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9941B1 - Cleaning method of composite filter mounted smart air purification vehicle having function of air fine dust removal - Google Patents

Cleaning method of composite filter mounted smart air purification vehicle having function of air fine dust remov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9941B1
KR102549941B1 KR1020210062415A KR20210062415A KR102549941B1 KR 102549941 B1 KR102549941 B1 KR 102549941B1 KR 1020210062415 A KR1020210062415 A KR 1020210062415A KR 20210062415 A KR20210062415 A KR 20210062415A KR 102549941 B1 KR102549941 B1 KR 1025499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purification
vehicle
air
mo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241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154896A (en
Inventor
전정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드웰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드웰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드웰링
Priority to KR10202100624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9941B1/en
Publication of KR202201548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489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99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994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HSTREET CLEANING; CLEANING OF PERMANENT WAYS; CLEANING BEACHES; DISPERSING OR PREVENTING FOG IN GENERAL CLEANING STREET OR RAILWAY FURNITURE OR TUNNEL WALLS
    • E01H1/00Removing undesirable matter from roads or like surfaces, with or without moistening of the surface
    • E01H1/08Pneumatically dislodging or taking-up undesirable matter or small objects; Drying by heat only or by streams of gas; Cleaning by projecting abrasive particles
    • E01H1/0827Dislodging by suction; Mechanical dislodging-cleaning apparatus with independent or dependent exhaust, e.g. dislodging-sweeping machines with independent suction nozzles ; Mechanical loosening devices working under vacu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27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 B01D46/0028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provided with antibacterial or antifungal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27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 B01D46/0032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using electrostatic forces to remove particles, e.g. electret fil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66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 B01D46/70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by acting counter-currently on the filtering surface, e.g. by flushing on the non-cake side of the filter
    • B01D46/71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by acting counter-currently on the filtering surface, e.g. by flushing on the non-cake side of the filter with pressurised gas, e.g. pulsed 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66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 B01D46/70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by acting counter-currently on the filtering surface, e.g. by flushing on the non-cake side of the filter
    • B01D46/72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by acting counter-currently on the filtering surface, e.g. by flushing on the non-cake side of the filter with backwash arms, shoes or nozzl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HSTREET CLEANING; CLEANING OF PERMANENT WAYS; CLEANING BEACHES; DISPERSING OR PREVENTING FOG IN GENERAL CLEANING STREET OR RAILWAY FURNITURE OR TUNNEL WALLS
    • E01H3/00Applying liquids to roads or like surfaces, e.g. for dust control; Stationary flushing devices
    • E01H3/02Mobile apparatus, e.g. watering-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20Air quality improvement or preservation, e.g. vehicle emission control or emission reduction by using catalytic converters
    • Y02A50/2351Atmospheric particulate matter [PM], e.g. carbon smoke microparticles, smog, aerosol particles, dus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화차량의 정화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하나의 구동부를 가지는 정화차량이 이동하면서 효율적으로 대기 및 노면을 정화하는 정화차량 및 정화방법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purifying a purification vehicle, and provides a purification vehicle and method for efficiently purifying air and a road surface while a purification vehicle having a single drive unit moves.

Description

초미세먼지 제거 기능을 가진 복합필터장착형 스마트 공기청정차량 정화방법 {CLEANING METHOD OF COMPOSITE FILTER MOUNTED SMART AIR PURIFICATION VEHICLE HAVING FUNCTION OF AIR FINE DUST REMOVAL}Complex filter-equipped smart air cleaning vehicle purification method with ultrafine dust removal function

본 발명은 정화차량의 정화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purifying a purification vehicle.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식별항목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본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식별항목에 기재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Unless otherwise indicated herein, material described in this heading is not prior art to the claims in this application, and is not admitted to be prior art by being described in this heading.

일반적으로 공기정화장치는 실내 또는 차량 내부와 같이 밀폐가능한 공간 내의 오염된 공기를 내부로 강제흡입하여 다양한 필터와 살균유닛을 통해 먼지, 유해물질 및 유해가스를 포집 제거한 후 정화공기를 다시 토출시키는 구조로 형성된다. 이러한 공기정화장치는 통상 예를 들어 천정이나 차체의 대시보드와 같은 일정한 장소에 고정 설치되므로, 공기정화가 필요한 현장으로 이동시켜 사용하는 데 한계가 있다.In general, an air purifier has a structure that forcibly sucks polluted air in a sealable space such as a room or inside a vehicle, collects and removes dust, harmful substances, and harmful gases through various filters and sterilization units, and then discharges purified air again. is formed with Since these air purifiers are usually fixed and installed in a certain place, such as, for example, a ceiling or a dashboard of a vehicle body, there is a limit to moving them to a site where air purification is required.

최근에는 이동차량에 공기정화유닛을 탑재하여 이동하면서 주변공기를 정화시키는 이동식 공기정화장치도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이동식 공기정화장치의 일 예로, 등록특허공보 제10-1827474호에는 필터의 오염도를 측정하여 필터의 청소시기와 교체시기를 작업자에게 시각적으로 알려주어 효율적인 필터 관리를 할 수 있는 흡입력이 향상된 에어젯팅 시스템 및 미세먼지 방출 억제 필터제어 시스템이 적용된 도로 분진흡입차가 개시된다. 또한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10668호에는 도로의 이물질 및 먼지 청소시 물을 이용하지 않고도 빠르고 신속하게 청소할 수 있고 작업효율이 향상되는 노면 청소 차량용 공기정화장치가 개시된다. 또한 등록특허공보 제10-1715391호에는 보조 구동 엔진의 매연 저감이 가능한 습식 노면 청소차가 개시된다.Recently, a mobile air purifying device for purifying surrounding air while moving by mounting an air purifying unit on a moving vehicle has also been developed. As an example of such a mobile air purifying device, Patent Registration No. 10-1827474 measures the degree of contamination of the filter and visually informs the operator of the cleaning and replacement time of the filter, so that the filter can be managed efficiently. A road dust suction vehicle to which a system and a fine dust emission suppression filter control system are applied is disclosed. In addition, Patent Publication No. 10-2010-0010668 discloses an air purifier for a road cleaning vehicle that can quickly and quickly clean foreign substances and dust on the road without using water and improves work efficiency. In addition, Patent Registration No. 10-1715391 discloses a wet road sweeper capable of reducing exhaust from an auxiliary driving engine.

그러나 종래의 이동식 공기정화장치는 단순히 필터의 오염도를 시각적으로 확인 가능함으로써 청소시기와 교환시기를 쉽게 알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는 데 그치고 있어, 정화차량이 효율적으로 이동하여 대기를 정화시키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However, conventional mobile air purifiers simply provide the effect of easily knowing the cleaning time and replacement time by visually confirming the pollution level of the filter, so there is a limit to the efficient movement of the purification vehicle to purify the air. there is.

또한 종래의 이동식 공기정화장치는 노면이나 대기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정화를 수행할 뿐 노면과 대기를 동시에 정화하지 않아 노면과 대기를 동시에 정화시키는 데에 한계가 있다.In addition, conventional mobile air purifiers perform purification by selecting either the road surface or the air, but do not purify the road surface and the air at the same time, so there is a limit to simultaneously purifying the road surface and the air.

또한 종래의 이동식 공기정화장치는 정화를 위한 흡입력을 생성하기 위해 차량 엔진과는 별도로 보조 구동엔진을 사용하므로, 하나의 차량 엔진을 사용하여 차량의 이동과 정화를 동시에 수행하는 데에 한계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conventional mobile air purifier uses an auxiliary drive engine separate from the vehicle engine to generate suction power for purification, there is a limit to simultaneously performing vehicle movement and purification using one vehicle engine.

등록특허공보 제10-1827474호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1827474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10668호Publication No. 10-2010-0010668 등록특허공보 제10-1715391호에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1715391

본 발명은 일 실시예를 통하여, 하나의 구동부를 가지는 정화차량이 이동하면서 효율적으로 대기 및 노면을 정화하는 정화차량 및 정화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urifying vehicle and a purifying method for efficiently purifying air and a road surface while the purifying vehicle having one drive unit moves.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오염된 영역을 정화하는 정화차량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정화의 대상이 될 목표영역을 설정하는 영역설정단계; 상기 목표영역의 오염도에 따라 목표영역 간의 순위를 설정하는 순위설정단계; 및 상기 설정된 순위에 따라 상기 목표영역을 연결하는 노선을 설정하는 노선설정단계;를 포함하는 정화차량의 정화방법을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ntrol method for a purification vehicle including a drive unit generating power and purifying a contaminated area, comprising: an area setting step of setting a target area to be cleaned; a ranking setting step of setting a ranking among target areas according to the degree of contamination of the target area; and a route setting step of setting a route connecting the target area according to the set rank.

상기 노선설정단계는 상기 정화차량이 상기 구동부를 이용하여 이동함에 따라 상기 구동부에 의해 상기 노선이 설정될 수 있다.In the route setting step, the route may be set by the driving unit as the purification vehicle moves using the driving unit.

상기 노선설정단계는 상기 목표영역의 오염도가 기준치를 초과한 경우, 상기 정화차량이 상기 오염도가 기준치를 초과한 목표영역에 최단시간 내에 도달하도록 노선이 설정될 수 있다.In the route setting step, when the contamination level of the target area exceeds a reference value, the route may be set such that the purification vehicle reaches the target area in which the pollution level exceeds the reference value within the shortest time.

상기 노선설정단계는 상기 목표영역의 오염도가 기준치를 초과하지 않은 경우, 상기 정화차량이 상기 구동부를 이용하여 이동함에 따라 상기 구동부에 가해지는 부하량을 최소화하도록 노선이 설정될 수 있다.In the route setting step, when the contamination level of the target area does not exceed a reference value, a route may be set to minimize a load applied to the driving unit as the cleaning vehicle moves using the driving unit.

상기 정화차량이 이동함에 따라 상기 구동부에 가해지는 부하량이 기준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정화차량은 주위 대기에 살수될 수 있다.When the amount of load applied to the driving unit exceeds a reference value as the purification vehicle moves, the purification vehicle may spray water into the surrounding atmosphere.

또한, 본 발명은 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오염된 목표영역을 정화하는 정화차량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정화차량 주위 대기가 상기 구동부의 동력을 사용하여 정화되는 제1정화단계 및 상기 정화차량의 하방에 위치한 노면이 상기 구동부의 동력을 사용하여 정화되는 제2정화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정화단계 및 상기 제2정화단계 중 하나 이상이 수행됨에 따라 상기 목표영역이 정화되는 정화단계; 및 상기 정화단계 시작 이후에 수행되며, 상기 정화단계에서 상기 구동부에 가해지는 부하량보다 크기가 작은 부하량이 상기 구동부에 가해지는 부하감소단계;를 포함하는 정화차량의 제어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상술한 과제를 해결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controlling a purification vehicle including a driving unit generating power and purifying a contaminated target area, wherein a first purification step is performed in which the air around the purification vehicle is purified by using power of the driving unit; and a second purification step in which a road surface located below the purification vehicle is purified using the power of the drive unit, and the target area is purified as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purification steps is performed. step; and a load reducing step in which a load smaller than the load applied to the drive unit in the purification step is applied to the drive unit, which is performed after the start of the purification step. Solve it.

상기 제1정화단계는 상기 정화차량 주위의 대기를 흡입하여 제1필터를 통과시킨 후 배출하는 제1흡입모션; 상기 흡입된 대기로부터 전기를 이용하여 이물질을 제거하는 전기집진모션; 및 상기 흡입된 대기를 살균하는 살균모션;이 수행되며, 상기 전기집진모션 및 상기 살균모션은 상기 구동부에 의해 상기 정화차량이 이동함에 따라 상기 구동부에 가해지는 부하량과 상기 구동부에 의해 상기 제1흡입모션의 수행됨에 따라 상기 구동부에 가해지는 부하량의 합의 크기에 따라 선택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The first purifying step may include a first suction motion of sucking air around the purifying vehicle, passing it through a first filter, and then discharging it; An electric dust collection motion for removing foreign substances from the sucked air using electricity; and a sterilization motion for sterilizing the sucked air, wherein the electric dust collection motion and the sterilization motion depend on the load applied to the drive unit as the purification vehicle moves by the drive unit and the first suction by the drive unit. As the motion is performed, it may be selectively performed according to the magnitude of the sum of loads applied to the driving unit.

상기 정화차량은 상기 노면을 정화하도록 승하강 운동을 하는 노즐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정화단계는 상기 노면 상의 이물질이 포함된 공기를 흡입하여 제2필터를 통과시킨 후 배출하는 제2흡입모션; 상기 노즐체가 상기 노면으로 하강하는 하강모션; 및 상기 노즐체가 상기 노면으로부터 승강하는 승강모션;이 수행될 수 있다.The purifying vehicle includes a nozzle unit that moves up and down to purify the road surface, and the second purifying step includes a second suction motion for sucking air containing foreign substances on the road surface, passing it through a second filter, and then discharging it; a descending motion in which the nozzle body descends to the road surface; and an elevation motion in which the nozzle body ascends and descends from the road surface.

상기 정화차량은 상기 대기를 이동시켜 상기 제1필터를 통과시키는 제1송풍팬; 및 상기 노면의 이물질이 포함된 공기를 이동시켜 상기 제2필터를 통과시키는 제2송풍팬;을 포함하며, 상기 부하감소단계는 상기 제1송풍팬 및 상기 제2송풍팬이 기준치 이하로 회전하는 저회전모션; 및 공기탱크에 미리 저장된 압축공기를 상기 제2필터에 분사하여 상기 제2필터로부터 이물질을 분리시키는 블로우모션;이 수행되는 냉각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purification vehicle may include a first blowing fan that moves the air to pass through the first filter; and a second blowing fan for moving the air containing the foreign substances on the road surface and passing the second filter, wherein the load reducing step rotates the first blowing fan and the second blowing fan below a reference value. low rotational motion; and a blow motion of separating foreign substances from the second filter by spraying compressed air previously stored in an air tank to the second filter.

상기 부하감소단계는 상기 구동부에 의해 압축공기가 상기 공기탱크에 미리 저장되는 충전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load reducing step may include a charging step in which compressed air is previously stored in the air tank by the driving unit.

상기 정화차량의 이동구간은 내리막 및 평지로 이루어진 제1구간; 제1경사의 오르막으로 이루어진 제2구간; 및 상기 제1경사보다 더 큰 제2경사의 오르막으로 이루어진 제3구간;을 포함하며, 상기 충전단계는 상기 정화차량이 상기 제1구간을 이동할 때에만 수행될 수 있다.The moving section of the purification vehicle includes a first section consisting of downhill and flat ground; The second section consisting of the uphill slope of the first slope; and a third section consisting of an uphill slope of a second slope greater than the first slope, wherein the charging step may be performed only when the cleaning vehicle moves through the first section.

