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0316B1 - 악취제거시스템용 필터링장치 - Google Patents

악취제거시스템용 필터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0316B1
KR102550316B1 KR1020210070811A KR20210070811A KR102550316B1 KR 102550316 B1 KR102550316 B1 KR 102550316B1 KR 1020210070811 A KR1020210070811 A KR 1020210070811A KR 20210070811 A KR20210070811 A KR 20210070811A KR 102550316 B1 KR102550316 B1 KR 1025503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odor
suspension
fiber
filter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08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62916A (ko
Inventor
정동섭
강주빈
Original Assignee
티엔에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티엔에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티엔에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708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0316B1/ko
Publication of KR202201629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29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03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03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02Casings; Housings; Frame constructions
    • B01D46/0005Mounting of filtering elements within casings, housings or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02Casings; Housings; Frame constructions
    • B01D46/0004Details of removable closures, lids, caps or filter h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2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having hollow filters made of flexible material
    • B01D46/023Pockets filters, i.e. multiple bag filters mounted on a common fr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227Manipulating filters or filter elements, e.g. handles or extracting too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Treating Waste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악취제거시스템용 필터링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하단부에 흡입구가 형성되고 중앙에 상기 흡입구와 연통되는 필터챔버가 마련되며 상단부에 상기 필터챔버와 연통되는 배기구를 갖는 하우징(10); 및 상기 필터챔버에 배치되어 상기 흡입구를 통해 유입된 악취를 정화하기 위한 필터(20);를 포함하는 악취제거시스템용 필터링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기구와 필터챔버 사이에는 현가판이 마련되고, 상기 필터는 상기 현가판에 상단부가 연결된 상태로 매달려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필터섬유를 필요한 만큼 감아서 된 필터를 마련하여 밀폐된 필터챔버 내에 설치한 후 필터섬유를 통해서만 악취의 유해성분이 걸러지도록 함으로써, 기본적으로 밀폐된 필터챔버 내에서 대상 악취의 유해성분에 따라 필터섬유의 권취수를 조절하여 완벽하게 악취의 유해성분을 걸러낼 수 있게 되면서 이에 따른 장치의 신뢰성 및 경쟁력 향상을 도모할 수 있게 되고, 또한, 상기 원통형 필터는 현가판의 관통공을 통해 필터챔버 내부로 투입되어 장착되고 필요에 따라 필터를 현가판에서 분리할 수 있게 하여 필터의 교체가 용이하게 되도록 함으로써, 그 결과 필터의 설치 및 유지보수 등이 수월하게 되면서 전반적으로 작업환경 개선 및 작업능률 향상을 꾀할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악취제거시스템용 필터링장치{FILTERING APPARATUS FOR ODOR REMOVING SYSTEM}
본 발명은 악취제거시스템용 필터링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의 연통공을 갖는 원관틀 구조의 필터프레임의 외주로 필터섬유를 필요한 만큼 감아서 이 필터섬유를 통해 악취의 유해성분이 걸러지도록 한 악취제거시스템용 필터링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피혁공장, 폐ㅇ하수처리장, 분뇨처리장, 동물축사, 쓰레기 처리시설의 침출수 처리장 등에서 발생하는 악취를 처리하기 위한 시설을 혐오시설이라고 하여 처리장의 입지 선정시 지역주민들의 집단적 반대가 급증하고 있다.
따라서, 작은 시설용량으로 시설 설치비와 운전비가 적게 들고 처리효율이 높은 탈취기술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노력의 일환으로 이들 공장과 처리장에서 발생하는 황화수소 및 암모니아를 처리하는 방법으로 흡착법을 도입하고 있으며, 흡착제로 활성탄을 이용한 처리공정이 많이 이용되고 있다.
