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1533B1 - 다층구조를 가지는 피부활성물질 전달체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다층구조를 가지는 피부활성물질 전달체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1533B1
KR102551533B1 KR1020220173528A KR20220173528A KR102551533B1 KR 102551533 B1 KR102551533 B1 KR 102551533B1 KR 1020220173528 A KR1020220173528 A KR 1020220173528A KR 20220173528 A KR20220173528 A KR 20220173528A KR 102551533 B1 KR102551533 B1 KR 1025515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ulsion base
weight
parts
hydrogenated lecithin
sk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735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진우
오성욱
유수상
Original Assignee
벤스킨케어코리아 유한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벤스킨케어코리아 유한회사 filed Critical 벤스킨케어코리아 유한회사
Priority to KR10202201735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1533B1/ko
Priority to KR1020230080058A priority patent/KR102629470B1/ko
Priority to KR1020230080057A priority patent/KR10262946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15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153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14Liposomes; Vesic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2Alcohols having more than seven atoms in an unbroken cha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61K8/361Carboxylic acids having more than seven carbon atoms in an unbroken chain;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8Sphingolipids, e.g. ceramides, cerebrosides, ganglios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vegetabl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07Preparations for dry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2Stabiliz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05Corresponding aspects not provided for by any of codes A61K2800/81 - A61K2800/95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3Electrophoresis; Electrodes; Electrolytic phenomena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Bio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Colloid Chemistry (AREA)

Abstract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층구조를 가지는 피부활성물질 전달체 제조방법은 수소첨가 레시틴을 에탄올에 용해시킨 후, 55-70℃에서 정제수에 에탄올에 용해된 수소첨가 레시틴을 투입하면서 교반하여 분산시켜 수소첨가 레시틴 분산액을 제조하는 단계, 70-90℃에서 탄소수 12-22의 포화지방알콜을 수소첨가 레시틴 분산액에 투입하면서 교반하여 분산시켜 프리에멀젼베이스를 제조하는 단계, 70-90℃에서 정제수에 프리에멀젼베이스와 수용성물질을 투입하면서 교반하여 분산시켜 에멀젼베이스를 제조하는 단계, 70-90℃에서 에멀젼베이스를 후처리하는 단계 및 70-90℃에서 에멀젼베이스에 오일을 투입하면서 교반하여 분산시켜 인지질이중층으로 이루어진 다층소구체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다층구조를 가지는 피부활성물질 전달체 제조방법{METHOD FOR MANUFACTURING BIOACTIVE SUBSTANCE CARRIERS HAVING A MULTI-LAYER STRUCTURE}
본 개시는 다층구조를 가지는 피부활성물질 전달체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수소첨가 레시틴을 에탄올에 용해시킨 후, 55-70℃에서 정제수에 에탄올에 용해된 수소첨가 레시틴을 투입하면서 교반하여 분산시켜 수소첨가 레시틴 분산액을 제조하는 단계, 70-90℃에서 탄소수 12-22의 포화지방알콜을 수소첨가 레시틴 분산액에 투입하면서 교반하여 분산시켜 프리에멀젼베이스를 제조하는 단계, 70-90℃에서 정제수에 프리에멀젼베이스와 수용성물질을 투입하면서 교반하여 분산시켜 에멀젼베이스를 제조하는 단계, 70-90℃에서 에멀젼베이스를 후처리하는 단계 및 70-90℃에서 에멀젼베이스에 오일을 투입하면서 교반하여 분산시켜 인지질이중층으로 이루어진 다층소구체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화장품 산업에서 주름 개선 성분으로 알려진 올레아놀릭산(Oleanolic acid)과 같은 유효성분은 물에 거의 녹지 않는 난용성일 뿐만 아니라 제형에 적용하여도 안정도 및 역가 불안정 문제로 인하여 일정 함량이상 포함하는데 한계가 있다. 특히, 물의 함량이 많은 가용화 제형에서의 적용은 힘들며 제형 내 안정도를 확보하는데 큰 어려움이 있다.
