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8997B1 - 탄소 배출 저감을 위한 이동식 아스콘 재생 플랜트 - Google Patents

탄소 배출 저감을 위한 이동식 아스콘 재생 플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8997B1
KR102548997B1 KR1020230036798A KR20230036798A KR102548997B1 KR 102548997 B1 KR102548997 B1 KR 102548997B1 KR 1020230036798 A KR1020230036798 A KR 1020230036798A KR 20230036798 A KR20230036798 A KR 20230036798A KR 102548997 B1 KR102548997 B1 KR 1025489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asphalt
plant
aggregate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367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민형
김태훈
그뤠버 벤자민
이경
김진웅
신영균
정경모
나은수
안동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건이엔에스
이민형
김태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건이엔에스, 이민형, 김태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건이엔에스
Priority to KR10202300813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141114A/ko
Priority to KR1020230081354A priority patent/KR202401411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89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89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9/00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 E01C19/02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for preparing the materials
    • E01C19/10Apparatus or plants for premixing or precoating aggregate or fillers with non-hydraulic binders, e.g. with bitumen, with resins, i.e. producing mixtures or coating aggregates otherwise than by penetrating or surface dressing; Apparatus for premixing non-hydraulic mixtures prior to placing or for reconditioning salvaged non-hydraulic compositions
    • E01C19/1004Reconditioning or reprocessing bituminous mixtures, e.g. salvaged paving, fresh patching mixtures grown unserviceable; Recycling salvaged bituminous mixtures; Apparatus for the in-plant recycling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7/00Combinations of mechanical conveyors of the same kind, or of different kinds, of interest apart from their application in particular machines or use in particular manufacturing proces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8/00Use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8/04Waste materials; Refuse
    • C04B18/16Waste materials; Refuse from building or ceramic industry
    • C04B18/167Recycled materials, i.e. waste materials reused in the production of the same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6/00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only organic binders, e.g. polymer or resin concrete
    • C04B26/02Macromolecular compounds
    • C04B26/26Bituminous materials, e.g. tar, pitch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9/00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 E01C19/02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for preparing the materials
    • E01C19/08Apparatus for transporting and heating or melting asphalt, bitumen, tar,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9/00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 E01C19/02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for preparing the materials
    • E01C19/10Apparatus or plants for premixing or precoating aggregate or fillers with non-hydraulic binders, e.g. with bitumen, with resins, i.e. producing mixtures or coating aggregates otherwise than by penetrating or surface dressing; Apparatus for premixing non-hydraulic mixtures prior to placing or for reconditioning salvaged non-hydraulic compositions
    • E01C19/1054Preparing mixtures of which at least part of the solid ingredients has previously been deposited on the surface, excluding penetrating or surface dressing, e.g. in situ mixing, mixing involving lifting of spread or windrowed aggregat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9/00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 E01C19/02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for preparing the materials
    • E01C19/10Apparatus or plants for premixing or precoating aggregate or fillers with non-hydraulic binders, e.g. with bitumen, with resins, i.e. producing mixtures or coating aggregates otherwise than by penetrating or surface dressing; Apparatus for premixing non-hydraulic mixtures prior to placing or for reconditioning salvaged non-hydraulic compositions
    • E01C19/1059Controlling the operations; Devices solely for supplying or proportioning the ingredi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7/00Coherent pavings made in situ
    • E01C7/08Coherent pavings made in situ made of road-metal and binders
    • E01C7/18Coherent pavings made in situ made of road-metal and binders of road-metal and bituminous binders
    • E01C7/187Repairing bituminous covers, e.g. regeneration of the covering material in situ, application of a new bituminous topp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4Bulk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9/00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 E01C19/02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for preparing the materials
    • E01C19/10Apparatus or plants for premixing or precoating aggregate or fillers with non-hydraulic binders, e.g. with bitumen, with resins, i.e. producing mixtures or coating aggregates otherwise than by penetrating or surface dressing; Apparatus for premixing non-hydraulic mixtures prior to placing or for reconditioning salvaged non-hydraulic compositions
    • E01C2019/1081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rchitectur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탄소 배출 저감을 위한 이동식 아스콘 재생 플랜트에 있어서, 상기 이동식 아스콘 재생 플랜트는, 폐아스콘의 재생을 위한 플랜트부; 및 상기 플랜트부를 이송하기 위한 이송차량을 포함하고, 상기 플랜트부는, 공급되는 폐아스콘 중 기 설정된 크기 이하의 폐아스콘을 선별하여 수용하는 골재수용부; 상기 골재수용부에서 선별된 폐아스콘을 재생하기 위한 혼합재생부; 상기 혼합재생부로 아스팔트를 공급하기 위한 아스팔트 공급부; 상기 혼합재생부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물 공급부; 상기 혼합재생부로 시멘트를 공급하기 위한 시멘트 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플랜트부는 상기 이송차량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플랜트부는, 기 결정된 현장 위치에서 상기 이송차량에서 분리되어 그 위치를 지면에 고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이동식 아스콘 재생 플랜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탄소 배출 저감을 위한 이동식 아스콘 재생 플랜트{MOBILE ASCON RECYCLING PLANT FOR REDUCING CARBON EMISSION}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시공 현장 주변에 거점을 마련하여 기존 도로에서 발생된 폐아스콘을 상온 리사이클링을 통해 재생 아스콘으로 가공하는바, 폐아스콘의 재생 과정에서 발생되는 탄소 배출량 및 아스콘 골재의 운송 과정에서 발생되는 탄소 배출량을 크게 저감할 수 있는 이동식 아스콘 재생 플랜트에 관한 것이다.
국내의 포장 도로는 아스팔트 콘크리트 혼합물(이하, '아스콘') 포장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며, 이러한 아스콘 포장 도로는 설계수명에 도래했거나 또는 다른 요인으로 파손되는 경우 안전문제 등으로 인해 보수를 해주어야 한다. 그러나, 포장율의 증가와 기상이변으로 인해 도로 유지보수 비용은 매년 증가되고 있다.
아스콘 포장의 보수 방법으로는 절삭 덧씌우기, 패칭, 슬러리실 등 여러 가지 방법이 있으나, 절삭 덧씌우기 외의 공법들은 소규모이거나 예방적인 보수공법에 불과한바, 도로의 표면을 기 결정된 깊이로 절삭한 후 아스콘 플랜트에서 운반하여 온 가열아스콘을 사용하여 보수하는 절삭 덧씌우기 공법이 가장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절삭 덧씌우기, 소파보수 등 유지보수가 지속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폐아스콘 물량이 늘어나면서 폐아스콘을 순환골재로 이용한 재생 아스콘이 지속적으로 생산, 시공 및 연구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재생 아스콘 플랜트 생산시스템은, 현장의 기존 도로를 절삭하여 발생된 폐아스콘을 플랜트로 운반하여 순환골재로 재가공 한 후 다시 현장으로 운반 포설하는 공정을 거치기 때문에 환경성, 경제성, 신속성 등에서 불리하고, 지역적 한계가 있는 단점이 존재한다.
또한, 종래의 재생 아스콘 플랜스 생산시스템의 경우, 폐아스콘 뿐만 아니라 석산에서 취득한 신골재를 반드시 혼합하여 사용해야 했으므로, 자연 환경이 훼손되고 신골재 채취의 비용이 소요되는 단점이 존재하였다. 뿐만 아니라, 가열 재생을 통해 재생 아스콘을 취득하더라도 도로 포장시 신골재만을 이용한 아스콘 도로 포장에 비해 상대적으로 인장강도 등의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가 존재하였다.
특히, 폐아스콘의 장거리 운송 과정에서의 배기가스 배출, 160°~180°의 가열재생아스콘 생산을 위한 화석연료의 연소 과정에서 발생되는 탄소 배출, 및 재생 아스콘을 현장으로 장거리 운송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배기가스 배출 등으로 인해 다량의 탄소 배출이 발생되는 문제가 존재한다.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78954호(2015.11.30)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전술한 종래의 도로 포장 시공 방법의 문제점들을 개선한 이동식 아스콘 재생 플랜트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시공 현장 주변의 거점에서 폐아스콘의 가공을 통한 재생 아스콘의 생성이 곧바로 가능한바, 탄소 배출량을 크게 저감할 수 있는 이동식 아스콘 재생 플랜트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사항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이하 설명할 다양한 실시예들로부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고려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탄소 배출 저감을 위한 이동식 아스콘 재생 플랜트에 있어서, 상기 이동식 아스콘 재생 플랜트는, 폐아스콘의 재생을 위한 플랜트부; 및 상기 플랜트부를 이송하기 위한 이송차량을 포함하고, 상기 플랜트부는, 공급되는 폐아스콘 중 기 설정된 크기 이하의 폐아스콘을 선별하여 수용하는 골재수용부; 상기 골재수용부에서 선별된 폐아스콘을 재생하기 위한 혼합재생부; 상기 혼합재생부로 아스팔트를 공급하기 위한 아스팔트 공급부; 상기 혼합재생부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물 공급부; 상기 혼합재생부로 시멘트를 공급하기 위한 시멘트 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플랜트부는 상기 이송차량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플랜트부는, 기 결정된 현장 위치에서 상기 이송차량에서 분리되어 그 위치를 지면에 고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이동식 아스콘 재생 플랜트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플랜트부는, 일단이 상기 골재수용부 측에 배치되고 타단이 상기 혼합재생부 측에 배치되어, 상기 골재수용부로부터 배출된 폐아스콘을 상기 혼합재생부로 반송하기 위한 골재반송부; 및 상기 이송차량의 후방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된 운송설치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골재수용부, 상기 혼합재생부, 상기 아스팔트 공급부, 상기 물 공급부, 상기 시멘트 공급부 및 상기 골재반송부는 상기 운송설치부 상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골재수용부는, 상면이 개방되도록 형성되어, 폐아스콘을 공급받아 수용하는 호퍼부재; 및 상기 호퍼부재의 상부에 마련되고, 공급되는 폐아스콘 중 기 결정된 크기 이하의 폐아스콘을 선별하는 골재필터부를 포함하고, 상기 골재필터부는, 사각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기 결정된 크기에 대응되는 면적을 갖는 복수의 필터공이 마련된 한 쌍의 필터부재; 상기 한 쌍의 필터부재의 둘레를 따라 위치되고, 상기 한 쌍의 필터부재와 연결되어 상기 한 쌍의 필터부재를 지지하는 필터지지프레임; 및 상기 필터지지프레임의 복수의 지지프레임 중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지지프레임 각각에 대해 상기 한 쌍의 필터부재를 소정 각도 회전시키는 한 쌍의 개방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필터부재는, 상기 호퍼부재의 상부에서 서로 동일한 평면을 형성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호퍼부재의 개방된 상면을 폐쇄하고, 상기 한 쌍의 개방구동부의 작동에 의해, 상기 호퍼부재의 상측으로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전개되어 상기 호퍼부재의 상면을 개방할 수 있다.
