인과 플랫폼(Platform) 코인, 프로젝트(Project) 코인을 서로 스왑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서버(10)는 일예로 본 플랫폼을 통해 프로젝트 코인을 사고팔 수 있는 거래창구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프로젝트 코인은 프로젝트의 형태에 따라 락업 기간이 있을 수 있으며, 락업 기간에는 스왑이 불가하도록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The economy system of this platform may be configured so that stable coins, platform coins, and project coins can be swapped with each other. In addition, the server 10 may provide a transaction window function for buying and selling project coins through this platform, for example. At this time, the project coin may have a lock-up period depending on the type of project, and may be set to not be swapped during the lock-up period.

본 서버(10)에서는 사용자가 디지털 자산을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일예로 인플루언서나 본 플랫폼을 통해 일을 하는 사람들은 본 서버(10)를 통해 프로젝트 계약 시 자신이 받고자 하는 디지털 자산의 유형을 선택할 수 있다. 여기서, 디지털 자산의 유형에는 법정화폐 / 스테이블코인(나중에 CBDC로 대체 가능) / 플랫폼 코인을 포함하여 3가지 유형이 있을 수 있다. 본 서버(10)는 본 서버(10)를 통해 프로젝트 계약을 수행하고자 하는 사용자에게 디지털 자산 관련 3가지 유형의 선택지를 제공할 수 있다.The server 10 allows users to select digital assets. That is, for example, influencers or people who work through this platform can select the type of digital asset they want to receive when signing a project contract through this server 10. Here, there can be three types of digital assets, including fiat currencies / stablecoins (which can be replaced by CBDC later) / platform coins. This server 10 can provide three types of options related to digital assets to users who want to execute a project contract through this server 10.

여기서, 프로젝트 코인의 경우 사용자의 기여도에 따라 계약사항 추가로 프로젝트 코인으로 일부 지급받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프로그램형 프로젝트의 경우, 본 플랫폼을 통해 일하는 사람들에는 기획자, 작가, 연출, 메인 출연자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개인형 프로젝트의 경우, 사용자는 본인(일예로 인플루언서) 수익의 퍼센트를 늘리기 위한 목적으로 디지털 자산을 선택(3가지 유형의 디지털 자산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Here, in the case of project coins, depending on the user's contribution, some of the project coins may be paid in addition to the terms of the contract.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programmatic project, people working through this platform may include planners, writers, directors, and main performers. In addition, in the case of private projects, users can select a digital asset (select any one of three types of digital assets) for the purpose of increasing the percentage of their (eg influencer) revenue.

본 플랫폼의 투자 시스템(Investment System)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다음과 같다. 투자 시스템이란 본 플랫폼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수익의 발생 구조 및 수익 운용 구조, 멤버쉽 제도 구조 등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A more detailed explanation of the investment system of this platform is as follows. The investment system can be understood as a concept that includes various revenue generating structures, profit management structures, and membership system structures generated from this platform.

도 19a 및 도 19b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을 이용한 미디어콘텐츠 제작 시스템(100)에 적용되는 플랫폼의 운영 및 수익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9b에서 밈비(MYMB)는 본 서버(10)를 의미하고, PoM 블록체인 멤버쉽은 PoM 멤버쉽 메커니즘(20)을 의미할 수 있다.19A and 19B ar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operating and profit structure of a platform applied to the media content production system 100 using a block cha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In FIG. 19B, MYMB means this server 10, and PoM blockchain membership means PoM membership mechanism 20.

도 19a 및 도 19b를 참조하면, 본 플랫폼의 수익/운영 구조의 경우, 본 플랫폼의 디지털자산 이코노미 시스템(경제 시스템)에는 플랫폼 운영비와 이용 수수료 등이 고려될 수 있다. 플랫폼형 디지털자산 발행량-10%, 프로젝트 예산_5% + IP_투자수익, 디지털자산 스왑 수수료-0.05%, 플랫폼 광고 수익_20% + @ 등일 수 있다. 서버(10)는 부가서비스 관련된 서비스 비용도 수익금으로 추가할 수 있다. 서버(10)는 플랫폼 수익금을 플랫폼 개발비, 운영비, 프로젝트 지원, 프로젝트 전문 관리 시스템, 커뮤니티 운영 등에 활용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9A and 19B , in the case of the revenue/operating structure of this platform, platform operating costs and usage fees may be considered in the digital asset economy system (economic system) of this platform. It can be platform-type digital asset issue volume -10%, project budget_5% + IP_investment profit, digital asset swap fee -0.05%, platform advertising revenue_20% + @, etc. The server 10 may also add service costs related to additional services as proceeds. The server 10 may utilize the platform proceeds for platform development costs, operating costs, project support, a specialized project management system, community operation, and the like.

본 장치(10)는 프로젝트를 제작 총괄하고 IP 발행을 할 수 있다. 프로그램형 프로젝트 운영비 5% +@(IP 수익금), 개인형 프로젝트 : 광고 20%(관련 서버 및 운영 비용)일 수 있다. 밈비 시리즈B 자체투자 15-40%-> IP 수익금이 발생할 수 있다. 사용자는 본 장치(10)에 프로젝트 기획을 제공하고, 본 장치(10)는 사용자에게 워커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와 프로젝트 간에는 투자 수수료 0.5%, Asset 교환 수수료 0.05% 일 수 있다.This device 10 can produce and supervise a project and issue an IP. 5% +@ (IP proceeds) for program type project operating cost, personal project: 20% for advertising (related server and operating costs). Mimbi Series B self-investment 15-40% -> IP profits can occur. The user may provide project planning to the device 10, and the device 10 may provide a worker system to the user. Between the user and the project, there may be an investment fee of 0.5% and an asset exchange fee of 0.05%.

본 장치(10)는 PoM 멤버쉽 메커니즘(20)에 사용자 참여율 관련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고, PoM 멤버쉽 메커니즘(20)으로부터 본 플랫폼 코인 발행량 15%를 제공받을 수 있다. 본 장치(10)는 NFT 마켓에 대하여 IP 목록 등록, IP 블록체인 관리를 할 수 있고, NFT 마켓은 본 장치(10)에 마켓수수료를 제공할 수 있다. The device 10 may provide data related to the user participation rate to the PoM membership mechanism 20, and may receive 15% of the amount of coins issued by the platform from the PoM membership mechanism 20. The device 10 can register an IP list and manage an IP block chain for the NFT market, and the NFT market can provide the device 10 with a market fee.

본 플랫폼의 멤버쉽 제도(MYMB 플랫폼 멤버쉽 제도)는 도 5c 및 도 5d를 참조하여 보다 쉽게 이해될 수 있다. 도 5c 및 도 5d를 참조하면, 서버(10)는 멤버쉽 기준에 따라 사용자의 멤버쉽 등급을 결정할 수 있으며, 미리 설정된 주기에 따라 등급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 여기서, 미리 설정된 주기는 1일, 1주일 등으로 설정될 수 있으며, 이는 본 시스템(100)을 관리하는 사용자에 의해 다양한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The membership system (MYMB platform membership system) of this platform can be more easily understood with reference to FIGS. 5c and 5d. Referring to FIGS. 5C and 5D , the server 10 may determine a user's membership level according to a membership criterion, and may update the level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cycle. Here, the preset period may be set to 1 day, 1 week, etc., which may be set to various values by the user who manages the present system 100 .

이때, 본 시스템(100)에는 일예로 멤버쉽 등급의 업데이트를 위한 안전장치로서 검증자 혹은 제도 감시자 등이 추가로 적용될 수 있다. 멤버쉽 제도를 기반으로 서버(10)를 이용하는 사용자들은 플랫폼 운영비를 제외한 플랫폼 디지털자산을 서버(10)로부터 분배받을 수 있으며, 이때 일예로 기 정의된 멤버쉽 디지털자산 분배율에 따라 디지털자산을 분배받을 수 있다.At this time, a verifier or system monitor may be additionally applied to the present system 100 as a safety device for updating the membership level, for example. Based on the membership system, users using the server 10 can receive distribution of platform digital assets from the server 10, excluding platform operating costs. .

서버(10)는 PoM 멤버쉽 메커니즘(20)을 이용해 기 정의된 멤버쉽 디지털자산 분배율에 따라 디지털자산을 분배할 수 있다. 이때, 멤버쉽 등급별로(1등급 내지 4등급 별로) 분배되는 디지털 자산은 같을 수 있으나, 등급에 따라 분배되는 수익률은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본 플랫폼의 멤버쉽 제도(MYMB 플랫폼 멤버쉽 제도)는 사용자들의 자발적 참여를 위한 멤버쉽 제도라 할 수 있다.The server 10 may distribute digital assets according to a predefined membership digital asset distribution ratio using the PoM membership mechanism 20 . At this time, the digital assets distributed by membership level (levels 1 to 4) may be the same, but the rate of return distributed according to the level may vary. The membership system of this platform (MYMB platform membership system) can be said to be a membership system for voluntary participation of users.

본 플랫폼에서 프로젝트별(즉, 프로그램형 프로젝트 혹은 개인형 프로젝트) 세부 수익 구조는 다음과 같을 수 있다. In this platform, the detailed profit structure for each project (i.e. program type project or individual type project) can be as follows.

도 20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을 이용한 미디어콘텐츠 제작 시스템(100)의 플랫폼에서 고려되는 프로그램형 프로젝트의 수익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1a 및 도 21b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을 이용한 미디어콘텐츠 제작 시스템(100)의 플랫폼에서 고려되는 개인형 프로젝트의 수익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즉, 도 21a 및 도 21b는 개인형 프로젝트 관련 창작자의 수익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20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profit structure of a programmatic project considered in the platform of the media content production system 100 using a block cha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21a and 21b ar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profit structure of a personal project considered in the platform of the media content production system 100 using a block cha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at is, FIGS. 21A and 21B are diagrams showing the profit structure of creators related to personal projects.

도 20을 참조하면, 서버(10)는 참여자 단말(1)로부터 프로젝트 관련 기획서로서 프로그램형 프로젝트 관련 기획서가 수신되고, 수신된 기획서(프로그램형 프로젝트 관련 기획서)에 대한 투표를 수행한 결과 해당 기획서가 제작 대상 기획서로 선정된 경우, 선정된 제작 대상 기획서의 프로젝트(프로그램형 프로젝트)를 진행하여 미디어콘텐츠를 제작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0, the server 10 receives a program-type project-related plan as a project-related plan from the participant terminal 1, and as a result of voting on the received plan (program-type project-related plan), the corresponding plan is When selected as a production plan, media contents can be produced by proceeding with a project (programmatic project) of the selected production plan.

이때, 서버(10) 내 수익 배분 관련 제5 처리부(15)는 프로그램형 프로젝트와 관련된 미디어콘텐츠의 제작이 이루어진 경우, 해당 프로그램형 프로젝트에 의해 발생되는 수익금을 다음과 같이 분배할 수 있다. 일예로, 제5 처리부(15)는 프로그램형 프로젝트의 수익금을 "프로그램형 NFT 투자자 : 밈비 자체투자 : 프로젝트 운영비 = 80% : 15% : 5%"의 비율로 분배하여 제공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fifth processing unit 15 related to revenue distribution in the server 10 may distribute the proceeds generated by the program type project as follows when media content related to the program type project is produced. For example, the fifth processing unit 15 may distribute and provide the proceeds of the program type project at a ratio of “program type NFT investor: Mimbi self-investment: project operating cost = 80%: 15%: 5%”.

제5 처리부(15)는 프로그램형 프로젝트의 제작 과정에서부터 들어오는 광고 및 추가 투자금액, 판권, 방영권, 해외 판권 판매, OTT 플랫폼 판매 등으로 인한 수익금을 해당 프로젝트의 가치로 고려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5 처리부(15)는 프로그램형 프로젝트의 제작 과정에서부터 들어오는 광고 및 추가 투자금액, 판권, 방영권, 해외 판권 판매, OTT 플랫폼 판매 등으로 인한 수익금을 해당 프로젝트의 가치와 연동시켜 수익금을 관리하고 배분할 수 있다. 즉, 제5 처리부(15)는 수익 분배시, "프로젝트의 가치 상승 = 프로젝트 지분 자산 소유자의 수익"으로 고려할 수 있다.The fifth processing unit 15 may consider advertisements and additional investment amount coming from the production process of the program type project, copyrights, broadcasting rights, sales of overseas copyrights, sales of OTT platforms, and the like, as the value of the project. Accordingly, the fifth processing unit 15 manages the proceeds by linking the proceeds from the advertising and additional investment amount, copyright, broadcasting rights, overseas copyright sales, OTT platform sales, etc., coming from the production process of the program type project with the value of the project. and can be distributed. That is, when distributing revenue, the fifth processing unit 15 may consider "project value increase = project equity asset owner's profit".

도 21a를 참조하면, 서버(10)는 참여자 단말(1)로부터 프로젝트 관련 기획서로서 개인형 프로젝트 관련 기획서가 수신되고, 해당 기획서가 제작 대상 기획서로 선정된 경우, 선정된 제작 대상 기획서의 프로젝트(개인형 프로젝트)를 진행하여 미디어콘텐츠를 제작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1A, the server 10 receives a personal project-related plan as a project-related plan from the participant terminal 1, and when the plan is selected as a production plan, the project of the selected production plan (individual type project) to produce media contents.

