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8035B1 - Auto changer of electric vehicle - Google Patents

Auto changer of electric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8035B1
KR102548035B1 KR1020200164548A KR20200164548A KR102548035B1 KR 102548035 B1 KR102548035 B1 KR 102548035B1 KR 1020200164548 A KR1020200164548 A KR 1020200164548A KR 20200164548 A KR20200164548 A KR 20200164548A KR 102548035 B1 KR102548035 B1 KR 1025480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electric vehicle
exhausted
charged
charged batt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454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075924A (en
Inventor
고국원
백록담
소신창
김유찬
이현석
홍종민
방민혁
Original Assignee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1645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8035B1/en
Publication of KR202200759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592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80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803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80Exchanging energy storage elements, e.g. removable 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5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 B60L50/6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using power supplied by batteries
    • B60L50/66Arrangements of 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30Constructional details of charging stations
    • B60L53/35Means for automatic or assisted adjustment of the relative position of charging devices and veh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5/00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 F16H25/18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for conveying or interconverting oscillating or reciprocating motions
    • F16H25/20Screw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5/00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 F16H25/18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for conveying or interconverting oscillating or reciprocating motions
    • F16H25/20Screw mechanisms
    • F16H2025/2062Arrangements for driving the actuat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2Electric charging st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 차량으로 공급되는 충전된 배터리가 마련되는 적치부; 전기 차량의 소모된 배터리가 배출되는 보관부를 포함하고, 적치부에 충전된 배터의 준비 위치를 제1 위치, 상기 전기 차량의 충전된 배터리가 삽입되고, 소모된 배터리가 배출되는 제2 위치, 상기 전기 차량의 소모된 배터리가 배출되어 보관되는 제3 위치를 정의하며, 충전된 배터리는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이동하고, 상기 소모된 배터리는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제3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acking unit provided with a charged battery supplied to an electric vehicle; A storage unit for discharging the exhausted battery of the electric vehicle, a first position for preparing the battery charged in the storage unit, a second position for inserting the charged battery of the electric vehicle and discharging the exhausted battery, the A third location is defined where the exhausted battery of the electric vehicle is discharged and stored, the charged battery moves from the first location to the second location, and the exhausted battery moves from the second location to the third location. can move

Figure R1020200164548
Figure R1020200164548

Description

전기 차량 배터리 오토 체인저{Auto changer of electric vehicle}Electric vehicle battery auto changer {Auto changer of electric vehicle}

본 발명은 무인으로 동작하는 전기 차량의 배터리를 자동으로 교환하는 배터리 오토 체인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ttery auto changer that automatically exchanges a battery of an unmanned electric vehicle.

무인 전기 차량은 다양한 산업분야에서 물류의 이송 등 널리 이용되고 있다.Unmanned electric vehicles are widely used in various industrial fields, such as transportation of logistics.

무인 운반 차량에는 무인 운반차, 무인 견인차, 무인 지게차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unmanned transport vehicle may include an unmanned transporter, an unmanned tow truck, an unmanned forklift, and the like.

상기 전기 차량은 무인으로 동작하기에 동력원으로써 배터리가 필요하다.Since the electric vehicle operates unattended, a battery is required as a power source.

배터리는 충전식이거나 교체식일 수 있고, 충전식인 경우에는 충전시간이 길어 전체 공정의 지연이 발생할 수 있다. The battery may be rechargeable or replaceable, and in the case of a rechargeable battery, the entire process may be delayed due to a long charging time.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무인 전기 차량의 방전된 배터리를 빠르게 교체할 수 있는 전기 차량 배터리 오토 체인저를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lectric vehicle battery auto changer capable of quickly replacing a discharged battery of an unmanned electric vehicle.

