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1913B1 - 에이치빔 인출용 커버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에이치빔 인출용 커버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1913B1
KR102551913B1 KR1020210048452A KR20210048452A KR102551913B1 KR 102551913 B1 KR102551913 B1 KR 102551913B1 KR 1020210048452 A KR1020210048452 A KR 1020210048452A KR 20210048452 A KR20210048452 A KR 20210048452A KR 102551913 B1 KR102551913 B1 KR 1025519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wire member
fixing member
wire
withdraw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84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42105A (ko
Inventor
김나영
Original Assignee
김나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나영 filed Critical 김나영
Priority to KR10202100484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1913B1/ko
Publication of KR202201421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21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19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19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3/00Accessories for placing or removing piles or bulkheads, e.g. noise attenuating chambers
    • E02D13/10Follow-blocks of pile-drivers or like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9/00Removing sheet piles bulkheads, piles, mould-pipes or other moulds or part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26Metals
    • E02D2300/0029Steel; Iron
    • E02D2300/0034Steel; Iron in wire for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설 및 토목공사시 기초를 다지기 위하여 지반에 매립시켰던 에이치빔을 용이하게 인출시킬 수 있도록 에이치빔의 표면을 감싸는 보호커버를 에이치빔에 견고하고 고정시켜 주는 에이치빔 인출용 커버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에이치빔 인출용 커버 고정장치는 한 쌍의 수평부(H2)와 상기 수평부의 중앙을 연결하는 수직부(H1)로 이루어진 에이치빔(H)을 감싸는 에이치빔 인출용 커버(A)의 일측면을 감싸는 제1고정부재(100)와, 상기 에이치빔 인출용 커버(A)의 타측면을 감싸는 제2고정부재(200)와, 상기 제1고정부재와 제2고정부재를 결속시키는 탄성결속부재(30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에이치빔 인출용 커버 고정장치{Apparatus for fixing cover for withdrawing H-beam}
본 발명은 건설 및 토목공사시 기초를 다지기 위하여 지반에 매립시켰던 에이치빔을 용이하게 인출시킬 수 있도록 에이치빔의 표면을 감싸는 보호커버를 에이치빔에 견고하고 고정시켜 주는 에이치빔 인출용 커버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토목 및 건축공사를 할 때에는 지반을 굴착하게 된다. 특히, 기초를 튼튼히 하고자 하거나 지하층을 건설하고자 할 경우에 지반을 상당한 깊이로 굴착하게 되는데 굴착부 주위 흙 등이 무너지지 않도록 해야 원활한 공사가 가능하다.
이에 따라, 굴착부를 따라 여러 개의 구멍을 뚫은 후 여기에 에이치빔을 매립하고 흙 또는 시멘트 몰탈 등의 채움재를 이용하여 에이치빔을 견고하게 고정시키거나 각종 경화제 등을 이용하여 주위 지반을 견고하게 한 뒤 에이치빔을 고정시키는 방법들이 채택되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지반에 매립된 에이치빔은 공사 완료 후 회수된다.
그런데, 에이치빔이 시멘트 몰탈 등에 의해 너무 견고하게 고정 설치된 경우 공사 완료 후 에이치빔을 인출하여 회수하기가 매우 어렵다. 따라서, 에이치빔을 회수하는데 인력과 시간이 과다하게 소요되는 결함과 함께 인건비가 과다하게 상승된다.
만일 에이치빔을 회수하지 못하게 되면, 막대한 자재 낭비와 함께 에이치빔의 부식이 진행되면서 환경오염을 초래하게 된다. 게다가 견고하게 설치된 에이치빔을 각종 기계나 에이치빔 인발기 등을 이용하여 강제적으로 인출했을 때, 건물이나 구조물의 지하부분에 균열이 야기되어, 건물이나 구조물의 내구성이 크게 떨어지고, 수명이 단축되는 등의 폐단이 따를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고자 에이치빔을 지반에 매립하기 전에 이형제를 에이치빔 표면에 도포하고 있다. 상기 이형제는 통상 파라핀 왁스(Paraffin Wax)와 고체윤활제를 주성분으로 하며 여기에 경유나 실리콘들을 고온에서 용융혼합하여 제조되는데, 이와 같은 이형제를 에이치빔에 도포하게 되면 도포된 이형제가 상온에서 고체화되어 에이치빔과 시멘트 몰탈 사이에 피막을 형성시킴으로서 공사 종료 후 에이치빔을 쉽게 회수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형제를 도포하였다 하더라도, 에이치빔을 매립하는 과정에서 이형제가 지반에 접촉하면서 도포면이 훼손되고, 그 결과 에이치빔의 인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기 때문에 작업현장에서는 비닐재질의 에이치빔 인출용 커버를 에이치빔에 씌우고 에이치빔을 매립하고 있다.
