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8471B1 - 배전선로 고장 표시 시스템 - Google Patents

배전선로 고장 표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8471B1
KR102548471B1 KR1020220186346A KR20220186346A KR102548471B1 KR 102548471 B1 KR102548471 B1 KR 102548471B1 KR 1020220186346 A KR1020220186346 A KR 1020220186346A KR 20220186346 A KR20220186346 A KR 20220186346A KR 102548471 B1 KR102548471 B1 KR 1025484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unit
unit
see
distribution line
fail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863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원봉
Original Assignee
선광테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선광테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선광테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863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84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84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84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08Locating faults in cables, transmission lines, or networks
    • G01R31/081Locating faults in cables, transmission lines, or networks according to type of conductors
    • G01R31/085Locating faults in cables, transmission lines, or networks according to type of conductors in power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lines, e.g. overhea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4Housings; Supporting members; Arrangements of termina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5/00Details of measuring arrangements of the types provided for in groups G01R17/00 - G01R29/00, G01R33/00 - G01R33/26 or G01R35/00
    • G01R15/14Adaptations providing voltage or current isolation, e.g. for high-voltage or high-current networks
    • G01R15/18Adaptations providing voltage or current isolation, e.g. for high-voltage or high-current networks using inductive devices, e.g. transform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50Testing of electric apparatus, lines, cables or components for short-circuits, continuity, leakage current or incorrect line connections
    • G01R31/52Testing for short-circuits, leakage current or ground faul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50Testing of electric apparatus, lines, cables or components for short-circuits, continuity, leakage current or incorrect line connections
    • G01R31/58Testing of lines, cables or conductor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5Electrical failure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36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using visible light sour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Locating Faul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전선로 고장 표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주의 배전선로가 낙뢰 등에 의해 고장이 발생되는 경우, 변류기에서 이를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고장이 발생한 전주의 위치를 시각 신호로 송출하여 안내할 수 있는 배전선로 고장 표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배전선로 고장 표시 시스템{Distribution Line Fault Indication System}
본 발명은 배전선로 고장 표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주의 배전선로에 낙뢰 등에 의해 고장이 발생되는 경우, 변류기에서 이를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고장이 발생한 전주의 위치를 시각 신호로 송출하여 안내할 수 있는 배전선로 고장 표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변전소로부터 수용가로 전력을 공급하는 배전 선로는 송전선로와는 달리 수많은 수용가에 각각 전력을 공급해야 하기 때문에 그 구성은 복잡한 간선 및 지선들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배전 선로 상에 지락(전선이 끊어져 땅에 붙어 접지되는 경우) 또는 단락(서로 다른 상의 전선들이 붙는 경우) 사고가 발생하여 고장 전류가 발생하는 경우, 그 사고가 발생한 고장점의 위치를 찾기 위해서는 많은 노력이 필요하게 된다.
종래에는 배전 선로에 고장 전류가 발생하는 경우, 고장 전류가 발생한 고장점을 찾기 위하여 변전소 차단장치를 동작시켜 가면서 현장의 조작자와 변전소 관리자가 주로 통신 수단을 이용하여 사고 위치에 관한 정보를 서로 교환함으로써 고장점을 찾는 것이 보편화 된 방법이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방법의 경우 많은 시간과 인력이 소모되며 복구 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정전 시간이 길어져, 전력 소비자의 큰 불편을 초래하는 문제가 빈번하게 발생하였다. 이에 따라, 배전 선로의 사고 발생시 그 고장점의 위치를 신속히 파악하고 복구하여 정전 시간을 단축함으로써 전력 공급의 신뢰성과 수용가에 대한 서비스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되어 왔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배전선로 고장을 표시하는 장치 및 방법에 대한 기술 중 하나로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55527호(이하, '종래기술'이라 함)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종래기술은 전주의 일측에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고장 표시부를 구비하여 고장 발생시, 고장 표시부가 점등됨에 따라 작업자가 고장위치를 발견할 수 있게 하고 있다.
