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1470B1 - 건물의 실내에서 소금을 제조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건물의 실내에서 소금을 제조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1470B1
KR102551470B1 KR1020220155663A KR20220155663A KR102551470B1 KR 102551470 B1 KR102551470 B1 KR 102551470B1 KR 1020220155663 A KR1020220155663 A KR 1020220155663A KR 20220155663 A KR20220155663 A KR 20220155663A KR 102551470 B1 KR102551470 B1 KR 1025514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lt
evaporation
sea water
deep sea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556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정원
Original Assignee
조정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정원 filed Critical 조정원
Priority to KR10202201556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14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14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14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40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4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drying or kiln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A23L3/54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drying or kiln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using irradiation or electrical treatment, e.g. ultrasonic wa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5/00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not covered by group F26B21/00 or F26B23/00
    • F26B25/06Chambers, containers, or recepta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5/00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not covered by group F26B21/00 or F26B23/00
    • F26B25/06Chambers, containers, or receptacles
    • F26B25/14Chambers, containers, receptacles of simple construction
    • F26B25/18Chambers, containers, receptacles of simple construction mainly open, e.g. dish, tray, pan, rack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3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development of heat within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e.g. by fermentation or other microbiological action
    • F26B3/34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development of heat within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e.g. by fermentation or other microbiological action by using electrical effects
    • F26B3/353Resistance heating, e.g. using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as an electrical resistanc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0Drying, dehydrat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34Membrane proce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Toxic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easonings (AREA)
  • Heat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의 실내에서 소금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건물의 실내에 증발실, 결정실을 마련한 다음 해양 심층수를 해양 심층수 탱크에 저장한 후, 파이프 라인을 통해 증발실의 증발판으로 공급된 해양 심층수는 증발판의 바닥면에 설치된 복사 열선에 의해 복사열과 원적외선을 방출하여 해양 심층수가 증발되어 고농축된 고농축 함수를 생산하고, 상기 고농축 함수를 결정실로 공급하면 결정판의 바닥면에 설치된 복사 열선에서 발생하는 복사열에 의해 결정화된 소금을 생산함으로 인해 종래에 염전에서 생산하는 방식과 달리 햇빛, 바람을 포함한 날씨의 영향을 전혀 받지 않아 생산성이 향상되고, 황사, 미세먼지, 중금속, 미세 프라스틱 등 인체에 유해 물질 성분이 포함되지 않은 안전한 소금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건물의 실내에서 소금을 제조하는 방법{A manufacturing process and an apparatus of a salt forusing a sea}
본 발명은 건물의 실내에 증발실, 결정실을 각각 마련한 다음 해양 심층수를 해양 심층수 탱크에 저장한후, 상기 해양 심층수 탱크에 저장한 해양 심층수를 파이프 라인을 통해 증발실에 설치된 증발판에 공급한 다음, 상기 증발판의 바닥에 설치된 복사열선에서 발생하는 원적외선 복사열에 의해 해양 심층수가 증발되어 고농축 함수를 생산한 후, 상기 고농축 함수를 결정실로 공급하여 결정판의 바닥에 설치된 복사열선에서 발생하는 원적외선 복사열에 의해 결정화된 소금을 생산함으로 인해 종래에 염전에서 생산하는 방식과 달리 햇빛, 바람을 포함한 날씨의 영향을 전혀 받지 않아 생산성이 향상됨은 물론 황사, 미세먼지, 중금속, 미세 플라스틱 등 인체에 유해물질 성분이 포함되지 않은 안전한 소금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삭제
소금이란 해수(바닷물)을 염전으로 끌어들여 바람과 햇빛을 이용해 증발시켜 만든 천염소금으로서, 바닷물에서 유래되는 여러 미네랄을 함유하여 인체에 필수적인 칼슘, 칼륨, 마그네슘 등이 풍부하며, 갯벌의 유기성분들을 함유하여 영양적으로 우수하다.