또한, 생물학적 세포막과 유사한 리포솜은 양친매성으로 이루어져, 친수성/친유성 물질과 모두 친화력이 우수하여 생체 친화적인 담체로 약물 전달 분야에 많이 활용되어 왔던 기술이다. 이 기술은 최근 화장품 산업에서도 난용성 효능 물질 안정화 및 피부 흡수 촉진 매개체 등으로 다양한 제형으로 연구되고 있었다. 피부에 적용하는 제형으로 만들기 위해서는 효율적인 피부 투과 및 흡수를 위하여 입자 크기 제어 등 리포솜의 특성을 잘 이해해야 하며 리포솜을 형성할 수 있는 조건을 최적화할 필요가 요구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57283호 (2011.08.09)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개시의 다층구조를 가지는 피부활성물질 전달체 제조방법은 수소첨가 레시틴을 에탄올에 용해시킨 후, 55-70℃에서 정제수에 에탄올에 용해된 수소첨가 레시틴을 투입하면서 교반하여 분산시켜 수소첨가 레시틴 분산액을 제조하는 단계, 70-90℃에서 탄소수 12-22의 포화지방알콜을 수소첨가 레시틴 분산액에 투입하면서 교반하여 분산시켜 프리에멀젼베이스를 제조하는 단계, 70-90℃에서 정제수에 프리에멀젼베이스와 수용성물질을 투입하면서 교반하여 분산시켜 에멀젼베이스를 제조하는 단계, 70-90℃에서 에멀젼베이스를 후처리하는 단계 및 70-90℃에서 에멀젼베이스에 오일을 투입하면서 교반하여 분산시켜 인지질이중층으로 이루어진 다층소구체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층구조를 가지는 피부활성물질 전달체 제조방법은 수소첨가 레시틴을 에탄올에 용해시킨 후, 55-70℃에서 정제수에 에탄올에 용해된 수소첨가 레시틴을 투입하면서 교반하여 분산시켜 수소첨가 레시틴 분산액을 제조하는 단계, 70-90℃에서 탄소수 12-22의 포화지방알콜을 수소첨가 레시틴 분산액에 투입하면서 교반하여 분산시켜 프리에멀젼베이스를 제조하는 단계, 70-90℃에서 정제수에 프리에멀젼베이스와 수용성물질을 투입하면서 교반하여 분산시켜 에멀젼베이스를 제조하는 단계, 70-90℃에서 에멀젼베이스를 후처리하는 단계 및 70-90℃에서 에멀젼베이스에 오일을 투입하면서 교반하여 분산시켜 인지질이중층으로 이루어진 다층소구체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멀젼베이스를 후처리하는 단계는 에멀젼베이스의 평균입자를 90㎚ 이하로 필터링하고, 전극 배열법을 통해 판상 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화지방알콜에는 세라마이드, 스테롤 또는 탄소수 12-22의 포화지방산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추가로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용성물질은 수용성피부활성물질이고, 오일은 유용성피부활성물질이고, 수용성피부활성물질이 인지질이중층 사이에 위치하면, 유용성피부활성물질은 인지질이중층 내에 위치하고, 수용성피부활성물질이 인지질이중층 내에 위치하면, 유용성피부활성물질은 인지질이중층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소첨가 레시틴 분산액은 수소첨가 레시틴 10-30 중량부, 에탄올 5-10 중량부를 이용하여 제조되며, 프리에멀젼베이스는 정제수 30-75 중량부, 수소첨가 레시틴 분산액 20 중량부, 탄소수 12-22의 포화지방알콜 15-40 중량부를 이용하여 제조되며, 에멀젼베이스는 정제수 30-75 중량부, 프리에멀젼베이스 15-40 중량부와 수용성물질 10-30 중량부를 이용하여 제조되며, 인지질이중층으로 이루어진 다층소구체는 에멀젼베이스 30-75 중량부에 오일 5-25 중량부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개시에 따른 다층구조를 가지는 피부활성물질 전달체 제조방법은 구형의 안정한 리포좀 구조가 유연하게 피부의 좁은 틈을 통과하는 것이 가능하여 피부의 진피층까지 전달체의 파손없이 영양분 등의 활성물질을 안정적으로 전달하는 효과를 갖는다.
본 개시에 따른 다층구조를 가지는 피부활성물질 전달체 제조방법은 인지질이중층으로 된 다층구조를 가짐으로써, 피부의 각층에 유용성 피부활성물질, 수용성 피부활성물질 또는 난용성 피부활성물질을 각각 전달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본 개시에 따른 다층구조를 가지는 피부활성물질 전달체 제조방법은 공정 시간을 절약하고, 최적의 중량부를 제공하는 공정으로 인지질이중층으로 이루어진 안정적인 다층구조를 가지는 피부활성물질 전달체를 경제적으로 제조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본 개시에 따른 다층구조를 가지는 피부활성물질 전달체 제조방법은 시간이 경과함에도 인지질이중층으로 이루어진 다층소구체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므로 피부의 여러 조직을 통과하면서 피부의 각층에 유용성 피부활성물질, 수용성 피부활성물질 또는 난용성 피부활성물질을 안정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본 개시에 따른 다층구조를 가지는 피부활성물질 전달체 제조방법은 용해 포화도가 향상된 균일한 크기의 오일 입자를 제공해서 분산안정성이 높은 다층구조를 가지는 피부활성물질 전달체를 제공하는 효과를 갖는다.
본 개시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본 개시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이하의 설명에서는 본 개시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우려가 있는 경우, 널리 알려진 기능이나 구성에 관한 구체적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개시된 실시예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개시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관련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개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의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단수인 것으로 특정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복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복수인 것으로 특정하지 않는 한, 단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허용오차가 존재할 때 허용오차를 포괄하는 의미로 사용된 것이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마쿠시 형식의 표현에 포함된 "이들의 조합(들)"의 용어는 마쿠시 형식의 표현에 기재된 구성 요소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혼합 또는 조합을 의미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A 및/또는 B"의 기재는 "A, 또는 B, 또는 A 및 B"를 의미한다.
아래에서는 본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원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층구조를 가지는 피부활성물질 전달체 제조방법은 수소첨가 레시틴을 에탄올에 용해시킨 후, 55-70℃에서 정제수에 에탄올에 용해된 수소첨가 레시틴을 투입하면서 교반하여 분산시켜 수소첨가 레시틴 분산액을 제조하는 단계, 70-90℃에서 탄소수 12-22의 포화지방알콜을 수소첨가 레시틴 분산액에 투입하면서 교반하여 분산시켜 프리에멀젼베이스를 제조하는 단계, 70-90℃에서 정제수에 프리에멀젼베이스와 수용성물질을 투입하면서 교반하여 분산시켜 에멀젼베이스를 제조하는 단계, 70-90℃에서 에멀젼베이스를 후처리하는 단계 및 70-90℃에서 에멀젼베이스에 오일을 투입하면서 교반하여 분산시켜 인지질이중층으로 이루어진 다층소구체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개시에 따른 수소첨가 레시틴 분산액을 제조하는 단계는 수소첨가 레시틴 10-30 중량부를 에탄올 5-10 중량부에 먼저 용해시킨 후, 55-70℃의 정제수에 에탄올에 용해된 수소첨가 레시틴을 투입하면서 AGI MIXER(일반 혼합 믹서) 회전속도 800-1000rpm 조건에서 8-12분 동안(바람직하게는 10분 동안) 교반하여 분산시켜 수소첨가 레시틴 분산액을 제조한다.
