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9288B1 - 캡라이트 - Google Patents

캡라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9288B1
KR102549288B1 KR1020210093372A KR20210093372A KR102549288B1 KR 102549288 B1 KR102549288 B1 KR 102549288B1 KR 1020210093372 A KR1020210093372 A KR 1020210093372A KR 20210093372 A KR20210093372 A KR 20210093372A KR 102549288 B1 KR102549288 B1 KR 1025492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cap
cover
plate
chemi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33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12746A (ko
Inventor
최혁수
Original Assignee
최혁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혁수 filed Critical 최혁수
Priority to KR10202100933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9288B1/ko
Publication of KR202300127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27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92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92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04Personal or domestic articles
    • F21V33/0008Clothing or clothing accessories, e.g. scarfs, gloves or bel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L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BEING PORTABLE OR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ATION
    • F21L2/00Systems of electric light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캡라이트에 관한 것으로, 케미라이트를 이용한 캡라이트로서, 캡라이트는 모자에 결합되어 고정되게 구비되는 본체; 본체에 구비되고 그 하면에는 케미라이트가 결합되어 모자챙의 하방으로 빛을 조사하는 조명판; 조명판에 힌지 결합되어 케미라이트를 덮어 가리는 커버;를 포함하는 캡라이트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캡라이트{Cap light}
본 발명은 캡라이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낚시, 등산, 하이킹 등을 할 때 모자에 장착하여 주변에 영향을 끼치지 않고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캡라이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캡라이트는 낚시, 등산, 하이킹 등을 할 때 모자에 부착하여 사용하는 휴대용 전등으로서, 야간에 시야를 확보할 수 있고 휴대 및 보관이 간편하며 탈부착 용이하여, 야간 작업이나 산행 및 낚시를 할 때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다.
특히, 낚시 중 대물 붕어낚시는 장르의 특성상 대부분 인공적인 빛이 없는 저수지나 강계에서 붕어들의 먹이 활동 시간인 초저녁부터 다음날 아침까지 이루어지는 야간 낚시로서, 컴컴한 어둠 속에서 낚시채비를 다듬고 잡은 고기를 갈무리하는 등의 일련 행위들을 하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행위들을 하기 위해서는 야간의 특성상 조명이 제공되어야 하나, 낚시인들이 몰리는 유명한 낚시 포인트의 경우는 주변 조사들과의 거리가 좁아서 밝은 빛으로 인한 주변 낚시인들과의 불화가 생기기도 하고, 대상으로 하는 어종들 또한 대부분 불빛에 민감하기 때문에 밝은 조명을 무조건 사용할 수 있는 상황도 아니다.
이에, 종래에는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13-0003395호에서 캡라이트가 제안된 바 있고, 이러한 캡라이트는 낚시를 비롯하여 등산, 하이킹 등을 할 때, 모자에 부착하여 사용하는 휴대용 전등으로서, 야간에 시야를 확보할 수 있고, 휴대 및 보관이 간편하며, 탈부착 용이하여 야간 작업, 낚시 및 산행시에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캡라이트는 배터리와 부품들이 하나의 하우징에 내장된 구조로 제작되는데, 이때 배터리는 통상 복수개 이상으로 구비되기 때문에, 배터리를 포함한 캡라이트의 무게가 무거워져 모자의 챙에 캡라이트를 부착한 경우 캡라이트의 무게로 인하여 모자챙이 내려와 시야를 가리는 등이 불편함이 있고, 배터리의 방전시는 별도의 충전기를 이용하여 배터리를 충전하거나 캡라이트의 하우징을 분해한 후 내장된 배터리를 교체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이에 여분의 배터리를 별도로 휴대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13-0003395호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야간 낚시 때 낚시찌에 구비되어 발광되는 케미라이트를 광원으로 한 캡라이트를 구성하여, 낚시, 등산, 하이킹 등을 할 때 모자에 장착하여 주변에 영향을 끼치지 않고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캡라이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야간 낚시때, 미끼 교체나 채비 정렬 등과 같은 간단한 작업을 원활하면서 신속하게 할 수 있는 정도의 광량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캡라이트는, 케미라이트를 이용한 캡라이트로서, 캡라이트는 모자에 결합되어 고정되게 구비되는 본체; 본체에 구비되고 그 하면에는 케미라이트가 결합되어 모자챙의 하방으로 빛을 조사하는 조명판; 조명판에 힌지 결합되어 케미라이트를 덮어 가리는 커버;를 포함하는 캡라이트를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조명판의 하면에는 케미라이트가 삽입되어 설치되는 장착구가 하나 