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9739B1 - Automatic watering device for plants - Google Patents

Automatic watering device for plant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9739B1
KR102549739B1 KR1020210019587A KR20210019587A KR102549739B1 KR 102549739 B1 KR102549739 B1 KR 102549739B1 KR 1020210019587 A KR1020210019587 A KR 1020210019587A KR 20210019587 A KR20210019587 A KR 20210019587A KR 102549739 B1 KR102549739 B1 KR 1025497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water supply
unit
plant
suppl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958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116381A (en
Inventor
김명환
김성수
김석한
박찬식
이일근
Original Assignee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0195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9739B1/en
Publication of KR202201163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638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97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973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3Controls for self-acting water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8Component parts, e.g. dispensing fittings, level indicato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7/00Botany in general
    • A01G7/04Electric or magnetic or acoustic treatment of plants for promoting growth
    • A01G7/045Electric or magnetic or acoustic treatment of plants for promoting growth with electric lighting

Abstract

본 발명은 식물의 크기 또는 화분의 크기에 따라 급수 높이 조절이 가능하여, 식물의 성장이나 화분의 크기에 의한 급수 제한을 최소화 할 수 있으며, 크기가 작고 무게가 가벼우며 구입비용이 낮은 식물용 자동 급수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바닥 또는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를 가지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와 결합되고 화분을 향해 물을 분사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급수부, 상기 본체부의 내측 또는 외측에 형성되며, 물이 수용되고 상기 급수부로 물을 전달하는 공급부 및 상기 급수부의 작동을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와 상기 급수부가 결합되되, 상기 급수부는 상기 본체부 상에서 높이 조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adjust the height of watering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plant or the size of the pot, thereby minimizing the watering restriction due to the growth of the plant or the size of the pot. It's about water supply.
In the present invention, a body part having a certain height from the floor or ground, at least one water supply part coupled to the body part and spraying water toward a potted plant, formed inside or outside the body part, water is received and into the water supply part It includes a supply unit for delivering water and a control unit for operation of the water supply unit, and the main body unit and the water supply unit are coupled, and the water supply unit is coupled to be height-adjustable on the main body unit.

Description

식물용 자동 급수 장치{Automatic watering device for plants}Automatic watering device for plants

본 발명은 식물용 화분 자동 급수 장치에 관한 것으로, 지정된 위치의 화분에 자동적으로 물을 공급하되, 식물 또는 식물이 심어진 화분의 높이에 따라 급수 높이가 조절될 수 있는 식물 자동 급수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watering device for plant pots, and relates to an automatic plant watering device capable of automatically supplying water to a pot at a designated location, but adjusting the height of watering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plant or the pot in which the plant is planted.

식물에 물을 공급하기 위해선 인력은 필수적인 요소이다. 장시간 부재할 경우 식물에 수분 공급이 불가능해 식물이 말라 죽게 된다. 또한 장시간 부재를 우려하여 식물에 수분을 과잉 공급할 경우 식물이 부패하여 죽게 된다. Manpower is an essential element to supply water to plants. If you are absent for a long time, it is impossible to supply moisture to the plant, and the plant will wither and die. In addition, if the plant is over-watered for fear of long-term absence, the plant will rot and die.

즉, 식물이 자라는 토양의 습도를 아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식물의 수분이 부족함을 알았을 경우 식물에 수분을 공급해야 하며, 주기적인 확인이 필요하지만, 식물의 수분 필요 상태를 제대로 확인할 수 없는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식물을 돌보는 인력 및 시간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식물 관리가 원격으로 제어가 가능해야 한다.In other words, it is important to know the humidity of the soil in which the plant grows. In addition, when it is known that the plant lacks moisture, it is necessary to supply water to the plant, and periodic confirmation is required, but there is a difficulty in properly checking the water requirement of the plant. Therefore, in order to minimize manpower and time for caring for plants, plant management must be remotely controlled.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화분식물용 급수장치(1)는 식물(21)이 심어진 화분(11) 위에 위치하는 급수라인(20)의 개방 및 폐쇄를 통해 식물에 물을 제공했다.Referring to FIG. 1 , a conventional watering device 1 for potted plants provides water to plants by opening and closing a watering line 20 positioned above a pot 11 in which a plant 21 is planted.

그러나 종래에는 식물의 성장에 따른 식물의 크기 또는 화분의 크기에 따라 급수 높이 조절이 불가하여, 급수라인(20)의 높이를 기준으로 급수라인(20)의 형성 높이보다 더 낮거나 동일한 높이를 가진 식물 또는 화분에만 급수가 가능하다는 문제가 있었다.However, in the prior art, it is impossible to adjust the watering height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plant or the size of the pot according to the growth of the plant, so that the height of the watering line 20 is lower than or equal to the height of the watering line 20. There was a problem that watering was possible only for plants or potted plants.

