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1466B1 - 지중배전 전력케이블 지지장치 - Google Patents

지중배전 전력케이블 지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1466B1
KR102551466B1 KR1020220064592A KR20220064592A KR102551466B1 KR 102551466 B1 KR102551466 B1 KR 102551466B1 KR 1020220064592 A KR1020220064592 A KR 1020220064592A KR 20220064592 A KR20220064592 A KR 20220064592A KR 102551466 B1 KR102551466 B1 KR 1025514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ed
power line
cable
wall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45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상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선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선이엔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선이엔지
Priority to KR10202200645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146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14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14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1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in cable chambers, e.g. in manhole or in handho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16F15/04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력구의 내측에 포설되는 전력선의 처짐 현상을 방지하고, 전력선이 설치된 지지장치로 외부 충격이 전달되는 경우에도 포설된 전력선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지중배전 전력케이블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특징적인 구성은, 사각형의 판 형상으로, 전력구의 벽체와 대응되는 부위에 볼트가 결합되는 복수개의 고정공이 형성되고, 내측 중심부에는 수직 방향으로 장형의 가이드공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공의 양측부에는 가이드공과 연통되는 복수개의 안착공이 형성된 벽체지지판과, 상면이 개방된 원통형의 형상으로, 상기 가이드공과 대응되는 부위에는 단부에 나사산이 구비된 체결돌기가 돌출 구비되어 상기 나사산에 결합되는 너트를 통하여 상기 벽체지지판의 전면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복수개의 케이블지지구와, 전력구의 벽체와 대응되는 부위에 볼트가 결합되는 복수개의 체결공이 형성된 설치판과, 상기 설치판의 전면에 고정되게 설치되며 내측 중심 부위에는 전력선이 삽입되는 복수개의 연결홈이 형성된 연결몸체로 구성되어 상기 벽체지지판의 양 측부에 마주보게 설치되는 한 쌍의 케이블고정구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공에 체결돌기가 결합 될 시, 전력선을 설치하고자 하는 위치에 따라, 상기 가이드공에 결합 된 체결돌기의 위치를 조절한 후 상기 안착공에 위치시켜 고정시키고, 상기 케이블블고정구는 상기 케이블지지구에 하단이 결합 된 전력선의 설치 위치에 따라, 전력구의 벽체에 위치가 조절되며 설치될 수 있게 구성된다.

Description

지중배전 전력케이블 지지장치{Underground Power Cable Support Device}
본 발명은 지중배전 전력케이블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전력구의 내측에 포설되는 전력선의 처짐 현상을 방지하고, 전력선이 설치된 지지장치로 외부 충격이 전달되는 경우에도 포설된 전력선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지중배전 전력케이블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지중에는 전력이나 통신을 공급하기 위한 전력선이 포설되어 있다.
위와 같은 전력선은, 전류, 통신 선로에 대하여 전력 전송에 사용하는 송전 선로 및 배전 선로를 총칭하여 말하는 것으로, 지상의 구조물을 피하며 안정적으로 설치를 이루기 위하여 대개는 지중에 형성되는 전력구의 내측에 설치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지중에 전력선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형태를 이루는 전력구의 내측에 전력선의 설치를 이루거나, 터널과 같은 형태를 이루는 전력구의 내측으로 전력선을 고정 시킬 수 있는 다양한 기구 등을 이용하여 전력선을 포설하게 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종래에는 문헌(1)에서와 같이, 전력구의 내측에 설치되는 전력선 지지구조 등을 통하여 전력선의 포설이 이루어지도록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문헌(1)과 같은 종래의 전력선 지지구조 등은 전력구의 내측으로 전력선의 포설은 이룰 수 있으나, 포설된 전력선의 위치가 변경되거나, 전력선에 처짐 현상이 발생 되는 경우에는 이에 신속하게 대처하며 사용을 유지하기는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또한, 전력구의 내측에 포설된 전력선의 위치가 변경되는 경우에는 전력선의 위치를 손쉽게 조절하기가 어려워 전력선 전체의 위치를 조절하거나, 전력선을 지지하기 위한 별도의 지지기구 등을 추가로 설치하여야만 전력구의 내측에 포설된 전력선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전력구에 외부 충격이나 진동이 전달되는 경우에는 전력구 내측에 포설된 전력선으로 진동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며 사용을 이루기는 어려워 전력구 내측에 포설된 전력선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며 안정적인 사용을 유지하기는 어려운 문제가 있었던 것이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 등록번호 제10-1027373(2011.03.30)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전력구의 내측에 포설되는 전력선의 위치를 조절하며 편리한 사용을 이룰 수 있도록 한다.
