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7922B1 - Multi Stacker Crane System - Google Patents

Multi Stacker Crane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7922B1
KR102547922B1 KR1020210085395A KR20210085395A KR102547922B1 KR 102547922 B1 KR102547922 B1 KR 102547922B1 KR 1020210085395 A KR1020210085395 A KR 1020210085395A KR 20210085395 A KR20210085395 A KR 20210085395A KR 102547922 B1 KR102547922 B1 KR 1025479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transfer
drop
swing
yo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539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30003832A (en
Inventor
박찬경
김영종
문성훈
방종현
최병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Priority to KR10202100853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7922B1/en
Publication of KR202300038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383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79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792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Floor-to-roof stacking devices, e.g. "stacker cranes", "retrie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12Platforms; Forks; Other load supporting or gripping members
    • B66F9/14Platforms; Forks; Other load supporting or gripping members laterally movable, e.g. swingable, for slewing or transverse movements
    • B66F9/141Platforms; Forks; Other load supporting or gripping members laterally movable, e.g. swingable, for slewing or transverse movements with shuttle-type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12Platforms; Forks; Other load supporting or gripping members
    • B66F9/18Load gripping or retaining means
    • B66F9/183Coplanar side cla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20Means for actuating or controlling masts, platforms, or fork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멀티 스태커 크레인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멀티 스태커 크레인 시스템은, 메인 프레임에 지지되며 이차전지 셀을 충전시키는 충전장치와, 메인 프레임에 지지되고 공정트레이에 수용된 다수 개의 이차전지 셀을 인출하며 인출된 이차전지 셀을 충전장치로 공급하고 충전장치에서 이차전지 셀을 수거하여 공정트레이에 인입하는 스태커 크레인장치와, 메인 프레임에 지지되며 물류트레이에 수용된 다수 개의 이차전지 셀의 이격간격을 가변시켜 공정트레이로 이재하는 셀 이재장치를 포함한다.A multi-stacker crane system is disclosed. A multi-stacker cran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harging device supported on a main frame and charging secondary battery cells, and a charging device supported on the main frame and drawing out a plurality of secondary battery cells accommodated in a process tray and charging the drawn out secondary battery cells. A stacker crane device that supplies and collects secondary battery cells from a charging device and introduces them into the process tray, and a cell transfer device that is supported on the main frame and transfers the cells to the process tray by varying the separation distance of a plurality of secondary battery cells accommodated in the distribution tray includes

Description

멀티 스태커 크레인 시스템{Multi Stacker Crane System}Multi Stacker Crane System

본 발명은, 멀티 스태커 크레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물류트레이로 공급받은 이차전지 셀이 공정트레이로 이재되고 공정트레이에 이재된 이차전지 셀이 충전장치로 전달되는 멀티 스태커 크레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stacker crane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multi-stacker crane system in which secondary battery cells supplied to a distribution tray are transferred to a process tray and the secondary battery cells transferred to the process tray are transferred to a charging device. it's about

최근, 노트북, 비디오 카메라, 휴대용 전화기 등과 같은 휴대용 전자 제품의 수요가 급격하게 증대되고, 전기자동차, 에너지 저장용 축전지, 로봇, 위성 등의 개발이 본격화됨에 따라, 반복적인 충방전이 가능한 고성능 이차전지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Recently, as the demand for portable electronic products such as laptop computers, video cameras, and mobile phones has rapidly increased, and development of electric vehicles, storage batteries for energy storage, robots, and satellites has been in full swing, high-performance secondary batteries capable of repeated charging and discharging are possible. Research on this is actively progressing.

현재 상용화된 이차전지로는 니켈 카드뮴 전지, 니켈 수소 전지, 니켈 아연 전지, 리튬 이차전지 등이 있는데, 이 중에서 리튬 이차전지는 니켈 계열의 이차전지에 비해 메모리 효과가 거의 일어나지 않아 충방전이 자유롭고, 자가 방전율이 매우 낮으며 에너지 밀도가 높은 장점으로 각광을 받고 있다. Currently commercialized secondary batteries include nickel cadmium batteries, nickel hydrogen batteries, nickel zinc batteries, and lithium secondary batteries. It is in the limelight because of its very low self-discharge rate and high energy density.

일반적으로 이러한 이차전지는 외장재나 적용 형태에 따라 원통형이나 각형의 캔형 이차전지와 파우치형 이차전지로 구분될 수 있다.In general, these secondary batteries can be classified into cylindrical or prismatic can-type secondary batteries and pouch-type secondary batteries according to exterior materials or application forms.

이차전지는 그것이 사용되는 외부기기의 종류에 따라, 단일 셀의 형태로 사용되기도 하고, 또는 다수의 셀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한 모듈의 형태로 사용되기도 한다. The secondary battery may be used in the form of a single cell or in the form of a module in which a plurality of cells are electrically connected, depending on the type of external device used.

예를 들어, 휴대폰과 같은 소형 디바이스는 셀 1 개의 출력과 용량으로 소정의 시간 동안 작동이 가능한 반면에, 노트북 컴퓨터, 휴대용 DVD(Portable DVD), 소형PC(Personal Computer), 전기 자동차,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 등과 같은 중형 또는 대형 디바이스는 출력 및 용량의 문제로 다수의 셀들을 포함하는 모듈의 사용이 요구된다.For example, a small device such as a mobile phone can operate for a predetermined time with the output and capacity of one cell, while a notebook computer, a portable DVD (Portable DVD), a small PC (Personal Computer), an electric vehicle, and a hybrid electric vehicle. Medium-sized or large-sized devices such as the like require the use of a module including a plurality of cells due to problems of output and capacity.

모듈은 다수의 셀들을 직렬 및/또는 병렬로 배열하여 연결한 코어 팩에 보호회로 등을 접속함으로써 제조된다.A module is manufactured by connecting a protection circuit or the like to a core pack in which a plurality of cells are arranged and connected in series and/or parallel.

단위 셀로서 각형 또는 파우치형 셀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넓은 면들이 서로 대면하도록 적층한 후 전극 단자들을 버스 바 등의 접속 부재에 의해 연결하여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따라서, 육면체 구조의 입체형 모듈을 제조하는 경우에는 각형 또는 파우치형 셀이 단위 셀로서 유리하다.In the case of using a prismatic or pouch-type cell as a unit cell, it can be easily manufactured by stacking the wide surfaces facing each other and then connecting the electrode terminals with a connecting member such as a bus bar. Therefore, in the case of manufacturing a three-dimensional module having a hexahedral structure, a prismatic or pouch-type cell is advantageous as a unit cell.

그 중 파우치형 셀은 금속층(포일)과 금속층의 상면과 하면에 코팅되는 합성수지층의 다층막으로 구성되는 파우치 외장재를 사용하여 외관을 구성하기 때문에, 금속 캔을 사용하는 원통형 또는 각형보다 이차전지의 무게를 현저히 줄일 수 있어 이차전지의 경량화가 가능하며, 다양한 형태로의 변화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어 사용량이 점차적으로 증가하고 있다.Among them, the pouch-type cell uses a pouch exterior composed of a multi-layered film of a metal layer (foil) and a synthetic resin layer coated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metal layer, so the weight of the secondary battery is lower than that of a cylindrical or prismatic cell using a metal can. It can significantly reduce the weight of the secondary battery, and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change into various forms, so the amount of use is gradually increasing.

일반적으로, 파우치형 셀은 셀을 조립하는 공정과 셀을 활성화하는 공정을 거쳐서 제조된다. 파우치 외장재는 일반적으로 전극조립체가 수용되는 하부 외장재와, 하부 외장재의 상부를 밀봉하는 상부 외장재로 이루어진다. In general, a pouch-type cell is manufactured through a process of assembling the cell and a process of activating the cell. The pouch exterior material generally includes a lower exterior material in which an electrode assembly is accommodated and an upper exterior material that seals an upper portion of the lower exterior material.

전극조립체를 하부 외장재의 수납부에 수용한 다음, 하부 외장재 수납부 주위의 가장자리와 이에 대응되는 상부 외장재의 가장자리를 밀착시키고 밀착된 일부분을 열융착한 후 전해액을 넣고 나머지 부분을 진공 실링하면 셀이 조립된다.After accommodating the electrode assembly in the housing of the lower housing, the edge around the housing of the lower housing and the corresponding edge of the upper housing are brought into close contact, and after heat-sealing the adhered part, an electrolyte is added and the remaining portion is vacuum-sealed. are assembled

한편, 이차전지 셀은 방전 상태로 조립되기 때문에 이차전지 셀을 조립한 다음에 1차 충전을 해서 활성화시켜야 전지로서 기능을 할 수 있게 된다. 이것을 활성화 공정 또는 화성(formation) 공정이라고 한다.On the other hand, since the secondary battery cells are assembled in a discharged state, they can function as batteries only when they are first charged and activated after assembling the secondary battery cells. This is called the activation process or formation process.

화성 공정에서는 전류의 원활한 통전을 위해 소정의 활성화 공정 설비에 이차전지 셀을 탑재하고 활성화에 필요한 조건으로 충방전 등의 처리를 수행하게 된다. 이차전지에 있어서는 그 특성상 첫 사이클시 양극 활물질의 활성화 및 음극에서의 안정적인 표면막(SEI, Solid Electrolyte Interface) 생성을 위해 이러한 활성화 과정이 필수적으로 선행되어야 한다. In the formation process, secondary battery cells are loaded in predetermined activation process equipment for smooth current conduction, and processes such as charging and discharging are performed under conditions necessary for activation. In a secondary battery, due to its characteristics, such an activation process must be preceded in order to activate a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during the first cycle and to create a stable surface film (SEI, Solid Electrolyte Interface) on the negative electrode.

화성 공정에서 음극 활물질과 전해액 간의 반응으로 음극 표면에 표면막(SEI)이 비로소 형성되고, 이 표면막(SEI)의 물리적, 기계적 건전성이 이차전지의 수명이 다할 때까지 이차전지의 성능을 결정한다.In the chemical conversion process, a surface film (SEI) is first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anode due to the reaction between the anode active material and the electrolyte, and the physical and mechanical integrity of the surface film (SEI) determines the performance of the secondary battery until the end of its lifespan. .

상술한 화성 공정에서 이차전지 셀은 충전장치(High Temperature Pre-Charger, HPC)에서 충전되는데, 종래에는 충전장치의 상부 영역을 지나가는 셔틀(shuttle) 또는 스태커 크레인(stacker crane)이 충전장치에 이차전지 셀을 공급하고 충전장치에서 이차전지 셀을 수거하였다.In the above-described chemical process, secondary battery cells are charged in a high temperature pre-charger (HPC). Conventionally, a shuttle or stacker crane passing through the upper area of the charging device is used to charge the secondary battery in the charging device. The cells were supplied and the secondary battery cells were collected from the charging device.

한편, 셀을 조립하는 공정에서 제조된 이차전지 셀은 물류트레이에 다수 개로 수용된 후 이송되어 셔틀 또는 스태커 크레인으로 공급되는데, 물류의 편의를 위해 물류트레이에 수용된 다수 개의 이차전지 셀은 조밀한 간격으로 배치된다. On the other hand, the secondary battery cells manufactured in the process of assembling the cells are accommodated in a plurality of distribution trays and then transported and supplied to a shuttle or stacker crane. are placed

그런데, 충전장치에 수용되는 이차전지 셀들의 간격은 물류트레이에 수용된 이차전지 셀들의 간격과 달라서 셔틀 또는 스태커 크레인이 물류트레이에 수용된 이차전지 셀을 직접 픽업하여 충전장치로 전달하는 경우에는 셔틀의 구조가 복잡해지며, 전달을 위해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By the way, the interval between the secondary battery cells accommodated in the charging device is different from the interval between the secondary battery cells accommodated in the logistics tray, so if the shuttle or stacker crane directly picks up the secondary battery cells accommodated in the logistics tray and delivers them to the charging device, the structure of the shuttle became complicated, and there was a problem that a lot of time was required for delivery.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069127호, (2020.01.16.)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2069127, (2020.01.16.)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물류트레이에 수용된 다수 개의 이차전지 셀의 이격간격을 빠르고 간편하게 가변시켜 충전장치로 전달할 수 있는 멀티 스태커 크레인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Therefore, 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ulti-stacker crane system that can quickly and simply change the distance between a plurality of secondary battery cells accommodated in a distribution tray and deliver them to a charging device.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메인 프레임에 지지되며, 이차전지 셀을 충전시키는 충전장치; 상기 메인 프레임에 지지되고 공정트레이에 수용된 다수 개의 상기 이차전지 셀을 인출하며, 인출된 상기 이차전지 셀을 상기 충전장치로 공급하고 상기 충전장치에서 상기 이차전지 셀을 수거하여 공정트레이에 인입하는 스태커 크레인장치; 및 상기 메인 프레임에 지지되며, 물류트레이에 수용된 다수 개의 상기 이차전지 셀의 이격간격을 가변시켜 상기 공정트레이로 이재하는 셀 이재장치를 포함하는 멀티 스태커 크레인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harging device supported by a main frame and charging a secondary battery cell; A stacker supporting the main frame and drawing out a plurality of secondary battery cells accommodated in a process tray, supplying the drawn out secondary battery cells to the charging device, collecting the secondary battery cells from the charging device, and introducing them into the process tray crane device; And a multi-stacker crane system including a cell transfer device supported by the main frame and transferred to the process tray by varying the spacing of the plurality of secondary battery cells accommodated in the logistics tray may be provided.

상기 물류트레이에는 다수 개의 상기 이차전지 셀이 삽입되며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는 다수 개의 물류트레이용 안착홈이 형성되며, 상기 공정트레이에는 다수 개의 상기 이차전지 셀이 삽입되며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는 다수 개의 공정트레이용 안착홈이 형성되며, 상기 물류트레이용 안착홈 사이의 이격간격은 상기 공정트레이용 안착홈 사이의 이격간격보다 작을 수 있다.A plurality of secondary battery cells are inserted into the logistics tray and a plurality of seating grooves for logistics trays are formed that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a plurality of secondary battery cells are inserted into the process tray and a plurality of processes that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Seating grooves for trays are formed, and the spacing between the seating grooves for the logistics tray may be smaller than the spacing between the seating grooves for the process trays.

상기 셀 이재장치는, 상기 메인 프레임에 연결되는 이재장치 프레임; 다수 개의 상기 이차전지 셀을 파지하는 이재용 핸드유닛; 및 상기 이재장치 프레임에 결합되고 상기 이재용 핸드유닛에 연결되며, 상기 이재용 핸드유닛이 상기 물류트레이와 상기 공정트레이 각각의 상부영역에 위치될 수 있도록 상기 이재용 핸드유닛을 제1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재용 이동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The cell transfer device includes a transfer device frame connected to the main frame; Jaeyong Lee's hand unit holding the plurality of secondary battery cells; and a transfer unit coupled to the transfer device frame and connected to the transfer hand unit, and moving the transfer hand unit in a first axis direction so that the transfer hand unit is located in an upper region of each of the distribution tray and the process tray. A mobile unit may be included.

상기 이재용 핸드유닛은, 상기 이재용 이동유닛에 결합되는 이재용 고정프레임부; 상기 이차전지 셀을 파지하는 이재용 파지부; 및 상기 이재용 고정프레임부에 결합되고 상기 이재용 파지부에 연결되며, 상기 이재용 파지부를 세로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재용 업/다운(up/down) 이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transfer hand unit may include a fixing frame unit for transfer coupled to the transfer unit; Jaeyong Lee's holding part for holding the secondary battery cell; and an up/down moving unit coupled to the transfer fixing frame unit and connected to the transfer gripper, and vertically moving the transfer gripper.

상기 이재용 파지부는, 상기 이재용 업/다운(up/down) 이동부에 결합되는 이재용 이동 프레임부; 상기 이재용 이동 프레임부에 제1축 방향에 교차하는 제2축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는 한 쌍의 이재용 파지 브라켓부; 상기 이재용 파지 브라켓 각각에 상대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는 다수 개의 이재용 단위 그리핑부; 및 상기 이재용 단위 그리핑부에 연결되며, 상기 이재용 단위 그리핑부 각각의 이격간격을 가변시키는 이재용 간격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transfer gripping unit may include a transfer frame unit coupled to the transfer up/down moving unit; a pair of gripping brackets for transferring material connected to the transfer frame unit to be slidably movable in a second axis direction intersecting the first axis direction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 plurality of unit gripping parts for transferring material coupled to each of the material transfer gripping brackets so as to be relatively movable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a dispensing spacing adjusting unit connected to the disposing unit gripping unit and varying a separation interval between the disposing unit gripping units.

상기 이재용 단위 그리핑부는, 상기 이재용 파지 브라켓부 각각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재용 슬라이딩 블록부;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는 한 쌍의 이재용 그리퍼; 및 상기 이재용 슬라이딩 블록부에 결합되고 한 쌍의 상기 이재용 그리퍼에 연결되며, 한 쌍의 상기 이재용 그리퍼 각각을 상호 접근 및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재 그리퍼용 액츄에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The material transfer unit gripping unit may include: a sliding block unit for material transfer that is slidably coupled to each of the material transfer gripping brackets; A pair of grippers for Lee Jae-yong dispos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an actuator for the transfer gripper coupled to the sliding block unit for transfer and connected to the pair of transfer grippers, and moving the pair of transfer grippers in a mutually approaching and separated direction.

상기 이재용 간격조절부는, 상기 이재용 단위 그리핑부 각각에 형성된 제1 간격조절용 돌출부재가 삽입되는 제1 간격조절용 슬릿홀이 형성되며, 인접하게 배치된 상기 이재용 단위 그리핑부를 연결하는 제1 간격조절용 링크; 상기 이재용 단위 그리핑부에 결합된 간격조절용 연결부; 및 상기 이재용 이동 프레임부에 결합되고 상기 간격조절용 연결부에 연결되며, 상기 간격조절용 연결부를 이동시켜 상기 이재용 단위 그리핑부 각각의 간격을 조절하는 이재용 간격조절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spacing adjusting unit for disposing of materials has a first slit hole for adjusting spacing into which the first protruding member for adjusting spacing formed in each of the unit gripping units for disposing of materials is inserted, and a first link for adjusting spacing connecting the adjacently disposed unit gripping units for disposing of materials. ; a connection part for adjusting the distance coupled to the Lee Jae-yong unit gripping part; and a spacing adjusting driving unit coupled to the moving frame for transferring and connected to the connecting portion for adjusting the spacing, and adjusting the spacing between the gripping units of the transferring unit by moving the connecting portion for adjusting the spacing.