55-70℃에서 수소첨가 레시틴을 에탄올 5-10 중량부에 용해시키는 전처리 과정을 거침으로써 수소첨가 레시틴이 고온에서 변성될 가능성을 방지하고, 에탄올이 피부투과 증진제 역할을 하기 때문에, 피부 각질세포 사이의 정돈된 지질층에 에탄올이 접근하면 지질분자의 극성부분과 작용하여 각질층 지질의 전이온도(Transition temperature)를 낮추고 피부 지질층의 유동성을 증대시켜 지질구조를 느슨하게 만들어 투과성이 높아질 수 있도록 구조적 변형이 발생하며 유연한 막을 가진 인지질이중층으로 이루어진 다층소구체의 구조적 변형이 쉽게 이루어져 피부 침투가 용이해진다.
또한, 에멀젼베이스에 오일을 투입해서 인지질이중층으로 이루어진 다층소구체를 제조하는 단계에서 5 미만 중량부의 에탄올을 이용하는 경우에 다층소구체의 입자 크기가 매우 작고, 오일의 용해도가 감소하는 문제를 가지고, 10 초과 중량부의 에탄올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10 미만 중량부의 에탄올을 이용하는 경우와 비교해서 입자 크기 및 오일의 용해도가 에탄올 중량부에 비례해서 증가하지 않고 제한적이기 때문에 에탄올 5-10 중량부를 이용함으로써 다층소구체의 입자를 안정한 상태로 유지하고 최적의 오일 용해도를 제공한다.
본 개시에 따른 프리에멀젼베이스를 제조하는 단계는 70-90℃에서 탄소수 12-22의 포화지방알콜 15-40 중량부에 수소첨가 레시틴 분산액 20 중량부 및 정제수 30-75 중량부를 투입하면서 AGI MIXER(일반 혼합 믹서) 회전속도 800-1000rpm 조건에서 8-12분 동안(바람직하게는 10분 동안) 교반하여 분산시켜 프리에멀젼베이스를 제조한다.
본 개시에 따른 수소첨가 레시틴은 높은 계면장력으로 인해 장시간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어렵기 때문에, 수소첨가 레시틴의 계면장력을 낮추어 줄 수 있는 시스템이 필요하다. 이러한 레시틴의 높은 계면장력을 낮추어 주고 장시간의 안정성 확보를 위한 최적의 조합이 수소첨가 레시틴 분산액 20 중량부와 탄소수 12-22의 포화지방알콜 15-40 중량부의 조합이다.
일반적으로 지방알콜 또는 지방산은 유화의 형성과 형성된 유화의 안정화에 도움을 주는 성분으로 전기적 반발, 점도의 변경, 유화막에 필름 형성 등의 기전으로 에멀젼끼리 합체하는 것을 막아주거나 감소시켜 주어 제품의 안전성(Stability)를 높여 주기 때문에, 수소첨가 레시틴의 계면장력을 낮추어 장시간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유화안정제로 이용된다.
본 개시에 따른 포화지방알콜은 포화지방알콜을 구성하는 탄소의 수가 증가하면 유화한 제품의 점도는 증가하게 되는데, 탄소의 수가 22 이상이 되면 오히려 점도가 감소하는 결과가 나타나고, 12 이하의 탄소수를 가진 포화지방알콜은 탄소사슬의 길이가 짧기 때문에 전달체(Vehicle)의 기본 구조인 이중막(인지질이중층) 구조를 형성하기 어렵고, 비록 생성되었다 하더라도 형성된 전달체(Vehicle)의 안정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탄소 수가 12-22인 포화지방알콜을 혼합하여 유화한 제품의 점도를 조절하고, 안정성을 확보하는 효과를 갖는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화지방알콜에는 세라마이드, 스테롤, 탄소수 12-22의 포화지방산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추가로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세라마이드, 스테롤 또는 탄소수 12-22의 포화지방산이 추가되는 양만큼 탄소수 12-22의 포화지방알콜은 감소되어야 한다.
세라마이드, 스테롤 또는 탄소수 12-22의 포화지방산이 과다하게 첨가되면 불안정한 판상미셀 구조가 안정화되는 효과 외에 판상미셀이 다층구조를 이루기 전에 양말단이 먼저 연결되어 구형 모양을 이루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포화지방알콜을 구성하는 탄소 수가 증가함에 따라 유화 제품의 점도 증가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탄소수 12-22의 포화지방산이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첨가되는 포화지방산의 탄소수가 12-22인 이유는 12-22의 탄소수를 가지는 포화지방알콜을 사용하였기에 서로 상용성을 높일 수 있기 때문이다.
본 개시에 따른 세라마이드와 스테롤의 역할은 수소첨가 레시틴의 입자가 잘 배열되어 만들어주며, 인지질이중층으로 된 이중막 구조의 수소첨가 레시틴 입자들 사이에 존재하여 이중막 구조의 막을 좀 더 촘촘하게 만들어 주어 다층구조를 가지는 피부활성물질 전달체의 안정성을 향상시켜 주는 작용을 한다.