그리고, 현재 사용하고 있는 활성탄은 암모니아 같은 저분량의 극성이 높은 분자의 물리흡착이 어렵고, 흡착제 충진량이 많아 시설용량이 커지며, 시설비 투자가 높아지고, 또 재생도 여려워 운영비도 많이 드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그럼에서 불구하고 현재 국내에서는 활성탄을 이용한 탈취법을 대부분 도입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종래의 악취제거 기술은 처리효율이나 경제성 면에서 만족스럽지 못하므로 악취물질을 보다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고 경제성 있는 새로운 기술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종래 기술로서, 일반 활성탄보다 흡착력이 우수한 활성탄 섬유 필터와 표면에 화학적 처리를 한 첨착활성탄 섬유필터를 이용하여 황화수소와 암모니아 및 휘발성 유기 화합물을 제거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는 기존의 활성탄 공정 및 활성탄 처리공정은 재생장치가 필요하고, 활성탄 공정은 활성탄 섬유공정에 비해 파과점 도달시간이 빠르므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새로운 처리공정이 필요하였다.
그 일례로, 종래 기술의 악취제거기술은 활성탄섬유필터를 사용하되, 특히, 판재형상으로 하여 지그재그 적층방식으로 배열하여 악취가 지그재그 방향으로 필터를 통과하면서 악취의 유해성분이 제거되도록 함으로서 별도의 재생공정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부지면적과 설치비가 적게 들고, 전문적 운영이 요구되지 않으며, 2차 오염이 없고, 또한 활성탄섬유에 화학적으로 처리한 첨착활성탄섬유필터를 사용함으로서 기존의 공정에 비해 처리효율이 높아졌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의 악취제거기술은 활성탄섬유필터를 단순히 판재형상으로 하여 적층시키도록 만 구성하여 악취의 유해성분을 제거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필터를 경유하는 동안 악취가 누기되면서 필터링 효과가 기대치에 미치지 못하게 됨은 물론 그 필터링 장치의 설치작업도 현저히 어렵게 되면서 전반적으로 시설적 효율성이 매우 떨어지게 되는 등의 문제점들을 갖고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34634호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써, 복수의 연통공을 갖는 원관틀 구조의 필터프레임의 저면은 하단캡으로 차폐하고 상단부는 통공을 갖는 현가링판을 장착한 상태에서 상기 필터프레임의 외주로 필터섬유를 필요한 만큼 감아서 된 필터를 마련하여 밀폐된 필터챔버 내에 설치한 후 필터섬유를 통해서만 악취의 유해성분이 걸러지도록 한 악취제거시스템용 필터링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필터챔버 내에 별도의 현가판을 마련하고 상기 원통형 필터는 현가판의 관통공을 통해 필터챔버 내부로 투입되어 장착되고 필요에 따라 필터를 현가판에서 분리할 수 있게 하여 필터의 교체가 용이하게 되도록 한 악취제거시스템용 필터링장치를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악취제거시스템용 필터링장치는, 하단부에 흡입구가 형성되고 중앙에 상기 흡입구와 연통되는 필터챔버가 마련되며 상단부에 상기 필터챔버와 연통되는 배기구를 갖는 하우징; 및 상기 필터챔버에 배치되어 상기 흡입구를 통해 유입된 악취를 정화하기 위한 필터;를 포함하는 악취제거시스템용 필터링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기구와 필터챔버 사이에는 현가판이 마련되고, 상기 필터는 상기 현가판에 상단부가 연결된 상태로 매달려 배치되되, 상기 필터는, 횡방향으로 소정간격 이격되어 상하 직립 배치되는 복수의 직립대와, 상기 복수의 직립대의 외부를 감싸 연결되고 상하방을 따라 각각 이격되어 상기 직립대와의 사이에 연통공을 형성하는 복수의 지지링을 포함하는 필터프레임; 상기 필터프레임의 외부를 두루말이식으로 여러번 감싸고 내외로 공기가 통공되는 필터섬유; 및 상기 두루말이식으로 여러번 감싸여진 상기 필터섬유(22)의 권취가 풀리지 않도록 상기 필터섬유의 외부를 감싸 지지하는 클램프; 를 포함하고, 상기 현가판은 상하로 관통된 관통공이 마련되고, 이에 대응되는 상기 필터는 직립대의 상단부에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필터프레임 전체가 상기 관통공을 통해 하방으로 관통된 상태에서 테두리 저면이 상기 관통공의 상단테두리에 걸려 매달리도록 하는 