상기 간격조절용 연결부는, 상기 이재용 단위 그리핑부에 결합된 연결용 고정블록; 및 상기 연결용 고정블록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용 회전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nnection part for adjusting the distance may include a connection fixing block coupled to the Lee Jae-yong unit gripping part; And it may include a rotating roller for connection rotatably coupled to the fixing block for connection.

상기 이재용 간격조절 구동부는, 상기 연결용 회전롤러가 배치되며, 상기 연결용 회전롤러의 외주면이 접촉되는 내벽이 형성된 연결용 절개홀이 마련되는 간격조절용 이동블록; 및 상기 간격조절용 이동블록에 결합되어 상기 간격조절용 이동블록을 이동시키는 간격조절용 구동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The spacing adjusting drive unit for transfer includes a moving block for adjusting spacing, in which the connecting rotating roller is disposed, and an inner wall contacting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necting rotating roller is provided with a cutting hole for connecting; And it may include a drive motor for adjusting the spacing coupled to the moving block for adjusting the spacing to move the moving block for adjusting the spacing.

상기 셀 이재장치는, 상기 이재장치 프레임에 지지되고 상기 이재용 핸드유닛의 하부 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이재용 핸드유닛에 파지된 상기 이차전지 셀이 회동되거나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는 이재용 안티 스윙 겸용 안티 드롭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ell transfer device is an anti-swing combined anti-drop unit for transfer that is supported by the transfer device frame and disposed in a lower area of the transfer hand unit, and prevents the secondary battery cell held by the transfer hand unit from rotating or falling. may further include.

상기 이재용 안티 스윙 겸용 안티 드롭유닛은, 상기 이재용 핸드유닛에 파지된 상기 이차전지 셀의 하부 영역에 배치되는 이재용 안티 스윙 겸용 안티 드롭부; 및 상기 이재용 안티 스윙 겸용 안티 드롭부에 연결되며, 상기 이재용 안티 스윙 겸용 안티 드롭부가 상기 물류트레이와 상기 공정트레이 각각의 상부영역에 위치될 수 있도록 상기 이재용 안티 스윙 겸용 안티 드롭부를 제1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안티 스윙 겸용 안티 드롭용 이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Jae-Yong Lee anti-swing anti-drop unit may include an anti-drop unit for Jae-Yong Lee anti-swing and anti-drop disposed in a lower region of the secondary battery cell held by the hand unit for Jae-Yong Lee; and the anti-swing-combining anti-drop part for Lee Jae-yong, the anti-swing-combining anti-drop part for Lee Jae-yong in a first axial direction so that the anti-swing-combining anti-drop part for Lee Jae-yong can be located in an upper region of each of the distribution tray and the process tray. It may include a moving unit for anti-swing and anti-drop to move.

상기 이재용 안티 스윙 겸용 안티 드롭부는, 상기 안티 스윙 겸용 안티 드롭용 이동부에 연결되는 안티 스윙 겸용 안티 드롭용 프레임부; 상기 안티 스윙 겸용 안티 드롭용 프레임부에 상대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이재용 핸드유닛에 파지된 상기 이차전지 셀의 하단부 영역을 차폐하는 다수 개의 안티 스윙 겸용 안티 드롭용 차폐부; 및 상기 안티 스윙 겸용 안티 드롭용 차폐부에 연결되며, 다수 개의 상기 안티 스윙 겸용 안티 드롭용 차폐부 각각의 이격간격을 가변시키는 안티 스윙 겸용 안티 드롭용 간격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anti-swing and anti-drop unit for Lee Jae-yong may include: a frame unit for anti-swing and anti-drop that is connected to the moving unit for anti-swing and anti-drop; a plurality of anti-swing and anti-drop shielding parts connected to the anti-swing and anti-drop frame part to be relatively movable and shielding a lower end area of the secondary battery cell held by the transfer hand unit; and an anti-swing combined anti-drop interval adjusting unit connected to the anti-swing-combined anti-drop shielding unit and varying a distance between each of the plurality of anti-swing-combined anti-drop shielding units.

상기 안티 스윙 겸용 안티 드롭용 차폐부는, 상기 이재용 핸드유닛에 파지된 상기 이차전지 셀의 하단부 영역이 삽입되는 셀 삽입홈이 형성된 차폐용 블록부; 및 상기 차폐용 블록부에 결합되며, 상기 안티 스윙 겸용 안티 드롭용 프레임부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블록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shielding unit for anti-swing and anti-drop may include: a shielding block unit having a cell insertion groove into which a lower portion of the secondary battery cell gripped by the transfer hand unit is inserted; and a block connecting portion coupled to the shielding block portion and slidably coupled to the anti-swing combined anti-drop frame portion.

상기 안티 스윙 겸용 안티 드롭용 간격조절부는, 상기 안티 스윙 겸용 안티 드롭용 차폐부 각각에 형성된 제2 간격조절용 돌출부재가 삽입되는 제2 간격조절용 슬릿홀이 형성되며, 인접하게 배치된 상기 안티 스윙 겸용 안티 드롭용 차폐부를 연결하는 제2 간격조절용 링크; 상기 안티 스윙 겸용 안티 드롭용 차폐부에 결합된 간격조절용 연결 블록부; 및 상기 안티 스윙 겸용 안티 드롭용 프레임부에 결합되고 상기 간격조절용 연결 블록부에 연결되며, 상기 간격조절용 연결 블록부를 이동시켜 상기 안티 스윙 겸용 안티 드롭용 차폐부 각각의 간격을 조절하는 안티 스윙 겸용 안티 드롭용 간격조절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anti-swing-combined anti-drop spacing adjusting part is formed with a second slit hole for spacing adjusting into which a second protruding member for spacing adjusting formed in each of the anti-swing-combining anti-drop shielding parts is inserted, and the anti-swing-combining anti-drop space is disposed adjacent thereto. A second distance adjusting link connecting the drop shield; a connection block for adjusting the distance coupled to the shield for anti-swing and anti-drop; and the anti-swing combined anti-drop anti-swing combination anti-drop coupled to the anti-swing combined anti-drop frame unit and connected to the connection block unit for spacing adjustment, and adjusting the interval between the anti-swing combined anti-drop shielding parts by moving the connection block unit for spacing adjustment. It may include a distance adjustment driving unit for the drop.

본 발명에 따르면, 공정트레이에 수용된 다수 개의 이차전지 셀을 인출하여 충전장치로 공급하고 충전장치에서 이차전지 셀을 수거하여 공정트레이에 인입하는 스태커 크레인장치와, 물류트레이에 수용된 다수 개의 이차전지 셀의 이격간격을 가변시켜 공정트레이로 이재하는 셀 이재장치를 구비함으로써, 물류트레이에 수용된 다수 개의 이차전지 셀의 이격간격을 빠르고 간편하게 가변시켜 충전장치로 전달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stacker crane device for withdrawing a plurality of secondary battery cells accommodated in a process tray, supplying them to a charging device, collecting secondary battery cells from the charging device and introducing them into the process tray, and a plurality of secondary battery cells accommodated in a distribution tray By providing a cell transfer device that transfers the cells to the process tray by varying the spacing of the cells, it is possible to quickly and conveniently change the spacing of the plurality of secondary battery cells accommodated in the distribution tray and transfer them to the charging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스태커 크레인 시스템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스태커 크레인장치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크레인용 핸드모듈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정면도이다.
도 8은 도 5의 크레인용 핸드모듈의 내부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9는 도 6의 A-A선에 따른 단면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0은 도 8의 'B'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7의 크레인용 안티 스윙 겸용 안티 드롭부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12는 도 1의 멀티 스태커 크레인 시스템에 사용되는 물류트레이와 공정트레이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13은 도 1의 셀 이재장치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14는 도 13의 정면도이다.
도 15는 도 13의 평면도이다.
도 16은 도 13의 측면도이다.
도 17은 도 13의 이재용 파지부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18은 도 17의 정면도이다.
도 19는 도 18에서 이재용 단위 그리핑부의 간격이 좁아진 상태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20은 도 17의 측면도이다.
도 21은 도 1의 이재용 안티 스윙 겸용 안티 드롭유닛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22는 도 21의 평면도이다.
도 23은 도 21의 측면도이다.
도 24는 도 21의 차폐용 블록부가 이차전지 셀의 하부영역에 배치된 상태가 도시된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 multi-stacker cran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lan view of Figure 1;
Figure 3 is a side view of Figure 1;
4 is a view showing the stacker crane device of FIG. 1;
Figure 5 is a side view of Figure 4;
6 is a view showing a hand module for a crane of FIG. 5;
Figure 7 is a front view of Figure 6;
Figure 8 is a view showing the inside of the hand module for the crane of Figure 5;
FIG. 9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6 .
FIG. 10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part 'B' of FIG. 8 .
11 is a view showing an anti-swing combined anti-drop portion for a crane of FIG. 7 .
12 is a view showing a logistics tray and a process tray used in the multi-stacker crane system of FIG. 1 .
FIG. 13 is a view showing the cell transfer device of FIG. 1;
Fig. 14 is a front view of Fig. 13;
Fig. 15 is a plan view of Fig. 13;
Fig. 16 is a side view of Fig. 13;
FIG. 17 is a view illustrating the Lee Jae-yong gripper of FIG. 13 .
Fig. 18 is a front view of Fig. 17;
FIG. 19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pacing of Lee Jae-yong's unit gripping parts in FIG. 18 is narrowed.
Fig. 20 is a side view of Fig. 17;
FIG. 21 is a view illustrating an anti-swing combined anti-drop unit for Lee Jae-yong of FIG. 1 .
Fig. 22 is a plan view of Fig. 21;
Fig. 23 is a side view of Fig. 21;
FIG. 24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hielding block unit of FIG. 21 is disposed in a lower region of a secondary battery cell.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In order to fully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and its operational advantages and objectives achieved by the practice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ence should be mad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llustrating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y describing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descriptions of already known functions or configurations will be omitted to clarify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의 도면에서 제1축 방향은 X로 표시하고, 제1축 방향에 교차하는 제2축 방향은 Y로 표시하며, 제1축 방향과 제2축 방향에 교차하는 제3축 방향(세로방향)은 Z로 표시한다.In the following drawings, the first axis direction is indicated by X, the second axis direction crossing the first axis direction is indicated by Y, and the third axis direction (vertical direction) crossing the first axis direction and the second axis direction is indicated by Y. ) is represented by Z.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스태커 크레인 시스템이 도시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평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측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스태커 크레인장치가 도시된 도면이며, 도 5는 도 4의 측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크레인용 핸드모듈이 도시된 도면이며, 도 7은 도 6의 정면도이고, 도 8은 도 5의 크레인용 핸드모듈의 내부가 도시된 도면이며, 도 9는 도 6의 A-A선에 따른 단면이 도시된 도면이고, 도 10은 도 8의 'B'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11은 도 7의 크레인용 안티 스윙 겸용 안티 드롭부가 도시된 도면이고, 도 12는 도 1의 멀티 스태커 크레인 시스템에 사용되는 물류트레이와 공정트레이가 도시된 도면이고, 도 13은 도 1의 셀 이재장치가 도시된 도면이며, 도 14는 도 13의 정면도이고, 도 15는 도 13의 평면도이며, 도 16은 도 13의 측면도이고, 도 17은 도 13의 이재용 파지부가 도시된 도면이며, 도 18은 도 17의 정면도이고, 도 19는 도 18에서 이재용 단위 그리핑부의 간격이 좁아진 상태가 도시된 도면이며, 도 20은 도 17의 측면도이고, 도 21은 도 1의 이재용 안티 스윙 겸용 안티 드롭유닛이 도시된 도면이며, 도 22는 도 21의 평면도이고, 도 23은 도 21의 측면도이며, 도 24는 도 21의 차폐용 블록부가 이차전지 셀의 하부영역에 배치된 상태가 도시된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 multi-stacker cran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lan view of FIG. 1, FIG. 3 is a side view of FIG. 1, and FIG. 4 shows the stacker crane device of FIG. 1 5 is a side view of FIG. 4, FIG. 6 is a view showing the hand module for a crane of FIG. 5, FIG. 7 is a front view of FIG. 6, and FIG. 8 is an inside of the hand module for a crane of FIG. 9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6, FIG. 10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part 'B' of FIG. 8, and FIG. A view showing a swing combined anti-drop unit, FIG. 12 is a view showing a logistics tray and a process tray used in the multi-stacker crane system of FIG. 1, and FIG. 13 is a view showing the cell transfer device of FIG. 1, FIG. Fig. 14 is a front view of Fig. 13, Fig. 15 is a plan view of Fig. 13, Fig. 16 is a side view of Fig. 13, Fig. 17 is a view showing the Lee Jaeyong gripper of Fig. 13, Fig. 18 is a front view of Fig. 17, Fig. 19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gap between gripping parts of Jaeyong Lee unit is narrowed in FIG. 18, FIG. 20 is a side view of FIG. 17, and FIG. 21 is a view showing Jaeyong Lee’s anti-swing combined anti-drop unit of FIG. 1, and FIG. 22 is a plan view of FIG. 21, FIG. 23 is a side view of FIG. 21, and FIG. 24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hielding block unit of FIG. 21 is disposed in the lower region of the secondary battery cell.

본 실시예에 따른 멀티 스태커 크레인 시스템은, 도 1 내지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프레임(MP)과, 제1 충전장치(100)와, 제2 충전장치(200)와, 스태커 크레인장치(300)와, 셀 이재장치(400)를 포함한다. As shown in FIGS. 1 to 24, the multi-stacker cran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main frame MP, a first charging device 100, a second charging device 200, and a stacker crane device. 300, and a cell transfer device 400.

메인 프레임(MP)은 다수 개의 기둥과 보가 연결된 다층구조로 형성된다. 이러한 메인 프레임(MP)의 각 층에는 제1 충전장치(100)와, 제2 충전장치(200)와, 스태커 크레인장치(300)와, 셀 이재장치(400)가 배치된다.The main frame (MP) is formed of a multi-layered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pillars and beams are connected. A first charging device 100, a second charging device 200, a stacker crane device 300, and a cell transfer device 400 are disposed on each floor of the main frame MP.

제1 충전장치(100)와 제2 충전장치(200)는 메인 프레임(MP)에 지지된다. 이러한 제1 충전장치(100)와 제2 충전장치(200)는 방전 상태로 조립된 이차전지 셀을 충전하여 활성화시켜는 화성(formation) 공정에 사용되는 장치로써, 스태커 크레인장치(300)로부터 이차전지 셀을 공급받아 이차전지 셀을 충전한다. The first charging device 100 and the second charging device 200 are supported on the main frame MP. The first charging device 100 and the second charging device 200 are devices used in a formation process for charging and activating secondary battery cells assembled in a discharged state, and the secondary battery cells from the stacker crane device 300 The battery cell is supplied and the secondary battery cell is charged.

본 실시예에서 제1 충전장치(100)와 제2 충전장치(20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축 방향(Y)으로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되어 배치된다.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charging device 100 and the second charging device 20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second axis direction Y, as shown in FIGS. 1 to 3 .

제1 충전장치(100)와 제2 충전장치(200)는 다수 개로 마련되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축 방향(X)으로 상호 이격되어 배치된다. 또한, 제1 충전장치(100)와 제2 충전장치(200)는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 개로 마련되어 제3축 방향(Z)인 세로방향으로 상호 이격되어 배치된다.The first charging device 100 and the second charging device 200 are provided in plurality and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first axis direction X as shown in FIGS. 1 and 2 . In addition, the first charging device 100 and the second charging device 200 are provided in multiple numbers as shown in FIGS. 1 and 3 and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third axis direction (Z).

제1 충전장치(100)와 제2 충전장치(200)는 사각의 박스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1 충전장치(100)와 제2 충전장치(200)에는 이차전지 셀이 삽입되는 충전창지용 안착홈(미도시)이 형성된다. The first charging device 100 and the second charging device 200 are formed in a rectangular box shape, and the first charging device 100 and the second charging device 200 have a seat for a rechargeable battery into which a secondary battery cell is inserted. A groove (not shown) is formed.

제1 충전장치(100)와 제2 충전장치(200) 각각의 상단부에는,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할 얼라인용 가이드부(334)의 얼라인용 가이드 홈(334c)에 삽입되는 얼라인용 가이드 핀(P)이 마련된다. 도 8에서는 도시의 편의를 위해 제1 충전장치(100)와 제2 충전장치(200)의 일부만을 간력화하여 도시하였다. As shown in FIGS. 1 and 3, the upper ends of each of the first charging device 100 and the second charging device 200 are inserted into guide grooves 334c for alignment of the guide portion 334 for alignment,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 guide pin P for alignment is provided. In FIG. 8, only parts of the first charging device 100 and the second charging device 200 are simplified and shown for convenience of illustration.

스태커 크레인장치(300)는, 메인 프레임(MP)에 지지되며, 제1 충전장치(100)와 제2 충전장치(200)의 사이에 배치된다. 이러한 스태커 크레인장치(300)는 제1 충전장치(100)와 제2 충전장치(200) 각각에 이차전지 셀을 공급하고 제1 충전장치(100)와 제2 충전장치(200) 각각에서 이차전지 셀을 수거한다. The stacker crane device 300 is supported by the main frame MP and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charging device 100 and the second charging device 200. The stacker crane device 300 supplies secondary battery cells to each of the first charging device 100 and the second charging device 200, and the secondary battery in each of the first charging device 100 and the second charging device 200. pick up the cell

본 실시예에서 스태커 크레인장치(300)는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 개로 마련되어 세로방향(Z)으로 상호 이격되어 배치된다.In this embodiment, as shown in FIGS. 1 and 3, the stacker crane device 300 is provided in multiple pieces and i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vertical direction (Z).

스태커 크레인장치(30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프레임(MP)에 결합된 주행레일(미도시)을 따라 주행하는 크레인용 주행유닛(310)과, 크레인용 주행유닛(310)에 지지되고 다수 개의 이차전지 셀을 파지하는 크레인용 핸드유닛(320)과, 크레인용 주행유닛(310)에 결합되고 크레인용 핸드유닛(320)에 연결되며, 크레인용 핸드유닛(320)을 세로방향(Z)으로 이동시키는 크레인용 업/다운(up/down) 이동유닛(360)을 포함한다.As shown in FIGS. 4 and 5, the stacker crane device 300 includes a crane travel unit 310 traveling along a travel rail (not shown) coupled to the main frame MP, and a crane travel unit. The crane hand unit 320 supported by the 310 and gripping a plurality of secondary battery cells, coupled to the crane driving unit 310 and connected to the crane hand unit 320, the crane hand unit 320 ) includes an up/down moving unit 360 for a crane that moves the vertical direction (Z).

