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2070B1 - 식물파쇄기 - Google Patents

식물파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2070B1
KR102552070B1 KR1020210042300A KR20210042300A KR102552070B1 KR 102552070 B1 KR102552070 B1 KR 102552070B1 KR 1020210042300 A KR1020210042300 A KR 1020210042300A KR 20210042300 A KR20210042300 A KR 20210042300A KR 102552070 B1 KR102552070 B1 KR 1025520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ushing
unit
blade
feeder
pl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23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35940A (ko
Inventor
김성호
Original Assignee
김성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호 filed Critical 김성호
Priority to KR10202100423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2070B1/ko
Publication of KR202201359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59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20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20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 B02C18/22Feed or discharge means
    • B02C18/2216Discharge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4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within horizontal containers
    • B02C18/142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within horizontal containers with two or more inter-engaging rotatable cutter assembl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 B02C18/24Dri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농작물을 수확한 후 사료 또는 비료로 사용하기 위한 작물 줄기가 잘 발효되도록 작물 줄기를 잘게 파쇄하여 차량에 탑재하거나 농지에 뿌려줄 수 있도록 하고 파쇄물을 신속하게 이송하여 배출할 수 있도록 한 식물파쇄기에 관한 것으로,
바퀴가 구비된 프레임부재; 향 경사진 형태로 프레임부재에 설치되며, 피더하우징의 내부에 스크루날이 엇갈리는 형태로 배치되는 한 쌍의 이송스크루를 이용하여 하부 끝단으로 유입된 식물파쇄물을 상부로 이송하는 피더부; 프레임부재에 설치되며, 식물을 파쇄하여 하부에 위치한 피더부로 공급하는 파쇄부; 식물이 투입되며 파쇄부의 상측에 연결되는 호퍼가 끝단 부분에 구비된 투입부; 프레임부재에 설치되어 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조작반; 피더부 및 파쇄부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모터; 및 피더부와 파쇄부가 작동되도록 구동모터의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를 포함하고, 상기 피더부는 피더하우징의 내부에 스크루날이 엇갈리는 형태로 배치되는 한 쌍의 이송스크루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식물파쇄기{PLANT CRUSHING APPARATUS}
본 발명은 식물파쇄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작물을 수확한 후 사료 또는 비료로 사용하기 위한 작물 줄기가 잘 발효되도록 작물 줄기를 잘게 파쇄하여 차량에 탑재하거나 농지에 뿌려줄 수 있도록 하고 파쇄물을 신속하게 이송하여 배출할 수 있도록 한 식물파쇄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농작물의 수확은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지게 되므로, 농작물을 수확하기 위해서는 많은 인력이 필요하게 된다. 하지만, 최근 농업의 기계화가 이루어지면서 수확인력을 최소화하면서도 각종 농작물을 편리하게 수확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수확기가 개발된 바 있다.
농작물 수확기는 농작물의 줄기를 절단한 후 이삭에 달린 곡물을 털어내는 곡물수확기와, 땅 위로 자라는 작물의 줄기를 걷어낸 후 심토파쇄 또는 굴취를 통해 땅속작물을 수확하는 굴취수확기로 구분되고 있다.
그런데, 곡물수확기에 의해 수확된 작물의 줄기나 땅속 작물의 수확전에 걷어내는 땅속 작물의 줄기는 가축의 사료나 비료로 사용될 수 있다. 작물의 줄기를 사료 또는 비료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발효와 같은 후처리가 요구되고, 작물 줄기의 발효가 잘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서는 작물 줄기를 잘게 절단하는 파쇄 작업이 필요하므로, 작물 줄기를 파쇄할 수 있는 식물파쇄기를 사용하고 있다.
