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2605B1 - 건축물용 안전형 제연장치 - Google Patents

건축물용 안전형 제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2605B1
KR102552605B1 KR1020220086733A KR20220086733A KR102552605B1 KR 102552605 B1 KR102552605 B1 KR 102552605B1 KR 1020220086733 A KR1020220086733 A KR 1020220086733A KR 20220086733 A KR20220086733 A KR 20220086733A KR 102552605 B1 KR102552605 B1 KR 1025526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oke
ceiling
tempered glass
finishing material
detection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67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정열
Original Assignee
(주)대진소방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진소방이엔씨 filed Critical (주)대진소방이엔씨
Priority to KR10202200867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260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26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26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00Devices or single parts for facilitating escape from buildings or the like, e.g. protection shields, protection screens;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smoke penetrating into distinct parts of buildings
    • A62B3/005Rescue tools with forcing action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0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 A62B1/06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rope-lower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02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for area conflagrations, e.g. forest fires, subterranean fires
    • A62C3/0207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for area conflagrations, e.g. forest fires, subterranean fires by blowing air or gas currents with or without dispersion of fire extinguishing agents; Apparatus therefor, e.g.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24F11/32Responding to malfunctions or emergencies
    • F24F11/33Responding to malfunctions or emergencies to fire, excessive heat or smo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07Ventilation with forced flow
    • F24F7/013Ventilation with forced flow using wall or window fans, displacing air through the wall or window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0Actuation by presence of smoke or gases, e.g. automatic alarm devices for analysing flowing fluid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Ec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Public Health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강화유리(10)와 배기팬(20), 제1·2연기감지센서(30,40), 피난용 로프장치(50), 타격장치(60), 경고수단(70) 및 제어부(80)로 구성된 건축물용 안전형 제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에 의하면 건축물의 실내로 유입된 연기를 감지하여 상황에 따라 배기팬(20)을 이용해 강제 배기를 유도하거나 긴급상황(유독가스) 시에는 즉시 강화유리(10)를 타격 및 파괴하여 배기공간의 확장에 따른 신속한 배기유도는 물론 피난용 로프(54)를 이용한 안전 대피가 가능한 기술적인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건축물용 안전형 제연장치{Safety type smoke control system for buildings}
본 발명은 건축물용 안전형 제연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 화재 위험에서의 부상과 죽음의 가장 중요한 원인은 불에 타는 것이 아닌 연기로 인한 질식이 대부분이다.
또한, 사람들은 화재발생시 건물(빌딩)에서 외부로의 대피를 시도하게 되며, 대피시간이 지연될수록 호흡기를 통한 연기 흡입은 증가하고, 이로 인해 질식에 대한 위험도가 높아지게 되며, 탈출 확률은 그 만큼 낮아지게 된다.
따라서, 화재발생시 사람들이 효율적으로 대피할 수 있으면서도 실내로 유독가스를 포함하는 연기가 유입될 경우 이를 신속하게 배기함으로서 질식의 위험으로부터 사람들을 보호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한 연구가 현재까지도 요구되고 있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55263호
본 발명은 건축물의 실내로 유입된 연기를 감지하여 상황에 따라 배기팬을 이용해 강제 배기를 유도하거나 긴급상황(유독가스) 시에는 즉시 강화유리를 타격 및 파괴하여 대피로 확보 및 배기공간의 확장에 따른 신속한 배기를 통해 입실자를 질식의 위험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함은 물론 피난용 로프를 이용하여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는 건축물용 안전형 제연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건축물의 천장과 바닥 사이에 설치되어 실내와 실외를 구획하는 강화유리;
천장으로부터 하방으로 이격배치되고, 상하로 관통된 이동홀을 구비하는 마감재의 하부에 배치되도록 강화유리의 상단부에 설치되어 실내공기를 외부로 강제 배기하는 배기팬;
마감재에 근접배치되게 실내의 벽체에 설치되어 연기를 감지해 출력하는 제1연기감지센서;
바닥에 근접배치되게 실내의 벽체에 설치되어 화재시의 유독가스를 감지해 출력하는 제2연기감지센서;
강화유리를 기준으로 실외 천장에 노출되게 매립되며, 내부가 하방으로 개구된 함체와, 함체에 힌지결합되어 하부를 개폐하는 커버와, 실외 천장에 설치되어 커버의 개폐를 단속하는 솔레노이드와, 함체에 수용되는 로프로 구성된 피난용 로프장치;
천장과 마감재 사이에 설치되는 모터와, 천장과 마감재 사이에 은닉되며 모터에 의해 강제회전되어 강화유리를 타격해 파괴하는 타격체로 구성된 타격장치;
건축물의 실내에 설치되어 주변으로 경고하는 경고수단;
제1연기감지센서로부터 감지신호를 입력받아 배기팬과 경고수단을 동작제어하고,
제1연기감지센서와 제2연기감지센서로부터 감지신호가 함께 입력되면, 배기팬과 경고수단을 동작제어하면서 커버의 개방에 의해 로프가 함체 밖으로 인출될 수 있게 솔레노이드를 동작제어하고, 타격체를 회전시켜 강화유리를 타격할 수 있게 모터를 동작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위급상황 시, 타격장치를 이용해 강화유리를 신속하게 제거해 줌으로서 유독가스를 포함하는 다량의 연기를 외부로 신속하게 배기할 수 있기 때문에 입실자를 질식의 위험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으며, 더욱이 건물의 내부를 통한 대피가 어려운 경우 피난용 로프장치를 이용해 건물 밖으로 대피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생존확률을 보다 더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용 안전형 제연장치의 정단면도.