소금중에 함유된 마그네슘은 세포의 신진대사를 촉진하고 효소를 활성화하며, 칼슘, 인과 함께 뼈의 대사에 작용을 하며, 천일염 중에 함유된 칼슘은 세포막과 뼈를 강화시키며 심장근육과 신경에 관여한다.
소금중에 함유된 칼륨은 수분유지를 통해 노폐물을 몸 밖으로 배출하고 근육수축을 조절하며 신경근의 원활한 활동에 필수적이다.
소금(천일염)의 연간 국내 생산량은 약 30만t으로 국내 전체 소금 소비량 중 43%를 차지한다.
반면, 현재 일반 가정에서 널리 사용되는 정제염은 정제과정을 거쳐 위생이 보장되지만 성분의 95% 가량이 염화나트륨 단일 물질로만 구성되어 있어 영양성분은 제로에 가깝다.
하지만 소금(천일염)은 비위생적이라는 이유로 1963년 염관리법에 의해 광물로 분류되었으며 1992년 발간된 식품공전에 기재되지 못했다.
한국 식약청은 배추 생선 등의 보존용으로만 사용하도록 제한했다.
이 때문에 소금(천일염)은 가정에서 김치나 장을 담글 때, 생선을 절일 때는 사용할수 있었지만 가공식품 제조 등 산업 용도로는 쓰이지 못했다.
이에 전국 소금(천일염) 생산업자들이 천일염의 기능성과 안전성을 주장하며 식품으로 인정받는데 총력을 기울였다.
한국 식약청은 마침내 소금(천일염) 생산업자가 제출한 연구 결과와 자체 분석 결과를 토대로 영양성분과 안전성을 확인하고 염관리법을 개정함에 따라 2008년부터 식품공전에 기재되어 식품으로 인정되었다.
한편, 통상적으로 소금(천일염)을 제조하는 방법은 사리 만조 때 해수를 저수조에 유입된 것을 증발실로 보내어 태양열과 바람에 의해서 건조되어 염도가 20%정도 되면 결정실로 보내어 석출되는 염을 갈퀴 모양의 고무래로 소금을 긁어모아 물이 빠진 것을 수레로 창고까지 운반하여 윗부분의 오염물질을 씻어낸 후에 포장하여 생산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전통적인 방법에 의해 생산된 소금(천일염)에는 각종 불순물이 포함되어 있을 뿐 아니라 인체에 유해한 성분이 간수에서 추출되는 현상이 발생되고 있다.
소금(천일염)은 바닷물을 염전으로 끌어들여 바람과 햇빛을 이용해 증발시켜 만드는 제조공정의 특성상 비위생적일 수 있어, 천일염으로부터 이물질을 제거하는 정제 과정이 필요하다.
