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9139B1 - 압축기 - Google Patents

압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9139B1
KR102549139B1 KR1020160149613A KR20160149613A KR102549139B1 KR 102549139 B1 KR102549139 B1 KR 102549139B1 KR 1020160149613 A KR1020160149613 A KR 1020160149613A KR 20160149613 A KR20160149613 A KR 20160149613A KR 102549139 B1 KR102549139 B1 KR 1025491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harge valve
guide pin
point
hole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96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52378A (ko
Inventor
조성해
김양선
서종천
김태윤
최태훈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496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9139B1/ko
Priority to US16/349,111 priority patent/US11174861B2/en
Priority to EP16920933.5A priority patent/EP3514390B1/en
Priority to PCT/KR2016/013217 priority patent/WO2018088605A1/ko
Priority to CN201680090762.2A priority patent/CN109952437B/zh
Publication of KR201800523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23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91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91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18/00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18/02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 F04C18/0207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both members having co-operating elements in spiral form
    • F04C18/0215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both members having co-operating elements in spiral form where only one member is mov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18/00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18/02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 F04C18/0207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both members having co-operating elements in spiral form
    • F04C18/0215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both members having co-operating elements in spiral form where only one member is moving
    • F04C18/0223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both members having co-operating elements in spiral form where only one member is moving with symmetrical double wra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18/00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18/02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 F04C18/0207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both members having co-operating elements in spiral form
    • F04C18/0246Details concerning the involute wraps or their base, e.g. geometry
    • F04C18/0253Details concerning the ba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4C18/00 - F04C28/00
    • F04C29/06Silenc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4C18/00 - F04C28/00
    • F04C29/12Arrangements for admission or discharge of the working fluid, e.g.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inlet or outlet
    • F04C29/124Arrangements for admission or discharge of the working fluid, e.g.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inlet or outlet with inlet and outlet valves specially adapted for rotary or oscillating piston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4C18/00 - F04C28/00
    • F04C29/12Arrangements for admission or discharge of the working fluid, e.g.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inlet or outlet
    • F04C29/124Arrangements for admission or discharge of the working fluid, e.g.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inlet or outlet with inlet and outlet valves specially adapted for rotary or oscillating piston pumps
    • F04C29/126Arrangements for admission or discharge of the working fluid, e.g.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inlet or outlet with inlet and outlet valves specially adapted for rotary or oscillating piston pumps of the non-return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4C18/00 - F04C28/00
    • F04C29/12Arrangements for admission or discharge of the working fluid, e.g.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inlet or outlet
    • F04C29/124Arrangements for admission or discharge of the working fluid, e.g.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inlet or outlet with inlet and outlet valves specially adapted for rotary or oscillating piston pumps
    • F04C29/126Arrangements for admission or discharge of the working fluid, e.g.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inlet or outlet with inlet and outlet valves specially adapted for rotary or oscillating piston pumps of the non-return type
    • F04C29/128Arrangements for admission or discharge of the working fluid, e.g.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inlet or outlet with inlet and outlet valves specially adapted for rotary or oscillating piston pumps of the non-return type of the elastic type, e.g. reed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5/00Check valves
    • F16K15/02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 F16K15/021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the valve member being a movable body around which the medium flows when the valve is ope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3/00Combinations of two or more pumps, each being of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type,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Pumping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Multi-stage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23/008Hermetic pu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pplications Or Details Of Rotary Compressors (AREA)
  • Rotary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압축기는 토출 밸브의 상하운동 시 수평방향에 대해 경사진 움직임을 제어하기 위하여 토출 밸브를 관통하는 2개 이상의 가이드 핀과 가이드 핀이 관통되는 관통홀을 포함하는 토출 밸브를 밸브 유닛을 포함한다. 토출 밸브가 수평 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경우 관통홀의 내주면 상에서 가이드 핀과 접하는 적어도 2개의 지점과 접하게되어 토출 밸브의 경사진 움직이 제한되어 토출 밸브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압축기 운전 시 소음을 저감시킨다.

Description

압축기{COMPRESSOR}
본 발명은 압축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스크롤 압축기의 토출구조에 관한 것이다.
스크롤 압축기는 스파이럴 형상의 랩(Wrap)을 가지는 고정 스크롤과 선회 스크롤을 조합하여 상대적인 운동에 의해 냉매를 압축하는 장치이다. 스크롤 압축기는 왕복동식 압축기 또는 로타리 압축기에 비해 효율이 높고, 진동 및 소음이 낮으며 소형 및 경량화가 가능하여 냉동 사이클 장치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스크롤 압축기는 밀폐용기 내에 수납된 고정 스크롤과 고정 스크롤에 대향하여 회전하는 선회 스크롤에 의해 형성되는 압축실을 가진다. 압축실은 선회 스크롤의 회전에 의해 외주측으로부터 내주측을 향해 서서히 좁아진다. 냉매는 압축실의 외주측으로부터 흡인되어 압축되고 압축실의 중심부로부터 밀폐용기 내로 토출된다.
냉매가 압축실에서 토출될 시 토출된 냉매가 역류하여 다시 압축실 내부로 흡인되어 압축실이 역회전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토출구 측에는 토출 밸브가 마련되어 냉매의 역류를 방지할 수 있다.
(특허문헌 1) US 6457952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압축기의 운전이 정지될 시 냉매의 역류를 제어하는 효과적인 밸브 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압축기는 선회스크롤과 함께 압축실을 형성하고, 상기 압축실에서 압축된 냉매가 토출되는 토출구를 포함하는 고정스크롤과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토출구를 개폐하는 토출 밸브와 상기 토출 밸브를 가이드 하는 제 1가이드 핀을 포함하는 밸브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토출 밸브는 상기 제 1가이드 핀이 관통하는 제 1관통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 1관통홀은 상기 토출 밸브가 상기 토출 밸브의 수평 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시 상기 제 1가이드 핀과 접하는 제 1지점과 제 2지점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 1지점과 상기 제 2지점은 상기 제1가이드 핀의 직경 방향으로 상기 제 1가이드 핀과 각각 접한다.
또한 상기 제 1지점과 상기 제 2지점은 상기 토출 밸브가 상기 토출 밸브의 수평 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상하 방향으로 이동된다.
