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1397B1 - 절삭인서트 및 이를 포함하는 드릴공구 - Google Patents

절삭인서트 및 이를 포함하는 드릴공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1397B1
KR102551397B1 KR1020220182711A KR20220182711A KR102551397B1 KR 102551397 B1 KR102551397 B1 KR 102551397B1 KR 1020220182711 A KR1020220182711 A KR 1020220182711A KR 20220182711 A KR20220182711 A KR 20220182711A KR 102551397 B1 KR102551397 B1 KR 1025513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ing
cutting edge
angle
corner
e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827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함태선
박근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와이지-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와이지-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와이지-원
Priority to KR10202201827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139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13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13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51/00Tools for drilling machines
    • B23B51/0006Drills with cutting inserts
    • B23B51/0007Drills with cutting inserts with exchangeable cutting insert
    • B23B51/0008Drills with cutting inserts with exchangeable cutting insert with indexable or reversible cutting inse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200/00Details of cutting inserts
    • B23B2200/04Overall shape
    • B23B2200/0471Squa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200/00Details of cutting inserts
    • B23B2200/36Other features of cutting inserts not covered by B23B2200/04 - B23B2200/32
    • B23B2200/3627Indexing

Abstract

절삭인서트는 하면, 상면, 측면, 관통홀 및 절삭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절삭부는 일단에 배치되는 제1코너날과 타단에 배치되는 제2코너날을 포함하는 코너날, 상기 제1코너날에서 상기 제2코너날을 향하여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1절삭날, 상기 제1절삭날에서 상기 제2코너날을 향하여 연장되며, 상기 관통홀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제1볼록날, 상기 제1볼록날에서 상기 제2코너날을 향하여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2절삭날, 상기 제2절삭날에서 상기 제2코너날을 향하여 연장되며, 상기 관통홀과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오목날, 상기 오목날에서 상기 제2코너날을 향하여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3절삭날, 상기 제3절삭날에서 상기 제2코너날을 향하여 연장되며, 상기 관통홀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제2볼록날 및 상기 제2볼록날에서 상기 제2코너날까지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4절삭날을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절삭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절삭부하를 효율적으로 분배할 수 있다.

Description

절삭인서트 및 이를 포함하는 드릴공구{Cutting inserts and drill tools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절삭인서트 및 이를 포함하는 드릴공구에 관한 것으로, 공구의 진동 및 파손이 방지되어 안정적인 가공이 가능한 절삭인서트 및 이를 포함하는 절삭공구에 관한 것이다.
인덱서블 드릴은, 드릴 본체의 선단에 인덱서블 절삭 인서트를 장착하여 사용하는 인선교환식 드릴로서, 바디와 절삭날이 일체형인 솔리드 드릴보다 경제성이 우수하여 금속 등의 홀 가공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초기의 인덱서블 드릴에는 정사각형 형상의 절삭 인서트가 사용되었는데, 이러한 직선형의 절인은 절삭 가공시에 가해지는 절삭 부하를 균형 있게 처리하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었으며, 피삭재가 절삭되며 발생하는 절삭 칩의 처리, 가공면의 표면 품질 등 개선되어야 할 여러 과제를 지니고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진 결과, 분할된 절인을 가지는 사각형의 절삭 인서트가 보편적으로 적용되고 있다. 해당 절삭 인서트는, 한변의 절인을 복수의 부분날로 분할하고 각 부분날을 볼록곡선 또는 오목곡선으로 연결하고 있으며, 이러한 절인부를 각 변마다 동일하게 갖추고 있다.
종래의 드릴본체 및 절삭인서트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종래 드릴본체에 절삭인서트가 결합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종래 절삭인서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종래의 드릴공구는 드릴본체(D')와 절삭인서트(I')를 포함할 수 있다.
드릴본체(D')는 단부에 절삭인서트(I')가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절삭인서트(I')는 복수 개로 구비되어 드릴본체(D')의 내측 및 외측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절삭인서트(I')는 절삭을 수행하는 절삭부(1')를 포함할 수 있고, 절삭부(1)는 제1코너날(111'), 제1절삭날(12'), 제1볼록날(13'), 제2절삭날(14'), 오목날(15'), 제3절삭날(16') 및 제2코너날(113')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절삭부(1')는 한변의 절인이 복수의 부분날로 분할되고 각 부분날이 볼록곡선 또는 오목곡선으로 연결되고 있다.
제2절삭날(14')의 중심선(C1')에 대한 각도(θ2')는 제3절삭날(16')의 중심선(C1')에 대한 각도(θ3')와 동일하다. 구체적으로, 제2절삭날(14')의 중심선(C1')에 대한 각도(θ2') 및 제3절삭날(16')의 중심선(C1')에 대한 각도(θ3')는 5도 내지 7도이고, 제1절삭날(12')의 중심선(L)에 대한 각도(θ1')는 14도 내지 16도이다.
종래의 드릴본체(D')와 절삭인서트(I')는 복수의 부분날로 분할되어 절삭 품질문제를 어느정도 해결하였으나 최상의 절삭품질을 얻을 수 없으며, 절삭 부하에 대한 최적의 밸런스를 얻지 못하여 공구의 진동 및 파손이 발생되는 가능성이 존재하고 있다.