또한, 종래의 급수 장치는 크기가 크고, 설계비용 또는 설치비용이 많이 요구되며, 무게가 무거운 단점이 있어 가정에서 사용하기에 불편함이 있었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water supply device has disadvantages in that it is large, requires a lot of design or installation cost, and is heavy, making it inconvenient to use at home.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51044호 (공개일자 2013.05.20)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3-0051044 (published on May 20, 2013)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식물의 크기 또는 화분의 크기에 따라 급수 높이 조절이 가능하여, 식물의 성장이나 화분의 크기에 의한 급수 제한을 최소화 할 수 있으며, 크기가 작고 무게가 가벼우며 구입 비용이 낮은 식물용 화분 자동 급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watering height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plant or the size of the pot, thereby minimizing the water supply restriction due to the growth of the plant or the size of the pot, and the size is small and small.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utomatic potted plant watering device for plants that is light in weight and has a low purchase cost.

본 발명에 따른 식물용 자동 급수 장치는, 바닥 또는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를 가지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와 결합되고, 화분을 향해 물을 분사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급수홀을 포함하는 급수부, 상기 본체부의 내측 또는 외측에 형성되며, 물이 수용되고, 상기 급수부로 물을 전달하는 공급부 및 상기 공급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와 상기 급수부가 결합되되, 상기 급수부는 상기 본체부 상에서 높이 조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 automatic watering device for pla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main body having a certain height from the floor or ground; It is formed on the inside or outside, receives water, and includes a supply unit for delivering water to the water supply unit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supply unit, and the main body unit and the water supply unit are coupled, and the water supply unit is on the main body uni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height is adjustable.

더 나아가, 상기 본체부는 연장 방향에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복수개의 끼움홈을 포함하고, 상기 급수부는 상기 끼움홈에 결합되는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Furthermore, the main body portion may include a plurality of fitting grooves form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 an extension direction, and the water supply unit may include a protrusion coupled to the fitting groove.

더 나아가, 상기 끼움홈은 상기 본체부의 일면 및 타면을 관통하여 형성되고, 상기 돌기는 상기 본체부의 일면 및 타면에 형성된 상기 끼움홈에 모두 결합될 수 있다.Furthermore, the fitting groove may be formed through one surface and the other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the protrusion may be coupled to both of the fitting grooves formed on one surface and the other surface of the main body.

더 나아가, 상기 급수부는 일정 길이를 가지며, 구부러질 수 있고, 상기 급수홀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노즐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Furthermore, the water supply unit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nozzle unit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being bendable, and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hol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식물용 자동 급수 장치는, 상기 화분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화분에 수용된 토양의 습도 및 온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측정하는 상태 측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utomatic watering device for pla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tate measurement unit installed inside the flowerpot to measure at least one of humidity and temperature of the soil accommodated in the flowerpot.

이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상태 측정부에서 측정한 습도값이 적정 습도값보다 낮은 경우 상기 공급부를 작동시켜 상기 화분에 물을 분사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may operate the supply unit to inject water into the flower pot when the humidity value measured by the state measuring unit is lower than an appropriate humidity value.

더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식물용 자동 급수 장치는, 상기 급수부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화분에 자외선을 조사하는 자외선 램프를 더 포함할 수 있다.Furthermore, the automatic watering device for pla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n ultraviolet lamp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water supply unit to irradiate ultraviolet rays to the flowerpot.

이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상태 측정부에서 측정한 습도값이 한계 습도값보다 높은 경우 또는 상기 상태 측정부에서 측정한 온도값이 적정 온도값보다 낮은 경우, 상기 자외선 램프를 작동시킬 수 있다.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may operate the UV lamp when the humidity value measured by the state measurement unit is higher than the threshold humidity value or when the temperature value measured by the state measurement unit is lower than an appropriate temperature value.

더 나아가,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상태 확인부에서 측정한 측정값을 기초로 식물 상태 정보를 생성하여, 외부로 전송하고, 외부로부터 식물 관리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공급부를 제어할 수 있다.Furthermore, the control unit may control the supply unit by generating plant condition information based on the measurement value measured by the status checking unit, transmitting the plant condition information to the outside, and receiving plant management information from the outside.