또한 상기 토출구의 반경 방향으로 상기 토출구 반대측에 마련되는 제 2가이드핀을 더 포함하고. 상기 토출 밸브는 상기 제 2가이드 핀이 관통되는 제 2관통홀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토출구의 외측에 마련되는 제 2가이드 핀과 제 3가이드 핀을 더 포함하고, 상기 토출 밸브는 상기 제 2가이드 핀이 관통되는 제 2관통홀과 상기 제 3가이드 핀이 관통되는 제 3관통홀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 2관통홀은 상기 토출 밸브가 상기 토출 밸브의 수평 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시 상기 제 2가이드 핀과 접하는 제 3지점과 제 4시점을 포함하고, 상기 제 3지점과 상기 제 4지점은 상기 제 2가이드 핀의 직경 방향으로 상기 제 2가이드 핀과 각각 접한다.
또한 상기 제 1지점 내지 상기 제 4지점 중 적어도 어느 2개의 지점은 상기 토출 밸브가 상기 토출 밸브의 수평 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제한한다.
또한 상기 제 1관통홀은 원형상으로 마련되고, 상기 제 1가이드핀은 원기둥 형상으로 마련되고. 상기 제 1관통홀의 테두리의 반지름 길이와 상기 제 1가이드 핀의 외주면의 반지름 길이의 차이는 0.2mm에서 0.5mm 사이이다.
또한 상기 제 1가이드 핀은 상기 토출 밸브보다 큰 경도를 가지는 재질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 1가이드 핀의 높이는 상기 토출구의 토출 단면적의 크기 값에 110% 내지 150%의 길이로 마련된다.
또한 상기 토출 밸브가 상측으로 이동 시 상기 토출 밸브의 이동을 제한하는 밸브 스톱퍼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토출 밸브가 상기 밸브 스톱퍼에서부터 하강하여 상기 토출구를 폐쇄하는 시간은 0.5초 이내이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압축기는 선회스크롤과 함께 압축실을 형성하고, 상기 압축실에서 압축된 냉매가 토출되는 토출구를 포함하는 고정스크롤과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토출구를 개폐하는 토출 밸브와 상기 토출 밸브를 가이드하는 제 1가이드 핀과 제 2가이드핀을 포함하는 밸브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토출 밸브는 상기 제 1가이드 핀이 관통하는 제 1관통홀과 상기 제 2가이드 핀이 관통하는 제 2관통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 1관통홀과 상기 제 2관통홀은 상기 토출 밸브가 상기 토출 밸브의 수평 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시 상기 한 쌍의 가이드 핀과 접하는 2개의 지점을 각각 포함하고, 상기 제 1관통홀의 2개의 지점과 상기 제2관통홀의 2개의 지점 중 적어도 어느 2개의 지점은 상기 토출 밸브가 상기 토출 밸브의 수평 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제한한다.
또한 상기 제 1가이드 핀은 상기 토출구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2가이드 핀은 상기 토출구의 반경 방향으로 상기 토출구의 타측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제 1관통홀의 2개의 지점은 상기 토출구와 인접한 제 1지점과 상기 제 1지점에 대해 상기 관통홀의 반경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 2지점으로 마련되고, 상기 제 2관통홀의 2개의 지점은 상기 토출구와 인접한 제 3지점과 상기 제 1지점에 대해 상기 관통홀의 반경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 4지점으로 마련된다.
또한 상기 제 2지점과 상기 제 4지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토출 밸브가 상기 토출 밸브의 수평 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시 상기 제 1가이드 핀과 상기 제 2가이드 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접한다.
또한 상기 제 1지점과 상기 제 2지점은 상기 토출 밸브의 수평 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시 상기 제 1가이드 핀에 각각 접한다.
또한 상기 제 3지점과 상기 제 4지점은 상기 토출 밸브의 수평 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시 상기 제 2가이드 핀에 각각 접한다.
또한 상기 제 1관통홀은 원형상으로 마련되고, 상기 제 1가이드핀은 원기둥 형상으로 마련되고. 상기 제 1관통홀의 테두리의 반지름 길이와 상기 제 1가이드 핀의 외주면의 반지름 길이의 차이는 0.2mm에서 0.5mm 사이이다.
또한 상기 제 1가이드 핀은 상기 토출 밸브보다 큰 경도를 가지는 재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압축기는 선회스크롤과 함께 압축실을 형성하고, 상기 압축실에서 압축된 냉매가 토출되는 토출구를 포함하는 고정스크롤과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토출구를 개폐하는 토출 밸브와 상기 토출 밸브를 가이드하고 원기둥 형상으로 마련되는 제 1가이드 핀을 포함하는 밸브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토출 밸브는 상기 제 1가이드 핀이 관통하는 원형 형상의 제 1관통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 1관통홀의 테두리의 반지름 길이와 상기 제 1가이드 핀의 외주면의 반지름 길이의 차이는 0.2mm에서 0.5mm 사이이다.
본 발명의 압축기는 토출 밸브의 상하운동 시 수평방향에 대해 경사진 움직임을 제어 하여 토출 밸브의 안정성 있는 구동을 구현하여 토출 밸브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압축기 운전 시 소음을 저감시킨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의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의 밸브 유닛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의 밸브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의 밸브 유닛이 토출구를 폐쇄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의 밸브 유닛이 토출구를 개방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의 밸브 유닛의 토출 밸브가 경사지게 이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의 밸브 유닛의 토출 밸브가 경사지게 이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의 밸브 유닛의 토출 밸브가 일측으로 치우치게 이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의 밸브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의 밸브 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상측", "상방" 등의 방향은 도 1에 개시된 압축기를 기준으로 위측을 나타내며 "양측", "측방"은 도 1에 도시된 압축기의 좌우 방향을 말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축기(1)는 밀폐된 내부 공간을 가지는 본체(10)와 본체(10)의 내부에 위치한 구동유닛(20) 및 압축유닛(30)을 포함할 수 있다. 압축기(1)의 외면에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등에 설치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부재(18)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닥면에 안정적으로 안착하여 고정되는 바닥판(19)을 구비할 수 있다.
본체(10)의 일측에는 냉매가 유입되도록 흡입구(13)가 마련되고, 다른 일측에는 흡입구(13)를 통해 유입되어 압축되는 냉매가 외부로 토출될 수 있도록 토출부(14)가 마련된다. 본체(10)의 상부 및 하부에는 본체(10) 내부를 밀폐하기 위한 상부캡(12)과 하부캡(11)이 장착될 수 있다.
구동유닛(20)은 본체(10)의 하측 내부에 압입되는 고정자(24)와, 고정자(24)의 중앙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자(2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회전자(23)의 상하부에는 회전자(23)의 회전시 회전 불균형을 조절할 수 있도록 밸런스 웨이트(17)가 설치된다.