본 발명은 전기 차량으로 공급되는 충전된 배터리가 마련되는 적치부; 전기 차량의 소모된 배터리가 배출되는 보관부를 포함하고, 적치부에 충전된 배터의 준비 위치를 제1 위치, 상기 전기 차량의 충전된 배터리가 삽입되고, 소모된 배터리가 배출되는 제2 위치, 상기 전기 차량의 소모된 배터리가 배출되어 보관되는 제3 위치를 정의하며, 충전된 배터리는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이동하고, 상기 소모된 배터리는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제3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acking unit provided with a charged battery supplied to an electric vehicle; A storage unit for discharging the exhausted battery of the electric vehicle, a first position for preparing the battery charged in the storage unit, a second position for inserting the charged battery of the electric vehicle and discharging the exhausted battery, the A third location is defined where the exhausted battery of the electric vehicle is discharged and stored, the charged battery moves from the first location to the second location, and the exhausted battery moves from the second location to the third location. can move

본 발명의 전기 차량으로 공급되는 충전된 배터리가 마련되는 부, 전기 차량의 소모된 배터리가 배출되는 보관부를 포함할 수 있다. It may include a unit in which the charged battery supplied to the electric veh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and a storage unit in which the exhausted battery of the electric vehicle is discharged.

적치부에 충전된 배터의 준비 위치를 제1 위치, 전기 차량의 충전된 배터리가 삽입되고, 소모된 배터리가 배출되는 제2 위치, 전기 차량의 소모된 배터리가 배출되어 보관되는 제3 위치를 정의할 수 있다. Defines a first position for preparing the charged battery in the stacking unit, a second position where the charged battery of the electric vehicle is inserted and the exhausted battery is discharged, and a third position where the exhausted battery of the electric vehicle is discharged and stored. can do.

본 발명의 오토 체인저에 의해서 충전된 배터리는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이동하고, 소모된 배터리는 제2 위치에서 제3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The battery charged by the auto changer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move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second position, and the exhausted battery may move from the second position to the third position.

이격된 테이블간의 높이와 전기 차량의 배터리를 적치한 위치는 동일 높이일 수 있고, 따라서, 전기 차량과 이격된 테이블이 대면한 상태에서, 충전된 배터리는 제1 테이블에서 전기 차량의 배터리 플레이트로 플래한 평면을 따라 쉽게 이동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소모된 배터리도 전기 차량의 배터리 플레이트에서 보관부로 플랫한 평면을 따라 쉽게 이동할 수 있다. The height between the spaced tables and the position where the battery of the electric vehicle is placed may be the same height, and therefore, in a state where the electric vehicle and the spaced table face each other, the charged battery is flashed from the first table to the battery plate of the electric vehicle. It can be easily moved along a plane. Likewise, exhausted batteries can be easily moved along a flat plane from the battery plate of the electric vehicle to the storage area.

충전된 배터리는 리니어 액추에이터에 의해 전기 차량의 배터리 플레이트의 정위치로 이동할 수 있고, 소모된 배터리는 충전된 배터리에 밀려 보관부로 이동될 수 있다.The charged battery may be moved to a fixed position on the battery plate of the electric vehicle by a linear actuator, and the exhausted battery may be pushed by the charged battery and moved to a storage unit.

배터리 교체가 완료된 후에 리니어 액추에이터는 본래의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리니어 액추에이터가 원위치로 돌아오면 적치부에 충전된 배터리가 다음 배터리 삽입을 위한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After battery replacement is complete, the linear actuator can move to its original position. When the linear actuator returns to its original position, the battery charged in the mounting unit can move to the position for inserting the next battery.

도 1은 본 발명의 오토 체인저의 접근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오토 체인저의 정지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오토 체인저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오토 체인저의 확대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오토 체인저의 평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오토 체인저의 배터리 교환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1 is an approach perspective view of an auto changer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topped perspective view of the auto changer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ront view of the auto changer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nlarged plan view of the auto changer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lan view of the auto changer of the present invention.
6 to 12 are explanatory diagrams explaining battery replacement of the auto changer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된 예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specific details for carrying out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exemplary drawings.

도 3은 본 발명의 정면도로써, 정지 바(400)에 의한 전기 차량(1)의 정지 위치 결정을 도시한 것이다.FIG. 3 is a front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the determination of the stop position of the electric vehicle 1 by the stop bar 400 .

도 4는 도 3의 확대 평면도로써, 정지 바(400)에 의해 전기 차량(1)이 멈춰선 것을 도시한 것이다.FIG. 4 is an enlarged plan view of FIG. 3 , showing that the electric vehicle 1 is stopped by the stop bar 400 .