통상적으로 식물파쇄기는 절단날이 구비된 장치를 이용하여 작물 줄기를 절단하고 있으나, 식물파쇄기가 트랙터와 같은 농기계에 의해 견인되어 이동하는 파쇄작업이 불가능한 경우가 많고, 작물 줄기가 정상적으로 절단되지 않는 경우가 많아 파쇄 효율이 떨어지며, 이로 인해 파쇄작업을 추가로 실시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관련하여, 공개특허 제10-2011-0070144호에는 프레임, 작물을 예취하기 위해 프레임의 전방 바닥면 쪽에 배치되고 복수의 예취날을 갖는 예취날 조립체,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그 중간에 복수의 관통 구멍이 마련된 드럼 몸체 및 예취된 작물을 드럼 몸체의 복수의 관통 구멍이 마련된 영역으로 이송시키기 위해 드럼 몸체의 외주면에 배치되는 스크류 날개를 갖는 스크류 드럼, 예취된 작물을 프레임의 후방으로 끌어당기기 위해 복수의 관통 구멍을 통해 드럼 몸체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스크류 드럼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핑거 및 복수의 핑거의 회전 중심이 드럼 몸체의 회전 중심과 편심되도록 복수의 핑거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핑거 지지 유닛을 갖는 핑거 조립체, 드럼 몸체의 외주면에 결합되고 드럼 몸체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벽부를 갖는 감김 방지 브라켓을 포함하며, 간단한 구조의 감김 방지 브라켓을 구비함에 따라 예취된 작물이 스크류 드럼의 둘레에 감기는 것을 막을 수 있는 작물 수확용 예취 유닛이 제안 및 개시되어 있고,
등록특허 제10-1897497호에는 상부가 개방되고 전후 측단이 마구리판으로 폐쇄되며 배출구가 전측 단부에 형성된 트로프와, 마구리판에 설치된 베어링과, 양 단부가 각 마구리판의 베어링에 결합하여 트로프 내에서 회전이 자유로운 스크류와, 트로프의 상부에 장착되며 공급구가 후단부에 형성된 덮개 및 덮개의 공급구에 설치되는 조사료 파쇄유닛으로 이루어지며, 특히 조사료 파쇄유닛은, 덮개의 공급구에 연결되는 토출구를 구비한 투입호퍼와, 투입호퍼 내에 회전 자유롭게 설치되는 파쇄 롤과, 파쇄 롤을 회전시키는 구동수단과, 구동수단과 파쇄 롤의 작동을 연동시키는 연동수단으로 구성되어, 롤 베일을 고속으로 파쇄할 수 있고, 파쇄된 조사료를 후공정으로 이송할 때 분진과 악취 그리고 잔물이 발생하지 않는 조사료 파쇄유닛이 구비된 스크류컨베이어를 제안 및 개시되어 있으며,
등록특허 제10-1888673호에는 , 전방이 개구되어 내부에 수납공간이 형성되고, 양측면 중 적어도 일측면에 배출구가 형성된 버킷몸체 및 상기 수납공간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회전하면서 상기 수납공간에 수용되는 이송대상물을 상기 배출구 방향으로 이송하는 이송스크류부 및 상기 이송스크류부의 외면 일측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이송스크류부에 의해 이송되는 이송대상물을 커팅하는 적어도 하나의 커터 및 상기 이송스크류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동력수단을 포함하며, 옥수수 줄기와 같은 길이가 긴 건초사료를 일정크기로 절단하여 배출함에 따라 배출되는 건초사료에 의해 배출구가 폐쇄되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고 이송 및 배출되는 사료가 동력수단에 유입되어 동력수단이 손상되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게 되는 사료 급이기가 제안 및 개시되어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70144호 등록특허공보 제10-1897497호 등록특허공보 제10-1888673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소 및 이를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농작물을 수확한 후 사료 또는 비료로 사용하기 위한 작물 줄기가 잘 발효되도록 작물 줄기를 잘게 파쇄함과 아울러 파쇄물을 상측으로 이송하여 차량에 탑재하거나 농지에 뿌려줄 수 있도록 하고 파쇄물을 신속하게 이송하여 배출할 수 있도록 한 식물파쇄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즉, 본 발명은 파쇄날이 엇갈리게 배치된 한 쌍의 파쇄부재를 이용하여 식물을 잘게 절단함과 아울러 절단된 식물파쇄물이 스크루날이 엇갈리게 배치된 한 쌍의 이송스크루에 의해 배출부로 이송되도록 함으로써 식물의 절단과 이송 및 배출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식물파쇄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식물파쇄기는, 복수의 바퀴가 구비된 프레임부재; 상향 경사진 형태로 프레임부재에 설치되며, 피더하우징의 내부에 스크루날이 엇갈리는 형태로 배치되는 한 쌍의 이송스크루를 이용하여 하부 끝단으로 유입된 식물파쇄물을 상부로 이송하는 피더부; 프레임부재에 설치되며, 식물을 파쇄하여 하부에 위치한 피더부로 공급하는 파쇄부; 식물이 투입되며 파쇄부의 상측에 연결되는 호퍼가 끝단 부분에 구비된 투입부; 프레임부재에 설치되어 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조작반; 피더부 및 