이에 따라, 복수의 부분날을 최적으로 분할하며, 절삭부하에 대해 최적의 밸런스를 얻을 수 있는 절삭인서트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최적의 개수로 분할되도록 설계된 복수의 부분날(절삭날)이 구비된 절삭인서트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분할된 절삭날이 이루는 각도가 최적 설계되어 절삭 부하에 대해 최적의 밸런스를 구현할 수 있는 절삭인서트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돌출부와 여유면을 포함하는 측면이 구비되어 드릴본체에 견고하게 결합되는 절삭인서트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상술한 절삭인서트가 효과적이고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는 포켓부가 구비되는 드릴본체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4개의 부분날(절삭날)이 2개의 볼록곡선과 1개의 오목곡선으로 연결되는 절삭인서트를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면, 상기 하면과 이격 구비되는 상면, 상기 상면과 상기 하면을 연결하는 측면, 상기 상면의 중앙에 관통 형성되는 관통홀 및 상기 상면의 외주를 따라 구비되며 피삭재를 절삭하는 절삭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절삭부는 일단에 배치되는 제1코너날과 타단에 배치되는 제2코너날을 포함하는 코너날, 상기 제1코너날에서 상기 제2코너날을 향하여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1절삭날, 상기 제1절삭날에서 상기 제2코너날을 향하여 연장되며, 상기 관통홀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제1볼록날, 상기 제1볼록날에서 상기 제2코너날을 향하여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2절삭날, 상기 제2절삭날에서 상기 제2코너날을 향하여 연장되며, 상기 관통홀과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오목날, 상기 오목날에서 상기 제2코너날을 향하여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3절삭날, 상기 제3절삭날에서 상기 제2코너날을 향하여 연장되며, 상기 관통홀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제2볼록날 및 상기 제2볼록날에서 상기 제2코너날까지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4절삭날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절삭날은 상기 제1코너날에서 상기 관통홀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며, 상기 제2절삭날은 상기 제1절삭날과 반대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고, 상기 제3절삭날과 상기 제4절삭날은 상기 제1절삭날과 동일한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절삭날이 상기 관통홀의 중심을 통과하는 중심선(C1)과 이루는 각도(θ1)는 상기 제3절삭날이 상기 중심선(C1)과 이루는 각도(θ3)와 동일하거나 크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절삭날이 상기 중심선(C1)과 이루는 각도(θ3)는 상기 제4절삭날이 상기 중심선(C1)과 이루는 각도(θ4)보다 크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절삭날이 상기 중심선(C1)과 이루는 각도(θ1)는 5도 내지 10도로 구비되며, 상기 제3절삭날이 상기 중심선(C1)과 이루는 각도(θ3)는 4도 내지 7도로 구비되고, 상기 제4절삭날이 상기 중심선(C1)과 이루는 각도(θ4)는 0도 내지 3도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절삭날이 상기 중심선(C1)과 이루는 각도(θ1)는 6도 내지 9도로 구비되며, 상기 제3절삭날이 상기 중심선(C1)과 이루는 각도(θ3)는 5도 내지 6도로 구비되고, 상기 제4절삭날이 상기 중심선(C1)과 이루는 각도(θ4)는 1도 내지 2도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절삭날이 상기 중심선(C1)과 이루는 각도(θ1)와 상기 제2절삭날이 상기 중심선(C1)과 이루는 각도(θ2)의 차이는 3도 이내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절삭날이 상기 중심선(C1)과 이루는 각도(θ2)는 5도 내지 10도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절삭날이 상기 중심선(C1)과 이루는 각도(θ2)는 6도 내지 9도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절삭날이 상기 중심선(C1)과 이루는 각도(θ1)는 상기 제2절삭날이 상기 중심선(C1)과 이루는 각도(θ2) 보다 크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절삭날이 상기 중심선(C1)과 이루는 각도(θ1)는 상기 제2절삭날이 상기 중심선(C1)과 이루는 각도(θ2)보다 작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볼록날의 연장길이는 상기 제1볼록날의 연장길이보다 짧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측면은 상기 하면에서 상기 절삭부를 향하여 연장되는 여유면 및 상기 여유면에서 상기 상면까지 연장되며, 상기 여유면보다 외측으로 더 돌출되는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면에서 상기 여유면까지의 높이(H1)는 상기 하면에서 상기 절삭부까지의 높이(H2)의 0.6 내지 0.8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면에서 상기 여유면까지의 높이(H1)는 상기 하면에서 상기 절삭부까지의 높이(H2)의 0.65 내지 0.75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여유면은 상기 제1코너날을 향하여 연장되는 제1코너여유면과 상기 제2코너날을 향하여 연장되는 제2코너여유면을 포함하는 코너여유면, 상기 제1코너여유면과 연결되며 상기 제1절삭날, 상기 제1볼록날, 상기 제2절삭날 및 상기 오목날을 향하여 연장되는 제1여유면 및 상기 제2코너여유면과 연결되며 상기 오목날, 상기 제3절삭날, 상기 제2볼록날 및 상기 제4절삭날을 향하여 연장되는 제2여유면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여유면과 상기 제2여유면이 이루는 각도(α)는 둔각을 이루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여유면과 상기 제2여유면이 이루는 각도(α)는 150도 이상 180도 미만의 범위 내에서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상술한 절삭인서트가 결합된 드릴본체를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적어도 일부가 나선형으로 연장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의 단부에 구비되며 상기 절삭인서트가 결합되는 포켓부를 포함하며, 상기 포켓부는 상기 하면이 접하는 바닥면 및 상기 바닥면과 연결되며, 상기 측면이 접하는 벽면을 포함하며, 상기 벽면은 상기 바닥면과 연결되는 제1벽부, 상기 제1벽부에서 상기 바닥면과 멀어지며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2벽부 및 상기 제2벽부에서 내측으로 함몰되어 연장되는 제3벽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벽부는 