내지는 다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게다가, 장착구에는 케미라이트의 삽입을 원활히 유도하기 위한 확장구가 장착구에서 외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커버는 그 내측면에 케미라이트가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보관구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본체는 그 후방부에 구비되어 모자챙의 상면에 접하는 지지판과, 지지판의 하면에 그 일단부가 고정되게 구비되어 타단부가 지지판에서 탄력적으로 벌어져 모자챙의 하면에 접하여 고정되는 고정판을 포함하고, 지지판의 하면에는 모자챙에 가압 고정되는 고정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고정판의 상면에는 모자챙에 가압 고정되는 가압돌부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캡라이트에 따르면, 낚시찌에 구비되어 발광되는 케미라이트를 캡라이트의 광원으로 구비하고, 캡라이트를 모자의 챙에 설치하여 불빛이 모자의 하방으로 조사되도록 구비함으로써 낚시, 등산, 하이킹 등을 할 때 주변에 영향을 끼치지 않고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야간 낚시 중에는 주변 낚시인들이나 어종에 영향을 끼치지 않으면서 미끼 교체나 채비 정렬 등과 같은 간단한 작업을 신속하면서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캡라이트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캡라이트의 본체와 커버의 분리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캡라이트의 커버가 열린 상태의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캡라이트의 커버가 닫힌 상태의 단면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캡라이트의 커버가 열린 상태의 단면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캡라이트가 모자챙에 장착된 상태의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캡라이트가 모자챙에 장착된 상태에서의 사용상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항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인 사항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사상에 포함되고 청구범위의 구성요소에서 균등물로서 치환 가능한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실시예이다.
그리고, 아래 실시예에서의 선택적인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에,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첨부도면 도 1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캡라이트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본 발명의 캡라이트(10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미라이트(200)를 광원으로 하는 조명장치이고, 이러한 캡라이트(100)의 실시예를 야간 낚시를 일례로 들어 설명한다.
케미라이트(200)는 통상 야간 낚시를 할 때, 낚시찌 상부의 찌톱에 결합되어 사용되는 발광기구로서, 야간에 낚시찌의 움직임을 보다 정확하고 명확하게 식별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케미라이트(200)는 크게 화학 케미라이트와 전자 케미라이트로 구분되는데, 화학 케미라이트는 용기 내부의 화학 약품에 의한 화학 반응으로 발광을 일으키는 구조로 밝기의 세기가 부족한 한계와 내부의 화학 약품으로 인해 취급시 약품 누출에 의한 인체의 유해 문제와 사용 후 폐기시 환경 오염 등을 유발하게 되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화학 케미라이트의 단점을 보완한 전자 케미라이트는 화학 약품 대신에 전지의 전원에 의해 엘이디를 발광시키는 방식으로, 외부 몸체와 내부 몸체가 결합되어 구비되고, 내부 몸체에 전지가 결합되어 전원이 공급됨으로써 엘이디가 발광된다.
이러한 전자 케미라이트는 통상의 화학 케미라이트에 비하여 발광 휘도가 약 10배 정도 뛰어난 특성을 가지며, 사용 조건에 따라서는 전자 케미라이트가 화학 케미라이트보다 한층 경제적일 수 있으므로 최근 사용량이 증가하고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캡라이트(100)는 전술한 케미라이트(200)를 광원으로 사용하는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전자 케미라이트(이하 "케미라이트"라 한다)를 일례로 예시하여 설명하나, 이에 국한되거나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케미라이트가 적용되어 사용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본 발명의 캡라이트(100)는 그 후방부가 낚시인이 착용한 모자(300)의 모자챙(310)에 결합되어 고정되는 본체(110)와, 본체(110)의 전방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캡라이트(100)의 사용 유무에 따라 본체(110)의 전방부를 개폐시키는 커버(150)가 구비된다.
본체(110)는 그 전방과 후방에 각각 빛을 조사하는 조명부와, 모자(300)의 모자챙(310)에 고정되는 고정부가 구성된다.
먼저, 고정부는 본체(110)의 후방부에 평탄한 플레이트로서 모자챙(310)의 상면에 접하도록 구비되는 지지판(120)과, 지지판(120)의 하면에 그 일단부가 고정되게 구비되어 타단부가 지지판(120)에서 탄력적으로 벌어져 모자챙(310)의 하면에 접하여 고정되는 고정판(130)을 포함한다.
지지판(120)은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하면에는 모자챙(310)에 가압 고정되는 다수의 고정돌기(121)가 돌출 형성되며, 이 고정돌기(121)는 상방에서 하방으로 갈수록 그 외경이 점차 좁아져 뾰족한 원뿔 형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고정판(130)은 그 선단부가 지지판(120)의 선단부에 고정되게 형성된 고정단으로 구비되고, 반대편의 후단부는 도 4 및 도 5에서와 같이 지지판(120)의 후단부를 향해 경사지게 형성된 자유단으로 구비된다.