상기와 같은 구성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식물용 자동 급수 장치는 구성이 단순하고, 소형화가 가능하며, 식물의 크기 또는 화분의 크기에 따라 물을 급수할 수 있는 높이를 조절할 수 있어, 식물의 성장에 따라 지속적인 사용이 가능하고, 설치 공간의 제한을 최소화 하는 효과가 있다. Through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the automatic watering device for pla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imple configuration, can be miniaturized, and can adjust the height at which water can be suppli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plant or the size of the pot, so that the plant grows Therefore, it is possible to use continuously and has the effect of minimizing the limitation of installation space.

또한, 제어부를 통한 제어를 통해 자동적으로 급수가 가능하여, 편리하게 식물을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automatically supply water through control through the control unit, so that there is an effect of conveniently managing plants.

도 1은 종래의 화분식물용 급수장치 구성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식물용 자동 급수 장치 제1 실시예 작동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식물용 자동 급수 장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식물용 자동 급수 장치 급수부 배면도 및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식물용 자동 급수 장치 제2 실시예 작동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식물용 자동 급수 장치 제3 실시예 작동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식물용 자동 급수 장치 제4 실시예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판매자 외부 통신 블록도
1 is a schematic diagram of the configuration of a conventional watering device for potted plants
Figure 2 is a side view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automatic watering device for pla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utomatic watering device for pla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rear view and a side view of the automatic watering device for pla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ide view of a second embodiment of the automatic watering device for pla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side view of a third embodiment of the automatic watering device for pla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front view of a fourth embodiment of the automatic watering device for pla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block diagram of seller external communic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을 사용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Hereinafter,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using the accompanying drawings. Prior to this, the terms or word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usual or dictionary meaning, and the inventor appropriately uses the concept of the term in order to explain his/her invention in the best way. It should be interpreted as a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that it can be defined.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을 사용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일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첨부된 도면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using the accompanying drawings. Since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only examples shown to explai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n more detail,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orm of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식물용 자동 급수 장치(1000)는 바닥 또는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를 가지는 본체부(100), 상기 본체부(100)와 결합되고, 화분을 향해 물을 분사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급수부(200), 상기 본체부(100)의 내측 또는 외측에 형성되며, 물이 수용되고, 상기 급수부(200)로 물을 전달하는 공급부(300) 및 상기 급수부(200) 및 공급부(30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100)와 상기 급수부(200)가 결합되되, 상기 급수부(200)는 상기 본체부(100) 상에서 높이 조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automatic watering device 1000 for pla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main body part 100 having a certain height from the floor or ground, combined with the main body part 100, and spraying water toward a potted plant. At least one water supply unit 200, a supply unit 300 formed inside or outside the main body unit 100, receiving water, and delivering water to the water supply unit 200, and the water supply unit 200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supply unit 300, wherein the body unit 100 and the water supply unit 200 are coupled, and the water supply unit 200 is height-adjustable on the body unit 100 It can be characterized as being combined.

상기 본체부(100)는 상기 본체부(100)와 연결되거나, 상기 본체부(100)의 내측에 위치하는 다른 구성들을 지지하는 구성으로, 지면 반대 방향으로 일정 길이 연장 형성되어 일정 높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body portion 100 is connected to the body portion 100 or is configured to support other components located inside the body portion 100, extending a certain length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ground and having a certain height to be characterized

상기 급수부(200)는 상기 화분을 향해 물을 분사하는 구성으로, 상기 공급부(300)를 통해 물을 전달받아 상기 급수부(200)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급수홀(210)로 물을 분사하여, 상기 급수홀(210)의 물 분사 방향에 위치한 상기 화분에 물을 공급할 수 있다. The water supply unit 200 is configured to spray water toward the potted plant, receives water through the supply unit 300, and supplies water to at least one or more water supply holes 210 formed in the water supply unit 200. By spraying, water may be supplied to the flowerpot located in the water spraying direction of the water supply hole 210 .

상기 급수부(200)는 복수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본체부(100)의 일면, 타면, 일면에 수직된 두면 등, 상기 본체부(100)의 다면에 복수개의 상기 급수부(200)가 결합 및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급수홀(210)은 단일개의 홀 또는 단일개의 홀보다 크기가 작은 복수개의 홀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water supply unit 200 may be formed in plurality. That is, a plurality of water supply units 200 may be coupled and positioned on multiple surfaces of the body unit 100, such as one surface, the other surface, and two surfaces perpendicular to one surface of the body unit 100. In addition, the water supply hole 210 may be formed of a single hole or a plurality of holes smaller in size than the single hole.