상기 이송차량은, 상기 이송 차량의 후방에 마련되고 상기 운송설치부와 결합되도록 구성된 제1 결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운송설치부는, 상기 제1 결합부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된 제2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결합부는 상기 이송차량에 연결된 제1 결합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결합부는 상기 운송설치부에 연결된 제2 결합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결합플레이트 및 상기 제2 결합플레이트는 상호 볼조인트 구조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결합부는, 상기 제1 결합플레이트 상에 마련된 조인트 시트; 및 상기 조인트 시트에 결합된 볼 조인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볼 조인트는, 구 형상의 조인트 볼, 상기 조인트 볼의 일측에서 상방으로 연장 형성된 기 결정된 길이의 조인트 축을 포함하고, 상기 조인트 시트에는. 상기 조인트 볼이 삽입 위치되도록 구 형상의 조인트 홈이 마련되고, 상기 볼 조인트의 조인트 축은 상기 제2 결합플레이트를 관통하여 고정되고, 상기 제1 결합플레이트는 지면에 평행하게 위치된 상태에서 지면에 대해 소정 각도 틸팅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결합플레이트는 지면에 평행하게 위치된 상태에서 지면에 대해 소정 각도 틸팅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이동식 아스콘 재생 플랜트는, 사용자가 탑승하여 상기 플랜트부를 제어 가능하도록 구성된 제어실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운송설치부에는, 상기 운송설치부의 폭 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일단이 개방된 슬라이드삽입홈이 마련되고, 상기 제어실부는, 사용자가 출입 가능하게 구성된 제어실하우징; 상기 제어실하우징의 하면 테두리에서 하방으로 돌출 형성된 하면스커트; 및 상기 슬라이드삽입홈 내에 배치되어 상기 슬라이드삽입홈의 폐쇄된 타단과 상기 하면스커트를 연결하고, 동작됨에 따라 상기 제어실하우징을 상기 운송설치부의 폭 방향으로 수평 이동되도록 하는 전개 액추에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스팔트 공급부에서 공급되는 아스팔트는 폼드 아스팔트의 형태로 공급되고, 상기 아스팔트 공급부는, 아스팔트를 수용하는 아스팔트탱크; 아스팔트, 물 및 압축공기를 혼합하여 폼드 아스팔트를 형성하고, 상기 폼드 아스팔트를 상기 혼합재생부로 공급하는 폼드 아스팔트 공급모듈; 및 상기 아스팔트탱크로부터 상기 폼드 아스팔트 공급모듈로 아스팔트를 이송하는 아스팔트공급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스팔트 공급부는, 상기 폼드 아스팔트를 형성하기 위한 팽창혼합기를 포함하고, 상기 팽창혼합기는, 상기 아스팔트탱크로부터 아스팔트를 공급받는 아스팔트 제공부; 일측부가 상기 아스팔트 제공부의 말단에 연결되고 중공 형성된 팽창챔버; 상기 팽창챔버 내로 기 결정된 압력 이상의 물을 공급하는 물 제공부; 상기 팽창챔버 내로 기 결정된 압력 이상의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압축공기 제공부; 및 상기 팽창챔버의 타측부에 연결되고, 상기 팽창챔버 내에서 형성된 폼드 아스팔트를 배출하는 아스팔트 배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아스팔트 제공부의 적어도 일부는, 내부에 아스팔트 유동로가 형성되도록 중공의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아스팔트 제공부에는, 상기 아스팔트 제공부의 적어도 일부의 내측면 및 외측면을 가열하기 위한 가열부가 마련되고, 상기 물 제공부는, 상기 팽창챔버에 설치되어 기 결정된 압력 이상의 물을 상기 팽창챔버 내로 공급하는 물공급노즐; 및 상기 물공급노즐의 후단에 결합되고, 상기 물공급노즐로 물을 이송하는 물이송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물이송라인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원통 형상의 아스팔트 제공부의 외주면을 따라 나선형으로 권취되어 위치되며, 상기 물 제공부에 의해 공급되는 물은, 상기 원통 형상의 아스팔트 제공부의 외주면을 따라 유동하며 가열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폐아스콘의 재생을 위한 플랜트부, 및 상기 플랜트부를 이송하기 위한 이송차량을 포함하는 이동식 아스콘 재생 플랜트에 있어서, 상기 플랜트부는, 공급되는 폐아스콘 중 기 설정된 크기 이하의 폐아스콘을 선별하여 수용하는 골재수용부; 상기 골재수용부에서 선별된 폐아스콘을 재생하기 위한 혼합재생부; 상기 혼합재생부로 아스팔트를 공급하기 위한 아스팔트 공급부; 상기 혼합재생부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물 공급부; 상기 혼합재생부로 시멘트를 공급하기 위한 시멘트 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플랜트부는 상기 이송차량에 대해 수평 평면에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플랜트부는, 기 결정된 현장 위치에서 상기 이송차량에서 분리되어 그 위치를 지면에 고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이동식 아스콘 재생 플랜트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탄소 배출 저감을 위한 이동식 아스콘 재생 플랜트에 있어서, 상기 이동식 아스콘 재생 플랜트는, 폐아스콘의 재생을 위한 플랜트부; 및 상기 플랜트부를 이송하기 위한 이송차량을 포함하고, 상기 플랜트부는, 공급되는 폐아스콘 중 기 설정된 크기 이하의 폐아스콘을 선별하여 수용하는 골재수용부; 상기 골재수용부에서 선별된 폐아스콘을 재생하기 위한 혼합재생부; 상기 혼합재생부로 아스팔트를 공급하기 위한 아스팔트 공급부; 상기 혼합재생부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물 공급부; 상기 혼합재생부로 시멘트를 공급하기 위한 시멘트 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플랜트부는 상기 이송차량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플랜트부의 전방은 상기 이송차량의 후방에 720°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인, 이동식 아스콘 재생 플랜트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폐아스콘을 이용한 재생 아스콘의 생성이 시공 현장 주변의 거점에서 이루어지는바, 폐아스콘의 운반 및 재생 아스콘의 운반 등에 필요한 장거리 이동을 배제하여 운송 과정에서 발생되는 탄소 배출을 크게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종래의 폐아스콘의 고온 가열 공정이 생략되는바, 연료 연소에 의한 탄소 배출량을 크게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기존 도로 상의 폐아스콘 배출 및 운송에 필요한 폐기물 처리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도로 포장 시공 장소에서의 도로 포장 프로세스 및 물류 이송 과정을 단순화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시공 현장의 공간적 제약으로 인해 시공 현장에서의 재생 아스콘 생성이 제한되는 경우에도, 시공 현장 주변의 거점에서 재생 아스콘을 용이하게 생성하여 재생 아스콘을 이용한 도로 포장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시공 현장 주변의 거점에서 폐아스콘, 아스팔트 및 시멘트를 고용량으로 혼합하여 고용량의 재생 아스콘을 생성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상세한 설명의 일부로 포함된, 첨부 도면은 다양한 실시예들을 제공하고, 상세한 설명과 함께 다양한 실시예들의 기술적 특징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아스콘 재생 플랜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아스콘 재생 플랜트의 플랜트부가 전개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아스콘 재생 플랜트의 플랜트부의 동작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3의 플랜트부에 포함된 골재수용부의 골재필터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아스콘 재생 플랜트의 이송차량과 플랜트부의 연결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6의 (A)는 도 5의 A부분 확대도이고, 도 6의 (B)는 도 5의 B부분 확대도
도 7은 도 2에 도시된 플랜트부에 포함된 제어실부의 전개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8은 도 2에 도시된 플랜트부에 포함된 혼합재생부의 개략적인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도 2에 도시된 플랜트부에 포함된 팽창혼합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팽창혼합기 상부의 종단면을 나타낸 도면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팽창혼합기의 팽창챔버의 종방향 절단 사시도
도 12는 도 9에 도시된 팽창혼합기 하부의 분해사시도
도 13은 도 9에 도시된 팽창혼합기의 물공급노즐의 종단면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개시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개시와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개시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의 실시예는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아스콘 재생 플랜트(1000)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아스콘 재생 플랜트(1000)의 플랜트부(10)가 전개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아스콘 재생 플랜트(1000)의 플랜트부(10)의 동작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아스콘 재생 플랜트(1000)는, 폐아스콘의 재생을 위한 플랜트부(10), 및 플랜트부(10)를 이송하기 위한 이송차량(2)을 포함할 수 있다. 플랜트부(10)는 이송차량(2)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플랜트부(10)는, 기 결정된 현장 위치에서 이송차량(2)에서 분리되어 그 위치를 지면에 고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플랜트부(10)는 이송차량(2)에 결합되어 자유롭게 이동될 수 있고, 도로 포장 시공 현장 주변에 마련된 거점에서 플랜트부(10)는 이송차량(2)으로부터 분리되어 아스콘 재생을 위해 지면에 설치될 수 있다. 플랜트부(10)의 설치 시 플랜트부(10)는 지면에 안착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고, 플랜트부(10)의 적어도 일부는 기 설정된 배치 구조로 전개될 수 있다.
플랜트부(10)는, 이송차량(2)에 결합되어 이동되는 상태인 이동모드, 또는 기 결정된 위치에서 지면에 고정되고 아스콘 재생을 위해 구성요소들이 전개된 상태인 전개모드로 위치될 수 있다. 이동모드에서, 플랜트부(10)는 이동이 용이하도록 모든 구성요소들이 컴팩트한 형태로 조립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전개모드에서, 플랜트부(10)의 구성요소들은 기 설정된 배치 구조로 전개되어 위치될 수 있다.
플랜트부(10)는, 공급되는 폐아스콘 중 기 설정된 크기 이하의 폐아스콘을 선별하여 수용하는 골재수용부(100), 골재수용부(100)에서 선별된 폐아스콘을 재생하기 위한 혼합재생부(200), 혼합재생부(200)로 아스팔트를 공급하기 위한 아스팔트 공급부(400), 혼합재생부(200)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물 공급부(600), 및 혼합재생부(200)로 시멘트를 공급하기 위한 시멘트 공급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플랜트부(10)는, 골재수용부(100)로부터 배출된 폐아스콘을 혼합재생부(200)로 반송하기 위한 골재반송부(320), 및 이송차량(2)의 후방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된 운송설치부(8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골재반송부(320)의 일단은 골재수용부(100) 측에 배치될 수 있고, 골재반송부(320)의 타단은 혼합재생부(200) 측에 배치될 수 있다. 골재반송부(320)는 무단부재를 갖는 컨베이어 밸트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플랜트부(10)는, 혼합재생부(200)에서 생성된 재생 아스콘을 외부의 이송트럭으로 반송하기 위한 재생아스콘 이송부(700), 및 사용자가 탑승하여 플랜트부(10)를 제어 가능하도록 구성된 제어실부(9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골재수용부(100)에 폐아스콘이 공급되어 수용되고, 골재수용부(100)의 폐아스콘은 골재반송부(320)를 통해 혼합재생부(200)로 반송될 수 있다. 혼합재생부(200)로 폐아스콘이 반송된 상태에서 혼합재생부(200) 내로 아스팔트, 물 및 시멘트가 공급될 수 있고, 혼합재생부(200)에서 폐아스콘이 기 결정된 방향을 따라 이동되는 동안 폐아스콘, 아스팔트, 물 및 시멘트가 혼합되어 재생 아스콘이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혼합재생부(200)에는 별도의 가열부가 마련되지 않고 상온에서 재생 아스콘이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종래의 가열 재생 방식의 재생 아스콘 형성 방법에 비해 고온의 가열을 위해 필요한 연료의 연소 등이 불필요한바, 탄소 배출이 크게 저감될 수 있다. 혼합재생부(200)에서 생성된 재생 아스콘은 재생아스콘 이송부(700)를 통해 이송트럭에 적치될 수 있다. 재생 아스콘은 이송트럭에 의해 시공 현장으로 운송될 수 있다.
아스팔트 공급부(400)는, 아스팔트를 수용하는 아스팔트탱크(410), 폼드 아스팔트를 형성하고 폼드 아스팔트를 혼합재생부(200)로 공급하는 폼드 아스팔트 공급모듈(430), 및 아스팔트탱크(410)로부터 폼드 아스팔트 공급모듈(430)로 아스팔트를 이송하는 아스팔트공급라인(420)을 포함할 수 있다.
아스팔트탱크(410)는 단열 성능이 높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아스팔트탱크(410) 내에는 아스팔트히팅부(미도시 됨)가 마련될 수 있고, 아스팔트히팅부에 의해 아스팔트탱크(410) 내의 아스팔트는 160 내지 180˚의 온도 범위로 유지될 수 있다.
물 공급부(600)는, 물을 수용하는 물탱크, 물을 기 설정된 압력으로 혼합재생부(200)로 공급하는 물 분사부(630), 및 물탱크로부터 물 분사부(630)로 물을 이송하는 물공급라인(620)을 포함할 수 있다.
시멘트 공급부(500)는, 플랜트부(10)의 전개모드에서 지면에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시멘트를 공급받는 시멘트 공급호퍼(510), 소정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어 시멘트 공급호퍼(510)의 시멘트를 길이 방향 하단부에서 상단부로 반송하는 시멘트 반송부(520), 및 혼합재생부(200)의 상측에 배치되고 시멘트 반송부(520)로부터 공급받은 시멘트를 기 결정된 양으로 조절하여 혼합재생부(200)에 공급하는 시멘트 정량제어부(530)를 포함할 수 있다.
시멘트 공급호퍼(510)는, 상면이 개방된 원추 형상(즉, 뒤집어진 고깔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내경이 작아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시멘트 공급호퍼(510)의 하단에는 개방된 배출구가 마련될 수 있다.
시멘트 반송부(520)의 길이 방향 일단(하단부)은 시멘트 공급호퍼(510)의 배출구 아래에 배치될 수 있고, 시멘트 공급호퍼(510)의 배출구를 통해 배출된 시멘트는 시멘트 반송부(520)의 길이 방향 일단 상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시멘트 반송부(520)에는 시멘트를 낮은 높이에서 높은 높이로 반송하기 위한 반송스크류(미도시 됨)이 마련될 수 있고, 시멘트 반송부(520)로 공급된 시멘트는 반송스크류에 의해 하단부에서 상단부로 반송될 수 있다.
시멘트 정량제어부(530)는 시멘트 반송부(520)의 상단부 아래에 배치될 수 있고, 시멘트 반송부(520)로부터 시멘트를 공급받도록 상면이 개방되어 마련될 수 있다. 시멘트 정량제어부(530)의 하면 일부는 혼합재생부(200)의 상측에 위치되어 혼합재생부(200)를 향해 개방될 수 있다. 즉, 시멘트 정량제어부(530)로 공급된 시멘트는 혼합재생부(200)로 이동되어 공급될 수 있다.
한편, 시멘트 정량제어부(530)에는, 혼합재생부(200)로의 시멘트 공급량을 조절하기 위한 공급량 제어밸브(미도시 됨)가 마련될 수 있다. 공급량 제어밸브는 혼합재생부(200)를 향해 개방된 시멘트 정량제어부(530)의 개방된 하면의 개도를 조절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공급량 제어밸브는 시멘트가 기 결정된 양만큼만 혼합재생부(200)로 공급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공급량 제어밸브는, 후술할 골재반송부(320)에서 혼합재생부(200)로 공급된 폐아스콘 골재의 양에 따라 혼합재생부(200)로의 시멘트 공급량을 조절하도록 작동될 수 있다.