하지만 에이치빔에 에이치빔 인출용 커버를 씌우게 되면, 에이치빔 인출용 커버를 씌우는 과정에서 에이치빔 인출용 커버의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고, 이 공기가 에이치빔으로부터 에이치빔 인출용 커버를 들뜨게 하면서 이후 포설되는 채움재 역시 에이치빔으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채워지면서 결국 에이치빔이 견고하게 고정되지 못하는 심각한 문제가 발생된다.
국내공개특허공보 제10-2019-0059436호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에이치빔 인출용 커버를 에이치빔에 밀착 고정시켜 주는 에이치빔 인출용 커버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에이치빔 인출용 커버 고정장치는 한 쌍의 수평부와 상기 수평부의 중앙을 연결하는 수직부로 이루어진 에이치빔을 감싸는 에이치빔 인출용 커버의 일측면을 감싸는 제1고정부재와, 상기 에이치빔 인출용 커버의 타측면을 감싸는 제2고정부재와, 상기 제1결속부재와 제2결속부재를 결속시키는 탄성결속부재를 포함한다.
아울러, 상기 제1고정부재는 에이치빔의 일측 수직부를 커버하는 에이치빔 인출용 커버의 제1커버부에 배치되는 제1와이어부재와, 상기 제1와이어부재와 함께 상기 일측 수직부와 인접하는 에이치빔의 일측 수평부들을 커버하는 에이치빔 인출용 커버의 제2커버부에 동시 밀착되도록 에이치빔 형상을 따라 절곡형성되어 상기 에이치빔의 길이방향으로 따라 일정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제2와이어부재와, 상기 제2와이어부재의 양단에 형성된 제1고리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고정부재는 에이치빔의 타측 수직부를 커버하는 에이치빔 인출용 커버의 제3커버부에 배치되는 제3와이어부재와, 상기 제3와이어부재와 함께 상기 타측 수직부와 인접하는 에이치빔의 타측 수평부들을 커버하는 에이치빔 인출용 커버의 제4커버부에 동시 밀착되도록 에이치빔 형상을 따라 절곡형성되어 상기 에이치빔의 길이방향으로 따라 일정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제4와이어부재와, 상기 제4와이어부재의 양단에 형성된 제2고리부를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탄성결속부재는 마주하는 상기 제2와이어부재의 제1고리부와 제4와이어부재의 제2고리부에 양단이 고정되는 후크를 가진 인장코일스프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이형제가 도포된 에이치빔을 감싸고 있는 에이치빔 인출용 커버의 외측을 감싸는 제1고정부재와 제2고정부재와 상기 제1고정부재와 제2고정부재의 단부를 결속시키는 탄성결속부재를 통해 상기 에이치빔 인출용 커버를 에이치빔에 긴밀히 밀착 고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에이치빔 인출용 커버 고정장치의 사용상태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에이치빔 인출용 커버 고정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에이치빔 인출용 커버 고정장치의 설치방법을 순서대로 나타내는 도면.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아울러,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예컨대,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아울러, "포함한다" 또는 "구비한다" 또는 "가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 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아래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아래에" 있는 경우 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아울러,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며, 명료성을 위하여 가능한 중복되지 않게 상이한 부분만을 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에이치빔 인출용 커버 고정장치의 사용상태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에이치빔 인출용 커버 고정장치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단면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에이치빔 인출용 커버(A) 고정장치는 제1고정부재(100)와 제2고정부재(200)와 상기 제1고정부재(100)와 제2고정부재(200)를 결속시키는 탄성결속부재(300)로 구성되어, 에이치빔(H)을 감싸고 있는 에이치빔 인출용 커버(A)가 에이치빔(H)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견고하게 고정시켜 준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에이치빔 인출용 커버(A)가 봉지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예를 들어 도시하였으나, 낱장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에이치빔(H)은 한 쌍의 수평부(H2)와 상기 수평부(H2)의 중앙을 연결하는 수직부(H1)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 에이치빔 인출용 커버(A)는 에이치빔(H)의 수직부(H1)의 일측면을 커버하는 제1커버부(A1)와, 상기 수직부(H1)의 일측면과 인접하는 수평부(H2)들의 일측면을 커버하는 제2커버부(A2)와, 에이치빔(H)의 수직부(H1)의 타측면을 커버하는 제3커버부(A3)와, 상기 수직부(H1)의 타측면과 인접하는 수평부(H2)들의 타측면을 커버하는 제4커버부(A4)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1고정부재(100)는 에이치빔 인출용 커버(A)의 일측면을 감싸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제1고정부재(100)는 제1와이어부재(110)와 제2와이어부재(120)와 제1고리부(13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와이어부재(110)는 에이치빔 인출용 커버(A)의 제1커버부(A1)에 배치된다.