도 5는 전기 차량(1)이 오토 체인저(100)에 정지한 상태에서 감지 센서와의 위치를 도시한 것이다.FIG. 5 illustrates the position of the detection sensor in a state where the electric vehicle 1 is stopped by the auto changer 100 .

도 6 내지 도 12는 배터리(B)가 교환되는 일련의 과정을 설명한 것이다.6 to 12 explain a series of processes in which the battery B is exchanged.

본 발명의 전기 차량(1)으로 공급되는 충전된 배터리가 마련되는 부, 전기 차량(1)의 소모된 배터리가 배출되는 보관부(340)를 포함할 수 있다. It may include a unit where the charged battery supplied to the electric vehicle 1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epared, and a storage unit 340 where the exhausted battery of the electric vehicle 1 is discharged.

적치부에 충전된 배터의 준비 위치를 제1 위치, 전기 차량(1)의 충전된 배터리가 삽입되고, 소모된 배터리가 배출되는 제2 위치, 전기 차량(1)의 소모된 배터리가 배출되어 보관되는 제3 위치를 정의할 수 있다. The first position for preparing the charged battery in the stacking unit, the second position where the charged battery of the electric vehicle 1 is inserted and the exhausted battery is discharged, and the exhausted battery of the electric vehicle 1 is discharged and stored A third position may be defined.

본 발명의 오토 체인저(100)에 의해서 충전된 배터리는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이동하고, 상기 소모된 배터리는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제3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A battery charged by the auto changer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move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second position, and the exhausted battery may move from the second position to the third position.

무인 전기 차량(1)의 경우, 산업 전반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될 수 있다. 특히, 반도체 공정이나 이차전지 제조 공정 등에서 무인 자동화 설비로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공정 중에 무인으로 용기 등을 이동시킬 필요가 있고, 이러한 무인 전기 차량(1)의 동력원으로써 배터리(B)를 사용하게 될 수 있다.In the case of the unmanned electric vehicle 1, it can be widely used throughout the industry. In particular, in many cases, unmanned automation equipment is used in a semiconductor process or a secondary battery manufacturing process. During this process, it is necessary to move a container or the like unmanned, and the battery B may be used as a power source of the unmanned electric vehicle 1.

상기 배터리(B)는 충전식이거나 교체식으로 마련될 수 있다.The battery B may be rechargeable or replaceable.

충전식인 경우에는, 전기 차량(1)에 내장된 배터리 하나만으로 주행하기에 장점도 있지만, 충전 자체에 걸리는 시간으로 인한 공정의 지연 등이 발생할 수 있다.In the case of a rechargeable type, there is an advantage in driving with only one battery built into the electric vehicle 1, but a process delay or the like may occur due to the time required for charging itself.

따라서, 전기 차량(1)의 배터리(B)를 교체함으로써, 전체 공정에 소비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다. Therefore, by replacing the battery B of the electric vehicle 1, the time consumed in the entire process can be reduced.

도 1은 본 발명의 전기 차량(1)이 오토 체인저(100)에 진입하는 것을 도시한 설명도이다.1 is an explanatory view showing that an electric vehicle 1 of the present invention enters an auto changer 100.

도 1을 참조하면, 전기 차량(1)이 운행중, 배터리의 전압 강하 등을 전기 차량(1) 내부에 내장된 감지 센서에 의해 감지하면, 전기 차량(1)의 배터리를 자동으로 교환해 줄 수 있는 오토 체인저(100)로 이동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 when the voltage drop of the battery is detected by a sensor built in the electric vehicle 1 while the electric vehicle 1 is running, the battery of the electric vehicle 1 can be automatically exchanged. It can be moved to the auto changer 100 located there.

상기 전기 차량(1) 내부의 감지에 의해, 전기 차량(1) 자체의 제어부에 의해서 이동할 수도 있고, 메인 제어부로 무선 통신으로 통신을 보내 메인 제어부가 배터리의 상태나 공정의 상태를 판단하여, 오토 체인저(100)로 전기 차량(1)의 이동 명령을 내릴 수 있다.By sensing inside the electric vehicle 1, the electric vehicle 1 may be moved by the control unit itself, and communication is sent to the main control unit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so that the main control unit determines the state of the battery or the process, A movement command of the electric vehicle 1 may be issued to the changer 100 .