현가링판이 마련되며, 상기 현가판은 관통공 테두리 일측에 소직경 구조의 기둥부와 상기 기둥부의 상단에 배치되는 대직경 구조의 머리부를 포함하는 록킹돌기가 마련되고, 이에 대응되는 상기 필터는 현가링판의 테두리 일측에 상기 록킹돌기의 상기 기둥부를 감싼 상태에서 상기 머리부의 저면에 걸려 고정되도록 하는 록킹홈이 마련되며, 상기 현가링판은 상면 일측에 상기 필터를 축 회전시켜 상기 록킹돌기와 록킹홈 간의 걸림 및 걸림 해제를 수행하기 위한 손잡이가 더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악취제거시스템용 필터링장치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상기 필터섬유의 중앙 부분 외주면을 감싸 고정시키는 미들프레이트가 더 마련된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악취제거시스템용 필터링장치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필터프레임의 하단부를 차폐하여 상기 필터섬유를 통해 유입된 악취가 상기 필터의 하단부를 통해 배출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하단캡이 더 마련된 것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기술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악취제거시스템용 필터링장치는, 복수의 연통공을 갖는 원관틀 구조의 필터프레임의 저면은 하단캡으로 차폐하고 상단부는 통공을 갖는 현가링판을 장착한 상태에서 상기 필터프레임의 외주로 필터섬유를 필요한 만큼 감아서 된 필터를 마련하여 밀폐된 필터챔버 내에 설치한 후 필터섬유를 통해서만 악취의 유해성분이 걸러지도록 함으로써, 기본적으로 밀폐된 필터챔버 내에서 대상 악취의 유해성분에 따라 필터섬유의 권취수를 조절하여 완벽하게 악취의 유해성분을 걸러낼 수 있게 되면서 이에 따른 장치의 신뢰성 및 경쟁력 향상을 도모할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필터챔버 내에 별도의 현가판을 마련하고 상기 원통형 필터는 현가판의 관통공을 통해 필터챔버 내부로 투입되어 장착되고 필요에 따라 필터를 현가판에서 분리할 수 있게 하여 필터의 교체가 용이하게 되도록 함으로써, 그 결과 필터의 설치 및 유지보수 등이 수월하게 되면서 전반적으로 작업환경 개선 및 작업능률 향상을 꾀할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악취제거시스템용 필터링장치를 나타낸 개략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악취제거시스템용 필터링장치의 필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악취제거시스템용 필터링장치의 필터를 나타낸 절개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악취제거시스템용 필터링장치를 나타낸 개략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악취제거시스템용 필터링장치를 나타낸 개략평면도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악취제거시스템용 필터링장치는, 하우징(10)과, 필터(20)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10)은 하단부에 흡입구(11)가 형성되고 중앙에 상기 흡입구(11)와 연통되는 필터챔버(12)가 마련되며 상단부에 상기 필터챔버(12)와 연통되는 배기구(13)를 갖는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필터(20)는상기 필터챔버(12)에 배치되어 상기 흡입구(11)를 통해 유입된 악취를 정화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배기구(13)와 필터챔버(12) 사이에는 현가판(30)이 마련되고, 상기 필터(20)는 상기 현가판(30)에 상단부가 연결된 상태로 매달려 배치되는 판재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필터(20)는, 원호 방향을 따라 등 간격 이격되어 상하 직립 배치되는 복수의 직립대(21a)와, 상기 복수의 직립대(21a)의 외부를 감싸 연결되고 상하방을 따라 각각 이격되어 상기 직립대(21a)와의 사이에 연통공(21b)을 형성하는 복수의 지지링(21c)을 포함하는 필터프레임(21)과, 상기 필터프레임(21)의 외부를 여러번 감싸고 내외로 공기가 통공되는 필터섬유(22) 및 상기 필터섬유(22)의 외부를 감싸 지지하는 클램프(23)를 포함하는 원관체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현가판(30)은 