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8155B1 - 세탁기 - Google Patents

세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8155B1
KR102548155B1 KR1020180053503A KR20180053503A KR102548155B1 KR 102548155 B1 KR102548155 B1 KR 102548155B1 KR 1020180053503 A KR1020180053503 A KR 1020180053503A KR 20180053503 A KR20180053503 A KR 20180053503A KR 102548155 B1 KR102548155 B1 KR 1025481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ing tub
container
cover
vane
wa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35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29211A (ko
Inventor
박정현
김경록
장훈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535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8155B1/ko
Publication of KR201901292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92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81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81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12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vertical axis
    • D06F37/18Doors or covers; Securing mean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8Doors; Security mean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06F39/14Doors or covers; Securing mean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3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 E05Y2900/312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for washing machines or laundry dry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세탁기는 수직한 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제 1 세탁조와, 상기 제 1 세탁조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 1 세탁조와 일체로 회전되는 제 2 세탁조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세탁조는, 세탁물이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컨테이너와,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고, 상기 컨테이너의 내측에 고정되는 베인과, 상기 컨테이너를 덮고, 상기 컨테이너로 세탁물을 투입하기 위한 투입구가 형성된 세탁조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세탁조 커버는, 상기 컨테이너의 상측에 결합되고, 상기 컨테이너의 내부와 연통되는 제 1 개구부가 형성된 하부 커버와, 상기 하부 커버의 상측에 결합되고, 상기 제 1 개구부와 연통되는 제 2 개구부가 형성된 상부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커버는, 상기 제 1 개구부를 한정하는 바닥부의 저면에 상기 베인의 상변부가 삽입되는 포켓이 형성되고, 상기 베인은 상기 상변부가 상기 포켓 내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바닥부를 관통하는 체결부재와 결합된다.

Description

세탁기{WASHING MACHINE}
본 발명은 세탁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두 개의 세탁조를 구비한 세탁기에 관한 것이다.
세탁기는 세탁, 탈수 및/또는 건조 등의 여러 작용을 통해 세탁물을 처리하는 장치이다. 세탁기는 물과 세제를 이용하여 세탁물(이하, “포”라고도 함.)에 묻은 오염을 제거하는 장치이다.
최근에는 두 개의 세탁조가 구비되는 세탁기가 출시되고 있다. 이러한 세탁기는 큰 용량의 세탁조와 작은 용량의 세탁조를 구비하는데, 각각의 세탁조가 서로 분리되어 있다.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세탁조들을 동시 또는 이시에 사용할 수 있어 편리하며, 나아가 소량 세탁이 필요한 경우 작은 용량의 세탁조만 사용할 수 있으므로 매우 경제적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세탁기는 상기 두 개의 세탁조가 공간적으로 서로 완전히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제품의 전체적인 크기가 증가될 수 밖에 없고, 세탁조들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들, 급수를 위한 급수기구들, 배수를 위한 배수기구들이 각각 두 개씩 필요하여, 제품의 가격 또한 상승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첫째, 캐비닛 내에 항구적으로 설치된 제 1 세탁조에 제 2 세탁조가 분리 가능하게 설치된 세탁기에서, 상기 제 2 세탁조에 구비되는 베인의 조립성을 향상시킨 세탁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둘째, 상기 베인을 설치하는데 필요한 체결부재(예를 들어, 나사)의 수를 줄인 세탁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세탁기는 수직한 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제 1 세탁조와, 상기 제 1 세탁조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 1 세탁조와 일체로 회전되는 제 2 세탁조를 포함한다.
상기 제 2 세탁조는, 세탁물이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컨테이너와,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고, 상기 컨테이너의 내측에 고정되는 베인과, 상기 컨테이너를 덮고, 상기 컨테이너로 세탁물을 투입하기 위한 투입구가 형성된 세탁조 커버를 포함한다.
상기 세탁조 커버는, 상기 베인의 상변부가 삽입되는 포켓이 형성되고, 상기 베인은, 상기 상변부가 상기 포켓 내에 삽입된 상태에서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세탁조 커버와 결합된다.
상기 세탁조 커버는, 상기 컨테이너의 상측에 결합되고, 상기 컨테이너의 내부와 연통되는 제 1 개구부가 형성된 하부 커버와, 상기 하부 커버의 상측에 결합되고, 상기 제 1 개구부와 연통되는 제 2 개구부가 형성된 상부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 커버는, 상기 제 1 개구부를 한정하는 바닥부의 저면에 상기 포켓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베인은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바닥부를 관통하여 상기 상변부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포켓은, 상기 베인의 상변부가 삽입되는 슬라이드 홈이 소정 방향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상기 포켓은, 상기 바닥부의 저면으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된 한 쌍의 안내 리브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슬라이드 홈은, 상기 한 쌍의 안내 리브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안래 리브 각각은, 하단부가 서로를 향해 절곡될 수 있다. 상기 상변부는, 상기 한 쌍의 리브의 하단부들 사이를 통과하지 못하는 폭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체결부재가 미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상변부는 상기 슬라이드 홈을 따라 이동 가능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드 홈은 상기 제 1 개구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베인의 상변부에는, 상기 바닥부의 저면을 대향하는 면에 보스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바닥부에는, 상기 보스와 대응하는 통과공이 상기 포켓의 내측 영역에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통과공을 위에서 아래로 통과하여 상기 보스에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컨테이너의 내주면에는, 측방향으로 개구되고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설치홈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베인은, 상기 상변부의 외측단에서 하측으로 연장된 외측변부가 상기 설치홈 내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바닥부에는, 상기 제 1 세탁조의 회전시, 상기 컨테이너 내에서 상승한 수류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하부 커버는, 상기 바닥부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고, 통공이 형성된 외벽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상부 커버에는, 상기 컨테이너 내로 급수를 위한 급수구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하부 커버와 상기 상부 커버 사이에는,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물이 상기 통공을 통해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유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바닥부의 저면은 상기 베인의 상단부와 접촉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세탁기는 첫째, 제 2 세탁조에 구비되는 베인의 조립 공정이 단순해지는 효과가 있다.
둘째, 상기 베인을 설치하는데 필요한 체결부재(예를 들어, 나사)의 수를 줄여 부품수를 줄이고,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측단면도이다.
도 2는 제 2 세탁조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제 2 세탁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제 2 세탁조가 밸런서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은 도 4에 도시된 조립체를 위에서 내려다 본 것이다.
도 6은 노즐과 체크밸브가 하부 커버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하부 커버의 부분도이다.
도 8은 도 2에 표시된 I-I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9는 제 2 세탁조에 베인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베인을 설치하는 과정을 차례로 도시한 것이다.
도 11은 도 11의 (c)에 점선으로 도시된 부분의 단면을 확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측단면도이다. 도 2는 제 2 세탁조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제 2 세탁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제 2 세탁조가 밸런서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은 도 4에 도시된 조립체를 위에서 내려다 본 것이다. 도 6은 노즐과 체크밸브가 하부 커버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하부 커버의 부분도이다. 도 8은 도 2에 표시된 I-I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9는 제 2 세탁조에 베인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베인을 설치하는 과정을 차례로 도시한 것이다. 도 11은 도 11의 (c)에 점선으로 도시된 부분의 단면을 확대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캐비닛(2)은 세탁기의 외관을 이루며, 내측으로 저수조(4)가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한다. 캐비닛(2)은 평평한 캐비닛 베이스(5)에 의해 지지되며, 전면, 좌측면, 우측면, 후면을 포함하고, 상면은 개방되어 있다.