본 개시에 따른 세라마이드와 스테롤은 피부 세포 가운데 표피 각질층의 지질막 성분의 하나로 피부 표면에서 손실되는 수분을 방어하고 외부로부터 유해 물질의 침투를 막는 역할을 하는 물질이다. 세라마이드는 구조적으로 수분과 결합하여 지질층 장벽의 역할을 수행하며 외부 환경 및 미생물로부터 신체를 방어하며 생리학적으로는 신호시스템으로 세포의 성장을 조절해 주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본 개시에 따른 에멀젼베이스를 제조하는 단계는 70-90℃에서 정제수 30-75 중량부에 프리에멀젼베이스 15-40 중량부와 수용성물질 10-30 중량부를 투입하면서 교반하여 분산시켜 제조한다.
정제수에 70-90℃로 가온된 프리에멀젼베이스 15-40 중량부와 수용성물질 10-30 중량부를 서서히 투입하면서 AGI MIXER(일반 혼합 믹서) 회전속도 800-1000rpm 조건에서 8-12분 동안(바람직하게는 10분 동안) 교반시켜 제조된 에멀젼베이스는 판상미셀이 수용성물질에 의해 길게 연장되고 다층의 구조를 가진다. 판상미셀이 수용성물질에 의해 길게 연장되고 다층 구조를 가짐으로써, 다층소구체가 용이하게 형성될 수 있는 준비가 완료된 효과를 가진다.
본 개시에 따른 에멀젼베이스를 후처리하는 단계는 에멀젼베이스의 평균입자를 90㎚ 이하로 필터링하고, 전극 배열법을 통해 판상 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종래 기술의 에멀젼베이스는 내부 물질들이 너무 융합되어 오히려 반발하게 되어 판상 구조의 형태가 제대로 형성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개시에 따른 에멀젼베이스는 90㎚ 필터 마이크론 여과지를 통해 90㎚ 이하로 균일하게 필터링하고, 필터링이 완료된 에멀젼베이스를 상면/하면 전극의 사이에 놓고 단극전하를 제공해서 에멀젼베이스 내부에 유사한 액상들의 융합을 향상시켜서 에멀젼베이스가 판상 구조를 길고 안정적인 형태를 가질 수 있도록 한다.
본 개시에 따른 인지질이중층으로 이루어진 다층소구체를 제조하는 단계는 70-90℃에서 에멀젼베이스에 오일을 투입하면서 교반하여 분산시켜 인지질이중층으로 이루어진 다층소구체를 제조한다.
본 개시에 따른 인지질이중층으로 이루어진 다층소구체를 제조하는 단계는 70-90℃에서 에멀젼베이스에 70-90℃로 가온한 오일을 투입하면서 호머믹서 회전속도 3000-4000rpm 조건 및 패들믹서 회전속도 40-60rpm 조건에서 8-12분 동안 진행된다.
본 개시에 따른 인지질이중층으로 이루어진 다층소구체를 제조하는 단계는 투입되는 오일의 용해도는 이전의 수소첨가 분산액을 제조하는 단계에서 에탄올 5-10 중량부에 수소첨가 레시틴 10-30 중량부를 용해하였기 때문에, 가장 최적의 오일 용해도를 가진다.
5 미만 중량부의 에탄올을 이용하는 경우에 다층소구체의 입자 크기가 매우 작고, 오일의 용해도가 감소하는 문제를 가지고, 10 초과 중량부의 에탄올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10 미만 중량부의 에탄올을 이용하는 경우와 비교해서 입자 크기 및 오일의 용해도가 에탄올 중량부에 비례해서 증가하지 않고 제한적이기 때문에 에탄올 5-10 중량부를 이용함으로써 다층소구체의 입자를 안정한 상태로 유지하고 최적의 오일 용해도를 제공한다.
본 개시에 따른 인지질이중층으로 이루어진 다층소구체는 수용성물질에 의해 길게 연장되고 다층의 구조를 가지는 판상미셀이 오일을 감싸면서 구상의 소구체로 닫혀지게 되고, 양말단이 연결되어 구형 모양의 다층구조를 가지는 전달체가 형성된다. 이때 복수의 인지질이중층(인지질막 Ⅰ, Ⅱ, Ⅲ)이 각각 구상의 소구체로 닫혀지게 되고, 경우에 따라서는 오일에는 유용성피부활성물질이 첨가된다.
본 개시에 따른 다층구조를 가지는 피부활성물질 전달체는 구형의 층상 미셀 구조를 형성한다.
본 개시에 따른 수용성피부활성물질이 인지질이중층 사이에 위치하면, 유용성피부활성물질은 인지질이중층 내에 위치하고, 수용성피부활성물질이 인지질이중층 내에 위치하면, 유용성피부활성물질은 인지질이중층 사이에 위치하게 되며, 화장품의 제조과정에서 필요한 난용성피부활성물질은 인지질이중층 사이의 수용상부분에 위치한다. 난용성피부활성 물질은 올레아놀릭산(Oleanolic Acid), 우르솔릭산(Ursolic Acid), 세라마이드(Ceramide), 타자로틴(Tazarotene), 아다팔렌(Adapalene), 쿠마릭산(Coumaric Acid) 또는 퀘세틴(Quercetin)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피부활성물질이 다층구조의 각층마다 분리하여 안정적으로 존재함으로써, 피부의 진피층까지 전달체의 파손없이 영양분 등의 피부활성물질을 안정적으로 전달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이들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본 개시에 따른 다층구조를 가지는 피부활성물질 전달체를 제조하기 위하여 수소첨가 레시틴 20 중량부를 에탄올 5중량부에 용해시킨 후, 60℃에서 정제수 55 중량부에 에탄올에 용해된 수소첨가 레시틴을 투입하면서 AGI MIXER(일반 혼합 믹서) 회전속도 900rpm 조건에서 10분 동안 교반하여 분산시켜 수소첨가 레시틴 분산액을 제조하고, 80℃에서 탄소수 12-22의 포화지방알콜 20 중량부를 수소첨가 레시틴 분산액에 투입하면서 AGI MIXER(일반 혼합 믹서) 회전속도 900rpm 조건에서 10분 동안 교반하여 분산시켜 프리에멀젼베이스를 제조하고, 80℃에서 정제수 55 중량부에 프리에멀젼베이스 20 중량부와 수용성물질(히알루론산) 20 중량부를 투입하면서 AGI MIXER(일반 혼합 믹서) 회전속도 900rpm 조건에서 10분 동안 교반하여 분산시켜 에멀젼베이스를 제조하고, 80℃에서 에멀젼베이스를 90㎚ 필터 마이크론 여과지를 통해 평균입자 90㎚ 이하로 균일하게 필터링하고, 전극 배열법을 통해 필터링이 완료된 에멀젼베이스를 상면/하면 전극의 사이에 놓고 단극전하를 제공하고, 80℃에서 에멀젼베이스 50 중량부에 오일(캐모마일 오일) 10 중량부를 투입하면서 호머믹서 회전속도 3500rpm 조건 및 패들믹서 회전속도 50rpm 조건에서 10분 동안 교반하여 분산시켜 인지질이중층으로 이루어진 다층소구체를 제조해서 다층구조를 가지는 피부활성물질 전달체를 완성하여 제품화하였다.