둘째, 전력구의 내측에 포설된 전력선의 위치가 변경되거나, 전력선에 처짐 현상이 발생 되는 경우에도 전력선의 위치를 조절하며 안정적인 사용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셋째, 케이블지지구와 케이블고정구의 구성을 통하여, 전력구의 형상이나 위치 변화에도 유연하게 대응하며 전력선의 설치를 이룰 수 있고, 전력선의 위치가 변경되는 경우에는 신속하게 대응하며 안정적인 사용을 이룰 수 있도록 한다.
넷째, 케이블지지구에 포설된 전력선으로 충격이나 진동이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함으로써, 전력선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며 안정적인 사용을 이룰 수 있도록 한다.
다섯째, 케이블고정구와 전력선의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구성함으로써, 전력선의 포설과정은 물론이고, 전력선의 위치를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불필요한 작업시간과 작업비용이 증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사각형의 판 형상으로, 전력구의 벽체와 대응되는 부위에 볼트가 결합되는 복수개의 고정공이 형성되고, 내측 중심부에는 수직 방향으로 장형의 가이드공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공의 양측부에는 가이드공과 연통되는 복수개의 안착공이 형성된 벽체지지판과, 상면이 개방된 원통형의 형상으로, 상기 가이드공과 대응되는 부위에는 단부에 나사산이 구비된 체결돌기가 돌출 구비되어 상기 나사산에 결합되는 너트를 통하여 상기 벽체지지판의 전면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복수개의 케이블지지구와, 전력구의 벽체와 대응되는 부위에 볼트가 결합되는 복수개의 체결공이 형성된 설치판과, 상기 설치판의 전면에 고정되게 설치되며 내측 중심 부위에는 전력선이 삽입되는 복수개의 연결홈이 형성된 연결몸체로 구성되어 상기 벽체지지판의 양 측부에 마주보게 설치되는 한 쌍의 케이블고정구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공에 체결돌기가 결합 될 시, 전력선을 설치하고자 하는 위치에 따라, 상기 가이드공에 결합 된 체결돌기의 위치를 조절한 후 상기 안착공에 위치시켜 고정시키고, 상기 케이블블고정구는 상기 케이블지지구에 하단이 결합 된 전력선의 설치 위치에 따라, 전력구의 벽체에 위치가 조절되며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벽체지지판에는 복수개의 고정고리가 더 구비되고, 상기 설치판에는 복수개의 연결고리가 더 구비되며, 상기 고정고리와 연결고리는 중심 부위에 스프링이 연결된 제1탄성줄로 연결되고, 상기 케이블지지구에는 지지고리가 더 구비되며, 상기 지지고리는 중심 부위에 스프링이 연결된 제2탄성줄을 통하여 상기 연결고리와 연결되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몸체는 상기 설치판의 전면에 고정되게 설치되며, 전면에는 상기 연결홈을 형성하는 복수개의 안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홈과 인접한 위치에는 복수개의 결합공이 형성된 제1연결몸체와, 상기 제1연결몸체의 전면을 감싸도록 결합되며, 상기 안착홈과 대응되는 부위에는 복수개의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공과 대응되는 부위에는 볼트가 결합되는 복수개의 삽입공이 형성된 제2연결몸체로 구성되며, 상기 제2연결몸체의 전면에는 외부수신기와 연결되어 제2연결몸체의 위치 이동을 감지하는 복수개의 위치감지센서가 더 구비되어 구성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전력구의 내측에 포설되는 전력선의 위치를 조절하며 편리한 사용을 이룰 수 있다.