캐비닛(2)의 개방된 상면에는 탑 커버(3)가 결합될 수 있다. 탑 커버(3)에는 세탁물(또는, “포”)의 투입과 인출을 위한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 탑 커버(3)에는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도어(미도시)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저수조(4)는 물을 담기 위한 것으로, 지지로드(15)에 의해 캐비닛(2) 내에 매달릴 수 있다. 지지로드(15)는 캐비닛(2)의 네 군데 모서리에 각각 구비될 수 있고, 각각의 지지로드(15)의 일단은 탑 커버(3)에 피봇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진동을 완충시키는 서스펜션(27)에 의해 저수조(4)와 연결된다.
저수조(4)는 상면이 개구되어 있고, 상기 개구된 상면에는 저수조 커버(14)가 구비될 수 있다. 저수조 커버(14)는 중앙부에 대략 원형의 개구부가 형성된 링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개구부를 통해 세탁물이 투입된다.
저수조(4) 내에는, 세탁물을 수용하며, 수직축(vertical axis)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제 1 세탁조(6)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수직축은 지면과 실질적으로 수직을 이룬다. 상기 수직축은 지면과 수직한 선상에 정확하게 정렬될 수도 있으나, 이에 한하지 않고, 상기 수직한 선에 대해 소정 각도로 기울어질 수도 있다. 제 1 세탁조(6)에는 물이 통과되는 다수의 통공(6h)이 형성되고, 통공(6h)을 통해 제 1 세탁조(6)와 저수조(4) 간에 물이 교류된다.
제 1 세탁조(6)는, 상측이 개구되고, 통공(6h)이 형성된 드럼(6a)과, 드럼(6a)의 상부에 결합되는 링형의 밸런서(20)를 포함할 수 있다. 드럼(6a)의 저면은 허브(7)에 의해 구동부(8)의 회전축과 연결될 수 있다.
제 1 세탁조(6)의 내측 하부에는 펄세이터(9)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펄세이터(9)는 상측으로 돌출된 다수의 방사상 날개를 포함할 수 있다. 펄세이터(9)가 회전될 시, 상기 날개들에 의해 수류가 형성된다.
밸런서(20)는 드럼(6a)의 회전시 유발되는 편심을 보상하는 것이다. 밸런서(20)는 드럼(6a)의 상단부에 결합된다. 밸런서(20)는, 링형의 공동(미도시)을 형성하는 밸런서 본체 (2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동 내에는 유체(예를 들어, 소금물) 또는 복수의 중량체(예를 들어, 금속구)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링형의 공동은, 동심을 가지나 서로 다른 직경으로 복수가 형성될 수 있다.
드럼(6a)이 회전되는 중에 한쪽으로 치우치면, 드럼(6a)이 치우친 방향과 반대로 유체 또는 중량체들이 이동됨으로써 편심이 보정된다. 세탁기에 적용되는 링형의 밸런서(20)는 이미 다양한 형태가 공지되어 있는 바,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 2 세탁조(10)는, 링형태의 밸런서(20)에 의해 규정된 공간(또는, 대략 원형의 개구부) 내에 삽입될 수 있고, 이렇게 삽입된 상태에서 밸런서(2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제 2 세탁조(10)는, 세탁물이 담기는 컨테이너(30)와, 컨테이너(30)를 덮는 세탁조 커버(60)를 포함한다. 컨테이너(30)로 세탁물을 투입할 수 있도록, 세탁조 커버(60)에는 투입구(60h)가 형성된다.
제 2 세탁조(10)가 제 1 세탁조(6)와 함께 회전될 시, 컨테이너(30) 내의 물이 교반될 수 있도록, 컨테이너(30) 내에는 베인(35)이 배치된다. 컨테이너(30)는 세탁물과 물을 담는 것으로, 상면이 개구된 용기 형상이고, 상기 개구된 상면의 적어도 일부를 세탁조 커버(60)가 덮는다. 컨테이너(30)는, 내측에 수용된 세탁물이 외부에서 보이도록,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밸런서 본체(21)의 내경부(위에서 내려다 볼 때 링형을 구성하는 두 개의 원 중에서 안쪽 원을 이루는 부분)에는 컨테이너(30)를 지지하는 링형의 지지부(22)가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22)에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치합홈이 원주방향을 따라 다수가 배열된다. 각 치합홈들은 나선 형태일 수 있다.
컨테이너(30)의 외측면에는 지지부(22)에 형성된 치합홈들과 맞물리는 돌기 형태의 스레드(thread, 33)들이 형성될 수 있다. 스레드(33)는 상기 치합홈과 대응하는 형태로 상하로 연장된다. 즉, 상기 치합홈이 나선 형태인 경우, 스레드(33) 역시 나선형으로 연장되는 돌기이다. 스레드(33)들은 원주방향을 따라 다수가 배열된다.
스레드(33)들은 일종의 헬리컬 기어를 구성하여, 밸런서(20)의 안착부(33)에 형성된 치합홈들과 맞물린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제 1 세탁조(6)가 회전될 시, 제 2 세탁조(10)가 헛돌지 않고 제 1 세탁조(6)와 일체로 회전될 수 있다. 또한, 밸런서(20)와 컨테이너(30) 간의 이러한 방식의 결합은 일종의 나사 결합이기도 하기 때문에, 제 2 세탁조(10)와 제 1 세탁조(6) 간의 결합이 견실하게 유지된다. 특히, 스레드(33)와 상기 치합홈 간의 결합이 갖는 구속력(예를 들어, 서로 맞물리는 면들 사이에 작용하는 마찰력)에 의해 제 2 세탁조(10)가 하강하지 않고 고정될 수 있다.
제 2 세탁조(10)는 세탁물을 수용하며, 제 1 세탁조(6)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된다. 즉, 제 2 세탁조(10)는 제 1 세탁조(6)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 2 세탁조(10)가 설치된 상태에서 제 1 세탁조(6)가 회전되면, 제 2 세탁조(10)도 제 1 세탁조(6)와 일체로 회전된다.
사용자는 제 2 세탁조(10)가 미설치된 상태에서 제 1 세탁조(6)에 제 1 세탁물을 투입하거나, 제 2 세탁조(10)를 설치하여 제 2 세탁조(10)에 제 2 세탁물을 투입할 수 있다.
캐비닛(2) 내에는 제 1 세탁조(6)와 펄세이터(9)를 회전시키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8)가 배치될 수 있다. 구동부(8)는 저수조(4)의 하측에 배치되고, 저수조(4)의 저면에 결합된 상태로 캐비닛(2) 내에 매달릴 수 있다.
구동부(8)의 회전축은 펄세이터(9)와는 항시 연결되어 있으며, 제 1 세탁조(6)와는 클러치(미도시)의 전환 동작에 따라 연결 또는 연결 해제될 수 있다. 따라서, 구동부(8)의 회전축이 제 1 세탁조(6)와 연결된 상태로 구동부(8)가 운전될 시에는, 펄세이터(9)와 제 1 세탁조(6)가 일체로 회전되며, 상기 회전축이 제 1 세탁조(6)와 연결해제(또는, 분리)된 상태로 동작할 시에는, 제 1 세탁조(6)는 정지된 상태에서 펄세이터(9)만 회전된다.
구동부(8)는 속도 제어가 가능한 세탁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탁 모터는 직접 구동 방식의 인버터 모터(Inverter Direct Drive Motor)일 수 있다. 제어부(미도시)는 비례-적분 제어기(PI controller: Proportional-Integral controller), 비례-적분-미분 제어기(PID controller: Proportional-Integral-Derivative controller)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기는 세탁 모터의 출력값(예를 들어, 출력 전류)을 입력으로 받아, 이를 바탕으로 세탁 모터의 회전수(또는, 회전속도)가 기 설정된 목표 회전수(또는, 목표 회전속도)를 추종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세탁 모터뿐만 아니라, 세탁기의 작동 전반을 제어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 언급되는 각 구성들의 제어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해하도록 하자.
