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3575B1 - 세탁기 - Google Patents
세탁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23575B1 KR102423575B1 KR1020180036520A KR20180036520A KR102423575B1 KR 102423575 B1 KR102423575 B1 KR 102423575B1 KR 1020180036520 A KR1020180036520 A KR 1020180036520A KR 20180036520 A KR20180036520 A KR 20180036520A KR 102423575 B1 KR102423575 B1 KR 10242357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shing tub
- cover
- drawer
- water
- drawer housing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8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1
- 239000000654 additiv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230000000996 addit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30000000630 ris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9000003599 deterg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8439 repair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7844 bleach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979 fabric soften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411 coo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744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267 bri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09 conta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016 damp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8044 dehyd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297 dehydr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52 intercep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51 othe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452 restrain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HPALAKNZSZLMCH-UHFFFAOYSA-M sodium;chloride;hydrate Chemical compound O.[Na+].[Cl-] HPALAKNZSZLMCH-UHFFFAOYSA-M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987 spin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725 suspens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780 transparent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12—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vertical axis
- D06F37/16—Partition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3/00—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 D06F23/04—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and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vertical axi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1/00—Washing installations comprising an assembly of several washing machines or washing units, e.g. continuous flow assemblie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12—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vertical axis
- D06F37/18—Doors or covers; Securing means therefor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67—Tubs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thereto components or devices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subgroup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3—Liquid discharge or recirculation arrangement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06F39/14—Doors or covers; Securing means therefor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3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 E05Y2900/312—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for washing machines or laundry dryer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세탁기는 수직한 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제 1 세탁조; 및 상기 제 1 세탁조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 1 세탁조와 일체로 회전되는 제 2 세탁조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세탁조는, 세탁물을 수용하는 컨테이너; 및 상기 컨테이너의 상측에 결합되고, 상기 제 1 세탁조의 회전시 상기 컨테이너 내에서 상승한 수류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물을 배출구가 형성된 하부 커버; 상기 하부 커버의 상측에 결합되어, 상기 유입구로부터 상기 배출구에 이르는 유로를 한정하는 상부 커버; 첨가제를 수용하는 드로워; 상기 하부 커버에 결합되고, 상기 드로워가 인출 가능하게 수납되는 드로워 하우징; 및 상기 드로워 하우징에 배치되는 커버 락커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커버와 상기 드로워 하우징 중 어느 하나에는 소정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리브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리브와 맞물리는 슬롯이 형성되어, 상기 리브와 상기 슬롯이 맞물린 상태에서, 상기 드로워 하우징이 상기 리브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되어 소정의 조립위치에 이르며, 상기 상부 커버는, 상기 드로워 하우징이 상기 조립위치에 이른 상태에서, 상기 커버 락커와 결속되는 결속탭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세탁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두 개의 세탁조를 구비한 세탁기에 관한 것이다.
세탁기는 세탁, 탈수 및/또는 건조 등의 여러 작용을 통해 세탁물을 처리하는 장치이다. 세탁기는 물과 세제를 이용하여 세탁물(이하, “포”라고도 함.)에 묻은 오염을 제거하는 장치이다.
최근에는 두 개의 세탁조가 구비되는 세탁기가 출시되고 있다. 이러한 세탁기는 큰 용량의 세탁조와 작은 용량의 세탁조를 구비하는데, 각각의 세탁조가 서로 분리되어 있다.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세탁조들을 동시 또는 이시에 사용할 수 있어 편리하며, 나아가 소량 세탁이 필요한 경우 작은 용량의 세탁조만 사용할 수 있으므로 매우 경제적이다.
한국 공개특허 10-2015-0089344는 회전조의 상단에 보조 세탁조가 결합된 형태의 세탁기를 개시하고 있다. 상기 보조 세탁조는 전체적으로 원통형이되 바닥은 막히고, 상면은 개구된 형태이며, 원통형의 원주면에 배수를 위한 통공들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보조 세탁기가 회전될 시, 원심력에 의해 상승된 물이 상기 통공들을 통해 배출된다. 그런데, 이와 같은 경우 상기 통공들이 배수되는 유량을 감당하기 어려운 경우 물이 상기 보조 세탁조를 넘쳐 흐르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상기 보조 세탁조에 커버를 설치하고, 상기 커버 내에 배수를 위한 유로를 구성하는 방안을 강구해 볼 수 있다. 특히, 상기 유로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커버를 상/하 두 개의 부품으로 구성하여, 이들 사이에 상기 유로를 구성하는 방안을 강구해 볼 수 있는데, 이 경우, 상기 유로의 유지, 보수를 위해 상기 두 개의 부품은 서로 분리될 수 있어야 하면서도, 세탁기의 작동 중에는 이들이 서로 분리되지 않도록 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첫째, 캐비닛 내에 설치된 제 1 세탁조에 제 2 세탁조가 분리 가능하게 설치된 세탁기에서, 상기 제 2 세탁조가 세탁물과 물을 수용하는 컨테이너와 상기 컨테이너를 덮는 세탁조 커버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세탁조 커버는 상부 커버와 하부 커버가 결합된 구조인 경우, 유지 수선을 위해 상기 상부 커버와 상기 하부 커버가 쉽게 분리될 수 있으면서도, 세탁기의 작동시나, 상기 제 2 세탁조를 옮기는 과정에서는 서로 분리되지 않도록 공고하게 결합되는 세탁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는 수직한 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제 1 세탁조와, 상기 제 1 세탁조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 1 세탁조와 일체로 회전되는 제 2 세탁조를 포함한다.
상기 제 2 세탁조는 세탁물을 수용하는 컨테이너와, 상기 컨테이너의 상측에 결합되는 하부 커버와, 상기 하부 커버의 상측에 결합되는 하부 커버를 포함한다.
상기 하부 커버에는, 상기 제 1 세탁조의 회전시 상기 컨테이너 내에서 상승한 수류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물을 배출구가 형성된다. 상기 상부 커버는, 상기 유입구로부터 상기 배출구에 이르는 유로를 한정한다.
첨가제를 수용하는 드로워가 드로워 하우징에 인출 가능하게 수납되며, 상기 드로워 하우징은 상기 하부 커버에 결합된다.