도 2는 도 1의 A - A 단면도.
도 3은 도 1의“B”확대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용 안전형 제연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용 안전형 제연장치의 다른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용 안전형 제연장치의 정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A - A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B”확대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용 안전형 제연장치는, 강화유리(10)와 배기팬(20), 제1·2연기감지센서(30,40), 피난용 로프장치(50), 타격장치(60), 경고수단(70) 및 제어부(80)로 구성된 것으로, 이에 의하면 건축물의 실내로 유입된 연기를 감지하여 상황에 따라 배기팬(20)을 이용해 강제 배기를 유도하거나 긴급상황 시에는 즉시 강화유리(10)를 타격 및 파괴하여 배기공간의 확장에 따른 신속한 배기유도는 물론 피난용 로프(54)를 이용하여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는 기술적인 특징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강화유리(10)는 건축물의 천장(C)과 바닥(B) 사이에 설치되어 실내와 실외를 구획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강화유리(10)는 건축물의 가장자리에 설치되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체(W) 사이에 다수 개(본 실시 예에서는 3개)가 배치되어 새시(sash)를 매개로 설치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배기팬(20)은 마감재(F)의 하부에 배치되도록 강화유리(10)의 상단부에 설치되며, 제어부(80)에 의해 동작제어되어 실내공기를 외부로 강제 배기하는 역할을 한다.
일 예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마감재(F)는 천장(C)으로부터 하방으로 이격배치되어 천장(C)의 노출면을 가려주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마감재(F)의 일측에는 소정의 폭과 길이를 갖으며 상하로 관통된 이동홀(H)이 일체로 형성되고, 이동홀(H)에는 유연한 고무재질의 가림막(S)이 서로 맞대어지게 설치되어 이동홀(H)을 폐구하며, 이후에 설명될 타격장치(60)의 타격체(62)가 이동홀(H)을 관통해 외부로 노출되거나 내부에 은닉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제1연기감지센서(30)는 마감재(F)에 근접배치되게 실내의 벽체(W)에 설치되어 화재시의 연기를 감지해 제어부(80)로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제2연기감지센서(40)는 바닥(B)에 근접배치되게 실내의 벽체(W)에 설치되어 화재시의 연기를 감지해 제어부(80)로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피난용 로프장치(50)는 함체(51)와 커버(52), 솔레노이드(53) 및 로프(54)로 구성된 것으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강화유리(10)를 기준으로 실외 천장(C)에 노출되게 설치되며 제어부(80)에 의해 동작제어되어 피난을 위한 로프(54)를 인출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함체(51)는 내부가 하방으로 개구된 박스로, 본 실시 예의 경우 천장(C)에 노출되게 매립된다.
