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2243B1 - 이차전지 및 그 이차전지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 Google Patents

이차전지 및 그 이차전지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2243B1
KR102552243B1 KR1020180109839A KR20180109839A KR102552243B1 KR 102552243 B1 KR102552243 B1 KR 102552243B1 KR 1020180109839 A KR1020180109839 A KR 1020180109839A KR 20180109839 A KR20180109839 A KR 20180109839A KR 102552243 B1 KR102552243 B1 KR 1025522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condary battery
electronic device
driving unit
shape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98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30969A (ko
Inventor
정안수
김상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Priority to KR10201801098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2243B1/ko
Publication of KR202000309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09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22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22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09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prismatic or rectangular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13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cells having curved cross-section, e.g. round or ellipti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16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button or coin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30Batteries in portable systems, e.g. mobile phone, lapto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Abstract

이차전지 및 그 이차전지를 포함하는 전자기기가 개시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전극과 분리막을 포함하는 전극 조립체 및 상기 전극 조립체를 수용하는 케이스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및 상기 이차전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구동되는 구동부; 를 포함하고, 상기 이차전지는 상기 구동부의 외부 둘레 중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전자기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이차전지 및 그 이차전지를 포함하는 전자기기{Secondary battery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이차전지 및 그 이차전지를 포함하는 전자기기에 관한 것이다.
반복적인 충전 및 방전이 가능한 이차전지가 탑재된 전자기기에 대한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전자기기에 요구되는 조건들 역시 다양해지고 있다. 예를 들어, 높은 전기용량을 갖는 이차전지에 대한 요구가 커짐에 따라 전자기기 내부에 이차전지가 탑재되는 내부 공간의 활용성을 극대화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고, 보다 인체공학적인 형상을 갖는 전자기기에 대한 요구가 커짐에 따라, 종래에 비해 비정형적인 형상을 갖는 전자기기 및 이차전지를 제조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전자기기는, 내부에 이차전지가 탑재되는 것을 전제로 한다는 점에서, 고용량의 이차전지 또는 비정형적인 형상을 갖는 전자기기를 제조하는 것에 일정한 한계에 부딪칠 수 밖에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종래에 비해 다른 구조를 갖는 전자기기를 제조함으로써 종래 기술에 따른 전자기기가 갖는 형상의 자유도에 대한 한계 및 이차전지의 고용량화에 대한 한계를 극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전극과 분리막을 포함하는 전극 조립체 및 상기 전극 조립체를 수용하는 케이스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및 상기 이차전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구동되는 구동부; 를 포함하고, 상기 이차전지는 상기 구동부의 외부 둘레 중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전자기기가 제공된다.
상기 이차전지는 상기 구동부의 외부 둘레 전체를 감쌀 수 있다.
상기 구동부의 외부 둘레에는 각진 영역이 형성되고, 상기 이차전지는 상기 각진 영역을 감쌀 수 있다.
상기 구동부의 외부 표면은 두 개 이상의 각진 영역이 형성되고, 상기 이차전지는 상기 두 개 이상의 각진 영역을 모두 감쌀 수 있다.
상기 이차전지의 중앙부에는 오목하게 패인 형태의 오목부가 형성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오목부 상에 탑재될 수 있다.
상기 이차전지의 중앙부에는 관통된 형태의 관통부가 형성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관통부 내에 탑재될 수 있다.
상기 이차전지의 둘레 중 일부에는 상기 이차전지의 중심 방향으로 함입된 형태의 함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함입부 내에 탑재될 수 있다.
상기 이차전지의 둘레 중 일부에는 오목하게 패인 형태의 오목부가 형성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오목부 상에 탑재될 수 있다.