상기 하부 커버와 상기 드로워 하우징 중 어느 하나에는 소정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리브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리브와 맞물리는 슬롯이 형성된다. 상기 리브와 상기 슬롯이 맞물린 상태에서, 상기 드로워 하우징이 상기 리브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되어 소정의 조립위치에 이른다.
상기 드로워 하우징에는 커버 락커가 구비되고, 상기 상부 커버는 상기 하우징이 상기 조립위치에 이른 상태에서, 상기 커버 락커와 결속되는 결속탭을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세탁기는, 첫째, 제 2 세탁조의 세탁조 커버를 구성하는 상부 커버와 하부 커버가, 사용자의 간단한 조작에 의해 쉽게 분리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상기 세탁조 커버의 분해가 간단하게 이루어지기 때문에, 상기 세탁조 커버의 유지와 수선이 쉽다.
셋째, 사용자가 상기 상부 커버와 상기 하부 커버를 직접 결속하지 않더라도, 드로워가 정위치되는 과정에서 자동으로 상부 커버와 상기 하부 커버가 결속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측단면도이다.
도 2는 제 2 세탁조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제 2 세탁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세탁조 커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제 2 세탁조가 밸런서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조립체를 위에서 내려다 본 것이다.
도 7은 도 6의 VII-VII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드로워 하우징과 커버 락커의 조립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커버 락커를 확대한 것이다.
도 10은 도 8의 조립체를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상부 커버와 하부 커버의 조리체를 도시한 것으로, 특히, 결속탭을 보이는 도면이다.
도 12는 드로워 하우징을 아래에서 위로 바라본 것으로, 커버 락커과 결속탭이 결속되는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제 2 세탁조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제 2 세탁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세탁조 커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제 2 세탁조가 밸런서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조립체를 위에서 내려다 본 것이다.
도 7은 도 6의 VII-VII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드로워 하우징과 커버 락커의 조립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커버 락커를 확대한 것이다.
도 10은 도 8의 조립체를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상부 커버와 하부 커버의 조리체를 도시한 것으로, 특히, 결속탭을 보이는 도면이다.
도 12는 드로워 하우징을 아래에서 위로 바라본 것으로, 커버 락커과 결속탭이 결속되는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측단면도이다. 도 2는 제 2 세탁조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제 2 세탁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세탁조 커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제 2 세탁조가 밸런서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조립체를 위에서 내려다 본 것이다. 도 7은 도 6의 VII-VII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를 설명한다.
캐비닛(2)은 세탁기의 외관을 이루며, 내측으로 저수조(4)가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한다. 캐비닛(2)은 평평한 캐비닛 베이스(5)에 의해 지지되며, 전면, 좌측면, 우측면, 후면을 포함하고, 상면은 개방되어 있다.
캐비닛(2)의 개방된 상면에는 탑 커버(3)가 결합될 수 있다. 탑 커버(3)에는 세탁물(또는, “포”)의 투입과 인출을 위한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 탑 커버(3)에는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도어(미도시)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저수조(4)는 물을 담기 위한 것으로, 지지로드(15)에 의해 캐비닛(2) 내에 매달릴 수 있다. 지지로드(15)는 캐비닛(2)의 네 군데 모서리에 각각 구비될 수 있고, 각각의 지지로드(15)의 일단은 탑 커버(3)에 피봇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진동을 완충시키는 서스펜션(27)에 의해 저수조(4)와 연결된다.
저수조(4)는 상면이 개구되어 있고, 상기 개구된 상면에는 저수조 커버(14)가 구비될 수 있다. 저수조 커버(14)는 중앙부에 대략 원형의 개구부가 형성된 링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개구부를 통해 세탁물이 투입된다.
저수조(4) 내에는, 세탁물을 수용하며, 수직축(vertical axis)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제 1 세탁조(6)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수직축은 지면과 실질적으로 수직을 이룬다. 상기 수직축은 지면과 수직한 선상에 정확하게 정렬될 수도 있으나, 이에 한하지 않고, 상기 수직한 선에 대해 소정 각도로 기울어질 수도 있다. 제 1 세탁조(6)에는 물이 통과되는 다수의 통공(6h)이 형성되고, 통공(6h)을 통해 제 1 세탁조(6)와 저수조(4) 간에 물이 교류된다.
제 1 세탁조(6)는, 상측이 개구되고, 통공(6h)이 형성된 드럼(6a)과, 드럼(6a)의 상부에 결합되는 링형의 밸런서(20)를 포함할 수 있다. 드럼(6a)의 저면은 허브(7)에 의해 구동부(8)의 회전축과 연결될 수 있다.
제 1 세탁조(6)의 내측 하부에는 펄세이터(9)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펄세이터(9)는 상측으로 돌출된 다수의 방사상 날개를 포함할 수 있다. 펄세이터(9)가 회전될 시, 상기 날개들에 의해 수류가 형성된다.
밸런서(20)는 드럼(6a)의 회전시 유발되는 편심을 보상하는 것이다. 밸런서(20)는 드럼(6a)의 상단부에 결합된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밸런서(20)는, 링형의 공동(20h1, 20h2)을 형성하는 밸런서 본체 (21)를 포함할 수 있다. 공동(20h1, 20h2) 내에는 유체(예를 들어, 소금물) 또는 복수의 중량체(예를 들어, 금속구)가 삽입될 수 있다. 환형의 공동(20h1, 20h2)은, 동심을 가지나 서로 다른 직경으로 복수가 형성될 수 있다.
드럼(6a)이 회전되는 중에 한쪽으로 치우치면, 드럼(6a)이 치우친 방향과 반대로 유체 또는 중량체들이 이동됨으로써 편심이 보정된다. 세탁기에 적용되는 링형의 밸런서(20)는 이미 다양한 형태가 공지되어 있는 바,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 2 세탁조(10)는, 링형태의 밸런서(20)에 의해 규정된 공간(또는, 대략 원형의 개구부) 내에 삽입될 수 있고, 이렇게 삽입된 상태에서 밸런서(2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제 2 세탁조(10)는, 세탁물이 담기는 컨테이너(30)와, 컨테이너(30)를 덮는 세탁조 커버(60)를 포함한다. 컨테이너(30)는 세탁물과 물을 담는 것으로, 상면이 개구되어 있으며, 상기 개구된 상면의 적어도 일부를 세탁조 커버(60)가 덮는다. 컨테이너(30)는, 내측에 수용된 세탁물이 외부에서 보이도록,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밸런서 본체(21)의 내경부(위에서 내려다 볼 때 링형을 구성하는 두 개의 원 중에서 안쪽 원을 이루는 부분)에는 컨테이너(30)를 지지하는 링형의 지지부(22)가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22)에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치합홈(22c)이 원주방향을 따라 다수가 배열된다. 각 치합홈(22c)들은 나선 형태일 수 있다.