본체(10)의 내측 상부 및 하부에는 각각 상부 플랜지(15)와 하부 플랜지(16)가 고정된다. 구동유닛(20)은 상부 플랜지(15)와 하부 플랜지(16)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부 플랜지(15)와 하부 플랜지(16) 사이에는 회전축(21)이 장착되어 구동유닛(20)으로부터 발생되는 회전력을 압축유닛(30)의 선회 스크롤(50)에 전달한다. 회전축(21)의 상단에는 회전축(21)의 중심으로부터 편심되게 마련되는 편심부(25)가 형성된다.
상부 플랜지(15)의 중심에는 회전축(21)이 관통되어 설치되기 위한 관통홀(15a)이 형성된다. 관통홀(15a)의 주위에는 회전축(21)을 통해 흡상되는 오일이 저장되기 위한 오일 저장부(15b)가 형성될 수 있다. 회전축(21)의 내부에는 회전축(21)의 축방향으로 오일이동관(22)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오일이동관(22)의 하단부에는 오일 펌프(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압축유닛(30)은 본체(10)의 내부로 유입되는 냉매를 압축시킬 수 있도록 고정 스크롤(60) 및 고정 스크롤(60)과 상대 선회 운동을 하는 선회 스크롤(50)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스크롤(60)은 상부 플랜지(15)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본체(10)에 고정 결합되고, 선회 스크롤(50)은 고정스크롤(60)에 대하여 선회 운동하도록 고정 스크롤(60)과 상부 플랜지(15)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선회 스크롤(50)은 회전축(21)이 끼워져 회전축(21)에 의해 가동되고 상면에 스파이럴 형상의 선회 랩(51)이 형성된다. 고정스크롤(60)의 하면에는 선회 스크롤(50)의 선회 랩(51)에 맞물리도록 고정 랩(61)이 형성된다.
선회 스크롤(50)과 고정 스크롤(60)은 각각의 선회 랩(51)과 고정 랩(61)이 맞물려 압축실(41)을 형성한다. 선회 스크롤(50)과 상부 플랜지(15) 사이에는 올담링 수용부(44)가 마련될 수 있다. 올담링 수용부(44)에는 선회 스크롤(50)의 자전을 방지하면서 선회시키기 위한 올담링(Oldham's ring)(43)이 수용될 수 있다.
본체(10)의 내부는 상부 플랜지(15)와 고정 스크롤(60)에 의해 상측부(P1)와 하측부(P2)로 구분되며, 상측부(P1)와 하측부(P2)는 모두 고압 상태를 가진다. 고정 스크롤(60)은 그 일측에 유입구(13)에 연결되는 가스 흡입관(P)이 연통되기 위한 흡입구(64)가 형성되고, 상면 중심에는 압축실(41)에서 압축된 냉매를 본체(10)의 상측부(P1)로 토출시키기 위한 토출구(63)이 형성된다. 이때, 토출구(63)에는 토출되는 냉매 가스가 역류되지 않도록 토출구(63)을 개폐하는 밸브 유닛(100)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밸브 유닛(10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압축기(1)는 전원이 인가되면 회전축(21)이 회전자(23)와 함께 회전하고, 회전축(21)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선회 스크롤(50)이 회전을 한다. 선회 스크롤(50)의 회전은 회전축(21)의 중심에서 편심부(24)의 중심까지의 거리인 편심 거리를 선회 반경으로 하여 선회 운동을 한다. 이때, 선회 스크롤(50)은 올담링(43)에 의하여 자전이 방지된다.
선회 스크롤(50)은 일정 두께와 면적을 가지는 선회 플레이트(52), 선회 플레이트(52)의 상면에 일정 두께와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선회 랩(51) 및 선회 플레이트(52)의 하면에 형성되는 보스부(53)를 포함할 수 있다. 보스부(53)는 중공(53a)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선회 랩(51)을 지지하는 선회 플레이트(52)의 내부에는 오일이동관(22)에 연결되는 오일이동통로(54)가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오일이동통로(54)의 일 단부에는 선회 스크롤(50)과 일체로 움직이는 급유포트(Oil supply port, 55)가 형성될 수 있다. 오일이동통로(54)의 다른 단부는 오일이동관(22)에 연결되도록 보스부(53)의 중공(53a)을 향할 수 있다.
오일이동통로(54) 상에는 오리피스 핀(Orifice pin)이 마련되어 급유홀(55)의 외측과의 압력차이를 형성하여 오일이 급유홀(55)을 통과하여 선회 스크롤(50) 상으로 토출될 수 있게 할 수 있다.
고정 스크롤(60)은 소정 형상으로 형성되는 바디(62), 바디(62)의 내부에 일정 두께와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고정 랩(61), 바디(62)의 중앙부에 관통 형성되는 토출구(63) 및 바디(62)의 일측에 형성되는 흡입구(64)를 포함할 수 있다.
선회 스크롤(50)이 고정 스크롤(60)에 대하여 선회 운동함에 따라, 선회 랩(51)과 고정 랩(61) 사이에 압축실(41)이 형성된다. 압축실(41)은 선회 스크롤(50)의 지속적인 선회 운동에 의해 중심으로 이동하면서 체적이 감소하여 흡입되는 냉매를 압축하게 된다.
압축실(41)에서 냉매는 선회 스크롤(50)의 회전에 따라 고정 스크롤(60)과 선회 스크롤(50)의 중심을 항하여 이동하면서 체적이 감소되고 이에 따라 압력이 증가하게 되어 고압 고온의 냉매될 수 있다.
고압, 고온의 냉매는 고정 스크롤(60)의 중심부 상측에 마련된 토출구(63)을 통해 압축기(1)의 상부축을 향해 압축실(41)에서 토출되고 토출부(14)를 통해 압축기(1) 밖으로 토출될 수 있다.
압축기(1)의 구동 중에는 선회 스크롤(50)의 선회 운동을 통해 압축실(41)이 중심을 향할수록 체적이 감소되는 운동을 통해 고압 고온의 냉매가 형성되고 압축실(41)과 토출구(63) 외부의 압력 차이로 인해 토출구(63) 외부로 냉매가 토출될 수 있다.