파쇄부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모터; 및 피더부와 파쇄부가 작동되도록 구동모터의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를 포함하되, 파쇄부는 파쇄하우징의 내부에 파쇄날이 서로 엇갈리는 형태로 배치되는 한 쌍의 파쇄부재로 이루어지고, 파쇄부재는, 외주면에 하나 이상의 파쇄돌기가 구비된 복수의 파쇄날과, 다른 파쇄부재의 파쇄날이 삽입되는 공간이 형성되도록 파쇄날 사이에 각각 구비되는 복수의 간격유지판과, 파쇄날과 간격유지판이 설치되는 파쇄축을 포함하는 한편, 파쇄축에 구비된 다각 형상의 결합부에 파쇄날 및 간격유지판에 형성된 다각형상의 결합홈이 끼움 결합되고, 파쇄부재의 파쇄축에 결합되는 다수의 파쇄날은 점차적으로 설치각도가 변화되는 방식으로 결합되고, 이송스크루는, 스크루날에 일정 간격으로 고정 설치되는 복수의 칼날부재를 구비하고, 칼날부재는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칼날부와, 양측이 중심을 향해 오목진 라운드면을 갖도록 형성되어 칼날부를 서로 연결하며 스크루날에 고정 설치되는 연결부를 포함하되, 칼날부는 투입되는 식물줄기를 절단하기 위한 원호형 외면을 형성하는 절단면부와, 상기 절단면부의 양측벽을 형성하는 양측단면으로서 식물줄기를 한쌍의 이송스크류 내부로 잡아챈 후 끌어당기기 위해 이송스크류의 회전방향 및 식물줄기의 자중에 의한 낙하방향을 고려하여 경사 구조로 형성하는 경사면부를 갖는 한편, 스크루날에 일정 간격으로 한 쌍의 칼날부재 결합홈이 형성됨과 아울러, 칼날부재의 연결부 중앙에 센터결합홈이 형성되고 연결부의 상부와 하부 양측에 반원 형상의 외측결합홈이 각각 형성되어, 스크루날의 칼날부재 결합홈을 관통한 고정부재가 칼날부재의 센터결합홈 또는 외측결합홈에 삽입되어 칼날부재를 고정함에 따라 칼날부재의 결합 높이가 달라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피더부의 상단 하부에 이송스크루에 의해 이송된 식물파쇄물을 배출하는 배출부가 구비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여기에서, 투입부는 작업자의 안전을 위한 투입부커버를 구비하고, 투입부커버는 적어도 호퍼의 상부를 덮어주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에서, 조작반은 조작반몸체와 조작반커버로 이루어지고, 조작반몸체의 내측에 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하기 위한 배선용 차단기와, 전압을 구동모터의 작동전압으로 변화시키는 변압기와, 과전류 차단을 위한 전자식 과부하계전기 및 장치 과부하시 동작을 온오프 제어하는 전자접촉기가 설치되며, 상기 조작반커버에 전원스위치와 정회전버튼 및 역회전버튼이 구비될 수 있다.
여기에서, 피더부와 투입부커버 및 조작반커버에 각각 설치되어 비상시 장치를 긴급 정지시킬 수 있도록 하는 복수의 비상정지버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동력전달부는 구동모터의 출력축에 의해 구동되어 파쇄날을 회전시키는 파쇄구동부와, 이송스크루를 회전시키도록 파쇄구동부에 연동되는 피더구동부로 이루어지되, 파쇄구동부는 파쇄축에 각각 구비되어 서로 맞물려 회전되는 한 쌍의 기어부재와, 파쇄축 중 일측에 구비되는 구동스프로킷을 포함하고, 피더구동부는 이송스크루에 각각 구비되어 서로 맞물려 회전되는 한 쌍의 기어부재와, 이송스크루 중 일측에 구비되며 구동스프로킷에 체인으로 연결되는 종동스프로킷을 포함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르면, 파쇄부에 의해 파쇄된 식물파쇄물이 스크루날이 엇갈리게 배치된 한 쌍의 이송스크루에 의해 이송되어 배출됨에 따라 대량의 식물파쇄물이 신속하게 배출되는 유용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피더부의 상단 하부에 배출부가 구비됨에 따라 배출부를 통해 배출되는 식물파쇄물을 농지에 뿌려주거나 배출부에 연결관을 연결하여 차량에 탑재할 수 있게 되는 유용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파쇄날이 엇갈리게 배치되는 한 쌍의 파쇄부재를 통해 식물을 원활하게 파쇄함과 아울러 간격유지판이 구비되어 파쇄날 사이의 간섭이 발생하지 않게 되는 유용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파쇄축에 다각 형상의 결합부가 구비되고 파쇄날 및 간격유지판에 다각 형상의 결합홈이 구비됨에 따라 별도의 고정부재를 사용하지 않고도 파쇄축에 파쇄날과 간격유지판이 회전 불가능하게 결합되는 유용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투입부에 투입부커버가 구비됨에 따라 호퍼를 통해 파쇄부로 식물을 공급하는 과정에서 작업자의 손을 보호할 수 있게 되는 유용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피더부와 투입부커버 및 조작반커버에 각각 비상정지버튼이 구비됨에 따라 작업 현장 어디에서든 위험 상황이 발생하면 누구라도 쉽고 빠르게 장치를 비상정지시켜 위험을 회피할 수 있게 되는 유용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파쇄구동부와 피더구동부가 체인 연결되어 구동모터에 의해 동시에 작동되어 피더부의 이송스크루를 회전시키기 위한 별도의 구동수단을 설치할 필요가 없는 유용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송스크루의 스크루날에 일정 간격으로 칼날부재가 설치됨에 따라 식물파쇄물을 이송하는 과정에서 