컨테이너(30)의 외측면에는 지지부(22)에 형성된 치합홈(22c)들과 맞물리는 돌기 형태의 스레드(thread, 33)들이 형성될 수 있다. 스레드(33)는 치합홈(22c)과 대응하는 형태로 상하로 연장된다. 즉, 치합홈(22c)이 나선 형태인 경우, 스레드(33) 역시 나선형으로 연장되는 돌기이다. 스레드(33)들은 원주방향을 따라 다수가 배열된다.
스레드(33)들은 밸런서(20)의 안착부(33)에 형성된 치합홈(22c)들과 맞물린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제 1 세탁조(6)가 회전될 시, 제 2 세탁조(10)가 헛돌지 않고 제 1 세탁조(6)와 일체로 회전될 수 있다. 또한, 밸런서(20)와 컨테이너(30) 간의 이러한 방식의 결합은 일종의 나사 결합이기도 하기 때문에, 제 2 세탁조(10)와 제 1 세탁조(6) 간의 결합이 견실하게 유지된다. 특히, 스레드(33)와 치합홈(22c)간의 결합이 갖는 구속력(예를 들어, 서로 맞물리는 면들 사이에 작용하는 마찰력)에 의해 제 2 세탁조(10)가 하강하지 않고 고정될 수 있다.
제 2 세탁조(10)는 세탁물을 수용하며, 제 1 세탁조(6)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된다. 즉, 제 2 세탁조(10)는 제 1 세탁조(6)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 2 세탁조(10)가 설치된 상태에서 제 1 세탁조(6)가 회전되면, 제 2 세탁조(10)도 제 1 세탁조(6)와 일체로 회전된다.
사용자는 제 2 세탁조(10)가 미설치된 상태에서 제 1 세탁조(6)에 제 1 세탁물을 투입하거나, 제 2 세탁조(10)를 설치하여 제 2 세탁조(10)에 제 2 세탁물을 투입할 수 있다.
캐비닛(2) 내에는 제 1 세탁조(6)와 펄세이터(9)를 회전시키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8)가 배치될 수 있다. 구동부(8)는 저수조(4)의 하측에 배치되고, 저수조(4)의 저면에 결합된 상태로 캐비닛(2) 내에 매달릴 수 있다.
구동부(8)의 회전축은 펄세이터(9)와는 항시 연결되어 있으며, 제 1 세탁조(6)와는 클러치(미도시)의 전환 동작에 따라 연결 또는 연결 해제될 수 있다. 따라서, 구동부(8)의 회전축이 제 1 세탁조(6)와 연결된 상태로 구동부(8)가 운전될 시에는, 펄세이터(9)와 제 1 세탁조(6)가 일체로 회전되며, 상기 회전축이 제 1 세탁조(6)와 연결해제(또는, 분리)된 상태로 동작할 시에는, 제 1 세탁조(6)는 정지된 상태에서 펄세이터(9)만 회전된다.
구동부(8)는 속도 제어가 가능한 세탁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탁 모터는 직접 구동 방식의 인버터 모터(Inverter Direct Drive Motor)일 수 있다. 제어부(미도시)는 비례-적분 제어기(PI controller: Proportional-Integral controller), 비례-적분-미분 제어기(PID controller: Proportional-Integral-Derivative controller)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기는 세탁 모터의 출력값(예를 들어, 출력 전류)을 입력으로 받아, 이를 바탕으로 세탁 모터의 회전수(또는, 회전속도)가 기 설정된 목표 회전수(또는, 목표 회전속도)를 추종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세탁 모터뿐만 아니라, 세탁기의 작동 전반을 제어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 언급되는 각 구성들의 제어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해하도록 하자.
한편, 세탁기는 수도 꼭지 등의 외부 수원으로부터 공급된 물을 안내하는 적어도 하나의 급수관(11)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급수관(11)은 외부 수원으로부터 냉수를 공급받는 냉수관(미도시)과, 온수를 공급받는 온수관(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급수관(11)을 단속하는 급수밸브(13)가 구비될 수 있다. 급수관(11)이 복수가 구비되는 경우, 급수밸브(13)도 복수가 구비되어, 급수관(11)들이 각각 급수밸브(13)에 의해 단속될 수 있다. 제어부의 제어 하에 적어도 하나의 급수밸브(13)가 개방되면, 개방된 급수밸브(13)와 대응하는 급수관(11)을 통해 메인 디스펜서(16)로 급수가 이루어진다.
메인 디스펜서(16)는 세탁물에 작용하는 첨가제를, 급수관(11)을 통해 급수된 물과 함께 저수조(4)로 공급한다. 메인 디스펜서(16)에 의해 공급되는 첨가제로는 세탁용 세제, 섬유 유연제, 표백제 등이 있다.
한편, 세탁기는, 저수조(4)로부터 물을 배출시키는 배수 밸로우즈(19a)와, 배수 밸로우즈(19a)를 단속하는 배수밸브(1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배수 밸로우즈(19a)는 펌프(18)와 연결될 수 있다. 배수밸브(17)가 개방될 시 배수 밸로우즈(19a)를 통해 펌프(18)로 물이 공급된다. 이렇게 펌프(18)로 유입된 물은, 펌프(18)가 작동될 시 배수관(19b)을 통해 세탁기의 외부로 배출된다.
세탁조 커버(60)의 대략 중앙에는, 컨테이너(30) 내로 세탁물이 투입될 수 있도록 투입구(60h)가 형성된다. 세탁조 커버(60)는 하부 커버(40)와, 하부 커버(40)의 상측에 결합되는 상부 커버(50)를 포함한다.