한편, 세탁기는 수도 꼭지 등의 외부 수원으로부터 공급된 물을 안내하는 적어도 하나의 급수관(11)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급수관(11)은 외부 수원으로부터 냉수를 공급받는 냉수관(미도시)과, 온수를 공급받는 온수관(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급수관(11)을 단속하는 급수밸브(13)가 구비될 수 있다. 급수관(11)이 복수가 구비되는 경우, 급수밸브(13)도 복수가 구비되어, 급수관(11)들이 각각 급수밸브(13)에 의해 단속될 수 있다. 제어부의 제어 하에 적어도 하나의 급수밸브(13)가 개방되면, 개방된 급수밸브(13)와 대응하는 급수관(11)을 통해 메인 디스펜서(16)로 급수가 이루어진다.
메인 디스펜서(16)는 세탁물에 작용하는 첨가제를, 급수관(11)을 통해 급수된 물과 함께 저수조(4)로 공급한다. 메인 디스펜서(16)에 의해 공급되는 첨가제로는 세탁용 세제, 섬유 유연제, 표백제 등이 있다.
한편, 세탁기는, 저수조(4)로부터 물을 배출시키는 배수 밸로우즈(19a)와, 배수 밸로우즈(19a)를 단속하는 배수밸브(1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배수 밸로우즈(19a)는 펌프(18)와 연결될 수 있다. 배수밸브(17)가 개방될 시 배수 밸로우즈(19a)를 통해 펌프(18)로 물이 공급된다. 이렇게 펌프(18)로 유입된 물은, 펌프(18)가 작동될 시 배수관(19b)을 통해 세탁기의 외부로 배출된다.
세탁조 커버(60)의 대략 중앙에는, 컨테이너(30) 내로 세탁물이 투입될 수 있도록 투입구(60h)가 형성된다. 세탁조 커버(60)는 하부 커버(40)와, 하부 커버(40)의 상측에 결합되는 상부 커버(50)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 커버(40)는 컨테이너(30)의 상단부와 결합될 수 있다. 하부 커버(40)와 컨테이너(30)는 각각 합성수지로 이루어져, 바람직하게는 용착, 더 바람직하게는 열 용착에 의해 상호 결합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상부 커버(50)는 하부 커버(40)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하부 커버(40)에는 제 1 개구부(40h)가 형성되고, 상부 커버(50)에는 제 1 개구부(40h)와 연통되며, 투입구(60h)를 이루는 제 2 개구부(50h)가 형성된다.
상부 커버(50)와 하부 커버(40) 사이에는, 후술하는 배출기구(95), 체크밸브(91), 유로(FP), 락커(80) 등이 배치되는 공간이 제공되며, 필요시, 사용자는 상부 커버(50)를 하부 커버(40)로부터 분리한 후, 배출기구(95), 체크밸브(91) 또는 락커(80)를 유지 또는 수선할 수 있으며, 유로(FP)를 청소할 수도 있다.
세탁조 커버(60)에는, 메인 디스펜서(16)로부터 배출된 물이 유입되는 급수구(51h)가 형성될 수 있다. 세탁조 커버(60)에는, 세제, 표백제 또는 섬유 유연제 등의 첨가제를 담는 서브 디스펜서(70)가 구비되며, 급수구(51h)로 공급된 물이 서브 디스펜서(70)를 경유하면서 첨가제와 함께 컨테이너(30)로 공급된다. 상기 첨가제는, 드로워(72)에 형성된 사이폰 관(미도시)을 통해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액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급수구(51h)를 통한 급수는 복수회 실시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첨가제는 첫 번째 급수 시 상기 사이폰 관을 통해 모두 배출되기 때문에, 이후에 실시되는 급수시에는, 서브 디스펜서(70)를 통해 첨가제가 용해되지 않은 상태의 물(또는, 원수)이 급수된다.
한편, 제 2 세탁조(10)가 충분한 속도로 회전되면, 컨테이너(30) 내에서 원심력에 의해 반경방향을 따라 외측을 향해 발달된 수류가, 컨테이너(30)의 내측면(즉, 컨테이너 본체(31)의 내측면)을 따라 상승하여, 후술하는 유입구(452)를 통해 세탁조 커버(60) 내로 유입될 수 있다. 하부 커버(40)와 상부 커버(50) 사이에는, 유입구(452)를 통해 유입된 물이 상기 통공을 통해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유로(FP)가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세탁조 커버(60) 내에는 적어도 하나의 유입구(452)를 통해 유입된 물을 상측으로 안내하여 제 2 세탁조(10)의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기구(95)가 구비될 수 있다.
배출기구(95)는 유입구(452) 통과한 물이 유입되는 입구(951a)와, 입구(951a)로 유입된 물을 출구(952a)로 안내하는 유로(FP)를 형성하는 노즐(950)을 구비하고, 유입구(452)를 통해 유입된 수류가 유로(FP)를 따라 안내된다.
하부 커버(40)는 유입구(452)가 형성된 바닥부(45)와, 바닥부(45)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고, 통공(431)이 형성된 외벽부(43)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개구부(40h)는 바닥부(45)에 형성되고, 유입구(452)은 제 1 개구부(40h) 둘레에 다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특히, 다수개의 유입구(452)들은 도 4에 도시된 제 1 축(X-X)에 대해 대칭으로 배치될 수 있다. 실 시예에서 유입구(452)은 총 8개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축을 기준으로 양쪽에 각각 4개씩 배치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하부 커버(40)에는 유입구(452)를 개폐하는 체크밸브(91)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체크밸브(91)는 하부 커버(40)의 바닥부(45)에 구비될 수 있다. 체크밸브(91)는 컨테이너(30)로부터 유입구(452)를 통해 유입되는 물의 수압에 따라 유입구(452)를 개폐하도록 구성된다.
즉, 제 2 세탁조(10)가 충분한 속도로 회전되어, 컨테이너(30) 내의 물이 원심력에 의해 컨테이너(30)의 내측벽을 따라 상승되어 유입구(452) 내로 유입되면, 이때의 수압에 의해 체크밸브(91)가 작동되어 유입구(452)가 개방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체크밸브(91)는 밸브 베이스(912)와, 밸브 베이스(912)에 대해 피봇되는 적어도 하나 가동부(913)와, 밸브 베이스(912)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고, 밸브 베이스(912)의 둘레를 따라 연장되어, 노즐(950)의 외측면과 밀착되는 안착 리브(914)를 포함할 수 있다.
밸브 베이스(912)는 내측에 가동부(913)가 배치되는 영역이 제공되도록 링형으로 이루어진다. 밸브 베이스(912)는 가동부(913)들과 연결되는 베이스 외측부(912a)와, 베이스 외측부(912a)로부터 반경 반향으로 이격되고, 베이스 외측부(912a)와 대략 평행한 베이스 내측부(912b)를 포함할 수 있다. 가동부(913)는 베이스 내측부(912b)와는 이격되어 있다.
가동부(913)는 다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각각의 가동부(913)는 서로에 대해 독립적으로 동작될 수 있도록, 각각의 가동부(913)는 밸브 베이스(912)와 연결되는 부분(즉, 밸브 베이스(912)에 대해 가동부(913)가 피봇 또는, 힌지 동작 가능하게 연결된 부분)을 제외하고는, 밸브 베이스(912)와 분리되어 있으며, 인접하는 가동부(913)들도 서로 이격되어 있다.