칼날부재에 의해 식물파쇄물이 더욱 잘게 파쇄되는 유용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칼날부재에 형성된 센터결합홈과 외측결합홈을 이용하여 칼날부재의 결합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되는 유용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물파쇄기를 나타낸 정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물파쇄기를 나타낸 배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물파쇄기의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물파쇄기의 투입부 및 파쇄부를 나타낸 평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물파쇄기의 투입부 및 파쇄부를 나타낸 확대단면도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물파쇄기의 동력전달부를 나타낸 확대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물파쇄기의 파쇄부재와 이송스크루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물파쇄기의 파쇄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물파쇄기의 조작반 내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물파쇄기의 조작반을 나타낸 외관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식물파쇄기의 일부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식물파쇄기에서 이송스크루와 칼날부재의 결합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13은 도 11의 식물파쇄기에 적용된 칼날부재를 나타낸 사시도 및 정면도이다.
도 14는 도 11의 식물파쇄기에서 이송스크루와 칼날부재의 결합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15는 도 11의 식물파쇄기에서 파쇄부재와 이송스크루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항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첨부도면의 도 1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물파쇄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들이고, 도 11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식물파쇄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들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물파쇄기는 도 1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부재(10)와, 피더부(20), 파쇄부(30), 투입부(40), 조작반(50), 구동모터(60) 및 동력전달부(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프레임부재(10)는 피더부(20)와 파쇄부(30) 및 구동모터(60) 등의 장치가 설치되는 부분으로, 이동을 위하여 하부에 복수의 바퀴(15)가 구비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작업 위치를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게 된다.
피더부(20)는 하부 끝단으로 유입된 식물파쇄물을 상부로 이송하기 위한 것으로, 프레임부재(10)에 상향 경사진 형태로 설치되는 피더하우징(23)의 내부에 스크루날(21')이 엇갈리는 형태로 배치되는 한 쌍의 이송스크루(21)를 포함하고, 피더하우징(23)의 상단 하부에 이송스크루(21)에 의해 이송된 식물파쇄물을 배출하는 배출부(25)가 구비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파쇄부(30)에서 파쇄된 식물파쇄물을 피더부(20)의 한 쌍의 이송스크루(21)가 맞물려 회전하면서 상부의 배출부(25)를 통해 배출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배출부(25)에 연결관 등을 연결하여 배출된 식물파쇄물을 차량에 탑재할 수도 있고, 배출부(25)에서 식물파쇄물을 그대로 배출하여 경작지에 뿌려줄 수도 있다.
파쇄부(30)는 식물을 파쇄하여 피더부(20)로 공급하도록 프레임부재(10)에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파쇄부(3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부재(10)에 설치된 파쇄하우징(35)의 내부에 파쇄날(31)이 서로 엇갈리는 형태로 배치되는 한 쌍의 파쇄부재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파쇄부재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주면에 하나 이상의 파쇄돌기가 구비된 복수의 파쇄날(31)과, 다른 파쇄부재의 파쇄날(31)이 삽입되는 공간이 형성되도록 파쇄날(31) 사이에 각각 구비되는 복수의 간격유지판(32)과, 파쇄날(31)과 간격유지판(32)이 설치되는 파쇄축(33)을 포함한다.