상기 공급부(300)는 일예로 물탱크(310), 펌프, 호스(320), 전원 공급부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펌프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를 받아 임펠러를 회전시켜 물을 흐르게 하는 회전식 펌프가 적용될 수 있고, 상기 호스(320)는 일측은 상기 급수부(200), 타측은 상기 펌프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전원 공급부는 배터리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supply unit 300 may include, for example, a water tank 310, a pump, a hose 320, a power supply unit, and the like, and the pump rotates an impeller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to flow water. may be applied, and the hose 320 preferably has one side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unit 200 and the other side connected to the pump, and the power supply unit may be made of a battery.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본체부(100)의 내측에 위치하여, 상기 공급부(3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공급부(300)의 물 공급 여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지정된 시간(타이머) 또는 외부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공급부(300)의 급수 여부를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is located inside the main body unit 10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upply unit 300, and can control whether or not to supply water to the supply unit 300. The control unit may control whether to supply water to the supply unit 300 by receiving a designated time (timer) or an external signal.

상기 급수부(200)와 상기 본체부(100)의 결합은 탈부착이 가능하게 이루어지며, 상기 급수부(200)는 상기 본체부(100)의 연장 방향을 따라 다양한 높이에 결합될 수 있다.The water supply unit 200 and the body unit 100 are detachably coupled, and the water supply unit 200 can be coupled to various heights along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body unit 100 .

본 발명의 식물용 자동 급수 장치(1000)는 구성이 단순하고, 소형화가 가능하며, 식물의 크기 또는 화분의 크기에 따라 물을 급수할 수 있는 높이를 조절할 수 있어, 식물의 성장을 따라 지속적인 사용이 가능하고, 설치 공간의 제한을 최소화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어부를 통한 제어를 통해 자동적으로 급수가 가능하여, 편리하게 식물을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automatic watering device 1000 for pla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imple configuration, can be miniaturized, and can adjust the height at which water can be supplied according to the size of a plant or a potted plant, so that it can be continuously used along with the growth of the plant. This is possible and has the effect of minimizing the limitation of installation space.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automatically supply water through control through the control unit, so that there is an effect of conveniently managing plants.

또한, 상기 본체부(100)는 연장 방향에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복수개의 끼움홈(110)을 포함하고, 상기 급수부(200)는 상기 끼움홈(110)에 결합되는 돌기(220)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ody portion 100 includes a plurality of fitting grooves 110 form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extending direction, and the water supply part 200 is a projection 220 coupled to the fitting groove 110 can include

즉, 상기 급수부(200)에 형성된 상기 돌기(220)가 복수개의 끼움홈(110)에서 화분 또는 식물의 크기에 적절한 높이에 삽입되어 상기 본체부(100) 상에서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급수부(200)와 상기 본체부(100)가 끼움 결합으로 이루어져, 구성간의 연결 및 해제가 단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That is, the protrusion 220 formed on the water supply unit 200 may be inserted into a plurality of fitting grooves 110 at a height suitable for the size of a flowerpot or plant, and the position on the main body unit 100 may be fixed. Since the water supply unit 200 and the main body unit 100 are fitted together, connection and disconnection between components can be made simple.

도 3 및 4를 참조하면, 상기 끼움홈(110)은 상기 본체부(100)의 일면 및 타면을 관통하여 형성되고, 상기 돌기(220)는 상기 본체부(100)의 일면 및 타면에 형성된 상기 끼움홈(110)에 모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돌기(220)가 상기 본체부(100)의 일면 및 타면에 형성된 하나의 상기 끼움홈(110)에 결합되면, 상기 급수부(200)의 무게에 의해서 상기 급수부(200)가 기울어지는 등의 불안정적인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끼움홈(110)은 동일 선상에 있는 상기 본체부(100)의 일면 및 타면을 관통하며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돌기(220)도 상기 본체부(100)의 일면 및 타면에 형성된 한 쌍의 끼움홈(110)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3 and 4, the fitting groove 110 is formed through one surface and the other surface of the body part 100, and the protrusion 220 is formed on one surface and the other surface of the body part 100. All may be coupled to the fitting groove 110. When the protrusion 220 is coupled to one of the fitting grooves 110 formed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body part 100, the water supply part 200 is tilted by the weight of the water supply part 200. An unstable bond of can be made.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fitting groove 110 is formed penetrating one surface and the other surface of the body part 100 on the same line, and the protrusion 220 is also formed on one surface and the other surface of the body part 100. It is preferable to be coupled to the fitting groove 110 of the pair.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급수부(200)는 일정 길이를 가지며, 구부러질 수 있고, 상기 급수홀(210)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노즐부(2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 the water supply unit 200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nozzle unit 230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being bendable, and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hole 210 .