골재반송부(320)에는, 혼합재생부(200)로 공급되는 폐아스콘의 중량을 검출하는 중량센서(미도시 됨)가 마련될 수 있다. 중량센서에서 검출된 폐아스콘 중량 정보는 제어실부(900)에 마련된 제어 모듈(미도시 됨)로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전송될 수 있다.
제어 모듈에는, 폐아스콘 골재, 폼드 아스팔트, 물 및 시멘트의 혼합비가 미리 입력될 수 있다. 제어 모듈은, 중량센서로부터 수신한 폐아스콘 중량 정보 그리고 기 입력된 혼합비에 기초하여, 시멘트 정량제어부(530), 아스팔트 공급모듈(430) 및 물 분사부(63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 모듈은, 혼합재생부(200)로 공급된 폐아스콘 중량 정보에 기초하여 혼합재생부(200) 내로 공급되는 시멘트, 폼드 아스팔트 및 물의 공급량을 제어할 수 있고, 이를 통해, 혼합재생부(200)에서 생성되는 재생 아스콘의 구성요소 혼합비를 기 입력된 혼합비로 유지할 수 있다.
재생아스콘 이송부(700)는, 혼합재생부(200)의 아스콘 이송방향 말단의 하측에 마련된 재생아스콘 호퍼부(710), 및 재생아스콘 호퍼부(710)로부터 공급받은 재생 아스콘을 운송트럭으로 반송하기 위한 재생아스콘 이송부재(720)를 포함할 수 있다.
혼합재생부(200)에서 폐아스콘은 기 결정된 방향을 따라 이송될 수 있고, 폐아스콘의 이송 과정에서 혼합재생부(200) 내로 폼드 아스팔트, 물 및 시멘트가 공급됨에 따라 재생 아스콘이 생성?? 수 있다. 혼합재생부(200)의 폐아스콘 이송 방향의 기단측에는 골재반송부(320)의 타단이 위치될 수 있다. 또한, 혼합재생부(200)의 폐아스콘 이송 방향의 말단측에는 재생아스콘 호퍼부(710)가 위치될 수 있다.
호퍼부는, 상면이 개방된 원추 형상(즉, 뒤집어진 고깔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내경이 작아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호퍼부의 하단에는 재생아스콘 이송부재(720)의 길이 방향 일단이 연결될 수 있고, 재생아스콘 이송부재(720)의 길이 방향 일단은 호퍼부의 하단에 호퍼부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재생아스콘 이송부재(720)는 무단부재를 갖는 컨베이어 밸트 구조체로 마련될 수 있다. 재생아스콘 이송부재(720)는, 그 길이가 적어도 일 지점에서 절곡되어 폴딩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플랜트부(10)의 이동모드에서, 재생아스콘 이송부재(720)는 적어도 일 지점에서 절곡되어 폴딩된 상태로 위치될 수 있고, 절곡된 상태의 재생아스콘 이송부재(720)는 운송설치부(80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플랜트부(10)의 전개모드에서, 재생아스콘 이송부재(720)는 직선 형상으로 전개될 수 있고, 재생아스콘 이송부재(720)의 길이 방향 타단은 운송트럭 상측에 위치될 수 있다.
운송설치부(800)는 화물 트레일러의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운송설치부(800)의 후방에는 지면에 안착되는 이송바퀴가 마련될 수 있다. 플랜트부(10)의 이동모드에서, 골재수용부(100), 혼합재생부(200), 아스팔트 공급부(400), 물 공급부(600), 시멘트 공급부(500) 및 골재반송부(320)는 모두 운송설치부(800) 상에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운송설치부(800)의 전방측 하면에는, 플랜트부(10)의 전개모드에서 운송설치부(800)로부터 전개되어 지면에 안착 고정되는 한 쌍의 제1 안착지지부(830)가 마련될 수 있다. 한 쌍의 제1 안착지지부(830)는, 그 상단이 운송설치부(800)의 하면에 힌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플랜트부(10)의 이동모드에서 한 쌍의 제1 안착지지부(830)는 운송설치부(800)의 하면에 수납된 상태로 위치될 수 있고, 플랜트부(10)의 전개모드에서 한 쌍의 제1 안착지지부(830)는 운송설치부(800)의 하면으로부터 전개되어 지면에 안착 및 고정될 수 있다.
나아가, 운송설치부(800)의 전방과 후방 사이의 하면에는, 플랜트부(10)의 전개모드에서 운송설치부(800)로부터 전개되어 지면에 안착 고정되는 제2 안착지지부(840)가 마련될 수 있다. 제2 안착지지부(840)는 지면에 평행한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운송설치부(800)의 하면으로부터 지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승하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플랜트부(10)의 이동모드에서 제2 안착지지부(840)는 최상단으로 승강되어 운송설치부(800)의 하면에 수납된 상태로 위치될 수 있고, 플랜트부(10)의 전개모드에서 제2 안착지지부(840)는 운송설치부(800)의 하면으로부터 최하단 높이로 전개되어 지면에 안착 및 고정될 수 있다. 한 쌍의 제1 안착지지부(830) 및 제2 안착지지부(840)를 통해 플랜트부(10)는 지면에 안착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골재수용부(100)는, 폐아스콘을 공급받아 수용하는 호퍼부재(110), 및 공급되는 폐아스콘 중 기 결정된 크기 이하의 폐아스콘을 선별하는 골재필터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호퍼부재(110)는 중공 형성되고 상면이 개방된 구조로 형성될 수 있고,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지면에 평행한 평면의 단면적이 점차 좁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호퍼부재(110)의 하면은 개방되어 마련될 수 있고, 호퍼부재(110)의 개방된 하면은 골재반송부(320)의 일단부 바로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호퍼부재(110)의 하부로 이동된 폐아스콘 골재는 골재반송부(320)의 일단부로 이동될 수 있다. 한편, 호퍼부재(110)로 공급될 폐아스콘은 기 결정된 위치에 미리 적치되어 준비될 수 있고, 또는 시공 도로 상에서 기존 도로를 파쇄하여 채취할 수 있다.
골재필터부(120)는 호퍼부재(110)의 상부에 마련될 수 있고, 골재필터부(120)는 호퍼부재(110)의 상면을 형성할 수 있다. 골재필터부(120)는 호퍼부재(110)의 상면으로 공급되는 폐아스콘 중 기 결정된 크기 이상의 폐아스콘이 호퍼부재(110) 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는 도 3의 플랜트부(10)에 포함된 골재수용부(100)의 골재필터부(120)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골재필터부(120)는, 상기 폐아스콘의 기 결정된 크기에 대응되는 면적을 갖는 복수의 필터공이 마련된 한 쌍의 필터부재(121), 한 쌍의 필터부재(121)와 연결되어 한 쌍의 필터부재(121)를 지지하는 필터지지프레임(122), 및 필터지지프레임(122)의 복수의 지지프레임 중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지지프레임 각각에 대해 한 쌍의 필터부재(121)를 소정 각도 회전시키는 한 쌍의 개방구동부(123)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필터부재(121) 각각은 사각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필터부재(121)는, 호퍼부재(110)의 상부에서 서로 동일한 평면을 형성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필터지지프레임(122)은 한 쌍의 필터부재(121)의 둘레를 따라 위치될 수 있다. 즉, 필터지지프레임(122)은 수평하게 배치된 한 쌍의 필터부재(121)의 가장자리에서 한 쌍의 필터부재(121)의 위치를 지지할 수 있다.
한 쌍의 필터부재(121)가 동일한 평면을 형성하도록 서로 수평하게 배치될 때, 호퍼부재(110)의 개방된 상면을 폐쇄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필터부재(121)는, 한 쌍의 개방구동부(123)의 작동에 의해, 호퍼부재(110)의 상측으로 그리고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전개되어 호퍼부재(110)의 상면을 개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한 쌍의 필터부재(121) 각각은 직사각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필터지지프레임(122)은 직사각 형상의 프레임 구조로 형성될 수 있고,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제1 지지프레임(122a) 및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제2 지지프레임(122b)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제1 지지프레임(122a)은 필터부재(121)에서 상대적으로 장변을 이루는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될 수 있고, 한 쌍의 제2 지지프레임(122b)은 필터부재(121)에서 상대적으로 단변을 이루는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한 쌍의 개방구동부(123) 각각은 한 쌍의 제1 지지프레임(122a) 각각에 대해 한 쌍의 필터부재(121)를 소정 각도로 회전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 쌍의 제1 지지프레임(122a)은 한 쌍의 제2 지지프레임(122b)에 그 길이 방향 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연결될 수 있고, 한 쌍의 개방구동부(123)는 각각 한 쌍의 제1 지지프레임(122a)의 일단에 연결되어 한 쌍의 제1 지지프레임(122a)을 그 길이 방향 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이 때, 한 쌍의 필터부재(121) 각각에서 상호 대향하는 장변들 중 한 쌍의 필터부재(121)에서 최외측에 위치된 장변에는 각각 한 쌍의 제1 지지프레임(122a)이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지지프레임(122a)이 개방구동부(123)에 의해 회전되는 경우, 제1 지지프레임(122a)에 결합된 필터부재(121)는 제1 지지프레임(122a)의 길이 방향 축을 기준으로 소정 각도 회전되어 개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한 쌍의 필터부재(121)는 상방으로 개방될 수 있고, 호퍼부재(110)의 상면을 양개형으로 개방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골재수용부(100)로 공급된 폐아스콘 골재 중 필터부재(121)를 통과하지 못한 기 결정된 크기 이상의 골재들은 한 쌍의 필터부재(121)의 상부에 남아있다가 한 쌍의 필터부재(121)가 상방으로 회전되어 개방됨에 따라 골재수용부(10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로 인해, 필터부재(121) 상부에 기 결정된 크기 이상의 골재가 남아있어 폐아스콘 골재의 필터부재(121) 통과를 저해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골재필터부(120)는, 필터지지프레임(122)과 한 쌍의 필터부재(121)를 수평 방향으로 전후진 이동시켜 진동을 가하기 위한 한 쌍의 전후진구동부(124), 및 한 쌍의 전후진구동부(124)에 연결되고 필터지지프레임(122)의 수평 방향 이동을 안내하는 한 쌍의 가이드샤프트(12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샤프트(125)는 제1 지지프레임(122a)과 평행한 방향으로 소정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고, 한 쌍의 가이드샤프트(125)는 한 쌍의 제2 지지프레임(122b)을 횡단 방향으로 가로질러 관통할 수 있다. 한 쌍의 제2 지지프레임(122b) 중 하나는 각 가이드샤프트(125)의 길이 방향 일측에 결합될 수 있고, 한 쌍의 제2 지지프레임(122b) 중 나머지 하나는 각 가이드샤프트(125)의 길이 방향 타측에 결합될 수 있다.
한 쌍의 제2 지지프레임(122b)은 한 쌍의 가이드샤프트(125)의 길이 방향을 따라 수평 이동되도록 구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지지프레임(122b)은 한 쌍의 가이드샤프트(125) 상에 나사 결합될 수 있고, 한 쌍의 전후진구동부(124)가 구도됨에 따라 한 쌍의 가이드샤프트(125)가 그 축을 중심으로 회전되고, 한 쌍의 제2 지지프레임(122b)이 수평 이동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필터부재(121) 상에 공급된 폐아스콘 골재들이 위치될 때, 기 결정된 크기 이하의 골재가 필터부재(121)를 용이하게 통과할 수 있도록 한 쌍의 필터부재(121)는 한 쌍의 전후진구동부(124)에 의해 수평 이동될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아스콘 재생 플랜트(1000)의 이송차량(2)과 플랜트부(10)의 연결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의 (A)는 도 5의 A부분 확대도이고, 도 6의 (B)는 도 5의 B부분 확대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이송차량(2)은, 이송 차량의 후방에 마련되고 운송설치부(800)와 결합되도록 구성된 제1 결합부(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운송설치부(800)는, 제1 결합부(20)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된 제2 결합부(81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결합부(20)는 이송차량(2)에 연결된 제1 결합플레이트(21)를 포함할 수 있고, 제2 결합부(810)는 운송설치부(800)에 연결된 제2 결합플레이트(81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결합플레이트(21) 및 제2 결합플레이트(811)는 상호 볼조인트 구조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결합부(20)는, 이송차량(2)의 후방에 일체로 결합된 제1 지지플레이트(27), 제1 지지플레이트(27)와 제1 결합플레이트(21)를 연결하기 위한 제1 틸팅샤프트(24) 및 제1 완충샤프트(26), 제1 결합플레이트(21) 상에 마련된 조인트 시트(22), 및 조인트 시트(22)에 결합된 볼 조인트(2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지지플레이트(27)는 지면에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고, 제1 결합플레이트(21)는 제1 지지플레이트(27)에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볼 조인트(23)는, 구 형상의 조인트 볼(23a), 조인트 볼(23a)의 일측에서 상방으로 연장 형성된 기 결정된 길이의 조인트 축(23b)을 포함할 수 있다. 조인트 시트(22)에는. 조인트 볼(23a)이 삽입 위치되도록 구 형상의 조인트 홈(22a)이 마련될 수 있고, 볼 조인트(23)의 조인트 축(23b)은 제2 결합플레이트(811)를 관통하여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인트 축(23b)은 제2 결합플레이트(811)에 나사결합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조인트 축(23b)의 말단에는 고정 너트가 결합되어 제2 결합플레이트(811)로부터 조인트 축(23b)이 분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제1 결합플레이트(21) 및 제2 결합플레이트(811)가 상호 볼 조인트(23) 구조로 결합되는바, 이송차량(2) 및 운송설치부(800)는 서로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으로 720° 전방향 회전될 수 있다. 즉, 운송설치부(800)의 전방이 이송차량(2)의 후방에서 지면에 평행한 평면에서 회전되는 것뿐 아니라 지면에 수직한 평면에서도 자유롭게 회전 가능한바, 이동식 아스콘 재생 플랜트(1000)의 이동 과정에서 노면 상태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제1 결합부(20)와 제2 결합부(810) 상호간의 연결 부위에 대한 충격이 용이하게 흡수될 수 있다.