이때, 파쇄날(31) 및 간격유지판(32)에 각각 다각형상의 결합홈(31')(32')이 형성되고, 파쇄축(33)에 다각형상의 결합부(33')가 구비되어, 파쇄날(31) 및 간격유지판(32)이 파쇄축(33)에 끼움 결합됨으로써 파쇄축(33)에 대하여 파쇄날(31) 및 간격유지판(32)이 회전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파쇄날(31) 및 간격유지판(32)을 파쇄축(33)에 회전 불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하여 키(key)와 같은 별도의 고정부재를 사용할 필요가 없어진다.
그리고, 파쇄축(33)에 결합되는 다수의 파쇄날(31)은 점차적으로 설치각도가 변화되는 방식으로 결합되도록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는 파쇄돌기의 위치를 다르게 함으로써 파쇄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투입부(40)는 파쇄부(30)에 식물을 공급하기 위한 부분으로, 파쇄부(30)의 상측에 연결되는 호퍼(41)가 끝단부에 구비된 구조로 이루어지며, 작업자의 안전을 위한 투입부커버(45)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투입부커버(45)는 적어도 호퍼(41)의 상부를 덮어주도록 구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투입부커버(45)에 의해 호퍼(41)와 그 주변이 차단되어 투입부(40)를 통해 파쇄부(30)에 식물을 공급하는 과정에서 작업자의 손이 파쇄부에 의해 다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조작반(50)은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고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조작반몸체(51)와 조작반커버(52)로 이루어진다.
이때, 조작반몸체(51)의 내측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하기 위한 배선용 차단기(53)와, 전압을 구동모터(60)의 작동전압으로 변화시키는 변압기(54)와, 과전류 차단을 위한 전자식 과부하계전기(55) 및 장치 과부하시 동작을 온오프 제어하는 전자접촉기(56)가 설치된다.
그리고 조작반커버(52)에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모터(60)로의 전원공급을 제어하는 전원스위치(52a)와, 구동모터(60)를 정회전시키는 정회전버튼(52b) 및 구동모터(60)를 역회전시키는 역회전버튼(52c)이 구비된다.
이에 따라, 조작반커버(52)를 개방한 상태에서 배선용 차단기(53)를 이용하여 장치로 공급되는 전원을 완전 차단할 수도 있고, 전원이 연결된 상태에서도 조작반커버(52)에 구비된 전원스위치(52a)를 이용하여 구동모터(60)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할 수 있게 된다.
동력전달부(70)는 구동모터(60)의 동력을 피더부(20) 및 파쇄부(30)로 전달하기 위한 것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모터(60)의 출력축(71)에 의해 구동되어 파쇄날(31)을 회전시키는 파쇄구동부(72)와, 이송스크루(21)를 회전시키도록 파쇄구동부(72)에 연동되는 피더구동부(73)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파쇄구동부(72)는 파쇄축(33)에 각각 구비되어 서로 맞물려 회전되는 한 쌍의 기어부재(72a)와, 파쇄축(33) 중 일측에 구비되는 구동스프로킷(72b)을 포함하고, 피더구동부(73)는 이송스크루(21)에 각각 구비되어 서로 맞물려 회전되는 한 쌍의 기어부재(73a)와, 이송스크루(21) 중 일측에 구비되며 구동스프로킷(72b)에 체인으로 연결되는 종동스프로킷(73b)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파쇄부(30)와 피더부(20)가 서로 연동하여 작동하게 되며, 파쇄부(30)에 의해 파쇄된 식물파쇄물이 파쇄하우징(35) 하부로 낙하한 후 피더부(20)의 이송스크루(21)에 의해 이송된다.
그리고, 비상시 전원을 차단하여 장치를 긴급 정지시킬 수 있도록 하는 복수의 비상정지버튼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상정지버튼으로는 피더부(20)의 중간 부분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제1비상정지버튼(24)과, 투입부커버(45)에 설치되는제2비상정지버튼(43)이 사용되며, 조작반(50)의 조작반커버(52)에는 메인 비상정지버튼(58)이 구비된다.