그런데 종래기술의 경우, 고장 표시부에 필요한 전원을으로 태양광 패널을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날씨에 따라 전원의 공급이 불안정하고, 태양광 패널의 설치를 위한 공간과 부가적인 많은 장치가 요구되는 문제가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55527호(2014.05.09.공개)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이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전주의 배전선로에 낙뢰 등에 의해 고장이 발생되는 경우, 변류기에서 이를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고장이 발생한 전주의 위치를 시각 신호로 송출하여 안내할 수 있는 배전선로 고장 표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배전선로(D)로부터 분기된 접지선(G)에 흐르는 1차 전류로부터 전자기 유도 원리를 이용하여 2차 전류를 감지권선(S)을 통해 제어부(400)로 전달하는 변류기(100); 하나 이상의 경고신호 송출부(230)를 포함하며, 전주의 일측에 고정 구비되는 고장 표시부(200); 변류기(100)에 의해 유도되는 2차 전류를 저장하고, 저장된 전원을 고장 표시부(200)로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300); 및 상기 변류기(100)로부터 전달받은 감지 결과를 분석하여 고장인 상태로 판단되면, 고장 표시부(200)에서 경고신호가 송출되게 제어하는 제어부(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고장 표시부(200)는, 내부가 빈 형태로 형성되되, 전면이 개방 가능한 형태로 구성되어 전주에 구비되는 챔버(210); 내부 환경의 관찰이 가능하게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어 하나 이상이 상기 챔버(210) 표면에서 외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투시부(220); 및 제어부(400)로부터 전달받는 제어신호에 따라 점등되어 상기 투시부(220)를 통과하여 시각신호를 송출하는 경고신호 송출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챔버(210)는, 내부에 부품의 수용이 가능하게 구성되되, 전면이 개방된 형태로 형성되어 후면측이 전주에 체결되는 챔버몸체(211); 및 상기 챔버몸체(211)의 전면을 덮어 가리도록 구성되어 측면 일측이 상기 챔버몸체(211)의 측면 일측과 좌우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힌지 체결되는 덮개부(21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챔버몸체(211)와 덮개부(212)의 힌지부에는, 토션 스프링이 구비되어 상기 덮개부(212)에 외력을 가하지 않는 상태에서 상기 덮개부(212)는 챔버몸체(211)의 전방을 밀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투시부(220)는, 내부와 후면이 개방된 반구 또는 돔 형태로 형성되어 후면 둘레에는 후방으로 돌출 형성되되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끼움돌기(221)가 구비되며, 상기 챔버(210)에는, 상기 끼움돌기(221)가 나사 체결되는 투시 체결홈이 형성됨에 따라 상기 투시부(220)와 챔버(210)가 나사체결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투시부(220)의 상부에는, 하부면이 빛의 반사가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져, 상방으로 볼록하게 형성된 후드의 형태로 형성되는 반사부(240)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400)는, 관리서버와 네트워크로 연결되고, 상기 관리서버는, 사용자 단말기와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400), 관리서버 및 사용자 단말기 간에 정보를 전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400)는 중단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고장 표시부(200)의 경고신호 송출부(230)의 발광이 중단되게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주의 배전선로에 낙뢰 등에 의해 고장이 발생되는 경우, 변류기에서 이를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고장이 발생한 전주의 위치를 시각 신호로 송출하여 안내함에 따라 작업자가 점검이 필요한 전주의 위치를 쉽게 인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르면, 전자기 유도 원리를 이용하여 시스템의 작동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받도록 구성됨에 따라 별도의 전원 공급장치가 필요하지 않은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선로 고장 표시 시스템의 실시예의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선로 고장 표시 시스템의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고장 표시부의 실시예의 일측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고장 표시부의 실시예의 타측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고장 표시부의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배전선로 고장 표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주의 배전선로에 낙뢰 등에 의해 고장이 발생되는 경우, 변류기에서 이를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고장이 발생한 전주의 위치를 시각 신호로 송출하여 안내할 수 있는 배전선로 고장 표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변류기(100), 고장 표시부(200), 전원 공급부(300) 및 제어부(400)를 포함한다.
상기 변류기(100)는 배전선로(D)에 흐르는 전류를 감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배전선로(D)로부터 분기된 접지선(G)에 흐르는 1차 전류로부터 전자기 유도 원리를 이용하여 2차 전류를 감지권선(S)을 통해 제어부(400)로 전달한다.
상술하면, 상기 접지선(G)은 일단이 배전선로(D)와 연결되고, 타단이 지중으로 그라운딩되어 전주의 외측에 밀착되어 구비되며, 상기 변류기(100)는 감지권선(S)에 의해 일단이 상기 접지선(G)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단이 이후 후술할 제어부(4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됨에 따라 유도된 2차 전류가 감지권선(S)을 통해 제어부(400)로 전달된다.