또한, 제1 결합플레이트(21)는 지면에 평행하게 위치된 상태에서 지면에 대해 소정 각도 틸팅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 결합플레이트(811)는 지면에 평행하게 위치된 상태에서 지면에 대해 소정 각도 틸팅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 결합부(810)는, 운송설치부(800)의 전방에 일체로 결합된 제2 지지플레이트(815), 제2 지지플레이트(815)와 제2 결합플레이트(811)를 연결하기 위한 제2 틸팅샤프트(812) 및 제2 완충샤프트(8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지지플레이트(815)는 지면에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고, 제2 결합플레이트(811)는 제2 지지플레이트(815)에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 틸팅샤프트(24)는 소정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고, 제1 틸팅샤프트(24)의 길이 방향 일단은 제1 지지플레이트(27) 상의 수평 방향 일측에서 제1 지지플레이트(27)와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제1 틸팅샤프트(24)의 길이 방향 타단은 제1 결합플레이트(21)의 수평 방향 일측에 소정 각도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1 결합플레이트(21)의 수평 방향 일측에는 제1 틸팅샤프트(24)의 타단이 삽입되도록 제1 회전삽입홈이 함입되어 마련될 수 있고, 제1 틸팅샤프트(24)의 타단은 제1 결합플레이트(21)의 수평 방향 일측의 제1 회전삽입홈에 제1 힌지축(25)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즉, 제1 틸팅샤프트(24)의 타단은 제1 힌지축(25)을 중심으로 소정 각도 힌지 회전되도록 제1 결합플레이트(21)에 연결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 결합플레이트(21)는 제1 지지플레이트(27) 또는 지면에 대해 소정 각도 틸팅 회전될 수 있고, 틸팅 회전을 통해 노면 변화에 따른 이송차량(2)과 운송설치부(800) 사이의 연결 부위 충격이 흡수될 수 있다.
또한, 제2 틸팅샤프트(812)는 소정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고, 제2 틸팅샤프트(812)의 길이 방향 일단은 제2 지지플레이트(815) 상의 수평 방향 타측에서 제2 지지플레이트(815)와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제2 틸팅샤프트(812)의 길이 방향 타단은 제2 결합플레이트(811)의 수평 방향 타측에 소정 각도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2 결합플레이트(811)의 수평 방향 타측에는 제2 틸팅샤프트(812)의 타단이 삽입되도록 제2 회전삽입홈이 함입되어 마련될 수 있고, 제2 틸팅샤프트(812)의 타단은 제2 결합플레이트(811)의 수평 방향 타측의 제2 회전삽입홈에 제2 힌지축(813)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즉, 제2 틸팅샤프트(812)의 타단은 제2 힌지축(813)을 중심으로 소정 각도 힌지 회전되도록 제2 결합플레이트(811)에 연결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2 결합플레이트(811)는 제2 지지플레이트(815) 또는 지면에 대해 소정 각도 틸팅 회전될 수 있고, 틸팅 회전을 통해 노면 변화에 따른 이송차량(2)과 운송설치부(800) 사이의 연결 부위 충격이 흡수될 수 있다.
또한, 제1 완충샤프트(26)는 소정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고, 제1 완충샤프트(26)는 그 길이가 조절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완충샤프트(26)의 길이 방향 일단은 제1 지지플레이트(27) 상의 수평 방향 타측에서 제1 지지플레이트(27)와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제1 완충샤프트(26)의 길이 방향 타단은 제1 결합플레이트(21)의 수평 방향 타측에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완충샤프트(26)는, 제1 지지플레이트(27)로부터 기 설정된 길이로 연장되고 중공 형성된 지지실린더(26a), 및 지지실린더(26a)의 말단(도면상 상단부)로부터 지지실린더(26a)의 외부로 인출되거나 지지실린더(26a) 내로 인입되도록 마련된 슬라이딩샤프트(26c)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실린더(26a)의 길이 방향 타단면(도면상 상단면)에는 링 플레이트 형상의 제1 지지부재(26b)가 마련될 수 있고, 슬라이딩샤프트(26c)의 길이 방향 일단면(도면상 하단면)에는 링 플레이트 형상의 제2 지지부재(26d)가 마련될 수 있다. 제1 지지부재(26b)의 중심에는, 지지실린더(26a)의 내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관통구가 마련될 수 있다. 슬라이딩샤프트(26c)는 제1 지지부재(26b)의 관통구를 관통하도록 배치될 수 있고, 제2 지지부재(26d)의 외경은 슬라이딩샤프트(26c)의 외경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제1 지지부재(26b)와 제2 지지부재(26d) 사이에는, 제1 완충샤프트(26)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길이로 형성되어 탄성복원력을 갖는 탄성복원부(26e)가 마련될 수 있다. 탄성복원부(26e)는 일종의 스프링부재일 수 있고, 탄성복원력을 통해 지지실린더(26a)에 대한 슬라이딩샤프트(26c)의 이동을 기 설정된 범위 내로 유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 결합플레이트(21)가 틸팅되어 제1 완충샤프트(26)의 길이가 증가하더라도, 탄성복원부(26e)에 의해 제1 결합플레이트(21)는 원래의 지면에 평행한 배치 형태로 복귀될 수 있다.
한편, 제2 완충샤프트(814)는 제1 완충샤프트(26)와 동일한 구조 및 구성을 갖도록 마련될 수 있고, 제2 완충샤프트(814)는 제2 지지플레이트(815)의 수평 방향 일측과 제2 결합플레이트(811)의 수평 방향 일측을 연결할 수 있다.
제1 틸팅샤프트(24) 또는 제2 틸팅샤프트(812)에 의해 제1 결합플레이트(21) 또는 제2 결합플레이트(811)가 지면에 대해 소정 각도 틸팅 회전되는 경우, 제1 완충샤프트(26) 또는 제2 완충샤프트(814)에 의해 탄성복원력에 적용되어 제1 결합플레이트(21) 또는 제2 결합플레이트(811)가 다시 지면에 평행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완충샤프트(26) 및 제2 완충샤프트(814)의 길이 변화를 통해 제1 결합플레이트(21)와 제2 결합플레이트(811) 틸팅 회전 과정에서 발생되는 충격량이 흡수될 수 있다.
도 7은 도 2에 도시된 플랜트부(10)에 포함된 제어실부(900)의 전개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및 도 7을 참조하면, 운송설치부(800)에는, 운송설치부(800)의 폭 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일단이 개방된 슬라이드삽입홈(820)이 마련될 수 있다. 상술한 제어실부(900)는, 사용자가 출입 가능하게 구성된 제어실하우징(910), 제어실하우징(910)의 하면 테두리에서 하방으로 돌출 형성된 하면스커트(911), 및 슬라이드삽입홈(820) 내에 배치되어 슬라이드삽입홈(820)의 폐쇄된 타단과 하면스커트(911)를 연결하는 전개 액추에이터(9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실하우징(910) 내에는 사용자가 조작 가능하도록 구성된 제어반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전개 액추에이터(930)는. 동작됨에 따라 제어실하우징(910)을 운송설치부(800)의 폭 방향으로 수평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전개 액추에이터(930)는 운송설치부(800)의 폭 방향을 따라 소정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고, 동작됨에 따라 그 길이가 조절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플랜트부(10)의 전개모드에서, 전개 액추에이터(930)의 길이가 증가됨에 따라 제어실하우징(910)은 운송설치부(800)의 폭 방향으로 수평 이동되어 운송설치부(800)의 일 측부로 돌출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제어실하우징(910)의 하면에는, 제어실부(900)가 전개될 때 지면에 수직하게 기립되어 제어실하우징(910)의 하부를 지면에 지지하는 지지다리(912)가 마련될 수 있다. 지지다리(912)는 복수 개 마련될 수 있고, 각 지지다리(912)는 그 상단이 제어실하우징(910)의 하면에 힌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플랜트부(10)의 이동모드에서 지지다리(912)는 제어실하우징(910)의 하면에 수납된 상태로 위치될 수 있고, 플랜트부(10)의 전개모드에서 지지다리(912)는 제어실하우징(910)의 하면으로부터 전개되어 지면에 안착 및 고정될 수 있다.
제어실부(900)는, 슬라이드삽입홈(820) 내에 배치되어 슬라이드삽입홈(820)의 폐쇄된 타단과 하면스커트(911)를 연결하여 제어실하우징(910)을 지지하기 위한 슬라이드바(92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슬라이드바(921)는, 제어실하우징(910)과 함께 슬라이드삽입홈(820) 내에서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슬라이드 이동 시 제어실하우징(910)을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슬라이드바(921)는 복수 개로 마련될 수 있고, 복수 개의 슬라이드바(921)는 운송설치부(800)의 전후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될 수 있다. 각각의 슬라이드바(921)는 소정 길이를 갖도록 마련되고, 각 슬라이드바(921)는 그 길이 방향이 운송설치부(800)의 폭 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슬라이드바(921)의 외측단(슬라이드삽입홈(820)의 외측 단부)은 하면스커트(911)를 대향하여 하면스커트(911)에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고, 슬라이드바(921)의 내측단(슬라이드삽입홈(820)의 내측 단부)은 슬라이드삽입홈(820)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슬라이드바(921)의 길이가 슬라이드삽입홈(820)의 깊이 보다 길게 형성되기 때문에, 슬라이드바(921)가 슬라이드삽입홈(820)의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드바(921)의 외측 단부 및 내측 단부에는 각각 전개롤러(922)가 마련될 수 있다. 슬라이드바(921)의 전개롤러(922)들은 슬라이드삽입홈(820)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제어실부(900)의 전개 시, 슬라이드바(921)의 외측 단부에 마련된 전개롤러(922)는 슬라이드삽입홈(820)의 외부로 인출될 수 있고, 슬라이드바(921)의 내측 단부에 마련된 전개롤러(922)는 항상 슬라이드삽입홈(820) 내에 배치되어 지지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슬라이드바(921)는 그 길이 방향을 따라 내부에 빈 중공을 구비할 수 있다. 제어실부(900)는, 슬라이드바(921)의 빈 중공 내에 삽입 위치된 결합바(923), 슬라이드바(921) 및 결합바(923)를 관통하여 체결 결합하기 위한 결합부재(92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결합바(923)는 하면스커트(911)로부터 슬라이드삽입홈(820) 측으로 연장되어 돌출 형성될 수 있고, 슬라이드바(92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길이를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결합바(923)가 슬라이드바(921) 내에 삽입된 상태로 체결결합되기 때문에, 제어실하우징(910)의 하중을 효과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고, 제어실하우징(910)의 하중이 결합부재(924)에 집중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술한 전개 액추에이터(930)는 유압실린더일 수 있고, 전개 액추에이터(930)는 복수 개로 마련될 수 있다. 각각의 전개 액추에이터(930)는 소정 길이를 갖도록 마련되고, 각 전개 액추에이터(930)는 그 길이 방향이 운송설치부(800)의 폭 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전개 액추에이터(930)는 피스톤부재(931) 및 전개 실린더(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고, 피스톤부재(931) 및 전개 실린더 중 어느 하나가 하면스커트(911)에 결합될 수 있고, 나머지 하나가 슬라이드삽입홈(820)의 폐쇄된 타단에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피스톤부재(931)가 하면스커트(911)에 결합되고, 전개 실린더가 슬라이드삽입홈(820)의 폐쇄된 타단에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어실하우징(910)의 하중에 의해 피스톤부재(931)에 변형이 발생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해, 피스톤부재(931) 및 하면스커트(911)를 소정 각도 회전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면스커트(911)의 내측면에는 피스톤브라켓(932)이 배치될 수 있고, 피스톤브라켓(932) 및 피스톤부재(931)를 회전 가능하게 조립시키는 피스톤힌지(933)가 더 마련될 수 있다.