비교예 1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보습 및 피부진정 기능을 가진 화장품을 사용하였다.
비교예 2
상기 실시예 1에서, 수소첨가 레시틴 20 중량부를 에탄올 5중량부에 용해시킨 후, 60℃에서 정제수 55 중량부에 에탄올에 용해된 수소첨가 레시틴을 투입하면서 AGI MIXER(일반 혼합 믹서) 회전속도 900rpm 조건에서 10분 동안 교반하여 분산시켜 수소첨가 레시틴 분산액을 제조하는 대신, 수소첨가 레시틴 20 중량부를 에탄올 1 중량부에 용해시킨 후, 60℃에서 정제수 55 중량부에 에탄올에 용해된 수소첨가 레시틴을 투입하면서 AGI MIXER(일반 혼합 믹서) 회전속도 900rpm 조건에서 10분 동안 교반하여 분산시켜 수소첨가 레시틴 분산액을 제조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비교예 3
상기 실시예 1에서, 수소첨가 레시틴 20 중량부를 에탄올 5중량부에 용해시킨 후, 60℃에서 정제수 55 중량부에 에탄올에 용해된 수소첨가 레시틴을 투입하면서 AGI MIXER(일반 혼합 믹서) 회전속도 900rpm 조건에서 10분 동안 교반하여 분산시켜 수소첨가 레시틴 분산액을 제조하는 대신, 수소첨가 레시틴 20 중량부를 에탄올 15 중량부에 용해시킨 후, 60℃에서 정제수 55 중량부에 에탄올에 용해된 수소첨가 레시틴을 투입하면서 AGI MIXER(일반 혼합 믹서) 회전속도 900rpm 조건에서 10분 동안 교반하여 분산시켜 수소첨가 레시틴 분산액을 제조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비교예 4
상기 실시예 1에서, 70-90℃에서 에멀젼베이스를 90㎚ 필터 마이크론 여과지를 통해 평균입자 90㎚ 이하로 균일하게 필터링하고, 전극 배열법을 통해 필터링이 완료된 에멀젼베이스를 상면/하면 전극의 사이에 놓고 단극전하를 제공하는 대신, 80℃에서 에멀젼베이스를 필터링하지 않고, 전극 배열법을 통해 필터링이 완료된 에멀젼베이스를 상면/하면 전극의 사이에 놓고 단극전하를 제공해서 에멀젼베이스를 후처리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비교예 5
상기 실시예 1에서, 70-90℃에서 에멀젼베이스를 90㎚ 필터 마이크론 여과지를 통해 평균입자 90㎚ 이하로 균일하게 필터링하고, 전극 배열법을 통해 필터링이 완료된 에멀젼베이스를 상면/하면 전극의 사이에 놓고 단극전하를 제공하는 대신, 80℃에서 에멀젼베이스를 90㎚ 필터 마이크론 여과지를 통해 평균입자 90㎚ 이하로 균일하게 필터링만 진행해서 에멀젼베이스를 후처리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비교예 6
상기 실시예 1에서, 70-90℃에서 에멀젼베이스를 90㎚ 필터 마이크론 여과지를 통해 평균입자 90㎚ 이하로 균일하게 필터링하고, 전극 배열법을 통해 필터링이 완료된 에멀젼베이스를 상면/하면 전극의 사이에 놓고 단극전하를 제공해서 인지질이중층으로 이루어진 다층소구체를 제조하는 대신, 80℃에서 에멀젼베이스를 90㎚ 필터 마이크론 여과지를 통해 평균입자 90㎚ 초과로 균일하게 필터링하고, 전극 배열법을 통해 필터링이 완료된 에멀젼베이스를 상면/하면 전극의 사이에 놓고 단극전하를 제공해서 인지질이중층으로 이루어진 다층소구체를 제조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비교예 7
상기 실시예 1에서, 70-90℃에서 에멀젼베이스를 90㎚ 필터 마이크론 여과지를 통해 평균입자 90㎚ 이하로 균일하게 필터링하고, 전극 배열법을 통해 필터링이 완료된 에멀젼베이스를 상면/하면 전극의 사이에 놓고 단극전하를 제공해서 인지질이중층으로 이루어진 다층소구체를 제조하는 대신, 에멀젼베이스를 후처리하지 않고, 인지질이중층으로 이루어진 다층소구체를 제조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실험예 1: 피부 속 보습 측정 검사>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7에 대해 피부활성물질의 전달 정도를검사하기 위해 12명의 패널을 선정하여 1주일 동안 매일 1회씩 피부에 같은 양의 피부활성물질을 포함한 샘플을 도포하여 피부 속 보습 효과를 측정하였다.