이때, 상기 변류기(100)의 구체적인 구조는 이미 공지된 기술에 불과하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감지권선(S) 상에는 유도된 2차 전류를 정제하는 정제부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정제부는 유도된 2차 전류의 파형을 정형한 후, 이를 증폭함으로써 정제된 신호를 제어부(400)에서 감지 및 분석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고장 표시부(200)는 하나 이상의 경고신호 송출부(230)를 포함하며, 전주의 일측에 고정 구비된다.
상술하면, 상기 고장 표시부(200)는 이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겠지만 배전선로(D)에 고장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면, 작업자가 이를 시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게 신호를 송출하게 되는데, 이를 위해, 챔버(210), 투시부(220) 및 경고신호 송출부(230)를 포함한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챔버(210)는 내부가 빈 형태로 형성되되, 전면이 개방 가능한 형태로 구성되어 전주에 구비된다.
상술하면, 상기 챔버(210)는 내부에 부품의 수용이 가능하게 구성되되, 전면이 개방된 형태로 형성되어 후면측이 전주에 체결되는 챔버몸체(211) 및 상기 챔버몸체(211)의 전면을 덮어 가리도록 구성되어 측면 일측이 상기 챔버몸체(211)의 측면 일측과 좌우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힌지 체결되는 덮개부(212)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챔버몸체(211)와 덮개부(212)의 힌지부에는 토션 스프링 등이 구비되어 상기 덮개부(212)를 챔버몸체(211)측으로 탄성 지지함으로써, 상기 덮개부(212)에 외력을 가하지 않는 상태에서도 상기 덮개부(212)는 챔버몸체(211)의 전방을 밀폐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챔버몸체(211)의 측면 타측에는 면상에 제 1고정홀이 형성된 하나 이상의 제 1고정단(211a)이 형성되고, 이에 대응하는 덮개부(212)의 측면 타측에는 면상에 제 2고정홀이 형성된 하나 이상의 제 2고정단(212a)이 형성되어 상기 제 1고정홀과 제 2고정홀을 관통하여 볼트 또는 나사 등으로 형성되는 고정부재가 체결됨에 따라 덮개부(212)와 챔버몸체(211)가 강건하게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2고정홀은 상기 고정부재의 머리부분이 완전히 인입되는 깊이로 형성되어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 가능하게 한다.
한편, 상기 챔버몸체(211)의 후면에는 고정밴드(213)가 힌지 체결되고, 상기 고정밴드(213)가 전주와 체결됨에 따라 고장 표시부(200)가 전주에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투시부(220)는 내부 환경의 관찰이 가능하게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어 하나 이상이 상기 챔버(210) 표면에서 외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상술하면, 상기 투시부(220)는 작업자가 투시부(220)를 통해 내부에 구비되는 경고신호 송출부(230)를 관찰할 수 있게 하기 위해 챔버(210)의 표면보다 투시부(220)가 외측으로 더 돌출되게 함으로써, 작업자가 고장 표시부(200)보다 멀리 떨어진 하부에 위치한 상태에서도 경고신호 송출부(230)를 쉽게 육안으로 관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투시부(220)는 내부와 후면이 개방된 반구 또는 돔 형태로 형성되어 후면 둘레에는 후방으로 돌출 형성되되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끼움돌기(221)가 구비되며, 상기 챔버(210)에는 상기 끼움돌기(221)가 나사 체결되는 투시 체결홈이 형성됨에 따라 상기 투시부(220)와 챔버(210)가 나사체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투시부(220)와 챔버(210)의 사이에는 수밀패킹이 구비된 상태에서 상호 구성이 나사 체결됨에 따라 챔버(210) 내부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투시부(220)는 전주를 기준으로 복수 개가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하도록 구비됨에 따라 작업자가 전주를 기준으로 동서남북 어디에 위치한 상태에서도 투시부(220)로부터 송출되는 경고신호를 쉽게 관찰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경고신호 송출부(230)는 시각신호를 송출하는 램프 또는 LED 등으로 구성되어, 제어부(400)로부터 전달받는 제어신호에 따라 점등되어 상기 투시부(220)를 통해 시각신호를 송출한다.