또한, 본 발명은 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오염된 목표영역 및 상기 목표영역 상호간을 연결하는 노선 중 하나 이상을 정화하는 정화차량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정화차량이 상기 노선을 따라 이동하는 동작에 의해 상기 구동부에 가해지는 부하량에 대한 정보를 외부로부터 수신하는 정보수신단계; 상기 구동부의 동력을 이용하여 상기 정화차량 주위를 정화하는 정화단계; 및 상기 정화단계에서 상기 구동부에 가해지는 부하량보다 적은 부하량이 상기 구동부에 가해지는 부하감소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수신된 정보를 기초로 부하량을 판단한 후, 상기 정화단계 및 상기 부하감소단계 중 하나 이상의 수행 여부가 상기 판단된 부하량에 의존적으로 설정되는 제1설정단계; 및 상기 정화차량이 상기 노선을 따라 이동하는 동안, 상기 제1설정단계에서 수행 여부가 설정된 상기 정화단계 및 상기 부하감소단계 중 하나 이상이 적어도 한 번 수행되는 제1수행단계;를 포함하는 정화차량의 제어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상술한 과제를 해결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for controlling a purification vehicle that includes a drive unit generating power and purifies at least one of a contaminated target area and a route connecting the target areas, wherein the purification vehicle moves along the route. an information receiving step of receiving information about the amount of load applied to the driving unit by the operation of performing the operation; a purifying step of purifying the surroundings of the purifying vehicle by using the power of the driving unit; and a load reduction step in which a load amount smaller than the load applied to the drive unit in the purification step is applied to the drive unit, wherein after determining the load amount based on the received information, one of the purification step and the load reduction step A first setting step in which whether or not to perform the above is set depending on the determined load amount; and a first carrying out step of performing at least one of the purifying step and the load reducing step, for which execution or not is set in the first setting step, at least once while the purifying vehicle moves along the route. The above problems are solved by providing a control method of.

상기 정화단계는 제1송풍팬이 상기 정화차량 주위의 대기를 이동시켜 제1필터를 통과하도록 하는 제1정화단계; 및 제2송풍팬이 상기 노면의 이물질이 포함된 공기를 이동시켜 상기 제2필터를 통과하도록 하는 제2정화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설정단계는 상기 부하량의 크기에 따라 상기 제1정화단계, 상기 제2정화단계 및 부하감소단계 중 하나 이상의 수행여부가 설정될 수 있다. The purifying step may include a first purifying step in which a first blowing fan moves air around the purifying vehicle to pass through a first filter; and a second purification step in which a second blowing fan moves the air containing the foreign substances on the road surface to pass through the second filter, wherein the first setting step is perform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load. It may be set whether or not one or more of the step, the second purification step, and the load reduction step are performed.

상기 부하감소단계는 상기 제1송풍팬 및 상기 제2송풍팬이 기준치 이하로 회전하는 저(低)회전모션 및 공기탱크에 미리 저장된 압축공기를 상기 제2필터에 분사하여 상기 제2필터로부터 이물질을 분리시키는 블로우모션이 수행되는 냉각단계; 및 상기 공기탱크에 상기 구동부를 이용하여 압축공기를 미리 저장하는 저장모션이 수행되는 충전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In the load reducing step, the first blowing fan and the second blowing fan perform a low-rotation motion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blowing fans rotate below a reference value and inject compressed air previously stored in an air tank to the second filter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from the second filter. A cooling step in which a blow motion is performed to separate the; and a filling step of performing a storage motion of pre-storing compressed air in the air tank using the drive unit.

상기 제1설정단계는 상기 저회전모션이 상호 인접하여 순차적으로 수행되도록 설정된 두 개의 상기 정화단계 사이에서 수행되도록 설정되며, 상기 저회전모션 및 상기 저회전모션을 사이에 두고 수행되는 상기 상호 인접한 두 개의 정화단계가 순차적으로 수행되어 종료되면 상기 저장모션 또는 상기 블로우모션이 수행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The first setting step is set to be performed between the two purifying steps in which the low rotation motion is set to be sequentially performed adjacent to each other, and the low rotation motion and the two mutually adjacent two motions are performed with the low rotation motion interposed therebetween. It may be set to perform the storage motion or the blow motion when the dog purification steps are sequentially performed and completed.

상기 제1설정단계는 상기 부하량이 제1기준치를 초과하면, 성기 저회전모션 및 상기 저회전모션을 사이에 두고 수행되는 상기 상호 인접한 두 개의 정화단계가 순차적으로 수행되어 종료된 이후에 블로우모션이 수행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In the first setting step, when the load amount exceeds the first reference value, the genital low rotation motion and the two mutually adjacent purification steps performed with the low rotation motion interposed therebetween are sequentially performed and the blow motion is completed. can be set to perform.

상기 제1설정단계는 상기 블로우모션이 종료되면, 상기 저회전모션 및 상기 저회전모션을 사이에 두고 수행되는 상기 상호 인접한 두 개의 정화단계가 다시 수행된 이후 상기 저장모션이 수행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The first setting step may be set so that when the blow motion ends, the storage motion is performed after the low rotation motion and the two mutually adjacent purification steps performed with the low rotation motion interposed therebetween are performed again. .

상기 정화단계는 제1송풍팬이 상기 정화차량 주위의 대기를 이동시켜 제1필터를 통과하도록 하는 제1정화단계; 제2송풍팬이 상기 노면의 이물질이 포함된 공기를 이동시켜 상기 제2필터를 통과하도록 하는 제2정화단계; 및 상기 구동부를 이용하여 상기 정화차량 주위에 살수하는 제3정화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설정단계는 상기 부하량이 제1기준치를 초과하면, 성기 저회전모션 및 상기 저회전모션을 사이에 두고 수행되는 상기 상호 인접한 두 개의 정화단계가 순차적으로 수행되어 종료된 이후에 블로우모션이 수행되도록 설정되며, 상기 부하량이 상기 제1기준치보다 더 큰 제2기준치를 초과하면, 상기 제3정화단계 및 상기 부하감소단계 중 하나 이상이 수행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The purifying step may include a first purifying step in which a first blowing fan moves air around the purifying vehicle to pass through a first filter; a second purification step in which a second blower fan moves air containing foreign substances on the road surface to pass through the second filter; and a third purifying step of spraying water around the purifying vehicle by using the driving unit, wherein the first setting step is to set the low rotation motion of the genitalia and the low rotation motion in between when the load exceeds a first reference value. The blow motion is set to be performed after the two mutually adjacent purifying steps are sequentially performed and finished, and when the load exceeds a second reference value greater than the first reference value, the third purifying step and One or more of the load reduction steps may be set to be performed.

상기 제3정화단계 종료 후 상기 제2필터의 막힘이 감지되면, 상기 제1부하량이 상기 제1기준치보다 낮게 형성될 수 있는 노선이 설정될 수 있다.When clogging of the second filter is detected after the third purification step is finished, a route in which the first load amount is lower than the first reference value may be set.

상기 제1부하량이 상기 제1기준치보다 낮게 형성되는 노선이 설정되면, 상기 노선을 따라 상기 정화차량이 이동하면서 상기 공기탱크에 상기 구동부를 이용하여 압축공기를 미리 저장하는 저장모션이 수행될 수 있다.When a route in which the first load amount is lower than the first reference value is set, a storage motion of pre-storing compressed air in the air tank using the driving unit may be performed while the purification vehicle moves along the route. .

상기 정화차량이 상기 목표영역에 도착하면, 상기 정화차량이 상기 목표영역 내부에서 이동하는 동작에 의해 상기 구동부에 가해지는 부하량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정화차량에 마련된 부하량측정부를 이용하여 측정하는 정보측정단계; 상기 측정된 부하량을 판단한 후, 상기 정화단계 및 상기 부하감소단계 중 하나 이상의 수행 여부가 상기 판단된 부하량에 의존적으로 설정되는 제2설정단계; 및 상기 정화차량이 상기 목표영역 내부에서 이동하는 동안, 상기 제2설정단계에서 수행 여부가 설정된 상기 정화단계 및 상기 부하감소단계 중 하나 이상이 적어도 한 번 수행되는 제2수행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When the cleaning vehicle arrives at the target area, an information measuring step of measuring information on a load applied to the drive unit by an operation of the cleaning vehicle moving inside the target area using a load measuring unit provided in the cleaning vehicle. ; a second setting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o perform at least one of the purifying step and the load reducing step after determining the measured load amount depending on the determined load amount; and a second performing step in which at least one of the purifying step and the load reducing step, for which execution is set in the second setting step, is performed at least once while the purifying vehicle is moving inside the target area. there is.

또한, 본 발명은 물품을 적재할 수 있는 적재부가 구비된 차량; 상기 적재부에 구비되며, 상기 차량 주위 대기를 흡입하여 정화하는 상단정화부; 상기 적재부에 구비되며, 상기 차량 하방에 위치한 노면 상의 이물질이 포함된 공기를 흡입하여 정화하는 하단정화부;를 포함하며, 상단정화부는 대기가 유입되는 상단흡입부; 상기 상단흡입부로부터 유입된 공기로부터 이물질을 제거하며, 상기 이물질이 제거된 공기를 선택적으로 살균하도록 형성되는 상단집진부; 상기 상단집진부로부터 배출된 흡입하여 상기 차량의 외부로 배출하는 상단배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화차량을 제공함으로써 상술한 과제를 해결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 vehicle equipped with a loading unit capable of loading goods; an upper purifying unit provided in the loading unit and sucking and purifying air around the vehicle; It is provided in the loading part and includes a lower purifying unit for sucking in and purifying air containing foreign substances on the road surface located below the vehicle, and includes an upper purifying unit, and an upper suction unit through which atmospheric air is introduced; an upper dust collector formed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from the air introduced from the upper suction part and selectively sterilize the air from which the foreign substances are removed; The above object is solved by providing a purification vehicle comprising a; upper discharge unit for discharging the suction discharged from the upper dust collecting unit to the outside of the vehicle.

상기 상단배출부는 상기 상단집진부와 연통하며, 상기 상단집진부의 공기를 상방으로 안내하도록 형성되는 상단송풍덕트; 상기 상단송풍덕트 내부의 공기를 이동시켜 상기 상단집진부의 공기를 상단송풍덕트로 유입시키는 상단송풍부; 상기 상단송풍덕트의 상단부에 상하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가상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결합하는 제1상단배출덕트; 상기 제1상단배출덕트에 상하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결합하는 제2상단배출덕트;를 포함할 수 있다.an upper blowing duct communicating with the upper dust collection unit and guiding the air of the upper dust collection unit upward; an upper blower unit that moves the air inside the upper blower duct and introduces the air of the upper dust collector into the upper blower duct; a first upper discharge duct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upper blowing duct so as to rotate about a virtual axis of rotation extending in a vertical direction; A second upper discharge duct coupled to the first upper discharge duct to rotate vertically.

상기 상단배출부는 상기 제2상단배출덕트의 말단에 구비되어 물을 분사하도록 형성되는 물분사부; 물을 저장하여 상기 물분사부로 공급하는 물공급부; 상기 물공급부로부터 상기 물분사부까지 물을 안내하는 유로부; 및 상기 제1상단배출덕트 및 상기 제1상단배출덕트 각각에 구비되어 상기 유로부를 지지하는 유로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upper discharge unit is provided at the end of the second upper discharge duct and is formed to spray water; a water supply unit that stores water and supplies it to the water spray unit; a passage part for guiding water from the water supply part to the water spray part; and a passage support portion provided at each of the first upper discharge duct and the first upper discharge duct to support the passage portion.

상기 유로지지부는 상기 제1상단배출덕트에 구비되며, 상기 유로부가 고정 지지되는 제1지지링부; 상기 제2상단배출덕트에 구비되며, 상기 유로부가 고정 지지되는 제2지지링부; 상기 제1상단배출덕트에 결합하는 제1탄성체; 상기 제2상단배출덕트에 결합하는 제2탄성체; 및 일측이 제1탄성체에 의해 지지되고 타측이 제2탄성체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유로부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3지지링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flow path support part is provided in the first upper discharge duct, and the flow path part is fixedly supported by a first support ring part; a second support ring part provided in the second upper discharge duct and fixedly supporting the flow path part; a first elastic body coupled to the first upper discharge duct; a second elastic body coupled to the second upper discharge duct; and a third support ring having one side supported by the first elastic body and the other side supported by the second elastic body, and movably supporting the passage portion.

상기 상단배출부는 상기 상단송풍덕트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제1상단배출덕트의 외주면과 치형 결합하여 상기 제1상단배출덕트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덕트회전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upper discharge unit may further include a duct rotating device provided at one side of the upper ventilation duct and transmitting rotational force to the first upper discharge duct by being tooth-shapedly engaged with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upper discharge duct.

또한, 본 발명은 물품을 적재할 수 있는 적재부 및 상기 적재부의 선단에 연결되어 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가 구비된 차량; 상기 적재부에 구비되며, 상기 차량 주위 대기를 흡입하여 정화하는 상단정화부; 상기 적재부에 구비되며, 상기 차량 하방에 위치한 노면 상의 이물질이 포함된 공기를 흡입하여 정화하는 하단정화부;를 포함하며, 상기 상단정화부는 유입된 공기로부터 이물질을 제거하며, 상기 이물질이 제거된 공기를 선택적으로 살균하도록 형성되는 상단집진부; 및 상기 적재부에 의해 자중이 지지되며, 상기 상단집진부의 후방에 위치하며, 상기 상단집진부로부터 배출된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차량의 외부로 배출하는 상단배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하단정화부는 상기 노면 상의 이물질이 포함된 공기가 유입되도록 형성되는 하단흡입부; 상기 상단배출부의 후방에 구비되며, 상기 하단흡입부로부터 전달된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하단집진부; 및 상기 하단집진부로부터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차량의 외부로 배출하는 하단배출부;를 포함하는 정화차량을 제공함으로써 상술한 과제를 해결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 vehicle equipped with a loading unit capable of loading articles and a driving unit connected to the front end of the loading unit to generate power; an upper purifying unit provided in the loading unit and sucking and purifying air around the vehicle; and a lower purifying unit provided in the loading unit and configured to suck in and purify air containing foreign substances on the road surface located below the vehicle, wherein the upper purifying unit removes foreign substances from the inflow air, and removes foreign substances from the air. an upper dust collector formed to selectively sterilize air; And an upper discharge unit whose weight is supported by the loading unit, located at the rear of the upper dust collection unit, and sucking in the air discharged from the upper dust collection unit and discharging it to the outside of the vehicle. A lower suction part formed to introduce air containing foreign substances on the road surface; a lower dust collector provided behind the upper discharge unit and removing foreign substances contained in the air delivered from the lower suction unit; and a lower discharge unit for sucking air from the lower dust collection unit and discharging the air to the outside of the vehicle.