상기 여유면이 접촉되어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절삭부는 제1절삭부, 상기 제1절삭부와 연결되는 제2절삭부, 상기 제2절삭부와 연결되는 제3절삭부 및 상기 제3절삭부 및 제1절삭부와 연결되는 제4절삭부를 포함하며, 상기 벽면은 상기 제1절삭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는 제1벽면 및 상기 제2절삭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는 제2벽면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벽면에 구비되는 제2벽부와 상기 제2벽면에 구비되는 제2벽부가 이루는 각도(β)는 예각을 이루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벽면에 구비되는 제2벽부와 상기 제2벽면에 구비되는 제2벽부가 이루는 각도(β)는 70도 내지 90도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벽면에 구비되는 제2벽부와 상기 제2벽면에 구비되는 제2벽부가 이루는 각도(β)는 75도 내지 85도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최적의 개수로 분할되도록 설계된 복수의 부분날(절삭날)이 구비된 절삭인서트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분할된 절삭날이 이루는 각도가 최적 설계되어 절삭 부하에 대해 최적의 밸런스를 구현할 수 있는 절삭인서트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돌출부와 여유면을 포함하는 측면이 구비되어 드릴본체에 견고하게 결합되는 절삭인서트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상술한 절삭인서트가 효과적이고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는 포켓부가 구비되는 드릴본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드릴본체에 절삭인서트가 결합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종래 절삭인서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릴본체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삭인서트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삭인서트의 상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삭인서트의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삭인서트의 하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릴본체의 포켓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된 제2벽부가 이루는 각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측 절삭인서트와 외측 절삭인서트의 회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종래의 절삭인서트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삭인서트의 마모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에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일 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A 또는 B'는, 'A', 'B', 또는 'A와 B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릴본체의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릴공구는 드릴본체(D)와 절삭인서트(I)를 포함할 수 있다.
드릴본체(D)는 일단이 구동장치에 결합되며, 타단에 절삭인서트(I)가 결합될 수 있다. 즉, 드릴본체(D)는 구동장치의 구동에 의해 회전할 수 있으며, 드릴본체(D)의 회전에 의해 드릴본체(D)의 타단에 결합된 절삭인서트(I)가 피삭재를 가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드릴본체(D)는 본체부(8)와 포켓부(9)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부(8)는 드릴본체(D)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으며, 구동장치에 결합되어 동력을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드릴본체(D)는 구동장치에 결합되는 일단부는 결합이 용이하도록 원통형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포켓부(9)가 형성되는 타단부는 나선형으로 연장될 수 있다. 즉, 드릴본체(D)는 용이하기 피삭재를 보링, 드릴링 또는 절삭을 하기 위해 적어도 일부가 나선형으로 연장될 수 있다.
포켓부(9)는 본체부(8)의 단부에 구비되며, 절삭인서트(I)가 결합될 수 있다. 본체부(8)의 단부는 상술한 바와 같이, 본체부(8)의 타단부일 수 있다. 포켓부(9)의 자세한 사항은 후술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삭인서트의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삭인서트(I)는 하면(7), 상면(5), 측면(3), 관통홀(A) 및 절삭부(1)를 포함할 수 있다.
하면(7)은 포켓부(9)에 안착되어 드릴본체(D)에 결합될 수 있다. 하면(7)은 도 4를 기준으로 하측에 위치되는 면으로, 보는 각도에 따라 상측에 위치될 수도 있다.
상면(5)은 하면(7)과 이격 구비될 수 있다. 즉, 상면(5)은 하면(7)과 나란하게 구비될 수 있으며, 도 4를 기준으로 상측에 위치되는 면으로, 보는 각도에 따라 하측에 위치될 수도 있다. 또한, 상면(5)과 하면(7)은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되며, 단면적은 상면(5)이 하면(7)보다 더 크게 구비될 수 있다.
관통홀(A)은 상면(5)의 중앙에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즉, 관통홀(A)은 상면(5)의 중앙에서 하면(7)의 중앙까지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별도의 체결부재가 관통홀(A)을 통과하여 포켓부(9)에 결합되어 절삭인서트(I)가 드릴본체(D)에 고정될 수 있다.
절삭부(1)는 상면(5)의 외주를 따라 구비되며, 피삭재를 절삭할 수 있다. 즉, 드릴본체(D)의 회전에 의해 절삭부(1)가 피삭재와 직접 접촉하여 피삭재를 보링, 드릴링 또는 절삭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삭인서트의 상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삭부(1)는 코너날(11), 제1절삭날(12), 제1볼록날(13), 제2절삭날(14), 오목날(15), 제3절삭날(16), 제2볼록날(17) 및 제4절삭날(18)을 포함할 수 있다.
코너날(11)은 절삭부(1)의 최외곽에 배치될 수 있으며, 일단에 배치되는 제1코너날(111)과 타단에 배치되는 제2코너날(113)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코너날(11)은 절삭부(1)가 복수 개 구비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절삭부(1)를 연결할 수 있다.
제1절삭날(12)은 제1코너날(111)에서 제2코너날(113)을 향하여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즉, 제1절삭날(12)은 소정의 경사를 가지도록 연장되어 피삭재에 직접 접촉하여 피삭재를 가공할 수 있다. 또한, 제1절삭날(12)이 연장되는 방향은 제1방향(E1)일 수 있다.