즉, 크레인용 주행유닛(310)은 메인 프레임(MP)에 결합되고 제1 충전장치(100)와 제2 충전장치(200)의 사이에 배치된 주행레일(미도시)을 따라 주행한다. 본 실시예에서 크레인용 주행유닛(310)에는 이동을 위한 구동수단(미도시)이 마련된다.That is, the driving unit 310 for a crane is coupled to the main frame MP and travels along a driving rail (not shown) disposed between the first charging device 100 and the second charging device 200 . In this embodiment, the driving unit 310 for the crane is provided with a driving means (not shown) for movement.

크레인용 업/다운(up/down) 이동유닛(360)은 크레인용 주행유닛(310)에 결합된다. 이러한 크레인용 업/다운(up/down) 이동유닛(360)은 크레인용 핸드유닛(320)에 연결되어 크레인용 핸드유닛(320)을 세로방향(제3축 방향(Z))으로 이동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크레인용 업/다운(up/down) 이동유닛(360)은 볼스크류 방식의 리니어모터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up/down movement unit 360 for the crane is coupled to the driving unit 310 for the crane. The crane up/down movement unit 360 is connected to the crane hand unit 320 to move the crane hand unit 320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third axis direction Z). In this embodiment, the up/down movement unit 360 for a crane may be formed of a linear motor of a ball screw type.

크레인용 핸드유닛(320)은 크레인용 업/다운(up/down) 이동유닛(360)에 결합되어 크레인용 주행유닛(310)에 지지된다. 이러한 크레인용 핸드유닛(320)은 다수 개의 이차전지 셀을 파지한다.The hand unit 320 for a crane is coupled to an up/down movement unit 360 for a crane and supported by a driving unit 310 for a crane. The hand unit 320 for a crane grips a plurality of secondary battery cells.

본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용 핸드유닛(320)은, 도 4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차전지 셀을 파지하는 크레인용 핸드모듈(330)과, 크레인용 업/다운(up/down) 이동유닛(360)에 결합되고 크레인용 핸드모듈(330)에 연결되며 크레인용 핸드모듈(330)을 제2축 방향(Y)으로 이동시키는 크레인용 포크모듈(340)을 포함한다.As shown in Figs. It is coupled to the moving unit 360 and connected to the crane hand module 330 and includes a crane fork module 340 for moving the crane hand module 330 in the second axial direction (Y).

크레인용 포크모듈(340)은 크레인용 핸드모듈(330)을 제2축 방향(Y)으로 이동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크레인용 포크모듈(340)은 텔레스코픽(telescopic) 다단 아암의 구조로 구성되는데, 이와 달리 단일 아암으로 구성되어도 무방하다.The crane fork module 340 moves the crane hand module 330 in the second axial direction (Y). In this embodiment, the fork module 340 for a crane is composed of a telescopic multi-arm structure, but unlike this, it may be composed of a single arm.

이러한 크레인용 포크모듈(340)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레인용 업/다운(up/down) 이동유닛(360)에 결합되는 포크모듈용 고정 아암부(341)와, 포크모듈용 고정 아암부(341)에 상대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포크모듈용 제1 이동 아암부(342)와, 포크모듈용 제1 이동 아암부(342)에 상대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크레인용 핸드모듈(330)이 결합되는 포크모듈용 제2 이동 아암부(343)와, 포크모듈용 제1 이동 아암부(342)에 연결되어 포크모듈용 제1 이동 아암부(342)를 이동시키는 제1 아암 이동부(344)와, 포크모듈용 제2 이동 아암부(343)에 연결되어 포크모듈용 제2 이동 아암부(343)를 이동시키는 제2 아암 이동부(345)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S. 4 and 5, the fork module 340 for a crane includes a fixed arm portion 341 for a fork module coupled to an up/down moving unit 360 for a crane, The first moving arm portion 342 for fork module connected to the fixed arm portion 341 for fork module to be movable relative to the first moving arm portion 342 for fork module, and the hand for crane connected to the first moving arm portion 342 for relatively movable connection The first movement arm 343 for the fork module to which the module 330 is coupled is connected to the first movement arm 342 for the fork module and moves the first movement arm 342 for the fork module. It includes an arm moving unit 344 and a second arm moving unit 345 that is connected to the second moving arm unit 343 for fork module and moves the second moving arm unit 343 for fork module.

포크모듈용 제1 이동 아암부(342)는 포크모듈용 고정 아암부(341)에 장착된 가이드 레일(G)에 의해 포크모듈용 고정 아암부(341)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포크모듈용 제2 이동 아암부(343)는 포크모듈용 제1 이동 아암부(342)에 장착된 가이드 레일(G)에 의해 포크모듈용 제1 이동 아암부(342)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The first moving arm portion 342 for fork module is coupled to the fixed arm portion 341 for fork module in a sliding manner by a guide rail G mounted on the fixed arm portion 341 for fork module. In addition, the second moving arm unit 343 for fork module can be slidably moved to the first moving arm unit 342 for fork module by the guide rail G mounted on the first moving arm unit 342 for fork module. are tightly coupled

제1 아암 이동부(344)는 포크모듈용 제1 이동 아암부(342)를 이동시킨다. 이러한 제1 아암 이동부(344)는, 포크모듈용 제1 이동 아암부(342)의 하단부 영역에 결합된 제1 아암 이동용 랙기어(344a)와, 포크모듈용 고정 아암부(341)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제1 아암 이동용 랙기어(344a)에 치합되는 제1 아암 이동용 피니언기어(344b)와, 포크모듈용 고정 아암부(341)에 장착되며 제1 아암 이동용 피니언기어(344b)를 회전시키는 제1 아암 이동용 구동모터(미도시)를 포함한다. The first arm moving unit 344 moves the first moving arm unit 342 for the fork module. The first arm moving unit 344 rotates between the first arm moving rack gear 344a coupled to the lower end region of the first moving arm unit 342 for fork module and the fixed arm unit 341 for fork module. The pinion gear 344b for moving the first arm that is capable of being coupled and meshed with the rack gear 344a for moving the first arm, and the pinion gear 344b for moving the first arm that is mounted on the fixed arm part 341 for the fork module rotates It includes a driving motor (not shown) for moving the first arm.

제1 아암 이동용 구동모터(미도시)의 동작에 의해 제1 아암 이동용 피니언기어(344b)가 회전되고 제1 아암 이동용 피니언기어(344b)의 회전에 의해 포크모듈용 제1 이동 아암부(342)가 전진 및 후진한다.The pinion gear 344b for moving the first arm is rotated by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motor (not shown) for moving the first arm, and the first moving arm 342 for the fork module is rotated by the rotation of the pinion gear 344b for moving the first arm. goes forward and backward

제2 아암 이동부(345)는 포크모듈용 제2 이동 아암부(343)를 이동시킨다. 이러한 제2 아암 이동부(345)는, 포크모듈용 고정 아암부(341)에 결합되는 고정 아암용 랙기어(345b)와, 포크모듈용 제2 이동 아암부(343)의 상단부 영역에 결합된 제2 아암 이동용 랙기어(345a)와, 포크모듈용 제1 이동 아암부(342)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고정 아암용 랙기어(345b)에 치합되는 제2 아암 이동용 주동 피니언기어(345c)와, 포크모듈용 제1 이동 아암부(342)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제2 아암 이동용 주동 피니언기어(345c)에 연결되어 회전력을 전달받으며 제2 아암 이동용 랙기어(345a)에 치합되는 제2 아암 이동용 종동 피니언기어(345d)를 포함한다.The second arm moving unit 345 moves the second moving arm unit 343 for the fork module. The second arm moving unit 345 is coupled to the rack gear 345b for the fixed arm coupled to the fixed arm unit 341 for the fork module and to the upper region of the second moving arm unit 343 for the fork module. The rack gear 345a for moving the second arm and the main pinion gear 345c for moving the second arm rotatably coupled to the first moving arm unit 342 for the fork module and meshed with the rack gear 345b for the fixed arm, , The second arm rotatably coupled to the first moving arm portion 342 for the fork module, connected to the main pinion gear 345c for moving the second arm, receiving rotational force, and engaged with the rack gear 345a for moving the second arm. It includes a driven pinion gear 345d for movement.

고정 아암용 랙기어(345b)에 치합되는 제2 아암 이동용 주동 피니언기어(345c)는, 포크모듈용 제1 이동 아암부(342)가 전진 및 후진에 의해 회전된다. 이러한 제2 아암 이동용 주동 피니언기어(345c)의 회전력은 별도의 연결기어(미도시)를 통해 제2 아암 이동용 종동 피니언기어(345d)로 전달되어 제2 아암 이동용 종동 피니언기어(345d)가 회전된다. 제2 아암 이동용 종동 피니언기어(345d)의 회전력은 제2 아암 이동용 랙기어(345a)를 통해 포크모듈용 제2 이동 아암부(343)에 전달되어 포크모듈용 제2 이동 아암부(343)가 포크모듈용 제1 이동 아암부(342)에 대해 상대이동될 수 있다. The main pinion gear 345c for moving the second arm meshed with the rack gear 345b for the fixed arm is rotated by th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of the first moving arm 342 for the fork module. The rotational force of the main pinion gear 345c for moving the second arm is transmitted to the driven pinion gear 345d for moving the second arm through a separate connecting gear (not shown), and the driven pinion gear 345d for moving the second arm is rotated. . The rotational force of the driven pinion gear 345d for moving the second arm is transmitted to the second moving arm 343 for fork module through the rack gear 345a for moving the second arm, so that the second moving arm 343 for fork module It can be moved relative to the first moving arm 342 for the fork module.

본 실시예에서 제1 아암 이동부(344)와, 제2 아암 이동부(345)의 구성은 하나의 예시이고 포크모듈용 제2 이동 아암부(343)를 포크모듈용 제1 이동 아암부(342)에 대해 상대이동시킬 수 있는 당업자에게 자명한 구성이 본 실시예의 크레인용 포크모듈(340)에 적용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configuration of the first arm moving unit 344 and the second arm moving unit 345 is an example, and the second moving arm unit 343 for the fork module is the first moving arm unit for the fork module ( 342) can be applied to the fork module 340 for a crane of this embodiment.

한편, 크레인용 핸드모듈(330)은 이차전지 셀을 파지한다. 이러한 크레인용 핸드모듈(330)은, 도 6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레인용 포크모듈(340)에 결합되는 크레인 핸드모듈용 고정프레임부(331)와, 크레인 핸드모듈용 고정프레임부(331)에 상대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크레인 핸드모듈용 이동프레임부(332)와, 크레인 핸드모듈용 이동프레임부(332)에 지지되며 이차전지 셀을 파지하는 크레인용 파지부(333)와, 크레인 핸드모듈용 이동프레임부(332)에 연결되며 제1 충전장치(100)와 제2 충전장치(200) 각각에 마련된 얼라인용 가이드 핀(P)이 삽입되는 얼라인용 가이드 홈(334c)이 형성된 얼라인용 가이드부(334)와, 크레인 핸드모듈용 고정프레임부(331)에 결합되고 크레인 핸드모듈용 이동프레임부(332)에 연결되며 크레인 핸드모듈용 이동프레임부(332)에 전자기적으로 상호작용하여 크레인 핸드모듈용 이동프레임부(332)의 이동을 제한하는 오토 센터링부(335)와, 크레인 핸드모듈용 이동프레임부(332)에 지지되며 크레인용 파지부(333)에 파지된 이차전지 셀이 회동되거나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는 크레인용 안티 스윙 겸용 안티 드롭부(336)를 포함한다.Meanwhile, the hand module 330 for a crane grips the secondary battery cell. As shown in FIGS. 6 to 11, the crane hand module 330 includes a crane hand module fixed frame part 331 coupled to the crane fork module 340, and a crane hand module fixed frame part. A movable frame part 332 for a crane hand module that is supported so as to be movable relative to (331), a grip part 333 for a crane that is supported by the movable frame part 332 for a crane hand module and grips a secondary battery cell, It is connected to the moving frame part 332 for the crane hand module and has a guide groove 334c for alignment into which guide pins P for alignment provided in each of the first charging device 100 and the second charging device 200 are inserted. It is coupled to the guide part 334 for alignment and the fixed frame part 331 for the crane hand module, connected to the movable frame part 332 for the crane hand module, and electromagnetically mutual to the movable frame part 332 for the crane hand module. The secondary battery supported by the auto centering unit 335 and the moving frame unit 332 for the crane hand module that act to limit the movement of the moving frame unit 332 for the crane hand module and are held by the gripping unit 333 for the crane It includes an anti-swing anti-drop unit 336 for a crane that prevents the cell from rotating or falling.

크레인 핸드모듈용 고정프레임부(331)는 크레인용 포크모듈(340)의 포크모듈용 제2 이동 아암부(343)에 결합된다. 이러한 크레인 핸드모듈용 고정프레임부(331)는 크레인 핸드모듈용 이동프레임부(332)의 후술할 크레인 핸드모듈용 이동프레임 본체(332a)에 형성된 오토 센터링용 관통홀(332b)을 관통하여 후술할 크레인 핸드모듈용 이동프레임 본체(332a)의 내벽에 연결된다.The fixed frame part 331 for the crane hand module is coupled to the second moving arm part 343 for the fork module of the fork module 340 for the crane. The fixed frame part 331 for the crane hand module passes through the through-hole 332b for auto centering formed in the moving frame body 332a for the crane hand module,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of the moving frame part 332 for the crane hand module,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t is connected to the inner wall of the moving frame body 332a for the crane hand module.

본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 핸드모듈용 고정프레임부(331)에는, 내부에 후술할 오토 센터링용 전자석(335a)이 배치되며 크레인 핸드모듈용 이동프레임부(332)에 형성된 후술할 오토 센터링용 돌출부재(332c)가 삽입되는 오토 센터링용 삽입홈(331a)이 형성된다. In the fixed frame part 331 for the crane hand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n electromagnet 335a for auto centering,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s disposed therein, and a protruding member for auto centering,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formed on the movable frame part 332 for the crane hand module. An insertion groove 331a for auto centering into which 332c is inserted is formed.

크레인 핸드모듈용 이동프레임부(332)는 크레인 핸드모듈용 고정프레임부(331)에 상대이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The movable frame part 332 for the crane hand module is connected to the fixed frame part 331 for the crane hand module to be relatively movable.

본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 핸드모듈용 이동프레임부(332)는, 도 6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레인 핸드모듈용 고정프레임부(331)에 상대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크레인 핸드모듈용 이동프레임 본체(332a)와, 크레인 핸드모듈용 이동프레임 본체(332a)에 결합되며 크레인용 파지부(333)가 연결되어 크레인용 파지부(333)를 세로방향(Z)으로 이동시키는 크레인 파지부용 업/다운부(미도시)와, 크레인 파지부용 업/다운부(미도시)에 결합되고 크레인용 파지부(333)가 연결되어 2열의 크레인용 파지부(333)들 사이의 간격을 조정하는 크레인용 잡 체인저(미도시)를 포함한다. As shown in FIGS. 6 to 10, the movable frame unit 332 for the crane hand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coupled to the fixed frame unit 331 for the crane hand module for relative movement. It is coupled to the frame body 332a and the moving frame body 332a for the crane hand module, and the crane gripping part 333 is connected to the crane gripping part 333 for moving the crane gripping part 333 in the vertical direction Z. A crane that is coupled to the down part (not shown) and the up/down part (not shown) for the crane gripping part and the crane gripping part 333 is connected to adjust the distance between the two rows of crane gripping parts 333 It includes a dragon job changer (not shown).

크레인 핸드모듈용 이동프레임 본체(332a)는 내부가 중공되며 하단부가 개구된 사각의 박스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크레인 핸드모듈용 이동프레임 본체(332a)의 양측벽에는 크레인 핸드모듈용 고정프레임부(331)가 관통하는 4개의 오토 센터링용 관통홀(332b)이 형성된다. The mobile frame body 332a for the crane hand module is formed in a rectangular box shape with a hollow inside and an open lower end. Four auto-centering through-holes 332b through which the fixed frame portion 331 for the crane hand module passes are formed on both side walls of the movable frame body 332a for the crane hand module.

크레인 핸드모듈용 이동프레임 본체(332a)의 내벽면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토 센터링용 돌출부재(332c)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오토 센터링용 돌출부재(332c)는 오토 센터링부(335)의 후술할 오토 센터링용 전자석(335a)에 접촉된다. 본 실시예에서 오토 센터링용 돌출부재(332c)는 자기력에 상호작용하는 철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9, a protruding member 332c for auto-centering protrudes from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moving frame body 332a for the crane hand module. The protruding member 332c for auto-centering is in contact with an electromagnet 335a for auto-centering,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of the auto-centering unit 335. In this embodiment, the protruding member 332c for auto centering may be made of an iron material that interacts with magnetic force.

크레인 파지부용 업/다운부(미도시)는 크레인 핸드모듈용 이동프레임 본체(332a)에 결합되며 크레인용 잡 체인저(미도시)에 연결되어 크레인용 파지부(333)를 세로방향(제3축 방향(Z))으로 이동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크레인 파지부용 업/다운부(미도시)는 볼스크류 방식의 리니어모터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up/down part (not shown) for the crane gripping part is coupled to the moving frame body 332a for the crane hand module and is connected to the crane job changer (not shown) to move the crane gripping part 333 in the vertical direction (third axis). direction (Z)). In this embodiment, the up/down part (not shown) for the crane gripping part may be formed of a linear motor of a ball screw type.