상기 상단배출부는 상기 상단집진부와 연통하며, 상기 상단집진부의 공기를 상방으로 안내하도록 형성되는 상단송풍덕트; 및 상기 상단집진부의 후방에 구비되며, 상기 상단송풍덕트 내부에 구비되는 상단송풍팬을 회전시켜 상기 상단집진부의 공기를 상단송풍덕트로 유입시켜 상기 상단배출부로 전달하는 상단송풍부;를 포함하며, 상기 하단배출부는 상기 상단송풍덕트의 후방에 구비되어 상기 하단집진부와 연통하며, 상기 하단집진부의 공기를 상방으로 안내하도록 형성되는 하단송풍덕트; 및 상기 하단송풍덕트 내부에 구비되는 하단송풍팬을 회전시켜 상기 하단집진부의 공기를 하단송풍덕트로 유입시키는 하단송풍부;를 포함할 수 있다.an upper blowing duct communicating with the upper dust collection unit and guiding the air of the upper dust collection unit upward; And an upper blower provided at the rear of the upper dust collector and rotating an upper blower fan provided inside the upper blower duct to introduce the air of the upper dust collector into the upper blower duct and deliver it to the upper discharge unit; Including, The lower discharge unit is provided at the rear of the upper blowing duct and communicates with the lower dust collecting unit, and the lower blowing duct is formed to guide the air of the lower dust collecting unit upward; and a lower blowing unit for introducing air from the lower dust collecting unit into the lower blowing duct by rotating a lower blowing fan provided inside the lower blowing duct.

상기 상단송풍부는 상기 상단송풍팬이 제1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상단송풍팬에 동력을 전달하며, 상기 하단송풍부는 상기 하단송풍팬이 제2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하단송푼팬에 동력을 전달하며, 상기 제1회전축 및 상기 제2회전축은 상호 평행할 수 있다.The upper blower unit transfers power to the upper blower fan so that the upper blower fan rotates around a first rotational axis, and the lower blower unit powers the lower blower fan so that the lower blower fan rotates around a second rotational axis. and the first rotational axis and the second rotational axis may be parallel to each other.

상기 적재부는 상기 차량구동부에 결합하는 전면과, 상기 전면의 반대편에 위치한 후면과, 전면과 후면을 연결하는 한 쌍의 측면을 포함하며, 상기 제1회전축은 상기 한 쌍의 측면 중 일 측면에 인접하고, 상기 제2회전축은 상기 한 쌍의 측면 중 타 측면에 인접할 수 있다.The loading unit includes a front surface coupled to the vehicle driving unit, a rear surface positioned opposite the front surface, and a pair of side surfaces connecting the front and rear surfaces, and the first rotating shaft is adjacent to one side surface of the pair of side surfaces. And, the second rotating shaft may be adjacent to the other side of the pair of side surfaces.

상기 하단배출부는 상기 하단송풍덕트와 연통하며 상방으로 연장되는 하단배출덕트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상단배출덕트는 공기를 후방으로 배출하며, 상기 하단배출덕트는 공기를 상방으로 배출하며, 상기 제2상단배출덕트보다 상기 한 쌍의 측면 중 타 측면에 더 가까울 수 있다.The lower discharge unit further includes a lower discharge duct communicating with the lower blower duct and extending upward, the second upper discharge duct discharges air to the rear, and the lower discharge duct discharges air upward; It may be closer to the other side of the pair of sides than the second upper discharge duct.

상기 하단집진부는 상기 하단흡입부와 연통하는 제1가이드덕트; 상기 상단송풍덕트의 후방에 구비되며, 상기 제1가이드덕트를 통해 전달된 공기로부터 이물질을 제거하는 필터부; 및 상기 필터부를 통과한 공기를 상기 하단송풍덕트로 안내하는 제2가이드덕트;를 포함하며, 상기 제1가이드덕트는 상기 상단송풍덕트 및 상기 필터부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제2가이드덕트는 상기 필터부의 상방 및 상기 하단송풍덕트의 후방에 구비될 수 있다.a first guide duct communicating with the lower suction part; a filter unit provided behind the upper ventilation duct and removing foreign substances from the air transmitted through the first guide duct; and a second guide duct for guiding the ai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it to the lower blowing duct, wherein the first guide duct is provided between the upper blowing duct and the filter unit, and the second guide duct is It may be provided above the filter unit and at the rear of the lower blower du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하나의 구동부를 가지는 정화차량이 이동하면서 효율적으로 대기 및 노면을 정화하는 효과를 제공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le the purification vehicle having one drive unit moves, it provides an effect of efficiently purifying the air and the road surface.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정화차량이 현재위치로부터 하나 이상의 목표영역까지 효율적으로 이동하면서 정화를 수행하도록 정화차량을 안내하는 노선을 설정하효과를 제공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effect of setting a route for guiding the purification vehicle to perform purification while efficiently moving from the current location to one or more target areas is provided.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정화차량이 하나의 구동부의 동력을 이용하여 대기 및 노면을 정화하는 경우 구동부에 과부하가 가해지는 것을 예방하기 위해서 구동부의 부하량을 일시적으로 감소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purification vehicle purifies the air and the road surface by using the power of one drive unit, an effect of temporarily reducing the load of the drive unit is provided to prevent overload on the drive unit. do.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정화차량이 노선의 경사도 등 노선을 따라 이동할 때 예상되는 부하량에 대한 정보를 외부로부터 미리 수신하고, 수신된 부하량을 고려하여 구동부에 과부하가 가해지지 않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purification vehicle moves along the route, such as the slope of the route, information on the load expected to be received from the outside in advance, and considering the received load, the driving unit is not overloaded. provide effect.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정화차량의 배출덕트에 연결되어 물을 공급하는 유로부의 처짐 및 꼬임을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connected to the discharge duct of the purification vehicle to provide an effect of preventing sagging and twisting of the passage part supplying water.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대기를 정화하기 위한 상단정화부와 노면을 정화하는 하단정화부를 차량의 적재부 상에 효율적으로 배치하여 차량의 전체적인 크기를 줄이는 효과를 제공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upper purifying unit for purifying the air and a lower purifying unit for purifying the road surface are efficiently disposed on the loading part of the vehicle, thereby providing an effect of reducing the overall size of the vehicl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화차량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도시된 정화차량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서 도시된 정화차량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후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서 도시된 정화차량의 상단배출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상단배출부에 유로부가 지지되는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1에서 도시된 정화차량의 하단정화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은 하단집진부의 필터부 및 필터부에 공기를 분사하여 이물질을 털어내는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는 정화방법을 수행하는 정화차량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정화차량의 오염도 측정부 및 목표영역에 설치된 오염도 측정 센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정화차량의 정화를 위한 노선설정을 설명하기 위해 지도 상에 정화차량의 현재 위치 및 정화의 대상이 되는 목표영역이 나타나도록 한 도면이다.
도 12 및 도 13은 노선설정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노선설정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5는 설정된 노선을 따라 이동하면서 정화를 수행하고, 목표영역에 도착한 후 목표영역을 정화하는 정화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6은 하나의 구동부를 이용하여 효율적으로 정화하는 정화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1 is a sid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purification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e purification vehicle shown in FIG. 1 .
3 is a rear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e purification vehicle shown in FIG. 1;
FIG. 4 is a view showing an upper discharge portion of the purification vehicle shown in FIG. 1;
5 is a view explaining a structure in which a flow path part is supported by an upper discharge part.
FIG. 6 is a view showing a lower purifying part of the purifying vehicle shown in FIG. 1 .
7 and 8 are diagrams illustrating a filter unit of a lower dust collection unit and a structure in which air is sprayed into the filter unit to shake off foreign substances.
9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urification vehicle performing a purification method.
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ollution level measuring unit of a purification vehicle and a pollution level measuring sensor installed in a target area.
FIG. 11 is a diagram showing the current location of the purification vehicle and a target area to be purified on a map in order to explain route setting for purification of the purification vehicle.
12 and 13 are diagrams illustrating an example of route setting.
1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route setting method.
1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urification method of performing purification while moving along a set route and purifying the target area after arriving at the target area.
1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urification method for efficiently purifying using one drive unit.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며,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와 다르게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 및 구체적인 도시를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제 축척대로 도시된 것이 아니라 일부 구성요소의 치수가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are shown by way of example to aid understanding of the invention, and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variously modified and implemented differently from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However,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component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detailed illustra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not drawn to an actual scale to aid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dimensions of some components may be exaggerated.

본 출원에서 사용되는 제1, 제2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The first and second terms used in this application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또한, 본 출원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권리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이루어진다" 또는 "구성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의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의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addition, terms used in this appl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rights.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consist of" or "consist of" are intended to indicate that there is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one o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does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more other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화차량(1)을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화차량(1)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측면도이며, 도 2는 도 1에서 도시된 정화차량(1)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평면도이며, 도 3은 도 1에서 도시된 정화차량(1)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후면도이며, 도 4는 도 1에서 도시된 정화차량(1)의 상단배출부(13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A purification vehicl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4 . 1 is a sid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purification vehicl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e purification vehicle 1 shown in FIG. 1, and FIG. 4 is a rear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e purification vehicle 1 shown in FIG. 4 is a view showing the upper discharge unit 130 of the purification vehicle 1 shown in FIG.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화차량(1)은 정화차량(1)을 이동시키기 위해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10), 구동부(10) 후단에 결합하며 화물이나 장치가 적재되도록 형성되는 적재부(30), 적재부(30)에 구비되며 차량 주위 대기를 흡입하여 정화하는 상단정화부(100), 적재부(30)에 구비되며 차량 하방에 위치한 노면 상의 이물질이 포함된 공기를 흡입하여 정화하는 하단정화부(200), 물을 저장하여 공급하는 물공급부(40), 구동부(10)의 동력을 상단정화부(100)나 하단정화부(200) 등이 사용할 수 있도록 변환하여 전달하는 동력전환부(20),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전달하는 제어부(50)를 포함한다. 1 to 4, the cleaning vehicl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a driving unit 10 that provides a driving force to move the cleaning vehicle 1, and a rear end of the driving unit 10, and carries cargo. A loading part 30 formed to load or a device, a top purifying part 100 provided in the loading part 30 and sucking and purifying the air around the vehicle, and a road surface provided in the loading part 30 and located below the vehicle The lower purifying unit 200 that sucks and purifies air containing foreign substances, the water supply unit 40 that stores and supplies water, and converts the power of the drive unit 10 to the upper purifying unit 100 or the lower purifying unit 200, etc. It includes a power conversion unit 20 that converts and transmits so that it can be used, and a control unit 50 that generates and transmits a control signal.

여기서, 정화차량(1)은 이동 또는 정지상태에서 상단정화부(100) 및 하단정화부(200)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대기 및 노면 중 하나 이상을 정화한다. 그리고 정화차량(1)은 본 명세서에서 공기청정차량(1)으로도 지칭된다. Here, the purifying vehicle 1 purifies at least one of the air and the road surface by using at least one of the upper purifying unit 100 and the lower purifying unit 200 in a moving or stationary state. And the purification vehicle 1 is also referred to as an air cleaning vehicle 1 in this specification.

구동부(10)는 내연기관, 전기모터 등 차량에 동력을 제공하는 장치이면 제한이 없이 사용될 수 있다. 정화차량(1)이 이동하거나 정화를 수행할 때에는 구동부(10)의 동력을 사용하므로 구동부(10)에 부하량이 가해진다. 구동부(10)에 가해지는 부하량 즉, 정화차량(1)에 가해지는 부하량은 정화차량(1)이 이동하는 노선의 오르막 경사도가 높을수록 증가한다. 또한 정화차량(1)에 가해지는 부하량은 상단정화부(100) 및 하단정화부(200)의 전체 흡입력이 높을수록 증가한다. 정화차량(1)에는 단일한 구동부(10)가 구비되며, 하나의 구동부(10)를 이용하여 정화차량(1)의 이동 및 정화차량(1)의 정화가 수행된다. The driving unit 10 may be used without limitation as long as it is a device that provides power to a vehicle, such as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or an electric motor. When the purification vehicle 1 moves or purifies, power of the driving unit 10 is used, so a load is applied to the driving unit 10 . The amount of load applied to the driving unit 10, that is, the amount of load applied to the cleaning vehicle 1 increases as the uphill slope of the route along which the cleaning vehicle 1 moves increases. In addition, the amount of load applied to the purification vehicle 1 increases as the total suction power of the upper purifying unit 100 and the lower purifying unit 200 increases. The purification vehicle 1 is provided with a single drive unit 10, and the purification vehicle 1 is moved and cleaned by using the single drive unit 10.

상단정화부(100)는 외기를 흡입하는 상단흡입부(110), 상단흡입부(110)로부터 유입된 공기로부터 이물질을 제거하며 이물질이 제거된 공기를 선택적으로 살균하도록 형성되는 상단집진부(120), 상단집진부(120)로부터 배출된 흡입하여 차량의 외부로 배출하는 상단배출부(130)를 포함한다.The upper purifying unit 100 includes an upper suction unit 110 that sucks outside air, and an upper dust collecting unit 120 formed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from the air introduced from the upper suction unit 110 and selectively sterilize the air from which the foreign substances are removed. , Including the upper discharge unit 130 for discharging to the outside of the vehicle by suction discharged from the upper dust collection unit 120.

상단흡입부(110)는 구동부(10)의 후방에 구비되며, 상단흡입부(110)를 통해 흡입된 공기는 차량의 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The upper suction unit 110 is provided at the rear of the driving unit 10, and the air sucked through the upper suction unit 110 moves to the rear of the vehicle.

상단집진부(120)는 적재부(30)에 구비되며, 프리필터(pre-filter)부(121), 전기집진부(122) 및 공기살균부(123)를 포함한다. The upper dust collection unit 120 is provided in the loading unit 30 and includes a pre-filter unit 121, an electric dust collection unit 122, and an air sterilization unit 123.

프리필터(pre-filter)부는 상단흡입부(110)를 통해 유입된 공기로부터 최초로 이물질을 제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프리필터부(121)는 기계적인 집진기술에 의해 제작되는 필터일 수 있으며, 전기집진부(122)에 비해 비교적 큰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pre-filter unit serves to first remove foreign substances from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upper intake unit 110 . The pre-filter unit 121 may be a filter manufactured by a mechanical dust collecting technique, and may remove relatively large foreign substances compared to the electric dust collecting unit 122, but is not limited thereto.