둘째, 전력구의 내측에 포설된 전력선의 위치가 변경되거나, 전력선에 처짐 현상이 발생 되는 경우에도 전력선의 위치를 조절하며 안정적인 사용을 유지할 수 있다.
셋째, 케이블지지구와 케이블고정구의 구성을 통하여, 전력구의 형상이나 위치 변화에도 유연하게 대응하며 전력선의 설치를 이룰 수 있고, 전력선의 위치가 변경되는 경우에는 신속하게 대응하며 안정적인 사용을 이룰 수 있다.
넷째, 케이블지지구에 포설된 전력선으로 충격이나 진동이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함으로써, 전력선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며 안정적인 사용을 이룰 수 있다.
다섯째, 케이블고정구와 전력선의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구성함으로써, 전력선의 포설과정은 물론이고, 전력선의 위치를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불필요한 작업시간과 작업비용이 증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지중배전 전력케이블 지지장치가 결합 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인 지중배전 전력케이블 지지장치가 결합 되는 상태를 도시한 다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인 지중배전 전력케이블 지지장치가 결합 된 상태를 도시한 다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인 지중배전 전력케이블 지지장치에 전력선이 결합 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고정구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하는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될 것이 아니라,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한 것일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사각형의 판 형상으로, 전력구의 벽체(1)와 대응되는 부위에 볼트(P)가 결합되는 복수개의 고정공(11)이 형성되고, 내측 중심부에는 수직 방향으로 장형의 가이드공(12)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공(12)의 양측부에는 가이드공(12)과 연통되는 복수개의 안착공(13)이 형성된 벽체지지판(10)과, 상면이 개방된 원통형의 형상으로, 상기 가이드공(12)과 대응되는 부위에는 단부에 나사산(21a)이 구비된 체결돌기(21)가 돌출 구비되어 상기 나사산(21a)에 결합되는 너트(N)를 통하여 상기 벽체지지판(10)의 전면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복수개의 케이블지지구(20)와, 전력구의 벽체(1)와 대응되는 부위에 볼트(P)가 결합되는 복수개의 체결공(31a)이 형성된 설치판(31)과, 상기 설치판(31)의 전면에 고정되게 설치되며 내측 중심 부위에는 전력선(2)이 삽입되는 복수개의 연결홈(32-1)이 형성된 연결몸체(32)로 구성되어 상기 벽체지지판(10)의 양 측부에 마주보게 설치되는 한 쌍의 케이블고정구(30)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공(12)에 체결돌기(21)가 결합 될 시, 전력선(2)을 설치하고자 하는 위치에 따라, 상기 가이드공(12)에 결합 된 체결돌기(21)의 위치를 조절한 후 상기 안착공(13)에 위치시켜 고정시키고, 상기 케이블고정구(30)는 상기 케이블지지구(20)에 하단이 결합 된 전력선(2)의 설치 위치에 따라, 전력구의 벽체(1)에 위치가 조절되며 설치되게 구성된다.