하부 커버(40)는 컨테이너(30)의 상단부와 결합될 수 있다. 하부 커버(40)와 컨테이너(30)는 각각 합성수지로 이루어져, 바람직하게는 용착, 더 바람직하게는 열 용착에 의해 상호 결합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하부 커버(40)에는, 제 1 세탁조(6)의 회전시 컨테이너(30) 내에서 상승한 수류가 유입되는 유입구(452h)와, 유입구(452h)를 통해 유입된 물을 제 2 세탁조(10)의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431)가 형성된다.
상부 커버(50)는 하부 커버(40)의 상측에 결합되며, 하부 커버(40)와의 사이에 유입구(452h)로부터 배출구(431)에 이르는 유로를 한정한다. 상기 유로 상에는 유입구(452h)를 여닫는 체크밸브(91)가 구비될 수 있다. 체크밸브(91)는 제 2 세탁조(10)의 회전에 의해 유발되는 원심력에 의해 개폐되거나, 유입구(452h)를 통해 작용하는 수압에 의해 개폐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하부 커버(40)와 상부 커버(50) 사이에는, 스프링(미도시)에 의해 탄지된 락킹부재(81)가 구비될 수 있다. 제 2 세탁조(10)가 회전될 시, 원심력에 의해 락킹부재(81)가 반경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돌출되어 밸런서(20)에 형성된 락킹 홈(22r)과 맞물린다. 이때, 상기 스프링은 변형된 상태이다. 제 2 세탁조(10)가 정지되면, 상기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락킹부재(81)가 락킹 홈(22r)으로부터 빠져나와 원위치된다.
상부 커버(50)는 하부 커버(40)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필요시, 사용자는 상부 커버(50)를 하부 커버(40)로부터 분리한 후 체크밸브(91)를 유지 또는 수선할 수 있으며, 상기 유로를 청소할 수도 있다.
하부 커버(40)에는 제 1 개구부(40h)가 형성되고, 상부 커버(50)에는 제 1 개구부(40h)와 연통되며, 투입구(60h)를 이루는 제 2 개구부(50h)가 형성된다.
세탁조 커버(60)에는, 메인 디스펜서(16)로부터 배출된 물이 유입되는 급수구(51h)가 형성될 수 있다. 세탁조 커버(60)에는, 세제, 표백제 또는 섬유 유연제 등의 첨가제를 담는 서브 디스펜서(70)가 구비되며, 급수구(51h)로 공급된 물이 서브 디스펜서(70)를 경유하면서 첨가제와 함께 컨테이너(30)로 공급된다. 상기 첨가제는, 후술하는 사이폰 관(724)을 통해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액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급수구(51h)를 통한 급수는 복수회 실시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첨가제는 첫 번째 급수 시 후술하는 사이폰 관(724)을 통해 모두 배출되기 때문에, 이후에 실시되는 급수시에는, 서브 디스펜서(70)를 통해 첨가제가 용해되지 않은 상태의 물(또는, 원수)이 급수된다.
한편, 제 2 세탁조(10)가 충분한 속도로 회전되면, 컨테이너(30) 내에서 원심력에 의해 반경방향을 따라 외측을 향해 발달된 수류가, 컨테이너(30)의 내측면(즉, 컨테이너 본체(31)의 내측면)을 따라 상승하여, 후술하는 유입구(452h)를 통해 세탁조 커버(60) 내로 유입될 수 있다. 세탁조 커버(60)에는 유입구(452h)를 통해 유입된 수류를 안내하는 유로가 형성된다.
세탁조 커버(60)는 상기 유로를 따라 안내된 수류를, 세탁조 커버(60)의 외부로 배출하는 노즐(62)을 포함할 수 있다. 노즐(62)은 하부 커버(40)에 형성된 배출구(431)에 삽입, 고정될 수 있다. 노즐(62)은 수평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슬릿 형태의 출구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출구는 저수조 커버(14) 보다는 하측을 향해 개방되어 있다. 제 2 세탁조(10)가 고속으로 회전되어, 노즐(62)을 통해 배출된 물이 저수조 커버(14)의 저면을 따라 안내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세탁조(10)가 밸런서(20)에 설치된 상태에서, 노즐(62)은 밸런서(20) 보다 더 상측에 위치하며(즉, 밸런서(20) 보다 상측으로 노출되어 있으며), 따라서, 노즐(62)을 통해 분사된 물이 밸런서(20)와 간섭되지 않고, 저수조(4) 내에 이를 수 있다.
한편, 도 3을 참조하면, 컨테이너(30)의 내측면에는,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베인(35)이 구비될 수 있다. 베인(35)은 컨테이너(30)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된 형태이며, 컨테이너(30)와는 별개의 부품으로 제작되어, 컨테이너(30) 내에 설치될 수 있다. 제 2 세탁조(10)의 회전에 의해 발생된 수류가 베인(35)과의 충돌에 의해 상승한 후, 컨테이너(30)의 중심부로 낙하된다. 베인(35)은 복수가 구비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제 2 세탁조(10)의 회전 중심에 대해 대칭으로 복수가 배치된다. 실시예에서는, 한 쌍의 베인(35)이 구비되나, 베인(35)의 개수가 이에 한정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세탁조 커버(60)는 투입구(60h) 둘레에 형성된 손잡이(61)를 포함할 수 있다. 세탁조 커버(60)를 위에서 아래로 내려다 봤을 때, 손잡이(61)를 기준으로 일측에 투입구(60h)가 위치하고, 타측에는 급수구(51h)가 위치한다. 손잡이(61)는 투입구(60h)의 양쪽에 각각 구비될 수 있고, 급수구(51h) 역시 각 손잡이(61)의 타측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서브 디스펜서(70)는 세탁조 커버(60)의 양쪽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한 쌍의 서브 디스펜서(70) 중 어느 하나를 통해서는 세탁용 세제 또는 표백제를 공급하고, 다른 하나를 통해서는 섬유 유연제를 공급할 수 있다.
서브 디스펜서(70)는 하부 커버(40)에 구비될 수 있다. 서브 디스펜서(70)는, 한 쌍의 급수구(51h)와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이하, 한 쌍의 서브 디스펜서(70)를 각각 제 1 서브 디스펜서(70(1))와 제 2 서브 디스펜서(70(2))로 구분한다.