상술하면, 상기 경고신호 송출부(230)는 상기 투시부(220)의 내부에 삽입되게 구비되어 상기 경고신호 송출부(230)는 제어부(400)에서 전달되는 동작신호에 따라 설정된 색상으로 점등되거나 또는 일정 시간 간격으로 점멸되면서 시각신호를 송출하게 되며, 송출된 시각신호는 투시부(220)를 투과하여 외부로 노출됨에 따라 작업자가 이를 시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광신호(시각신호)를 이용하여 작업자가 고장 상태를 인식할 수 있게 하는데, 이때, 작업자가 광신호를 더욱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상기 투시부(220)에는 반사부(24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반사부(240)는 하부면이 빛의 반사가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져, 상방으로 볼록하게 형성된 후드의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투시부(220)의 상부를 덮어 가리게 구비된다.
이에 따라 상기 투시부(220)를 통과하여 상방으로 조사되는 빛이 반사부(240)에 의해 반사되어 경사진 하부 및 하부 방향으로 조사됨에 따라 광신호의 밝기가 더 밝아져 작업자가 더 쉽게 시각신호를 인식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원 공급부(300)는 변류기(100)에 의해 유도되는 2차 전류를 저장하고, 저장된 전원을 고장 표시부(200)로 공급하도록 구성되는데, 축전권선(C) 및 배터리부(320)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축전권선(C)은 일단이 변류기(1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단이 배터리부(320)와 연결되어 상기 변류기(100)에 의해 유도된 2차 전류를 배터리부(320)로 전달한다.
상기 배터리부(320)는 충전이 가능한 2차 전지로 이루어져, 상기 챔버(210)의 내부에 구비되며, 충전된 전원을 상기 고장 표시부(200)로 공급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변류기(100)는 전자기 유도 원리를 이용하여 접지선에 흐르는 1차 전류로부터 2차 전류를 유도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변류기(100)는 감지권선(S)과 축전권선(C)으로 2차 전류가 각각 유도되게 구성됨에 따라 상기 배터리부(320)의 충전이 가능하게 한다.
이때, 상기 배터리부(320)의 충전 및 전원 공급에 대한 제어는 이후 후술할 제어부(400)에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전원 공급부(300)는 본원발명의 시스템을 작동하기 위해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전원 공급부(300)는 배터리부(320)의 고장시, 사용되는 비상용 전원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하면, 상기 비상용 전원부는 충전이 가능한 2차 전지로 이루어져, 상기 변류기(1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상기 챔버(210)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배터리부(320)의 고장 등의 비상상황에서 시스템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비상용 전원부는 배터리부(320)가 완충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변류기(100)로부터 유도되는 전류를 전달받아 전원이 충전되게 하며, 배터리부(320)에 충전이 필요한 상태 또는 비상용 전원부의 전원이 완충된 상태에서는 변류기(100)와의 전기적인 연결이 차단되게 제어된다.
한편,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변류기(100)로부터 전달받은 감지 결과를 분석하여 고장인 상태로 판단되면, 고장 표시부(200)에서 경고신호가 송출되게 제어한다.
상술하면,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변류기(100)로부터 전달되는 전류 값을 분석하여, 측정된 전류값이 기준치를 초과하게 되면,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변류기(100)가 구비된 고장 표시부(200)의 경고신호 송출부(230)에서 고장 신호를 송출하도록 제어한다.
예를 들면, 상기 제어부(400)는 고장판단 시, 상기 경고신호 송출부(230)가 일정 시간 간격으로 지속적으로 점멸하거나 또는 설정된 시간동안 설정된 색상으로 점등하게 제어함으로써 고장발생을 시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400)는 통신망에 의해 관리서버와 네트워크로 연결되고, 관리서버는 개인PC, 태블릿 또는 스마트폰 등으로 이루어진 사용자 단말기와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제어부(400), 관리서버 및 사용자 단말기 간의 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어부(400)는 GPS 등으로 이루어져, 상기 관리서버로 전주의 위치 정보를 전달하는 위치제공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어 고장이 발생된 전주의 위치를 관리서버로 전달하고, 관리소에서는 해당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함에 따라 현장에 나가있는 작업자가 고장 발생 위치를 더욱 쉽게 찾을 수 있게 한다.