다만, 압축기(1)의 구동이 멈추는 경우, 압축실(41)과 토출구(63) 외부와의 압력 차이가 감소하여 고온 고압의 냉매가 다시 토출구(63)를 통해 압축실(41)로 역류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토출구(63)의 상부에는 밸브 유닛(100)이 마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밸브 유닛(100)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 유닛(100)은 냉매의 토출에 의해 토출구(63)의 상측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는 토출 밸브(110)와 토출 밸브(110)의 움직임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 핀(120a, 120b)과 토출 밸브(110)의 상측 방향 운동을 제한하는 밸브 스톱퍼(130)와 가이드 핀(120a, 120b) 및 밸브 스톱퍼(130)를 고정 스크롤(60)에 고정시키는 고정 부재(140)를 포함할 수 있다.
토출 밸브(110)는 냉매가 토출되는 과정에서 토출구(63) 상측에서 상하 방향으로 왕복운동을 할 수 있다. 토출 밸브(110)는 토출구(63)를 개폐하는 바디(111)와 가이드 핀(120a, 120b)이 관통되도록 마련되는 관통홀(112a, 112b)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는 자세하게 후술한다.
가이드 핀(120a, 120b)은 토출 밸브(110)가 상하 운동할 수 있도록 토출 밸브(110)의 이동 경로를 가이드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가이드 핀(120a, 120b)은 고정 스크롤(60)의 상면에서 상측으로 연장되게 마련되고 가이드 핀(120a, 120b)을 관통하는 토출 밸브(110)의 관통홀(112a ,112b)를 통해 토출 밸브(110)가 상하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가이드 핀(120a, 120b)는 HRC(Rockwell, Scale C) 55 이상의 경도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가이드 핀(120a, 120b)의 경도는 토출 밸브(110)의 경도보다 크게 마련될 수 있다. 이 때 토출 밸브(110)는 대략 HRC 50 내외일 수 있다.
관통공(112a, 112b)의 내주면(113a, 113b)의 반지름은 가이드 핀(120a, 120b)의 외주면 반지름의 길이보다 이격 길이(d)만큼 길게 마련될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자면 관통공(112a, 112b)의 단면적은 가이드 핀(120a, 120b)의 단면적보다 크게 마련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토출 밸브(110)는 가이드 핀(120a, 120b)에 가이드되어 상하 방향으로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다.
이격 길이(d)는 0.2mm 내지 0.5mm 범위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격 길이(d)가 0.2mm 이하인 경우 가이드 핀(120a, 120b)이 관통공(112a, 112b) 내측으로 관통하도록 하는 조립성이 저하되어 제조상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격 길이(d)가 0.5mm 이상인 경우 토출 밸브(110)의 상하 이동 시 수평 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이동되는 것을 제한하기 어려워 소음 및 진동이 증가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격 길이(d)와 수평 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이동되는 토출 밸브(110)에 대하여는 자세하게 후술한다.
밸브 스톱퍼(130)는 가이드 핀(120a, 120b)의 상단 측에 배치되어 토출 밸브(110)가 가이드 핀(120a, 120b)을 따라 상측으로 이동될 시 토출 밸브(110)가 가이드 핀(120a, 120b)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토출 밸브(110)의 상방 움직임을 제한할 수 있다.
고정 부재(140)는 밸브 스톱퍼(130)와 가이드 핀(120a, 120b) 내측에 마련되는 관통공에 삽입되어 밸브 스톱퍼(130)와 가이드 핀(120a, 120b)를 고정 스크롤(60)의 상단에 고정시킬 수 있다. 고정 부재(140)는 리벳 또는 나사의 형상으로 마련되어 스크류 결합이 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매(r))가 토출되기 전에는 토출 밸브(110)가 하측에 위치(P1)하여 토출구(63)가 폐쇄되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 후, 압축기(1)가 구동되고 고온 고압의 냉매가 압축실(41)의 중심측으로 유동된 후 토출구(63)까지 유동되게 된다.
이 후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출구(63)로 유동된 고온 고압의 냉매는 토출구(63)와 접하게 마련되는 토출 밸브(110)의 하측면을 타격하여 토출 밸브(110)를 상측으로 가압할 수 있다.
토출 밸브(110)가 상측으로 가압되면서 토출 밸브(110)가 상측으로 이동되고 토출 밸브(110)와 토출구(63) 사이가 개방될 수 있다. 냉매는 토출구(63)를 통과하여 개방된 구간을 통해 고정 스크롤(60)의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토출 밸브(110)는 냉매의 가압으로 상측으로 이동되어 밸브 스톱퍼(110)의 하측에 접하는 위치(P2)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냉매는 토출구(63)를 관통하여 토출 밸브(110)의 제 1위치(P1)와 제 2위치(P2) 사이의 높이(h)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을 통해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이 후 압축기(1)의 구동이 종료되어 압축실(41)에서부터 냉매가 토출되지 않는 경우 토출 밸브(110)를 상측으로 가압하는 힘이 없어져 토출 밸브(110)는 다시 하측으로 이동하여 토출구(63)를 폐쇄하는 위치(P1)에 마련되게 된다.
제 1위치(P1)와 제 2위치(P2) 사이로 정의되는 가이드 핀(120a, 120b)의 높이(h)의 길이는 토출구(63)의 단면적 값에 110%~150%의 값으로 마련될 수 있다.
높이(h) 값이 토출구(63)의 단면적 값에 110% 이하로 마련될 경우 토출구(63)를 통해 토출되는 냉매의 토출 유로의 면적이 줄어들어 토출 유로의 저항이 증가함에 따라 압축기(1)의 성능 저하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높이(h) 값이 토출구(63)의 단면적 값에 150% 이상으로 마련될 경우압축기(1)의 운전이 정지되어 냉매가 토출되지 않아 토출 밸브(110)가 제 2위치(P2)에서 제 1위치(P1)로 이동되는 시간이 길어져 토출 밸브(110)가 제 1위치(P1)로 복귀하지 못할 시 냉매가 역류하여 토출구(63)로 흡입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높이(h)의 값은 토출구(63) 단면적 값의 110%~150%)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종래의 밸브 유닛의 경우 밸브 유닛의 토출 밸브는 토출 밸브의 외곽측면이 가이드부재에 가이드 되어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었다. 즉, 가이드부재에 의해 마련되는 가이드부재의 내측 공간에서 토출되는 냉매의 가압으로 토출 밸브가 자유롭게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었다.