또한, 소금(천일염)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햇빛, 바람을 포함한 날씨의 영향이 너무 크기 때문에 장마철이나 기온이 낮은 경우 증발 및 결정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염전에서 소금을 생산하는 경우 공기중에 포함된 미세 먼지, 중금속에 노출되어 쉽게 오염되며, 바닷물에도 중금속 물질, 미세 플라스틱이 포함된 불순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각종 유해물질이 포함된 천일염을 섭취할 수 밖에 없는 현실이다.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 - 2011 - 0007114호 " 천일염 제조방법"
삭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기후변화와 환경오염으로 인해 기존의 소금 제조방법과 달리 햇빛, 바람을 포함한 날씨의 영향을 받지 않고, 대기중에 유해물질 황사, 미세 먼지유입, 바닷물속 중금속, 해양쓰레기, 미세 플라스틱 성분이 포함되지 않은 해양 심층수를 사용하여 건물의 실내에서 24시간, 365일, 천일염, 자염, 물소금을 포함한 소금을 제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수단으로 본 발명은 해양 심층수 탱크에 해양 심층수를 공급하는 단계와,
건물의 실내에 위치한 증발실은 해양 심층수 탱크와 상층에 위치한 증발판과 파이프 라인으로 연결하여 증발판에 해양 심층수를 공급하는 단계와,
상기 증발실에는 상부가 개방된 함체 형상으로 바닥면에 복사 열선이 설치되고, 상기 복사 열선의 상부에는 타일이 부착된 다수의 증발판을 배열하고, 상기 하층에 위치한 증발판은 파이프 라인에 의해 함수탱크와 연결된 상태에서 증발판에 해양 심층수를 채운 다음 복사 열선에 전원을 공급하여 증발판을 가열하면 발생하는 복사열에 의해 고농축된 함수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고농축된 함수를 파이프 라인을 통해 함수탱크로 공급하는 단계와,
상기 함수탱크는 건물의 실내에 위치한 결정실에서 상층에 위치한 결정판과 파이프 라인으로 연결하여 결정판에 고농축 함수를 공급하는 단계와,
상기 결정실에는 상부가 개방된 함체형상으로 바닥면에는 복사 열선이 설치되고, 상기 복사 열선의 상부에는 타일이 부착된 다수의 결정판을 배열한 상태에서 파이프 라인을 통해 고농축 함수를 채운 다음 복사 열선에 전원을 공급하여 결정판을 가열하여 발생하는 복사열에 의해 소금 결정체로 완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실내에서 소금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건물의 실내에서 소금을 제조하는 방법으로 건물 실내에 증발실과 결정실을 각각 설치한 다음 증발판과 결정판에 해양 심층수 및 고농축 함수를 각각 공급하여 증발 및 결정공정을 통해 실내에서 소금을 제조하기 때문에 햇빛, 바람 등을 포함한 날씨에 영향을 전혀 받지 않고 24시간, 365일 생산이 가능하여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건물 실내에서 소금을 제조하기 때문에 공기중에 포함된 황사, 미세 먼지, 유해물질에 노출을 최소화하여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며, 해양 심층수를 사용하기 때문에 바닷물속 중금속, 해양쓰레기, 미세 플라스틱 성분이 포함되지 않아 인체에 이로운 소금을 제조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증발판, 결정판에 복사 열선을 설치하고, 증발실, 결정실의 내부 벽면에도 복사 열선이 설치된 복사 패널을 부착하여 증발판과 결정판의 내부와 외부에서 동시에 발생하는 복사열에 의해 증발시간과 결정시간을 단축하여 건조시간을 줄일 수 있으며, 증발판과 결정판을 다층으로 설치하여 적은 면적에서 많은량의 소금을 대량으로 생산하는 효과가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도 2는 본 발명 해양 심층수를 이용한 소금 제조장치를 도시해 보인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 소금 제조장치에서 증발실, 결정실을 도시해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소금 제조장치에서 증발판, 결정판을 도시해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소금 제조장치에서 복사 패널을 도시해 보인 사시도.
상기와 같은 목적 및 효과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 해양 심층수를 이용한 소금 제조장치를 도시해 보인 예시도이다.
해양 심층수는 통상 수심 200m 보다 깊은 심해의 해수로, 표층 해수와는 달리 햇빛이 닿지 않아 플랑크톤 및 생명체가 증식하지 못하기 때문에 영양염류의 농도가 높고, 수온에 따른 밀도 차이로, 표층 해수와 혼입되지 않아 표층 오염물질이 없기 때문에 저온 안전성, 청정성, 부영양성, 미네랄 균형 및 안전성 등의 특성이 있다,
본 발명은 건물(15) 실내에 소금 제조장치(100)를 설치하여 소금을 제조한다.
건물(15) 실내에서 소금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해양 심층수를 해양 심층수 탱크(2)에 공급하는 단계를 진행한다.