제1볼록날(13)은 제1절삭날(12)에서 제2코너날(113)을 향하여 연장되며, 관통홀(A)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볼록날(13)은 제1절삭날(12)에서 소정길이 제1방향(E1)으로 연장된 후 제1방향(E1)과 반대방향인 제2방향(E2)으로 연장되어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1볼록날(13)은 한변의 절인을 복수의 부분날(절삭날)로 분할하는 구성으로 피삭재가 절삭되며 발생하는 절삭 칩의 처리를 용이하게 해주며, 가공면의 품질 등을 개선시킬 수 있다.
제2절삭날(14)은 제1볼록날(13)에서 제2코너날(113)을 향하여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즉, 제2절삭날(14)은 소정의 경사를 가지도록 연장되어 피삭재에 직접 접촉하여 피삭재를 가공할 수 있다. 또한, 제2절삭날(14)이 연장되는 방향은 제2방향(E2)일 수 있다.
오목날(15)은 제2절삭날(14)에서 제2코너날(113)을 향하여 연장되며, 관통홀(A)과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오목날(15)은 제2절삭날(14)에서 소정길이 제2방향(E2)으로 연장된 후 제2방향(E2)과 반대방향인 제1방향(E1)으로 연장되어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오목날(15)은 제1볼록날(13)과 함께 한변의 절인을 복수의 부분날(절삭날)로 분할하는 구성으로 피삭재가 절삭되며 발생하는 절삭 칩의 처리를 용이하게 해주며, 가공면의 품질 등을 개선시킬 수 있다.
제3절삭날(16)은 오목날(15)에서 제2코너날(113)을 향하여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즉, 제3절삭날(16)은 소정의 경사를 가지도록 연장되어 피삭재에 직접 접촉하여 피삭재를 가공할 수 있다. 또한, 제3절삭날(16)이 연장되는 방향은 제1방향(E1)일 수 있다.
제2볼록날(17)은 제3절삭날(16)에서 제2코너날(113)을 향하여 연장되며, 관통홀(A)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볼록날(17)은 제3절삭날(16)에서 소정길이 제1방향(E1)으로 연장된 후 제1방향(E1)과 반대방향인 제2방향(E2)으로 연장되어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2볼록날(17)은 한변의 절인을 복수의 부분날(절삭날)로 분할하는 구성으로 피삭재가 절삭되며 발생하는 절삭 칩의 처리를 용이하게 해주며, 가공면의 품질 등을 개선시킬 수 있다.
또한, 제2볼록날(17)의 길이는 제1볼록날(13)의 길이보다 짧게 구비되어 절삭부(1) 전체의 구조적 강성을 유지하며, 피삭재의 가공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4절삭날(18)은 제2볼록날(17)에서 제2코너날(113)까지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즉, 제4절삭날(18)은 소정의 경사를 가지도록 연장되어 피삭재에 직접 접촉하여 피삭재를 가공할 수 있다. 또한, 제4절삭날(18)이 연장되는 방향은 제1방향(E1)일 수 있다.
또한, 제4절삭날(18)과 제3절삭날(16)은 같은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며, 제2볼록날(17)에 의해 원만하게 이어짐으로써, 보다 긴 인선길이를 확보하여 피삭재와의 접촉 길이를 증가시켜 단위 면적당 절삭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나아가, 제1절삭날(12), 제2절삭날(14), 제3절삭날(16) 및 제4절삭날(18)은 직선 또는 유사한 각도를 이루는 소정이상의 곡률반경의 곡선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절삭날(12), 제2절삭날(14), 제3절삭날(16) 및 제4절삭날(18)에 효율적으로 부하가 분배될 수 있다.
종합하여 다시 설명하면, 절삭부(1)는 제1절삭날(12), 제2절삭날(14), 제3절삭날(16)및 제4절삭날(18)과 이를 연결하는 제1볼록날(13), 제2볼록날(17) 및 오목날(15)을 포함할 수 있다.
즉, 한변의 절인이 복수의 부분날로 분할되고 각 부분날을 볼록곡선 또는 오목곡선으로 연결하고 있어 피삭재가 절삭되며 발생하는 절삭 칩의 처리가 효율적으로 되며, 가공면의 표면 품질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절삭인서트(I)는 복수 개의 절삭부(1)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절삭인서트(I)는 사각형의 네개의 변을 가질 수 있고, 각각의 변에 절삭부(1)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절삭부(1)는 제1절삭부(1a), 제2절삭부(1b), 제3절삭부(1c) 및 제4절삭부(1d)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2절삭부(1b)는 제1절삭부(1a)와 연결되며, 제3절삭부(1c)는 제2절삭부(1b)와 연결되고, 제4절삭부(1d)는 제3절삭부(1c) 및 제1절삭부(1a)와 연결될 수 있다.
제1절삭부(1a), 제2절삭부(1b), 제3절삭부(1c) 및 제4절삭부(1d)는 모두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절삭부(1a), 제2절삭부(1b), 제3절삭부(1c) 및 제4절삭부(1d) 각각은 제1절삭날(12), 제2절삭날(14), 제3절삭날(16)및 제4절삭날(18)과 이를 연결하는 제1볼록날(13), 제2볼록날(17) 및 오목날(15)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설명하는 내용도 제1절삭부(1a), 제2절삭부(1b), 제3절삭부(1c) 및 제4절삭부(1d)에 모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제1절삭날(12)은 제1코너날(111)에서 관통홀(A)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며, 제2절삭날(14)은 제1절삭날(12)과 반대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고, 제3절삭날(16)과 제4절삭날(18)은 제1절삭날(12)과 동일한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즉, 제1절삭날(12), 제3절삭날(16) 및 제4절삭날(18)은 제1방향(E1)으로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고, 제2절삭날(14)은 제2방향(E2)으로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절삭부(1) 전체의 절삭 부하가 밸런스 있게 분배될 수 있으며, 절삭품질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제1절삭날(12)이 관통홀(A)의 중심을 통과하는 중심선(C1)과 이루는 각도(θ1)는 제3절삭날(16)이 중심선(C1)과 이루는 각도(θ3)와 동일하거나 크게 구비될 수 있다. 중심선(C1)은 절삭부(1)의 연장방향과 나란한 방향의 직선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절삭부(1) 전체의 절삭 부하가 더 밸런스 있게 분배될 수 있다.