고압으로 토출되는 냉매에 의해 토출 밸브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 중 고정스크롤의 상면에 대해 수평하게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지 못하고 고정스크롤의 상면의 수평 방향에 대해 자유롭게 경사지게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압축기가 고속 운전 또는 고압 운전 등 과도한 운전 조건이 형성되는 경우 냉매의 빠른 토출에 의해 토출 밸브의 상하 운동도 과도하게 발생할 수 있는데, 토출 밸브의 상하 방향으로의 거동이 불안정하여 토출 밸브가 고정 스크롤의 상부 즉, 토출구에 인접한 고정 스크롤의 상측면의 어는 일측을 과도하게 타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고정 스크롤의 상부의 어느 일측 또는 고정 스크롤의 상부의 어느 일측을 타격하는 토출 밸브의 일측이 과다하게 마모되는 문제가 발생하여 압축기 운전의 신뢰성이 저하될 수 있다.
즉, 토출 밸브의 마찰력 및 충돌력의 크기를 제어할 수 없어 토출 밸브의 신뢰성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토출 밸브의 거동이 불안전하여 불규칙하게 상하 방향으로 왕복운동을 함에 따라 소음이 증가할 수 있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압축기(1)는 토출 밸브(110)가 상하 방향으로 경사지게 운동하는 것을 제한하여 토출 밸브(110)의 충돌력 및 마찰력을 저감시킬 수 있는 밸브 유닛(100)을 포함할 수 있다.
토출 밸브(110)를 가이드하는 가이드 핀(120a, 120b)은 토출 밸브(110)를 관통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토출구(63)를 중심으로 토출구(63)의 외측으로 제 1가이드 핀(120a)가 배치되고 토출구(63)의 반경 방향으로 토출구(63)의 반대 방향에 제 2가이드 핀(120b)이 배치될 수 있다.
토출 밸브(110)는 제 1가이드 핀(120a)이 관통되도록 마련되는 제 1관통홀(112a)과 제 2가이드 핀(120b)이 관통되도록 마련되는 2제 2관통홀(112b)을 포함할 수 있다.
토출 밸브(110)의 바디(111)의 중심측은 토출구(63)를 개폐하도록 토출구(63)의 외경보다 넓은 넓이의 면을 포함하고, 제 1가이드 핀(120a)과 제 2가이드 핀(120b) 측으로 연장되게 마련될 수 있다. 토출 밸브(110)는 토출구(63)를 중심으로 제 1가이드 핀(120a)과 제 2가이드 핀(120b) 측으로 대칭 형상으로 연장될 수 있다.
즉, 토출 밸브(110)는 토출구(63)를 중심으로 토출구(63) 외경의 반경 방향으로 대칭되는 위치에 제 1관통홀(112a)과 제 2관통홀(112b)가 배치되도록 형성되고 바디(111) 또한 토출구(63)를 중심으로 제 1관통홀(112a)과 제 2관통홀(112b)이 배치되는 방향으로 대칭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토출 밸브(110)가 고정 스크롤(60)의 상면의 수평과 경사지게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경우, 토출 밸브(110)를 관통하는 제 1가이드 핀(120a)과 제 2가이드 핀(120b)에 의해 고정 스크롤(60)의 상면의 수평 방향에 대해 일정 각도 이상 경사지는 것이 제한될 수 있다.
즉, 일정 각도 이상 경사진 상태로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경우 제 1가이드 핀(120a)과 제 2가이드 핀(120b)이 제 1관통홀(112a)과 제 2관통홀(112b) 각각의 내주면인 제 1내주면(113a)과 제 2내주면(113b)에 접하게 되어 경사진 상태로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없다.
상술한 바와 같이 관통공(112a, 112b)의 내주면(113a, 113b)의 반지름은 가이드 핀(120a, 120b)의 외주면 반지름의 길이보다 이격 길이(d)만큼 길게 마련되어 밸브(110)는 가이드 핀(120a, 120b)에 가이드되어 상하 방향으로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다.
다만, 토출 밸브(110)가 고정 스크롤(60)의 상면 또는 토출구(63) 폐쇄 시의 토출 밸브(110)의 수평 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시 관통공(112a, 112b)의 직경 방향에 대한 가이드 핀(120a, 120b)의 반지름의 길이가 증가하게 되어 이격 길이(d)가 0이 되어 제 1관통홀(112a)과 제 2관통홀(112b) 각각의 내주면인 제 1내주면(113a)과 제 2내주면(113b)에 접하게 된다.
따라서 이격 길이(d)가 0인 상태로는 토출 밸브(110)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없게 되는데 지속적인 토출 냉매의 가압으로 토출 밸브(110)는 경사각도가 작아지는 방향으로 이동되어 이격 길이(d)가 0 이상이 되고, 이격 길이(d)가 확보되면서 다시 토출 밸브(110)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즉, 관통공(112a, 112b)와 가이드 핀(120a, 120b) 사이에는 소정의 이격 길이(d)가 마련되어 토출 밸브(110)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음과 동시에 일정 값 이상의 경사 각도가 형성되는 경우 이격 거리(d)가 0이 되어 토출 밸브(110)의 상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또한 토출 밸브(110)의 이동이 제한되는 상태에서 토출 밸브(110)는 냉매의 가압으로 경사 각도가 낮아지는 방향으로 이동 됨에 따라 토출 밸브(110)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 시 수평에 대한 경사각도가 소정의 범위에서 유지되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도 7에 개시된 바와 같이, 토출 밸브(110)가 제 1가이드 핀(120a)측보다 제 2가이드 핀(120b)측이 상향으로 경사지게 상측으로 이동될 경우, 제 1가이드 핀(120a)은 제 1내주면(113a)에 접하게 되고 제 2가이드 핀(120b)은 제 2내주면(113b)에 접하게 된다.
이 때 제 1내주면(113a) 상에는 제 1가이드 핀(120a)과 접하는 제 1지점(114)과 제 1지점(114)에서 제 1내주면(113a)의 반경 방향으로 배치되고 제 1가이드 핀(120a)과 접하는 제2지점(115)을 포함할 수 있다.
만약 토출 밸브(110)가 제 1가이드 핀(120a)과 접하는 지점을 한 개만 포함할 경우, 하나의 지점을 토출 밸브(110)의 이동을 제한할 수 없기 때문에 토출 밸브(110)의 수평에 대한 경사각도를 제한할 수 없다.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같이 토출 밸브(110)는 제 1내주면(113a)에배치되는 제 1지점(114)과 제 2지점(115)을 포함하고 제 1지점(114)과 제 2지점(115)는 제 1가이드 핀(120a)에 대해 제 1내주면(113a)의 반경 방향으로 양측에 배치되어 토출 밸브(110)가 다 경사지게 이동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또한 제 2내주면(113b) 상에는 제 2가이드 핀(120b)과 접하는 제 3지점(116)과 제 3지점(116)에서 제 2내주면(113b)의 반경 방향으로 배치되고 제 2가이드 핀(120b)과 접하는 제4지점(117)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토출 밸브(110)가 수평에 대해 경사지게 상승될 시 제 1내주면(113a)과 제 2내주면(113b) 상에 배치되는 제 1지점 내지 제 4지점(114,115,116,117)에 의해 토출 밸브(110)이 거동이 제한될 수 있다.