건물(15) 실내에 위치한 증발실(7)에서 상층에 위치한 증발판(5)은 파이프 라인(3)에 의해 해양 심층수 탱크(2)와 연결되고, 상기 파이프 라인(3)에서 증발판(5)으로 해양 심층수를 공급하는 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증발실(7)에는 상부가 개방된 함체(11)형상으로 바닥면에 복사 열선(12)이 설치되고, 상기 복사 열선(12)의 상부에는 타일(13)이 부착된 다수의 증발판(5)을 배열하고, 상층에 위치한 증발판(5)의 타측은 파이프 라인(3)에 의해 해양 심층수 탱크(2)와 연결된 상태에서 증발판(5)에 해양 심층수를 채운 다음 복사 열선(12)에 전원을 공급하여 증발판(5)을 가열하면 발생하는 복사열에 의해 해양 심층수를 고농축한 고농축 함수(16)로 생성하는 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고농축 함수(16)는 하층에 위치한 증발판(5)과 파이프 라인(3)을 통해 연결되어 함수탱크(6)로 공급하는 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함수탱크(6)는 건물(15) 실내에 위치한 결정실(8)에서 상층에 위치한 결정판(9)과 파이프 라인(3)으로 연결하여 결정판(9)에 고농축 함수(16)를 공급하는 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결정실(8)에는 상부가 개방된 함체(11)형상으로 바닥면에는 복사 열선(12)이 설치되고, 상기 복사 열선(12) 상부에는 타일(13)이 부착된 다수의 결정판(9)을 배열한 상태에서 상층에 위치한 결정판(9)과 연결된 파이프 라인(3)을 통해 고농축 함수(16)를 채운 다음 복사 열선(12)에 전원을 공급하여 결정판(13)을 가열하여 발생하는 복사열에 의해 소금 결정체로 결정화된 소금을 완성한다.
본 발명에 대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해양 심층수 탱크(2)에 염분 함량이 3.5%인 해양 심층수를 공급한다.
상기 해양 심층수 탱크(2)에서는 증발실(7)의 증발판(5)에 해양 심층수를 공급하여 채운 다음 복사 열선의 발열에 의해 증발판(5)을 가열하여 해양 심층수를 1차 증발시키면 염분 함량은 8%이고, 2차 증발시킨 염분 함량은 14%이며, 3차 증발시킨 염분 함량은 25%인 고농축 함수로 생성되어 함수탱크(6)로 공급하여 저장한다.
상기 함수탱크(6)에는 염분 함량이 25%인 함수를 저장한 상태에서 파이프 라인(3)을 통해 결정실(8)에서 상층에 위치한 결정판(9)으로 고농축 함수를 공급하여 채운 다음 복사 열선(12)의 발열에 의해 결정판(9)을 가열하여 고농축 함수에 포함된 수분을 건조시켜 소금 결정체로 결정화된 소금을 완성한다.
상기 완성된 소금은 소금 저장창고에 저장하고, 탈수시 발생한 간수는 간수탱크(17)에 저장한다.
또한, 본 발명은 증발실(7), 결정실(8)을 다층으로 이루어진 선반(4)을 형성한 다음 각 층별로 형성된 선반(4)에 증발판(5)과 결정판(9)을 설치한다.
상기와 같이 증발판(5)과 결정판(9)을 층별로 설치하면 건물의 실내에서 소금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공간의 제약을 극복하여 협소 공간에서도 많은 양의 소금을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건물의 실내에서 소금을 제조하기 때문에 햇빛, 바람 등을 포함한 날씨에 영향을 전혀 받지 않아 24시간, 365일 생산이 가능하여 생산성을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은 건물 실내에서 소금을 제조하기 때문에 공기중에 포함된 황사, 미세먼지, 유해물질에 노출을 최소화하여 오염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3은 본 발명 소금 제조장치에서 증발실, 결정실을 도시해 보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 소금 제조장치에서 증발판, 결정판을 도시해 보인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 소금 제조장치에서 복사 패널을 도시해 보인 사시도이다.