이때, 서버(10) 내 수익 배분 관련 제5 처리부(15)는 개인형 프로젝트와 관련된 미디어콘텐츠의 제작이 이루어진 경우, 해당 개인형 프로젝트에 의해 발생되는 수익금을 다음과 같이 분배할 수 있다. 일예로, 제5 처리부(15)는 개인형 프로젝트의 수익금을 "인플루언서 : 지분소유자(NFT 활용비) : 플랫폼운영비 = 60 : 20 : 20"의 비율로 분배하여 제공할 수 있다. 본 시스템(100)에서 고려되는 개인형 프로젝트에 대한 수익금(수익) 분배 구조는, 인플루언서 자신의 수익률이 올라가면 해당 디지털 자산을 소유하고자 하는 사용자가 늘어날 것이고, 이에 시장 경제의 원리에 따라 자신의 채널 가치가 상승하게 되는 구조로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At this time, when media contents related to the personal project are produced, the fifth processor 15 related to profit distribution in the server 10 may distribute the proceeds generated by the personal project as follows. For example, the fifth processing unit 15 may distribute and provide the proceeds of the personal project at a ratio of "influencer: equity holder (NFT utilization cost): platform operating cost = 60: 20: 20". The structure of proceeds (revenue) distribution for personal projects considered in this system 100 will increase the number of users who want to own the digital asset as the influencer's own rate of return increases, and accordingly, according to the principle of the market economy, their own It may be set in a structure that increases the channel value.

도 21a에서는 일예로 개인형 프로젝트의 수익금이 "인플루언서 : 지분소유자 : 플랫폼운영비 = 60 : 20 : 20"의 비율로 분배되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이는 본원의 이해를 돕기 위한 하나의 예시일 뿐,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개인형 프로젝트의 수익금은 도 21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인플루언서(창작자) : 지분소유자(프로젝트 활용비, NFT 소유자) : 플랫폼운영비(밈비) = 60 : 20 : 20"의 비율로 분배될 수 있으며, 이러한 수치는 본 시스템(100)을 관리하는 관리자에 의해 다양한 값으로 설정/변경될 수 있다.In FIG. 21a, as an example, the proceeds of a personal project are illustrated as being distributed in the ratio of "influencer: equity holder: platform operating cost = 60: 20: 20", but this is only an example to help th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application, It is not limited to this. As shown in Figure 21b, the proceeds of the personal project can be distributed in the ratio of "Influencer (Creator): Equity Owner (Project Utilization Cost, NFT Owner): Platform Operating Cost (Mimbi) = 60: 20: 20" And, these values can be set/changed to various values by the administrator who manages the present system 100.

도 21b를 참조하면, 제5 처리부(15)는 일예로 광고/PPL 수익의 60%는 창작자, 20%는 플랫폼 수수료, 나머지 20%는 프로젝트 활용비로 수익금이 분배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본 플랫폼은 기존 플랫폼과 대비하여 플랫폼 수수료를 최소화하면서, 인플루언서-구독자가 서로 베네핏을 가져갈 수 있는 업그레이드된 구조를 갖는다고 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1B, the fifth processing unit 15 may, for example, distribute 60% of advertising/PPL revenue to creators, 20% to platform fees, and the remaining 20% to project utilization costs. This platform can be said to have an upgraded structure that allows influencer-subscribers to benefit from each other while minimizing platform fees compared to existing platforms.

이때, 20%에 해당하는 프로젝트 활용비와 관련하여, 사용자(일예로 참여자)가 본 플랫폼에 채널을 생성하고 새 콘텐츠를 업로드하게 되면, 해당 사용자는 본 서버(10)를 통해 프로젝트 활용비로 콘텐츠 제작을 지원받게 될 수 있다(step1). 다음으로, 해당 사용자(참여자)가 본 서버(혹은 본 플랫폼)를 통해 프로젝트에 지원하고 선정되게 되면, 서버(10)는 해당 사용자의 개인채널을 NFT화할 수 있으며, 프로젝트 활용비를 제작 지원이 아닌 NFT 소유자에게 배분되도록 할 수 있다(step2). 이때, NFT를 구매하는 대부분의 사용자(NFT 소유자)는 구독자를 의미할 수 있다.At this time, in relation to the project utilization fee of 20%, when a user (for example, a participant) creates a channel on this platform and uploads new content, the user creates content with the project utilization fee through this server 10. can be supported (step 1). Next, when the user (participant) applies for the project through this server (or this platform) and is selected, the server 10 can NFT the user's personal channel, and the project utilization cost is not It can be distributed to NFT owners (step 2). At this time, most users (NFT owners) who purchase NFTs may mean subscribers.

상술한 바에 따르면, 서버(10)는 참여자(1')의 참여자 단말(1)로부터 프로젝트(즉, 프로그램형 프로젝트 또는 개인형 프로젝트) 관련 기획서를 수신하고, 수신된 기획서에 대한 투표 진행 결과 수신된 기획서가 제작 대상 기획서로 선정되면, 선정된 제작 대상 기획서의 프로젝트인 진행 가능 프로젝트의 제작비(제작예산, 미디어콘텐츠의 사전제작에 필요한 금액)를 산정할 수 있다. 이후, 서버(10)는 산정된 제작비에 대응하는 금액에 대하여 투자 기반 모금을 진행할 수 있다. 이때, 서버(10)는 투자 기반 모금 진행에 의하여 산정된 제작비의 모금이 완료된 경우, 모금된 금액을 기반으로 진행 가능 프로젝트에 대응하는 미디어콘텐츠의 사전제작을 수행하고, 이후 사전제작이 완료되면 제작된 미디어콘텐츠를 판매하고, 판매에 의해 발생되는 수익을 배분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foregoing, the server 10 receives a plan related to a project (ie, a program type project or a personal type project) from the participant terminal 1 of the participant 1', and proceeds with voting for the received plan. When a plan is selected as a plan for production, the production cost (production budget, amount required for pre-production of media contents) of a feasible project, which is a project of the selected production plan, can be calculated. Thereafter, the server 10 may proceed with investment-based fundraising for an amount corresponding to the calculated production cost. At this time, when the fundraising of the production cost calculated by the investment-based fundraising process is completed, the server 10 pre-produces media contents corresponding to the project that can be carried out based on the collected amount, and then produces the media content when the pre-production is completed. You can sell the media contents that have been sold, and distribute the revenue generated by the sale.

여기서, 투자 기반 모금은 기업, 문화예술 관련 펀드회사, 광고주 및 개인 사용자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개인 사용자는 본 플랫폼을 이용하는 사용자 누구나를 의미할 수 있으며, 개개인의 사용자를 의미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본 플랫폼에서는 프로젝트(미디어콘텐츠 제작)에 대한 투자를 기존 미디어콘텐츠 주 투자자들(기업, 펀드회사, 광고주, VC 등)뿐만 아니라, 본 플랫폼을 이용하는 사용자 개개인이 미디어콘텐츠의 제작에 참여 및 투자할 수 있도록 제공할 수 있다.Here, investment-based fundraising can be made by companies, culture and art related fund companies, advertisers, and individual users. Here, the individual user may mean any user who uses the present platform, or may mean an individual user. According to this, on this platform, investment in the project (media content production) is made not only by the existing media content main investors (company, fund company, advertiser, VC, etc.), but also by individual users using this platform to participate in the production of media content and can be offered for investment.

서버(10)는 제작 대상 기획서의 선정이 이루어지면 제1 처리부(11)를 통해 진행 가능 프로젝트에 대하여 디지털자산인 NFT를 미리 설정된 수량만큼 발행할 수 있다. 이때, 프로젝트에 발급되는 NFT의 수량은 일예로 프로젝트의 종류(프로그램형 프로젝트인지 개인형 프로젝트인지), 속성(프로그램형 프로젝트 중에서도 드라마, 예능 등의 인기도, 인플루언서의 수입 등) 등에 따라 달리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프로젝트에 발급되는 NFT의 수량은 일예로 본 시스템(100)을 관리하는 관리자에 의해 미리 설정되어 있을 수 있고, 혹은 시장 경제의 원리 등에 따라 달리 결정될 수 있다.The server 10 may issue a predetermined number of NFTs, which are digital assets, for projects that can be progressed through the first processing unit 11 when the production target planning document is selected. At this time, the number of NFTs issued to the project is set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type of project (whether it is a program-type project or a personal project), attributes (popularity of dramas, entertainment, etc. among program-type projects, income of influencers, etc.), etc. may have been In addition, the number of NFTs issued to the project may be set in advance by an administrator who manages the present system 100, for example, or may be determin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principles of the market economy.

또한, 서버(10)는 산정된 제작비의 모금의 완료가 복수의 투자자에 의한 투자에 기반하여 이루어진 경우, 제2 처리부(12)를 통해 진행 가능 프로젝트에 발행된 NFT를 복수의 투자자 각각이 투자한 투자금액에 따라 투자금액에 대응하는 비율로 복수의 투자자 각각에게 지분형 디지털자산으로서 차등 지급할 수 있다. 이때, 지분형 디지털자산을 지급받은(지급받아 소유하게 된) 복수의 투자자는 진행 가능 프로젝트의 지분소유자로서 진행 가능 프로젝트의 저작권(IP)의 지분을 가지게 될 수 있다(즉, 저작권의 지분을 배분받게 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rver 10, when the completion of the fundraising of the calculated production cost is made based on the investment by a plurality of investors, the NFT issued to the project through the second processing unit 12 is invested by each of the plurality of investors. Differential payments can be made as equity-type digital assets to each of multiple investors at a rate corresponding to the investment amount, depending on the investment amount. At this time, the plurality of investors who have been paid (paid and owned) the equity-type digital assets may have shares in the copyright (IP) of the progressable project as equity owners of the progressable project (i.e., distribute the shares of the copyright) may be received).

또한, 서버(10)는 제작된 미디어콘텐츠의 판매에 의해 발생되는 수익을 판매된 미디어콘텐츠의 제작과 관계된 사용자들에게 미리 설정된 비율로 배분할 수 있다. 여기서, 판매된 미디어콘텐츠의 제작과 관계된 사용자들에는 미디어콘텐츠를 창작한 참여자인 창작자, 지분형 디지털자산을 지급받아 미디어콘텐츠의 저작권 지분을 소유한 지분소유자(즉, 진행 가능 프로젝트에 발행된 NFT를 지분형 디지털자산으로서 지급받아 소유하게 된 복수의 투자자들), 및 본 플랫폼을 제공하는 관리자가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미리 설정된 비율은, 창작자가 지분소유자 및 관리자 대비 큰 값을 갖도록 설정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rver 10 may distribute revenue generated by selling the produced media content to users related to the production of the sold media content at a preset ratio. Here, the users related to the production of the sold media content include the creator who is a participant who created the media content, and the equity owner who owns the copyright share of the media content after receiving equity-type digital assets (i.e., the NFT issued in the project that can be carried out) A plurality of investors who have been paid and owned as equity-type digital assets), and an administrator who provides this platform. Here, the preset ratio may be set so that the creator has a larger value than the equity holder and manager.

구체적으로, 미리 설정된 비율은 창작자:지분소유자:관리자에 대하여 a:b:c의 비율로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a는 a, b 및 c를 합한 값의 절반을 초과하는 값으로 설정되고, b 및 c 각각은 a, b 및 c를 합한 값에 a를 뺀 값을 절반으로 나눈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미리 설정된 비율은 "창작자:지분소유자:관리자 = 6:2:2"로 설정될 수 있다. 이는 본원의 이해를 돕기 위한 하나의 예시일 뿐,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미리 설정된 비율의 수치값은 본 시스템(100)을 관리하는 관리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경/설정 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preset ratio may be set as a ratio of a:b:c for the creator:shareholder:manager. Here, a is set to a value that exceeds half of the sum of a, b, and c, and each of b and c may be set to a value obtained by dividing the sum of a, b, and c minus a by half. . Illustratively, the preset ratio may be set to "creator:shareholder:manager = 6:2:2". This is only one example to help th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application,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numerical value of the preset ratio may be variously changed/set by the manager who manages the present system 100.

또한, 서버(10)는 미디어콘텐츠의 사전제작이 완료되기 이전까지 사전제작의 수행 이전에 참여자에게 지급된 디지털자산인 NFT를 락킹시키고, 사전제작이 완료된 이후에는 락킹을 해제하여 본 플랫폼 내에서 NFT를 스왑 형태로 거래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rver 10 locks the NFT, which is a digital asset paid to participants before pre-production is completed, until the pre-production of media content is completed, and unlocks the NFT after the pre-production is completed so that the NFT can be stored on this platform. can be traded in the form of a swap.

또한, 서버(10)는 본 플랫폼을 이용하는 다양한 유형의 사용자들에게 마케팅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서버(10)는 본 플랫폼을 이용하는 사용자들에게 마케팅 포인트로서 다양한 베네핏(혜택, 이득), 포인트 등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인 설명은 다음과 같다.In addition, the server 10 may perform marketing to various types of users using this platform. In addition, the server 10 may provide various benefits (benefits, gains), points, etc. as marketing points to users using this platform. The specific explanation is as follows.