크레인용 잡 체인저(미도시)는 크레인 파지부용 업/다운부(미도시)에 결합된다. 이러한 크레인용 잡 체인저(미도시)에는 크레인용 파지부(333)가 연결된다. 후술하겠지만 본 실시예에서 크레인용 파지부(333)는 이차전지 셀의 양측 모서리를 파지할 수 있도록 제2축 방향(Y)으로 이격되어 2열 배치된다. 크레인용 잡 체인저(미도시)는 2열로 배치된 크레인용 파지부(333) 각각에 연결되어 크레인용 파지부(333) 각각을 제2축 방향(Y)으로 이동시켜 2열로 배치의 크레인용 파지부(333)들 사이의 간격을 조정할 수 있다. A job changer (not shown) for a crane is coupled to an up/down portion (not shown) for a crane gripping part. The crane gripper 333 is connected to the crane job changer (not shown). As will be described later, in this embodiment, the gripping parts 333 for cranes are spaced apart in the second axial direction (Y) and disposed in two rows so as to grip both edges of the secondary battery cells. The crane job changer (not shown) is connected to each of the crane gripping parts 333 arranged in two rows and moves each of the crane gripping parts 333 in the second axial direction (Y) so as to move the crane grippers arranged in two rows. Spacing between branches 333 may be adjusted.

이러한 잡 체인저(미도시)에 의해 제2축 방향(Y)으로 2열로 이격되어 배치된 크레인용 파지부(333)들 사이의 간격이 조정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이차전지 셀의 다양한 길이(제2축 방향(Y)의 길이)에 상응하게 2열로 배치의 크레인용 파지부(333)들 사이의 간격이 조정되어 다양한 크기의 이차전지 셀이 용이하게 파지될 수 있다. By such a job changer (not shown), the distance between the crane gripping parts 333 spaced apart in two rows in the second axial direction (Y) can be adjusted, and accordingly, various lengths of the secondary battery cells (second The distance between the gripping parts 333 for cranes arranged in two rows is adjusted corresponding to the length in the axial direction (Y), so that secondary battery cells of various sizes can be easily gripped.

본 실시예에서 크레인용 잡 체인저(미도시)는 볼스크류 방식의 리니어모터로 이루어질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crane job changer (not shown) may be formed of a ball screw type linear motor.

크레인용 파지부(333)는 크레인 핸드모듈용 이동프레임부(332)의 크레인용 잡 체인저(미도시)에 결합된다. 이러한 크레인용 파지부(333)는 이차전지 셀을 파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크레인용 파지부(333)는 이차전지 셀의 양측 모서리를 파지할 수 있도록 한 쌍으로 마련되어 제2축 방향(Y)으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The gripping part 333 for the crane is coupled to the crane job changer (not shown) of the moving frame part 332 for the crane hand module. The gripping part 333 for the crane grips the secondary battery cell. As described above, the gripping parts 333 for cranes are provided in a pair so as to grip both edges of the secondary battery cells and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second axial direction (Y).

본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용 파지부(333)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레인 핸드모듈용 이동프레임부(332)에 연결되는 크레인용 파지 브라켓(333a)과, 크레인용 파지 브라켓(333a)에 결합되는 다수 개의 크레인용 단위 그리핑부(333b)를 포함한다. As shown in FIG. 8, the crane gripping unit 333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crane gripping bracket 333a connected to the moving frame unit 332 for a crane hand module, and a crane gripping bracket 333a. ) and includes a plurality of crane unit gripping parts 333b coupled to.

크레인용 파지 브라켓(333a)은 크레인 핸드모듈용 이동프레임부(332)의 크레인용 잡 체인저(미도시)에 결합된다. The crane holding bracket 333a is coupled to the crane job changer (not shown) of the moving frame unit 332 for the crane hand module.

크레인용 단위 그리핑부(333b)는 다수 개로 마련되어 크레인용 파지 브라켓(333a)에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용 단위 그리핑부(333b)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는 한 쌍의 크레인용 그리퍼(333c)와, 크레인용 파지 브라켓(333a)에 결합되고 한 쌍의 크레인용 그리퍼(333c)에 연결되며 한 쌍의 크레인용 그리퍼(333c) 각각을 상호 접근 및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크레인 그리퍼용 액츄에이터(333d)를 포함한다.A plurality of unit gripping parts 333b for cranes are provided and coupled to the gripping bracket 333a for cranes. As shown in FIG. 8, the crane unit gripping part 333b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coupled to a pair of crane grippers 333c dispos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a crane gripping bracket 333a, It is connected to the pair of grippers for cranes 333c and includes actuators for crane grippers 333d for moving each of the pair of grippers for cranes 333c in a mutually approaching and spaced direction.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는 한 쌍의 크레인용 그리퍼(333c)의 사이에는 이차전지 셀의 상단부 영역이 배치될 수 있다.An upper end region of a secondary battery cell may be disposed between the pair of grippers 333c for a crane that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크레인 그리퍼용 액츄에이터(333d)는 크레인용 파지 브라켓(333a)에 결합되어 한 쌍의 크레인용 그리퍼(333c) 각각을 상호 접근 및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한 쌍의 크레인용 그리퍼(333c)가 이차전지 셀을 파지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 크레인 그리퍼용 액츄에이터(333d)는 가압 실린더로 이루어진다.The crane gripper actuator 333d is coupled to the crane gripping bracket 333a and moves each pair of crane grippers 333c in a mutually approaching and spaced direction so that the pair of crane grippers 333c is a secondary battery to grip the cell. In this embodiment, the actuator 333d for the crane gripper is made of a pressure cylinder.

얼라인용 가이드부(334)는 크레인 핸드모듈용 이동프레임부(332)의 크레인 핸드모듈용 이동프레임 본체(332a)에 결합된다. 이러한 얼라인용 가이드부(334)에는 제1 충전장치(100)와 제2 충전장치(200) 각각의 상단부에 결합된 얼라인용 가이드 핀(P)이 삽입되는 얼라인용 가이드 홈(334c)이 형성된다. The alignment guide part 334 is coupled to the moving frame body 332a for the crane hand module of the moving frame part 332 for the crane hand module. A guide groove 334c for alignment is formed in the guide portion 334 for alignment into which guide pins P for alignment coupled to the upper ends of each of the first charging device 100 and the second charging device 200 are inserted. .

본 실시예에 따른 얼라인용 가이드부(334)는, 도 7, 도 8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레인 핸드모듈용 이동프레임부(332)에 결합되며 얼라인용 가이드 홈(334c)이 형성된 가이드 봉 몸체(334a)와, 가이드 봉 몸체(334a)의 하단부 영역에 마련되며 얼라인용 가이드 홈(334c)에 연통되는 삽입 유도홀(334d)이 형성된 가이드 봉 헤드(334b)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S. 7, 8 and 10, the alignment guide unit 334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coupled to the moving frame unit 332 for the crane hand module and has a guide groove 334c for alignment. It includes a guide rod body 334a and a guide rod head 334b provided at a lower end of the guide rod body 334a and having an insertion guide hole 334d communicating with the guide groove 334c for alignment.

가이드 봉 몸체(334a)는 길이가 긴 봉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가이드 봉 몸체(334a)의 상단부는 크레인 핸드모듈용 이동프레임 본체(332a)에 결합되며, 가이드 봉 몸체(334a)의 내부에는 얼라인용 가이드 홈(334c)이 형성된다. The guide rod body 334a is formed in a long rod shape. The upper end of the guide rod body 334a is coupled to the moving frame body 332a for the crane hand module, and a guide groove 334c for alignment is formed inside the guide rod body 334a.

가이드 봉 헤드(334b)는 가이드 봉 몸체(334a)의 하단부 영역에 결합된다. 이러한 가이드 봉 헤드(334b)에는 얼라인용 가이드 홈(334c)에 연통되는 삽입 유도홀(334d)이 형성된다. The guide rod head 334b is coupled to the lower end area of the guide rod body 334a. An insertion guide hole 334d communicating with the guide groove 334c for alignment is formed in the guide bar head 334b.

삽입 유도홀(334d)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측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내경이 작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삽입 유도홀(334d)이 하측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내경이 작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얼라인용 가이드 핀(P)이 얼라인용 가이드 홈(334c)에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유도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10, the insertion guide hole 334d is formed in a shape in which the inner diameter decreases from the lower side to the upper side. In this way, since the insertion guide hole 334d is formed in a shape in which the inner diameter decreases from the lower side to the upper side, the guide pin P for alignment can be guided to be easily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334c for alignment.

오토 센터링부(335)는 크레인 핸드모듈용 고정프레임부(331)에 결합되고 크레인 핸드모듈용 이동프레임부(332)에 연결된다. 이러한 오토 센터링부(335)는 크레인 핸드모듈용 이동프레임부(332)에 전자기적으로 상호작용하여 크레인 핸드모듈용 이동프레임부(332)의 이동을 제한한다. The auto centering unit 335 is coupled to the fixed frame unit 331 for the crane hand module and connected to the moving frame unit 332 for the crane hand module. The auto centering unit 335 electromagnetically interacts with the moving frame unit 332 for the crane hand module to limit the movement of the moving frame unit 332 for the crane hand module.

오토 센터링부(335)는, 크레인 핸드모듈용 이동프레임부(332)에 접촉되며 크레인 핸드모듈용 이동프레임부(332)에 자기력을 인가하는 오토 센터링용 전자석(335a)을 포함한다. The auto centering unit 335 includes an electromagnet 335a for auto centering that contacts the moving frame unit 332 for the crane hand module and applies magnetic force to the moving frame unit 332 for the crane hand module.

오토 센터링용 전자석(335a)은 크레인 핸드모듈용 고정프레임부(331)의 오토 센터링용 삽입홈(331a)의 내부에 배치된다. 오토 센터링용 전자석(335a)의 상부면에는 오토 센터링용 돌출부재(332c)가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연결된다.The electromagnet 335a for auto-centering is disposed inside the insertion groove 331a for auto-centering of the fixed frame part 331 for the crane hand module. A protruding member 332c for auto-centering is slidably connect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electromagnet 335a for auto-centering.

오토 센터링용 삽입홈(331a)의 내경은 오토 센터링용 돌출부재(332c)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오토 센터링용 돌출부재(332c)가 오토 센터링용 삽입홈(331a)의 내부에서 수평방향으로 소정거리만큼 이동될 수 있다. 이러한 오토 센터링용 돌출부재(332c)의 이동은 크레인 핸드모듈용 이동프레임부(332) 전체의 이동과 같은 것으로, 얼라인용 가이드부(334)에 의해 크레인 핸드모듈용 이동프레임부(332)가 제1 충전장치(100) 및 제2 충전장치(200) 각각에 얼라인되는 과정에서 크레인 핸드모듈용 이동프레임부(332)의 수평이동이 이루어진다. 크레인 핸드모듈용 이동프레임부(332)가 제1 충전장치(100) 및 제2 충전장치(200) 각각에 얼라인되는 과정에서는 오토 센터링용 전자석(335a)에서 자기력을 인가하지 하지 않아 오토 센터링용 돌출부재(332c)가 오토 센터링용 삽입홈(331a)의 내부에서 수평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될 수 있다.The inner diameter of the insertion groove 331a for auto centering is larg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protrusion member 332c for auto centering, so that the protrusion member 332c for auto centering is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from the inside of the insertion groove 331a for auto centering. can be moved as much as The movement of the protruding member 332c for auto centering is the same as the movement of the entire moving frame part 332 for the crane hand module, and the moving frame part 332 for the crane hand module is controlled by the guide part 334 for alignment. In the process of being aligned with each of the first charging device 100 and the second charging device 200, the moving frame unit 332 for the crane hand module is horizontally moved. In the process of aligning the movable frame part 332 for the crane hand module with each of the first charging device 100 and the second charging device 200, the electromagnet 335a for auto centering does not apply magnetic force, so that auto centering The protruding member 332c can freely mov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nside the insertion groove 331a for auto centering.

크레인 핸드모듈용 이동프레임부(332)가 제1 충전장치(100) 및 제2 충전장치(200) 각각에 얼라인된 후, 즉, 얼라인용 가이드 핀(P)이 삽입되는 얼라인용 가이드 홈(334c)에 삽입된 후에는 오토 센터링용 전자석(335a)에서 자기력을 인가함으로써, 오토 센터링용 전자석(335a)의 자기력에 의해 오토 센터링용 돌출부재(332c)가 오토 센터링용 전자석(335a)에 고정되어 오토 센터링용 돌출부재(332c)가 오토 센터링용 삽입홈(331a)의 내부에서 수평방향으로 이동되지 않는다.After the movable frame part 332 for the crane hand module is aligned with each of the first charging device 100 and the second charging device 200, that is, the guide groove for alignment into which the guide pin P for alignment is inserted ( 334c), by applying magnetic force from the electromagnet 335a for auto-centering, the protruding member 332c for auto-centering is fixed to the electromagnet 335a for auto-centering by the magnetic force of the electromagnet 335a for auto-centering. The protruding member 332c for auto-centering does not move horizontally inside the insertion groove 331a for auto-centering.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 핸드모듈용 이동프레임부(332)에 전자기적으로 상호작용하여 크레인 핸드모듈용 이동프레임부(332)의 이동을 제한하는 오토 센터링부(335)를 구비함으로써, 크레인 핸드모듈용 이동프레임부(332)에 대한 수평방향의 이동허용 및 이동제한이 용이하게 전환될 수 있고, 그에 따라 크레인 핸드모듈용 이동프레임부(332)의 오토 센터링 및 얼라인이 빠르고 간편하게 수행될 수 있다.In this way, by providing an auto centering unit 335 that electromagnetically interacts with the moving frame unit 332 for the crane hand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o limit the movement of the moving frame unit 332 for the crane hand module, the crane Allowing and restricting movemen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movable frame part 332 for the hand module can be easily switched, and accordingly, auto centering and alignment of the movable frame part 332 for the crane hand module can be performed quickly and simply. can

크레인용 안티 스윙 겸용 안티 드롭부(336)는 크레인 핸드모듈용 이동프레임부(332)에 지지된다. 이러한 크레인용 안티 스윙 겸용 안티 드롭부(336)는 크레인용 파지부(333)에 파지된 이차전지 셀이 회동되거나 추락하는 것을 방지한다. 본 실시예에서 크레인용 안티 스윙 겸용 안티 드롭부(336)는 한 쌍으로 마련되어 제2축 방향(Y)으로 상호 이격되어 배치된다. The crane anti-swing combined anti-drop unit 336 is supported by the moving frame unit 332 for the crane hand module. The crane anti-swing combined anti-drop part 336 prevents the secondary battery cell gripped by the crane gripping part 333 from rotating or falling. In this embodiment, anti-swing anti-drop parts 336 for cranes are provided as a pair and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second axial direction (Y).

크레인용 안티 스윙 겸용 안티 드롭부(336)는, 도 6 내지 도 8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레인용 파지부(333)에 파지된 이차전지 셀의 하부 영역에 배치될 수 있는 안티 드롭용 가로 바아(336a)와, 안티 드롭용 가로 바아(336a)에 결합되며 크레인용 파지부(333)에 파지된 다수 개의 이차전지 셀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는 안티 스윙용 스토핑부재(336b)와, 안티 드롭용 가로 바아(336a)에 결합되며 크레인 핸드모듈용 이동프레임부(332)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안티 스윙 겸용 안티 드롭용 연결부재(336c), 크레인 핸드모듈용 이동프레임부(332)에 결합되고 안티 스윙 겸용 안티 드롭용 연결부재(336c)에 연결되며 안티 드롭용 가로 바아(336a)가 이차전지 셀의 하부 영역에 진입 및 이탈되도록 안티 드롭용 가로 바아(336a)를 이동시키는 안티 스윙 겸용 안티 드롭용 액츄에이터(336d)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S. 6 to 8 and 11 , the anti-swing anti-drop part 336 for the crane may be disposed in the lower region of the secondary battery cell gripped by the gripping part 333 for the crane. An anti-swing stopping member (336b) coupled to the anti-drop horizontal bar (336a) and the anti-drop horizontal bar (336a) and disposed between a plurality of secondary battery cells gripped by the crane gripping part (333) And, an anti-swing combined anti-drop connecting member 336c coupled to the anti-drop horizontal bar 336a and slidably connected to the moving frame unit 332 for the crane hand module, the moving frame unit for the crane hand module ( 332) and is connected to the anti-swing combined anti-drop connection member 336c and moves the anti-drop horizontal bar 336a so that the anti-drop horizontal bar 336a enters and leaves the lower region of the secondary battery cell. An actuator 336d for anti-swing and anti-drop is included.

안티 드롭용 가로 바아(336a)는 크레인용 파지부(333)에 파지된 이차전지 셀의 하부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안티 드롭용 가로 바아(336a)는 제1축 방향(X)으로 긴 길이를 가지는 사각의 막대 형상으로 형성된다.The anti-drop horizontal bar 336a may be disposed in a lower region of the secondary battery cell gripped by the crane gripper 333 . The anti-drop horizontal bar 336a is formed in a rectangular bar shape having a long length in the first axial direction (X).

안티 스윙용 스토핑부재(336b)는 안티 드롭용 가로 바아(336a)에 결합된다. 이러한 안티 스윙용 스토핑부재(336b)는 다수 개로 마련되어 상호 이격되어 배치된다.The anti-swing stopping member 336b is coupled to the anti-drop horizontal bar 336a. A plurality of anti-swing stopping members 336b are provided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본 실시예에 따른 안티 스윙용 스토핑부재(336b)는, 안티 드롭용 가로 바아(336a)가 크레인용 파지부(333)에 파지된 이차전지 셀의 하부 영역에 진입 시 크레인용 파지부(333)에 파지된 다수 개의 이차전지 셀의 사이에 배치됨으로써, 스태커 크레인장치(300)가 이동하는 과정에서 관성력에 의해 크레인용 파지부(333)에 파지된 이차전지 셀이 회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In the anti-swing stopping member 336b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hen the anti-drop horizontal bar 336a enters the lower region of the secondary battery cell gripped by the crane gripping unit 333, the crane gripping unit 333 ) is disposed between the plurality of secondary battery cells gripped by the stacker crane device 300 to prevent rotation of the secondary battery cells gripped by the crane gripper 333 due to inertial force while the stacker crane device 300 is moving.

안티 스윙 겸용 안티 드롭용 연결부재(336c)는 안티 드롭용 가로 바아(336a)에 결합된다. 이러한 안티 스윙 겸용 안티 드롭용 연결부재(336c)는 크레인 핸드모듈용 이동프레임 본체(332a)에 마련된 가이드 레일(미도시)에 제2축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The anti-swing and anti-drop connecting member 336c is coupled to the anti-drop horizontal bar 336a. The connecting member 336c for anti-swing and anti-drop is coupled to a guide rail (not shown) provided in the moving frame body 332a for a crane hand module to be slidably movable in the second axial direction.