본 발명 증발판(5)과 결정판(9)은 상부가 개방된 함체(11)형상으로 바닥면에는 복사 열선(12)이 설치되고, 상기 복사 열선(12)의 상부에는 타일(13)이 부착된 구조이다.
복사 열선(12)에서 발생하는 복사열에 의해 증발판(5), 결정판(9)을 가열하면 해양 심층수 및 고농축 함수에서 수분을 증발시킨다.
상기 증발실(7)과 결정실(8) 내부에는 복사 열선(12)이 설치된 복사 패널(14)을 부착하여 복사 열선의 발열에 의해 실내 온도를 상승시킨다.
따라서 증발실(7)과 결정실(8)은 복사 패널(14)에서 발생하는 복사열에 의해 실내 온도를 상승시키고, 증발판(5)과 결정판(9)에서도 바닥면에서 설치된 복사 열선에 의해 복사열이 발열하기 때문에 증발판(5)과 결정판(9)의 내외부에서 발생하는 복사열에 의해 온도를 상승시켜 해양 심층수의 증발시간 및 함수의 결정시간을 단축하여 생산량이 향상된다.
2: 해양 심층수 탱크
3: 파이프 라인 4: 선반
5: 증발판 6: 함수탱크
7: 증발실 8: 결정실
9: 결정판 10: 소금 저장창고
11: 함체 12: 복사 열선
13: 세라믹 타일 14: 복사 패널
15: 건물 16: 함수
17: 간수탱크 100: 소금 제조장치

Claims (4)

  1. 소금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건물(15)의 실내에서 소금을 제조하기 위해 해양 심층수를 해양 심층수 탱크(2)에 공급하는 단계; 와
    건물(15) 실내에 위치한 증발실(7)은 상층에 위치한 증발판(5)과 해양 심층수 탱크(2)를 파이프 라인(3)으로 연결하여 해양 심층수를 공급하는 단계; 와
    상기 증발실(7)에는 상부가 개방된 함체(11)형상으로 바닥면에 복사 열선(12)이 설치되고, 상기 복사 열선(12)의 상부에는 타일(13)이 부착된 다수의 증발판(5)을 배열하고, 상기 증발판(5)중 하층에 위치한 증발판(5)과 함수탱크(2)를 파이프 라인으로 연결한 상태에서 증발판(5)에 해양 심층수를 채운 다음 복사 열선(12)에 전원을 공급하여 증발판(5)을 가열하여 발생하는 복사열에 의해 해양 심층수를 고농축 함수(16)로 생성하는 단계; 와
    상기 고농축 함수(16)를 파이프 라인(3)을 통해 함수탱크(6)로 공급하는 단계; 와,
    상기 함수탱크(6)는 건물(15) 실내에 위치한 결정실(8)에서 상층에 위치한 결정판(9)과 파이프 라인(3)으로 연결하여 결정판(9)에 고농축 함수(16)를 공급하는 단계; 와,
    상기 결정실(8)에는 상부가 개방된 함체(11)형상으로 바닥면에는 복사 열선(12)이 설치되고, 상기 복사 열선(12) 상부에는 타일(13)이 부착된 다수의 결정판(9)을 배열한 상태에서 파이프 라인(3)을 통해 고농축 함수(16)를 채운 다음 복사 열선(12)에 전원을 공급하여 결정판(9)을 가열하여 발생하는 복사열에 의해 소금 결정체로 결정화하여 소금을 완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실내에서 소금을 제조하는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증발실(7), 결정실(8)은 다층으로 이루어진 선반(4)을 형성한 다음 각각의 층별로 형성된 선반(4)에 증발판(5)과 결정판(9)을 층별로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실내에서 소금을 제조하는 방법.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증발실(7)과 결정실(8) 내부에는 복사 열선(12)이 설치된 복사 패널(14)이 부착되어 발열에 의해 실내온도를 상승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실내에서 소금을 제조하는 방법.