한편, 가동부(913)는 밸브 베이스(912)로부터 수평하게 연장되는 가동암(913a)과, 가동암(913a)의 일단에서 상측으로 돌출된 돌기(913b)를 포함할 수 있다. 가동암들(913a)이 수평 상태에서 각각 유입구(452)를 막고 있다가, 각각의 유입구(452)를 통해 작용하는 수압에 의해 각각의 가동암(913a)이 제 1 방향(예를 들어, 도 11을 기준으로 시계 반대방향)으로 휘어지면, 유입구(452)들이 일시에 개방된다. 이때, 원심력에 의해 가동암(913a)의 외측단 또는 돌기(913b)를 작용점으로 하여 유발된 모멘트 역시 가동암(913a)의 개방회전에 기여한다.
제 2 세탁조(10)의 회전이 정지되거나 감속되고, 그로 인해, 원심력이 약해져 유입구(452)를 통해 작용하는 수압이 낮아면, 가동암(913a)들이 재질의 복원력 또는 자중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즉, 도 11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으로 선회됨.)되어, 유입구(452)들이 다시 닫히게 된다. 특히, 가동암(913a)의 복귀 동작은 돌기(913b)의 자중에 의한 모멘트로 인해 더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노즐(950)은, 체크밸브(91)를 사이에 두고 하부 커버(40)와 결합되어, 체크밸브(91)를 하부 커버에 고정시킨다. 노즐(950)은 바닥부(45)와 결합될 수 있다. 노즐(950)은, 입구(951)가 형성된 하단부가 밸브 베이스(912) 상에 배치된다. 즉, 노즐(950)의 하단부는, 대략 밸브 베이스(912)와 대응하는 링 형태로 이루어져, 바람직하게는, 전영역이 밸브 베이스(912)와 접촉된다. 이 상태로, 노즐(950)이 바닥부(45)에 고정됨으로써, 체크밸브(91)에 의해 바닥부(45)와 노즐(950) 사이가 밀봉(sealing)된다.
노즐(950)은 입구(951a)로부터 출구(952a)로 물을 안내하는 유로(FP)를 한정하는 유로부(951, 952)와, 유로부(951, 952)의 외측면에서 돌출되고, 체결홀이 형성된 체결탭(953)을 포함할 수 있다. 나사나 볼트와 같은 체결부재(미도시)가 바닥부(45)와 체결될 수 있다. 바닥부(45)에는 상기 체결부재와 결합되는 체결구(451)가 형성될 수 있다.
노즐(950)은 유로부(951, 952)의 외측면으로부터 결합리브(957)가 돌출될 수 있다. 결합리브(957)에는 후술하는 상부 커버(50)의 외주리브(55)와 맞물리는 고정홈이 형성될 수 있다. 결합리브(957)는 노즐(950)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결합리브(957)는 다수개가 형성되어, 각각이 외주리브(55)와 맞물릴 수 있다.
외주리브(55)와 결합리브(957)의 홈이 서로 맞물리기 때문에, 노즐(950)이 보다 견실하게 고정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부 커버(50) 역시 제 2 세탁조(10)가 고속회전 될 시 진동되지 않고 안정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한편, 유로부(951, 952)는 입구(951a)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부분(951)과, 제 1 부분(951)으로부터 측방향으로 연장되어, 통공(431) 내로 삽입되는 제 2 부분(952)을 포함할 수 있고, 출구(952a)는 상기 제 2 부분(952)에 형성될 수 있다.
제 2 부분(952)의 유로 단면적은 제 1 부분(951)의 유로 단면적보다 작을 수 있다. 물이 제 1 부분(951)으로부터 제 2 부분(952)으로 안내되면서 유로가 좁아지기 때문에, 제 2 부분(952)에 형성된 출구(952a)를 통해 강한 수압으로 물이 분사될 수 있다.
노즐(950)의 외측면에는 유동 가이드(52)와 대응하는 영역에 함몰부(957)가 형성될 수 있다. 배출기구(95)를 조립할 시, 노즐(950)과 유동 가이드(52)가 서로 간섭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조립이 완료된 상태에서는, 유동 가이드(52)가 함몰부(957)와 밀착됨으로써, 배출기구(95)가 견고하게 고정되기 때문에, 제 2 세탁조(10)가 고속으로 회전되더라도, 배출기구(95)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1 축을 기준으로 일측에 배치되는 유입구(452)를 제 1 유입구(452)라고 하고, 상기 제 1 축을 기준으로 타측에 배치되는 유입구(452)를 제 2 유입구(452)라고 하면, 제 1 유입구(452)는 복수가 형성되고, 복수의 제 2 유입구(452) 역시 복수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제 1 유입구(452)를 단속하는 제 1 체크밸브(91)와, 적어도 하나의 제 2 유입구(452)를 단속하는 제 2 체크밸브(91)가 구비될 수 있다. 제 1 체크밸브(91)와 제 2 체크밸브(91)는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배출기구(95)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유입구(452)를 통해 유입된 물을 안내하는 제 1 노즐(950a)과, 적어도 하나의 제 2 유입구(452)를 통해 유입된 물을 안내하는 제 2 노즐(950b)과, 제 1 노즐(950a)과 제 2 노즐(950b)을 연결하는 커넥터(955)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노즐(950a)과 제 2 노즐(950b)은 실질적으로 작동 원리 측면에서는 동일한 구성이며, 다만, 커넥터(955)에 대해 대칭인 형태를 이룬다.
따라서, 전술한 노즐(950)에 대한 설명은, 제 1 노즐 또는 제 2 노즐 어느 것에나 적용될 수 있으며, 양 노즐에 구비된 구성들을 서로 구분할 필요가 있을 시에는 제 1 노즐(950a)을 이루는 구성의 명칭에는 "제 1"을 부여하고, 제 2 노즐(950b)을 이루는 구성의 명칭에는 "제 2"를 부여하여, 서로 구분하기로 한다.
통공(431)은 외벽부(43) 상에 복수가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외벽부(43) 상에는 제 1 통공(431a)과 제 2 통공(431b)이 형성되어, 제 1 노즐(950a)을 통해 안내된 물과, 제 2 노즐(950b)을 통해 안내된 물이 각각 제 1 통공(431a)과 제 2 통공(431b)을 통과하여 제 2 세탁조(10) 외부로 배출된다. 바람직하게는, 제 1 통공(431a) 내에는 제 1 노즐(950a)의 제 1 출구(952a)가 위치되고, 제 2 통공(431b) 내에는 제 2 노즐(950b)의 제 2 출구(952b)가 위치된다.
두 개의 노즐(950a, 950b)이 커넥터(955)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노즐(950a, 950b)들이 서로 분리된 경우에 비해, 부품의 조립성이 향상된다. 또한, 실시예와 같이, 제 1 노즐(950a)과 제 2 노즐(950b)에 각각, 커넥터(955)와 이격된 원격지에 하나의 체결탭(953)만 형성하더라도, 커넥터(955)에 의해 제 1 노즐(950a)과 제 2 노즐(950b)이 서로 멀어지지 않고 일정한 범위 내에 위치하게 되며, 이 상태에서, 전술한 함몰부(957)가 유동 가이드(52)와 밀착되고, 외주리브(55)가 결합리브(957)와 맞물리기 때문에, 노즐(950a, 950b)들이 움직이지 않고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제 2 세탁조(10)를 이용한 세탁 코스는, 세탁 행정과 배수 행정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세탁 행정에서의 제 2 세탁조(10)의 회전속도는, 컨테이너(30) 내의 수류가 유입구(452)에 이르지는 못하는 정도가 바람직하다. 이때의 제 2 세탁조(10)의 회전속도는 컨테이너(30) 내의 수위에 따라 달라지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다만, 실시예에 따라, 세탁 행정시, 컨테이너(30)로 급수되는 수량이 항시 일정하도록 구성된 경우, 기 설정된 정량(즉, 제품 설명서 등을 통해 사용자에게 안내하는 투입량)의 포가 투입된 경우를 기준으로 수류가 유입구(452)까지 도달하기 시작할 시의 제 2 세탁조(10)의 회전 속도가 실험에 의해 정해질 수 있으며, 이렇게 정해진 회전 속도를 넘지 않도록, 제어부는 세탁행정에서의 제 2 세탁조(10)의 회전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다르게는, 컨테이너(30) 내에서 상승된 수류가 유입구(452)에는 이르더라도, 유입구(452)를 통해 작용하는 수압이 체크밸브(91)의 자중에 의해 닫히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모멘트를 극복할 정도에는 이르지 못하는 범위 내에서, 세탁 행정 시의 제 2 세탁조(10)의 회전 속도가 제어될 수 있다.