전기집진부(122)는 전력을 공급받아 프리필터부(121)를 통과한 공기로부터 이물질을 2차 제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전기집진기는 정전력(精電力)을 이용하여 분진 및 mist 등의 입자들을 코로나 방전에 의해 하전시켜, 전계에 의해서 집진전극 표면으로 이동 포진하는 장치로서 중유연소 보일러를 비롯하여 발전소, 시멘트소성로, 유리용해로, 제철제강로, 소각로 등 주로 다량의 분진이 배출되는 곳에 오염물질을 제거하는데 효율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정전기력에 의해서 포집하기 때문에 기계적인 집진기술에 비해 입경이 10-20㎛보다 작은 입자의 제진에 효과적이다. 또한 먼지의 성상에 따른 영향이 적어서 많은 문제가 일어나지 않고 장기간 운전이 가능하다. 공해방지에서부터 유기물의 회수, 제품의 품질향상, 공기조화 등 환경보전과 공업생산의 분야에서 매우 광범위하게 채용되고 있다.The electric precipitator 122 serves to secondarily remove foreign substances from the ai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pre-filter 121 by receiving power. The electrostatic precipitator is a device that charges particles such as dust and mist by corona discharge using electrostatic power and moves them to the surface of the collecting electrode by the electric field. It is efficiently used to remove pollutants in places where a large amount of dust is mainly discharged, such as iron and steel making furnaces and incinerators. Since it is collected by electrostatic force, it is more effective in dust removal of particles smaller than 10-20㎛ compared to mechanical dust collection technology. am. In addition, since the effect of the properties of the dust is small, long-term operation is possible without causing many problems. It is widely used in the fields of environmental preservation and industrial production, such as pollution prevention, organic material recovery, product quality improvement, and air conditioning.

공기살균부(123)는 전력을 공급받아 전기집진부(122)를 거쳐 유입된 공기 속 미생물·박테리아·바이러스 등을 제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공기살균부(123)는 자외선(UV), 광촉매(Photocatalyst), 플라즈마 등을 이용하여 공기 속 살균을 수행할 수 있다. The air sterilization unit 123 receives power and serves to remove microbes, bacteria, viruses, etc. in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electrostatic precipitator 122. The air sterilization unit 123 may perform air sterilization using ultraviolet (UV) light, photocatalyst, plasma, and the like.

상단배출부(130)는 상단집진부(120)와 연통하며 상단집진부(120)의 공기를 상방으로 안내하도록 형성되는 상단송풍덕트(131), 상단송풍덕트(131) 내부의 공기를 이동시켜 상기 상단집진부(120)의 공기를 상단송풍덕트(131)로 유입시키는 상단송풍부(136), 상단송풍덕트(131)의 상단부에 상하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가상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결합하는 제1상단배출덕트(132), 제1상단배출덕트(132)에 상하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결합하는 제2상단배출덕트(133)를 포함한다.The upper discharge part 130 communicates with the upper dust collecting part 120 and moves the air inside the upper blowing duct 131 formed to guide the air of the upper dust collecting part 120 upward, and moves the air inside the upper blowing duct 131 to the upper part. The upper blower 136, which introduces the air of the dust collector 120 into the upper blower duct 131, and the upper end of the upper blower duct 131 are coupled to rotate about a virtual rotational axis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It includes an upper discharge duct 132 and a second upper discharge duct 133 coupled to the first upper discharge duct 132 to rotate vertically.

상단송풍덕트(131)는 내부에 상단송풍팬(미도시)을 수용하도록 형성되며, 공기살균부(123)와 연결되도록 전단부에 상단연결부가 구비된다. 상단연결부는 공기살균부(123)와 상단송풍부(136)를 상호간 연통시킨다.The upper blowing duct 131 is formed to accommodate an upper blowing fan (not shown) therein, and is provided with an upper connecting portion at the front end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air sterilizing unit 123. The upper connection unit communicates the air sterilizing unit 123 and the upper blowing unit 136 to each other.

상단송풍부(136)는 적재부(30)에 구비되는 브라켓에 의해 지지되며, 상단송풍팬에 동력을 전달한다. 상단송풍부(136)는 자전하는 제1회전축을 포함하며, 동력전환부(20)로부터 밸트 등을 통해 동력을 전달받도록 제1회전축상으로 연장 형성된다. The upper blower 136 is supported by a bracket provided on the loading part 30 and transmits power to the upper blower fan. The upper blower 136 includes a first rotating shaft that rotates, and extends along the first rotating shaft to receive power from the power conversion unit 20 through a belt or the like.

여기서 동력전환부(20)는 구동부(10)와 차량바퀴를 연결하는 차량회전축 상에 구비되어 차량회전축의 회전력을 필요한 형태의 동력, 전력 등으로 변환하여 각 장치에 전달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동력전환부(20)는 복수의 장치를 포함한 수 있다.Here, the power conversion unit 20 is provided on a vehicle rotational shaft that connects the driving unit 10 and the vehicle wheels, and converts the rotational force of the vehicle rotational shaft into necessary forms of power, electric power, etc., and transmits it to each device. Therefore, the power conversion unit 20 may include a plurality of devices.

상단송풍부(136)는 상단송풍팬(미도시)이 제1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동력전환부(20)로부터 전달받은 동력을 상단송풍팬에 전달한다.The upper blower 136 transmits the power received from the power conversion unit 20 to the upper blower fan so that the upper blower fan (not shown) rotates around the first rotating shaft.

제1상단배출덕트(132)는 상단송풍덕트(131)의 상단부에 자전 가능하게 결합하도록 형성된다. 제1상단배출덕트(132)는 외주에 치형이 형성되며, 상단송풍덕트(131)의 일측에 구비되는 덕트회전장치(135)와 치형 결합한다. 덕트회전장치(135)는 회전력을 발생시켜 제1상단배출덕트(132)가 자전하도록 제1상단배출덕트(132)에 전달한다.The first upper discharge duct 132 is formed to be rotatably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upper blowing duct 131 . The first upper discharge duct 132 has teeth formed on its outer circumference, and is tooth-coupled with the duct rotating device 135 provided on one side of the upper blowing duct 131. The duct rotating device 135 generates rotational force and transfers it to the first upper discharge duct 132 so that the first upper discharge duct 132 rotates.

제2상단배출덕트(133)는 제1상단배출덕트(132)에 상하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결합하도록 힌지부(137a)를 통해 결합한다. 이에 따라 제1상단배출덕트(132)는 지면에 수직이 되도록 유지되거나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축 상에서 자전을 한다. 제2상단배출덕트(133)는 지면에 수평이 되도록 유지되거나, 힌지부(137a)를 중심으로 상하방향으로 각각 대략 30정도 회전한다. The second upper discharge duct 133 is coupled to the first upper discharge duct 132 through a hinge portion 137a so as to rotate vertically. Accordingly, the first upper discharge duct 132 rotates on a rotating shaft that is maintained perpendicular to the ground or extends vertically. The second upper discharge duct 133 is maintained horizontally on the ground or rotates about 30 degrees in the vertical direction about the hinge part 137a.

제2상단배출덕트(133)는 작동실린더(137)부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제1상단배출덕트(132)에 대해 회전한다. 작동실린더(137)부는 길이방향으로 신장 및 수축할 수 있으며, 일단이 제1상단배출덕트(13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고 타단이 제2상단배출덕트(133)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한다.The second upper discharge duct 133 receives power from the operating cylinder 137 and rotates with respect to the first upper discharge duct 132 . The operating cylinder 137 can extend and contrac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one end is rotatably coupled to the first upper discharge duct 132 and the other end is rotatably coupled to the second upper discharge duct 133.

제2상단배출덕트(133)의 말단에는 말단커버(134)가 구비된다. 말단커버(134)는 덕트로 형성되며, 제2상단배출덕트(133)보다 단면적이 더 넓다. 말단커버(134) 내부에는 외부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말단커버(134) 외부로 분사할 수 있는 물분사부(139)가 구비된다. An end cover 134 is provided at an end of the second upper discharge duct 133. The end cover 134 is formed of a duct and has a larger cross-sectional area than the second upper discharge duct 133. The inside of the end cover 134 is provided with a water spraying unit 139 capable of receiving water from the outside and spraying it to the outside of the end cover 134 .

물분사부(139)는 물공급부(40)와 유로부(H)를 통해 연결된다. 유로부(H)는 상단송풍덕트(131), 제1상단배출덕트(132) 및 제2상단배출덕트(133)의 외주면에 구비되며, 유로지지부에 의해 지지된다.The water injection unit 139 is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unit 40 through the flow path unit H. The passage part H is provided o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upper ventilation duct 131, the first upper discharge duct 132, and the second upper discharge duct 133, and is supported by the passage support.

한편, 제1상단배출덕트(132) 및 제2상단배출덕트(133)는 결합부분에서 공기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해 각각의 외측이 하나의 덕트인 상단유도덕트(138)로 감싸질 수 있다. 상단유도덕트(138)는 유연한 재질로 형성된다. 나아가 상단유도덕트(138)는 제1상단배출덕트(132) 및 제2상단배출덕트(133)의 내부에 구비되어 제1상단배출덕트(132)로부터 제2상단배출덕트(133)로 이동하는 공기의 누설을 방지할 수도 있다.Meanwhile, each outer side of the first upper discharge duct 132 and the second upper discharge duct 133 may be wrapped with an upper induction duct 138, which is a single duct, to prevent leakage of air at the coupling portion. The top induction duct 138 is made of a flexible material. Furthermore, the upper induction duct 138 is provided inside the first upper discharge duct 132 and the second upper discharge duct 133 and moves from the first upper discharge duct 132 to the second upper discharge duct 133. Air leakage can also be prevented.

이하 유로지지부에 대해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상단배출부(130)에 유로부(H)가 지지되는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Hereinafter, the passage suppor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5 . 5 is a view explaining a structure in which the flow path part H is supported by the upper discharge part 130.

도 5를 참조하면, 유로지지부는 제1상단배출덕트(132)에 구비되며 유로부(H)가 고정 지지되는 제1지지링부(R1), 제2상단배출덕트(133)에 구비되며 유로부(H)가 고정 지지되는 제2지지링부(R2), 제1지지링부(R1) 및 제2지지링부(R2) 사이에 위치하며 유로부(H)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3지지링부(R3)를 포함한다. 여기서 유로부(H)는 호스(hose)일 수 있으나, 물의 이동을 안내하는 구성이라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 경우 상단유도덕트(138)는 제1상단배출덕트(132) 및 제2상단배출덕트(133)의 내부에 구비된다.Referring to FIG. 5, the flow path support unit is provided in the first upper discharge duct 132 and is provided in the first support ring part R1 and the second upper discharge duct 133 in which the flow path portion H is fixedly supported, and is provided in the flow path portion (H) is located between the second support ring part (R2), the first support ring part (R1) and the second support ring part (R2) fixedly supported, and the third support ring part for movably supporting the flow path part (H) ( R3). Here, the flow path part (H) may be a hose (hose), but is not limited thereto as long as it is configured to guide the movement of water. In this case, the upper induction duct 138 is provided inside the first upper discharge duct 132 and the second upper discharge duct 133.

유로부(H)를 고정 지지하는 제1지지링부(R1)는 유로부(H)의 자중 일부를 지지한다. 이에 따라, 유로부(H)의 자중이 제2지지링부(R2)에 집중되지 않아 제2지지링부(R2)가 파손되는 것이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제1상단배출덕트(132)가 자전할 때 상단송풍덕트(131)에 걸쳐있는 유로부(H)가 상단송풍덕트(131)와의 마찰로 인해 하방으로 당겨져 제2지지링부(R2)에 하중이 가해질 수 있으며, 유로부(H)를 고정 지지하는 제1지지링부(R1)는 이러한 제2지지링부(R2)에 하중이 가해지는 효과를 최소화하여 제2지지링부(R2)를 보호할 수 있다.The first support ring part (R1) for fixing and supporting the flow path part (H) supports a part of its own weight of the flow path part (H).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econd support ring part R2 from being damaged because the weight of the passage part H is not concentrated on the second support ring part R2. In addition, when the first upper discharge duct 132 rotates, the passage portion H spanning the upper ventilation duct 131 is pulled downward due to friction with the upper ventilation duct 131 and loads the second support ring R2. This can be applied, and the first support ring part (R1) for fixing and supporting the flow path part (H) minimizes the effect of the load applied to the second support ring part (R2) to protect the second support ring part (R2) there is.

유로부(H)를 고정 지지하는 제2지지링부(R2) 역시 유로부(H)의 자중 일부를 지지한다. 이에 따라 유로부(H)의 자중이 유로부(H)가 연결된 물분사부(139)에 집중되지 않아 물분사부(139)가 파손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The second support ring part (R2) for fixing and supporting the flow path part (H) also supports a part of its own weight of the flow path part (H).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water spraying part 139 from being damaged because the weight of the flow path part H is not concentrated on the water spraying part 139 to which the flow path part H is connected.

한편, 제2상단배출덕트(133)가 힌지부(137a)를 중심으로 상방으로 회전하여 제1상단배출덕트(132)와 제2상단배출덕트(133)가 이루는 각도가 증가하면, 제1지지링부(R1)와 제2지지링부(R2)간의 거리가 증가한다. 따라서 유로부(H)는 제1지지링부(R1)과 제2지지링부(R2)간의 거리보다 더 길도록 형성된다. Meanwhile, when the second upper discharge duct 133 rotates upward around the hinge portion 137a and the angle between the first upper discharge duct 132 and the second upper discharge duct 133 increases, the first support The distance between the ring part (R1) and the second support ring part (R2) increases. Therefore, the flow path part H is formed to be longer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support ring part R1 and the second support ring part R2.

이 경우 유로부(H)의 처짐을 방지하기 위해, 제1상단배출덕트(132) 및 제2상단배출덕트(133)에 탄성적으로 결합한 채 유로부(H)를 지지하는 제3지지링부(R3)가 구비된다. In this case, in order to prevent the flow path portion (H) from sagging, the third support ring portion ( R3) is provided.

이러한 제3지지링부(R3)는 유로부(H)를 제3지지링부(R3)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지지한다. 제3지지링부(R3)는 일측이 제1탄성체(T1)에 의해 지지되고 타측이 제2탄성체(T2)에 의해 지지된다. 구체적으로 제3지지링부(R3)의 일측에는 제1상단배출덕트(132)에 결합하는 제1탄성체(T1)가 결합하고, 제3지지링부(R3)의 타측에는 제2상단배출덕트(133)에 결합하는 제2탄성체(T2)가 결합한다. This third support ring part (R3) supports the passage part (H) to be movable with respect to the third support ring part (R3). One side of the third support ring part R3 is supported by the first elastic body T1 and the other side is supported by the second elastic body T2. Specifically, the first elastic body T1 coupled to the first upper discharge duct 132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third support ring portion R3, and the second upper discharge duct 133 is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third support ring portion R3. ) The second elastic body (T2) coupled to is coupled.