또한, 제3절삭날(16)이 중심선(C1)과 이루는 각도(θ3)는 제4절삭날(18)이 중심선(C1)과 이루는 각도(θ4)보다 크게 구비될 수 있고, 절삭부(1) 전체의 절삭 부하가 더 밸런스 있게 분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절삭날(12)이 관통홀(A)의 중심을 통과하는 중심선(C1)과 이루는 각도(θ1)는 5도 내지 10도로 구비되며, 제3절삭날(16)이 중심선(C1)과 이루는 각도(θ3)는 4도 내지 7도로 구비되고, 제4절삭날(18)이 중심선(C1)과 이루는 각도(θ4)는 0도 내지 3도로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절삭부(1) 전체의 절삭 부하가 더 밸런스 있게 분배 될 수 있으며, 절삭부(1)의 전체적인 마모도 최소화 할 수 있고, 절삭품질도 효율적으로 확보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절삭날(12)이 관통홀(A)의 중심을 통과하는 중심선(C1)과 이루는 각도(θ1)는 6도 내지 9도로 구비되며, 제3절삭날(16)이 중심선(C1)과 이루는 각도(θ3)는 5도 내지 6도로 구비되고, 제4절삭날(18)이 중심선(C1)과 이루는 각도(θ4)는 1도 내지 2도로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절삭부(1) 전체의 절삭 부하가 더 밸런스 있게 분배 될 수 있으며, 절삭부(1)의 전체적인 마모도 더 최소화 할 수 있고, 절삭품질도 더 효율적으로 확보할 수 있다.
한편, 제1절삭날(12)이 중심선(C1)과 이루는 각도(θ1)와 제2절삭날(14)이 중심선(C1)과 이루는 각도(θ2)의 차이는 3도 이내로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절삭날(12)과 제2절삭날(14) 사이에 절삭 부하가 효율적으로 분배되며, 절삭 품질을 효율적으로 확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절삭날(14)이 중심선(C1)과 이루는 각도(θ2)는 5도 내지 10도로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제1절삭날(12)과 밸런스 있는 부하 분배를 확보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2절삭날(14)이 중심선(C1)과 이루는 각도(θ2)는 6도 내지 9도로 구비되어 제1절삭날(12)과 최적의 부하 밸런스를 갖출 수 있으며, 절삭품질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제1절삭날(12)이 중심선(C1)과 이루는 각도(θ1)는 제2절삭날(14)이 중심선(C1)과 이루는 각도 각도(θ2) 보다 선택적으로 크거나 작게 구비될 수 있다. 즉, 피삭재의 종류 및 드릴본체(D)의 회전 속도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제1절삭날(12)이 중심선(C1)과 이루는 각도(θ1)가 제2절삭날(14)이 중심선(C1)과 이루는 각도 각도(θ2)보다 크거나 작게 구비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삭인서트의 측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면(3)은 여유면(31) 및 돌출부(33)를 포함할 수 있다.
여유면(31)은 하면(7)에서 절삭부(1)를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여유면(31)은 상면(5)이 하면(7)보다 큰 단면을 가지게 됨에 따라, 관통홀(A)의 중심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돌출부(33)는 여유면(31)에서 상면(5)까지 연장되며, 여유면(31)보다 외측으로 더 돌출될 수 있다. 즉 돌출부(33)는 절삭부(1)와 접하도록 연장될 수 있으며, 여유면(31)보다 외측으로 더 돌출되어 절삭부(1)에 가해지는 부하를 더 효율적으로 분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절삭부(1)의 마모정도를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하면(7)에서 여유면(31)까지의 높이(H1)는 하면(7)에서 절삭부(1)까지의 높이(H2)의 0.6 내지 0.8로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돌출부(33)가 구비되는 정도를 최적화 하여 드릴공구에 장착시 체결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면(7)에서 여유면(31)까지의 높이(H1)는 하면(7)에서 절삭부(1)까지의 높이(H2)의 0.65 내지 0.75로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돌출부(33)가 구비되는 정도를 더 최적화 하여 드릴공구에 장착시 체결 안전성을 더 확보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삭인서트의 하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유면(31)은 코너여유면(311), 제1여유면(313) 및 제2여유면(315)을 포함할 수 있다.
코너여유면(311)은 제1코너날(111)을 향하여 연장되는 제1코너여유면(3111)과 제2코너날(113)을 향하여 연장되는 제2코너여유면(311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여유면(313)은 제1코너여유면(3111)과 연결되며, 제1절삭날(12), 제1볼록날(13), 제2절삭날(14) 및 오목날(15)을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
제2여유면(315)은 제2코너여유면(3113)과 연결되며, 오목날(15), 제3절삭날(16), 제2볼록날(17) 및 제4절삭날(18)을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제2여유면(315)은 제1여유면(313)과 절삭부(1)의 중앙에서 연결될 수 있다.