상기 이차전지는, 막대 형상을 갖는 제1 막대부 및 상기 제1 막대부의 중앙 영역으로부터 일 방향으로 연장되며 막대 형상을 갖는 제2 막대부를 포함함으로써 T자 형상을 가지고, 상기 제1 막대부의 양끝부는 상기 구동부의 상면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제2 막대부는 상기 구동부에 형성된 만입부에 삽입되도록 하방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이차전지는, 막대 형상을 갖는 제1 막대부, 상기 제1 막대부의 일끝부로부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며 막대 형상을 갖는 제2 막대부, 및 상기 제2 막대부의 일끝부로부터 상기 제1 방향과 다른 제2 방향으로 연장되며 막대 형상을 갖는 제3 막대부를 포함함으로써 U자 형상을 가지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이차전지의 내측면에 탑재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전극과 분리막을 포함하는 전극 조립체 및 상기 전극 조립체를 수용하는 케이스를 포함하는 이차전지로서, 상기 이차전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구동되는 구동부가 탑재되는 공간으로서, 상기 구동부의 외부 둘레 중 적어도 일부를 감쌀 수 있는 구동부 탑재부가 형성되는 이차전지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에 비해 다른 구조를 갖는 전자기기를 제조함으로써 종래 기술에 따른 전자기기가 갖는 형상의 자유도에 대한 한계 및 이차전지의 고용량화에 대한 한계를 극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구조의 변형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A-A 영역을 절단한 전자기기의 구조의 일 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1의 A-A 영역을 절단한 전자기기의 구조의 다른 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2의 B-B 영역을 절단한 전자기기의 구조의 일 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2의 B-B 영역을 절단한 전자기기의 구조의 다른 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0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에서 이차전지의 구조의 일 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0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에서 이차전지의 구조의 다른 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1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에서 이차전지의 구조의 일 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1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에서 이차전지의 구조의 다른 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2a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에서 이차전지의 구조의 일 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2b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에서 이차전지의 구조의 다른 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의 구조를 설명하도록 한다.
전자기기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구조의 변형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10)는 이차전지(1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차전지(100)는 이차전지의 두께 방향으로 전극과 분리막이 교대로 배치된 구조를 갖는 전극 조립체 및 전극 조립체를 수용하는 케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자기기(10)는 이차전지(100)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구동되는 구동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부(200)는 전자기기(10)의 외부에 노출된 구성일 수 있다. 이차전지(100)와 구동부(200)가 결합되어 전자기기(10)가 될 수도 있고, 이차전지(100), 구동부(200) 및 다른 구성들이 결합되어 전자기기(10)가 될 수도 있다. 구동부(20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의 단면을 갖는 판 또는 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이와 달리 구동부는 삼각형을 포함한 다각형의 단면을 갖는 판 또는 기둥 형상을 가질 수도 있고, 원 또는 타원 단면을 갖는 판 또는 기둥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계속해서, 도 1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10)에서 이차전지(100)는 구동부(200)의 외부 둘레 중 일부 또는 전부를 감싸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10)에서 이차전지(100)는 전자기기(10)의 외부에 노출된 구성일 수 있다. 이때, '이차전지가 전자기기의 외부에 노출'된다는 것은, 이차전지의 표면 중 일부가 구동부에 의해 둘러싸여 있지 않은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차전지(100)는 구동부(200)의 외부 둘레 전체를 감쌀 수 있다. 이때,'이차전지가 구동부의 외부 둘레 전체를 감싼다'라는 것은, 이차전지가 구동부의 외부 표면 전체를 감쌈으로써 구동부가 전자기기의 외부에 노출되지 않는 것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부의 표면 중 일부가 전자기기의 외부에 노출되더라도 이차전지가 구동부의 측부 둘레를 한바퀴 둘러싸는 경우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를 해석할 때, '이차전지가 전자기기의 외부에 노출'된다는 표현과, '이차전지가 구동부의 외부 둘레 전체를 감싼다'라는 표현은 서로 모순되는 것이 아님에 주의한다.