잎에 물이 닿아도 되는 식물은 식물의 상측 방향에서 물을 분사해도 무관하나, 잎에 물이 닿으면 안 되는 식물은 식물의 상측 방향에서 물을 분사하는 것은 식물의 성장을 방해할 수 있다.Plants that allow water to reach the leaves may spray water from the upper direction of the plant, but spraying water from the upper direction of the plant may hinder plant growth.

따라서 본 발명의 급수부(200)는 잎에 물이 닿는 것이 좋지 않은 식물의 경우, 식물의 뿌리 쪽 즉, 토양과 가까운 위치에서 급수하기 위하여, 상기 노즐부(230)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노즐부(230)는 일측이 상기 급수홀(210)에 연결되고, 타측에서 물을 배출하는 구성으로, 유연한(flexible)한 소재로 이루어지며, 일정 길이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Therefore, the water supply unit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use the nozzle unit 230 to supply water at the root side of the plant, that is, close to the soil, in the case of a plant where it is not good for water to reach the leaves. The nozzle part 230 has a configuration in which one side is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hole 210 and the other side discharges water, and is made of a flexible material and preferably has a certain length.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식물용 자동 급수 장치는 상기 화분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화분에 수용된 토양의 습도 및 온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측정하는 상태 측정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 the automatic watering device for pla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condition measuring unit 400 installed inside the pot and measuring at least one of humidity and temperature of the soil accommodated in the pot. can

상기 상태 측정부(400)는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센서 및 습도를 측정하는 습도 센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고, 측정된 값을 상기 제어부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상태 측정부(400)는 상기 화분 내측 토양에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어 위치가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tate measuring unit 400 may include a temperature sensor for measuring temperature and a humidity sensor for measuring humidity, and may transmit the measured value to the control unit. It is preferable that at least a part of the state measuring unit 400 is inserted into the soil inside the flower pot and the position is fixed.

이때, 습도 센서의 두 개의 전극은 습도에 따라 저항값이 변하고, 전류의 세기 또한 변한다. 즉, 습도가 많으면 저항값이 낮아져 전류가 잘 흐르고, 습도가 적으면 저항값이 높아져 전류가 잘 흐르지 않는 원리를 이용하여, 습도가 높을수록 저항값이 낮아 출력값이 낮아지고, 습도가 없을수록 저항값이 올라가서 출력값이 올라가는 센서가 적용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resistance value of the two electrodes of the humidity sensor changes according to the humidity, and the strength of the current also changes. In other words, when the humidity is high, the resistance value is low and the current flows well, and when the humidity is low, the resistance value is high and the current does not flow well. A sensor whose output value increases as the value increases may be applied.

이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상태 측정부(400)에서 측정한 습도값이 적정 습도값보다 낮은 경우, 상기 공급부(300)를 작동시켜 상기 화분에 물을 분사할 수 있다.At this time, when the humidity value measured by the state measurement unit 400 is lower than the proper humidity value, the control unit may operate the supply unit 300 to spray water to the potted plant.

상기 적정 습도값은 상기 제어부에 기 지정된 값으로, 사용자가 식물에 따라 가장 적절한 습도값으로 지정해 둘 수 있고, 상기 적정 습도값은 사용자에 의해 변경 가능하다.The appropriate humidity value is a value previously assigned to the control unit, and the user may set the most appropriate humidity value according to the plant, and the appropriate humidity value may be changed by the user.

상기 제어부와 상기 상태 측정부(400)의 작동의 예를 들어보면, 먼저 통신초기 설정, 습도 센서의 초기 설정 등 모든 값들이 초기값으로 돌아가도록 설정한다. 그 이후에 습도 센서를 통하여 화분의 습도를 측정한다. 습도를 측정했을 때 적정 습도를 기준으로 부족한 경우와 충분한 경우 두 가지로 나누어 설계를 할 수 있다. 습도가 충분할 경우 습도가 부족할 때까지 측정하는 루프(LOOP)를 반복한다. 반대로 적정 습도를 기준으로 습도가 부족한 경우에 상기 공급부(300)를 작동시킴과 동시에 구비된 LED를 점등할 수 있다. 급수 도중, 습도 센서의 기준량에 도달할 경우 급수가 멈추게 되면서 다시 습도가 부족할 때까지 측정하는 루프를 반복한다.As an example of the operation of the control unit and the state measurement unit 400, first, all values such as initial settings for communication and initial settings for a humidity sensor are set to return to their initial values. After that, the humidity of the flowerpot is measured through the humidity sensor. When humidity is measured, it can be designed by dividing it into two types, when it is insufficient and when it is sufficient based on the appropriate humidity. If the humidity is sufficient, repeat the LOOP to measure until the humidity is insufficient. Conversely, when the humidity is insufficient based on the appropriate humidity, the supply unit 300 may be operated and the provided LED may be turned on. During water supply, when the standard amount of the humidity sensor is reached, the water supply is stopped and the measurement loop is repeated until the humidity is insufficient again.