1. 마케팅 타겟1. Marketing Target

서버(10)는 다양한 유형의 사용자들에게 마케팅을 수행할 수 있다. 서버(10)는 일예로 미디어계 종사자, 인플루언서, 본 플랫폼의 사용자와 시청자 등을 마케팅 타겟으로 할 수 있다.The server 10 may perform marketing to various types of users. For example, the server 10 may target media workers, influencers, users and viewers of this platform, and the like.

[미디어계 종사자][media workers]

방송 미디어의 경우 정규직은 프로그램 당 전체 인력의 2~3프로(%) 내외이다. 거의 모두가 프리랜서로 종사하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전부가 표준계약서에 의거해 일하고 있지 않다. 방송사와 외주제작사의 광고 및 판권 수익분배 등도 관행이라는 이유만으로 계약마다 달라지고는 한다. 이는 미디어계 종사자들에게 밀접하게 영향을 주고 있다.In the case of broadcasting media, full-time workers account for around 2-3% of the total workforce per program. Almost all of them work as freelancers, and none of them work under standard contracts. Broadcasting companies and outsourced producers' distribution of advertisements and sales rights are also different for each contract just because it is a practice. This is closely affecting media workers.

예를 들어 할리우드의 경우 엑스트라는 150달러~200달러의 수입을 가져간다. 한국의 경우 5만원~10만원이 평균이다. 평균적으로 3배 이상이 차이가 난다. 제작비의 차이가 아니냐는 물음표가 있겠지만, 외주제작사가 운용할 수 있는 제작비에서도 운영하여 수익을 남겨야 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관행으로 인한 악순환이 계속되는 것이다.In Hollywood, for example, extras earn between $150 and $200. In Korea, the average is between 50,000 won and 100,000 won. On average, the difference is more than 3 times. There may be a question mark as to whether it is a difference in production cost, but since it is a structure in which outsourcing production companies have to operate at production costs that can be managed and leave a profit, the vicious cycle due to practice continues.

완벽하게 중앙화된 미디어 제작 시스템에서 벗어나야만 이러한 악순환의 고리를 끊어낼 수 있으며, 이를 위해 본 플랫폼에서는 사전제작의 방식을 택한다. 즉, 서버(10)는 미디어콘텐츠의 사전제작 방식을 갖는 본 플랫폼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서버(10)는 제작비의 모금이 완료된 후 미디어콘텐츠를 사전제작하고 방송권을 구매하여 송출함으로써, 제작비로 인한 저작권 문제에서 벗어날 수 있다. 즉, 제작비의 모금이 완료된 후 사전제작하여, 방송권을 구매하여 송출하여 제작비로 인한 저작권 문제에서 벗어날 수 있다. 이러한 본 서버(10)는 미디어계 종사자들로 하여금 합당한 급여를 받을 수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This vicious cycle can only be broken by getting out of a perfectly centralized media production system, and for this, the platform adopts a pre-production method. That is, the server 10 may provide the user with this platform having a pre-production method of media content. After the production cost is raised, the server 10 pre-produces media content, purchases broadcasting rights, and transmits the media content, thereby avoiding the copyright problem caused by the production cost. In other words, it is possible to escape from the copyright problem caused by the production cost by pre-production after the production cost is raised, and by purchasing and transmitting the broadcasting right. This server 10 can provide an environment in which media workers can receive a reasonable salary.

뿐만 아니라, 본 서버(10)는 부당한 계약을 최소화하기 위한 장치로서 스마트컨트렉트 기반으로 표준계약서에 의거한 디지털 계약서를 기본으로 제공할 수 있다. 즉, 본 서버(10)는 미디어계 종사자들에게 있어서 부당한 계약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본 서버(10)를 통해 표준계약서에 기반한 스마트컨트렉트 계약(디지털 계약, P2P 전자계약)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본 플랫폼은 한국에 한정되어 제공되지 않으며, 다양한 국가, 나라 등에서 제공될 수 있다. In addition, this server 10 is a device for minimizing unfair contracts and can provide digital contracts based on standard contracts based on smart contracts. In other words, this server 10 will ensure that smart contract contracts (digital contracts, P2P electronic contracts) based on standard contracts are made through this server 10 so that unfair contracts can be minimized for media workers. can This platform is not limited to Korea and can be provided in various countries and countries.

[인플루언서][Influencer]

본 플랫폼에서는 인풀로언서와 관련하여 크게 방송인 및 개인미디어가 고려될 수 있다.In this platform, broadcasters and personal media can be largely considered in relation to influencers.

방송인과 관련하여, 방송인은 1차적으로 캐스팅을 목적으로 본 플랫폼을 활용(이용)할 수 있다. 기존에는 캐스팅 디렉터, 기획사를 통해서 거의 모든 캐스팅이 관리된다. 개인적으로 활동하기에는, 특히 신인에게는 벽이 너무나도 높다.Regarding broadcasters, broadcasters may utilize (use) this platform primarily for the purpose of casting. Previously, almost all castings were managed through casting directors and agencies. The wall is too high to be active individually, especially for a rookie.

이에 반해, 본 플랫폼에서는 개인 프로필 관리를 위한 기본 미디어 용량이 제공되기 때문에, 본 플랫폼을 이용하는 사용자들은 성향 및 캐릭터 등 자신의 키워드를 내걸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영상 프로필도 본 서버(10)에 업로드할 수 있다. 연출은 자신이 원하는 캐스팅을 위해 본 서버(10)에 업로드된 영상 프로필을 토대로 1차적인 판단을 할 수 있어, 방송인(본 플랫폼을 이용하는 사용자 중 하나인 방송인) 입장에서는 본 서버(10)를 통하여 캐스팅의 기회를 더 획득할 수 있는 용도로 활용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since this platform provides basic media capacity for personal profile management, users using this platform can not only put up their own keywords such as disposition and character, but also upload video profiles to this server 10. there is. Directing can make a primary judgment based on the video profile uploaded to this server 10 for casting they want, so from the point of view of broadcasters (broadcasters who are one of the users using this platform) through this server 10 It can be used for the purpose of acquiring more opportunities for casting.

개인미디어와 관련하여, 종래에는 일예로 유튜브의 경우 개인 창작자가 광고 수익으로 가져가게 되는 금액은 55%에 불과하다. 즉, 개인미디어로 인해 발생되는 전체 광고 수익 중 약 45%는 플랫폼이 가져가는 비용으로 측정(즉, 플랫폼 비용으로 측정)되고 있다. 이에 따르면, 종래에는 개인 창작자에 의한 창작물로 인해 발생되는 광고 수익이 플랫폼에 과도하게 부여됨에 따라, 창작자에게 있어서는 불합리한 수익 분배 구조라 할 수 있다.Regarding personal media, in the past, for example, in the case of YouTube, the amount that individual creators take as advertising revenue is only 55%. In other words, about 45% of the total advertising revenue generated by personal media is measured by the cost taken by the platform (ie, measured by the platform cost). According to this, conventionally, as advertising revenue generated by creations by individual creators is excessively given to the platform, it can be said to be an unreasonable revenue distribution structure for creators.

이에 반해, 서버(10)는 본 플랫폼을 이용하는 사용자가, 사용자 자신의 창작물에 들어오는(발생되는) 광고/PPL 등으로 인한 수익의 60%에 해당하는 금액을 받을 수 있도록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의 창작물에 들어오는 수익의 20%는 인플루언서 스스로를 개인 기업화하여, 개인형 프로젝트형 디지털 자산으로 오픈하게 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서버(10)는 사용자의 창작물에서 발생되는 총 수익금 중 약 20%에 해당하는 수익금의 경우, 개인 디지털자산을 소유한 사용자들에게 돌아가게(분배되게) 할 수 있으며, 이는 창작자로 하여금 팬덤을 유지하면서 광고에 대한 정당성을 확보할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되도록 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erver 10 may provide a user using this platform to receive an amount corresponding to 60% of the revenue due to advertising/PPL coming in (generated) to the user's own creation. At this time, 20% of the revenue coming from the user's creations can be used to personalize the influencer itself and open it as a personal project-type digital asset. That is, the server 10 can return (distributed) the proceeds corresponding to about 20% of the total proceeds generated from the user's creations to users who own personal digital assets, which allows creators to fandom. It can be a good opportunity to secure legitimacy for advertising while maintaining

또한, 서버(10)는 창작물의 성향에 맞추어 광고를 매칭해 주는 AI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바, 광고를 보는 시청자들도 광고 부담감이 줄어들 수 있도록 하고, 광고주들은 해당 자산을 소유한 사람에게 더 효율적으로 광고할 수 있는 기회를 갖게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erver 10 can provide an AI service that matches advertisements according to the propensity of creations, so that viewers who view advertisements can also reduce the burden of advertisements, and advertisers are more efficient for those who own the assets. to give you the opportunity to advertise.

[본 플랫폼의 사용자-시청자] [Users-Viewers of this Platform]

미디어 매체를 시청함으로써 보상을 받는 기술들은 새로 속속들이 생겨나고 있다. 본 플랫폼에서는 그 보상 방식이 다르다고 할 수 있다. 서버(10)는 본 플랫폼을 이용하는 사용자들에게, 미디어 시청이 가능하도록 하고, 스스로 가치판단을 통해 소액 투자가 가능하도록 하며, 팬덤활동도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서버(10)는 본 플랫폼에 참여하는 사용자들의 참여 활동에 대하여 멤버쉽 제도를 자동 적용함으로써, 손쉬운 패시브인컴 수익(자는 동안에도 생기는 수익)이 발생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서버(10)는 일반 사용자들을 위해 타 블록체인 서비스에 필요한 가입 절차 없이 무료로 본 플랫폼에서 제공되는 영상을 시청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Techniques for being rewarded for watching media outlets are springing up one after another. It can be said that the compensation method is different in this platform. The server 10 enables users using this platform to view media, make small investments through self-value judgments, and enable fandom activities. At this time, the server 10 automatically applies the membership system to the participation activities of users participating in the platform, so that easy passive income (profit generated even while sleeping) can be generated. In addition, this server 10 can provide a function that allows general users to watch videos provided on this platform for free without a subscription procedure required for other blockchain services.

2. 투자 베네핏(혜택, 이득)2. Investment benefits (benefits, gains)

서버(10)는 본 플랫폼을 이용하는 다양한 유형의 사용자들(특히, 본 플랫폼에서 제작되는 미디어콘텐츠에 대하여 투자를 수행하는 사용자들)에게 베네핏(혜택, 이득)을 제공할 수 있다.The server 10 can provide benefits (benefits, gains) to various types of users using this platform (in particular, users who invest in media contents produced on this platform).

서버(10)를 통해 제공되는 본 플랫폼을 이용하는 사용자들은 일예로 블록체인 디지털 자산을 거래소에서 구매하거나, 블록체인 합의 알고리즘별 보상(마이닝)을 통해 얻을 수 있다. 다만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플랫폼을 이용하는 사용자들은 바람직하게 본원에서 제안하는 PoM 합의 알고리즘(21)을 포함하는 PoM 멤버쉽 메커니즘(20)을 이용해 블록체인 디지털 자산을 얻을 수 있다.Users using this platform provided through the server 10 can, for example, purchase blockchain digital assets from an exchange or obtain rewards (mining) for each blockchain consensus algorithm. However,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users using this platform can obtain blockchain digital assets using the PoM membership mechanism 20 including the PoM consensus algorithm 21 preferably proposed herein.

본 플랫폼(즉, 본 서버)을 이용하는 사용자들 중에는 일예로 프로젝트별 지분형 디지털자산 가치에 투자하기 위한 목적으로 본 플랫폼을 이용하는 사용자들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프로젝트별 지분형 디지털자산 투자에 대해 먼저 설명한 후 본 플랫폼에서 고려되는 베네핏(참여 베네핏)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플랫폼에서 고려되는 베네핏은 일예로 본원에서 제안하는 합의 알고리즘(즉, PoM 합의 알고리즘(21))을 포함한 PoM 멤버쉽 메커니즘(20)을 이용해 제공될 수 있다.Users who use this platform (ie, this server) may include, for example, users who use this platform for the purpose of investing in the value of equity-type digital assets for each project. Therefore, below, the investment in equity-type digital assets for each project is first explained, and then the benefits (participation benefits) considered in this platform are explained. Benefits considered in this platform can be provided using, for example, the PoM membership mechanism 20 including the consensus algorithm proposed herein (ie, the PoM consensus algorithm 21).

2-1) 프로젝트 투자 베네핏2-1) Project investment benefits

2-1-1) 프로젝트 디지털 자산 투자2-1-1) Project digital asset investment

서버(10)는 일예로 본 플랫폼에서 고려되는 프로젝트(프로그램형 프로젝트와 개인형 프로젝트)를 모두 NFT 코인의 방식으로 지분화하여 발행할 수 있다. The server 10 can, for example, stake and issue all of the projects (programmatic projects and personal projects) considered on this platform in the manner of NFT coins.