피스톤힌지(933)를 중심으로 피스톤부재(931)의 외측단이 하면스커트(911)에 대해 상대 회전될 수 있기 때문에, 제어실하우징(910)이 하측으로 처지거나 회전되더라도 피스톤부재(931)가 변형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전개 액추에이터(930)는 인가된 전원에 의해 작동될 수 있고, 제어실하우징(910)을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킬 수 있다. 전원을 공급하지 않더라도 사용자가 제어실하우징(910)에 외력을 가해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킬 수도 있다.
도 8은 도 2에 도시된 플랜트부(10)에 포함된 혼합재생부(200)의 개략적인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혼합재생부(200)는, 상면이 개방되고 중공 형성된 이송하우징(220), 및 폐아스콘 골재를 기 결정된 방향으로 이송하고 동시에 폐아스콘, 폼드 아스팔트, 물 및 시멘트를 혼합하여 재생 아스콘을 생성하기 위한 한 쌍의 혼합이송스크류(2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송하우징(220)은 운송설치부(800)의 전방에서 후방을 향해 소정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고, 한 쌍의 혼합이송스크류(210)는 이송하우징(220)의 내측 중공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한 쌍의 혼합이송스크류(210)는 그 길이 방향이 이송하우징(2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고, 한 쌍의 혼합이송스크류(210)는 이송하우징(220)의 폭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한 쌍의 혼합이송스크류(210) 각각은, 소정 길이를 갖는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고 이송하우징(2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된 이송스크류축(211), 이송스크류축(211) 상에 돌출 형성된 복수의 제1 블레이드지지부(212), 복수의 제1 블레이드지지부(212) 상에 설치된 복수의 이송블레이드(213), 이송스크류축(211) 상에 돌출 형성된 복수의 제2 블레이드지지부(214), 복수의 제2 블레이드지지부(214) 상에 설치된 복수의 교반블레이드(215), 및 이송스크류축(211)에 연결되어 이송스크류축(211)을 그 길이 방향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 구동하도록 구성된 스크류구동부(216)를 포함할 수 있다.
스크류구동부(216)는 이송하우징(220)의 외측벽에 마련될 수 있고, 이송스크류축(211)은 이송하우징(220)의 측벽을 관통하여 스크류구동부(216)에 연결될 수 있다.
복수의 이송블레이드(213)는 이송스크류축(2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갖고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이송블레이드(213)는 이송스크류축(211)을 기준으로 이송스크류축(211)과 대향하는 내측면과 내측면 반대편의 외측면이 호형윤곽선을 갖는 그믐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이송블레이드(213)는 'C'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이송블레이드(213)의 외측면의 곡률 반경은 이송블레이드(213)의 내측면의 곡률 반경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이송블레이드(213)는 이송스크류축(211)의 동일한 길이 방향 위치에서 두 개씩 짝을 이루어 쌍으로 배치될 수 있고, 한 쌍의 이송블레이드(213)는 이송스크류축(211)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으로 배치될 수 있다. 즉, 한 쌍의 이송블레이드(213)는 각각의 내측면이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이송블레이드(213)는 이송스크류축(211)의 회전 시 이송하우징(220) 내부로 공급된 재료들을 이송시킬 수 있도록 이송스크류축(211)의 길이 방향에 대해 경사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한 쌍의 이송블레이드(213)가 위치되는 가상의 평면은 이송스크류축(211)의 길이 방향에 대해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위치될 수 있다.
각각의 이송블레이드(213)는 두 개의 제1 블레이드지지부(212)를 통해 이송스크류축(211)에 결합될 수 있다. 각각의 제1 블레이드지지부(212)는 소정 길이를 갖는 직사각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제1 블레이드지지부(212)는 이송블레이드(213)와 이송스크류축(211) 사이에 마련되어 이송블레이드(213)를 이송스크류축(211)으로부터 이격하여 고정할 수 있다.
복수의 교반블레이드(215)는 이송스크류축(2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갖고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교반블레이드(215)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각각의 제2 블레이드지지부(214)는 소정 길이를 갖는 직사각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제2 블레이드지지부(214)는 교반블레이드(215)와 이송스크류축(211) 사이에 마련되어 교반블레이드(215)를 이송스크류축(211)으로부터 이격하여 고정할 수 있다.
플레이트 형상의 교반블레이드(215)는 그 두께 방향이 이송스크류축(211)의 회전 원주 방향을 따라 위치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교반블레이드(215)는 이송스크류축(211)의 길이 방향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될 때 그 두께 방향이 이송스크류축(211)에 대해 가상의 원주를 그리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이송스크류축(211)에서 이송스크류축(2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된 복수의 교반블레이드(215)는, 이송스크류축(211)의 길이 방향 일측에서 볼 때 이송스크류축(211)에 대해 서로 상이한 원주 위치상에 배치되도록 소정 각도씩 편향되어 배치될 수 있다.
혼합이송스크류(210)가 회전 구동되는 경우, 이송하우징(220) 내의 폐아스콘 골재, 폼드 아스팔트, 물 및 시멘트는, 복수의 이송블레이드(213)에 의해 이송하우징(2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송됨과 동시에 복수의 교반블레이드(215)에 의해 균일하게 교반되어 재생 아스콘이 형성될 수 있다.
도 9는 도 2에 도시된 플랜트부(10)에 포함된 팽창혼합기(440)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팽창혼합기(440) 상부의 종단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팽창혼합기(440)의 팽창챔버의 종방향 절단 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9에 도시된 팽창혼합기(440) 하부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13은 도 9에 도시된 팽창혼합기(440)의 물공급노즐의 종단면이다.
도 9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아스팔트 공급부(400)에서 공급되는 아스팔트는 폼드 아스팔트의 형태로 공급될 수 있다. 폼드 아스팔트는, 아스팔트, 물 및 압축공기가 혼합되고 팽창되어 형성될 수 있다. 폼드 아스팔트는 후술할 팽창혼합기(440)에서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아스팔트 공급모듈(430)은, 아스팔트 공급모듈(430)의 외형을 형성하는 모듈커버 및 모듈커버 내에 배치된 복수의 팽창혼합기(440)를 포함할 수 있다. 아스팔트 공급모듈(430)에서 생성된 폼드 아스팔트는 하측의 혼합재생부(200)로 공급될 수 있다.
아스팔트공급라인(420)은 모듈커버의 상면을 통해 모듈커버 내로 연장될 수 있다. 아스팔트공급라인(420)의 단부는 모듈커버 내에서 분기되어 복수의 팽창혼합기(440) 각각에 연결될 수 있다.
복수의 팽창혼합기(440) 각각은, 아스팔트 제공부(441), 팽창챔버(442), 물 제공부(443), 압축공기 제공부(444) 및 아스팔트 배출부(445)를 포함할 수 있다.
아스팔트 제공부(441)는 아스팔트공급라인(420)의 단부에 연결되어 아스팔트탱크(410)로부터 아스팔트를 공급받을 수 있다. 팽창챔버(442)는 일측부가 아스팔트 제공부(441)의 말단에 연결될 수 있고, 중공 형성될 수 있다. 물 제공부(443)는 팽창챔버(442) 내로 기 결정된 압력 이상의 물을 공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압축공기 제공부(444)는 팽창챔버(442) 내로 기 결정된 압력 이상의 압축공기를 공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아스팔트 배출부(445)는 팽창챔버(442)의 타측부에 연결될 수 있고, 팽창챔버(442) 내에서 형성된 폼드 아스팔트를 배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아스팔트 제공부(441), 팽창챔버(442) 및 아스팔트 배출부(445)는 서로 연결되어 소정 길이를 갖는 항아리 형상의 구조체를 형성할 수 있다. 즉, 아스팔트 제공부(441)에서 팽창챔버(442)로 갈수록 점차 직경이 커지다가 팽창챔버(442)에서 아스팔트 배출부(445)로 갈수록 다시 점차 직경이 작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아스팔트 제공부(441), 팽창챔버(442) 및 아스팔트 배출부(445)는 그 길이 방향이 지면에 수직하게 위치되도록 기립 배치될 수 있다.
아스팔트 제공부(441)의 적어도 일부는 내부에 아스팔트 유동로가 형성되도록 중공의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아스팔트 제공부(441)에는, 아스팔트 제공부(441)의 적어도 일부의 내측면 및 외측면을 가열하기 위한 가열부(446)가 마련될 수 있다.
아스팔트 제공부(441)는, 중공의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 제1 제공부(441a), 및 제1 제공부(441a)에 연결된 일측에서 반대편 타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차 커지는 원추 형상으로 형성된 제2 제공부(441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제공부(441a) 및 제2 제공부(441b)는 일체의 구조체로 형성될 수 있다. 가열부(446)는, 아스팔트 제공부(441)의 제1 제공부(441a)에 마련될 수 있다.
물 제공부(443)는, 기 결정된 압력 이상의 물을 팽창챔버(442) 내로 공급하도록 구성된 물공급노즐(443a), 및 물공급노즐(443a)로 물을 이송하는 물이송라인(443b)을 포함할 수 있다. 압축공기 제공부(444)는, 기 결정된 압력 이상의 압축공기를 팽창챔버(442) 내로 공급하도록 구성된 공기공급노즐(444a), 및 공기공급노즐(444a)로 압축공기를 이송하는 공기이송라인(444b)을 포함할 수 있다. 물이송라인(443b)은 물공급노즐(443a)의 후단에 결합될 수 있고, 공기이송라인(444b)은 공기공급노즐(444a)의 후단에 결합될 수 있다.
물공급노즐(443a) 및 공기공급노즐(444a)은, 제2 제공부(441b)의 일측에서 제2 제공부(441b)의 벽체 일부를 관통하여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물공급노즐(443a) 및 공기공급노즐(444a)은 원통형의 제1 제공부(441a)의 길이 방향에 대해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즉, 물공급노즐(443a)은 제1 제공부(441a) 내에서 유동되는 아스팔트에 대하여 물을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분사할 수 있고, 공기공급노즐(444a)은 제1 제공부(441a) 내에서 유동되는 아스팔트에 대하여 압축공기를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분사할 수 있다.
물이송라인(443b)의 적어도 일부는 원통 형상의 제1 제공부(441a)의 외주면을 따라 나선형으로 권취되어 위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물 제공부(443)에 의해 공급되는 물은, 아스팔트 제공부(441)의 제1 제공부(441a)의 외주면을 따라 유동된 후 팽창챔버(442) 내로 분사될 수 있고, 제1 제공부(441a)의 외주면을 따라 유동되는 과정에서 가열부(446)에 의해 가열될 수 있다. 아스팔트 제공부(441)를 통해 유동되는 아스팔트는 가열부(446)에 의해 가열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아스팔트가 아스팔트탱크(410)로부터 아스팔트공급라인(420)을 통해 이송되는 과정에서 냉각되어 도로 포장의 품질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압축공기 및 기 결정된 물과의 혼합 직전에 아스팔트를 가열해줌으로써 폼드 아스팔트의 형성을 촉진할 수 있다. 즉, 아스팔트 제공부(441)를 통해 팽창챔버(442)로 유동된 아스팔트는 160 내지 180˚의 온도로 가열된 상태일 수 있다.
아스팔트 제공부(441)는 팽창챔버(442)의 일단부에 팽창챔버(442)의 길이 방향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아스팔트 배출부(445)는 팽창챔버(442)의 타단부에 팽창챔버(442)의 길이 방향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아스팔트 제공부(441)와 팽창챔버(442)의 연결 부위 그리고 아스팔트 배출부(445)와 팽창챔버(442)의 연결 부위에는 베어링(447)이 마련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팽창챔버(442)는 아스팔트 제공부(441) 및 아스팔트 배출부(445)에 대해 독립적으로 회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아스팔트 제공부(441) 및 아스팔트 배출부(445)는 아스팔트 공급커버(411) 내에서 고정된 상태로 위치될 수 있고, 팽창챔버(442)는 아스팔트 제공부(441) 및 아스팔트 배출부(445)에 대해 그 길이 방향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팽창챔버(442)는, 길이 방향을 따라 상이한 직경을 갖는 럭비공 형상으로 중공 형성된 챔버하우징(442a), 챔버하우징(442a)의 외면에서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된 벨트결합홈(442b), 챔버하우징(442a)의 내주면을 따라 연장 형성된 복수 개의 교반베인(442c)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 개의 교반베인(442c)은 챔버하우징(442a)의 내주면에서 팽창챔버(44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복수 개의 교반베인(442c)은 챔버하우징(442a)의 내주면에서 소정 높이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복수 개의 교반베인(442c) 각각은 팽창챔버(442)의 길이 방향에 대해 소정 경사각을 갖도록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각각의 팽창혼합기(440)는, 벨트결합홈(442b)에 치합되는 회전벨트(448c), 회전벨트(448c)를 회전 구동하기 위해 마련된 회전구동부(448a), 및 회전벨트(448c)에 결합되고 회전구동부(448a)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기어(448b)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벨트(448c)는 내측에 치합부재들이 마련된 무단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회전구동부(448a)는 스텝모터로 구성될 수 있고, 회전구동부(448a)에 의해 회전기어(448b)가 회전될 수 있다. 회전기어(448b)는 회전벨트(448c)의 일측에 치합될 수 있고, 회전기어(448b)는 회전구동부(448a)에 의해 회전됨에 따라 회전벨트(448c)를 기 결정된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팽창챔버(442)의 벨트결합홈(442b)은 챔버하우징(442a)의 외면에서 길이 방향 중심 위치에 마련될 수 있고, 회전벨트(448c)의 회전시 회전벨트(448c)의 타측에 치합된 팽창챔버(442)가 그 길이 방향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팽창챔버(442) 내로 공급된 아스팔트, 물 및 압축공기는, 팽창챔버(442)가 회전됨에 따라 팽창챔버(442)의 내주면을 따라 마련된 교반베인(442c)을 따라 나선형으로 유동되며 교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팽창챔버(442) 내에서 아스팔트와 물과 압축공기가 상호 혼합되는 유동 시간이 증가될 수 있고, 종래보다 작은 체적의 팽창챔버(442)에서도 충분한 양의 폼드 아스팔트가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팽창혼합기(440)의 전체 체적 크기가 감소될 수 있다.