제 2 세탁조(10)의 회전 위치(또는, 회전 각도)에 따라, 메인 디스펜서(16)로부터 배출된 물이 제 1 서브 디스펜서(70(1)) 또는 제 2 디스펜서(70(2))로 선택적으로 급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세탁 행정시에는 제 1 서브 디스펜서(70(1))로 급수가 이루어지고, 헹굼 행정시에는 제 2 서브 디스펜서(70(2))로 급수가 이루어지도록, 제어부에 의해 제 2 세탁조(10)의 회전 위치(또는, 회전 각도)가 제어될 수 있다.
각각의 서브 디스펜서(70)는 드로워 하우징(71)과, 드로워 하우징(71) 내에 인출 가능하게 수납되며, 상면이 개방된 드로워(72)와, 드로워(72)의 개방된 상면을 덮는 드로워 커버(73)를 포함할 수 있다. 드로워 커버(73)는 드로워(72)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드로워 커버(73)에는 메인 디스펜서(16)로부터 배출된 물이 통과하는 개구부(73h)가 형성되어, 개구부(73h)를 통과한 물이 드로워(72) 내로 공급된다.
상부 커버(50)는 급수구(51h)를 통해 유입된 물을 서브 디스펜서(70)로 안내하는 유동 가이드(52)를 포함할 수 있다. 유동 가이드(52)는 물이 하방으로 안내되도록 경사면을 형성하며, 상기 경사면을 따라 안내된 물이 드로워 커버(73)의 개구부(73h)로 안내된다.
드로워(72)는 상면이 개방된 용기로써, 드로워(72) 내에 첨가제가 수용될 수 있다. 드로워(72)는 드로워 하우징(71)과 결합되며, 이러한 결합은 드로워(72)를 드로워 하우징(71) 내로 삽입하거나, 드로워 하우징(71)으로부터 인출하는 것을 허용하는 것이다.
드로워(72)는 드로워 하우징(71)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사용자가 드로워(72)를 밀거나 당기는 동작에 의해, 드로워(72)가 직선방향으로 이동되어 드로워 하우징(71)에 인입 또는 드로워 하우징(71)으로부터 인출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하지 않고, 드로워(72)는 드로워 하우징(71)에 대해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드로워(72)를 하부 커버(40) 또는 상부 커버(50)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링크(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결링크는 선단이 드로워(72)와 연결되고, 후단은 하부 커버(40)와 회전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드로워 하우징(71)의 제 2 측면부(714)에는 상기 링크가 통과하는 개구부(715)가 형성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드로워(72)는, 바닥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된 사이폰 관(724)을 포함할 수 있고, 드로워 커버(73)는 사이폰 관(724)을 덮는 사이폰 캡(732)을 포함할 수 있다.
사이폰 관(724)의 출구는 드로워(72)의 바닥에 형성되고, 사이폰 캡(73)은 사이폰 관(724)의 외주면과의 사이에 횡단면이 환형인 유로를 형성한다. 이와 같은 구조는 액상의 첨가제를 공급하는데 적합하다.
서브 디스펜서(70)로 물이 공급되어, 드로워(72) 내의 수위가 점점 상승되면, 물이 상기 횡단면이 환형인 유로를 따라 상승하여 사이폰 관(724) 상단의 입구를 통해 사이폰 관(724) 내로 유입된 후, 사이폰 관(724) 하단의 출구를 통해 컨테이너(30) 내로 배출된다.
한편, 제 1 세탁조(6) 내의 세탁물과 제 2 세탁조(10) 내의 세탁물이 동시에 세탁될 수 있기 위해서는, 제 2 세탁조(10)가 설치된 상태에서 제 1 세탁조(6)로 급수가 가능하여야 한다. 이하, 제 2 세탁조(10)가 설치된 상태에서, 제 1 세탁조(6)로 어떻게 급수가 이루어지는가를 설명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위에서 내려다 볼 시, 제 2 세탁조(10)의 외형은, 밸런서(20)의 지지부(22)와 접촉되는 제 1 구간(S1)과, 지지부(22)와 이격되는 제 2 구간(S2)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구간(S1)은 수직축(O)을 지나는 제 1 축(VII-VII로 표시된 선) 상에 위치하고, 제 2 구간(S2)은 수직축(O)을 지나고 상기 제 1 축과 직교하는 제 2 축(Y)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제 1 구간(S1)은 제 2 축(Y)에 대해 대칭이 되도록 양쪽에 각각 형성될 수 있고, 제 2 구간(S2)은 상기 제 1 축에 대해 대칭이 되도록 양쪽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제어부의 구동부(8) 제어에 의해, 제 2 세탁조(10)가 회전되어 제 1 회전 위치로 정렬될 시, 메인 디스펜서(16)로부터 배출된 물은, 제 2 구간(S2)과 밸런서(20)의 내주면 사이에 형성된 간격을 통해 컨테이너(30) 내로 급수될 수 있다.
제어부의 구동부(8) 제어에 의해, 제 2 세탁조(10)가 상기 제 1 회전 위치로부터 소정 각도 회전된 제 2 회전 위치로 정렬될 시, 메인 디스펜서(16)로부터 배출된 물은 급수구(51h)를 통해 서브 디스펜서(70)로 공급된다. 즉, 제 2 세탁조(10)는, 상기 제 2 회전 위치에서, 급수구(51h)가 메인 디스펜서(16)의 출구와 정렬되어, 상기 출구를 통해 배출된 물이 급수구(51h)로 유입된다. 실시예에서, 상기 제 2 회전 위치는, 제 1 세탁조(6)가 상기 제 1 회전 위치로부터 90도 회전된 위치이다. 다만, 실시예에 따라 급수구(51h)의 위치가 변경되는 경우, 상기 제 2 회전 위치와 상기 제 1 회전 위치 사이의 각도는 변경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세탁 모터는 속도 제어가 가능한 것이기 때문에, 제어부는 상기 세탁 모터의 속도에 기초하여, 제 1 세탁조(6)의 회전 각도, 또는, 제 1 세탁조(6)의 회전 위치를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 2 세탁조(10)는 제 1 세탁조(6)와 일체로 회전되므로, 제 1 세탁조(6)의 회전 각도 또는 회전 위치를 제어하는 것은 제 2 세탁조(10)의 회전 각도 또는 회전 위치를 제어하는 것이기도 하다.