이에 따라, 작업 현장에서 위험 상황을 발견한 사람 중 누구라도 가장 가까운 곳에 위치한 비상정지버튼을 이용하여 장치를 정지시킴으로써 위험 상황을 신속하게 회피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식물 분쇄기를 이용하여 식물을 분쇄하는 것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작업자가 투입부(40)에 작물 줄기 등의 식물을 투입하면, 투입된 식물이 호퍼(41)를 통해 파쇄부(30)로 유입된다.
파쇄부(30)는 파쇄날(31)이 엇갈리게 배치된 한 쌍의 파쇄부재를 이용하여 유입된 식물을 잘게 절단함과 아울러 생성된 삭물파쇄물을 파쇄하우징(35)의 하부로 배출한다.
그리고, 파쇄하우징(35)의 하부의 식물파쇄물은 한 쌍의 이송스크루(21)에 의해 피더하우징(23)의 상단으로 이송된 후 배출부(25)를 통해 배출된다.
그리고, 식물파쇄물을 사료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배출부(25)에 연결관 등을 연결하여 차량에 식물파쇄물을 탑재함으로써 필요한 위치로 이송할 수 있으며, 배출부(25)를 통해 식물파쇄물을 그대로 배출하여 농지에 뿌려줌으로써 비료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삭제
이상에서는 파쇄부에서 식물을 파쇄하고, 피더부는 식물파쇄물을 단순히 이송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피더부에서도 식물의 파쇄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하여, 이송스크루(21)는 도 11 내지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더부(20)의 입구 부분에 위치하는 스크루날(21')에 일정 간격으로 고정 설치되는 복수의 칼날부재(22)를 구비한다.
이때, 칼날부재(22)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칼날부(22a)와, 양측이 중심 즉, 하기할 센터결합홈(22d)을 향해 오목하게 오목진 라운드면을 갖는 오목면(22c)의 형태로 형성되어 칼날부(22a)를 서로 연결하며 스크루날(21')에 고정 설치되는 연결부(22b)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칼날부(22a)는 투입되는 식물줄기를 절단하기 위한 원호형 외면을 형성하는 절단면부(22a-1)와, 상기 절단면부의 양측벽을 형성하는 양측단면으로서 식물줄기를 한쌍의 이송스크류(21) 내부로 잡아챈 후 끌어당기기 위해 이송스크류(21)의 회전방향 및 식물줄기의 자중에 의한 낙하방향을 고려하여 경사 구조로 형성하는 경사면부(22a-2)를 갖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도 12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루날(21)에 일정 간격으로 한 쌍의 칼날부재 결합홈(21")이 형성되고, 칼날부재(22)의 연결부(22b) 중앙에 센터결합홈(22d)이 형성됨과 아울러연결부(22b) 양측에 위치하는 오목면(22c)의 상부와 하부 양측에 반원 형상의 외측결합홈(22e)(22f)이 각각 형성된다.
따라서,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루날(21')의 칼날부재 결합홈(21")을 관통한 고정부재(모시 생략)가 칼날부재(22)의 센터결합홈(22d) 또는 외측결합홈(22e)(22f)에 삽입되어 칼날부재(22)를 고정하게 되어 칼날부재(22)의 결합 높이를 다르게 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도 14의 (a)와 같이 하부 외측결합홈(22f)을 이용하여 칼날부재(22)를 결합시키는 경우에는 칼날부재(22)가 최대로 돌출되고, 도 14의 (b)와 같이 상부 외측결합홈(22e)를 이용하여 칼날부재(22)를 결합시키는 경우에는 칼날부재(22)가 거의 돌출되지 않으며, 도 14의 (c)와 같이 센터결합홈(22d)를 이용하여 칼날부재(22)를 결합시키는 경우에는 칼날부재(22)가 적절한 높이로 돌출된다.