제1여유면(313)과 제2여유면(315)이 이루는 각도(α)는 둔각을 이루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절삭인서트(I) 전체적인 구조적 안전성이 증대될 수 있다. 또한, 하면(7)은 전체적인 형상이 팔각형을 이루어 구조적 균형이 확보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여유면(313)과 제2여유면(315)이 이루는 각도(α)는 150도 이상 180도 미만의 범위 내에서 설정될 수 있어 절삭인서트(I) 전체적인 구조적 안전성이 더 증대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여유면(313)과 제2여유면(315)이 이루는 각도(α)는 160도 내지 170도를 이룰 수 있어 절삭인서트(I) 전체적인 구조적 안전성이 더 증대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릴본체의 포켓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8(a)는 내측포켓부를 나타낸 것이고, 도 8(b)는 외측포켓부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릴본체(D)는 상술한 절삭인서트(I)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드릴본체(D)는 본체부(8) 및 포켓부(9)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체부(8)는 적어도 일부가 나선형으로 연장되어 회전에 의해 피삭재의 보링, 드릴링 또는 절삭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포켓부(9)는 바닥면(91) 및 벽면(93)을 포함할 수 있다. 바닥면(91)은 하면(7)이 접하여 지지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바닥면(91)은 하면(7)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하면(7)이 안착되도록 편평하게 구비될 수 있다.
벽면(93)은 바닥면(91)과 연결되며, 측면(3)이 접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벽면(93)은 제1벽부(931), 제2벽부(933) 및 제3벽부(93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벽부(931)는 바닥면(91)과 연결될 수 있다.
제2벽부(933)는 제1벽부(931)에서 바닥면(91)과 멀어지며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제3벽부(935)는 제2벽부(933)에서 내측으로 함몰되어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제2벽부(933)는 여유면(31)이 접촉되어 지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벽부(933)는 여유면(31)의 지지를 통해 절삭인서트(I) 전체에 대해 지지력을 제공할 수 있고, 제1벽부(931)와 제3벽부(935)는 외부의 진동에 의해 절삭인서트(I)가 흔들리는 경우에도 그 범위를 제한하여 체결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절삭부(1)는 제1절삭부(1a), 제2절삭부(1b), 제3절삭부(1c) 및 제4절삭부(1d)를 포함할 수 있고, 벽면(93)은 제1벽면(93a) 및 제2벽면(93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벽면(93a)은 제1절삭부(1a)와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어 제1벽면(93a)의 제2벽부(933)가 제1절삭부(1a)의 여유면(31)을 지지할 수 있고, 제2벽면(93b)은 제2절삭부(1b)와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어 제2벽면(93b)의 제2벽부(933)가 제2절삭부(1b)의 여유면을 지지할 수 있다.
포켓부(9)는 상대적으로 내측에 구비되는 내측포켓부(9a)와 상대적으로 외측에 구비되는 외측포켓부(9b)를 포함할 수 있고, 외측포켓부(9b)의 벽면(93)은 제1벽면(93a)과 제2벽면(93b)을 포함할 수 있다.
내측포켓부(9a)는 제1벽면(93a)과 제2벽면(93b) 이외에 제3벽면(93c)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제3벽면(93c)의 제2벽부(933)가 제3절삭부(1c)의 여유면을 지지할 수 있다. 이는 내측포켓부(9a)와 외측포켓부(9b)가 형성되는 위치에 의한 차이일 수 있다.
도 9는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된 제2벽부가 이루는 각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 개의 제2벽부(933)는 소정각도를 이룰 수 있다.
즉, 제1벽면(93a)에 구비되는 제2벽부(933)와 제2벽면(93b)에 구비되는 제2벽부(933)가 이루는 각도(β)는 예각을 이루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체결 안정성이 향상됨으로써 가공시 절삭 인서트의 움직임이 최소화되어 가공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벽면(93a)에 구비되는 제2벽부(933)와 제2벽면(93b)에 구비되는 제2벽부(933)가 이루는 각도(β)는 70도 내지 90도로 구비되어 체결 안정성이 더 향상됨으로써 가공시 절삭 인서트의 움직임이 더 최소화되어 가공 성능이 더 향상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벽면(93a)에 구비되는 제2벽부(933)와 제2벽면(93b)에 구비되는 제2벽부(933)가 이루는 각도(β)는 75도 내지 85도로 구비되어 체결 안정성이 더 향상됨으로써 가공시 절삭 인서트의 움직임이 더 최소화되어 가공 성능이 더 향상될 수 있다. 내측포켓부(9a)의 경우에는 제2벽면(93b)에 구비되는 제2벽부(933)와 제3벽면(93c)에 구비되는 제2벽부(933)가 이루는 각도가 동일하게 설정될 수도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측 절삭인서트와 외측 절삭인서트의 회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삭인서트는 최적의 회전궤적을 가질 수 있다.
즉, 절삭인서트(I)는 내측포켓부(9a)에 장착되는 내측인서트(IN)와 외측포켓부(9b)에 장착되는 외측인서트(IO)를 포함할 수 있고, 도 10과 같은 회전궤적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절삭인서트(I)는 절삭 가공시 공구에 가해지는 절삭 부하를 각 부분날로 고르게 분배시킴과 동시에 좌측과 우측 방향으로 교차로 작용시킬 수 있다. 