한편,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부(200)의 외부 둘레에는 각진 영역(E)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이차전지(100)는 구동부(200)에 형성된 각진 영역(E)을 감싸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구동부(200)의 외부 표면에는 두 개 이상의 각진 영역이 형성될 수 있는데, 이때, 이차전지(100)는 상기 두 개 이상의 각진 영역을 모두 감쌀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차전지(100)는 구동부(200)에 형성된 네 개의 각진 영역(E)을 모두 감쌀 수 있다.
이와 달리, 이차전지(100)는 구동부(200)의 외부 표면에 형성된 두 개 이상의 각진 영역 중 일부 영역만을 감쌀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차전지(100)는 구동부(200)에 형성된 각진 영역(E) 중 하나의 각진 영역만을 감쌀 수 있고, 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차전지(100)는 구동부(200)에 형성된 각진 영역(E) 중 두 개의 각진 영역을 감쌀 수도 있다.
도 6은 도 1의 A-A 영역을 절단한 전자기기의 구조의 일 예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1의 A-A 영역을 절단한 전자기기의 구조의 다른 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0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에서 이차전지의 구조의 일 예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10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에서 이차전지의 구조의 다른 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한편, 도 1과 도 6을 비교하면, 동일한 부분에 대한 길이가 서로 다르게 보일 수도 있으나, 이는 이해의 편의상 본 발명의 특징을 강조하여 도시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것에 불과하며, 도 1과 도 6은 동일한 전자기기에 대한 평면도와 단면도이다. 이러한 내용은 도 7, 도 8 및 도 9에서도 마찬가지로 적용될 수 있다.
도 6 및 도 10a를 참고하면, 이차전지(100)의 중앙부에는 오목하게 패인 형태의 공간인 오목부(D)가 형성될 수 있다. 이차전지의 중앙부에 오목부가 형성된다는 것은, 이차전지의 중앙부의 두께가 이차전지의 둘레부의 두께보다 작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때, 구동부(200)는 오목부(D) 상에 탑재될 수 있다. 따라서, 오목부(D)의 형상은 구동부(200)의 형상에 대응될 수 있다.
이와 달리, 도 7 및 도 10b를 참고하면, 이차전지(100)의 중앙부에는 관통된 형태의 공간인 관통부(P)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이차전지(100)는 중앙부에 구멍이 뚫린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때, 구동부(200)는 관통부(P) 상에 탑재될 수 있다. 따라서, 관통부(P)의 형상은 구동부(200)의 형상에 대응될 수 있다.
도 8은 도 2의 B-B 영역을 절단한 전자기기의 구조의 일 예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9은 도 2의 B-B 영역을 절단한 전자기기의 구조의 다른 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1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에서 이차전지의 구조의 일 예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11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에서 이차전지의 구조의 다른 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8 및 도 11a를 참고하면, 이차전지(100)의 둘레 중 일부에는 오목하게 패인 형태의 공간인 오목부(D)가 형성될 수 있다. 이차전지의 둘레 중 일부에 오목부가 형성된다는 것은 이차전지의 둘레 중 일부의 두께가 이차전지의 다른 영역의 두께보다 작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때, 구동부(200)는 오목부(D) 상에 탑재될 수 있다. 따라서, 오목부(D)의 형상은 구동부(200)의 형상에 대응될 수 있다.
이와 달리, 도 9 및 도 11b를 참고하면, 이차전지(100)의 둘레 중 일부에는 이차전지(100)의 중심 방향으로 함입된 형태의 함입부(C)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구동부(200)는 함입부(C) 상에 탑재될 수 있다. 따라서, 함입부(C)의 형상은 구동부(200)의 형상에 대응될 수 있다.