안티 스윙 겸용 안티 드롭용 액츄에이터(336d)는 크레인 핸드모듈용 이동프레임부(332)의 크레인 핸드모듈용 이동프레임 본체(332a)에 결합된다. 이러한 안티 스윙 겸용 안티 드롭용 액츄에이터(336d)는 안티 스윙 겸용 안티 드롭용 연결부재(336c)에 연결되어 안티 드롭용 가로 바아(336a)가 이차전지 셀의 하부 영역에 진입 및 이탈되도록 안티 드롭용 가로 바아(336a)를 제2축 방향(Y)으로 이동시킨다. 안티 스윙 겸용 안티 드롭용 액츄에이터(336d)는 볼스크류방식의 리니어 모터 또는 가압 실린더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anti-swing and anti-drop actuator 336d is coupled to the moving frame body 332a for the crane hand module of the moving frame unit 332 for the crane hand module. The anti-swing-combined anti-drop actuator 336d is connected to the anti-swing-combined anti-drop connection member 336c so that the anti-drop horizontal bar 336a enters and leaves the lower region of the secondary battery cell. The bar 336a is moved in the second axis direction (Y). The actuator 336d for anti-swing and anti-drop may be formed of a ball screw-type linear motor or a pressure cylinder.

한편, 셀 이재장치(400)는 메인 프레임(MP)에 지지된다. 이러한 셀 이재장치(400)는 물류트레이(500)에 수용된 다수 개의 이차전지 셀의 이격간격을 가변시켜 공정트레이(600)로 이재한다. 물류트레이(500)에는 방전 상태로 조립된 이차전지 셀이 수용되며, 물류트레이(500)는 별도의 이송장치(미도시)를 통해 셀 이재장치(400)의 하부 영역으로 전달된다. Meanwhile, the cell transfer device 400 is supported by the main frame MP. The cell transfer device 400 transfers the plurality of secondary battery cells accommodated in the distribution tray 500 to the process tray 600 by varying the separation interval. The secondary battery cells assembled in a discharged state are accommodated in the distribution tray 500, and the distribution tray 500 is transferred to a lower area of the cell transfer device 400 through a separate transfer device (not shown).

물류트레이(500)에는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는 다수 개의 물류트레이용 안착홈(510)이 형성된다. 이러한 물류트레이용 안착홈(510) 각각에는 이차전지 셀이 삽입된다.A plurality of seating grooves 510 for logistics tray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re formed in the logistics tray 500 . A secondary battery cell is inserted into each of the seating grooves 510 for the distribution tray.

공정트레이(600)는 셀 이재장치(400)의 하부 영역에 배치된다. 공정트레이(600)에는 이차전지 셀이 수용되며, 공정트레이(600)에 수용된 이차전지 셀은 스태커 크레인장치(300)의 크레인용 핸드유닛(320)에 의해 픽업되어 제1 충전장치(100)와 제2 충전장치(200) 각각으로 전달된다.The process tray 600 is disposed in the lower region of the cell transfer device 400 . Secondary battery cells are accommodated in the process tray 600, and the secondary battery cells accommodated in the process tray 600 are picked up by the crane hand unit 320 of the stacker crane device 300 and transferred to the first charging device 100. It is delivered to each of the second charging devices 200.

공정트레이(600)에는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는 다수 개의 공정트레이용 안착홈(610)이 형성된다. 이러한 공정트레이용 안착홈(610) 각각에는 이차전지 셀이 삽입된다.A plurality of seating grooves 610 for process tray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re formed in the process tray 600 . A secondary battery cell is inserted into each of the seating grooves 610 for the process tray.

물류트레이용 안착홈(510) 사이의 이격간격은 공정트레이용 안착홈(610) 사이의 이격간격보다 작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물류트레이용 안착홈(510) 사이의 이격간격을 공정트레이용 안착홈(610) 사이의 이격간격보다 작게 형성함으로써, 물류트레이(500)가 공정트레이(600)와 동일한 개수의 이차전지 셀을 수용할 수 있으면서도 물류트레이(500)의 크기를 공정트레이(600)보다 작게 형성할 수 있고, 그에 따라 물류트레이(500)의 보관 및 이송이 용이해 물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The spacing between the seating grooves 510 for logistics trays is smaller than the spacing between the seating grooves 610 for process trays. In this way, by forming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seating grooves 510 for logistics trays smaller than the spacing between the seating grooves 610 for process trays, the logistics tray 500 has the same number of secondary battery cells as the process tray 600 The size of the logistics tray 500 can be formed smaller than that of the process tray 600 while accommodating the logistics tray 500, and accordingly, storage and transportation of the logistics tray 500 are easy to increase logistics convenience.

본 실시예에 따른 셀 이재장치(400)는, 도 13 내지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프레임(MP)에 연결되어 지지되는 이재장치 프레임(410)과, 다수 개의 이차전지 셀을 파지하는 이재용 핸드유닛(420)과, 이재장치 프레임(410)에 결합되고 이재용 핸드유닛(420)에 연결되며 이재용 핸드유닛(420)이 물류트레이(500)와 공정트레이(600) 각각의 상부영역에 위치될 수 있도록 이재용 핸드유닛(420)을 제1축 방향(X)으로 이동시키는 이재용 이동유닛(470)과, 이재장치 프레임(410)에 지지되고 이재용 핸드유닛(420)의 하부 영역에 배치되며 이재용 핸드유닛(420)에 파지된 이차전지 셀이 회동되거나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는 이재용 안티 스윙 겸용 안티 드롭유닛(480)을 포함한다. As shown in FIGS. 13 to 24 , the cell transfer device 4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transfer device frame 410 connected to and supported by a main frame MP, and holding a plurality of secondary battery cells. It is coupled to the transfer hand unit 420 and the transfer device frame 410 and connected to the transfer hand unit 420, and the transfer hand unit 420 is located in the upper area of each of the distribution tray 500 and the process tray 600 A transfer unit 470 for moving the transfer hand unit 420 in the first axial direction (X) so that the transfer hand unit 420 is supported by the transfer device frame 410 and is disposed in the lower area of the transfer hand unit 420 and is used for transfer. An anti-swing combined anti-drop unit 480 for preventing the secondary battery cell held by the hand unit 420 from rotating or falling is included.

이재용 이동유닛(470)은 이재장치 프레임(410)에 결합된다. 이러한 이재용 이동유닛(470)은 이재용 핸드유닛(420)에 연결되어 이재용 핸드유닛(420)이 물류트레이(500)와 공정트레이(600) 각각의 상부영역에 위치될 수 있도록 이재용 핸드유닛(420)을 제1축 방향(X)으로 이동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이재용 이동유닛(470)은 볼 스크류 방식의 리니어모터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transfer unit 470 is coupled to the transfer device frame 410 . The transfer unit 470 is connected to the transfer hand unit 420 so that the transfer hand unit 420 can be positioned in the upper area of the distribution tray 500 and the process tray 600, respectively. is moved in the first axis direction (X). In this embodiment, the transfer unit 470 for Lee Jae-yong may be formed of a linear motor of a ball screw type.

이재용 핸드유닛(420)은 다수 개의 이차전지 셀을 파지한다. 이러한 이재용 핸드유닛(420)은, 도 13 내지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재용 이동유닛(470)에 결합되는 이재용 고정프레임부(430)와, 이차전지 셀을 파지하는 이재용 파지부(440)와, 이재용 고정프레임부(430)에 결합되고 이재용 파지부(440)에 연결되며 이재용 파지부(440)를 세로방향(Z)으로 이동시키는 이재용 업/다운(up/down) 이동부(450)를 포함한다.Jaeyong Lee's hand unit 420 holds a plurality of secondary battery cells. As shown in FIGS. 13 to 20 , the transfer hand unit 420 includes a fixed frame unit 430 coupled to the transfer unit 470 and a grip unit 440 for gripping a secondary battery cell. And, an up/down moving unit 450 coupled to the fixed frame unit 430 and connected to the gripping unit 440 for transferring and moving the gripping unit 440 in the vertical direction Z. includes

이재용 고정프레임부(430)는 사각의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이재용 고정프레임부(430)는 이재용 이동유닛(470)에 결합된다. Jaeyong Lee's fixing frame part 430 is formed in the shape of a square plate. The fixed frame unit 430 for transferring is coupled to the moving unit 470 for transferring.

이재용 업/다운(up/down) 이동부(450)는 이재용 고정프레임부(430)에 결합된다. 이러한 이재용 업/다운(up/down) 이동부(450)는 이재용 파지부(440)에 연결되어 이재용 파지부(440)를 세로방향(제3축 방향(Z))으로 이동시킨다.Jaeyong Lee's up/down moving unit 450 is coupled to Jaeyong Lee's fixed frame 430 . The up/down moving unit 450 for transferring is connected to the gripping unit 440 for transferring and moves the gripping unit 440 for transferr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third axis direction Z).

본 실시예에 따른 이재용 업/다운(up/down) 이동부(450)는, 이재용 고정프레임부(430)에 세로방향으로 상대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업/다운용 랙기어(미도시)가 마련된 업/다운용 승강로드부(451)와, 이재용 고정프레임부(430)에 결합되며 업/다운용 랙기어(미도시)에 치합되는 업/다운용 피니언기어(미도시)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업/다운용 기어박스부(452)와, 이재용 고정프레임부(430)에 장착되며 업/다운용 기어박스부(452)에 연결되어 업/다운용 피니언기어(미도시)를 회전시키는 회전력을 제공하는 업/다운용 동력전달부(453)를 포함한다. 업/다운용 동력전달부(453)는 전동모터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up/down moving unit 450 for Lee Jae-yong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coupled to the Lee Jae-yong fixing frame 430 so as to be relatively mov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n up/down rack gear (not shown) is provided. The up/down lifting rod part 451 and the up/down pinion gear (not shown) coupled to the Lee Jae-yong fixing frame part 430 and meshed with the up/down rack gear (not shown) are rotatably coupled. It is attached to the up/down gearbox unit 452 and the Lee Jae-yong fixed frame unit 430 and is connected to the up/down gearbox unit 452 to rotate the up/down pinion gear (not shown). It includes an up/down power transmission unit 453 that provides. The power transmission unit 453 for up/down may be formed of an electric motor.

이재용 파지부(440)는 이차전지 셀을 파지한다. 이러한 이재용 파지부(440)는, 도 13 내지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재용 업/다운(up/down) 이동부(450)에 결합되는 이재용 이동 프레임부(441)와, 이재용 이동 프레임부(441)에 제2축 방향(Y)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는 한 쌍의 이재용 파지 브라켓부(442)와, 이재용 이동 프레임부(441)에 결합되고 한 쌍의 이재용 파지 브라켓부(442) 각각에 연결되며 이재용 파지 브라켓부(442) 각각을 상호 접근 및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재용 잡 체인저부(미도시)와, 이재용 파지 브라켓 각각에 상대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는 다수 개의 이재용 단위 그리핑부(444)와, 이재용 단위 그리핑부(444)에 연결되며 이재용 단위 그리핑부(444) 각각의 이격간격을 가변시키는 이재용 간격조절부(445)를 포함한다. Jaeyong Lee gripping unit 440 grips the secondary battery cell. As shown in FIGS. 13 to 20, the transfer gripping unit 440 includes a transfer frame unit 441 coupled to the transfer up/down moving unit 450, and a transfer frame unit for transfer. A pair of gripping brackets 442 for transfer that are connected to 441 so as to be slidably movable in the second axis direction Y and dispos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a pair of grips for transfer that are coupled to the moving frame unit 441 for transfer It is connected to each of the brackets 442 and is coupled to a job changer (not shown) for dissemination, which moves each of the dissemination holding brackets 442 in a mutually approaching and separated direction, and is coupled to each of the dissemination holding brackets so as to be relatively movable. A plurality of dissimilar unit gripping parts 444 that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a dissimilar spacing control unit 445 that is connected to the dissimilar unit gripping unit 444 and changes the separation interval between the dissimilar unit gripping units 444. include

이재용 이동 프레임부(441)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의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이재용 이동 프레임부(441)는 이재용 업/다운(up/down) 이동부(450)의 업/다운용 승강로드부(451)에 결합된다.As shown in FIG. 13, the moving frame unit 441 for Lee Jae-yong is formed in the shape of a square plate. The moving frame unit 441 for Lee Jae-yong is coupled to the up/down lifting rod part 451 of the up/down movement unit 450 for Jae-yong Lee.

이재용 파지 브라켓부(442)는 한 쌍으로 마련되어 제2축 방향(Y)으로 상호 이격되어 배치된다. 이재용 파지 브라켓부(442)는, 도 13 내지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재용 이동 프레임부(441)에 마련된 가이드 레일(G)에 제2축 방향(Y)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브라켓 몸체(442a)와, 브라켓 몸체(442a)에 결합되며 이재용 단위 그리핑부(444)가 제1축 방향(X)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브라켓용 가이드 샤프트(442b)를 포함한다. The gripping brackets 442 for Lee Jae-Yong are provided as a pair and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second axial direction (Y). As shown in FIGS. 13 to 19 , the gripping bracket part 442 for Lee Jae-yong is a bracket that is slidably coupled to the guide rail G provided on the moving frame part 441 for Lee Jae-yong in the second axial direction (Y). It includes a body 442a and a bracket guide shaft 442b coupled to the bracket body 442a and connected to the Lee Jae-yong unit gripping part 444 to be slidably movable in the first axial direction (X).

이재용 잡 체인저부(미도시)는 이재용 이동 프레임부(441)에 장착된다. 이러한 이재용 잡 체인저부(미도시)는 한 쌍의 이재용 파지 브라켓부(442) 각각에 연결되어 이재용 파지 브라켓부(442) 각각을 상호 접근 및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The transfer job changer (not shown) is mounted on the transfer frame unit 441 . The transfer job changer (not shown) is connected to each of the pair of transfer gripping brackets 442 to move the transfer gripping brackets 442 in a mutually approaching and spaced direction.

이재용 잡 체인저부(미도시)의 작동에 의해 한 쌍의 이재용 파지 브라켓부(442) 사이의 간격이 조절되고, 그에 따라 이재용 파지 브라켓부(442)에 연결된 이재용 단위 그리핑부(444) 사이의 간격(제2축 방향(Y)의 간격)이 조절된다. The distance between the pair of gripping brackets 442 for dissemination is adjusted by the operation of the job changer for dissemination (not shown), and accordingly, the gripping unit 444 for dissemination connected to the gripping bracket unit 442 for dissemination is adjusted. The spacing (interval in the second axis direction (Y)) is adjusted.

본 실시예에서 이재용 잡 체인저부(미도시)는, 이재용 이동 프레임부(441)에 장착되며 브라켓 몸체(442a)에 연결되어 이재용 단위 그리핑부(444)를 제2축 방향(Y)으로 이동시키는 이재용 잡 체인저 액츄에이터(미도시)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이재용 잡 체인저 액츄에이터(미도시)는 리니어모터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transfer job changer (not shown) is mounted on the transfer frame unit 441 and is connected to the bracket body 442a to move the transfer unit gripping unit 444 in the second axial direction (Y). It includes a job changer actuator (not shown) for dissemination. In this embodiment, Jaeyong Lee's job changer actuator (not shown) may be formed of a linear motor.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멀티 스태커 크레인 시스템은, 이재용 단위 그리핑부(444) 사이의 간격(제2축 방향(Y)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이재용 잡 체인저부(미도시)를 구비함으로써, 이차전지 셀의 길이에 상응하게 이재용 단위 그리핑부(444) 사이의 간격(제2축 방향(Y)의 간격)을 조절하여 다양한 크기의 이차전지를 파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multi-stacker cran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provided with a job changer (not shown) for transferring material that can adjust the distance between the material transfer unit gripping parts 444 (interval in the second axis direction (Y)). ,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secondary batteries of various sizes can be gripped by adjusting the distance between the Lee Jae-yong unit gripping parts 444 (interval in the second axis direction (Y)) corresponding to the length of the secondary battery cell.

한편, 이재용 단위 그리핑부(444)는 다수 개로 마련되어 제1축 방향(X)으로 상호 이격되어 배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재용 단위 그리핑부(444)는 제2축 방향(X)으로 이격된 2열로 구비되어 한 쌍의 이재용 파지 브라켓 제1축 방향(X) 각각에 상대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On the other hand, Jaeyong Lee unit gripping parts 444 are provided in plurality and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first axial direction (X). As described above, the unit gripping parts 444 for transfer are provided in two rows spaced apart in the second axial direction (X), and are coupled to each of the pair of gripping brackets for transfer in the first axial direction (X) so as to be relatively movable.

본 실시예에 따른 이재용 단위 그리핑부(444)는, 도 18 내지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재용 파지 브라켓부(442) 각각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재용 슬라이딩 블록부(444a)와,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는 한 쌍의 이재용 그리퍼(444b)와, 이재용 슬라이딩 블록부(444a)에 결합되고 한 쌍의 이재용 그리퍼(444b)에 연결되며 한 쌍의 이재용 그리퍼(444b) 각각을 상호 접근 및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재 그리퍼용 액츄에이터(444c)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S. 18 to 20 , the unit gripping unit 444 for transferring material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sliding block units 444a that are slidably coupled to each of the gripping brackets 442 for transferring materials, and A pair of transfer grippers 444b disposed apart from each other, coupled to the transfer sliding block 444a and connected to the pair of transfer grippers 444b, and approaching and separating the pair of transfer grippers 444b from each other and an actuator 444c for the transfer gripper that moves in the direction of

이재용 슬라이딩 블록부(444a)는 이재용 파지 브라켓부(442)의 브라켓용 가이드 샤프트(442b)의 외주면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재용 슬라이딩 블록부(444a)에는 후술할 제1 간격조절용 링크(445a)의 형성된 제1 간격조절용 슬릿홀(445c)을 관통하는 제1 간격조절용 돌출부재(444d)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The sliding block part 444a for Lee Jae-yong is coupl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racket guide shaft 442b of the gripping bracket part 442 for Lee Jae-yong. A first spacing adjustment protruding member 444d penetrating the first spacing adjusting slit hole 445c formed in the first spacing adjusting link 445a to be described later is protruded from the sliding block portion 444a for Lee Jae-yong.