상기와 같이 설치된 함체(51)의 하단에는 커버(52)가 힌지를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커버(52)는 개구부를 개폐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이러한 커버(52)의 개폐를 단속할 수 있도록 천장(C)에는 로드를 갖춘 솔레노이드(53)가 설치되며, 솔레노이드(53)는 제어부(80)에 의해 동작제어되어 로드를 내측으로 잡아 당김으로서 커버(52)가 개방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함체(51)의 내부에는 피난을 위한 로프(54)가 충분한 길이로 수납되어 보관되는데, 로프(54)의 일단은 함체(51)의 내측에 견고하게 고정되어 있고, 타단은 커버(52)의 개방시 외부로 인출되어 지상의 바닥까지 도달해야 하기 때문에 자유로운 형태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로프(54)는 불연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아니하지만, 일정간격으로 매듭을 형성하여 사용자가 로프(54)를 타고 내려오는 과정에 미끄러짐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타격장치(60)는 모터(61)와 타격체(62)로 구성된 것으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강화유리(10)를 기준으로 실내에 배치되고, 천장(C)과 마감재(F) 사이에 설치되어 은닉되며, 제어부(80)에 의해 동작제어되어 강화유리(10)를 타격 및 파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모터(61)는 제어신호에 의해 정/역방향의 회전이 가능한 축을 갖춘 공지의 모터로서, 천장(C)과 마감재(F) 사이에 설치되며 제어부(80)에 의해 동작제어된다.
상기 타격체(62)는 대략 망치형태 이루고, 천장(C)과 마감재(F) 사이에 배치되며, 일단부가 모터(61)의 축(미도시)과 연결된다.
일 예로, 상기 제어부(80)에 의해 모터(61)가 회전하게 되면서 축(미도시)이 회전하게 되고, 축(미도시)과 연결된 타격체(62)가 회전되어 이동홀(H) 및 가림막(S)을 지나 강화유리(10)를 강하게 타격하게 되며, 이때 충격에 의해 강화유리(10)는 파괴된다.
따라서, 입실자가 강화유리(10)를 발로 차거나 밀거나 물건을 이용해 강화유리(10)에 보조적인 충격을 더하게 되면, 강화유리(10)를 완전하게 제거하게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강화유리(10)가 제거된 공간을 긴급탈출공간 내지 급배기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즉, 본 발명은 매우 급박하고 긴급을 요하는 상황(화재 발생으로 인한 연기의 분출 내지 확산)에서 외부로의 대피(피난) 및 급배기를 신속하게 진행해야 할 때 매우 유용하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경고수단(70)은 건축물의 실내에 설치되며, 제어부(80)에 의해 동작제어되어 주변으로 경고(음향과 경광)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경고수단(70)을 마감재(F)의 하면에 설치해 주었다.
상기 제어부(80)는 통상의 컨트롤러로, 제1연기감지센서(30)와 제2연기감지센서(40)로부터 각각 감지신호를 입력받아 배기팬(20)과 피난용 로프장치(50), 타격장치(60) 및 경고수단(70)을 동작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그럼 상기 제어부(80)에 대해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해 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제어부(80)는 제1연기감지센서(30)로부터 감지신호를 입력받아 배기팬(20)과 경고수단(70)을 각각 동작제어한다.
한편, 상기 제어부(80)는 제1연기감지센서(30)와 제2연기감지센서(40)로부터 감지신호가 함께 입력되면, 배기팬(20)과 경고수단(70)을 각각 동작제어한다.
그리고 이와 더불어서 피난용 로프장치(50)의 솔레노이드(53)를 동작제어하고, 타격장치(60)를 구성하는 모터(61)를 동작제어한다.
상기 솔레노이드(53)는 제어부(80)에 의해 동작제어되어 로드를 잡아당기게 되고, 이에 의해 커버(52)가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됨에 따라 함체(51)에 수용되어 있던 로프(54)가 외부로 인출된다.