상기 제1와이어부재(110)는 제1커버부(A1)를 지그재그 형태로 제1커버부(A1)의 전구간에 걸쳐 배치되는 와이어로서, 에이치빔(H)으로부터 탈락되지 않도록 에이치빔(H)의 양측 수직부(H1)에 밀착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와이어부재(120)는 제1와이어부재(110)와 에이치빔 인출용 커버(A)의 제2커버부(A2)에 동시 밀착되도록 에이치빔(H) 형상을 따라 절곡형성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제2와이어부재(120)는 에이치빔(H)의 길이방향으로 따라 일정간격으로 배치된다.
상기 제1고리부(130)는 제2와이어부재(120)의 양단에 형성된다. 상기 제1고리부(130)는 제2와이어부재(120)의 양단을 접어서 용이하게 형성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고정부재(200)는 에이치빔 인출용 커버(A)의 타측면을 감싸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제2고정부재(200)는 제3와이어부재(210)와 제4와이어부재(220)와 제2고리부(23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3와이어부재(210)는 에이치빔 인출용 커버(A)의 제3커버부(A3)에 배치된다.
상기 제3와이어부재(210)는 제3커버부(A3)를 지그재그 형태로 제3커버부(A3)의 전구간에 걸쳐 배치되는 와이어로서, 에이치빔(H)으로부터 탈락되지 않도록 에이치빔(H)의 양측 수직부(H1)에 밀착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4와이어부재(220)는 제3와이어부재(210)와 에이치빔 인출용 커버(A)의 제4커버부(A4)에 동시 밀착되도록 에이치빔(H) 형상을 따라 절곡형성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제4와이어부재(220)는 에이치빔(H)의 길이방향으로 따라 일정간격으로 배치된다.
상기 제2고리부(230)는 제4와이어부재(220)의 양단에 형성된다. 상기 제2고리부(230)는 제4와이어부재(220)의 양단을 접어서 용이하게 형성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1고정부재(100)와 제2고정부재(200)는 설치위치만 상이할 뿐 그 구성이 동일하다.
한편, 상기 탄성결속부재(300)는 마주하는 상기 제2와이어부재(120)의 제1고리부(130)와 제4와이어부재(220)의 제2고리부(230)에 양단이 고정되는 후크를 가진 인장코일스프링일 수 있다.
상기 탄성결속부재(300)는 마주하는 제1고정부재(100)와 제2고정부재(200)가 상기 에이치빔 인출용 커버(A)에 밀착되도록 결속력을 부여한다.
아울러, 상기 제1와이어부재(110)와 제3와이어부재(210)에는 영구자석(140,240)이 일정간격을 두고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영구자석(140,240)들은 상기 제1와이어부재(110)와 제3와이어부재(210)가 에이치빔(H)으로부터 탈락되지 않도록 고정력을 부여하는 동시에 에이치빔 인출용 커버(A)가 에이치빔(H)으로부터 들뜨지 않도록 잡아주는 역할을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에이치빔 인출용 커버 고정장치의 설치방법을 순서대로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에이치빔 인출용 커버(A) 고정장치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에이치빔 인출용 커버(A)를 고정한다.