또한 상기 상태 측정부(400)는 상기 화분 내측 토양에 다수개 삽입되며, 예를 들면 화분의 표면 토양에 다수개 위치하고 화분의 토양 내부에 깊이에 따라 다수개 위치할 수 있다. In addition, a plurality of state measuring units 400 are inserted into the soil inside the flower pot, and for example, a plurality of state measuring units 400 may be located in the surface soil of the flower pot and located in plurality in the soil of the flower pot depending on the depth.

상기 상태 측정부(400)는 토양의 위치 및 깊이에 따라 측정된 값을 상기 제어부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태 측정부의 위치 및 깊이에 따른 데이터를 수신하여, 측정한 습도값이 낮은 위치에 물을 더 많이 공급할 수 있다. The state measurement unit 400 may transmit values measured according to the location and depth of the soil to the control unit. The control unit may receive data according to the location and depth of the state measurement unit and supply more water to a location where the measured humidity value is low.

즉, 상기 상태 측정부에서 측정한 습도값은 위치에 따라 다르므로, 각 위치별로 공급되는 물의 양을 달리하여 적정 습도값에 도달하게 할 수 있다. That is, since the humidity value measured by the state measurement unit varies depending on the location, it is possible to reach an appropriate humidity value by varying the amount of water supplied for each location.

또한 상기 깊이에 따른 데이터를 수신하여, 시간에 따른 수분량의 감소를 예측하여 해당 위치에 미리 물을 공급하여 적정 습도값이 유지되게 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by receiving the data according to the depth, predicting a decrease in the amount of moisture over time, water may be supplied to the corresponding location in advance so that an appropriate humidity value may be maintained.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식물용 자동 급수 장치는 상기 급수부(200)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화분에 자외선을 조사하는 자외선 램프(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외선 램프(500)는 UVLED 모듈이 적용될 수 있고, 상기 급수홀(210)과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설치되며, 상기 공급부(300)의 상기 전원 공급부에서 전원을 인가받을 수 있다. 상기 자외선 램프(500)는 화분에 심어진 식물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식물의 주변 환경 온도를 높일 수 있어 겨울철 식물의 냉해를 방지할 수 있고, 그늘진 환경에서도 식물에 자외선을 제공할 수 있으며, 식물의 균 또는 곰팡이를 억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때, 상기 급수부(200)에는 상기 자외선 램프(500)의 빛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빛의 조사 방향과 일정 각도를 이루는 차단막(510)이 설치될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 7 , the automatic watering device for pla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n ultraviolet lamp 500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water supply unit 200 and radiating ultraviolet light to the flower pot. The ultraviolet lamp 500 may be applied with a UVLED module, installed at a location spaced apart from the water supply hole 21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may receive power from the power supply unit of the supply unit 300. The ultraviolet lamp 500 irradiates ultraviolet rays to plants planted in pots to increase the temperature of the surrounding environment of the plants, thereby preventing cold damage to plants in winter, providing ultraviolet rays to plants even in a shady environment, and Or there is an effect that can inhibit mold. At this time, a blocking film 510 forming a predetermined angle with the irradiation direction of light may be installed in the water supply unit 200 to prevent the light of the UV lamp 500 from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상태 측정부(400)에서 측정한 습도값이 한계 습도값보다 높은 경우 또는 상기 상태 측정부(400)에서 측정한 온도값이 적정 온도값보다 낮은 경우, 상기 자외선 램프(500)를 작동시킬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humidity value measured by the state measurement unit 400 is higher than the limit humidity value or when the temperature value measured by the state measurement unit 400 is lower than the proper temperature value, the control unit 500 ) can work.