본 발명의 오토 체인저(100)는 전기 차량(1)의 접근과 정지를 감지하는 감지 센서; 감지 센서의 신호에 의해 전기 차량(1)을 정지 시킬 수 있는 정지 바(400); 충전된 배터리를 할 수 있는 부; 전기 차량(1)의 소모된 배터리를 밀어낼 수 있는 리니어 액추에이터; 상기 리니어 액추에이터에 의해 전기 차량(1)으로부터 배출된 배터리가 보관될 수 있는 보관부(340); 상기 리니어 액추에이터가 준비된 충전 배터리를 미는 경우 가이드해줄 수 있는 가이드 휠; 를 포함할 수 있다. The auto changer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nsor for detecting the approach and stop of the electric vehicle 1; a stop bar 400 capable of stopping the electric vehicle 1 by a signal from a detection sensor; A unit capable of charging a battery; a linear actuator capable of pushing out the exhausted battery of the electric vehicle 1; a storage unit 340 in which the battery discharged from the electric vehicle 1 by the linear actuator can be stored; a guide wheel capable of guiding when the linear actuator pushes the prepared rechargeable battery; can include

오토 체인저(100)는 이격된 테이블로 마련될 수 있다. 하나의 테이블에는 배터리 부와 리니어 액추에이터가 구비될 수 있고, 다른 테이블에는 보관부(340)가 마련될 수 있다. The auto changer 100 may be provided as a spaced table. A battery unit and a linear actuator may be provided on one table, and a storage unit 340 may be provided on another table.

상기 테이블은 적치부가 마련되는 제1 테이블(200), 상기 보관부(340)가 구비되는 제2 테이블(300)을 포함할 수 있다. The table may include a first table 200 provided with a storage unit and a second table 300 equipped with the storage unit 340 .

도 2는 본 발명의 전기 차량(1)이 오토 체인저(100)에서 배터리(B) 교환을 위해 정지 한 것을 도시한 설명도이다.FIG. 2 is an explanatory view showing that the electric vehicle 1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topped for exchanging a battery B in an auto changer 100. Referring to FIG.

전기 차량(1)은 오토 체인저(100)의 소정의 위치에 정지하여 배터리(B)를 교체할 수 있다. The electric vehicle 1 may be stopp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auto changer 100 to replace the battery B.

이격된 테이블 사이에는 전기 차량(1)이 정지할 수 있는 이동 통로(3)가 구비될 수있다. A moving path 3 in which the electric vehicle 1 can stop may be provided between the tabl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정지 센서(320)(320)가 전기 차량(1)의 선단부를 감지하면, 정지 바(400)가 전기 차량(1)의 이동 통로(3)의 소정의 위치에 전기 차량(1)이 정지 가능하게 돌출될 수 있다.When the stop sensor 320 (320) detects the front end of the electric vehicle 1, the stop bar 400 can stop the electric vehicle 1 at a predetermined position in the passage 3 of the electric vehicle 1. can protrude.

정지 센서(320)(320)는 전기 차량(1)의 제어부로 무선 통신 등을 통해 신호를 보낼 수 있고, 상기 신호를 받은 전기 차량(1)은 속도가 느려지며, 정지 바(400)에 의해서 지정된 위치에 멈출 수 있다. The stop sensor 320 (320) can send a signal to the control unit of the electric vehicle 1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etc., and the electric vehicle 1 that receives the signal slows down, and by the stop bar 400 You can stop at a designated location.

정지 바(400)는 각 이격된 테이블의 소정의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정지 바(400)는 전기 차량(1)이 진입시에는 이동 통로(3)에 돌출되어 전기 차량(1)의 이동을 저지할 수 있고, 전기 차량(1)의 배터리(B) 교체가 완료된 후에는 다시 원상태로 돌아가 전기 차량(1)이 이동 할 수 있다. The stop bar 400 may be provid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each spaced apart table. The stop bar 400 protrudes from the movement passage 3 when the electric vehicle 1 enters and blocks the movement of the electric vehicle 1, and after the replacement of the battery B of the electric vehicle 1 is completed, Returning to the original state, the electric vehicle 1 may move.