상기 벽체지지판(10)은 도 1 내지 도 4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사각형의 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며, 전력구의 벽체(1) 전면에 고정되게 설치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벽체지지판(10)은 전면에 형성된 복수개의 고정공(11)으로 체결되는 볼트(P)를 통하여, 벽체(1)의 전면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것이며, 내측 중심부에는 장형의 가이드공(12)이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공(12)의 양측부에는 안착공(13)이 상기 가이드공(12)과 연결될 수 있게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 가이드공(12)과 안착공(13)은 도 1 및 도 2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하기에서 상세히 설명할 케이블지지구(20)가 벽체지지판(10)의 전면에 위치가 조절되게 설치된 후, 견고한 설치 위치를 유지할 수 있게 형성되는 것으로, 사용자가 케이블지지구(20)의 체결돌기(21)를 가이드공(12)에 삽입하여 수직 방향으로 위치를 조절한 후, 상기 가이드공(12)과 연통되게 형성된 안착공(13)으로 체결돌기(21)를 이동시켜 케이블지지구(20)의 설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벽체지지판(10)은 전력구의 벽체(1)에 견고하게 설치되어 외부 충격이나 진동에도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견고한 재질의 금속재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케이블지지구(20)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벽체지지판(10)의 전면에 위치가 조절되며 설치되는 것으로, 도 1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상면이 개방된 원통형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케이블지지구(20)의 후면에는 상기 가이드공(12)에 삽입되며 단부에 나사산(21a)이 구비된 체결돌기(21)가 돌출 구비되어 구성됨으로써, 상기 가이드공(12)에 체결돌기(21)가 삽입되어 안착공(13)으로 위치가 조절되게 결합을 이룬 후에는 상기 나사산(21a)에 결합되는 너트(N)를 통하여 도 3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벽체지지판(10)의 전면에 고정된 위치를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위와 같은 구성을 통하여,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케이블지지구(20)로 전력선(2)이 포설되는 경우에는 케이블지지구(20)의 위치를 조절하여 전력선(2)의 포설 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구성되는 것이며, 전력구의 내측에 포설된 전력선(2)의 위치를 변경하거나, 전력선(2)에 처짐 현상이 발생되는 경우에는 벽체지지판(10)의 전면에 결합되는 케이블지지구(20)의 위치를 조절하여 전력선(2)의 처짐 현상을 개선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케이블고정구(30)는 도 1 내지 도 4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벽체지지판(10)의 양측부에 마주보게 설치되어 케이블지지구(20)를 통하여 포설된 전력선(2)이 케이블고정구(30)를 통하여 포설될 수 있게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케이블고정구(30)는 전력구의 벽체(1)와 대응되는 부위에 복수개의 체결공(31a)이 형성된 설치판(31)과, 상기 설치판(31)의 전면에 고정되게 설치되며 내측 중심 부위에는 복수개의 연결홈(32-1)이 형성된 연결몸체(32)로 구성된다.
상기 설치판(31)은 상기 체결공(31a)에 결합되는 볼트(P)를 통하여, 전력구의 벽체(1) 전면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것이며, 상기 연결몸체(32)는 상기 설치판(31)의 전면에 고정되게 위치되어 상기 케이블지지구(20)를 통하여 포설된 전력선(2)이 도 4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연결홈(32-1)에 삽입되어 전력구의 내측에 포설될 수 있게 구성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케이블고정구(30)를 이루는 연결몸체(32)는 도시한 도 5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설치판(31)의 전면에 고정되게 설치되며, 전면에는 상기 연결홈(32-1)을 형성하는 복수개의 안착홈(32a-1)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홈(32a-1)과 인접한 위치에는 복수개의 결합공(32a-2)이 형성된 제1연결몸체(32a)와, 상기 제1연결몸체(32a)의 전면을 감싸도록 결합되며, 상기 안착홈(32a-1)과 대응되는 부위에는 복수개의 결합홈(32b-1)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공(32a-2)과 대응되는 부위에는 볼트(P)가 결합되는 복수개의 삽입공(32b-2)이 형성된 제2연결몸체(32b)로 구성되며, 상기 제2연결몸체(32b)의 전면에는 외부수신기(50)와 연결되어 제2연결몸체(32b)의 위치 이동을 감지하는 복수개의 위치감지센서(32b-3)가 더 구비되어 구성된다.