또한, 상기 모터(61)는 제어부(80)에 의해 동작제어되어 축(미도시)을 매개로 타격체(62)를 회전시키게 되고, 타격체(62)는 천장(C)과 마감재(F) 사이에 은닉되어 있다가 축(미도시)에 의해 회전되어 강화유리(10)를 강하게 타격하게 되며, 강화유리(10)는 그 충격에 의해 파괴된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용 안전형 제연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이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캐한 냄새를 포함하고 가벼워 부유가 쉬운 연기가 실내로 유입된 경우에는 벽체(W)의 상단부에 설치된 제1연기감지센서(30)가 이를 감지하여 제어부(80)로 감지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그리고 제어부(80)는 제1연기감지센서(30)로부터 감지신호를 입력받아 즉시 배기팬(20)을 동작제어하여 실내로 유입된 연기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게 배기하고, 이와 더불어서 경고수단(70)을 동작제어하여 입실자에게 음향 및 경광 등의 신호를 통해 알려주며, 이를 도 4b와 같이 도시하였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용 안전형 제연장치의 다른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이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축물의 내부에서 발생한 화재로 인해 유독가스를 포함하는 다량의 연기가 실내로 유입된 경우, 벽체(W)의 상단부와 하단부에 각각 설치된 제1연기감지센서(30)와 제2연기감지센서(40)가 이를 각각 감지하여 제어부(80)로 전달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80)는 제1연기감지센서(30)와 제2연기감지센서(40)로부터 감지신호가 함께 입력되면, 즉시 배기팬(20)을 동작제어하여 실내로 유입된 연기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게 배기하고, 이와 더불어서 경고수단(70)을 동작제어하여 입실자에게 음향 및 경광 등의 신호를 통해 알려주게 된다.
또한, 이와 더불어서 피난용 로프장치(50)의 솔레노이드(53)를 동작제어하고, 타격장치(60)를 구성하는 모터(61)를 동작제어한다.
상기 솔레노이드(53)는 제어부(80)에 의해 동작제어되어 로드를 잡아당기게 되고, 이에 의해 커버(52)가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됨에 따라 함체(51)에 수용되어 있던 로프(54)가 외부로 인출된다.
또한, 상기 모터(61)는 제어부(80)에 의해 동작제어되어 축(미도시)을 매개로 타격체(62)를 회전시키게 되고, 타격체(62)는 천장(C)과 마감재(F) 사이에 은닉되어 있다가 축(미도시)에 의해 회전되어 강화유리(10)를 강하게 타격하게 되며, 강화유리(10)는 그 충격에 의해 파괴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위급상황 시, 타격장치(60)를 이용해 강화유리(10)를 신속하게 제거해 줌으로서 유독가스를 포함하는 다량의 연기를 외부로 신속하게 배기할 수 있기 때문에 입실자를 질식의 위험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으며, 더욱이 건물의 내부를 통한 대피가 어려운 경우 피난용 로프장치(50)를 이용해 건물 밖으로 대피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생존확률을 보다 더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적인 실시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 있어서 당연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 강화유리 20: 배기팬 30: 제1연기감지센서
40: 제2연기감지센서 50: 피난용 로프장치 51: 함체
52: 커버 53: 솔레노이드 54: 로프
60: 타격장치 61: 모터 62: 타격체
70: 경고수단 80: 제어부 C: 천장
B: 바닥 F: 마감재 W: 벽체
H: 이동홀 S: 가림막

Claims (1)

  1. 건축물의 천장(C)과 바닥(B) 사이에 설치되어 실내와 실외를 구획하는 강화유리(10);
    천장(C)으로부터 하방으로 이격배치되고, 상하로 관통된 이동홀(H)을 구비하는 마감재(F)의 하부에 배치되도록 강화유리(10)의 상단부에 설치되어 실내공기를 외부로 강제 배기하는 배기팬(20);
    마감재(F)에 근접배치되게 실내의 벽체(W)에 설치되어 연기를 감지해 출력하는 제1연기감지센서(30);
    바닥(B)에 근접배치되게 실내의 벽체(W)에 설치되어 연기를 감지해 출력하는 제2연기감지센서(40);
    강화유리(10)를 기준으로 실외 천장(C)에 노출되게 매립되며, 내부가 하방으로 개구된 함체(51)와, 함체(51)에 힌지결합되어 하부를 개폐하는 커버(52)와, 실외 천장(C)에 설치되어 커버(52)의 개폐를 단속하는 솔레노이드(53)와, 함체(51)에 수용되는 로프(54)로 구성된 피난용 로프장치(50);
    천장(C)과 마감재(F) 사이에 설치되는 모터(61)와, 천장(C)과 마감재(F) 사이에 은닉되며 모터(61)에 의해 강제회전되어 강화유리(10)를 타격해 파괴하는 타격체(62)로 구성된 타격장치(60);
    건축물의 실내에 설치되어 주변으로 경고하는 경고수단(70);
    제1연기감지센서(30)로부터 감지신호를 입력받아 배기팬(20)과 경고수단(70)을 동작제어하고,
    제1연기감지센서(30)와 제2연기감지센서(40)로부터 감지신호가 함께 입력되면, 배기팬(20)과 경고수단(70)을 동작제어하면서 커버(52)의 개방에 의해 로프(54)가 함체(51) 밖으로 인출될 수 있게 솔레노이드(53)를 동작제어하고, 타격체(62)를 회전시켜 강화유리(10)를 타격할 수 있게 모터(61)를 동작제어하는 제어부(8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용 안전형 제연장치.