제1절삭날(12)에서 제4절삭날(18)까지의 굴곡진 절삭 인선에 의하여, 외측인서트(IO)와 내측인서트(IN)가 피삭재와 접촉하는 길이는 매우 균등하게 되고, 드릴 홀더의 외측방향과 중심방향으로 서로 교차되어 절삭 부하가 균등하게 상호 상쇄됨으로써 진동이 억제되어 양호한 가공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절삭날의 어느 한부분만이 마모되는 현상 없이 전체적으로 균형 있는 정상 마모가 이루어지고, 돌발 파손과 같은 트러블이 방지되어 공구수명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1은 종래의 절삭인서트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삭인서트의 마모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11(a)는 종래의 내측인서트를 나타낸 것이고, 도 11(b)는 종래의 외측인서트를 나타낸 것이며, 도 11(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측인서트를 나타낸 것이고, 도 11(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측인서트를 나타낸 것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삭인서트(I)는 종래의 절삭인서트(I')에 비해 적은 마모가 일어남을 알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삭인서트(I)는 드릴본체(D)에 대한 체결안전성이 향상되어 가공시 절삭인서트의 움직임이 최소화 되어 마모정도가 최소화 될 수 있다.
또한, 절삭인서트(I)는 제1코너날(111), 제1절삭날(12), 제1볼록날(13), 제2절삭날(14), 오목날(15), 제3절삭날(16), 제2볼록날(17), 제4절삭날(18) 및 제2코너날(113)이 최적으로 연결되어 단위 면적당 절삭 부하가 최소화되어 마모가 최소화 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D: 드릴본체 I: 절삭인서트
1: 절삭부 3: 측면
5: 상면 7: 하면
8: 본체부 9: 포켓부

Claims (20)

  1. 하면;
    상기 하면과 이격 구비되는 상면;
    상기 상면과 상기 하면을 연결하는 측면;
    상기 상면의 중앙에 관통 형성되는 관통홀; 및
    상기 상면의 외주를 따라 구비되며 피삭재를 절삭하는 절삭부;를 포함하며,
    상기 절삭부는
    일단에 배치되는 제1코너날과 타단에 배치되는 제2코너날을 포함하는 코너날;
    상기 제1코너날에서 상기 제2코너날을 향하여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1절삭날;
    상기 제1절삭날에서 상기 제2코너날을 향하여 연장되며, 상기 관통홀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제1볼록날;
    상기 제1볼록날에서 상기 제2코너날을 향하여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2절삭날;
    상기 제2절삭날에서 상기 제2코너날을 향하여 연장되며, 상기 관통홀과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오목날;
    상기 오목날에서 상기 제2코너날을 향하여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3절삭날;
    상기 제3절삭날에서 상기 제2코너날을 향하여 연장되며, 상기 관통홀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제2볼록날; 및
    상기 제2볼록날에서 상기 제2코너날까지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4절삭날;을 포함하고,
    상기 측면은
    상기 하면에서 상기 절삭부를 향하여 연장되는 여유면; 및
    상기 여유면에서 상기 상면까지 연장되며, 상기 여유면보다 외측으로 더 돌출되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여유면은
    상기 제1코너날을 향하여 연장되는 제1코너여유면과 상기 제2코너날을 향하여 연장되는 제2코너여유면을 포함하는 코너여유면;
    상기 제1코너여유면과 연결되며 상기 제1절삭날, 상기 제1볼록날, 상기 제2절삭날 및 상기 오목날을 향하여 연장되는 제1여유면; 및
    상기 제2코너여유면과 연결되며 상기 오목날, 상기 제3절삭날, 상기 제2볼록날 및 상기 제4절삭날을 향하여 연장되는 제2여유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여유면과 제2여유면은, 상기 절삭부의 중앙에서 연결되고,
    상기 제1여유면과 상기 제2여유면이 이루는 각도(α)는 둔각을 이루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1코너여유면 및 상기 제2코너여유면은,
    상기 관통홀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삭인서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절삭날은 상기 제1코너날에서 상기 관통홀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며,
    상기 제2절삭날은 상기 제1절삭날과 반대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고,
    상기 제3절삭날과 상기 제4절삭날은 상기 제1절삭날과 동일한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삭인서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절삭날이 상기 관통홀의 중심을 통과하는 중심선(C1)과 이루는 각도(θ1)는 상기 제3절삭날이 상기 중심선(C1)과 이루는 각도(θ3)와 동일하거나 크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삭인서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3절삭날이 상기 중심선(C1)과 이루는 각도(θ3)는 상기 제4절삭날이 상기 중심선(C1)과 이루는 각도(θ4)보다 크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삭인서트.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절삭날이 상기 중심선(C1)과 이루는 각도(θ1)는 5도 내지 10도로 구비되며, 상기 제3절삭날이 상기 중심선(C1)과 이루는 각도(θ3)는 4도 내지 7도로 구비되고, 상기 제4절삭날이 상기 중심선(C1)과 이루는 각도(θ4)는 0도 내지 3도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삭인서트.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절삭날이 상기 중심선(C1)과 이루는 각도(θ1)는 6도 내지 9도로 구비되며, 상기 제3절삭날이 상기 중심선(C1)과 이루는 각도(θ3)는 5도 내지 6도로 구비되고, 상기 제4절삭날이 상기 중심선(C1)과 이루는 각도(θ4)는 1도 내지 2도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삭인서트.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절삭날이 상기 중심선(C1)과 이루는 각도(θ1)와 상기 제2절삭날이 상기 중심선(C1)과 이루는 각도(θ2)의 차이는 3도 이내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삭인서트.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절삭날이 상기 중심선(C1)과 이루는 각도(θ2)는 5도 내지 10도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삭인서트.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절삭날이 상기 중심선(C1)과 이루는 각도(θ1)는 상기 제2절삭날이 상기 중심선(C1)과 이루는 각도(θ2) 보다 크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삭인서트.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절삭날이 상기 중심선(C1)과 이루는 각도(θ1)는 상기 제2절삭날이 상기 중심선(C1)과 이루는 각도(θ2)보다 작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삭인서트.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볼록날의 연장길이는 상기 제1볼록날의 연장길이보다 짧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삭인서트.