피부 속보습 측정은 MoistureMeter D Compact(Delfin Technologies Ltd,Finland)를 이용하여 사용 전후에 동일한 조건과 방법으로 안면 볼 부위를 측정한다. 평가 값은 레이저를 이용하여 측정되며, 단위는 %(0~100), 국소 조직이 함유하고 있는 수분량을 측정한다. 피부 속 수분과 측정값은 비례한다.
이에 따라, 샘플을 사용 하기 전과 1주일 사용 후의 수분 측정값을 비교하였다. 이의 결과는 하기 [표 1]에 나타냈다.
피부 속 보습 측정 결과
사용 전(%) 사용 1주일 후(%)
실시예 1 50 65.5
비교예 1 51.2
비교예 2 58.7
비교예 3 58.9
비교예 4 59.1
비교예 5 58.3
비교예 6 59.5
비교예 7 58.7
상기 [표 1]의 결과로 보아, 실시예 1의 다층구조를 가지는 피부활성물질 전달체가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7의 제품보다 피부활성물질 전달 성능이 우수함을 알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실시예 1의 경우, 수소첨가 레시틴 20 중량부를 에탄올 5 중량부에 용해시킨 후, 60℃에서 정제수 55 중량부에 에탄올에 용해된 수소첨가 레시틴을 투입하면서 AGI MIXER(일반 혼합 믹서) 회전속도 900rpm 조건에서 10분 동안 교반하여 분산시켜 수소첨가 레시틴 분산액을 제조하고, 80℃에서 에멀젼베이스를 90㎚ 필터 마이크론 여과지를 통해 평균입자 90㎚ 이하로 균일하게 필터링하고, 전극 배열법을 통해 필터링이 완료된 에멀젼베이스를 상면/하면 전극의 사이에 놓고 단극전하를 제공해서 에멀젼베이스를 후처리함으로써 비교예 1 및 비교예 7보다 피부활성물질 전달 효과가 향상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수소첨가 레시틴 분산액에 에탄올 5 중량부를 사용하였을 때, 피부활성물질 전달체가 수소첨가 레시틴의 계면장력을 낮추어 장시간 안정성을 확보하는 유화안정 효과를 더욱 향상시키고, 오일(캐모마일 오일) 10 중량부의 용해도를 향상시켜 오일의 분산 안정성이 증가하여 균일하게 배열됨에 따라 피부활성물질을 전달하는데 효과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2: 피부 안정성 검사>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7에 대해 피부 질환이 없는 성인 남녀 12명을 대상으로 하여 자극 정도를 다음과 같이 평가하였다. 피험자들의 팔 전완부위를 SLS 1% 용액을 적용하여 의도적으로 피부장벽 손상을 일으켜 피부를 예민하게 만든 후, 20 μL의 시료를 도포한 하고 시험 부위를 밀폐한 후 24시간 동안 첩포하고, 첩포를 제거한 후 30분과 24시간 후에 피부에서의 반응을 CTFA 가이드라인에 제시된 terminology에 의거하여 검사한다. 판정기준은 다음과 같다. 판정기준에 의해 얻어진 시험자들의 점수를 평균하여 1 미만이면 저자극, 3 미만이면 경자극, 5 미만이면 중자극, 5 이상이면 강자극으로 평가한다.
피부 안정성 측정 결과
피부자극지수(PII)
실시예 1 0.47
비교예 1 3.10
비교예 2 2.13
비교예 3 2.15
비교예 4 2.24
비교예 5 2.04
비교예 6 2.15
비교예 7 2.08
상기 [표 2]의 결과로 보아, 실시예 1의 다층구조를 가지는 피부활성물질 전달체가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7의 제품보다 높은 피부 안정성을 제공함을 알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실시예 1의 경우, 수소첨가 레시틴 20 중량부를 에탄올 5중량부에 용해시킨 후, 60℃에서 정제수 55 중량부에 에탄올에 용해된 수소첨가 레시틴을 투입하면서 AGI MIXER(일반 혼합 믹서) 회전속도 900rpm 조건에서 10분 동안 교반하여 분산시켜 수소첨가 레시틴 분산액을 제조하였을 때, 피부활성물질 전달체의 유화안정성이 증가해서 피부 자극을 완화하는데 효과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3: 관능 검사>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7에 대한 제품의 선호도를 확인하기 위해 전문적으로 실험실적 관능평가에 관여하는 종사자 20명에게 5점 척도법을 이용하여 평가하도록 하고, 각각의 결과에 대해 평균값으로 정리하였다.