상하로 관통된 관통공(31)이 마련되고, 이에 대응되는 상기 필터(20)는 직립대(21a)의 상단부에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필터프레임(21)을 포함한 필터섬유(22)와 클램프(23) 전체가 상기 관통공(31)을 통해 하방으로 관통된 상태에서 상기 관통공(31)의 상단테두리에 걸려 매달리도록 하는 현가링판(24)이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현가판(30)은 관통공(31)의 상단 테두리 일측에 록킹돌기(32)가 마련되고, 이에 대응되는 상기 필터(20)는 현가링판(24)의 테두리 일측에 상기 록킹돌기(32)가 걸려 고정되도록 하는 후크 형상의 록킹홈(24a)이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현가링판(24)은 상면 일측에 상기 필터(20)를 정역 축 회전시켜 상기 록킹돌기(32)와 록킹홈(24a) 간의 걸림 및 걸림 해제를 수행하기 위한 손잡이(24b)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필터(20)는 상기 필터섬유(22)의 중앙 부분 외주면을 감싸 고정시키는 링 클램프 형상의 미들프레이트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필터(20)는 필터프레임(21)의 하단부를 차폐하여 상기 필터섬유(22)를 통해 유입된 악취가 상기 필터(20)의 하단부를 통해 하방으로 배출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하단캡(26)이 마련되어 있다.
미설명부호 40은 외부의 악취를 흡입구(11)로 흡입하기 위한 흡입팬을 나타낸 것이고, 50은 정화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기 위한 배기덕트를 나타낸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악취제거시스템용 필터링장치의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필터(20)를 현가판(30)의 관통공(31)을 통해 하방으로 관통시키면 상단의 현가링판(24) 테두리가 상기 관통공(31)의 상단 테두리에 걸리게 되고 그 다음 손잡이(24b)를 통해 필터(20)를 반시계방향으로 축회전시키면 현가링판(24)의 록킹홈(24a)이 현가판(30)의 록킹돌기(32)에 걸려 고정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복수개의 필터(20)를 현가판(30)에 장착한 후, 흡입팬(40)을 작동시켜 정화하고자 하는 악취를 흡입구(11)로 흡입시킨다.
그러면, 악취는 필터(20)의 필터섬유(22)를 통해 필터(20) 내부로 유입된 후 상방으로 흘러 현가링판(24)의 중앙 통공(24c)을 통해 배기구(13)로 배출되어 최종적으로 배기덕트(5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렇게 계속해서 악취를 흡입시키게 되면 악취의 유해성분들이 필터섬유(22)에 흡착되어 쌓이게 되며, 어느 정도 유해성분들의 흡착이 이루어지게 되면 흡입팬(40)의 작동을 중지하고, 별도의 공기를 현가링판(24)의 중앙 통공을 통해 투입하게 되면, 역으로 공기는 필터(20)의 내부로 흘러 필터섬유(20)를 통해 필터(20) 외부로 배출되면서 필터섬유(20)에 흡착되어 있던 유해성분들을 털어내게 되고, 이렇게 필터섬유(20)로부터 이탈된 유해성분들은 하방에 별도로 마련된 촉매를 통해 처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악취제거시스템용 필터링장치는, 복수의 연통공을 갖는 원관틀 구조의 필터프레임의 저면은 하단캡으로 차폐하고 상단부는 통공을 갖는 현가링판을 장착한 상태에서 상기 필터프레임의 외주로 필터섬유를 필요한 만큼 감아서 된 필터를 마련하여 밀폐된 필터챔버 내에 설치한 후 필터섬유를 통해서만 악취의 유해성분이 걸러지도록 함으로써, 기본적으로 밀폐된 필터챔버 내에서 대상 악취의 유해성분에 따라 필터섬유의 권취수를 조절하여 완벽하게 악취의 유해성분을 걸러낼 수 있게 되면서 이에 따른 장치의 신뢰성 및 경쟁력 향상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필터챔버 내에 별도의 현가판을 마련하고 상기 원통형 필터는 현가판의 관통공을 통해 필터챔버 내부로 투입되어 장착되고 필요에 따라 필터를 현가판에서 분리할 수 있게 하여 필터의 교체가 용이하게 되도록 함으로써, 그 결과 필터의 설치 및 유지보수 등이 수월하게 되면서 전반적으로 작업환경 개선 및 작업능률 향상을 꾀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를 기초로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 할 것이다.