전자기기(10)의 구동부(200)의 외부 둘레를 감쌈으로써 전자기기(10)의 외부에 노출되는 이차전지(100)는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1 및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차전지(100)는 둘레부의 두께가 중심부(즉, 오목부(D)가 형성된 영역)의 두께보다 큼으로써 중심부가 함몰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때, 이차전지의 외부 둘레는 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삼각형 또는 원형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또는, 도 1 및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차전지(100)는 중앙부가 뚫려있는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이때에도, 이차전지의 외부 둘레는 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삼각형 또는 원형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도 2 및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차전지(100)는 외부 둘레 중 일부(즉, 오목부(D)가 형성된 영역)의 두께가 이차전지의 다른 영역의 두께보다 작음으로써 이차전지의 외부 둘레 중 일부가 함몰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차전지(100)에서 오목부(D)가 형성된 영역을 제외한 다른 영역은, 막대 형상을 갖는 제1 막대부(150), 제1 막대부(150)의 일끝부로부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며 막대 형상을 갖는 제2 막대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이차전지(100)에서 오목부(D)가 형성된 영역을 제외한 영역이 L자 판 또는 기둥 형상을 갖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따라서, 구동부(200)는 제1 막대부(150) 및 제2 막대부(160)에 의해 형성되는 이차전지의 내측면에 탑재될 수 있다. 제1 막대부(150)와 제2 막대부(160)는 서로 수직하게 만날 수도 있고, 예각 또는 둔각으로 만날 수도 있다.
한편, 도 2 및 도 11b를 참고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이차전지(100)의 외부 둘레 중 일부에는 함입부(C)가 형성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이차전지(100)는 막대 형상을 갖는 제1 막대부(150), 제1 막대부(150)의 일끝부로부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며 막대 형상을 갖는 제2 막대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이차전지(100)가 L자 판 또는 기둥 형상을 갖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따라서, 구동부(200)는 제1 막대부(150) 및 제2 막대부(160)에 의해 형성되는 이차전지의 내측면에 탑재될 수 있다. 제1 막대부(150)와 제2 막대부(160)는 서로 수직하게 만날 수도 있고, 예각 또는 둔각으로 만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 제1 막대부(150)의 바깥쪽 끝부(A1, 도 2 참고)와 구동부(200)의 상면은 동일 평면 상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2 막대부(160)의 바깥쪽 끝부(A2, 도 2 참고)와 구동부(200)의 측면 역시 동일 평면 상에 구비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12a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에서 이차전지의 구조의 일 예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12b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에서 이차전지의 구조의 다른 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 및 도 1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차전지(100)는 외부 둘레 중 일부에 오목부(D)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도 2 및 도 11a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와 다른 점은 다음과 같다.
도 3 및 도 1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차전지(100)에서 오목부(D)가 형성된 영역을 제외한 다른 영역은, 막대 형상을 갖는 제1 막대부(150), 제1 막대부(150)의 일끝부로부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며 막대 형상을 갖는 제2 막대부(160), 및 제2 막대부(160)의 일끝부로부터 상기 제1 방향과 다른 제2 방향으로 연장되며 막대 형상을 갖는 제3 막대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이차전지(100)에서 오목부(D)가 형성된 영역을 제외한 영역이 U자 판 또는 기둥 형상을 갖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따라서, 구동부(200)는 제1 막대부(150), 제2 막대부(160) 및 제3 막대부(170)에 의해 형성되는 이차전지의 내측면에 탑재될 수 있다. 제1 막대부(150)와 제2 막대부(160), 그리고 제2 막대부(160)와 제3 막대부(170)는 서로 수직하게 만날 수도 있고, 예각 또는 둔각으로 만날 수도 있다.
도 3 및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차전지(100)는 외부 둘레 중 일부에 함입부(C)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도 2 및 도 11b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와 다른 점은 다음과 같다.