오토 체인저(100)에는 감지 센서가 마련될 수 있다.A detection sensor may be provided in the auto changer 100 .

감지 센서는 전기 차량(1)이 오토 체인저(100)에 가까이 접근시에 감지를 하는 접근 센서(도시되지 않음)와 전기 차량(1)이 오토 체인저(100)의 소정의 위치에 정지할 수 있게 전기 차량(1)의 선단부를 감지하는 정지 센서(32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detection sensor is an approach sensor (not shown) that detects when the electric vehicle 1 approaches the auto changer 100, and the electric vehicle 1 can stop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auto changer 100. A stop sensor 320 for detecting the front end of the electric vehicle 1 may be included.

접근 센서는 전기 차량(1)이 오토 체인저(100)로 접근하는 것을 감지하고, 전기 차량(1)은 감속 할 수 있다. The proximity sensor detects that the electric vehicle 1 approaches the auto changer 100, and the electric vehicle 1 may decelerate.

전기 차량(1)에서 소모된 배터리가 배출되고 충전된 배터리가 삽입되는 경우에 감지 센서로 충전된 배터리가 전기 차량(1)의 배터리 플레이트(2)에 정위치에 적치된 것을 감지하면 정지 바(400)는 다시 원 상태로 돌아가고, 전기 차량(1)이 이동 통로(3)를 지나 오토 체인저(100)를 이탈할 수 있다. When the exhausted battery in the electric vehicle 1 is discharged and the charged battery is inserted, when the detecting sensor detects that the charged battery is placed in the correct position on the battery plate 2 of the electric vehicle 1, the stop bar ( 400 returns to the original state again, and the electric vehicle 1 can leave the auto changer 100 by passing through the moving passage 3.

도 6 내지 도 12는 배터리(B)가 교체되는 것을 순서대로 도시한 설명도이다.6 to 12 are explanatory views sequentially showing battery B being replaced.

전기 차량(1)이 지정된 위치에 정지하면 리니어 액추에이터(220)가 동작하여, 충전된 배터리가 준비된 적치부(240)의 배터리를 밀 수 있다. 리니어 액추에이터(220)에 의해 밀린 배터리는 전기 차량(1)의 내부에 있는 소모된 배터리를 밀게 될 수 있다. When the electric vehicle 1 is stopped at a designated position, the linear actuator 220 operates to push the battery of the stacking unit 240 in which the charged battery is prepared. The battery pushed by the linear actuator 220 may push the exhausted battery inside the electric vehicle 1 .

소모된 배터리는 충전된 배터리에 의해서 밀려 보관부(340)로 보내질 수 있다. 리니어 액추에이터(220)는 새로운 충전된 배터리가 소모된 배터리의 위치로 이동할때까지 충전된 배터리를 밀 수 있다. The exhausted battery may be pushed by the charged battery and sent to the storage unit 340 . The linear actuator 220 may push the charged battery until the new charged battery moves into position of the depleted battery.

이격된 테이블간의 높이와 전기 차량(1)의 배터리를 적치한 위치는 동일 높이일 수 있고, 따라서, 전기 차량(1)과 이격된 테이블이 대면한 상태에서, 충전된 배터리는 제1 테이블(200)에서 전기 차량(1)의 배터리 플레이트(2)로 플래한 평면을 따라 쉽게 이동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소모된 배터리도 전기 차량(1)의 배터리 플레이트(2)에서 보관부(340)로 플랫한 평면을 따라 쉽게 이동할 수 있다. The height between the spaced tables and the position where the battery of the electric vehicle 1 is placed may be the same height, and therefore, in a state where the electric vehicle 1 and the spaced table face each other, the charged battery is the first table 200 ) to the battery plate 2 of the electric vehicle 1 along a flat plane. Likewise, the exhausted battery can be easily moved along a flat plane from the battery plate 2 of the electric vehicle 1 to the storage unit 340 .