이에 따라, 이송스크루(21)의 스크루날(21')에 설치된 칼날부재(22)와 피더하우징(23)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여 식물파쇄물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이러한 실시예에 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청구범위 내에서 이 기술분야의 당해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과 변형 등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할 것이며, 이는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10 : 프레임부재 15 : 바퀴
20 : 피더부 21 : 이송스크루
21' : 스크루날 21" : 칼날부재 결합홈
22 : 칼날부재 22a : 칼날부
22b : 연결부 22c : 오목면
22d : 센터결합홈 22e :(상부) 외측결합홈
22f : (하부) 외측결합홈 23 : 피더하우징
24 : 제1비상정지버튼 25 : 배출부
30 : 파쇄부 31 : 파쇄날
31' : 결합홈 32 : 간격유지판
32' : 결합홈 33 : 파쇄축
33' : 결합부 35 : 파쇄하우징
40 : 투입부 41 : 호퍼
43 : 제2비상정지버튼 45 : 투입부커버
50 : 조작반 51 : 조작반몸체
52 : 조작반커버 52a : 전원스위치
52b : 정회전버튼 52c : 역회전바튼
53 : 배선용 차단기 54 : 변압기
55 : 과부하계전기 56 : 전자접촉기
58 : 메인 비상정지버튼 60 : 구동모터
70 : 동력전달부 71 : 출력축
72 : 파쇄구동부 72a : 기어부재
72b : 구동스프로킷 73 : 피더구동부
73a : 기어부재 73b : 종동스프로킷

Claims (8)

  1. 복수의 바퀴가 구비된 프레임부재;
    상향 경사진 형태로 프레임부재에 설치되며, 피더하우징의 내부에 스크루날이 엇갈리는 형태로 배치되는 한 쌍의 이송스크루를 이용하여 하부 끝단으로 유입된 식물파쇄물을 상부로 이송하는 피더부;
    프레임부재에 설치되며, 식물을 파쇄하여 하부에 위치한 피더부로 공급하는 파쇄부;
    식물이 투입되며 파쇄부의 상측에 연결되는 호퍼가 끝단 부분에 구비된 투입부;
    프레임부재에 설치되어 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조작반;
    피더부 및 파쇄부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모터; 및
    피더부와 파쇄부가 작동되도록 구동모터의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를 포함하되,
    파쇄부는 파쇄하우징의 내부에 파쇄날이 서로 엇갈리는 형태로 배치되는 한 쌍의 파쇄부재로 이루어지고,
    파쇄부재는, 외주면에 하나 이상의 파쇄돌기가 구비된 복수의 파쇄날과, 다른 파쇄부재의 파쇄날이 삽입되는 공간이 형성되도록 파쇄날 사이에 각각 구비되는 복수의 간격유지판과, 파쇄날과 간격유지판이 설치되는 파쇄축을 포함하는 한편, 파쇄축에 구비된 다각 형상의 결합부에 파쇄날 및 간격유지판에 형성된 다각형상의 결합홈이 끼움 결합되고, 파쇄부재의 파쇄축에 결합되는 다수의 파쇄날은 점차적으로 설치각도가 변화되는 방식으로 결합되고,
    이송스크루는, 스크루날에 일정 간격으로 고정 설치되는 복수의 칼날부재를 구비하고, 칼날부재는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칼날부와, 양측이 중심을 향해 오목진 라운드면을 갖도록 형성되어 칼날부를 서로 연결하며 스크루날에 고정 설치되는 연결부를 포함하되, 칼날부는 투입되는 식물줄기를 절단하기 위한 원호형 외면을 형성하는 절단면부와, 상기 절단면부의 양측벽을 형성하는 양측단면으로서 식물줄기를 한쌍의 이송스크류 내부로 잡아챈 후 끌어당기기 위해 이송스크류의 회전방향 및 식물줄기의 자중에 의한 낙하방향을 고려하여 경사 구조로 형성하는 경사면부를 갖는 한편, 스크루날에 일정 간격으로 한 쌍의 칼날부재 결합홈이 형성됨과 아울러, 칼날부재의 연결부 중앙에 센터결합홈이 형성되고 연결부의 상부와 하부 양측에 반원 형상의 외측결합홈이 각각 형성되어, 스크루날의 칼날부재 결합홈을 관통한 고정부재가 칼날부재의 센터결합홈 또는 외측결합홈에 삽입되어 칼날부재를 고정함에 따라 칼날부재의 결합 높이가 달라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파쇄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피더부의 상단 하부에 이송스크루에 의해 이송된 식물파쇄물을 배출하는 배출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파쇄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피더부와 투입부커버 및 조작반커버에 각각 설치되어 비상시 전원을 차단하여 장치를 긴급 정지시킬 수 있도록 하는 복수의 비상정지버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파쇄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동력전달부는 구동모터의 출력축에 의해 구동되어 파쇄날을 회전시키는 파쇄구동부와, 이송스크루를 회전시키도록 파쇄구동부에 연동되는 피더구동부로 이루어지되,
    파쇄구동부는 파쇄축에 각각 구비되어 서로 맞물려 회전되는 한 쌍의 기어부재와, 파쇄축 중 일측에 구비되는 구동스프로킷을 포함하고,