즉.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지점(114)과 제 2지점(115)과 제 3지점(116) 및 제4지점(117) 모두가 가이드 핀(120a, 120b)에 접하여 토출 밸브(110)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토출 밸브(110)의 경사 각도에 따라 제 1지점(114) 내지 제 4지점(117) 중 적어도 2개의 지점이 가이드 핀(120a, 120b)에 접하여도 토출 밸브(110)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즉, 토출 밸브(110)는 토출구(63)에서 토출되는 냉매에 의해 이동되는데, 토출되는 냉매가 불균일하게 토출되는 경우 토출 밸브(110)가 수평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경사지게 이동될 뿐만 아니라 토출 밸브(110)는 수평 방향으로 소정 길이 이동된 상태로 수평 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 때 제 1내주면(113a)과 제 1가이드 핀(120a)과의 이격 거리(d)와 제 2내주면(113b)과 제 2가이드 핀(120b)고의 이격 거리(d)가 다르게 형성될 수 있어, 제 제 1지점(114) 내지 제 4지점(117) 중 어느 2개의 지점이 먼저 가이드 핀(120a, 120b)과 접하여 토출 밸브(110)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제 1지점(114)과 제 2지점(115)이 제 1가이드 핀(120a)과 접할 시 제 3지점(116) 및 제 4지점(117)의 접함 여부와 상관없이 토출 밸브(110)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또한 제 3지점(116)과 제 4지점(117)이 제 2가이드 핀(120b)과 접할 시 제 1지점(114) 및 제 2지점(115)의 접함 여부와 상관없이 토출 밸브(110)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또한 제 2지점(115)과 제 4지점(117)이 각각 제 1가이드 핀(120a)과 제 2가이드 핀(120b)에 접할 시 제 1지점(114) 및 제 3지점(116)의 접함 여부와 상관없이 토출 밸브(110)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또한 제 2지점(115)과 제 3지점(116)이 각각 제 1가이드 핀(120a)과 제 2가이드 핀(120b)에 접할 시 제 1지점(114) 및 제 4지점(117)의 접함 여부와 상관없이 토출 밸브(110)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또한 제 1지점(114)과 제 4지점(117)이 각각 제 1가이드 핀(120a)과 제 2가이드 핀(120b)에 접할 시 제 2지점(115) 및 제 3지점(116)의 접함 여부와 상관없이 토출 밸브(110)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이는 토출 밸브(110)가 도 7과 달리 제 1가이드 핀(120a) 측이 상향 경사지게 상하 운동 시에도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달리 제 1관통홀(120a)과 제 2관통홀(120b)이 대칭되지 않는 관통홀(120a, 120b)을 가지는 토출 밸브(110) 역시 제 1지점(114) 내지 제 4지점(117) 중 적어도 2개의 지점에 의해 토출 밸브(110)의 경사 각도를 제한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한 토출 밸브(110)는 대칭되지 않는 제 1관통홀(120a)과 제 2관통홀(210b)을 포함할 수 있다. 이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관통홀(120a)과 제 2관통홀(120b)의 각각의 직경이 다른 경우뿐만 아니라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제1관통홀(120a)과 제 2관통홀(120b)이 토출구(63)에 대해 직경 방향으로 대칭되지 않게 배치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출 밸브(110)가 각각 직경이 다른 제 1관통홀(120a)과 제 2관통홀(120b)의 각각의 직경이 다른 경우에도 제 1지점(114)와 제 2지점(115)이 제 1가이드 핀(120a)에 접할 시 제 3지점(116) 및 제 4지점(117)의 접함 여부와 상관 없이 토출 밸브(110)가 수평 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이동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이 때, 제 1관통홀(120a)보다 직경이 더 큰 제 2관통홀(120b)은 제 2내주면(113b)과 제 2가이드 핀(120b) 사이의 이격 거리(d)가 더 길게 형성되기 때문에 재 1지점(114)과 제 2지점(115)이 제 1가이드 핀(120a)에 접하여도, 제 3지점(116)과 제 4지점(117)은 제 2가이드 핀(120b)에 접하지 않을 수 있다.
제 3지점(116)과 제 4지점(117)이 제 2가이드 핀(120b)과 접하지 않아도 제 1지점(114)과 제 2지점(115)에 의해 토출 밸브(110)는 경사지게 이동되는 것이 제한될 수 있다.
또한 토출 밸브(110)가 토출 밸브(110)는 수평 방향으로 소정 길이 이동된 상태로 수평 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경우에는 이격 거리(d)가 작은 측에 배치되는 2개의 지점이 가이드 핀(120a 또는 120b) 접하지 않고 4개의 지점(114,115,116,117) 중 임의적인 적어도 2개의 지점이 가이드 핀(120a 또는 120b 또는 120a, 120b)과 접하여 토출 밸브(110)의 경사진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토출 냉매가 불규칙하게 일측으로 쏠리게 토출되는 경우 토출 밸브(110)가 수평 방향으로 가압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출 냉매가 제 2 가이드 핀(120b) 측을 향해 토출될 경우 토출 밸브(110)는 제 냉매의 가압으로 제 2가이드 핀(120b)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 때 제 2지점(115)과 제 4지점(117)이 각각 제 1가이드 핀(120a)과 제 2가이드 핀(120b)에 접하게 되어 토출 밸브(110)가 수평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반대로 토출 냉매가 제 1 가이드 핀(120a) 측을 향해 토출될 경우 토출 밸브(110)는 제 냉매의 가압으로 제 1가이드 핀(120a)측으로 이동되고 제 1지점(114)과 제 3지점(116)이 각각 제 1가이드 핀(120a)과 제 2가이드 핀(120b)에 접하게 되어 토출 밸브(110)가 수평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한 밸브 유닛(2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밸브 유닛(200) 이 외의 구성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압축기(1)의 구성과 대응되는 바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 유닛(200)은 냉매의 토출에 의해 토출구(63)의 상측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는 토출 밸브(210)와 토출 밸브(210)의 움직임을 가이드 하는 3개의 가이드 핀(220a, 220b, 220c)과 토출 밸브(210)의 상측 방향 운동을 제한하는 밸브 스톱퍼(230)와 3개의 가이드 핀(220a, 220b, 220c) 및 밸브 스톱퍼(230)를 고정 스크롤(60)에 고정시키는 고정 부재(240)를 포함할 수 있다.