도 3 및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차전지(100)는, 막대 형상을 갖는 제1 막대부(150), 제1 막대부(150)의 일끝부로부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며 막대 형상을 갖는 제2 막대부(160), 및 제2 막대부(160)의 일끝부로부터 상기 제1 방향과 다른 제2 방향으로 연장되며 막대 형상을 갖는 제3 막대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이차전지(100)가 U자 판 또는 기둥 형상을 갖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따라서, 구동부(200)는 제1 막대부(150), 제2 막대부(160) 및 제3 막대부(170)에 의해 형성되는 이차전지의 내측면에 탑재될 수 있다. 제1 막대부(150)와 제2 막대부(160), 그리고 제2 막대부(160)와 제3 막대부(170)는 서로 수직하게 만날 수도 있고, 예각 또는 둔각으로 만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서, 제1 막대부(150)의 바깥쪽 끝부(A3, 도 3 참고), 제3 막대부(170)의 바깥쪽 끝부(A4, 도 3 참고), 및 구동부(200)의 상면은 동일 평면 상에 구비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구조의 변형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차전지(100)는, 막대 형상을 갖는 제1 막대부(150) 및 제1 막대부(150)의 중앙 영역으로부터 일 방향으로 연장되며 막대 형상을 갖는 제2 막대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이차전지(100)가 T자 판 또는 기둥 형상을 갖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한편, 구동부(200)에는 움푹 패인 영역이 형성될 수 있다. 움푹 패인 영역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만입된 형태(즉, 만입부)를 가질 수도 있고, 이와 달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부(200)에 형성된 움푹 패인 영역은 구동부(200)를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형태(즉, 관통부)를 가질 수도 있다. 이때, 이차전지(100)의 제2 막대부(160)는 구동부에 형성된 관통부 전체에 걸쳐 구비됨으로써, 제2 막대부(160)의 일끝부가 구동부(200)의 일표면과 동일 평면상에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막대부(150)의 양끝부는 구동부(200)의 상면에 의해 지지되고, 제2 막대부(160)는 구동부에 형성된 상기 움푹 패인 영역에 삽입되도록 하방으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막대부(150)는 구동부(200)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탑재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달리, 제1 막대부(150)의 상면과 구동부(200)의 상면이 동일 평면 상에 구비될 수도 있다. 이때, 구동부에 형성된 움푹 패인 영역에는 계단 형태의 단차면이 형성됨으로써, 제1 막대부(150)의 하면이 구동부에 형성된 단차면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에서 케이스의 내측면에는 접착성 물질이 도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케이스의 내측면 중 전극 조립체와 마주보는 영역 또는 케이스의 다른 내측면과 마주보는 영역에는 접착성 물질이 도포될 수 있다. 케이스의 내측면과 다른 내측면이 마주보는 영역은 예를 들어, 이차전지에서 오목부(D)가 형성되는 영역일 수 있다. 접착성 물질은 층상 구조로 도포될 수 있다. 접착성 물질은 예를 들어, PP(poly propylene) 재질을 포함할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CPP(casting poly propylene)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내용을 토대로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는 전극과 분리막을 포함하는 전극 조립체 및 전극 조립체를 수용하는 케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이차전지에는, 이차전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구동되는 구동부가 탑재되는 구동부 탑재부가 형성될 수 있다. 구동부 탑재부는 구동부의 외부 둘레 중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 전자기기
100 : 이차전지
150 : 제1 막대부
160 : 제2 막대부
170 : 네3 막대부
D : 오목부
P : 관통부
C : 함입부

Claims (11)

  1. 전극과 분리막을 포함하는 전극 조립체 및 상기 전극 조립체를 수용하는 케이스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및
    상기 이차전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구동되는 구동부; 를 포함하고,
    상기 이차전지는 막대 형상을 갖는 제1 막대부 및 상기 제1 막대부의 중앙 영역으로부터 일방향으로 연장되며 막대 형상을 갖는 제2 막대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차전지는 상기 구동부의 외부 둘레 중 적어도 일부를 감싸고 T자 형상을 갖는, 전자기기.
  2. 삭제
  3. 청구항 1에서,
    상기 구동부의 외부 둘레에는 각진 영역이 형성되고,
    상기 이차전지는 상기 각진 영역을 감싸는 전자기기.