    피더구동부는 이송스크루에 각각 구비되어 서로 맞물려 회전되는 한 쌍의 기어부재와, 이송스크루 중 일측에 구비되며 구동스프로킷에 체인으로 연결되는 종동스프로킷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파쇄기.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210042300A 2021-03-31 2021-03-31 식물파쇄기 KR1025520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2300A KR102552070B1 (ko) 2021-03-31 2021-03-31 식물파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2300A KR102552070B1 (ko) 2021-03-31 2021-03-31 식물파쇄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5940A KR20220135940A (ko) 2022-10-07
KR102552070B1 true KR102552070B1 (ko) 2023-07-06

Family

ID=835956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2300A KR102552070B1 (ko) 2021-03-31 2021-03-31 식물파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2070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5857Y1 (ko) * 1999-03-09 2001-06-01 신일현 절단수단을 구비한 이동식 사료혼합기
JP2005305359A (ja) * 2004-04-23 2005-11-04 Shin Caterpillar Mitsubishi Ltd 自走式破砕機
KR101387713B1 (ko) * 2012-06-21 2014-04-22 공영숙 음식물 쓰레기의 압축 처리장치
KR101760107B1 (ko) * 2016-03-31 2017-07-20 (주) 에코젠인터내셔널 음식물 처리 장치
KR101888673B1 (ko) * 2018-03-29 2018-08-14 장수철 사료 급이기
KR101897497B1 (ko) * 2016-09-08 2018-09-12 김중관 롤 베일용 조사료 파쇄유닛이 구비된 스크류컨베이어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2927B1 (ko) 2009-12-18 2012-05-11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작물 수확용 예취 유닛 및 이를 갖는 수확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5857Y1 (ko) * 1999-03-09 2001-06-01 신일현 절단수단을 구비한 이동식 사료혼합기
JP2005305359A (ja) * 2004-04-23 2005-11-04 Shin Caterpillar Mitsubishi Ltd 自走式破砕機
KR101387713B1 (ko) * 2012-06-21 2014-04-22 공영숙 음식물 쓰레기의 압축 처리장치
KR101760107B1 (ko) * 2016-03-31 2017-07-20 (주) 에코젠인터내셔널 음식물 처리 장치
KR101897497B1 (ko) * 2016-09-08 2018-09-12 김중관 롤 베일용 조사료 파쇄유닛이 구비된 스크류컨베이어
KR101888673B1 (ko) * 2018-03-29 2018-08-14 장수철 사료 급이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5940A (ko) 2022-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604629A (zh) 机械化杂草种子管理系统
EP1358788B1 (en) Crop processor and blower unit for a forage harvester.
US5661961A (en) Crop processor for round hay balers
US20060006266A1 (en) Bale processor with feed cutter
CN102057806B (zh) 兼具摘穗、剥皮与秸秆还田功能的自走式玉米联合收获机
US6572039B1 (en) Variable mulch handling and dispersing apparatus
CA1184835A (en) System for mechanically gathering, trees, bushes and branches
CN101005758A (zh) 用于拔出和剁碎棉株和类似农作物残桩的农业机械系统
KR101608616B1 (ko) 트렉터 연결용 제초기
KR102552070B1 (ko) 식물파쇄기
US5189868A (en) Leaf mulcher
CN107306677A (zh) 一种集捡拾、喂入、打碎和切片于一体的树枝处理机
EP2478758B1 (en) Distributor machine
CN207321923U (zh) 一种小麦收割与麦秸粉碎一体机
CN106489441A (zh) 粉碎装置及收割机粉碎机
CA2511712C (en) Bale processor with feed cutter
KR20220135951A (ko) 식물파쇄기의 안전장치
US20220000032A1 (en) Agricultural device with a cutter bar and a removable collecting device and agricultural machine comprising such a device
KR20100091824A (ko) 밭작물의 줄기 파쇄기
CN113039946B (zh) 一种切碎揉搓组合清选型方草捆打捆机
KR101619759B1 (ko) 굴삭기 연결용 제초기
EP3984344B1 (en) Improved agricultural machine for cutting and crushing residual materials
EP3280244B1 (en) A mower and a method for configuring a mower to selectively discharge cut forage in respective directions sidewardly and rearwardly from the mower
KR100578421B1 (ko) 적재함이 구비된 중경제초기
CN103814699A (zh) 一种联合收割机的工作离合器及具有该离合器的联合收割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