  12. 삭제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면에서 상기 여유면까지의 높이(H1)는 상기 하면에서 상기 절삭부까지의 높이(H2)의 0.6 내지 0.8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삭인서트.
  14. 삭제
  15. 삭제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여유면과 상기 제2여유면이 이루는 각도(α)는 150도 이상 180도 미만의 범위 내에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삭인서트.
  17. 제16항의 절삭인서트가 결합되는 드릴본체에 있어서,
    적어도 일부가 나선형으로 연장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의 단부에 구비되며 상기 절삭인서트가 결합되는 포켓부;를 포함하며,
    상기 포켓부는
    상기 하면이 접하는 바닥면; 및
    상기 바닥면과 연결되며, 상기 측면이 접하는 벽면;을 포함하며,
    상기 벽면은
    상기 바닥면과 연결되는 제1벽부;
    상기 제1벽부에서 상기 바닥면과 멀어지며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2벽부; 및
    상기 제2벽부에서 내측으로 함몰되어 연장되는 제3벽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벽부는 상기 여유면이 접촉되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릴본체.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절삭부는
    제1절삭부;
    상기 제1절삭부와 연결되는 제2절삭부;
    상기 제2절삭부와 연결되는 제3절삭부; 및
    상기 제3절삭부 및 제1절삭부와 연결되는 제4절삭부;를 포함하며,
    상기 벽면은
    상기 제1절삭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는 제1벽면; 및
    상기 제2절삭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는 제2벽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릴본체.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벽면에 구비되는 제2벽부와 상기 제2벽면에 구비되는 제2벽부가 이루는 각도(β)는 예각을 이루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릴본체.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1벽면에 구비되는 제2벽부와 상기 제2벽면에 구비되는 제2벽부가 이루는 각도(β)는 70도 내지 90도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릴본체.
KR1020220182711A 2022-12-23 2022-12-23 절삭인서트 및 이를 포함하는 드릴공구 KR1025513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82711A KR102551397B1 (ko) 2022-12-23 2022-12-23 절삭인서트 및 이를 포함하는 드릴공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82711A KR102551397B1 (ko) 2022-12-23 2022-12-23 절삭인서트 및 이를 포함하는 드릴공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51397B1 true KR102551397B1 (ko) 2023-07-04

Family

ID=871567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82711A KR102551397B1 (ko) 2022-12-23 2022-12-23 절삭인서트 및 이를 포함하는 드릴공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139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18550A (ko) * 2007-06-14 2010-02-17 대구텍 유한회사 절삭 인서트를 구비하는 드릴 공구
KR20190021592A (ko) * 2017-08-23 2019-03-06 대구텍 유한회사 드릴용 절삭 인서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18550A (ko) * 2007-06-14 2010-02-17 대구텍 유한회사 절삭 인서트를 구비하는 드릴 공구
KR20190021592A (ko) * 2017-08-23 2019-03-06 대구텍 유한회사 드릴용 절삭 인서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90374B2 (ja) 両面使用可能な切削インサート及びこれを装着したミーリングカッタ
JP4971162B2 (ja) 転削工具、転削工具用転削インサート、及び一体型転削工具
JP3874053B2 (ja) 切削インサート及びフライスにおけるその取り付け装置
JP5377449B2 (ja) 切削インサートおよび切削工具並びにそれを用いた切削方法
KR101569551B1 (ko) 밀링 커터 및 밀링 커터용 절삭 인서트
KR101292441B1 (ko) 접선식 절삭 삽입체
JP5131345B2 (ja) 切削インサート
JP5568138B2 (ja) 切削インサートおよび切削工具、並びにそれらを用いた切削加工物の製造方法
EP2101947B1 (en) Cutting insert and cutting tool
JP5060614B2 (ja) ドリル用切削インサートおよびドリル、並びにそれを用いた切削方法
KR100465953B1 (ko) 절삭 삽입체
JP6365701B2 (ja) 切削インサート及び刃先交換式切削工具
JP6052455B1 (ja) 切削インサートおよび切削工具
KR101059288B1 (ko) 드릴용 절삭공구
JP6966329B2 (ja) 菱形のインサート及び支持座を備えたアセンブリ、並びに菱形の可逆切削インサート
JP6066005B1 (ja) 切削インサートおよび切削工具
KR102551397B1 (ko) 절삭인서트 및 이를 포함하는 드릴공구
EP1413377A1 (en) Cutting tool insert and cutting tool
JP7011689B1 (ja) 切削インサート及び回転切削工具
US11491560B1 (en) Cutting insert and rotary cutting tool including same
JP5430069B2 (ja) ミーリング工具および、それを用いた切削方法
JP7009720B1 (ja) 回転切削工具用切削インサートおよび回転切削工具
JPH0871834A (ja) スローアウェイチップ
JP2003291003A (ja) 切削工具
KR102513100B1 (ko) 절삭인서트 및 이를 포함하는 절삭공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