  4. 청구항 3에서,
    상기 구동부의 외부 표면은 두 개 이상의 각진 영역이 형성되고,
    상기 이차전지는 상기 두 개 이상의 각진 영역을 모두 감싸는 전자기기.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청구항 1에서,
    상기 이차전지는,
    상기 제1 막대부의 양끝부는 상기 구동부의 상면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제2 막대부는 상기 구동부에 형성된 만입부에 삽입되도록 하방으로 구비되는 전자기기.
  10. 삭제
  11. 전극과 분리막을 포함하는 전극 조립체 및 상기 전극 조립체를 수용하는 케이스를 포함하는 이차전지로서,
    막대 형상을 갖는 제1 막대부 및 상기 제1 막대부의 중앙 영역으로부터 일방향으로 연장되며 막대 형상을 갖는 제2 막대부를 포함함으로써 T자 형상을 가지고,
    상기 이차전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구동되는 구동부가 탑재되는 공간으로서, 상기 구동부의 외부 둘레 중 적어도 일부를 감쌀 수 있는 구동부 탑재부가 형성되는 이차전지.
KR1020180109839A 2018-09-13 2018-09-13 이차전지 및 그 이차전지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KR1025522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9839A KR102552243B1 (ko) 2018-09-13 2018-09-13 이차전지 및 그 이차전지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9839A KR102552243B1 (ko) 2018-09-13 2018-09-13 이차전지 및 그 이차전지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0969A KR20200030969A (ko) 2020-03-23
KR102552243B1 true KR102552243B1 (ko) 2023-07-07

Family

ID=699984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9839A KR102552243B1 (ko) 2018-09-13 2018-09-13 이차전지 및 그 이차전지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224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190318A1 (en) 2019-03-29 2022-06-16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Foundation Hanyang University Erica Campus Electrode structur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1758B1 (ko) * 2015-06-18 2016-12-02 주식회사 루트제이드 리튬이온 이차전지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0979B1 (ko) * 2014-03-18 2016-02-03 주식회사 엘지화학 비대칭 구조 및 만입 구조를 포함하는 전지셀
KR20160096468A (ko) * 2015-02-05 2016-08-16 주식회사 엘지화학 단차를 갖는 젤리-롤형 전극조립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KR102242245B1 (ko) * 2016-11-21 2021-04-20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극 조립체 및 그러한 전극 조립체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1758B1 (ko) * 2015-06-18 2016-12-02 주식회사 루트제이드 리튬이온 이차전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0969A (ko) 2020-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346110B1 (en) Recharcheable battery
EP2312671B1 (en) Rechargeable battery
EP2597705A1 (en) Rechargeable battery
US9368769B2 (en) Battery pack
US10985432B2 (en) Rechargeable battery having terminal
US20130084488A1 (en) Electrochemical device
JP6102057B2 (ja) 蓄電素子
JP6308071B2 (ja) 角形二次電池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20210257695A1 (en) Secondary Battery Case, and Secondary Battery
US11387528B2 (en) Secondary battery
US10084177B2 (en) Rechargeable battery having short-circuit member
CN106299488B (zh) 二次电池及其制造方法
KR102552243B1 (ko) 이차전지 및 그 이차전지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US8758927B2 (en) Secondary battery
JP6069839B2 (ja) 蓄電素子及び容器部材
JP7436115B2 (ja) パウチ型二次電池、電池パックおよびパウチ型二次電池の製造方法
EP4037071A1 (en) Pouch-type secondary battery, battery pack,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pouch-type secondary battery
KR102351248B1 (ko) 이차전지용 케이스, 이차전지 및 전지 모듈
KR20060022355A (ko) 이차 전지와 이에 사용되는 전극 조립체
KR102595153B1 (ko) 이차전지용 절연판 및 그 절연판을 포함하는 이차전지
EP4246677A1 (en) Pouch-type secondary battery, battery pack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pouch-type secondary battery
KR101646381B1 (ko) 파우치셀
US20150194658A1 (en) Secondary battery
US20130202952A1 (en) Secondary battery
KR102242246B1 (ko) 이차전지 및 그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