세탁조 커버(60)는 투입구(60h) 둘레에 형성된 손잡이(61)를 포함할 수 있다. 세탁조 커버(60)를 위에서 아래로 내려다 봤을 때, 손잡이(61)를 기준으로 일측에 투입구(60h)가 위치하고, 타측에는 급수구(51h)가 위치한다. 손잡이(61)는 투입구(60h)의 양쪽에 각각 구비될 수 있고, 급수구(51h) 역시 각 손잡이(61)의 타측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서브 디스펜서(70)는 세탁조 커버(60)의 양쪽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한 쌍의 서브 디스펜서(70) 중 어느 하나를 통해서는 세탁용 세제 또는 표백제를 공급하고, 다른 하나를 통해서는 섬유 유연제를 공급할 수 있다.
서브 디스펜서(70)는 하부 커버(40)에 구비될 수 있다. 서브 디스펜서(70)는, 한 쌍의 급수구(51h)와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이하, 한 쌍의 서브 디스펜서(70)를 각각 제 1 서브 디스펜서(70(1))와 제 2 서브 디스펜서(70(2))로 구분한다.
제 2 세탁조(10)의 회전 위치(또는, 회전 각도)에 따라, 메인 디스펜서(16)로부터 배출된 물이 제 1 서브 디스펜서(70(1)) 또는 제 2 디스펜서(70(2))로 선택적으로 급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세탁 행정시에는 제 1 서브 디스펜서(70(1))로 급수가 이루어지고, 헹굼 행정시에는 제 2 서브 디스펜서(70(2))로 급수가 이루어지도록, 제어부에 의해 제 2 세탁조(10)의 회전 위치(또는, 회전 각도)가 제어될 수 있다.
각각의 서브 디스펜서(70)는 드로워(72)가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드로워 하우징(71)과, 드로워 하우징(71) 내에 인출 가능하게 수납되며, 상면이 개방된 드로워(72)와, 드로워(72)의 개방된 상면을 덮는 드로워 커버(73)를 포함할 수 있다. 드로워 하우징(71)은 하부 커버(4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드로워 하우징(71)은 바닥부(45)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드로워 하우징(71)은, 드로워(72)가 출입되도록 일면이 개방된 박스 구조를 이루는 것으로써, 바닥부(45)로부터 이격되어, 바닥부(45)의 하측에 배치되는 하우징 바닥(711)과, 하우징 바닥(711)의 네 변 중, 상기 개방된 일면을 제외한 세변으로부터 각각 상측으로 연장된 제 1 하우징 측벽(713), 제 2 하우징 측벽(714), 하우징 배면부(7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하우징 측벽(713)과 제 2 하우징 측벽(714)은 하우징 배부(712)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고, 제 1 하우징 측벽(713), 제 2 하우징 측벽(714) 및 하우징 배면부(712), 각각의 상단은 바닥부(45)의 저면과 연결된다. 따라서, 바닥부(45)의 저면은 드로워 하우징(71)의 입구(71h) 일부분을 구성한다. 바닥부(45)의 상면에는 상기 사이폰 관의 출구와 대응하는 위치에 홈(715)이 형성될 수 있다
드로워 커버(73)는 드로워(72)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드로워 커버(73)와 드로워(72) 사이에는 메인 디스펜서(16)로부터 배출된 물이 통과하는 간격이 형성되어, 상기 간격을 통과한 물이 드로워(72) 내로 공급된다.
상부 커버(50)는 급수구(51h)를 통해 유입된 물을 드로워(72)로 안내하는 유동 가이드(52)를 포함할 수 있다. 유동 가이드(52)는 물이 하방으로 안내되도록 경사면을 형성하며, 상기 경사면을 따라 안내된 물이 드로워(72)와 드로워 커버(73) 사이의 간격으로 안내된다.
드로워 하우징(71)은 드로워(72)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것으로, 하부 커버(40)에 결합될 수 있다. 드로워 하우징(71)은 나사나 볼트 등의 체결부재에 의해 하부 커버(40)에 고정될 수 있다.
드로워(72)는 상면이 개방된 용기로써, 드로워(72) 내에 첨가제가 수용될 수 있다. 드로워(72)는 드로워 하우징(71)과 결합되며, 이러한 결합은 드로워(72)를 드로워 하우징(71) 내로 삽입하거나, 드로워 하우징(71)으로부터 인출하는 것을 허용하는 것이다. 실시예에서 드로워(72)는 슬라이딩 가능한 방식으로 드로워 하우징(71)과 결합되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예를 들어, 드로워 하우징(71)에 대해 선회 가능한 방식, 즉, 드로워 하우징(71)과 힌지 결합될 수도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드로워(72)는, 바닥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된 사이폰 관을 포함할 수 있고, 드로워 커버(73)는 상기 사이폰 관을 덮는 사이폰 캡(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이폰 관의 출구는 드로워(72)의 바닥에 형성되고, 상기 사이폰 캡은 상기 사이폰 관의 외주면과의 사이에 횡단면이 환형인 유로를 형성한다. 이와 같은 구조는 액상의 첨가제를 공급하는데 적합하다.
메인 디스펜서(16)로부터 토출된 물이 유입되어, 드로워(72) 내의 수위가 점점 상승되면, 물이 상기 횡단면이 환형인 유로를 따라 상승하여 상기 사이폰 관의 상단의 입구를 통해 상기 사이폰 관 내로 유입된 후, 상기 사이폰 관 하단의 출구를 통해 컨테이너(30) 내로 배출된다.
한편, 제 1 세탁조(6) 내의 세탁물과 제 2 세탁조(10) 내의 세탁물이 동시에 세탁될 수 있기 위해서는, 제 2 세탁조(10)가 설치된 상태에서 제 1 세탁조(6)로 급수가 가능하여야 한다. 이하, 제 2 세탁조(10)가 설치된 상태에서, 제 1 세탁조(6)로 어떻게 급수가 이루어지는가를 설명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위에서 내려다 볼 시, 제 2 세탁조(10)의 외형은, 밸런서(20)의 지지부(22)와 접촉되는 제 1 구간(S1)과, 지지부(22)와 이격되는 제 2 구간(S2)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구간(S1)은 수직축(O)을 지나는 제 1 축(X) 상에 위치하고, 제 2 구간(S2)은 수직축(O)을 지나고 상기 제 1 축과 직교하는 제 2 축(Y)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제 1 구간(S1)은 제 2 축(Y)에 대해 대칭이 되도록 양쪽에 각각 형성될 수 있고, 제 2 구간(S2)은 상기 제 1 축에 대해 대칭이 되도록 양쪽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제어부의 구동부(8) 제어에 의해, 제 2 세탁조(10)가 회전되어 제 1 회전 위치로 정렬될 시, 메인 디스펜서(16)로부터 배출된 물은, 제 2 구간(S2)과 밸런서(20)의 내주면 사이에 형성된 간격을 통해 컨테이너(30) 내로 급수될 수 있다.