또한 제3지지링부(R3)는 힌지부(137a)에 근접하도록 구비되되, 힌지부(137a)로부터 수평을 유지하는 제2상단배출덕트(133)측의 말단에 위치한 말단커버(134)를 향하여 하향 경사지는 방향으로 이격되어 구비된다. In addition, the third support ring part R3 is provided so as to be close to the hinge part 137a, and is located at the end of the second upper discharge duct 133 horizontally from the hinge part 137a toward the end cover 134 They are spaced apart in a downwardly inclined direction.

이에 따라 제1탄성체(T1)는 제1상단배출덕트(132) 양 단 중 제2상단배출덕트(133)에 더 가까운 일단에 결합하고, 제2탄성체(T2)는 제2상단배출덕트(133) 양 단 중 제1상단배출덕트(132)에 더 가까운 일단에 결합한다. Accordingly, the first elastic body (T1) is coupled to one end closer to the second upper discharge duct (133) of both ends of the first upper discharge duct (132), and the second elastic body (T2) is coupled to the second upper discharge duct (133). ) is coupled to one end closer to the first upper discharge duct 132 of both ends.

제1지지링부(R1) 및 제2지지링부(R2) 각각은 제3지지링부(R3)보다 힌지부(137a)로부터 더 멀리 이격되도록 구비된다. 또한 제1지지링부(R1)는 제1상단배출덕트(132)의 외주면 중 차량 후방을 바라보는 지점에 구비되며, 제2지지링부(R2)는 수평을 이루는 제2상단배출덕트(133)의 외주면 중 하방을 바라보는 지점에 구비된다.Each of the first support ring part R1 and the second support ring part R2 is provided to be farther apart from the hinge part 137a than the third support ring part R3. In addition, the first support ring part (R1) is provided at a point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upper discharge duct 132 facing the rear of the vehicle, and the second support ring part (R2) is the portion of the second upper discharge duct 133 that is horizontal. It is provided at a point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facing downward.

제2상단배출덕트(133)가 힌지부(137a)를 중심으로 상방으로 회전하여 제1상단배출덕트(132)와 제2상단배출덕트(133)가 이루는 각도가 증가하면, 제1탄성체(T1) 및 제2탄성체(T2) 각각은 신장하면서 제3지지링부(R3)를 힌지부(137a)에 근접하도록 이동시킨다. 이에 따라 유로부(H)는 힌지부(137a)에 밀착하게 되며 처짐이 완전하게 방지될 수 있다.When the second upper discharge duct 133 rotates upward around the hinge portion 137a and the angle between the first upper discharge duct 132 and the second upper discharge duct 133 increases, the first elastic body T1 ) and the second elastic body T2 move the third support ring part R3 close to the hinge part 137a while extending. Accordingly, the passage part H comes into close contact with the hinge part 137a, and sagging can be completely prevented.

한편, 유로지지부는 제1상단배출덕트(132)에 구비되며 유로부(H)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4지지링부(R4), 제2상단배출덕트(133)에 구비되며 유로부(H)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5지지링부(R5)를 더 포함한다. 제4지지링부(R4)는 제1지지링부(R1) 및 제3지지링부(R3) 사이에 구비되며, 제5지지링부(R5)는 제2지지링부(R2) 및 제3지지링부(R3) 사이에 구비된다.On the other hand, the passage support is provided in the first upper discharge duct 132 and is provided in the fourth support ring part R4 for movably supporting the passage part H and the second upper discharge duct 133, and is provided in the passage part H ) It further includes a fifth support ring portion (R5) for movably supporting. The fourth support ring part (R4) is provided between the first support ring part (R1) and the third support ring part (R3), and the fifth support ring part (R5) is the second support ring part (R2) and the third support ring part (R3). ) is provided between

이하 하단정화부(200)에 대해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은 도 1에서 도시된 정화차량(1)의 하단정화부(20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Hereinafter, the lower purification unit 2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6 . FIG. 6 is a view showing the lower purifying unit 200 of the purifying vehicle 1 shown in FIG. 1 .

도 6을 참조하면, 하단정화부(200)는 노면 상의 이물질이 포함된 공기가 유입되도록 형성되는 하단흡입부(210), 상단배출부(130)의 후방에 구비되며 하단흡입부(210)로부터 전달된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하단집진부(220) 및 하단집진부(220)로부터 공기를 흡입하여 차량의 외부로 배출하는 하단배출부(23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6, the lower purifying unit 200 is provided behind the lower suction unit 210 and the upper discharge unit 130, which are formed to allow air containing foreign substances on the road to flow in, and is provided from the lower suction unit 210. It includes a lower dust collection unit 220 for removing foreign substances contained in the delivered air and a lower discharge unit 230 for sucking air from the lower dust collection unit 220 and discharging it to the outside of the vehicle.

하단흡입부(210)는 승강 및 하강을 선택적으로 수행하면서 노면 상의 이물질이 포함된 공기가 유입되도록 형성되는 하단흡입덕트(211), 적재부(30) 하면에 구비되어 하단흡입덕트(211)를 승강 및 하강시키는 승하강장치(213), 하단집진부(220)와 연통하며 적재부(30)를 관통하는 하단고정덕트(212)를 포함한다. 하단고정덕트(212)에는 벨로우즈관(미도시)이 연결되어 하단고정덕트(212)와 하단흡입덕트(211)를 상호 연통시킨다.The lower suction part 210 is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 suction duct 211 formed to allow air containing foreign substances on the road to flow in while selectively ascending and descending, and the lower suction duct 211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loading part 30. It includes a lifting and lowering device 213 for lifting and lowering, and a lower fixing duct 212 that communicates with the lower dust collection unit 220 and penetrates the loading unit 30. A bellows pipe (not shown) is connected to the lower fixed duct 212 so that the lower fixed duct 212 and the lower suction duct 211 communicate with each other.

하단집진부(220)는 하단고정덕트(212)와 연통하는 제1가이드덕트(223), 제1가이드덕트(223)를 통해 전달된 공기로부터 이물질을 제거하는 필터부(221) 및 필터부(221)를 통과한 공기를 상단송풍덕트(131)로 안내하는 제2가이드덕트(222)를 포함한다.The lower dust collection unit 220 includes a first guide duct 223 communicating with the lower fixed duct 212, a filter unit 221 for removing foreign substances from the air transmitted through the first guide duct 223, and a filter unit 221 ) And a second guide duct 222 for guiding the air passing through to the upper blowing duct 131.

제1가이드덕트(223)는 하단고정덕트(212)로부터 상방으로 이동한 공기를 후방으로 안내하여 필터부(221)에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제1가이드덕트(223)는 상단송풍덕트(131)의 후방에 위치하고, 후술하는 하단연결덕트(233)의 하방에 위치하고, 필터부(221)의 전방에 위치한다.The first guide duct 223 serves to guide the air moving upward from the lower fixed duct 212 to the rear and transfer it to the filter unit 221 . The first guide duct 223 is located behind the upper blowing duct 131, is located below the lower connection duct 233 to be described later, and is located in front of the filter unit 221.

필터부(221)는 적재부(30)의 하단부에 구비되며 적재부(30)의 길이방향을 따라 중첩되도록 구비된다. 제1가이드덕트(223)로부터 이동한 공기는 후방으로 이동하여 다수의 필터부(221)를 통과하고 이 과정에서 이물질에 제거된다. 필터부(221)를 통과한 공기는 상방의 제2가이드덕트(222)로 이동한다.The filter unit 221 is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loading unit 30 and overlap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oading unit 30 . The air moved from the first guide duct 223 moves backward and passes through a plurality of filter units 221, and foreign substances are removed in this process. The ai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it 221 moves upward to the second guide duct 222 .

제2가이드덕트(222)는 필터부(221)로부터 상방으로 이동한 공기를 전방으로 안내하여 하단연결덕트(233)로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제2가이드덕트(222)는 필터부(221)의 상방에 위치하고, 하단연결덕트(233)의 후방에 위치한다.The second guide duct 222 serves to guide the air moving upward from the filter unit 221 forward to the lower connection duct 233 . The second guide duct 222 is located above the filter unit 221 and behind the lower connection duct 233.

하단배출부(230)는 하단집진부(220)와 연통하며 하단집진부(220)의 공기를 상방으로 안내하도록 형성되는 하단송풍덕트(232), 하단송풍덕트(232)와 연통하며 상방으로 연장되는 하단배출덕트(231) 및 하단송풍덕트(232) 내부에 구비되는 하단송풍팬(미도시)을 회전시켜 하단집진부(220)의 공기를 하단송풍덕트(232)로 유입시켜 하단배출부(230)로 전달하는 하단송풍부(234)를 포함한다. The lower discharge unit 230 communicates with the lower dust collecting unit 220 and communicates with the lower blowing duct 232 formed to guide the air of the lower dust collecting unit 220 upward and communicates with the lower blowing duct 232 and extends upward. By rotating a lower blower fan (not shown) provided inside the discharge duct 231 and the lower blower duct 232, the air of the lower dust collecting unit 220 is introduced into the lower blower duct 232 to be discharged to the lower discharge unit 230. It includes a lower blower 234 that transmits.

하단송풍덕트(232)는 상단송풍덕트(131)의 후방에 구비되고, 제2가이드덕트(222)의 전방에 구비된다. 하단송풍덕트(232)는 제2가이드덕트(222)와 연통시키는 하단연결덕트(233)가 구비된다.The lower blowing duct 232 is provided behind the upper blowing duct 131 and is provided in front of the second guide duct 222 . The lower blowing duct 232 is provided with a lower connecting duct 233 communicating with the second guide duct 222 .

하단배출덕트(231)는 하단송풍덕트(232)의 상방에 구비되며, 상방으로 배출하도록 형성된다.The lower discharge duct 231 is provided above the lower blower duct 232 and is formed to discharge upward.

하단송풍부(234)는 적재부(30)에 구비되는 브라켓에 의해 지지되며, 하단송풍팬(미도시)에 동력을 전달한다. 하단송풍부(234)는 자전하는 제2회전축을 포함하며, 동력전환부(20)로부터 밸트 등을 통해 동력을 전달받도록 제2회전축상으로 연장 형성된다. The lower blower 234 is supported by a bracket provided on the mounting unit 30 and transmits power to a lower blower fan (not shown). The lower blower 234 includes a second rotating shaft that rotates, and extends along the second rotating shaft to receive power from the power conversion unit 20 through a belt or the like.

하단송풍부(234)는 하단송풍팬이 제2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동력전환부(20)로부터 전달받은 동력을 하단송풍팬에 전달한다.The lower blower 234 transfers the power received from the power conversion unit 20 to the lower blower fan so that the lower blower fan rotates around the second rotary shaft.

여기서 제1회전축 및 제2회전축은 상호 평행하다. 즉 하단송풍덕트(232)와 상단송풍덕트(131)는 적재부(30)의 공간을 최대한 활용하도록 전후 방향으로 중첩되며, 이에 따라 제1회전축 및 제2회전축은 상호 평행하게 배치된다.Here, the first rotation axis and the second rotation axis are parallel to each other. That is, the lower blowing duct 232 and the upper blowing duct 131 are overlapped in the front-back direction so as to maximize the use of the space of the mounting unit 30, and accordingly, the first rotating shaft and the second rotating shaft are disposed parallel to each other.

이하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필터부(221)에 쌓인 이물질을 제거하는 구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필터부(221)는 다수개로 구비되며, 각각의 필부의 측면에는 공기분사부(600)가 구비되어 다수개를 이룬다. 공기분사부(600)는 압축공기가 저장된 공기저장부(710)에 각각 연결된다. Hereinafter, a structure for removing foreign substances accumulated in the filter unit 221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7 and 8 . The filter unit 221 is provided in plural, and an air blowing unit 600 is provided on the side of each peel unit to form a plurality. The air injection unit 600 is connected to the air storage unit 710 in which compressed air is stored.

공기분사부(600)는 각각의 필터부(221) 측면에 구비되고 상하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분사바디(610) 및 분사바디(610)에 형성되며 분사바디(610)에 수용된 공기를 외부로 분사시키는 분사홀(620)을 포함한다.The air injection unit 600 is formed on the spray body 610 and the spray body 610 provided on the side of each filter unit 221 and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sprays the air received in the spray body 610 to the outside. To include a spray hole 620.

공기저장부(710)는 공간 효율을 높이기 위해 필터부(221) 상부에 위치하며, 동력전환부(2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공기를 압축하여 저장한다.The air storage unit 710 is located above the filter unit 221 to increase space efficiency, and receives power from the power conversion unit 20 to compress and store air.

드로워(290)는 필터부(221)의 하방에 구비되며, 공기분사부(600)가 필터부(221)에 공기를 분사할 때 필터부(221)로부터 제거되어 낙하하는 이물질을 수용한다. 사용자는 드로워(290)를 잡아당겨 드로워(2900에 수용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The drawer 290 is provided below the filter unit 221 and accommodates foreign substances removed from the filter unit 221 and falling when the air blowing unit 600 blows air to the filter unit 221 . A user may pull the drawer 290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accommodated in the drawer 2900 .

이하 도 9를 참조하여 정화차량(1)의 정화방법을 수행하는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A configuration for performing the purification method of the purification vehicle 1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FIG. 9 .

제어부(50)는 통신부(720), 오염도측정부(300), 부하량측정부(730), 상단정화부(100), 하당정화부, 공기저장부(710), 공기분사부(600) 및 물분사부(139)와 연결되며, 이들의 구성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전달한다. The controller 50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720, a pollution level measurement unit 300, a load measurement unit 730, an upper purifying unit 100, a lower sugar purifying unit, an air storage unit 710, an air blowing unit 600, and water powder. It is connected to the master unit 139 and generates and transmits a control signal capable of controlling their configuration.

통신부(720)는 외부정보를 수신하여 제어부(50)에 전달하고 차량에 구비된 측정부를 통해 얻은 정보를 제어부(50)로부터 전달받아 외부로 송신한다.The communication unit 720 receives external information and transmits it to the control unit 50 and receives information obtained through a measurement unit provided in the vehicle from the control unit 50 and transmits it to the outside.

오염도측정부(300)는 차량에 구비되어 차량 주위의 대기의 오염도를 측정하며, 측정된 정보를 제어부(50)에 전달한다.The pollution level measuring unit 300 is provided in the vehicle to measure the pollution level of the air around the vehicle and transmits the measured information to the control unit 50 .

부하량측정부(730)는 구동부(10)의 부하량을 측정하며, 측정된 정보를 제어부(50)에 전달한다.The load measurement unit 730 measures the load of the driving unit 10 and transmits the measured information to the control unit 50 .

상단정화부(100) 및 하단정화부(200)는 제어부(50)로부터 제어신호를 전달받아 각각의 작동이 제어된다.The upper purifying unit 100 and the lower purifying unit 200 receive a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50 and control their respective operations.