평가결과 각 제품에 대한 사용감, 사용 후 보습성, 세정감 등에 대하여 관능을 평가하여 5(매우 우수), 4(우수), 3(보통), 2(나쁨), 1(매우 나쁨)으로 평가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관능 검사
사용감 보습성 세정감
실시예 1 5 5 5
비교예 1 3 2 3
비교예 2 4 4 4
비교예 3 4 4 4
비교예 4 4 4 4
비교예 5 4 4 4
비교예 6 4 4 4
비교예 7 4 4 4
상기 [표 3]의 결과로 보아, 실시예 1의 다층구조를 가지는 피부활성물질 전달체가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7의 제품보다 높은 선호도를 제공함을 알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실시예 1의 경우, 수소첨가 레시틴 20 중량부를 에탄올 5중량부에 용해시킨 후, 60℃에서 정제수 55 중량부에 에탄올에 용해된 수소첨가 레시틴을 투입하면서 AGI MIXER(일반 혼합 믹서) 회전속도 900rpm 조건에서 10분 동안 교반하여 분산시켜 수소첨가 레시틴 분산액을 제조하였을 때, 오일(캐모마일 오일) 10 중량부의 용해도가 증가하게 되어 피부활성물질 전달체가 수소첨가 레시틴의 계면장력을 낮추어 장시간 안정성을 확보하는 유화안정 효과를 더욱 향상시키고, 80℃에서 에멀젼베이스를 90㎚ 필터 마이크론 여과지를 통해 평균입자 90㎚ 이하로 균일하게 필터링하고, 전극 배열법을 통해 필터링이 완료된 에멀젼베이스를 상면/하면 전극의 사이에 놓고 단극전하를 제공해서 에멀젼베이스를 후처리하는 공정으로 에멀젼베이스의 판상 구조를 더욱 균일하고 길게 연장하게 되어 더욱 큰 구형의 층상 구조를 제공함에 따라 많은 물질을 전달하기 때문에 관능검사에서 사용감, 보습성 및 세정감에서 높은 선호도를 확인할 수 있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층구조를 가지는 피부활성물질 전달체 제조방법은 종래 피부활성물질 전달체 제조방법과 비교할 때 구형의 안정한 리포좀 구조가 유연하게 피부의 좁은 틈을 통과하는 것이 가능하여 피부의 진피층까지 전달체의 파손없이 영양분 등의 활성물질을 안정적으로 전달하고, 피부의 여러 조직을 용이하게 통과하면서 피부의 각층에 유용성 피부활성물질, 수용성 피부활성물질 또는 난용성 피부활성물질을 각각 전달하고, 용해 포화도가 향상된 균일한 크기의 오일 입자를 제공해서 분산안정성이 높은 다층구조를 가지는 피부활성물질 전달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앞선 설명은 당업자들이 본 개시를 행하거나 이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제공된다. 본 개시의 다양한 수정예들이 당업자들에게 쉽게 자명할 것이고, 본원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개시의 취지 또는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양한 변형예들에 적용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개시는 본원에 설명된 예들에 제한되도록 의도된 것이 아니고, 본원에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가 부여되도록 의도된다.
본 명세서에서는 본 개시가 일부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이해할 수 있는 본 개시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점을 알아야 할 것이다. 또한, 그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명세서에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 내에 속하는 것으로 생각되어야 한다.

Claims (5)

  1. 수소첨가 레시틴 분산액 제조단계는 상기 수소첨가 레시틴 20 중량부를 에탄올 5 중량부에 용해시킨 후, 60 ℃에서 정제수 55 중량부에 에탄올에 용해된 수소첨가 레시틴을 투입하면서 교반하여 분산시켜 수소첨가 레시틴 분산액을 제조하는 단계;
    80℃에서 탄소수 12-22의 포화지방알콜 20 중량부를 상기 수소첨가 레시틴 분산액에 투입하면서 교반하여 분산시켜 프리에멀젼베이스를 제조하는 단계;
    80℃에서 정제수 55 중량부에 상기 프리에멀젼베이스와 수용성물질을 투입하면서 교반하여 분산시켜 에멀젼베이스를 제조하는 단계;
    80℃에서 상기 에멀젼베이스를 필터 마이크론 여과지를 통해 상기 에멀젼베이스의 평균입자를 90㎚ 이하로 필터링하고, 필터링이 완료된 에멀젼베이스를 상면/하면 전극의 사이에 놓고 단극전하를 제공하여 판상 구조로 형성하는 단계; 및
    80℃에서 상기 에멀젼베이스 50 중량부에 캐모마일 오일 10 중량부를 투입하면서 교반하여 분산시켜 인지질이중층으로 이루어진 다층소구체를 제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다층구조를 가지는 피부활성물질 전달체 제조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화지방알콜에는 세라마이드, 스테롤 또는 탄소수 12-22의 포화지방산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추가로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구조를 가지는 피부활성물질 전달체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물질은 수용성피부활성물질이고, 상기 오일은 유용성피부활성물질이고,
    상기 수용성피부활성물질이 상기 인지질이중층 사이에 위치하면, 상기 유용성피부활성물질은 상기 인지질이중층 내에 위치하고,
    상기 수용성피부활성물질이 상기 인지질이중층 내에 위치하면, 상기 유용성피부활성물질은 상기 인지질이중층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구조를 가지는 피부활성물질 전달체 제조방법.