상기 한계 습도값 및 상기 적정 온도값은 상기 제어부에 기 지정된 값으로, 상기 한계 습도값은 사용자가 식물에 따라 가장 적절한 습도값을 기초로 지정해 둘 수 있고, 상기 적정 온도값 또한 사용자가 식물에 따라 가장 적절한 온도값을 기초로 지정해둘 수 있으며, 상기 한계 습도값 및 상기 적정 온도값은 사용자에 의해 변경 가능하다.The limit humidity value and the appropriate temperature value are values previously designated by the control unit, and the limit humidity value may be set by the user based on the most appropriate humidity value according to the plant, and the appropriate temperature value may also be determined by the user according to the plant. The most suitable temperature value can be set based on, and the limit humidity value and the appropriate temperature value can be changed by the user.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태 확인부에서 측정한 측정값을 기초로 식물 상태 정보를 생성하여 외부로 전송하고, 외부로부터 식물 관리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공급부(300)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외부의 개인 단말기(D)와 일반적인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이 가능하며, 통신은 일반적인 네트워크를 통해 서로 연결되고, 네트워크는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3G, 4G, LTE, Wi-Fi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Referring to FIG. 8 , the control unit may generate and transmit plant state information based on the measurement value measured by the state check unit to the outside, receive plant management information from the outside, and control the supply unit 300 . The control unit can communicate with an external personal terminal (D) through a general network, communication is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 general network, and the network is the Internet, LAN (Local Area Network), Wireless 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Network), WAN (Wide Area Network), PAN (Personal Area Network), 3G, 4G, LTE, Wi-Fi, etc. are included, but are not limited thereto.

또한, 상기 개인 단말기(D)는, 스마트폰, 태블릿PC, 노트북, 컴퓨터 등이 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에서 전송된 식물 상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는 출력부와 식물 관리 정보를 생성할 수 있는 입력부가 구비된 전자 장치면 어떠한 장치더라도 적용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ersonal terminal (D) may be a smartphone, tablet PC, laptop computer, computer, etc., and an output unit capable of outputting plant stat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control unit and an input capable of generating plant management information Any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an additional device may be applied.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상태 확인부에서 측정한 측정값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 측정값을 기초로 식물 상태 정보를 생성하고, 수신한 식물 관리 정보를 처리하여 상기 공급부(300)를 제어하는 중앙 처리부 및 개인 단말기(D)와 통신 가능한 통신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The control unit includes a database unit for storing the measurement value measured by the state check unit, a central processing unit for generating plant state information based on the measurement value, processing the received plant management information, and controlling the supply unit 300, and an individual It may include a communication unit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the terminal D.

상기 공급부(300)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를 받아 자동적으로 급수가 제어될 수 있고, 개인 단말기(D)에 의해서 수신된 상기 식물 관리 정보를 따라 급수가 제어될 수도 있다.The supply unit 300 may automatically control water supply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or may control water supply according to the plant management information received by the personal terminal D.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the scope of application is diverse,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implement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ed in the claims.

1000 : 식물용 자동 급수 장치
100 : 본체부 110 : 끼움홈
200 : 급수부 210 : 급수홀
220 : 돌기 230 : 노즐부
300 : 공급부 310 : 물탱크
320 : 호스
400 : 상태 측정부
500 : 자외선 램프 510 : 차단막
D : 개인 단말기
1000: automatic watering device for plants
100: main body 110: fitting groove
200: water supply unit 210: water supply hole
220: protrusion 230: nozzle part
300: supply unit 310: water tank
320: hose
400: state measuring unit
500: UV lamp 510: blocking film
D: personal terminal

Claims (7)