먼저, 일정한 높이를 가진 지지부재를 일정간격으로 바닥에 위치시킨다.
그리고 에이치빔(H)의 수평부(H2)가 바닥을 향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지지부재의 상부에 에이치빔(H)을 내려 놓는다.
이때의 에이치빔(H)은 이형제가 도포된 상태이고 에이치빔 인출용 커버(A)에 의하여 표면이 감싸여진 상태이다.
이렇게 하면 에이치빔(H)의 수직부(H1)가 상하방향을 향하게 되고, 수평부(H2)가 상부와 하부에 각각 위치하게 된다.
에이치빔(H)이 지지부재에 안정적으로 놓여지면, 에이치빔 인출용 커버(A)의 제1커버부(A1)에 제1고정부재(100)의 제1와이어부재(110)를 위치시킴과 함께 에이치빔 인출용 커버(A)의 제2커버부(A2)에 제2고정부재(200)의 제3와이어부재(210)를 위치시킨다.
상기 제1와이어부재(110)와 제3와이어부재(210)에 영구자석(140,240)이 구비된 경우, 상기 제1와이어부재(110)와 제3와이어부재(210)는 에이치빔(H)으로부터 탈락되지 않고 에이치빔 인출용 커버(A) 위에서 안정되게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일정간격으로 에이치빔 인출용 커버(A)의 제2커버부(A2)에 제1고정부재(100)의 제2와이어부재(120)를 끼워 가고정함과 아울러 에이치빔 인출용 커버(A)의 제4커버부(A4)에 제2고정부재(200)의 제4와이어부재(220)를 끼워 가고정한다.
그리고, 마주하는 각각의 제2와이어부재(120)의 제1고리부(130)와 제4와이어부재(220)의 제2고리부(230)에 탄성결속부재(300)를 걸어서 고정시키면, 상기 탄성결속부재(300)의 탄성력에 의하여 제1고정부재(100)와 제2고정부재(200)의 결속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제1고정부재(100)와 제2고정부재(200)의 결속이 이루어지게 되면, 상기 결속력에 의하여 제1와이어부재(110)와 제3와이어부재(210)가 에이치빔 인출용 커버(A)의 제1커버부(A1)와 제3커버부(A3)에 긴밀히 밀착된 상태로 구속되면서 제1고정부재(100)와 제2고정부재(200)는 에이치빔(H) 및 에이치빔 인출용 커버(A)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확실하게 고정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에이치빔 인출용 커버(A)는 제1고정부재(100)와 제2고정부재(200)를 통해 외력을 받아 에이치빔(H)으로부터 들뜨지 않고 밀착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이후 에이치빔(H)의 주위로 포설되는 채움재가 에이치빔(H)에 긴밀히 밀착되면서 채워질 수 있게 되며, 상기 에이치빔(H)은 견고하게 고정된다.
이와 같이,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술하였으나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가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고 변형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할 것이다.
100..제1고정부재 110...제1와이어부재
120...제2와이어부재 130...제1고리부
200...제2고정부재 210...제3와이어부재
220...제4와이어부재 230...제2고리부
300...탄성결속부재 H...에이치빔
H1...수직부 H2...수평부
A...에이치빔 인출용 커버 A1...제1커버부
A2...제2커버부 A3...제3커버부

Claims (3)

  1. 한 쌍의 수평부와 상기 수평부의 중앙을 연결하는 수직부로 이루어진 에이치빔을 감싸는 에이치빔 인출용 커버의 일측면을 감싸는 제1고정부재와, 상기 에이치빔 인출용 커버의 타측면을 감싸는 제2고정부재와, 상기 제1고정부재와 제2고정부재를 결속시키는 탄성결속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고정부재는 지그재그 형태로 에이치빔의 수직부의 일측면을 커버하는 에이치빔 인출용 커버의 제1커버부의 전구간에 걸쳐 배치되는 제1와이어부재와, 상기 제1와이어부재와 별체로 구성되며 상기 제1커버부와 상기 수직부의 일측면과 인접하는 에이치빔의 수평부들의 일측면을 커버하는 에이치빔 인출용 커버의 제2커버부에 동시 밀착되도록 에이치빔 형상을 따라 절곡형성되어 상기 에이치빔의 길이방향으로 따라 일정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제2와이어부재와, 상기 제2와이어부재의 양단에 형성된 제1고리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고정부재는 지그재그 형태로 에이치빔의 수직부의 타측면을 커버하는 에이치빔 인출용 커버의 제3커버부의 전구간에 걸쳐 배치되는 제3와이어부재와, 상기 제3와이어부재와 별체로 구성되며 상기 제3커버부와 상기 수직부의 타측면과 인접하는 에이치빔의 수평부들의 타측면을 커버하는 에이치빔 인출용 커버의 제4커버부에 동시 밀착되도록 에이치빔 형상을 따라 절곡형성되어 상기 에이치빔의 길이방향으로 따라 일정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제4와이어부재와, 상기 제4와이어부재의 양단에 형성된 제2고리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와이어부재는 제1커버부와 제2와이어부재의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제2와이어부재를 통하여 상기 제1커버부에 대한 밀착력을 제공받고;
    상기 제3와이어부재는 제3커버부와 제4와이어부재의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제4와이어부재를 통하여 상기 제3커버부에 대한 밀착력을 제공받는 에이치빔 인출용 커버 고정장치.