토출 밸브(210)는 냉매가 토출되는 과정에서 토출구(63) 상측에서 상하 방향으로 왕복운동을 할 수 있다. 토출 밸브(210)는 토출구(63)를 개폐하는 바디(211)와3개의 가이드 핀(220a, 220b, 220c)이 관통되도록 마련되는 3개의 관통홀(212a, 212b, 212c)를 포함할 수 있다.
3개의 가이드 핀(220a, 220b, 220c)은 토출 밸브(210)가 상하 운동할 수 있도록 토출 밸브(210)의 이동 경로를 가이드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3개의 가이드 핀(220a, 220b, 220c)은 토출구(63)를 중심으로 각각 대략 토출구(63)의 원주 방향으로 동일한 간격을 유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3개의 가이드 핀(220a, 220b, 220c)은 토출구(63)의 외측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 1가이드 핀(220a)과토출구(63)의 외측의 다른 일측에 배치되는 제 2가이드 핀(220b)과 토출구(63)의 외측의 타측에 배치되는 제 3가이드 핀(220c)을 포함할 수 있다.
토출 밸브(210)의 바디(211)의 중심측은 토출구(63)를 개폐하도록 토출구(63)의 외경보다 넓은 넓이의 면을 포함하고, 제 1가이드 핀(220a)과 제 2가이드 핀(220b) 및 제 3가이드 핀(220c)측으로 연장되게 마련될 수 있다. 토출 밸브(120)는 토출구(63)를 중심으로 제 1가이드 핀(220a)과 제 2가이드 핀(220b) 및 제 3가이드 핀(220c) 측으로 3방향으로 대칭 형상으로 연장될 수 있다.
즉, 토출 밸브(210)는 토출구(63)를 중심으로 토출구(63) 외경의 원주 방향으로 대칭되는 위치에 제 1관통홀(212a)과 제 2관통홀(212b) 및 제 3관통홀(212c)이 배치되도록 형성되고 바디(111) 또한 토출구(63)를 중심으로 제 1관통홀(212a)과 제 2관통홀(212b) 및 제 3관통홀(212c)이 배치되는 방향으로 대칭되게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본 별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토출 밸브(210) 또는 3개의 가이드 핀(220a, 220b, 220c)이 비 대칭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토출 밸브(210) 또는 3개의 가이드 핀(220a, 220b, 220c)이 대칭으로 형성될 경우 토출 밸브(210)가 수평하게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용이하여 압축기(1) 운전의 신뢰성 향상을 위해 대칭적으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토출 밸브(210)가 고정 스크롤(60)의 상면의 수평과 경사지게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경우, 토출 밸브(210)를 관통하는 제 1가이드 핀(220a)과 제 2가이드 핀(220b) 및 제 3가이드 핀(220c)에 의해 고정 스크롤(60)의 상면의 수평 방향에 대해 일정 각도 이상 경사지는 것이 제한될 수 있다.
즉, 일정 각도 이상 경사진 상태로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경우 제 1가이드 핀(220a)과 제 2가이드 핀(220b) 및 제 3가이드 핀(220c)이 제 1관통홀(212a)과 제 2관통홀(212b) 및 제 3관통홀(212c) 각각의 내주면인 제 1내주면(213a)과 제 2내주면(213b) 및 제 3내주면(213c)에 접하게 되어 경사진 상태로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없다.
3개의 가이드 핀(220a, 220b, 220c) 중 적어도 하나는 각각의 가이드 핀(220a, 220b, 220c)에 대응되는 제 1내주면(213a)과 제 2내주면(213b) 및 제 3내주면(213c) 중 적어도 하나에 접하여 토출 밸브(210)의 수평에 대한 경사진 상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 : 압축기 10 : 본체
11: 하부캡 12: 상부캡
13: 유입구 14: 토출부
15: 상부 플랜지 16: 하부 플랜지
21 : 회전축 22 : 오일이동관
41 : 압축실 43 : 올담링
44 : 올담링 수용부 50 : 선회 스크롤
51 : 선회 랩 52: 선회 플레이트
53 : 보스부 54 :오일이동통로
55 : 급유홀 60 : 고정 스크롤
61 : 고정 랩 62 : 바디
63 : 토출구 64 : 흡입구
100 : 밸브 유닛 110 : 토출 밸브
111 : 토출 밸브 바디 112 : 관통홀
113 : 관통홀 내주면 120 : 가이드 핀
130 : 밸브 스톱퍼 140 : 고정부재

Claims (20)

  1. 선회스크롤과 함께 압축실을 형성하고, 상기 압축실에서 압축된 냉매가 토출되는 토출구를 포함하는 고정스크롤;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토출구를 개폐하는 토출 밸브와 상기 토출 밸브를 가이드 하는 제 1가이드 핀 및 제2 가이드 핀을 포함하는 밸브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토출 밸브는 상기 제 1가이드 핀 및 상기 제2 가이드 핀 각각이 관통하는 제 1관통홀 및 제2 관통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 1관통홀은 상기 토출 밸브가 상기 토출 밸브의 수평 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시 상기 제 1가이드 핀과 접하는 제 1지점과 제 2지점을 포함하고,
    상기 토출 밸브가 상기 토출 밸브의 수평 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시 상기 제 1관통홀 및 제2 관통홀의 내주면이 상기 제 1가이드 핀 및 상기 제2 가이드 핀과 접촉되도록 상기 제 1관통홀 및 제2 관통홀은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압축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지점은 상기 제 1지점에 대해 상기 제 1가이드 핀의 직경 방향으로 반대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1지점과 상기 제 2지점은 각각 제1가이드 핀과 접하는 압축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지점과 상기 제 2지점은 상기 토출 밸브가 상기 토출 밸브의 수평 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제한하는 압축기.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구의 외측에 마련되는 제 3가이드 핀을 더 포함하고,
    상기 토출 밸브는 상기 제 3가이드 핀이 관통되는 제 3관통홀을 더 포함하는 압축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관통홀은 상기 토출 밸브가 상기 토출 밸브의 수평 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시 상기 제 2가이드 핀과 접하는 제 3지점과 제 4지점을 포함하고,
    상기 제 4지점은 상기 제 3지점에 대해 상기 제 1가이드 핀의 직경 방향으로 반대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3지점과 상기 제 4지점은 각각 제2가이드 핀과 접하는 압축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지점 내지 상기 제 4지점 중 적어도 어느 2개의 지점은 상기 토출 밸브가 상기 토출 밸브의 수평 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제한하는 압축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관통홀은 원형상으로 마련되고,
    상기 제 1가이드핀은 원기둥 형상으로 마련되고,