상기의 배터리(B)의 삽입과 배출의 사출을 방지하기 위해서, 가이드 휠이 마련될 수 있다. In order to prevent the insertion and ejection of the battery B, a guide wheel may be provided.

가이드 휠은 이격된 테이블 각각에 마련될 수 있다.Guide wheels may be provided on each of the tabl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각 테이블에 위치한 가이드 휠 간의 사이 간격은 동일할 수 있다.Intervals between guide wheels located on each table may be the same.

제1 테이블(200)에는 충전된 배터리가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이동시 사출을 방지하는 제1 가이드 휠(260)이 마련되며,A first guide wheel 260 is provided on the first table 200 to prevent ejection when the charged battery moves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second position,

제2 테이블(300)에는 소모된 배터리가 제2 위치에서 제3 위치로 이동시 사출을 방지하는 제2 가이드 휠(360)이 구비될 수 있다. A second guide wheel 360 may be provided on the second table 300 to prevent ejection of the exhausted battery when moving from the second position to the third position.

따라서, 충전된 배터리는 리니어 액추에이터에 의해 전기 차량(1)의 배터리 플레이트(2)의 정위치로 이동할 수 있고, 소모된 배터리는 충전된 배터리에 밀려 보관부(340)로 이동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charged battery may be moved to the proper position of the battery plate 2 of the electric vehicle 1 by the linear actuator, and the exhausted battery may be moved to the storage unit 340 by being pushed by the charged battery.

상기 배터리 교체가 완료된 후에 리니어 액추에이터는 본래의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리니어 액추에이터가 원위치로 돌아오면 적치부에 충전된 배터리가 다음 배터리 삽입을 위한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After the battery replacement is completed, the linear actuator may move to its original position. When the linear actuator returns to its original position, the battery charged in the mounting unit can move to the position for inserting the next battery.

따라서, 배터리(B)의 교환을 정리하면, 충전된 배터리를 전기 차량(1)으로 이동시키는 리니어 액추에이터가 마련될 수 있다. Therefore, by arranging the replacement of the battery B, a linear actuator for moving the charged battery to the electric vehicle 1 can be provided.

리니어 액추에이터(220)는 제1 위치의 충전된 배터리를 전기 차량(1)의 제2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The linear actuator 220 may move the charged battery in the first position to the second position of the electric vehicle 1 .

리니어 액추에이터(220)에 의해 밀린 충전된 배터리에 의해 상기 전기 차량(1)의 소모된 배터리는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제3 위치로 이동할 수 있고, 충전된 배터리가 상기 제2 위치의 정위치에 위치하면 리니어 액추에이터(220)는 원위치로 후퇴할 수 있다. The exhausted battery of the electric vehicle 1 can be moved from the second position to the third position by the charged battery pushed by the linear actuator 220, and the charged battery is in place at the second position. Once positioned, the linear actuator 220 may retract to its original position.

리니어 액추에이터(220)가 후퇴하여 원래의 위치로 돌아가면 적치부(240)에 적층되어 있는 충전된 배터리는 제1 위치로 이동하여 다음의 배터리 교환을 위한 준비 상태가 될 수 있다. When the linear actuator 220 retreats and returns to its original position, the charged battery stacked on the stacking unit 240 moves to the first position and may be ready for the next battery replacement.

1... 전기 차량
2... 배터리 플레이트 3... 이동 통로
100... 오토 체인저 200... 제1 테이블
220... 리니어 액추에이터 240... 적치부
260... 제1 가이드 휠
300... 제2 테이블 320... 정지 센서
340... 보관부 360... 제2 가이드 휠
400... 정지 바
B... 배터리
1... electric vehicles
2... battery plate 3... passageway
100... Auto changer 200... First table
220... linear actuator 240... stacking part
260... first guide wheel
300 ... second table 320 ... stop sensor
340 ... storage portion 360 ... second guide wheel
400... stop bar
B... battery

Claims (5)