구체적으로, 저수조 커버(14)에 제 1 홀 센서(hall sensor, 미도시)가 구비되고, 제 2 세탁조(10)에 제 1 자석이 구비될 수 있다. 제 2 세탁조(10)의 회전되는 중에, 상기 제 1 홀 센서가 상기 제 1 자석에 의해 형성된 자기장을 감지하고, 이를 바탕으로 제어부로 신호를 보내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는 수신한 신호를 바탕으로, 제 2 세탁조(10)의 회전 속도, 회전 위치(또는, 제 1 자석의 위치), 회전 각도 등을 파악할 수 있고, 이를 바탕으로 제 1 세탁조(6)가 상기 제 1 회전 위치 또는 상기 제 2 회전 위치에 정렬되도록 상기 세탁 모터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세탁 모터의 로터에 제 2 자석이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제 2 자석에 의해 발생된 자기장을 감지하는 제 2 홀 센서가 상기 제 2 자석 인근의 고정된 구조(예를 들어, 저수조(4)의 저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자석은 상기 로터의 둘레를 따라 다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제어부는, 상기 제 2 홀 센서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바탕으로, 상기 세탁 모터를 제어할 수 있으며, 이때, 전술한 제 1 홀 센서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함께 고려함으로써, 제 2 세탁조(10)가 제 1 회전 위치 또는 제 2 회전 위치에 정렬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로터의 회전각도는 별도의 센서 없이 감지될 수 있다. 즉, 제어부는 센서리스(sensorless) 방식으로 상기 로터의 회전각도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정한 주파수의 상전류가 세탁 모터에 흐르도록 한 후 일정 주파수의 전류가 상기 세탁 모터에 흐르는 동안 검출되는 출력 전류에 기초하여 상기 세탁 모터의 회전자의 위치를 추정할 수 있다. 이러한 센서리스 방식은 공지의 기술에 해당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컨테이너(30) 내로 급수가 완료된 후, 제어부는 기 설정된 알고리즘에 따라 구동부(8)를 제어하여, 세탁을 실시한다. 이후, 세탁에 사용된 물이 제 2 세탁조(10)로부터 배출하여야 하는데, 이러한 배수는 제 2 세탁조(10)의 고속회전에 의해 유발된 원심력을 이용하여 이루어진다.
하부 커버(40)는 유입구(452h)가 형성된 바닥부(452)와, 바닥부(452)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고, 배출구(431)가 형성된 측벽부(43a)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 커버(40)는 제 1 개구부(40h)가 형성된 제 1 상면부(41)와, 제 1 개구부(40h)의 둘레에서 제 1 상면부(41)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된 제 1 내벽부(42)와, 제 1 상면부(41)의 외주를 따라 연장되는 외벽부(43)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 커버(40)는 내측 손잡이(410)를 포함할 수 있다. 내측 손잡이(410)의 일측면은 제 1 내벽부(42)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일측면은 제 1 개구부(40h)를 한정한다. 서브 디스펜서(70) 설치를 위한 개구부(42h)는, 상기 일측면에 형성되며, 개구부(42h)는 서브 디스펜서(70) 보다 더 높이까지 형성되어, 서브 디스펜서(70)와 내측 손잡이(410) 사이에, 손잡이(61) 파지 시, 사용자의 손가락이 통과하는 공간이 형성된다.
상부 커버(50)는 제 2 개구부(50h)와 급수구(51h)가 형성된 제 2 상면부(51)와, 제 2 개구부(50h) 둘레에서 제 2 상면부(51)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된 제 2 내벽부(53)를 포함할 수 있다. 급수구(51h)는 제 2 개구부(50h) 보다 반경방향을 따라 외측에 위치한다.
제 2 상면부(51)는, 급수구(51h)와 제 2 개구부(50h) 사이에 형성된 외측 손잡이(510)를 포함할 수 있다. 외측 손잡이(510)는 제 2 상면부(51)에 속하는 손잡이 상면부(511)와, 제 2 개구부(50h) 둘레에서 손잡이 상면부(511)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된 부분으로써 제 2 내벽부(53)에 속하는 제 1 손잡이 측면부(512)와, 급수구(51h)의 둘레에서 손잡이 상면부(511)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된 제 2 손잡이 측면부(513)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손잡이 상면부(511), 제 1 손잡이 측면부(512) 및 제 2 손잡이 측면부(513)에 의해 하측이 개방된 "ㄷ"자 형태의 홈이 형성된다.
상기 "ㄷ"자 형태의 홈 내에 내측 손잡이(410)가 삽입된다. 사용자가 내측 손잡이(410)와 외측 손잡이(510)가 함께 파지할 수 있어, 제 2 세탁조(10)를 들어 올릴 시, 상부 커버(50)와 하부 커버(40)가 서로 분리되지 않는다.
내측 손잡이(410)와 외측 손잡이(510)가 보다 공고하게 결합되도록, 내측 손잡이(410)와 외측 손잡이(510) 중 어느 하나에 후크(미도시)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후크가 걸리는 걸림홈(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부 커버(50)의 제 2 내벽부(53)에는, 하부 커버(40)의 개구부(42h)와 대응하는 위치에 개구부(53h)가 형성될 수 있다. 외측 손잡이(510)의 제 1 손잡이 측면부(512)는 제 2 내벽부(53)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제 1 손잡이 측면부(512)는 제 2 개구부(50h)를 한정한다.
개구부(53h)의 높이는 제 1 손잡이 측면부(512)의 하단에 의해 정해진다. 제 1 손잡이 측면부(512)의 하단은 제 2 손잡이 측면부(513)의 하단과 실질적으로 같은 높이에 위치할 수 있다.
한편, 상부 커버(50)는, 급수구(51h) 둘레에서, 특히, 제 2 손잡이 측면부(513)와는 반대쪽에 위치하는 구간으로부터 유동 가이드(52)가 연장될 수 있다. 즉, 유동 가이드(52)는 제 2 손잡이 측면부(513)로부터 반경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제 2 상면부(51)로부터 연장된다. 유동 가이드(52)는 제 2 상면부(51)로부터 반경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갈수록 점점 하향하며 연장된다.