상기 제1연결몸체(32a)는 상기 설치판(31)의 전면에 고정되게 설치되어 안착홈(32a-1)으로 전력선(2)의 일측이 밀착될 수 있게 구성되는 것이며, 상기 제2연결몸체(32b)는 상기 안착홈(32a-1)에 일측이 밀착된 전력선(2)의 타측을 감싸도록 상기 제1연결몸체(32a)에 결합되어 상기 안착홈(32a-1)과 결합홈(32b-1)의 사이로 전력선(2)이 포설될 수 있게 구성되는 것이다.
이는 즉, 상기 안착홈(32a-1)과 결합홈(32b-1)의 구성을 통하여, 전력선(2)이 포설되는 연결홈(32-1)을 형성함으로써, 도 4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케이블지지구(20)를 통하여 포설된 전력선(2)이 연결홈(32-1)에 포설될 수 있게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1연결몸체(32a)와 제2연결몸체(32b)가 결합을 이룬 후에는 상기 제2연결몸체(32b)의 삽입공(32b-2)으로 체결되는 볼트(P)가 제1연결몸체(32a)의 결합공(32a-2)에 결합을 이루도록 구성하여, 제1연결몸체(32a)와 제2연결몸체(32b)의 결합을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위치감지센서(32b-3)는 전력선(2)이 포설된 연결몸체(32)로 외부 충격이나 진동이 전달되어 제1연결몸체(32a)와 제2연결몸체(32b)의 결합이 분리되거나, 제2연결몸체(32b)의 결합 위치가 변경되는 것을 감지하여 외부에 구비된 외부수신기(50)로 제2연결몸체(32b)의 위치 변화 신호를 송신하게 구성되는 것으로서, 이러한 구성을 통하여, 전력구의 내측에 포설된 전력선(2)의 위치 변화를 사용자가 지속적으로 모니터링 하며 사용을 이룰 수 있게 구성되는 것이다.
위와 같은 구성을 통하여, 상기 벽체지지판(10)의 가이드공(12)에 케이블지지구(20)의 체결돌기(21)가 결합을 이루는 경우에는 전력선(2)을 설치하고자 하는 위치에 따라, 상기 가이드공(12)에 결합을 이룬 체결돌기(21)의 위치를 조절한 후 상기 안착공(13)에 위치시켜 고정 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이며, 상기 케이블고정구(30)를 설치하는 경우에도 상기 케이블지지구(20)에 하단이 결합된 전력선(2)의 설치 위치에 따라, 전력구의 벽체(1)에 설치되는 케이블고정구(30)의 위치를 조절하며 설치함으로써, 전력구의 형상이나 위치 변화에도 유연하게 대응하며 전력선(2)의 포설을 용이하게 이룰 수 있는 것이다.
더하여, 상기 벽체지지판(10)에는 복수개의 고정고리(14)가 더 구비되어 구성되고, 상기 설치판(31)에는 복수개의 연결고리(31b)가 더 구비되어 구성되며, 상기 고정고리(14)와 연결고리(31b)는 중심 부위에 스프링(41a)이 연결된 제1탄성줄(41)로 연결되고, 상기 케이블지지구(20)에는 지지고리(22)가 더 구비되며, 상기 지지고리(22)는 중심 부위에 스프링(42a)이 연결된 제2탄성줄(42)을 통하여 상기 연결고리(31b)와 연결되게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은, 도 3 및 도 4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전력구의 내측에 벽체지지판(10), 케이블지지구(20), 케이블고정구(30)를 설치하는 경우, 상기 제1탄성줄(41)을 통하여, 벽체지지판(10)과 케이블고정구(30)를 연결하고, 제2탄성줄(42)을 통하여, 벽체지지판(10)과 케이블지지구(20)를 연결함으로써, 케이블지지구(20)와 케이블고정구(30)에 포설된 전력선(2)으로 외부 충격이나 진동이 전달되는 경우에도 전력선(2)이 흔들려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고, 벽체지지판(10), 케이블지지구(20), 케이블고정구(30)의 설치 위치가 변경되는 것을 방지하며 안정적인 사용을 이룰 수 있게 구성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 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요지 또는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 벽체 10: 벽체지지판