전기 차량으로 공급되는 충전된 배터리가 마련되는 적치부;
상기 전기 차량의 소모된 배터리가 배출되는 보관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적치부에 충전된 배터의 준비 위치를 제1 위치, 상기 전기 차량의 충전된 배터리가 삽입되고, 소모된 배터리가 배출되는 제2 위치, 상기 전기 차량의 소모된 배터리가 배출되어 보관되는 제3 위치로 정의할때,
상기 충전된 배터리는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이동하고, 상기 소모된 배터리는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제3 위치로 이동하며,
상기 적치부가 마련되는 제1 테이블, 상기 보관부가 구비되는 제2 테이블이 마련되고,
상기 제1 테이블과 상기 제2 테이블은 이격되며,
상기 이격된 공간을 이동 통로라 정의하고,
상기 이동 통로를 따라 상기 전기 차량은 이동 또는 정지를 하여, 배터리를 교환하는 오토 체인저.
A stacking unit provided with a charged battery supplied to the electric vehicle;
a storage unit in which the exhausted battery of the electric vehicle is discharged;
including,
A first position for preparing the charged battery in the stacking unit, a second position in which the charged battery of the electric vehicle is inserted and the exhausted battery is discharged, and a third position in which the exhausted battery of the electric vehicle is discharged and stored. When defined as location,
the charged battery moves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second position, and the depleted battery moves from the second position to the third position;
A first table provided with the stacking unit and a second table equipped with the storage unit are provided,
The first table and the second table are spaced apart,
The spaced apart space is defined as a movement passage,
An auto changer for exchanging a battery by moving or stopping the electric vehicle along the moving passage.
삭제delet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치부가 마련되는 제1 테이블, 상기 보관부가 구비되는 제2 테이블이 마련되고,
상기 제1 테이블에는 상기 충전된 배터리가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이동시 사출을 방지하는 제1 가이드 휠이 마련되며,
상기 제2 테이블에는 상기 소모된 배터리가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제3 위치로 이동시 사출을 방지하는 제2 가이드 휠이 구비되는 오토 체인저.
According to claim 1,
A first table provided with the stacking unit and a second table equipped with the storage unit are provided,
A first guide wheel is provided on the first table to prevent ejection when the charged battery moves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second position,
The auto changer is equipped with a second guide wheel on the second table to prevent ejection of the exhausted battery when it moves from the second position to the third position.
전기 차량으로 공급되는 충전된 배터리가 마련되는 적치부;
상기 전기 차량의 소모된 배터리가 배출되는 보관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적치부에 충전된 배터의 준비 위치를 제1 위치, 상기 전기 차량의 충전된 배터리가 삽입되고, 소모된 배터리가 배출되는 제2 위치, 상기 전기 차량의 소모된 배터리가 배출되어 보관되는 제3 위치로 정의할때,
상기 충전된 배터리는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이동하고, 상기 소모된 배터리는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제3 위치로 이동하며,
상기 적치부가 마련되는 제1 테이블, 상기 보관부가 구비되는 제2 테이블이 마련되고,
상기 제1 테이블과 상기 제2 테이블은 이격되며,
상기 이격된 공간을 이동 통로라 정의하고,
상기 제1 테이블 또는 상기 제2 테이블에는 상기 전기 차량의 상기 이동 통로로의 진입을 감지하는 정지 센서가 마련되며,
상기 제1 테이블 또는 상기 제2 테이블에는 상기 정지 센서의 신호에 따라 상기 이동 통로로 돌출하여 상기 전기 차량의 이동을 저지하는 정지 바가 구비되는 오토 체인저.
A stacking unit provided with a charged battery supplied to the electric vehicle;
a storage unit in which the exhausted battery of the electric vehicle is discharged;
including,
A first position for preparing the charged battery in the stacking unit, a second position in which the charged battery of the electric vehicle is inserted and the exhausted battery is discharged, and a third position in which the exhausted battery of the electric vehicle is discharged and stored. When defined as location,
the charged battery moves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second position, and the depleted battery moves from the second position to the third position;
A first table provided with the stacking unit and a second table equipped with the storage unit are provided,
The first table and the second table are spaced apart,
The spaced apart space is defined as a movement passage,
A stop sensor for detecting entry of the electric vehicle into the passage is provided on the first table or the second table,
The first table or the second table is provided with a stop bar protruding into the movement passage according to a signal from the stop sensor to block the movement of the electric vehicl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된 배터리를 전기 차량으로 이동시키는 리니어 액추에이터가 마련되고,
상기 리니어 액추에이터는 상기 제1 위치의 충전된 배터리를 상기 전기 차량의 상기 제2 위치로 이동시키며,
상기 리니어 액추에이터에 의해 밀린 충전된 배터리에 의해 상기 전기 차량의 소모된 배터리는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제3 위치로 이동하고,
상기 충전된 배터리가 상기 제2 위치의 정위치에 위치하면 상기 리니어 액추에이터는 후퇴하며,
상기 리니어 액추에이터의 후퇴후 상기 적치부에 적층된 배터리는 상기 제1 위치로 이동하는 오토 체인저.
According to claim 1,
A linear actuator for moving the charged battery to an electric vehicle is provided,
The linear actuator moves the charged battery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second position of the electric vehicle,
The exhausted battery of the electric vehicle is moved from the second position to the third position by the charged battery pushed by the linear actuator;
When the charged battery is positioned at the second position, the linear actuator retreats.
After the linear actuator is retracted, the battery stacked in the stacking unit moves to the first position.
KR1020200164548A 2020-11-30 2020-11-30 Auto changer of electric vehicle KR10254803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4548A KR102548035B1 (en) 2020-11-30 2020-11-30 Auto changer of electric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4548A KR102548035B1 (en) 2020-11-30 2020-11-30 Auto changer of electric vehic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5924A KR20220075924A (en) 2022-06-08
KR102548035B1 true KR102548035B1 (en) 2023-06-27