프로젝트 고유코드와 넘버링이 되어져 있는 디지털 코인(즉 본 플랫폼에서 고려되는 디지털 코인으로서, 이는 디지털 자산, NFT 코인 등을 의미할 수 있음)은 일예로 본 플랫폼 내 거래소(미도시)에서 P2P 거래가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자산 소유자는 프로젝트의 판권이나 저작권, OTT 판매 등을 할 때 투표 권한이 본 서버(10)에 의해 부여될 수 있으며, 프로젝트 내 자산 흐름이나 내역을 열람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질 수 있다.Digital coins (that is, digital coins considered in this platform, which can mean digital assets, NFT coins, etc.) that are numbered with the project's unique code are, for example, to enable P2P transactions on exchanges (not shown) within this platform. can be provided. The asset owner may be granted voting rights by the server 10 when publishing copyrights, copyrights, OTT sales, etc. of the project, and may have the right to view asset flow or details within the project.

본 서버(10)는 블록체인을 이용한 미디어콘텐츠 제작이 가능하도록 하는 본 플랫폼을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블록체인의 투명성과 불변성으로 하여금, 미디어콘텐츠의 사전제작 중 거래 락업 기간 동안 사용자들에게 신뢰와 안정성을 줄 수 있다This server 10 provides users with this platform that enables the production of media contents using block chains, thereby enabling the transparency and immutability of block chains to provide users with trust and stability during the transaction lock-up period during pre-production of media contents. can give

2-1-2) 광고 및 PPL 투자2-1-2) Advertising and PPL investment

프로젝트의 가치 상향을 위해 광고투자 및 PPL 투자자들은 상술한 프로젝트 단위의 투자를 할 가능성이 크다. In order to increase the value of the project, advertising investment and PPL investors are likely to invest in the above-mentioned project units.

광고주들은 프로그램형 프로젝트의 경우, 관련 진행 사항을 본 시스템(100)을 통하여 기존 시스템보다 투명하게 알 수 있으며, 향후 해당 프로젝트 지분만큼의 투표 권한으로 방향성에 기여할 수 있기 때문에 좀 더 투자금을 본 플랫폼을 통해 보다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또한, 광고주들은 본 플랫폼을 통하여, 추후 프로젝트의 행보에 따라 디지털 자산 지분율을 높이거나 추가 광고 배정을 위한 방향성을 투명하게 알 수 있기 때문에, 1회성이 아닌 지속적인 수입 및 효율을 가질 수 있다. In the case of a program type project, advertisers can know the related progress more transparently than the existing system through this system 100, and can contribute to the direction with voting rights equal to the stake in the project in the future. can be managed more efficiently. In addition, through this platform, advertisers can increase the share of digital assets according to the progress of future projects or transparently know the direction for additional advertisement allocation, so they can have continuous income and efficiency, not one-time.

개인형 프로젝트의 경우, 본 시스템(100)에서 광고의 노출 빈도가 아닌 광고 마케팅 타겟층에 초점을 맞출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들은 본 시스템(100)을 통하여 비용을 절약하면서도 효율적이고 선순환적 광고 전략을 수행할 수 있다.In the case of a personal project, since the system 100 can focus on the advertising marketing target group rather than the frequency of exposure of advertisements, users perform efficient and virtuous advertising strategies while saving costs through the system 100 can do.

예를 들어, 화장품 관련 개인미디어 인플루언서(개인형 프로젝트에 해당하는 인플루언서)에게 화장품 광고주가 투자 혹은 광고 물품 제공을 하게 되면, 인플루언서는 본 서버(10) 혹은 온라인을 통하여 광고를 노출할 수 있다. 이때, 서버(10)는 광고 노출에 의해 발생되는 수입의 20%가 해당 개인미디어 디지털 자산 소유자(일예로, 인플루언서)에게 배분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본 서버(10)에 의해 제공되는 본 플랫폼은, 시청자(유저)들의 관심 분야 관련 광고이자 수입을 가져다주는 매개체이기 때문에 광고 거부감을 효율적으로 줄이면서, 광고 효과를 높일 수 있는 광고주 선순환 구조를 제공한다고 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a cosmetic advertiser invests or provides advertising items to a cosmetics-related personal media influencer (influencer corresponding to a personal project), the influencer advertises through this server 10 or online can be exposed. At this time, the server 10 may distribute 20% of the income generated by the advertisement exposure to the corresponding personal media digital asset owner (eg, influencer). Since this platform provided by this server 10 is an advertisement related to the field of interest of viewers (users) and a medium that brings income, it provides a virtuous cycle structure for advertisers that can increase the effect of advertisement while efficiently reducing the feeling of rejection of advertisement. can be said to do

2.2) 플랫폼 유저 베네핏2.2) Platform user benefits

2-2-1) 멤버쉽 베네핏2-2-1) Membership benefits

서버(10)에 의해 제공되는 본 플랫폼은, PoM 알고리즘으로 활동에 따라 자동으로 등급이 배분되고, 등급별로 플랫폼 디지털 자산을 보상받는 PoM (Proof of Merge) 방식으로 구성되어 있을 수 있다. 달리 말해, 서버(10)는 PoM 합의 알고리즘(21)을 포함한 PoM 멤버쉽 메커니즘(20)으로 하여금, 본 서버(10)를 이용하는 사용자들이 본 플랫폼에 대한 활동에 따라 자동으로 등급을 배분받고, 배분 받은 등급별로 플랫폼 디지털 자산을 보상받도록 할 수 있다.The platform provided by the server 10 may be configured in a PoM (Proof of Merge) method in which grades are automatically distributed according to activities with a PoM algorithm and platform digital assets are compensated for each grade. In other words, the server 10 enables the PoM membership mechanism 20 including the PoM consensus algorithm 21 to automatically distribute ratings according to the activities of the users using the server 10 on the platform, and the distributed Platform digital assets can be compensated for each level.

서버(10)는 도 5e에 도시된 MYMB 플랫폼 멤버쉽 제공 기준의 참여 기여도에 기반한 알고리즘(즉, PoM 멤버쉽 메커니즘(20))을 통해 사용자들에 대한 멤버쉽 등급을 자동으로 측정할 수 있으며, 등급에 따라 보상을 주기적으로 지급되도록 할 수 있다. PoM 멤버쉽 메커니즘(20)은 이러한 전체 활동과 사용자 가입량에 따라 플랫폼형 디지털 자산의 발행량이 자동 조정되며, 발행 즉시 사용자에게 지급되도록 설계되어 있을 수 있다.The server 10 can automatically measure the membership level of users through an algorithm based on the participation contribution of the MYMB platform membership provision criterion shown in FIG. 5e (ie, PoM membership mechanism 20), and according to the level Rewards can be paid periodically. The PoM membership mechanism 20 may be designed to automatically adjust the issuance amount of platform-type digital assets according to the total activity and user subscription amount, and to be paid to users immediately upon issuance.

2-2-2) 플랫폼 이용 목적에 따른 베네핏2-2-2) Benefits according to the purpose of using the platform

서버(10)는 본 플랫폼을 이용하는 사용자들의 플랫폼 이용 목적에 따라 베네핏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플랫폼 이용 목적에는 인플루언서 시스템 이용, 워커시스템 이용, AI 서비스 이용 등이 있을 수 있다.The server 10 may provide benefits according to the purpose of using the platform for users who use this platform. Here, the purpose of using the platform may include the use of the influencer system, the use of the worker system, and the use of AI services.

서버(10)는 인플루언서 시스템을 이용하는 사용자들에게, 프로필 / 영상프로필 무료 업로드 서비스, 워커시스템을 통한 구인 가능, 개인형 프로젝트 이용 가능, 표준계약서에 의거한 스마트컨트렉트 기반 계약서비스 이용 가능 등의 베네핏(혜택)을 제공할 수 있다.The server 10 provides users using the influencer system with a free upload service for profiles/video profiles, recruitment through the worker system, use of personal projects, and smart contract-based contract services based on standard contracts. etc. can provide benefits.

서버(10)는 워커시스템을 이용하는 사용자들에게, 프로젝트별 필요 인력 선택적으로 지원 가능, DID 기반 경력 관리 및 신뢰 점수에 의거한 급여 인상 가능, 급여 관련하여 디지털자산/법적화폐 비율 선택 가능(디지털자산관리로 인한 추가 수익 기회), 표준계약서 의거 스마트컨트렉트 기반 계약서비스 이용 가능 등의 베네핏(혜택)을 제공할 수 있다.The server 10 can selectively support the required manpower for each project for users using the worker system, can raise wages based on DID-based career management and trust scores, can select digital asset / legal currency ratio in relation to salary (digital asset Additional profit opportunities due to management) and smart contract-based contract services available in accordance with standard contracts.

또한, 서버(10)는 AI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들에게, AI 매칭서비스(일예로, 광고주-인플루언서/프로젝트 매칭, 인플루언서 시스템-워커시스템 매칭 등), AI 편집툴(일예로, 개인미디어 제작 시 AI 편집툴 기본형 제공), AI 선택형 알고리즘(자동추천 알고리즘 / 사용자 선택형 알고리즘 제공) 등의 베네핏(혜택)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rver 10 provides AI matching services (eg, advertiser-influencer/project matching, influencer system-worker system matching, etc.), AI editing tools (eg, personal When creating media, it is possible to provide benefits such as AI editing tool basic type) and AI selection type algorithm (providing automatic recommendation algorithm / user selection type algorithm).

3 커뮤니티 운영 포인트3 community operation points

3-1) 미디어 블라인드 앱3-1) Media Blind App

'블라인드 앱'은 인증된 직장인들의 소통을 위해 만들어진 모바일 익명 커뮤니티를 의미한다. 재직 중인 회사 이메일 계정을 통해 재직 사실을 인증받고 가입할 수 있다. 공유되는 정보의 신뢰도가 높아 직장인들이 몰린다. 회사 별로 게시판이 존재해 업종과 직군에서 익명으로 소통할 수 있다. 그런데, 블라인드 앱은 뒷담화 같은 소소한 소통을 넘어 사회 변화의 진앙이 되었으며. 현대판 '신문고'라고도 불린다.The 'blind app' refers to a mobile anonymous community created for communication between certified office workers. You can sign up after verifying your employment through your current company email account. The reliability of shared information is high, so office workers flock to it. There is a bulletin board for each company, so you can communicate anonymously in your industry and job category. However, the blind app has become the epicenter of social change beyond trivial communication such as gossiping. It is also called the modern version of 'Shinmungo'.

본 플랫폼은 미디어계의 블라인드 앱으로서 활용될 수 있다. 직장인들의 환경은 블라인드 앱의 활성화에 의해 개선되어가고 있다. 그런데, 미디어계는 95% 이상이 프리랜서로 일을 하고 있고, 흔히들 인맥을 중심으로 소개받고, 진행된다. 실력 검증과 신뢰에 기반하여 제작 인력을 구성해야 하기 때문에 어쩔 수 없다고 하지만, 이는 개인의 목소리를 내지 못하는 장으로 만들어 버린다. 예를 들어 연출팀의 한 구성원이 성희롱을 당했을 경우, 방송계에서 다시는 일할 수 없다는 각오로 신고해야 하며, 자신이 속한 팀 자체가 방송계에서 미운털이 박히게 된다. 개인 뿐만 아니라 소속된 팀에도 악역향을 주기 때문이다. 이러한 프리랜서 위주의 미디어 환경은 불합 리한 일을 경험하고도 목소리를 내지 못하는 환경이 될 수 밖에 없다.This platform can be utilized as a blind app in the media world. The environment of office workers is being improved by the activation of blind apps. By the way, more than 95% of the media world is working as a freelancer, and they are often introduced and progressed through personal connections. It is said that it is unavoidable because it is necessary to organize production personnel based on skill verification and trust, but this makes it a place where individual voices cannot be heard. For example, if a member of the directing team is sexually harassed, he or she must report it with the determination that he will never be able to work in the broadcasting industry again, and the team to which he belongs will be stained with hatred in the broadcasting industry. This is because it affects not only the individual but also the team he belongs to. This freelance media environment is inevitably an environment in which people cannot speak out even after experiencing irrational things.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고자, 본원은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미디어 제작환경을 제공하는 기술(본 시스템(100), 본 서버(10) 및 본 플랫폼)에 대하여 제안한다. 본 플랫폼은 블록체인 기반의 미디어 제작환경을 제공함으로써, 기존 제작환경의 악순환 고리를 끊는데 기여할 수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present application proposes a technology (this system 100, this server 10, and this platform) that provides a media production environment based on blockchain. This platform can contribute to breaking the vicious circle of the existing production environment by providing a blockchain-based media production environment.

도 21c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을 이용한 미디어콘텐츠 제작 시스템(100) 내 서버(10)를 이용하는 사용자가 프리랜서인 경우, 사용자가 서버(10)를 통해 이용 가능한 서비스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21C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 service available to a user through the server 10 when a user using the server 10 in the media content production system 100 using a block cha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freelancer. it is a drawing

도 21c를 참조하면, 서버(10)를 이용하는 사용자가 프리랜서인 경우, 해당 사용자는 본 서버(10)에 의해 제공되는 워커시스템을 이용할 수 있다. 워커시스템은 사용자에게 있어서 스마트컨트렉트 계약, 경력증명서 발급/관리, 구인/구직 스케줄 관리, 인력 매칭 AI 서비스 등이 가능하도록 제공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1C , when a user using the server 10 is a freelancer, the user can use a worker system provided by the server 10 . Worker System can provide users with smart contract contracts, issuance/management of career certificates, job offer/job schedule management, and manpower matching AI services.