KR1020220155663A 2022-11-18 2022-11-18 건물의 실내에서 소금을 제조하는 방법 KR1025514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55663A KR102551470B1 (ko) 2022-11-18 2022-11-18 건물의 실내에서 소금을 제조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55663A KR102551470B1 (ko) 2022-11-18 2022-11-18 건물의 실내에서 소금을 제조하는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51470B1 true KR102551470B1 (ko) 2023-07-05

Family

ID=871594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55663A KR102551470B1 (ko) 2022-11-18 2022-11-18 건물의 실내에서 소금을 제조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1470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27135A (ko) * 1999-09-10 2001-04-06 김남경 천일염 제조방법 및 그 설비
KR20100005160U (ko) * 2008-11-10 2010-05-19 이구희 천일염 생산 염전
KR20110007114A (ko) 2008-04-01 2011-01-21 마이크로소프트 코포레이션 원격 세션에서의 멀티미디어 동작을 관리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20130077724A (ko) * 2011-12-29 2013-07-09 김장빈 해수를 이용한 소금 제조방법
KR20160107867A (ko) * 2015-03-06 2016-09-19 윤현수 해수를 이용한 소금제조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27135A (ko) * 1999-09-10 2001-04-06 김남경 천일염 제조방법 및 그 설비
KR20110007114A (ko) 2008-04-01 2011-01-21 마이크로소프트 코포레이션 원격 세션에서의 멀티미디어 동작을 관리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20100005160U (ko) * 2008-11-10 2010-05-19 이구희 천일염 생산 염전
KR20130077724A (ko) * 2011-12-29 2013-07-09 김장빈 해수를 이용한 소금 제조방법
KR20160107867A (ko) * 2015-03-06 2016-09-19 윤현수 해수를 이용한 소금제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409742C (zh) 无公害鳖生态养殖方法
CN103999813B (zh) 一种室内循环水立体多用途水产品生态养殖装置
US20110148124A1 (en) Device for fixing biomass-based solar heat and carbon dioxide gas, and house equipped with same fixing device
CN103609533B (zh) 水蛭水族箱及立体养殖水蛭的方法
CN105494240A (zh) 一种鳄龟的综合养殖方法
CN103782948A (zh) Aos绿色、有机种植、养殖智能生态循环集成系统及其应用
KR102551470B1 (ko) 건물의 실내에서 소금을 제조하는 방법
CN103563840B (zh) 甲鱼孵化系统
CN104126437A (zh) 花鱼共养植物墙循环生态系统
KR101018422B1 (ko) 하우스형 결정지와 이를 이용한 소금의 제조방법
CN104206361A (zh) 一种立体循环大龄蚯蚓自动分离养殖装置及其应用
CN105724322B (zh) 爬沙虫幼虫和蛹的室内规模化养殖方法
CN106830490A (zh) 一种用于盐藻养殖的硫酸钠型盐湖湖水的处理方法
US4446025A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pre-treating make-up water contaminated with nutrients
CN208016600U (zh) 一种鱼菜共生阳台隔断墙
CN203942859U (zh) 花鱼共养植物墙循环生态系统
CN104488585B (zh) 自供能源现代化立体农业培育系统
CN105941312A (zh) 一种竹鸡温室内控温孵化方法
CN102140861B (zh) 生态园林智能居所
CN103081865B (zh) 集约化养殖鳖种的采光温室大棚
CN102356759A (zh) 三疣梭子蟹立体化池塘养殖方法
CN108243939A (zh) 一种鱼菜共生阳台隔断墙
CN204047653U (zh) 一种立体循环大龄蚯蚓自动分离养殖装置
KR20230035054A (ko) 아쿠아포닉스, 온실 및 버섯 재배가 통합된 자연순환형 태양열 주택, 건물 및 고층 건물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TWI732088B (zh) 都市一口田的種植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