제어부의 구동부(8) 제어에 의해, 제 2 세탁조(10)가 상기 제 1 회전 위치로부터 소정 각도 회전된 제 2 회전 위치로 정렬될 시, 메인 디스펜서(16)로부터 배출된 물은 급수구(51h)를 통해 서브 디스펜서(70)로 공급된다. 즉, 제 2 세탁조(10)는, 상기 제 2 회전 위치에서, 급수구(51h)가 메인 디스펜서(16)의 출구와 정렬되어, 상기 출구를 통해 배출된 물이 급수구(51h)로 유입된다. 실시예에서, 상기 제 2 회전 위치는, 제 1 세탁조(6)가 상기 제 1 회전 위치로부터 90도 회전된 위치이다. 다만, 실시예에 따라 급수구(51h)의 위치가 변경되는 경우, 상기 제 2 회전 위치와 상기 제 1 회전 위치 사이의 각도는 변경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세탁 모터는 속도 제어가 가능한 것이기 때문에, 제어부는 상기 세탁 모터의 속도에 기초하여, 제 1 세탁조(6)의 회전 각도, 또는, 제 1 세탁조(6)의 회전 위치를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 2 세탁조(10)는 제 1 세탁조(6)와 일체로 회전되므로, 제 1 세탁조(6)의 회전 각도 또는 회전 위치를 제어하는 것은 제 2 세탁조(10)의 회전 각도 또는 회전 위치를 제어하는 것이기도 하다.
구체적으로, 저수조 커버(14)에 제 1 홀 센서(hall sensor, 미도시)가 구비되고, 제 2 세탁조(10)에 제 1 자석이 구비될 수 있다. 제 2 세탁조(10)의 회전되는 중에, 상기 제 1 홀 센서가 상기 제 1 자석에 의해 형성된 자기장을 감지하고, 이를 바탕으로 제어부로 신호를 보내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는 수신한 신호를 바탕으로, 제 2 세탁조(10)의 회전 속도, 회전 위치(또는, 제 1 자석의 위치), 회전 각도 등을 파악할 수 있고, 이를 바탕으로 제 1 세탁조(6)가 상기 제 1 회전 위치 또는 상기 제 2 회전 위치에 정렬되도록 상기 세탁 모터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세탁 모터의 로터에 제 2 자석이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제 2 자석에 의해 발생된 자기장을 감지하는 제 2 홀 센서가 상기 제 2 자석 인근의 고정된 구조(예를 들어, 저수조(4)의 저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자석은 상기 로터의 둘레를 따라 다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제어부는, 상기 제 2 홀 센서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바탕으로, 상기 세탁 모터를 제어할 수 있으며, 이때, 전술한 제 1 홀 센서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함께 고려함으로써, 제 2 세탁조(10)가 제 1 회전 위치 또는 제 2 회전 위치에 정렬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로터의 회전각도는 별도의 센서 없이 감지될 수 있다. 즉, 제어부는 센서리스(sensorless) 방식으로 상기 로터의 회전각도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정한 주파수의 상전류가 세탁 모터에 흐르도록 한 후 일정 주파수의 전류가 상기 세탁 모터에 흐르는 동안 검출되는 출력 전류에 기초하여 상기 세탁 모터의 회전자의 위치를 추정할 수 있다. 이러한 센서리스 방식은 공지의 기술에 해당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컨테이너(30) 내로 급수가 완료된 후, 제어부는 기 설정된 알고리즘에 따라 구동부(8)를 제어하여, 세탁을 실시한다. 이후, 세탁에 사용된 물이 제 2 세탁조(10)로부터 배출하여야 하는데, 이러한 배수는 제 2 세탁조(10)의 고속회전에 의해 유발된 원심력을 이용하여 이루어진다.
하부 커버(40)는 바닥부(45)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된 내측 손잡이(4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내측 손잡이(410)는, "ㄷ"자 형태로 이루어져, 바닥부(45)와의 사이에, 손잡이(61) 파지 시, 사용자의 손가락이 통과하는 공간을 형성한다. 상기 공간은 또한 드로워(72)가 드로워 하우징(71) 내로 삽입되기 위해 통과하는 공간이기도 하다. 내측 손잡이(410)는 바닥부(45)로부터 상방향으로 각각 연장된 제 1 레그(411)와 제 2 레그(412), 그리고, 제 1 레그(411)와 제 2 레그(412)의 상단을 서로 연결하며 대략 수평하게 연장되는 파지부(4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간은, 드로워(72)가 드로워 하우징(71)에 설치된 상태에서도, 드로워(72)의 상측으로 사용자의 손가락이 통과할 수 있도록 충분한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부 커버(50)는 제 2 개구부(50h)와 급수구(51h)가 형성된 상면부(51)와, 제 2 개구부(50h) 둘레에서 상면부(51)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된 내벽부(53)와, 상면부(51)의 둘레에서 하측으로 연장된 외주리브(55) 포함할 수 있다. 급수구(51h)는 제 2 개구부(50h) 보다 반경방향을 따라 외측에 위치한다.
도 7을 참조하면, 하부 커버(40)에는 구속리브(44)가 형성될 수 있다. 구속리브(44)는 하부 커버(40)의 바닥부(45)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될 수 있고, 외벽부(43)의 내측면과도 연결되어 있다. 구속리브(44)의 상단에는 홈(44r)이 형성되고, 상부 커버(50)의 외주리브(55)가 홈(44r)과 맞물릴 수 있다. 구속리브(44)는 다수개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들 구속리브(44)에 형성된 홈(44r)들이 각각 외주리브(55)와 맞물릴 수 있다.
한편, 상면부(51)는, 급수구(51h)와 제 2 개구부(50h) 사이에 형성된 외측 손잡이(510)를 포함할 수 있다. 외측 손잡이(510)는 내측 손잡이(410)와 대응하는 형태를 구성하되, 하측이 개방된 "ㄷ"자 형태의 단면을 갖는 홈을 형성하여, 상기 홈 내로 내측 손잡이(410)의 파지부(413)가 삽입된다.
사용자가 내측 손잡이(410)와 외측 손잡이(510)가 함께 파지할 수 있어, 제 2 세탁조(10)를 들어 올릴 시, 상부 커버(50)와 하부 커버(40)가 서로 분리되지 않는다.
내측 손잡이(410)와 외측 손잡이(510)가 보다 공고하게 결합되도록, 내측 손잡이(410)와 외측 손잡이(510) 중 어느 하나에 후크(미도시)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후크가 걸리는 걸림홈(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부 커버(50)의 내벽부(53)에는, 내측 손잡이(410)에 의해 한정된 공간(즉, 드로워(72)가 통과되는 공간)과 대응하는 위치에 개구부(53h)가 형성될 수 있다. 드로워(72)가 개구부(53h)를 통과한 후, 내측 손잡이(410)에 의해 한정된 공간을 통과하여, 드로워 하우징(71) 내로 삽입된다.
상부 커버(50)는, 급수구(51h) 둘레에서, 특히, 외측 손잡이(510)와는 반대쪽에 위치하는 구간으로부터 유동 가이드(52)가 연장될 수 있다. 즉, 급수구(51h) 둘레를, 외측 손잡이(510)가 형성된 제 1 구간과, 상기 제 1 구간으로부터 반경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이격되고, 상기 제 1 구간과 대략 평행한 제 2 구간으로 구분할 시, 유동 가이드(52)는 상기 제 2 구간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유동 가이드(52)는 상기 제 2 구간으로부터 반경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갈수록 점점 하향하며 연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는, 제 2 세탁조(10)에 구비되어, 제 2 세탁조(10)가 회전되는 중에 제 1 세탁조(6)로부터 탈거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락커(80)를 포함한다. 락커(80)는 하부 커버(40)에 구비될 수 있다.