종래에 프리랜서는 이력증명이 번거롭고 계약서를 수기로 작성해야 했으며, 스케줄 활용 효율이 적은 문제가 있었다. 이에 반해, 본 서버(혹은 본 시스템)에 의해 제공되는 워커시스템을 이용하는 사용자(프리랜서)는, 워커시스템으로 하여금 프리랜서 이력 증명이 편리하고 효율적이며, 계약서 자동화를 통해 편리성을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워커시스템을 이용하는 사용자(프리랜서)는 계약 내용을 P2P 로 조율 가능하고, 사용자 일정을 등록하여 일정 조율이 가능한 AI 매칭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In the past, freelancers had trouble verifying their resume, had to write contracts manually, and had problems with low schedule utilization efficiency. On the other hand, users (freelancers) who use the worker system provided by this server (or this system) can conveniently and efficiently prove their freelancer history through the worker system, and can be provided with convenience through contract automation. In addition, users (freelancers) using the worker system can coordinate contract details through P2P and receive AI matching services that enable schedule coordination by registering user schedules.

서버(10)는 사용자들이 본 플랫폼에서 제공하는 익명 게시판을 통해 미디어계의 '신문고'를 만들어 여러 문제점들을 서로 이야기하고 고발할 수 있도록 제공할 수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플랫폼 기능 및 문제점 보안을 제안받고 투표를 통해 적용 여부의 결정이 이루어지도록 제공할 수 있다.The server 10 can provide users with an anonymous bulletin board provided by this platform to create a 'Shinmungo' in the media world so that they can talk and report various problems to each other, and based on this, platform functions and problem security are proposed and It can be provided so that a decision on application is made through voting.

본 플랫폼은 스스로 일하는 환경을 개선해갈 수 있는 장으로 활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일에 대한 시너지 뿐 아니라 함께 일하는 동료 사용자가 늘어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본 플랫폼은 미디어계의 '신문고'이자, 스스로 만들어 나가는 '제작환경 개선의 장'으로 작용할 수 있다.This platform can be used as a place to improve the working environment for oneself, thereby increasing the number of fellow users working together as well as synergy for work. This platform can act as a 'newspaper' in the media world and a 'field for improving the production environment' created by itself.

3-2) 프로젝트 오디션3-2) Project Audition

오디션 리얼리티 프로그램은 서바이벌 경쟁을 통해 최후의 우승자를 가리며, 한 공동체에 소속된 구성원들에게 공정경쟁심리, 공동체 소속감, 집단과의 조화 등을 강조하는 일종의 '사회의 약속'으로 진화되기도 한다. 예시로 대통령 선거보다 더 많은 대중들이 전화 투표에 참가했던 것으로 유명세를 떨친 미국의 [아메리칸 아이돌(AmericanIdol)], 최초로 중국인들의 민주주의적 투표의식을 실행하게 했다는 [슈퍼걸(SuperGirls)] 등 글로벌 오디션 리얼리티 프로그램은 매우 분명하게도 한 공동체에 동일한 경험과 의미를 제공하는 '사회의 약속'으로서 큰 의미를 두게 된다.Audition reality programs determine the final winner through survival competition, and evolve into a kind of 'promise of society' that emphasizes fair competition psychology, sense of belonging to the community, and harmony with the group to members belonging to a community. For example, global audition reality programs such as [AmericanIdol] in the US, which became famous for having more people participate in telephone voting than in presidential elections, and [SuperGirls], which were the first to allow Chinese people to practice democratic voting rituals. is very clearly significant as a 'society's promise' to provide a community with the same experience and meaning.

본 플랫폼(본 서버)에서 고려되는 프로그램형 프로젝트는 일종의 '프로그램-오디션 플랫폼'으로 볼 수 있다.Programmatic projects considered on this platform (this server) can be seen as a kind of 'program-audition platform'.

프로젝트 진행방식을 살펴보면, 서버(10)는 사용자들이 프로젝트 기획서를 제출하여 지원하면, 전문가 투표를 통해 프로젝트 선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후, 서버(10)는 최종 선정된 프로젝트의 제작비용을 산출하고, 사전제작을 위해 모금을 진행하게 되는데, 이때 기획자, 연출진, 스텝진, 방송 인 등은 프로젝트에 지원 의사를 밝힐 수 있다. 본 플랫폼의 사용자들은 이러한 진행 과정을 스스로 판단하여 프로젝트형 디지털 자산의 구매 의사를 밝히고 실제 자산을 본 서버(10)를 통해 모금 주소로 전송할 수 있으며, 이와 동시에 스텝 구성 및 캐스팅에 대한 투표 권한을 서버(10)로부터 부여받을 수 있다. Looking at the project progress method, the server 10 may select a project through expert voting when users submit and support a project plan. Thereafter, the server 10 calculates the production cost of the finally selected project and proceeds with raising funds for pre-production. At this time, planners, directors, staff, broadcasters, etc. can express their intention to support the project. Users of this platform can judge this process by themselves, express their intention to purchase project-type digital assets, transmit actual assets to the fundraising address through this server 10, and at the same time, have the right to vote on staff composition and casting. (10) can be granted.

서버(10)는 모금이 완료되면, 자동으로 프로젝트형 디지털 자산 구매가 확정되도록 할 수 있으며, 모금 완료된 프로젝트에 대응하는 미디어콘텐츠의 제작 후 디지털 자산의 판매, 판권 관련 투표 등 권리의 행사가 가능하도록 제공할 수 있다. When the fundraising is completed, the server 10 can automatically confirm the purchase of project-type digital assets, and after producing media contents corresponding to the fundraising project, the server 10 can exercise rights such as selling digital assets and voting related to copyright. can provide

이에 따르면, 서버(10)는 본 서버(10)를 이용하는 사용자들이 프로그램의 전체적인 과정을 지켜보며 스스로 투표하고 가치 투자를 할 수 있도록 제공하며, 방송이 송출되기까지의 모든 과정을 컨트롤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is, the server 10 provides users who use the server 10 to watch the overall process of the program, vote on their own, and make value investments, and can control all processes until broadcasting is transmitted.

본 플랫폼은 특정 사람에 대한 오디션이 아닌, 특정 프로그램(프로그램형 프로젝트)에 대한 오디션이 가능하도록 하며, 이 안에서 투표를 통한 캐스팅 또한 가능하게 함에 따라, 일종의 '프로젝트 오디션 플랫폼'이라 할 수 있다.This platform makes it possible to audition not for a specific person, but for a specific program (programmatic project), and also enables casting through voting within it, so it can be called a kind of 'project audition platform'.

종래의 오디션 프로그램은 자신이 응원하는 지원자가 어려운 미션들을 뚫고 한 단계 한 단계 올라갈 때마다 짜릿한 쾌감과 카타르시스를 느낀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반해, 본 플랫폼에서는 사용자들이 프로젝트를 응원하고 지원하고, 제작 과정에서부터 방송 후의 과정에 참여하며, 자발적인 가치 투자를 통해 수익을 실현 가능하도록 제공할 수 있다.Conventional audition programs can be said to feel exhilarating pleasure and catharsis whenever the applicant they support goes through difficult missions and goes up one step at a time. On the other hand, on this platform, users can support and support the project, participate in the process from production to post-broadcast, and make profits realizable through voluntary value investment.

종래의 오디션 프로그램이 연예인을 만들기 위한 대형기획사의 전유물을 일반 시청자에게 선물했다면, 본 플랫폼은 기업이나 방송국, 제작사의 전유물이었던 프로그램을 본 플랫폼을 이용하는 사용자 개개인에게 선물할 수 있다.If conventional audition programs presented the exclusive properties of large agencies for making celebrities to general viewers, this platform can present programs that were the exclusive properties of companies, broadcasting stations, and producers to individual users using this platform.

상술한 바에 따르면, 본원은 블록체인을 이용한 미디어콘텐츠 제작 시스템/서버(장치)/플랫폼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 중심의 미디어콘텐츠 제작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본원은 사용자에게 초점을 맞추어 기존의 미디어 제작환경의 악순환을 블록체인 특징을 살린 선순환 구조로 전환하여 제공할 수 있다. 본 시스템(100)은 기존 수직적인 미디어 제작환경에 분산 시스템을 도입함으로써, 수평적이고 탈중앙화된 미디어 제작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application can provide a user-centered media content production environment by providing a media content production system/server (device)/platform using a block chain. Focusing on the user, the present application can provide a vicious cycle of the existing media production environment by converting it into a virtuous cycle structure utiliz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blockchain. The present system 100 can provide a horizontal and decentralized media production environment by introducing a distributed system into an existing vertical media production environment.

본 시스템(100)을 통해 제공되는 본 플랫폼은, '프로젝트' 단위로 구성될 수 있다. 본 시스템(100)은 프로젝트로서 프로그램형 프로젝트와 개인형 프로젝트를 함께 도입함으로써, 기존 방송과 MZ세대의 미디어 콘텐츠를 함께 아우르는 미디어제작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This platform provided through this system 100 may be configured in units of 'project'. This system 100 can provide a media production environment that encompasses existing broadcasting and media contents of the MZ generation by introducing both a program-type project and a personal-type project as projects.

또한, 본 시스템(100)은 블록체인의 스마트컨트렉트 기술과 DID를 활용할 수 있다. 이러한 본 시스템(100)은 프로젝트 내 개인 및 기업의 투자 환경을 조성함과 동시에 '워커시스템(즉, 구인구직 시스템)'과 '인플루언서 시스템'을 제공하여 사용자의 접근성과 편리성을 높일 수 있다.In addition, this system 100 can utilize smart contract technology and DID of blockchain. This system 100 can increase user accessibility and convenience by providing a 'worker system (ie, job search system)' and 'influencer system' while creating an investment environment for individuals and companies in the project. there is.

또한, 본 시스템(100)에 의해 제공되는 본 플랫폼은, 기존 미디어 제작환경에 대한 '신문고'이자 '제작환경 개선의 장'으로서 역할을 하는 커뮤니티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본 시스템(100)은 프로젝트를 개개인이 판단, 투표를 통해 선정하며 투자 수익까지 가능케 하는 '프로그램 오디션의 장'으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본 시스템(100)은 PoM 합의 알고리즘(21)에 기반하여 사용자의 활동에 따라 패시프인컴 수익이 가능한 블록체인 플랫폼(본 플랫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시스템(100)은 코로나19로 인해 변화되고 있는 비대면 사회에서 디지털계약, AI, 구인구직 등 시대 흐름에 적응 방안으로 활용될 수 있다. 이러한 본 시스템(100)은 전체 미디어 시장에서 새로운 블록체인 적용 기술로 활용될 수 있다.In addition, this platform provided by the present system 100 can be used as a 'newspaper' for the existing media production environment and a community that serves as a 'field for improving the production environment'. In addition, this system 100 can be used as a 'place for program audition' where each individual selects a project through judgment and voting, and even enables return on investment. In addition, the system 100 can provide a blockchain platform (this platform) capable of earning passive income according to the user's activity based on the PoM consensus algorithm 21. In addition, this system 100 can be used as a way to adapt to the trend of the times, such as digital contracts, AI, and job search in a non-face-to-face society that is changing due to COVID-19. This system 100 can be utilized as a new blockchain application technology in the entire media market.

본원은 종래의 미디어콘텐츠 제작 환경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는 방안으로서, 블록체인을 이용한 미디어콘텐츠 제작 기술에 대하여 제안한다.The present application proposes a media content production technology using a block chain as a way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media content production environment.

도 22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을 이용한 미디어콘텐츠 제작 시스템(100)의 경쟁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즉, 도 22에는 본원에서 제안하는 기술(즉, 블록체인을 이용한 미디어콘텐츠 제작 기술인 밈비)과 타 경쟁사의 기술 간의 비교 분석표가 도시되어 있다.22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competitiveness of the media content production system 100 using a block cha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at is, FIG. 22 shows a comparative analysis table between the technology proposed by the present application (ie, Mimbi, a media content production technology using a block chain) and the technology of other competitors.

도 22를 참조하면, 본원에서 제안하는 기술(본 시스템, 밈비)은 개요, 분야, 저작권, 투자방식, 수익배분 구조, 제작 유무, 블록체인 활용 여부 등에 있어서, 종래의 타 경쟁사(펀더풀, 모굴프로덕션, 유튜브)의 기술과 대비해 도 22에 도시된 것과 같은 차별점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대한 설명은 도 22를 참조해 보다 쉽게 이해될 수 있는바, 이하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Referring to FIG. 22, the technology (this system, Mimbi) proposed herein is different from other conventional competitors (Funderful, Mogul, Production, YouTube) may have a difference as shown in FIG. 22 compared to the technology. A description thereof can be more easily understood with reference to FIG. 22, and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below.