10 : 하우징 11 : 흡입구
12 : 필터챔버 13 : 배기구
20 : 필터 21 : 필터프레임
21a : 직립대 21b : 연통공
21c : 지지링 22 : 필터섬유
23 : 클램프 24 : 현가링판
24a : 록킹홈 24b : 손잡이
24c : 통공 25 : 미들플레이트
26 : 하단캡 30 : 현가판
31 : 관통공 32 : 록킹돌기
32a : 기둥부 32b : 머리부
40 : 흡입팬 50 : 배기덕트

Claims (4)

  1. 하단부에 흡입구가 형성되고 중앙에 상기 흡입구와 연통되는 필터챔버가 마련되며 상단부에 상기 필터챔버와 연통되는 배기구를 갖는 하우징; 및
    상기 필터챔버에 배치되어 상기 흡입구를 통해 유입된 악취를 정화하기 위한 필터;
    를 포함하는 악취제거시스템용 필터링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기구와 필터챔버 사이에는 현가판이 마련되고, 상기 필터는 상기 현가판에 상단부가 연결된 상태로 매달려 배치되되,
    상기 필터는,
    횡방향으로 소정간격 이격되어 상하 직립 배치되는 복수의 직립대와, 상기 복수의 직립대의 외부를 감싸 연결되고 상하방을 따라 각각 이격되어 상기 직립대와의 사이에 연통공을 형성하는 복수의 지지링을 포함하는 필터프레임;
    상기 필터프레임의 외부를 두루말이식으로 여러번 감싸고 내외로 공기가 통공되는 필터섬유; 및
    상기 두루말이식으로 여러번 감싸여진 상기 필터섬유(22)의 권취가 풀리지 않도록 상기 필터섬유의 외부를 감싸 지지하는 클램프;
    를 포함하고,
    상기 현가판은 상하로 관통된 관통공이 마련되고, 이에 대응되는 상기 필터는 직립대의 상단부에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필터프레임 전체가 상기 관통공을 통해 하방으로 관통된 상태에서 테두리 저면이 상기 관통공의 상단테두리에 걸려 매달리도록 하는 현가링판이 마련되며,
    상기 현가판은 관통공 테두리 일측에 소직경 구조의 기둥부와 상기 기둥부의 상단에 배치되는 대직경 구조의 머리부를 포함하는 록킹돌기가 마련되고,
    이에 대응되는 상기 필터는 현가링판의 테두리 일측에 상기 록킹돌기의 상기 기둥부를 감싼 상태에서 상기 머리부의 저면에 걸려 고정되도록 하는 록킹홈이 마련되며,
    상기 현가링판은 상면 일측에 상기 필터를 축 회전시켜 상기 록킹돌기와 록킹홈 간의 걸림 및 걸림 해제를 수행하기 위한 손잡이가 더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제거시스템용 필터링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상기 필터섬유의 중앙 부분 외주면을 감싸 고정시키는 미들프레이트가 더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제거시스템용 필터링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필터프레임의 하단부를 차폐하여 상기 필터섬유를 통해 유입된 악취가 상기 필터의 하단부를 통해 배출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하단캡이 더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제거시스템용 필터링장치.