락커(80)는 노즐(950)의 외측에 배치된다. 노즐(950)에 의해 형성된 유로(FP)는 체크밸브(91)의 밸브 베이스(912)에 의해 기밀이 유지되기 때문에, 락커(80)가 물에 젖는 것이 방지된다.
락커(80)는 락킹부재(81)와 탄성부재(82)를 포함한다. 락킹부재(81)는, 제 2 세탁조(10)가 정지된 상태에서는 언락 위치에 위치하고, 제 2 세탁조(10)가 회전될 시에는 원심력에 의해 상기 언락 위치로부터 락 위치로 이동된다. 락 위치는 언락 위치 보다 반경 방향을 따라 외측에 위치하는 것으로써, 락킹부재(81)는 상기 락 위치에서 제 1 세탁조(6)와 맞물려 제 2 세탁조(10)를 제 1 세탁조(6)에 고정시킨다. 언락 위치로부터 락 위치를 연결하는 직선(즉, 락킹부재(81)의 동선)은 제 1 구간(S1)을 가로지를 수 있다 (도 5 참조.).
밸런서(20)에는, 락킹부재(81)가 락 위치에서 삽입되는 락킹 홈(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락킹 홈은 밸런서 본체(21)의 내경부에 형성될 수 있다. 제 2 세탁조(10)가, 링형 밸런서(20)에 장착되고, 기 설정된 회전 위치에 정렬된 상태에서 소정 속도 이상으로 회전되면, 원심력에 의해 락킹부재(81)가 반경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이동되어 락 위치에 이르게 되고, 이 과정에서 락킹부재(81)가 하부 커버(40)의 외벽부(43)에 형성된 제 1 관통부(432)를 통과하여 상기 락킹 홈 내로 삽입된다. 제 2 세탁조(10)가 회전 중에 흔들리거나 진동되더라고, 락킹부재(81)와 상기 락킹 홈이 맞물려 있기 때문에, 제 2 세탁조(10)가 탈거되는 것이 방지된다. 특히, 제 2 세탁조(10)의 상방향으로의 이동이 제지되기 때문에, 제 2 세탁조(10)가 탑 커버(3)나 도어(미도시)를 충격하는 문제가 발생되지 않는다. 제 2 세탁조(10)가 고속으로 회전되는 경우(예를 들어, 탈수 행정)에도, 기기의 파손을 방지하고, 안전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제 2 세탁조(10)의 락킹이, 별도의 동력기구(예를 들어, 모터)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제 2 세탁조(10)의 회전에 의해 유발되는 원심력에 의해 이루어지기 때문에, 락(lock)을 위한 구조를 간단하게 구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락을 위한 특수한 제어를 강구할 필요가 없는 이점이 있다.
탄성부재(82)는, 락킹부재(81)가 락 위치에 있을 시 탄성 변형되었다가, 제 2 세탁조(10)의 회전이 정지되면, 원상 복원되어 락킹부재(81)를 언락 위치로 복귀시킨다. 제 2 세탁조(10)의 회전이 정지되면, 탄성부재(82)의 복원력에 의해 락킹부재(81)가 언락 위치로 복귀됨으로써, 락이 자동으로 해제된다. 세탁이 완료되면, 자동으로 락이 해제된 상태가 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락 해제를 위한 별도의 동작을 할 필요 없이, 제 2 세탁조(10)를 쉽게 들어 낼 수 있다.
한편, 컨테이너(30)는 컨테이너 본체(31)와, 컨테이너 본체(31)의 상단부에 형성되어 하부 커버(40)의 외측에서 외벽부(43)를 감싸는 림부(32, 도 2 참조.)를 포함할 수 있다. 림부(32)는, 컨테이너 본체(31)의 상단, 즉, 컨테이너(30) 상면의 개구부 둘레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림부(32)에는 제 1 관통부(432)와 연통되는 제 2 관통부(32h)가 형성될 수 있다. 락킹부재(81)가 제 2 관통부(32h)를 통과하여 제 2 세탁조(10)의 외부로 돌출된다.
도 3 및 도 9를 참조하면, 컨테이너(30)의 내측면에는,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베인(35)이 구비될 수 있다. 베인(35)은 컨테이너(30)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된 형태이며, 컨테이너(30)와는 별개의 부품으로 제작되어, 컨테이너(30) 내에 설치될 수 있다. 제 2 세탁조(10)의 회전에 의해 발생된 수류가 베인(35)과의 충돌에 의해 상승한 후, 컨테이너(30)의 중심부로 낙하된다. 베인(35)은 복수가 구비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제 2 세탁조(10)의 회전 중심에 대해 대칭으로 복수가 배치된다. 실시예에서는, 한 쌍의 베인(35)이 구비되나, 베인(35)의 개수가 이에 한정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컨테이너(30)의 내주면에는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설치홈(30r)이 형성될 수 있다. 베인(35)은 전체적으로 상하 방향으로 긴 형태로 이루져, 일부분이 설치홈(30r) 내에 삽입된 상태에서, 체결부재(미도시)에 의해 고정된다.
구체적으로, 베인(35)은 그 둘레를 이루는 부분 중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외측변부(351)가 설치홈(30r) 내에 삽입되고, 외측변부(351)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상변부(353)가 상기 체결부재에 의해 세탁조 커버(60)와 체결된다. 그리고, 외측변부(351)로부터 상변부(353)로 확장된 판체부(352)는 세탁물이 수용되는 공간 내로 돌출되어, 제 2 세탁조(10)의 회전 과정에서 수류나 세탁물과 접촉된다.
세탁조 커버(60)에는 베인(35)의 상변부(353)가 삽입되는 포켓(48)이 형성된다. 베인(35)은 상변부(353)가 포켓(48) 내에 삽입된 상태에서 체결부재(46)에 의해 세탁조 커버(60)와 결합된다.
보다 상세하게, 포켓(48)은 하부 커버(40)에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포켓(48)은 제 1 개구부(40h)를 한정하는 바닥부(45)의 저면에 형성된다. 베인(35)은 바닥부(45)를 관통하는 체결부재(46)와 결합된다.
포켓(48)은 베인(35)의 상변부(353)가 삽입되는 슬라이드 홈(48r, 도 11 참조.)이 소정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다. 체결부재(46)가 미체결된 상태에서, 베인(35)의 상변부(353)은 슬라이드 홈(48r)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슬라이드 홈(48r)은 제 1 개구부(40h)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수직축(O)을 기준으로 반경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연장된다.
슬라이드 홈(48r)의 길이를 정의하는 양단 중 한쪽은, 상변부(353)가 슬라이드 홈() 내로 횡방향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개방되어 있고, 반대쪽은 외벽부(43)에 의해 막혀 있을 수 있다.
포켓(48)은 바닥부(45)의 저면으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된 한 쌍의 안내 리브(481, 481)를 포함할 수 있다. 슬라이드 홈(48r)은 한 쌍의 안내 리브(481, 482)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각각의 안내 리브(481, 482)는 하단부가 서로를 향해 절곡될 수 있다(도 11 참조.). 포켓(48) 내에 삽입된 베인(35)의 상변부(353)는 판체부(352)보다 더 큰 폭(W)으로 일루어지며, 상기 폭은 바람직하게는 안내 리브(481, 482)의 하단부들 사이의 간격보다 커, 베인(35)의 상변부(353)가 상기 간격을 통과하여 하측으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베인(35)의 상변부(353)에는 바닥부(45)의 저면을 대향하는 면에 보스(354)가 형성된다. 바닥부(45)에는, 보스(354)와 대응하는 통과공(455)이 포켓(48)의 내측 영역에 형성된다.
베인(35)의 상변부(353)가 포켓(48) 내로 삽입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슬라이드 홈(48r)을 따라 베인(35)을 이동시켜 보스(354)를 통과공(355)에 정렬한 후 체결부재(46)를 체결할 수 있다.