특히, 고정판(130)은 고정단 측에서 자유단(개구부) 측으로 갈수록 지지판(120)과의 간격이 점차 좁아지도록 형성되고, 그 후단부의 상면에는 모자챙(310)의 하면에 가압 고정되는 다수의 가압돌부(131)가 돌출 형성된다.
이러한 가압돌부(131)는 지지판(120)에 가장 근접하게 구비되는 고정판(130)의 후단부 즉 자유단에서 고정판(130)의 길이 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다수개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지지판(120)과 고정판(130)은 통상 모자(300)에 형성되는 모자챙(310)의 두께보다 작은 폭의 간격을 갖도록 형성됨으로써 지지판(120)은 모자챙(310)의 상면 측으로, 고정판(130)은 모자챙(310)의 하면 측으로 끼워져 모자챙(310)에 가압된 상태로 고정되게 설치된다.
게다가, 상기와 같이 모자챙(310)에 설치된 캡라이트(100)는 지지판(120) 하면의 고정돌기(121)가 모자챙(310)의 상면에 박혀 가압 고정되고, 고정판(130) 상면의 다수의 가압돌부(131)는 모자챙(310)의 하면에 접하여 가압 고정됨으로써 모자챙(310)에 캡라이트(100)를 더욱 견고히 고정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고정판(130)의 선단부 즉 고정단의 하면에는 하방으로 수직하게 돌출된 차단판(132)이 형성되고, 이 차단판(132)은 후술될 커버(150)와 접하여 커버(150) 내부를 밀폐된 공간으로 형성하게 된다.
한편, 조명부는 본체(110)의 전방에 돌출 형성되는 조명판(140)으로 구현되고, 조명판(140)의 하면에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케미라이트(200)가 장착될 수 있는 부싱부재(141)가 구비된다.
이러한 부싱부재(141)는 합성수지나 고무 재질로서 하나의 부재로 일체형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독립된 각각의 부재로 형성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후자의 경우를 일례로 예시하였다.
그리고, 부싱부재(141)는 조명판(140)에 매설된 상태로 구비되고, 각 부싱부재(141)에는 케미라이트(200)가 일대일로 삽입되어 장착될 수 있도록 한 장착구(142)가 형성되며, 장착구(142)는 케미라이트(200)의 외경에 대응한 내경을 갖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조명판(140)의 하면에 케미라이트(200)가 장착됨에 따라 불빛은 케미라이트(200)의 적은 광량으로만 조사되므로 캡라이트(100)의 불빛이 주변 낚시인들이나 대상 어종에 영향을 미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케미라이트(200)의 불빛이 조명판(140)의 하방으로 조사되어 캡라이트(100)가 설치된 모자(300)의 하방 영역만을 비추게 됨으로써 낚시 행위 중 간간이 발생되는 미끼 교체나 채비 정렬 등과 같은 간단한 작업을 주변 낚시인들이나 대상 어종에 영향을 주지 않고 원활하면서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와 같은 장착구(142)에는 케미라이트(200)의 삽입을 원활히 유도하기 위한 확장구(143)가 형성된다.
이러한 확장구(143)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구(142)보다 작은 직경으로 장착구(142)의 양측부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는 장공(슬롯)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케미라이트(200)를 장착구(142)에 삽입할 때, 케미라이트(200)의 외경과 장착구(142)의 내경이 대응되는 직경(즉 동일한 직경이거나 장착구(142)의 내경이 케미라이트(200)의 외경보다 1㎜ 내외 정도로 큰 직경)으로 형성됨에 따라 케미라이트(200)의 삽입이 어려울 수 있지만, 장착구(142)에 연장되게 형성된 확장구(143)에 의해 장착구(142)가 확장되므로 케미라이트(200)를 원활히 삽입하여 장착할 수 있게 된다.
또, 장착구(142)에 케미라이트(200)의 삽입 후에는 부싱부재(141)의 재질적 특성이나 장착구(142)의 형상 유지 특성에 의해 케미라이트(200)의 삽입시 확장되었던 장착구(142)가 케미라이트(200)의 삽입 후에는 원상태로 복원되려는 성질에 의해 삽입된 케미라이트(200)를 타이트하게 구속하게 됨으로써 케미라이트(200)의 장착 상태를 견고히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조명판(140)의 선단부 양측에는 힌지돌기(144)가 돌출 형성되고, 힌지돌기(144)에는 후술될 커버(150)가 힌지 결합되어 구비된다.