  2. 삭제
  3. 삭제
KR1020210048452A 2021-04-14 2021-04-14 에이치빔 인출용 커버 고정장치 KR1025519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8452A KR102551913B1 (ko) 2021-04-14 2021-04-14 에이치빔 인출용 커버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8452A KR102551913B1 (ko) 2021-04-14 2021-04-14 에이치빔 인출용 커버 고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2105A KR20220142105A (ko) 2022-10-21
KR102551913B1 true KR102551913B1 (ko) 2023-07-04

Family

ID=838052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8452A KR102551913B1 (ko) 2021-04-14 2021-04-14 에이치빔 인출용 커버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191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6969B1 (ko) * 2009-07-10 2009-11-17 노윤근 프리스트레스트 철근 콘크리트 거더 및 이의 시공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3346B1 (ko) 2017-11-23 2019-09-20 김나영 에이치빔 인출용 이형제 도포장치
KR102226921B1 (ko) * 2019-07-04 2021-03-10 김나영 에이치빔 인출용 커버 고정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6969B1 (ko) * 2009-07-10 2009-11-17 노윤근 프리스트레스트 철근 콘크리트 거더 및 이의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2105A (ko) 2022-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51913B1 (ko) 에이치빔 인출용 커버 고정장치
CN105696737B (zh) 一种轻型房屋结构的装配式楼板及其连接方法
KR102226921B1 (ko) 에이치빔 인출용 커버 고정장치
KR20130028026A (ko) 기성파일의 재하시험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기성파일의 보강방법
US20040206030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inforcing concrete using intersectional tendon support structures
JP3557861B2 (ja) 既存構造物の基礎免震化工法
CN1132979C (zh) 易于去除模板的装置
KR20220112461A (ko) 에이치빔 인출용 커버
JP2019120056A (ja) 吊足場の防水構造
JP4474965B2 (ja) 建造物の脚材定着方法
KR101416160B1 (ko) 전단포켓과 충전층에 의한 하중 전달구조를 가지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궤도 및 그 시공방법
JP3908816B2 (ja) 吊床版橋の構築方法
JP3570916B2 (ja) ケーソン用目地構造、その施工法およびケーソン用目地材
KR20120072446A (ko) 스트레스 리본 브리지의 하프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및 이를 이용한 스트레스 리본 브리지의 축조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KR101596245B1 (ko) 부력앵커의 시공방법
KR101219450B1 (ko) 지중 차수벽을 이용한 건축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JP3615157B2 (ja) 基礎構造
JP3242300U (ja) 杭基礎打設システム
JPH0636696B2 (ja) 樹木の支持旋工方法
CN112942371B (zh) 一种控制地铁隧道变形支护方法
CN214639067U (zh) 一种用于土壤及地下水修复的预制注射井
JP2013023835A (ja) マンホール蓋受枠の設置装置
CN110410142B (zh) 一种构筑挡墙的辅助装置及用该辅助装置构筑挡墙的方法
JPS60242215A (ja) 地下壁に対するプレストレス導入工法
JP3974719B2 (ja) アスファルトマット斜め吊り装置及び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41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12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62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063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3063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