공기저장부(710)는 제어부(50)로부터 제어신호를 전달받아 공기를 압축하여 저장하는 동작이 제어된다.The air storage unit 710 controls an operation of compressing and storing air by receiving a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50 .

공기분사부(600)는 제어부(50)로부터 제어신호를 전달받아 공기저장부(710)의 압축공기를 전달받아 분사하는 동작이 제어된다.The air injection unit 600 receives a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50 and controls an operation of receiving compressed air from the air storage unit 710 and injecting it.

물분사부(139)는 제어부(50)로부터 제어신호를 전달받아 물을 외부로 분사하는 동작이 제어된다.The water spraying unit 139 receives a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50 and controls an operation of spraying water to the outside.

이하에서는 정화차량(1)의 오염도 측정부 및 목표영역에 설치된 오염도 측정 센서에 대해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0은 정화차량(1)의 오염도측정부(300) 및 목표영역에 설치되어 오염도를 측정하는 센서(S1, S2, S3)를 나타내는 도면이다.Hereinafter, a pollution level measuring unit of the purification vehicle 1 and a pollution level measuring sensor installed in a target area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0 . FIG. 10 is a view showing the pollution level measuring unit 300 of the purification vehicle 1 and the sensors S1, S2, and S3 installed in the target area to measure the pollution level.

도 10을 참조하면, 정화차량(1)의 상단흡입부(110)에는 유입되는 공기의 오염도를 측정하는 제1측정센서(300a)가 구비되며, 정화차량(1)의 상단배출부(130)에는 배출되는 공기의 오염도를 측정하는 제2측정센서(300b)가 구비된다.Referring to FIG. 10 , the upper suction part 110 of the purification vehicle 1 is provided with a first measurement sensor 300a for measuring the pollution level of the air introduced therein, and the upper discharge part 130 of the purification vehicle 1 is provided with a second measuring sensor 300b for measuring the pollution level of the discharged air.

또한 정화의 대상이 되는 목표영역에는 입구에 설치되는 제1영역센서(S3), 출구에 설치되는 제2영역센서(S1) 및 입구와 출구 사이에 설치되는 제3영역센서(S2)가 구비된다. 목표영역은 일 예로 터널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target area to be purified is provided with a first area sensor (S3) installed at the entrance, a second area sensor (S1) installed at the exit, and a third area sensor (S2) installed between the entrance and exit. . The target area may be, for example, a tunnel.

이에 따라 목표영역 내부에서 오염도가 정화되는 정도 및 정화차량(1)에 의해 오염도가 정화되는 정도를 각각 측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정화차량(1)에 의해 정화되는 정도가 높음에도 목표영역에서 오염도의 정화도가 낮은 경우 등의 원인 즉, 외부로부터 목표영역으로 오염이 유입되는 것을 추측할 수 있다. 이 경우 현재 진행 중인 정화 수행을 중단하고 오염의 유입원을 탐색할 수 있다.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measure the degree of purification of contamination in the target area and the degree of purification of contamination by the purification vehicle 1, respectively. In this case, it can be inferred that a cause such as a case where the degree of purification by the purification vehicle 1 is high but the degree of contamination in the target area is low, that is, contamination is introduced into the target area from the outside. In this case, the ongoing cleanup operation can be stopped and the source of contamination can be investigated.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화차량(1)의 노선설정방법에 대해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1은 정화차량(1)의 정화를 위한 노선설정을 설명하기 위해 지도 상에 정화차량(1)의 현재 위치 및 정화의 대상이 되는 목표영역이 나타나도록 한 도면이며, 도 12 및 도 13은 노선설정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Hereinafter, a route setting method of the purification vehicl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1 to 13 . FIG. 11 is a diagram showing the current location of the purification vehicle 1 and a target area to be purified on a map in order to explain route setting for purification of the purification vehicle 1, and FIGS. 12 and 13 are It is a drawing showing an example of route setting.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화차량(1)의 노선설정방법은 도 11에서와 같이 X자 표시로 된 정화차량(1)의 현재위치(ST)로부터 점선 동그라미 표시로 된 하나 이상의 목표영역 모두를 통과하는 노선을 설정하는 방법이다.11 to 13, the route setting method of the purification vehicl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dotted line circled from the current position ST of the purification vehicle 1 marked with an X as shown in FIG. This is a method of setting a route that passes through all of one or more marked target areas.

일 예로 도 1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정화될 목표영역이 제1오염영역(A), 제2오염영역(B) 및 제3오염영역(C)을 포함하고, 이 중 제1오염영역(A), 제2오염영역(B) 및 제3오염영역(C) 순서로 오염도가 점차 낮아지며, 제1오염영역(A)만이 기준치를 초과하면, 정화차량(1)의 노선은 현재위치(ST)로부터 시작하여 제1오염영역(A), 제2오염영역(B) 및 제3오염영역(C) 순서로 관통하도록 설정된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12, the target area to be purified includes a first contaminated area (A), a second contaminated area (B), and a third contaminated area (C), of which the first contaminated area (A) , the second contamination area (B) and the third contamination area (C), the contamination level gradually decreases, and when only the first contamination area (A) exceeds the reference value, the route of the purification vehicle (1) starts from the current location (ST). It is set to pass through the first contaminated area (A), the second contaminated area (B), and the third contaminated area (C) starting from the beginning.

이 경우 현재위치(ST)로부터 시작하여 제1오염영역(A)까지의 노선(X)은 최단시간을 달성하는 노선으로 설정되며, 제1오염영역(A)으로부터 제2오염영역(B)까지의 노선(Y)과 제2오염영역(B)으로부터 제3오염영역(C)까지의 노선(Z)은 각각 구동부(10)에 가해지는 부하량이 최저가 되도록 설정된다. In this case, the route (X) from the current position (ST) to the first contaminated area (A) is set as the route that achieves the shortest time, and from the first contaminated area (A) to the second contaminated area (B). The line Y of and the line Z from the second contaminated area B to the third contaminated area C are each set so that the load applied to the drive unit 10 is the lowest.

또한 정화차량(1)이 제1오염영역(A), 제2오염영역(B) 및 제3오염영역(C) 내부를 관통하도록 하는 노선(CL)도 동일한 방법으로 설정될 수 있다.In addition, a line CL through which the purification vehicle 1 passes through the first contaminated area A, the second contaminated area B, and the third contaminated area C may be set in the same way.

다른 예로 도 1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중 제1오염영역(A), 제2오염영역(B) 및 제3오염영역(C) 순서로 오염도가 점차 낮아지며, 모든 오염영역이 기준치를 초과하지 않는 경우, 정화차량(1)의 노선은 현재위치(ST)로부터 시작하여 제1오염영역(A), 제2오염영역(B) 및 제3오염영역(C) 순서로 관통하도록 설정되되, 각 영역을 연결하는 노선(X', Y, Z)은 구동부(10)에 가해지는 부하량이 최저가 되도록 설정된다.As another example, as shown in FIG. 13, the degree of contamination gradually decreases in the order of the first contaminated area (A), the second contaminated area (B), and the third contaminated area (C), and all contaminated areas do not exceed the reference value. If not, the route of the purification vehicle 1 is set to pass through the first contaminated area A, the second contaminated area B, and the third contaminated area C in order, starting from the current location ST. Lines (X', Y, Z) connecting the regions are set so that the load applied to the drive unit 10 is the lowest.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화차량(1)의 노선설정방법은, 도 13을 참조하면, 정화의 대상이 될 목표영역을 설정하는 영역설정단계(S11), 목표영역의 오염도에 따라 목표영역 간의 순위를 설정하는 순위설정단계(S12) 및 설정된 순위에 따라 상기 목표영역을 연결하는 노선을 설정하는 노선설정단계(S13)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3, the route setting method of the purification vehicl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rea setting step (S11) of setting a target area to be purified, and a target area according to the degree of contamination of the target area. A priority setting step (S12) of setting a rank between regions and a route setting step (S13) of setting a route connecting the target regions according to the set rank are included.

목표영역은 터널, 화재현장, 기타 오염도가 높은 지역일 수 있다. 일 예로 공사가 진행 중이거나 화재가 발생한 터널이 목표영역으로 설정될 수 있으며, 정화차량(1)은 화재 발생에 의한 연기나 공사에 의한 분진을 필터링하고 필터링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게 된다.Target areas can be tunnels, fire sites, and other highly polluted areas. For example, a tunnel under construction or a fire may be set as the target area, and the purification vehicle 1 filters smoke caused by fire or dust caused by construction and discharges the filtered air to the outside.

노선설정단계는 정화차량(1)이 구동부(10)를 이용하여 이동함에 따라 구동부(10)에 의해 상기 노선이 설정된다. 정화차량(1)의 구동부(10)는 정화차량(1)을 이동시키거나 정화차량(1)이 정화할 수 있도록 동력을 제공한다. 정화차량(1)의 이동을 안내하는 노선의 설정은 정화차량(1)의 이동 시 구동부(10)에 가해지는 부하량에 의해 수행된다. In the route setting step, the route is set by the driving unit 10 as the purification vehicle 1 moves using the driving unit 10 . The drive unit 10 of the purification vehicle 1 provides power to move the purification vehicle 1 or allow the purification vehicle 1 to purify. The setting of the route for guiding the movement of the purification vehicle 1 is performed by the amount of load applied to the drive unit 10 when the purification vehicle 1 moves.

노선설정단계는 목표영역의 오염도가 기준치를 초과한 경우, 정화차량(1)이 오염도가 기준치를 초과한 목표영역에 최단시간 내에 도달하도록 노선이 설정된다. In the route setting step, when the contamination level of the target area exceeds the reference value, the route is set so that the purification vehicle 1 reaches the target area in which the pollution level exceeds the reference value within the shortest time.

또한 노선설정단계는 목표영역의 오염도가 기준치를 초과하지 않은 경우, 정화차량(1)이 구동부(10)를 이용하여 이동함에 따라 구동부(10)에 가해지는 부하량을 최소화하도록 노선이 설정된다.In addition, in the route setting step, when the contamination level of the target area does not exceed a reference value, the route is set to minimize the load applied to the driving unit 10 as the purification vehicle 1 moves using the driving unit 10 .

한편, 정화차량(1)은 설정된 노선을 따라 이동하면서 정화를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정화차량(1)의 이동에 따라 구동부(10)에 가해지는 부하량이 기준치를 초과하는 경우, 정화차량(1)은 주위 대기에 살수만을 수행하여 부하량을 최소화 할 수 있다. Meanwhile, the purification vehicle 1 may perform purification while moving along a set route. At this time, when the load applied to the drive unit 10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purification vehicle 1 exceeds the reference value, the purification vehicle 1 can minimize the load by only spraying the surrounding atmosphere.

이하 도 1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화차량(1)의 정화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화차량(1)의 정화방법은 노선이 설정된 이후 수행되며, 정화차량(1)을 이동시키는 단일한 구동부(10)를 이용하여 수행된다. 정화차량(1)은 정화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별도의 구동부(10) 즉 동력 발생 장치가 구비되지 않는다. Hereinafter, a method for purifying the purification vehicl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5 . The purification method of the purification vehicl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erformed after a route is set, and is performed using a single driving unit 10 for moving the purification vehicle 1. The purification vehicle 1 does not have a separate driving unit 10 ie a power generating device for performing the purification metho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화차량(1)의 정화방법은 다음과 같은 모션(motion)을 포함한다. 각각의 모션이 구동부(10)에 가하는 부하량은 상(上), 중(中), 하(下)로 분류된다. 노선은 정화차량(1)의 이동에 의해 발생하는 부하량에 따라 내리막 또는 평지인 제1구간, 낮은 경사의 오르막인 제2구간, 높은 경사의 오르막인 제3구간으로 구분되며, 제1구간으로부터 제3구간으로 갈수록 정화차량(1)의 이동에 의해 발생하는 부하량은 증가한다. The purification method of the purification vehicl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following motions. The amount of load applied to the drive unit 10 by each motion is classified into high, medium, and low. The route is divided into a downhill or flat section 1, a low-slope uphill section, and a high-slope uphill section 3 according to the amount of load generated by the movement of the purification vehicle 1. The amount of load generated by the movement of the purification vehicle 1 increases toward the third section.

일 예로 제1구간에서는 구동부에 가해지는 부하량이 제1기준치 이하이며, 제2구간에서는 구동부에 가해지는 부하량이 제1기준치 초과 제1기준치보다 큰 제2기준치 이하이며, 제3구간에서는 구동부에 가해지는 부하량이 제2기준치를 초과하는 보다 큰 제1기준치 이하이다. For example, in the first section, the load applied to the driving unit is less than or equal to a first reference value, in the second section, the load applied to the driving unit exceeds the first reference value and is less than or equal to a second reference value greater than the first reference value, and in the third section, the load applied to the driving unit is The load amount is equal to or less than the first reference value, which is greater than the second reference valu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화차량(1)의 정화방법은 제1흡입모션, 전기집진모션, 살균모션, 제2흡입모션, 하강모션, 승강모션, 살수모션을 포함한다.The purification method of the purification vehicl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suction motion, an electric dust collection motion, a sterilization motion, a second suction motion, a descending motion, an ascending motion, and a watering motion.

제1흡입모션은 상단송풍부(136)의 작동에 따라 정화차량(1) 주위의 대기를 흡입하여 프리필터부인 제1필터(121)를 통과시킨 후 상단배출부(130)를 통해 공기를 배출하는 모션이다. 제1흡입모션에 의해 발생하는 부하량은 '상'에 해당한다. 제1흡입모션은 정화차량(1)이 정지하거나 제1구간 또는 제2구간에서 이동하는 동안 수행될 수 있다. 다만, 제1흡입모션은 정화차량(1)이 제3구간에서 이동하는 동안에는 수행되지 않는다.In the first suction motion, the air around the purification vehicle 1 is sucked in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upper blower 136, passed through the first filter 121 as a pre-filter, and then the air is discharged through the upper discharge part 130. It is a motion that The load generated by the first suction motion corresponds to 'upper'. The first suction motion may be performed while the purification vehicle 1 is stationary or moving in the first section or the second section. However, the first suction motion is not performed while the cleaning vehicle 1 is moving in the third section.

전기집진모션은 제1흡입모션 수행 중 흡입된 대기로부터 전기를 이용하여 이물질을 제거하는 모션이다. 살균모션은 제1흡입모션 수행 중 흡입된 대기를 살균하는 모션이다.The electric dust collection motion is a motion for removing foreign substances from the atmosphere sucked in while the first suction motion is performed using electricity. The sterilization motion is a motion for sterilizing the air sucked in while the first suction motion is performed.