상술한 가열부(446)는, 제1 제공부(441a)의 내측에 배치되는 제1 방열커버(446a), 제1 제공부(441a)의 외측에 배치되는 제2 방열커버(446b). 및 제1 방열커버(446a)와 제2 방열커버(446b) 사이에 배치된 히팅코일(446c)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방열커버(446a) 및 제2 방열커버(446b)는 직경이 상이한 중공의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방열커버(446b)의 직경은 제1 방열커버(446a)의 직경보다 큰 크기로 형성될 수 있고, 제1 방열커버(446a) 및 제2 방열커버(446b)는 동축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1 방열커버(446a) 및 제2 방열커버(446b)는 열전도도가 높은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알루미늄(Al)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히팅코일(446c)은 제1 방열커버(446a) 및 제2 방열커버(446b)와 접하도록 매치될 수 있다. 한편, 제1 방열커버(446a)와 히팅코일(446c) 사이의 빈공간, 그리고 제2 방열커버(446b)와 히팅코일(446c) 사이의 빈공간에는 수지재의 열전도부재가 충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열전도부재는 에폭시 수지일 수 있다.
또한, 제1 방열커버(446a)는 제1 제공부(441a)의 내주면을 형성할 수 있고, 제2 방열커버(446b)는 제1 제공부(441a)의 외주면을 형성할 수 있다. 히팅코일(446c)은 제1 방열커버(446a)와 제2 방열커버(446b) 사이에서 솔레노이드 형상으로 권취된 상태로 마련될 수 있고, 전류가 인가됨에 따라 발열되어 제1 방열커버(446a) 및 제2 방열커버(446b)를 가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히팅코일(446c)에 의해 제1 방열커버(446a) 및 제2 방열커버(446b)가 가열되는 경우, 제1 방열커버(446a)에 의해 제1 제공부(441a)의 내측 공간이 가열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아스팔트 제공부(441)로 유동되는 아스팔트가 가열될 수 있다. 또한, 제2 방열커버(446b)에 의해 제1 제공부(441a)의 외주면 주변이 가열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2 방열커버(446b)에 의해 제1 제공부(441a)의 외주면에 권취된 물이송라인(443b)이 가열될 수 있다.
물 제공부(443)를 통해 팽창챔버(442) 내로 공급되는 물은 물이송라인(443b)을 유동하는 과정에서 제2 방열커버(446b)에 의해 가열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물은 물이송라인(443b)을 유동하는 과정에서 상온보다 높되 끓는점보다는 낮은 온도 범위로 가열될 수 있고, 가열된 상태의 물은 물공급노즐(443a)에 의해 팽창챔버(442) 내로 분사되어 아스팔트와 혼합될 수 있다.
물은 가열된 상태의 아스팔트와 접촉하여 기화될 수 있고, 수증기로 기화된 물과 아스팔트가 혼합됨에 따라 아스팔트에 다수의 미세기포가 형성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아스팔트가 팽창하여 폼드 아스팔트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팽창챔버(442) 내로 압축공기가 공급됨에 따라 아스팔트의 팽창이 더욱 촉진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물은 제2 방열커버(446b)에 의해 가열된 상태로 공급되는바, 물의 기화율이 증대될 수 있고, 폼드 아스팔트의 생성율이 더욱 증가될 수 있다. 아울러,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아스팔트 제공부(441)의 가열을 위한 가열부(446)의 외측 방열을 이용하여 물이송라인(443b)을 가열하는바, 물의 가열을 위한 별도의 히터부를 구비할 필요 없어 전체 팽창혼합기(440)의 체적이 감소될 수 있다.
아스팔트 배출부(445)는, 중공의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 제1 배출부(445a), 및 제1 배출부(445a)에 연결된 일측에서 반대편 타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차 커지는 원추 형상으로 형성된 제2 배출부(445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배출부(445a) 및 제2 배출부(445b)는 일체의 구조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배출부(445b)의 길이 방향 일단은 제1 배출부(445a)에 연결될 수 있고, 제2 배출부(445b)의 길이 방향 타단은 팽창챔버(442)의 하단에 상호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1 배출부(445a)의 외면에는 제1 배출부(445a)에 진동을 발생시키기 위한 복수의 진동자(445c)가 배치될 수 있다. 진동자(445c)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1 배출부(445a)의 외주면을 따라 배치될 수 있고, 복수의 진동자(445c)는 제1 배출부(445a)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진동자(445c)에 의해 제1 배출부(445a)에 진동이 발생됨에 따라, 제1 배출부(445a)를 통과하는 폼드 아스팔트의 혼합이 더욱 촉진될 수 있고, 폼드 아스팔트의 생성율이 더욱 증대될 수 있다.
아스팔트 배출부(445)는, 제1 배출부(445a)의 길이 방향 일단 및 타단에 각각 배치된 두 개의 고정부(445d), 및 두 개의 고정부(445d) 사이에 배치된 안내스크류(445e)를 포함할 수 있다.
안내스크류(445e)는 제1 배출부(445a)의 상단 및 하단에 배치된 두 개의 고정부(445d)에 의해 구속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고, 상측에서 하측으로 이동하는 폼드 아스팔트에 나선형 유동을 유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각각의 고정부(445d)는, 링 형상의 피체결부(445-1d), 피체결부(445-1d)의 직경보다 큰 직경 크기를 갖는 링 형상의 고정링(445-2d), 및 피체결부(445-1d)와 고정링(445-2d) 사이에 마련된 복수의 경사베인(445-3d)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링(445-2d)의 외주면은 제1 배출부(445a)의 상단의 내주면에 결합될 수 있다. 고정링(445-2d) 및 피체결부(445-1d)는 지면에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피체결부(445-1d)의 내주면에는 나사선이 형성될 수 있고, 피체결부(445-1d)에는 안내스크류(445e)의 길이 방향 단부가 삽입되어 나사결합될 수 있다.
복수의 경사베인(445-3d)은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고정링(445-2d)이 배치된 평면에 대해 소정 경사를 갖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 배출부(445a)로 유입되는 폼드 아스팔트 중 일부는 복수의 경사베인(445-3d)에 간섭된 후 경사베인(445-3d)의 경사면을 따라 하부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안내스크류(445e)는, 제1 배출부(445a)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 스크류축(445-1e), 스크류축(445-1e) 상에 마련된 교반날개(445-2e), 및 스크류축(445-1e)의 길이 방향 양단에 마련된 체결부재(445-3e)를 포함할 수 있다. 체결부재(445-3e)에는 나사선이 형성될 수 있고, 양단부의 체결부재(445-3e)는 제1 배출부(445a)의 상단 및 하단에 배치된 두 개의 고정부(445d)의 피체결부(445-1d)에 각각 나사 결합될 수 있다.
교반날개(445-2e)는 아스팔트, 물 및 압축공기의 보다 효율적인 혼합을 유도할 수 있도록 스크류축(445-1e) 상에서 연속되는 나선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교반날개(445-2e)는 스크류축(445-1e)에서 직교되는 수평 방향을 기점으로 상향 구배를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 아스팔트, 물 및 압축공기는 교반날개(445-2e)를 따라 이동됨에 따라 상호 간의 혼합이 더욱 촉진되어 폼드 아스팔트의 생성율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폼드 아스팔트가 나선형의 스크류축(445-1e)을 따라 이동함에 따라 아스팔트, 물 및 압축공기의 혼합 시간이 더욱 연장될 수 있다.
아스팔트 배출부(445)는, 제1 배출부(445a)의 하단에 연결된 고압분사부(445f)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고압분사부(445f)는 아스팔트, 물 및 압축공기의 혼합물을 하측에 배치된 혼합재생부(200)를 향해 고압으로 분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고압분사부(445f)는 제1 배출부(445a)의 하단에 제1 배출부(445a)와 유체 연통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제1 배출부(445a)로 이송된 아스팔트, 물 및 압축공기의 혼합물은 고압분사부(445f)에 의해 분사되며 팽창되어 폼드 아스팔트의 형태로 분사될 수 있다.
폐아스콘에 혼합되는 폼드 아스팔트 중 일부는 팽창챔버(442)와 아스팔트 배출부(445)에서 형성될 수 있고, 폐아스콘에 혼합되는 폼드 아스팔트 중 나머지 일부는 고압분사부(445f)에 의해 분사되며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1 배출부(445a)의 외측에는 유도가열방식으로 안내스크류(445e)를 가열하기 위한 유도코일(미도시 됨)이 더 마련될 수 있다. 유도코일에 의해 안내스크류(445e)의 스크류축(445-1e) 및 교반날개(445-2e)가 가열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폼드 아스팔트의 생성율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물 공급부(600)는, 혼합재생부(200)의 상측에서 혼합재생부(200) 측으로 기 설정된 양의 물을 분사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물 분사부(630)를 포함할 수 있다. 물공급라인(620)의 단부는 물 공급부(600) 내에서 분기되어 복수의 물 분사부(630) 각각에 연결될 수 있다. 즉, 물공급라인(620)에 의해 이송된 물은 복수의 물 분사부(630)로 유동될 수 있고, 복수의 물 분사부(630)에 의해 혼합재생부(200) 내의 폐아스콘으로 기 설정된 양의 물이 공급될 수 있다. 물의 공급량은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될 수 있다.
한편, 아스팔트 제공부(441), 팽창챔버(442) 및 아스팔트 배출부(445)는 탄소 스틸(carbon steel) 또는 스테인레스 스틸(stainless steel)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아스팔트 제공부(441), 팽창챔버(442) 및 아스팔트 배출부(445)의 내부 표면에는 부식방지 코팅층이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부식방지 코팅층은 불소수지인 폴리테트라 플루오로에틸렌(PTFE; polytetra fluoroethylene)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아스팔트에 대한 내식성 및 내부식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물공급노즐(443a)은, 물이송라인(443b)의 단부에 연결되는 중공의 원통형의 제1 노즐하우징(443-1a), 제1 노즐하우징(443-1a)으로부터 연장된 중공의 원추형의 제2 노즐하우징(443-2a), 제1 노즐하우징(443-1a)의 길이 방향 일단(물이송라인(443b) 측 말단)에 마련된 유입밸브시트(443-3a), 제1 노즐하우징(443-1a) 내에 마련되어 제1 노즐하우징(443-1a)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된 피스톤로드(443-4a), 피스톤로드(443-4a)의 길이 방향 일단(유입밸브시트(443-3a)에 인접한 단부)에 마련된 유입밸브부재(443-5a), 및 피스톤로드(443-4a)의 길이 방향 타단(제2 노즐하우징(443-2a)에 인접한 단부)에 마련된 배출밸브부재(443-6a)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노즐하우징(443-1a) 및 제2 노즐하우징(443-2a) 그리고 유입밸브시트(443-3a)는 일체의 구조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노즐하우징(443-2a)은 제1 노즐하우징(443-1a)에 연결된 일측에서 팽창챔버(442) 내측을 향해 위치된 타측으로 갈수록 직경 크기가 점차 작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노즐하우징(443-2a)의 타단에는 개방된 배출구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유입밸브시트(443-3a)의 반경 중심부에는 원형의 유입구가 관통 형성될 수 있다. 물이송라인(443b)을 통해 유동된 물은 유입구를 통해 제1 노즐하우징(443-1a) 내로 이동될 수 있다. 제1 노즐하우징(443-1a) 및 제2 노즐하우징(443-2a)을 통과한 물은 배출구를 통해 팽창챔버(442) 내로 분사될 수 있다.
유입밸브부재(443-5a), 피스톤 로드 및 배출밸브부재(443-6a)는 일체의 구조체로 형성될 수 있고, 제1 노즐하우징(443-1a)의 길이 방향을 따라 직선 이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유입밸브부재(443-5a)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제1 노즐하우징(443-1a)의 내측에 마련될 수 있다. 배출밸브부재(443-6a)는 구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제2 노즐하우징(443-2a)의 외측에 위치될 수 있다.