Family

ID=819813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4548A KR102548035B1 (en) 2020-11-30 2020-11-30 Auto changer of electric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8035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5312B1 (en) * 2012-08-06 2014-04-16 (주)엔스퀘어 Automatic battery replacement apparatus for automatic guided vehicles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L47886A (en) * 1975-08-07 1978-03-10 Imi Inst For Research And Dev Production of isporopanol by gas phase hydration of propylene
KR19980078343A (en) * 1997-04-28 1998-11-16 이대원 Battery changer for unmanned transport vehicles
KR102040047B1 (en) * 2017-12-12 2019-11-04 한국항공대학교산학협력단 Method of replacing battery for unmanned aerial vehicle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5312B1 (en) * 2012-08-06 2014-04-16 (주)엔스퀘어 Automatic battery replacement apparatus for automatic guided vehicl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5924A (en) 2022-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609086B (en) Four-directional shuttle vehicle control system based on road right tokens
JP4539887B2 (en) Charging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for self-propelled vehicles for transportation
JP5842276B2 (en) Article transfer device
CN112805211A (en) Commercial logistics facility, configurable modular robot autonomous guided vehicle and method thereof
JP7464544B2 (en) Automated Warehouse System
KR20210000708U (en) An automated warehouse
KR20130064580A (en) The forklift which improves a transportation load capacity
KR102548035B1 (en) Auto changer of electric vehicle
KR101739102B1 (en) Apparatus for Managing Battery of Automated Guided Vehicle
JP5655700B2 (en) Transport system
JP2020050001A (en) Truck transport device
JPH11146506A (en) Facility for replacing vehicle battery
KR20130062132A (en) Forklift having dual fork
CN211641970U (en) Cargo handling system
CN213445162U (en) Automatic conveying system for belt ply spool
CN210593670U (en) Automatic warehousing system
CN114683941A (en) Battery placement control method and system in battery compartment of battery replacement station
CN111612397B (en) Commodity autonomous distribution method and system based on Internet of things technology
CN113978995A (en) Intelligent warehousing complete equipment based on Internet of things
CN112867685B (en) Method and installation for transferring reels
JP2005219832A (en) Control device for automated warehouse
KR100657790B1 (en) Battery Charging And Exchanging Apparatus For Automated Guided Vihecle
CN111071127A (en) Cargo loading and unloading system and cargo loading and unloading method
CN218231063U (en) Intelligent loading building system
CN213386307U (en) Clamping device and AGV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