전기집진모션 및 살균모션 각각에 의해 발생하는 부하량은 '하'이다. 전기집진모션 및 살균모션은 정화차량(1)이 정지하거나 제1구간에서 이동하는 동안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전기집진모션 및 살균모션은 정화차량(1)이 제2구간에서 이동하면서 제1흡입모션을 수행하는 경우 선택적으로 수행될 수 있으며, 정화차량(1)이 제3구간에서 이동하는 동안에는 수행되지 않는다.The load amount generated by each of the electric dust collection motion and the sterilization motion is 'low'. The electric dust collection motion and the sterilization motion may be performed while the purification vehicle 1 is stationary or moving in the first section. In addition, the electric dust collection motion and the sterilization motion may be selectively performed when the purification vehicle 1 moves in the second section while performing the first suction motion, and is not performed while the purification vehicle 1 moves in the third section. don't

제2흡입모션은 하단송풍부(234)의 작동에 따라 정화차량(1)의 하방에 위치한 노면 상의 이물질이 포함된 공기를 흡입하여 필터부(221)인 제2필터를 통과시킨 후 하단배출부(230)를 통해 배출하는 모션이다. The second suction motion sucks air containing foreign substances on the road surface located below the purification vehicle 1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lower blower 234, passes it through the second filter of the filter unit 221, and then passes it through the lower discharge unit. This is the motion of discharging through (230).

제2흡입모션에 의해 발생하는 부하량은 '상'에 해당한다. 제2흡입모션은 정화차량(1)이 정지할 때에는 수행되지 않으며, 정화차량(1)이 제1구간에서 이동하는 동안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제2흡입모션은 정화차량(1)이 제2구간에서 이동하는 동안 선택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다만, 제2흡입모션은 정화차량(1)이 제3구간에서 이동하는 동안에는 수행되지 않는다.The load generated by the second suction motion corresponds to 'upper'. The second suction motion is not performed when the purification vehicle 1 is stopped, but may be performed while the purification vehicle 1 is moving in the first section. Also, the second suction motion may be selectively performed while the cleaning vehicle 1 is moving in the second section. However, the second suction motion is not performed while the cleaning vehicle 1 is moving in the third section.

하강모션은 승하강장치(213)의 작동에 의해 하단흡입덕트(211)인 노즐체가 노면으로 하강하는 모션이다. 승강모션은 승하강장치(213)의 작동에 의해 하단흡입덕트(211)인 노즐체가 노면으로부터 승강하는 모션이다. 하강모션 및 승강모션 각각에 의해 발행하는 부하량은 '하'이다.The descending motion is a motion in which the nozzle body, which is the lower suction duct 211, descends to the road surface by the operation of the lifting and lowering device 213. The lifting motion is a motion in which the nozzle body, which is the lower suction duct 211, moves up and down from the road surface by the operation of the lifting and lowering device 213. The load amount issued by each of the descending motion and the ascending motion is 'down'.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화차량(1)의 정화방법은 저회전모션, 블로우모션, 저장모션을 포함한다.In addition, the purification method of the purification vehicl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ow rotation motion, a blow motion, and a storage motion.

저회전모션은 상단송풍덕트(131)에 수용되어 상단송풍부(136)에 의해 작동하는 상단송풍팬인 제1송풍팬 및 하단송풍덕트(232)에 수용되어 하단송풍부(234)에 의해 작동하는 하단송풍팬인 제2송풍팬이 기준치 이하로 회전하는 모션이다. 저회전모션에 의해 발생하는 부하량은 '하'이다. 저회전모션은 정화차량(1)이 정지하거나 제1구간 또는 제2구간에서 이동하는 동안 수행될 수 있다. 다만 저회전모션은 정화차량(1)이 제3구간에서 이동하는 동안에는 수행되지 않는다.The low rotation motion is accommodated in the first blowing fan, which is an upper blowing fan that is accommodated in the upper blowing duct 131 and operated by the upper blowing unit 136, and accommodated in the lower blowing duct 232 and operated by the lower blowing unit 234. This is a motion in which the second blowing fan, which is the bottom blowing fan, rotates below the reference value. The load generated by the low rotation motion is 'low'. The low rotation motion may be performed while the purification vehicle 1 is stationary or moving in the first section or the second section. However, the low rotation motion is not performed while the cleaning vehicle 1 is moving in the third section.

블로우모션은 공기탱크를 포함하는 공기저장부(710)에 미리 저장된 압축공기를 필터부(221)인 제2필터(221)에 분사하여 제2필터(221)로부터 이물질을 분리시키는 모션이다. 블로우모션은 제1흡입모션 수행 중에 수행될 수 있으며, 제2흡입모션 수행 중에는 수행되지 않으며, 저회전모션이 수행 중에는 수행되지 않는다. 블로우모션은 정화차량(1)이 정지하거나 제1구간 내지 제3구간에서 이동하는 동안 수행될 수 있다. 블로우모션에 의해 발생하는 부하량은 '하'이다 The blow motion is a motion of separating foreign substances from the second filter 221 by spraying compressed air previously stored in the air storage unit 710 including the air tank to the second filter 221, which is the filter unit 221. The blow motion may be performed while performing the first suction motion, not performed while performing the second suction motion, and not performed while performing the low rotation motion. The blow motion may be performed while the cleaning vehicle 1 is stationary or moving in the first to third sections. The load generated by the blow motion is 'low'

저장모션은 구동부(10)에 의해 압축공기가 공기탱크를 포함하는 공기저장부(710)에 미리 저장되는 모션이다. 저장모션에 의해 발생하는 부하량은 '중'이다. 저장모션은 제1흡입모션 수생 중에 수행될 수 있으나 제2흡입모션 또는 블로우모션 수행 중에는 수행되지 않는다. 저장모션은 정화차량(1)이 정지하거나 제1구간에서 이동하는 동안에만 수행될 수 있다.The storage motion is a motion in which compressed air is pre-stored in the air storage unit 710 including the air tank by the driving unit 10 . The load generated by the storage motion is 'medium'. The storage motion may be performed during the first intake motion, but not performed during the second intake motion or blow motion. The storage motion may be performed only while the cleaning vehicle 1 is stationary or moving in the first section.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화차량(1)의 정화방법은 구체적으로 정화차량(1)이 정화를 하지 않는 상태에서 구동부(10)를 이용하여 노선을 따라 이동할 때 구동부(10)에 가해지는 부하량에 대한 정보를 외부로부터 수신하는 정보수신단계(S22), 구동부(10)의 동력을 이용하여 정화차량(1) 주위를 정화하는 정화단계 및 정화단계에서 구동부(10)에 가해지는 부하량보다 적은 부하량이 구동부(10)에 가해지는 부하감소단계;를 포함하며, 수신된 정보를 기초로 부하량을 판단한 후, 정화단계 및 부하감소단계 중 하나 이상의 수행 여부가 판단된 부하량에 대한 정보에 의존적으로 설정되는 제1설정단계(S23) 및 정화차량(1)이 노선을 따라 이동하는 동안, 제1설정단계(S23)에서 설정된 제2부하량에 따라 정화단계 및 부하감소단계 중 하나 이상이 적어도 한 번 수행되는 제1수행단계(S24)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5 , in the purification method of the purification vehicl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purification vehicle 1 moves along a route using the driving unit 10 in a state in which the purification vehicle 1 does not perform purification, the driving unit An information receiving step (S22) of receiving information on the load applied to (10) from the outside, a purification step of purifying the surroundings of the purification vehicle 1 using the power of the driving unit 10, and the driving unit 10 in the purification step A load reduction step in which a load less than the load applied to the driving unit 10 is applied to the driving unit 10, and after determining the load based on the received information, whether or not one or more of the purification step and the load reduction step is performed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load amount A first setting step (S23), which is set dependently on the information about , and one of a purification step and a load reduction step according to the second load amount set in the first setting step (S23) while the purification vehicle 1 moves along the route. The above includes a first performing step (S24) performed at least once.

정보수신단계(S22)에서 부하량은 오로지 정화차량(1)의 이동 시에 발생하는 부하량이다. 정보수신단계(S22)에서 정화차량(1)이 수신하는 정보는 미리 설정된 노선의 경사도 등 지리적 정보를 포함한다. 일 예로 정화차량(1)의 제어부(50)는 수신된 정보를 바탕으로 부하량을 판단할 수 있다. In the information receiving step (S22), the load amount is only the load amount generated when the purification vehicle 1 moves. The information received by the purification vehicle 1 in the information receiving step (S22) includes geographical information such as the gradient of a preset route. For example, the controller 50 of the purification vehicle 1 may determine the load based on the received information.

제1설정단계(S23)에서 정보수신단계(S22)에서 수신된 정보를 기초로 판단된 부하량과, 정화단계 및 부하감소단계 중 하나 이상의 단계에서 수행되는 모션에 의해 발생하는 부하량을 합하여 그 크기가 기준치를 초과하지 않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후 정화단계 및 부하감소단계에서 수행되는 구체적인 모션이 제어부(50)에 의해 설정된다.In the first setting step (S23), the load amount determined based on the information received in the information receiving step (S22) and the load amount generated by the motion performed in one or more steps of the purification step and the load reduction step are added to determine the size It can be set so as not to exceed the standard value. After that, specific motions performed in the purification step and the load reduction step are set by the controller 50 .

정화단계는 제1정화단계, 제2정화단계 및 제3정화단계를 포함한다. 제1정화단계는 정화차량(1) 주위 대기가 구동부(10)의 동력을 사용하여 정화되는 단계이다. 제1정화단계에서는 정화차량(1) 주위의 대기를 흡입하여 제1필터(121)를 통과시킨 후 배출하는 제1흡입모션, 흡입된 대기로부터 전기를 이용하여 이물질을 제거하는 전기집진모션 및 흡입된 대기를 살균하는 살균모션이 수행된다. The purification step includes a first purification step, a second purification step, and a third purification step. The first purification step is a step in which the air around the purification vehicle 1 is purified by using the power of the drive unit 10 . In the first purification step, a first suction motion for sucking in the air around the purification vehicle 1, passing it through the first filter 121, and then discharging it, an electric dust collection motion for removing foreign substances from the sucked air using electricity, and suction A sterilization motion for sterilizing the air is performed.

전기집진모션 및 상기 살균모션은 일 예로 구동부(10)에 의해 상기 정화차량(1)이 이동함에 따라 구동부(10)에 가해지는 부하량과 구동부(10)에 의해 제1흡입모션의 수행됨에 따라 구동부(10)에 가해지는 부하량의 합의 크기에 따라 선택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The electric dust collection motion and the sterilization motion are, for example, the load applied to the driving unit 10 as the cleaning vehicle 1 moves by the driving unit 10 and the driving unit 10 as the first suction motion is performed. It can be selectively perform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sum of the loads applied to (10).

제2정화단계는 노면 상의 이물질이 포함된 공기를 흡입하여 제2필터를 통과시킨 후 배출하는 제2흡입모션, 노즐체가 노면으로 하강하는 하강모션 및 노즐체가 노면으로부터 승강하는 승강모션이 수행된다.In the second purification step, a second suction motion in which air containing foreign substances on the road surface is sucked in, passed through a second filter, and then discharged, a descending motion in which the nozzle body descends to the road surface, and an elevation motion in which the nozzle body ascends and descends from the road surface are performed.

제3정화단계는 구동부(10)를 이용하여 정화차량(1) 주위에 살수하는 단계이다. 제3정화단계에서는 살수모션이 수행된다.The third purification step is a step of spraying water around the purification vehicle 1 using the drive unit 10 . In the third purification step, a watering motion is performed.

부하감소단계는 정화단계 시작 이후에 수행되며, 정화단계에서 구동부(10)에 가해지는 부하량보다 크기가 작은 부하량이 구동부(10)에 가해지는 단계이다. 부하감소단계는 냉각단계, 충전단계를 포함한다.The load reduction step is performed after the start of the purification step, and is a step in which a smaller load than the load applied to the driving unit 10 in the purification step is applied to the driving unit 10 . The load reduction step includes a cooling step and a charging step.

냉각단계는 구동부(10)에 가해지는 부하량이 과해지는 경우를 미리 방지하기 위한 단계이다. 냉각단계는 제1송풍팬 및 제2송풍팬이 기준치 이하로 회전하는 저회전모션 및 공기탱크에 미리 저장된 압축공기를 제2필터에 분사하여 제2필터로부터 이물질을 분리시키는 블로우모션이 수행된다. The cooling step is a step for preventing in advance the case where the load applied to the driving unit 10 is excessive. In the cooling step, a low-rotation motion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blowing fans rotate below a reference value and a blow motion in which compressed air previously stored in an air tank is sprayed to the second filter to separate foreign substances from the second filter are performed.

충전단계는 구동부(10)에 의해 압축공기가 공기탱크인 공지저장부에 미리 저장되는 저장모션이 수행된다.In the filling step, a storage motion in which compressed air is pre-stored in a known storage unit, which is an air tank, is performed by the drive unit 10 .

한편, 제1설정단계(S23)는 일 예로 부하량의 크기에 따라 제1정화단계, 제2정화단계 및 부하감소단계 중 하나 이상의 수행여부가 설정될 수 있다. Meanwhile, in the first setting step (S23), for example, whether or not to perform one or more of the first purification step, the second purification step, and the load reduction step may be set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load amount.

제1설정단계(S23)는 저회전모션이 상호 인접하여 순차적으로 수행되도록 설정된 두 개의 정화단계 사이에서 수행되도록 설정되며, 저회전모션 및 저회전모션을 사이에 두고 수행되는 상호 인접한 두 개의 정화단계가 순차적으로 수행되어 종료되면 저장모션 또는 블로우모션이 수행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The first setting step (S23) is set to be performed between two purification steps in which the low rotation motion is set to be sequentially performed adjacent to each other, and the two purification steps adjacent to each other are performed with the low rotation motion and the low rotation motion interposed therebetween. When are sequentially performed and terminated, storage motion or blow motion may be set to be performed.

제1설정단계(S23)는 부하량이 제1기준치를 초과하면, 저회전모션 및 저회전모션을 사이에 두고 수행되는 상호 인접한 두 개의 정화단계가 순차적으로 수행되어 종료된 이후에 블로우모션이 수행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In the first setting step (S23), when the load exceeds the first reference value, the low rotation motion and two mutually adjacent purification steps performed with the low rotation motion in between are sequentially performed and the blow motion is performed after completion. can be set.

제1설정단계(S23)는 블로우모션이 종료되면, 저회전모션 및 저회전모션을 사이에 두고 수행되는 상호 인접한 두 개의 정화단계가 다시 수행된 이후 저장모션이 수행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In the first setting step (S23), when the blow motion ends, the storage motion may be performed after the low rotation motion and the two adjacent purification steps performed with the low rotation motion interposed therebetween are performed again.