한 쌍의 이재용 그리퍼(444b)는 상호 이격되어 배치된다. 한 쌍의 이재용 그리퍼(444b)의 사이에 이차전지 셀의 상부영역이 배치되며, 이격된 이재용 그리퍼(444b) 각각이 상호 접근하여 이차전지 셀을 파지할 수 있다.A pair of transfer grippers 444b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 upper region of the secondary battery cells is disposed between the pair of grippers 444b for transfer, and the grippers 444b for transfer, which are spaced apart, approach each other to grip the secondary battery cells.

이재 그리퍼용 액츄에이터(444c)는 이재용 슬라이딩 블록부(444a)에 결합된다. 이러한 이재 그리퍼용 액츄에이터(444c)는 한 쌍의 이재용 그리퍼(444b)에 연결되어 한 쌍의 이재용 그리퍼(444b) 각각을 상호 접근 및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이재 그리퍼용 액츄에이터(444c)는 가압 실린더로 이루어진다. The transfer gripper actuator 444c is coupled to the transfer sliding block 444a. The actuator 444c for the transfer gripper is connected to the pair of transfer grippers 444b and moves the pair of transfer grippers 444b in a mutually approaching and spaced direction. In this embodiment, the actuator 444c for the transfer gripper is made of a pressure cylinder.

이재용 간격조절부(445)는 이재용 단위 그리핑부(444)의 이재용 슬라이딩 블록부(444a)에 연결된다. 이러한 이재용 간격조절부(445)는 이재용 단위 그리핑부(444) 각각의 이격간격(제1축 방향(X)에서의 이격간격)을 가변시킨다.The Lee Jae-yong spacing adjusting unit 445 is connected to the Lee Jae-yong sliding block 444a of the Lee Jae-yong unit gripping unit 444. The Lee Jae-yong spacing adjusting unit 445 changes the spacing between the Lee Jae-yong unit gripping units 444 (the spacing in the first axial direction (X)).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셀 이재장치(400)는, 이재용 단위 그리핑부(444) 각각의 이격간격을 가변시키는 이재용 간격조절부(445)를 구비함으로써, 이격간격이 서로 다른 물류트레이용 안착홈(510)과 공정트레이용 안착홈(610)을 구비하는 물류트레이(500)와 공정트레이(600)의 사이에서 이차전지 셀을 용이하게 전달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cell transfer device 4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provided with the transfer unit gripping unit 444 for changing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each of the transfer unit gripping units 444, so that distribution trays having different separation intervals are seated. The secondary battery cell can be easily transferred between the distribution tray 500 having the groove 510 and the seating groove 610 for the process tray and the process tray 600 .

본 실시예에 따른 이재용 간격조절부(445)는, 도 17 내지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재용 단위 그리핑부(444) 각각에 형성된 제1 간격조절용 돌출부재(444d)가 삽입되는 제1 간격조절용 슬릿홀(445c)이 형성되며 인접하게 배치된 이재용 단위 그리핑부(444)를 연결하는 제1 간격조절용 링크(445a)와, 이재용 단위 그리핑부(444)에 결합된 간격조절용 연결부(445b)와, 이재용 이동 프레임부(441)에 결합되고 간격조절용 연결부(445b)에 연결되며 간격조절용 연결부(445b)를 이동시켜 이재용 단위 그리핑부(444) 각각의 간격을 조절하는 이재용 간격조절 구동부(445d)를 포함한다. As shown in FIGS. 17 to 19 , the gap adjustment unit 445 for Lee Jae-Yong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has a first gap adjustment projection member 444d formed in each of the Lee Jae-Yong unit gripping units 444 inserted thereto. A slit hole 445c for spacing adjustment is formed and a first spacing adjustment link 445a connecting the adjacently disposed unit gripping parts 444 for Lee Jae-yong, and a connection part for spacing adjustment coupled to the unit gripping part 444 for Lee Jae-yong ( 445b), and the Lee Jae-yong distance adjusting driving unit coupled to the Lee Jae-yong moving frame unit 441 and connected to the spacing adjusting connecting part 445b and adjusting the distance between the Lee Jae-yong unit gripping parts 444 by moving the spacing adjusting connecting part 445b. (445d).

제1 간격조절용 링크(445a)에는 이재용 단위 그리핑부(444)의 제1 간격조절용 돌출부재(444d)가 삽입되는 제1 간격조절용 슬릿홀(445c)이 형성된다. 제1 간격조절용 슬릿홀(445c)은 제1축 방향(X)으로 길이가 긴 장홀 형상으로 형성된다. The first spacing adjusting link 445a is formed with a first spacing adjusting slit hole 445c into which the first spacing adjusting protruding member 444d of Lee Jae-yong unit gripping part 444 is inserted. The first slit hole 445c for adjusting the distance is formed in a long hole shape in the first axial direction (X).

이러한 제1 간격조절용 링크(445a)는 이재용 단위 그리핑부(444)의 제1 간격조절용 돌출부재(444d)가 삽입되는 제1 간격조절용 슬릿홀(445c)을 통해 도 18 및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접하게 배치된 이재용 단위 그리핑부(444)를 연결한다. The first link 445a for adjusting the distance is shown in FIGS. 18 and 19 through the first slit hole 445c for adjusting the distance into which the protruding member 444d for adjusting the distance of the unit gripping part 444 for Jaeyong Lee is inserted. As shown, the Lee Jae-yong unit gripping parts 444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are connected.

간격조절용 연결부(445b)는 이재용 단위 그리핑부(444)의 이재용 슬라이딩 블록부(444a)에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 간격조절용 연결부(445b)는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으로 마련되어 다수 개의 이재용 단위 그리핑부(444) 중 양측 끝단에 위치한 2개의 이재용 단위 그리핑부(444)에 결합된다. The connection part 445b for adjusting the distance is coupled to the sliding block part 444a for the material transfer unit of the gripping part 444 for the material transfer unit. In this embodiment, as shown in FIG. 18, the connection parts 445b for adjusting the distance are provided as a pair and are coupled to the two unit gripping parts 444 for disposing of the plurality of unit gripping units 444 located at both ends. .

다수 개의 이재용 단위 그리핑부(444)들은 제1 간격조절용 링크(445a)들에 의해 상호 연결된 상태이므로, 한 쌍의 간격조절용 연결부(445b) 사이의 제1축 방향(X)에서의 간격이 좁아지거나 넓어짐에 따라 도 18 및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재용 단위 그리핑부(444)들 사이의 제1축 방향(X)에서의 이격간격이 조정된다.Since the plurality of transfer unit gripping parts 444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first distance adjusting links 445a, the distance between the pair of distance adjusting connection parts 445b in the first axial direction X is narrow. As shown in FIGS. 18 and 19 , as shown in FIGS. 18 and 19 , the distance between the Lee Jae-yong unit gripping parts 444 in the first axial direction X is adjusted.

간격조절용 연결부(445b)는, 도 13, 도 17 및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재용 단위 그리핑부(444)에 결합된 연결용 고정블록(445b-1)과, 연결용 고정블록(445b-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용 회전롤러(445b-2)를 포함한다. As shown in FIGS. 13, 17 and 18, the connection part 445b for adjusting the distance includes a connection fixing block 445b-1 coupled to Lee Jae-yong unit gripping part 444 and a connection fixing block 445b. -1) includes a rotating roller (445b-2) for connection rotatably coupled to.

이재용 간격조절 구동부(445d)는 이재용 이동 프레임부(441)에 결합된다. 이러한 이재용 간격조절 구동부(445d)는 간격조절용 연결부(445b)에 연결되어 간격조절용 연결부(445b)를 이동시켜 이재용 단위 그리핑부(444) 각각의 간격을 조절한다. The Lee Jae-yong spacing adjusting driving unit 445d is coupled to the Lee Jae-yong moving frame 441 . The spacing adjusting driver 445d for disposing is connected to the connecting portion 445b for adjusting the spacing and moves the connecting portion 445b for adjusting the spacing to adjust the spacing of each unit gripping portion 444 for disposing.

본 실시예에 따른 이재용 간격조절 구동부(445d)는, 도 13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용 회전롤러(445b-2)가 내부에 배치되며 연결용 회전롤러(445b-2)의 외주면이 접촉되는 내벽이 형성된 연결용 절개홀(445d-3)이 마련되는 간격조절용 이동블록(445d-1)과, 간격조절용 이동블록(445d-1)에 결합되어 간격조절용 이동블록(445d-1)을 이동시키는 간격조절용 구동모터(445d-2)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S. 13 and 16, in the distance adjusting drive unit 445d for transf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rotation roller 445b-2 for connection is disposed inside,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tation roller 445b-2 for connection is A movable block 445d-1 for spacing adjustment having a cutout hole 445d-3 for connection formed with a contact inner wall, and a movable block 445d-1 for spacing adjustment coupled to the movable block 445d-1 for spacing adjustment and a driving motor 445d-2 for adjusting the distance to move.

간격조절용 이동블록(445d-1)은 제1축 방향(X)으로 이동된다. 이러한 간격조절용 이동블록(445d-1)에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연결용 절개홀(445d-3)이 형성된다. 연결용 절개홀(445d-3)은 제2축 방향(Y)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된다.The moving block 445d-1 for spacing adjustment is moved in the first axis direction (X). As shown in FIG. 13, a cutout hole 445d-3 for connection is formed in the moving block 445d-1 for adjusting the distance. The cutout hole 445d-3 for connection is formed to extend long in the second axial direction (Y).

이러한 연결용 절개홀(445d-3)의 내벽에는 연결용 회전롤러(445b-2)의 외주면이 접촉된다.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necting rotary roller 445b-2 is in contact with the inner wall of the connecting cutout hole 445d-3.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이재용 간격조절 구동부(445d)는, 내벽에 연결용 회전롤러(445b-2)의 외주면이 접촉되는 연결용 절개홀(445d-3)의 형성된 간격조절용 이동블록(445d-1)을 구비함으로써, 이재용 잡 체인저부(미도시)에 의해 이재용 단위 그리핑부(444)가 제2축 방향(Y)으로 이동되면서도 간격조절용 이동블록(445d-1)과 간격조절용 연결부(445b)의 연결이 유지된다.In this way, the spacing adjusting driving unit 445d for transf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a moving block 445d-3 for adjusting the spacing formed in the cutout hole 445d-3 for connecting to whic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tating roller 445b-2 for connecting is in contact with the inner wall. 1), the Lee Jae-yong unit gripping part 444 is moved in the second axis direction (Y) by the Lee Jae-yong job changer (not shown), and the distance adjustment moving block 445d-1 and the distance adjustment connection part 445b ) is maintained.

간격조절용 구동모터(445d-2)는 이재용 이동 프레임부(441)에 장착된다. 이러한 간격조절용 구동모터(445d-2)는 간격조절용 이동블록(445d-1)에 결합되어 간격조절용 이동블록(445d-1)을 제1축 방향(X)으로 이동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간격조절용 구동모터(445d-2)는 볼스크류방식의 리니어모터로 이루어진다.The driving motor 445d-2 for spacing adjustment is mounted on the moving frame unit 441 for Lee Jae-yong. The driving motor 445d-2 for adjusting the distance is coupled to the moving block 445d-1 for adjusting the distance and moves the moving block 445d-1 for adjusting the distance in the first axis direction (X). In this embodiment, the driving motor 445d-2 for adjusting the distance is formed of a linear motor of a ball screw type.

이재용 안티 스윙 겸용 안티 드롭유닛(480)은 이재용 핸드유닛(420)의 하부 영역에 배치되어 이재용 핸드유닛(420)에 파지된 이차전지 셀이 회동되거나 추락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이재용 안티 스윙 겸용 안티 드롭유닛(480)은 이재장치 프레임(410)에 지지된다. 이재용 안티 스윙 겸용 안티 드롭유닛(480)은 후술할 이재용 안티 스윙 겸용 안티 드롭부(481)를 이재용 파지부(440)와 독립적으로 제1축 방향(X)으로 이동시킨다.The Lee Jae-yong anti-swing combined anti-drop unit 480 is disposed in the lower area of the Lee Jae-yong hand unit 420 to prevent the secondary battery cell held by the Lee Jae-yong hand unit 420 from rotating or falling. The transfer anti-swing combined anti-drop unit 480 is supported by the transfer device frame 410 . The Lee Jae-yong anti-swing combined anti-drop unit 480 moves the Lee Jae-yong anti-swing combined anti-drop unit 481 to be described later in the first axial direction X independently of the Lee Jae-yong gripping part 440 .

본 실시예에 따른 이재용 안티 스윙 겸용 안티 드롭유닛(480)은, 도 21 내지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재용 핸드유닛(420)에 파지된 이차전지 셀의 하부 영역에 배치되는 이재용 안티 스윙 겸용 안티 드롭부(481)와, 이재용 안티 스윙 겸용 안티 드롭부(481)에 연결되며 이재용 안티 스윙 겸용 안티 드롭부(481)가 물류트레이(500)와 공정트레이(600) 각각의 상부영역에 위치될 수 있도록 이재용 안티 스윙 겸용 안티 드롭부(481)를 제1축 방향(X)으로 이동시키는 안티 스윙 겸용 안티 드롭용 이동부(482)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S. 21 to 24 , the anti-swing anti-drop unit 480 for Jae-Yong Le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disposed in the lower region of the secondary battery cell gripped by the hand unit 420 for Jae-Yong Lee and the anti-swing combined use for Jae-Yong Lee. It is connected to the anti-drop part 481 and the anti-swing combined anti-drop part 481 for Lee Jae-yong, and the anti-drop part 481 for Jae-yong Lee is located in the upper area of the distribution tray 500 and the process tray 600, respectively. and an anti-swing combined anti-drop moving unit 482 for moving the Lee Jae-yong anti-swing combined anti-drop unit 481 in the first axial direction (X).

안티 스윙 겸용 안티 드롭용 이동부(482)는 이재용 안티 스윙 겸용 안티 드롭부(481)에 결합된다. 이러한 안티 스윙 겸용 안티 드롭용 이동부(482)는, 이재용 안티 스윙 겸용 안티 드롭부(481)가 물류트레이(500)와 공정트레이(600) 각각의 상부영역에 위치될 수 있도록, 이재용 안티 스윙 겸용 안티 드롭부(481)를 제1축 방향(X)으로 이동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안티 스윙 겸용 안티 드롭용 이동부(482)는 볼스크류방식의 리니어모터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moving unit 482 for anti-swing and anti-drop is coupled to the anti-drop and anti-swing unit 481 for Lee Jae-yong. The anti-swing combined anti-drop moving unit 482 is such that the anti-swing combined anti-drop unit 481 for Lee Jae-yong can be located in the upper region of the distribution tray 500 and the process tray 600, respectively. The anti-drop part 481 is moved in the first axial direction (X). In this embodiment, the moving unit 482 for anti-swing and anti-drop may be formed of a linear motor of a ball screw type.

이재용 안티 스윙 겸용 안티 드롭부(481)는 이재용 핸드유닛(420)에 파지된 이차전지 셀의 하부 영역에 배치된다.Jaeyong Lee's anti-swing combined anti-drop unit 481 is disposed in the lower region of the secondary battery cell held by Jaeyong Lee's hand unit 420 .

본 실시예에 따른 이재용 안티 스윙 겸용 안티 드롭부(481)는, 도 21 내지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티 스윙 겸용 안티 드롭용 이동부(482)에 연결되는 안티 스윙 겸용 안티 드롭용 프레임부(481a)와, 안티 스윙 겸용 안티 드롭용 프레임부(481a)에 상대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이재용 핸드유닛(420)에 파지된 이차전지 셀의 하단부 영역을 차폐하는 다수 개의 안티 스윙 겸용 안티 드롭용 차폐부(481b)와, 안티 스윙 겸용 안티 드롭용 차폐부(481b)에 연결되며 다수 개의 안티 스윙 겸용 안티 드롭용 차폐부(481b) 각각의 이격간격을 가변시키는 안티 스윙 겸용 안티 드롭용 간격조절부(481c)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S. 21 to 24, the anti-swing and anti-drop unit 481 for Lee Jae-yong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a frame unit for anti-swing and anti-drop that is connected to the moving unit 482 for anti-swing and anti-drop. 481a and a plurality of anti-swing and anti-drop shields that are connected to the anti-swing and anti-drop frame part 481a to be relatively movable and shield the lower part area of the secondary battery cell gripped by the Lee Jae-yong hand unit 420 Interval adjusting unit for anti-swing combined anti-drop (which is connected to the unit 481b and the anti-swing combined anti-drop shielding unit 481b and varies the distance between each of the plurality of anti-swing combined anti-drop shielding units 481b) ( 481c).

안티 스윙 겸용 안티 드롭용 프레임부(481a)는, 도 21 내지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티 스윙 겸용 안티 드롭용 이동부(482)에 결합되는 안티 스윙 겸용 안티 드롭용 프레임 본체(481a-1)와, 안티 스윙 겸용 안티 드롭용 프레임 본체(481a-1)에 결합되며 안티 스윙 겸용 안티 드롭용 차폐부(481b)가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안티 스윙 겸용 안티 드롭용 가이드 샤프트(481a-2)를 포함한다. As shown in FIGS. 21 to 24, the anti-swing and anti-drop frame unit 481a is coupled to the anti-swing and anti-drop moving unit 482, and the anti-swing and anti-drop frame body 481a-1 ) and the anti-swing combined anti-drop guide shaft 481a-2 coupled to the anti-swing combined anti-drop frame body 481a-1 and to which the anti-swing combined anti-drop shield 481b is slidably connected includes

안티 스윙 겸용 안티 드롭용 차폐부(481b)는 다수개로 마련되어 제1축 방향(X)으로 상호 이격되어 배치된다. 각각의 안티 스윙 겸용 안티 드롭용 차폐부(481b)는 이재용 핸드유닛(420)에 파지된 이차전지 셀 각각의 하단부 영역을 차폐한다.A plurality of anti-swing and anti-drop shields 481b are provided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first axial direction (X). Each of the anti-swing and anti-drop shields 481b shields the lower portion of each secondary battery cell held by the Lee Jae-yong hand unit 420 .