유입밸브부재(443-5a)는 피스톤로드(443-4a)의 길이 방향 일단에서 유입밸브시트(443-3a)와 접하도록 위치되어 유입구를 폐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배출밸브부재(443-6a)는, 피스톤로드(443-4a)의 길이 방향 타단에서 제2 노즐하우징(443-2a)의 말단과 접하도록 위치되어 배출구를 폐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피스톤 로드가 직선 이동되는 경우, 유입밸브부재(443-5a)가 유입밸브시트(443-3a)로부터 이격되어 유입구가 개방될 수 있고, 배출밸브부재(443-6a)가 제2 노즐하우징(443-2a)의 단부로부터 이격되어 배출구가 개방될 수 있다.
물공급노즐(443a)은, 제1 노즐하우징(443-1a)의 내부에서 유입밸브부재(443-5a)와 배출밸브부재(443-6a) 사이에 위치된 승하강부재(443-9a), 및 승하강부재(443-9a)와 유입밸브부재(443-5a) 사이에 배치되어 유입밸브부재(443-5a)를 유입밸브시트(443-3a) 측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443-7a)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유입밸브부재(443-5a)를 유입밸브시트(443-3a) 측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443-7a)의 탄성 가압력은 팽창챔버(442) 내로 공급되는 물의 기 결정된 압력에 대응되는 크기일 수 있고, 물이송라인(443b) 내의 물을 통해 유동되는 물이 기 결정된 압력 이상으로 유동될 때, 기 결정된 압력 이상의 물이 탄성부재(443-7a)의 탄성 가압력을 극복하고 유입밸브부재(443-5a)를 승하강부재(443-9a) 측으로 밀어내고 유입구를 통과할 수 있다.
승하강부재(443-9a)는 중앙에 관통홀이 형성된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피스톤로드(443-4a)는 관통홀을 관통하여 위치될 수 있고, 피스톤로드(443-4a)와 승하강부재(443-9a) 상호간은 비간섭될 수 있다. 탄성부재(443-7a)는 탄성복원력을 갖는 스프링 부재일 수 있고, 탄성부재(443-7a)의 일단은 승하강부재(443-9a)의 외면중 유입밸브시트(443-3a)를 대향하는 외면에 접하여 지지될 수 있고, 탄성부재(443-7a)의 타단은 유입밸브시트(443-3a)의 외면중 승하강부재(443-9a)를 대향하는 외면에 접하여 지지될 수 있다.
물공급노즐(443a)은, 승하강부재(443-9a)와 결합되어 승하강부재(443-9a)의 위치를 고정하도록 구성된 압력조절부재(443-8a)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압력조절부재(443-8a)는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압력조절부재(443-8a)는 외면 일부가 외부로 노출된 상태에서 제1 노즐하우징(443-1a) 상에 결합되어 위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압력조절부재(443-8a)는 제1 노즐하우징(443-1a) 상에서 제1 노즐하우징(443-1a)의 길이 방향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압력조절부재(443-8a)의 외주면은 사용자에 의해 파지되어 회전 조작될 수 있다.
압력조절부재(443-8a)의 내주면에는 나사선이 형성될 수 있고, 승하강부재(443-9a)의 외주면에는 압력조절부재(443-8a)의 나사선에 상보적인 형상을 갖는 나사선이 형성될 수 있다. 압력조절부재(443-8a)의 내주면은 승하강부재(443-9a)의 외주면에 상호 나사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승하강부재(443-9a)에는, 제1 노즐하우징(443-1a)의 길이 방향을 따라 관통 형성된 막대 형상의 가이드홈(443-10a)이 마련될 수 있다. 제1 노즐하우징(443-1a) 내에는, 유입밸브시트(443-3a)로부터 제1 노즐하우징(443-1a)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 막대형의 한 쌍의 승하강가이드(443-11a)가 마련될 수 있다. 한 쌍의 가이드홈(443-10a) 내에는 한 쌍의 승하강가이드(443-11a)가 각각 삽입되어 위치될 수 있고, 각 승하강가이드(443-11a)는 각 가이드홈(443-10a) 내에서 가이드홈(443-10a)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한편, 한 쌍의 가이드홈(443-10a) 내에 한 쌍의 승하강가이드(443-11a)가 삽입 위치되어 간섭에 따라, 승하강부재(443-9a)의 원주 방향 회전이 제한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압력조절부재(443-8a)가 사용자에 의해 회전되는 경우 승하강부재(443-9a)는 제1 노즐하우징(443-1a)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될 수 있고, 그에 따라 탄성부재(443-7a)의 길이 가 변경되어 탄성부재(443-7a)의 탄성복원력이 조절될 수 있다. 즉, 압력조절부재(443-8a)의 회전에 의해, 유입밸브부재(443-5a)를 유입밸브시트(443-3a) 측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443-7a)의 탄성 가압력이 조절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팽창챔버(442) 내로 공급되는 물의 압력을 용이하고 직관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한편, 공기공급노즐(444a) 또한 상술한 물공급노즐(443a)과 동일한 구조 및 구성들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개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개시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개시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 플랜트부
100: 골재수용부
110: 호퍼부재
120: 골재필터부
121: 필터부재
122: 필터지지프레임
122a: 제1 지지프레임
122b: 제2 지지프레임
123: 개방구동부
124: 전후진구동부
125: 가이드샤프트
200: 혼합재생부
210: 혼합이송스크류
211: 이송스크류축
212: 제1 블레이드지지부
213: 이송블레이드
214: 제2 블레이드지지부
215: 교반블레이드
216: 스크류구동부
220: 이송하우징
300: 골재반송부
400: 아스팔트 공급부
410: 아스팔트탱크
420: 아스팔트공급라인
430: 아스팔트 공급모듈
440: 팽창혼합기
441: 아스팔트 제공부
441a: 제1 제공부
441b: 제2 제공부
442: 팽창챔버
442a: 챔버하우징
442b: 벨트결합홈
442c: 교반베인
443: 물 제공부
443a: 물공급노즐
443-1a: 제1 노즐하우징
443-2a: 제2 노즐하우징
443-3a: 유입밸브시트
443-4a: 피스톤로드
443-5a: 유입밸브부재
443-6a: 배출밸브부재
443-7a: 탄성부재
443-8a: 압력조절부재
443-9a: 승하강부재
443-10a: 가이드홈
443-11a: 승하강가이드
443b: 물이송라인
444: 압축공기 제공부
444a: 공기공급노즐
444b: 공기이송라인
445: 아스팔트 배출부
445a: 제1 배출부
445b: 제2 배출부
445c: 진동자
445d: 고정부
445-1d: 피체결부
445-2d: 고정링
445-3d: 경사베인
445e: 안내스크류
445-1e: 스크류축
445-2e: 교반날개
445-3e: 체결부재
445f: 고압분사부
446: 가열부
446a: 제1 방열커버
446b: 제2 방열커버
446c: 히팅코일
447: 베어링
448a: 회전구동부
448b: 회전기어
448c: 회전벨트
500: 시멘트 공급부
510: 시멘트 공급호퍼
520: 시멘트 반송부
530: 시멘트 정량제어부
600: 물 공급부
610: 물탱크
620: 물공급라인
630: 물 분사부
700: 재생아스콘 이송부
710: 재생아스콘 호퍼부
720: 재생아스콘 이송부재
800: 운송설치부
810: 제2 결합부
811: 제2 결합플레이트
812: 제2 틸팅샤프트
813: 제2 힌지축
814: 제2 완충샤프트
815: 제2 지지플레이트
820: 슬라이드삽입홈
830: 제1 안착지지부
840: 제2 안착지지부
900: 제어실부
910: 제어실하우징
911: 하면스커트
912: 지지다리
921: 슬라이드바
922: 전개롤러
923: 결합바
924: 결합부재
930: 전개 액추에이터
931: 피스톤부재
932: 피스톤브라켓
933: 피스톤힌지
2: 이송차량
20: 제1 결합부
21: 제1 결합플레이트
22: 조인트 시트
22a: 조인트 홈
23: 볼 조인트
23a: 조인트 볼
23b: 조인트 축
24: 제1 틸팅샤프트
25: 제1 힌지축
26: 제1 완충샤프트
26a: 지지실린더
26b: 제1 지지부재
26c: 슬라이딩샤프트
26d: 제2 지지부재
26e: 탄성복원부
27: 제1 지지플레이트
1000: 이동식 아스콘 재생 플랜트

Claims (10)

  1. 탄소 배출 저감을 위한 이동식 아스콘 재생 플랜트에 있어서,
    상기 이동식 아스콘 재생 플랜트는,
    폐아스콘의 재생을 위한 플랜트부; 및
    상기 플랜트부를 이송하기 위한 이송차량
    을 포함하고,
    상기 플랜트부는,
    공급되는 폐아스콘 중 기 설정된 크기 이하의 폐아스콘을 선별하여 수용하는 골재수용부;
    상기 골재수용부에서 선별된 폐아스콘을 재생하기 위한 혼합재생부;
    상기 혼합재생부로 아스팔트를 공급하기 위한 아스팔트 공급부;
    상기 혼합재생부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물 공급부;
    상기 혼합재생부로 시멘트를 공급하기 위한 시멘트 공급부
    를 포함하고,
    상기 플랜트부는 상기 이송차량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플랜트부는, 기 결정된 현장 위치에서 상기 이송차량에서 분리되어 그 위치를 지면에 고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플랜트부는,
    일단이 상기 골재수용부 측에 배치되고 타단이 상기 혼합재생부 측에 배치되어, 상기 골재수용부로부터 배출된 폐아스콘을 상기 혼합재생부로 반송하기 위한 골재반송부; 및
    상기 이송차량의 후방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된 운송설치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골재수용부, 상기 혼합재생부, 상기 아스팔트 공급부, 상기 물 공급부, 상기 시멘트 공급부 및 상기 골재반송부는 상기 운송설치부 상에 마련되고,
    상기 골재수용부는,
    상면이 개방되도록 형성되어, 폐아스콘을 공급받아 수용하는 호퍼부재; 및
    상기 호퍼부재의 상부에 마련되고, 공급되는 폐아스콘 중 기 결정된 크기 이하의 폐아스콘을 선별하는 골재필터부
    를 포함하고,
    상기 골재필터부는,
    사각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기 결정된 크기에 대응되는 면적을 갖는 복수의 필터공이 마련된 한 쌍의 필터부재;
    상기 한 쌍의 필터부재의 둘레를 따라 위치되고, 상기 한 쌍의 필터부재와 연결되어 상기 한 쌍의 필터부재를 지지하는 필터지지프레임; 및
    상기 필터지지프레임의 복수의 지지프레임 중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지지프레임 각각에 대해 상기 한 쌍의 필터부재를 소정 각도 회전시키는 한 쌍의 개방구동부
    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필터부재는,
    상기 호퍼부재의 상부에서 서로 동일한 평면을 형성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호퍼부재의 개방된 상면을 폐쇄하고,
    상기 한 쌍의 개방구동부의 작동에 의해, 상기 호퍼부재의 상측으로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전개되어 상기 호퍼부재의 상면을 개방하는 것인, 이동식 아스콘 재생 플랜트.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송차량은, 상기 이송 차량의 후방에 마련되고 상기 운송설치부와 결합되도록 구성된 제1 결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운송설치부는, 상기 제1 결합부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된 제2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결합부는 상기 이송차량에 연결된 제1 결합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결합부는 상기 운송설치부에 연결된 제2 결합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결합플레이트 및 상기 제2 결합플레이트는 상호 볼조인트 구조로 연결되는 것인, 이동식 아스콘 재생 플랜트.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부는,
    상기 제1 결합플레이트 상에 마련된 조인트 시트; 및
    상기 조인트 시트에 결합된 볼 조인트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볼 조인트는, 구 형상의 조인트 볼, 상기 조인트 볼의 일측에서 상방으로 연장 형성된 기 결정된 길이의 조인트 축을 포함하고,
    상기 조인트 시트에는. 상기 조인트 볼이 삽입 위치되도록 구 형상의 조인트 홈이 마련되고,
    상기 볼 조인트의 조인트 축은 상기 제2 결합플레이트를 관통하여 고정되고,
    상기 제1 결합플레이트는 지면에 평행하게 위치된 상태에서 지면에 대해 소정 각도 틸팅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결합플레이트는 지면에 평행하게 위치된 상태에서 지면에 대해 소정 각도 틸팅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이동식 아스콘 재생 플랜트.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이동식 아스콘 재생 플랜트는,
    사용자가 탑승하여 상기 플랜트부를 제어 가능하도록 구성된 제어실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운송설치부에는, 상기 운송설치부의 폭 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일단이 개방된 슬라이드삽입홈이 마련되고,
    상기 제어실부는,
    사용자가 출입 가능하게 구성된 제어실하우징;
    상기 제어실하우징의 하면 테두리에서 하방으로 돌출 형성된 하면스커트; 및
    상기 슬라이드삽입홈 내에 배치되어 상기 슬라이드삽입홈의 폐쇄된 타단과 상기 하면스커트를 연결하고, 동작됨에 따라 상기 제어실하우징을 상기 운송설치부의 폭 방향으로 수평 이동되도록 하는 전개 액추에이터
    를 포함하는 것인, 이동식 아스콘 재생 플랜트.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아스팔트 공급부에서 공급되는 아스팔트는 폼드 아스팔트의 형태로 공급되고,
    상기 아스팔트 공급부는,
    아스팔트를 수용하는 아스팔트탱크;
    아스팔트, 물 및 압축공기를 혼합하여 폼드 아스팔트를 형성하고, 상기 폼드 아스팔트를 상기 혼합재생부로 공급하는 폼드 아스팔트 공급모듈; 및
    상기 아스팔트탱크로부터 상기 폼드 아스팔트 공급모듈로 아스팔트를 이송하는 아스팔트공급라인
    을 포함하는 것인, 이동식 아스콘 재생 플랜트.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아스팔트 공급부는, 상기 폼드 아스팔트를 형성하기 위한 팽창혼합기를 포함하고,
    상기 팽창혼합기는,
    상기 아스팔트탱크로부터 아스팔트를 공급받는 아스팔트 제공부;
    일측부가 상기 아스팔트 제공부의 말단에 연결되고 중공 형성된 팽창챔버;
    상기 팽창챔버 내로 기 결정된 압력 이상의 물을 공급하는 물 제공부;
    상기 팽창챔버 내로 기 결정된 압력 이상의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압축공기 제공부; 및
    상기 팽창챔버의 타측부에 연결되고, 상기 팽창챔버 내에서 형성된 폼드 아스팔트를 배출하는 아스팔트 배출부
    를 포함하고,
    상기 아스팔트 제공부의 적어도 일부는, 내부에 아스팔트 유동로가 형성되도록 중공의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아스팔트 제공부에는, 상기 아스팔트 제공부의 적어도 일부의 내측면 및 외측면을 가열하기 위한 가열부가 마련되고,
    상기 물 제공부는,
    상기 팽창챔버에 설치되어 기 결정된 압력 이상의 물을 상기 팽창챔버 내로 공급하는 물공급노즐; 및
    상기 물공급노즐의 후단에 결합되고, 상기 물공급노즐로 물을 이송하는 물이송라인
    을 포함하고,
    상기 물이송라인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원통 형상의 아스팔트 제공부의 외주면을 따라 나선형으로 권취되어 위치되며,
    상기 물 제공부에 의해 공급되는 물은, 상기 원통 형상의 아스팔트 제공부의 외주면을 따라 유동하며 가열되는 것인, 이동식 아스콘 재생 플랜트.