KR1020210070811A 2021-06-01 2021-06-01 악취제거시스템용 필터링장치 KR1025503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0811A KR102550316B1 (ko) 2021-06-01 2021-06-01 악취제거시스템용 필터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0811A KR102550316B1 (ko) 2021-06-01 2021-06-01 악취제거시스템용 필터링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2916A KR20220162916A (ko) 2022-12-09
KR102550316B1 true KR102550316B1 (ko) 2023-07-03

Family

ID=844402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0811A KR102550316B1 (ko) 2021-06-01 2021-06-01 악취제거시스템용 필터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031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036809A (ja) * 2014-08-05 2016-03-22 エスピーエックス フロー テクノロジー ユーエスエイ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マルチカートリッジフィルタアダプタ及びインタフェースシステム及び方法
KR101951465B1 (ko) 2018-11-23 2019-02-22 케이씨에어필터텍 주식회사 집진기용 필터백 조립체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029Y2 (ja) * 1990-02-20 1995-01-25 大阪瓦斯株式会社 ガス吸着用エレメント
KR960007677U (ko) * 1994-08-10 1996-03-15 글로브 박스 결합구조
KR200234634Y1 (ko) 2001-03-12 2001-10-06 주식회사환경과생명 카트리지 형태의 활성탄섬유 및 첨착활성탄섬유를 이용한산업악취 제거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036809A (ja) * 2014-08-05 2016-03-22 エスピーエックス フロー テクノロジー ユーエスエイ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マルチカートリッジフィルタアダプタ及びインタフェースシステム及び方法
KR101951465B1 (ko) 2018-11-23 2019-02-22 케이씨에어필터텍 주식회사 집진기용 필터백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2916A (ko) 2022-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568213B (zh) 台桌式实验室空气污染物去除机
CN205517117U (zh) 一种活性炭废气处理装置
CN208406568U (zh) 一种新型废气净化处理一体化装置
KR101536635B1 (ko) 악취발생시설의 탈취장치
KR101188766B1 (ko) 자가정화장치가 설치된 시약장
KR102550316B1 (ko) 악취제거시스템용 필터링장치
CN101108258B (zh) 光催化空气净化器
KR101813843B1 (ko) 하수슬러지 건조시 발생하는 분진제거장치
KR101998872B1 (ko) 휘발성유기화합물 처리용 흡착탑
KR20150068553A (ko) 조선소를 포함하는 대형 도장시설에서 발생되는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처리 시스템 및 처리 방법
KR102517007B1 (ko) 이동형 탈취 유닛 및 이동형 탈취 장치
CN209771789U (zh) 一种电化学协同光催化有机废气处理装置
CN210814718U (zh) 一种VOCs处理装置
CN201123912Y (zh) 光催化空气净化器
CN211159171U (zh) 一种火化机尾气处理装置
CN211659684U (zh) 化学过滤和高能离子光催化组合除臭装置
CN207856604U (zh) 一种有机废气处理装置
CN208599457U (zh) 污水处理站臭气处理装置
KR200418104Y1 (ko) 카트리지방식 유해가스 여과장치
JP4973817B2 (ja) 揮発性有機化合物の除去・回収方法
KR101791583B1 (ko) 악취 제거 장치용 내부카트리지
JP5441485B2 (ja) 揮発性有機物処理装置及び揮発性有機物処理方法
CN213286163U (zh) 一种橡胶生产用废烟净化设备
KR101937966B1 (ko) 건식 탈취기
CN211635720U (zh) 一种用于吸附油烟的过滤桶和用于纺织印染定型机的尾气处理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