본 실시예에 따른 안티 스윙 겸용 안티 드롭용 차폐부(481b)는, 도 21 내지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재용 핸드유닛(420)에 파지된 이차전지 셀의 하단부 영역이 삽입되는 셀 삽입홈(481b-2)이 형성된 차폐용 블록부(481b-1)와, 차폐용 블록부(481b-1)에 결합되며 안티 스윙 겸용 안티 드롭용 프레임부(481a)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블록 연결부(481b-3)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S. 21 to 24, the anti-swing and anti-drop shielding portion 481b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has a cell insertion groove into which the lower region of the secondary battery cell gripped by the Lee Jae-yong hand unit 420 is inserted. (481b-2) is formed on the shielding block portion (481b-1), and the block connection portion coupled to the shielding block portion (481b-1) and slidably coupled to the anti-swing combined anti-drop frame portion (481a) (481b-3).

블록 연결부(481b-3)에는 후술할 제2 간격조절용 슬릿홀(481c-4)을 관통하는 제2 간격조절용 돌출부재(481b-4)가 마련된다. The block connecting portion 481b-3 is provided with a second protruding member 481b-4 for adjusting the spacing passing through a slit hole 481c-4 for adjusting the second spacing,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안티 스윙 겸용 안티 드롭용 간격조절부(481c)는 안티 스윙 겸용 안티 드롭용 차폐부(481b)에 연결되어 다수 개의 안티 스윙 겸용 안티 드롭용 차폐부(481b) 각각의 제1축 방향(X)에서의 이격간격을 가변시킨다. The anti-swing-combined anti-drop spacing control unit 481c is connected to the anti-swing-combined anti-drop shielding unit 481b in the first axial direction X of each of the plurality of anti-swing anti-drop shielding units 481b. change the spacing between

안티 스윙 겸용 안티 드롭용 간격조절부(481c)는, 도 21 내지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티 스윙 겸용 안티 드롭용 차폐부(481b) 각각에 형성된 제2 간격조절용 돌출부재(481b-4)가 삽입되는 제2 간격조절용 슬릿홀(481c-4)이 형성되며 인접하게 배치된 안티 스윙 겸용 안티 드롭용 차폐부(481b)를 연결하는 제2 간격조절용 링크(481c-1)와, 안티 스윙 겸용 안티 드롭용 차폐부(481b)에 결합된 간격조절용 연결 블록부(481c-2)와, 안티 스윙 겸용 안티 드롭용 프레임부(481a)에 결합되고 간격조절용 연결 블록부(481c-2)에 연결되며 간격조절용 연결 블록부(481c-2)를 이동시켜 안티 스윙 겸용 안티 드롭용 차폐부(481b) 각각의 간격을 조절하는 안티 스윙 겸용 안티 드롭용 간격조절 구동부(481c-3)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S. 21 to 23, the anti-swing-combined anti-drop spacing adjusting part 481c is formed on each of the anti-swing-combining anti-drop shielding parts 481b and includes the second protruding members 481b-4 for adjusting the spacing. A second slit hole 481c-4 for adjusting the spacing is formed and a second link 481c-1 for adjusting the spacing 481c-1 connecting the shield 481b for anti-swing and anti-drop that is adjacently disposed, and the combination of anti-swing It is coupled to the connection block portion 481c-2 for spacing adjustment coupled to the shielding portion 481b for anti-drop and the frame portion 481a for anti-swing combined anti-drop and connected to the connection block portion 481c-2 for spacing adjustment, It includes an anti-swing combined anti-drop distance adjusting driving unit 481c-3 for adjusting the distance between the anti-swing and anti-drop shielding parts 481b by moving the connection block part 481c-2 for spacing adjustment.

제2 간격조절용 링크(481c-1)에는 블록 연결부(481b-3)의 제2 간격조절용 돌출부재(481b-4)가 삽입되는 제2 간격조절용 슬릿홀(481c-4)이 형성된다. 제2 간격조절용 슬릿홀(481c-4)은 제1축 방향(X)으로 길이가 긴 장홀 형상으로 형성된다. A second spacing adjusting slit hole 481c-4 into which the second spacing adjusting protruding member 481b-4 of the block connecting portion 481b-3 is inserted is formed in the second spacing adjusting link 481c-1. The second slit hole 481c-4 for adjusting the distance is formed in a long hole shape in the first axial direction (X).

이러한 제2 간격조절용 링크(481c-1)는 제2 간격조절용 돌출부재(481b-4)가 삽입되는 제2 간격조절용 슬릿홀(481c-4)을 통해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접하게 배치된 안티 스윙 겸용 안티 드롭용 차폐부(481b)를 연결한다. The second spacing adjusting link 481c-1 is disposed adjacently as shown in FIG. 22 through the second spacing adjusting slit hole 481c-4 into which the second spacing adjusting protruding member 481b-4 is inserted. An anti-swing and anti-drop shielding unit 481b is connected.

간격조절용 연결 블록부(481c-2)는 안티 스윙 겸용 안티 드롭용 차폐부(481b)의 블록 연결부(481b-3)에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 간격조절용 연결 블록부(481c-2)는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으로 마련되어 다수 개의 안티 스윙 겸용 안티 드롭용 차폐부(481b) 중 양측 끝단에 위치한 2개의 안티 스윙 겸용 안티 드롭용 차폐부(481b)에 결합된다. The connection block portion 481c-2 for spacing adjustment is coupled to the block connection portion 481b-3 of the anti-swing and anti-drop shielding portion 481b. In this embodiment, as shown in FIG. 22, the connection block 481c-2 for adjusting the distance is provided in a pair and includes two anti-swing combined anti-drop shields located at both ends of a plurality of anti-swing combined anti-drop shielding parts 481b. It is coupled to the drop shield (481b).

다수 개의 안티 스윙 겸용 안티 드롭용 차폐부(481b)들은 제2 간격조절용 링크(481c-1)들에 의해 상호 연결된 상태이므로, 한 쌍의 간격조절용 연결 블록부(481c-2) 사이의 제1축 방향(X)에서의 간격이 좁아지거나 넓어짐에 따라 안티 스윙 겸용 안티 드롭용 차폐부(481b)들 사이의 제1축 방향(X)에서의 이격간격이 조정된다.Since the plurality of anti-swing and anti-drop shielding parts 481b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second spacing adjusting links 481c-1, the first axis between the pair of spacing adjusting connecting block parts 481c-2 As the distance in the direction (X) narrows or widens, the distance between the anti-swing and anti-drop shields 481b in the first axial direction (X) is adjusted.

이재용 간격조절 구동부(445d)는 이재용 이동 프레임부(441)에 결합된다. 이러한 이재용 간격조절 구동부(445d)는 간격조절용 연결부(445b)에 연결되어 간격조절용 연결부(445b)를 이동시켜 이재용 단위 그리핑부(444) 각각의 간격을 조절한다. The Lee Jae-yong spacing adjusting driving unit 445d is coupled to the Lee Jae-yong moving frame 441 . The spacing adjusting driver 445d for disposing is connected to the connecting portion 445b for adjusting the spacing and moves the connecting portion 445b for adjusting the spacing to adjust the spacing of each unit gripping portion 444 for disposing.

안티 스윙 겸용 안티 드롭용 간격조절 구동부(481c-3)는 안티 스윙 겸용 안티 드롭용 프레임부(481a)에 결합된다. 이러한 안티 스윙 겸용 안티 드롭용 간격조절 구동부(481c-3)는 간격조절용 연결 블록부(481c-2)에 연결되어 간격조절용 연결 블록부(481c-2)를 이동시킴으로써, 안티 스윙 겸용 안티 드롭용 차폐부(481b) 각각의 간격을 조절한다. 본 실시예에서 안티 스윙 겸용 안티 드롭용 간격조절 구동부(481c-3)는 볼스크류방식의 리니어모터로 이루어진다.The anti-swing and anti-drop spacing adjustment driving unit 481c-3 is coupled to the anti-swing and anti-drop frame unit 481a. The anti-swing and anti-drop spacing control drive unit 481c-3 is connected to the spacing control connection block 481c-2 and moves the spacing control connection block 481c-2, thereby shielding the anti-swing and anti-drop. The interval of each part 481b is adjusted. In this embodiment, the anti-swing and anti-drop spacing adjusting driving unit 481c-3 is formed of a ball screw-type linear motor.

이하에서 본 실시예에 따른 멀티 스태커 크레인 시스템의 동작 및 멀티 스태커 크레인 시스템을 이용한 셀 전달방법을 도 1 내지 도 24를 참고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multi-stacker crane system and the cell transfer method using the multi-stacker crane system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24 .

멀티 스태커 크레인 시스템을 이용한 셀 전달방법은, 셀 이재장치(400)가 물류트레이(500)에 수용된 다수 개의 이차전지 셀을 공정트레이(600)로 이재하는 셀 이재단계와, 제1 충전장치(100)와 제1 충전장치(100)에 대해 제1축 방향(X)에 교차하는 제2축 방향(Y)으로 이격되어 배치된 제2 충전장치(200)의 사이에 배치된 스태커 크레인장치(300)가 공정트레이(600)에 수용된 이차전지 셀을 제1 충전장치(100)로 공급하는 제1 셀 전달단계와, 스태커 크레인장치(300)가 공정트레이(600)에 수용된 이차전지 셀을 제2 충전장치(200)로 공급하는 제2 셀 전달단계를 포함한다. A cell transfer method using a multi-stacker crane system includes a cell transfer step in which a cell transfer device 400 transfers a plurality of secondary battery cells accommodated in a distribution tray 500 to a process tray 600, and a first charging device 100 ) And the stacker crane device 300 disposed between the second charging device 200 disposed spaced apart in the second axial direction (Y) intersecting the first axial direction (X) with respect to the first charging device 100 ) is a first cell transfer step of supplying the secondary battery cells accommodated in the process tray 600 to the first charging device 100, and the stacker crane device 300 supplies the secondary battery cells accommodated in the process tray 600 to the second A second cell transfer step of supplying the cells to the charging device 200 is included.

셀 이재단계에서는 셀 이재장치(400)가 물류트레이(500)에 수용된 다수 개의 이차전지 셀을 파지하여 공정트레이(600)로 이재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이 물류트레이(500)의 물류트레이용 안착홈(510)과 공정트레이(600)의 공정트레이용 안착홈(610) 사이의 이격간격이 서로 다르므로, 물류트레이(500)에 수용된 다수 개의 이차전지 셀을 공정트레이(600)로 이재하는 과정에서 이재용 간격조절부(445)에 의해 이재용 단위 그리핑부(444) 사이의 이격간격이 조정된다. In the cell transfer step, the cell transfer device 400 grips a plurality of secondary battery cells accommodated in the distribution tray 500 and transfers them to the process tray 600 .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separation interval between the seating groove 510 for the logistics tray of the logistics tray 500 and the seating groove 610 for the process tray of the process tray 600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a plurality accommodated in the logistics tray 500 In the process of transferring the secondary battery cells to the process tray 600, the spacing between the unit gripping units 444 is adjusted by the separation adjusting unit 445 for the transfer unit.

또한, 이재용 안티 스윙 겸용 안티 드롭유닛(480)이 이재과정에서 이재용 핸드유닛(420)에 파지된 이차전지 셀이 회동되거나 추락하는 것을 방지한다. In addition, the Lee Jae-yong anti-swing combined anti-drop unit 480 prevents the secondary battery cell held by the Lee Jae-yong hand unit 420 from rotating or falling during the transfer process.

제1 셀 전달단계에서는 공정트레이(600)에 수용된 이차전지 셀이 스태커 크레인장치(300)에 의해 픽업되어 제1 충전장치(100)로 공급된다. 크레인용 파지부(333)에 파지된 이차전지 셀은 크레인용 안티 스윙 겸용 안티 드롭부(336)에 의해 스태커 크레인장치(300)의 이동과정에서 이차전지 셀이 회동되거나 추락되는 것이 방지된다. In the first cell transfer step, the secondary battery cells accommodated in the process tray 600 are picked up by the stacker crane device 300 and supplied to the first charging device 100 . The secondary battery cell gripped by the crane gripping unit 333 is prevented from rotating or falling during the movement of the stacker crane device 300 by the anti-swing combined anti-drop unit 336 for the crane.

제2 셀 전달단계에서는 공정트레이(600)에 수용된 이차전지 셀을 스태커 크레인장치(300)에 의해 픽업되어 제2 충전장치(200)로 공급된다. In the second cell transfer step, the secondary battery cells accommodated in the process tray 600 are picked up by the stacker crane device 300 and supplied to the second charging device 200 .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멀티 스태커 크레인 시스템은, 제1 충전장치(100)와, 제1 충전장치(100)에 대해 가로방향으로 이격되어 위치된 제2 충전장치(200)와, 제1 충전장치(100)와 제2 충전장치(200)의 사이에 배치되며 제1 충전장치(100)와 제2 충전장치(200)로 이차전지 셀을 공급하고 제1 충전장치(100)와 제2 충전장치(200)에서 이차전지 셀을 수거하는 스태커 크레인장치(300)를 구비함으로써,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으며 이물질(particle)이 충전장치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s such, the multi-stacker cran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first charging device 100, a second charging device 200 positioned horizontally apart from the first charging device 100, and a first charging device 200. It is disposed between the device 100 and the second charging device 200 and supplies secondary battery cells to the first charging device 100 and the second charging device 200, and the first charging device 100 and the second charging device By providing the stacker crane device 300 for collecting the secondary battery cells in the device 200, space utilization can be increased and foreign substances can be prevented from falling into the charging device.

또한, 본 실시예에 멀티 스태커 크레인 시스템은, 공정트레이(600)에 수용된 다수 개의 이차전지 셀을 인출하여 충전장치(100, 200)로 공급하고 충전장치(100, 200)에서 이차전지 셀을 수거하여 공정트레이에 인입하는 스태커 크레인장치(300)와, 물류트레이(500)에 수용된 다수 개의 이차전지 셀의 이격간격을 가변시켜 공정트레이(600)로 이재하는 셀 이재장치(400)를 구비함으로써, 물류트레이(500)에 수용된 다수 개의 이차전지 셀의 이격간격을 빠르고 간편하게 가변시켜 충전장치(100, 200)로 전달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ulti-stacker crane system in this embodiment takes out a plurality of secondary battery cells accommodated in the process tray 600, supplies them to the charging devices 100 and 200, and collects the secondary battery cells in the charging devices 100 and 200 By providing a stacker crane device 300 that enters the process tray and a cell transfer device 400 that transfers to the process tray 600 by varying the spacing of the plurality of secondary battery cells accommodated in the distribution tray 500, The distance between the plurality of secondary battery cells accommodated in the distribution tray 500 can be quickly and easily changed and delivered to the charging devices 100 and 200.

이상 도면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가 전술한 도면 및 설명에 국한되지는 않는다.Although the present embodiment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scope of rights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drawings and description.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As such,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it is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such modifications or variations should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제1 충전장치 200: 제2 충전장치
300: 스태커 크레인장치 310: 크레인용 주행유닛
320: 크레인용 핸드유닛 330: 크레인용 핸드모듈
331: 크레인 핸드모듈용 고정프레임부
332: 크레인 핸드모듈용 이동프레임부
332a: 크레인 핸드모듈용 이동프레임 본체
333: 크레인용 파지부 333a: 크레인용 파지 브라켓
333b: 크레인용 단위 그리핑부 333c: 크레인용 그리퍼
333d: 크레인 그리퍼용 액츄에이터 334: 얼라인용 가이드부
334a: 가이드 봉 몸체 334b: 가이드 봉 헤드
334c: 얼라인용 가이드 홈 334d: 삽입 유도홀
335: 오토 센터링부 335a: 오토 센터링용 전자석
336: 크레인용 안티 스윙 겸용 안티 드롭부
336a: 안티 드롭용 가로 바아 336b: 안티 스윙용 스토핑부재
336c: 안티 스윙 겸용 안티 드롭용 연결부재
336d: 안티 스윙 겸용 안티 드롭용 액츄에이터
340: 크레인용 포크모듈
360: 크레인용 업/다운(up/down) 이동유닛
400: 셀 이재장치 410: 이재장치 프레임
420: 이재용 핸드유닛 430: 이재용 고정프레임부
440: 이재용 파지부 441: 이재용 이동 프레임부
442: 이재용 파지 브라켓부 444: 이재용 단위 그리핑부
444a: 이재용 슬라이딩 블록부 444b: 이재용 그리퍼
444c: 이재 그리퍼용 액츄에이터 444d: 제1 간격조절용 돌출부재
445: 이재용 간격조절부 445a: 제1 간격조절용 링크
445b: 간격조절용 연결부 445b-1: 연결용 고정블록
445b-2: 연결용 회전롤러 445c: 제1 간격조절용 슬릿홀
445d: 이재용 간격조절 구동부 445d-1: 간격조절용 이동블록
445d-3: 연결용 절개홀 445d-2: 간격조절용 구동모터
450: 이재용 업/다운(up/down) 이동부 470: 이재용 이동유닛
480: 이재용 안티 스윙 겸용 안티 드롭유닛
481: 이재용 안티 스윙 겸용 안티 드롭부
481a: 안티 스윙 겸용 안티 드롭용 프레임부
481b: 안티 스윙 겸용 안티 드롭용 차폐부
481b-1: 차폐용 블록부 481b-2: 셀 삽입홈
481b-3: 블록 연결부
481b-4: 제2 간격조절용 돌출부재
481c: 안티 스윙 겸용 안티 드롭용 간격조절부
481c-1: 제2 간격조절용 링크
481c-2: 간격조절용 연결 블록부
481c-3: 안티 스윙 겸용 안티 드롭용 간격조절 구동부
481c-4: 제2 간격조절용 슬릿홀
482: 안티 스윙 겸용 안티 드롭용 이동부
500: 물류트레이 510: 물류트레이용 안착홈
600: 공정트레이 610: 공정트레이용 안착홈
MP: 메인 프레임 P: 얼라인용 가이드 핀
100: first charging device 200: second charging device
300: stacker crane device 310: driving unit for crane
320: hand unit for crane 330: hand module for crane
331: fixed frame for crane hand module
332: moving frame part for crane hand module
332a: moving frame body for crane hand module
333: gripping part for crane 333a: gripping bracket for crane
333b: unit gripping part for crane 333c: gripper for crane
333d: actuator for crane gripper 334: guide for alignment
334a: guide rod body 334b: guide rod head
334c: guide groove for alignment 334d: insertion guide hole
335: auto-centering unit 335a: electromagnet for auto-centering
336: anti-swing combined anti-drop for crane
336a: horizontal bar for anti-drop 336b: stopping member for anti-swing
336c: connecting member for anti-swing and anti-drop
336d: Actuator for anti-swing and anti-drop
340: fork module for crane
360: up/down movement unit for crane
400: cell transfer device 410: transfer device frame
420: Lee Jae-yong hand unit 430: Lee Jae-yong fixed frame
440: Lee Jae-yong gripping part 441: Lee Jae-yong moving frame part
442: Jaeyong Lee gripping bracket part 444: Jaeyong Lee unit gripping part
444a: Jaeyong Lee sliding block part 444b: Jaeyong Lee gripper
444c: Actuator for different material gripper 444d: Protruding member for adjusting the first distance
445: Lee Jae-yong spacing adjusting unit 445a: first spacing adjusting link
445b: connection part for adjusting spacing 445b-1: fixed block for connection
445b-2: Rotating roller for connection 445c: Slit hole for first spacing adjustment
445d: Lee Jae-yong spacing adjustment driving unit 445d-1: moving block for spacing adjustment
445d-3: cutout hole for connection 445d-2: drive motor for spacing adjustment
450: Jaeyong Lee up / down moving unit 470: Jaeyong Lee moving unit
480: Lee Jae-yong anti-swing anti-drop unit
481: Lee Jae-yong anti-swing combined anti-drop part
481a: Frame part for anti-swing and anti-drop
481b: shield for anti-drop combined with anti-swing
481b-1: block portion for shielding 481b-2: cell insertion groove
481b-3: block connection
481b-4: protruding member for second spacing adjustment
481c: Spacing control unit for anti-swing and anti-drop
481c-1: Link for second spacing adjustment
481c-2: connection block for spacing adjustment
481c-3: Spacing driving unit for anti-swing and anti-drop
481c-4: slit hole for second spacing adjustment
482: moving part for anti-swing and anti-drop
500: logistics tray 510: seating groove for logistics tray
600: process tray 610: seating groove for process tray
MP: Main frame P: Guide pin for alignment