아울러, 상기 제어부(400)에서는 본원발명을 구성하는 각 부품들의 동작 상태를 상기 관리서버로 전송하여 관리자 또는 작업자가 이에 대한 정보를 쉽게 인지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400)는 중단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경고신호 송출부(230)의 발광이 중단되게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하면, 본 발명에서는 작업자가 고장이 발생한 위치로 출동하여 고장상태를 인지하게 되면, 시각신호의 송출이 중단되게 하는데, 예를 들면, 전주의 일측에 송출중단 버튼이 구비되고, 송출중단 버튼을 물리적으로 푸쉬하게 되면, 상기 제어부(400)로 중단신호가 입력되게 구성되어 경고신호 송출부(230)의 발광이 중지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송출중단 버튼은 작업자만 작동할 수 있게 잠금장치에 의해 보호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작업자의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된 소프트웨어에 설치된 소프트웨어 등을 통해 상기 제어부(400)로 중단신호를 전송함으로써 상기 경고신호 송출부(230)의 발광을 중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400)에서는 관리서버로부터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를 전달받아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가 전주를 기준으로 설정된 반경 영역내에 진입한 것으로 판단되면, 경고신호 송출부(230)의 발광이 중지되게 하며,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가 설정된 반경 영역 내에 위치하지 않는 경우, 계속해서 경고신호를 송출하게 제어한다.
한편, 상기 제어부(400)에서는 경고신호의 송출 이후, 일정 시간 내에 중단신호가 입력되지 않는 경우, 관리서버로 비상신호를 일정 시간 간격으로 전달하여 배전선로(D)의 고장에 대해 지속적으로 경고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한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미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C : 축전권선 D : 배전선로
G : 접지선 S : 감지권선
100 : 변류기
200 : 고장 표시부
210 : 챔버
211 : 챔버몸체 211a : 제 1고정단
212 : 덮개부 212b : 제 2고정단
213 : 고정밴드
220 : 투시부 221 : 끼움돌기
230 : 경고신호 송출부 240 : 반사부
300 : 전원 공급부 320 : 배터리부
400 : 제어부

Claims (8)

  1. 배전선로(D)로부터 분기된 접지선(G)에 흐르는 1차 전류로부터 전자기 유도 원리를 이용하여 2차 전류를 감지권선(S)을 통해 제어부(400)로 전달하는 변류기(100);
    하나 이상의 경고신호 송출부(230)를 포함하며, 전주의 일측에 고정 구비되는 고장 표시부(200);
    변류기(100)에 의해 유도되는 2차 전류를 저장하고, 저장된 전원을 고장 표시부(200)로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300); 및
    상기 변류기(100)로부터 전달받은 감지 결과를 분석하여 고장인 상태로 판단되면, 고장 표시부(200)에서 경고신호가 송출되게 제어하는 제어부(400);
    를 포함하며,
    상기 고장 표시부(200)는,
    내부가 빈 형태로 형성되되, 전면이 개방 가능한 형태로 구성되어 전주에 구비되는 챔버(210);
    내부 환경의 관찰이 가능하게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어 하나 이상이 상기 챔버(210) 표면에서 외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투시부(220); 및
    제어부(400)로부터 전달받는 제어신호에 따라 점등되어 상기 투시부(220)를 통과하여 시각신호를 송출하는 경고신호 송출부(230);
    를 포함하며,
    상기 투시부(220)는, 내부와 후면이 개방된 반구 또는 돔 형태로 형성되어 후면 둘레에는 후방으로 돌출 형성되되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끼움돌기(221)가 구비되며,
    상기 챔버(210)에는, 상기 끼움돌기(221)가 나사 체결되는 투시 체결홈이 형성됨에 따라 상기 투시부(220)와 챔버(210)가 나사체결되며,
    상기 투시부(220)는,
    전주를 기준으로 복수 개가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투시부(220)의 상부에는,
    하부면이 빛의 반사가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져, 상방으로 볼록하게 형성된 후드의 형태로 형성되는 반사부(240)가 구비되며,
    상기 제어부(400)는, 관리서버와 네트워크로 연결되고, 상기 관리서버는, 사용자 단말기와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400), 관리서버 및 사용자 단말기 간에 정보를 전달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400)는 중단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고장 표시부(200)의 경고신호 송출부(230)의 발광이 중단되게 제어하며,
    상기 중단신호는,
    전주의 일측에 구비된 송출중단 버튼을 푸쉬하게 되면, 상기 제어부(400)로 전송되게 구성되거나, 또는 작업자의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된 소프트웨어를 조작함에 따라 제어부(400)로 전송되게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400)에서는,
    관리서버로부터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를 전달받아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가 전주를 기준으로 설정된 반경 영역내에 진입한 것으로 판단되면, 경고신호 송출부(230)의 발광이 중지되게 하며,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가 설정된 반경 영역 내에 위치하지 않는 경우, 계속해서 경고신호를 송출하게 제어하며,