본 시스템(100)은 블록체인을 이용한 미디어콘텐츠 제작 기술을 제공함으로써, WIN-WIN 투자 방안(개미와 고래의 상부상조, WIN-WIN 투자 전략)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대부분 미디어콘텐츠 관련 투자는 기존 방송국, 기업이나 펀드 회사 등 기업들이 주를 이루었다. 이에 반해, 본 플랫폼에서는 미디어 제작 프로젝트에 개개인의 판단하여 지분 참여를 할 수 있다. 즉, 본 플랫폼은 개인과 기업이 모두 투자가 가능한 플랫폼일 수 있다. 이러한 본 시스템(100)의 경우, 개인에게는 미디어콘텐츠 제작 직접 투자의 기회를, 기업에게는 투자금액을 하향시킬 수 있어, 개인과 기업에게 모두 WIN-WIN 전략이 될 수 있게 하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This system 100 can provide a WIN-WIN investment plan (mutual aid between ants and whales, WIN-WIN investment strategy) by providing media content production technology using blockchain. Specifically, most media content-related investments were made by companies such as existing broadcasting stations, corporations, or fund companies. On the other hand, on this platform, individuals can participate in the media production project at their own discretion. In other words, this platform can be a platform where both individuals and companies can invest. In the case of this system 100, an opportunity for direct investment in media content production can be provided to individuals and an environment that can be a WIN-WIN strategy for both individuals and companies can be provided by lowering the investment amount for companies. .

또한, 본 시스템(100)은 사전제작을 통한 수익 극대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즉, 본 시스템(100)은 투자자의 수익 극대화를 위한 미디어콘텐츠 사전제작 기술을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해, 종래의 경우 IP(저작권)는 방송사의 지분이 대부분이었기 때문에 투자한 벤처캐피탈이나 기업들의 수익이 현저히 낮았다. 현재 트랜드는 IP를 제작사 귀속으로 하기 위해 사전제작방식으로 변화하고 있다. 그러나, 투자자들은 수익률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초기 투자금액이 자체적으로 처리되어야 하기 때문에 대형 제작사만이 할 수 있는 방법이라 할 수 있다.In addition, this system 100 can provide a profit maximization effect through pre-production. That is, the present system 100 can provide media content pre-production technology for maximizing investors' profits. In this regard, since IP (copyright) was the majority of shares of broadcasting companies in the past, the profits of venture capital or companies invested in it were remarkably low. The current trend is changing to a pre-production method to make the IP belong to the producer. However, although investors have the advantage of increasing the rate of return, it is a method that only large production companies can do because the initial investment amount must be handled by itself.

따라서, 본원은 본 시스템(본 플랫폼)의 제공을 통해, 사전제작에 필요한 금액을 블록체인의 NFT를 활용하여 IP 지분율을 유동적으로 확보하고, 실제 제작에 들어가게 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본 시스템(100)에 의하면, 투자자들은 위험을 분산시키고, 수익을 최대화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Therefore, through the provision of this system (this platform), the present application can provide an environment in which the amount required for pre-production can be flexibly secured by using the NFT of the blockchain to secure the IP share and to enter actual production. According to this system 100, investors can provide an effect that can diversify risks and maximize profits.

본원에서 제안하는 본 시스템(100)은 일예로 OTT 서비스(over-the-top media service) 시장, 국내외 미디어콘텐츠 투자자, 동영상 공유 서비스 시장 등을 목표시장으로 하여 제공될 수 있다.The system 100 proposed herein may be provided as target markets, such as an over-the-top media service (OTT) service market, domestic and foreign media content investors, and a video sharing service market, for example.

1. OTT 서비스(over-the-top media service) 시장1. Over-the-top media service (OTT) market

매년 디지털 매출 비중이 증가하고 있다. 콘텐츠 제작사와 OTT 플랫폼과의 협업 또한 증가 추세이며, 사전제작 관련 콘텐츠 제작 규모는 매년 증가 추세이다. 특히 코로나19의 세계적 대유행으로 비대면 시대가 본격화되면서 비대면 플랫폼 서비스인 OTT 업계가 가파른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대표적인 OTT 플랫폼인 ‘넷플릭스’는 2020년 한 해에만, 콘텐츠 부분에 20조원이라는 어마어마한 금액을 오리지널 콘텐츠의 확대와 판권 구입 등에 투자하고 있다. 이는 단순히 이미 만들어진 콘텐츠를 독점 확보 및 공급할 뿐 아니라, 자체 제작 콘텐츠 개발에 집중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즉, 소리 없는 콘텐츠 확보 전쟁이 일어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The share of digital sales is increasing every year. Collaboration between content producers and OTT platforms is also increasing, and the scale of content production related to pre-production is increasing every year. In particular, as the non-face-to-face era began in earnest due to the global pandemic of Corona 19, the OTT industry, a non-face-to-face platform service, continues to grow rapidly. ‘Netflix’, a representative OTT platform, is investing an enormous amount of 20 trillion won in content in 2020 alone to expand original content and purchase copyrights. This can be seen as not only exclusively securing and supplying already-made content, but also focusing on developing self-produced content. In other words, it can be seen that a silent war to secure content is taking place.

본원에서 제안하는 밈비는 미디어 콘텐츠 제작 솔루션으로써, 콘텐츠를 확보하려는 OTT 서비스 플랫폼의 수요 전쟁 시장에 경쟁력 있는 결과물을 공급/판매하는 것을 목표로 할 수 있다.Mimbi, proposed here, is a media content production solution, and can aim to supply/sell competitive results to the demand war market of OTT service platforms to secure content.

또한, 본 시스템(100)은 대형 OTT 플랫폼 및 해외 판권 시장을 목표시장으로 하여 제공될 수 있다. OTT 플랫폼 사이에서는 소리 없는 콘텐츠 확보 전쟁이 일어나고 있다. 기존 미디어 기업은 물론 글로벌 OTT 업체들은 타 OTT와의 경쟁에서 살아남기 위해 고품질 자체 콘텐츠를 제작하여 자사 OTT에 독점 공급하는 방식을 택하고 있다. 또한 사용자 증가를 위해 질 좋은 콘텐츠를 확보하려고 하고 있고, 이러한 OTT 시장 또한 코로나로 인한 비대면 서비스 이용 증가로 매우 급증하고 있다. 이에 본원은 미디어 콘텐츠 수요가 급격히 늘고 있고 이를 타겟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this system 100 can be provided by targeting large-scale OTT platforms and overseas copyright markets. A silent war to secure content is taking place among OTT platforms. Existing media companies as well as global OTT companies are choosing to produce high-quality content and exclusively supply it to their own OTTs in order to survive in competition with other OTTs. In addition, they are trying to secure quality content to increase users, and the OTT market is also rapidly increasing due to the increase in the use of non-face-to-face services due to the corona. Accordingly, the demand for media content is rapidly increasing, and this application can be targeted.

2. 국내외 미디어콘텐츠 투자자2. Domestic and foreign media content investors

본 플랫폼은 기존 벤처케피탈, 기업, PPL, 광고 등 미디어 콘텐츠 제작에 기업 및 개인이 모두 투자가 가능한 구조로 마련될 수 있다. 본 플랫폼은 블록체인 기반의 NFT가 IP/DID와 접목됨으로써, 블록체인의 투명성과 불변성을 통해 사용자로 하여금 신뢰와 안정성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본 플랫폼은 국내외 상관없이 신뢰 환경에서 투자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는바, 남다른 시장성을 가지고 공략할 수 있다.This platform can be prepared in a structure that allows both companies and individuals to invest in media content production such as existing venture capital, companies, PPL, and advertisements. This platform can provide users with trust and stability through the transparency and immutability of blockchain by combining blockchain-based NFT with IP/DID. This platform can enable investment in a trusted environment regardless of domestic or foreign, so it can be targeted with extraordinary marketability.

현재 부동산/음원/미술품 등 조각투자가 관심 조명되고 있다. 이에, 본원은 본 시스템(100)으로 하여금, 미디어 콘텐츠 시장에서 조각투자가 가능한 시스템을 개발하고 IP 수익을 안정적이면서 최대화시킬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여, 국내외 미디어 콘텐츠 투자자들의 관심과 투자를 이끌어 낼 수 있다.Currently, investment in sculptures, such as real estate/sound sources/artworks, is attracting attention. Accordingly, the present application enables the present system 100 to develop a system capable of investing in pieces in the media content market and to provide an environment in which IP profits can be maximized in a stable manner, thereby attracting interest and investment from domestic and foreign media content investors. there is.

3. 동영상 공유 서비스 시장3. Video sharing service market

유튜브, 틱톡, 아프리카TV 등 전 세계적으로 동영상 공유 서비스의 범위와 활용도는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고, 플랫폼 또한 앞다투어 출시하고 있다. 동영상 공유 서비스의 사용자는 창작자이다. 본 플랫폼은 기획력과 대중성을 갖춘 셀럽들에게 각각의 채널을 NFT 지분 형태로 제공하고 광고에 대한 수입을 NFT 소유자에게 수익 배분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본 플랫폼은 걸어다니는 기업을 컨셉 목표로 국내외 동영상 공유 서비스 시장에 적용될 수 있다.The scope and usage of video sharing services around the world, such as YouTube, TikTok, and Afreeca TV, are continuously increasing, and platforms are also being launched in a rush. Users of video sharing services are creators. This platform can provide each channel in the form of NFT shares to celebrities with planning power and popularity, and distribute revenue from advertising to NFT owners. This platform can be applied to domestic and foreign video sharing service markets with the concept of walking companies.

다시 말해, 대표적으로 유튜브는 현재 전 세계 20억 명 넘는 사람들이 사용하고 있다. 일 평균 1억 개의 영상이 올라오며 하루 평균 10억 시간 이상의 사용량을 보인다. 분당 400 시간의 새로운 영상이 업로드되고 있다. 이러한 유튜브, 틱톡, 아프리카TV 등의 동영상 공유 서비스의 범위와 활용도는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고, 플랫폼 또한 앞다투어 출시하고 있다.In other words, as a representative example, YouTube is currently used by more than 2 billion people around the world. An average of 100 million videos are uploaded daily, and an average of more than 1 billion hours are used per day. 400 hours of new video are being uploaded every minute. The scope and utilization of video sharing services such as YouTube, TikTok, and Afreeca TV are continuously increasing, and platforms are also being released in a rush.

동영상 공유 서비스의 사용자는 창작자이다. 본 시스템(100)은 기획력과 대중성을 갖춘 셀럽들에게 각각의 채널을 NFT 지분 형태로 제공하고, 광고에 대한 수입을 인플루언서 NFT의 소유자(구독자, 팬)에게 수익 배분을 시킬 수 있다. 즉, 본 시스템(100)은 걸어다니는 기업을 현실화시키는 컨셉으로 국내외 동영상 공유 서비스 시장을 공략할 수 있다. 일예로 광고/PPL 수익의 60%는 창작자, 20%는 플랫폼 수수료, 나머지 20%는 프로젝트 활용비로 수익금이 분배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본 플랫폼은 기존 플랫폼과 대비하여 플랫폼 수수료를 최소화하면서, 인플루언서-구독자가 서로 베네핏을 가져갈 수 있는 업그레이드된 구조를 갖는다고 할 수 있다.Users of video sharing services are creators. This system 100 can provide each channel in the form of NFT shares to celebrities with planning power and popularity, and distribute revenue from advertisements to influencer NFT owners (subscribers, fans). That is, this system 100 can target domestic and foreign video sharing service markets with the concept of realizing a walking company. For example, 60% of advertising/PPL revenue can be distributed to creators, 20% to platform fees, and the remaining 20% to project utilization costs. This platform can be said to have an upgraded structure that allows influencer-subscribers to benefit from each other while minimizing platform fees compared to existing platforms.

한편, 최근 OTT 시장(동영상 스트리밍) 및 동영상 공유서비스 시장의 규모는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OTT 플랫폼 콘텐츠 판매 경쟁으로 인해 미디어 콘텐츠 제작사는 사전제작 방식으로 IP(저작권) 확보를 하여 수익을 극대화시키는 흐름으로 변화하고 있다. 사전제작은 중형/소형 제작사에서는 초기 자금 확보에 대한 리스크가 크기 때문에 섣불리 택할 수 있는 방법은 아니다.On the other hand, the size of the OTT market (video streaming) and video sharing service market has been continuously increasing. OTT platform content sales competition is changing to a trend in which media content producers maximize profits by securing IP (copyright) in a pre-production method. Pre-production is not a method that small/medium sized production companies can take hastily because of the high risk of securing initial funds.

이에, 본원은 본 플랫폼(밈비 솔루션)의 제공을 통해, 미디어콘텐츠의 제작과 관련해 기획 단계에서부터 제작, 유통 및 보급까지 모두 자체 사전제작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본원은 방송사의 방영권 구매 외에 타 OTT 플랫폼, 해외 판권 판매, 동영상 공유플랫폼에서의 저작권 관련 등 다양한 부문에서 수입을 창출할 수 있다.Therefore, through the provision of this platform (the Mimbi solution), the present application can provide an environment in which all media contents production, from the planning stage to production, distribution and dissemination, are self-prepared. In addition to purchasing broadcasting rights from broadcasting companies, this headquarters can generate income in various fields, such as other OTT platforms, sales of overseas copyrights, and copyrights in video sharing platforms.