도 8은 드로워 하우징과 커버 락커의 조립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커버 락커를 확대한 것이다. 도 10은 도 8의 조립체를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상부 커버와 하부 커버의 조리체를 도시한 것으로, 특히, 결속탭을 보이는 도면이다. 도 12는 드로워 하우징을 아래에서 위로 바라본 것으로, 커버 락커과 결속탭이 결속되는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8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드로워 하우징(71)에는 커버 락커(110)가 배치된다. 커버 락커(110)는 상부 커버(50)를 하부 커버(40)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것이다. 커버 락커(110)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동작될 수도 있고, 드로워 하우징(71)이 인입되는 과정에서 자동으로 동작될 수도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보다 상세하게 후술하기로 한다.
하부 커버(40)와 드로워 하우징(71) 중 어느 하나에는 소정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리브(58)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리브(58)와 맞물리는 슬롯(717)이 형성된다. 리브(58)와 슬롯(717)이 맞물린 상태에서, 드로워 하우징(71)이 리브(58)의 길이방향(또는, 슬롯(717)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되어 소정의 조립위치에 이른다. 여기서, 조립위치는 드로워 하우징(71)의 조립이 완료된 위치로써, 실시예에 따라, 상기 조립위치에 이른 드로워 하우징(71)을 하부 커버(40)에 고정하는 나사나 볼트 등의 체결부재가 적용되거나, 드로워 하우징(71)이 상기 조립위치에 이르면 더 이상 인입되지 못하도록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예를 들어, 걸림돌기, 후크 등)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상부 커버(50)에는 결속탭(57)이 구비된다. 드로워 하우징(71)이 상기 조립위치에 있을 시 커버 락커(110)가 결속탭(57)과 결속된다. 커버 락커(110)는 결속위치와 결속해제위치 사이에서 동작될 수 있다. 커버 락커(110)는 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의 복원력에 의해 평시에는 상기 결속위치에 있다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또는 결속탭(57)과의 간섭에 의해 일시적으로 상기 결속해제위치에 이를 수 있다. 예를 들어, 드로워 하우징(71)을 인입과정에서 슬라이딩되면서, 커버 락커(110)가 결속탭(57)과 간섭되기 시작하면 커버 락커(110)가 일시적으로 상기 결속해제위치에 이르렀다가, 드로워 하우징(71)이 좀 더 진행하면 커버 락커(110)가 상기 결속위치로 복귀되어, 결속탭(57)과 결속될 수 있다. 즉, 드로워 하우징(71)의 조립과정에서, 드로워 하우징(71)의 인입 동작에 의해 커버 락커(110)가 자동으로 동작하여 결속탭(57)과 결속되는 것이다. 한편, 상부 커버(50)를 하부 커버(40)로부터 분리하고자 할 시에는, 사용자가 커버 락커(110)가 상기 결속해제위치에 이르도록 조작할 수 있다.
한편, 커버 락커(110)는 소정의 지지축을 기준으로 회동되는 레버(110)일 수 있다. 즉, 레버(110)는 드로워 하우징(7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지지축(116)을 기준으로 회동가능하게 구비되어, 지지축(116)을 기준으로 일측(111)이 결속탭(57)과 결속될 수 있다. 레버(110)의 일측(111)에는 후크(114)가 형성되고, 결속탭(57)에는 후크(114)와 맞물리는 걸림홈(57r)이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후크(114)는 지지축(116)을 중심으로 수평하게 선회되고, 걸림홈(57r)은 상하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걸림홈(57r)의 세로변이 후크(114)에 걸릴 수 있다. 특히, 걸림홈(57r)의 폭은 후크(114)의 폭과 대략 같은 길이이며, 따라서, 결속탭(57)의 수평이동이 제한된다. 실시예에서, 걸림홈(57r)은 하단부가 개방된 형태이나, 이에 한하지 않고 닫혀진 상태일 수 있다. 후자의 경우, 걸림홈(57r)의 닫혀진 하단부가 후크(114)와 간섭되기 때문에 결속탭(57)이 들리는 것이 보다 확실하게 방지될 수 있다.
드로워 하우징(71)은 전체적으로는 드로워(72)를 감싸는 형태이고, 드로워(72)가 출입될 수 있도록 전면이 개구되어 드로워 출입구를 형성한다. 드로워 하우징(71)의 상면부(711)에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급수시 유동 가이드(52)를 따라 흘러 내린 물이 상기 개구부를 통과하여 드로워(72)로 공급된다.
드로워 하우징(71)은 상면부(711)로부터 이격된 하측에 하면부(712)가 형성되고, 드로워(72)의 사이폰 관(724)을 통해 배출된 물이 하면부(712)를 따라 이동하여 컨테이너(30) 내로 공급된다.
커버 락커(110)는 드로워 하우징(71)의 상면부(711)와 하면부(712)를 연결하는 양쪽의 측면부들(713, 714)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양쪽 측면부들(713, 714) 각각에 커버 락커(110)가 설치되었고, 이에 대응하여 결속탭(57) 역시 한 쌍이 구비된다.