제1설정단계(S23)는 다른 예로 부하량이 제1기준치를 초과하면, 저회전모션 및 저회전모션을 사이에 두고 수행되는 상호 인접한 두 개의 정화단계가 순차적으로 수행되어 종료된 이후에 블로우모션이 수행되도록 설정되며, 부하량이 제1기준치보다 더 큰 제2기준치를 초과하면, 제3정화단계 및 상기 부하감소단계 중 하나 이상이 수행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In the first setting step (S23), as another example, when the load exceeds the first reference value, the low rotation motion and two mutually adjacent purification steps performed with the low rotation motion interposed are sequentially performed and finished, and then the blow motion is performed. It is set to be performed, and when the load exceeds the second reference value, which is greater than the first reference value, at least one of the third purification step and the load reduction step may be performed.

제3정화단계 종료 후 제2필터의 막힘이 감지되면, 제1부하량이 제1기준치보다 낮게 형성될 수 있는 노선이 설정될 수 있다. 제1부하량이 제1기준치보다 낮게 형성되는 노선이 설정되면, 노선을 따라 정화차량(1)이 이동하면서 공기탱크에 상기 구동부(10)를 이용하여 압축공기를 미리 저장하는 저장모션이 수행될 수 있다.When the clogging of the second filter is detected after the end of the third purification step, a route in which the first load amount is lower than the first reference value may be set. When a route in which the first load amount is lower than the first reference value is set, a storage motion of pre-storing compressed air in an air tank using the driving unit 10 may be performed while the purification vehicle 1 moves along the route. there is.

제1수행단계(S24)는 제1설정단계(S23)에서 수행 여부가 설정된 단계가 한 번 이상 수행되는 단계이다. The first performing step (S24) is a step in which the step for which execution is set in the first setting step (S23) is performed one or more times.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화차량(1)의 정화방법은 정보측정단계(S26), 제2설정단계(S27) 및 제2수행단계(S28)를 더 포함한다.Meanwhile, the purification method of the purification vehicl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n information measurement step (S26), a second setting step (S27), and a second execution step (S28).

제1수행단계(S24)이후 정화차량(1)이 목표영역에 도착하면(S25-Y), 정보측정단계(S26)가 수행되며, 정화차량(1)이 목표영역에 도착하지 않으면(S25-N), 정보측정단계(S26)가 수행되지 않고 계속해서 제1수행단계(S24)가 수행된다.After the first execution step (S24), when the purification vehicle 1 arrives at the target area (S25-Y), the information measurement step (S26) is performed, and when the purification vehicle 1 does not arrive at the target area (S25-Y). N), the information measuring step (S26) is not performed and the first performing step (S24) is continuously performed.

정보측정단계(S26)는 정화차량(1)이 목표영역에 도착하면, 정화차량(1)이 목표영역 내부에서 이동하는 동작에 의해 구동부(10)에 가해지는 부하량에 대한 정보를 정화차량(1)에 마련된 부하량측정부(730)를 이용하여 측정하는 단계이다. 부하량에 대한 정보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함이다.In the information measuring step S26, when the purification vehicle 1 arrives at the target area, information on the load applied to the driving unit 10 by the movement of the purification vehicle 1 inside the target area is converted to the purification vehicle 1. This is a step of measuring using the load measurement unit 730 provided in ). This is to increase the accuracy of information about load.

제2설정단계(S27)는 측정된 부하량을 판단한 후, 상기 정화단계 및 부하감소단계 중 하나 이상의 수행 여부가 상기 판단된 부하량에 의존적으로 설정되는 단계이다. The second setting step (S27) is a step in which, after determining the measured load amount, whether to perform at least one of the purifying step and the load reducing step is set depending on the determined load amount.

제2설정단계(S27)에서 판단된 부하량과 수행여부가 설정된 정화단계 및 부하감소단계에 의한 부하량의 합은 기준치를 초과하지 않도록 설정된다. 이후 정화단계 및 부하감소단계에서 수행되는 구체적인 모션이 제어부(50)에 의해 설정된다.The sum of the load amount determined in the second setting step (S27) and the load amount by the purification step and the load reduction step for which performance is set is set so as not to exceed the reference value. After that, specific motions performed in the purification step and the load reduction step are set by the controller 50 .

제2수행단계(S28)는 정화차량(1)이 목표영역 내부에서 이동하는 동안, 제2설정단계(S27)에서 수행 여부가 설정된 제4부하량에 따라 정화단계 및 상기 부하감소단계 중 하나 이상이 적어도 한 번 수행되는 단계이다.In the second execution step (S28), while the purification vehicle 1 is moving inside the target area, at least one of the purification step and the load reduction step is performed according to the fourth load amount set in the second setting step (S27). This step is performed at least once.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화차량(1)의 정화방법은 도 1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수행될 수 있다. 도 16은 하나의 구동부(10)를 이용하여 효율적으로 정화하는 정화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화차량(1)의 정화방법은 정화단계 및 부하감소단계가 일정한 조합에 따라 반복 수행된다.Meanwhile, the purification method of the purification vehicl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erformed as shown in FIG. 16 . 1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urification method for efficiently purifying using one drive unit 10. Referring to FIG. 16 , in the purification method of the purification vehicl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urification step and a load reduction step are repeatedly performed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combination.

저회전모션은 상호 인접하여 순차적으로 수행되도록 설정된 두 개의 상기 정화단계 사이에서 수행된다. 즉, 정화단계-저회전모션(냉각단계)-정화단계의 순서로 수행된다. 이러한 순서로 진행되는 경우 구동부(10)에 과부하가 가해지는 것이 예방될 수 있다.A low-rotation motion is performed between the two purifying steps set to be performed sequentially adjacent to each other. That is, it is performed in the order of purification step - low rotation motion (cooling step) - purification step. In the case of proceeding in this order, an overload applied to the driving unit 10 can be prevented.

저회전모션 및 저회전모션을 사이에 두고 수행되는 상호 인접한 두 개의 정화단계를 포함하는 단계(S30)가 종료되면 저장모션 또는 블로우모션이 수행된다. When the step (S30) including the low rotation motion and two mutually adjacent purification steps performed with the low rotation motion interposed therebetween is completed, the storage motion or blow motion is performed.

제1설정단계(S23)에서 판단된 부하량이 제1기준치를 초과하면 저회전모션 및 상기 저회전모션을 사이에 두고 수행되는 상호 인접한 두 개의 정화단계의 종료 이후에 블로우모션이 수행된다. 블로우모션이 종료되면, 저회전모션 및 상기 저회전모션을 사이에 두고 수행되는 상호 인접한 두 개의 정화단계를 포함하는 단계(S30)가 수행되며, 저회전모션 및 저회전모션을 사이에 두고 수행되는 상호 인접한 두 개의 정화단계를 포함하는 단계(S30)가 종료되면, 저장모션이 수행된다.If the load amount determined in the first setting step (S23) exceeds the first reference value, the blow motion is performed after the end of the low rotation motion and two mutually adjacent purification steps performed with the low rotation motion interposed therebetween. When the blow motion is terminated, a step (S30) is performed including a low rotation motion and two mutually adjacent purification steps performed with the low rotation motion interposed therebetween, and performed with the low rotation motion and the low rotation motion interposed When the step (S30) including two mutually adjacent purification steps is finished, the storage motion is performed.

한편, 제1설정단계(S23)에서 판단된 부하량이 제1기준치보다 더 큰 제2기준치를 초과하면, 정화단계 중 제1정화단계 및 제2정화단계가 제외된 제3정화단계와 부하감소단계 중 하나 이상이 수행된다. On the other hand, if the load determined in the first setting step (S23) exceeds the second reference value, which is greater than the first reference value, the third purification step and the load reduction step excluding the first and second purification steps among the purification steps. One or more of these are performed.

제3정화단계 종료ㅊ 후 센서(미도시)를 통해 제2필터의 막힘이 감지되면, 제어부(50)는 제1부하량이 제1기준치보다 낮게 형성될 수 있는 노선을 설정한다. 제1부하량이 제1기준치보다 낮게 형성된 노선이 설정되면, 노선을 따라 상기 정화차량(1)이 이동하면서 저장모션이 수행된다.When clogging of the second filter is detected through a sensor (not shown) after the end of the third purification step, the controller 50 sets a route in which the first load amount is lower than the first reference value. When a route in which the first load amount is lower than the first reference value is set, the storage motion is performed while the purification vehicle 1 moves along the route.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As described above,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by the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follow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Of cours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equality of the claims to be described in.

1: 정화차량
10: 구동부
20: 동력전환부
30: 적재부
40: 물공급부
50: 제어부
100: 상단정화부
200: 하단정화부
1: purification vehicle
10: driving unit
20: power conversion unit
30: loading part
40: water supply unit
50: control unit
100: upper purification unit
200: lower purification unit

Claims (5)

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오염된 영역을 정화하는 정화차량의 정화방법에 있어서,
정화의 대상이 될 목표영역을 설정하는 영역설정단계;
상기 목표영역의 오염도에 따라 목표영역 간의 순위를 설정하는 순위설정단계; 및
상기 설정된 순위에 따라 상기 목표영역을 연결하는 노선을 설정하는 노선설정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노선설정단계는
상기 정화차량이 상기 구동부를 이용하여 이동함에 따라 상기 구동부에 가해지는 부하량에 의해 상기 노선이 설정되는 정화차량의 정화방법.
A purification method of a purification vehicle comprising a drive unit generating power and purifying a contaminated area, comprising:
A region setting step of setting a target region to be purified;
a ranking setting step of setting a ranking among target areas according to the degree of contamination of the target area; and
A route setting step of setting a route connecting the target area according to the set rank; includes,
The route setting step is
The method of purifying a purification vehicle in which the route is set by a load applied to the driving unit as the purification vehicle moves using the driving unit.
삭제delete 삭제delete 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오염된 영역을 정화하는 정화차량의 정화방법에 있어서,
정화의 대상이 될 목표영역을 설정하는 영역설정단계;
상기 목표영역의 오염도에 따라 목표영역 간의 순위를 설정하는 순위설정단계; 및
상기 설정된 순위에 따라 상기 목표영역을 연결하는 노선을 설정하는 노선설정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노선설정단계는
상기 목표영역의 오염도가 기준치를 초과하지 않은 경우, 상기 정화차량이 상기 구동부를 이용하여 이동함에 따라 상기 구동부에 가해지는 부하량을 최소화하도록 노선이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화차량의 정화방법.
A purification method of a purification vehicle comprising a drive unit generating power and purifying a contaminated area, comprising:
A region setting step of setting a target region to be purified;
a ranking setting step of setting a ranking among target areas according to the degree of contamination of the target area; and
A route setting step of setting a route connecting the target area according to the set rank; includes,
The route setting step is
and when the contamination level of the target area does not exceed a reference value, a route is set to minimize a load applied to the driving unit as the purifying vehicle moves using the driving unit.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정화차량이 이동함에 따라 상기 구동부에 가해지는 부하량이 기준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정화차량은 주위 대기에 살수만을 수행하여 정화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화차량의 정화방법.
According to claim 4,
and when the load applied to the driving unit exceeds a reference value as the purifying vehicle moves, the purifying vehicle performs purification by only spraying the ambient air.
KR1020210062415A 2021-05-14 2021-05-14 Cleaning method of composite filter mounted smart air purification vehicle having function of air fine dust removal KR10254994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2415A KR102549941B1 (en) 2021-05-14 2021-05-14 Cleaning method of composite filter mounted smart air purification vehicle having function of air fine dust remov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2415A KR102549941B1 (en) 2021-05-14 2021-05-14 Cleaning method of composite filter mounted smart air purification vehicle having function of air fine dust remova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4896A KR20220154896A (en) 2022-11-22
KR102549941B1 true KR102549941B1 (en) 2023-06-30

Family

ID=842361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2415A KR102549941B1 (en) 2021-05-14 2021-05-14 Cleaning method of composite filter mounted smart air purification vehicle having function of air fine dust remov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9941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11231A (en) * 2001-01-18 2002-07-31 Denso Corp On-vehicle informing device and on-vehicle route setting device
KR101985425B1 (en) * 2018-01-16 2019-09-03 주식회사 드웰링 Cleaning method of plasma purification vehicle using iot technology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10668A (en) 2008-07-23 2010-02-02 주식회사 에스앤에이치이엔지 An air cleaner with a vehicle for cleaning road
KR101715391B1 (en) 2016-12-16 2017-03-14 신정개발특장차 주식회사 Wet type road sweeping vehicle capable of reducing exhaust gas of auxilliary engine
KR101827474B1 (en) 2017-11-07 2018-02-08 이텍산업 주식회사 A suction vehicle of road dust to which a control system of an air jetting system and a fine dust emission repression filter with enhanced suction force is applied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11231A (en) * 2001-01-18 2002-07-31 Denso Corp On-vehicle informing device and on-vehicle route setting device
KR101985425B1 (en) * 2018-01-16 2019-09-03 주식회사 드웰링 Cleaning method of plasma purification vehicle using iot technolog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4896A (en) 2022-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143471B (en) A kind of integral movable type environment-friendlyplasma plasma spraying equipment and paint mist purification method
KR101508661B1 (en) Tunnel air purification system mounted at the exit of the tunnel
CN101400427A (en) Method and equipment for filtering air in an urban environment
KR102017653B1 (en) Wet and dry mixed electrostatic precipitator
JP2005331128A (en) Selfpropelling air cleaning robot
KR101892806B1 (en) Welding Dust Cleaner
US20180169833A1 (en) System and method for internal air blasting of an enclosed space with an automated apparatus
KR102549941B1 (en) Cleaning method of composite filter mounted smart air purification vehicle having function of air fine dust removal
KR100889328B1 (en) Cleaning Vehicles for Train Tunnel
KR102549415B1 (en) Cleaning method of composite filter mounted smart air purification vehicle having function of harmful gas removal
KR102549430B1 (en) Composite filter mounted smart air purification vehicle
KR102549435B1 (en) Air pollution converged purification treatment technology smart air purification vehicle
KR102549425B1 (en) Cleaning method of smart air purification vehicle using exterior and self measurement data
CN110241764A (en) A kind of small-sized electric sweeping machine
CN206957293U (en) Welding shop
CN210013722U (en) Air dust removal equipment in tunnel, air dust removal vehicle and air dust removal system in tunnel
KR20190001111A (en) Air conditioning system of tunnel using water elementary particle
CN209195822U (en) External fan type dust exhaust
KR100555947B1 (en) A moving auto-air blaster
CN109834090A (en) Bridge crane track deashing device
CN211274157U (en) High-efficient low temperature plasma exhaust gas purification equipment
KR100703959B1 (en) A Movement Washing Dust Collector
CN110130972A (en) Air dedusting system in air cleaner, air cleaning vehicle and tunnel in tunnel
KR100874868B1 (en) A dust collector for maintenance railway vehicles
CN107876243A (en) A kind of atomizing photovoltaic dust suppression removes haze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