또한, 본원은 글로벌 OTT 서비스, Youtube같은 동영상 공유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를 일반 타겟으로 할 수 있으며, 미디어 관련 종사자 및 인플루언서, 대중예술인을 플렛폼 이용자 타겟으로 설정할 수 있다. 본 플랫폼은 비대면 시대에 DID를 활용하여 표준계약서 체결을 하는 스마트컨트렉트 기술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들에게 있어서 보다 나은 근로환경을 제공할 수 있고, 이를 토대로 본 플랫폼의 이용 사용자 수를 효과적으로 늘릴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application can target users who use video sharing services such as global OTT services and YouTube as general targets, and media-related workers, influencers, and popular artists can be set as platform user targets. This platform can provide a better working environment for users by providing smart contract technology that uses DID to conclude standard contracts in the non-face-to-face era, and based on this, effectively increase the number of users using this platform can

본 플랫폼은 미디어콘텐츠 투자 또한 국내외 / 기업 및 개인 모두가 가능하기 때문에 유연성을 갖추고 있으며, K-Media에 관심있는 국내외 미디어계 종사자에게 있어서 프로젝트에 직접 지원하고 참여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바, 해외 시장 확보도 가능할 수 있다.This platform is flexible because media content investment is also possible for both domestic and foreign companies and individuals, and provides an environment in which domestic and foreign media workers interested in K-Media can directly support and participate in the project. Overseas markets may also be secured.

본원은 본 시스템(100)인 밈비(MYMB, Make Your Media in Blockchain)의 제공을 통해, 전통적인 콘텐츠미디어 제작 및 투자 시스템을 블록체인의 장점을 활용하여 사용자의 니즈에 맞게 재설계하여 고객가치에 초점을 맞춘 새로운 시스템을 제공하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rough the provision of this system 100, MYMB (Make Your Media in Blockchain), we focus on customer value by redesigning the traditional contents media production and investment system to suit the needs of users by utilizing the advantages of blockchain It aims to provide a new system tailored to

본 시스템(100)은 기존 미디어 제작환경에 대한 ‘신문고’이자 ‘제작환경 개선의 장’으로, 프로젝트를 개개인이 판단, 투표를 통해 선정하는 ‘프로그램 오디션’으로, PoM 합의 알고리즘에 기반한 활동에 따른 ‘인컴 패시프 플랫폼’으로, 디지털 계약, AI 등 코로나19로 인한 ‘비대면 시대 흐름의 적응 방안’으로 활용될 수 있다. 본 시스템(100)은 4차 산업 혁명 시대에서 새로운 블록체인 방법으로 활용될 수 있다.This system 100 is a 'newspaper' for the existing media production environment and a 'field for improving the production environment', a 'program audition' in which projects are selected through individual judgment and voting, according to activities based on the PoM consensus algorithm As an 'income passive platform', it can be used as a 'measure to adapt to the non-face-to-face era' caused by Corona 19, such as digital contracts and AI. This system 100 can be utilized as a new blockchain method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본원은 본 시스템(100)의 제공을 위해 린스타트업 계획을 수행할 수 있다. 린스타트업(Lean Startup)은 아이디어를 빠르게 최소요건제품(시제품)으로 제조한 뒤 시장의 반응을 통해 다음 제품 개선에 반영하는 전략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제조-측정-학습’의 과정을 반복하면서 꾸준히 혁신해 나가는 것을 주요 내용으로 한다.The present application may perform a lean startup plan to provide the system 100. Lean Startup refers to a strategy to quickly manufacture an idea into a product with minimum requirements (prototype) and then reflect it in the next product improvement through market response. The main content is to constantly innovate.

본원이 스타트업 계획에는 최소요건제품(제조, APP 등) 제작 계획, 고객검증(고객반응조사) 계획, 비즈니스모델 고도화 및 피보팅 계획이 포함될 수 있다.This startup plan may include a plan for producing minimum required products (manufacturing, APP, etc.), a plan for customer verification (customer response survey), a plan for advancing a business model, and a pivoting plan.

[최소요건제품(제조, APP 등) 제작 계획][Plan for production of minimum required products (manufacturing, APP, etc.)]

도 23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을 이용한 미디어콘텐츠 제작 시스템(100)에 적용되는 본 플랫폼의 NFT 전체 아키텍처(PoC) 구조 예를 나타낸다.23 shows an example of an NFT overall architecture (PoC) structure of this platform applied to the media content production system 100 using a block cha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도 23을 참조하면, 해당 계획에서는 본 플랫폼 및 본 앱의 PoC(개념 증명)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관련해, 세부적으로 '제작목표'는 본 플랫폼의 의 핵심 기능을 구현하는 PoC(Proof of Concept) 프로젝트로서, 일부 유즈케이스를 통해 검증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사업제안시 이해도를 높이고, 사용자들의 니즈를 파악하기 위한 용도로 활용될 수 있다. '제작내용 및 제작범위'는 본 플랫폼의 핵심 기능인 NFT와 PoM 알고리즘의 목업(Mock-up) 개발 / 미디어 제작 프로젝트의 제작 과정을 반영한 시연 시나리오 개발 / 미디어 제작 프로젝트 및 PoM합의 알고리즘에 근거한 멤버쉽 현황을 확인할 수 있는 PoC(개념 증명) 범위의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목업 제작 등이 이루어질 수 있다.Referring to FIG. 23, in the plan, PoC (proof of concept) of this platform and this app can be made. In this regard, in detail, the 'production goal' is a PoC (Proof of Concept) project that implements the core functions of this platform, and is configured to be verifiable through some use cases to increase understanding when proposing a business and to identify user needs It can be used for purposes of 'Production content and production scope' is the development of a mock-up of NFT and PoM algorithms, which are the core functions of this platform, / development of demonstration scenarios that reflect the production process of media production projects / membership status based on media production projects and PoM consensus algorithms. Mobile application mock-ups that range from verifiable proofs of concept (PoCs) can be made.

[고객검증(고객반응조사) 계획][Customer verification (customer response survey) plan]

도 24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을 이용한 미디어콘텐츠 제작 시스템(100)을 통해 제공되는 가상 체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24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virtual experience provided through the media content production system 100 using a block cha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도 24를 참조하면, 본 시스템(100) 내지 본 서버(10)는 사용자에게 본 앱(내지 본 플랫폼)을 통하여 가상 체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가상 체험은 본 플랫폼의 기능 중 하나로서, 투자 부문에 대한 튜토리얼을 통해 모의 투자를 통한 가상 체험을 의미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서버(10)는 투자 부문에 있어서 튜토리얼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모의 투자를 통한 가상 체험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듀토리얼이라 함은 소프트웨어나 하드웨어를 움직이는 데 필요한 사용 지침 따위의 정보를 알려 주는 시스템을 의미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4 , the present system 100 to the present server 10 may provide a virtual experience function to the user through the present app (or present platform). At this time, the virtual experience is one of the functions of this platform, and may mean a virtual experience through simulated investment through a tutorial on the investment sector. In other words, the server 10 may provide a virtual experience through simulated investment to the user through a tutorial in the investment sector. Here, the tutorial may refer to a system that informs information such as usage guidelines required to operate software or hardware.

"참여 대상" : 가상 체험의 참여 대상은 종투자에 대해 관심 있는 얼리어댑터, 미디어콘텐츠 관련 종사자, MZ세대 불특정다수, 블록체인에 관심 있는 사람 등일 수 있다."Participation target": The target of participation in the virtual experience may be early adopters interested in investment, media content workers, an unspecified number of MZ generations, and people interested in blockchain.

"참여 경로" : 가상 체험의 참여 경로는, 일예로 미디어콘텐츠 관련 카페 및 커뮤니티 글 게시, 신종 투자관련 카페나 커뮤니티 이벤트 글 게시, 인스타/페이스북 MZ세대가 이용하는 플랫폼에 글 게시, 튜토리얼 설문에 참여하는 200명 대상으로 커피 쿠폰 지급 등일 수 있다."Participation Path": Participation paths for virtual experiences include, for example, posting media content-related cafes and community posts, posting new investment-related cafes and community events, posting posts on Instagram/Facebook platforms used by the MZ generation, and answering questions about tutorials. Coffee coupons may be provided to 200 participating people.

"설문내용" : 가상 체험을 통한 설문 내용은, 일예로 1. 튜토리얼을 통한 모의 투자 관련 의견, 2. 프로젝트 관련 IP(저작권)/광고에 대한 10% 회사 운영비 배당에 대한 의견, 3. 본 시스템(100)의 이해도 체크_튜토리얼 기대효과 산출, 4. 본 플랫폼의 활동에 의거한 PoM 알고리즘에 의해 발행되는 MYMB 코인 지급에 대한 의견(프로젝트 참여, 투자, 이용시간 등의 활동 비율 관련), 5. 향후 정식 버전 출시 후 이용 계획 유무, 6. 개선점 / 바라는 점 의견 체크 등이 포함될 수 있다."Contents of the survey": The contents of the survey through the virtual experience, for example, 1. Opinions on mock investment through tutorials, 2. Opinions on the allocation of 10% company operating expenses for project-related IP (copyright)/advertisements, 3. This system Check understanding of (100)_Calculation of expected effect of tutorial, 4. Opinion on payment of MYMB coin issued by PoM algorithm based on activity of this platform (related to activity ratio such as project participation, investment, usage time, etc.), 5 It may include whether or not there is a plan to use it after the release of the official version in the future, 6. improvement points / desired point, opinion check, etc.

"검증결과 활용 계획" : 가상 체험에 의한 검증결과를 토대로, 본 서버(10)는 설문 조사에서 얻은 MYMB 시스템 만족도와 투자 관련 사용자 니즈 파악, PoM 알고리즘 활동 항목에 대한 발급 비율 및 발행량 수정 및 개선, MYMB 앱 디자인/메뉴얼에 대해 이해도 파악 후 시스템 관련 정보 전달 방향성 개선 등을 수행할 수 있다."Verification Result Utilization Plan": Based on the verification result by virtual experience, this server 10 identifies the MYMB system satisfaction obtained from the survey and user needs related to investment, corrects and improves the issuance rate and issuance amount for PoM algorithm activity items, After understanding the MYMB app design/manual,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direction of system-related information delivery.

[비즈니스모델 고도화 및 피보팅 계획][Business model advancement and pivoting plan]

해당 계획에서는 BM 고도화 및 사업 전환 관련 계획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관련해, 구체적인 일예로 "PoC을 위한 MVP 활용방안" 계획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MVP를 통해 프로젝트 관련 예산 플랫폼 비용 10%에 대한 사용자 의견을 통해 총 프로젝트 예산 배정에 대한 적정 비율을 확인하고 BM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베타 PoC(컨셉 검증) 버전 출시 및 고객 검증 후 MYMB 플랫폼 전체 운영비용 및 개발 비용을 책정할 수 있다. 또한, 고객 검증을 통해 [MYMB Platform Economy-System]의 활동에 의한 멤버쉽 기준에 대해 일예로 도 20, 도 21a 및 도 21b에 도시된 수익구조 비율 배분/항목을 수정할 수 있다.In this plan, plans related to BM advancement and business conversion can be made. In this regard, as a specific example, a “MVP Utilization Plan for PoC” plan may be performed. At this time, through MVP, user opinions on the project-related budget platform cost of 10% can be used to confirm the appropriate ratio for the total project budget allocation and apply it to the BM. In addition, after the release of the beta PoC (concept verification) version and customer verification, the overall operation and development costs of the MYMB platform can be set. In addition, through customer verification, it is possible to modify the profit structure ratio distribution/item shown in FIGS. 20, 21a and 21b, for example, with respect to membership criteria by activities of [MYMB Platform Economy-System].

또한, 해당 계획에서는 다른 일예로 "밈비 베타버전 출시를 통해 에코시스템 검증"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에코시스템의 구조는 일예로 도 18에 도시된 이코노미 시스템 구조와 같을 수 있다. 해당 계획에서는 투자 튜토리얼 진행 내용을 토대로 프로젝트 제작 참여 관련 고객 검증을 수행할 수 있고, 고객 검증을 통해 얻은 데이터와 의견을 토대로 정식 버전 개발 진행 및 마케팅 타겟/계획을 수립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lan, as another example, "ecosystem verification through Mimbi beta version release" can be performed. Here, the structure of the ecosystem may be the same as the economy system structure shown in FIG. 18, for example. In this plan, based on the contents of the investment tutorial, customer verification related to participation in project production can be performed, and based on data and opinions obtained through customer verification, development of the official version and marketing target/plan can be established.

상술한 바에 따르면, 본원(즉, 본 시스템(100), 서버(10), 본 플랫폼)은 기존 중앙화된 제작 시스템에서 이루어졌던 불공정 관행에서 벗어난 미디어콘텐츠 제작 기술을 제공할 수 있다. 본원에서 MYMB 플랫폼의 모든 이코노미 시스템은 블록(블록체인의 블록)에 동기화될 수 있고, 누구나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원에서는 DID(Decentralized Identit)를 활용한 개인 이력 관리, 인플루언서의 프로필, 개인미디어의 헤쉬 값도 블록에 기록될 수 있다. 이렇게 저장된 모든 기록은 투명성과 불변성을 지니게 되어, 본원은 사용자들에게 블록체인 방식의 새로운 미디어 제작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foregoing, the present application (that is, the system 100, the server 10, and the present platform) can provide a media content production technology that is free from unfair practices in existing centralized production systems. In this application, all economy systems of the MYMB platform can be synchronized with blocks (blocks in the blockchain), and anyone can check them. In addition, in the present application, personal history management using DID (Decentralized Identity), influencer profiles, and hash values of personal media can also be recorded in blocks. All records stored in this way have transparency and immutability, so the present application can provide users with a new media production environment of the blockchain method.