11: 고정공 12: 가이드공
13: 안착공 14: 고정고리
20: 케이블지지구 21: 체결돌기
21a: 나사산 22: 지지고리
30: 케이블고정구 31: 설치판
31a: 체결공 31b: 연결고리
32: 연결몸체 32-1: 연결홈
32a: 제1연결몸체 32a-1: 안착홈
32a-2: 결합공 32b: 제2연결몸체
32b-1: 결합홈 32b-2: 삽입공
32b-3: 위치감지센서 41: 제1탄성줄
41a,42a: 스프링 42: 제2탄성줄
50: 외부수신기 P: 볼트

Claims (3)

  1. 사각형의 판 형상으로, 전력구의 벽체(1)와 대응되는 부위에 볼트(P)가 결합되는 복수개의 고정공(11)이 형성되고, 내측 중심부에는 수직 방향으로 장형의 가이드공(12)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공(12)의 양측부에는 가이드공(12)과 연통되는 복수개의 안착공(13)이 형성된 벽체지지판(10)과,
    상면이 개방된 원통형의 형상으로, 상기 가이드공(12)과 대응되는 부위에는 단부에 나사산(21a)이 구비된 체결돌기(21)가 돌출 구비되어 상기 나사산(21a)에 결합되는 너트(N)를 통하여 상기 벽체지지판(10)의 전면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복수개의 케이블지지구(20)와,
    전력구의 벽체(1)와 대응되는 부위에 볼트(P)가 결합되는 복수개의 체결공(31a)이 형성된 설치판(31)과, 상기 설치판(31)의 전면에 고정되게 설치되며 내측 중심 부위에는 전력선(2)이 삽입되는 복수개의 연결홈(32-1)이 형성된 연결몸체(32)로 구성되어 상기 벽체지지판(10)의 양 측부에 마주보게 설치되는 한 쌍의 케이블고정구(30)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공(12)에 체결돌기(21)가 결합 될 시, 전력선(2)을 설치하고자 하는 위치에 따라, 상기 가이드공(12)에 결합 된 체결돌기(21)의 위치를 조절한 후 상기 안착공(13)에 위치시켜 고정시키고,
    상기 케이블고정구(30)는 상기 케이블지지구(20)에 하단이 결합 된 전력선(2)의 설치 위치에 따라, 전력구의 벽체(1)에 위치가 조절되며 설치되되,
    상기 벽체지지판(10)에는 복수개의 고정고리(14)가 더 구비되고,
    상기 설치판(31)에는 복수개의 연결고리(31b)가 더 구비되며,
    상기 고정고리(14)와 연결고리(31b)는 중심 부위에 스프링(41a)이 연결된 제1탄성줄(41)로 연결되고,
    상기 케이블지지구(20)에는 지지고리(22)가 더 구비되며,
    상기 지지고리(22)는 중심 부위에 스프링(42a)이 연결된 제2탄성줄(42)을 통하여 상기 연결고리(31b)와 연결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배전 전력케이블 지지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몸체(32)는
    상기 설치판(31)의 전면에 고정되게 설치되며, 전면에는 상기 연결홈(32-1)을 형성하는 복수개의 안착홈(32a-1)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홈(32a-1)과 인접한 위치에는 복수개의 결합공(32a-2)이 형성된 제1연결몸체(32a)와,
    상기 제1연결몸체(32a)의 전면을 감싸도록 결합되며, 상기 안착홈(32a-1)과 대응되는 부위에는 복수개의 결합홈(32b-1)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공(32a-2)과 대응되는 부위에는 볼트(P)가 결합되는 복수개의 삽입공(32b-2)이 형성된 제2연결몸체(32b)로 구성되며,
    상기 제2연결몸체(32b)의 전면에는 외부수신기(50)와 연결되어 제2연결몸체(32b)의 위치 이동을 감지하는 복수개의 위치감지센서(32b-3)가 더 구비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배전 전력케이블 지지장치.