한편, 조명판(140)의 하면에는 커버(15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구비되는 바, 이러한 커버(150)는 그 선단부 양측의 힌지공(151)이 조명판(140)의 힌지돌기(144)에 힌지 결합되어 구비된다.
이로써, 커버(150)는 조명판(140) 선단부의 힌지돌기(144)를 축으로 도 4 및 도 5에서와 같이 회전되면서 조명판(140) 하면의 케미라이트(200)를 덮어 가리거나 또는 열어 개방시키게 된다.
이러한 커버(150)의 내측면에는 케미라이트(200)를 끼워 보관할 수 있는 보관구(152)가 돌출 형성되고, 이 보관구(152)는 하나 내지는 다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보관구(152)는 케미라이트(200)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는 바, 케미라이트(200)가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전지와 케미라이트로 구분되는 전자 케미라이트인 경우에는 케미라이트만 끼워 보관할 수 있도록 전지와 같은 원기둥의 돌기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전지는 별도 보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케미라이트(200)가 일체형(또는 일자형)인 화학 케미라이트인 경우에는 케미라이트 자체를 삽입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중공의 보스 형태로 돌출 형성될 수도 있다.
하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전자 케미라이트를 일례로 예시한 관계로 보관구(152) 역시도 원기둥의 돌기 형태만을 예시하였으나, 보관구(152)는 이에 국한되거나 한정되지 않고 원기둥의 돌기 형태와 중공의 보스 형태가 모두 형성되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어떤 종류의 케미라이트(200)를 준비하더라도 본 발명의 캡라이트(100)에 구성된 커버(150)의 보관구(152)에 정렬된 상태로 보관할 수 있으므로, 캡라이트(100)를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커버(150)의 양측면에는 커버(150)의 회전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레버돌기(153)가 돌출 형성되고, 사용자는 레버돌기(153)를 잡고 커버(150)를 회전시킴으로써 캡라이트(100)를 모자챙(310)에 장착한 상태에서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캡라이트(100)는 야간 낚시 때 낚시인의 모자(300)에 장착되어 사용된다.
즉, 캡라이트(100)를 모자(300)에 장착할 시는 도 6에서와 같이 캡라이트(100) 후방의 지지판(120)과 고정판(130) 사이로 모자챙(310)을 끼워 넣는다.
그러면, 모자챙(310)의 상면에는 지지판(120)의 고정돌기(121)가 가압되어 고정되고, 모자챙(310)의 하면에는 고정판(130)의 가압돌부(131)가 가압되어 고정됨으로써 캡라이트(100)는 모자챙(310)에 견고히 고정된다.
이 상태에서 캡라이트(100)를 사용하고자 할 시는 모자(300)를 탈모한 상태에서 캡라이트(100)의 커버(150)를 회전시켜 개방한 상태에서 커버(150) 내측면의 보관구(152)에 보관된 케미라이트(200)를 꺼내 캡라이트(100)의 조명판(140) 하면의 장착구(142)에 장착하여 사용하게 된다.
이때, 케미라이트(200)가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전자 케미라이트인 경우에는 커버(150)의 보관구(152)에서 케미라이트(200)를 꺼내 전지와 결합한 후, 케미라이트(200)의 전지를 장착구(142)에 꽂아 삽입하면 되고, 화학 케미라이트인 경우에는 일체형 케미라이트를 보관구(152)에서 꺼내 그 중간 부분을 꺾어 내부 화학물질의 상호 반응으로 발광시킨 후, 장착구(142)에 꽂아 삽입하면 장착이 완료된다.
이와 같이 케미라이트(200)를 조명판(140) 하면의 장착구(142)에 장착한 상태에서, 조명판(140)의 하면에서 커버(150)를 열면 캡라이트(100)의 조명을 사용할 수 있고, 커버(150)를 닫으면 캡라이트(100)의 조명을 사용할 수 없는 비사용 상태가 된다.
따라서, 야간 낚시 중에 본 발명의 캡라이트(100)를 사용하더라도 캡라이트(100)의 광원으로 적은 광량의 케미라이트(200)가 이용됨으로써 도 7에서와 같이 해당 낚시인의 바로 앞 부분만 밝히게 되므로 주변 낚시인들이나 대상 어종에 영향을 미치지 않게 되고, 캡라이트(100)의 사용 후에는 커버(150)를 조명판(140)의 하면으로 회전시켜 닫음으로써 광원인 케미라이트(200)가 커버(150)와 차단판(132)으로 덮혀 가려지므로 불빛으로 인한 주변의 영향을 사전에 차단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명확해질 것이다.