또한, 종래에 기존 프로그램이나 동영상 공유플랫폼에 투자하는 것은 기업이나 펀드 회사 등 거대 자본만 가능했으며, 블록체인은 디지털 자산이 존재한다. 이에, 본원은 MYMB 플랫폼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들이 활동에 따라 정당한 보상을 받을 수 있게 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은 프로젝트 제작에 있어서 누구나 스스로 판단하여 자유롭게 투자할 수 있도록 제공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모든 디지털 자산은 본 플랫폼 내에서 거래 가능하게 마련(제공)될 수 있다.In the past, investing in existing programs or video sharing platforms was possible only with large capital such as companies or fund companies, and digital assets exist in block chains. Therefore, by providing the MYMB platform, the present application can enable users to receive legitimate compensation according to their activities. In addition, the present application can be provided so that anyone can make their own judgment and freely invest in project production. All digital assets used herein can be prepared (provided) to be tradable within this platform.

또한, 본원은 중앙화에서 탈중앙화된 인플루언서 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기존의 수직적인 구조에서 P2P의 수평적인 인력시스템을 갖추고, 스마트컨트렉트를 기반으로 표준계약을 체결하는 방식으로 본 플랫폼에서 활동하는 사용자들이 정당한 임금과 권리를 누릴 수 있게 할 수 있다.In addition, by providing a decentralized influencer system from centralization, we have a P2P horizontal manpower system in the existing vertical structure, and act on this platform by signing a standard contract based on smart contracts. Employers can enjoy fair wages and rights.

이하에서는 상기에 자세히 설명된 내용을 기반으로, 본원의 동작 흐름을 간단히 살펴보기로 한다.Hereinafter, based on the details described above, the operation flow of the present application will be briefly reviewed.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을 이용한 미디어콘텐츠 제작 방법은 앞서 설명된 서버(10)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서버(10)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은 블록체인을 이용한 미디어콘텐츠 제작 방법에 대한 설명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The method for producing media content using a block cha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may be performed by the server 10 described above. Therefore, even if the contents are omitted below, the description of the server 10 can be equally applied to the description of the media content production method using the block chain.

간단히 살펴보면,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을 이용한 미디어콘텐츠 제작 방법은, 참여자 단말로부터 기획서가 수신된 경우(즉, 참가자가 기획서를 제출한 경우) 기획선정/투표 관련 제1 처리부에서 기획선정과 투표를 수행하는 단계, 투자/자금조달 관련 제2 처리부에서 미디어콘텐츠의 제작에 필요한 자금을 조달하고 NFT를 투자금액에 따라 지급하는 단계, 콘텐츠 제작 관련 제3 처리부에서 미디어콘텐츠를 제작하는 단계, 공급/판매 관련 제4 처리부에서 제작된 미디어콘텐츠를 공급하고 판매하는 단계, 수익 배분 관련 제5 처리부에서 제작된 미디어콘텐츠와 관련하여 광고/PPL/OTT/해외판권 판매금액을 NFT 지분에 따라 수익을 배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Briefly, in the media content production method using blockcha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when a plan is received from a participant terminal (ie, when a participant submits a plan), the first processing unit related to plan selection/voting selects a plan and voting, procuring funds necessary for media content production in the second processing unit related to investment/financing and paying NFTs according to the investment amount, producing media content in the third processing unit related to content production, The step of supplying and selling the media contents produced by the 4th processing unit related to supply/sales, and the sales amount of advertising/PPL/OTT/overseas copyrights in relation to the media contents produced by the 5th processing unit related to profit distribution according to the NFT stake. distribution may be included.

상술한 설명에서, 블록체인을 이용한 미디어콘텐츠 제작 방법 내 각 단계는 본원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다.In the above description, each step in the method for producing media content using a block chain may be further divided into additional steps or combined into fewer step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lso, some steps may be omitted if necessary, and the order of steps may be changed.

본원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블록체인을 이용한 미디어콘텐츠 제작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The method for producing media content using a block cha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program instructions that can be executed through various computer means and recorded on a computer readable medium. The computer readable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etc. alone or in combination. Program instructions recorded on the medium may be those specially designed and configured for the present invention or those known and usable to those skilled in computer software.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s, optical media such as CD-ROMs and DVDs, and magnetic media such as floptical disks. - includes hardware devices speci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magneto-optical media, and ROM, RAM, flash memory, and the like. 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high-level language codes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as well as machine language codes such as those produced by a compiler. The hardware devices described above may be configured to act as one or more software modules to perform the oper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ice versa.

또한, 전술한 블록체인을 이용한 미디어콘텐츠 제작 방법은 기록 매체에 저장되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aforementioned method of producing media contents using blockchain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computer program or application stored in a recording medium and executed by a computer.

전술한 본원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원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The above description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for illustrative purpose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it can be easily modified into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should be understood as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limiting.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type may be implemented in a distributed manner, and similarly, components described as distributed may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원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indicated by the following claims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bove,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equivalent concepts thereof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application.

100: 블록체인을 이용한 미디어콘텐츠 제작 시스템
100: 서버
11: 제1 처리부 12: 제2 처리부
13: 제3 처리부 14: 제2 처리부
15: 제5 처리부
20: PoM 멤버쉽 메커니즘(블록체인 기반 멤버쉽 관리 장치)
1: 참여자 단말 1': 참여자
2: 투자자 단말 2': 투자자
100: Media contents production system using blockchain
100: server
11: first processing unit 12: second processing unit
13: third processing unit 14: second processing unit
15: fifth processing unit
20: PoM membership mechanism (blockchain-based membership management device)
1: participant terminal 1': participant
2: investor terminal 2': investor

Claims (5)

블록체인 기반 멤버쉽 관리 장치로서,
서버에 의해 제공되는 미디어 제작 플랫폼에 대한 사용자의 활동 이력을 기반으로 하고, 합의 수행을 통해 상기 사용자에게 부여되는 멤버쉽 정보를 블록체인에 기록하고 관리하는 멤버쉽 관리 엔진부; 및
상기 플랫폼을 이용하는 사용자의 활동 이력에 따라 부여되는 플랫폼 참여 점수를 기반으로 상기 플랫폼을 이용하는 사용자의 멤버쉽 등급을 산정하고 관리하는 멤버쉽 레벨링부를 포함하고,
상기 플랫폼 참여 점수는, 프로젝트 활동 점수, 프로젝트 투자 점수, 플랫폼 활동 점수, 및 노드 활동 점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합의는, 검증 노드들 중 무작위로 선출된 검증 노드를 기반으로 이루어지는 활동에 따른 합의, 및 거버넌스 투표 기반의 합의를 포함하며,
상기 멤버쉽 레벨링부는, 산정된 사용자의 멤버쉽 등급을 기반으로 디지털자산 공급부에서 발행된 디지털자산을 리워드로서 사용자에게 분배하는 것인, 블록체인 기반 멤버쉽 관리 장치.
As a blockchain-based membership management device,
A membership management engine unit that records and manages membership information granted to the user through agreement based on a user's activity history on the media production platform provided by the server in a blockchain; and
A membership leveling unit that calculates and manages a membership level of users using the platform based on platform participation points given according to the user's activity history using the platform,
The platform participation score includes at least one of a project activity score, a project investment score, a platform activity score, and a node activity score;
The consensus includes an agreement based on activities based on a randomly selected validation node among validation nodes, and an agreement based on governance voting,
The membership leveling unit distributes digital assets issued by the digital asset supply unit to users as rewards based on the calculated membership level of the us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멤버쉽 레벨링부는, 기 정의된 멤버쉽 정책에 따라 각 사용자의 멤버쉽 등급을 산정하는 것인, 블록체인 기반 멤버쉽 관리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membership leveling unit calculates the membership level of each user according to a predefined membership policy, a blockchain-based membership management devic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플랫폼의 상태 변화에 따라 디지털자산 발급량을 계산하고 디지털자산을 발행하는 디지털자산 공급부를 더 포함하는 블록체인 기반 멤버쉽 관리 장치.
According to claim 2,
Blockchain-based membership management device further comprising a digital asset supply unit for calculating the amount of digital assets issued and issuing digital assets according to changes in the status of the platfor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랫폼에서 트랜잭션이 발생된 경우, 상기 트랜잭션의 검증을 수행하는 검증 노드를 선출하고 선출된 검증 노드를 대상으로 합의를 수행하는 합의 수행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멤버쉽 관리 엔진부는, 상기 합의의 수행에 의한 합의 결과를 기반으로 검증된 트랜잭션을 블록화하여 상기 블록체인에 기록하고 관리하며,
상기 트랜잭션은, 멤버쉽 정보 관련 안건에 대한 트랜잭션을 포함하는 것인, 블록체인 기반 멤버쉽 관리 장치.
According to claim 1,
When a transaction occurs on the platform, further comprising a consensus performing unit that elects a verification node that performs verification of the transaction and performs an agreement with the selected verification node;
The membership management engine unit records and manages verified transactions in the block chain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greement by performing the agreement,
The transaction includes a transaction for an agenda related to membership information, a blockchain-based membership management devic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잭션은 복수 유형의 안건에 대한 트랜잭션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 유형의 안건은, 프로젝트 관련 안건, 멤버쉽 관련 안건, 코인 발행 관련 안건 및 정책 관련 안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블록체인 기반 멤버쉽 관리 장치.
According to claim 4,
The transaction includes transactions for multiple types of items;
The plurality of types of agendas include at least one of a project-related agenda, a membership-related agenda, a coin issuance-related agenda, and a policy-related agenda.
KR1020210183061A 2021-12-20 2021-12-20 Membership management apparatus using blockchain KR10255262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3061A KR102552628B1 (en) 2021-12-20 2021-12-20 Membership management apparatus using blockchai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3061A KR102552628B1 (en) 2021-12-20 2021-12-20 Membership management apparatus using blockchai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3972A KR20230093972A (en) 2023-06-27
KR102552628B1 true KR102552628B1 (en) 2023-07-05

Family

ID=869468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3061A KR102552628B1 (en) 2021-12-20 2021-12-20 Membership management apparatus using blockchai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2628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67116A1 (en) * 2018-02-27 2019-09-06 日本電気株式会社 Blockchain management system, blockchain management device, information provision device, and blockchain management method
KR102094161B1 (en) * 2019-07-16 2020-03-27 더코퍼레이션 주식회사 System for providing platform for knowledge trading and service method for knowledge trading based on blockchain and computer program for the same
KR102163779B1 (en) * 2020-04-24 2020-10-08 주식회사 미소트리 Reward system using blockchain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0253B1 (en) * 2018-07-27 2020-10-26 설융석 A System Providing Participation of Content Creation and Distribution Based on Block Chain
KR20200094584A (en) * 2019-01-30 2020-08-07 주식회사 하나은행 Block chain based method and system for movie investment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67116A1 (en) * 2018-02-27 2019-09-06 日本電気株式会社 Blockchain management system, blockchain management device, information provision device, and blockchain management method
KR102094161B1 (en) * 2019-07-16 2020-03-27 더코퍼레이션 주식회사 System for providing platform for knowledge trading and service method for knowledge trading based on blockchain and computer program for the same
KR102163779B1 (en) * 2020-04-24 2020-10-08 주식회사 미소트리 Reward system using blockchai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3972A (en) 2023-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25622B2 (en) Dollar depositary receipts, electronic membership transactions, and repo transactions
Codagnone et al. Platform economics: rhetoric and reality in the" sharing economy"
Turi et al. A co-utility approach to the mesh economy: The crowd-based business model
KR102170253B1 (en) A System Providing Participation of Content Creation and Distribution Based on Block Chain
KR102488075B1 (en) Media content production system using blockchain
Aladejebi Crowdfunding: An emerging source of raising funds in Nigeria
Ante et al. Enhancing trust, efficiency, and empowerment in sports: Developing a blockchain-based fan token framework
Jirásek Klima DAO: a crypto answer to carbon markets
KR102552628B1 (en) Membership management apparatus using blockchain
Benbya Exploring the design and effects of internal knowledge markets
Bag et al. Quantinar: a blockchain p2p ecosystem for honest scientific research
Martos Carrion Historico-Sociological Analysis of the Sharing Economy from its Early Digital Foundations to the Present
KR102531437B1 (en) Blockchain-based nft media content-related activity proof system
US20230237408A1 (en) Genisor operational auxilium toolkit for non-fungible assets
Suvivuo et al. Building and sustaining communities in online labour platforms
JP7411946B1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Thomas DAOs, Cooperatives and The Educational Principle
Kuppuswamy et al. A Blockchain for Nigeria-Exploring Blockchain Policy and Adoption in Nigeria
Daglio Sharing Economy-Trust, legislation and the new technological change
Sitta Potential of Blockchain Technology in Advancing Entrepreneurship in Qatar
Mannan The Promise and Perils of Corporate Governance-by-Design in Blockchain-Based Collectives: The Case of dOrg
Bag et al. Quantinar: A Blockchain p2p Ecosystem for Scientific Research
WANG Social new retailing business model and its applicable regulatory pattern
Kaal et al. Decentralized Autonomous Organizations (DAO)–A Market Meta Analysis
Bušina Vede Blockchain k odstranění zprostředkovatelů ve sdílené ekonom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