Claims (14)

메인 프레임에 지지되며, 이차전지 셀을 충전시키는 충전장치;
상기 메인 프레임에 지지되고 공정트레이에 수용된 다수 개의 상기 이차전지 셀을 인출하며, 인출된 상기 이차전지 셀을 상기 충전장치로 공급하고 상기 충전장치에서 상기 이차전지 셀을 수거하여 공정트레이에 인입하는 스태커 크레인장치; 및
상기 메인 프레임에 지지되며, 물류트레이에 수용된 다수 개의 상기 이차전지 셀의 이격간격을 가변시켜 상기 공정트레이로 이재하는 셀 이재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셀 이재장치는,
상기 메인 프레임에 연결되는 이재장치 프레임;
다수 개의 상기 이차전지 셀을 파지하는 이재용 핸드유닛; 및
상기 이재장치 프레임에 결합되고 상기 이재용 핸드유닛에 연결되며, 상기 이재용 핸드유닛이 상기 물류트레이와 상기 공정트레이 각각의 상부영역에 위치될 수 있도록 상기 이재용 핸드유닛을 제1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재용 이동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이재용 핸드유닛은,
상기 이재용 이동유닛에 결합되는 이재용 고정프레임부;
상기 이차전지 셀을 파지하는 이재용 파지부; 및
상기 이재용 고정프레임부에 결합되고 상기 이재용 파지부에 연결되며, 상기 이재용 파지부를 세로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재용 업/다운(up/down) 이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이재용 파지부는,
상기 이재용 업/다운(up/down) 이동부에 결합되는 이재용 이동 프레임부;
상기 이재용 이동 프레임부에 제1축 방향에 교차하는 제2축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는 한 쌍의 이재용 파지 브라켓부;
상기 이재용 파지 브라켓 각각에 상대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는 다수 개의 이재용 단위 그리핑부; 및
상기 이재용 단위 그리핑부에 연결되며, 상기 이재용 단위 그리핑부 각각의 이격간격을 가변시키는 이재용 간격조절부를 포함하는 멀티 스태커 크레인 시스템.
a charging device supported on the main frame and charging the secondary battery cells;
A stacker supporting the main frame and drawing out a plurality of secondary battery cells accommodated in a process tray, supplying the drawn out secondary battery cells to the charging device, collecting the secondary battery cells from the charging device, and introducing them into the process tray crane device; and
A cell transfer device supported by the main frame and transferring the secondary battery cells to the process tray by varying the separation interval of the plurality of secondary battery cells accommodated in the distribution tray,
The cell transfer device,
a transfer device frame connected to the main frame;
Jaeyong Lee's hand unit holding the plurality of secondary battery cells; and
A transfer movement coupled to the transfer device frame and connected to the transfer hand unit and moving the transfer hand unit in a first axis direction so that the transfer hand unit can be positioned in an upper region of each of the distribution tray and the process tray. contain units,
The Lee Jae-yong hand unit,
a fixing frame unit for transfer coupled to the transfer unit;
Jaeyong Lee's holding part for holding the secondary battery cell; and
An up/down movement unit coupled to the transfer fixing frame unit and connected to the transfer grip unit, and moving the transfer grip unit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gripping part for Lee Jae-yong,
a moving frame unit for Lee Jae-yong coupled to the up/down movement unit for Lee Jae-yong;
a pair of gripping brackets for transferring material connected to the transfer frame unit to be slidably movable in a second axis direction intersecting the first axis direction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 plurality of unit gripping parts for transferring material coupled to each of the material transfer gripping brackets to be relatively movable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A multi-stacker crane system comprising a transfer distance adjusting unit connected to the transfer unit gripping unit and varying a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transfer unit gripping unit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류트레이에는 다수 개의 상기 이차전지 셀이 삽입되며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는 다수 개의 물류트레이용 안착홈이 형성되며,
상기 공정트레이에는 다수 개의 상기 이차전지 셀이 삽입되며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는 다수 개의 공정트레이용 안착홈이 형성되며,
상기 물류트레이용 안착홈 사이의 이격간격은 상기 공정트레이용 안착홈 사이의 이격간격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스태커 크레인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In the logistics tray, a plurality of secondary battery cells are inserted and a plurality of seating grooves for logistics trays are form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 plurality of secondary battery cells are inserted into the process tray and a plurality of seating grooves for process tray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re formed,
The multi-stacker crane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seating grooves for the logistics tray is smaller than the spacing between the seating grooves for the process tray.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재용 단위 그리핑부는,
상기 이재용 파지 브라켓부 각각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재용 슬라이딩 블록부;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는 한 쌍의 이재용 그리퍼; 및
상기 이재용 슬라이딩 블록부에 결합되고 한 쌍의 상기 이재용 그리퍼에 연결되며, 한 쌍의 상기 이재용 그리퍼 각각을 상호 접근 및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재 그리퍼용 액츄에이터를 포함하는 멀티 스태커 크레인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Lee Jae-yong unit gripping part,
a sliding block unit for transfer that is slidably coupled to each of the gripping bracket units for transfer;
A pair of grippers for Lee Jae-yong dispos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A multi-stacker crane system including an actuator for the transfer gripper coupled to the transfer sliding block unit, connected to the pair of transfer grippers, and moving each of the pair of transfer grippers in a mutually approaching and spaced direc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재용 간격조절부는,
상기 이재용 단위 그리핑부 각각에 형성된 제1 간격조절용 돌출부재가 삽입되는 제1 간격조절용 슬릿홀이 형성되며, 인접하게 배치된 상기 이재용 단위 그리핑부를 연결하는 제1 간격조절용 링크;
상기 이재용 단위 그리핑부에 결합된 간격조절용 연결부; 및
상기 이재용 이동 프레임부에 결합되고 상기 간격조절용 연결부에 연결되며, 상기 간격조절용 연결부를 이동시켜 상기 이재용 단위 그리핑부 각각의 간격을 조절하는 이재용 간격조절 구동부를 포함하는 멀티 스태커 크레인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Lee Jae-yong spacing adjustment unit,
a first spacing adjusting link having a first slit hole for adjusting the spacing into which a first protruding member for adjusting the spacing is inserted in each of the unit gripping units for transferring materials, and connecting the adjacently disposed unit gripping units for transferring materials;
a connection part for adjusting the distance coupled to the Lee Jae-yong unit gripping part; and
A multi-stacker crane system including a distance adjusting driving unit coupled to the moving frame unit for transfer and connected to the connection unit for adjusting the distance, and adjusting the distance between each of the gripping units for the transfer unit by moving the connection unit for spacing adjustment.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조절용 연결부는,
상기 이재용 단위 그리핑부에 결합된 연결용 고정블록; 및
상기 연결용 고정블록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용 회전롤러를 포함하는 멀티 스태커 크레인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7,
The connection part for adjusting the spacing,
a connection fixing block coupled to the Lee Jae-yong unit gripping part; and
A multi-stacker crane system including a rotating roller for connection rotatably coupled to the fixing block for connection.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이재용 간격조절 구동부는,
상기 연결용 회전롤러가 배치되며, 상기 연결용 회전롤러의 외주면이 접촉되는 내벽이 형성된 연결용 절개홀이 마련되는 간격조절용 이동블록; 및
상기 간격조절용 이동블록에 결합되어 상기 간격조절용 이동블록을 이동시키는 간격조절용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멀티 스태커 크레인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8,
The Lee Jae-yong spacing adjustment driving unit,
a movable block for adjusting a distance in which the connecting rotary roller is disposed and provided with a cutout hole for connecting in which an inner wall to which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necting rotary roller is in contact is formed; and
A multi-stacker crane system including a driving motor for spacing adjustment coupled to the moving block for spacing adjustment and moving the moving block for spacing adjustmen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셀 이재장치는,
상기 이재장치 프레임에 지지되고 상기 이재용 핸드유닛의 하부 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이재용 핸드유닛에 파지된 상기 이차전지 셀이 회동되거나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는 이재용 안티 스윙 겸용 안티 드롭유닛을 더 포함하는 멀티 스태커 크레인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cell transfer device,
The multi-stacker further includes an anti-swing combined anti-drop unit for transfer supported by the transfer device frame and disposed in a lower region of the transfer hand unit to prevent the secondary battery cell held by the transfer hand unit from rotating or falling. crane system.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이재용 안티 스윙 겸용 안티 드롭유닛은,
상기 이재용 핸드유닛에 파지된 상기 이차전지 셀의 하부 영역에 배치되는 이재용 안티 스윙 겸용 안티 드롭부; 및
상기 이재용 안티 스윙 겸용 안티 드롭부에 연결되며, 상기 이재용 안티 스윙 겸용 안티 드롭부가 상기 물류트레이와 상기 공정트레이 각각의 상부영역에 위치될 수 있도록 상기 이재용 안티 스윙 겸용 안티 드롭부를 제1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안티 스윙 겸용 안티 드롭용 이동부를 포함하는 멀티 스태커 크레인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0,
The anti-swing anti-drop unit for Lee Jae-yong,
an anti-drop unit for Jae-Yong Lee combined with an anti-swing disposed in a lower region of the secondary battery cell gripped by the Jae-Yong Lee hand unit; and
The Lee Jae-yong anti-swing combined anti-drop part is connected to the Lee Jae-yong anti-swing combined anti-drop part, and the Lee Jae-yong anti-swing combined anti-drop part moves in a first axis direction so that the Lee Jae-yong anti-swing combined anti-drop part can be located in the upper region of the distribution tray and the process tray, respectively A multi-stacker crane system that includes a moving part for both anti-swing and anti-drop.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이재용 안티 스윙 겸용 안티 드롭부는,
상기 안티 스윙 겸용 안티 드롭용 이동부에 연결되는 안티 스윙 겸용 안티 드롭용 프레임부;
상기 안티 스윙 겸용 안티 드롭용 프레임부에 상대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이재용 핸드유닛에 파지된 상기 이차전지 셀의 하단부 영역을 차폐하는 다수 개의 안티 스윙 겸용 안티 드롭용 차폐부; 및
상기 안티 스윙 겸용 안티 드롭용 차폐부에 연결되며, 다수 개의 상기 안티 스윙 겸용 안티 드롭용 차폐부 각각의 이격간격을 가변시키는 안티 스윙 겸용 안티 드롭용 간격조절부를 포함하는 멀티 스태커 크레인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1,
The Lee Jae-yong anti-swing combined anti-drop unit,
a frame unit for anti-swing and anti-drop connected to the moving unit for anti-swing and anti-drop;
a plurality of anti-swing and anti-drop shielding parts connected to the anti-swing and anti-drop frame part to be relatively movable and shielding a lower end area of the secondary battery cell held by the transfer hand unit; and
A multi-stacker crane system including an anti-swing combined anti-drop distance adjusting unit connected to the anti-swing combined anti-drop shield and varying the distance between each of the plurality of anti-swing combined anti-drop shields.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안티 스윙 겸용 안티 드롭용 차폐부는,
상기 이재용 핸드유닛에 파지된 상기 이차전지 셀의 하단부 영역이 삽입되는 셀 삽입홈이 형성된 차폐용 블록부; 및
상기 차폐용 블록부에 결합되며, 상기 안티 스윙 겸용 안티 드롭용 프레임부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블록 연결부를 포함하는 멀티 스태커 크레인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2,
The shield for anti-swing and anti-drop,
a shielding block portion having a cell insertion groove into which a lower portion of the secondary battery cell gripped by the transfer hand unit is inserted; and
A multi-stacker crane system including a block connection part coupled to the shielding block part and slidably coupled to the anti-swing combined anti-drop frame part.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안티 스윙 겸용 안티 드롭용 간격조절부는,
상기 안티 스윙 겸용 안티 드롭용 차폐부 각각에 형성된 제2 간격조절용 돌출부재가 삽입되는 제2 간격조절용 슬릿홀이 형성되며, 인접하게 배치된 상기 안티 스윙 겸용 안티 드롭용 차폐부를 연결하는 제2 간격조절용 링크;
상기 안티 스윙 겸용 안티 드롭용 차폐부에 결합된 간격조절용 연결 블록부; 및
상기 안티 스윙 겸용 안티 드롭용 프레임부에 결합되고 상기 간격조절용 연결 블록부에 연결되며, 상기 간격조절용 연결 블록부를 이동시켜 상기 안티 스윙 겸용 안티 드롭용 차폐부 각각의 간격을 조절하는 안티 스윙 겸용 안티 드롭용 간격조절 구동부를 포함하는 멀티 스태커 크레인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2,
The anti-swing combined anti-drop spacing control unit,
A second spacing adjusting slit hole is formed in each of the anti-swing and anti-drop shielding parts, into which a second protruding member for spacing adjusting is inserted, and a second spacing adjusting link connecting the adjacent anti-swing and anti-drop shielding parts is formed. ;
a connection block for adjusting the distance coupled to the shield for anti-swing and anti-drop; and
The anti-swing combined anti-drop is coupled to the anti-swing combined anti-drop frame unit and connected to the connection block unit for spacing adjustment, and adjusts the distance between the anti-swing combined anti-drop shielding parts by moving the connection block unit for spacing adjustment. A multi-stacker crane system that includes a driving part for adjusting the distance for use.
KR1020210085395A 2021-06-30 2021-06-30 Multi Stacker Crane System KR10254792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5395A KR102547922B1 (en) 2021-06-30 2021-06-30 Multi Stacker Crane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5395A KR102547922B1 (en) 2021-06-30 2021-06-30 Multi Stacker Crane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3832A KR20230003832A (en) 2023-01-06
KR102547922B1 true KR102547922B1 (en) 2023-06-26

Family

ID=849241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5395A KR102547922B1 (en) 2021-06-30 2021-06-30 Multi Stacker Crane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7922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7300B1 (en) * 2005-04-01 2006-09-25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ickup movement apparatus capable of adjusting
JP2008278625A (en) 2007-04-27 2008-11-13 Nippon Yusoki Co Ltd Battery charging rack
JP2012025557A (en) * 2010-07-26 2012-02-09 Daifuku Co Ltd Battery processing equipment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39631B1 (en) * 2000-03-03 2002-08-27 Micron Technology, Inc. Variable-pitch pick and place device
KR20040096409A (en) * 2003-05-09 2004-11-16 디엔씨엔지니어링 주식회사 Variable Pitch Transfer Device
KR102069127B1 (en) 2018-12-11 2020-01-22 최윤기 Multi-array charge/discharge unit for secondary battery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7300B1 (en) * 2005-04-01 2006-09-25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ickup movement apparatus capable of adjusting
JP2008278625A (en) 2007-04-27 2008-11-13 Nippon Yusoki Co Ltd Battery charging rack
JP2012025557A (en) * 2010-07-26 2012-02-09 Daifuku Co Ltd Battery processing equip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3832A (en) 2023-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93402B2 (en) Battery with circuit board and lead terminals
US9905820B2 (en) Battery cell storage apparatus and storage apparatus transport system
CN110915048B (en) Unit cell alignment apparatus and electrode assembly manufacturing method using the same
JP7071522B2 (en) Battery pack manufacturing equipment, manufacturing method and battery pack
KR102354867B1 (en) End plate,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comprising the same and battery module auto-manufacturing apparatus
DE102014111623A1 (en) High speed horizontal stacking for batteries with prismatic tanks
KR102333748B1 (en) stacked stage lifting unit of electrode assembly manufacturing apparatus
KR102536553B1 (en) Secondary battery cell transfer device
EP3576179A1 (en)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and vehicle comprising same
EP1261062B1 (en) Lamination apparatus for an automated manufacturing system for a lithium secondary battery
KR102547922B1 (en) Multi Stacker Crane System
KR102547920B1 (en) Multi-stacker crane system and secondary battery cell delivery method using multi-stacker crane system
KR102492160B1 (en) Hand module for stacker crane and stacker crane device having same
KR102547921B1 (en) Stacker crane device and multi-stacker crane system having same
KR20220009155A (en) Battery module case assembly device
KR20210045182A (en) Pick up and place device for secondary battery stacking apparatus
US20230282915A1 (en) Battery Module, Battery Pack Comprising Battery Module and Vehicle
KR20240092468A (en) Hand module for individual grip type stacker crane and stacker crane device having the same
WO2020180009A1 (e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battery pack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battery pack
KR20240062755A (en) Transfer device for secondary battery
KR102418781B1 (en) Cell Arranging Apparatus and Method for Arranging Cell with The Same
CN220702504U (en) Liquid injection system of battery and transfer device thereof
EP4425627A1 (en) Clamping assembly, transport mechanism, and device for assembling battery cell
US20240055734A1 (en) Rechargeable battery with movable electrode
US20240058946A1 (en) Transfer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