100 : 캡라이트 110 : 본체
120 : 지지판 121 : 고정돌기
130 : 고정판 131 : 가압돌부
132 : 차단판 140 : 조명판
141 : 부싱부재 142 : 장착구
143 : 확장구 144 : 힌지돌기
150 : 커버 151 : 힌지공
152 : 보관구 153 : 레버돌기
200 : 케미라이트 300 : 모자
310 : 모자챙

Claims (5)

  1. 케미라이트를 이용한 캡라이트로서,
    캡라이트는 모자에 결합되어 고정되게 구비되는 본체;
    본체에서 일방향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는 조명판;
    조명판에 구비되는 한편 그 하면에는 케미라이트가 결합되어 모자챙의 하방으로 빛을 조사하는 부싱부재;
    조명판에 힌지 결합되어 케미라이트를 덮어 가리는 커버;
    본체에서 돌출 형성되는 한편 조명판에 결합되는 커버와 접하여 커버의 내부를 밀폐시키는 차단판;을 포함하고,
    부싱부재에는 케미라이트가 삽입되어 장착되는 장착구가 형성되며, 장착구에는 케미라이트의 삽입을 원활히 유도하기 위한 확장구가 장착구에서 외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캡라이트.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커버는 그 내측면에 케미라이트가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보관구가 구비되는 캡라이트.
  5. 청구항 1에 있어서,
    본체는 그 후방부에 구비되어 모자챙의 상면에 접하는 지지판과, 지지판의 하면에 그 일단부가 고정되게 구비되어 타단부가 지지판에서 탄력적으로 벌어져 모자챙의 하면에 접하여 고정되는 고정판을 포함하고,
    지지판의 하면에는 모자챙에 가압 고정되는 고정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고정판의 상면에는 모자챙에 가압 고정되는 가압돌부가 돌출 형성되는 캡라이트.
KR1020210093372A 2021-07-16 2021-07-16 캡라이트 KR1025492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3372A KR102549288B1 (ko) 2021-07-16 2021-07-16 캡라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3372A KR102549288B1 (ko) 2021-07-16 2021-07-16 캡라이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2746A KR20230012746A (ko) 2023-01-26
KR102549288B1 true KR102549288B1 (ko) 2023-06-30

Family

ID=851105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3372A KR102549288B1 (ko) 2021-07-16 2021-07-16 캡라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928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1341Y1 (ko) * 2005-01-19 2005-04-12 임양식 개선된 낚시 미끼통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03395U (ko) 2011-11-30 2013-06-10 정해혁 캡 라이트
KR20170001567U (ko) * 2015-10-27 2017-05-10 신제길 케미라이트 셋트 보관 케이스
KR101882719B1 (ko) * 2016-11-23 2018-07-27 (주)에스케이유앤지 휴대용 엘이디조명 겸용 경광등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1341Y1 (ko) * 2005-01-19 2005-04-12 임양식 개선된 낚시 미끼통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2746A (ko) 2023-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91503B1 (ko) 낚시용 야광루어 축광장치
US7506992B2 (en) Led cap light
US8113147B1 (en) LED lamp and aquarium using same
US7124535B2 (en) Lighted fish hooks
US7607253B2 (en) Lure light for illuminating lure while fishing
US20090223109A1 (en) Lure Light for Illuminating Lure While Fishing
US6796077B1 (en) Illuminative fishing lure with hook/weed guard circuit switch
KR102549288B1 (ko) 캡라이트
KR101555309B1 (ko) 낚시용 전자찌
KR20170001567U (ko) 케미라이트 셋트 보관 케이스
KR200447338Y1 (ko) 발광 낚시찌
KR200440289Y1 (ko) 전구가 내장된 낚시대 캡
US7614177B1 (en) Modified lighted fishing pole
KR101423864B1 (ko) 발광스틱 및 이를 채용하는 장치
KR200174238Y1 (ko) 낚시대용 조명장치
KR100812050B1 (ko) 솔라셀 및 레이저를 장착한 충전식 낚시용 뒷받침대
KR20140090581A (ko) 발광스틱 및 이를 채용하는 장치
JP3474751B2 (ja) 発光ルアー
KR20090008782A (ko) 발광 찌
KR20000017709A (ko) 부이기능을 겸한 수중집어등
RU136958U1 (ru) Световая приманка
KR200207771Y1 (ko) 낚시용 미끼통
KR100842106B1 (ko) 기능성 낚시찌
KR200195009Y1 (ko) 낚시용 미끼통
CN218921351U (zh) 带光源的钓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