    상기 제 1관통홀의 테두리의 반지름 길이와 상기 제 1가이드 핀의 외주면의 반지름 길이의 차이는 0.2mm에서 0.5mm 사이인 압축기.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가이드 핀은 상기 토출 밸브보다 큰 경도를 가지는 재질을 포함하는 압축기.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가이드 핀의 높이는 상기 토출구의 토출 단면적의 크기 값에 110% 내지 150%의 길이로 마련되는 압축기.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 밸브가 상측으로 이동 시 상기 토출 밸브의 이동을 제한하는 밸브 스톱퍼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토출 밸브가 상기 밸브 스톱퍼에서부터 하강하여 상기 토출구를 폐쇄하는 시간은 0.5초 이내인 압축기.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KR1020160149613A 2016-11-10 2016-11-10 압축기 KR1025491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9613A KR102549139B1 (ko) 2016-11-10 2016-11-10 압축기
US16/349,111 US11174861B2 (en) 2016-11-10 2016-11-16 Compressor with discharge valve
EP16920933.5A EP3514390B1 (en) 2016-11-10 2016-11-16 Compressor
PCT/KR2016/013217 WO2018088605A1 (ko) 2016-11-10 2016-11-16 압축기
CN201680090762.2A CN109952437B (zh) 2016-11-10 2016-11-16 压缩机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9613A KR102549139B1 (ko) 2016-11-10 2016-11-10 압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2378A KR20180052378A (ko) 2018-05-18
KR102549139B1 true KR102549139B1 (ko) 2023-06-30

Family

ID=621103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9613A KR102549139B1 (ko) 2016-11-10 2016-11-10 압축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174861B2 (ko)
EP (1) EP3514390B1 (ko)
KR (1) KR102549139B1 (ko)
CN (1) CN109952437B (ko)
WO (1) WO201808860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41031B2 (en) 2020-03-13 2023-12-12 Honeywell International Inc. Compressor sensor mount
US11635091B2 (en) * 2020-03-13 2023-04-25 Honeywell International Inc. Compressor with integrated accumulator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25074A (en) * 1885-08-25 Blowing-engine valve
US2169052A (en) * 1937-09-13 1939-08-08 Ernest E Lindsey Check valve
US2981282A (en) * 1958-09-12 1961-04-25 Mack Company Valve device
US3530880A (en) * 1968-01-17 1970-09-29 Ronald G Hune Supersensitive check valve
DE2808891A1 (de) * 1978-03-02 1979-09-06 Neumuenster Masch App Plattenventil, insbesondere fuer rotationskompressoren
US5452989A (en) * 1994-04-15 1995-09-26 American Standard Inc. Reverse phase and high discharge temperature protection in a scroll compressor
KR100223432B1 (ko) 1997-10-13 1999-10-15 윤종용 스크롤 압축기
KR100291990B1 (ko) 1998-01-06 2002-01-15 구자홍 스크롤압축기의역회전방지구조
US6691702B2 (en) * 2000-08-03 2004-02-17 Sequal Technologies, Inc. Portable oxygen concentration system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US6457952B1 (en) * 2000-11-07 2002-10-01 Tecumseh Products Company Scroll compressor check valve assembly
KR100422364B1 (ko) * 2001-11-19 2004-03-11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밀폐형 압축기의 토출밸브
JP2003172274A (ja) 2001-12-05 2003-06-20 Fujitsu General Ltd スクロール圧縮機
JP2004044502A (ja) 2002-07-12 2004-02-12 Fujitsu General Ltd スクロール圧縮機
US20060177336A1 (en) 2005-02-04 2006-08-10 Lg Electronics Inc. Dual-piston valve for orbiting vane compressors
CN201339727Y (zh) * 2008-12-29 2009-11-04 上海三电贝洱汽车空调有限公司 排气止回阀
CN104481882A (zh) * 2014-12-09 2015-04-01 广东美芝制冷设备有限公司 用于旋转式压缩机的压缩机构及具有其的旋转式压缩机
CN204511881U (zh) * 2015-03-16 2015-07-29 艾默生环境优化技术(苏州)有限公司 定涡旋部件及包括该定涡旋部件的涡旋压缩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90277285A1 (en) 2019-09-12
CN109952437A (zh) 2019-06-28
WO2018088605A1 (ko) 2018-05-17
EP3514390B1 (en) 2023-05-24
US11174861B2 (en) 2021-11-16
EP3514390A4 (en) 2019-10-30
EP3514390A1 (en) 2019-07-24
KR20180052378A (ko) 2018-05-18
CN109952437B (zh) 2022-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29167B2 (en) Scroll machine having a discharge valve assembly
KR100730250B1 (ko) 스크롤 압축기
US7771178B2 (en) Vapor injection system for a scroll compressor
KR101473348B1 (ko) 셧다운 밸브를 가진 압축기
US9879673B2 (en) Scroll compressor
US10830237B2 (en) Compressor having integrated flow path structure
US9541083B2 (en) Scroll compressor including communication hole with improved back pressure chamber and back pressure hole locations
US11028849B2 (en) Scroll compressor having a rotation shaft with an oil flow path formed therein
KR102374062B1 (ko) 압축기
WO2018042854A1 (ja) スクロール圧縮機
KR102549139B1 (ko) 압축기
EP3159542B1 (en) Scroll compressor
US20130280117A1 (en) Compressor
KR20200068938A (ko) 고압식 스크롤 압축기
KR20150126534A (ko) 스크롤 압축기
KR0173576B1 (ko) 스크롤형 유체기계
JP6862242B2 (ja) スクロール圧縮機
US20230366401A1 (en) Scroll compressor
KR102408511B1 (ko) 스크롤 압축기
JP2021179205A (ja) スクロール圧縮機
JP6374728B2 (ja) スクロール圧縮機
KR100310530B1 (ko) 스크롤 압축기
JPWO2018021058A1 (ja) スクロール圧縮機
JP2006125366A (ja) 圧縮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