    상기 제어부(400)에서는,
    경고신호의 송출 이후, 일정 시간 내에 중단신호가 입력되지 않는 경우, 관리서버로 비상신호를 일정 시간 간격으로 전달하여 배전선로(D)의 고장에 대해 지속적으로 경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선로 고장 표시 시스템.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챔버(210)는,
    내부에 부품의 수용이 가능하게 구성되되, 전면이 개방된 형태로 형성되어 후면측이 전주에 체결되는 챔버몸체(211); 및
    상기 챔버몸체(211)의 전면을 덮어 가리도록 구성되어 측면 일측이 상기 챔버몸체(211)의 측면 일측과 좌우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힌지 체결되는 덮개부(212);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선로 고장표시 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챔버몸체(211)와 덮개부(212)의 힌지부에는,
    토션 스프링이 구비되어 상기 덮개부(212)에 외력을 가하지 않는 상태에서 상기 덮개부(212)는 챔버몸체(211)의 전방을 밀폐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선로 고장표시 시스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220186346A 2022-12-27 2022-12-27 배전선로 고장 표시 시스템 KR1025484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86346A KR102548471B1 (ko) 2022-12-27 2022-12-27 배전선로 고장 표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86346A KR102548471B1 (ko) 2022-12-27 2022-12-27 배전선로 고장 표시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48471B1 true KR102548471B1 (ko) 2023-06-28

Family

ID=869940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86346A KR102548471B1 (ko) 2022-12-27 2022-12-27 배전선로 고장 표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847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55527A (ko) 2012-10-31 2014-05-09 한국전력공사 배전 선로 고장발생 표시 장치 및 그 방법
KR101626141B1 (ko) * 2015-09-17 2016-05-31 서천전기공사(주) 가공배전선로의 고장 감시 장치
KR101842669B1 (ko) * 2018-01-05 2018-03-28 선우전기이엔지(주) 배전선로 자동화 시스템
KR102195410B1 (ko) * 2020-09-02 2020-12-29 주식회사 광성이엔지 가공 배전선로의 감시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55527A (ko) 2012-10-31 2014-05-09 한국전력공사 배전 선로 고장발생 표시 장치 및 그 방법
KR101626141B1 (ko) * 2015-09-17 2016-05-31 서천전기공사(주) 가공배전선로의 고장 감시 장치
KR101842669B1 (ko) * 2018-01-05 2018-03-28 선우전기이엔지(주) 배전선로 자동화 시스템
KR102195410B1 (ko) * 2020-09-02 2020-12-29 주식회사 광성이엔지 가공 배전선로의 감시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82272B2 (en) System, a tool and method for communicating with a faulted circuit indicator using a remote display
US20100238045A1 (en) System, a tool and a method for communicating with a faulted circuit indicator using a display
CA1297157C (en) Closed loop, programmable power and communication system
KR101334306B1 (ko) 아크 플래시 감지를 통해 차단 기능을 가지는 고압배전반, 저압배전반, 전동기제어반 및 분전반
AU682536B2 (en) Device for supplying power to and monitoring an electric fence
KR102089184B1 (ko) 절연통 보호장치 감시 시스템 및 방법
KR101764325B1 (ko) 배전선로의 고장지점 탐지 시스템
KR101116185B1 (ko) 지중배전선 보호용 절연전선관
KR102548471B1 (ko) 배전선로 고장 표시 시스템
CN109347176A (zh) 一种集中充换电柜安全管理系统
KR101773170B1 (ko) 배전선로의 고장지점 탐지장치
WO2020111872A1 (ko) 자동점검 누전차단기
KR101645519B1 (ko) 배전선로의 고장지점 탐지시스템
US11908313B2 (en) Lighting system and method of use thereof
CN201035751Y (zh) 编码式安全光幕
US11095077B2 (en) Electrical equipment comprising an LED for detecting a connector
CN105332735A (zh) 预防煤矿带电作业及瓦斯爆炸的方法及系统
KR20160120921A (ko) 지상개폐기함의 온도 모니터링 장치
CN110617788A (zh) 一种道路井盖异常状态监测装置及安装方法
KR101303316B1 (ko) 전력 설비용 다중표시 검출기
CN207559556U (zh) 一种用于mv配电网络的切换设备以及一种mv断开装备
CN209044840U (zh) 一种气体报警控制器
KR20170100130A (ko) 옥외주차 유도 시스템
CN212275873U (zh) 一种电缆断线会就近自动断电的电缆控制器
KR20180012069A (ko) 지능형 분전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