바닥 또는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를 가지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와 결합되고, 화분을 향해 물을 분사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급수홀을 포함하는 급수부;
상기 본체부의 내측 또는 외측에 형성되며, 물이 수용되고 상기 급수부로 물을 전달하는 공급부;
상기 공급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화분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화분에 수용된 토양의 습도 및 온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측정하는 상태 측정부;를 포함하는 식물용 자동 급수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와 상기 급수부가 결합되되, 상기 급수부는 상기 본체부 상에서 높이 조절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본체부는 연장 방향에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복수개의 끼움홈을 포함하고,
상기 급수부는 상기 끼움홈에 결합되는 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끼움홈은 상기 본체부의 일면 및 타면을 관통하여 형성되고,
상기 돌기는 상기 본체부의 일면 및 타면에 형성된 상기 끼움홈에 결합되며,
상기 급수부는 일정 길이를 가지며 구부러질 수 있고, 상기 급수홀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노즐부를 포함하고,
상기 노즐부는 일측이 상기 급수홀에 연결되고, 타측에서 물을 배출하는 구성으로, 잎에 물이 닿는 것이 좋지 않은 식물의 경우 식물의 뿌리 쪽과 가까운 위치에서 식물에 급수하며,
상기 상태 측정부는 상기 화분의 표면 토양에 다수개 위치하고 화분의 토양 내부에 깊이에 따라 다수개 위치하며,
상기 상태 측정부는 토양의 위치 및 깊이에 따라 측정된 값을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태 측정부의 위치에 따른 데이터를 수신하여, 측정한 습도값이 낮은 위치에 물을 더 많이 공급하며,
상기 제어부는 깊이에 따른 데이터를 수신하고, 시간에 따른 수분량의 감소를 예측하여 해당 위치에 미리 물을 공급하여 적정 습도값이 유지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용 자동 급수 장치.
A body portion having a certain height from the floor or ground;
a water supply unit coupled to the main body unit and including at least one water supply hole for spraying water toward the potted plant;
a supply unit formed inside or outside the main body unit, receiving water and delivering water to the water supply unit;
a control unit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supply unit; and
In the automatic watering device for plants comprising a; state measuring unit installed inside the flower pot and measuring at least one of humidity and temperature of the soil accommodated in the flower pot,
The body part and the water supply part are coupled, and the water supply part is coupled to be height-adjustable on the body part,
The body portion includes a plurality of fitting grooves form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extension direction,
The water supply unit includes a protrusion coupled to the fitting groove,
The fitting groove is formed through one surface and the other surface of the main body,
The protrusion is coupled to the fitting groove formed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main body,
The water supply unit may have a predetermined length and may be bent, and includes at least one nozzle unit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hole,
The nozzle part has a configuration in which one side is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hole and the other side discharges water, and in the case of a plant in which water is not good to reach the leaves, water is supplied to the plant at a position close to the root side of the plant,
A plurality of state measuring units are located on the surface soil of the pot and a plurality are located inside the soil of the pot according to the depth,
The state measurement unit transmits a value measured according to the location and depth of the soil to the control unit,
The controller receives data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state measurement unit and supplies more water to a location where the measured humidity value is low.
The automatic watering device for plant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rol unit receives data according to depth, predicts a decrease in moisture content with time, and supplies water to the corresponding location in advance so that an appropriate humidity value is maintained.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부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화분에 자외선을 조사하는 자외선 램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용 자동 급수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automatic watering device for plants further comprising an ultraviolet lamp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water supply unit and irradiating ultraviolet rays to the flower pot.
KR1020210019587A 2021-02-14 2021-02-14 Automatic watering device for plants KR10254973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9587A KR102549739B1 (en) 2021-02-14 2021-02-14 Automatic watering device for plant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9587A KR102549739B1 (en) 2021-02-14 2021-02-14 Automatic watering device for plant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6381A KR20220116381A (en) 2022-08-23
KR102549739B1 true KR102549739B1 (en) 2023-06-29

Family

ID=830926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9587A KR102549739B1 (en) 2021-02-14 2021-02-14 Automatic watering device for plant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9739B1 (en)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09044A (en) * 2011-03-24 2012-10-08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Tomato cultivation apparatus and method
KR20130051044A (en) 2011-11-09 2013-05-20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Water supply apparatus for flowerpot
KR101394419B1 (en) * 2012-09-17 2014-05-14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Auto planting apparatus and plant growing system comprising the same
KR20170024266A (en) * 2015-08-25 2017-03-07 유봉선 By measuring the humidity of the soil, multifunctional potted with a notification function and automatic water supply function of the supply of the corresponding water in it
KR101858335B1 (en) * 2016-04-05 2018-05-16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Smart Mini­Gard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6381A (en) 2022-08-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8254746B2 (en) Automatically adjusting irrigation controller
ES2836217T3 (en) Smart water flow timer
KR101101888B1 (en) Growing environment control device for living things
KR102061403B1 (en) Smart housing for home plant growing
US20050081441A1 (en) Planter apparatus
KR101296509B1 (en) Plant manager
KR102658885B1 (en) Plant cultivating apparatus
KR102549739B1 (en) Automatic watering device for plants
KR20170111159A (en) System for Cultivating Ginseng with Fog
US20110271590A1 (en) Garden System
US20080135647A1 (en) Drip Irrigation Devices
KR101868743B1 (en) Apparatus for plant cultivation using plant information
KR102239064B1 (en) Multi smart pot
TW377269B (en) A highly equipment units for cultivative devices
KR20220118691A (en) Hydroponics cultivation apparatus
KR20180088963A (en) Water supply device for potted plants
KR102568975B1 (en) Plant cultivation apparatus with water spray function
KR102542607B1 (en) Wall Garden Management Device
EP3484275B1 (en) Apparatus for watering plants
KR101501093B1 (en) A Water and Air Supplying Pipe
KR20180067491A (en) Internet of things pot having automatic water supply function
DE102017220618B3 (en) Device for growing plants
KR200251468Y1 (en) A flowerpots safe prop indwelled a heating seat
KR20210123048A (en) Smart flowerpot
JP2005117903A (en) Gardening device and heat radi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