  9. 폐아스콘의 재생을 위한 플랜트부, 및 상기 플랜트부를 이송하기 위한 이송차량을 포함하는 이동식 아스콘 재생 플랜트에 있어서,
    상기 플랜트부는,
    공급되는 폐아스콘 중 기 설정된 크기 이하의 폐아스콘을 선별하여 수용하는 골재수용부;
    상기 골재수용부에서 선별된 폐아스콘을 재생하기 위한 혼합재생부;
    상기 혼합재생부로 아스팔트를 공급하기 위한 아스팔트 공급부;
    상기 혼합재생부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물 공급부;
    상기 혼합재생부로 시멘트를 공급하기 위한 시멘트 공급부
    를 포함하고,
    상기 플랜트부는 상기 이송차량에 대해 수평 평면에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플랜트부는, 기 결정된 현장 위치에서 상기 이송차량에서 분리되어 그 위치를 지면에 고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플랜트부는,
    일단이 상기 골재수용부 측에 배치되고 타단이 상기 혼합재생부 측에 배치되어, 상기 골재수용부로부터 배출된 폐아스콘을 상기 혼합재생부로 반송하기 위한 골재반송부; 및
    상기 이송차량의 후방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된 운송설치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골재수용부, 상기 혼합재생부, 상기 아스팔트 공급부, 상기 물 공급부, 상기 시멘트 공급부 및 상기 골재반송부는 상기 운송설치부 상에 마련되고,
    상기 골재수용부는,
    상면이 개방되도록 형성되어, 폐아스콘을 공급받아 수용하는 호퍼부재; 및
    상기 호퍼부재의 상부에 마련되고, 공급되는 폐아스콘 중 기 결정된 크기 이하의 폐아스콘을 선별하는 골재필터부
    를 포함하고,
    상기 골재필터부는,
    사각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기 결정된 크기에 대응되는 면적을 갖는 복수의 필터공이 마련된 한 쌍의 필터부재;
    상기 한 쌍의 필터부재의 둘레를 따라 위치되고, 상기 한 쌍의 필터부재와 연결되어 상기 한 쌍의 필터부재를 지지하는 필터지지프레임; 및
    상기 필터지지프레임의 복수의 지지프레임 중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지지프레임 각각에 대해 상기 한 쌍의 필터부재를 소정 각도 회전시키는 한 쌍의 개방구동부
    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필터부재는,
    상기 호퍼부재의 상부에서 서로 동일한 평면을 형성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호퍼부재의 개방된 상면을 폐쇄하고,
    상기 한 쌍의 개방구동부의 작동에 의해, 상기 호퍼부재의 상측으로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전개되어 상기 호퍼부재의 상면을 개방하는 것인, 이동식 아스콘 재생 플랜트.
  10. 탄소 배출 저감을 위한 이동식 아스콘 재생 플랜트에 있어서,
    상기 이동식 아스콘 재생 플랜트는,
    폐아스콘의 재생을 위한 플랜트부; 및
    상기 플랜트부를 이송하기 위한 이송차량
    을 포함하고,
    상기 플랜트부는,
    공급되는 폐아스콘 중 기 설정된 크기 이하의 폐아스콘을 선별하여 수용하는 골재수용부;
    상기 골재수용부에서 선별된 폐아스콘을 재생하기 위한 혼합재생부;
    상기 혼합재생부로 아스팔트를 공급하기 위한 아스팔트 공급부;
    상기 혼합재생부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물 공급부;
    상기 혼합재생부로 시멘트를 공급하기 위한 시멘트 공급부
    를 포함하고,
    상기 플랜트부는 상기 이송차량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플랜트부의 전방은 상기 이송차량의 후방에 720°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플랜트부는,
    일단이 상기 골재수용부 측에 배치되고 타단이 상기 혼합재생부 측에 배치되어, 상기 골재수용부로부터 배출된 폐아스콘을 상기 혼합재생부로 반송하기 위한 골재반송부; 및
    상기 이송차량의 후방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된 운송설치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골재수용부, 상기 혼합재생부, 상기 아스팔트 공급부, 상기 물 공급부, 상기 시멘트 공급부 및 상기 골재반송부는 상기 운송설치부 상에 마련되고,
    상기 골재수용부는,
    상면이 개방되도록 형성되어, 폐아스콘을 공급받아 수용하는 호퍼부재; 및
    상기 호퍼부재의 상부에 마련되고, 공급되는 폐아스콘 중 기 결정된 크기 이하의 폐아스콘을 선별하는 골재필터부
    를 포함하고,
    상기 골재필터부는,
    사각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기 결정된 크기에 대응되는 면적을 갖는 복수의 필터공이 마련된 한 쌍의 필터부재;
    상기 한 쌍의 필터부재의 둘레를 따라 위치되고, 상기 한 쌍의 필터부재와 연결되어 상기 한 쌍의 필터부재를 지지하는 필터지지프레임; 및
    상기 필터지지프레임의 복수의 지지프레임 중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지지프레임 각각에 대해 상기 한 쌍의 필터부재를 소정 각도 회전시키는 한 쌍의 개방구동부
    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필터부재는,
    상기 호퍼부재의 상부에서 서로 동일한 평면을 형성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호퍼부재의 개방된 상면을 폐쇄하고,
    상기 한 쌍의 개방구동부의 작동에 의해, 상기 호퍼부재의 상측으로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전개되어 상기 호퍼부재의 상면을 개방하는 것인, 이동식 아스콘 재생 플랜트.
KR1020230036798A 2023-03-17 2023-03-21 탄소 배출 저감을 위한 이동식 아스콘 재생 플랜트 KR1025489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81357A KR20240141114A (ko) 2023-03-17 2023-06-23 탄소 배출 저감을 위한 이동식 아스콘 재생 플랜트
KR1020230081354A KR20240141113A (ko) 2023-03-17 2023-06-23 탄소 배출 저감을 위한 이동식 아스콘 재생 플랜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30034887 2023-03-17
KR1020230034887 2023-03-17
KR1020230035615 2023-03-20
KR20230035615 2023-03-20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81357A Division KR20240141114A (ko) 2023-03-17 2023-06-23 탄소 배출 저감을 위한 이동식 아스콘 재생 플랜트
KR1020230081354A Division KR20240141113A (ko) 2023-03-17 2023-06-23 탄소 배출 저감을 위한 이동식 아스콘 재생 플랜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48997B1 true KR102548997B1 (ko) 2023-06-30

Family

ID=86959482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36798A KR102548997B1 (ko) 2023-03-17 2023-03-21 탄소 배출 저감을 위한 이동식 아스콘 재생 플랜트
KR1020230081354A KR20240141113A (ko) 2023-03-17 2023-06-23 탄소 배출 저감을 위한 이동식 아스콘 재생 플랜트
KR1020230081357A KR20240141114A (ko) 2023-03-17 2023-06-23 탄소 배출 저감을 위한 이동식 아스콘 재생 플랜트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81354A KR20240141113A (ko) 2023-03-17 2023-06-23 탄소 배출 저감을 위한 이동식 아스콘 재생 플랜트
KR1020230081357A KR20240141114A (ko) 2023-03-17 2023-06-23 탄소 배출 저감을 위한 이동식 아스콘 재생 플랜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3) KR10254899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44632A (ko) * 2011-10-24 2013-05-03 서울특별시시설관리공단 폐아스콘 재생혼합장치
KR101344049B1 (ko) * 2013-04-09 2013-12-24 문광균 콘크리트 혼합용 배치식 이동믹서 트럭을 이용한 교면포장용 나노수경성개질유황 콘크리트의 시공방법
KR200478954Y1 (ko) 2013-12-23 2015-12-07 (주)금강플랜트공업 차량 이동식 아스콘 플랜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44632A (ko) * 2011-10-24 2013-05-03 서울특별시시설관리공단 폐아스콘 재생혼합장치
KR101344049B1 (ko) * 2013-04-09 2013-12-24 문광균 콘크리트 혼합용 배치식 이동믹서 트럭을 이용한 교면포장용 나노수경성개질유황 콘크리트의 시공방법
KR200478954Y1 (ko) 2013-12-23 2015-12-07 (주)금강플랜트공업 차량 이동식 아스콘 플랜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141113A (ko) 2024-09-25
KR20240141114A (ko) 2024-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441776C (zh) 就地热再生沥青路面复拌机
US11186008B2 (en) Hydraulic and cooling systems
US9587358B2 (en) Pothole repair product and mobile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n asphalt patch
EP2146830B1 (en) Methodfor making asphalt concrete using foamed asphalt cement
US7654772B1 (en) Mobile asphalt production machine
US9566557B2 (en) Hot (or warm) mix asphalt plants capability of producing up to 100 percent RAP (or ARS) recycled asphalt mixes
US8640687B2 (en) Enclosed snow melt system
US407243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intaining highways
US20030002384A1 (en) Portable concrete plant
RU2734283C1 (ru) Холодная переработка на месте асфальтобетонного материала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проточного нагревательного устройства для асфальто-цементной смеси
KR101299459B1 (ko) 직간접 가열방식 혼합믹서 및 이를 이용한 현장가열 아스팔트 표층 재생 시스템
KR20160031628A (ko) 현장가열 표층재생 아스팔트 포장공법용 가변형 스크류를 이용한 폐아스콘 재생장치
KR102548997B1 (ko) 탄소 배출 저감을 위한 이동식 아스콘 재생 플랜트
CN103660040A (zh) 快捷移动式混凝土搅拌站
KR100664971B1 (ko) 폐아스팔트와 폐콘크리트의 이동식 재생장치
CN109371787A (zh) 一种道路建设用混凝土摊铺装置
KR20240150711A (ko) 탄소 배출 저감을 위해 시공 현장에서 폐아스콘을 상온 재활용하고 포설 차량의 다짐장치를 이용하여 시공 효율 및 품질을 향상시킨 포장도로 보수 방법
KR102520766B1 (ko) 탄소 배출 저감을 위해 시공 현장에서 폐아스콘을 상온 재활용하는 포장도로 보수 방법
KR20240150614A (ko) 탄소 배출 저감을 위해 시공 현장에서 폐아스콘을 상온 재활용하는 포장도로 보수 방법
KR100372870B1 (ko) 아스팔트 기층용 폐 아스콘 재생방법 및 그 재생장치
KR100503861B1 (ko) 폐아스팔트와 폐콘크리트 및 채움재를 이용한 재활용장치
KR102618943B1 (ko) 탄소 배출 저감을 위해 시공 현장에서 폐아스콘을 상온 재활용하고 재생 아스콘 혼합물의 품질을 균질화하는 포장도로 보수 방법
KR200381314Y1 (ko) 폐아스팔트와 폐콘크리트 및 채움재를 이용한 재활용장치
KR200381313Y1 (ko) 폐아스팔트와 폐콘크리트의 이동식 재생장치
CN105780628A (zh) 移动式温拌沥青供给系统及双滚筒移动式沥青搅拌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