체결부재(46)는 통과공(355)을 상측에서 하측으로 통과한 후, 보스(354)와 결합되는 나사를 포함할 수 있다. 보스(354)는 베인(35)에 형성된 홈으로써, 상기 나사의 삽입이 이루어지는 보스(354)의 입구는 베인(35)의 상측면(또는, 상변부(353)의 상측면)과 실질적으로 동평면에 형성될 수 있다.
바닥부(45)의 저면은, 베인(35)이 체결부재(46)에 의해 고정된 상태에서, 상변부(353)와 접촉되어 있다. 이러한 접촉은 면과 면이 맞나는 것이기 때문에, 베인(35)을 흔들림 없이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베인(35)의 조립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베인(35)을 횡방향으로 이동시켜 상변부(353)를 포켓(48)의 개방된 전면부를 통해 슬라이드 홈(48r) 내로 삽입한다(도 10의 (a) 참조.). 상변부(353)는 포켓(48) 내에 위치하고, 상변부(353)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된 판체부(352)는 한 쌍의 안내 리브(481, 482) 사이를 통과한다. 안내 리브들(481, 482)의 각각의 하단부는 서로에게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있어 상기 하단부들 사이의 간격이 좁아져 있기 때문에, 상변부(353)이 상기 간격을 통해 하측으로 빠져 나오지는 못한다.
베인(35)을 포켓(48)을 따라 더 밀어 넣어, 상변부(353)에 형성된 보스(354)를 하부 커버(40)의 바닥부(45)에 형성된 통과공(455)과 정렬시킨다 (도 도 10의 (b) 참조). 바람직하게는, 외벽부(43)에 의해 상변부(353)이 더 이상 이동되지 못하는 위치에서 보스(354)와 통과공(455)이 정렬된다.
이때, 컨테이너(30)의 내주면에 형성된 설치홈(30r) 내에 베인(35)의 외측변부(351)의 삽입도 함께 이루어진다. 외측변부(351)는 반경방향(또는, 횡방향, 베인(35)이 포켓(48)을 따라 이동되는 방향)을 따라 설치홈(30r) 내로 삽입될 수 있다.
이후, 체결부재(46)를 바닥부(45)의 상측으로부터 통과공(455)을 통과시킨 후, 베인(35)에 형성된 보스(354)에 결속함으로써, 베인(35)의 설치가 완료된다. 베인(35)의 상변부(353)는 체결부재(46)에 의해 고정되기 때문에, 베인(35)의 상하 이동이 구속되고, 측변부(351)는 설치홈(30r) 내에 삽입된 상태이기 때문에, 베인(35)의 측방향으로의 움직임도 제지된다. 또한, 하나의 체결부재(46) 만으로 베인(35)을 조립할 수 있기 때문에 조립성이 향상되고, 소요되는 체결부재의 수도 최소화할 수 있다.

Claims (12)

  1. 수직한 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제 1 세탁조; 및
    상기 제 1 세탁조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 1 세탁조와 일체로 회전되는 제 2 세탁조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세탁조는,
    세탁물이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컨테이너;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고, 상기 컨테이너의 내측에 고정되는 베인; 및
    상기 컨테이너를 덮고, 상기 컨테이너로 세탁물을 투입하기 위한 투입구가 형성된 세탁조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세탁조 커버는,
    상기 베인의 상변부가 삽입되는 포켓이 형성되고,
    상기 베인은,
    상기 상변부가 상기 포켓 내에 삽입된 상태에서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세탁조 커버와 결합되는 세탁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탁조 커버는,
    상기 컨테이너의 상측에 결합되고, 상기 컨테이너의 내부와 연통되는 제 1 개구부가 형성된 하부 커버; 및
    상기 하부 커버의 상측에 결합되고, 상기 제 1 개구부와 연통되는 제 2 개구부가 형성된 상부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커버는,
    상기 제 1 개구부를 한정하는 바닥부의 저면에 상기 포켓이 형성되고,
    상기 베인은,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바닥부를 관통하여 상기 상변부와 결합되는 세탁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포켓은,
    상기 베인의 상변부가 삽입되는 슬라이드 홈이 소정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세탁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포켓은,
    상기 세탁조 커버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된 한 쌍의 안내 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드 홈은,
    상기 한 쌍의 안내 리브 사이에 형성되는 세탁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안래 리브 각각은,
    하단부가 서로를 향해 절곡되어 있는 세탁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상변부는,
    상기 한 쌍의 리브의 하단부들 사이를 통과하지 못하는 폭을 갖는 세탁기.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가 미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상변부는 상기 슬라이드 홈을 따라 이동 가능한 세탁기.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홈은 상기 투입구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세탁기.
  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인의 상변부에는, 상기 바닥부의 저면을 대향하는 면에 보스가 형성되고,
    상기 바닥부에는, 상기 보스와 대응하는 통과공이 상기 포켓의 내측 영역에 형성되고,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통과공을 위에서 아래로 통과하여 상기 보스에 체결되는 세탁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의 내주면에는, 측방향으로 개구되고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설치홈이 형성되고,
    상기 베인은,
    상기 상변부의 외측단에서 하측으로 연장된 외측변부가 상기 설치홈 내에 삽입되는 세탁기.
  11.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에는,
    상기 제 1 세탁조의 회전시, 상기 컨테이너 내에서 상승한 수류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 커버는,
    상기 바닥부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고, 통공이 형성된 외벽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상부 커버에는,
    상기 컨테이너 내로 급수를 위한 급수구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 커버와 상기 상부 커버 사이에는,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물이 상기 통공을 통해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유로가 구비되는 세탁기.
  12.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의 저면은 상기 베인의 상단부와 접촉되어 있는 세탁기.
KR1020180053503A 2018-05-10 2018-05-10 세탁기 KR1025481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3503A KR102548155B1 (ko) 2018-05-10 2018-05-10 세탁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3503A KR102548155B1 (ko) 2018-05-10 2018-05-10 세탁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9211A KR20190129211A (ko) 2019-11-20
KR102548155B1 true KR102548155B1 (ko) 2023-06-26

Family

ID=687292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3503A KR102548155B1 (ko) 2018-05-10 2018-05-10 세탁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8155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1062B1 (ko) * 2007-04-20 2013-06-05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및 그의 리프터 장착구조
KR101638903B1 (ko) * 2009-09-04 2016-07-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장치
KR200465912Y1 (ko) * 2011-04-04 2013-03-18 김미량 조작이 용이한 서포팅 유닛
KR102522791B1 (ko) * 2016-04-27 2023-04-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9211A (ko) 2019-1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08582B2 (en) Washing machine
US11718947B2 (en) Laundry treatment machine
KR102548155B1 (ko) 세탁기
KR102521862B1 (ko) 세탁기
KR102521860B1 (ko) 세탁기
KR102456381B1 (ko) 세탁물 처리기기
KR102509990B1 (ko) 세탁기
US11414803B2 (en) Washing machine
KR102456383B1 (ko) 세탁기
KR102423575B1 (ko) 세탁기
KR102521861B1 (ko) 세탁기
KR102423574B1 (ko) 세탁기
KR102456379B1 (ko) 세탁기
KR102423570B1 (ko) 세탁기
KR102456384B1 (ko) 세탁기
KR102456378B1 (ko) 세탁기
KR102456382B1 (ko) 세탁기
KR102456380B1 (ko) 세탁기
KR102537142B1 (ko) 세탁기
KR102488372B1 (ko) 세탁기
KR102521858B1 (ko) 세탁기의 제어방법
KR102521856B1 (ko) 세탁기 및 세탁기의 제어방법
KR102462775B1 (ko) 세탁기의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