KR1020220086733A 2022-07-14 2022-07-14 건축물용 안전형 제연장치 KR1025526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6733A KR102552605B1 (ko) 2022-07-14 2022-07-14 건축물용 안전형 제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6733A KR102552605B1 (ko) 2022-07-14 2022-07-14 건축물용 안전형 제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52605B1 true KR102552605B1 (ko) 2023-07-07

Family

ID=871552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6733A KR102552605B1 (ko) 2022-07-14 2022-07-14 건축물용 안전형 제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2605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9411B1 (ko) * 2003-04-26 2004-04-29 주식회사 디.씨.에스 화재확산방지를 위한 도어개폐 제어장치 및 방법
KR20120066222A (ko) * 2010-12-14 2012-06-22 전영세 화재 또는 가스 누출시 긴급 대피용 하향식 피난 사다리 장치
KR101755263B1 (ko) 2016-10-31 2017-07-07 주식회사 천아엔지니어링 고층 건축물 소방 화재 진압 장치
KR101996827B1 (ko) * 2019-02-08 2019-07-08 (주)케이아이기술단 공동주택의 신속한 화재진압을 위한 소방방재장치
KR102152545B1 (ko) * 2019-12-03 2020-09-07 전용진 목조건물 소방방재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9411B1 (ko) * 2003-04-26 2004-04-29 주식회사 디.씨.에스 화재확산방지를 위한 도어개폐 제어장치 및 방법
KR20120066222A (ko) * 2010-12-14 2012-06-22 전영세 화재 또는 가스 누출시 긴급 대피용 하향식 피난 사다리 장치
KR101755263B1 (ko) 2016-10-31 2017-07-07 주식회사 천아엔지니어링 고층 건축물 소방 화재 진압 장치
KR101996827B1 (ko) * 2019-02-08 2019-07-08 (주)케이아이기술단 공동주택의 신속한 화재진압을 위한 소방방재장치
KR102152545B1 (ko) * 2019-12-03 2020-09-07 전용진 목조건물 소방방재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57987B1 (ko) 스프링클러 연결형 다기능 소방방재장치
JP6978809B2 (ja) 火災避難室
KR102050028B1 (ko) 신속하게 화재를 감지할 수 있는 소방장치
KR100757204B1 (ko) 화재대피실이 구비된 건물의 피난장치
KR102226529B1 (ko) 공동주택의 신속한 화재진압을 위한 소방장치
KR102207167B1 (ko) 거실 제연설비 시스템
KR102552605B1 (ko) 건축물용 안전형 제연장치
KR101578929B1 (ko) 지하실용 화재 대피실
US9757602B2 (en) Flame mitigation device and system
KR101711622B1 (ko) 주택용 소방 완강기
KR101618991B1 (ko) 화재 지향형 소화기
KR101715373B1 (ko) 화재 발생시 대피기능을 갖춘 소방용 공동주택 발코니
KR102557038B1 (ko) 신속화재진압이 가능한 연기감지기능 탑재 소방장치
CN209907851U (zh) 用于排烟管道的自动隔断装置
KR101543341B1 (ko) 개방력 확보장치가 장착된 피난문 및 이를 구비한 급기가압 시스템
CN207734507U (zh) 灭火装置
KR102320354B1 (ko) 공동주택의 화재발생시 매연을 제거하는 매연제거장치
KR102579497B1 (ko) 소방용 화재 감지 대피 시스템
KR200339882Y1 (ko) 방화문용 도어 스토퍼 제어장치
JP3283950B2 (ja) 防煙装置
KR102360934B1 (ko) 건축물 소방용 화재감지장치
KR200314388Y1 (ko) U트랩형 비상 탈출구조
JPH08131569A (ja) 特別避難階段並びに非常用エレベーター用附室の加圧 給気装置
KR101034304B1 (ko) 공동주택의 발코니 난간대
KR200441066Y1 (ko) 플랩댐퍼 자동개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