측면부(713, 714)에는, 드로워 하우징(71)의 내/외측을 연통시키는 레버 설치구(713h)가 형성되고, 레버 설치구(713h) 내에 레버(110)가 배치될 수 있다. 레버 설치구(713h)는 대략 레버(110)의 외형과 대응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레버(110)는 지지축(116)을 기준으로 타측에 작용하는 외력에 의해 회동되어 결속탭(57)과 분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레버(110)의 타측을 가압하면, 레버(110)가 지지축(116)을 기준으로 회전되어 상기 결속해제위치에 이르게 되며, 이때 후크(114)는 걸림홈(57r)으로부터 이탈된다. 참고로, 도 12는 레버(110)가 결속위치에 있는 것이 실선으로 도시되고, 결속해제위치에 있는 것을 점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커버 락커(110)는 레버(110)가 상기 결속해제위치로부터 상기 결속위치로 복귀되도록 복원력을 가하는 상기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레버(110)가 상기 결속해제위치에 이른 상태에서 상기 탄성부재는 변형된 상태이고, 이 상태에서 외력(예를 들어, 사용자가 레버(110)의 타측을 가압하는 힘)이 제거되면, 상기 탄성부재의 복원력에 의해 레버(110)가 회동되어 상기 결속위치로 복귀된다. 상기 탄성부재는 레버(110)의 회전에 의해 감기는 스파이럴 스프링일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 커버 락커(110)는 드로워(72)의 인출에 의해 동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레버(110)가 결속해제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드로워(72)를 드로워 하우징(71) 내로 인입하면, 드로워(72)가 이동하는 과정에서 레버(110)를 결속위치로 회전시켜 후크(114)가 걸림홈(57r)과 맞물릴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Claims (10)
- 수직한 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제 1 세탁조; 및
상기 제 1 세탁조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 1 세탁조와 일체로 회전되는 제 2 세탁조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세탁조는,
세탁물을 수용하는 컨테이너; 및
상기 컨테이너의 상측에 결합되고, 상기 제 1 세탁조의 회전시 상기 컨테이너 내에서 상승한 수류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물을 배출구가 형성된 하부 커버;
상기 하부 커버의 상측에 결합되어, 상기 유입구로부터 상기 배출구에 이르는 유로를 한정하는 상부 커버;
첨가제를 수용하는 드로워;
상기 하부 커버에 결합되고, 상기 드로워가 인출 가능하게 수납되는 드로워 하우징; 및
상기 드로워 하우징에 배치되는 커버 락커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커버와 상기 드로워 하우징 중 어느 하나에는 소정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리브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리브와 맞물리는 슬롯이 형성되어, 상기 리브와 상기 슬롯이 맞물린 상태에서, 상기 드로워 하우징이 상기 리브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되어 소정의 조립위치에 이르며,
상기 상부 커버는,
상기 드로워 하우징이 상기 조립위치에 이른 상태에서, 상기 커버 락커와 결속되는 결속탭을 포함하는 세탁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락커는,
상기 드로워 하우징이 슬라이딩되는 과정에서 상기 조립위치에 이를 시, 상기 결속탭과 결속되는 세탁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락커는,
상기 드로워 하우징에 고정된 지지축을 기준으로 회동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지지축을 기준으로 일측이 상기 결속탭과 결속되는 레버를 포함하는 세탁기.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는,
상기 지지축을 기준으로 타측에 작용하는 외력에 의해 회동되어 상기 결속탭과의 결속이 해지되는 세탁기.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락커는,
상기 외력이 제거될 시 상기 레버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세탁기.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스파이럴 스프링인 세탁기.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의 타측에는 후크가 구비되고,
상기 결속탭은 상기 후크와 맞물리는 홈이 형성된 세탁기.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드로워 하우징은,
상기 드로워로 급수가 이루어질 시, 상기 드로워를 경유하며 세제와 혼합된 물을 상기 컨테이너로 안내하는 세탁기.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드로워에는 사이폰 관 형성되고,
상기 사이폰 관과의 사이에 배출로를 형성하는 사이폰 커버를 구비한 드로워 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드로워 하우징은,
상기 사이폰 관을 통해 배출된 물을 상기 컨테이너로 안내하는 세탁기.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커버는,
유동 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결속탭은,
상이 유동 가이드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된 세탁기.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36520A KR102423575B1 (ko) | 2018-03-29 | 2018-03-29 | 세탁기 |
AU2019207224A AU2019207224B2 (en) | 2018-01-15 | 2019-01-15 | Washing machine |
PCT/KR2019/000599 WO2019139454A1 (ko) | 2018-01-15 | 2019-01-15 | 세탁기 |
CN201980018644.4A CN111836924B (zh) | 2018-01-15 | 2019-01-15 | 洗衣机 |
US16/962,366 US11608582B2 (en) | 2018-01-15 | 2019-01-15 | Washing machin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36520A KR102423575B1 (ko) | 2018-03-29 | 2018-03-29 | 세탁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114193A KR20190114193A (ko) | 2019-10-10 |
KR102423575B1 true KR102423575B1 (ko) | 2022-07-20 |
Family
ID=682061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36520A KR102423575B1 (ko) | 2018-01-15 | 2018-03-29 | 세탁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423575B1 (k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7217810A1 (ko) | 2016-06-17 | 2017-12-2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47819B1 (ko) * | 2013-09-12 | 2020-08-26 | 삼성전자주식회사 | 세탁기 및 이의 제어방법 |
KR20150089344A (ko) * | 2014-01-27 | 2015-08-05 | 삼성전자주식회사 | 세탁기 |
KR102281340B1 (ko) * | 2015-01-05 | 2021-07-23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세탁장치 |
-
2018
- 2018-03-29 KR KR1020180036520A patent/KR102423575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7217810A1 (ko) | 2016-06-17 | 2017-12-2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114193A (ko) | 2019-10-1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608582B2 (en) | Washing machine | |
US11718947B2 (en) | Laundry treatment machine | |
KR102423575B1 (ko) | 세탁기 | |
KR102456381B1 (ko) | 세탁물 처리기기 | |
KR102423570B1 (ko) | 세탁기 | |
KR102509990B1 (ko) | 세탁기 | |
KR102423574B1 (ko) | 세탁기 | |
KR102456384B1 (ko) | 세탁기 | |
KR102456380B1 (ko) | 세탁기 | |
KR102521862B1 (ko) | 세탁기 | |
KR102456379B1 (ko) | 세탁기 | |
KR102456382B1 (ko) | 세탁기 | |
KR102521860B1 (ko) | 세탁기 | |
KR102456383B1 (ko) | 세탁기 | |
KR102456378B1 (ko) | 세탁기 | |
US11414803B2 (en) | Washing machine | |
KR102521858B1 (ko) | 세탁기의 제어방법 | |
KR102548155B1 (ko) | 세탁기 | |
KR102521861B1 (ko) | 세탁기 | |
KR102462775B1 (ko) | 세탁기의 제어방법 | |
KR102488372B1 (ko) | 세탁기 | |
KR102521856B1 (ko) | 세탁기 및 세탁기의 제어방법 | |
KR102537142B1 (ko) | 세탁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