  5. 삭제
KR1020220173528A 2022-12-13 2022-12-13 다층구조를 가지는 피부활성물질 전달체 제조방법 KR1025515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73528A KR102551533B1 (ko) 2022-12-13 2022-12-13 다층구조를 가지는 피부활성물질 전달체 제조방법
KR1020230080058A KR102629470B1 (ko) 2022-12-13 2023-06-22 다층구조를 가지는 피부활성물질 전달체 제조방법
KR1020230080057A KR102629469B1 (ko) 2022-12-13 2023-06-22 다층구조를 가지는 피부활성물질 전달체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73528A KR102551533B1 (ko) 2022-12-13 2022-12-13 다층구조를 가지는 피부활성물질 전달체 제조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80057A Division KR102629469B1 (ko) 2022-12-13 2023-06-22 다층구조를 가지는 피부활성물질 전달체 제조방법
KR1020230080058A Division KR102629470B1 (ko) 2022-12-13 2023-06-22 다층구조를 가지는 피부활성물질 전달체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51533B1 true KR102551533B1 (ko) 2023-07-06

Family

ID=87159635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73528A KR102551533B1 (ko) 2022-12-13 2022-12-13 다층구조를 가지는 피부활성물질 전달체 제조방법
KR1020230080057A KR102629469B1 (ko) 2022-12-13 2023-06-22 다층구조를 가지는 피부활성물질 전달체 제조방법
KR1020230080058A KR102629470B1 (ko) 2022-12-13 2023-06-22 다층구조를 가지는 피부활성물질 전달체 제조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80057A KR102629469B1 (ko) 2022-12-13 2023-06-22 다층구조를 가지는 피부활성물질 전달체 제조방법
KR1020230080058A KR102629470B1 (ko) 2022-12-13 2023-06-22 다층구조를 가지는 피부활성물질 전달체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3) KR102551533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33206A (ko) * 2009-03-13 2009-04-01 주식회사 고센바이오텍 난황 레시틴 함유 수용성 나노 에멀션의 제조 방법
KR20140142511A (ko) * 2013-06-04 2014-12-12 한국콜마주식회사 온도 감응성 고분자를 이용한 피부지질유사 막의 라멜라형 비수계 액정상 캡슐기재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KR20190086829A (ko) * 2018-01-15 2019-07-24 벤스킨케어 인코포레이티드 다층구조를 가지는 피부활성물질 전달체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피부활성물질 전달체를 함유하는 기능성 화장품용 조성물
KR20190086904A (ko) * 2018-01-15 2019-07-24 벤스킨케어 인코포레이티드 다층소구체를 가지는 전달체를 함유하는 피부보습용 조성물 제조방법
KR20220159075A (ko) * 2021-05-25 2022-12-02 코스맥스 주식회사 피부모사 리포좀 및 보습효능을 포함하는 이의 용도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518977A (ja) * 2013-04-16 2016-06-30 マサチューセッツ インスティテュート オブ テクノロジー エマルションまたは他の混合物の単極分離の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33206A (ko) * 2009-03-13 2009-04-01 주식회사 고센바이오텍 난황 레시틴 함유 수용성 나노 에멀션의 제조 방법
KR101057283B1 (ko) 2009-03-13 2011-08-16 주식회사 고센바이오텍 난황 레시틴 함유 수용성 나노 에멀션의 제조 방법
KR20140142511A (ko) * 2013-06-04 2014-12-12 한국콜마주식회사 온도 감응성 고분자를 이용한 피부지질유사 막의 라멜라형 비수계 액정상 캡슐기재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KR20190086829A (ko) * 2018-01-15 2019-07-24 벤스킨케어 인코포레이티드 다층구조를 가지는 피부활성물질 전달체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피부활성물질 전달체를 함유하는 기능성 화장품용 조성물
KR20190086904A (ko) * 2018-01-15 2019-07-24 벤스킨케어 인코포레이티드 다층소구체를 가지는 전달체를 함유하는 피부보습용 조성물 제조방법
KR20220159075A (ko) * 2021-05-25 2022-12-02 코스맥스 주식회사 피부모사 리포좀 및 보습효능을 포함하는 이의 용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4821A (ko) 2023-07-11
KR20230104820A (ko) 2023-07-11
KR102629469B1 (ko) 2024-01-25
KR102629470B1 (ko) 2024-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203359B2 (ja) 親油性担体製剤
DE60024054T2 (de) Materialien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von verbesserten mizellenzusammensetzungen
CN106691889B (zh) 一种高皮肤滞留神经酰胺纳米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用途
US20070082042A1 (en) Multiple-layered liposome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KR102037354B1 (ko) 생리활성물질 봉입을 위한 나노지질전달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497055B1 (ko) 고밀도 지질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색상과 펄감을 구현한 고보습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921959B1 (ko) 다중층 리포좀 및 단일막 나노 리포좀을 포함하는다중-유화 베시클
EP2167015A2 (de) Dms (derma membrane structure) in schaum-cremes
KR20110076068A (ko) 자기유화형 나노 리포좀/다중층 액정 함유 베지클, 이의 제조방법 및 용도
DE4021083C2 (de) Phospholipidformulierungen und ihre Verwendung für die Zubereitung liposomaler medizinischer und kosmetischer Bäder
EP0945136B9 (de) Topisches Arzneimittel mit einem Gehalt an Ciclosporin
KR20130011800A (ko) 피부 유사 지질을 포함하는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44908B1 (ko) 투명성이 개선된 고함량 천연 오일을 함유한 나노 에멀젼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US20120201857A1 (en) Transdermal delivery system for therapeutics
KR102190935B1 (ko) 생리활성물질 봉입을 위한 나노지질전달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551533B1 (ko) 다층구조를 가지는 피부활성물질 전달체 제조방법
KR100715311B1 (ko) 경피흡수가 증진되고 우르솔산이 안정화된 주름개선 화장료및 그 제조방법
KR102133629B1 (ko) 다층구조를 가지는 피부활성물질 전달체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피부활성물질 전달체를 함유하는 기능성 화장품용 조성물
KR102140863B1 (ko) 다층소구체를 가지는 전달체를 함유하는 피부보습용 조성물 제조방법
US20070104774A1 (en) Method for preparing phytosphingosine liposome composition
KR101507886B1 (ko) 리포아미노산을 함유한 리파좀 캡슐 조성물, 그의 제조방법 및 그를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KR102272302B1 (ko) 곤드레 추출물을 함유하는 리포좀 조성물
KR20220037703A (ko) 복합 세라마이드 수분산 조성물
KR101599398B1 (ko) 비오카닌 a를 함유한 라멜라형 비수계 액정상 캡슐기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KR100544442B1 (ko) 불포화 레시틴을 함유한 안정한 나노리포좀 및 이를함유하는 피부외용제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