KR1020220064592A 2022-05-26 2022-05-26 지중배전 전력케이블 지지장치 KR1025514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4592A KR102551466B1 (ko) 2022-05-26 2022-05-26 지중배전 전력케이블 지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4592A KR102551466B1 (ko) 2022-05-26 2022-05-26 지중배전 전력케이블 지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51466B1 true KR102551466B1 (ko) 2023-07-05

Family

ID=871593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4592A KR102551466B1 (ko) 2022-05-26 2022-05-26 지중배전 전력케이블 지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146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7373B1 (ko) 2011-01-25 2011-04-11 유호근 지중배전용 케이블 지지구조
KR101767624B1 (ko) * 2017-02-01 2017-08-30 (주) 신화기술단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한 전력구용 송배전 케이블 지지장치
KR102083194B1 (ko) * 2019-09-11 2020-03-02 (주)한길엔지니어링 건축용 지중선로 전력케이블 지지장치
KR102085574B1 (ko) * 2019-08-21 2020-03-06 주식회사 건일이엔지 건축용 지중선로 케이블 지지장치
KR102256158B1 (ko) * 2020-12-28 2021-05-25 한인택 지중배전용 전력케이블 지지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7373B1 (ko) 2011-01-25 2011-04-11 유호근 지중배전용 케이블 지지구조
KR101767624B1 (ko) * 2017-02-01 2017-08-30 (주) 신화기술단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한 전력구용 송배전 케이블 지지장치
KR102085574B1 (ko) * 2019-08-21 2020-03-06 주식회사 건일이엔지 건축용 지중선로 케이블 지지장치
KR102083194B1 (ko) * 2019-09-11 2020-03-02 (주)한길엔지니어링 건축용 지중선로 전력케이블 지지장치
KR102256158B1 (ko) * 2020-12-28 2021-05-25 한인택 지중배전용 전력케이블 지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512743A (en) Adjustable lighting fixture hanger with wiring protection means
KR101771074B1 (ko) 지중 매설형 배전선 연결 장치
KR101994400B1 (ko) 지중배전용 케이블 지지장치
KR101777403B1 (ko) 지중배전라인의 안정적 배치를 위한 연결대
KR102218220B1 (ko) 배전선로의 전력 감시 시스템
KR102221239B1 (ko) 건축용 핸드레일 고정장치
KR102101822B1 (ko) 공동주택용 지중배전 케이블 완충장치
KR102184897B1 (ko) 건축용 난간의 핸드레일 고정장치
KR102085574B1 (ko) 건축용 지중선로 케이블 지지장치
KR102256158B1 (ko) 지중배전용 전력케이블 지지장치
KR102234816B1 (ko) 건축용 케이블 트레이 고정장치
US20060186304A1 (en) Fastening assembly for wall mount applications
KR100728793B1 (ko) 위치 및 높이 조정이 가능한 천정패널 고정행거
KR102256155B1 (ko) 건축용 지중배전 전력케이블 지지장치
KR20220020186A (ko) 무타공식 벽걸이 tv 거치장치
KR102083194B1 (ko) 건축용 지중선로 전력케이블 지지장치
KR102551466B1 (ko) 지중배전 전력케이블 지지장치
KR102035037B1 (ko) 지중배전용 케이블 지지장치
KR102633259B1 (ko) 안테나 설치 구조물
KR102369460B1 (ko) 건축용 발코니 난간의 핸드레일 고정장치
KR102551468B1 (ko) 지중배전 케이블 완충장치
KR101964305B1 (ko) 특고압 송전선로의 고정애자
KR102500173B1 (ko) 공동주택 건축물용 난간의 핸드레일 고정장치
CN106402497B (zh) 一种自动均分的转角电缆支架
KR102180546B1 (ko) 건축용 통신케이블 트레이 설치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